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6523B1 - 탐침의 전기 접점 구조가 개선된 집적회로 테스트카드 - Google Patents

탐침의 전기 접점 구조가 개선된 집적회로 테스트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6523B1
KR101296523B1 KR1020120025015A KR20120025015A KR101296523B1 KR 101296523 B1 KR101296523 B1 KR 101296523B1 KR 1020120025015 A KR1020120025015 A KR 1020120025015A KR 20120025015 A KR20120025015 A KR 20120025015A KR 101296523 B1 KR101296523 B1 KR 101296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grated circuit
circuit board
test card
rear end
narrow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5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2046A (ko
Inventor
춘 렁 루
치 쿤 첸
호 예 첸
Original Assignee
스타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타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스타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30082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20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6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6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33Sockets for IC's or transistors
    • G01R1/0441Details
    • G01R1/0466Details concerning contact pieces or mechanical details, e.g. hinges or cams; Shiel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72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related to electrical or environmental aspects, e.g. temperature, humidity, vibration, nuclear radiation
    • G01R31/2879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related to electrical or environmental aspects, e.g. temperature, humidity, vibration, nuclear radiation related to electrical aspects, e.g. to voltage or current supply or stimuli or to electrical loa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86Features relating to contacting the IC under test, e.g. probe heads; ch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Testing Or Measuring Of Semiconductors Or The Like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적회로의 테스트카드에 관한 것으로 회로판, 하나 이상의 캔틸레버식 탐침, 제 1 지지구조 및 제 2 지지구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로판은 하나 이상의 전성 가이드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캔틸레버식 탐침은 후단부, 절곡부, 연결아암 및 첨부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아암은 상기 첨부와 상기 절곡부를 연결시키도록 형성되고, 상기 후단부는 상기 절곡부와 상기 하나 이상의 전성 가이드바를 연결시키도록 형성한다. 상기 연결아암과 수평선은 제 1 협각을 형성하고, 상기 절곡부와 상기 수평선은 제 2 협각을 형성하는데, 상기 제 1 협각은 상기 제 2 협각와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지지구조는 상기 회로판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절곡부를 지지하고, 상기 제 2 지지구조는 상기 회로판 상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아암을 지지한다.

Description

탐침의 전기 접점 구조가 개선된 집적회로 테스트카드{INTEGRATED CIRCUITS PROBE CARD HAVING A REINFORCED STRUCTURE OF ELECTRIC CONTACT FOR PROBES}
본 발명은 집적회로 테스트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탐침의 전기 접점 구조가 개선된 집적회로 테스트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웨이퍼 상의 집적회로에 대해서는 필수적으로 전기적 특성에 대한 테스트가 진행되어 집적회로 부품들이 양호한지 판단하는 과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양호하다고 판단된 집적회로에 대하여는 후속되는 밀봉과정이 진행되고, 불량으로 판단된 것은 폐기됨으로써 밀봉비용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한다. 완전밀봉된 집적회로에 대하여는 다시 한 번 1차 전기적 특성 테스트를 걸쳐 밀봉 불량품에 대한 필터링을 진행함으로써, 최종 완성품의 불량률을 줄이게 된다. 즉, 집적회로 부품의 제작과정에서는 수차례의 전기적 특성 테스트를 걸치게 되는 것이다.
