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1135B1 - 에어백 장치의 조립 방법 및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백 장치의 조립 방법 및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1135B1
KR101301135B1 KR1020077028435A KR20077028435A KR101301135B1 KR 101301135 B1 KR101301135 B1 KR 101301135B1 KR 1020077028435 A KR1020077028435 A KR 1020077028435A KR 20077028435 A KR20077028435 A KR 20077028435A KR 101301135 B1 KR101301135 B1 KR 101301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tether belt
hole
main body
inf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8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8179A (ko
Inventor
요시오 시마자키
세이치로 카무라
코우 사사키
Original Assignee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18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8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1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1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60R21/203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using modules containing inflator, bag and cover attachable to the steering wheel as a complete sub-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1Packaging straps or envelopes for inflatabl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46Soft diffu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021/2154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with embl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2Internal teth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y are folded
    • B60R2021/2375Fol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1/216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a tear line for defining a deployment opening
    • B60R21/21656Steering wheel covers or similar cup-shaped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y are fold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백 장치의 조립 방법 및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에어백 (10)의 인플레이터 장착구 주변을 쿠션 링(22)에 고정한 상태로 통 형상 테더 벨트 (11a)의 선단부 및 그 후단부에 일체로 연결된 에어백 (1O)을 전체 길이 위치까지 늘린 통 형상 테더 벨트(11a)를 늘린 채로 되돌려 에어백(10)을 상기 통 형상 테더 벨트(11a)의 주위에 되돌리고, 상기 통 형상 테더 벨트(11a)와 에어벡 (10)을 되돌리면서 포개 접는다. 다음에, 포개 접은 상기 테더 벨트(11a)의 상기 선단부를 에어백 (10)을 수납하는 커버 (16)의 이면 중앙부에 고정하는 에어백 커버 (16)으로의 에어백 장치의 조립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에어백 장치의 조립 방법 및 에어백 장치{METHOD OF ASSEMBLING AIRBAG DEVICE AND AIRBAG DEVICE}
본 발명은 에어백 장치의 조립 방법 및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의 운전석용의 에어백 장치로서 스티어링 장치의 스티어링 샤프트 연장상의 부분에 혼 장치 등의 장식용 부재를 고정하고 상기 장식용 부재의 주위에 포개 접혀진 에어백을 설치하고 수납하는 에어백 커버를 구비한 것이 있다. 그러나, 상기 에어백을 에어백 커버에 장착하여 에어백 장치를 조립하는데, 혼 장치의 장착 볼트에 에어백의 장착 볼트 삽입 구멍을 맞추어 장착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장착 작업에 시간이 걸림과 동시에 장착한 후에 상기 에어백의 인플레이터 장착구의 주변부를 고정 지지구로 고정할 때에, 상기 에어백의 인플레이터 장착구의 주변부에 손상이 생기는 우려가 있었다.
도 16은 그 일례를 나타내는 에어백 장치 (MR)이고, 도 17은 그 장치 (MR)에 장착하는 에어백의 사시도이다. 상기 에어백 장치는 차량의 스티어링 장치에 조립되어지는 것이고, 도 1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혼 장치 (40R), 에어백 (10R), 인플레이터 (30R) 및 에어백 커버 (16R)을 구비하고 있다. 덧붙여 종래 기술을 이하에 설명하기 위해 편의상 운전석측을 표면측 이 반대측을 이면측이라고 한다.
에어백 커버 (16R)의 오목부 (16aR)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고 있고, 혼 장치 (40R)의 이면측 중앙부의 장착 볼트 (40aR)을 그 구멍에 삽입 통과해 혼 장치 (40R)이 연결 부재 (20R)과 고정되고 있다. 연결 부재 (20R)은 에어백 (10R)을 협지하는 쿠션 링 (22R)과 인플레이터 (30R)을 고정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24R)의 사이에 협지되고 있다(도시하지 않음).
도 1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에어백 (10R)은 에어백 본체부 (10aR)과 에어백 본체부 (10aR)의 팽창 전개 길이를 규제하는 통 형상 테더 벨트(tether belt) (11aR)로 이루어지고 에어백 본체부 (10aR)은, 2매의 대략 원형상의 천의 외주위 테두리부 끼리를 봉합함으로 편평한 구 형상(타원체 형상)으로 팽창 전개 가능한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되고 있다. 에어백 본체부 (10aR)의 이면측의 대략 중앙부에는, 에어백 장착구멍 (10ahR)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에어백 장착구멍 (10ahR)의 주위에 상기 쿠션 링 (22R)의 나사를 삽입하는 나사 잠금용의 작은 구멍 (10bR)이 형성되고 있다. 에어백 (10R)의 본체부 (10aR)의 표면의 대략 중앙부의 삽입 통과 구멍 (10hR)에는 통 형상 테더 벨트 (11aR)이 형성되고 그 단부에는 상기 장식용 부재 장착 볼트 (40aR)을 삽입하는 장착 볼트 삽입 구멍 (11ahR)이 설치되고 있다.
상기 에어백 (10R)의 통 형상 테더 벨트 (11aR)은 에어백 커버 (16R)의 오목부 (16aR)과 연결 부재 (20R)과의 사이에 고정되고 한편, 에어백 (10R)의 인플레이터 장착구 (10ahR)은, 끼워 맞추어진 쿠션 링 (22R) 및 연결 부재 (20R)과 베이스 플레이트 (24R)의 사이에 고정되고 있다.
상기 에어백 (10R)을 에어백 커버 (16R)에 장착하는 순서는 에어백 커버 (16R)내에 에어백 (10R)을 삽입할 때에 에어백 커버 (16R)의 구멍과 에어백 (10R)의 통 형상 테더 벨트 (11aR)의 장착 볼트 삽입 구멍 (11ahR)의 위치를 일치시켜,다음에, 그 장착 볼트 삽입 구멍 (11ahR)에 연결 부재 (20R)의 구멍에 일치시켜, 그 연결 부재 (20R)에 베이스 플레이트 (24R)를 거듭한다.
그 후, 혼 장치 (40R)의 볼트 (40aR)을 에어백 커버 (16R)의 구멍에 삽입해 연결 부재 (20R)과 고정하지만, 에어백 (10R)의 통 형상 테더 벨트 (11aR)의 장착 볼트 삽입 구멍 (11ahR)의 위치가 상기 에어백 커버 (16R)의 구멍으로부터 어긋났을 경우에, 그 위치를 일치시키기 위해서 베이스 플레이트 (24R)의 인플레이터 장착구를 이용해 이면측으로부터 위치 맞춤을 실시한다. 이 경우, 연결 부재 (20R)의 표면측의 에어백 (10R)의 통 형상 테더 벨트 (11aR)의 장착 볼트 삽입 구멍 (11ahR)이 연결 부재 (20R)의 표면측에 감추어져, 그 장착 볼트 삽입 구멍 (11ahR)의 위치 맞춤이 곤란해져 작업시간이 늘어난다. 또, 끼워 맞춰진 쿠션 링 (22)및 연결 부재 (20R)과 베이스 플레이트 (24R)의 사이에 협지되고 있는 에어백 (10R)의 인플레이터 장착구 (10ahR)의 주변부를 고정할 때에, 쿠션 링 (22R)의 엣지에 의해 에어백 (10R)의 인플레이터 장착구 (10ahR)의 주변부가 손상하는 우려가 있다.
특허 문헌1:일본국 특원2004-22943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에어백 장치의 조립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또, 에어백 장치의 조립시에 베이스 플레이트의 엣지에 의해 에어백을 손상하지 않게 하는 것이다.
