KR101301365B1 - 자동차용 시트의 포지션 조절을 위한 케이블의 설치 구조체 및 이에 사용되는 케이블 안내 기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트의 포지션 조절을 위한 케이블의 설치 구조체 및 이에 사용되는 케이블 안내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1365B1
KR101301365B1 KR1020120035771A KR20120035771A KR101301365B1 KR 101301365 B1 KR101301365 B1 KR 101301365B1 KR 1020120035771 A KR1020120035771 A KR 1020120035771A KR 20120035771 A KR20120035771 A KR 20120035771A KR 101301365 B1 KR101301365 B1 KR 101301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wire
seat
hol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5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대엽
Original Assignee
(주) 미창케이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미창케이블 filed Critical (주) 미창케이블
Priority to KR1020120035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13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1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1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B60N2/853Tiltable characterised by their adjusting mechanisms, e.g. 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205/00General mechanical or structural details
    • B60N2205/30Seat or seat parts characterised by comprising plural parts or pie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의 포지션 조절을 위한 케이블의 설치 구조체 및 이에 사용되는 케이블 안내 기구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자동차용 시트의 골격을 형성하는 시트 프레임에 위치 고정되어 상기 자동차용 시트의 포지션을 조절하는 포지션 조절기구와; 피복과, 상기 피복 내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하는 와이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시트 프레임에 상기 와이어의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포지션 조절기구에 상기 와이어의 타단이 연결 고정된 케이블과; 상기 시트 프레임에 형성된 관통공에 위치 고정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자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외주면을 타도록 상기 와이어를 위치시켜 상기 와이어를 만곡 형태의 경로로 안내하는 풀리로 이루어져, 상기 와이어가 상기 시트 프레임을 관통한 이후에 자전하는 상기 풀리에 의해 상기 시트 프레임의 판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상기 와이어를 방향 전환시키는 케이블 안내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와이어가 상기 풀리에 의해 만곡 형태의 경로로 안내되어 상기 포지션 조절기구에 연결 고정되어, 상기 케이블이 장시간동안 파손없이 시트의 포지션을 조정하는데 신뢰성있게 사용될 수 있으면서, 시트 포지션을 조정하는 데 발생되는 마찰을 최소화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포지션 조절을 위한 케이블의 설치 구조체 및 이에 사용되는 케이블 안내 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의 포지션 조절을 위한 케이블의 설치 구조체 및 이에 사용되는 케이블 안내 기구 {CABLE INSTALLATION STRUCTURE FOR ADJUSTING CAR SEAT POSITION AND APPARATUS OF GUIDING CABLE USED THEREIN}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의 포지션 조절을 위한 케이블의 설치 구조체 및 이에 사용되는 케이블 안내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용 시트의 포지션을 조절하는 케이블의 배치 경로 상에 급격한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는 영역에서 케이블의 휨 변형량을 미리 정해진 곡률 반경 이상이 되도록 함으로써, 케이블의 와이어가 원활하게 이동하여 자동차용 시트의 포지션 조절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케이블에 과도한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충분한 내구 수명을 확보할 수 있는 자동차용 시트의 포지션 조절을 위한 케이블의 설치 구조체 및 이에 사용되는 케이블 안내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自動車, Vehicle / 이하 "차량"이라 함) 실내에는 운전자를 포함한 몇몇의 탑승자가 착석할 수 있는 시트(Seat / 座席)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자동차용 시트는 인체의 단순 의지목적에 그치지 않고 안전운전과 직결되는 편의성(便宜性) 증대의 목적을 갖는다.
다시 말해, 차량 외부의 물리적 변화(차량추돌 등)로부터 인체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견고하면서도, 장시간 탑승시 피로도가 적어야 하고 쾌적성(착좌 자세, 쿠션력 등)을 유지하여야 하며, 탑승자별 신체조건에 따른 시트포지션(Seat position) 조절기능의 요건을 갖추어야만 한다.
