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3088B1 - 실 권취기 - Google Patents

실 권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3088B1
KR101293088B1 KR1020090001157A KR20090001157A KR101293088B1 KR 101293088 B1 KR101293088 B1 KR 101293088B1 KR 1020090001157 A KR1020090001157 A KR 1020090001157A KR 20090001157 A KR20090001157 A KR 20090001157A KR 101293088 B1 KR101293088 B1 KR 101293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suction
bobbin
yarn
th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1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6948A (ko
Inventor
킨조 하시모토
Original Assignee
티엠티 머시너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엠티 머시너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티엠티 머시너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26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6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3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3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7/00Replacing or removing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winding, or depositing stations
    • B65H67/04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take-up packages and or replacing by cores, formers, or empty receptacles at winding or depositing stations; Transferring material between adjacent full and empty take-up elements
    • B65H67/0405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take-up packages or for loading an empty 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28Traversing devices; Package-shaping arrangements
    • B65H54/34Traversing devices; Package-shaping arrangements for laying subsidiary winding, e.g. transfer 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7/00Replacing or removing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winding, or depositing stations
    • B65H67/04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take-up packages and or replacing by cores, formers, or empty receptacles at winding or depositing stations; Transferring material between adjacent full and empty take-up elements
    • B65H67/044Continuous winding apparatus for winding on two or more winding heads in succession
    • B65H67/048Continuous winding apparatus for winding on two or more winding heads in succession having winding heads arranged on rotary capstan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1Textiles threads or artificial strands of filaments
    • B65H2701/319Elastic threads

Landscapes

  • Replacing, Conveying, And Pick-Finding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Winding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과제] 권취 보빈을 교환하기 위한 구성을 간소화함으로써 장치 구성을 콤팩트하게 함과 아울러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실 권취기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와인더는 권취 보빈(21)을 회전 구동하기 위한 권취축(31)을 갖는 권취 유닛(11)과, 권취축(31)의 상류로부터 반송되어 오는 실을 실마다 흡인 포착하기 위한 복수개의 노즐(54)을 갖는 스위칭 장치(12)를 구비한다. 권취 보빈(21)의 교환은 소정 길이로 된 패키지보다 상류측의 실을 노즐(54)에 의해 흡인 포착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권취축(31)으로부터 패키지를 인출해서 빈 권취 보빈(21)을 상기 권취축(31)에 장착시킴으로써 행한다.
Figure R1020090001157
실 권취기, 권취 유닛, 권취 보빈, 스위칭 장치

