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9432B1 -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9432B1
KR101359432B1 KR1020087000397A KR20087000397A KR101359432B1 KR 101359432 B1 KR101359432 B1 KR 101359432B1 KR 1020087000397 A KR1020087000397 A KR 1020087000397A KR 20087000397 A KR20087000397 A KR 20087000397A KR 101359432 B1 KR101359432 B1 KR 101359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inflator
gas
gas rectifying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0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3337A (ko
Inventor
요시오 시마자키
세이치로 카무라
코우 사사키
히로유키 타니야마
Original Assignee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98743A external-priority patent/JP478075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60667A external-priority patent/JP5158663B2/ja
Application filed by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23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3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9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9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60R21/2176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the air bag components being completely enclosed in a soft or semi-rigid housing or c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y are folded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에어백 (10)을 접어 포개진 수납 상태로 유지하고 에어백(10)의 외주위 측면을 눌러, 적어도 에어백(10)의 전개 초기에 인플레이터 (30)로부터 발생하는 가스에 의한 에어백 측면 방향의 팽창 전개를 억제하기위한 유지 부재 (14)와 인플레이터 (30)로부터 발생하는 가스를 에어백 (10)의 전개 초기에 팽창하는 부분의 근방까지 정류 해 안내하는 가스 정류 부재(12' )로 이루어지는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 (14)가 직포로 이루어지고 상기 직포의 상기 에어백(10)의 전개 초기에 팽창하는 부분에 대응하는 곳에 상기 인플레이터 (30)로부터 발생하는 가스압에 의해 파단하는 파단 예정부 (14k)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의 조립 작업시에 유지 부재가 에어백의 외주위부 및 주변부를 제대로 유지하고 그 조립 작업 시간을 저감 하는 에어백 장치의 기술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에어백 장치 {AIRBAG DEVIC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고 상세하게는 에어백을 유지하는 유지 부재 및 인플레이터로부터 발생하는 가스의 유출 방향을 정류하는 가스 정류 부재를 구비한 에어백 장치에 관한다.
스티어링 장치의 중앙 부분에 배치된 에어백 장치로서 그 에어백 장치의 중앙 부분에 장식용 부재와, 그 외주위에는 이면에 티아라인이 형성된 에어백 커버와 에어백 커버내에 접어 포개진 에어백을 유지하고, 그 대략 중앙에 에어백의 팽창 전개를 용이하게 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유지 부재가 수납되고 있는 본 출원인이 출원한 일본국 특원2005-168867의 선원 발명이 있다.
도 24는 상기 선원 발명인 에어백 장치 부착 핸들의 정면도이고, 도 25는 도 24의 방향 I-I의 횡단면도이다. 에어백 장치 (MR)은 도 24 및 도 2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차량의 핸들 중앙부에 구성되어지는 것이고 장식용 부재 (40), 에어백 (10) 및 에어백 커버 (16)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편의상 승차원측을 표면측, 반대측을 이면측이라고 한다.
상기 에어백 장치 (MR)은 차량의 핸들 (50R)의 중앙부에 구성되어지는 것이고, 장식용 부재 (40R), 에어백 (10R) 및 에어백 커버 (16R)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에어백 (10R)은 에어백 본체부 (10Ra)와 그 본체부 (10Ra)의 늘어나기 시작하는 길이를 규제하는 통 형상의 테더벨트 (11Ra)로 이루어지지만, 승차원측 방향으로 주름 상자 형상에 접어 포개진 상태로 에어백 커버 (16R)내에 수납되고 있다. 그리고, 에어백 (10R)은 에어백 (10R)의 외주위 측면을 눌러 에어백 측면 방향의 팽창 전개를 억제하도록 유지 부재 (14R)로 덮여 있다. 또, 에어백 본체부 (10Ra)와 유지 부재 (14R)라는 것은 이 에어백 (10R)내에 삽입된 쿠션링 (22R)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 (24R)에 고정되고 있다. 또, 에어백 커버 (16R)는 이들을 덮도록 해 베이스 플레이트 (24R)에 고정되고 있다.
한편, 통 형상의 테더벨트 (11Ra)의 단부는 에어백 커버 (16R)의 승차원 측면으로 형성된 오목부 (16Ra)의 배후면 측에 위치하고, 상기 장식 부재 (40R)의 이면 측에 돌출한 장착 볼트 (40Ra)를 연결 부재 (20R)에 너트로 고정함으로써, 이들의 부재간에 끼워져 있다. 접어 포개진 에어백 (10R)을 유지하는 유지 부재 (14R)는 그 중앙부에 원형의 개구부 (14Rh)를 구비하고 있고(후술의 도 26 참조), 그 개구부 (14Rh)안에 상기 40R의 통 형상 외주위부가 삽입된 상태로 에어백 커버 (16R)에 수납되고 있다. 또, 연결 부재 (20R)의 단부는 상기 쿠션링 (22R)과 베이스 플레이트 (24R)의 사이에 끼워지고, 베이스 플레이트 (24R)에 대해서 고정되고 있다. 또한 후에 상세 해설 하지만, 부호 12R'는 가스 정류 부재이다.
도 26은 상기 유지 부재 (14R)의 전개도이다. 이 유지 부재 (14R)의 중앙부에는 에어백이 팽창 전개하기 쉽게 하기 위한 개구부 (14Rh)가 형성되고 있다.
이 유지 부재 (14R)는 직포제로 대략 정방형의 형상이고, 대략 정방형의 4 변의 중심과 대각선상의 단변에 상기 쿠션링 (22R)의 볼트 (22Rd)에 맞추는 8개의 구멍 (14Rah, 14Rbh)가 설치되고 있다. 유지 부재 (14R)의 상기 개구부 (14Rh)의 직경은 에어백 커버 (16R)의 오목부 (16Ra) 및 장식용 부재 (40R)의 직경보다 크고, 접어 포개진 에어백이 그 틈새를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있다.
도 27은 접어 포개진 에어백 (10R)을 상기 유지 부재 (14R)로 유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중앙의 구멍 (11Rah)는 상기 장착 볼트 (40Ra)에 끼워 통과하기 위한 통 형상 테더벨트 (11Ra)의 구멍이고, 유지 부재 (14R)의 개구부 (14Rh)내의 통 형상 테더벨트 (11Ra)가 접어 포개진 상태로 유지 부재 (14R)에 유지되고 있다. 유지 부재 (14R)의 개구부 (14Rh)의 주변에서 유지되고 있는 에어백 부분을 주변부라고 하고, 유지 부재 (14R)의 외주위로 유지되고 있는 에어백 부분을 외주위부라고 한다. 이 유지 부재 (14R)는 접어 포개진 에어백 (10R)의 외주위부와 주변부를 유지해 에어백 (10R)의 접어 포개진 상태의 붕괴를 방지하는 것이다.
그런데, 접어 포개진 에어백 (10R)을 상기 유지 부재 (14R)로 포장할 때에 유지 부재 (14R)의 개구부 (14Rh)로 유지되는 접어 포개진 에어백 (10R)의 주변부가 그 개구부 (14Rh)로 적절히 유지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있다. 또, 적절히 유지되고 있는 경우에서도, 예를 들면, 에어백 커버 (16R)에 접어 포개진 에어백 (10R)을 수납할 때에 에어백 (10R)의 주변부가 에어백 커버 (16R)과 접촉하고, 상기 접어 포개진 에어백 (10R)이 유지 부재 (14R)의 개구부 (14Rh)로부터 빗나가 수납되는 경우가 있다.
에어백 (10R)이 일단 에어백 커버 (16R)내에 이 상태로 수납되면 에어백 (10R)의 전개 성능에 악영향을 미치는 우려가 있지만, 유지 부재 (14R)의 에어백 유지 상태를 확인할 수가 없기 때문에 주변부가 개구부 (14Rh)로 유지되도록 주위를 기울이면서 포장하고, 그 후, 이 주변부가 상기 에어백 커버 (16R)과 접촉해 개구부 (14Rh)로부터 빗나가지 않게 주위를 기울이면서 에어백 커버 (16R)에 격납 하고 있기 때문에 에어백 (10R)의 조립 작업인 이 포장 작업과 수납 작업에 시간이 걸리고 있다.
만약, 이러한 상태로 에어백 (10R)이 유지 부재 (14R)에 유지되면, 에어백 (10R)은 인플레이터 (30R)의 작동시에 접어 포개진 에어백 (10R)의 접어 포개진 상태가 무너져 인플레이터 (30R)의 가스 토출 구멍 (30Ra)의 구멍보다 윗쪽의 에어백 부분이 에어백 전개 방향으로 한번에 밀어내지고 에어백 커버 (16R)이면에 설치된 티아라인을 파단하고, 이들의 에어백 부분이 운전석 측에 크게 튀어나와 버리는 등, 전개 성능에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다.
한편, 종래 에어백 장치는 인플레이터로부터 발생하는 가스의 유출 방향을 정류하고, 에어백의 전개 초기에 팽창하는 부분에 가스류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 정류 부재를 구비하고 에어백의 전개를 유연하게 실시하도록 하고 있다(일본국 특허 문헌 2 참조).
도 28은 그러한 에어백 장치의 단면도이다. 에어백 장치 (10P)는 케이스 (12P), 에어백 (14P), 인플레이터 (16P) 및 가스 정류 부재 (18P)로 이루어지고 인플레이터 (16P)의 작동에 의한 에어백 (14P)의 팽창 압력에 의해 에어백 (14P)가 팽창 전개하지만, 가스 정류 부재 (18P)의 입구근처는 케이스 (12P)의 개구 주변부 (12aP)에 백 고정장치 (26P)를 개재시켜 에어백 (14P)와 함께 장착되고 있다.
도 29는 상기 에어백 장치 (10P)의 분해 사시도이다. 가스 정류 부재 (18P)는 케이스 (12P)내에 있어서, 인플레이터 (16P)와 에어백 (14P)의 사이에 배치되고 인플레이터 (16P)가 발하는 가스에 의해 에어백 (14P)내부에 전개하고, 그 가스 분출구 (30P, 30aP)로부터 에어백 (14P)내에 가스를 공급하는 1매 또는 복수매의 기초원단을 입체 형상에 봉제 해 형성한 주머니 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기 케이스 (12P)는 도 2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그 개구 주변부 (12aP)에는 에어백 (14P) 및 가스 정류 부재 (18P)를 장착 고정하도록, 복수의 고정 구멍 (20P)가 설치되고 있다. 또, 케이스 (12P)의 바닥부 측면에는 인플레이터 (16P)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 (22P)가 설치되고 있다.
조립시에는 도 2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접어 포개진 에어백 (14P)에 배후로부터 가스 정류 부재 (18P)의 선단 (18aP)를 삽입한다. 그 때, 가스 정류 부재 (18P)의 선단 (18aP)를 접어 포갠 에어백 (14P)의 아래쪽으로부터 삽입하고, 가스 정류 부재 (18P)의 4개의 장착부 (32P)를 에어백 (14P)의 대응하는 장착부 (28P)에 외측으로부터 겹쳐 맞춘다.