한편, 시트 포지션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기능수행을 위한 포지션 조절기구의 레버를 조작할 수 있는 케이블이 필수적으로 수반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49090호에 개시된 구성을 통해 상기 케이블이 연계구성된 시트 프레임의 구조를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1a은 통상의 자동차용 시트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요부사시도이고, 도 1b는 자동차용 시트의 시트포지션 조절용 케이블의 일반적인 구조를 나타낸 요부확대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자동차용 시트 프레임은, 시트쿠션을 형성하는 골격이 되는 베이스 프레임(910)과, 베이스 프레임(9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등받이를 형성하는 골격이 되는 백 프레임(920)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베이스 프레임(910)과 백 프레임(920)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이들(910, 920)의 연결 부위에 포지션 조절기구(930)가 설치된다.
한편, 베이스 프레임(910)과 백 프레임(920)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일단이 베이스 프레임(910)에 위치 고정되고 타단이 포지션 조절기구(930)의 레버(931)에 위치 고정된 케이블(c)이 설치된다. 케이블(c)은 포지션 조절기구(930)로부터의 힘을 전달하는 와이어(c-1)와, 와이어(c-1)를 감싸 보호하는 피복(c-2)으로 이루어진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c)의 피복(c-2)의 끝단에는 마감부싱(c-3)이 결합되고, 마감부싱(c-3)은 시트 프레임에 고정되어, 피복(c-2) 내에서 상대 이동하는 와이어(c-1)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910)과 백 프레임(920) 사이의 각도가 조절된다.
도면에는 포지션 조절기구(930)가 백 프레임(920)에 위치 고정되고 케이블(c)의 와이어 일단이 베이스 프레임(910)에 위치 고정된 구성이 예시되어 있지만, 포지션 조절기구(930)가 베이스 프레임(930)에 위치 고정되고 와이어 일단이 백 프레임(920)에 위치 고정되어 동일한 작용을 구현할 수도 있다.
그리고, 포지션 조절기구(930)의 레버(931)를 조작하면 케이블(c)의 와이어(c-1)가 포지션 조절기구(930)에 감기는 길이가 조절됨으로써, 베이스 프레임(910)과 백 프레임(920, 즉 백 프레임(930)에 고정된 포지션 조절 기구(930))을 연결하는 와이어(c-1)의 길이가 조절되면서, 베이스 프레임(910)과 백 프레임(920) 사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자동차용 시트의 포지션 조절을 위한 케이블의 설치 구조는, 케이블(c)이 시트 프레임(910, 920)의 판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시트 프레임(910, 920)을 관통하여 리클라이너 등의 포지션 조절기구(930)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시트 프레임(910, 920)을 관통하는 위치에서 케이블(c)의 급격한 휨 변형이 야기될 수 밖에 없고, 이로 인하여 케이블(c)의 와이어(c-1)와 피복(c-2) 사이에는 큰 마찰이 유발되고 급격한 휨 변형으로 인해 와이어(c-1)에 국부적인 응력 집중되어 케이블의 수명이 낮아지는 문제가 야기되며, 레버(931) 조작 시에 와이어(c-1)의 장력(Tension)이 저하됨에 따라 상기 포지션 조절기구(930)의 구속 및 해제를 원활히 할 수 없게 되어 작동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야기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c)이 시트 프레임(910, 920)을 관통하는 위치가 포지션 조절기구(930)로부터 멀리 이격된 곳에 두어 케이블(c)의 급격한 휨 변형을 피하고자 했으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구성에도 불구하고 시트 프레임(910, 920)을 관통하는 위치에서의 케이블(c)의 휨 변형은 근본적으로 피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 뿐만 아니라, 이 휨 변형량을 줄이기 위해 케이블(c)의 관통 위치를 포지션 조절기구(930)로부터 멀리 이격된 곳에 둠에 따라 케이블(c)이 과다하게 길어지고 이로 인해 시트의 작동이 간섭받는 등 콤팩트한 케이블(c)의 배치를 저해하는 문제가 야기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동차용 시트의 포지션을 조절하는 케이블의 배치 경로 상에 급격한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는 영역에서 케이블의 휨 변형량을 미리 정해진 곡률 반경 이상이 되도록 함으로써, 케이블의 와이어가 원활하게 이동하여 자동차용 시트의 포지션 조정을 보다 신뢰성있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포지션 조절을 위한 케이블의 설치 구조체 및 이에 사용되는 케이블 안내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의 포지션 조절에 필요한 케이블을 시트 프레임에 구성함에 있어, 케이블의 방향 전환 구조를 개선하여 피복과 와이어 사이에 국부적으로 마찰이 증가하여 시트 포지션을 조정하는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트의 포지셔닝을 조절하는 케이블에 