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7012B1 - 광확산성 시트 - Google Patents

광확산성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7012B1
KR101297012B1 KR1020087017619A KR20087017619A KR101297012B1 KR 101297012 B1 KR101297012 B1 KR 101297012B1 KR 1020087017619 A KR1020087017619 A KR 1020087017619A KR 20087017619 A KR20087017619 A KR 20087017619A KR 101297012 B1 KR101297012 B1 KR 101297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diffusing
acrylic resin
less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7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8602A (ko
Inventor
야스마로 도시마
Original Assignee
키모토 컴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모토 컴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키모토 컴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88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8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7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70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7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transmiss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2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having particles on the surfac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6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fabrication or manufacturing metho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4Polymeric or resinous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잡한 설계를 필요로 하지 않고, 정면 휘도를 양호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컬의 발생이 방지된 광확산성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 광확산성 시트는, 지지체 상에, 광확산성층을 가지고, 광확산성층은 적어도 아크릴 수지 입자, 스티렌-아크릴 공중합체 수지 바인더 및 유리전이온도 30℃ 이하의 아크릴 수지 바인더로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티렌-아크릴 공중합체 수지 바인더와 아크릴 수지 바인더의 중량비를 1:4~4:1의 범위로 한다.

Description

광확산성 시트{Light-diffusing sheet}
본 발명은,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용도에 적합하게 사용되는 백라이트 장치를 구성하는 부재로서 적합하게 사용되는 광확산성 시트에 관한 것이다.
액정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 장치에는, 도광판의 광확산 패턴을 보이지 않게 하기 위해서나, 정면 방향으로의 휘도를 높게 하기 위해 광확산성 시트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광확산성 시트로서, 일반적으로 지지체의 한쪽 면에, 투명한 바인더 수지 및 플라스틱 비즈를 함유하는 광확산성층이 설치된 광확산성 시트 등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액정 디스플레이의 정면 방향의 고휘도화가 보다 요구되고 있고, 그로 인해 광확산성 시트에도 정면 휘도를 보다 높게 하는 성능이 요구된다.
정면 휘도를 향상시키는 데에는, 광확산성 시트의 표면 형상을 최적의 형상으로 설계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으나, 간단·용이하게는, 광확산성층의 두께를 두껍게 하거나, 광확산성층 중 플라스틱 비즈의 입자경을 크게 하거나, 플라스틱 비즈의 함유량을 증가시키는 수법이 취해진다(특허문헌 1).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평8-75909호 공보(특허청구의 범위)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광확산성층의 두께를 두껍게 하거나, 플라스틱 비즈의 입자경을 크게 하거나 함유량을 증가시키는 수법은, 설계는 용이하지만, 광확산성층측이 움푹 패이듯이 컬이 발생해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지지체의 두께가 얇은 경우에는 컬이 발생하기 쉬워 커다란 문제가 되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복잡한 설계를 필요로 하지 않고, 정면 휘도를 양호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컬의 발생이 방지된 광확산성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광확산성 시트는, 지지체 상에 광확산성층을 가지고, 광확산성층이 적어도 아크릴 수지 입자, 스티렌-아크릴 공중합체 수지 바인더 및 유리전이온도 30℃ 이하의 아크릴 수지 바인더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티렌-아크릴 공중합체 수지 바인더와 상기 아크릴 수지 바인더의 중량비는 1:4~4:1의 범위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광확산성 시트는, 광확산성층을 아크릴 수지 입자, 스티렌-아크릴 공중합체 수지 바인더 및 유리전이온도 30℃ 이하의 아크릴 수지 바인더로 구성하고 있음으로써, 정면 휘도를 양호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광확산성 시트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광확산성 시트에 있어서, 지지체는 광투과성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지체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아크릴, 폴리염화비닐 등으로 되는 투명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중, 연신가공, 특히 이축연신가공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 기계적 강도나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광확산성층과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표면에 코로나방전처리를 실시하거나, 이접착층(易接着層)을 설치한 것도 적합하게 사용된다.