상기 종래의 에어백 장치 (10P)에서는 에어백 (14P)를 가스 정류 부재 (18P)와 별체의 상태로 접어 포개고, 이 접어 포갠 에어백 (14P)에 가스 정류 부재 (18P)를 삽입한 후에 가스 정류 부재 (18P)와 에어백 (14P)를 케이스 (12P)에 고정하지만, 상기 접어 포개진 에어백 (14P)에 가스 정류 부재 (18P)를 삽입할 때에는 접어 포개진 에어백 (14P)의 상면부 (34P)와 하면부 (36P)의 사이를, 에어백 (14P)가 무너지지 않게 아래로부터 넓혀 그 넓힌 공간에 가스 정류 부재 (18P)의 선단 (18aP)를 삽입하기 위해 에어백 (14P)를 지지하는 작업과 가스 정류 부재 (18P)를 삽입하는 동작을 동시에 실시할 필요가 있고 그 때문에 에어백 장치 (10P)로의 가스 정류 부재 (18P)의 삽입 작업은 복잡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 가스 정류 부재 (18P)를 에어백 장치 (10P)에 장착할 때에는 에어백 (14P)의 장착부 (28P)에 상기 가스 정류 부재 (18P)의 장착부 (32P)를 외측으로부터 양 장착부 (28P, 32P)에 설치된 고정구멍의 위치를 일치시켜 겹쳐 맞추고 그 후에 케이스 (12P)의 개구 주변부 (12aP)에 설치된 복수의 고정 구멍 (20P)와 상기 양 장착부 (28P, 32P)의 고정구멍의 위치를 일치시켜 겹쳐 맞추고, 상기 고정구멍에 나사 등을 삽입해 나사 결합해 가스 정류 부재 (18P)를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에어백 장치 (10P)에의 가스 정류 부재 (18P)의 장착 작업은 번잡해 시간이 걸리고, 작업 효율도 오르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특허 문헌1: 일본국 특원 2005-168867
특허 문헌2: 일본국 특개평 2001-163143호 공보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제1의 목적은 에어백의 조립 작업시에 유지 부재가 에어백의 외주위부 및 주변부를 제대로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그 조립 작업 시간을 저감 하는 것이다.
제2의 목적은 가스 정류 부재를 구비한 에어백 장치의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그 조립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의 발명은 인플레이터와 인플레이터와 연결해 인플레이터로부터 발생하는 가스에 의해 팽창하는 에어백과 에어백을 접어 포개진 수납 상태로 유지해 에어백의 외주위 측면을 눌러 적어도 에어백의 전개 초기에 인플레이터로부터 발생하는 가스에 의한 에어백 측면 방향의 팽창 전개를 억제하기 위한 유지 부재와 인플레이터로부터 발생하는 가스를 에어백의 전개 초기에 팽창하는 부분의 근방까지 정류해 안내하는 가스 정류 부재로 이루어지는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가 직포로 이루어지고, 상기 직포의 상기 에어백의 전개 초기에 팽창하는 부분에 대응하는 곳에 상기 인플레이터로부터 발생하는 가스압에 의해 파단하는 파단 예정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의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의 전개 초기에 팽창하는 부분이 상기 가스 정류 부재에 의해 안내된 가스에 의해 팽창 전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의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단 예정부가 미싱선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3에 기재의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의 상기 파단 예정부의 선단에 파단 정지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4에 기재의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단 예정부가 상기 직포의 중심으로부터 방사 형상에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청구항 5에 기재의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단 정지부가 상기 직포의 중심으로부터 동원주상에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3중 어느 한항에 기재의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의 대략 중심으로 고정구의 구멍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의 발명은 청구항 7에 기재의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의 파단 예정부의 크기가 에어백 장치의 대략 중앙부에 설치된 장식 부재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9의 발명은 에어백 장치로서, 인플레이터와 중앙에 인플레이터 장착입구를 갖고 상기 인플레이터로부터의 가스류로 팽창 가능하게 접어 포갠 에어백과 상기 개구의 근방에서 상기 에어백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에어백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구비한 쿠션링과 상기 쿠션링에 대향하고 상기 에어백 외측에 배치된 베이스 플레이트를 구비한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로부터의 가스를 에어백내에 안내하는 가스 정류 부재를 상기 에어백에 겹쳐 상기 쿠션 링의 고정수단에 걸리게 함과 동시에 그 가스 정류 부품을 상기 접어 포갠 에어백의 내주위면을 따라 연장 배치시키고 또한 상기 에어백 및 가스 정류 부재를 상기 쿠션 링의 상기 고정 수단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0의 발명은 에어백 장치로서 인플레이터와 중앙에 인플레이터 장착입구를 갖고 상기 인플레이터로부터의 가스류로 팽창 가능하게 접어 포갠 에어백과 상기 에어백을 외측으로부터 감싸 접어 포개진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 부재와, 상기 개구의 근방에서 상기 에어백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에어백 및 상기 유지 부재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구비한 쿠션 링과 상기 쿠션 링에 대향하고 상기 에어백 외측에 배치된 베이스 플레이트를 구비한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로부터의 가스를 에어백내에 안내하는 가스 정류 부재를 상기 유지 부재에 겹쳐 상기 쿠션 링의 고정수단에 걸리게 함과 동시에 상기 가스 정류 부품을 상기 접어 포갠 에어백의 내주위면을 따라 연장 배치시키고 또한 상기 에어백, 유지 부재 및 가스 정류 부재를 상기 쿠션링의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1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스 정류 부재는 상기 쿠션링의 고정수단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를 구비한 가스 정류 부품을 복수 갖고, 각 가스 정류 부품은 상기 접어 포갠 에어백내에 배치했을 때에 서로 겹치는 영역을 형성할 수 있는 가로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2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스 정류 부재는 상기 쿠션 링의 고정수단에 장착하기 위한 복수의 장착부를 구비한 1개의 가스 정류 부품으로 이루어지고, 그 선단 길이는 상기 접어 포갠 에어백내에 배치했을 때, 상기 에어백의 내주위보다 긴 내주위 방향 길이를 갖고, 한편, 상기 복수의 장착부 사이에 그 선단 방향을 향하는 절개 홈이 설치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3의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와 상기 유지 부재의 주변에 설치한 복수의 가스 정류 부품을 구비한 가스 정류 부재가 일체로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4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5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쿠션 링의 고정수단은 상기 쿠션 링에 장착한 볼트로서, 상기 가스 정류 부재의 장착부에 상기 쿠션 링의 볼트에 끼워 통과되는 구멍이 설치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에어백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베이스 플레이트 이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연결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4A는 쿠션 링의 정면도, 도 4B는 그 일부 단면도이다.
도 5A는 팽창 상태의 에어백의 투시 사시도, 도 5B는 비팽창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에어백을 접어 포개는 조작 순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A는 제1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전개도, 도 7B는 접어 포개진 이면측의 에어백의 사시도, 도 7C는 에어백을 유지 부재로 덮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도 7D는 유지 부재로 덮은 에어백의 이면도이다.
도 8은 제2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유지 부재의 전개도이다.
도 9는 제3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유지 부재의 전개도이다.
도 10은 인플레이터 장착입구의 주변부를 보호하는 주변 보호 부재의 전개도이다.
도 11은 제1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가스 정류 부재의 전개도이다.
도 12는 제2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가스 정류 부재의 전개도이다.
도 13은 제3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가스 정류 부재의 전개도이다.
도 14는 제4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가스 정류 부재의 전개도이다.
도 15는 에어백을 덮기 전의 제4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가스 정류 부재와 접어 포개진 에어백의 이면도이다.
도 16은 제4의 실시 형태 관계되는 가스 정류 부재로 덮은 에어백의 이면측 사시도이다
도 17은 팽창 상태의 에어백 내부를 나타내는 투시 사시도이다.
도 18은 에어백 커버의 사시도 및 이면도이다.
도 19는 개방한 상태의 각 커버 부품을 승차원측에서 본 도이다.
도 20은 에어백 장치의 전개 동작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1은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2는 가스 정류 부재, 에어백 및 유지 부재의 끼움 고정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23은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의 개략 확대 단면도이다.
도 24는 에어백 장치 부착 스티어링 휠의 정면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방향 I-I횡단면도이다.
도 26은 유지 부재의 전개도이다.
도 27은 접어 포개진 에어백을 유지 부재로 유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28은 종래 기술의 에어백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9는 동 에어백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주요부위를 나타내는 도면부호의 설명**
10···에어백, 10a···에어백 본체, 11a···통 형상 테더벨트,
12···보호 부재, 12(12L, 12M, 12N, 14N), 12'···가스 정류 부재,
14···유지 부재, 16···에어백 커버, 20···연결 부재,
22···쿠션 링, 24···베이스 플레이트, 30···인플레이터.
이하, 본 실시 형태의 유지 부재를 이용하는 에어백 장치에 대해서 부착 도면을 참조해 설명한다. 도 1은 에어백 장치 (M1)의 횡단면도이다. 에어백 장치 (M1)은 선원 발명의 에어백 장치 (MR)과 동일하게 차량의 핸들 중앙부에 구성되어지는 것이고, 장식용 부재 (40), 에어백 (10) 및 에어백 커버 (16)등을 구비하고 있고 에어백 커버 (16)에는 에어백 본체부 (10a)와 그 본체부 (10a)의 연장되는 길이를 규제하는 통 형상의 테더벨트 (11a)로 이루어지는 에어백 (10)이, 승차원측 방향으로 주름 상자 형상에 접어 포개진 상태로 에어백 커버 (16)내에 수납되고 있다. 그리고, 에어백 (10)은 에어백 (10)의 외주위 측면을 눌러 에어백 측면 방향의 팽창 전개를 억제하도록 유지 부재 (14)로 덮여 있다.
선원 발명의 에어백 장치 (MR)의 유지 부재 (14R)이 그 중앙부에 개구부 (14rh)을 구비함에 대해서, 본 발명의 에어백 장치 (M1)의 유지 부재 (14)는 그 중 앙부에 가스압에 의해 파단하는 파단 예정부를 구비하는 점이 다를뿐 다른 에어백 장치의 부재 및 그 배치는 같다. 즉, 선원 발명의 유지 부재 (14R)이 그 개구부에 에어백 커버 오목부 (16a) 및 장식용 부재 (40)의 일부가 삽입되고 있는데 대해(도 24 참조) 본 발명의 유지 부재 (14)는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접어 포개진 에어백 (10)을 포장한 상태로 상기 에어백 커버 오목부 (16a)와 연결 부재 (20)의 사이에 끼워져 있다.
이하에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24), 연결 부재 (20) 및 쿠션 링 (22)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베이스 플레이트 (24)의 이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베이스 플레이트 (24)는 대략 원판 형상에 형성되고 있고 그 중앙부에 인플레이터를 끼워 장착 가능한 구멍 (24h)가 형성됨과 동시에 4개의 에어백 커버용 장착부품 (24a)와 베이스 플레이트 (24) 자체의 설치를 위한 한 쌍의 장착부품 (24b)가 상기 원판면으로부터 잘라 세워져 형성되고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24)는 인플레이터 (30), 에어백 (10) 및 전술한 장식용 부재 (40)을 일체적으로 고정하고, 또한 상기 한 쌍의 장착부품 (24b)는 핸들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인플레이터 (30)은 개략 두꺼운 원판 형상에 형성되고 있어 소정의 충격 검지시에 가스를 토출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상기 인플레이터 (30)의 가스 토출 구멍 (30a)가 형성된 인플레이터의 윗쪽 부분이 베이스 플레이트 (24)의 구멍 (24h)를 관통하고, 한편, 인플레이터 (30)의 두께 방향 대략 중간부에 형성된 플랜지부를 베이스 플레이트 (24)의 이면 측에 밀접시키도록 하여 베이스 플레이트 (24)의 장착 구멍 (24c)를 개재시켜 쿠션링 (22)와 함께 고정된다. 즉, 인플레이터 (30)의 가스 토출구멍 (30a)가 베이스 플레이트 (24)의 표면측에 돌출 배치된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인플레이터 (30)으로부터의 토출 가스가 베이스 플레이트 (24)의 표면측에서 돌출하게 되어 있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연결 부재 (20)의 사시도이다. 연결 부재 (20)은 장착 볼트 (40a)가 끼워 맞추는 구멍 (20ah)를 구비한 중앙부 (20a)와 그 양측으로 이것과 대략 직각에 절곡 형성된 다리부 (20b)와 또한 다리부 (20b)에 대략 직각에 절곡 형성된 장착 발 (20c)로 이루어지는 판형상의 금속 부품으로 구성되고 있다. 또, 상기 장착 발 (20c)에는 후술 하는 쿠션링 (22)의 장착 구멍 (22a) 및 베이스 플레이트 (24)의 장착 구멍 (24c)에 대응한 장착 구멍 (20e)가 형성되고 있고 쿠션 링 (22)에 형성된 볼트 (22d)에 의해 동시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도 4A는 도 1에 나타내는 쿠션링 (22)의 정면도, 도 4B는 그 일부를 단면에서 가리킨 측면도를 나타낸다. 쿠션링 (22)는 도 4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그 중앙부에는 인플레이터 (30)의 삽입구멍 (22h)가 설치되고, 또한 이 삽입구멍 (22h)의 주위의 각 구석부에는 쿠션 링 (22)를 베이스 플레이트 (24)에 장착하기 위한 볼트 (22d) 그 이면 측에 설치되고 있다. 또, 쿠션 링 (22)의 이면은 베이스 플레이트 (24)의 표면 측에 에어백 (10)을 개재시켜 접할 수 있게 당접면 (22b)를 구성함과 동시에 이 당접면(22b)에는 그 측면도인 도 4B로부터 알 수 있듯이 예를 들면 부형가공으로 형성된 오목 형상부 (22c)가 형성되고 있다. 상기 오목 형상부 (22c)의 조임은 쿠션 링 (22)를 연결 부재 (20)에 연결했을 때, 이 연결 부재 (20)의 장착 발 (20c)의 두께에 대략 동일한 깊이에 형성되고 있다.