과도한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충분한 내구 수명을 확보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케이블의 피복의 끝단을 시트 프레임에 고정하는 동시에 상기 시트 프레임으로부터 포지션 조절기구로 이어지는 방향 전환 구간에서 상기 와이어가 일정 곡률(曲律, Curvature)을 유지한 상태로 이동을 이룰 수 있게 지지 및 안내하는 안내기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상기 피복과 와이어가 상호 간 마찰을 일으켜 케이블 손상을 유발하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으면서도, 상기 포지션 조절기구의 레버 조작을 위한 상기 와이어가 장력이 저하되지 않도록 함에 따른 장치 작동성능의 향상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의 포지션을 조절하는 케이블의 설치 구조체로서, 상기 자동차용 시트의 골격을 형성하는 시트 프레임에 위치 고정되어 상기 자동차용 시트의 포지션을 조절하는 포지션 조절기구와; 피복과, 상기 피복 내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하는 와이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시트 프레임에 상기 와이어의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포지션 조절기구에 상기 와이어의 타단이 연결 고정된 케이블과; 상기 시트 프레임에 형성된 관통공에 위치 고정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자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외주면을 타도록 상기 와이어를 위치시켜 상기 와이어를 만곡 형태의 경로로 안내하는 풀리로 이루어져, 상기 시트 프레임을 관통한 상기 와이어가 자전하는 상기 풀리에 의해 상기 시트 프레임의 판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방향 전환되도록 하는 케이블 안내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와이어가 상기 풀리에 의해 만곡 형태의 경로로 안내되어 상기 포지션 조절기구에 연결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포지션 조절을 위한 케이블의 설치 구조체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시트 포지션을 조정하는 데 사용되는 케이블의 배치 경로 상에, 케이블이 급격히 휨 변형된 상태로 장력이 인가되는 영역이 근본적으로 배제됨에 따라, 시트 포지션을 조절하는 와이어에 국부적으로 응력이 집중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충분한 내구 수명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부드러운 조작감으로 시트 포지션을 조절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의 포지션을 조절하는 케이블의 배치 경로 상에 급격한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는 영역에서 케이블의 휨 변형량을 풀리의 곡률 반경 이상이 되도록 유도함으로써, 케이블의 와이어와 피복 사이에 국부적으로 높은 마찰이 발생되어 피복이 손상되는 것도 억제할 수 있으며, 케이블의 와이어가 원활하게 이동하여 자동차용 시트의 포지션 조정을 보다 신뢰성있게 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시트 포지션의 조절' 또는 이와 유사한 용어는 시트 등받이의 경사각 조절을 위한 리클라이닝(Reclining) 조절과, 시트 쿠션(Seat cushion, 엉덩이받이)의 전후 상하 방향의 이동량 조절과, 시트 등받이의 헤드레스트의 경사각(Tilting angle)을 조절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포지션 조절기구'는 상기 조절에 필요한 기구들(예를 들어, 리클라이너)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케이블의 피복의 끝단이 고정되는 결합부가 상기 시트 프레임의 안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풀리를 경유하여 상기 포지션 조절기구에 도달하는 경로에는 상기 케이블의 상기 와이어만 연장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트 포지션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을 전달하는 와이어만 본체로부터 포지션 조절기구까지 연장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종래에 피복을 위치 고정하기 위해 사용하였던 마감 부싱을 별도로 사용하지 않아도 무방해지며, 장력을 전달하는 와이어만을 풀리로 안내함에 따라 와이어에 국부적으로 작용하는 응력 집중 현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본체에는 상기 와이어가 관통하는 제1통공과 제2통공이 구비되되, 상기 제1통공은 상기 결합부를 상기 와이어가 관통하는 관통공으로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가 상기 제1통공과 상기 풀리의 외주면을 경유한 후 상기 제2통공을 관통하도록 배열된다. 이를 통해, 와이어의 배열 경로가 제1통공과 제2통공에 의해 안내되므로 시트 포지션을 조절하는 매개역할을 하는 와이어가 제 위치에 보다 확실하게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통공과 상기 제2통공은 90도의 사잇각을 이룸으로써, 시트 프레임을 관통하는 와이어가 풀리에 의해 곧바로 방향전환되어 포지션 조절기구로 연결될 수 있게된다.
