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1134B1 - 에어백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1134B1
KR101301134B1 KR1020077028434A KR20077028434A KR101301134B1 KR 101301134 B1 KR101301134 B1 KR 101301134B1 KR 1020077028434 A KR1020077028434 A KR 1020077028434A KR 20077028434 A KR20077028434 A KR 20077028434A KR 101301134 B1 KR101301134 B1 KR 101301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inflator
gas
deployment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8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6538A (ko
Inventor
켄고 나카무라
다이스케 히라타
히로유키 타니야마
요시오 시마자키
코우 사사키
Original Assignee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26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6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1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1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1Packaging straps or envelopes for inflatabl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60R21/203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using modules containing inflator, bag and cover attachable to the steering wheel as a complete sub-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46Soft diffu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y are fol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021/2154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with embl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021/23123Heat protection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2Internal teth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1/216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a tear line for defining a deployment opening
    • B60R21/21656Steering wheel covers or similar cup-shaped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플레이터 (30)로부터 발생하는 가스를, 에어백(10)의 전개 초기에 팽창하는 부분의 근방까지 정류 해 안내하는 가스 정류 부재(12')가 에어백(10)의 중앙 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개 접어진 상태의 에어백(10)이 본래 전개해야 할 부위로부터 차례로 규칙 바르게 전개하는 승차원 보호 성능이 뛰어난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에어백장치{AIRBAG DEVIC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스티어링 장치 (50P)의 중앙 부분에 에어백 장치가 설치되어 그 중앙부분에 표시용 부재 (40P)가, 그 외주위에는 이면에 티아라인이 설치되고, 에어백의 팽창 전개 특히 복수의 커버 부품 (16Pb)에 파열 가능한 에어백 커버 (16P)가, 그리고, 상기 에어백 커버 (16P)내에 접어 포갠 에어백 및 인플레이터가 수납되고 있는 에어백 장치가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도 17 및 18에 나타내는 에어백 장치는 도 16과 같은 구성을 구비한 에어백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에어백 장치의 인플레이터 (30R)에는 가스를 토출하는 가스 토출구멍 (30Ra)가 설치된 디퓨저 (32R)이 배치되고, 에어백 (10R)의 인플레이터 장착구가 도시하는 Q의 위치에 고정되고, 에어백 (10R)의 중앙부에 늘어나기 시작하는 길이를 규제하는 규제 벨트 (11Ra)하 구비되어지고, 그 단부가 인플레이터 머리 부분에 마련한 고정구로 고정되고 있다.
도 17로부터 알 수 있듯이, 인플레이터 (30R)와 포개 접어 수납된 에어백 (10R)와의 사이에는 복수의 가스 토출구멍 (32Ra)가 설치된 디퓨저 (32R)이 배치되고, 인플레이터 (30R)의 작동시에는 인플레이터 (30R)로부터 발생하는 가스가 이 가스 토출구멍 (32Ra)를 통하여 직접 포개 접어 수납된 에어백 (10R)의 중앙 부분에 가스압을 주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특허 문헌 2 참조)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인플레이터 (30R) 작동시에 포개 접어진 에어백 (10R)의 중앙 부분에 가스압이 집중해, 포개 접어진 에어백 (10R)의 포개 접은 상 태가 무너져 가스 토출구멍 (32Ra)의 구멍보다 윗쪽의 에어백 부분이 에어백 전개 방향으로 한번에 밀어내어지고 에어백 커버 (16R)의 이면에 설치된 티아라인 (16Ra)를 파단해, 이들의 에어백 부분이 운전석 측으로 크게 튀어나와 버리는 상 황이 발생한다.
이들 튀어나온 에어백 부분의 관성력을 받아 나머지의 에어백 부분도 한 번에 운전석 측으로 방출되는 상황이 발생한다. 상기 상황은 「펀칭 현상」으로 불리우고, 에어백 부분의 최대 튀어나오는 속도는 시속 300 km 고속이 되는 경우도 있고, 승차원에게 위해를 주는 우려가 있다. 본 특허 문헌 2에 기재의 발명에서는, 이 펀칭 현상의 대책으로서 에어백 (10R)전개를 위한 에어백 커버 (16R)의 파단시의 개구부를 작게함으로써 한번에 에어백 (10R)이 튀어나오지 않게 해, 전술한 펀칭 현상에 의한 가해성의 저감을 도모하고 있다고 생각되지만, 개구부를 작게 한 경우 포개 접어 수납된 에어백(10R)이 한 번에 상기 개구부를 향해 밀어 내지면 커버 개구부에서 막혀 후방으로부터 부가되는 가스압에 의해 개구 근방에 위치하는 에어백 부분이 더욱 운전석 측에 나오기 어려워진다.
상기 상태에서는 에어백 (10R)이 나오기 어렵기 때문에 또한 가스압이 상승해 에어백 커버 (16R)자체가 팽창해 개구를 강제적으로 펼치면서 속도를 더해 상기 에어백 (10R)이 토출할 우려가 있지만 그 뿐 아니라 초기에 개구를 빠져나간 부분만큼이 먼저 튀어나와, 부분적으로 에어백이 팽창 전개하는 것 같은 경우에는 백 전체의 전개 방향을 바꾸게 되기 때문에 전개 방향이 안정되지 않고, 승차원을 보호하는 성능이 뒤떨어지는 것이 된다.
다음에, 종래의 한층 더 다른 에어백 장치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19는 그 횡단면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에어백 (10L)은 포개 접어져 에어백 커버 (16L)와 인플레이터 (30L)과의 사이에 수납되고 있다. 상기 에어백 커버 (16L)의 전면벽의 이면에는 약 H자형의 티아라인 (16La)가 형성되고 있어, 에어백 (10L)의 인플레이터 장착구 상기 인플레이터 (30L)의 외주위에 설치된 플랜지 (30Lb)에 고정되고 있다. (특허 문헌 3 참조)
상기 에어백 장치에서는 상기 인플레이터 (30L)의 작동시에 포개 접어진 에어백 (10L)의 후방 부분 전체에 가스압이 집중함과 동시에, 가스 토출구멍 (30La)보다 윗쪽의 에어백 (10L)의 응집이 에어백 전개 방향으로 한번에 밀어내고 에어백 커버 (16L) 이면에 설치된 약 H자형 티아라인 (16La)를 파단하여 이들의 에어백 부분이 승차원석 측으로 크게 튀어나와 버리는 상황이 발생한다. 특수한 포개 접는 방법으로, 에어백의 급속한 튀어나옴을 억제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그를 위해서는, 통상은 전개하기 어려운 포개 접음이 필요해지기 때문에 풀 전개까지의 전개 시간이 늦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전개 시간을 늦어지지 않도록 에어백을 포개 접으면 상술한 펀칭 현상이 발생한다.
도 20은, 종래의 에어백 장치의 에어백이 전개하는 초기부터 경과시간마다의 에어백의 전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더미 자세는 에어백과 근접하는 상태(이 상태를 정규 착석 위치가 아닌 아웃 오프 포지션의 상태라고 하고, 이하, 「OOP 상태」라고 한다. )의 위치에 있다. 에어백은, 2매의 대략 원형 형상의 기포의 바깥 둘레부끼리를 봉합해 봉제부 (P)를 작성함으로써 편평한 구형상(측면에서 볼 때 타원체 형상)으로 전개 가능한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되고 있다. 따라서, 팽창 완료시에는 편평 구 형상인 에어백의 측면 중앙에 봉제부 (P)가 위치하게 된다.
도 20A 내지 D와 같이 에어백의 봉제부 (P)가 더미 경부에 걸리도록 팽창하면 완전하게 에어백이 팽창하기 직전에 상기 더미 경부에 걸린 부분이 팽창을 억제시키기 때문에 에어백의 팽창시의 완료 단계에, 억제된 부분 특히 에어백의 지름이 최대가 되는 부분에 있어서 한번에 팽창하여 경부에 상해를 주는 우려가 있다. 상기 완료 단계에 있어서 인플레이터의 가스가 에어백 내압을 한번에 높이기 위해서발생하는 현상(느슨해진 상태로부터 한번에 에어백 내압이 상승해 에어백에 걸리는 현상)은, 「멤브레인 현상」 이라고 불리우고 있다.
또한, 에어백의 포개 접는 방법은 (1) 코니스(cornice) 형상으로 포개 접는 방법, (2) 롤 형상으로 포개 접는 방법, (3) 에어백을 입체적으로 연장하는 방향으로 코니스 형상으로 포개 접는 방법(특허 문헌 2에 개시) 등이 알려져 있다. 상기 특허 문헌 3이 에어백을 어느 쪽의 방법으로 포개 접을까는 기재되어 있지 않지만, 전술의 특수한 포개 접는 방법을 제하면 펀칭 현상은 어떤 에어백의 포개 접는 방법에서도 발생한다. 또 전술의 OOP 상태인 경우의 멤브레인 현상의 방지책으로서는 에어백 커버의 여는 방법을 조정하는 이외로 구체적인 방책이 없다.