도 5A 및 5B를 참조해 에어백 (10)을 설명한다.
도 5A는 팽창 상태의 에어백 (10) 내부를 나타내는 투시 사시도이고, 도 5B는 동 에어백 (10)의 비팽창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간이화하기 위해 통 형상 테더벨트 (11a)내의 장식 부재 (40)이나 장식 부재 (40)과 결합한 인플레이터 (30) 등은 도시하고 있지 않다. 에어백 본체부 (10a)는 2매의 대략 원 형상의 원단의 외주위 주변부 끼리를 봉합함으로써 편평한 구형상(타원체 형상)에 전개 가능한 주머니 형상에 형성되고 있다. 에어백 본체부 (10a)의 표면측의 대략 중앙부에는 에어백 커버 (16)의 오목부 (16a)가 삽입되는 원 형상의 절결부 (10h)가, 그리고, 그 이면측의 대략 중앙부에는 인플레이터와 연통해 발생하는 가스를 에어백 내부에 도입하기 위한 인플레이터 장착입구 (10ah)가 형성됨과 동시에 그 인플레이터 장착입구 (10ah)의 주변부 (10d)에 쿠션 플레이트 (22)의 볼트 (22d,도 4B참조)를 통하기 위한 4개의 소구멍 (10b)가 형성되고 있다.
상기 에어백 (10)의 인플레이터 장착입구 (10ah) 주변에는 인플레이터의 발생하는 열이나 충격적인 압력으로부터 에어백을 보호하는 보호 부재 (12)가 이 주변부 (10d)에 겹쳐져 봉합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 보호 부재 (12)를 가스의 유출 방향을 정류해 에어백의 전개 초기에 팽창하는 부분(유지 부재 (14)의 원형의 파단 예정부에서 전개하는 에어백 부분)의 근방까지 가스를 안내하는 기능을 가지는 가스 정류 부재로서도 사용하고 있다.
도 5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보호 부재 (12)는 예를 들면 직포제로, 그 형상은 중심이 중공의 동심원형으로, 그 중공의 내주위의 직경은 인플레이터 장착입구 (10ah)의 내주위의 직경과 같고, 그 외주위의 직경은 예를 들면 내주위의 직경의 3배 이상의 크기로 작성되고 있다. 상기 보호 부재 (12)를 상기 인플레이터 장착입구 (10ah)에 장착할 때에는 상기 보호 부재 (12)의 내주위 주변을 상기 인플레이터 장착입구 (10ah)의 주변과 맞추어 주변부 (10d)의 외주위부 (10d') 및 그 동심원의 외주위부 (12a')와 함께 봉합한다. 또한 상기 보호 부재 (12)는 1매라도 좋지만 2매 이상도 좋고, 가스 정류 부재는 이들의 보호 부재 (12)의 1매 또는 복수매를 이용해도 괜찮다.
에어백 (10)은 에어백 본체 (10a)와 에어백 (10)의 연장하는 길이를 규제하는 통 형상 테더벨트 (11a)에서 구성되고 있고 에어백 본체 (10a)는 2매의 대략 원 형상의 기초원단(표면 부분의 기초원단과 배후 부분의 기초원단)의 바깥 둘레부 끼리를 봉합해 봉제부 (10c)를 설치하고 봉제 한 에어백의 내외면을 반전함으로써 편평한 구형상(타원체 형상)에 전개 가능한 주머니 형상에 형성된다.
도 5B에서 알 수 있듯이 2매의 대략 원 형상의 기초원단의 크기는 대략 동일하다. 에어백 (10)은 도 5A의 에어백의 늘어나기 시작하는 방향(도중 윗쪽)에 거의 전체 길이를 핀 상태로부터 상하에 압축하도록 주름 상자 형상에 접어 포개져 에어백 커버 (16)내에 수납되고 있다. 이 때 에어백 본체 (10a) 뿐만이 아니고 통 형상 테더벨트 (11a)도 그 통길이 방향에 주름 상자 형상에 접어 포개진다. 또한 상기 거의 전체 길이를 핀 상태에 있어서 상기 통 형상 테더벨트 (11a)의 길이는 상기 표면 부분의 기초원단의 에어백 본체 (10a)의 길이 및 배후 부분의 기초원단의 에어백 본체 (10a)의 길이에 대략 동일하다.
다음에 상술한 에어백 (10)이 도 5A의 에어백의 늘어나기 시작하는 방향(도중 윗쪽)으로 거의 전체 길이를 핀 상태로부터, 상하에 압축하도록 주름 상자 형상에 접어 포개는 방법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이 에어백 (10)을 작게 접는데는 에어백 접어 포개는 기계를 이용해 실시한다. 도 6A 내지 6G는 에어백 접어 포개는 기계를 이용해 에어백을 접어 포개는 조작 순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그 개념도를 이용해 에어백의 접어 포개는 조작 순서를 설명한다.
상기 에어백 접어 포개는 기계 (60)은 도 6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원기둥 형상의 통 형상 테더벨트 (11a)를 지지하는 지지구 (62) 및 그것과 같은 축으로 또한 외측에 에어백 (10)을 수납하는 외통실린더 (63)을 가지는 테이블 (61)과 상기 지지구 (62)의 수직 윗쪽 위치에 상기 지지구 (62)와 동일한 외경을 갖고, 테더벨트 (11a)의 상단을 지지구 (62)의 사이에 끼우는 원기둥 형상의 협지구 (64;도 6C참조)를 지지하는 지지부(도시하지 않음)로 완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구 (62)의 외경은 쿠션 링 (22)의 삽입구멍 (22h)의 내경보다 작기 때문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구 (62)가 상기 삽입구멍 (22h)를 끼워 통과해 상승할 수가 있다.
에어백 (10)은 에어백 (10)의 주변부 (10d,도 5A참조)에 형성된 4개의 소구멍 (10b)에 도 6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쿠션 링 (22)의 볼트 (22d)가 끼워 통과된다. 그 볼트 (22d)를 상기 테이블 (61)의 지지구 (62)의 외주위 상단면에 설치된 4개의 구멍에 맞추어 고정한다. 지지구 (62)의 머리 부분이 상기 삽입구멍 (22h)를 끼워 통과해 상승해 통 형상 테더벨트 (11a)의 통안에 삽입되고 그 상승 한 지지구 (62)의 바깥쪽에는 에어백 본체 (10a)가 평평한 상태로 테이블 (61)상에 놓여진다.
도 6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도 6A에 나타낸 지지구 (62)의 머리 부분이 쿠션 링 (22)의 삽입 구멍 (22h)를 끼워 통과해 통 형상 테더벨트 (11a)의 통안에 삽입된 상태에서 또 상기 통 형상 테더벨트 (11a)의 하단을 밀어 올리면 에어백 본체 (10a)도 추종해 밀어 올려진다.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통 형상 테더벨트 (11a)의 길이는 에어백 본체 (10a)의 길이가 대략 절반에 동일하기 때문에 지지구 (62)는 테이블 (61)으로부터 상기 통 형상 테더벨트 (11a)의 길이가 최대한 약 3배의 높이의 위치까지 상승해 그 위치에서 정지하고, 지지구 (62)의 선단부에 있는 볼록부에 상기 통 형상 테더벨트 장착 구멍 (11ah)를 수작업으로 끼워 통과하고, 통 형상 테더벨트 (11a)를 위치 결정 한다.
도 6C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협지구 (64)가 하강해 상기 위치 맞춤된 통 형상 테더벨트 (11a)를 상기 지지구 (62) 및 협지구 (64)로 끼움하고, 그 끼움상태를 유지하여 지지구 및 협지구 (62, 63)이 하강한다. 도 6D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지지구 (62) 및 협지구 (64)가 통 형상 데더벨트 (11a)의 절반의 길이의 위치까지 하강한 지점에서 동작을 정지하고, 도 6D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수작업으로 외측의 에어백 본체 (10a)를 윗방향에 이끌어 올린다. 이것에 의해, 통 형상 테더벨트 (11a)가 그 대략 중간의 위치에서 접어 포개진다.
도 6E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테이블 (61)로부터 외통실린더 (63)이 전술의 통 형상 테더벨트 (11a)의 상단의 끼움위치까지 상승하고, 에어백 (10)을 외통실린더 (63)과 지지구 (62)의 사이에 수납한다. 도 6F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그 위치에서 외통실린더 (63)의 좌우 방향으로부터 좌우 대칭으로 반원형의 구멍을 가지는 2매의 플레이트 (65)가 외통실린더 (63)의 상단을 좌우 방향으로부터 슬라이드 이동해 협지구 (64)의 하단부에 설치된 끼워맞춤 홈(도시하지 않음)에 끼워 맞추어진다.
도 6G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이 상태로 지지구 (62), 협지구 (64) 및 외통실린더 (63)을 동시에 하강함으로써, 접어 포개진 통 형상 테더벨트 (11a)는 자신이 겹친 상태로 에어백 본체 (10a)와 함께 압축되면서 주름 상자 형상에 접어 포개진다. 에어백 (10)의 압축이 종료하면(도h참조) 상기 플레이트 (65)를 없앤 후에 지지구 (62), 협지구 (64) 및 외통실린더 (63)이 동시에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 에어백 (10)의 접어 포개는 작업을 종료한다.
또한 에어백 (10)의 전체 길이를 핀 상태에 있어서 통 형상 테더벨트 (11a)의 길이를 에어백 본체 (10a)의 길이가 대략 절반에 동일한 것으로 하여 에어백 (10)의 길이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 길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지지구 (62)의 정지하는 위치, 지지구 (62) 및 협지구 (64)가 하강해 정지하는 위치는 에어백 (10)의 길이에 따라 그 위치가 결정되는 것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유지 부재 (14)의 에어백 (10)을 덮기 전의 전개도이다. 이 유지 부재 (14)는 직포제로 대략 정방형의 형상이고, 그 중앙에는 원형의 장착 볼트 삽입 구멍 (14hh)가 설치되어 대략 정방형의 4변의 중심과 대각선상의 단변에 상기 쿠션링 (22)의 볼트 (22d)에 맞추는 8개의 구멍 (14ah, 14bh)가 설치되고 있다. 유지 부재 (14)의 상기 장착 볼트 삽입 구멍 (14hh)는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유지 부재 (14)로 덮인 에어백 (10)을 에어백 커버 (16)에 수납할 때에 도 2에 나타낸 장착 볼트 (40a)에 끼워 통과하기 위한구멍이다. 부호 14h는 유지 부재에 설치된 미싱선으로 이루어지는 대략 원형의 파단 예정부이고, 에어백 (10)의 전개 초기시에 파단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그 파단 예정부의 크기는 에어백 커버 (16)의 오목부 (16a)의 직경보다 크면 좋다. 상기 대략 원형의 파단 예정부의 미싱선은 줄눈이 길게 이음선이 짧고, 그 이음선은 그 대략 원형상의 4 등분된 위치에 형성되고 있다. 또한 상기 파단 예정부의 크기는 장식 부재 (40)의 직경보다 크면, 에어백 (10)의 전개 초기시에 접어 포개진 테더벨트 (11a)가 상기 장식 부재 (40)에 접촉하는 경우 없이 순조롭게 전개할 수가 있다.
