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6965A - 모빌리티용 시트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모빌리티용 시트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6965A
KR20230106965A KR1020220002765A KR20220002765A KR20230106965A KR 20230106965 A KR20230106965 A KR 20230106965A KR 1020220002765 A KR1020220002765 A KR 1020220002765A KR 20220002765 A KR20220002765 A KR 20220002765A KR 20230106965 A KR20230106965 A KR 20230106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cushion
seat
mobility
unit
cush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2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현우
유주영
Original Assignee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2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6965A/ko
Publication of KR20230106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69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38Cushion movements
    • B60N2/304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45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60N2/3047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the cushion being hinged at the back-r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38Cushion movements
    • B60N2/3063Cushion movements by composed movement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시트쿠션이 시트백을 향해 접혀지도록 조절되어 실내 공간이 확보된다. 또한, 시트쿠션의 위치 조절 및 고정 구조가 단순화되어 조작 편의성이 향상되는 모빌리티용 시트 조절 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모빌리티용 시트 조절 장치 {SEAT ADJUST APPARATUS FOR MOBILITY}
본 발명은 시트가 폴딩되도록 구성되어 실내 공간이 확보되는 모빌리티용 시트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빌리티에는 탑승자가 착석하도록 마련된 시트가 구비된다. 이러한 시트는 시트백과 시트쿠션으로 구성되며, 탑승자의 착좌 편의성과 더불어 실내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된다.
특히, 최근에는 자율주행 모빌리티의 개발도 진행됨에 따라 실내공간의 활용성이 더욱 폭넓게 적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탑승자가 착좌하는 시트는 단순히 착좌 기능을 제공할뿐만 아니라 탑승자가 없을 때는 시트를 접어 실내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변형되어야 한다.
또한, 모빌리티의 실내공간 활용성이 높아질수록 시트는 착좌 기능 외에 다른 부가 기능들이 더 많이 사용됨에 따라 시트 구조가 단순화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시트를 이루는 구성들이 매우 복잡하고, 시트백을 시트쿠션측으로 접는 것으로 그 동작이 한정되어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05-0036555 (2005.04.20)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시트쿠션이 시트백을 향해 접혀지도록 조절되어 실내 공간이 확보되는 모빌리티용 시트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빌리티용 시트 조절 장치는 시트백 유닛이 설치되고, 고정부가 구비된 메인 브라켓; 및 시트쿠션 유닛에 장착되고, 고정부에서 회전 및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고정부에서 회전 여부에 따라 시트쿠션 유닛이 시트백 유닛에서 폴딩 또는 전개되도록 하고, 슬라이딩 여부에 따라 폴딩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연결 브라켓;을 포함한다.
연결 브라켓은 시트쿠션 유닛의 측면에서 중단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메인 브라켓은 시트백 유닛의 양측단에 한 쌍으로 구성되고 메인 프레임을 통해 연결되며, 연결 브라켓은 시트쿠션 유닛의 양측단에 한 쌍으로 구성되고 연결 프레임을 통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메인 브라켓은 일단부에 고정부가 구비되고 타단부에 시트백 유닛이 설치되며, 일단부의 경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타단부의 경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절곡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시트쿠션 유닛은 전개시 시트백 유닛의 하단에 접촉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시트백 유닛은 하측 후단에 함몰부가 형성되고, 시트쿠션 유닛은 후단에 함몰부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시트쿠션 유닛의 전개시 돌출부가 함몰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정부는 측방향보다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타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연결 브라켓에는 고정부가 삽입되도록 관통되며 슬라이딩 구간과 회전 구간을 가지도록 연장된 가이드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이드홀은 시트쿠션 유닛이 전개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구간이 전방에 배치되고 회전 구간이 후방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결 브라켓은 시트쿠션 유닛의 전개시 가이드홀의 슬라이딩 구간이 수평방향에 위치되고, 시트쿠션 유닛의 폴딩시 가이드홀의 슬라이딩 구간이 수직방향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이드홀은 슬라이딩 구간의 폭이 고정부의 상하방향 길이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이드홀은 회전 구간이 원형을 이루며, 회전 구간의 폭이 고정부의 상하방향 길이에 매칭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모빌리티용 시트 조절 장치는 시트쿠션이 시트백을 향해 접혀지도록 조절되어 실내 공간이 확보된다.
