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0016B1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0016B1
KR101440016B1 KR1020100013863A KR20100013863A KR101440016B1 KR 101440016 B1 KR101440016 B1 KR 101440016B1 KR 1020100013863 A KR1020100013863 A KR 1020100013863A KR 20100013863 A KR20100013863 A KR 20100013863A KR 101440016 B1 KR101440016 B1 KR 101440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mage recording
image
medium
record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3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9488A (ko
Inventor
야스히데 사이토
나오마사 오키무라
신 고마츠
료타로 노미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19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9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0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0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95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paper transpor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54Locks and means for positioning or align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8Frame structures
    • G03G2221/1684Frame structures using extractable subframes, e.g. on rails or hin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체와 매체에 기록되는 화상의 어긋남을 저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원 발명은 화상이 기록되는 매체를 반송하는 매체 반송 부재와, 상기 매체가 반출되는 반출구를 갖는 매체 반송 유닛과, 상기 반출구 측에 배치된 화상 기록 영역에서, 상기 매체 반송 유닛으로부터 반송된 매체에 화상을 기록하는 화상 기록 장치를 갖는 화상 기록 유닛과, 상기 화상 기록 유닛에서의 상기 반출구 측에 배치되고 또한 반송되는 매체의 폭 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 제 1 지지부 및 제 2 지지부와, 상기 화상 기록 유닛에서의 상기 반출구와는 반대 측에 배치된 제 3 지지부를 갖고, 적어도 상기 제 1 지지부 및 상기 제 2 지지부가 상기 매체 반송 유닛의 상기 반출구 측에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매체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하여 상기 화상 기록 유닛이 상기 매체 반송 유닛에 대하여 착탈 불가능하게 지지되는 기록 유닛 지지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복사기나 프린터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바닥면의 요철 등에 따른 장치의 뒤틀림에 의해, 화질이 저하하는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서, 이하의 특허 문헌 1 ~ 5에 기재된 기술이 종래 공지되어 있다.
특허 문헌 1로서의 일본국 특개2000-310930호 공보에는, 급송 롤러(11), 리타드 롤러 쌍(12), 반송 롤러 쌍(13), 레지스트 롤러 쌍(14), 중간 전사 벨트(16), 2차 전사 롤러(17), 정착기(15) 및 배출 롤러 쌍(19a, 19b)이 베이스 유닛(2)에 설치되고, 4개의 감광체 드럼(31), 대전 수단(32), 현상 수단(33), 클리닝 수단(34) 및 광학 주사계(18Y, 18M, 18C, 18Bk)를 갖는 코어 유닛(1)이 베이스 유닛(2)에 대하여, 3개소의 캐비닛 수납 부재(4a, 4b, 4c)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설치면의 요철에 의한 베이스 유닛(2)의 뒤틀림을, 광학 주사계(18Y ~ 18Bk)나 감광체 드럼(31) 등에 영향을 주지 못하도록 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1에는, 중간 전사 벨트(16), 2차 전사 롤러(17) 및 레지스트 롤러 쌍(14)도 코어 유닛(1)에 설치하는 구성도 기재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캐비닛 수납 부재(4a, 4b, 4c)의 2점에서 지지되는 캐비닛 지지 부재(3a)의 측에서, 베이스 유닛(2)으로부터의 기록 시트가 코어 유닛(1)에 반입되어 있고, 레지스트 롤러 쌍(14)이나 2차 전사 롤러(17)의 2차 전사 영역은, 캐비닛 지지 부재(3a, 3b)의 양쪽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1에는, 1개의 감광체 드럼(30)과, 1개의 광학 주사계(18)와, 1개의 중간 전사 벨트(36)와, 2차 전사 롤러(37), 레지스트 롤러 쌍(14)과, 회전식, 소위 로터리식의 현상 유닛(35)을 코어 유닛(1)에 설치하는 구성도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2로서의 일본국 특개2003-186372호 공보에는, 화상 형성 장치가 본체 프레임(51)을 갖고, 감광체 드럼(20), 대전 장치(21), 클리닝 장치(27), 중간 전사 벨트(30), 벨트 클리닝 장치(36)를 갖는 작상(作像) 유닛(61)의 결합 축(67, 68)이 본체 프레임(51)의 전후 한 쌍의 벽에 형성된 피 결합 홈(52, 53)에 지지되고, 작상 유닛(61)의 결합 편(69)이 본체 프레임(51)의 측벽에 형성된 피 결합 오목부(54)에 지지되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3으로서의 일본국 특개평10-194506호 공보에는, 컬러 복사기(1)가 장치 본체 프레임(2)을 갖고, 무단 벨트(4)를 갖는 벨트 유닛(3)이 제 1 지지부(12), 제 2 지지부(14) 및 제 3 지지부(17)의 3점에서, 장치 본체 프레임(2)에 지지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4로서의 일본국 특개평10-104998호 공보에는, 화상 형성 장치(100)가 프레임으로서, 전측(前側)의 본체 측판(42)과 후측(後側)의 본체 측판(43)을 갖고, 무단의 벨트(3)를 갖는 벨트 유닛 장치(20)가 3개의 핀(37, 38, 39)에 의해, 본체 측판(42, 43)에 3점에서 위치 결정된 상태로 지지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5로서의 일본국 특개2007-226007호 공보에는, 감광체 드럼(52) 등을 지지하는 감광체 유닛(50)과, 현상 장치(42)를 갖는 현상 유닛(40)과, 중간 전사체(62) 등을 지지하는 전사 유닛(60)을 갖는 작상 유닛(30)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 작상 유닛(30)은 작상 유닛(30)을 수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프레임으로서의 수용부(10a)에, 3개소의 지지 다리(41b, 51b)와 결합 구멍(10d)에 의해 지지하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1:일본국특개2000-310930호공보(「0018」~「0022」,「0025」,「0027」,도2,도4,도7~도10) 특허문헌2:일본국특개2003-186372호공보(「0027」~「0028」,도3~도7) 특허문헌3:일본국특개평10-194506호공보(「0014」~「0018」,도1~도3) 특허문헌4:일본국특개평10-104998호공보(「0043」~「0048」,도1,도2) 특허문헌5:일본국특개2007-226007호공보(「0015」~「0016」,「0030」~「0042」,도1~도3)
본 발명은 매체와, 매체에 기록되는 화상의 어긋남을 저감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1]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의하면,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이 기록되는 매체를 반송하는 매체 반송 부재와, 상기 매체가 반출되는 반출구를 갖는 매체 반송 유닛과,
상기 반출구 측에 배치된 화상 기록 영역에서, 상기 매체 반송 유닛으로부터 반송된 매체에 화상을 기록하는 화상 기록 장치를 갖는 화상 기록 유닛과,
상기 화상 기록 유닛에서의 상기 반출구 측에 배치되고 또한 반송되는 매체의 폭 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 제 1 지지부 및 제 2 지지부와, 상기 화상 기록 유닛에서의 상기 반출구와는 반대 측에 배치된 제 3 지지부를 갖고, 적어도 상기 제 1 지지부 및 상기 제 2 지지부가 상기 매체 반송 유닛의 상기 반출구 측에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매체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하여 상기 화상 기록 유닛이 상기 매체 반송 유닛에 대하여 착탈 불가능하게 지지되는 기록 유닛 지지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1]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 기록 영역에 매체를 반송하는 시기를 조정하는 시기 조정 부재를 갖는 상기 매체 반송 부재를 구비해도 된다.
[3] [1] 또는 [2]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표면에 상을 유지해서 회전하는 상 유지체와, 무단 벨트 형상체에 의해 구성되고 또한 상기 상 유지체 표면의 상이 전사되는 동시에 상기 화상 기록 영역에서 상기 상 유지체로부터 전사된 상이 매체에 전사되는 중간 전사체와, 상기 상 유지체 표면의 상을 상기 중간 전사체에 전사하는 1차 전사기를 갖는 상기 화상 기록 유닛을 구비해도 된다.
[4] [3]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 기록 유닛은 측벽을 가져도 되고, 상기 측벽에 의해, 상기 상 유지체, 상기 중간 전사체, 및 상기 상 유지체에 잠상을 형성하는 잠상 형성 장치가 지지된다.
[5] [3] 또는 [4]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매체에 전사된 상을 정착하는 정착 장치를 갖는 정착 유닛과,
상기 화상 기록 유닛의 상기 화상 기록 영역 측에 설치되고, 상기 정착 유닛을 지지하는 정착 유닛 지지부를 구비해도 된다.
[6]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매체 반송 유닛의 상기 반출구 측에 설치되고, 상기 화상 기록 유닛을 위치 결정하고 또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위치 결정 부재를 구비해도 된다.
[7] [6]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부재에 지지되고, 또한 상기 화상 기록 유닛에 지지된 제 1 회전 전달 부재와, 상기 매체 반송 유닛에 지지된 제 2 회전 전달 부재에 접속되어서 회전을 전달하는 중간 전달 부재를 구비해도 된다.
[8]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3 지지부는 상기 화상 기록 유닛의 상기 매체의 폭 방향 대략 중앙에 설치되어도 된다.
[9] [8]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3 지지부는 상기 화상 기록 유닛의 수평 방향으로부터 체결되는 체결 구조를 구비해도 된다.
[10]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매체 반송 유닛에 지지되고, 또한 화상 형성 장치의 외표면을 구성하는 외장 부재를 구비해도 된다.
[11] [10]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장 부재는 복수의 외장 부재로 구성되어도 되고,
상기 외장 부재는 복수의 외장 부재끼리를 고정하는 외장간(間) 고정부를 구비한다.
[1]에 의하면, 본 발명의 구성을 갖지 않을 경우에 비해, 매체와, 매체에 기록되는 화상의 어긋남을 저감할 수 있다.