집적회로 테스트카드는 테스트 부재의 규격, 예를 들어 핀의 수(Pin count), 거리(Pitch), 크기(pad size) 및 측정기계에 설정된 높이(probe depth) 등의 기준에 따라 이에 부합되는 집적회로 테스트카드가 제작된다. 테스트 부재의 전기적 특성을 테스트할 때, 집접회로 테스트카드의 탐침이 측정기계의 테스트신호를 테스트부재까지 전송하고, 테스트부재에서 측정된 전기적 특성의 파라미터를 측정기계에 재전송함으로써 전기적 특성 분석을 진행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집적회로 테스트카드(10)의 단면도인데, 이를 참조한다. 상기 집적회로 테스트카드(10)는 회로판(12), 상기 회로판(12) 상에 형성되는 지지체(14), 상기 지지체(14) 상에 고정되는 다수 개의 탐침(16) 및 상기 탐침(16)과 가이드선(26)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가이드통공(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탐침(16)은 에폭시수지(24)를 사용하여 상기 지지체(14) 상에 고정된다. 테스트를 진행할 때, 상기 집적회로 테스트카드(10)는 측정기계(도 1에 미도시됨) 상에 안치되고, 상기 탐침(16)과 테스트부재(30)의 신호접점(38)은 전기접촉을 하게 되는데, 전기접촉에 의해 생성된 전기적 특성의 파라미터 신호가 전송된다. 그러나, 상기 탐침(16)은 용접방식으로 상기 가이드통공(20)과 고정된 것이기 때문에, 상기 탐침(16)과 상기 가이드통공(20) 사이의 연결부분은 사용시간이 증가되고 나아가 충분한 강도가 보장되지 않은 탐침(16)에 장시간 회로판(12)의 부하가 가해질 경우에는 쉽게 파열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1.US Patent No. US 7,253,646 2.US Patent No. US 7,295,023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이 제공하는 집적회로의 테스트카드는 회로판, 하나 이상의 캔틸레버식 탐침, 제 1 지지구조 및 제 2 지지구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로판은 하나 이상의 전성 가이드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캔틸레버식 탐침은 후단부, 절곡부, 연결아암 및 첨부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아암은 상기 첨부와 상기 절곡부를 연결시키도록 형성되고, 상기 후단부는 상기 절곡부와 상기 하나 이상의 전성 가이드바를 연결시키도록 형성한다. 상기 지지구조는 상기 회로판 상에 형성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캔틸레버식 탐침을 지지한다. 상기 제 1 지지구조는 상기 회로판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절곡부를 지지한다. 상기 연결아암과 수평선은 제 1 협각을 형성하고, 상기 절곡부와 상기 수평선은 제 2 협각을 형성하는데, 상기 제 1 협각은 상기 제 2 협각와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또 다른 집적회로의 테스트카드는 회로판, 하나 이상의 직립식 탐침 및 하나 이상의 지지구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로판은 하나 이상의 전성 가이드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직립식 탐침은 후단부, 선형 본체 및 첨부를 포함한다. 상기 선형 본체는 상기 첨부와 상기 후단부를 연결시키도록 형성되고, 상기 후단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전성 가이드바를 연결시키도록 형성된다. 상기 지지구조는 상기 회로판 상에 형성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직립식 탐침을 지지한다. 상기 후단부와 수평선은 제 1 협각을 형성한다.
첨부된 도면과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의 목적, 기술수단 및 다양한 실시태양을 이해할 수 있도록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아래에서 개시된 기술적 개념 및 특정 실시예에 기초하여 다양한 변형을 실시할 수 있고 또한 설계구조나 제작과정의 변형을 통해서 본 발명이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과 동일한 결과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집적회로의 테스트카드(10)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적회로의 테스트카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적회로 테스트카드의 국부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탐침과 회로판 사이의 전기적 접촉 구조를 보여주는 확대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적회로 테스트카드의 국부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적회로 테스트카드의 국부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탐침과 회로판 사이의 전기적 접촉 구조를 보여주는 확대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적회로 테스트카드의 국부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적회로의 