상기 본체는, 상기 결합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시트 프레임의 안쪽면에 밀착 고정되는 제1편부와, 상기 제2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시트 프레임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제2편부와; 상기 제1편부와 상기 제2편부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풀리를 사이 공간 내에 자전 가능하게 설치하도록 서로 이격된 한 쌍의 고정 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고정 편부 중 하측에 위치한 고정 편부에는 상기 제1편부와 이격된 위치에 하방 돌출된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의 고정 편부가 구비됨으로써 케이블의 와이어를 안내하는 풀리의 설치가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걸림 돌기에 의해 본체가 시트 프레임에 보다 위치 고정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1편부의 일면에는 상기 시트 프레임의 안쪽면에 접촉 설치되는 위치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와 상기 시트 프레임 사이의 마찰이 증대되도록 함으로써, 본체가 시트 프레임의 관통공에 보다 견고하게 위치 고정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동차용 시트의 포지션 조절을 위한 케이블의 설치 구조체 및 이에 사용되는 케이블 안내 기구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의 포지션을 조절하는 케이블의 배치 경로 상에 급격한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는 영역에서 케이블의 휨 변형량을 미리 정해진 곡률 반경 이상이 되도록 자전 가능한 풀리로 안내함으로써, 케이블의 와이어가 원활하게 이동하여 자동차용 시트의 포지션 조정을 보다 신뢰성있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케이블의 방향 전환 구조를 개선하여 피복과 와이어 사이에 국부적으로 마찰이 증가하여 시트 포지션을 조정하는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시트의 포지셔닝을 조절하는 케이블에 과도한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충분한 내구 수명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잇점이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블의 피복과 와이어가 상호 간 마찰을 일으켜 케이블 손상을 유발하던 문제점을 해소하면서, 포지션 조절기구의 레버 조작을 위한 상기 와이어가 장력이 저하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시트 포지션을 조절하는 작동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a은 통상의 자동차용 시트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 1b는 자동차용 시트의 시트포지션 조절용 케이블의 일반적인 구조를 나타낸 요부확대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포지션 조절용 케이블의 안내기구의 구조를 나타낸 확대사시도.
도 3은 도 2의 안내 기구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시트포지션 조절용 케이블의 안내기구의 장착된 자동차용 시트의 포지션 조절을 위한 케이블의 설치 구조체의 구성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시트포지션 조절용 케이블의 안내기구가 장착된 자동차용 시트의 포지션 조절을 위한 케이블의 설치 구조체의 촬영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포지션 조절을 위한 케이블의 설치 구조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종래 기술의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포지션 조절을 위한 케이블의 설치 구조체는 자동차의 시트 프레임(910, 920) 중 베이스 프레임(910)에 위치 고정된 포지션 조절기구(930)와, 와이어(c-1)의 일단이 백 프레임(920)에 위치 고정되고 와이어(c-2)의 타단이 포지션 조절기구(930)에 고정되는 케이블(c)과, 케이블(c)의 배치 경로 중에 급격한 휨 변위가 필요한 곳에 설치되는 케이블 안내기구(A)로 구성된다.
도면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포지션 조절기구(930)는 베이스 프레임(910)에 대하여 백 프레임(920)의 경사도를 조절하기 위한 리클라이너이다. 케이블(c) 와이어(c-1)는 그 끝단이 리클라이너의 레버(931)에 연동되도록 포지션 조절기구(930)에 연결 고정된다. 이에 따라, 레버(931)를 조작하면, 와이어(c-1)가 당겨지거나 풀려짐으로써 베이스 프레임(910)에 대한 백 프레임(920)의 경사도 등 시트의 포지션이 조절된다.