[2]에 의하면, 본 발명의 구성을 갖지 않을 경우에 비해, 시기 조정 부재로부터 반송된 매체와 화상 기록 영역의 위치 어긋남을 저감할 수 있다.
[3]에 의하면, 화상 기록 유닛을 3개소에서 고정하지 않을 경우에 비해, 화상 기록 유닛의 뒤틀림을 저감할 수 있고, 무단 벨트 형상체의 치우침이나 사행(蛇行)을 저감할 수 있다.
[4]에 의하면, 잠상 형성 장치가 화상 기록 유닛에 지지되어 있지 않은 구성에 비해, 화상의 어긋남을 저감할 수 있다.
[5]에 의하면, 정착 유닛이 화상 기록 유닛에 지지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 비해, 정착 유닛과 화상 기록 영역의 위치 어긋남을 저감할 수 있다.
[6]에 의하면, 제 1 및 제 2 지지부 측을 중심으로 하여, 화상 기록 유닛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고, 제 3 지지부에 화상 기록 유닛을 위치 결정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7]에 의하면, 중간 전달 부재와 제 1 회전 전달 부재 사이의 구동 반력에 의해 화상 기록 유닛에 뒤틀림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8]에 의하면, 제 3 지지부가 매체의 폭 방향 단부에서 기록 유닛 지지부를 지지할 경우에 비해, 화상 기록 유닛의 매체 폭 방향의 뒤틀림을 허용할 수 있고, 매체 반송 유닛의 뒤틀림에 따라 변형시킬 수 있다.
[9]에 의하면, 본 발명의 구성을 갖지 않을 경우에 비해, 화상 기록 유닛의 비틀림을 저감할 수 있다.
[10]에 의하면, 외장 부재에 외력이 작용했을 경우의 악영향을 화상 기록 유닛에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1]에 의하면, 복수의 외장 부재를 화상 기록 유닛에 고정하지 않고, 서로 고정시킬 수 있고, 외장 부재 전체에서 강성을 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설명도.
도 2는 실시예 1의 화상 기록 유닛의 기록 유닛 본체 부분의 요부 설명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기록 유닛 본체 부분에 구동 유닛이 부착된 상태의 설명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상태에 회로 기판 등이 부착된 상태의 설명도.
도 5는 정착 유닛 지지부를 포함하는 요부 확대도이며, 도 5a는 정착 유닛의 피지지부가 정착 유닛 지지부에 장착되는 도중의 상태의 설명도, 도 5b는 정착 유닛의 피지지부가 정착 유닛 지지부에 장착된 상태의 설명도.
도 6은 실시예 1의 제 2 유닛의 일례로서의 매체 반송 유닛의 요부 사시 설명도.
도 7은 매체 반송 유닛과 화상 기록 유닛이 연결된 상태의 설명도.
도 8은 제 1 고정부의 요부 설명도.
도 9는 매체 반송 유닛과 화상 기록 유닛이 연결된 상태에서, 우측 후방에서 비스듬하게 본 사시도.
도 10은 외장 부재가 장착되는 상태의 설명도이고, 우측 후방에서 비스듬하게 본 사시도.
도 11은 외장 부재가 장착되는 상태의 설명도이고, 우측 전방에서 비스듬하게 본 사시도.
도 12는 화상 기록 유닛이 뒤틀린 영향의 설명도이고, 도 12a는 2점 지지측에서 반출구 측으로 화상 기록 영역이 배치되어 있는 실시예 1의 경우의 설명도, 도 12b는 2점 지지측 및 반출구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화상 기록 영역이 배치된 종래의 경우의 설명도.
도 13은 실시예 1의 화상 기록 유닛의 고정 방향과 허용되는 뒤틀림의 관계를 설명하는 설명도.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구체적인 예로서의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후의 설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면에서, 전후 방향을 X축 방향, 좌우 방향을 Y축 방향, 상하 방향을 Z축 방향으로 하고, 화살표 X, -X, Y, -Y, Z, -Z로 나타내는 방향 또는 나타내는 측을 각각, 전방(前方), 후방(後方), 우방(右方), 좌방(左方), 상방(上方), 하방(下方), 또는 전측(前側), 후측(後側), 우측(右側), 좌측(左側), 상측(上側), 하측(下側)이라 한다.
또한, 도면 중 「○」 내에 「·」이 기재된 것은 지면(紙面)의 이(裏)로부터 표(表)를 향하는 화살표를 의미하고, 「○」 내에 「×」가 기재된 것은 지면의 표로부터 이를 향하는 화살표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하의 도면을 사용한 설명에서, 이해의 용이함을 위해 설명에 필요한 부재 이외의 도시는 적당하게 생략되어 있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설명도이다.
도 1에서,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의 실시예 1의 프린터(U)는 상단부에 매체의 일례로서의 시트(S)가 배출되는 배출부의 일례로서의 배출 트레이(TRh)가 설치되어 있다. 배출 트레이(TRh)의 하방에는, 각종 제어 회로나 기억 매체 등이 배열된 제어 기판(SC)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어 기판(SC)에는, 프린터(U)의 각종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C)와, 제어부(C)에 의해 작동을 제어받는 화상 처리부(GS), 잠상 형성 장치 구동 회로(DL), 및 전원 장치의 일례로서의 전원 회로(E) 등이 설치되어 있다. 전원 회로(E)는 후술의 대전기의 일례로서의 대전 롤러(CRy ~ CRk), 현상제 유지체의 일례로서의 현상 롤러(G1y ~ G1k) 및 전사기의 일례로서의 전사 롤러(T1y ~ T1k) 등에 전압을 인가한다.
상기 화상 처리부(GS)는 외부의 화상 정보 송신 장치의 일례로서의 퍼스널 컴퓨터(PC) 등으로부터 입력된 인쇄 정보를, 옐로(Yellow), 마젠타(Magenta), 시안(Cyan), 흑, 즉, Y, M, C, K의 4색의 화상에 대응한 잠상 형성용의 화상 정보로 변환하고, 소정의 타이밍에 잠상 형성 장치 구동 회로(DL)에 출력한다.
또한, 원고 화상이 흑백 화상인 경우에는, 흑색만의 화상 정보가 잠상형성장치 구동회로(DL)에 입력된다.
상기 잠상형성장치 구동회로(DL)는 도시하지 않은 각 색 Y, M, C, K의 구동 회로를 갖고, 입력된 화상 정보에 따른 신호를 소정의 시기에, 각 색마다 배치된 잠상형성장치의 일례로서의 LED 헤드(LHy, LHm, LHc, LHk)에 출력한다.
프린터(U)의 중앙 하부에는, 옐로, 마젠타, 시안, 흑의 각 색의 가시상의 일례로서의 토너 상을 형성하는 가시상 형성 장치(UY, UM, UC, UK)가 배치되어 있다. 도 4에서, 흑색, 즉 K색의 가시상 형성 장치(UK)는 회전하는 상 유지체의 일례로서의 감광체(Pk)를 가진다. 상기 감광체(Pk)의 주위에는, 감광체(Pk) 표면을 대전시키는 대전기의 일례로서의 대전 롤(CRk), 감광체 표면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잠상 형성 장치의 일례로서의 LED 헤드(LHk), 감광체 표면의 정전 잠상을 가시상에 현상하는 현상 장치(Gk), 감광체(Pk) 표면에 잔류한 현상제를 제거하는 상 유지체 청소기의 일례로서의 감광체 클리너(CLk) 등이 배치되어 있다.
다른 색의 가시상 형성 장치(UY, UM, UC)도, 흑색의 가시상 형성 장치(UK)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감광체(Py ~ Pk)는 대전 롤(CRy ~ CRk)과 대향하는 대전 영역(Q1y, Q1m, Q1c, Q1k)에서 대전 롤(CRy ~ CRk)에 의해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시킨 후, 잠상 형성 영역(Q2y, Q2m, Q2c, Q2k)에서 LED 헤드(LHy ~ LHk)에 의해 잠상이 기입된다. 기입된 정전 잠상은 현상 장치(Gy ~ Gk)와 대향하는 현상 영역(Q3y, Q3m, Q3c, Q3k)에서 토너 상으로 현상된다. 현상된 토너 상은 중간 전사체의 일례로서의 중간 전사 벨트(B)에 접촉하는 1차 전사 영역(Q4y, Q4m, Q4c, Q4k)에 반송된다. 실시예 1의 중간 전사 벨트(B)는 무단 벨트 형상체, 소위 벨트 형상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구동 부재의 일례로서의 벨트 구동 롤(Rd)과, 종동 부재의 일례이며, 또한 2차 전사 대향 부재의 일례로서의 백업 롤(T2a)과, 각 감광체(Py ~ Pk)에 대향하여 배치된 상기 1차 전사 롤(T1y, T1m, T1c, T1k)로 이루어지는 중간 전사 지지계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중간 전사체는 벨트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드럼 형상 등, 종래 공지의 형태를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1차 전사 영역(Q4y, Q4m, Q4c, Q4k)에서 중간 전사 벨트(B)의 이면 측에 배치된 1차 전사기의 일례로서의 1차 전사 롤(T1y, T1m, T1c, T1k)에는, 제어부(C)에 의해 제어되는 전원 회로(E)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기에 토너의 대전 극성과 역 극성의 1차 전사 전압이 인가된다. 따라서, 각 감광체(Py ~ Pk) 상의 토너 상은 상기 1차 전사 롤(T1y, T1m, T1c, T1k)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B)에 1차 전사된다.
1차 전사 후의 감광체(Py, Pm, Pc, Pk) 표면의 전사 잔류 토너나 방전 생성물 등의 잔류물, 부착물은 감광체 클리너(CLy, CLm, CLc, CLk)에 의해 청소된다. 청소된 감광체(Py, Pm, Pc, Pk) 표면은 대전 롤러(CRy, CRm, CRc, CRk)에 의해 재대전된다. 또한, 상기 감광체 클리너(CLy ~ CLk)에 의해 제거되지 않고, 대전 롤러(CRy ~ CRk)에 부착된 잔류물 등은 상기 대전 롤러(CRy ~ CRk)에 접촉해서 배치된 대전기 청소 부재의 일례로서의 대전기 클리너(CCy, CCm, CCc, CCk)에 의해 클리닝된다.
