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3103B1 - 현상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현상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3103B1
KR101293103B1 KR1020100020752A KR20100020752A KR101293103B1 KR 101293103 B1 KR101293103 B1 KR 101293103B1 KR 1020100020752 A KR1020100020752 A KR 1020100020752A KR 20100020752 A KR20100020752 A KR 20100020752A KR 101293103 B1 KR101293103 B1 KR 101293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ing
rotating body
driving
developer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0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1628A (ko
Inventor
시로 스즈키
아츠시 오기하라
마사히로 사토
아츠유키 기타무라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21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1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3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3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42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 G03G15/0147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a singl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 G03G15/0152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a singl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onto which the monocolour toner images are superposed before common transfer from the recording memb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05Details of unit
    • G03G15/0121Details of unit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42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 G03G15/0147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a singl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 G03G15/0152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a singl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onto which the monocolour toner images are superposed before common transfer from the recording member
    • G03G15/0163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a singl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onto which the monocolour toner images are superposed before common transfer from the recording member primary transfer to the final recording mediu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7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developer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42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 G03G15/0147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a singl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 G03G15/0152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a singl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onto which the monocolour toner images are superposed before common transfer from the recording member
    • G03G15/0173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a singl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onto which the monocolour toner images are superposed before common transfer from the recording member plural rotations of recording member to produce multicoloured copy, e.g. rotating set of developing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67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sing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 G03G2215/0174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sing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plural rotations of recording member to produce multicoloured copy
    • G03G2215/0177Rotating set of developing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57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현상 동작시의 회전체의 위치 유지와, 회전체의 고정에 필요한 소비전력을 억제할 수 있는 현상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화상 형성 장치(10)는, 현상 장치(100)를 가지며, 현상 장치(100)는, 복수의 현상기(120)와, 복수의 현상기(120)가 장착되고, 복수의 현상기(120) 중 어느 하나가 감광체 드럼(20)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위치인 현상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되도록 회전하는 회전체(104)와, 회전체(104)를 구동시키는 회전체 구동 기구(130)와, 복수의 현상기(120) 중 적어도 1개를 구동시키는 현상 롤 구동 기구(134)와, 현상 롤 구동 기구(134)의 구동에 따라 회전체(104)에 생기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회전체(104)의 위치를 규제하는 규제 기구(140)를 가진다.

Description

현상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현상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회전체와, 이 회전체에 대해 설치된 n개의 현상기와,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켜 상기 n개의 현상기 중 한 개의 현상기를 현상 대상인 잠상 담지체에 대향시키는 회전체 구동 수단을 구비한 로터리 현상 장치로서, 상기 회전체 구동 수단은, 회전체를 (360/n)도 이상 2×(360/n)도 미만의 각도마다 회전시키는 구동 수단이고, 상기 회전체에는 피걸기부가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장치 본체측에는, 상기 피걸기부와 걸거나 벗김 가능해서, 상기 회전체의 상기 회전 과정에서 그 피걸기부와 걸리고, 이 걸기 시에, 상기 회전체를 역전(逆轉)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회전체와 함께 순(順)방향으로 이동하고, 그 후 역방향으로 이동해서 회전체를 역전시키는 걸기 부재와, 이 걸기 부재의 상기 역방향으로의 이동의 정지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걸기 부재가 상기 정지 위치에 위치 결정됨으로써 상기 회전체가 위치 결정되는 로터리 현상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2002-311675호 공보
본 발명은, 현상 동작시의 회전체의 위치 유지와, 회전체의 고정에 필요한 소비전력을 억제할 수 있는 현상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에 따른 본 발명은, 복수의 현상기와, 상기 복수의 현상기가 장착되고, 상기 복수의 현상기 중 어느 하나가 현상 대상을 현상하는 위치인 현상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되도록 회전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를 구동시키는 제 1 구동 수단과, 상기 복수의 현상기 중 적어도 1개를 구동시키는 제 2 구동 수단과, 상기 제 2 구동 수단의 구동에 따라 상기 회전부에 생기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회전체의 위치를 규제하는 규제 기구를 가지는 현상 장치이다.
청구항 2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회전부는, 상기 복수의 현상기 중 상기 현상 위치에 배치되는 현상기를 전환할 때에, 상기 복수의 현상기 중 적어도 1개의 구동에 따라 생기는 회전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규제 기구는, 상기 복수의 현상기 중 상기 현상 위치에 배치되는 현상기를 전환하는 방향으로의 상기 회전부의 회전을 허용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현상 장치이다.
청구항 3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회전부는, 상기 복수의 현상기 중 1개가 상기 현상 위치를 통과하도록 회전한 후, 상기 복수의 현상기 중 적어도 1개의 구동에 따라 생기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회전이 상기 규제 기구에 규제되어 위치 결정되는 청구항 2에 기재된 현상 장치이다.
청구항 4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규제 기구는, 상기 회전부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가지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회전부의 상기 현상 위치에 배치되는 현상기를 전환하는 방향의 회전을 허용하는 청구항 2 또는 3에 기재된 현상 장치이다.