상기 케이블(c)은 피복(c-2)과, 피복(c-2) 내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하는 와이어(c-1)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백 프레임(920)에 일단이 고정되고 포지션 조절기구(930)에 타단이 고정된 와이어(c-1)에 장력이 인가되면서, 시트의 등받이 경사도가 조절된다. 이 때, 피복(c-2)은 시트 프레임(910, 920)에 대해 위치 고정된 상태가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복(c-2)의 일단은 시트 프레임에 고정되는 케이블 안내기구(A)의 본체(1)에 고정되고, 피복(c-2)의 타단은 마감 부싱의 형태로 백 프레임(920)에 고정된다.
상기 케이블 안내기구(A)는 시트 프레임(910, 920)에 형성된 관통공(x)에 위치 고정되는 본체(1)와, 본체(1)에 자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외주면을 타도록 와이어(c-1)를 위치시켜 와이어(c-1)를 만곡 형태의 경로로 안내하는 풀리(2)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와이어(c-1)는 시트 프레임(920)의 관통공(x)을 관통한 이후의 경로는 자전하는 풀리(2)에 의해 시트 프레임의 판면(900s)을 따르는 방향으로 와이어(c-2)를 방향 전환시킨다. 즉, 와이어(c-2)는 풀리(2)에 의해 만곡 형태의 경로로 안내되어 포지션 조절기구(930)에 일단이 연결 고정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는 시트 프레임의 관통공(x)에 끼워 위치 고정되는데, 시트 프레임의 안쪽에서 안쪽면에 밀착 고정되는 제1편부(12)와, 제1편부(12)의 밀착면에 대해 대략 90도의 간격을 이루게 배치되는 제2편부(14)와, 풀리(2)를 사이에 수용하도록 상호 이격된 한 쌍의 고정편부(13)로 이루어진다. 본체(1)의 제1편부(12)에는 와이어(c-2)는 통과시키면서 피복(c-2)의 끝단을 결합하여 위치 고정시키는 결합부(11)가 시트 프레임의 안쪽(도3참조)에 위치한다. 이를 통해, 시트 포지션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을 전달하는 와이어(c-2)만 본체(1)로부터 포지션 조절기구(930)까지 연장되고, 마감 부싱을 별도로 사용하지 않아도 피복(c-2)의 끝단부를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결합부(11) 내에는 관통하는 구멍이 제1편부(12)의 제1통공(12a)을 형성하여, 제1편부(12)의 결합부(11)에 케이블(c)의 끝단을 고정하고 그 내부의 와이어(c-1)를 관통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1편부(12)를 관통한 와이어(c-1)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풀리(2)의 외주면을 타고 제2편부(14)의 제2통공(14a)를 통과하여 포지션 조절기구(930)까지 연장된다.
여기서, 제1편부(12)와 제2편부(14)는 서로 90도의 사잇각을 유지하므로, 제1통공(12a)과 제2통공(14a)도 90도의 사잇각을 유지하므로, 시트 프레임의 관통공(x)을 관통한 와이어(c-1)는 자전 가능하게 설치된 풀리(2)에 의해 시트 프레임의 판면(900s)을 따르는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방향 전환된다. 이 때, 방향전환되는 와이어(c-1)는 풀리(2)의 반경에 해당하는 곡률을 유지하면서 방향전환되므로, 와이어(c-1)에 국부적인 휨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동시에 국부적으로 응력이 집중되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편부(13) 각각에는, 상기 힌지핀(3)이 삽입 가능한 제1핀공(13b)이 중앙부에 관통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힌지핀(3)에 의해 상기 풀리(2)를 자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체(1)와 풀리(2)의 중앙 관통공을 연이어 관통한 힌지핀(3)의 끝단에 푸시 너트(4)가 억지 끼움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위치 고정된다. 따라서, 풀리(2)는 본체(1)의 한 쌍의 고정 편부(13) 사이에 힌지핀(3)을 중심으로 자전 가능하게 위치 고정된다.