지지체의 두께는 통상 20~400 ㎛ 정도이다. 종래의 광확산성 시트에서는, 컬 발생 방지 등의 관점으로부터 실용적인 두께의 하한은 50 ㎛ 정도였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광확산성층의 조성에 따라 다르기도 하지만, 두께 50 ㎛ 이하의 두께가 얇은 지지체에 있어서도 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광확산성 시트의 광확산성층은, 적어도 아크릴 수지 입자, 스티렌-아크릴 공중합체 수지 바인더 및 유리전이온도 30℃ 이하의 아크릴 수지 바인더로 형성되어 되는 것이다. 광확산성층을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정면 휘도 및 컬 방지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는 광확산성 시트로 할 수 있다.
이하, 광확산성층을 구성하는 각 성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아크릴 수지 입자는, 광확산성층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여 외부 헤이즈를 발생시키는 동시에, 바인더 수지와의 굴절률 차에 의해 내부 헤이즈를 발생시켜, 이들 외부 헤이즈 및 내부 헤이즈의 작용에 의해, 정면 휘도 및 광확산성을 양호하게 하는 역할을 갖는다.
아크릴 수지 입자로서는, 통상 아크릴 수지라고 불리는 수지를 함유하는 재료로 형성된 입자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진구상(眞球狀) 입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크릴 수지 입자는 내열성, 내용제성, 열안정성의 측면에서 디비닐벤젠 등으로 가교된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 수지 입자의 평균 입자경은 통상 5~40 ㎛ 정도이다. 일반적인 광확산성 시트에서는 평균 입자경 10~15 ㎛ 정도의 광확산제가 사용되고 있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평균 입자경 15 ㎛ 이상의 큰 입자여도 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아크릴 수지 입자의 평균 입자경은 지지체의 두께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지지체의 두께가 50 ㎛ 이하인 경우에는, 평균 입자경을 5 ㎛ 이상 15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지지체의 두께가 5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평균 입자경을 15 ㎛ 이상 22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범위로 함으로써, 정면 휘도와 컬 방지성의 균형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아크릴 수지 입자는 입자경 분포의 변동계수가 10~40%인 것이 바람직하다. 입자경 분포의 변동계수를 10~40%로 함으로써, 정면 휘도 및 광확산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변동계수란, 입자경 분포의 분산상태를 나타내는 값으로서, 입자경 분포의 표준편차(불편분산의 제곱근)를 입자경의 산술 평균값(평균 입자경)으로 나눈 값의 백분율이다.
아크릴 수지 입자의 함유량은, 입자의 평균 입자경이나 광확산성층의 두께에 따라 상이하여, 일률적으로 말할 수 없으나, 수지 바인더 100 중량부에 대해서 50~270 중량부 정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수지 바인더 100 중량부에 대해서 아크릴 수지 입자를 200 중량부 이상 함유시켜도 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아크릴 수지 입자의 함유량은 지지체의 두께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지지체의 두께가 50 ㎛ 이하인 경우에는, 수지 바인더 100 중량부에 대해서 50 중량부 이상 200 중량부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지지체의 두께가 5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수지 바인더 100 중량부에 대해서 200 중량부 이상 250 중량부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범위로 함으로써, 정면 휘도와 컬 방지성의 균형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스티렌-아크릴 공중합체 수지 바인더는, 아크릴계 모노머(또는 아크릴계 수지)와 스티렌계 모노머(또는 스티렌계 수지)를 공중합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는 아크릴계 수지의 측쇄에 스티렌계 모노머를 그래프트 중합하거나, 스티렌계 수지의 측쇄에 아크릴계 모노머를 그래프트 중합한 것이어도 된다.
아크릴계 모노머로서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메타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드 등을 그 대표예로서 예시할 수 있고, 스티렌계 모노머로서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등을 그 대표예로서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이들 모노머의 공중합에 있어서는 이들을 주성분으로 하고, 필요에 따라 다른 모노머를 공중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스티렌-아크릴 공중합체 수지 바인더 중에 있어서의 스티렌계 성분과 아크릴계 성분의 비율은, 중량비로 1:4~4:1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범위로 함으로써, 광확산성 시트의 정면 휘도를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스티렌-아크릴 공중합체 수지 바인더는 유리전이온도 4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유리전이온도 7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유리전이온도 40℃ 이상의 수지 바인더를 사용함으로써, 광확산성 시트의 정면 휘도 및 광확산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유리전이온도는, 수지의 중합도, 수지 중 아크릴계 성분 및 스티렌계 성분의 비율 등을 적절히 변경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티렌의 호모폴리머의 유리전이온도는 100℃이고, 이것과 공중합시키는 아크릴계 모노머를 선택함으로써 유리전이온도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아크릴계 모노머에는 유리전이온도가 0℃ 이하인 것에서 100℃ 이상인 것까지 있는 것이 알려져 있어, 아크릴계 성분의 종류를 선택함으로써 유리전이온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일례로서, 스티렌(St):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부틸아크릴레이트(BA)=20:55:25의 유리전이온도는 46.2℃(계산값)이지만, 동일한 모노머 조성이어도 St:MMA:BA=20:70:10으로 하였을 경우에는, 78.5℃(계산값)로 할 수 있다.