청구항 1의 발명은, 에어백 장치의 조립 방법으로서, 표면측 및 이면측 기초천에 의해 주머니 형상으로 구성되고 또한 그 이면측 기초천의 중앙에 인플레이터 장착구가 설치되고 또, 표면측 기초천의 중앙 위치로부터 주머니 형상 내부에 늘어나는 통 형상 테더 벨트를 구비한 에어백의 에어백 커버로의 장착 방법으로서, 상기 에어백의 인플레이터 장착구 주변을 고정하고, 통 형상 테더 벨트의 선단부 및 그 후단부에 일체로 연결된 에어백을 전체 길이 위치까지 늘리는 공정, 통 형상 테더 벨트를 늘린 채로 되돌려 에어백을 상기 통 형상 테더 벨트의 주위에 포개 접는 공정, 상기 통 형상 테더 벨트와 에어백을 되돌리면서 포개 접는 공정, 포개 접은 상기 테더 벨트의 상기 선단부를 에어백을 수납하는 커버의 이면 중앙부에 고정하는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에어백 장치의 조립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은 상기 에어백의 인플레이터 장착구 주변에 삽입한 중앙부에 구멍을 가지는 쿠션 링을 구비하고 상기 쿠션 링을 고정해 통 형상 테더 벨트의 선단부 및 그 후단부에 일체로 연결된 에어백을 전체 길이 위치까지 늘리는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의 에어백 장치의 조립 방법에 있어서, 상기 포개 접어진 에어백에 중앙 구멍을 가지는 연결 부재를 삽입하는 공정, 상기 통 형상 테더 벨트의 장착구멍과 상기 쿠션 링의 중앙부의 구멍과 상기 연결 부재의 중앙 구멍과 에어백 커버의 중앙부의 구멍을 위치 맞춤 해 연결하는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3에 기재의 에어백 장치의 조립 방법에 있어서, 또한 상기 연결 부재에 베이스 플레이트를 겹쳐 장착하는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에어백 장치로서 상기 에어백 장치의 중앙부에 설치된 장식용 부재와 그 주위에 포개 접어진 에어백을 수납하는 에어백 커버와, 상기 에어백 커버에 장착된 인플레이터를 구비한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식용 부재와 상기 에어백의 인플레이터 장착구에 삽입된 쿠션 링에 연결 부재를 끼워 맞추어 장착하고, 상기 연결 부재에 베이스 플레이트를 겹쳐 장착하고 상기 에어백의 인플레이터 장착구의 주변부에 상기 주변부를 보호하는 주변 보호 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에어백 장치의 핸들에 대한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로 본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베이스 플레이트 (24)의 이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연결 부재 (20)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나타내는 쿠션 링 (22)의 정면도 및 그 일부를 단면에서 가리킨 측면도이다.
도 6은 팽창 상태의 에어백 (10) 내부를 나타내는 투시 사시도 및 동 에어백 (10)의 비팽창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에어백 포개 접는 기계를 이용해 에어백을 포개 접는 조작 순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8은 유지 부재 (14)의 에어백 (10)을 덮기 전의 전개도이고, 포개 접어진 이면측의 에어백 (10)의 사시도이고, 에어백 (10)을 유지 부재 (14)로 덮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유지 부재 (14)로 덮은 에어백 (10)의 이면도이다.
도 9는 인플레이터 장착구 (10ah)의 주변부 (10d)를 보호하는 주변 보호 부재 (70)의 전개도이다.
도 1O은 에어백 커버 (16)의 사시도 및 이면도이다.
도 11은 개방한 상태의 각 커버 부품 (16b)를 승차원측에서 본 도이다.
도 12는 에어백 장치 (M1)의 전개 동작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은 제2 실시 형태인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 (M2)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는 보호 부재 (12A), 에어백 (10A) 및 유지 부재 (14A)의 협지 고정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5는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 (M3)의 개략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16은 종래의 에어백 장치 (MR)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7은 종래의 에어백의 사시도이다.
**주요 부위를 나타내는 도면부호의 설명**
10a···에어백 본체, 11a···통 형상 테더 벨트, 12···보호 부재,
14···유지 부재, 16···에어백 커버, 20···연결 부재,
22···쿠션 링, 24···베이스 플레이트, 30···인플레이터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인 운전석용의 에어백 장치 (M1)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해 설명한다. 도 1은 에어백 장치의 핸들에 대한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도 2는 도 1의I-I로 본 횡단면도이다. 에어백 장치 (M1)은, 도 1및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차량의 핸들 중앙부에 조립되어지는 것이고, 장식용 부재 (40), 에어백 (10) 및 에어백 커버 (16)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편의상 승차원측을 표면측, 이 반대측을 이면측이라고 한다.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에어백 커버 (16)에는 에어백 본체부 (10a)와 그 본체부 (10a)의 늘어나기 시작하는 길이를 규제하는 통 형상의 테더 벨트 (11a)로 이루어지는 에어백 (10)이 승차원측 방향으로 코니스 형상으로 포개 접어진 상태로 에어백 커버 (16)내에 수납되고 있다. 그리고, 에어백 (10)은, 에어백 (10)의 외주위 측면을 눌러 에어백 측면 방향의 팽창 전개를 억제하도록 유지 부재 (14)로 덮여 있다. 그리고, 에어백 본체부 (10a)와 유지 부재 (14)는 에어백 (10)내에 삽입된 쿠션 링 (22)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 (24)에 고정되고 있다. 또, 에어백 커버 (16)은 이들을 덮도록 해 베이스 플레이트 (24)에 고정되고 있다.
한편, 통 형상의 테더 벨트 (11a)의 단부는 에어백 커버 (16)의 승차원 측면으로 형성된 오목부 (16a)의 배후 측에 위치하고, 상기 장식용 부재 (40)의 이면 측에 돌출한 장착 볼트 (40a)를 연결 부재 (20)에 너트로 고정함으로써, 이들의 부재간에 협지되고 있다. 또 연결 부재 (20)의 단부는 상기 쿠션 링 (22)와 베이스 플레이트 (24)와의 사이에 협지되고, 베이스 플레이트 (24)에 대해서 고정되고 있다. 또한 후에 상세히 설명하지만, 부호 12는 정류 보호 부재로, 부호 11c는 상기 에어백 본체부 (10a)에 통 형상 테더 벨트 (11a)를 봉합한 봉제부이다.
이하에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24), 연결 부재 (20) 및 쿠션 링 (22)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베이스 플레이트 (24)의 이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베이스 플레이트 (24)는 대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있어 그 중앙부에 인플레이터를 끼워 장착 가능한 구멍 (24h)가 형성됨과 동시에, 4개의 에어백 커버용 장착 부품 (24a)와 베이스 플레이트 (24) 자체의 장착을 위한 한 쌍의 장착 부품 (24b)가 상기 원판면으로부터 잘라 세워 형성되고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24)는 인플레이터 (30), 에어백 (10) 및 전술한 장식용 부재 (40)을 일체적으로 고정하고 또한 상기 한 쌍의 장착 부품 (24b)는 핸들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인플레이터 (30)은 개략 두꺼운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있어 소정의 충격 검지시에 가스를 토출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상기 인플레이터 (30)은 그 가스 토출구멍 (30a)가 형성된 인플레이터 윗쪽 부분이 베이스 플레이트 (24)의 구멍 (24h)를 관통하고, 한편, 인플레이터 (30)의 두께 방향 대략 중간부에 형성된 플랜지부를 베이스 플레이트 (24) 이면측에 밀접시키고, 베이스 플레이트 (24)의 장착구멍 (24c)를 개재시켜, 쿠션 링 (22)와 함께 베이스 플레이트 (24)에 고정된다. 즉, 인플레이터 (30)의 가스 토출구멍 (30a)가 베이스 플레이트 (24)의 표면측으로 돌출 배치된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인플레이터 (30)으로부터의 토출 가스가, 베이스 플레이트 (24)의 표면측에서 토출되게 되어 있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연결 부재 (20)의 사시도이다. 연결 부재 (20)은, 장착 볼트 (40a)가 끼워 맞추는 구멍 (20ah)를 구비한 중앙부 (20a)와 그 양측으로 이것과 대략 직각으로 절곡 형성된 다리부 (20b)와 또 다리부 (20b)에 대략 직각으로 절곡 형성된 장착 발 (20c)로 이루어지는 판 형상의 금속 부품으로 구성되고 있다. 또, 상기 장착 발 (20c)에는 후술 하는 쿠션 링 (22)의 장착 구멍 (22a) 및 베이스 플레이트 (24)의 장착 구멍 (24c)에 대응한 장착구멍 (20e)가 형성되고 있고 쿠션 링 (22)에 형성된 볼트 (22d)에 의해 동시 고정되게 되어 있다.