상기 중간 전사 벨트(B)의 후측 상부에는, 중간 전사체 청소기의 일례로서의 벨트 클리너(CLb)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벨트 클리너(CLb)는 청소 용기(CLb1)와, 청소 용기(CLb1)에 지지되고 또한 중간 전사 벨트(B)에 접촉해서 중간 전사 벨트(B) 표면에 잔류한 잔류물을 제거해서 청소하는 청소 부재의 일례로서의 벨트용 클리닝 블레이드(CLb2)와, 벨트용 클리닝 블레이드(CLb2)에 의해 제거된 잔류물이 비산, 누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누출 방지 부재의 일례로서의 필름(CLb3)과, 상기 청소 용기(CLb1) 내에 배치되고 또한 제거된 잔류물을 반송해서 배출하는 잔류물 반송 부재(CLb4)를 가진다. 또한, 실시예 1의 청소 용기(CLb1)는 흑색의 감광체 클리너(CLk)의 상방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백업 롤(T2a)에 접하는 중간 전사 벨트(B)의 표면에 대향해서, 2차 전사 부재의 일례로서의 2차 전사 롤(T2b)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백업 롤(T2a) 및 2차 전사 롤(T2b)에 의해, 실시예 1의 2차 전사기(T2)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2차 전사 롤(T2b) 및 중간 전사 벨트(B)의 대향하는 영역에 의해, 화상 기록 영역의 일례로서의 2차 전사 영역(Q5)이 형성된다.
상기 1차 전사 영역(Q4y, Q4m, Q4c, Q4k)에서 1차 전사 롤(T1y, T1m, T1c, T1k)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B) 상에 순차적으로 겹쳐서 전사된 흑백 또는 다색의 토너 상은 상기 2차 전사 영역(Q5)에 반송된다.
상기 가시상 형성 장치(UY ~ UK) 및 중간 전사 벨트(B) 등에 의해, 기록 시트(S)에 기록되는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기록 장치(UY ~ UK + B)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1차 전사 롤(T1y ~ T1k), 중간 전사 벨트(B) 및 2차 전사 장치(T2) 등에 의해, 실시예 1의 전사 장치(T1 + T2 + B)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중간 전사 벨트(B)는 1차 전사 영역(Q4y ~ Q4k)이 수평면에 대하여, 후측으로 감에 따라 하방으로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이것에 대응해서, 가시상 형성 장치(UY ~ UK)도 벨트 반송 방향 하류 측으로 감에 따라서, 중력 방향 하방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가시상 형성 장치(UY ~ UK)의 하방으로는, 매체 수용부의 일례로서의 급지 트레이(TR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급지 트레이(TR1)는 하벽(下壁)의 일례로서의 저벽(TR1a)과, 상기 저벽(TR1a)의 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는 후단벽(TR1b)과, 저벽(TR1a)의 상방에 대향해서 배치된 상벽(上壁)(TR1c)을 가진다. 상기 급지 트레이(TR1)의 전단부에는, 새로운 기록 시트(S)를 보충하기 위한 보충구(TR1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벽(TR1c)은 보충구(TR1d)의 외측, 즉 전측으로 감에 따라 상방으로 경사져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보충구(TR1d)는 전측으로 가는 만큼 상벽(TR1c)과 저벽(TR1a)의 간격이 넓어지고, 보충구(TR1d)가 전측으로 가는 만큼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저벽(TR1a) 상에는, 회전 중심(PL1a)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시트(S)가 적재되어서, 시트(S)를 승강시키는 매체 적재부의 일례로서의 승강 플레이트(PL1)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승강 플레이트(PL1)의 후단부에는, 승강 플레이트(PL1)의 후단부를 상방으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의 일례로서의 승강 스프링(PL2)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승강 플레이트(PL1)는 화상 형성이 행해지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좌우 양단부에 배치된 편심 캠 형상의 가압 부재(PL3)에 의해 승강 플레이트(PL1)가 저벽(TR1a)에 평행한 상태로 유지되는 하강 위치로 이동한다. 그리고, 화상 형성이 행해지고 있는 사이에는, 가압 부재(PL3)가 회전해서 승강 스프링(PL2)에 의해 승강 플레이트(PL1)가 상승한 도 1에 도시하는 상승 위치와 하강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보충구 개폐 부재의 일례로서의 보충구 커버(U2)가 개방되면, 보충구(TR1d)가 개방되어서, 후단벽(TR1b)에 맞닿을 때까지 새로운 기록 시트(S)의 다발을 삽입하고, 하강 위치의 승강 플레이트(PL1) 상에 적재된 상태로 급지 트레이(TR1)에 수용된다.
상기 상벽(TR1c)의 후방에는, 매체 반송 부재의 일례이며, 송출 부재의 일례로서의 급지 롤(Rp)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급지 롤(Rp)은 상기 승강 플레이트(PL1)가 상승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적재된 기록 시트(S)의 다발의 최상면의 기록 시트(S)가 승강 스프링(PL2)의 스프링력에 의해 밀려 닿게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후단벽(TR1b)의 상방에는, 분류 부재의 일례로서 리타드 롤(Rs)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급지 트레이(TR1)에 적재된 기록 시트(S)는 급지 롤(Rp)에 의해 송출되고, 상기 리타드 롤(Rs)과 급지 롤(Rp)의 접촉 영역에서 1매씩 분리되어서 분류되고, 매체 반송로(SH)에 반송된다. 상기 매체 반송로(SH)의 기록 시트(S)는 매체 반송 부재의 일례이며, 시트(S)의 반송 개시 시기, 소위 타이밍을 조정하는 시기 조정 부재의 일례로서의 레지스터 롤(Rr)에 반송된다. 상기 레지스터 롤(Rr)에 반송된 기록 시트(S)는 중간 전사 벨트(B)의 토너 상이 2차 전사 영역(Q5)에 도달하는 시기에 맞춰서, 레지스터 롤(Rr)의 반출구(Rr1)로부터 2차 전사 영역(Q5)으로 송출된다.
2차 전사 영역(Q5)에서 토너 상이 전사된 후의 중간 전사 벨트(B)는 벨트 클리너(CLb)에 의해 표면에 잔류한 전사 잔류 토너나 방전 생성물 등의 잔류물이 제거되어서 청소된다.
상기 토너 상이 전사된 기록 시트(S)는 정착 장치(F)의 정착 영역(Q6)에 반송된다. 상기 정착 장치(F)는 가열 정착 부재의 일례로서의 가열 롤(Fh)과, 가압 정착 부재의 일례로서의 가압 롤(Fp)을 갖고, 상기 가열 롤(Fh)과 가압 롤(Fp)이 미리 설정된 압력으로 접촉한 영역에 의해 정착 영역(Q6)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록 시트(S) 표면의 미정착 토너 상은 정착 영역(Q6) 통과시에, 열과 압력에 의해 정착된다.
화상이 정착된 기록 시트(S)는 매체 반송로(SH)를 반송되어서, 매체 배출 부재의 일례로서의 배출 롤러(Rh)로부터 배출 트레이(TRh)로 배출된다.
도 2는 실시예 1의 화상 기록 유닛의 기록 유닛 본체 부분의 요부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기록 유닛 본체 부분에 구동 유닛이 부착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회로 기판 등이 부착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5는 정착 유닛 지지부를 포함하는 요부 확대도이며, 도 5a는 정착 유닛의 피지지부가 정착 유닛 지지부에 장착되는 도중의 상태의 설명도, 도 5b는 정착 유닛의 피지지부가 정착 유닛 지지부에 장착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6은 실시예 1의 제 2 유닛의 일례로서의 매체 반송 유닛의 요부 사시 설명도이다.
도 7은 매체 반송 유닛과 화상 기록 유닛이 연결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8은 제 1 고정부의 요부 설명도이다.
도 9는 매체 반송 유닛과 화상 기록 유닛이 연결된 상태에서, 우측 후방에서 비스듬하게 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외장 부재가 장착되는 상태의 설명도이며, 우측 후방에서 비스듬하게 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외장 부재가 장착되는 상태의 설명도이며, 우측 전방에서 비스듬하게 본 사시도이다.
또한, 각 도면에서, 이해와 설명의 용이를 위해, 설명에 필요한 부품 이외의 도시는 적당하게 생략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7에서는 구동 유닛의 도시가 생략되고, 도 9 ~ 도 11에서는 현상 장치 등의 표시가 생략되어 있다.
(화상 기록 유닛의 설명)
도 2 ~ 도 4에서, 실시예 1의 제 1 유닛의 일례로서의 화상 기록 유닛(1)은 기록 유닛 본체(2)를 가진다. 도 2에서, 기록 유닛 본체(2)는 측벽의 일례로서 판 형상의 좌단벽(左端壁)(3) 및 우단벽(右端壁)(4)을 갖고, 좌단벽(3)과 우단벽(4) 사이에는, 상기 감광체(Py ~ Pk)나 중간 전사 벨트(B)를 지지하는 백업 롤(T2a), 벨트 클리너(CLb), 대전 롤(CRy ~ CRk), 대전기 클리너(CCy ~ CCk), 감광체 클리너(CLy ~ CLk), LED 헤드(LHy ~ LHk)가 지지되어 있고, 유닛화 되어 있는 각 색의 현상 장치(Gy, Gm, Gc, Gk)도 하부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좌단벽(3)의 후측 하부, 즉, 반출구(Rr1) 측이며, 백업 롤(T2a)의 하방으로는, 제 1 지지부의 일례로서의 좌(左) 고정부(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좌 고정부(6)에는, 제 1 위치 결정부의 일례로서, 후 하방으로부터 전 상방으로 연장하는 U자 형상의 좌 위치 결정홈(6a)이 형성되어 있고, 좌 위치 결정홈(6a)의 상하 양측에는, 제 1 고정부의 일례로서, 나사가 통과가능한 좌측의 나사 통과 구멍(6b, 6c)이 형성되어 있다.