또한, 시트쿠션의 위치 조절 및 고정 구조가 단순화되어 조작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빌리티용 시트 조절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빌리티용 시트 조절 장치의 측면도.
도 3은 시트쿠션 유닛이 전개된 상태에서 메인 브라켓 및 연결 브라켓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모빌리티용 시트 조절 장치의 시트쿠션 유닛이 폴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시트쿠션 유닛이 폴딩된 상태에서 메인 브라켓 및 연결 브라켓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 브라켓 및 연결 브라켓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빌리티용 시트 조절 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빌리티용 시트 조절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빌리티용 시트 조절 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3은 시트쿠션 유닛이 전개된 상태에서 메인 브라켓 및 연결 브라켓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모빌리티용 시트 조절 장치의 시트쿠션 유닛이 폴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시트쿠션 유닛이 폴딩된 상태에서 메인 브라켓 및 연결 브라켓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 브라켓 및 연결 브라켓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빌리티용 시트 조절 장치는 도 1 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백 유닛(100)이 설치되고, 고정부(210)가 구비된 메인 브라켓(200); 및 시트쿠션 유닛(300)에 장착되고, 고정부(210)에서 회전 및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고정부(210)에서 회전 여부에 따라 시트쿠션 유닛(300)이 시트백 유닛(100)에서 폴딩 또는 전개되도록 하고, 슬라이딩 여부에 따라 폴딩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연결 브라켓(400);을 포함한다.
시트백 유닛(100)과 시트쿠션 유닛(300)은 내부 프레임과 외부 쿠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시트백 유닛(100)은 메인 브라켓(200)에 설치되며, 메인 브라켓(200)에는 시트쿠션 유닛(300)이 장착된 연결 브라켓(400)이 연결되는 고정부(210)가 구비된다.
이처럼, 메인 브라켓(200)에는 시트백 유닛(100)과 시트쿠션 유닛(300)이 설치되어 하나의 시트를 구성한다.
특히, 시트쿠션 유닛(300)이 장착된 연결 브라켓(400)은 고정부(210)에 회전 및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연결 브라켓(400)의 회전 여부에 따라 시트쿠션 유닛(300)이 폴딩 또는 전개 상태로 전환될 수 있고, 슬라이딩 여부에 따라 시트쿠션 유닛(300)의 폴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즉, 연결 브라켓(400)이 메인 브라켓(200)의 고정부(210)에서 회전시, 연결 브라켓(400)과 함께 시트쿠션 유닛(300)이 회전되어 시트백 유닛(100)측으로 폴딩되거나 시트백 유닛(100)에서 전개될 수 있다.
또한, 시트쿠션 유닛(300)이 시트백 유닛(100)으로 폴딩된 상태에서, 연결 브라켓(400)이 고정부(210)에서 슬라이딩시 연결 브라켓(400)의 회전이 제한됨에 따라 시트쿠션 유닛(300)의 전개 동작이 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연결 브라켓(400)은 시트쿠션 유닛(300)의 측면에서 중단에 설치될 수 있다.
이처럼, 연결 브라켓(400)이 시트쿠션 유닛(300)의 측면에서 중단측에 설치됨에 따라, 연결 브라켓(400)과 함께 회전되는 시트쿠션 유닛(300)의 회전 반경이 축소되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다.
여기서, 메인 브라켓(200)은 시트백 유닛(100)의 양측단에 한 쌍으로 구성되고 메인 프레임(F1)을 통해 연결되며, 연결 브라켓(400)은 시트쿠션 유닛(300)의 양측단에 한 쌍으로 구성되고 연결 프레임(F2)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시트백 유닛(100)은 한 쌍의 메인 브라켓(200)을 통해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고, 각 메인 브라켓(200)이 메인 프레임(F1)을 통해 연결됨으로써 메인 브라켓(200)의 지지 강성이 확보된다.