도 7B는 에어백 (10)을 덮기 전의 유지 부재 (14)와 기술한 에어백 접어 포개는 기계 (60)으로 접어 포개진 에어백 (10)의 이면측의 사시도이다. 접어 포개진 에어백 (10)으로부터 돌출하는 쿠션 링 (22)의 볼트 (22d)에 상기 유지 부재 (14)의 4변의 중심에 있는 4개의 소구멍 (14ah)를 맞춘다. 그 후에 대각선상에 위치 하는 구멍 (14bh)를 대향하는 2개소의 볼트 (22d)에 모두 맞춘다. 그 맞춤시에 파단 예정부 (14h)의 미싱선의 이음선이 상기 4변의 중심에 있는 구멍 (14ah)에 상기 볼트 (22d)를 맞추기 위해서 이끄는 위치에 있으므로 4 곳의 맞춤 상태가 균등하게 유지된다.
도 7C는 접어 포개진 에어백 (10)을 유지 부재 (14)로 덮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에어백 (10)을 유지 부재 (14)로 덮을 때에는 도 6A에 나타낸 상기 통 형상 테더벨트 장착 구멍 (11ah)가 유지 부재 (14)의 장착 볼트 삽입 구멍 (14hh)와 겹치도록 해 에어백 (10)을 덮는다. 에어백 (10)이 파단 예정부 (14h)내의 보호 부재 (14)에 의해 완전하게 덮여 있다.
도 7D는 도 7C의 유지 부재 (14)로 덮은 에어백 (10)의 이면도이다. 보호 부재 (12)는 접어 포개진 에어백 (10)의 내부에 주름 상자 형상에 들어가 있으므로, 이들을 일단 꺼내 도 7D(혹은 도 1)와 같이 접어 포개진 에어백 (10)의 내주위를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보호 부재 (12)는 가스 정류 부재로서의 기능을 발휘한다. 보호 부재 (12)의 상기 일단 꺼내어 도 7D(혹은 도 1)와 같이 접어 포개진 에어백 (10)의 내주위를 따르도록 배치한 부분을 이하 정류 부재 (12')라고 부른다. 그리고, 상기 유지 부재 (14)로 덮음으로써 상기 삽입구멍 (14hh)와 겹쳐진 상기 통 형상 테더벨트 장착 구멍 (11ah)가 인플레이터 장착입구 (10ah)의 대략 중심 환언 하면, 에어백의 전개 초기에 팽창하는 부분의 근방까지 형성된 가스 정류 부재 (12')의 대략 중앙에 배치된다. 기술한 상기 인플레이터 장착입구 (10ah)에 장착된 가스 정류 부재 (12')는 도 7D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접어 포개져 유지 부재 (14)로 유지된 상태에서는 표면이 겹겹이 접어 포개진 벽 (12a)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유지 부재 (14)로 유지된 에어백 (10)이 에어백 커버 (16)에 수납된 상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기 가스 정류 부재 (12')는 에어백 (10)의 인플레이터 장착입구 (10ah)를 끼우는 쿠션링 (22)로부터 에어백의 전개 초기에 팽창하는 부분인 접어 포개어진 통 형상 테더벨트 (11a)의 선단의 근방까지, 에어백 (10)의 내벽을 따르도록 표면측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이 상태의 상기 가스 정류 부재 (12')의 형상은 통 형상이다. 상기 가스 정류 부재 (12')는 이와 같이 겹겹이 접어 포개어진 벽 (12a)가 표면에 형성되고 있으므로, 에어백 (10)의 인플레이터 장착입구 (10ah)의 주변의 열이나 가스압의 충격을 보호하는 보호 부재로서 큰 효과를 갖고 또한 그 형상이 통 형상이므로 가스를 정류하는 정류 부재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에어백 (10)의 이면측에서는 접어 포갤시에 삽입해 둔 쿠션 링 (22)의 볼트 (22d)가 인플레이터 장착부 주변에서 돌출한 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한 유지 부재 (14)의 구조에 의해 에어백 (10)을 덮는 것으로, 에어백 (10)의 외주위 측면을 억누를 수 있으므로 에어백 (10)의 전개 초기에 인플레이터로부터 발생하는 가스에 의한 에어백 (10) 측면 방향의 팽창 전개를 억제할 수가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파이로식의 인플레이터를 이용한 호른 스윗치 부착 에어백 장치 (M1)의 유지 부재 (14)를 설명했지만, 다음에 하이브리드, 스토아드식의 인플레이터를 이용한 에어백 장치의 유지 부재를 설명한다.
도 8은 제2의 실시 형태의 유지 부재의 전개도이다. 도 8A의 유지 부재 (14A)는, 제1 실시 형태의 유지 부재 (14)와 동일하게 직포제로 대략 정방형의 형상이고, 부호 14Ah는 유지 부재 (14A)에 설치된 미싱선으로 이루어지는 대략 원형의 일부로 이루는 파단 정지부이고, 그 대략 원형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4변의 중심 에 있는 구멍으로 향해 상하 좌우에 십자형의 미싱선으로 이루어지는 파단 예정부 (14Ak)가 형성되고 있다.
상기 미싱선은 줄눈 및 이음선의 길이가 대략 동일한 짧은 것이 형성되고 있다. 상기 원형의 일부로 이루어지는 파단 정지부 (14Ah)는, 에어백의 전개 초기시에 파단 예정부 (14Ak)가 파단했을 때, 이 파단 예정부 (14Ak)의 십자형 미싱선이 더욱 늘어나 보호 부재 (14A)를 절단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전개 초기에 팽창하는 부분이 전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도 8B는 제2의 실시 형태의 다른 유지 부재 (14B)의 전개도이다. 상기 유지 부재 (14B)는 상기 유지 부재 (14A)에 대해서 그 파단 예정부 (14Bk) 및 파단 정지부 (1bh)의 미싱선 부분의 수가 각각 4로부터 배의 8에 증가한 점을 제외하고, 상기 유지 부재 (14A)와 같은 형상의 것이다. 이와 같이 파단 예정부 (14Ak)의 수가 증가함으로 상기 전개 초기에 팽창하는 부분의 전개하는 스피드가 앞당겨진다.
도 9A는 제3의 실시 형태의 유지 부재 (14C)의 전개도이다. 상기 유지 부재 (14C)는 그 중심으로부터 상하 좌우에 십자형의 미싱선으로 이루어지는 파단 예정부 (14Ck)가 형성되고 있고 상기 유지 부재 (14A)의 파단 정지부 (14Ak) 대신에 소구멍 (14Ch)가 유지 부재 (14C)에 형성되고 있다. 상기 소구멍 (14Ch)는 상기 파단 정지부 (14Ak)의 기능과 같은 십자형 미싱선이 더욱 늘어나 보호 부재 (14C)를 절단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9B는 제3의 실시 형태의 다른 유지 부재 (14D)의 전개도이다. 상기 유지 부재 (14D)는 상기 유지 부재 (14C)에 대해서 그 파단 예정부 (14Dk), 파단 정지부 (14Dh)의 미싱선 부분의 수가 각각 4로부터 배의 8에 증가한 점을 제외하고, 상기 유지 부재 (14C)와 같은 형상의 것이다. 이와 같이 파단 예정부 (14Ck)의 수가 증가함으로, 상기 전개 초기에 팽창하는 부분의 전개하는 스피드가 앞당겨진다.
또한 상기 제 2 및 제3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유지 부재의 파단 예정부의 형상을 십자형 및 8개의 방사 형상의 것으로 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유지 부재의 중심으로 대해 대응한 방사 형상 형상이면 좋고 그 형상은 인플레이터의 형식, 가스 용량 등에 따라 그 형상을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0은 상기 인플레이터 장착입구 (10ah)의 주변부 (10d)를 보호하는 주변 보호 부재 (70)의 전개도이다. 상기 주변 보호 부재 (70)은 직포제로 그 표면에는 실리콘 고무가 코팅되고 있다. 상기 주변 보호 부재 (70)은 대략 원형의 형상이고, 그 중앙에는 인플레이터 (30)을 삽입하는 삽입 구멍 (70ah)가 설치되고 그 외력 원주상에 상기 볼트를 삽입 통과하는 4개의 구멍 (70b)가 형성되고 있다. 상기 주변 보호 부재 (70)은 쿠션 링 (22)의 이면측으로부터 연결 부재 (20)이 끼워 넣어지고 양부재 (20, 22)로 끼워져 고정될 때에, 인플레이터 장착입구 (10ah)의 주변부 (10d)가 상기 연결 부재 (20)의 엣지에 의해 손상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도 7B로 나타낸 에어백 (10)을 유지 부재 (20)으로 덮는 순서에서는 상기 주변 보호 부재 (70)을 생략해 설명했지만, 상기 4변의 중앙에 있는 볼트 (22d)에 맞추는 유지 부재 (14)의 구멍 (14ah)를 상기 볼트 (22d)에 맞추기 전에, 상기 볼트 (22d)에 상기 주변 보호 부재 (70)의 구멍 (70b)를 삽입 통과해 재 치한 후에, 에어백 (10)을 유지 부재 (20)으로 덮는다.
보호 부재 (12)의 재질이 에어백 (10)과 동일하게 직포제인 경우에는, 기술한 바와 같이 인플레이터 장착입구 (10ah)의 주변부 (10d)에 소정의 폭의 원단을 겹쳐 봉합한 보호 부재 (12)를 원통형에 배치하면 좋다. 보호 부재 (12)의 길이는, 에어백 (10)의 전개 초기에 팽창하는 부분의 근방에 닿는 길이가 필요하고, 예를 들면 접어 포개어진 통 형상 테더벨트 (11a)의 선단에 닿는 길이가 바람직하다.
보호 부재 (12)의 재질이 에어백 (10)의 재질과 다른 재료, 예를 들면 합성 수지제 시트도 좋고 가스를 정류하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고 유연성이 있는 재질의 것이면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에어백 (10)과 합성 수지제 시트를 적절한 수단으로 고정하면 좋다. 보호 부재 (12)를 에어백 (10)에 고정하지 않고 별체의 것으로 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별체의 경우 합성 수지제 시트로 한정되지 않고 금속제의 것도 좋다. 그 경우에도 인플레이터의 가스가 에어백의 전개 초기에 팽창하는 부분에만 가스가 흐르도록 정류하면 좋다. 그리고, 상기 쿠션 링 (22)의 볼트 (22d)에 일체적으로 체결해도 좋고 완전하게 별체로서 장착하여도 괜찮다. 또 베이스 플레이트 (24)에 용접이나 깊이 돌리기로 형성해도 좋다.
그 후의 에어백 장치 (M1)의 조립 작업은 상술한 작업과 같다. 기술한 것처럼 보호 부재 (12)의 길이는 에어백의 전개 초기에 팽창하는 부분의 근방에 닿는 길이가 필요하고, 바람직하게는 접어 포개어진 통 형상 테더벨트 (11a)의 선단에 닿는 길이가 필요하다.