한 쌍의 고정편부(13) 중 하측에 위치한 고정편부에는 하방으로 걸림 돌기(131)가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걸림 돌기(131)와 제1편부(12)의 사이 공간에 시트 프레임의 테두리 단부가 압입된 상태로 끼워짐으로써,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를 시트 프레임의 관통공(x)에 위치 고정시킨다. 따라서, 본체(1)가 시트 프레임의 관통공(x)에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제1편부(12)와 결합부(11)는 시트 프레임의 안쪽에 위치하고, 제2편부(14) 및 풀리(2)는 시트 프레임의 바깥쪽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제1편부(12)가 시트 프레임의 안쪽면에 밀착하는 면은 평탄면으로 형성되며, 이 평탄면에는 본체(1)가 요동하지 않고 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시트 프레임의 안쪽면에 밀착하는 위치 고정돌기(121)가 돌출 형성된다.
제2편부(14)에 형성된 제2통공(14a)은 와이어(c-1)를 일측으로부터 간단히 밀어넣을 수 있도록 절개홀(14b)이 형성되어 제2통공(14a)의 개구를 형성하며, 절개홀(14b)의 진입부에는 확장 경사면(14b-1)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와이어(c-1)를 제2통공(14a) 내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공정이 보다 원활해진다.
힌지핀(3)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편부(13) 사이 공간에 수용되는 상기 풀리(2)가 자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확장형 두부(頭部)가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1)를 관통한 선단 일부가 외부돌출을 이룰 수 있는 길이로 된 샤프트핀(Shaft-pin)으로 형성된다.
푸시너트(4)는, 상기 힌지핀(3)의 결속상태를 유지시켜 상기한 풀리(2)가 상기 본체(1)로부터 임의로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힌지핀(3) 선단부를 억지끼움할 수 있는 제3핀공(4a)이 중앙부에 관통 형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포지션 조절을 위한 케이블의 설치 구조체의 설치 방법 및 작용을 상술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편부(13) 사이 공간에 풀리(2)를 수용한 상태로 상기 제1,2핀공(13b)(2a)을 연이어 관통하도록 힌지핀(3)을 삽입시킨 다음, 상기한 본체(1) 외부로 돌출된 상기 힌지핀(3)의 그 선단에 푸시너트(4)를 결착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안내기구(A)를 단일 구조체로 조립한다.
이어서, 상기한 케이블(c)의 피복(c-2) 끝단을 상기 결합부(11)에 고정하고, 케이블(c)의 와이어(c-1)를 제1통공(12a)을 관통시키는 것에 의하여, 본 발명의 안내기구(A)와 케이블(c)을 일체로 결합시킨다.
그 다음, 피복(c-2)의 끝단에 노출된 와이어(c-1)를 상기 제1통공(12a)과 제2통공(14a)에 연이어 통과시키되, 상기 제1통공(12a)과 제2통공(14a) 사이 구간에 배치되는 와이어(c-1)의 일 부위가 상기한 풀리(2)의 그 외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c-1)는 본체(1)의 풀리(2)에 의해 급격한 휨 변형이 발생되는 영역이 없이 곡률을 형성한 상태로 풀리(2)에 의해 이동이 안내된다. 따라서, 안내 기구(A)를 거쳐 시트의 포지션을 조절하는 와이어(c-1)는 포지션 조절기구(930)까지 연장되면서, 포지션 조절기구(930)의 레버(931)를 조작하더라도 와이어(c-2)의 장력이 저하되지 않은 채로 원활히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910)에 미리 천공된 관통공(x)에 본체(1)의 걸림돌기(131)와 제1편부(12)의 사이에 관통공(x)의 테두리 일부가 압착 수용되도록 하여 걸림 상태로 끼움으로써, 본 발명의 안내기구(A)를 상기 베이스 프레임(910)에 견고히 고정하면서 시트 프레임(900) 외부로 상기 케이블(c)의 피복(c-2)이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위치고정돌기(121)가 상기한 베이스 프레임(910)의 관통공 일단부에 강하게 압착됨으로써, 상기 본체(1)의 유동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2통공(14a)을 통과한 와이어(c-1)를 상기 포지션 조절기구(930)의 레버(931)에 연결시켜, 케이블(c)을 이용한 상기 포지션 조절기구(930)의 레버(931) 조작을 통해 시트백의 경사각 조절을 위한 상기 백 프레임(920)의 각도조절을 행할 수 있게 된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안내기구(A)를 이용하여 와이어(c-1)를 감싸는 피복(c-2)에 급격한 꺾임 부위가 형성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상기 피복(c-2) 끝단으로부터 방향전환 상태로 포지션 조절기구(930)까지 연결된 와이어(c-1)의 일 부위가 일정한 곡률을 형성한 채로 이동을 원활히 이룰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동차용 시트의 포지션을 조절하는 케이블(c)의 배치 경로 상에 급격한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는 영역에서 케이블(c)의 휨 변형량을 미리 정해진 곡률 반경(풀리의 반경)이 되도록 자전 가능한 풀리(2)로 안내하여, 케이블(c)의 와이어(c-1)가 원활하게 이동하여 자동차용 시트의 포지션 조절을 보다 신뢰성있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본 발명은 와이어(c-1)의 장력이 사용 연한이 증가함에 따라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와이어(c-1) 및 피복(c-2) 간의 마찰을 줄임으로써 케이블(c)에 과도한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시트의 포지션 조절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사용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은 본원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너무도 자명하다.