유리전이온도 30℃ 이하의 아크릴 수지 바인더는 광확산성층의 컬 방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일반적으로 스티렌-아크릴 공중합체 수지 바인더는 정면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나, 광확산성 시트를 컬 시키기 쉬운 특성을 갖는다. 이에 대해 유리전이온도 30℃ 이하의 아크릴 수지 바인더를 첨가함으로써, 스티렌-아크릴 공중합체 수지 바인더로 향상시킨 정면 휘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컬 방지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아크릴 수지 바인더의 유리전이온도는 2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유리전이온도 30℃ 이하의 아크릴 수지 모노머로서는, 전술한 스티렌-아크릴 공중합체 수지의 아크릴계 모노머와 동일한 모노머를 들 수 있고, 이들 아크릴계 모노머의 종류나 복수 사용하는 경우의 모노머 비율 등을 적절히 변경함으로써 유리전이온도 30℃ 이하로 조정할 수 있다. 시판되고 있는 유리전이온도 30℃ 이하의 아크릴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다이닛폰 잉크 화학 공업사의 상품명 아크리딕 A811(Tg: 19℃), 상품명 아크리딕 49-394IM(Tg: 16℃), 상품명 아크리딕 52-614(Tg: 16℃), 상품명 아크리딕 48-261(Tg: 30℃) 등이 예시된다.
광확산성층 중 스티렌-아크릴 공중합체 수지 바인더와 유리전이온도 30℃ 이하의 아크릴 수지 바인더의 중량비는, 1:4~4:1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3~3:1의 범위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스티렌-아크릴 공중합체 수지 바인더 1에 대해 유리전이온도 30℃ 이하의 아크릴 수지 바인더를 4 이하로 함으로써, 정면 휘도를 양호하게 할 수 있고, 스티렌-아크릴 공중합체 수지 바인더 4에 대해 유리전이온도 30℃ 이하의 아크릴 수지 바인더를 1 이상으로 함으로써, 컬 방지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광확산성층 중에는 다른 수지 바인더를 함유시킬 수 있다. 단, 스티렌-아크릴 공중합체 수지 바인더 및 유리전이온도 30℃ 이하의 아크릴 수지 바인더를 합계한 비율은, 광확산성층의 전체 수지 바인더에 있어서의 6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7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범위로 함으로써, 광확산성 시트의 정면 휘도 및 컬 방지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다른 수지 바인더로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멜라민계 화합물 등의 경화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40%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경화제를 첨가함으로써, 지지체와의 접착성, 도막 강도, 내용제성 등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광확산성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통상 8~50 ㎛ 정도이고, 지지체의 두께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지지체의 두께가 50 ㎛ 이하인 경우에는, 광확산성층의 두께를 8 ㎛ 이상 20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지지체의 두께가 5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광확산성층의 두께를 20 ㎛ 이상 35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범위로 함으로써, 정면 휘도와 컬 방지성의 균형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광확산성층의 두께를 20 ㎛ 이상으로 해도 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광확산성 시트의 헤이즈(JIS K 7136:2000) 및 전광선 투과율(JIS K 7361-1:1997)은, 헤이즈가 85% 이상, 전광선 투과율이 9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헤이즈가 90~99%, 전광선 투과율이 9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헤이즈 및 전광선 투과율을 이와 같은 범위로 함으로써, 정면 휘도 및 광확산성을 보다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광확산성층 중에는, 전술한 성능을 손상시키지 않는 한, 레벨링제·소포제 등의 계면활성제, 산화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등의 첨가제나, 기타 수지를 첨가해도 된다.