도 5A는 도 2에 나타내는 쿠션 링 (22)의 정면도, 도 5B는 그 일부를 단면에서 가리킨 측면도를 나타낸다. 쿠션 링 (22)는 도 5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대략 사각형상을 이루고, 그 중앙부에는 인플레이터 (30)의 삽입 구멍 ((22h))가 설치되고 또 상기 삽입 구멍 ((22h))의 주위의 각 구석부에는 쿠션 링 (22)를 베이스 플레이트 (24)에 장착하기 위한 볼트 (22d)가 그 이면 측에 설치되고 있다. 또, 쿠션 링 (22)의 이면은 베이스 플레이트 (24)의 표면 측에 에어백 (10)을 개재시켜 접할 수 있는 당접면 (22B)를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당접면 (22B)에는 그 측면도인 도 5B로부터 알 수 있듯이, 예를 들면 교형가공으로 형성된 오목 형상부 (22c)가 형성되고 있다. 상기 오목 형상부 (22c)의 조임은 쿠션 링 (22)를 연결 부재 (20)에 연결했을 때, 상기 연결 부재 (20)의 장착 발 (20c)의 두께에 대략 비등한 깊이로 형성되고 있다.
도 6A 및 6B를 참조해 에어백 (10)을 설명한다.
도 6A는 팽창 상태의 에어백 (10) 내부를 나타내는 투시 사시도이고, 도 6B는 동에어백 (10)의 비팽창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간이화하기 위하여 통 형상 테더 벨트 (11a)내의 장식용 부재 (40)등 그리고 상기 장식용 부재 (40)과 결합된 인플레이터 (30) 등은 도시하고 있지 않다. 에어백 본체부 (10a)는 2매의 대략 원형의 천의 바깥 둘레부 끼리를 봉합함으로써 편평한 구 형상(타원체 형상)으로 전개 가능한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되고 있다. 에어백 본체부 (10a)의 표면측 대략 중앙부에는 에어백 커버 (16)의 오목부 (16a)가 삽입되는 원형상의 절결부 (10h)가, 그리고 그 이면측의 대략 중앙부에는 인플레이터와 연통해 발생하는 가스를 에어백 내부에 도입하기 위한 인플레이터 장착구 (10ah)가 형성됨과 동시에, 그 인플레이터 장착구 (10ah)의 주변부 (10d)에 쿠션 플레이트 (22)의 볼트 (22d, 도 5B참조)를 통하기 위한 4개의 작은 구멍 (10b)가 형성되고 있다.
상기 에어백 (10)의 인플레이터 장착구 (10ah) 주변에는 인플레이터의 발생하는 열이나 충격적인 압력으로부터 에어백을 보호하는 보호 부재 (12)가 주변부 (10d)에 겹쳐서 봉합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보호 부재 (12)를 가스의 유출 방향을 정류하여, 에어백의 전개 초기에 팽창하는 부분(유지 부재 (14)의 원형의 파단 예정부로부터 전개하는 에어백 부분)의 근방까지 가스를 안내하는 기능을 가지는 가스 정류 부재로서도 사용하고 있다.
도 6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보호 부재 (12)는 예를 들면 직포제로, 그 형상은 동심원 형상으로 그 내주위의 직경은, 인플레이터 장착구 (10ah)의 내주위의 직경과 같고, 그 외주위의 직경은, 예를 들면 내주위의 직경의 3배 이상의 크기로 작성되고 있다. 상기 보호 부재 (12)를 상기 인플레이터 장착구 (10ah)에 장착할 때에는, 상기 보호 부재 (12)의 내주위 테두리를 상기 인플레이터 장착구 (10ah)의 주위 테두리와 맞추어 주변부 (10d)의 외주위부 (10d') 및 그 동심원의 외주위부 (12')와 함께 봉합한다. 상기 보호 부재 (12)는 열이나 가스압의 충격을 보호하는 보호 부재와 가스를 정류하는 정류 부재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보호 부재 (12)는 1매라도 좋지만, 2매 이상으로서도 좋고 가스 정류 부재는 이들의 보호 부재 (12)의 1매 또는 복수매를 이용해도 괜찮다.
에어백 (10)은 에어백 본체 (10a)와 에어백 (10)의 늘어나기 시작하는 길이를 규제하는 통 형상 테더 벨트 (11a)로 구성되고 있고, 상기 에어백 본체 (10a)는 2매의 대략 원형상의 기초천(표면 부분의 기초 천과 배후 부분의 기초 천)의 바깥 둘레부 끼리를 봉합해 봉제부 (10c)를 설치하고, 봉제한 에어백의 내외면을 반전함으로써 편평한 구 형상(타원체 형상)으로 전개 가능한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한다.
도 6B로부터 알 수 있듯이, 2매의 대략 원형상의 기초 천의 크기는 대략 같다. 그리고, 에어백 (10)은 도 6A의 에어백의 늘어나기 시작하는 방향(도중 윗쪽)으로 거의 전체 길이를 편 상태로부터 상하에 압축하도록 코니스 형상으로 포개 접어져 에어백 커버 (16)내에 수납되고 있다. 이 때 에어백 본체 (10a) 뿐만이 아니고 통 형상 테더 벨트 (11a)도 통 길이 방향으로 코니스 형상으로 포개 접어진다. 또한 상기 거의 전체 길이를 편 상태에 있어서, 상기 통 형상 테더 벨트 (11a)의 길이는 상기 표면 부분의 기초 천의 에어백 본체 (10a)의 길이 및 배후 부분의 기초 천의 에어백 본체 (10a)의 길이에 대략 비등하다.
다음에, 상술한 에어백 (10)이 도 6A의 에어백의 늘어나기 시작하는 방향 (도중 윗쪽)으로 거의 전체 길이를 편 상태로부터 상하에 압축하도록 코니스 형상으로 포개 접는 방법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상기 에어백 (10)을 포개 접는데는 에어백 포개 접는 기계를 이용해 실시한다. 도 7A 내지 7H는 그 에어백 포개 접는 기계를 이용해 에어백을 포개 접는 조작 순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그 개념도를 이용해 에어백의 포개 접는 조작 순서를 설명한다.
상기 에어백 포개 접는 기계 (60)은, 도 7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원주상의 통 형상 테더 벨트 (11a)를 지지하는 지지구 (62) 및 그것과 같은 축으로 또한 외측에 에어백 (10)을 수납하는 외통실린더 (63)을 가지는 테이블 (61)과 상기 지지구 (62)의 수직 윗쪽 위치에 상기 지지구 (62)와 동일한 외경을 갖고, 테더 벨트 (11a)의 상단을 지지구 (62)와의 사이에 협지 하는 원주상의 협지구 (64)(도 7c참조)를 지지하는 지지부(도시하지 않음)로 이루고 있다. 상기 지지구 (62)의 외경은 쿠션 링 (22)의 삽입 구멍 ((22h))의 내경보다 작기 때문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구 (62)가 상기 삽입 구멍 ((22h))를 삽입 통과해 상승할 수가 있다.
에어백 (10)은 에어백 (10)의 인플레이터 장착구 (10ah)의 주변부 (10d;도 6A참조)에 형성된 4개의 작은 구멍 (10b)에 도 7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쿠션 링 (22)의 볼트 (22d)가 삽입 통과되고 있어 그 볼트 (22d)를 상기 테이블 (61)의 지지구 (62)의 외주위 상단면에 설치된 4개의 구멍에 걸어 고정한다. 상기 삽입 구멍 (22h)를 삽입 통과하여 상승한 지지구 (62)의 머리 부분이 통 형상 테더 벨트 (11a)의 통안에 삽입되고 그 바깥쪽으로는 에어백 본체 (10a)가 평평한 상태로 테이블 (61)상에 놓여져 있다.
도 7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도 7A에 나타낸 지지구 (62)의 머리 부분이 쿠션 링 (22)의 삽입 구멍 (22h)를 삽입 통과해 통 형상 테더 벨트 (11a)의 통안에 삽입된 상태로부터 또한 상기 통 형상 테더 벨트 (11a)의 하단을 밀어 올리면 에어백 본체 (10a)나 추종해 밀어 올려진다.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통 형상 테더 벨트 (11a)의 길이는 에어백 본체 (10a)의 길이가 대략 절반으로 비등하므로 지지구 (62)는 테이블 (61)로부터 상기 통 형상 테더 벨트 (11a)의 길이가 최대한 약 3배의 높이의 위치까지 상승해 그 위치에서 정지하여 상기 지지구 (62)의 선단부에 있는 볼록부에 상기 통 형상 테더 벨트의 장착구멍 (11ah)를 수작업으로 삽입 통과해, 통 형상 테더 벨트 (11a)를 위치 결정 한다.