도 11에서, 상기 우단벽(4)의 반출구(Rr1) 측, 즉, 후측 하부에도, 제 2 지지부의 일례로서, 좌단벽(2)과 동일하게 구성된 우(右) 고정부(7)가 형성되어 있고, 제 2 위치 결정부의 일례로서의 우 위치 결정홈(7a), 제 2 고정부의 일례로서의 우측의 나사 통과구(7b, 7c)가 형성되어 있다.
도 2, 도 3에서, 각 단벽(3, 4)의 후측 상부, 즉 백업 롤(T2a)의 상방에는, 제 3 유닛 지지부의 일례로서의 정착 유닛 지지부(8, 9)가 설치되어 있다.
도 2, 도 5에서, 정착 유닛 지지부(8, 9)는 각 단벽(3, 4)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위치 결정 고정부(8a, 9a)를 가진다. 또한, 위치 결정 고정부(8a, 9a)에는, 나사 구멍(8b, 9b)이 형성되어 있다.
도 2, 도 5에서, 정착 유닛 지지부(8, 9)의 상면에는, 제 3 유닛 위치 결정부의 일례로서, 원기둥 형상의 정착 위치 결정부(8c, 9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정착 위치 결정부(8c, 9c)에 인접하고, 전방으로 감에 따라 하방으로 경사진 경사면(8d, 9d)과, 정착 위치 결정부(8c, 9c)의 하방으로 형성된 위치 결정 하면(8e, 9e)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정착 유닛 지지부(8, 9)의 전측에는, 제 1 기판 지지부의 일례로서, 고압 전원 지지부(11)가 지지되어 있다. 실시예 1의 고압 전원 지지부(11)는 고압 전원 기판에서 사용되는 회로 소자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11a)이 형성되어 있다.
고압 전원 지지부(11)의 전측에는, 제 2 기판 지지부의 일례로서, 판 형상의 제어 기판 지지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제어 기판 지지부(12)의 전단부에는, 제 3 위치 결정부의 일례로서, 전방으로 돌출하는 전(前) 위치 결정편(13)이 좌우 한 쌍 형성되어 있다. 전 위치 결정편(13)의 하방의 기록 유닛 본체(2)의 전면에는, 제 3 고정부의 일례로서, 전 나사 구멍(14)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전 위치 결정편(13) 및 전 나사 구멍(14)에 의해, 화상 기록 유닛(1)의 반출구(Rr1)는 반대 측, 즉 전측에 배치된 실시예 1의 제 3 지지부의 일례로서의 전 고정부(13 + 14)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좌 고정부(6)와, 우 고정부(7)와, 전 고정부(13 + 14)에 의해, 실시예 1의 기록 유닛 지지부(6 + 7 + 13 + 14)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서는, 「반출구 측」과 「반출구와 반대 측」에 대해서, 「매체 반송 유닛(31)을 수평 방향으로 3 분할, 즉 중앙부, 후방 측, 전방 측으로 했을 경우에, 후방 측을 반출구 측으로 하고, 전방 측을 반출구와 반대 측으로 함」으로 한다. 한편, 후술하는 매체 반송 유닛(31)은 보충구 커버(U2)가 열린 상태에서 3 분할하는 것이 아니고 닫힌 상태에서 3 분할하는 것으로 한다.
도 3에서, 기록 유닛 본체(2)의 좌(左) 면에는, 구동 유닛(16)이 지지되어 있다. 구동 유닛(16)은 구동원의 일례로서, 감광체(Py ~ Pk)나 중간 전사 벨트(B)를 구동하는 구동 롤(Rd), 현상 장치(Gy ~ Gk)의 현상 롤(G1y ~ G1k) 등을 구동하는 구동 모터(17)를 가진다. 구동 유닛(16) 내에는, 구동 모터(17)의 구동을 감광체(Py ~ Pk) 등에 전달하는 복수의 기어나, 회전의 전달, 절단을 제어하는 클러치 등을 갖는 도시하지 않은 전달계가 수용되어 있다. 또한, 구동 유닛(16)의 후부에는, 제 3 기판 지지부의 일례로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판 형상의 단자 기판 지지부(18)가 지지되어 있다.
도 4에서, 제어 기판 지지부(12)의 우(右)부에는, 프린터(U)의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공급선인 하니스를 통하여 전력이 공급되는 동시에, 모터나 센서 등에 공급되는 전압이 생성되는 저압 전원 기판(21)이 지지되어 있다. 저압 전원 기판(21)의 좌방에는, 저압 전원 기판(2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어부(C)나 화상 처리부(GS) 등의 회로가 설치된 제어 기판(22)이 제어 기판 지지부(12)에 지지되어 있다.
고압 전원 지지부(11)에는, 저압 전원 기판(2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대전 롤(CRy ~ CRk)에 인가되는 대전 전압이나 현상 롤(G1y ~ G1k)에 인가되는 현상 전압, 1차 전사 롤(T1y ~ T1k)에 인가되는 1차 전사 전압 등을 생성하는 고압 전원 기판(23)이 지지된다. 상기 저압 전원 기판(21)과 고압 전원 기판(23)에 설치된 회로에 의해, 실시예 1의 전원 회로(E)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단자 기판 지지부(18)에는, 상기 컴퓨터(PC)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서 화상 정보나 제어 신호 등이 입출력되는 단자 기판(24)이 지지되어 있다. 구동 유닛(16)의 좌면의 전측에는, 각 기판(21 ~ 24)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추가 기판(26)이 지지되어 있다.
구동 모터(17)의 상방에는, 송풍기의 일례로서, 냉각용의 팬(27)이 구동 유닛(16)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부호(2 ~ 27)를 부여한 각 부재에 의해, 실시예 1의 화상 기록 유닛(1)이 구성되어 있다.
(매체 반송 유닛의 설명)
도 6, 도 7에서, 실시예 1의 매체 반송 유닛(31)은 저벽(32)을 가진다. 저벽(32)의 전단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좌우 한 쌍의 외장 고정부(33, 34)가 형성되어 있다. 외장 고정부(33, 34)의 하단부에는, 외장 고정용 하(下) 고정 나사 구멍(33a, 34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장 고정부(33, 34)의 후방에는, 후방으로 연장하고, 급지 트레이(TR1)의 좌우 양측벽을 구성하는 좌측벽(36) 및 우측벽(37)이 형성되어 있다.
저벽(32)의 후단부에는, 제 1 유닛 고정부의 일례로서, 상방으로 연장하는 좌우 한 쌍의 기록 유닛 고정부(38, 39)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피지지부의 일례로서의 좌측의 기록 유닛 고정부(38)에는, 제 1 피 위치 결정 부재의 일례로서, 좌 위치 결정홈(6a)에 대응해서 배치되고 또한 좌방으로 돌출하는 좌 위치 결정축(38a)이 형성되어 있다. 좌 위치 결정축(38a)의 상하 양측에는, 제 1 피고정부의 일례로서, 상기 나사 통과 구멍(6b, 6c)에 대응해서 배치된 좌 나사 구멍(38b, 38c)이 형성되어 있다. 도 9에서, 좌측 기록 유닛 고정부(38)의 후면에는, 외장 고정부의 일례로서, 상하 한 쌍의 후(後) 나사 구멍(38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피지지부의 일례로서의 우측의 기록 유닛 고정부(39)는 좌측의 기록 유닛 고정부(38)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측의 기록 유닛 고정부(39)에도, 제 2 피 위치 결정 부재의 일례로서, 우 위치 결정홈(7a)에 대응하는 우 위치 결정축(39a)이 형성되고, 제 2 피고정부의 일례로서, 나사 통과 구멍(7b, 7c)에 대응하는 우 나사 구멍(39b, 39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측의 기록 유닛 고정부(39)의 후면에는, 외장 고정부의 일례로서, 상하 한 쌍의 후 나사 구멍(39d)이 형성되어 있다.
도 6, 도 7에서, 기록 유닛 고정부(38, 39)의 사이에는, 위치 결정축(38a, 39a)의 근방에 상기 레지스터 롤(Rr)이 지지되어 있다. 또한, 레지스터 롤(Rr)의 좌단에는, 구동이 전달되는 피전달 기어의 일례로서, 회전의 전달, 절단이 제어되는 클러치가 내장된 레지스터 롤 기어(41)가 지지되어 있다. 또한, 레지스터 롤(Rr) 전측 하방으로는, 상기 급지 롤(Rp)이 지지되어 있고, 급지 롤(Rp)의 좌단에는, 피전달 기어의 일례로서의 급지 롤 기어(42)가 지지되어 있다.
도 8에서, 실시예 1의 레지스터 롤 기어(41)는 좌측의 위치 결정 축(38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중간 전달 부재의 일례로서의 중간 기어(43)를 통하여, 회전이 전달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중간 기어(43)는 화상 기록 유닛(1)의 구동 모터(17)로부터 구동이 전달되는 제 1 회전 전달 부재의 일례로서의 기어(44)에 맞물리는 동시에, 매체 반송 유닛(3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레지스터 롤 기어(41)에 맞물리는 제 2 회전 전달 부재의 일례로서의 기어(45)에 맞물려 있다. 구동 모터(17)가 구동하면, 각 기어(43 ~ 45)를 통하여, 레지스터 롤 기어(41)가 회전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외장 고정부(33, 34)의 전면에는, 세로(縱) 안내 부재의 일례로서, 상방으로 연장하는 좌우 한 쌍의 세로 가이드 부재(46, 47)가 지지된다. 실시예 1의 세로 가이드 부재(46, 47)의 하단은 저면(32)의 상면에 지지되어 있다. 세로 가이드 부재(46, 47)의 상단부에는, 외장 고정부의 일례로서, 상(上) 나사 구멍(46a, 47a)이 형성되어 있다.