테스트카드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적회로 테스트카드의 국부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탐침과 회로판 사이의 전기적 접촉 구조를 보여주는 확대설명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적회로 테스트카드의 국부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적회로 테스트카드의 국부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탐침과 회로판 사이의 전기적 접촉 구조를 보여주는 확대설명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적회로 테스트카드의 국부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적회로의 테스트카드(40)이고, 도 3은 도 2의 1-1 절개선의 국부단면도인데, 이를 참조한다. 상기 집적회로의 테스트카드(40A)는 회로판(42), 제 1 지지구조(44'), 제 2 지지구조(44), 하나 이상의 캔틸레버식 탐침(46), 제 1 접착체(48') 및 제 2 접착체(4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구조(44)는 상기 회로판(42) 상에 형성되어 상기 캔틸레버식 탐침(46)을 지지한다. 상기 회로판(42)는 하나 이상의 전성 가이드바(33)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캔틸레버식 탐침(46)은 후단부(41), 절곡부(43), 연결아암(45) 및 첨부(47)를 포함한다. 상기 후단부(41)는 상기 회로판에 직접 접촉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전성 가이드바(33)에 형성된다. 상기 절곡부(43)는 상기 후단부(41) 및 상기 연결아암(45)과 연결되어 상기 후단부(41)의 강도를 증가시킨다. 상기 제 1 접착체(48')는 상기 절곡부(43)를 상기 제 1 지지구조(44') 상에 고정시키고, 상기 제 2 접착체(48)는 상기 연결아암(45)을 상기 제 2 지지구조(44) 상에 고정시킨다. 상기 연결아암(45)의 타단은 상기 첨부(47)에 연결된다. 여기서, 하나 이상의 캔틸레버식 탐침(46), 상기 회로판(42)의 하나 이상의 전성 가이드바(33)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전성 가이드바(33)에 연결된 가이드선(31)은 전기 신호 전도 경로를 형성한다. 상기 회로판(42)에는 중앙개구(42')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 2 지지구조(44)가 상기 중앙개구(42')의 둘레를 둘러싸고 있다.
도 4는 도 3의 캔틸레버식 탐침(46)과 회로판(42) 사이의 전기적 접촉 구조를 보여주는 확대설명도이다. 도 4를 통해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아암(45)과 수평선은 제 1 협각(55)을 형성하고, 상기 절곡부(43)와 상기 수평선은 제 2 협각(57)을 형성하는데, 상기 제 1 협각은 상기 제 2 협각와 서로 다르다. 상기 후단부(41)와 상기 회로판(42)은 제 3 협각(49)을 형성하는데, 상기 제 3 협각(49)의 각도는 15도 내지 60도 사이가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적회로 테스트카드(40B)의 국부단면도인데, 이를 참조한다. 도 3에 도시된 집적회로 테스트카드(40A)와 비교하여, 도 5에 도시된 집적회로 테스트카드(40B)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캔틸레버식 탐침(46)은 평면부(132)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회로판(42)과 직접 접촉되는 하나 이상의 전성 가이드바(33)을 형성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전성 가이드바(33)의 접촉면이 긁히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캔틸레버식 탐침(46), 상기 평면부(132), 상기 회로판(42)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전성 가이드바(33)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전성 가이드바(33)와 연결된 가이드선(31)은 전기 신호 전도 경로를 형성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적회로 테스트카드(40C)의 국부단면도인데, 이를 참조한다. 도 3에 도시된 집적회로 테스트카드(40A)와 비교하여, 도 6에 도시된 집적회로 테스트카드(40C)는 상기 후단부(41) 및 이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전성 가이드바(33) 사이에 형성되는 매개질(51)을 더 포함한다. 상기 매개질(51)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전기 신호를 상기 전성 가이드바(33)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캔틸레버식 탐침(46)까지 전도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캔틸레버식 탐침(46), 상기 매개질(51), 상기 회로판(42)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전성 가이드바(33)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전성 가이드바(33)에 연결되는 가이드선(31)은 전기 신호 전도 경로를 형성한다.