광확산성층은, 동(同) 층을 구성하는 수지 입자나 수지 등의 재료를 적당한 용매에 용해시킨 도포액을, 바 코팅법 등 공지의 도공법에 의해 지지체 상에 도포하고, 건조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확산성 시트는 백라이트 장치 등에 삽입하였을 때, 장치 중 다른 부재(도광판 등)와의 밀착을 방지하기 위해, 그 광확산성층이 형성되는 면과는 반대측 면에는, 미세 매트 처리를 실시하거나, 광투과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반사 방지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또한 지지체의 광확산성층과는 반대측 면에, 두께 5 ㎛ 이하 정도의 백코트층을 설치해도 된다. 백코트층은, 본 발명의 광확산성 시트를 백라이트 장치 등에 삽입하였을 때에, 도광판 등 다른 부재와의 밀착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다. 또한 백코트층을 설치함으로써, 컬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도 가능하나, 본 발명의 광확산성 시트에서는, 이와 같이 백코트층의 두께가 얇더라도, 또는 백코트층을 형성하지 않더라도, 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광확산성 시트는, 주로 액정 디스플레이, 전식(電飾) 간판, 스캐너나 복사기의 광원을 구성하는 백라이트 장치의 일부품으로서 사용된다.
백라이트 장치는, 소위 에지라이트형, 직하형이라고 불리는 구성을 들 수 있다. 에지라이트형 백라이트 장치는, 예를 들면, 적어도 한쪽 단부(端部)에 광원이 배치되어 되고, 당해 한쪽 단부에 대략 직교하는 면을 광출사면으로 하는 도광판과, 도광판의 광출사면에 배치되는 광학부재를 구비한 구성을 갖는다. 직하형 백라이트 장치는, 광원과, 광원의 한쪽에 배치되는 광확산재와, 광확산재의, 광원과는 다른쪽에 배치되는 광학부재를 구비한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광확산성 시트는, 이와 같은 에지라이트형이나 직하형 백라이트의 광학부재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광학부재로서 추가적으로 프리즘 시트 등을 병용해도 된다.
백라이트 장치에 있어서 광확산성층의 방향은 한정되지 않으나, 광확산성층이 광출사측이 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추가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부」, 「%」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중량 기준으로 한다.
[실시예 1]
두께 50 ㎛의 폴리에스테르 필름(루미러 T60: 도오레사)으로 되는 기재 상에, 하기 조성의 광확산성층 도포액(a)을, 건조 후의 두께가 10 ㎛가 되도록 바 코팅법에 의해 도포, 건조하여 광확산성층을 형성하여, 실시예 1의 광확산성 시트를 얻었다.
<광확산성층 도포액(a)>
·스티렌-아크릴 공중합체 수지 82부
(아크리딕 A-817: 다이닛폰 잉크 화학 공업사)
(고형분 50%, 유리전이온도 96℃, 스티렌 성분 35%)
·유리전이온도 30℃ 이하의 아크릴 수지 82부
(아크리딕 A-811: 다이닛폰 잉크 화학 공업사)
(고형분 50%, 유리전이온도 19℃)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30부
(다케네이트 D110N: 미쯔이 다케다 케미컬사)
(고형분 60%)
·아크릴 수지 입자 160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진구상 입자)
(평균 입자경 8 ㎛, 변동계수 37%)
·초산부틸 350부
·메틸에틸케톤 150부
[실시예 2]
실시예 1의 광확산성층 도포액(a)의 스티렌-아크릴 공중합체 수지의 첨가량을 120부, 유리전이온도 30℃ 이하의 아크릴 수지의 첨가량을 40부,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의 첨가량을 34부로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2의 광확산성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의 광확산성층 도포액(a)의 스티렌-아크릴 공중합체 수지의 첨가량을 42부, 유리전이온도 30℃ 이하의 아크릴 수지의 첨가량을 126부,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의 첨가량을 27부로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 예 3의 광확산성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4]
실시예 1의 광확산성층 도포액(a)의 스티렌-아크릴 공중합체 수지의 첨가량을 132부, 유리전이온도 30℃ 이하의 아크릴 수지의 첨가량을 26.4부,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의 첨가량을 35부로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4의 광확산성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5]
실시예 1의 광확산성층 도포액(a)의 스티렌-아크릴 공중합체 수지의 첨가량을 28부, 유리전이온도 30℃ 이하의 아크릴 수지의 첨가량을 140부,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의 첨가량을 26부로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5의 광확산성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6]
실시예 1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두께 188 ㎛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변경하고, 광확산성층 도포액(a)의 아크릴 수지 입자를, 아크릴 수지 입자(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진구상 입자, 평균 입자경 18 ㎛, 변동계수 22%, 첨가량 220부)로 변경하며, 광확산성층의 두께를 25 ㎛로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6의 광확산성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7]
실시예 1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두께 25 ㎛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변경하고, 광확산성층 도포액(a)의 아크릴 수지 입자를, 아크릴 수지 입자(폴리메틸메 타크릴레이트 진구상 입자, 평균 입자경 8 ㎛, 변동계수 18%)로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7의 광확산성 시트를 얻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의 광확산성층 도포액(a)으로부터 유리전이온도 30℃ 이하의 아크릴 수지를 제거하고, 스티렌-아크릴 공중합체 수지의 첨가량을 156부,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의 첨가량을 37부로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1의 광확산성 시트를 얻었다.