청구항 5에 따른 본 발명은, 적어도 잠상을 유지하는 상 유지체와, 상기 상 유지체가 유지하는 잠상을 현상해서 현상제 상을 형성하는 현상 장치와, 상기 현상 장치에 의해 형성된 현상제 상을 전사 매체에 전사하는 전사 장치를 가지고, 상기 현상 장치는, 복수의 현상기와, 상기 복수의 현상기가 장착되고, 상기 복수의 현상기 중 어느 하나가 현상 대상을 현상하는 위치인 현상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되도록 회전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를 구동시키는 제 1 구동 수단과, 상기 복수의 현상기 중 적어도 1개를 구동시키는 제 2 구동 수단과, 상기 제 2 구동 수단의 구동에 따라 상기 회전부에 생기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회전체의 위치를 규제하는 규제 기구를 가지는 화상 형성 장치이다.
청구항 6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제 1 구동 수단에 구동을 전달하는 구동원과, 상기 회전부가, 상기 복수의 현상기 중 1개가 상기 현상 위치를 통과하도록 회전한 후에, 상기 복수의 현상기 중 적어도 1개의 구동에 따라 생기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회전이 상기 규제 기구에 규제되어 위치 결정되도록, 상기 제 1 구동 수단 및 상기 구동원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가지는 청구항 5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이다.
청구항 1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하면, 본 구성을 가지지 않을 경우와 비교하여, 현상 동작시의 회전체의 위치 유지와, 회전체의 고정에 필요한 소비전력을 억제할 수 있는 현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에 따른 본 발명이 나타내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에 더해서, 본 구성을 가지지 않을 경우와 비교하여, 회전체가 회전하여, 현상 장치가 현상 위치를 통과할 때의 충격을 작게 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2에 따른 본 발명이 나타내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에 더해서, 본 구성을 가지지 않을 경우와 비교하여, 현상기를 정확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는 현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2 또는 3에 기재된 본 발명이 나타내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에 더해서, 본 구성을 가지지 않을 경우와 비교하여, 규제 기구의 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는 현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하면, 현상 동작시의 회전체의 위치 유지와, 회전체의 고정에 필요한 소비전력을 억제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5에 따른 본 발명이 나타내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에 더해서, 본 구성을 가지지 않을 경우와 비교하여, 현상기를 정확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우측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화상 형성 장치가 가지는 현상 장치를 나타낸 우측면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현상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도 2에 나타낸 현상 장치에 장착된 현상 롤 구동 기구를 나타낸 제 1 도면.
도 5는 도 2에 나타낸 현상 장치에 장착된 현상 롤 구동 기구를 나타낸 제 2 도면.
도 6은 도 2에 나타낸 현상 장치에 장착된 회전체 구동 기구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1에 나타낸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부를 나타낸 블록도.
도 8은 도 1에 나타낸 화상 형성 장치의 현상에 사용되는 현상기를 전환하는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9는 도 2에 나타낸 현상 장치가 가지는 회전체의, 현상에 사용되는 현상기를 전환할 때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낸 우측면도.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가 나타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를 가지며,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 내에, 적어도 잠상을 유지하는 상 유지체로서 사용되고, 현상 대상으로서 사용되는 감광체 드럼(20)과, 감광체 드럼(20)에 상을 형성하는 상 형성부(30)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 내에는, 기록 매체로서 사용되고, 전사 매체로서 사용되는 용지를 반송하는 무단(無端) 형상의 반송로(30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 내에는, 용지를 반송로(302)에 공급하는 급지 장치(310)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 내에는, 용지에 현상제 상을 정착하는 정착 장치(50)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외벽부에는, 조작 장치로서 사용되는 조작 패널(402)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 내에는, 반송로(302)로부터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 외로 용지를 배출하고,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 외로 배출된 용지를 반전시켜서, 다시 반송로(302)에 공급하는 반전 장치(330)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는, 화상이 형성된 용지가 배출되는 배출부로서 사용되는 배출 트레이(14)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 내에는, 제어부(400)가 장착되어 있다.
상 형성부(30)는, 감광체 드럼(20)에 복수 색의 현상제 상을 색마다 형성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 형성부(30)는, 감광체 드럼(20)의 표면을 대전하는 대전 장치로서 사용되는 대전 롤(32)과, 대전 롤(32)에 의해 대전된 감광체 드럼(20)의 표면에 광을 조사하여, 감광체 드럼(20)의 표면에 잠상을 형성하는 잠상 형성 장치(34)와, 잠상 형성 장치(34)에 의해 감광체 드럼(20)의 표면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제를 사용하여 현상하여, 감광체 드럼(20)의 표면에 현상제 상을 형성하는 현상 장치(100)와, 현상 장치에 의해 감광체 드럼(20)의 표면에 형성된 현상제 상을 용지에 전사하는 전사 장치(200)와, 전사 장치(200)에 의해 현상제 상이 전사된 후에 감광체 드럼(20)의 표면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감광체 드럼(20)의 표면으로부터 긁어내도록 제거하는 클리닝 장치(36)를 가진다.
전사 장치(200)는, 전사 바이어스가 인가되는 전사 롤(202)을 가진다.