다음에, 상기한 보호 부재에 형성한 것과는 다른 가스 정류 부재의 실시 형 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에어백이 구비하는 가스 정류 부재 (12L)의 전개도이다. 상기 가스 정류 부재(12L)은 직포제로 에어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고 있다. 가스 정류 부재 (12L)은 링 형상의 링형상부 (12r)의 외주위를 4 등분 한 위치에, 상기 쿠션링 (22)의 볼트 (22d)가 관통하는 구멍 (14ah) 및 그 외측 근방에 4개의 구멍 (14ah')를 가지는 장착부 (15d)와 그것에 이어지는 빗살 형상의 가스 정류 부품 (12k)가 설치되고 상기 링형상재부 (12r)의 중앙 부분에 상기 에어백(10)의 인플레이터 장착입구 (10ah)와 대략 동일한 크기의 개구 (14')가 형성되고 있다.
상기 가스 정류 부재 (12L)은 유지 부재 (14)를 에어백 (10)에 설치한 후에 그것에 겹쳐 장착한다. 즉, 에어백 (10) 및 유지 부재 (14)를 관통해 돌출한 상기 쿠션링 (22)의 볼트 (22d)에 상기 유지 부재 (14)에 겹쳐 상기 가스 정류 부재 (12L)의 4개의 장착부 (15d)의 소구멍 (14ah)를 삽입 통과해 고정하고, 이어서 가스 정류 부품 (12k)를 되접어 상기 외측의 4개의 소구멍 (14ah')를 상기 볼트 (22d)에 삽입 통과해, 상기 가스 정류 부품 (12k)를 에어백 (10)의 내주위를 따르도록 신장 전개 전개시켜 배치한다.
다음에, 상기 가스 정류 부재 (12L)를 설치한 에어백 (10)을 에어백 커버 (16)에 수납해 이어서 연결 부재 (20)의 한 쌍의 장착발 (20c)의 장착 구멍 (22a)를 상기 돌출한 볼트 (22d) 중 대향한 2개에 각각 끼워 넣고, 그 상태로 더욱 상기 볼트 (22d)에 베이스 플레이트 (24)의 장착 구멍 (24b)를 끼워서 베이스 플레이트 (24)의 이면측으로부터 상기 볼트 (22d)에 너트를 나사 결합해, 연결 부재 (20), 쿠션 링 (22), 에어백 (10), 유지 부재 (14) 및 가스 정류 부재 (12L)를 동시 고정해 일체로 연결한다. 또한 유지 부재 (14)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는 에어백 (10)상에 겹쳐 상기 가스 정류 부재 (12L)를 쿠션 링 (22)에 고정 장착 한다.
이와 같이 해 가스 정류 부재 (12L)를 에어백 (10)의 대략 중앙에 용이하게 배치할 수가 있어 배치된 가스 정류 부재 (12L)은 인플레이터 (30)으로부터의 가스를 에어백 (10)이 전개 초기에 팽창하는 부분에 이끌 수가 있다.
도 12는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가스 정류 부재 (12M)의 전개도이다. 상기 직사각형의 가스 정류 부재 (12M)는 그 하부가 상기 인플레이터 (30)의 가스를 정류하는 기능을 가지는 가스 정류 부품 (12k)와 상부가 상기 가스 정류 부품 (12k)를 상기 쿠션 링 (22)의 볼트 (22d)에 고정하기 위한 장착부 (15d)로 구성되고 그 장착부 (15d)의 중앙에는 상기 볼트 (22d)를 맞추는 구멍 (14ah)가, 그리고, 상기 장착부 (15d)의 사이에는 절개 홈 (15e)가 형성되고 있다. 그 횡방향폭은 이 가스 정류 부품 (12k)를 접어 포갠 에어백내에 배치했을 때, 가스 정류 부재 (12M)의 횡방향폭은 내주위보다 길어지도록 구성되고 있다.
상기 가스 정류 부재 (12M)를 유지 부재 (14)로 유지된 접어 포갠 상태의 에어백 (10)에 장착할 때에는, 상기 쿠션 링 (22)의 볼트 (22d)에 도 12에 나타낸 가스 정류 부재 (12M)의 맞춤 부재 (15d)의 구멍 (14ah)를 좌측으로부터 차례로 맞추어, 상기 절개 홈 (15e)의 부분에서 가스 정류 부품 (12k)를 서로 겹쳐 에어백 (10)의 내주위를 따르도록 신장 전개 전개시켜 배치시킨다.
또한 도 12로 나타나는 바와 같이 가스 정류 부재 (12M)의 우단부가 길게 연장하고 있지만, 상기 가스 정류 부재 (12M)를 에어백 내주위에 따르게 할 때에, 좌단부의 가스 정류 부품 (12k)와 우단부의 가스 정류 부품 (12k)가 겹치는 영역을 구비하고 있으면 그 좌우 단부의 길이는 임의에 결정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다른 가스 정류 부재 (12N)의 전개도이다. 가스 정류 부재 (12N)은 동일한 형상의 독립한 가스 정류 부재 4매로 구성되어 그 하부가 상기 인플레이터 (30)의 가스를 정류 하는 기능을 가지는 가스 정류 부품 (12k)와 상부가 상기 가스 정류 부품 (12k)를 상기 쿠션 링 (22)의 볼트 (22d)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 (15d)로 이루어져 있다. 그 장착부 (15d)의 중앙에는 상기 볼트 (22d)를 삽입 통과하는 구멍 (14ah)가 형성되고 있다.
상기 가스 정류 부재 (12N)를 유지 부재 (14)로 유지된 에어백 (10)에 장착할 때에는 상기 쿠션 링 (22)의 볼트 (22d)에 1매씩 맞추고 1매씩 에어백 (10)의 내주위를 따르도록 신장 전개 전개시켜 배치한다. 상기 가스 정류 부재 (12N)에 있어서도 각각을 접어 포갠 에어백 (10)내에 배치했을 때 서로 겹치도록 그 주위 방향 길이가 에어백 (10)의 내주위보다 길어지도록 형성되고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가스 정류 부재 (14N)의 전개도이다. 가스 정류 부재 (14N)은 유지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있다. 가스 정류 부재 (14N)은 상기 각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직포제로 대략 정방형의 형상의 4변의 중앙에 빗살 형상의 가스 정류 부품 (12k)가 설치되고 있어 그 중앙에는 원형의 장착 볼트 삽입 구멍 (14hh)가 설치되고 대략 정방형의 4변의 중심과 대각선상의 장착한 변에 상기 쿠션 링 (22)의 볼트 (22d)에 맞추는 8개의 구멍 (14ah, 14bh)가 설치되고 있다.
상기 유지 부재 (14)와 일체의 가스 정류 부재 (14N)의 상기 장착 볼트 삽입구멍 (14hh)는 상기 유지 부재 (14)의 장착 볼트 삽입 구멍 (14hh)와 동일하게, 장착 볼트 (40a)에 삽입 통과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가스 정류 부품 (12k)의 가로폭은 접어 포개어진 에어백 (10)의 내주위의 4분의 1이상의 폭으로서 그 깊이는 구멍 (14ah)로부터 그 접어 포개어진 에어백 (10)의 높이보다 짧게 형성되고 있다.
부호 (14h)는 도 7A에 나타낸 유지 부재에 설치된 대략 원형의 파단부와 같은 미싱선으로 이루어지는 파단부로서 에어백의 전개 초기시에 파단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고, 그 크기는 에어백커버 (16)의 오목부 (16a) 및 장식용 부재 (40)의 직경이 통과 가능한 크기이다. 상기 대략 원형의 파단부의 미싱선은 절개 홈이 길게 이음선이 짧고 그 이음선은 그 대략 원형상의 4 등분된 위치에 형성되고 있다.
도 15는 에어백 (10)을 싸기 전의 유지부와 일체의 가스 정류 부재 (14N)와 후술하는 에어백 접어 포개는 기계 (60)으로 접어 포개어진 에어백 (10)의 이면도이다.
도 1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에어백 (10)은 접어 포개져 유지 부재상에 놓여져 있고 이어서 유지 부재의 주변부를 들어 올려 상기 에어백 (10)의 인플레이터 장착입구 (10ah)의 주변부 (10d)에서 돌출하여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2개의 쿠션 링 (22)의 볼트 (22d)에 그것과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빗살 형상의 가스 정류 부품 (12k)를 되접어 그 구멍 (14ah)를 끼워 넣고, 빗살 형상의 가스 정류 부품 (12k)를 에어백 (10)의 내주위를 따르도록 신장 전개 시키고, 동일하게 다른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볼트 (22d)에 다른 2개의 구멍 (14ah)를 맞추어 동일하게 빗살 형상의 가스 정류 부품 (12k)를 에어백 (10)의 내주위를 따르도록 신장 전개 시킨다. 그 후에 대각선상에 위치 하는 구멍 (14bh)를 상기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볼트 (22d)에 모두 끼워 넣는다. 그 끼워 넣을 시에, 도 1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파단부 (14h)의 미싱선의 이음선이 상기 4변의 중심에 있는 구멍 (14ah)를 연결하는 선상에 있으므로 끼워 넣을 때의 인장력이 그 이음선에 작용하기 때문에 4개소의 끼워 넣는 상태가 균등하게 유지된다.
도 16은 유지부와 일체의 가스 정류 부재 (14N)로 덮은 에어백 (10)의 이면측 사시도이다. 에어백 (10)의 내주위는 빗살 형상의 가스 정류 부품 (12k)가 그 내주위를 따르도록 넓혀져 배치되고 있다. 상기 빗살 형상의 가스 정류 부품 (12k)의 가로폭은 접어 포개어진 에어백 (10)의 내주위의 4분의 1 이상의 길이를 가지므로, 상기 가스 정류 부품 (12k)의 일부가 이중으로 겹쳐진 상태로 에어백 (10)의 내주위를 따르도록 신장 전개 시킨다. 기술한 바와 같이 가스 정류 부재 (14N)의 길이는 에어백의 전개 초기에 팽창하는 부분의 근방에 닿는 길이가 필요하고, 접어 포개어진 통 형상 테더벨트 (11a)의 선단에 닿는 길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내지 제 4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가스 정류 부재에서는 디스크 타입의 인플레이터를 이용한 호른 스윗치 부착 에어백 장치 (M1)의 가스 정류 부재를 설명했지만, 실린더 타입의 인플레이터를 이용한 에어백 장치의 가스 정류 부재 에 상기 가스 정류 부재 (12;12L, 12 M 및 12N, 14N)를 이용해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7은, 팽창 상태의 에어백 (10) 내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투시 사시도이다. 또한 간이화를 위해 통 형상 테더벨트 (11a)내의 장식 부재 (40), 이 장식 부재 (40)과 결합된 인플레이터 (30)등은 도시하고 있지 않다. 에어백 (10)의 인플레이터 장착입구 (10ah) 주변에는 인플레이터의 발생하는 열이나 충격적인 압력으로부터 에어백을 보호하는 보호 부재 (12c)가 주변부 (10d)에 겹쳐져 봉합되고 있다. 상기 보호 부재 (12c) 위에 가스의 유출 방향을 정류하는 가스 정류 부재 (12;여기에서는 가스 정류 부재 (12)M)가 보호 부재 (12c)의 주위에서 이것을 감싸도록 신장 전개 하고 있다.
도 18A는 에어백 커버 (16)의 사시도이다. 에어백 커버 (16)은 도시와 같이 합성 수지에 의해 대략 완장 형상에 형성되고 있고 그 중앙부분에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장식용 부재 (40)을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 (16a)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에어백 커버 (16)은 그 장착 부품 (24a)를 개재시켜 베이스 플레이트 (24)에 리벳으로 고정된다. 또한 에어백커버 (16)의 오목부 (16a)에 장식용 부재 (40)을 장착한 상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그 장식용 부재 (40)의 표면은 에어백커버 (16)의 표면과 대략 면일정한 상태가 된다.