상 나사 구멍(46a, 47a)의 하방으로는, 제 3 피지지부의 일례로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고 또한 세로 가이드 부재(46, 47)끼리를 연결하는 가로(橫) 가이드 부재(48)가 지지되어 있다. 가로 가이드 부재(48)의 좌우 방향 중앙부에는, 제 3 피고정부의 일례로서, 화상 기록 유닛(1)의 전 나사 구멍(14)에 대응하여, 전 나사 관통 구멍(48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로 가이드 부재(48)의 상면에는, 제 3 피위치 결정부의 일례로서, 전 위치 결정편(13)이 접촉하는 전 위치 결정면(48b)이 형성되어 있다.
저벽(32)의 상방으로는, 상기 급지 트레이(TR1)의 상벽(TR1c)이 배치되어 있고, 상벽(TR1c)의 전단(前端)은, 세로 가이드 부재(46, 47)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저벽(32), 외장 고정부(33, 34), 세로 가이드 부재(46, 47) 및 가로 가이드 부재(48)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의해, 상기 급지 트레이(TR1)의 보충구(TR1d)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의 매체 반송 유닛(31)에서는, 세로 가이드 부재(46, 47) 및 가로 가이드 부재(48)에 의해, 각 기판(21 ~ 26)까지 연장하는 신호 전달이나 급전용의 배선, 소위 하니스(harness)를, 보충구(TR1d)를 피해 배선하기 위해 안내하는 배선 안내 부재, 소위 하니스 가이드(46 ~ 48)가 구성되어 있다.
(정착 유닛의 설명)
도 7에서, 실시예 1의 제 3 유닛의 일례로서의 정착 유닛(51)은 정착 좌벽(52)과, 정착 우벽(53)을 가진다. 정착 좌벽(52)과 정착 우벽(53) 사이에는, 상기 정착 장치(F)와, 배출 롤(Rh)이 지지되어 있다.
도 7에서, 정착 좌벽(52)의 하단에는, 정착용의 피지지 부재의 일례로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정착 연결 부재(56)가 지지되어 있다. 도 5, 도 7에서, 정착 연결 부재(56)의 후단에는, 정착용의 피고정부의 일례로서, 위치 결정 고정부(8a)에 대응해서, 하방으로 꺽여 구부러진 형상의 피 위치 결정 고정부(56a)가 형성되어 있다. 도 5에서, 피 정착 고정부(56a)에는, 위치 결정 고정부(8a)가 삽입된 상태로 관통가능한 후 위치 결정 구멍(56b)이 형성되어 있다.
도 5, 도 7에서, 정착 연결 부재(56)의 전단에는, 정착용의 피 위치 결정부의 일례로서, 두 갈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정착 위치 결정부(8c)를 끼워서 상하 방향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지는 피 위치 결정부(56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정착 우벽(53)의 하단에도, 좌측의 정착 연결 부재(56)와 동일하게, 우측의 정착 유닛 지지부(9)에 대응하는 우측의 정착 연결 부재(56)가 형성되어 있다.
(외장 부재의 설명)
도 10, 도 11에서, 실시예 1의 프린터(U)에서는, 외장 부재의 일례로서, 정부(頂部)를 덮는 톱 커버(61)와, 전면을 덮는 프런트 커버(62)와, 후면을 덮는 리어 커버(63)를 가진다.
도 11에서, 톱 커버(61)에는, 상기 배출 트레이(TRh)가 형성되어 있고, 전단부에는, 프런트 커버(62)를 유닛에 고정하는 외장용의 피고정부의 일례로서, 세로 가이드 부재(46, 47)에 대응해서 형성된 하방으로 연장하는 상(上) 피고정편(61a)이 좌우 한 쌍 형성되어 있다. 각 상 피고정편(61a)에는, 세로 가이드 부재(46, 47)의 상단부의 상 나사 구멍(46a, 47a)에 대응하여, 나사 관통 구멍(61b)이 형성되어 있다.
도 11에서, 톱 커버(61)의 후단부에는, 톱 커버(61)와 리어 커버(63)끼리를 고정하는 외장간(間) 피고정부의 일례로서, 좌우 한 쌍의 커버간 피고정부(61c)가 형성되어 있고, 커버간 피고정부(61c)에는, 도시하지 않은 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1에서, 상기 톱 커버(61)의 전단부에는, 외장간 위치 결정부의 일례로서, 좌우 한 쌍의 반원 형상의 위치 결정 오목부(61d)가 형성되어 있다. 위치 결정 오목부(61d)의 좌우 방향 내측에는, 외장간 고정부의 일례로서, 사각형의 구멍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3개의 고정구(61e)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프런트 커버(62)는 보충구(TR1d)에 대응하는 개구(62a)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62a)의 좌우 양측의 하부에는, 외장용의 피고정부의 일례로서, 매체 반송 유닛(31)의 하(下) 고정 나사 구멍(33a, 34a)에 대응하는 위치에, 나사 통과 구멍(62b)이 좌우 한 쌍 형성되어 있다. 도 11에서, 프런트 커버(62)의 상단부에는, 외장간의 피위치 결정부의 일례로서, 위치 결정 오목부(61d)에 대응하는 위치에, 원기둥 형상의 돌기에 의해 구성된 좌우 한 쌍의 위치 결정 돌기(62c)가 전방으로 돌출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위치 결정 돌기(62c)의 좌우 방향의 내측에는, 외장간의 피고정부의 일례로서, 고정구(61e)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고정 클로(claw)(62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충구 커버(U2)는 프런트 커버(6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리어 커버(63)에는, 중앙부에 개폐 도어용의 개구(63a)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63a)의 좌우 양측부에는, 외장 피고정부의 일례로서, 4개의 나사 구멍(38d)에 대응하는 위치에, 후 나사 통과 구멍(63b)이 4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리어 커버(63)의 상단부에는, 외장간 고정부의 일례로서, 커버간 피고정부(61c)의 후면에 대향하는 커버간 고정부(63c)가 형성되어 있고, 커버간 고정부(63c)에는, 커버간 피고정부(61c)의 나사 구멍에 대응해서 나사 관통 구멍(63d)이 형성되어 있다.
리어 커버(63)의 개구(63a)에는, 개폐 부재의 일례로서의 개폐 도어(64)가 지지되어 있다. 개폐 도어(64)는 하단부가, 매체 반송 유닛(31)의 외장 고정부(33, 3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내면에는, 2차 전사 롤(T2b)이나 매체 반송로(SH)의 후측의 안내 부재(66)가 지지되어 있다.
(각 유닛, 부재의 고정의 설명)
(화상 기록 유닛과 매체 반송 유닛의 고정)
화상 기록 유닛(1)이 매체 반송 유닛(31)에 지지될 경우, 도 3, 도 6, 도 7, 도 8,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치 결정 홈(6a, 7a)이 위치 결정축(38a, 39a)에 삽입됨으로써 위치 결정되는 동시에, 위치 결정축(38a, 39a)을 중심으로 해서 화상 기록 유닛(1)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화상 기록 유닛(1)의 전 위치 결정편(13)이 전 위치 결정면(48b)에 접촉할 때까지 회전함으로써, 화상 기록 유닛(1) 전측이 위치 결정된다. 이 상태에서, 좌측의 나사 통과 구멍(6b, 6c)을 통과해서 나사 구멍(38b, 38c)에 삽입되는 나사에 의해, 화상 기록 유닛(1)의 좌측 후단이 좌방으로부터 기록 유닛 고정부(38)에 고정된다. 동일하게, 우측의 나사 통과 구멍(7b, 7c)을 통과해서 나사 구멍(39b, 39c)에 삽입되는 나사에 의해, 화상 기록 유닛(1)의 우측 후단이 우방으로부터 기록 유닛 고정부(39)에 고정되고, 전 나사 관통 구멍(48a)을 통과해서 전 나사 구멍(14)에 삽입되는 나사에 의해, 화상 기록 유닛(1)의 전단이 전방으로부터 가로 가이드 부재(48)에 고정된다. 즉, 실시예 1에서는, 좌우의 고정부(6, 7)나, 제 3 지지부인 전 고정부(13 + 14)는 화상 기록 유닛(1)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부터 체결되는 체결 구조를 갖는다. 이에 의해, 실시예 1의 화상 기록 유닛(1)은 매체 반송 유닛(31)에 대하여, 기록 유닛 고정부(38, 39)와, 가로 가이드 부재(48)의 3개소에 위치 결정된 상태로 고정된다.
따라서, 화상 기록 유닛(1)은 매체 반송 유닛(31)에 대하여, 매체(기록 시트(S))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있어서, 착탈 불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매체를 사용하는 사용자」란, 「오피스, 점포, 공항·호텔 등의 라운지, 가정 등에서 데이터를 프린트하는 자로 하고, 화상 형성 장치에 불량이 있었을 때에 해당 장치를 점검·수리하는 서비스맨이나 창고·공장에서 점검·수리하는 직공은 포함하지 않음」으로 한다. 따라서, 서비스맨이나 직공 등의 비사용자는 공구 등을 이용하여 화상 기록 유닛(1)을 매체 반송 유닛(31)으로부터 착탈할 수 있다.
상기 기록 유닛 고정부(38, 39) 및 가로 가이드 부재(48)에 의해, 실시예 1의 기록 유닛 피지지부(38 + 39 + 48)가 구성되어 있다.