현상 장치(100)는, 감광체 드럼(20)이 유지하는 잠상을 옐로우의 현상제, 마젠타의 현상제, 시안의 현상제, 흑색의 현상제로 각각 현상하는 옐로우용 현상기(120Y), 마젠타용 현상기(120M), 시안용 현상기(120C), 흑색용 현상기(120K)를 가진다. 옐로우용 현상기(120Y), 마젠타용 현상기(120M), 시안용 현상기(120C), 흑색용 현상기(120K)는, 각각이, 현상제를 유지한 상태로 회전하여, 감광체 드럼(20)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 유지체로서 사용되는 현상 롤(122Y, 122M, 122C, 122K)을 가진다. 현상 장치(100)는, 상 위치에 배치되는 현상기를, 옐로우용 현상기(120Y), 마젠타용 현상기(120M), 시안용 현상기(120C), 흑색용 현상기(120K)로부터 선택하여, 전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에서는, 옐로우용 현상기(120Y)가 현상 위치에 배치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여기에서, 현상 위치란, 가지는 현상 롤(122)이 감광체 드럼(20)에 대치(對峙)하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되는 현상기(120)의 위치이고, 현상 위치에 배치된 현상 장치에 의해, 감광체 드럼(20)에 형성된 잠상이 현상된다. 또한, 현상 장치(100)의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정착 장치(50)는, 전사 롤(202)에 의해 용지에 전사된 옐로우의 현상제 상, 마젠타의 현상제 상, 시안의 현상제 상, 및 흑색의 현상제 상을 용지에 정착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고, 내부에 발열부(52)를 구비한 가열 롤(54)과, 가열 롤(54)에 가압된 가압 롤(56)을 가져, 현상제 상을 가열하고, 현상제 상을 용지를 향해 가압한다.
급지 장치(310)는, 적층한 상태로 복수의 용지를 수납하는 용지 수납부(312)와, 용지 수납부(312)에 적층된 최상위의 용지를 반송로(302)를 향해 송출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송출 롤(314)을 가진다.
반전 장치(330)는, 양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배출 롤(332)과, 반송로(302)의 정착 장치(50)측으로부터 반송되어 온 용지를, 배출 롤(332)의 방향으로 안내하거나, 반송로(302)의 하류측으로 안내하는 것을 전환하는, 전환 장치로서 사용되는 전환 부재(334)를 가진다. 배출 롤(332)은, 정(正)회전함으로써 현상제 상이 정착된 용지를 배출 트레이(14)에 배출한다. 또한, 배출 롤(332)은, 반송로(302)를 반송되어 온 용지의 후단부(後端部) 근방에 접촉하는 상태로 되는 시점에 정회전에서 역회전으로 회전 방향을 변환함으로써, 용지를 반전시키면서, 용지를 후단측으로부터 반송로(302)에 송출한다.
반송로(302)는, 도 1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 내를 순환시키도록 용지를 반송할 수 있다. 반송로(302)를 따라, 급지 장치(310)가 설치된 위치로부터 용지가 반송되는 방향 순으로, 반송 롤(318)과, 레지스트 롤(320)과, 전술한 감광체 드럼(20) 및 전사 롤(202)과, 정착 장치(50)와, 전술한 전환 부재(334)와, 반송 롤(322)과, 반송 롤(324)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반송로(302)에서는, 용지 공급 위치(P1)에서 급지 장치(310)로부터 용지가 공급되고, 전사 위치(P2)에서 감광체 드럼(20)에 형성된 현상제 상이 전사 롤(202)에 의해 용지에 전사되고, 정착 위치(P3)에서 전사 롤(202)에 의해 용지에 전사된 현상제 상이 정착 장치(50)에 의해 용지에 정착되고, 배출 위치(P4)에서 반송로(302)로부터 용지가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는, 현상 장치(100)가 나타나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 장치(100)는, 현상 장치 본체(102)를 가지며, 현상 장치 본체(102)에는, 현상 장치 본체(102)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체(104)가 축(118)을 사용하여 부착되어 있다. 현상 장치 본체(102)는,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도 1 참조) 내에 착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회전체(104)에는, 옐로우용 현상기(120Y), 마젠타용 현상기(120M), 시안용 현상기(120C), 흑색용 현상기(120K)(각각 도 1 참조)가 장착되고, 이들 현상기(옐로우용 현상기(120Y), 마젠타용 현상기(120M), 시안용 현상기(120C), 흑색용 현상기(120K)) 중 어느 하나가 감광체 드럼(20)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되도록 회전하는 회전부로서 사용되고 있다. 