도 7c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협지구 (64)가 하강해 상기 위치 맞춤된 통 형상 테더 벨트 (11a)를 상기 지지구 (62) 및 협지구 (64)로 협지 해, 그 협지 상태를 유지해 지지구 및 협지구 (62, 64)가 하강한다. 도 7D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지지구 (62) 및 협지구 (64)가 통 형상 테더 벨트 (11a)의 절반의 길이의 위치까지 하강한 지점에서 동작을 정지하여 도 7D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수작업으로 외측의 에어백 본체 (10a)를 윗방향으로 이끌어 올린다. 이것에 의해, 통 형상 테더 벨트 (11a)가 그 대략 중간의 위치에서 포개 접어진다.
도 7E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테이블 (61)으로부터 외통실린더 (63)이 전술의 통 형상 테더 벨트 (11a)의 상단의 협지 위치까지 상승하고 에어백 (10)을 외통실린더 (63)과 지지구 (62)의 사이에 수납한다. 도 7F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그 위치에서 외통실린더 (63)의 좌우 방향으로부터 좌우 대칭으로 반원형의 구멍을 가지는 2매의 플레이트 (65)가 외통실린더 (63)의 상단을 슬라이딩하여 협지구 (64)의 하단부에 설치된 끼워 맞춤 홈(도시하지 않음)에 끼워 맞춘다.
도 7G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이 상태로 지지구 (62), 협지구 (64) 및 외통실린더 (63)을 동시에 하강함으로써 포개 접어진 통 형상 테더 벨트 (11a)는 자신이 겹친 상태로 에어백 본체 (10a)와 함께 압축되면서 코니스 형상으로 포개 접어진다. 에어백 (10)의 압축이 종료하면(도 7H참조) 상기 플레이트 (65)를 제거한 후에 지지구 (62), 협지구 (64) 및 외통실린더 (63)이 동시에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 에어백 (10)의 포개 접는 작업을 종료한다.
또한 에어백 (10)의 전체 길이를 편 상태에 있어서 통 형상 테더 벨트 (11a)의 길이를 에어백 본체 (10a)의 길이가 대략 절반에 비등하게 하여 에어백 (10)의 길이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 길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지지구 (62)의 정지하는 위치, 지지구 (62) 및 협지구 (64)가 하강해 정지하는 위치는 에어백 (10)의 길이에 따라 그 위치가 결정되는 것이다.
도 8A는 유지 부재 (14)의 에어백 (10)을 덮기 전의 전개도이다. 상기 유지 부재 (14)는 직포제로 대략 정방형의 형상이고, 그 중앙에는 원형의 장착 볼트 삽입 구멍 (14hh)가 설치되고 대략 정방형의 4변의 중심과 대각선상의 단변에 상기 쿠션 링 (22)의 볼트 (22d)에 걸리는 8개의 구멍 (14ah, 14bh)가 설치되고 있다. 유지 부재 (14)의 상기 장착 볼트 삽입 구멍 (14hh)는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유지 부재 (14)로 덮인 에어백 (10)을 에어백 커버 (16)에 수납할 때에, 도 2에 나타낸 장착 볼트 (40a)에 삽입 통과하기 위한 구멍이다. 부호 14h는, 유지 부재 (14)에 설치된 미싱눈으로 이루어지는 대략 원형의 파단 예정부이고, 에어백의 전개 초기시에 파단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고, 그 크기는 에어백 커버 (16)의 오목부 (16a) 및 장식용 부재 (40)의 직경이 통과 가능한 크기를 가지고 있다.
도 8B는 에어백 (10)을 덮기 전의 유지 부재 (14)와 기술한 에어백 포개 접는 기계 (60)으로 포개 접어진 에어백 (10)의 이면측의 사시도이다. 포개 접어진 에어백 (10)으로부터 돌출하는 쿠션 링 (22)의 볼트 (22d)에 상기 유지 부재 (14)의 4개의 작은 구멍 (14ah)를 걸게 한다. 그 후에 대각선상에 위치 하는 구멍 14bh를 대향하는 2개소의 볼트 (22d)에 모두 건다.
도 8c는 포개 접어진 에어백 (10)을 유지 부재 (14)로 덮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에어백 (10)을 유지 부재 (14)로 덮을 때에는, 도 6A에 나타낸 상기 통 형상 테더 벨트의 장착구멍 (11ah)가 유지 부재 (14)의 장착 볼트 삽입 구멍(14hh)와 겹치도록 해 에어백 (10)을 덮는다.
도 8D는 도 8c의 유지 부재 (14)로 덮은 에어백 (10)의 이면도이다. 보호 부재 (12)는 포개 접어진 에어백 (10)의 내부에 코니스 형상으로 들어가 있으므로, 이들을 일단 인출하여 도 8D(혹은 도 2)와 같이 포개 접어진 에어백 (10)의 내주위를 따르도록 배치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보호 부재 (12)는 가스 정류 부재로서의 기능을 발휘한다. 그리고, 상기 유지 부재 (14)로 가리는 것으로 상기 삽입 구멍 (14hh)와 겹쳐져 있던 상기 통 형상 테더 벨트의 장착 구멍 (11ah)가, 에어백 (10)의 인플레이터 장착구 (10ah)의 대략 중심, 환언하면 에어백의 전개 초기에 팽창하는 부분의 근방까지 형성된 보호 부재 (12)의 대략 중앙에 배치된다. 기술한 상기 인플레이터 장착구 (10ah)에 장착된 보호 부재 (12)는 도 8D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유지 부재 (14)로 유지된 상태에서는 표면이 겹겹이 포개 접어진 주름 (12a)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유지 부재 (14)로 유지된 에어백 (10)이 에어백 커버 (16)에 수납된 상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기 보호 부재 (12)는, 에어백 (10)의 인플레이터 장착구 (10ah)를 협지하는 쿠션 링 (22)로부터, 에어백의 전개 초기에 팽창하는 부분인 포개 접어진 통 형상 테더 벨트 (11a)의 선단의 근방까지, 에어백 (10)의 내벽을 따르도록 표면측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상기 상태의 상기 보호 부재 (12)의 형상은 통 형상이다. 상기 보호 부재 (12)는, 이와 같이 겹겹이 포개 접어진 주름 (12a)가 표면에 형성되고 있으므로, 에어백 (10)의 인플레이터 장착구 (10ah)의 주변을 열이나 가스압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보호 부재로서의 기능 및 그 형상이 통 형상이므로 가스를 정류하는 정류 부재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에어백 (10)의 이면측으로부터는 에어백 (10)이 포개 접을 때에 삽입해 둔 쿠션 링 (22)의 볼트 (22d)가 인플레이터 부착부 주변으로부터 돌출한 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한 구조의 유지 부재 (14)로 에어백 (10)을 덮는 것으로, 에어백 (10)의 외주위 측면을 누를 수 있으므로 에어백 (10)의 전개 초기에 인플레이터로부터 발생하는 가스에 의한 에어백 (10) 측면 방향의 팽창 전개를 억제할 수가 있다.
도 9는 상기 인플레이터 장착구 (10ah)의 주변부 (10d)를 보호하는 주변 보 호 부재 (70)의 전개도이다. 상기 주변 보호 부재 (70)은 직포제로 그 표면에는 실리콘 고무가 코팅되고 있다. 상기 주변 보호 부재 (70)은 대략 원형상이고, 그 중앙에는 인플레이터 (30)을 삽입하는 삽입 구멍 (70ah)가 설치되고 그 바깥쪽 원주상에 상기 볼트를 삽입 통과하는 4개의 구멍 (70b)가 형성되고 있다. 상기 주변 보호 부재 (70)은 쿠션 링 (22) 위로부터 연결 부재 (20)이 끼워 넣어지고 에어백 (10)이 양쪽 부재 (20, 22)로 협지하여 고정될 때에, 그 인플레이터 장착구 (10ah)의 주변부 (10d)가 상기 연결 부재 (20)의 엣지에 의해 손상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도 8B로 나타낸, 에어백 (10)을 유지 부재 (14)로 덮는 순서에서는, 상기 주변 보호 부재 (70)을 생략하여 설명했지만, 상기 4면의 중앙에 있는 볼트 (22d)에 걸리는 유지 부재 (14)의 구멍 (14ah)를 상기 볼트 (22d)에 걸기 전에, 상기 볼트 (22d)에 상기 주변 보호 부재 (70)의 구멍 (70b)를 삽입 통과해 재치하고 그 후에, 에어백 (10)을 유지 부재 (14)로 덮는다.