특허 문헌 1: US6739620호 명세서
특허 문헌 2:US2001/42978호 공개 공보
특허 문헌3:일본국 실개평3-38254호 공보
본 발명은 어떤 방법으로 포개 접어 수납된 에어백이라도 펀칭 현상을 방지하고, 또한 OOP 상태에 있어도 승차원으로의 가해성을 경감할 수가 있고, 또 통상의 전개에 있어서도 승차원 보호 성능이 뛰어난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고, 또, 운전석 및 조수석 등의 승차원자리의 에어백 장치에도 이용할 수가 있어 비교적 낮은 압력으로 순조롭게 에어백을 전개시켜, 압력 손실을 저감 할 수 있는데다가 하우징이나 커버 등의 개개의 부재의 강도를 필요 이상으로 강화할 필요가 없고, 구조가 간단해 염가의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의 발명은 인플레이터와 인플레터와 연통해 인플레이터로부터 발생하는 가스에 의해 팽창하는 에어백과 에어백을 포개 접은 수납 상태로 유지해 에어백의 외주위 측면을 눌러 적어도 에어백의 전개 초기에 인플레이터 처음부터 발생하는 가스에 의한 에어백 측면 방향의 팽창 전개를 억제하기 위한 유지 부재로 이루어지는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 로부터 발생하는 가스를 에어백의 전개 초기에 팽창하는 부분의 근방까지 정류해 안내하는 가스 정류 부재가 상기 에어백의 대략 중앙 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유지 부재에는 상기 전개 초기에 팽창하는 부분에 대향하는 위치에 개구부가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에어백이 팽창 전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의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가스 정류 부재의 외주위 측에 에어백이 포개 접어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의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스 정류 부재가 통형상으로서, 상기 에어백에는 인플레이터와 연통하는 연통구가 형성되고, 가스 정류 부재가 상기 연통구 주변으로부터 에어백의 전개 초기에 팽창하는 부분의 근방까지 연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3의 어느 것인가에 기재의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스 정류 부재가 직포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4의 어느 것인가에 기재의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가스 정류 부재가 상기 인플레이터의 열이나 충격적인 압력으로부터 에어백을 보호하는 기능을 가지는 부재로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5의 어느 것인가에 기재의 에어백 장치 에 있어서, 유지 부재가 에어백을 덮은 상태로 수납하는 직포제로부터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6의 어느 것인가에 기재의 에어백 장치 에 있어서, 유지 부재가 에어백 커버에 수납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의 발명은, 청구항 7에 기재의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커버가 그 이면에 인플레이터의 가스 발생시에 균열하여 에어백의 전개구를 이루는 티아라인이 설치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9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8의 어느 것인가에 기재의 에어백 장치 에 있어서 에어백내에는 에어백의 승차원측으로의 늘어나기 시작하는 길이를 규제하는 규제 벨트가 배치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에어백 장치의 스티어링 휠에 대한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로 본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이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연결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A는 도 2에 나타내는 쿠션 링의 정면도이고, 도 5B는 그 일부를 단면에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A는 팽창 상태의 에어백 내부를 나타내는 투시 사시도이고, 도 6B는 동에어백의 비팽창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에어백 포개 접는 기계를 이용해 에어백을 포개 접는 조작 순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8A는 유지 부재의 에어백을 덮기 전의 전개도이고, 도 8B는 포개 접어진 이면측의 에어백의 사시도이고, 도 8C는 에어백을 유지 부재로 덮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D는 유지 부재로 덮은 에어백의 이면도이다.
도 9A는 에어백 커버의 사시도이고, 도 9B는 이면도이다.
도 10은 개방한 상태의 각 커버 부품을 승차원측에서 본 도이다.
도 11은 에어백 장치 (M1)의 전개 동작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는 제1 실시 형태의 에어백 장치 (M1)의 에어백의 전개 상태를 나타내 는 도이다.
도 13은 제2 실시 형태인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 (M2)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가스 정류 부재, 에어백 및 유지 부재의 협지 고정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5는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 (M3)의 개략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16은 종래의 에어백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종래의 에어백의 전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종래의 에어백의 수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종래의 다른 에어백의 수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종래의 에어백 장치의 에어백이 전개하는 초기부터 경과시간마다의 에어백의 전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 주요부위를 나타내는 도면부호의 설명**
10a···에어백 본체, 11a···통형상 규제벨트, 12···보호 부재,
12'···가스 정류 부재, (14)···유지 부재, 16···에어백커버,
20···연결 부재, 22···쿠션 링, 24···베이스 플레이트,
30···인플레이터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인 운전석용의 에어백 장치 (M1)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해 설명한다. 도 1은 에어백 장치의 스티어링 휠에 대한 장착 상태 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도 2는 도 1의 시시 I-I로 본 횡단면도이다. 에어백 장치 (M1)은 도 1 및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차량의 스티어링 휠 중앙부에 조립되어지고, 장식용 부재 (40), 에어백 (10) 및 에어백 커버 (16)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편의상 승차원측을 표면측, 그 반대측을 이면측이라고 한다.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에어백 커버 (16)에는 에어백 본체부 (10a)와 그 본체부 (10a)의 늘어나기 시작하는 길이를 규제하는 통형상의 규제 벨트 (11a)로 이루어지는 에어백 (10)이 승차원측 방향으로 코니스 형상으로 포개 접어진 상태로 에어백 커버 (16)내에 수납되고 있다. 에어백 (10)은, 에어백 (10)의 외주위 측면을 눌러 에어백 측면 방향의 팽창 전개를 억제하도록 유지 부재 (14)로 덮여 있다. 에어백 본체부 (10a)와 유지 부재 (14)라는 것은 에어백 (10)내에 삽입된 쿠션 링 (22)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 (24)에 고정되고 있다. 또, 에어백 커버 (16)은 이들을 덮도록 해 베이스 플레이트 (24)에 고정되고 있다.
한편, 통형상의 규제 벨트 (11a)의 단부는 에어백 커버 (16)의 승차원 측면으로 형성된 오목부 (16a)의 배후 측에 위치하여, 상기 장식 부재 (40)의 이면 측에 돌출한 장착 볼트 (40a)를 연결 부재 (20)에 너트로 고정함으로써, 이들의 부재간에 협지되고 있다. 또 연결 부재 (20)의 단부는 상기 쿠션 링 (22)와 베이스 플레이트 (24)의 사이에 협지되고, 베이스 플레이트 (24)에 대해서 고정되고 있다. 또한 후에 상세하게 설명 하지만, 부호 12'는 가스 정류 부재로, 부호 11c는 상기 에어백 본체부(10a)에 통형상 규제 벨트 (11a) 를 봉합시킨 봉제부이다.
이하에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24), 연결 부재 (20) 및 쿠션 링 (22)의 구 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베이스 플레이트 (24)의 이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베이스 플레이트 (24)는, 대략 원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있어 그 중앙부에 인플레이터를 끼워 삽입 가능한 구멍 (24h)가 형성됨과 동시에, 4개의 에어백 커버용 장착 부품 (24a)와 베이스 플레이트 (24) 자체의 설치를 위한 한 쌍의 장착 부품 (24b)가 상기 원판면으로부터 잘라 세워 형성되고 있다. 이 베이스 플레이트 (24)는, 인플레이터 (30), 에어백 (10) 및 전술한 장식용 부재 (40)을 일체적으로 고정하고 한편 상기 한 쌍의 장착 부품 (24b)는 스티어링 휠로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인플레이터 (30)은 개략 두꺼운 원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있고, 소정의 충격 검지시에 가스를 토출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상기 인플레이터 (30)의 가스 토출구멍 (30a)가 형성된 인플레이터 윗쪽 부분이 베이스 플레이트 (24)의 구멍 (24h)를 관통하고 또한 인플레이터 (30)의 두께 방향 대략 중간부에 형성된 플랜지부를 베이스 플레이트 (24) 이면 측에 밀접시키도록 해, 베이스 플레이트 (24)의 장착구멍 (24c)를 개재하여 쿠션 링 (22)와 함께 고정시킨다. 즉, 인플레이터 (30)이 베이스 플레이트 (24)의 표면측으로 돌출 배치된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인플레이터 (30)으로부터의 토출 가스가, 베이스 플레이트 (24)의 표면측에서 토출되게 되어 있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연결 부재 (20)의 사시도이다. 연결 부재 (20)은, 장착 볼트 (40a)이 끼워 맞추는 구멍 (20ah)를 구비한 중앙부 (20a)와 그 양측으로 이것과 대략 직각으로 절곡 형성된 다리부 (20b)와 또 다리부 (20b)에 대략 직각으 로 절곡 형성된 장착 발 (20c)로 이루어지는 판 형상의 금속 부품으로 구성되고 있다. 또, 상기 장착 발 (20c)에는 후술 하는 쿠션 링 (22)의 장착구멍 (22a) 및 베이스 플레이트 (24)의 장착구멍 (24c)에 대응한 장착구멍 (20e)가 형성되고 있어 쿠션 링 (22)에 형성된 볼트 (22d)에 의해 동시 고정되게 되어 있다.
도 5A는 도 2에 나타내는 쿠션 링 (22)의 정면도, 도 5B는 그 일부를 단면에서 가리킨 측면도를 나타낸다. 쿠션 링 (22)는, 도 5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대략 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그 중앙부에는 인플레이터 (30)의 삽입구멍 (22h)가 설치되고, 한편 이 삽입 구멍 (22h)의 주위의 각 구석부에는 쿠션 링 (22)를 베이스 플레이트 (24)에 장착하기 위한 볼트 (22d)가 그 이면측에 설치되고 있다. 또, 쿠션 링 (22)의 이면은 베이스 플레이트 (24)의 표면 측에 에어백 (10)을 개재시켜 접하기 가능한 당접면 (22b)를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당접면 (22b)에는 그 측면도인 도 5B에서 알 수 있듯이 예를 들면 교형가공으로 형성된 오목 형상부 (22c)가 형성되고 있다. 이 오목 형상부 (22c)의 조임은, 쿠션 링 (22)를 연결 부재 (20)에 연결했을 때, 이 연결 부재 (20)의 장착 발 (20c)의 두께에 대략 비등한 깊이로 형성되고 있다.