회전체(104)는, 현상에 사용되는 현상기(옐로우용 현상기(120Y), 마젠타용 현상기(120M), 시안용 현상기(120C), 흑색용 현상기(120K))를 전환할 경우에는, 도 2에 나타낸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후술하는 현상 롤 구동 기구(134)를 통해 옐로우용 현상기(120Y), 마젠타용 현상기(120M), 시안용 현상기(120C), 흑색용 현상기(120K)에 후술하는 모터(M1)로부터의 구동이 전달되어서, 옐로우용 현상기(120Y), 마젠타용 현상기(120M), 시안용 현상기(120C), 흑색용 현상기(120K) 중 적어도 1개가 구동하면, 이 구동에 따라, 회전체(104)에 구동이 전달되고, 회전체(104)에 회전력이 부여되어서, 회전체(104)는, 전술한 현상에 사용되는 현상기를 전환할 경우에 회전하는 방향인 화살표 a방향과 역방향인 도 2에 나타낸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렇게, 회전체(104)는, 복수의 현상기(옐로우용 현상기(120Y), 마젠타용 현상기(120M), 시안용 현상기(120C), 흑색용 현상기(120K)) 중 현상 위치에 배치되는 현상기를 전환할 때에, 옐로우용 현상기(120Y) 등이 구동함에 따라 생기는 회전의 회전 방향(화살표 b방향)과 역방향(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하고, 현상에 사용되는 현상기를 전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회전체(104)에는, 후술하는 회전 규제 부재(142)가 접촉하도록, 4개의 단차부(106Y, 106M, 106C, 106K)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 규제 부재(142)가 단차부(106Y)에 접촉하도록 회전체(104)가 위치해 있을 경우, 옐로우용 현상기(120Y)가 현상 위치에 배치되어, 현상 롤(122Y)이 감광체에 대치하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된다. 또한, 회전 규제 부재(142)가 단차부(106M)에 접촉하도록 회전체(104)가 위치해 있을 경우, 마젠타용 현상기(120M)가 현상 위치에 배치되어, 현상 롤(122M)이 감광체에 대치하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된다. 또한, 회전 규제 부재(142)가 단차부(106C)에 접촉하도록 회전체(104)가 위치해 있을 경우, 시안용 현상기(120C)가 현상 위치에 배치되어, 현상 롤(122C)이 감광체에 대치하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된다. 또한, 회전 규제 부재(142)가 단차부(106K)에 접촉하도록 회전체(104)가 위치해 있을 경우, 흑색용 현상기(120K)가 현상 위치에 배치되어, 현상 롤(122K)이 감광체에 대치하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된다. 또한, 도 2에서는, 회전 규제 부재(142)가 단차부(106Y)에 접촉하고, 옐로우용 현상기(120Y)가 현상 위치에 배치되어, 옐로우용 현상기(120Y)의 현상 롤(122Y)이, 감광체 드럼(20)에 대치한 상태에 있는 현상 장치(100)가 나타나 있다.
또한, 현상 장치(100)는, 회전체(104)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체 구동 기구(130)와, 옐로우용 현상기(120Y), 마젠타용 현상기(120M), 시안용 현상기(120C), 흑색용 현상기(120K)를 구동하고, 현상 롤(122Y, 122M, 122C, 122K)을 회전시키기 위한 현상 롤 구동 기구(134)를 가진다. 회전체 구동 기구(130)는, 회전체(104)를 구동시키는 제 1 구동 수단으로서 사용되고, 현상 롤 구동 기구(134)는, 현상기(옐로우용 현상기(120Y), 마젠타용 현상기(120M), 시안용 현상기(120C), 흑색용 현상기(120K)) 중 적어도 1개를 구동시키는 제 2 구동 수단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회전체 구동 기구(130)는, 예를 들면 회전체(104)의 좌측 면측(도 3에서의 상측)에 장착되어 있고 모터(M2)가 연결되어 있다. 모터(M2)는 회전체 구동 기구(130)에 구동을 전달하는 구동원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현상 롤 구동 기구(134)는, 현상 장치 본체(102)의 우측(도 3에서의 하측)의 측판(側板)에 장착된 본체 장착부(134a)와, 회전체(104)의 우측(도 3에서의 하측)의 면에 장착된 회전체 장착부(134b)를 가지고, 구동원으로서 사용되는 모터(M1)가 연결되어 있어, 모터(M1)의 구동을 현상기(옐로우용 현상기(120Y), 마젠타용 현상기(120M), 시안용 현상기(120C), 흑색용 현상기(120K))에 전달하여, 현상 롤(122Y, 122M, 122C, 122K)을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현상 장치(100)는, 규제 기구(140)를 가진다.
규제 기구(140)는, 현상 롤 구동 기구(134)의 구동에 따라 회전체(104)에 생기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회전체(104)의 위치를 규제하는 위치 규제 기구로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규제 기구(140)는, 회전체(104)를 고정하는 고정부로서 사용되는 회전 규제 부재(142)와, 회전 규제 부재(142)를 지지하는 지지체(146)를 가진다.
회전 규제 부재(142)는, 예를 들면 가요성 부재로 이루어져, 예를 들면 가요성 및 탄성을 가지고, 재질로서는 예를 들면 금속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회전 규제 부재(142)는, 옐로우용 현상기(120Y), 마젠타용 현상기(120M), 시안용 현상기(120C), 흑색용 현상기(120K) 중 적어도 1개가 구동함에 따라 회전체(104)가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을 개시하면, 4개의 단차부(106Y, 106M, 106C, 106K) 중 어느 하나에 접촉하여, 회전체(104)의 화살표 b방향의 회전을 규제한다. 즉, 이 실시형태에서는, 현상 롤 구동 기구(134)의 구동에 따라, 회전체(104)에 회전 모멘트가 부여되고, 회전체(104)에 관성이 부여됨으로써, 회전체(104)에 생기는 도 2에 화살표 b방향으로 나타낸 회전 방향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단차부(106Y, 106M, 106C, 106K) 중 어느 하나를, 회전 규제 부재(142)에 눌린 상태로 함으로써, 회전체(104)의 위치를 규제하고 있다.