또한, 시트쿠션 유닛(300)은 한 쌍의 연결 브라켓(400)을 통해 설치되며, 각 연결 브라켓(400)이 연결 프레임(F2)을 통해 연결됨으로써, 연결 브라켓(400)의 강성이 확보된다. 아울러, 한 쌍의 연결 브라켓(400)이 연결 프레임(F2)을 통해 일체화됨으로써, 시트쿠션 유닛(300)과 함께 회전됨에 따른 작동 성능이 확보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브라켓(200)은 일단부(200a)에 고정부(210)가 구비되고 타단부(200b)에 시트백 유닛(100)이 설치되며, 일단부(200a)의 경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타단부(200b)의 경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메인 브라켓(200)은 'L' 형상으로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일단부(200a)에 고정부(210)가 구비되어 고정부(210)를 매개로 연결 브라켓(400)과 함께 시트쿠션 유닛(300)이 설치되고, 타단부(200b)에 시트백 유닛(100)이 설치된다. 이로 인해, 메인 브라켓(200)은 시트백 유닛(100)과 시트쿠션 유닛(300)이 연결되어 시트를 구성한다.
또한, 메인 브라켓(200)의 경우 시트쿠션 유닛(300)이 연결되는 일단부(200a)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시트백 유닛(100)이 연결되는 타단부(200b)가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시트쿠션 유닛(300) 및 시트백 유닛(100)의 지지 강성이 확보된다.
여기서, 시트쿠션 유닛(300)은 전개시 시트백 유닛(100)의 하단에 접촉되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시트쿠션 유닛(300)은 전개시 후단이 시트백 유닛(100)의 하단에 접촉되어 시트백 유닛(100)에 대해 지지 구조를 이룬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브라켓(400)은 시트쿠션 유닛(300)의 측면에서 중단에 설치되는데, 시트쿠션 유닛(300)이 전개된 상태에서 시트쿠션 유닛(300)의 전단에 탑승자가 착좌하고 후단이 시트백 유닛(100)의 하단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구조를 이룸에 따라 시트쿠션 유닛(300)의 전개 상태가 안정화된다.
이로 인해, 시트쿠션 유닛(300)에 탑승자가 착좌하더라도, 연결 브라켓(400)을 중심으로 시트쿠션 유닛(300)의 후단이 시트백 유닛(100)에 접촉되어 지지됨에 따라 시트쿠션 유닛(300)의 전단이 하방으로 회전되는 않아 탑승자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백 유닛(100)은 하측 후단에 함몰부(110)가 형성되고, 시트쿠션 유닛(300)은 후단에 함몰부(110)에 삽입되는 돌출부(310)가 형성되어 시트쿠션 유닛(300)의 전개시 돌출부(310)가 함몰부(110)에 삽입된다.
이처럼, 시트쿠션 유닛(300)의 전개시, 시트쿠션 유닛(300)의 돌출부(310)가 시트백 유닛(100)의 함몰부(110)에 삽입되어 상호 매칭됨에 따라 시트쿠션 유닛(300)의 전개된 상태가 안정화된다. 또한, 시트쿠션 유닛(300)이 장착된 연결 브라켓(400)은 고정부(210)에서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되는데, 시트쿠션 유닛(300)의 돌출부(310)가 시트백 유닛(100)의 함몰부(110)에 삽입됨에 따라 슬라이딩 동작이 제한되어 시트쿠션 유닛(30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메인 브라켓(200)의 고정부(210)와 연결 브라켓(400)의 연계 동작은 하기와 같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210)는 측방향보다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타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연결 브라켓(400)에는 고정부(210)가 삽입되도록 관통되며 슬라이딩 구간(411)과 회전 구간(412)을 가지도록 연장된 가이드홀(410)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타원형의 고정부(210)가 연결 브라켓(400)의 가이드홀(4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연결 브라켓(400)에 형성된 가이드홀(410)의 회전 구간(412)에 고정부(210)가 위치될 경우 연결 브라켓(400)은 메인 브라켓(200)에서 회전될 수 있고, 슬라이딩 구간(411)에 고정부(210)가 위치될 경우 회전이 제한되고 슬라이딩 동작만 허용될 수 있다.