도 6A 및 6B를 참조해 에어백 (10)을 설명한다.
도 6A는 팽창 상태의 에어백 (10) 내부를 나타내는 투시 사시도이고,도 6B는 동에어백 (10)의 비팽창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간이화하기 위해 통형상 규제 벨트 (11a)내의 장식 부재 (40) 등, 그리고, 상기 장식 부재 (40)과 결합된 인플레이터 (30) 등은 도시하고 있지 않다. 에어백 본체부 (10a)는 2매의 대략 원형 형상의 천의 바깥 둘레부 끼리를 봉합시킴으로써 편평한 구 형상(타원체 형상)으로 전개 가능한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되고 있다. 에어백 본체부 (10a)의 표면측의 대략 중앙부에는 에어백 커버 (16)의 오목부 (16a)가 삽입되는 원형 형상의 절결부 (1Oh)가, 그리고, 그 이면측의 대략 중앙부에는, 인플레이터와 연통해 발생하는 가스를 에어백 내부에 도입하기 위한 인플레이터 장착구 (10ah)가 형성됨과 동시에, 그 인플레이터 장착구 (10ah)의 주변부 (10d)에 쿠션 플레이트 (22d)의 볼트 (22d)(도 5B참조)를 통하기 위한 4개의 소 구멍(10b)가 형성되고 있다.
상기 에어백 (10)의 인플레이터 장착구 (10ah) 주변에는 인플레이터의 발생하는 열이나 충격적인 압력으로부터 에어백을 보호하는 보호 부재 (12)가 이 주변부 (10d)에 겹쳐서 봉합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보호 부재 (12)를 가스의 유출 방향을 정류하여, 에어백의 전개 초기에 팽창하는 부분(유지 부재 (14)의 원형의 파단 예정부로부터 전개하는 에어백 부분)의 근방까지 가스를 안내하는 기능을 가지는 가스 정류 부재로서도 사용하고 있다.
도 6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보호 부재 (12)는 예를 들면 직포제로, 그 형상은 중심이 중공의 동심원형으로, 그 중공의 내주위의 직경은 인플레이터 장착구 (10ah)의 내주위의 직경과 같고, 그 외주위의 직경은, 예를 들면 내주위의 직경의 3배 이상의 크기로 작성되어 있다. 상기 보호 부재 (12)를 상기 인플레이터 장착구 (10ah)로 장착할 때에는, 상기 보호 부재 (12)의 내주위 테두리를 상기 인플레이터 장착구 (10ah)의 주변과 맞추어 주변부 (10d)의 외주위부 (10d') 및 그 동심원의 외주위부 (12')와 함께 봉합한다. 상기 보호 부재 (12)는, 열이나 가스압의 충격을 보호하는 보호 부재와 에어백 (10)의 포개 접은 수납 후에 가스를 정류하는 정류 부재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보호 부재 (12)는 1매라도 좋지만, 2매 이상으로서도 좋고, 가스 정류 부재는 이들의 보호 부재 (12)의 1매 또는 복수매를 이용해도 괜찮다. ·
에어백 (10)은, 에어백 본체 (10a)와 에어백 (10)의 늘어나기 시작하는 길이를 규제하는 통형상 규제벨트 (11a)로 구성되고 있고, 상기 에어백 본체 (10a)는 2매의 대략 원형 형상의 기포(표면 부분의 기포와 배후면 부분의 기포)의 외주위 태두리부 끼리를 봉합해 봉제부 (10c)를 설치하고, 봉제한 에어백의 내외면을 반전함으로써 편평한 구 형상(타원체 형상)에 전개 가능한 주머니 형상에 형성된다.
도 6B로부터 알 수 있듯이 2매의 대략 원형 형상의 기포의 크기는 대략 같다. 그리고, 에어백 (10)은, 도 6A의 에어백의 늘어나기 시작하는 방향(도중 윗쪽) 전체 길이를 늘린 상태에서 상하로 압축하도록 코니스 형상에 포개 접어져 에어백 커버 (16)내에 수납되고 있다. 이 때 에어백 본체 (10a)뿐만이 아니고 통형상 규제 벨트 (11a)도 그 통길이 방향으로 코니스 형상으로 포개 접어진다. 또한 상기 거의 전체 길이를 늘린 상태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 규제 벨트 (11a)의 길이는 상기 표면 부분의 기포의 에어백 본체 (10a)의 길이 및 배후면 부분의 기포의 에어백 본체 (10a)의 길이에 대략 비등하다.
다음에, 상술한 에어백 (10)이 도 6A의 에어백의 늘어나기 시작하는 방향(도중 윗쪽)으로 거의 전체 길이를 늘린 상태로부터 상하로 압축하도록 코니스 형상으로 포개 접는 방법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상기 에어백 (10)을 포개 접는 데는 에어백 포개 접는 기계를 이용해 실시한다. 도 7A 내지 7G는 그 에어백 포개 접는 기계를 이용해 에어백을 포개 접는 조작 순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그 개념도를 이용해 에어백의 포개 접는 조작 순서를 설명한다.
상기 에어백 포개 접는 기계 (60)은 도 7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원주상의 통형상 규제 벨트 (11a)를 지지하는 지지구 (62) 및 그것과 같은 축으로 또한 외측으로 에어백 (10)을 수납하는 외통실린더 (63)을 가지는 테이블 (61)과 상기 지지구 (62)의 수직 윗쪽 위치에 상기 지지구 (62)와 동일한 외경을 갖고, 규제 벨트 (11a)의 상단을 지지구 (62)와의 사이에 협지 하는 원주상의 협지구 (64; 도 7C참조)를 지지하는 지지부(도시하지 않음)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지지구 (62)의 외경은 쿠션 링 (22)의 삽입구멍 (22h)의 내경보다 작기 때문에, 후술 하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구 (62)가 상기 삽입 구멍 (22h)를 삽입 통과해 상승할 수가 있다.
에어백 (10)은 에어백 (10)의 주변부 (10d)(도 6A참조)에 형성된 4개의 소 구멍 (10b)에, 도 7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쿠션 링 (22)의 볼트 (22d)가 삽입 통과되고 있어, 그 볼트 (22d)를 상기 테이블 (61)의 지지구 (62)의 외주위 상단면에 설치된 4개의 구멍에 맞추어 고정하고 상기 삽입 구멍 (22h)를 삽입 통과해 상승한 지지구 (62)의 머리 부분이 통형상 규제 벨트 (11a)의 통안에 삽입된 상태로, 그 외쪽으로는 에어백 본체 (10a)가 평평한 상태로 테이블 (61)상에 놓여져 있다.
도 7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도 7A에 나타낸 지지구 (62)의 머리 부분이 쿠션 링 (22)의 삽입 구멍 (22h)를 삽입 통과해 통형상 규제 벨트 (11a)의 통안에 삽입된 상태로부터, 또 상기 통형상 규제 벨트 (11a)의 하단을 밀어 올리면 에어백 본체 (10a)도 추종하여 밀어 올려져 있다.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통형상 규제 벨트 (11a)의 길이는 에어백 본체 (10a)의 길이가 대략 절반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지지구 (62)는 테이블 (61)로부터 상기 통형상 규제 벨트 (11a)의 길이가 최대한 약 3배의 높이의 위치까지 상승해 그 위치에서 정지하여 상기 지지구 (62)의 선단부에 있는 볼록부에 상기 통형상 규제 벨트 장착구멍 (11ah)를 수작업으로 삽입 통과하여 통형상 규제 벨트 (11a)를 위치 결정한다.
도 7C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협지구 (64)가 하강해 상기 위치 맞춤된 통형상 규제 벨트 (11h)를 상기 지지구 (62) 및 협지구 (64)로 협지하고 그 협지 상태를 유지하여 지지구 및 협지구 (62, 64)가 하강한다. 도 7D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지지구 (62) 및 협지구 (64)가 통형상 규제 벨트 (11a)의 절반의 길이의 위치까지 하강한 지점에서 동작을 정지하여 도 7D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수작업으로 외측의 에어백 본체 (10a)를 윗방향에 이끌어 올린다. 이것에 의해 통형상 규제 벨트 (11a)가 그 대략 중간의 위치에서 포개 접어진다.
도 7 E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테이블 (61)로부터 외통실린더 (63)이 전술의 통형상 규제 벨트 (11a)의 상단의 협지 위치까지 상승하여 에어백 (10)을 외통실린더 (63)과 지지구 (62)의 사이에 수납한다. 도 7F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그 위치에서 외통실린더 (63)의 좌우 방향에서 좌우 대칭으로 반원형의 구멍을 가지는 2매의 플레이트 (65)가 외통실린더 (63)의 상단을 좌우 방향으로부터 슬라이딩해 협지구 (64)의 하단부에 설치된 끼워맞춤기구(도시하지 않음)에 끼워 맞춰진다.
도 7G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이 상태로 지지구 (62), 협지구 (64) 및 외통실린더 (63)을 동시에 하강함으로써, 포개 접어진 통형상 규제 벨트 (11a)는 자신이 겹친 상태로 에어백 본체 (10a)와 함께 압축되면서 코니스 형상으로 포개 접어진다. 에어백 (10)의 압축이 종료하면(도 H참조), 상기 플레이트 (65)를 제거한 후에, 지지구 (62), 협지구 (64) 및 외통실린더 (63)이 동시에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 에어백 (10)의 포개 접는 작업을 종료한다.