이 경우, 이 작용만으로 회전체(104)를 규제해도 되고, 모터(M2)에 의한 회전체(104)의 위치 유지에 대해, 보조적으로 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지지체(146)는, 예를 들면 현상 장치 본체(102)의 우측(도 3에서의 하측)의 벽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지지체(146)에 대해, 회전 규제 부재(142)의 일 단부측이, 예를 들면 나사(148, 148)를 사용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회전 규제 부재(142)의 나사(148, 148)로 고정된 측과의 반대측은 변형이 가능해서, 예를 들면 회전체(104)에 가압됨으로써,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낸 화살표 c방향으로 휘게 변형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현상 장치(100)에서는, 규제 기구(1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옐로우용 현상기(120Y) 등이 구동함에 따른 회전체(104)의 화살표 b방향의 회전을 규제한다. 한편, 규제 기구(140)는, 현상 위치에 배치되는 현상기의 전환에 따르는 화살표 a방향으로의 회전체(104)의 회전을 허용한다. 즉, 회전체(104)가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회전 규제 부재(142)는, 단차부(106)로부터 회전체(104)의 측면부이며 단차부(106)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올라앉도록 휘고, 화살표 c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변형하므로 회전체(104)의 회전을 규제할 일이 없어, 회전체(104)의 회전을 정지시킬 일이 없다.
도 4에는, 현상 롤 구동 기구(134)의 본체 장착부(134a)가 나타나 있다.
본체 장착부(134a)는, 모터(M1)로부터의 구동 전달을 받아 회전하는 기어(G1)와, 기어(G1)와 연결되어 있어 기어(G1)와 일체로서 회전하는 기어(G2)와, 기어(G2)와 맞물려 기어(G2)로부터의 구동 전달을 받아 회전하는 기어(G3)와, 기어(G3)와 연결되어 있어 기어(G3)와 일체로서 회전하는 기어(G4)와, 기어(G4)에 맞물려 기어(G4)로부터의 구동 전달을 받아 회전하는 기어(G5)와, 기어(G5)와 맞물려 기어(G5)로부터의 구동 전달을 받아 회전하는 기어(G10)를 가진다. 기어(G1), 기어(G2), 기어(G3), 기어(G4), 및 기어(G5)는, 예를 들면 현상 장치 본체(102)의 우측면(도 3에서의 하측의 측면)에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또한, 기어(G10)는, 축(118)에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여기에서, 기어(G10)가 회전하는 방향은, 옐로우용 현상기(120Y), 마젠타용 현상기(120M), 시안용 현상기(120C), 흑색용 현상기(120K) 중 적어도 1개가 구동하고, 이 구동에 따라 회전체(104)에 구동이 전달되어, 회전체(104)에 회전력이 부여되어서 회전체(104)가 회전하는 방향인 도 2에 나타낸 화살표 b방향과 동일한 방향이다.
도 5에는, 현상 롤 구동 기구(134)의 회전체 장착부(134b)가 나타나 있다.
회전체 장착부(134b)는, 전술한 기어(G10)(도 4 참조)와 연결되어 있어 기어(G10)와 일체로서 회전하는 기어(G21)와, 기어(G21)에 맞물려 기어(G21)로부터의 구동 전달을 받아 회전하는 4개의 기어(G22)와, 4개의 기어(G22)에 각각 맞물리고 4개의 기어(G22)로부터 구동 전달을 각각 받아 회전하는 4개의 기어(G23)와, 4개의 기어(G23)에 각각 맞물리고 4개의 기어(G23)로부터 구동 전달을 각각 받아 회전하는 4개의 기어(G24)를 가진다.
그리고, 4개의 기어(G24)는, 각각이 현상 롤(122Y, 122M, 122C, 122K)에 연결되어 있어, 4개의 기어(G24)와 각각 일체로서 현상 롤(122Y, 122M, 122C, 122K)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기어(G21)는, 축(118)에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또한, 4개의 기어(G22), 4개의 기어(G23), 4개의 기어(G24)는, 회전체(104)의 우측(도 3에서의 하측)의 면에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도 6에는, 회전체 구동 기구(130)가 나타나 있다.
회전체 구동 기구(130)는, 모터(M2)로부터 예를 들면 다른 기어를 통해 구동이 전달되어 회전하는 기어(G31)를 가진다. 기어(G31)는, 회전체(104)의 좌측(도 3에서의 상측)의 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회전체(104)는 기어(G31)와 일체로서 모터(M2)로부터의 구동 전달을 받아 회전한다. 회전체(104)가 회전하는 방향은, 예를 들면 모터(M2)의 회전 방향을 제어함으로써 제어되어, 화살표 a방향, 화살표 b방향의 양 방향으로 회전체(104)는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모터(M2)의 회전 방향을 전환하는 것을 대신하여, 회전체 구동 기구(130)의 일부를 이루고, 모터(M2)로부터 회전을 역방향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가지는 클러치(도시 생략)를 통해 기어(G31)에 구동을 전달하도록 하여, 상기 클러치를 이용하여 회전체(104)의 회전 방향을 전환하도록 해도 된다.