[비교예 2]
실시예 1의 광확산성층 도포액(a)으로부터 스티렌-아크릴 공중합체 수지를 제거하고, 유리전이온도 30℃ 이하의 아크릴 수지의 첨가량을 172부,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의 첨가량을 23부로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2의 광확산성 시트를 얻었다.
[비교예 3]
비교예 2에 있어서, 광확산성층 도포액(a)의 아크릴 수지 입자를, 아크릴 수지 입자(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진구상 입자, 평균 입자경 18 ㎛, 변동계수 22%, 첨가량 220부)로 변경하고, 광확산성층의 두께를 25 ㎛로 변경한 이외에는, 비교예 2와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3의 광확산성 시트를 얻었다.
[비교예 4]
실시예 6에 있어서, 광확산성층 도포액(a)으로부터 유리전이온도 30℃ 이하의 아크릴 수지를 제거하고, 스티렌-아크릴 공중합체 수지의 첨가량을 156부, 이소 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의 첨가량을 37부로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6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4의 광확산성 시트를 얻었다.
[비교예 5]
실시예 6에 있어서, 광확산성층 도포액(a)으로부터 스티렌-아크릴 공중합체 수지를 제거하고, 유리전이온도 30℃ 이하의 아크릴 수지의 첨가량을 172부,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의 첨가량을 23부로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6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5의 광확산성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1~7 및 비교예 1~5에서 얻어진 광확산성 시트에 대해서 하기 항목의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각 광확산성 시트의 광확산성층의 조성, 두께, 지지체의 두께를 정리한 것을 표 2에 나타낸다. 표 2 중, 「스티렌-아크릴」은 스티렌-아크릴 공중합체 수지를, 「아크릴」은 아크릴 수지를 나타내고, 수치(부)는 고형분의 중량부로, 소수점 이하를 올림(버림)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1) 컬 방지성
광확산성 시트의 컬을 육안으로 평가한 결과, 전혀 컬링되어 있지 않은 것을 「○」, 광확산성층측이 움푹 패이듯이 아주 약간 컬링되어 있는 것을 「△」, 광확산성층측이 움푹 패이듯이 심하게 컬링되어 있는 것을 「×」로 하였다.
(2) 정면 휘도/에지라이트형 백라이트 장치
실시예 1~7 및 비교예 1~5의 광확산성 시트를, 냉음극관이 상하에 각 1등(燈) 설치된 15인치 에지라이트형 백라이트 장치(1인치=2.54 ㎝)에 삽입하고, 정면 휘도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광확산성 시트의 광확산성층측의 면이 광출사면 이 되도록 하여 도광판 상에 설치하고, 광확산성 시트 상에 추가적으로 프리즘 시트(BEFII: 스미토모 쓰리엠사)를 설치하여, 백라이트 장치 상의 중앙에 있어서의 정면 휘도를 측정하였다(단위는 「cd/㎡」).