또한 에어백 (10)의 전체 길이를 늘린 상태에 있어서, 통형상 규제 벨트 (11a)의 길이를 에어백 본체 (10a)의 길이가 대략 절반에 비등한 것으로 해, 에어백 (10)의 길이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 길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지지구 (62)의 정지하는 위치, 지지구 (62) 및 협지구 (64)가 하강해 정지하는 위치는 에어백 (10)의 길이에 따라 그 위치가 결정되는 것이다.
도 8A는 유지 부재 (14)의 에어백 (10)을 덮기 전의 전개도이다. 상기 유지 부재 (14)는 직포제로 대략 정방형의 형상이고, 그 중앙에는 대략 원형의 개구부 (14h)가 설치되어 대략 정방형의 4변의 중심과 대각선상의 장착한 변에 상기 쿠션 링의 볼트 (22d)에 맞추는 8개의 구멍 (14ah), (14bh)가 설치되고 있다. 상기 대략 원형의 개구부 (14h)의 크기는 에어백커버 (16)의 오목부 (16a) 및 장식용 부재 (40)의 직경이 통과 가능한 통로 형상 및 크기를 가지고 있다.
도 8B는 에어백 (10)을 덮기 전의 유지 부재 (14)와 기술한 에어백 포개 접는 기계 (60)으로 포개 접어진 에어백 (10)의 뒤편의 사시도이다. 포개 접어진 에어백 (10)으로부터 돌출하는 쿠션 링 (22)의 볼트 (22d)에 상기 유지 부재 (14)의 4개의 작은 구멍 (14ah)를 맞춘다. 그 후에 대각선상에 위치 하는 구멍 (14bh)를 대향하는 2개소의 볼트 (22d)로 모두 맞춘다.
도 8C는 포개 접어진 에어백 (10)을 유지 부재 (14)로 덮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에어백 (10)을 유지 부재 (14)로 덮을 때에는, 도 6A에 나타낸 상기 통형상 규제 벨트 장착구멍 (11ah)가 유지 부재 (14)의 장착 볼트 삽입 구멍 (14hh)와 겹치도록 해 에어백 (10)을 덮는다.
도 8D는 도 8C의 유지 부재 (14)로 덮은 에어백 (10)의 이면도이다. 보호 부재 (12)는 포개 접어진 에어백 (10)의 내부에 코니스 형상으로 들어가 있으므로, 이들을 일단 꺼내 도 8D(혹은 도 2)와 같이 포개 접어진 에어백 (10)의 내주위를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보호 부재 (12)는 가스 정류 부재로서의 기능을 발휘한다. 이하, 상기 일단 인출하여 도 8D(혹은 도 2)와 같이 포개 접어진 에어백 (10)의 내주위를 따르도록 배치한 보호 부재 (12)를 가스 정류 부재 (12')라고 부른다. 그리고, 상기 유지 부재 (14)로 덮음으로써 상기 삽입 구멍 (14hh)와 겹쳐진 상기 통형상 규제 벨트 장착 구멍 (11ah)가, 인플레이터 장착구 (10ah)의 대략 중심 환언 하면, 에어백의 전개 초기에 팽창하는 부분의 근방까지 형성된 가스 정류 부재 (12')의 대략 중앙에 배치된다. 기술한 상기 인플레이터 장착구 (10ah)에 장착된 가스 정류 부재 (12')는 도 8D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포개 접어져 유지 부재 (14)로 유지된 상태에서는, 표면이 겹겹이 포개 접어진 주름 (12a)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유지 부재 (14)로 유지된 에어백 (10)이 에어백 커버 (16)에 수납
된 상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기 가스 정류 부재 (12')는, 에어백 (10)의 인플레이터 장착구 (10ah)를 협지 하는 쿠션 링 (22)로부터, 에어백의 전개 초기에 팽창하는 부분인 포개 접어진 통형상 규제 벨트 (11a)의 선단의 근방까지, 에어백 (10)의 내벽을 따르도록 표면측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상기 상태의 상기 가스 정류 부재 (12)의 형상은 통 형상이다. 상기 가스 정류 부재 (12')는 이와 같이 겹겹이 포개 접어진 주름 (12a)가 표면에 형성되고 있으므로, 에어백 (10)의 인플레이터 장착구 (10ah)의 주변의 열이나 가스압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보호 부재로서의 기능 및 그 형상이 통형상이므로, 가스를 정류 하는 정류 부재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에어백 (10)의 이면측으로부터는 포개 접을 때에 삽입해 둔 쿠션 링 (22)의 볼트 (22d)가, 인플레이터 장착부 주변으로부터 돌출한 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의 유지 부재 (14)로 에어백 (10)을 덮는 것으로, 에어백 (10)의 외주위 측면이 눌러 지므로 에어백 (10)의 전개 초기에 인플레이터로부터 발생하는 가스에 의한 에어백 (10)측면 방향의 팽창 전개를 억제할 수가 있다.
보호 부재 (12)의 재질의 에어백 (10)과 동일하게 직포제인 경우에는, 기술한 바와 같이 인플레이터 장착구 (10ah)의 주변부 (10d)에 소정의 폭의 천을 봉합하여 보호 부재 (12)를 형성한다. 보호 부재 (12)의 길이는 에어백 (10)의 전개 초기에 팽창하는 부분의 근방에 닿는 길이가 필요하고, 예를 들면 포개 접어진 통형상 규제 벨트 (11a)의 선단에 닿는 길이가 바람직하다.
보호 부재 (12)의 재질은 에어백 (10)의 재질과 다른 재료, 예를 들면 합성 수지제 시트라도 좋고, 가스를 정류하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어 유연성이 있는 재질의 것이면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에어백 (10)과 합성 수지제 시트를 적절한 수단으로 고착하면 좋다. 보호 부재 (12)를 에어백 (10)에 고착하지 않고 , 별체 것으로 해 실시할 수도 있다. 별체의 경우 보호 부재 (12)는 합성 수지제 시트로 한정되지 않고 금속제의 것이라도 좋다. 그 경우에도 인플레이터의 가스가 에어백의 전개 초기에 팽창하는 부분에만 흐르도록 정류하면 좋다. 보호 부재 (12)는 상기 쿠션 링 (22)의 볼트 (22d)에 일체적으로 체결해도 좋고 완전하게 별체로서 장착하여도 좋다. 또 베이스 플레이트 (24)에 용접하거나 혹은 깊게 조여줌으로 형성해도 좋다.
보호 부재 (12)의 재질이 에어백 (10)과 같게 직포제인 경우에는, 기술한 것처럼 인플레이터 장착구 (10ah)의 주변부 (10d)에 소정 폭의 천을 겹쳐 봉합한 보호 부재 (12)를 원통 형상으로 배치하면 좋다. 보호 부재 (12)의 길이는, 에어백 (10)의 전개 초기에 팽창하는 부분의 근방에 닿는 길이가 필요하고, 예를 들면 포개 접어진 통형상 규제 벨트 (11a)의 선단에 닿는 길이가 바람직하다.
도 9A는 에어백 커버 (16)의 사시도이다. 에어백커버 (16)는, 도시와 같이 합성 수지에 의해 약간 완장 형상으로 형성되고 있어 그 중앙부분에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장식용 부재 (40)을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 (16a)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에어백커버 (16)은 장착 부품 (24a)를 개재시켜 베이스 플레이트 (24)에 리벳으로 고정된다. 또한 에어백 커버 (16)의 오목부 (16a)에 장식용 부재 (40)을 장착한 상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그 장식용 부재 (40)의 표면은, 에어백커버 (16)의 표면과 약간 면 일치 상태가 된다.
도 9B는 에어백 커버의 이면도이다. 도시와 같이, 에어백 커버 (16)의 이면에는 에어백 (10)의 팽창 전개에 즈음하여, 연결 부재 (20)에 의해 고정된 중앙의 오목부 (16a)를 두고 균열 가능한 홈 형상의 티아라인(L1~L4, Lc)가 형성되고 있다. 즉, 에어백 커버 (16)의 이면에는, 에어백의 팽창 압력을 받으면 오목부 (16a)를 남겨 복수개의 커버 부품 (16b)로 분할할 수 있도록 오목부 (16a)의 주위에 원형의 티아라인 (Lc), 및 이 티아라인 (Lc)로부터 방사형상으로 연장한 복수, 예를 들면 4개의 티아라인 (L1~~L4)로부터 이루어지는 일련의 티아라인이 설치되고 있다. 또, 에어백 커버 (16)은, 에어백 (10)의 팽창시에 각 커버 부품 (16b)로 분할되고, 또한, 각각이 독립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리벳으로 고정되고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인플레이터 (30)이 작동해 에어백 (10)이 가스압에 의해 팽창 전개하면 그 힘으로 에어백 커버 (16)이 장식용 부재 (40) 주위의 티아라인 (L)부분에서 눌러 나누어지고 갈라진 커버 부품이 완장 형상의 중앙의 오목부 (16a)를 남겨 각각 외측으로 열리고, 전술한 것처럼, 완전하게 떼어져 각각이 독립하여 개방한다.