도 18B는 에어백 커버의 이면도이다. 도시와 같이 이 에어백 커버 (16)의 이면에는 에어백 (10)의 팽창 전개에 대해 연결 부재 (20)에 의해 고정된 중앙의 오목부 (16a)를 남겨 파열 가능한 홈 형상의 티아라인(L1~L4,Lc)이 형성되고 있다. 즉, 에어백커버 (16)의 이면에는 에어백의 팽창 압력을 받으면 오목부 (16a)를 남겨 복수개의 커버 부품 (16b)에 분할할 수 있도록 오목부 (16a)의 주위에 원형의 티아라인 (Lc) 및 이 티아라인 (Lc)로부터 방사 형상에 연장한 복수, 예를 들면 4개의 티아라인 (L1~L4)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티아라인이 설치되고 있다. 또, 에어백 커버 (16)은 에어백 (10)의 팽창시에 각 커버 부품 (16b)에 분할되고 또 각각이 독립에 개방할 수 있도록 리벳으로 고정되고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인플레이터 (30)이 작동해 에어백 (10)이 가스압에 의해 팽창 전개하면 그 힘으로 에어백 커버 (16)이 장식용 부재 (40) 주위의 티아라인 (L)부분에서 눌러 나누어지고 갈라진 커버 부품이 완장 형상의 중앙의 오목부 (16a)를 남겨 각각 외측에 열려 전술한 것처럼, 완전하게 분리되어 각각이 독립해 개방한다.
도 19는 개방한 상태의 각 커버 부품 (16b)를 승무원측에서 본 도이다. 도시와 같이 에어백커버 (16)은 에어백 (10)의 전개시에 각 커버 부품 (16b)에 분할되는 것으로 에어백 (10)이 유지 부재 (14)의 파단 예정부 (14h)를 통과한 후는 측면 방향에의 전개를 저해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간이화를 위해 에어백 등을 도시하고 있지 않다.
여기서, 에어백 장치 (M1)의 조립 순서에 대해서 도 2 내지 4, 도 7 및 18을 참조해 설명한다.
조립시에는, 에어백 커버 (16)에 미리 쿠션 링 (22)가 그 내부에 수납되고 유지 부재 (14)로 포장된 에어백 (10)을 에어백 커버 (16)의 구멍 (16ah)와 에어백 (10)의 통 형상 테더벨트 장착 구멍 (11ah)과의 위치를 맞추어 수납한다. 그리고, 연결 부재 (20)을 그 중앙부의 구멍 (20ah)와 상기 통 형상 테더벨트 장착 구멍 (11ah)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에어백 (10)안에 삽입 함과 동시에, 도 7d로 나타낸 에어백 (10)안에 삽입된 쿠션링 (22)의 오목 형상부 (22c)로부터 돌출하고 있는 볼트 (22d)에 연결 부재 (20)의 구멍 (20e)를 삽입해 장착발 (20c)를 상기 오목 형상부 (22c)에 끼워 넣는다.
그리고, 표면측에서 장식용 부재 (40)의 장착 볼트 (40a)를 에어백 커버 (16)의 오목부 (16a)의 구멍 (16ah)에 삽입 통과하고 그 구멍 (16ah)의 위치에 맞추어 배치되고 있다. 상기 에어백 커버 (16)의 구멍 (16ah), 에어백 (10)의 통 형상 테더벨트 장착 구멍 (11ah) 및 연결 부재 (20)의 중앙부의 구멍 (20ah)의 각 구멍을 삽입 통과한다. 상기 장착 볼트 (40a) 너트를 나사 결합시킴에 따라, 상기 장착 볼트 삽입 구멍 (14hh) 및 통 형상 테더벨트 장착 구멍 (11ah)가 에어백커버 (16)의 오목부 (16a)와 연결 부재 (20)의 중앙부 (20a)의 사이에 끼움 고정된다.
다음에, 쿠션링 (22)의 볼트 (22d)에 베이스 플레이트 (24)의 구멍 (24c)를 삽입 통과해 양부재 (22 및 24)를 겹쳐 베이스 플레이트 (24)를 에어백 커버 (16)에 끼워 맞추어 또 볼트 (22d)에 인플레이터 (30)을 끼워 넣어 볼트 (22d)에 너트를 나사 결합시킨다. 이것에 의해 상기 인플레이터 장착입구 (10ah) 및 보호 부재 (12)가 쿠션 링 (22)와 연결 부재 (20)의 사이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도 2에 나타내는 에어백 장치 (M1)의 조립이 완료한다.
상기 에어백 장치 (M1)의 전개 동작에 대해서 도 20A 및 20B를 참조해 설명 한다.
우선, 차량 충돌시 등에 의한 충격 검지에 의해 인플레이터 (30)이 점화되어 상기 인플레이터 (30)으로 가스가 생성되어 이 가스가 에어백 (10)내에 도입된다. 에어백 커버 (16)은 에어백 (10)이 팽창하기 시작하면 그 힘을 받아 티아라인(L1~L4 및 Lc)를 따라, 즉 중앙의 오목부 (16a)를 남겨 갈라져 각 에어 커버 부품 (16b)는 방사 형상에 확장하여 열린다.
에어백커버 (16)이 갈라진 후 상기 에어백 (10)이 팽창하기 시작하는 초기 단계에서는 도 20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에어백 (10)내에 가스가 도입되면, 전개 초기에 팽창을 개시하는 에어백 (10)의 기포의 중앙부와 통 형상 테더벨트 (11a)가 봉합된 봉제부 (11c)에서 팽창 전개하면서, 상기 통 형상 테더벨트 (11a)가 상기 오목부 (16a)를 감싸면서 에어백 (10)의 표면 부분이 승무원 측에 팽창한다. 이 팽창 시에는 상기 통 형상 테더벨트 (11a)가 통 긴 방향에 접어 포개지고 있으므로, 늘어나기 시작할 때에 저항을 받지 않는다. 상기 봉제부 (11c)로부터 팽창 전개할 때 에어백 (10)은 유지 부재 (14)의 파단 예정부 (14h)를 통과해 저항을 받으면서 승무원 측에 전개한다. 따라서, 어느 정도의 내압을 유지한 상태로 팽창하면서 접어 포개는 수납 상태가 도중 부분에서 무너지는 경우가 없고, 승무원측의 표면 부분으로부터 차례로 승무원 측에 전개해 가게 된다.
그런데, 도 20A는 통 형상 테더벨트 (11a)가 그 전체 길이를 다 늘린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승무원 측에 이면 부분의 일부가 팽창 전개하고 있지만, 에어백 (10)의 2매의 대략 원형상의 원단의 외주위원부 끼리를 봉합한 봉제부 (10c)의 위 치가 스티어링 휠 (50)의 근방에 있고 이면 부분의 다른 부분은 유지 부재 (14)안에 아직 수납되고 있다. 에어백이 어느 정도 팽창한 후는 도 20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기 봉제부 (10c)의 위치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동해 통 형상 테더벨트 (11a)의 중심선의 거의 중앙으로 이동해, 편평한 구상 형상이 되어 팽창 전개를 완료한다. 부호 12'는 가스 정류 부재이다.
이와 같이 통 형상 테더벨트 (11a)가 전체 길이 늘어남에 정지함에따라, 에어백 (10)의 승무원측에게로의 전개가 정지하도록 하는 거동을 나타내는 것은, 파열의 힘을 얻기 위해서 에어백커버 (16)내에서 에어백 내압이 일시적으로 커져 에어백 커버 (16)의 파열 직후에, 그 내압에 의해 전술한 통 형상 테더벨트 (11a)가 급속히 늘어남에 이 움직임에 따라 에어백 (10)이 늘어나기 시작하지만 전개와 동시에 에어백 (10)의 용적은 급격하게 증대하기 때문에 내압은 급속히 저하한다. 그 때, 그 관성력으로 에어백 (10) 자체는 늘어나기 시작하려고 하지만, 통 형상 테더벨트 (11a)가 늘어남의 정지와 유지 부재 (14)의 저항에 의해 충분히 내압이 상승할 때까지 에어백 (10)이 승무원측에 전개하는 것을 정지한다는 거동이 발생한다.
또한, 에어백 장치 (M1)에 있어서는, 그 후에 있어서의 승무원측에게로의 전개 속도는 에어백 (10)의 중앙부가 승무원측에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유지 부재 (14)내에 남은 에어백 부분의 늘어남에 비교해 실제로는 절반에 감속되어 승무원에 대한 가해성이 통 형상 테더벨트 (11a)가 없는 것과 비교하면 한층 더 감소한다.
이 효과는 에어백 장치 (M1)에 있어서의 통 형상 테더벨트 (11a)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평탄한 통 형상 테더 벨트를 설치했을 경우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다음에,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 (M2)에 대해서 설명을 한다. 도 2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이 에어백 장치 (M2)는 접어 포개어진 에어백 (10A)와 에어백 (10)에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 (30A)와 에어백 (10A) 및 인플레이터 (30A)를 수납하는 대략 사각통 형상의 에어백 커버 (16A)로 구성되고 있다. 또한 에어백 장치 (M2)는 전술의 에어백 장치 (M1)에 있어서의 동일한 부재와 대략 같은 구성이고,동일 부호의 말미에 A를 붙인 부호를 교부해 에어백 장치 (M2)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에어백커버 (16A)는 대략 사각통 형상의 머리 부분의 이면에, 2개의 커버 부품 (16Ab)에 개폐할 수 있도록 H자형 모양에 배치된 티아라인 (LA)가 설치되어 상기 2개의 커버 부품 (16Ab)가 각각 도면으로부터 볼때 상단측과 하단측을 경첩부 (16Ae)로서 상하 양측으로 열리도록 구성되고 있다. 또, 상기 사각기둥 형상의 머리 부분의 이면 측에는 2개의 커버 부품 (16Ab)의 배치 위치를 둘러싸도록하부에 돌출하는 대략 사각통 형상의 연결벽부 (16Af)가 배치 설치되고 있다.
연결벽부 (16Af)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는 벽부의 소정 위치에 복수의 고정구멍 (16Ag)가 관통되고 있다. 이들의 고정구멍 (16Ag)에는 베이스 플레이트 (24A)에 형성된 고정 갈고리 (24Ad)가 삽입되어 고정 갈고리 (24Ad)가 연결벽부 (16Af)에 고정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각 고정 갈고리 (24Ad)의 연결벽부 (16Af)에 고정은, 연결벽부 (16Af)와 베이스 플레이트 (24A)와의 연결 상태를 확보해, 팽창시의 에어백 (10A)가 원활히 2개의 커버 부품 (16Ab)를 밀어 올려 티아라 인 (LA)를 파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베이스 플레이트 (24A)는 도 2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단 측에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를 가진 금속판제의 대략 직방체 형상에 형성되어 직사각형 판 모양의 바닥벽부 (24Ae)와 바닥벽부 (24Ae)의 바깥 둘레로부터 대략 사각통형상에 에어백 커버 (16A)의 윗쪽에 늘어나는 측벽부 (24Af)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있다. 바닥벽부 (24Ae)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늘어난 직사각형 판 형상에 형성되고 있어 중앙에, 인플레이터 (30A)의 상부측을 하부로부터 에어백 커버 (16A)측의의 윗쪽에 삽입 가능한 원형에 개구 한 인플레이터 장착입구 (24Ah)를 구비하고 있다.
바닥벽부 (24Ae)의 인플레이터 장착입구 (24Ah)의 주변에는 도 1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쿠션링의 각 볼트 (22Ad)를 삽입 통과 가능한 장착 구멍 (22Ag)가 형성되고 있다. 또, 바닥벽부 (24Ae)에는 도 1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 (24A)를 차량의 보디 (60) 측에 연결시키는 브라켓 (32)가 바닥벽부 (24Ae)의 좌우 양측 부위의 하면 측에 고정되고 있다. 각 브라켓 (32)에는 볼트를 나사 결합시키기 위한 너트가 고정되고 있다. 보디 (60) 측에는 인포먼스먼트 (60a)에서 늘어나는 브라켓 (60b)가 배치 설치되고 볼트는, 브라켓 (60b)의 장착자리를 관통하여 너트에 나사 결합되고 있다. 각 볼트의 너트에의 누름에 의해, 에어백 장치 (M1)가 보디 (60)측에 장착 고정되고 있다.