(화상 기록 유닛과 정착 유닛의 고정)
정착 유닛(51)이 화상 기록 유닛(1)에 지지될 경우, 도 5, 도 7에서, 정착 유닛(51)의 두 갈래 형상의 피 위치 결정부(56c)가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상 기록 유닛(1)의 경사면(8d, 9d) 및 위치 결정 하면(8e, 9e)에 안내되어서, 피 위치 결정부(56c)가 정착 위치 결정부(8c, 9c)에 삽입된다. 따라서, 피 위치 결정부(56c)와 정착 위치 결정부(8c, 9c)의 삽입에 의해, 정착 유닛(51)은 화상 기록 유닛(1)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태로 지지된다. 그리고, 정착 유닛(51)의 피 위치 결정 고정부(56a)의 후 위치 결정 구멍(56b)에 위치 결정 고정부(8a, 9a)가 삽입된 상태로 될때까지 정착 유닛(51)이 이동되면, 정착 유닛(51)의 위치 결정이 된다. 그리고, 정착 유닛 지지부(8, 9)의 나사 구멍(8b, 9b)에 삽입되는 나사로 고정됨으로써, 정착 유닛(51)이 화상 기록 유닛(1)에 고정된다.
(외장 커버의 고정)
도 10, 도 11에서, 톱 커버(61)는 전단부가, 각각의 상 피고정편(61a)의 나사 관통 구멍(61b)을 관통해서, 세로 가이드 부재(46, 47)의 상 나사 구멍(46a, 47a)에 삽입되는 나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톱 커버(61)의 후단은 리어 커버(63)의 커버간 고정부(63c)의 나사 관통구(63d)를 관통해서, 커버간 피고정부(61c)의 도시하지 않은 나사 구멍에 삽입되는 나사에 의해, 리어 커버(63)에 고정되어 있다.
프런트 커버(62)는 상단의 가장자리가 톱 커버(61) 전측의 가장자리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위치 결정 돌기(62c)가 위치 결정 오목부(61d)에 삽입되어 위치 결정되고, 톱 커버(61)의 고정구(61e)에 고정 클로(62d)가 걸린다. 따라서, 톱 커버(61)의 전단은 프런트 커버(62)에 고정된다. 그리고, 프런트 커버(62)의 하부는 나사 통과 구멍(62b)을 관통해서, 매체 반송 유닛(31)의 하 고정 나사 구멍(33a, 34a)에 삽입되는 나사에 의해, 매체 반송 유닛(31)에 고정된다.
리어 커버(63)는 후 나사 통과 구멍(63b)을 관통해서, 매체 반송 유닛(31)의 후 나사 구멍(38d)에 삽입되는 나사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톱 커버(61), 프런트 커버(62), 리어 커버(63)는 화상 기록 유닛(1)이나 정착 유닛(51)에 고정되지 않고, 매체 반송 유닛(31)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좌우 양측의 도시하지 않은 실시예 1의 사이드 커버는 각 커버(61 ~ 63) 또는 저벽(32)에 지지된다.
(실시예 1의 작용)
상기 구성을 구비한 실시예 1의 프린터(U)에서는, 매체 반송 유닛(31)에 화상 기록 유닛(1)이 직접 위치 결정된 상태로 고정되는 동시에, 정착 유닛(51)이 화상 기록 유닛(1)에 대하여 위치 결정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즉, 매체 반송 유닛(31)과 정착 유닛(51)이 화상 기록 유닛(1)에 대하여 위치 결정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고 볼 수도 있다. 따라서, 실시예 1의 프린터(U)에서는, 종래로부터 일반적인 틀, 소위 프레임을 갖는 프린터와 달리, 프레임이 없는 구성, 소위 프레임리스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각 유닛 간에서 직접 위치 결정되지 않고, 프레임을 통하여 위치 결정되어 있던 종래의 프린터에 비해, 프레임을 통함으로써 발생하는 각 부재의 제조상의 오차나 부착 오차 등의 누적 오차가 없어진다. 따라서, 화상 형성시의 각 색의 토너 화상끼리의 위치 어긋남이나 토너 화상과 기록 시트(S)의 위치 어긋남 등이 저감되어 있고, 화질이 향상하고 있다. 또한, 프레임이 생략되어 있어, 프레임을 갖는 종래의 구성에 비해, 소형화, 경량화, 저 비용화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의 프린터(U)에서는, 화상 기록 유닛(1)이 매체 반송 유닛(31)에 대하여, 전단의 좌우 방향 중앙부와, 후단 좌부와, 후단 우부의 3개소에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정확하게는, 좌우의 나사 통과 구멍(6b, 6c, 7b, 7c)으로 4개소에서 고정되어 있지만, 나사 통과 구멍(6b, 6c)과 나사 통과 구멍(7b, 7c)의 위치가 접근해 있어, 화상 기록 유닛(1)의 전체로부터 보아서 의사적(擬似的)으로 2개소라 보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4개소에서 화상 기록 유닛(1)이 고정될 경우에는, 매체 반송 유닛(31)에 뒤틀림이 있으면, 고정되는 화상 기록 유닛(1)이 뒤틀리고, Y, M, C, K의 토너 화상의 위치가 어긋나거나, 2차 전사 영역(Q5)에서 기록 시트(S)에 전사되는 토너 화상이 어긋나거나 하는 경우가 있지만, 실시예 1에서는, 3개소에서 고정되어 있어, 매체 반송 유닛(31)에 뒤틀림이 있어도 화상 기록 유닛(1)에 뒤틀림이 영향을 주기 어렵게 되어 있다. 따라서, 4개소 이상에서 고정할 경우에 비해, 토너 화상의 어긋남의 발생 등의 뒤틀림의 악영향이 발생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특히, 실시예 1의 화상 기록 유닛(1)은, 무단 벨트 형상 부재인 중간 전사 벨트(B)를 갖고 있어, 화상 기록 유닛(1)이 뒤틀리면, 중간 전사 벨트(B)가 치우치거나, 사행(蛇行)하거나 할 우려가 있지만, 실시예 1의 화상 기록 유닛(1)에서는 종래의 구성에 비해, 매체 반송 유닛(31)의 뒤틀림의 악영향을 받기 어렵고, 중간 전사 벨트(B)의 치우침 등이 저감되어 있다.
도 12는 화상 기록 유닛이 뒤틀린 영향의 설명도이고, 도 12a는 2점 지지측인 반출구 측에 화상 기록 영역이 배치되어 있는 실시예 1의 경우의 설명도, 도 12b는 2점 지지측 및 반출구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화상 기록 영역이 배치된 종래의 경우의 설명도이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매체 반송 유닛(31)으로부터 화상 기록 유닛(1)에 기록 시트(S)가 반출되는 반출구(Rr1)의 측인 후측에서, 화상 기록 유닛(1)이 매체 반송 유닛(31)에 대하여, 좌우 양측으로부터 2개소에 고정되어 있다. 즉, 실시예 1에서는, 매체 반송 유닛(31)에 3점 지지되는 화상 기록 유닛(1)에서, 후측에 2점 지지되어 있다.
도 12a에서, 반출구(Rr1) 측에 화상 기록 영역인 전사 영역(Q5)이 배치된 실시예 1의 프린터(U)에서는, 프린터(U)가 설치되는 면의 요철 등에 의해, 매체 반송 유닛(31)이 뒤틀린 경우, 도 1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출구(Rr1)의 뒤틀림에 연동해서 전사 영역(Q5) 측이 뒤틀리고, 상대적으로 반출구(Rr1)로부터 반송되는 기록 시트(S)와 전사 영역(Q5)에 전사되는 토너 화상 사이의 위치 어긋남은 적어진다.
한편, 도 12b에서, 2점 지지부(01) 및 1점 지지부(02)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화상 기록 영역(03)이 설치된 종래의 구성에서는, 도 12b의 파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측의 유닛이 뒤틀림이 발생했을 경우, 그 뒤틀림은 각 지지부(01, 02)의 부분에서 연동하는 뒤틀림이 발생하지만, 화상 기록 영역(03)에서는 뒤틀림은 일치하지 않고 어긋남이 발생한다. 따라서, 일점 쇄선으로 도시하는 반송로(04)를 따라 뒤틀림이 다르고, 반입된 기록 시트(S)가 화상 기록 영역(03)으로 반송될 때까지의 사이에, 기록 시트(S)는 경사지기 쉬워진다. 즉, 경사, 소위 스큐한 기록 시트(S)와 토너 화상의 어긋남이 발생하기 쉬워질 우려가 있다. 가령, 기록 시트(S)의 스큐를 화상 기록 영역(03)의 상류 측의 레지스터 롤 등에 의해 보정되는 구성을 채용해도, 스큐를 보정할 수 없거나, 레지스터 롤로부터 화상 기록 영역(03)까지의 뒤틀림의 어긋남에 의해, 스큐 보정 후로부터 전사될 때까지의 사이에 스큐가 발생하고, 토너 화상과 기록 시트(S)가 어긋날 우려도 있다. 이에 대해, 실시예 1에서는, 종래의 구성에 비해, 반출구(Rr1)의 뒤틀림과, 전사 영역(Q5)의 뒤틀림과의 어긋남이 상대적으로 적고, 토너 화상의 위치 어긋남이 적어, 화질이 향상하고 있다.