보호 부재 (12)의 재질이 에어백 (10)과 동일하게 직포제인 경우에는, 기술한 것처럼 인플레이터 장착구 (10ah)의 주변부 (10d)에 소정의 폭의 천을 겹쳐 봉합한 보호 부재 (12)를 원통 형상으로 배치하면 좋다. 보호 부재 (12)의 길이는, 에어백 (10)의 전개 초기에 팽창하는 부분의 근방에 닿는 길이가 필요하고, 예를 들면 포개 접어진 통 형상 테더 벨트 (11a)의 선단에 닿는 길이가 바람직하다.
보호 부재 (12)의 재질은 에어백 (10)의 재질과 다른 재료, 예를 들면 합성 수지제 시트도 좋고 가스를 정류하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고 유연성이 있는 재질의 것이면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에어백 (10)과 합성 수지제 시트를 적절한 수단으로 고착하면 좋다.
보호 부재 (12)를 에어백 (10)에 고착하지 않고 별체의 것으로 해 실시할 수도 있다. 별체의 경우, 보호 부재 (12)는 합성 수지제 시트로 한정되지 않고 금속제의 것도 좋고 그 경우에도 인플레이터의 가스가 에어백의 전개 초기에 팽창하는 부분에만 가스가 흐르도록 정류하면 좋다. 보호 부재 (12)는 상기 쿠션 링 (22)의 볼트 (22d)에 일체적으로 체결해도 좋고 완전하게 별체로서 장착하여도 괜찮다. 또 베이스 플레이트 (24)에 용접하거나 혹은 깊이 돌리기로 형성해도 좋다.
그 후의 에어백 장치 (M1)의 조립 작업은 상술한 작업과 같다. 기술한 것처럼 보호 부재 (12)의 길이는, 에어백의 전개 초기에 팽창하는 부분의 근방에 닿는 길이가 필요하고, 바람직하게는 포개 접어진 통 형상 테더 벨트 (11a)의 선단에 닿는 길이가 필요하다.
도 10A는 에어백 커버 (16)의 사시도이다. 에어백 커버 (16)은 도시와 같이 합성 수지에 의해 대략 완장 형상으로 형성되고 있어 그 중앙부분에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장식용 부재 (40)을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 (16a)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에어백 커버 (16)은 그 장착 부품 (24a)를 개재시켜 베이스 플레이트 (24)에 리벳으로 고정된다. 또한 에어백 커버 (16)의 오목부 (16a)에 장식용 부재 (40)을 장착한 상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그 장식용 부재 (40)의 표면은 에어백 커버 (16)의 표면과 대략 면일치 상태가 된다.
도 10B는 에어백 커버의 이면도이다. 도시와 같이 에어백 커버 (16)의 이면 에는 에어백 (10)의 팽창 전개에 있어 연결 부재 (20)에 의해 고정된 중앙의 오목부 (16a)를 남겨 파열 가능한 홈 형상의 티아라인(L1~L4, Lc)이 형성되고 있다. 즉, 에어백 커버 (16)의 이면에는 에어백이 팽창 압력을 받으면 오목부 (16a)를 남겨 복수개의 커버 부품 (16b)으로 분할할 수 있도록 오목부 (16a)의 주위에 원형의 티아라인 (Lc) 및 상기 티아라인 (Lc)로부터 방사형상으로 늘어난 복수, 예를 들면 4개의 티아라인 (L1~L4)로부터 완성되는 일련의 티아라인이 설치되고 있다. 또, 에어백 커버 (16)은 에어백 (10)의 팽창시에 각 커버 부품 (16b)으로 분할되고 또한 각각이 독립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고정되고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인플레이터 (30)이 작동해 에어백 (10)이 가스압에 의해 팽창 전개하면 그 힘으로 에어백 커버 (16)이 장식용 부재 (40) 주위의 티아라인 (L)부분에서 눌러 나누어져 갈라진 커버 부품이 완장 형상의 중앙의 오목부 (16a)를 남겨 각각 외측으로 열려, 전술한 것처럼 완전하게 분리되어 각각이 독립해 개방한다.
도 11은, 개방한 상태의 각 커버 부품 (16b)를 승차원측에서 본 도이다. 도시와 같이 에어백 커버 (16)은 에어백 (10)의 전개시에 각 커버 부품 (16b)으로 분할되는 것으로 에어백 (10)이 유지 부재 (14)의 파단 예정부 (14h)를 통과한 후는 측면 방향으로의 전개를 저해하지 않게 되어 있다. 또한, 간이화하기 위하여 에어백 등을 도시하고 있지 않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유지 부재 (14)로 유지된 에어백 (10)을 에어백 커버 (16)내에 수납하고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에어백 (10)을 유지 부재 (14) 로 유지하는 대신에, 에어백 커버 (16)만으로 유지해 수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에어백 커버 (16)의 측면이 도 11로 나타난 바와 같이 에어백 (10)의 전개 후에 파열하는 경우가 없고, 도 8A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유지 부재 (14)의 대략 원형의 파단 예정부 (14h)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부와 같은 형상의 티아라인을 에어백 커버 (16)내에 형성함으로써, 유지 부재 (14)를 이용하는 경우 없이 에어백 (10)을 에어백 커버 (16)만으로 유지해 수납할 수가 있다. 상기 에어백 커버 (16)내에 형성하는 개구부 형상의 티아라인은 상기 보호 부재 (12)가 가스를 정류해 안내하는 에어백의 전개 초기에 팽창하는 부분의 대향 하는 위치에 설치한다.
여기서, 에어백 장치 (M1)의 조립 순서에 대해서 도 3 내지 5, 도 8및 10을 참조해 설명한다.
조립시에는, 에어백 커버 (16)에 미리 쿠션 링 (22)가 그 내부에 수납되고 유지 부재 (14)로 포장된 에어백 (10)을 에어백 커버 (16)의 중앙부에 설치한 구멍 (16ah)와 에어백 (10)의 통 형상 테더 벨트 (11a)의 장착구멍 (11ah)의 위치를 맞추어 수납한다. 그리고, 연결 부재 (20)을 그 중앙부의 구멍 (20ah)와 상기 통 형상 테더 벨트의 장착구멍 (11ah)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에어백 (10)안에 삽입함과 동시에, 도 8D로 나타낸 에어백 (10)안에 삽입된 쿠션 링 (22)의 오목 형상부 (22c)로부터 돌출하고 있는 볼트 (22d)에 연결 부재 (20)의 구멍 (20e)를 삽입해 장착 발 (20c)를 상기 오목 형상부 (22c)에 끼워 넣는다.
그리고, 표면측으로부터 장식용 부재 (40)의 장착 볼트 (40a)를 에어백 커버 (16)의 오목부 (16a)의 구멍 (16ah)에 삽입 통과함으로써 그 구멍 (16ah)의 위치에 맞추어 배치되고 있는 상기 에어백 커버 (16)의 구멍(16ah), 에어백 (10)의 통 형상 테더 벨트의 장착구멍 (11ah) 및 연결 부재 (20)의 중앙부의 구멍 (20ah)의 각 구멍에 상기 장착 볼트 (40a)를 삽입 통과한다. 상기 장착 볼트 (40a)에 너트를 나합시킴에 따라, 상기 장착 볼트 삽입 구멍 (14hh) 및 통 형상 테더 벨트의 장착 구멍 (11ah)가, 에어백 커버 (16)의 오목부 (16a)와 연결 부재 (20)의 중앙부 (20a)와의 사이에 협지 고정된다.
다음에, 쿠션 링 (22)의 볼트 (22d)에 베이스 플레이트 (24)의 구멍 (24c)를 삽입 통과해 양쪽 부재 (22 및 24)를 겹쳐 베이스 플레이트 (24)를 에어백 커버 (16)에 끼워 맞추고, 또한 볼트 (22d)에 인플레이터 (30)을 심어 넣고 볼트 (22d)에 너트를 나합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인플레이터 장착구 (10ah) 및 보호 부재 (12)가 쿠션 링 (22)와 연결 부재 (20)의 사이에 협지 고착된다. 이것에 의해 도 2에 나타내는 에어백 장치 (M1)의 조립이 완료한다.