도 7은 도 6의 탐침(46)과 회로판(42) 사이의 전기적 접촉 구조를 보여주는 확대설명도인데, 이를 참조한다. 도 7을 통해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아암(45)과 수평선은 제 1 협각(55)을 형성하고, 상기 절곡부(43)와 상기 수평선은 제 2 협각(57)을 형성하는데, 상기 제 1 협각은 상기 제 2 협각과 서로 다르다. 상기 후단부(41)와 상기 회로판(42)은 제 3 협각(49)을 형성하는데, 상기 제 3 협각(49)의 각도는 15도 내지 60도 사이가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적회로 테스트카드(40D)의 국부단면도인데, 이를 참조한다. 도 6에 도시된 집적회로 테스트카드(40C)와 비교하여, 도 8에 도시된 집적회로 테스트카드(40D)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캔틸레버식 탐침(46)은 평면부(152)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회로판(42)과 직접 접촉되는 매개질(51)을 형성하여 서로 대응되는 상기 매개질(51)의 접촉면이 긁히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캔틸레버식 탐침(46), 상기 평면부(152), 상기 회로판(42)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전성 가이드바(33)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전성 가이드바(33)와 연결된 가이드선(31)은 전기 신호 전도 경로를 형성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적회로의 테스트카드(60)이고, 도 10은 도 9의 2-2 절개선의 국부단면도인데, 이를 참조한다. 상기 집적회로의 테스트카드(60A)는 회로판(61), 하나 이상의 지지구조(81) 및 하나 이상의 직립식 탐침(7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구조(81)는 상부 가이드판(83) 및 하부 가이드판(87)을 구비하되, 상기 회로판(61) 상에 형성되어 상기 직립식 탐침(76)을 지지한다. 상기 회로판(61)은 하나 이상의 전성 가이드바(63)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직립식 탐침(76)은 후단부(71), 선형 본체(75) 및 첨부(77)를 포함한다. 상기 선형 본체(75)는 상기 첨부(77)와 후단부(71)를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후단부(71)는 하나 이상의 전성 가이드바(63)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후단부(71)는 상기 선형 본체(75)의 절곡된 후단 부분이 되는데, 상기 후단부(71)의 강도가 증가되게 형성되고, 상기 선형 본체(75)의 타단은 상기 첨부(77)에 연결된다. 여기서, 하나 이상의 직립식 탐침(76), 상기 회로판(61)의 하나 이상의 전성 가이드바(63)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전성 가이드바(63)에 연결된 가이드선(65)은 전기 신호 전도 경로를 형성한다.
도 11은 도 10의 직립식 탐침(76)과 회로판(61) 사이의 전기적 접촉 구조를 보여주는 확대설명도인데, 이를 참조한다. 도 11을 통해서 알 수 있는바와 같이, 상기 후단부(71)와 수평선은 제 1 협각(85)을 형성하고, 상기 후단부(71)와 상기 회로판(61)은 협각(91)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협각(85)의 각도는 15도 내지 60도 사이가 되어, 상기 협각(91)의 각도와 같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적회로 테스트카드(60B)의 국부단면도인데, 이를 참조한다. 도 10에 도시된 집적회로 테스트카드(60A)와 비교하여, 도 12에 도시된 집적회로 테스트카드(60B)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직립식 탐침(76)은 평면부(172)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회로판(61)과 직접 접촉되는 하나 이상의 전성 가이드바(63)을 형성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전성 가이드바(63)의 접촉면이 긁히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직립식 탐침(76), 상기 평면부(172), 상기 회로판(61)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전성 가이드바(63)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전성 가이드바(63)와 연결된 가이드선(65)은 전기 신호 전도 경로를 형성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적회로의 테스트카드(60C)에서 도 9의 2-2 절개선의 국부단면도인데, 이를 참조한다. 도 13을 통해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집적회로 테스트카드(60C)는 회로판(61), 하나 이상의 지지구조(81), 매개질(101) 및 하나 이상의 직립식 탐침(7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구조(81)는 상부 가이드판(83) 및 하부 가이드판(87)을 구비하되, 상기 회로판(61) 상에 형성되어 상기 직립식 탐침(76)을 지지한다. 상기 회로판(61)은 하나 이상의 전성 가이드바(63)를 포함하고, 상기 매개질(101)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전기 신호를 상기 전성 가이드바(63)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직립식 탐침(76)까지 전도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직립식 탐침(76)은 후단부(71), 선형 본체(75) 및 첨부(77)를 포함한다. 상기 선형 본체(75)는 상기 첨부(77)와 후단부(71)를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후단부(71)는 하나 이상의 전성 가이드바(63)에 연결된다. 상기 매개질(101)은 상기 후단부(71) 및 서로 대응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전성 가이드바(63) 사이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후단부(71)는 상기 선형 본체(75)의 절곡된 후단 부분이 되는데, 상기 후단부(71)의 강도가 증가되게 형성되고, 상기 선형 본체(75)의 타단은 상기 첨부(77)에 연결된다. 여기서, 하나 이상의 직립식 탐침(76), 상기 매개질(101), 상기 회로판(72) 상의 하나 이상의 전성 가이드바(63)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전성 가이드바(63)에 연결된 가이드선(65)은 전기 신호 전도 경로를 형성한다.