A : 안내기구, 1 : 본체
2 : 풀리, 3 : 힌지핀
4 : 푸시너트, 11 : 결합부
12 : 제1편부, 13 : 고정편부
14 : 제2편부, 14a : 제2통공
14b : 절개홀, 14b-1 : 확장경사면
121 : 위치고정돌기, 131 : 걸림 돌기

Claims (8)

  1. 자동차용 시트의 포지션을 조절하는 케이블의 설치 구조체로서,
    상기 자동차용 시트의 골격을 형성하는 시트 프레임에 위치 고정되어 상기 자동차용 시트의 포지션을 조절하는 포지션 조절기구와;
    피복과, 상기 피복 내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하는 와이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시트 프레임에 상기 와이어의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포지션 조절기구에 상기 와이어의 타단이 연결 고정된 케이블과;
    상기 시트 프레임에 형성된 관통공에 위치 고정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자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외주면을 타도록 상기 와이어를 위치시켜 상기 와이어를 만곡 형태의 경로로 안내하는 풀리로 이루어져, 상기 시트 프레임을 관통한 상기 와이어가 자전하는 상기 풀리에 의해 상기 시트 프레임의 판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방향 전환되도록 하는 케이블 안내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와이어가 상기 풀리에 의해 만곡 형태의 경로로 안내되어 상기 포지션 조절기구에 연결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포지션 조절을 위한 케이블의 설치 구조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안내기구는,
    상기 케이블의 피복의 끝단이 고정되는 결합부가 상기 시트 프레임의 안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풀리를 경유하여 상기 포지션 조절기구에 도달하는 경로에는 상기 케이블의 상기 와이어만 연장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케이블 설치 구조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와이어가 관통하는 제1통공과 제2통공이 구비되되, 상기 제1통공은 상기 결합부를 상기 와이어가 관통하는 관통공으로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가 상기 제1통공과 상기 풀리의 외주면을 경유한 후 상기 제2통공을 관통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케이블 설치 구조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공과 상기 제2통공은 90도의 사잇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케이블 설치 구조체.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결합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시트 프레임의 안쪽면에 밀착 고정되는 제1편부와,
    상기 제2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시트 프레임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제2편부와;
    상기 제1편부와 상기 제2편부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풀리를 사이 공간 내에 자전 가능하게 설치하도록 서로 이격된 한 쌍의 고정 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고정 편부 중 하측에 위치한 고정 편부에는 상기 제1편부와 이격된 위치에 하방 돌출된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케이블 설치 구조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편부의 일면에는 상기 시트 프레임의 안쪽면에 접촉 설치되는 위치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와 상기 시트 프레임 사이의 마찰이 증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케이블 설치 구조체.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통공의 개구를 형성하는 절개홀이 상기 제2편부에 형성되되, 상기 절개홀의 진입부에 확장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를 상기 제2통공 내로 유도하는 것을 보조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케이블 설치 구조체.