상기 에어백 장치 (M1)의 전개 동작에 대해서 도 12A 및 12B를 참조해 설명한다. 우선, 차량 충돌시 등에 의한 충격 검지에 의해 인플레이터 (30)이 점화되어 상기 인플레이터 (30)에서 가스가 생성되고 이 가스가 에어백 (10)내에 도입된다. 에어백 커버 (16)은 에어백 (10)이 팽창하기 시작하면 그 힘을 받아, 티아라인 (L1~L4 및 Lc)를 따라, 즉 중앙의 오목부 (16a)를 남겨 갈라지고 각 에어 커버 부품 (16b)는 방사형상으로 확장한다.
에어백 커버 (16)이 갈라진 후 상기 에어백 (10)이 팽창하기 시작하는 초기 단계에서는 도 12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에어백 (10)내에 가스가 도입되면 전개 초기에 팽창을 개시하는 에어백 (10)의 기초 천의 중앙부와 통 형상 테더 벨트 (11a)가 봉합된 봉제부 (11c)로부터 팽창 전개하면서 상기 통 형상 테더 벨트 (11a)가 상기 오목부 (16a)를 감싸면서 에어백 (10)의 표면 부분이 승차원 측에 팽창한다. 상기 팽창 시에는, 상기 통 형상 테더 벨트 (11a)는 통 길이 방향으로 포개 접어지고 있으므로 늘어나기 시작할 시에 거의 저항을 받지 않는다. 상기 봉제부 (11c)로부터 팽창 전개할 때 에어백 (10)은 유지 부재 (14)의 파단 예정부 (14h)를 통과해 저항을 받으면서 승차원 측에 전개한다. 따라서, 어느 정도의 내압을 유지한 상태로 팽창하면서 포개 접는 수납 상태가 도중 부분에서 무너지는 경우가 없고, 승차원측의 표면 부분으로부터 차례로 승차원 측에 전개해 가게 된다.
그런데, 도 12A는 통 형상 테더 벨트 (11a)가 그 전체 길이를 다 늘린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승차원 측에 이면 부분의 일부가 팽창 전개하고 있지만, 에어백 (10)의 2매의 대략 원형상의 천의 외주위 원부 끼리를 봉합한 봉제부 (10c)의 위치가 핸들 (50)의 근방에 있고 이면 부분의 다른 부분은 유지 부재 (14)안에 아직 수납되고 있다. 에어백이 어느 정도 팽창한 후는 도 12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기 봉제부 (10c)의 위치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통 형상 테더 벨트 (11a)의 중심선 중앙으로 이동하여 편평한 구형상이 되어 팽창 전개를 완료한다. 부호 12는 가스 정류 부재이다.
이와 같이 통 형상 테더 벨트 (11a)가 전체 길이 늘어나 정지함에 따라, 에어백 (10)의 승차원측으로의 전개가 정지하도록 거동을 나타내는 것은, 파열의 힘을 구하기 위해서 에어백 커버 (16)내에서 에어백 내압이 일시적으로 커져, 에어백 커버 (16)의 파열 직후에, 그 내압에 의해 전술한 통 형상 테더 벨트 (11a)가 급속하게 늘어나기 시작하고 상기 움직임에 따라 에어백 (10)이 길어지기 시작하지만, 전개와 동시에 에어백 (10)의 용적은 급격하게 증대하기 때문에 내압은 급속히 저하한다. 그 때, 그 관성력으로 에어백 (10) 자체는 길어지기 시작하려고 하지만 통 형상 테더 벨트 (11a)가 늘어나기 시작하는 것의 정지와 유지 부재 (14)의 저항에 의해, 충분히 내압이 상승할 때까지, 에어백 (10)이 승차원측으로 전개하는 것을 정지한다고 하는 거동이 발생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그 후에 있어서의 승차원측으로의 전개 속도는, 에어백 (10)의 중앙부가 승차원측으로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유지 부재 (14)내에 남은 에어백 부분의 늘어나기 시작하는 것에 비교하고, 실제로는 절반으로 감속되어 승차원에 대한 가해성이 통 형상 테더 벨트 (11a)의 없는 것과 비교하면 더 감소한다.
상기 효과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통 형상 테더 벨트 (11a)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평탄한 통 형상 테더 벨트를 설치한 경우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다음에 제2 실시 형태인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 (M2)에 대해서 설명을 한다. 도 1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기 에어백 장치 (M2)는 포개 접어진 에어백 (10A)와 에어백 (10)에 팽창용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 (30A)와 에어백 (10A) 및 인플레이터 (30A)를 수납하는 대략 사각통 형상의 에어백 커버 (16A)로 구성되고 있다. 또한 에어백 장치 (M2)는 전술의 에어백 장치 (M1)에 있어서 동일한 부재와 대략 같은 구성이고, 동일한 부호의 말미에 A를 붙인 부호를 교부해 에어백 장치 (M2)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에어백 커버 (16A)는 대략 사각통 형상의 머리 부분의 이면에, 2개의 커버 부품 (16Ab)에 개폐할 수 있도록 H자 형상으로 배치된 티아라인 (LA)가 설치되고, 상기 2개의 커버 부품 (16Ab)가 각각 도면으로부터 볼 때 상단측과 하단측을 경첩부 (16Ae)로서 상하 양측으로 열리도록 구성되고 있다. 또, 상기 사각기둥 형상의 머리 부분의 이면 측에는, 2개의 커버 부품 (16Ab)의 배치 위치를 둘러싸도록아래쪽으로 돌출하는 대략 사각통 형상의 연결벽부 (16Af)가 배치 설치되고 있다.
연결벽부 (16Af)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는 벽부의 소정 위치에 복수의 계지구멍 (16Ag)가 관통되고 있다. 이들의 계지구멍 (16Ag)에는 베이스 플레이트 (24A)에 형성된 계지 갈고리 (24Ad)가 삽입되어 계지 갈고리 (24Ad)가 연결벽부 (16Af)에 걸리게 된다. 각 계지 갈고리 (24Ad)의 연결벽부 (16Af)로의 걸림은 연결벽부 (16Af)와 베이스 플레이트 (24A)의 연결 상태를 확보해, 팽창시의 에어백 (10A)가, 원활히 2개의 커버 부품 (16Ab)를 밀어 올려 티아라인 (LA)를 파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베이스 플레이트 (24A)는 도 1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단 측에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를 가진 금속판제의 대략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직사각형 판 형상의 바닥 벽부 (24Ae)와 바닥 벽부 (24Ae)의 바깥 둘레로부터 대략 사각통 형상으로 에어백 커버 (16A)의 윗쪽으로 늘어나는 측벽부 (24Af)를 구비하고 구성되고 있다. 바닥 벽부 (24Ae)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늘어난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있고 중앙에, 인플레이터 (30A)의 상부측을 아래쪽으로부터 에어백 커버 (16A)측의 윗쪽으로 삽입 가능한 원형에 개구한 인플레이터 장착구 (24Ah)를 구비하고 있다.
바닥 벽부 (24Ae)의 인플레이터 장착구 (24Ah)의 주변에는 도 1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쿠션 링 (22A)의 각 볼트 (22Ad)를 삽입 통과 가능한 장착구멍 (22Ag)가 형성되고 있다. 또, 바닥 벽부 (24Ae)에는 도 1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 (24A)를 차량의 보디 (60) 측에 연결시키는 브라켓 (32)가, 바닥 벽부 (24Ae)의 좌우 양측 부위의 하면 측에 고정되고 있다. 각 브라켓 (32)에는 볼트를 나합시키기 위한 너트가 고착되고 있다. 보디 (60) 측에는 리인포스먼트 (60a)로부터 늘어나는 브라켓 (60b)가 배치 설치되고 볼트는 브라켓 (60b)의 장착 자 자리를 관통하여 너트에 나합되고 있다. 각 볼트의 너트로의 체결에 의해, 에어백 장치 (M1)이 보디 (60) 측에 장착 고정되고 있다.
다음에 에어백 장치 (M2)의 조립 순서에 대해서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해 설명한다.