상세하게, 가이드홀(410)은 시트쿠션 유닛(300)이 전개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구간(411)이 전방에 배치되고 회전 구간(412)이 후방에 배치된다.
또한, 연결 브라켓(400)은 시트쿠션 유닛(300)의 전개시 가이드홀(410)의 슬라이딩 구간(411)이 수평방향에 위치되고, 시트쿠션 유닛(300)의 폴딩시 가이드홀(410)의 슬라이딩 구간(411)이 수직방향에 위치된다.
여기서, 가이드홀(410)은 슬라이딩 구간(411)의 폭이 고정부(210)의 상하방향 길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홀(410)은 회전 구간(412)이 원형을 이루며, 회전 구간(412)의 폭이 고정부(210)의 상하방향 길이에 매칭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고정부(210)는 측방향보다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타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연결 브라켓(400)의 가이드홀(410)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슬라이딩 구간(411)과 회전 구간(412)이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특히, 가이드홀(410)에서 슬라이딩 구간(411)의 경우 폭이 고정부(210)의 상하방향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고, 고정부(210)의 측방향 길이에 매칭되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연결 브라켓(400)이 수직하게 세워지도록 배치됨에 따라 슬라이딩 구간(411)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될 경우 고정부(210)가 슬라이딩 구간(41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즉,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쿠션 유닛(300)이 시트백 유닛(100)으로부터 전개된 상태일 경우, 가이드홀(410)의 회전 구간(412)에 고정부(210)가 삽입되어 있다. 여기서, 가이드홀(410)은 회전 구간(412)이 원형을 이루며, 회전 구간(412)의 폭이 고정부(210)의 상하방향 길이에 매칭되게 형성됨으로써, 연결 브라켓(400)은 고정부(210)에서 회전 동작만이 허용된다. 또한, 시트쿠션 유닛(300)은 돌출부(310)가 시트백 유닛(100)의 함몰부(110)에 삽입됨에 따라 시트쿠션 유닛(300)의 위치가 고정된다.
이와 더불어,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가이드홀(410)의 회전 구간(412)은 상하방향의 폭이 고정부(210)의 상하방향 길이보다 짧거나 동일하게 형성되어, 고정부(210)의 상하단이 회전 구간(412)의 상하부분에 접촉시 끼워지는 형태를 이룸에 따라 시트쿠션 유닛(30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시트쿠션 유닛(300)이 전개된 상태에서는 메인 브라켓(200)의 고정부(210)가 가이드홀(410)의 회전 구간(412)에 위치됨으로써, 연결 브라켓(400)이 고정부(210)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쿠션 유닛(300)이 시트백 유닛(100)측으로 폴딩되는 경우, 시트쿠션 유닛(300)과 함께 연결 브라켓(400)이 고정부(210)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연결 브라켓(400)의 가이드홀(410)은 슬라이딩 구간(411)이 수직방향에 위치되어 타원형의 고정부(210)가 슬라이딩 구간(411)에 삽입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시트쿠션 유닛(300)이 하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연결 브라켓(400)이 함께 하방으로 이동시, 타원형의 고정부(210)가 가이드홀(410)의 슬라이딩 구간(411)으로 삽입된다. 이로 인해, 연결 브라켓(400)은 타원형의 고정부(210)에 의해 회전이 제한됨으로써 시트쿠션 유닛(300)의 폴딩된 상태가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모빌리티용 시트 조절 장치는 시트쿠션이 시트백을 향해 접혀지도록 조절되어 실내 공간이 확보된다.