도 14는 도 13의 탐침(76)과 회로판(61) 사이의 전기적 접촉 구조를 보여주는 확대설명도인데, 이를 참조한다. 도 14를 통해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후단부(71)와 수평선은 제 1 협각(85)을 형성하고, 상기 후단부(71)와 상기 회로판(61)은 협각(111)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협각(85)의 각도는 15도 내지 60도 사이가 되어, 상기 협각(111)의 각도와 같게 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적회로 테스트카드(60D)의 국부단면도인데, 이를 참조한다. 도 13에 도시된 집적회로 테스트카드(60C)와 비교하여, 도 15에 도시된 집적회로 테스트카드(60D)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직립식 탐침(76)은 평면부(192)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회로판(61)과 직접 접촉되는 매개질(101)을 형성하고 상기 매개질(101)의 접촉면이 긁히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직립식 탐침(76), 상기 평면부(192), 상기 회로판(61)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전성 가이드바(63)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전성 가이드바(63)와 연결된 가이드선(65)은 전기 신호 전도 경로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기술내용 및 기술적 특징이 위에서 개시되었으나, 상기 개시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로서 든 실시태양에 불과한 것으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그 밖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서의 제작과정, 기계, 물질의 성분, 장치, 방법 또는 단계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 실시예에서 개시된 제작과정, 기계, 물질의 성분, 장치, 방법 또는 단계가 현재 이미 존재하든지 또는 이후 개발되든지 간에 관계없이, 본 발명에서 개시된 것과 동일한 방식에 의해 실시될 경우 서로 동일한 기능을 발휘하고, 서로 동일한 결과에 도달하게 될 것이라는 것을 알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종류의 제작과정, 기계, 물질의 성분, 장치, 방법 또는 단계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10 : 집적회로 테스트카드 12 : 회로판 14 : 지지체
16 : 탐침 20 : 가이드통공 24 : 에폭시수지
26 : 가이드선 30 : 테스트부재 31 : 가이드선
33 : 전성 가이드바 38 : 신호접점
40A,40B,40C, 40D : 집적회로 테스트카드
41 : 후단부 42 : 회로판 42': 중앙개구
43 : 절곡부 44 : 제 2 지지구조 44': 제 1 지지구조
45 : 연결아암 46 : 캔틸레버식 탐침 47 : 첨부
48 : 제 2 접착체 48': 제 1 접착체 49 : 제 3 협각
51 : 매개질 55 : 제 1 협각 57 : 제 2 협각
60A,60B,60C,60D : 집적회로 테스트카드
61 : 회로판 63 : 전성 가이드바 65 : 가이드선
71 : 후단부 75 : 선형 본체 76 : 직립식 탐침
77 : 첨부 81 : 지지구조 83 : 상부 가이드판
85 : 제 1 협각 87 : 하부 가이드판 91 : 협각
101 : 매개질 111 : 협각
132, 152, 172, 192 : 평면부

Claims (18)

  1. 하나 이상의 전성 가이드바를 구비한 회로판;
    후단부, 절곡부, 연결아암 및 첨부를 구비하되, 상기 연결아암은 상기 첨부와 상기 절곡부를 연결시키도록 형성되고, 상기 후단부는 상기 절곡부와 상기 하나 이상의 전성 가이드바를 연결시키도록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캔틸레버식 탐침;
    상기 회로판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절곡부를 지지하는 제 1 지지구조; 및
    상기 회로판 상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아암을 지지하는 제 2 지지구조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연결아암과 수평선은 제 1 협각을 형성하고, 상기 절곡부와 상기 수평선은 제 2 협각을 형성하는데, 상기 제 1 협각은 상기 제 2 협각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 테스트카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단부와 상기 회로판은 제 3 협각을 형성하는 집적회로 테스트카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3 협각의 각도는 15도 내지 60도 사이가 되는 집적회로 테스트카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로판은 상기 