도 7에는, 제어부(400)가 나타나 있다.
제어부(400)는, 예를 들면 CPU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어 회로를 가지고, 제어부(400)에는, 통신 인터페이스(404)를 통해 화상 데이터가 입력된다. 또한, 제어부(400)에는 조작 패널(402)로부터의 출력이 입력되고, 제어부(400)로부터의 출력에 의해 상 형성부(30), 모터(M1), 모터(M2) 등이 제어된다. 또한, 제어부(400)는, 회전체(104)가, 복수의 현상기(옐로우용 현상기(120Y), 마젠타용 현상기(120M), 시안용 현상기(120C), 흑색용 현상기(120K)) 중 1개가 현상 위치를 통과하도록 회전한 후에, 이들 복수의 현상기 중 적어도 1개의 구동에 따라 생기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회전이 규제 기구(140)에 규제되어 위치 결정되도록, 모터(M2)로부터의 회전을 역방향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가지는 클러치(도시 생략) 및 모터(M2)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제어하는 제어부로서 사용되고 있다.
도 8은, 복수의 현상기(옐로우용 현상기(120Y), 마젠타용 현상기(120M), 시안용 현상기(120C), 흑색용 현상기(120K)) 중 현상 위치에 배치되는 현상기를 전환할 때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또한, 도 9는, 현상 위치에 위치하는 현상기를 전환할 때의 동작을, 현상 위치에 옐로우용 현상기(120Y)가 배치된 상태에서, 현상 위치에 마젠타용 현상기(120M)가 배치된 상태로 전환할 때의 동작을 예로서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예를 들면, 현상 위치에 옐로우용 현상기(120Y)가 배치된 상태에서, 현상 위치에 마젠타용 현상기(120M)가 배치된 상태로 전환할 때의 동작을 예로서 설명하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초의 스텝 S10에서, 제어부(400)는, 모터(M2)를 제어하여, 회전체(104)를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렇게 하면, 옐로우용 현상기(120Y)가 현상 위치에 배치되어, 현상 롤(122Y)이 감광체 드럼(20)에 대치하고, 회전 규제 부재(142)가 단차부(106Y)에 접촉한 상태(도 1, 도 2 참조)로부터 회전체(104)가 회전을 개시하여, 도 9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규제 부재(142)가, 회전체(104)의 단차부(106Y)와 단차부(106M) 사이의 위치에 올라앉도록 하여, 화살표 c방향으로 휘도록 변형한다.
이 상태로부터, 제어부(400)가 모터(M2)를 제어함으로써, 회전체(104)에 화살표 a방향의 회전을 계속시키면, 도 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차부(106M)가 회전 규제 부재(142)의 앞측(도 9에서의 좌측)의 단부(142a)를 약간 통과한 상태로 된다. 그리고, 단차부(106M)가 회전 규제 부재(142) 앞측의 단부(142a)를 약간 통과한 상태로 되면, 제어부(400)는, 다음 스텝 S20에서, 모터(M2)를 제어해서 회전체(104)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다음 스텝 S30에서는, 제어부(400)는, 모터(M2)를 제어하고, 회전체(104)를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렇게 하면, 회전체(104)의 단차부(106M)가 회전 규제 부재(142)의 단부(142a)에 접촉하고, 도 9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차부(106M)가 회전 규제 부재(142)의 단부(142a)에 접촉하는 위치에 회전체(104)가 위치 결정된다. 이렇게 회전체(104)가 위치 결정된 위치에서는, 마젠타용 현상기(120M)가 현상 위치에 배치되어, 현상 롤(122M)이 감광체 드럼(20)에 대치하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9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차부(106M)에 회전 규제 부재(142) 앞측의 단부(142a)가 접촉할 때에, 회전 규제 부재(142)가 가요성을 가지기 때문에, 회전 규제 부재(142)가 휘도록 변형을 함으로써, 회전체(104)와 회전 규제 부재(142)가 접촉할 때의 충격이 완화된다.
이상에서는, 스텝 S10에서 회전체(104)를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스텝 S20에서 회전체(104)를 정지시키고, 스텝 S30에서 회전체(104)를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서, 제어부(400)가 모터(M2)를 제어하는 예를 설명했다. 이에 대하여, 회전체 구동 기구(130)가 모터(M2)로부터 회전을 역방향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하는 클러치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제어부(400)로 모터(M2)를 제어하는 것을 대신하여, 상기 클러치를 제어부(400)로 제어해도 된다. 또한, 제어부(400)에서, 상기 클러치와 모터(M2) 양쪽을 제어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에서는, 예를 들면 흑 단색 등의 단색의 화상을 형성할 경우에는, 상 형성부(30)에 의해 감광체 드럼(20)의 표면에 형성된 현상제 상이 전사 롤(202)에 의해 용지에 전사되고, 용지에 전사된 현상제 상이 정착 장치(50)에 의해 용지에 정착되고, 현상제 상이 정착된 용지가, 배출 롤(332)에 의해 배출 트레이(14)에 배출된다.