또한, 실시예 1의 화상 기록 유닛(1)에서는, 좌우 양단벽(3, 4)에, 감광체(Py ~ Pk)와 중간 전사 벨트(B)뿐만 아니라, LED 헤드(LHy ~ LHk)도 지지되어 있고, 화상 기록 유닛(1)의 뒤틀림에 대하여, 동일한 거동을 나타낸다. 따라서, 잠상 형성 장치가 화상 기록 유닛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에 비해, 토너 화상과 기록 시트(S)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이 경감되어 있고, 화질의 저하가 저감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화상 기록 유닛(1)은 상하 방향이 아닌, 수평 방향으로부터 나사 결합이 되어 있고, 화상 기록 유닛(1)의 비틀림을 생기게 하기 어려운 방향으로부터 체결되어 있다. 즉, 도 1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 고정부(6) 및 우 고정부(7)가 프린터(U)의 설치면의 요철에 따른 매체 반송 유닛(31)의 뒤틀림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뒤틀렸을 때, 전측에서는 전 나사 구멍(14)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화상 기록 유닛(1)의 좌 고정부(6) 또는 우 고정부(7) 측이 뒤틀리는 뒤틀림 양과 가까운 뒤틀림 양이 전 고정부(13 + 14) 측에서도 생기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화상 기록 유닛(1)이 경사진 때의 회전 중심 방향과, 나사 등의 체결 부재의 선단의 방향이 동일한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고, 나사를 중심으로 해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가령, 나사 등의 체결 부재의 선단의 방향이 하방을 향하는 경우, 화상 기록 유닛의 전 고정부(13 + 14) 측이 화상 기록 유닛(1)의 경사를 저해하게 되지만, 실시예 1에서는 수평 방향으로부터 고정되어 있어, 저해되기 어렵다. 따라서, 실시예 1의 화상 기록 유닛(1)에서는, 비틀림이 생기기 어렵고, 매체(S)와, 매체(S)에 기록되는 토너 화상의 어긋남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 1의 프린터(U)에서는, 전사 영역(Q5)의 상방에 정착 유닛(51)이 지지되어 있고, 정착 영역(Q6)도 반출구(Rr1) 측에서, 위치 결정,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매체 반송 유닛(31)의 뒤틀림이 발생했을 경우에, 정착 유닛(51)도 연동해서 뒤틀리기 쉽고, 정착 영역(Q6)과 기록 시트(S) 등의 상대적인 어긋남이 억제되어 있어, 정착 불량이나 경사진 기록 시트(S)의 종이 걸림 등의 발생이 종래의 구성에 비해 저감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의 프린터(U)에서는, 외장 커버인 톱 커버(61), 프런트 커버(62), 리어 커버(63), 개폐 도어(64) 등이 화상 기록 유닛(1)이나 정착 유닛(51)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매체 반송 유닛(31)에 고정 지지되어 있다. 종래의 프레임을 사용한 구조에서는, 외장 커버는 프레임에 부착되어 있고, 외력을 받아도 화상 기록 유닛에 외력이 직접 작용하는 일이 없지만, 본 발명과 같이 프레임을 사용하지 않는 구조에서는, 외장 커버(61 ~ 64)를 화상 기록 유닛(1)에 부착하게 되면 외력이 직접 작용해서 화상 기록 부재의 어긋남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실시예 1에서는, 외장 커버(62 ~ 64)가 매체 반송 유닛(31)에 부착되어 있고, 톱 커버(61)는 커버간 고정부(63c)와 커버간 피고정부(61c), 위치 결정 돌기(62c)와 위치 결정 오목부(61d), 고정구(61e)와 고정 클로(62d)에 의해, 다른 외장 커버(62, 63)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실시예 1에서는, 외장 커버(61 ~ 64)는 화상 기록 유닛(1)에 고정하지 않고 복수의 외장 커버(61 ~ 64)가 고정되어 있어, 외장 커버 전체에서 강성이 확보되어 있다. 따라서, 프레임이 없는 구성, 소위 프레임리스(frameless)여도, 외장 부재에 대한 충격이나 뒤틀림이 화상 기록 유닛(1)에 전해지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따라서, 화상 기록 유닛(1)에 외장 커버(61 ~ 64)가 부착되는 경우에 비해, 실시예 1에서는, 외장 커버(61 ~ 64)가 받는 외력 등이 화상 기록 유닛(1)에 악영향을 주는 것이 저감되어 있고, 화상 기록 유닛(1)의 뒤틀림이나, 중간 전사 벨트(B)의 치우침 등의 발생이 저감되어 있다.
도 13은 실시예 1의 화상 기록 유닛(1)의 고정 방향과 허용되는 뒤틀림의 관계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실시예 1의 프린터(U)에서는, 화상 기록 유닛(1)은 매체 반송 유닛(31)에 대하여, 위치 결정축(38a, 39a)을 중심으로 하여, 도 13의 화살표(Ya)로 도시하는 회전 방향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 불능일 경우에 비해, 화상 기록 유닛의 제 3 지지부로의 위치 결정이 용이해진다.
그리고, 화상 기록 유닛(1)은 후단측에서는, 좌방 또는 우방으로부터 고정되는 동시에, 전단측에서는 전방으로부터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방이나 하방으로부터 나사 결합을 행하는 구성에 비해, 나사를 체결할 때의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삽입하기 쉽고, 조립 작업성이 향상되어 있다. 또한, 드라이버 등의 삽입을 위한 통로나 입구를 형성할 필요가 없고, 통로 등을 확보하기 위한 공간이 불필요해져서, 소형화에 기여한다. 또한, 상방으로부터 나사 결합할 경우에 비해, 세로 가이드 부재(46, 47)에 전측으로부터 고정된 가로 가이드 부재(48)의 변형에 의한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화상 기록 유닛(1)은 2점 지지측인 후단측에서는, 좌방 또는 우방으로부터 매체 반송 유닛(31)에 고정되는 동시에, 1점 지지측인 전단측에서는, 좌방이나 우방과는 다른 방향인 전방으로부터,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서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1점 지지측에서, 전방으로부터가 아니라, 좌방이나 우방으로부터 고정되는 구성에 비해, 화상 기록 유닛(1)의 전측의 좌우 양측에서, 도 13의 화살표(Yb)로 도시하는 회전 방향의 뒤틀림이 허용되어 있다. 따라서, 중간 전사 벨트의 치우침이나 사행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화상 기록 유닛(1)의 전단부에서, 좌방 또는 우방으로부터 고정될 경우, 화상 기록 유닛(1)의 좌측 또는 우측이 구속되어 있고, 화살표(Yb)로 도시하는 뒤틀림이 우측 또는 좌측에서 허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매체 반송 유닛의 뒤틀림에 따라 화상 기록 유닛(1)이 뒤틀리게 되어 중간 전사 벨트(B)의 치우침이나 사행을 저감할 수 없다.
또한, 실시예 1의 화상 기록 유닛(1)에서는, 나사로 상하 양측의 나사 구멍(38b, 38c)에 고정되는 위치 결정축(38a)에는, 중간 기어(43)가 지지되어 있고, 화상 기록 유닛(1)의 회전 중심과 공통화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기어끼리가 맞물려서 회전하면, 맞물릴 때의 반력(구동 반력)에 의해, 기어끼리가 떨어지는 방향의 힘이 작용한다. 가령, 중간 기어(43)가 위치 결정축(38a)과는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을 경우, 반력이 작용하면, 화상 기록 유닛(1)이 매체 반송 유닛(31)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 즉 떠오르는 방향의 힘을 받아, 화상 기록 유닛(1)이 뒤틀리거나, 전사 영역(Q5)의 위치가 어긋나거나 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실시예 1에서는, 위치 결정축(38a, 39a)에 중간 기어(43)가 지지되어 있어, 맞물릴 때의 반력이 작용해도, 근방의 나사 구멍(38b, 38c)에서 고정되어 있어, 뒤틀림 등의 악영향을 받기 어렵게 되어 있다.
(변경예)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각각의 변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변경예 (H01) ~ (H09)를 하기에 예시한다.
(H01) 상기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로서의 프린터를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복사기, FAX, 혹은 이것들의 복수 또는 모든 기능을 갖는 복합기 등에 의해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그 외의 화상 기록 방식, 예를 들면 잉크젯 기록 방식이나 열전사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 등에도 적용가능하다.
(H02)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프린터(U)는 4색의 현상제가 사용되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단색의 화상 형성 장치나, 5색 이상 또는 3색 이하의 다색의 화상 형성 장치에도 적용가능하다.