후단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전성 가이드바 사이에 형성되는 매개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집적회로 테스트카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매개질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전기 신호를 상기 전성 가이드바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캔틸레버식 탐침까지 전도하는 집적회로 테스트카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를 상기 제 1 지지구조 상에 고정시키는 제 1 접착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집적회로 테스트카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아암을 상기 제 2 지지구조 상에 고정시키는 제 2 접착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집적회로 테스트카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단부는 상기 회로판과 접촉되게 형성되는 평면부를 더 구비하는 집적회로 테스트카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첨부는 테스트 칩과 접촉되게 형성되는 집적회로 테스트카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성 가이드바는 상기 탐침의 후단부와 가이드선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형성되는 집적회로 테스트카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120025015A 2012-01-10 2012-03-12 탐침의 전기 접점 구조가 개선된 집적회로 테스트카드 KR1012965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1100899A TWI465726B (zh) 2012-01-10 2012-01-10 具有強化探針電性觸點結構之積體電路測試卡
TW101100899 2012-01-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2046A KR20130082046A (ko) 2013-07-18
KR101296523B1 true KR101296523B1 (ko) 2013-08-13

Family

ID=48993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5015A KR101296523B1 (ko) 2012-01-10 2012-03-12 탐침의 전기 접점 구조가 개선된 집적회로 테스트카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2) JP5731432B2 (ko)
KR (1) KR101296523B1 (ko)
TW (1) TWI46572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32374B (zh) * 2016-12-29 2018-08-11 Sv探針私人有限公司 探針卡
CN113533805B (zh) * 2020-04-20 2024-01-23 台湾中华精测科技股份有限公司 分隔式薄膜探针卡及其弹性模块
CN113777369B (zh) * 2020-06-10 2023-12-19 台湾中华精测科技股份有限公司 悬臂式薄膜探针卡
CN214473740U (zh) * 2021-01-08 2021-10-22 迪科特测试科技(苏州)有限公司 高速回送测试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42433A (ja) * 1997-11-10 1999-05-28 Mitsubishi Electric Corp 垂直針型プローブカード用のプローブ針とその製造方法
KR20010017665A (ko) * 1999-08-13 2001-03-05 윤종용 반도체 웨이퍼 검사용 프로브카드 니들
KR20050099857A (ko) * 2004-04-12 2005-10-17 스타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션 프로브 카드
KR20070120430A (ko) * 2006-06-19 2007-12-24 동경 엘렉트론 주식회사 프로브 카드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9355A (ja) * 1993-06-29 1995-02-21 Nobuaki Suzuki 検査・試験用プローブ装置とプローブ装置取付構造
JPH10239351A (ja) * 1997-02-27 1998-09-11 Mitsubishi Materials Corp コンタクトプローブ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1344510A (ja) * 1998-06-02 1999-12-14 Advantest Corp プローブカード、プローブ及び半導体試験装置
US6535003B2 (en) * 1999-01-29 2003-03-18 Advantest, Corp. Contact structure having silicon finger contactor
JP2004020209A (ja) * 2002-06-12 2004-01-22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ローブカード