다음에, 에어백 장치 (M2)의 조립 순서에 대해서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해 설명한다
도 22는 가스 정류 부재 (12A'), 에어백 (10A) 및 유지 부재 (14A)의 끼움 고정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에어백 장치 (M2)로 이용되는 에어백 (10A)는, 상기 통 형상 테더벨트 (11a)가 장비되고 있는 점을 제외하고 에어백 장치 (M1)의 에어백 (10)과 동일하게 도 7A 내지 7d로 설명한 쿠션 링 (22A)를 내장 한 접어 포개어진 에어백 (10A)가 유지 부재 (14A)로 덮여 있다. 에어백 커버 (16A)내에 상기 유지 부재 (14A)로 덮인 에어백 (10A)를 수납하고, 쿠션 링 (22A)의 나사부 (22Ad)에 페이스 플레이트 (24A)의 인플레이터 장착입구 (24Ah)를 삽입 통과해 쿠션 링 (22A)에 페이스 플레이트 (24A)를 겹침과 동시에, 에어백 커버 (16A)의 고정구멍 (16Ag)에 베이스 플레이트 (24A)의 고정 갈고리 (24Ad)를 삽입해 고정하고, 베이스 플레이트 (24)의 이면측으로부터 너트를 나사 결합시킨다.
그 후에 베이스 플레이트 (24A), 쿠션 링 (22A) 및 인플레이터 (30A)를 나사 고정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가스 정류 부재 (12A'), 에어백 (10A) 및 유지 부재 (14A)가 쿠션링 (22A)와 베이스 플레이트 (24A)의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고 에어백 장치 (M2)의 조립이 완료한다. 또한 에어백 장치 (M2)의 에어백 커버 (16A)의 형상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에어백 장치 (M2)를 장착장소, 예를 들면, 인스톨먼트 패널의 상면 등에 따라 어떤 형상으로 할지는 설계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에어백 장치 (M2)의 전개 동작은, 에어백 장치 (M1)와 비교해 테더벨트가 없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승무원측에게로의 전개가 정지하도록 하는 거동은 없고, 에어백의 승무원 측에 면하는 부분에서 팽창하면서 어느 정도의 내압을 유지한 상태로 승무원측에 팽창 전개한다. 이와 같이 테더벨트가 없는 경우에서도, 가스 정류 부재 (12A')에 의해 에어백은 승무원측의 표면으로부터 순서대로 팽창해, 유지 부재의 14A의 파단 예정부의 파단된 개구를 통과하면서 저항을 받아 승무원 측에 전개하기 때문에 접어 포개어진 에어백커버가 파열하는 것과 동시에 에어백 전체가 튀어나와 덩어리가 되어 승무원에게 위해를 주는 것 같은 거동으로는 되지 않는 펀칭 현상이나 멘브렌 현상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다른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 (M3)에 대해서 설명을 한다. 도 23에 나타내는 에어백 장치 (M3)은, 전술의 에어백 장치 (M1 및 M2)에서의 동일한 부재와 대략 같은 구성이고, 동일한 부호의 말미에 B를 붙인 부호를 교부하고 있다. 도 23은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 (M3)의 개략 확대 종단면도이다. 에어백 장치 (M3)은 접어 포개어진 에어백 (10B)와 그 에어백 (10B)안에 수납된 가스를 공급하는 대략 원주상의 인플레이터 (30B) 및 상기 인플레이터 (30B)를 격납하는 디퓨져 (32B)와 에어백 (10B) 및 인플레이터 (30B)를 수납하는 대략 사각통 형상의 에어백 커버 (16B)로 구성되고 있다.
상기 에어백 커버 (16B)는, 대략 사각통형상의 머리 부분의 이면에, 2개의 커버 부품 (16Bb)에 개폐할 수 있도록 H자형 형상에 배치된 티아라인 (LB)가 설치되어 상기 2개의 커버 부품 (16Bb)가 각각 도면으로부터 볼때, 상단측과 하단측을 경첩부 (16Ae)로서 상하 양측으로 열리도록 구성되고 있다. 또, 상기 사각기둥 형상의 머리 부분의 이면 측에는 2개의 커버 부품 (16Bb)의 배치 위치를 둘러싸도록아래쪽에 돌출하는 대략 사각통 형상의 연결벽부 (16Bf)가 배치 설치되고 있다. 디퓨져 (32B)의 에어백 커버 (16B)에의 고정은 양부재 (32B, 16B)의 복수의 고정 위 치에 구멍이 설치되고 있어 그 구멍에 볼트를 삽입 통과해 고정함으로써 행해진다(도시하지 않음).
상기 디퓨져 (32B)가 인플레이터 (30B)와 접어 포개 수납된 에어백 (10B)의 사이에 배치되고 있어 그 디퓨져 (32B)의 팽창 가스를 유출 가능한 복수의 가스 토출구 (도시하지 않음)가 배치 설치되고 있고 인플레이터 (30B) 작동시에는 인플레이터 (30B)에서 발생하는 가스가 디퓨져 (32B)의 구멍을 지나 직접 접어 포개 수납된 에어백의 중앙 부분에 압력을 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부호 11B는 상술한 통 형상이 아닌 통상의 테더벨트이고, 부호 12B'는 가스 정류 부재이다. 상기 양부재 (11B, 12B)는 에어백 (10B)와 함께 겹쳐진 상태로 상기 디퓨져 (32B)의 에어백 커버 (16B)에 고정 시에, 양부재 (32B, 16B)의 사이에 삽입해 볼트로 고정함으로써 에어백 장치에 장착된다. 또, 이런 종류의 인플레이터 (30B)를 이용하는 에어백 장치 (M3)은 도 16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에어백 (10B)에는 인플레이터 장착입구 (10ah)를 구비하고 있지 않고, 인플레이터 (30B)를 삽입하는 연통구가 설치되고 있어 그 연통구에 인플레이터 (30B)가 삽입되고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에어백 장치로서 에어백내에 직접 인플레이터를 삽입하지 않고 에어백의 밖으로부터 에어백의 연통구를 통해 인플레이터의 가스를 에어백내에 도입하는 기술은 주지 기술이다. 이것으로부터 상기 에어백 장치 (M1 및 M2)로 이용되는 에어백 (10, 10A)의 인플레이터 장착입구 (10ah), 상기 인플레이터 (30B)를 삽입하는 연통구 및 주지의 에어백의 연통구의 각각은 인플레이터의 가스를 에어백내에 도입하는 연통구로서 동일한 기능을 가지므로 인플레이터 연통구로 서 기재하는 경우는 상기 인플레이터 장착 입구, 인플레이터를 삽입하는 연통구 및 주지의 에어백의 연통구를 포함한 의미로 이용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유지 부재 (14, 14A 및 14B)가 미싱선으로 이루어지는 파단 예정부 (14k, 14Ak, 14Bk, 14Ck 및 14Dk)를 가짐으로써 에어백 (10, 10A 및 10B)의 조립 작업시에 유지 부재가 에어백의 외주위부 및 주변부를 확실히 유지할 수가 있고 에어백의 접어 포개는 상태가 붕괴하는 경우가 없고, 또, 에어백을 에어백 커버 (16)에 조립하는 작업시간을 저감 할 수 있고 또 에어백의 전개 초기시에 용이하게 유지 부재가 파단해 에어백이 순조롭게 전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지 부재가 파단 예정부에 가세해 파단 정지부 (14h, 14Ah1, 14Bh, 14Ch 및 14Dh)를 가지므로, 에어백의 전개 초기시에 파단 예정부가 파단했을 때, 이 파단 예정부의 미싱선이 더욱 늘어나 보호 부재를 절단하는 것을 막을 수가 있고 또, 상기 전개 초기에 에어백의 팽창하는 부분이 용이하게 전개할 수 있다.
또한 파단 예정부 (14h)의 미싱선의 이음선이 상기 4변의 중심에 있는 ㅅ사상기 구멍 (14ah)에 상기 볼트 (22d)를 맞추기 위해서 인장하는 위치에 있으므로, 4 곳의 맞춤 상태가 균등하게 유지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에어백의 조립 작업시에 유지 부재가 에어백의 외주위부 및 주변부를 제대로 유지할 수가 있어 에어백의 접어 포개진 상태가 무너지는 경우가 없고, 또, 에어백을 에어백 커버에 조립하는 작업시간을 저감 할 수 있다.
(2) 유지 부재가 미싱선으로 이루어지는 파단 예정부를 가지는 것으로, 에어백의 전개 초기시에 용이하게 유지 부재가 파단해 에어백이 순조롭게 전개할 수 있다.
(3) 상기 유지 부재가 파단 정지부를 가지므로, 에어백의 전개 초기시에 파단 예정부가 파단했을 때, 이 파단 예정부의 미싱선이 더욱 늘어나 보호 부재를 절단 하는 것을 막을 수가 있고 또, 상기 전개 초기에 에어백의 팽창하는 부분이 용이하게 전개할 수 있다.
(4) 파단 예정부의 미싱선의 이음선이 4변의 중심에 있는 구멍에 볼트를 맞추기 위해서 인장하는 위치에 있으므로, 4 곳의 맞춤 상태가 균등하게 유지된다.
(5) 쿠션 링의 고정수단에 장착한 에어백 또는 유지 부재에 겹쳐 가스 정류 부재를 장착하는 것만으로 가스 정류 부재를 에어백의 중앙에 배치할 수 있음과 동시에 그 상태로 가스 정류 부품을 에어백의 내주위를 따르도록 신장 전개시키는 것만으로, 상기 가스 정류 부재의 배치가 완료하고, 또한 이와 같이 조립한 에어백 또는 에어백과 유지 부재 및 가스 정류 부재를 상기 쿠션 링의 고정수단에 의하고, 베이스 플레이트에 장착할 수가 있기 때문에 가스 정류 부재를 구비한 에어백 장치의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가 있어 따라서 그 작업 효율을 향상할 수가 있다.