(H03) 상기 실시예에서, 화상 기록 유닛(1)은 위치 결정축(38a, 39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 불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성, 예를 들면 하방으로부터 지지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위치 결정축(38a, 39a)은 예시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레지스터 롤(Rr)의 회전축과 공통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레지스터 롤(Rr)에 대한 화상 기록 유닛(1)의 위치 결정 정밀도가 더 향상되고, 반송되는 기록 시트(S)와 2차 전사 영역(Q5)의 어긋남이 더 저감된다. 단, 레지스터 롤(Rr)의 회전축이나 근방에는 레지스터 롤 기어(41)나 도시하지 않은 레지스터 센서 등이 배치되어 있어, 공통화했을 경우에는, 레지스터 롤(Rr)의 회전축을 축 방향으로 길게 할 필요가 있을 가능성이 있고, 프린터(U)가 대형화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프린터(U)의 허용되는 크기나 기어(41) 등의 부품과의 관계에서, 위치 결정축(38a, 39a)과 공통화 가능할 경우에는, 공통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04) 상기 실시예에서, 정착 유닛(51)을 화상 기록 유닛(1)의 상방에 배치하는 구성이 바람직하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정착 유닛을 화상 기록 유닛(1)에 내포하거나, 정착 유닛(51)을 매체 반송 유닛(31)에 지지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H05) 상기 실시예에서, 외장 커버(61 ~ 64)는 화상 기록 유닛(1)이나 정착 유닛에 고정하지 않는 구성이 바람직하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화상 기록 유닛(1) 등에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H06) 상기 실시예에서, 화상 기록 유닛(1)의 전측의 고정 방향은 전방으로부터, 혹은 좌우 방향에 수직한 상하 방향, 예를 들면, 전(前) 위치 결정편(13)에서 상방으로부터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좌방, 또는 우방으로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H07) 상기 실시예에서, 레지스터 롤(Rr)을 매체 반송 유닛(31)에 설치하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레지스터 롤(Rr)을 화상 기록 유닛(1)에 내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레지스터 롤(Rr)의 상류 측의 반송 부재로부터의 기록 시트(S)의 반출구가 매체 반송 유닛(31)으로부터 화상 기록 유닛(1)으로의 반출구가 된다. 동일하게, 2차 전사 롤(T2b)을 화상 기록 유닛(1)에 내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H08) 상기 실시예에서, 중간 기어(44)는 위치 결정축(38a)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성이 바람직하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위치 결정축(38a) 이외의 장소에 지지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H09) 상기 실시예에서, 각 유닛(1, 31, 51)의 고정 방법, 체결 기구로서, 나사 결합을 예시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소위 스냅 피팅(snap fitting)이나 리벳 결합 등의 고정 방법, 체결 기구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1 : 화상 기록 유닛
6 : 제 1 지지부
6 + 7 + 13 + 14 : 기록 유닛 지지부
6a, 7a : 위치 결정 부재
7 : 제 2 지지부
8, 9 : 정착 유닛 지지부
13 + 14 : 제 3 지지부
31 : 매체 반송 유닛
43 : 중간 전달 부재
44 : 제 1 회전 전달 부재
45 : 제 2 회전 전달 부재
51 : 정착 유닛
61, 62, 63, 64 : 외장 부재
B : 중간 전사체
F : 정착 장치
Py, Pm, Pc, Pk : 상 유지체
Q5 : 화상 기록 영역
Rr : 시기 조정 부재, 매체 반송 부재
Rr1 : 반출구
S : 매체
T1y, T1m, T1c, T1k : 1차 전사기
T2 : 2차 전사기
U : 화상 형성 장치
UY ~ UK + B : 화상 기록 장치

Claims (14)

  1. 화상이 기록되는 매체를 반송하는 매체 반송 부재와, 상기 매체가 반출되는 반출구를 갖는 매체 반송 유닛과,
    상기 반출구 측에 배치된 화상 기록 영역에서, 상기 매체 반송 유닛으로부터 반송된 매체에 화상을 기록하는 화상 기록 장치를 갖는 화상 기록 유닛과,
    상기 화상 기록 유닛에서의 상기 반출구 측에 배치되고 또한 반송되는 매체의 폭 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 제 1 지지부 및 제 2 지지부와, 상기 화상 기록 유닛에서의 상기 반출구와는 반대 측에 배치된 제 3 지지부를 갖고, 적어도 상기 제 1 지지부 및 상기 제 2 지지부가 상기 매체 반송 유닛의 상기 반출구 측에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매체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하여 상기 화상 기록 유닛이 상기 매체 반송 유닛에 대하여 착탈 불가능하게 지지되는 기록 유닛 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3 지지부는, 중력 방향에 있어서, 상기 화상 기록 영역보다 하방에 상기 제 1 지지부 및 상기 제 2 지지부가 배치되고, 상기 화상 기록 영역보다 상방에 상기 제 3 지지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기록 영역에 매체를 반송하는 시기를 조정하는 시기 조정 부재를 갖는 상기 매체 반송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표면에 상을 유지하여 회전하는 상 유지체와, 무단 벨트 형상체에 의해 구성되고 또한 상기 상 유지체 표면의 상이 전사되는 동시에 상기 화상 기록 영역에서 상기 상 유지체로부터 전사된 상이 매체에 전사되는 중간 전사체와, 상기 상 유지체 표면의 상을 상기 중간 전사체에 전사하는 1차 전사기를 갖는 상기 화상 기록 유닛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기록 유닛은 측벽을 갖고, 상기 측벽에 의해, 상기 상 유지체, 상기 중간 전사체, 및 상기 상 유지체에 잠상을 형성하는 잠상 형성 장치가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에 전사된 상을 정착하는 정착 장치를 갖는 정착 유닛과,
    상기 화상 기록 유닛의 상기 화상 기록 영역 측에 설치되고, 상기 정착 유닛을 지지하는 정착 유닛 지지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반송 유닛의 상기 반출구 측에 설치되고, 상기 화상 기록 유닛을 위치 결정하고 또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위치 결정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부재에 지지되고, 또한 상기 화상 기록 유닛에 지지된 제 1 회전 전달 부재와, 상기 매체 반송 유닛에 지지된 제 2 회전 전달 부재에 접속되어서 회전을 전달하는 중간 전달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지지부는 상기 화상 기록 유닛의 상기 매체의 폭 방향 대략 중앙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지지부는 상기 화상 기록 유닛의 수평 방향으로부터 체결되는 체결 구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반송 유닛에 지지되고, 또한 화상 형성 장치의 외표면을 구성하는 외장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 부재는 복수의 외장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외장 부재가 복수의 외장 부재끼리를 고정하는 외장간(間) 고정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부 및 상기 제 2 지지부에 의해 상기 화상 기록 유닛이 상기 매체 반송 유닛에 대하여 지지되는 위치는, 상기 시기 조정 부재의 위치와 상기 화상 기록 영역 사이에 존재하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부 및 상기 제 2 지지부는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화상 기록 유닛을 지지하는 화상 형성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기록 유닛에 지지되고, 상기 화상 기록 장치를 구동하는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의 구동을 상기 매체 반송 부재에 전달하는 부재와,
    상기 구동원에 공급하는 저압 전원 기판과, 상기 화상 기록 장치에 급전하는 고압 전원 기판을 갖고,
    상기 화상 기록 유닛에 지지된 전원 회로와,
    상기 매체 반송 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전원 회로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배선을 안내하는 배선 안내 부재를 더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00013863A 2009-04-30 2010-02-16 화상 형성 장치 KR1014400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11625A JP2010262086A (ja) 2009-04-30 2009-04-30 画像形成装置
JPJP-P-2009-111625 2009-04-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9488A KR20100119488A (ko) 2010-11-09
KR101440016B1 true KR101440016B1 (ko) 2014-09-12

Family

ID=42709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3863A KR101440016B1 (ko) 2009-04-30 2010-02-16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346120B2 (ko)
EP (1) EP2246751A2 (ko)
JP (1) JP2010262086A (ko)
KR (1) KR101440016B1 (ko)
CN (1) CN101876797B (ko)
AU (1) AU2010200566B2 (ko)
TW (1) TWI41075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56569A (ja) * 2012-01-31 2013-08-15 Canon Inc 画像形成システム
JP6098566B2 (ja) * 2014-03-28 2017-03-2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9523958B2 (en) * 2014-12-25 2016-12-20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Image forming apparatus
JP6902220B2 (ja) * 2017-03-16 2021-07-1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7180250B2 (ja) * 2018-09-28 2022-11-3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ドラム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1580A (ja) * 1994-04-13 1995-10-27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JPH08110666A (ja) * 1994-10-07 1996-04-30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0330351A (ja) * 1999-03-16 2000-11-30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1034021A (ja) * 1999-07-15 2001-02-09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2374A (ja) * 1989-09-06 1991-04-17 Mita Ind Co Ltd 熱印字式印刷装置を具備する画像処理機
JP2501475B2 (ja) * 1989-10-13 1996-05-29 株式会社テック サ―マルプリンタ
JPH08156366A (ja) 1994-12-08 1996-06-18 Tec Corp サーマルヘッド支持装置
JPH10104998A (ja) 1996-10-01 1998-04-24 Ricoh Co Ltd 画像担持ベルトユニット装置
JP3555369B2 (ja) 1997-01-13 2004-08-1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ベルトユニットの取り付け構造
JP2000310930A (ja) * 1999-04-27 2000-11-07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3005477A (ja) * 2001-06-26 2003-01-08 Konica Corp 画像形成装置
JP4000446B2 (ja) 2001-12-20 2007-10-3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作像ユニット
US7399130B2 (en) * 2004-03-03 2008-07-15 Zih Corporation Printer with quick release print head and platen to promote installation and removal of same
US7555238B2 (en) * 2004-09-29 2009-06-30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forming device and angularly shifted belt unit
JP4736620B2 (ja) * 2005-08-18 2011-07-2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GB2435239A (en) * 2006-02-15 2007-08-22 Markem Tech Ltd Printing apparatus having printhead alignment device
JP2007226007A (ja) 2006-02-24 2007-09-06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作像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の組立方法
JP4596047B2 (ja) * 2008-06-19 2010-12-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1580A (ja) * 1994-04-13 1995-10-27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JPH08110666A (ja) * 1994-10-07 1996-04-30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0330351A (ja) * 1999-03-16 2000-11-30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1034021A (ja) * 1999-07-15 2001-02-09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76797B (zh) 2015-05-13
TW201102771A (en) 2011-01-16
US20100278556A1 (en) 2010-11-04
CN101876797A (zh) 2010-11-03
EP2246751A2 (en) 2010-11-03
AU2010200566A1 (en) 2010-11-18
TWI410759B (zh) 2013-10-01
US8346120B2 (en) 2013-01-01
KR20100119488A (ko) 2010-11-09
AU2010200566B2 (en) 2011-09-01
JP2010262086A (ja) 2010-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68301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タンデム型感光体ユニット
JP4833117B2 (ja) 潜像担持体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US8472836B2 (en) Cover opening/clos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90169246A1 (en) Developing device, process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143674B2 (ja) トナー受入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20140161483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artridge
KR101440016B1 (ko) 화상 형성 장치
JP5771590B2 (ja) 給紙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
JP5459429B2 (ja) 画像形成装置
JP2020003530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そ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6210693B2 (ja) 画像形成装置
JP5577835B2 (ja) 画像形成装置
JP4948585B2 (ja) 画像形成装置
JP6406210B2 (ja) 画像形成装置
US8515320B2 (en) Developing device, process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7451146B2 (ja) 画像形成装置
JP7370856B2 (ja) トナー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950351B2 (ja) 画像形成装置
JP5428680B2 (ja) 画像形成装置
JP5380344B2 (ja) 画像形成装置
EP3731026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4696716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8158217A (ja) 画像形成装置
JP2014211514A (ja) 画像形成装置
JP2018109777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