(3) 정면 휘도/직하형 백라이트 장치
실시예 1~7 및 비교예 1~5의 광확산성 시트를, 냉음극관이 12등(燈) 설치된 27인치 직하형 백라이트 장치(1인치=2.54 ㎝)에 삽입하고, 정면 휘도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광확산성 시트의 광확산성층측의 면이 광출사면이 되도록 하여 광확산재(유백색의 수지판) 상에 설치하고, 광확산성 시트 상에 추가적으로 프리즘 시트(RBEF: 스미토모 쓰리엠사)를 설치하여, 백라이트 장치 상의 중앙에 있어서의 정면 휘도를 측정하였다(단위는 「cd/㎡」).
Figure 112008051763341-pct00001
Figure 112008051763341-pct00002
실시예 1~7의 광확산성 시트는 컬이 발생하지 않거나, 발생해도 거의 문제가 되지 않는 것이었다. 실시예 1~5의 광확산성 시트는 지지체의 두께가 50 ㎛, 특히 실시예 7의 광확산성 시트는 25 ㎛로 얇음에도 불구하고 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었다. 실시예 6의 광확산성 시트는, 광확산성층 중 아크릴 수지 입자의 입자경이 크고, 첨가량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5 및 7의 광확산성 시트는, 비교예 1~2의 광확산성 시트와 수지 바인더의 조성 이외의 광확산성층의 조성(아크릴 수지 입자의 평균 입자경, 아크릴 수지 입자의 첨가량, 광확산성층의 두께 등)이 동일한 것이지만, 비교예 1~2 이상의 정면 휘도를 가지며, 또한 컬 방지성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마찬가지로 실시예 6의 광확산성 시트는, 비교예 3~5의 광확산성 시트와 수지 바인더의 조성 이외의 광확산성층의 조성이 동일한 것이지만, 비교예 3~5 이상의 정면 휘도를 가지며, 또한 컬 방지성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점들은, 광확산성층 중에 아크릴 수지 입자, 스티렌-아크릴 공중합체 수지 바인더 및 유리전이온도 30℃ 이하의 아크릴 수지 바인더의 3종의 재료를 포함하는 실시예 1~7의 광확산성 시트가, 이들 3종의 재료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5의 광확산성 시트에 비해서, 정면 휘도를 양호하게 하면서, 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비교예 1, 4의 것은, 실시예 1, 6의 수지 바인더로부터 유리전이온도 30℃ 이하의 아크릴 수지 바인더를 제거한 것으로, 컬의 발생이 보였다.
비교예 2의 것은, 실시예 1의 수지 바인더로부터 스티렌-아크릴 공중합체 수지 바인더를 제거한 것으로, 실시예 1의 것에 비해서 정면 휘도가 떨어지는 것이었다.
비교예 3의 것은, 비교예 2의 광확산성층의 두께를 두껍게, 광확산성층 중 아크릴 수지 입자의 입자경을 크게, 첨가량을 많게 한 것으로, 이에 따라, 비교예 2에 비해서 정면 휘도는 약간 향상하였으나, 컬이 발생해 버렸다. 또한, 아크릴 수지 입자의 평균 입자경이 크고, 아크릴 수지 입자의 첨가량이 많으며, 광확산성층의 두께가 두꺼움에도 불구하고, 그 정면 휘도는, 이보다 아크릴 수지 입자의 평균 입자경이 작으며, 아크릴 수지 입자의 첨가량이 적고, 광확산성층의 두께가 얇은 실시예 1~5 및 7의 것과 동일하거나 그 이하였다.
비교예 5의 것은, 실시예 6의 수지 바인더로부터 스티렌-아크릴 공중합체 수지 바인더를 제거한 것으로, 실시예 6의 것에 비해 정면 휘도가 떨어지는 것이었다. 또한, 아크릴 수지 입자의 평균 입자경이 크고, 아크릴 수지 입자의 첨가량이 많으며, 광확산성층의 두께가 두꺼움에도 불구하고, 그 정면 휘도는, 이보다 아크릴 수지 입자의 평균 입자경이 작으며, 아크릴 수지 입자의 첨가량이 적고, 광확산성층의 두께가 얇은 실시예 1~5 및 7의 것과 동일하거나 그 이하였다.

Claims (9)

  1. 지지체 상에, 광확산성층을 가지고,
    상기 광확산성층이, 적어도 아크릴 수지 입자, 스티렌-아크릴 공중합체 수지 바인더 및 유리전이온도 30℃ 이하의 아크릴 수지 바인더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성 시트.