  8. 제 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케이블 설치 구조체에 사용되는 케이블 안내기구.
KR1020120035771A 2012-04-06 2012-04-06 자동차용 시트의 포지션 조절을 위한 케이블의 설치 구조체 및 이에 사용되는 케이블 안내 기구 KR101301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771A KR101301365B1 (ko) 2012-04-06 2012-04-06 자동차용 시트의 포지션 조절을 위한 케이블의 설치 구조체 및 이에 사용되는 케이블 안내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771A KR101301365B1 (ko) 2012-04-06 2012-04-06 자동차용 시트의 포지션 조절을 위한 케이블의 설치 구조체 및 이에 사용되는 케이블 안내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1365B1 true KR101301365B1 (ko) 2013-09-10

Family

ID=49454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5771A KR101301365B1 (ko) 2012-04-06 2012-04-06 자동차용 시트의 포지션 조절을 위한 케이블의 설치 구조체 및 이에 사용되는 케이블 안내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13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0090B1 (ko) * 2014-04-17 2017-10-11 (주)엘지하우시스 차량용 시트 폴딩 장치 및 이를 갖는 차량용 폴딩 시트
KR20200082759A (ko) * 2018-12-31 2020-07-08 한화글로벌에셋 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백 프레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833U (ko) * 1990-04-26 1992-01-14
JP2004353371A (ja) * 2003-05-30 2004-12-16 Mitsuba Corp スライドドア開閉装置
JP4047048B2 (ja) * 2002-04-01 2008-02-13 シロキ工業株式会社 シート
JP2009019396A (ja) * 2007-07-11 2009-01-29 Mitsuba Corp 車両用開閉体の駆動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833U (ko) * 1990-04-26 1992-01-14
JP4047048B2 (ja) * 2002-04-01 2008-02-13 シロキ工業株式会社 シート
JP2004353371A (ja) * 2003-05-30 2004-12-16 Mitsuba Corp スライドドア開閉装置
JP2009019396A (ja) * 2007-07-11 2009-01-29 Mitsuba Corp 車両用開閉体の駆動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0090B1 (ko) * 2014-04-17 2017-10-11 (주)엘지하우시스 차량용 시트 폴딩 장치 및 이를 갖는 차량용 폴딩 시트
KR20200082759A (ko) * 2018-12-31 2020-07-08 한화글로벌에셋 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백 프레임
KR102643702B1 (ko) * 2018-12-31 2024-03-04 한화첨단소재 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백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54273B2 (ja) 車両用シートバックフレームの構造
US9849809B2 (en) Seat for vehicle
WO2010084911A1 (ja) 乗物用シート
JP2006007830A (ja) 車両用シート
US9156382B2 (en) Vehicle seat
KR20000077288A (ko) 차량용 시트 구조체
KR101301365B1 (ko) 자동차용 시트의 포지션 조절을 위한 케이블의 설치 구조체 및 이에 사용되는 케이블 안내 기구
KR20070118701A (ko) 좌석의 측면부 높이 조절장치 및 그 조절방법
KR101805868B1 (ko) 차량 시트의 토션스프링 조립장치
KR20200021041A (ko) 시트쿠션 길이 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
KR100494550B1 (ko)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연동형 등판 지지구조
KR102411246B1 (ko) 숄더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시트 백
KR100403478B1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JP5007067B2 (ja) 車両用シート
KR101986137B1 (ko)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
JP5102981B2 (ja) 車両用シート
KR20180086606A (ko) 암레스트 조절장치
KR100534958B1 (ko)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JP4297838B2 (ja) 車両用シート
JP5102972B2 (ja) 車両用シート
KR100339219B1 (ko) 이중 잠금기능을 갖는 시트 경사각 조절장치
JP2024044003A (ja) 車両用シート
US20200156521A1 (en) Lumbar support apparatus for vehicle seat
KR0148656B1 (ko) 자동차 시트백 볼스터 조절 장치
KR20230106965A (ko) 모빌리티용 시트 조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