도 10은, 개방한 상태의 각 커버 부품 (16b)를 승차원측에서 본 도이다. 도시와 같이, 에어백 커버 (16L)은 에어백 (10)의 전개시에 각 커버 부품 (16b)으로 분할되는 것으로, 에어백 (10)이 유지 부재 (14)의 파단 예정부 (14h)를 통과한 후는 측면 방향으로의 전개를 저해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간이화를 위해 에어백 등을 도시하고 있지 않다.
여기서, 에어백 장치 (M1)의 조립 순서에 대해서 도 3 내지 5, 도 8 및 10을 참조해 설명한다.
조립시에는, 에어백커버 (16)에 미리 쿠션 링 (22)가 그 내부에 수납되고 유지 부재 (14)로 포장된 에어백 (10)을, 에어백 커버 (16)의 구멍 (16ah)와 에어백 (10)의 통형상 규제 벨트 장착 구멍 (11ah)와의 위치를 맞추어 수납한다. 그리고, 연결 부재 (20)을 그 중앙부의 구멍 (20ah)와 상기 통형상 규제 벨트 장착구멍 (11ah)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에어백 (10)안에 삽입함과 동시에, 도 8D로 나타낸 에어백 (10)안에 삽입된 쿠션 링 (22)의 오목 형상부 (22c)로부터 돌출하고 있는 볼트 (22d)에, 연결 부재 (20)의 구멍 (20e)를 삽입해 장착 발 (20c)를 상기 오목 형상부 (22c)에 끼워 넣는다.
그리고, 표면측으로부터 장식용 부재 (40)의 장착 볼트 (40a)를 에어백 커버 (16)의 오목부 (16a)의 구멍 (16ah)에 삽입 통과함으로써, 그 구멍 (16ah)의 위치에 맞추어 배치되고 있는 상기 에어백 커버 (16)의 구멍 (16ah), 에어백 (10)의 통형상 규제 벨트 장착구멍 (11ah)및 연결 부재 (20)의 중앙부의 구멍 (20ah)의 각 구멍을 상기 장착 볼트 (40a)가 삽입 통과한다.
상기 장착 볼트 (40a)에 너트를 나사 맞춤시킴으로써 상기 장착 볼트 삽입 구멍 (14hh) 및 통형상 규제 벨트 장착구멍 (11ah)가 에어백 커버 (16)의 오목부 (16a)와 연결 부재 (20)의 중앙부 (20a)의 사이에 협지 고정된다.
다음에, 쿠션 링 (22)의 볼트 (22d)에 베이스 플레이트 (24)의 구멍 (24c)를 삽입 통과하여 양쪽 부재 (22) 및 (24)를 겹쳐, 베이스 플레이트 (24)를 에어백 커버 (16)에 끼워 맞추고, 또 볼트 (22d)에 인플레이터 (30)을 끼워 넣어 볼트 (22d)에 너트를 나사 맞춤시킨다. 이것에 의해 상기 인플레이터 장착구 (10ah) 및 보호 부재 (12)가 쿠션 링 (22)와 연결 부재 (20)과의 사이에 협지 고착된다. 이것에 의해 도 2에 나타내는 에어백 장치 (M1)의 조립이 완료한다.
상기 에어백 장치 (M1)의 전개 동작에 대해서 도 11A 및 11B를 참조해 설명한다. 우선, 차량 충돌시 등에 의한 충격 검지에 의해, 인플레이터 (30)이 점화되어 상기 인플레이터 (30)으로 가스가 생성되고, 상기 가스가 에어백 (10)내에 도입된다. 에어백 커버 (16)은 에어백 (10)이 팽창하기 시작하면 그 힘을 받아, 티아라인 (L1~L4) 및 (Lc)를 따라, 즉 중앙의 오목부 (16a)를 남겨 갈라지고 각 에어 커버 부품 (16b)는 방사형상으로 확개한다.
에어백 커버 (16)이 갈라진 후 상기 에어백 (10)가 팽창하기 시작하는 초기 단계에서는 도 11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에어백 (10)내에 가스가 도입되면 전개 초기에 팽창을 개시하는 에어백 (10)의 기포의 중앙부와 통형상 규제 벨트 (11a)가 꿰매어 합쳐진 봉제부 (11c)로부터 팽창 전개하면서 상기 통형상 규제벨트 (11h)가 상기 오목부 (16a)를 감싸면서 에어백 (10)의 표면 부분이 승차원 측에 팽창한다. 상기 팽창 시에는 상기 통형상 규제 벨트 (11a)가 통길이 방향으로 포개 접어지고 있으므로, 연장하여 돌출할 때 거의 저항을 받지 않는다. 상기 봉제부 (11c)로부터 팽창 전개할 때, 에어백 (10)은 유지 부재 (14)의 파단 예정부 (14h)를 통과해 저항을 받으면서 승차원 측에 전개한다. 따라서, 어느 정도의 내압을 유지한 상태로 팽창하면서 포개 접은 수납 상태가 도중 부분에서 무너지는 경우가 없고, 승차원측 의 표면 부분으로부터 차례로 승차원 측으로 전개해 가게 된다.
그런데, 도 11A는, 통형상 규제 벨트 (11a)가 그 전체 길이를 다 늘린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승차원 측에 이면 부분의 일부가 팽창 전개하고 있지만, 에어백 (10)의 2매의 대략 원형 형상의 천의 외주위 원부끼리를 봉합한 봉제부 (10c)의 위치가 스티어링 휠 (50)의 근방에 있고, 이면 부분의 다른 부분은 유지 부재 (14)안에 아직 수납되고 있다. 에어백이 어느 정도 팽창한 후는 도 12B에 나타나는 바와같이, 상기 봉제부 (10c)의 위치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동해 통형상 규제 벨트 (11a)의 중심선의 거의 중앙으로 이동하고, 편평한 구 형상 형상이 되어 팽창 전개를 완료한다. 부호 12'는 가스 정류 부재이다.
이와 같이 통형상 규제벨트 (11a)가 전체 길이 늘어나기 시작하기 시작해 정지함에 따라, 에어백 (10)의 승차원측으로의 전개가 정지하도록의 거동을 나타내는 것은, 파열의 힘을 얻기 위해서 에어백 커버 (16)내에서 에어백 내압이 일시적으로 커져 에어백 커버 (16)의 파열 직후에, 그 내압에 의해 전술한 통형상 규제 벨트 (11a)가 급속히 늘어나기 시작하고, 상기 움직임에 따라 에어백 (10)이 늘어나기 시작하기 시작하지만, 전개와 동시에 에어백 (10)의 용적은 급격하게 증대하기 때문에 내압은 급속히 저하한다. 그 때, 그 관성력으로 에어백 (10) 자체는 늘어나기 시작하려고 하지만, 통형상 규제 벨트 (11a)가 늘어나기 시작의 정지와 유지 부재 (14)의 저항에 의해 충분히 내압이 상승할 때까지 에어백 (10)이 승차원측에 전개하는 것을 정지한다고 하는 거동이 발생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그 후에 있어서의 승차원측으로의 전개 속도는, 에어백 (10)의 중앙부가 승차원측으로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유지 부재 (14)내에 남은 에어백 부분의 늘어나기 시작함에 비하여 실제로는 절반으로 감속되어, 승차원에 대한 가해성이 통형상 규제벨트 (11a)가 없는 것과 비교하면 한층 더 감소한다.
상기 효과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통형상 규제벨트 (11a)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평탄한 통형상 규제 벨트를 설치했을 경우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12는 제 1 실시 형태의 에어백 장치 (M1)의 에어백 (10)의 전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종래 기술의 에어백 (10)의 전개 상태와 대비하기 위해서 도 12와 같은 타이밍에서의 에어백의 전개 상태를 설명한다.
도 12A의 타이밍으로는 팽창 전개중의 에어백 (10)의 형상이 그 표면 부분만큼이 팽창 전개해, 그 전개한 에어백 (10)의 상하의 크기가 대략 같게, 그리고, 에어백 (10)은, 2매의 대략 원형 형상의 천의 바깥 둘레부 끼리를 봉합한 봉제부 (10c)의 위치가 스티어링 휠 (50)의 근방에 있는 상태로 튀어 나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환언 하면, 팽창 전개 초기의 단계에서는, 에어백 (10)의 기포의 중앙부와 통형상 규제 벨트 (11h)가 꿰매어 합쳐진 봉제부 (11c)로부터 포개 접어진 차례로, 한편 대략 동일 원형상으로 에어백 (10)이 팽창 전개하고 있다.
도 12B 때에는 에어백 (10)의 표면 부분만큼이 승차원측 및 원주 방향 측에 팽창 전개하는데 대해, 이면 부분의 상하의 일부가 승차원측 방향이 아니고 스티어링 장치의 이편측 방향으로 팽창 전개하고 있고, 그리고, 봉제부 (10c)의 위치가 도 12A와 동일하게 스티어링 장치의 근방에 있는 상태로 팽창 전개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2C 때에는, 도 12B의 상태에 비교해 표면 부분이 승차원측 및 원주 방향 측에 더욱 팽창 전개하고, 이면 부분의 상하의 일부가 스티어링 장치의 뒤편 방향에도 더욱 팽창 지속 전개하고 있지만, 봉제부 (10c)의 위치는 여전히 도 12B와 동일하게 스티어링 장치의 근방에 있는 상태로 팽창 전개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2D 때에는 봉제부 (10c)의 위치가 스티어링 장치의 근방으로부터 승차원 측에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부터 이면 부분이 승차원 측에 팽창 전개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에어백 (10)의 전개 상태를 종래의 에어백 장치의 것과 비교하면 종래의 에어백 장치의 도 20B의 타이밍에서는, 더미의 턱 아래에 에어백 (10)의 뭉치가 튀어나오고 그 후, 도 20C 때에는, 턱으로부터 뺨을 에어백이 가리고, 도 20 D때에는, 더미의 안면이 에어백으로 덮여 있는 것으로부터, 턱 아래 주변에 걸쳐 에어백 (10)이 급속히 내압이 상승해 멤브레인 현상을 받고 있는 것이라고 추측된다.