도 14는 보호 부재 (12A), 에어백 (10A) 및 유지 부재 (14A)의 협지 고정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에어백 장치 (M2)로 이용되는 에어백 (10A)는 상기 통 형상 테더 벨트 (11a)가 장비되고 있던 점을 제외하고, 에어백 장치 (M1)의 에어백 (10)과 동일하게 도 8A 내지도 8D로 설명한 쿠션 링 (22A)를 내장 한 포개 접어진 에어백 (10A)가 유지 부재 (14A)로 덮여 있다. 에어백 커버 (16A)내에 상기 유지 부재 (14A)로 덮인 에어백 (10A)를 수납해, 쿠션 링 (22A)의 나사부 (22Ad)에 베이스 플레이트 (24A)의 인플레이터 장착구 (24Ah)를 삽입 통과해 쿠션 링 (22A)에 베이스 플레이트 (24A)를 겹침과 동시에 에어백 커버 (16A)의 계지구멍 (16Ag)에 베이스 플레이트 (24A)의 계지 갈고리 (24Ad)를 삽입해 걸고, 베이스 플레이트 (24)의 이면측으로부터 너트를 나합시킨다.
그 후에 베이스 플레이트 (24A), 쿠션 링 (22A) 및 인플레이터 (30A)를 나사 고정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보호 부재 (12A), 에어백 (10A) 및 유지 부재 (14A)가 쿠션 링 (22A)와 베이스 플레이트 (24A)의 사이에 협지 고착되어 에어백 장치 (M2)의 조립이 완료한다. 또한 에어백 장치 (M2)의 에어백 커버 (16A)의 형상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에어백 장치 (M2)를 장착하는 장소, 예를 들면, 인스톨먼트 패널의 상면 등에 따라 어떠한 형상으로 하는가는 설계적으로 결정되어 지는 것이다.
또한 에어백 장치 (M2)의 전개 동작은 에어백 장치 (M1)와 비교해 테더 벨트가 없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승차원측으로의 전개가 정지하도록 하는 거동은 없고, 에어백의 승차원 측으로 면하는 부분으로부터 팽창하면서 어느 정도의 내압을 유지한 상태로 승차원측으로 팽창 전개한다. 이와 같이 테더 벨트가 없는 경우에서도, 가스 정류 부재에 의해 에어백은 승차원측의 표면으로부터 순서 좋게 팽창해, 유지 부재 (14A)의 개구를 통과하면서 저항을 받아 승차원 측으로 전개하기 위해 포개 접어진 에어백 커버가 파열하는 것과 동시에 에어백 전체가 뛰쳐나와 덩어리가 되어 승차원에게 위해를 주는 것 같은 거동은 안되고 펀칭 현상이나 멤브레인현상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제3 실시 형태인 다른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 (M3)에 대해서 설명을 한다.
도 15에 나타내는 에어백 장치 (M3)는 전술의 에어백 장치 (M1 및 M2)에 있어서의 동일한 부재와 대략 같은 구성이고, 동일한 부호의 말미에 B를 붙인 부호를 교부하고 있다. 도 15는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 (M3)의 개략 확대 종단면도이다. 에어백 장치 (M3)는 포개 접어진 에어백 (10B)와 그 에어백 (10B)안에 수납된 팽창용 가스를 공급하는 대략 원주상의 인플레이터 (30B) 및 상기 인플레이터 (30B)를 격납 하는 디퓨저 (32B)와 에어백 (10B) 및 인플레이터 (30B)를 수납하는 대략 사각통 형상의 에어백 커버 (16B)로 구성되고 있다.
상기 에어백 커버 (16B)는, 대략 사각통 형상의 머리 부분의 이면에, 2개의 커버 부품 (16Bb)에 개폐할 수 있도록 H자형상으로 배치된 티아라인 (LB)가 설치되어 상기 2개의 커버 부품 (16Bb)가 각각 도면으로부터 볼 때 상단측과 하단측을 경첩부 (16Be)로서 상하 양측으로 열리도록 구성되고 있다. 또, 상기 사각기둥 형상의 머리 부분의 이면 측에는, 2개의 커버 부품 (16Bb)의 배치 위치를 둘러싸도록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대략 사각통 형상의 연결벽부 (16Bf)가 배설되고 있다. 디퓨저 (32B)의 에어백 커버 (16B)으로의 고정은 양쪽 부재 32B, 16B의 복수의 고정 위치에 구멍이 설치되고 있어 그 구멍에 볼트를 삽입 통과해 고정함으로써 행해진다(도시하지 않음).
상기 디퓨저 (32B)가 인플레이터 (30B)와 작게 접어 수납된 에어백 (10B)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있어, 그 디퓨저 (32B)의 팽창 가스를 유출 가능한 복수의 가스 토출구(도시하지 않음)가 배치 설치되고 있어 인플레이터 (30B)작동시에는 인플레이터 (30B)로부터 발생하는 가스가 디퓨저 (32B)의 구멍을 지나 직접 포개 접어 수납된 에어백의 중앙 부분에 압력을 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부호 11B는 상술한 통 형상이 아닌 통상의 테더 벨트이고, 부호 12B는 가스 정류 부재이다. 상기 양쪽 부재 11B, 12B는, 에어백 (10B)와 함께 겹친 상태로 상기 디퓨저 (32B)의 에어백 커버 (16B)으로의 고정 시에, 양쪽 부재 32B, 16B의 사이에 삽입해 볼트로 고정함으로써 에어백 장치에 장착된다. 또, 이런 종류의 인플레이터 (30B)를 이용하는 에어백 장치 (M3)는 도 15로부터 알 수 있듯이, 상기 에어백 (10B)에는 인플레이터 장착구 (10ah)를 구비하고 있지 않고, 인플레이터 (30B)를 삽입하는 연통구가 설치되고 있어 그 연통구에 인플레이터 (30B)가 삽입되고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에어백 장치로서 에어백내에 직접 인플레이터를 삽입하지 않고 에어백의 밖으로부터 에어백의 연통구를 통해 인플레이터의 가스를 에어백내에 도입하는 기술은 주지 기술이다. 이것으로부터, 상기 에어백 장치 (M1 및 M2)로 이용되는 에어백 (10, 10A)의 인플레이터 장착구 (10ah), 상기 인플레이터 (30B)를 삽입하는 연통구 및 주지의 에어백의 연통구의 각각은 인플레이터 의 가스를 에어백내에 도입하는 연통구로서 동일한 기능을 가지므로, 인플레이터 연통구로서 기재하는 경우는 상기 인플레이터 장착구, 인플레이터를 삽입하는 연통구 및 주지의 에어백의 연통구를 포함한 의미로 이용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에어백 장치 (M1)의 조립시에는 상기 에어백 (10)의 통 형상 테더 벨트의 장착 구멍 (11ah)와 연결 부재 (20)의 중앙부 (20a)의 구멍 (20ah)의 위치를 일치시켜, 상기 에어백 (10)안에 상기 연결 부재 (20)을 삽입하는 순서로 실시함으로써, 에어백 커버의 구멍과 상기 에어백 (10)의 통 형상 테더 벨트의 장착하는 구멍 (11ah)와의 위치를 일치시키고 나서 상기 연결 부재 (20)을 삽입할 수가 있으므로, 위치 맞춤의 작업이 큰폭으로 경감되고 장착 작업의 효율화를 꾀할 수 있다.
또, 상기 에어백의 주변부 (10d)가 주변 보호 부재 (70)으로 덮여 있으므로, 쿠션 링 (22)상에 베이스 플레이트 (24)를 겹쳐 고정해도, 상기 주변 보호 부재 (70)이 베이스 플레이트 (24)의 엣지로부터 상기 에어백의 주변부 (10d)를 보호하고 있으므로, 베이스 플레이트 (24)의 엣지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에어백의 포개 접음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가 있음과 동시에, 인플레이터 장착구와 테더 벨트와 에어백을 수납하는 커버 이면의 고정부와의 위치 맞춤이 용이하기 때문에 에어백 장치의 조립 작업 효율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 상기 에어백의 주변부가 주변 보호 부재로 덮여 있으므로 쿠션 링상에 베이스 플레이트를 겹쳐 고정해도 상기 주변 보호 부재가 상기 에어백의 주변부를 보호하고 있으므로 베이스 플레이트의 엣지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5)

  1. 표면측 및 이면측 기초천에 의해 주머니 형상으로 구성되고, 그 이면측 기초천의 중앙에 인플레이터 장착구가 설치된 에어백 본체부와 상기 표면측 기초천의 중앙 위치로부터 주머니 형상의 에어백 본체부의 내부에 늘어나는 통 형상 테더 벨트를 구비한 에어백 장치의 조립 방법으로서,
    상기 에어백 본체부의 인플레이터 장착구 주변을 고정하여 통 형상 테더 벨트의 선단부 및 그 후단부에 일체로 연결된 에어백 본체부와 함께 상기 테더 벨트를 전체 길이 위치까지 늘리는 제1 공정과,
    상기 제1 공정에 이어서, 상기 통 형상 테더 벨트 및 에어백 본체부를 늘어난 상태로부터 통 형상 테더 벨트의 절반 길이분을 되돌려, 그 다음에, 상기 에어백 본체부를 끌어올려, 상기 에어백 본체부를 상기 통 형상 테더 벨트의 주위에 포개 접는 제2 공정과,
    상기 제2 공정에 이어서, 상기 통 형상 테더 벨트와 에어백 본체부를 되돌리면서 포개 놓는 제3 공정과,
    상기 제3 공정에 이어서, 포개 놓은 상기 통 형상 테더 벨트의 상기 선단부를 에어백을 수납하는 에어백 커버의 이면 중앙부에 고정하여 장착하는 제4 공정을 포함하는 에어백 장치의 조립 방법.