Claims (14)

  1. 인플레이터와, 인플레이터와 연통해 인플레이터로부터 발생하는 가스에 의해 팽창하는 에어백과, 에어백을 접어 포개진 수납 상태로 유지해 에어백의 외주 측면을 눌러, 적어도 에어백의 전개 초기에 인플레이터로부터 발생하는 가스에 의한 에어백 측면 방향의 팽창 전개를 억제하기 위한 유지 부재와, 인플레이터로부터 발생하는 가스를 에어백의 전개 초기에 팽창하는 부분의 근방까지 정류해 안내하는 가스 정류 부재로 이루어지는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가 직포로 이루어지고, 상기 직포의 상기 에어백의 전개 초기에 팽창하는 부분에 대응하는 곳에 상기 인플레이터로부터 발생하는 가스압에 의해 파단하는 미싱선으로 형성된 파단 예정부를 형성하고,
    상기 유지 부재의 상기 파단 예정부의 선단에 파단 정지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2. 청구항 1에 기재된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의 전개 초기에 팽창하는 부분이 상기 가스 정류 부재에 의해 안내된 가스에 의해 팽창 전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기재된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단 예정부가 상기 직포의 중심으로부터 방사 형상에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6. 청구항 5에 기재된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단 정지부가 상기 직포의 중심으로부터 동일 원주상에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의 중심으로 고정구의 구멍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8. 청구항 7에 기재된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의 파단 예정부의 크기가 에어백 장치의 중앙부에 설치된 장식 부재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9. 인플레이터와 중앙에 인플레이터 장착입구를 갖고 인플레이터로부터의 가스류로 팽창 가능하게 접어 포갠 에어백과, 상기 장착입구의 근방에서 상기 에어백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에어백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구비한 쿠션 링과 상기 쿠션링에 대향하고 상기 에어백 외측에 배치된 베이스 플레이트를 구비한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로부터의 가스를 에어백내에 안내하는 가스 정류 부재를 상기 에어백에 겹쳐 상기 쿠션링의 고정수단에 고정하게 함과 동시에 그 가스 정류 부품을 상기 접어 포갠 에어백의 내주위면을 따라 연장 배치시키고 또한 상기 에어백 및 가스 정류 부재를 상기 쿠션 링의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10. 인플레이터와 중앙에 인플레이터 장착입구를 갖고 인플레이터로부터의 가스류로 팽창 가능하게 접어 포갠 에어백과 상기 에어백을 외측으로부터 감싸 접어 포개진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 부재와, 상기 장착입구의 근방에서 상기 에어백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에어백 및 상기 유지 부재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구비한 쿠션링과, 상기 쿠션 링에 대향해 상기 에어백 외측에 배치된 베이스 플레이트를 구비한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로부터의 가스를 에어백내에 안내하는 가스 정류 부재를 상기 유지 부재에 겹쳐 상기 쿠션 링의 고정수단에 고정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가스 정류 부품을 상기 접어 포갠 에어백의 내주위면을 따라 연장 배치시키고 또한 상기 에어백, 유지 부재 및 가스 정류 부재를 상기 쿠션 링의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11.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기재된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스 정류 부재는 상기 쿠션링의 고정수단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를 구비한 가스 정류 부품을 복수개 갖고, 각 가스 정류 부품은 상기 접어 포갠 에어백내에 배치했을 때에 서로 겹치는 영역을 형성할 수 있는 가로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12.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기재된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스 정류 부재는 상기 쿠션 링의 고정수단에 장착하기 위한 복수의 장착부를 구비한 1개의 가스 정류 부품으로 이루어지고, 그 선단 길이는 상기 접어 포갠 에어백내에 배치했을 때, 상기 에어백의 내주위보다 긴 내주위 방향 길이를 갖고 또한 상기 복수의 장착부 사이에 그 선단 방향을 향하는 절개 홈이 설치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13. 청구항 10에 기재된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와 상기 유지 부재의 주변에 설치한 복수의 가스 정류 부품을 구비한 가스 정류 부재가 일체로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14. 청구항 9, 청구항 10 및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쿠션링의 고정수단은 상기 쿠션 링에 장착한 볼트로서, 상기 가스 정류 부재의 장착부에 상기 쿠션 링의 볼트에 끼워 통과되는 구멍이 설치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KR1020087000397A 2005-07-07 2006-05-09 에어백 장치 KR1013594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98743A JP4780756B2 (ja) 2005-07-07 2005-07-07 エアバッグ装置
JPJP-P-2005-00198743 2005-07-07
JPJP-P-2005-00260667 2005-09-08
JP2005260667A JP5158663B2 (ja) 2005-09-08 2005-09-08 エアバッグ装置
PCT/JP2006/309297 WO2007007461A1 (ja) 2005-07-07 2006-05-09 エアバッグ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3337A KR20080023337A (ko) 2008-03-13
KR101359432B1 true KR101359432B1 (ko) 2014-02-07

Family

ID=37636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0397A KR101359432B1 (ko) 2005-07-07 2006-05-09 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878533B2 (ko)
EP (2) EP2241483B1 (ko)
KR (1) KR101359432B1 (ko)
CN (3) CN103171511A (ko)
AU (2) AU2006267780B2 (ko)
WO (1) WO20070074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05516B2 (en) * 2006-05-19 2011-03-15 Tk Holdings Inc. Airbag module with integrated gas generation
WO2008099130A1 (en) * 2007-02-14 2008-08-21 Autoliv Development Ab An air-bag for a motor vehicle
US8052167B2 (en) * 2007-06-22 2011-11-08 Tk Holdings Inc. Airbag assembly
JP5187816B2 (ja) * 2007-08-13 2013-04-24 芦森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EP2236361B1 (de) * 2009-03-31 2016-07-20 Autoliv Development AB Luftsackbaugruppe
KR101144544B1 (ko) * 2010-07-02 2012-05-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백 모듈
DE102013007734B4 (de) * 2013-05-07 2016-09-22 Autoliv Development Ab Airbagmodul und Airbageinrichtung
DE102015001234A1 (de) * 2015-02-03 2016-08-04 Dalphi Metal Espana, S.A. Verfahren zum umhüllen eines aufblasbaren gassacks zum schutz einer person, umhüllter aufblasbarer gassack, umhüllung fur einen aufblasbaren gassack, gassackmodul und fahrzeugsicherheitssystem
JP6699613B2 (ja) * 2017-03-30 2020-05-27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6876817B2 (ja) * 2017-10-05 2021-05-26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エアバッグ装置
JP6885366B2 (ja) * 2018-03-29 2021-06-16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6810089B2 (ja) * 2018-04-02 2021-01-06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エアバッグ装置およびエアバッグクッションの収納方法
GB2585651B (en) * 2019-07-09 2021-11-03 Ford Global Tech Llc A vehicle airbag assembly and associated method of form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2611A (ja) * 1994-02-23 1995-09-05 Tokai Rika Co Ltd エアバッグ用カバー
JP2002166808A (ja) 2000-11-30 2002-06-11 Nippon Plast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3701Y2 (ko) 1973-12-03 1977-03-28
JP2512969Y2 (ja) 1989-08-25 1996-10-02 芦森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US5558365A (en) 1992-12-18 1996-09-24 Kabushiki Kaisha Tokai-Rika-Denki Seisakusho Tethered air bag
FR2712864B1 (fr) 1993-11-25 1996-02-23 Ecia Equip Composants Ind Auto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volant de direction, notamment de véhicule automobile et volant de direction obtenu selon ce procédé.
FR2716857B1 (fr) 1994-03-03 1997-07-18 Autoliv Dev Volant avec dispositif de protection anti-choc à sac gonflable prémonté.
JP3467114B2 (ja) 1995-03-29 2003-11-17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EP0783995B1 (en) * 1995-08-21 2002-11-27 Toyoda Gosei Co., Ltd. Air bag device
DE29606322U1 (de) 1996-03-26 1996-06-20 Petri Ag Airbagabdeckung mit Hupenfolien
JP3292056B2 (ja) * 1996-09-26 2002-06-17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DE29616914U1 (de) 1996-09-27 1997-01-30 Trw Repa Gmbh Einrichtung zum Befestigen einer Gassack-Abdeckung
US6042147A (en) 1996-09-30 2000-03-28 Nihon Plast Co., Ltd. Air-bag device
JP3430841B2 (ja) 1997-03-05 2003-07-28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カバー
JP3144354B2 (ja) * 1997-08-26 2001-03-12 株式会社デンソー エアバッグ
DE19758754B4 (de) * 1997-11-11 2004-07-08 Hs Technik Und Design Technische Entwicklungen Gmbh Abdeckung für ein fahrerseitiges Airbagmodul
JPH11180240A (ja) 1997-12-24 1999-07-06 Kansei Corp エアバッグ装置
DE29800444U1 (de) * 1998-01-13 1998-04-23 Trw Automotive Safety Sys Gmbh Flammschutz für einen Gassack
JPH11321508A (ja) 1998-03-18 1999-11-24 Denso Corp エアバッグ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278189A (ja) 1998-03-27 1999-10-12 Toyo Tire & Rubber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US6672614B2 (en) 1998-07-22 2004-01-06 Nihon Plast Co., Ltd. Steering wheel for a vehicle
JP3760638B2 (ja) 1998-09-16 2006-03-29 タカタ株式会社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DE29818946U1 (de) 1998-10-23 1999-02-25 Trw Repa Gmbh Gassack für ein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
JP4114303B2 (ja) * 1999-07-15 2008-07-09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エアバッグ装置及びステアリング
DE19952497B4 (de) 1999-10-29 2004-03-04 Trw Automotive Safety Systems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Abdeckkappe für ein Gassack-Rückhaltemodul und Abdeckkappe
JP2001163143A (ja) 1999-12-08 2001-06-19 Toyo Tire & Rubber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US6336659B1 (en) * 2000-05-15 2002-01-08 Trw, Inc. Air bag module with inflator shield
DE50109589D1 (de) 2000-05-19 2006-06-01 Trw Automotive Safety Sys Gmbh Gassack-Rückhalteeinrichtung mit Einbuchtung und einer Vorderwand deren Zentrumsabschnitt am Modul bleibend befestigt ist
JP3962207B2 (ja) 2000-09-01 2007-08-22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車両用エアバッグ構造
JP2001180427A (ja) 2000-11-27 2001-07-03 Toyo Tire & Rubber Co Ltd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のためのバッグ及びその製造方法
JP4465872B2 (ja) * 2000-12-19 2010-05-26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US6669229B2 (en) 2001-03-22 2003-12-30 General Motors Corporation Automotive vehicle air bag system
DE20105002U1 (de) 2001-03-22 2001-07-26 Trw Automotive Safety Sys Gmbh Fahrzeuglenkvorrichtung
JP3873759B2 (ja) * 2002-02-06 2007-01-24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2003260996A (ja) 2002-03-07 2003-09-16 Takata Corp エアバッグ装置
JP4031337B2 (ja) 2002-10-02 2008-01-09 芦森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4363179B2 (ja) 2003-01-23 2009-11-11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2004314934A (ja) * 2003-04-02 2004-11-11 Takata Corp エアバッグ装置
JP3777362B2 (ja) * 2003-04-15 2006-05-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4322080B2 (ja) 2003-09-22 2009-08-26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4182877B2 (ja) 2003-12-12 2008-11-19 松下電工株式会社 収納家具のコーナー配列構造
EP1547876B1 (en) * 2003-12-25 2007-02-14 Takata Corporation Airbag and airbag system
DE202004002698U1 (de) 2004-02-20 2005-03-24 Trw Automotive Safety Sys Gmbh Gassackmodul
JP4364081B2 (ja) * 2004-07-14 2009-11-11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US7445238B2 (en) * 2005-05-06 2008-11-04 Tk Holdings Inc.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DE202005008374U1 (de) 2005-05-30 2005-09-15 Trw Automotive Safety Sys Gmbh Fahrzeuglenkrad mit Gassackmodul und Hupenkontakt
JP4848141B2 (ja) 2005-06-08 2011-12-28 マツダ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2611A (ja) * 1994-02-23 1995-09-05 Tokai Rika Co Ltd エアバッグ用カバー
JP2002166808A (ja) 2000-11-30 2002-06-11 Nippon Plast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41483A3 (en) 2010-11-24
EP1908643B1 (en) 2011-08-17
EP1908643A4 (en) 2010-02-24
EP1908643A1 (en) 2008-04-09
AU2011202446A1 (en) 2011-06-16
CN101698403A (zh) 2010-04-28
US7878533B2 (en) 2011-02-01
CN101698402A (zh) 2010-04-28
US20090079167A1 (en) 2009-03-26
EP2241483B1 (en) 2013-07-10
AU2011202446B2 (en) 2012-09-20
EP2241483A2 (en) 2010-10-20
CN103171511A (zh) 2013-06-26
CN101698402B (zh) 2013-09-11
CN101698403B (zh) 2013-08-21
AU2006267780B2 (en) 2011-07-07
AU2006267780A1 (en) 2007-01-18
WO2007007461A1 (ja) 2007-01-18
KR20080023337A (ko) 2008-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9432B1 (ko) 에어백 장치
KR101301134B1 (ko) 에어백장치
KR101301135B1 (ko) 에어백 장치의 조립 방법 및 에어백 장치
KR101301136B1 (ko) 에어백 장치
JP5187816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4979148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4780756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2007015542A5 (ko)
JP5158663B2 (ja) エアバッ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