그에 대해서 제 1 실시 형태의 도 12B의 타이밍으로는 에어백 (10)의 표면 부분만이 승차원측 및 원주 방향 측에 팽창 전개하고 에어백 (10)의 표면 부분이 직접 승차원에게 접촉하고 그 후, 도 12C 때에는, 에어백 (10)의 표면 부분이 승차원측 및 원주 방향 측에 더욱 팽창 전개할 때에도, 승차원의 머리 부분에는 에어백 (10) 표면 부분만 접촉하고 있지 않았기 때문에, 멤브레인 현상을 방지하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또한 도 12A내지 도 12D의 전개 상태는, 에어백이 본래 전개해야 할 부위로부터 차례로 규칙 바르게 전개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제1 실 시 형태의 에어백 장치 (M1)은, 에어백 (10)의 최대지름에 봉제부 (10c)가 목에 걸려 멤브레인 현상이 생기는 경우가 없다.
다음에 제2 실시 형태인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 (M2)에 대해서 설명을 한다. 도 13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에어백 장치 (M2)는 포개 접어진 에어백 (10A)와 에어백 (10)에 팽창용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 (30A)와 에어백 (10A) 및 인플레이터 (30A)를 수납하는 대략 사각통 형상의 에어백 커버 (16A)로 구성되고 있다. 또한 에어백 장치 (M2)는 전술의 에어백 장치 (M1)에 있어서의 동일한 부재와 대략 같은 구성이고, 동일한 부호의 말미에 A를 붙인 부호를 교부해 에어백 장치 (M2)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에어백 커버 (16A)는, 대략 사각통 형상의 머리 부분의 이면에 2개의 커버 부품 (16Ab)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H자형 형상으로 배치된 티아라인 (LA)가 설치되고 상기 2개의 커버 부품 (16Ab)가 각각 도면으로부터 볼 때 상단측과 하단측을 경첩부 (16Ae)로서 상하 양측으로 열리도록 구성되고 있다. 또, 상기 사각기둥 형상의 머리 부분의 이면 측에는 2개의 커버 부품 (16Ab)의 배치 위치를 둘러싸도록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대략 사각통 형상의 연결벽부 (16Af) 배치 설치되고 있다.
연결벽부 (16Af)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는 벽부의 소정 위치에 복수의 계지구멍 (16Ag)가 관통되고 있다. 이들의 계지구멍 (16Ag)에는, 베이스 플레이트 (24A)에 형성된 계지고리 (24Ad)가 삽입되어 계지고리 (24Ad)가 연결벽부 (16Af)에 걸리게 된다. 각 계지고리 (24Ad)의 연결벽부 (16Af)의 걸림은 연결벽부 (16Af)와 베이스 플레이트 (24A)의 연결 상태를 확보하고, 팽창시의 에어백 (10A)가 원활히, 2개의 커버 부품 (16Ab)를 밀어 올려 티아라인 (LA)를 파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베이스 플레이트 (24A)는 도 1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단 측에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를 가진 금속판제의 대략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직사각형 판 형상의 바닥벽부 (24Ae)와 바닥벽부 (24Ae)의 외주위 테두리로부터 대략 사각통 형상으로 에어백 커버 (16A)의 윗쪽으로 늘어나는 측벽부 (24Af)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있다. 바닥벽부 (24Ae)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늘어난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있어 중앙에, 인플레이터 (30A)의 상부측을 아래쪽으로부터 에어백 커버 (16A)측의 윗쪽으로 삽입 가능한 원형으로 개구 한 인플레이터 장착구 (24Ah)를 갖추고 있다.
바닥벽부 (24Ae)의 인플레이터 장착구 (24Ah) 주변에는, 도 1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쿠션 링 (22A)의 각 볼트 (22Ad)를 삽입 통과 가능한 장착구멍 (22Ag)가 형성되고 있다. 또, 바닥벽부 (24Ae)에는 도 1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 (24A)를 차량의 보디 (60) 측에 연결시키는 브래킷 (32)가, 바닥벽부 (24Ae)의 좌우 양측 부위의 하면 측에 고정되고 있다. 각 브래킷 (32)에는 볼트를 나사 맞춤시키기 위한 너트가 고착되고 있다. 보디 (60) 측에는, 리인포먼스먼트 (60a)로부터 늘어나는 브래킷 (60b)가 배치 설치되고, 볼트는, 브래킷 (60b)의 장착 자리를 관통하고 너트로 나사 맞춤되고 있다. 각 볼트의 너트로의 조여짐에 의해 에어백 장치 (M1)가 보디 (60) 측에 장착 고정되고 있다.
다음에 에어백 장치 (M2)의 조립 순서에 대해서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해 설명한다
도 14는 가스 정류 부재 (12') 에어백 (10A) 및 유지 부재 (14A)의 협지 고정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에어백 장치 (M2)로 이용되는 에어백 (10A)는 상기 통형상 규제 벨트 (11a)가 장비되고 있던 점을 제외하고 에어백 장치 (M1)의 에어백 (10)과 동일하게 도 8A 내지 D로 설명한 쿠션 링 (22A)를 내장 한 포개 접어진 에어백 (10A)가 유지 부재 (14A)로 덮여 있다. 에어백 커버 (16A)내에 상기 유지 부재 (14A)로 덮인 에어백 (10A)를 수납하고 쿠션 링 (22A)의 나사부 (22Ad)에 베이스 플레이트 (24A)의 인플레이터 장착구 (24Ah)를 삽입 통과하여 쿠션 링 (22A)에 베이스 플레이트 (24A)를 겹침과 동시에, 에어백 커버 (16A)의 계지구멍 (16Ag)에 베이스 플레이트 (24A)의 계지고리 (24Ad)를 삽입하여 걸고 베이스 플레이트 (24)의 이면측으로부터 너트를 나사 맞춤시킨다.
그 후에 베이스 플레이트 (24A) 쿠션 링 (22A) 및 인플레이터 (30A)를 나사 고정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가스 정류 부재 (12A'), 에어백 (10A) 및 유지 부재 (14A)가 쿠션 링 (22A)와 베이스 플레이트 (24A)의 사이에 협지 고착되고, 에어백 장치 (M2)의 조립이 완료한다. 또한 에어백 장치 (M2)의 에어백 커버 (16A)의 형상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에어백 장치 (M2)를 장착장소, 예를 들면, 인스톨맨트 패널의 상면 등에 따라 어떠한 형상으로 하는가는 설계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에어백 장치 (M2)의 전개 동작은 에어백 장치 (M1)와 비교해, 규제 벨트가 없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승차원측으로의 전개가 정지하도록 하는 거동은 없 고, 에어백의 승차원 측으로 면하는 부분으로부터 팽창하면서 어느 정도의 내압을 유지한 상태로 승차원측으로 팽창 전개한다. 이와 같이 규제 벨트가 없는 경우에서도, 가스 정류 부재 (12A')에 의해 에어백은 승차원측의 표면으로부터 차례로 팽창해, 유지 부재 (14A)의 개구를 통과하면서 저항을 받아 승차원 측으로 전개하기 때문에 포개 접어진 에어백 커버가 파열하는 것과 동시에 에어백 전체가 튀어나와 덩어리가 되어 승차원에게 위해를 주는 것 같은 거동으로는 되지 않고, 펀칭 현상이나 멤브레인 현상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제3 실시 형태인 다른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 (M3)에 대해서 설명을 한다. 도 15에 나타내는 에어백 장치 (M3)은, 전술의 에어백 장치 (M1) 및 M2에 있어서의 동일한 부재와 대략 같은 구성이고, 동일한 부호의 말미에 B를 붙인 부호를 교부하고 있다. 도 15는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 (M3)의 개략 확대 종단면도이다. 에어백 장치 (M3)은 포개 접어진 에어백 (10B)와 그 에어백 (10B)안에 수납된 팽창용 가스를 공급하는 대략 원주형상의 인플레이터 (30B) 및 상기 인플레이터 (30B)를 격납 하는 디퓨저 (32B)와 에어백 (10B) 및 인플레이터 (30B)를 수납하는 대략 사각통 형상의 에어백커버 (16B)로 구성되고 있다.
상기 에어백 커버 (16B)는, 대략 사각통 형상의 머리 부분의 이면에, 2개의 커버 부품 (16Bb)에 개폐할 수 있도록 H자형 형상으로 배치된 티아라인 (LB)가 설치되고 상기 2개의 커버 부품 (16Bb)가 각각 도면으로부터 볼때 상단측과 하단측을 경첩부 (16Ae)로서 상하 양측으로 열리도록 구성되고 있다. 또, 상기 사각기둥 형상의 머리 부분의 이면 측에는 2개의 커버 부품 (16Bb)의 배치 위치를 둘러싸도록, 하부로 돌출하는 대략 사각통 형상의 연결벽부 (16Bf)가 배치 설치되고 있다. 디퓨저 (32B)의 에어백 커버 (16B)로의 고정은, 양쪽 부재 (32B, 16B)의 복수의 고정 위치에 구멍이 설치되고 있고 그 구멍에 볼트를 삽입 통과해 고정함으로써 행해진다(미도시).