  2. 제1항의 광확산성 시트로서,
    상기 스티렌-아크릴 공중합체 수지 바인더와 상기 아크릴 수지 바인더의 중량비가 1:4~4:1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성 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의 광확산성 시트로서,
    상기 스티렌-아크릴 공중합체 수지 바인더의 유리전이온도가 4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성 시트.
  4. 제1항의 광확산성 시트로서,
    상기 지지체의 두께가 50 ㎛ 이하이고, 상기 아크릴 수지 입자의 평균 입자경이 5 ㎛ 이상 15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성 시트.
  5. 제1항의 광확산성 시트로서,
    상기 지지체의 두께가 50 ㎛ 이하이고, 상기 아크릴 수지 입자의 함유량이, 상기 광확산성층에 포함되는 전체 수지 바인더 100 중량부에 대해서 50 중량부 이상 200 중량부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성 시트.
  6. 제4항 또는 제5항의 광확산성 시트로서,
    상기 광확산성층의 두께가 8 ㎛ 이상 2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성 시트.
  7. 제1항의 광확산성 시트로서,
    상기 지지체의 두께가 50 ㎛를 초과하고 400 ㎛ 이하이며, 상기 아크릴 수지 입자의 평균 입자경이 15 ㎛ 이상 22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성 시트.
  8. 제1항의 광확산성 시트로서,
    상기 지지체의 두께가 50 ㎛를 초과하고 400 ㎛ 이하이며, 상기 아크릴 수지 입자의 함유량이, 상기 광확산성층에 포함되는 전체 수지 바인더 100 중량부에 대해서 200 중량부 이상 250 중량부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성 시트.
  9. 제7항 또는 제8항의 광확산성 시트로서,
    상기 광확산성층의 두께가 20 ㎛ 이상 35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확산성 시트.
KR1020087017619A 2006-01-24 2007-01-05 광확산성 시트 KR1012970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14807 2006-01-24
JPJP-P-2006-00014807 2006-01-24
PCT/JP2007/050017 WO2007086245A1 (ja) 2006-01-24 2007-01-05 光拡散性シ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8602A KR20080088602A (ko) 2008-10-02
KR101297012B1 true KR101297012B1 (ko) 2013-08-14

Family

ID=38309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7619A KR101297012B1 (ko) 2006-01-24 2007-01-05 광확산성 시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059339B2 (ko)
JP (1) JP5270171B2 (ko)
KR (1) KR101297012B1 (ko)
CN (1) CN101370655B (ko)
PL (1) PL386475A1 (ko)
TW (1) TWI471221B (ko)
WO (1) WO20070862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13619B2 (ja) * 2008-12-03 2012-08-29 協和化学工業株式会社 光拡散構造体
CN101957462A (zh) * 2010-08-05 2011-01-26 长兴化学工业股份有限公司 复合光学膜
CN101957463B (zh) 2010-08-31 2013-05-29 宁波激智新材料科技有限公司 抗刮伤光学扩散薄膜、液晶显示装置及照明装置
JP5129379B2 (ja) * 2010-09-17 2013-01-30 日東電工株式会社 光拡散素子
CN101979914A (zh) * 2010-09-21 2011-02-23 浙江池禾科技有限公司 一种光学扩散薄膜及使用该光学扩散薄膜的背光源模块
CN104250325B (zh) * 2013-06-28 2016-12-28 积水化成品工业株式会社 丙烯酸系树脂粒子、涂料组合物及光学材料
CN103412355B (zh) * 2013-08-19 2015-06-24 宁波激智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提高可视角度的扩散膜片
JP6451328B2 (ja) * 2015-01-08 2019-01-16 凸版印刷株式会社 転写箔、画像保持体、冊子、および、カード
CN113156559B (zh) * 2021-03-31 2023-03-24 常宝新材料(苏州)有限公司 一种防止颗粒移位的扩散片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4608A (ja) 2000-05-16 2001-11-22 Kimoto & Co Ltd 光拡散性シート
JP2002243921A (ja) 2001-02-16 2002-08-28 Fuji Photo Film Co Ltd 光拡散フイ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光拡散フイルム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1712A (en) * 1989-03-16 1991-04-30 National Starch And Chemical Investment Holding Corporation Formaldehyde-free heat resistant binders for nonwovens
JP2698901B2 (ja) 1994-09-08 1998-01-19 株式会社麗光 光拡散フイルム
CA2221555A1 (en) * 1995-06-26 1997-01-16 Andrew J. Ouderkirk Light diffusing adhesive
JP3834350B2 (ja) * 1996-03-14 2006-10-18 株式会社きもと 光反射材料