  2. 청구항 1에 기재된 에어백 장치의 조립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은 상기 에어백 본체부의 인플레이터 장착구 주변에 삽입한 중앙부에 구멍을 가지는 쿠션 링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공정은 상기 쿠션 링을 고정해 통 형상 테더 벨트의 선단부 및 그 후단부에 일체로 연결된 상기 에어백 본체부를 전체 길이 위치까지 늘리는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의 조립 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의 에어백 장치의 조립 방법에 있어서,
    상기 포개 놓은 에어백 본체부에 중앙 구멍을 가지는 연결 부재를 삽입하는 공정과,
    상기 통 형상 테더 벨트의 장착구멍과 상기 쿠션 링의 중앙부의 구멍과, 상기 연결 부재의 중앙 구멍과 에어백 커버의 중앙부의 구멍을 위치 맞춤하여 연결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의 조립 방법.
  4. 청구항 3에 기재의 에어백 장치의 조립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에 베이스 플레이트를 겹쳐 장착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의 조립 방법.
  5. 삭제
KR1020077028435A 2005-06-08 2006-06-07 에어백 장치의 조립 방법 및 에어백 장치 KR1013011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68866 2005-06-08
JP2005168866 2005-06-08
PCT/JP2006/311404 WO2006132266A1 (ja) 2005-06-08 2006-06-07 エアバッグ装置の組立方法及びエアバッグ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8179A KR20080018179A (ko) 2008-02-27
KR101301135B1 true KR101301135B1 (ko) 2013-09-03

Family

ID=37498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8435A KR101301135B1 (ko) 2005-06-08 2006-06-07 에어백 장치의 조립 방법 및 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832761B2 (ko)
EP (1) EP1889758B1 (ko)
JP (1) JP4999181B2 (ko)
KR (1) KR101301135B1 (ko)
CN (1) CN101193775B (ko)
AU (1) AU2006256137B9 (ko)
WO (1) WO20061322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87816B2 (ja) * 2007-08-13 2013-04-24 芦森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5133132B2 (ja) * 2008-05-21 2013-01-30 芦森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カバー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5432011B2 (ja) * 2010-03-12 2014-03-05 芦森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の取付部構造
JP5777903B2 (ja) * 2011-02-23 2015-09-09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DE102011108348A1 (de) * 2011-07-25 2013-01-31 Trw Automotive Gmbh Zugmittel, Gassackmodul mit Zugmitte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Zugmittels
JP5946696B2 (ja) * 2012-05-18 2016-07-06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の製造方法
JPWO2017090772A1 (ja) * 2015-11-26 2018-09-27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エアバッグ装置
DE102017123063B3 (de) * 2017-10-05 2019-03-14 Autoliv Development Ab Gassackmodul
JP7066514B2 (ja) * 2018-05-16 2022-05-13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のカバー体
CN110091940B (zh) * 2019-05-14 2020-09-25 宁波均普智能制造股份有限公司 一种安全气囊气体发生器的装配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00084A (ja) * 1996-07-29 2001-01-09 フォード、グローバル、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車両安全エアバッグの折り畳み方法
JP2001163143A (ja) * 1999-12-08 2001-06-19 Toyo Tire & Rubber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JP2004122939A (ja) * 2002-10-02 2004-04-22 Ashimori Ind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4251A (en) * 1972-04-28 1976-03-16 Specialty Products Development Corporation Gas generator for automobile driver restraint bag
DE3630685C2 (de) * 1986-07-22 1994-03-10 Trw Repa Gmbh Gaskissen-Aufprallschutzvorrichtung für einen Kraftfahrzeuginsassen
US5195774A (en) 1990-11-30 1993-03-23 Takata Corporation Air bag attaching structure
JPH04201758A (ja) * 1990-11-30 1992-07-22 Takata Kk エアバッグ装置のエアバッグ取付構造
JPH11278186A (ja) * 1998-03-30 1999-10-12 Ikeda Bussan Co Ltd エアバッグ装置のエアバッグ本体
DE10065463C2 (de) 2000-05-19 2003-12-18 Trw Automotive Safety Sys Gmbh Airbagmodul
JP2001180427A (ja) 2000-11-27 2001-07-03 Toyo Tire & Rubber Co Ltd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のためのバッグ及びその製造方法
DE20022018U1 (de) * 2000-12-28 2001-11-08 Trw Automotive Safety Sys Gmbh Gassack-RÜckhalteeinrichtung
DE20102115U1 (de) * 2001-02-07 2001-06-28 Trw Automotive Safety Sys Gmbh Gassack-Modul
US6863301B2 (en) * 2001-02-23 2005-03-08 Key Safety Systems, Inc. Driver side air bag module with annular air bag and centrally disposed control module
DE20110175U1 (de) * 2001-06-20 2001-10-25 Trw Automotive Safety Sys Gmbh Gassackmodul
DE20114507U1 (de) * 2001-09-03 2002-01-24 Trw Automotive Safety Sys Gmbh Gassackmodul
DE10148739B4 (de) * 2001-09-27 2006-05-04 Takata-Petri Ag Ringairbag
DE20116618U1 (de) * 2001-10-10 2002-02-21 Trw Automotive Safety Sys Gmbh Fahrzeuglenkvorrichtung
DE10203960C1 (de) * 2002-01-25 2003-07-31 Takata Petri Ag Airbagmodul für Kraftfahrfzeuge
US6883832B2 (en) * 2002-01-30 2005-04-26 Trw Automotive Safety Systems Gmbh Gas bag for a vehicle occupant restraint system and a gas bag module
JP2004022943A (ja) 2002-06-19 2004-01-22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半導体製造装置
JP4031338B2 (ja) * 2002-10-02 2008-01-09 芦森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2005022523A (ja) * 2003-07-02 2005-01-27 Ashimori Ind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JP4315338B2 (ja) 2004-01-30 2009-08-19 芦森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4609229B2 (ja) * 2004-11-16 2011-01-12 マツダ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を備えた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2006248511A (ja) * 2005-02-09 2006-09-21 Takata Corp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00084A (ja) * 1996-07-29 2001-01-09 フォード、グローバル、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車両安全エアバッグの折り畳み方法
JP2001163143A (ja) * 1999-12-08 2001-06-19 Toyo Tire & Rubber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JP2004122939A (ja) * 2002-10-02 2004-04-22 Ashimori Ind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93775A (zh) 2008-06-04
KR20080018179A (ko) 2008-02-27
CN101193775B (zh) 2010-11-03
US7832761B2 (en) 2010-11-16
US20090102172A1 (en) 2009-04-23
EP1889758A1 (en) 2008-02-20
AU2006256137A1 (en) 2006-12-14
WO2006132266A1 (ja) 2006-12-14
AU2006256137B2 (en) 2011-06-16
EP1889758B1 (en) 2012-05-16
JPWO2006132266A1 (ja) 2009-01-08
AU2006256137B9 (en) 2011-08-04
EP1889758A4 (en) 2010-09-15
JP4999181B2 (ja) 2012-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1135B1 (ko) 에어백 장치의 조립 방법 및 에어백 장치
AU2006256054B2 (en) Airbag device
KR101359432B1 (ko) 에어백 장치
JP5187816B2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1301136B1 (ko) 에어백 장치
EP1908645B1 (en) Folding device and folding method for airbag
JP4979148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4780756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2007015542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