상기 디퓨저 (32B)가 인플레이터 (30B)와 포개 접어 수납된 에어백 (10B)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있고, 디퓨저 (32B)의 팽창 가스를 유출 가능한 복수의 가스 토출구(도시하지 않음)가 배치 설치되고 있어 인플레이터 (30B) 작동시에는 인플레이터 (30B)로부터 발생하는 가스가 디퓨저 (32B)의 구멍을 지나 직접 포개 접어 수납된 에어백의 중앙 부분에 압력을 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부호 11B는 상술한 통형상이 아닌 통상의 규제 벨트이고, 부호 12B'는 가스 정류 부재이다. 상기 양쪽 부재 11B, 12B'는 에어백 (10B)와 함께 겹쳐진 상태로 상기 디퓨저 (32B)의 에어백 커버 (16B)로의 고정 시에, 양쪽 부재 (32B, 16B)의 사이에 삽입해 볼트로 고정함으로써 에어백 장치에 장착된다. 또, 이런 종류의 인플레이터 (30B)를 이용하는 에어백 장치 (M3)은 도 15로부터 알 수 있듯이 에어백 (10B)에는 인플레이터 장착구 (10ah)를 구비하고 있지 않고, 인플레이터 (30B)를 삽입하는 연통구가 설치되고 있어 그 연통구에 인플레이터 (30B)가 삽입되고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에어백 장치로서 에어백내에 직접 인플레이터를 삽입하지 않고 에어백의 밖으로부터 에어백의 연통구를 통해 인플레이터의 가스를 에어백 내에 도입하는 기술은 주지 기술이다. 이것으로부터 상기 에어백 장치 (M1 및 M2)로 이용되는 에어백 (10, 10A)의 인플레이터 장착구 (10ah), 상기 인플 레이터 (30B)를 삽입하는 연통구 및 주지의 에어백의 연통구의 각각은, 인플레이터의 가스를 에어백내에 도입하는 연통구로서 동일한 기능을 가지므로, 인플레이터 연통구로서 기재하는 경우는 상기 인플레이터 장착구, 인플레이터를 삽입하는 연통구 및 주지의 에어백의 연통구를 포함하는 의미로 이용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인플레이터 (30, 30A, 30B)에서의 가스가 토출된 초기 단계에서는, 도 2, 도 14 및 도 16에 나타내는 에어백 장치 (M1, M2, M3)의 구성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인플레이터 (30, 30A, 30B)의 토출구멍 (30a, 30Aa, 30Ba)로부터 발생한 가스는, 가스 정류 부재 (12'), (12a'), (12B')에 의해 에어백의 전개 초기에 팽창하는 부분의 근방까지 정류하여 안내되고 동시에 유지 부재 (14)가 에어백 (10)의 측면 방향의 팽창을 방지하므로, 에어백 (10, 10A, 10B)가 본래 전개해야 할 부위로부터 차례로 규칙 바르게 전개하고, 부분적으로 덩어리가 되어 승차원 측으로 튀어나오는 펀칭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보호 부재 (12, 12a, 12B)의 외주위에 포개 접어진 에어백 (10, 10A, 10B)를 배치해 두는 것으로, 인플레이터 (30, 30A, 30B)의 가스압에 의해 가스 정류 부재 (12', 12a', 12B')가 포개 접어진 에어백을 유지 부재와의 사이에 압축하게 되므로 그 압축력에 의해 에어백 (10, 10A, 10B)는 수납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어, 에어백 (10, 10A, 10B)의 전개 초기의 충격으로 포개 접은 상태가 무너져 부분적으로 덩어리가 되어 승차원 측으로 튀어나오는 펀칭 현상을 더 한층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와 같이 에어백 (10, 10A, 10B)를 하면 상기 배치가 가스 정류 부재 (12', 12a', 12B')에 부가하는 힘을 에어백 (10, 10A, 10B)에 의해 받아들이는 구성이 되므로, 가스 정류 부재 (12', 12a', 12B')에 특별한 강도가 필요 없어짐과 동시에, 에어백 (10, 10A, 10B)의 인플레이터 장착구 (10ah)의 주변을 보호하는 보호 부재를 가스 정류 부재 (12', 12a', 12B')로서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본래 인플레이터 연통구 (1Oah)의 주변부 (10d) 밖에 보호하지 않는 보호 부재가, 에어백 내면 전체의 보호 부재로서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어 보호 부재가 원래 인플레이터 연통구 (10ah)의 주변부 (10d)로부터 외주위로 향해 확장하기 때문에, 포개 접어진 에어백 (10, 10A, 10B)의 내주위 측에 배치하면 보호 부재 (12, 12A, 12B)가 실제로는 겹겹이 포개 접어진 벽이 형성되고 1매의 보호 부재로서도 3매, 4매의 보호 부재로 보호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에어백 (10, 10A, 10B)전체를 지극히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팽창 전개하는 에어백 (10)의 전개 초기에는 일시적으로, 도 12A에 나타내는 에어백 (10)의 표면 부분의 천과 하부 부분의 천의 외주위 원부끼리를 봉합한 봉제부 (10c)의 위치가 스티어링 장치 (50)의 근방에 있어, 에어백 내압이 상승할 때까지의 사이, 운전석 측에 이동하는 경우가 없다. 이 때문에 정규 착석 위치에 승차원이 착석하고 있지 않는 OOP 상태에 있어서도, 도 1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반드시 에어백 (10)의 승차원측의 면이 승차원과 접촉하도록 팽창하고, 승차원의 경부에 에어백 (10)의 최대지름을 가지는 봉제부 (10c)가 들어가 생기는 멤브레인 현상에 의한 위해의 우려도 없다. 또, 유지 부재 (14)가 에어백 (10)의 전개시에 특별히 주는 저항을 더욱 크게 하면 에어백 (10)은 승차원 측의 면으로부터 차례로 팽창하면서 구형 형상으로 팽창하게 되므로, 펀칭 현상은 더욱 경감된다. 제 2 및 제3 실시 형태도 마찬가지이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통형상 규제 벨트 (11h)를 마련하고 있지만, 끈 모양의 규제 벨트에 있어서도 같은 작용·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 규제 벨트가 없어도 포개 접어 수납된 에어백 (10)을 유지 부재 (14)에 의해 유지함으로써, 에어백 (10)의 승차원측으로의 전개 속도를 빠르게 펀칭 현상을 저감시킴과 동시에 에어백 전체를 균일하게 팽창시켜, 재빨리 승차원을 보호할 수 있는 형상으로 팽창하는 것이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 (M1)에 대해서, 제 2 및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 (M2)에 대한 적응을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은 운전석용 및 조수석용의 에어백 장치에 적응 가능하다. 또한 에어백 커버 (16, 16A, 16B)는 필수 요건은 아니고, 에어백커버 (16, 16A, 16B)의 유무에 관계없이 유지 부재 (14, 14A, 14B)의 구속에 의해 포개 접어 수납된 에어백 (10, 10A, 10B)를 질서 바르게 전개하자고 하는 것이다.
에어백 커버 (16, 16A, 16B)를 병용하는 제1, 제 2 및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전술한 것처럼 에어백 커버 (16, 16A, 16B)의 티아라인 (L, LA, LB)와 에어백 (10, 10A, 10B)의 초기 전개 부분을 대향시키도록 배치하는 것이, 전개의 개시를 빨리 하는데 있어서 유효하다. 또한 제 1 실시 형태에서는, 파이로식의 인플레이터를 이용한 에어백 장치에 근거해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경우 없이, 하이브리드, 스토어식의 어느 쪽의 인플레이터를 이용해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가스 정류 부재는 특히 에어백 기포와 동일한 천을 이용한 것으로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경우 없이, 금속제 등의 여러 가지의 재료가 사용 가능하다.