한편,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에서 다색(多色)의 화상이 형성될 경우에는, 옐로우의 현상제 상이 전사된 용지가 반송로(302)에 의해 반송되어서 다시 전사 위치(P2)에 도달하면, 옐로우의 현상제 상이 정착된 용지에 겹치도록 마젠타의 현상제 상이 전사된다. 이 때, 상 형성부(30)는 감광체 드럼(20)의 표면에 마젠타의 현상제 상을 형성하고, 마젠타의 현상제 상을 형성할 때에는, 현상 장치(100)의 회전체(104)가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하여, 마젠타용 현상기(120M)가 현상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되어, 현상 롤(122M)이 감광체 드럼(20)에 대치한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되고, 감광체 드럼(20)에 형성된 잠상은, 현상 롤(122M)이 공급하는 마젠타의 현상제에 의해 현상된다.
그리고, 용지에 전사된 마젠타의 현상제 상은, 정착 장치(50)에 의해 용지에 정착되고, 이하, 마젠타의 현상제 상이 용지에 전사되어 정착되었을 경우와 마찬가지로 해서, 용지에 시안의 현상제 상이 전사되고, 이 시안의 현상제 상이 용지에 정착되고, 또한 흑색의 현상제 상이 용지에 전사되고, 이 흑색의 현상제 상이 용지에 정착된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가 나타나 있다.
전술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의 전사 장치(200)는, 전사 롤(202)을 가지고, 전사 롤(202)에 의해 감광체 드럼(20)에 형성된 현상제 상이 용지에 직접 전사되었다. 이에 대하여, 이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의 전사 장치(200)는, 전사 매체로서 사용되고 중간 전사체로서 사용되는 중간 전사 벨트(210)를 가지고, 감광체 드럼(20)으로부터 중간 전사 벨트(210)에 현상제 상이 전사된 후, 중간 전사 벨트(210)로부터 용지로 현상제 상이 전사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는, 중간 전사 벨트(210)와 더불어, 1차 전사 롤(212)과, 2차 전사 롤(214)을 가진다. 1차 전사 롤(214)은, 감광체 드럼(20)에 형성된 현상제 상을 중간 전사 벨트(210)에 전사하기 위해 사용된다. 2차 전사 롤(214)은, 중간 전사 벨트(210)에 전사된 현상제 상을 용지에 전사하기 위해 사용된다.
다색의 화상을 형성할 경우, 전술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에서는, 서로 다른 색의 현상제로 이루어지는 현상제 상이 용지에 겹치도록 전사되었다. 이에 대하여, 이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에서는, 다색의 화상을 형성할 경우, 서로 다른 색의 현상제로 이루어지는 현상제 상이 중간 전사 벨트(210)에 겹치도록 전사되고, 중간 전사 벨트(210)의 표면에 겹치도록 전사된 현상제 상이, 일괄하여 용지에 전사된다.
또한, 전술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에서는, 용지의 양면에 화상을 형성하는 때에는, 반전 장치(330)에 의해 용지를 반전시켰지만, 이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는 반전 반송로(340)를 가지고, 용지의 양면에 화상을 형성할 때에는, 반전 반송로(340)에 의해 용지가 반전된다.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에서, 전술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와의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도 10에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에서 부여된 번호와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장치 등의 화상 형성 장치와, 예를 들면 이들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되는 현상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10···화상 형성 장치 20···감광체 드럼
100···현상 장치 102···현상 장치 본체
104···회전체 106···단차부
120···현상기 122···현상 롤
130···회전체 구동 기구 134···현상 롤 구동 기구
140···규제 기구 142···회전 규제 부재
200···전사 장치 400···제어부

Claims (6)

  1. 복수의 현상기와,
    상기 복수의 현상기가 장착되고, 상기 복수의 현상기 중 어느 하나가 현상 대상을 현상하는 위치인 현상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되도록 회전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를 구동시키는 제 1 구동 수단과,
    상기 복수의 현상기 중 적어도 1개를 구동시키는 제 2 구동 수단과,
    상기 제 2 구동 수단의 구동에 따라 상기 회전부에 생기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회전체의 위치를 규제하는 규제 기구를 가지는 현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복수의 현상기 중 상기 현상 위치에 배치되는 현상기를 전환할 때에, 상기 복수의 현상기 중 적어도 1개의 구동에 따라 생기는 회전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규제 기구는, 상기 복수의 현상기 중 상기 현상 위치에 배치되는 현상기를 전환하는 방향으로의 상기 회전부의 회전을 허용하는 현상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복수의 현상기 중 1개가 상기 현상 위치를 통과하도록 회전한 후, 상기 복수의 현상기 중 적어도 1개의 구동에 따라 생기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회전이 상기 규제 기구에 규제되어 위치 결정되는 현상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기구는 상기 회전부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가지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회전부의 상기 현상 위치에 배치되는 현상기를 전환하는 방향의 회전을 허용하는 현상 장치.