또한, 시트쿠션의 위치 조절 및 고정 구조가 단순화되어 조작 편의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시트백 유닛 110:함몰부
200:메인 브라켓 210:고정부
300:시트쿠션 유닛 310:돌출부
400:연결 브라켓 410:가이드홀
411:슬라이딩 구간 412:회전 구간
F1:메인 프레임 F2:연결 프레임

Claims (11)

  1. 시트백 유닛이 설치되고, 고정부가 구비된 메인 브라켓; 및
    시트쿠션 유닛에 장착되고, 고정부에서 회전 및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고정부에서 회전 여부에 따라 시트쿠션 유닛이 시트백 유닛에서 폴딩 또는 전개되도록 하고, 슬라이딩 여부에 따라 폴딩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연결 브라켓;을 포함하는 모빌리티용 시트 조절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연결 브라켓은 시트쿠션 유닛의 측면에서 중단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용 시트 조절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메인 브라켓은 시트백 유닛의 양측단에 한 쌍으로 구성되고 메인 프레임을 통해 연결되며,
    연결 브라켓은 시트쿠션 유닛의 양측단에 한 쌍으로 구성되고 연결 프레임을 통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용 시트 조절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메인 브라켓은 일단부에 고정부가 구비되고 타단부에 시트백 유닛이 설치되며, 일단부의 경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타단부의 경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절곡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용 시트 조절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시트쿠션 유닛은 전개시 시트백 유닛의 하단에 접촉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용 시트 조절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시트백 유닛은 하측 후단에 함몰부가 형성되고,
    시트쿠션 유닛은 후단에 함몰부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시트쿠션 유닛의 전개시 돌출부가 함몰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용 시트 조절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고정부는 측방향보다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타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연결 브라켓에는 고정부가 삽입되도록 관통되며 슬라이딩 구간과 회전 구간을 가지도록 연장된 가이드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용 시트 조절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가이드홀은 시트쿠션 유닛이 전개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구간이 전방에 배치되고 회전 구간이 후방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용 시트 조절 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연결 브라켓은 시트쿠션 유닛의 전개시 가이드홀의 슬라이딩 구간이 수평방향에 위치되고, 시트쿠션 유닛의 폴딩시 가이드홀의 슬라이딩 구간이 수직방향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용 시트 조절 장치.
  10. 청구항 7에 있어서,
    가이드홀은 슬라이딩 구간의 폭이 고정부의 상하방향 길이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용 시트 조절 장치.
  11. 청구항 7에 있어서,
    가이드홀은 회전 구간이 원형을 이루며, 회전 구간의 폭이 고정부의 상하방향 길이에 매칭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용 시트 조절 장치.
KR1020220002765A 2022-01-07 2022-01-07 모빌리티용 시트 조절 장치 KR202301069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2765A KR20230106965A (ko) 2022-01-07 2022-01-07 모빌리티용 시트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2765A KR20230106965A (ko) 2022-01-07 2022-01-07 모빌리티용 시트 조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6965A true KR20230106965A (ko) 2023-07-14

Family

ID=87155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2765A KR20230106965A (ko) 2022-01-07 2022-01-07 모빌리티용 시트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696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6555A (ko) 2003-10-16 2005-04-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시트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6555A (ko) 2003-10-16 2005-04-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시트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142825U1 (ru) Встроенный узел подголовника
JP4894760B2 (ja) モニター付き車両用シート
KR101738062B1 (ko) 레그레스트의 구조
US7246836B2 (en) Seat having suspension system
JP5087975B2 (ja) 車両用シート
JP2011116341A (ja) 車両用シートバックフレームの構造
KR20180108955A (ko) 차량의 시트 위치 조절 장치
JPH05228039A (ja) フロントシートのシートクッション構造
JP7473782B2 (ja) シート回動装置
US20060181117A1 (en) Headrest,particularly for a motor vehicle seat
KR102287977B1 (ko)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
KR20230106965A (ko) 모빌리티용 시트 조절 장치
JP2007021063A (ja) 車両用シート
JP5239031B2 (ja) リアシート装置
JP2000316663A (ja) 車両用シート
JP4102636B2 (ja) 車両用シート
JP2003040002A (ja) シートの上下調節機構
KR20100131557A (ko) 차량 시트용 암레스트 장치
KR102287978B1 (ko)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
KR101372108B1 (ko) 시트 높이 조절 연동형 슬라이딩 레버장치
JP4122444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KR20190041631A (ko) 시트 레그 레스트 조절 장치
KR102647189B1 (ko) 차량용 시트의 럼버서포트 장치
KR20200002072A (ko) 수평 유지 암레스트 장치
KR20230092463A (ko) 시트의 레그레스트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