가스 정류 부재에 의해 에어백 장치의 전개시에 인플레이터 처음부터 발생한 가스의 흐름이 정류되어 그것에 의해 가스가, 에어백의 전개 초기에 팽창하는 부분의 근방까지 정류되어 안내되어 동시에 유지 부재가 에어백의 측면 방향의 팽창을 규제함과 동시에, 그 개구부를 통해 저항을 주면서 에어백이 본래 전개해야 할 부위로부터 차례로 순조롭게 규칙 바르게 전개하고 부분적으로 덩어리가 되어 승차원 측에 튀어나오는 펀칭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가스 정류 부재의 외주위에 포개 접어진 에어백을 배치해 두는 것으로, 인플레이터의 가스압에 의해, 가스 정류 부재가 포개 접어진 에어백을 유지 부재와의 사이에 압축하게 되므로, 포개 접어져 수납된 에어백은 수납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어, 에어백의 전개 초기의 충격으로 포개 접은 상태가 무너져 부분적으로 덩어리가 되어 승차원 측에 튀어나오는 펀칭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배치가 가스 정류 부재에 부가하는 힘을 에어백에 의해 받아 들이는 구성이 되므로, 가스 정류 부재에 특별한 강도가 필요해짐과 동시에, 에어백의 인플레이터 연통구의 주변을 보호하는 보호 부재를 정류 부재로서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본래 인플레이터 연통구의 주변부 밖에 보호하지 않는 보호 부재가, 에어백 내면 전체의 보호 부재로서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 보호 부재는 원래 인 플레이터 연통구의 주변부로부터 외주위로 향해 확장하기 때문에 이것을 포개 접어진 에어백의 내주위 측에 배치하면 보호 부재가 실제로는 겹겹이 포개 접어진 주름이 형성되고 1매의 보호 부재라도 4매의 보호 부재로 보호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에어백 전체를 지극히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Claims (9)

  1. 인플레이터와, 상기 인플레이터와 연통하고 인플레이터로부터 발생하는 가스에 의해 팽창하는 에어백과, 에어백을 포개 접은 수납 상태로 유지해 에어백의 외주위 측면을 눌러, 적어도 에어백의 전개 초기에 인플레이터로부터 발생하는 가스에 의한 에어백 측면 방향의 팽창 전개를 억제하기 위한 유지 부재로 이루어지는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로부터 발생하는 가스를 에어백의 전개 초기에 팽창하는 부분의 근방까지 정류하여 안내하는 가스 정류 부재가 상기 에어백의 중앙 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유지 부재에는 상기 전개 초기에 팽창하는 부분에 대향하는 위치에 개구부가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에어백이 팽창 전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2. 청구항 1에 기재의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스 정류 부재의 외주위 측에 상기 에어백이 포개 접어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3.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의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스 정류 부재가 통 형상으로서, 상기 에어백에는 인플레이터와 연통하는 연통구가 형성되고, 가스 정류 부재가 상기 연통구 주변으로부터 에어백의 전 개 초기에 팽창하는 부분의 근방까지 연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4. 청구항 1에 기재된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스 정류 부재가 직포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5. 청구항 1에 기재된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스 정류 부재가 상기 인플레이터의 열이나 충격적인 압력으로부터 에어백을 보호하는 기능을 가지는 부재로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6. 청구항 1에 기재된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가 에어백을 덮은 상태로 수납하는 직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7. 청구항 1에 기재된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가 에어백 커버에 수납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8. 청구항 7에 기재된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커버가 그 이면에 인플레이터의 가스 발생시에 파열하여 에어백의 전개구를 이루는 티아라인이 설치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9. 청구항 1에 기재된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내에는 에어백의 승차원측으로의 늘어나기 시작한 길이를 규제하는 규제 벨트가 배치 설치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KR1020077028434A 2005-06-08 2006-06-07 에어백장치 KR1013011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68867 2005-06-08
JP2005168867A JP4848141B2 (ja) 2005-06-08 2005-06-08 エアバッグ装置
PCT/JP2006/311438 WO2006132280A1 (ja) 2005-06-08 2006-06-07 エアバッグ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6538A KR20080026538A (ko) 2008-03-25
KR101301134B1 true KR101301134B1 (ko) 2013-09-03

Family

ID=37498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8434A KR101301134B1 (ko) 2005-06-08 2006-06-07 에어백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854446B2 (ko)
EP (1) EP1889759B1 (ko)
JP (1) JP4848141B2 (ko)
KR (1) KR101301134B1 (ko)
CN (1) CN101193776B (ko)
AU (1) AU2006256054B2 (ko)
WO (1) WO20061322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73035A1 (ja) * 2004-01-30 2005-08-11 Ashimori Industry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JP4836494B2 (ja) 2005-06-08 2011-12-14 芦森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KR101359432B1 (ko) 2005-07-07 2014-02-07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에어백 장치
JP4780756B2 (ja) * 2005-07-07 2011-09-28 芦森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5158663B2 (ja) * 2005-09-08 2013-03-06 芦森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5187816B2 (ja) * 2007-08-13 2013-04-24 芦森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WO2009093389A1 (ja) * 2008-01-24 2009-07-30 Autoliv Development Ab 頭部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US8480124B2 (en) 2011-01-18 2013-07-09 Autoliv Asp, Inc. Seat bolster chamber
JP2012171412A (ja) * 2011-02-18 2012-09-10 Toyoda Gosei Co Ltd エアバッグの仮保持方法及び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
JP4979148B2 (ja) * 2011-04-13 2012-07-18 芦森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DE102011108348A1 (de) * 2011-07-25 2013-01-31 Trw Automotive Gmbh Zugmittel, Gassackmodul mit Zugmitte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Zugmittels
JP5950443B2 (ja) * 2012-04-23 2016-07-13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のケース体
CN105539352B (zh) * 2015-12-11 2018-03-20 李金秀 具有快充结构的安全气囊
WO2019069796A1 (ja) 2017-10-05 2019-04-11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エアバッグ装置
KR20220061216A (ko) * 2019-09-17 2022-05-12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
US11180103B2 (en) 2019-10-28 2021-11-23 Autoliv Asp, Inc. Frontal airbag systems
KR20220158442A (ko) * 2021-05-24 2022-12-0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보행자에어백 쿠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3143A (ja) * 1999-12-08 2001-06-19 Toyo Tire & Rubber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JP2002166808A (ja) * 2000-11-30 2002-06-11 Nippon Plast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2969Y2 (ja) 1989-08-25 1996-10-02 芦森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3168591B2 (ja) * 1991-03-12 2001-05-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US7481453B2 (en) * 1991-07-09 2009-01-27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Inflator system
US5174601A (en) * 1991-08-29 1992-12-29 General Motors Corporation Inflation gas flow directing member for air bag system
JP3467114B2 (ja) 1995-03-29 2003-11-17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EP0783995B1 (en) * 1995-08-21 2002-11-27 Toyoda Gosei Co., Ltd. Air bag device
JP3357939B2 (ja) * 1995-08-21 2002-12-16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CN1068837C (zh) * 1996-01-12 2001-07-25 丰田合成株式会社 气囊装置
JP3038254U (ja) 1996-11-29 1997-06-10 カワサキ技研株式会社 茶園等の管理装置
DE29800444U1 (de) * 1998-01-13 1998-04-23 Trw Automotive Safety Sys Gmbh Flammschutz für einen Gassack
JPH11245757A (ja) 1998-02-27 1999-09-14 Nippon Plast Co Ltd 自動車の側突用エアバッグ装置
JPH11278189A (ja) 1998-03-27 1999-10-12 Toyo Tire & Rubber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JP3760638B2 (ja) * 1998-09-16 2006-03-29 タカタ株式会社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JP3731199B2 (ja) 1999-09-16 2006-01-05 関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の情報処理機器収納装置
JP4581244B2 (ja) * 2000-01-14 2010-11-17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及び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4635293B2 (ja) * 2000-04-07 2011-02-23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US6517100B2 (en) * 2000-05-19 2003-02-11 Trw Automotive Safety Systems Gmbh & Co. Kg Gas bag restraint device
JP3962207B2 (ja) * 2000-09-01 2007-08-22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車両用エアバッグ構造
JP2001180427A (ja) * 2000-11-27 2001-07-03 Toyo Tire & Rubber Co Ltd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のためのバッグ及びその製造方法
US6669229B2 (en) * 2001-03-22 2003-12-30 General Motors Corporation Automotive vehicle air bag system
DE20105002U1 (de) * 2001-03-22 2001-07-26 Trw Automotive Safety Sys Gmbh Fahrzeuglenkvorrichtung
US6899352B2 (en) * 2001-09-28 2005-05-31 Toyoda Gosei Co., Ltd Airbag device
US6962366B2 (en) * 2002-06-11 2005-11-08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Air bag device
JP2004314934A (ja) * 2003-04-02 2004-11-11 Takata Corp エアバッグ装置
WO2005073035A1 (ja) * 2004-01-30 2005-08-11 Ashimori Industry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JP4364081B2 (ja) * 2004-07-14 2009-11-11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DE202005016887U1 (de) * 2005-10-20 2006-01-19 Takata-Petri Ag Airbagmodul, insbesondere für einen Knieairbag
JP4746980B2 (ja) * 2005-12-19 2011-08-10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US7669882B2 (en) * 2006-10-13 2010-03-02 Tk Holdings, Inc. Airbag module
KR100844560B1 (ko) * 2006-11-16 2008-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백 장치
US7770922B2 (en) * 2008-09-04 2010-08-10 Autoliv Asp, Inc. Cushion and housing vents for inflatable cushion airbag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3143A (ja) * 1999-12-08 2001-06-19 Toyo Tire & Rubber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JP2002166808A (ja) * 2000-11-30 2002-06-11 Nippon Plast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89759B1 (en) 2012-03-28
KR20080026538A (ko) 2008-03-25
JP4848141B2 (ja) 2011-12-28
US7854446B2 (en) 2010-12-21
EP1889759A4 (en) 2010-03-10
AU2006256054A1 (en) 2006-12-14
EP1889759A1 (en) 2008-02-20
CN101193776B (zh) 2011-01-05
AU2006256054B2 (en) 2011-06-09
US20080265554A1 (en) 2008-10-30
JP2006341715A (ja) 2006-12-21
CN101193776A (zh) 2008-06-04
WO2006132280A1 (ja) 2006-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1134B1 (ko) 에어백장치
KR101301136B1 (ko) 에어백 장치
KR101359432B1 (ko) 에어백 장치
CN109476270B (zh) 后排座椅安全气囊模块
US5765863A (en) Airbag cushion having compression-deployed section
JP5187816B2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1301135B1 (ko) 에어백 장치의 조립 방법 및 에어백 장치
US6802528B2 (en) Air bag cushion energy diverter
JP2005153726A (ja)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4979148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4780756B2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0655209B1 (ko) 가슴 에어백의 쿠션
JP2007015542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