JPH10235995A (ja) * 1996-12-26 1998-09-08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記録媒体および画像記録方法
TW454028B (en) * 1997-10-02 2001-09-11 Sumitomo Chemical Co Laminated extruded resin sheet
JP3983452B2 (ja) * 2000-04-11 2007-09-26 三菱化学株式会社 画像形成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4271462B2 (ja) * 2002-03-26 2009-06-03 恵和株式会社 光拡散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US7072115B2 (en) * 2002-03-26 2006-07-04 Keiwa Inc. Light diffusion sheet and backlight unit using the same
JP2003294916A (ja) * 2002-03-29 2003-10-15 Tomoegawa Paper Co Ltd 集光性光拡散シート
KR20040099422A (ko) * 2002-04-08 2004-11-26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광확산성 시트, 광학소자 및 화상표시장치
JP2005202097A (ja) * 2004-01-15 2005-07-28 Sumitomo Chemical Co Ltd 多層光拡散板
PL386474A1 (pl) * 2006-01-24 2009-04-14 Kimoto Co., Ltd. Optyczna błona i podświetlony element wytwarzany przy jej użyciu
WO2009041279A1 (ja) * 2007-09-27 2009-04-02 Kimoto Co., Ltd. 表面凹凸フィルム及び光拡散性シート
KR101513762B1 (ko) * 2008-01-24 2015-04-20 키모토 컴파니 리미티드 광확산성 시트 및 이것을 사용한 백라이트장치
WO2009116397A1 (ja) * 2008-03-18 2009-09-24 株式会社 きもと 光学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4608A (ja) 2000-05-16 2001-11-22 Kimoto & Co Ltd 光拡散性シート
JP2002243921A (ja) 2001-02-16 2002-08-28 Fuji Photo Film Co Ltd 光拡散フイ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光拡散フイ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86245A1 (ja) 2007-08-02
US8059339B2 (en) 2011-11-15
CN101370655B (zh) 2012-05-30
CN101370655A (zh) 2009-02-18
JP5270171B2 (ja) 2013-08-21
TWI471221B (zh) 2015-02-01
JPWO2007086245A1 (ja) 2009-06-18
TW200800607A (en) 2008-01-01
PL386475A1 (pl) 2009-04-14
US20090009872A1 (en) 2009-01-08
KR20080088602A (ko) 2008-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7012B1 (ko) 광확산성 시트
KR101251702B1 (ko) 광학 필름 및 이것을 사용한 백라이트 장치
KR100447671B1 (ko) 광학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393476B1 (ko) 광확산성 시트 및 그 시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장치
TW200304025A (en) Light diffusive sheet and area light source element using the same
JP2002196117A (ja) 光拡散層、光拡散性シート及び光学素子
WO2007072856A1 (ja) 光拡散シートおよび光拡散板、ならびにそれら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WO2005098485A1 (ja) 光制御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面光源
JP6062923B2 (ja) エッジライト型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光拡散性部材
JP2007233343A (ja) 光拡散シートおよび複合光拡散板、ならびにそれら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TWI442137B (zh) Backlight device
JP6062922B2 (ja) エッジライト型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光拡散性部材
JP3509703B2 (ja) 光学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727904A (ja) 光拡散シート
KR101696005B1 (ko) 광확산성 시트 및 이를 사용한 백라이트
KR100601759B1 (ko) 액정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필름
JP4372338B2 (ja) 光拡散層、光拡散性シート及び光学素子
JP2007512573A (ja) 液晶ディスプレイの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用光拡散フィルム
KR20030015434A (ko) 액정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 필름
KR20040075999A (ko) 액정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필름
JP2003075610A (ja) ニュートンリング防止シート
KR20040078188A (ko) 백라이트 유니트용 반사필름
JP2009265613A (ja) レンズシート、面光源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