  5. 적어도 잠상을 유지하는 상 유지체와,
    상기 상 유지체가 유지하는 잠상을 현상해서 현상제 상을 형성하는 현상 장치와,
    상기 현상 장치에 의해 형성된 현상제 상을 전사 매체에 전사하는 전사 장치를 가지고,
    상기 현상 장치는,
    복수의 현상기와,
    상기 복수의 현상기가 장착되고, 상기 복수의 현상기 중 어느 하나가 현상 대상을 현상하는 위치인 현상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되도록 회전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를 구동시키는 제 1 구동 수단과,
    상기 복수의 현상기 중 적어도 1개를 구동시키는 제 2 구동 수단과,
    상기 제 2 구동 수단의 구동에 따라 상기 회전부에 생기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회전체의 위치를 규제하는 규제 기구를 가지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 수단에 구동을 전달하는 구동원과,
    상기 회전부가, 상기 복수의 현상기 중 1개가 상기 현상 위치를 통과하도록 회전한 후에, 상기 복수의 현상기 중 적어도 1개의 구동에 따라 생기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회전이 상기 규제 기구에 규제되어 위치 결정되도록, 상기 제 1 구동 수단 및 상기 구동원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가지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00020752A 2009-08-25 2010-03-09 현상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12931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94191 2009-08-25
JP2009194191A JP2011047993A (ja) 2009-08-25 2009-08-25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1628A KR20110021628A (ko) 2011-03-04
KR101293103B1 true KR101293103B1 (ko) 2013-08-12

Family

ID=43625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0752A KR101293103B1 (ko) 2009-08-25 2010-03-09 현상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244160B2 (ko)
JP (1) JP2011047993A (ko)
KR (1) KR101293103B1 (ko)
CN (1) CN101995790B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9759B1 (ko) 1996-11-05 2000-10-16 모리시타 요이찌 컬러화상 형성장치(apparatus for forming a color image)
JP2003215884A (ja) 2002-01-28 2003-07-30 Seiko Epson Corp ロータリー現像装置
JP2008310302A (ja) 2007-05-15 2008-12-25 Canon Inc カラー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2916A (en) * 1984-10-18 1986-11-18 Canon Kabushiki Kaisha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JPS61124968A (ja) * 1984-11-21 1986-06-12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JPH0679171B2 (ja) * 1984-12-26 1994-10-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4713673A (en) * 1985-04-08 1987-12-15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in which multiple developing units are supported and moved relative to an image carrier
US4792825A (en) * 1986-09-20 1988-12-20 Ricoh Company, Ltd. Rotary developing device for image-forming apparatus
JPS63221076A (ja) * 1987-03-10 1988-09-14 Ricoh Co Ltd プリンタ
JPH0196668A (ja) * 1987-10-08 1989-04-14 Ricoh Co Ltd 多色現像装置
JPH07325480A (ja) * 1994-06-01 1995-12-12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電源供給装置
JPH08305159A (ja) * 1995-04-28 1996-11-22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3431394B2 (ja) * 1996-04-20 2003-07-28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
JP3583571B2 (ja) * 1996-11-29 2004-11-04 株式会社アルファ メモリ機構付きドア錠
JPH1173010A (ja) * 1997-07-03 1999-03-16 Canon Inc 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2311675A (ja) 2001-04-19 2002-10-23 Seiko Epson Corp ロータリ現像装置
JP2003015409A (ja) * 2001-07-05 2003-01-17 Seiko Epson Corp ロータリー現像装置
JP2005024576A (ja) * 2003-06-30 2005-01-27 Seiko Epson Corp ロータリー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401797B2 (ja) * 2004-01-30 2010-01-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8164692A (ja) * 2006-12-27 2008-07-17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8225110A (ja) * 2007-03-13 2008-09-25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5104302B2 (ja) * 2007-12-28 2012-12-1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装置、現像剤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9759B1 (ko) 1996-11-05 2000-10-16 모리시타 요이찌 컬러화상 형성장치(apparatus for forming a color image)
JP2003215884A (ja) 2002-01-28 2003-07-30 Seiko Epson Corp ロータリー現像装置
JP2008310302A (ja) 2007-05-15 2008-12-25 Canon Inc カラー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995790A (zh) 2011-03-30
CN101995790B (zh) 2014-05-14
US20110052264A1 (en) 2011-03-03
US8244160B2 (en) 2012-08-14
KR20110021628A (ko) 2011-03-04
JP2011047993A (ja) 2011-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18451B2 (en) Switchback mechanis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90232531A1 (en) Developing apparatus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upplying method of toner
US949489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with opposite first and second walls and with first and second drive and transfer systems mounted respectively to the first and second walls
KR101440016B1 (ko) 화상 형성 장치
KR101293103B1 (ko) 현상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JP2013148881A (ja) 画像形成装置
JP6859844B2 (ja) 用紙搬送装置
JP4078097B2 (ja) 動力伝達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731788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mounted with an open and close unit
EP3324243B1 (en) Image form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10107362B2 (en) Drive transmission mechanis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830752B2 (ja) 駆動装置
US766848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6494319B2 (ja) 画像形成装置
JP5428680B2 (ja) 画像形成装置
JP7451146B2 (ja) 画像形成装置
JP5380344B2 (ja) 画像形成装置
JP4988532B2 (ja) 給紙カセット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24062192A (ja) 画像形成装置
JP2014211514A (ja) 画像形成装置
JP2018109777A (ja) 画像形成装置
JP5277463B2 (ja) 画像形成装置
JP5046177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7065006A (ja) 画像形成装置
JP2011175047A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