JP2004069485A (ja) * 2002-08-06 2004-03-04 Yamaha Corp プローブユニ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プローブカー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170189A (ja) * 2002-11-19 2004-06-17 Micronics Japan Co Ltd プローブ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的接続装置
JP2006041073A (ja) * 2004-07-26 2006-02-09 Seiko Epson Corp プローブカード及びプローブカードを用いた測定方法
JP4087378B2 (ja) * 2004-12-24 2008-05-21 日本電子材料株式会社 プローブカード
JP4536525B2 (ja) * 2005-01-12 2010-09-01 富士通セミコンダクター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試験装置及び試験方法
JP2007303826A (ja) * 2006-05-08 2007-11-22 Tokyo Electron Ltd プローブ
JP5100751B2 (ja) * 2007-07-03 2012-12-19 株式会社アドバンテスト プローブおよびプローブカード
JP5086783B2 (ja) * 2007-12-05 2012-11-28 日本電子材料株式会社 カンチレバー型プローブカード
JP2009236509A (ja) * 2008-03-26 2009-10-15 Fujitsu Microelectronics Ltd プローブカード
TWM361631U (en) * 2009-03-26 2009-07-21 Mpi Corp Cantilever probe card
TWI407106B (zh) * 2009-09-17 2013-09-01 Mpi Corp High frequency cantilever probe car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42433A (ja) * 1997-11-10 1999-05-28 Mitsubishi Electric Corp 垂直針型プローブカード用のプローブ針とその製造方法
KR20010017665A (ko) * 1999-08-13 2001-03-05 윤종용 반도체 웨이퍼 검사용 프로브카드 니들
KR20050099857A (ko) * 2004-04-12 2005-10-17 스타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션 프로브 카드
KR20070120430A (ko) * 2006-06-19 2007-12-24 동경 엘렉트론 주식회사 프로브 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65726B (zh) 2014-12-21
JP2015064382A (ja) 2015-04-09
JP5731432B2 (ja) 2015-06-10
TW201329456A (zh) 2013-07-16
KR20130082046A (ko) 2013-07-18
JP2013142691A (ja) 2013-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6523B1 (ko) 탐침의 전기 접점 구조가 개선된 집적회로 테스트카드
KR101845652B1 (ko) 부품 실장된 웨이퍼 테스트를 위한 하이브리드 프로브 카드
JP2014219406A (ja) ポゴピン接続に機械的安定を提供する試験ソケット
KR101108481B1 (ko) 반도체칩패키지 검사용 소켓
KR101047537B1 (ko) 프로브 카드
US11269020B2 (en) Method for testing solder balls between two substrates by using dummy solder balls
US7795891B2 (en) Tester with low signal attenuation
KR20150052563A (ko) 검사 장치 및 방법
KR102257278B1 (ko) 전기적 접속 장치
KR101544496B1 (ko) Dc 파라미터 테스트를 위한 프로브 탐침 및 이를 구비한 초 저누설전류 프로브 카드
KR101853002B1 (ko) 반도체 패키지 테스트 소켓
KR101813283B1 (ko) 프로브 및 이를 이용하는 전자 부품 테스트 장치
JP3220491U (ja) 治具をテストするアダプター構造
KR101886656B1 (ko) 입력장치 검사용 프로브 모듈
KR20080048695A (ko) 반도체 장치의 테스트유니트
Jimenez et al. Innovative solution for analyzing wafer-level chip scale package
KR102044185B1 (ko) 회로기판 또는 프로그램 검사 시스템
CN206479628U (zh) 探针卡检测设备的保护装置
KR101452431B1 (ko) 인쇄회로기판 테스트 장치용 테스트 핀의 검사 장치
JP2014002140A (ja) 基板検査用ピン
KR20120076727A (ko) 프로브 카드 및 이를 갖는 테스트 장치
TWM429099U (en) Integrated circuits probe card having a reinforced structure of electric contact for probes
KR20080086713A (ko) 일체형 프로브카드
JP2006250901A (ja) 半導体装置の検査方法および半導体装置の検査装置
TWM538163U (zh) 測試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