Description

실 권취기{YARN WINDER}
본 발명은 실 권취기의 권취 보빈을 교환하기 위한 구성에 관한 것이다.
권취 보빈에 실을 권취해서 소정 길이의 패키지를 형성하는 실 권취기에 있어서, 터릿 기구에 의해 권취 보빈의 교환을 행하는 구성의 것이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류의 실 권취기를 개시한 것으로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가 있다.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는 모두 권취 보빈을 장착하기 위한 2개의 보빈 홀더와, 이 2개의 보빈 홀더를 권취 위치와 대기 위치로 스위칭하기 위한 터릿판을 구비하는 실 권취기를 개시하고 있다. 권취 보빈의 교환시에는 터릿판을 회전시킴으로써 2개의 보빈 홀더의 위치를 스위칭해서 실의 이송을 행한다. 이에 따라, 실 권취기의 상류측으로부터 이송된 실의 공급을 정지시킴이 없이 권취 보빈의 교환을 행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3147816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제2917947호 공보
최근, 패키지의 생산성의 향상은 점점 요구되는 바이며, 한정된 공간이어도 실을 권취하기 위한 권취 장치를 가능한 한 많이 배치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터릿 기구를 구비하는 실 권취기는 터릿판을 회전시키기 위한 거대한 기구를 구비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장치의 소형화가 어렵고 한정된 공간에 배치할 수 있는 권취 장치의 수도 한계가 있었다.
또한, 제품 간의 비용 경쟁이 심하게 되고 실 권취기의 제조 비용의 삭감도 원하게 되었다. 이러한 점에서, 터릿 기구를 구비하는 실 권취기는 터릿판과 2개의 보빈 홀더에 추가해서, 상기 보빈 홀더를 구동시키기 위한 기구(모터, 제어 전원, 컨트롤러 등)를 보빈 홀더마다 구비할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터릿 기구를 구비하는 현상의 구성에서는 제조 비용을 효과적으로 삭감하는 것은 곤란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권취 보빈을 교환하기 위한 구성을 간소화함으로써 장치 구성을 콤팩트하게 함과 아울러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실 권취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과 같으며, 다음에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과 그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관점에 의하면,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복수개의 실을 공통인 권취 보빈에 권취해서 소정 길이의 패키지를 형성하는 실 권취기에 있어서 이하의 구성이 제공된다. 즉, 실 권취기는 상기 권취 보빈을 회전 구동하기 위한 권취축을 갖 는 권취 유닛과, 상기 권취축의 상류로부터 이송되어 오는 실을 실마다 흡인 포착하기 위한 복수개의 흡인구를 갖는 스위칭 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권취 보빈의 교환은 소정 길이로 된 상기 패키지보다 상류측의 실을 상기 흡인구에 의해 흡인 포착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권취축으로부터 상기 패키지를 인출해서 빈 권취 보빈을 상기 권취축에 장착시킴으로써 행한다.
이에 따라, 실의 공급을 정지시킴이 없이 권취 보빈의 교환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권취축의 위치를 스위칭함으로써 권취 보빈의 교환을 행하는 구성에 비해서 권취 유닛의 구성을 간단하고 또한 콤팩트하게 통합할 수 있다. 따라서, 한정된 공간에 배치할 수 있는 권취 유닛의 수를 증가시켜서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권취 유닛(1)에 드는 제조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상기의 실 권취기에 있어서는 상기 권취 보빈에 권취되는 실은 탄성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탄성사를 권취하는 권취 유닛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상기 실 권취기에 있어서는 상기 권취 보빈의 교환시에 있어서 상기 흡인구에 의한 흡인 포착을 행함과 아울러 상기 권취축의 회전 속도를 감속시킴으로써 실을 절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실 강력이 낮은 탄성사를 절단하는 기구를 간이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상기 실 권취기에 있어서는 이하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인구는 실을 흡인 포착한 상태에서 상기 패키지보다 상류측의 실을 포착하는 포착 위치로부터 상기 흡인구에 의해 포착된 실이 빈 권취 보빈에 접촉하는 권취 위치까지 이동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실 권취기는 상기 흡인구가 실을 포착한 상태에서 상기 권취 위치까지 이동된 후에 상기 흡인구의 흡인을 정지한다.
이에 따라, 흡인구에 의해 포착한 실을 빈 권취 보빈에 자동적으로 권취하기 위한 기구를 간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실 권취기에 있어서는 이하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권취 유닛은 복수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권취 유닛 사이를 상기 스위칭 장치가 주행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에 따라, 권취 보빈의 교환시에는 스위칭 장치가 권취 보빈의 교환이 필요한 권취 유닛의 장소까지 이동해서 권취 보빈의 교환 작업의 보조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실 권취기에 필요한 스위칭 장치의 수를 억제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와인더의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권취 작업 중의 권취 유닛의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와인더(실 권취기)(10)는 복수개의 권취 유닛(11)과, 스위칭 장치(12)와, 도시 생략된 제어부를 구비한다. 권취 유닛(11)은 스판덱스 등의 탄성사(20)를 권취 보빈(21)에 권취해서 소정 길이의 패키지(22)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폴리우레탄의 실이 탄성사(20) 로서 사용되고 있다. 스위칭 장치(12)는 패키지(22)가 만권(滿卷) 상태(소정 길이)가 되었을 때에 상류로부터의 탄성사(20)의 공급을 정지시킴이 없이 권취 보빈(21)의 교환을 행하기 위한 것이고, 권취 유닛(11) 사이를 주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는 권취 유닛(11)의 각 부를 제어하거나 스위칭 장치(12)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스위칭 장치(12)의 상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권취 유닛(11)은 프레임(30)과, 권취축(31)과, 터치 롤러 유지부(32)와, 트래버스 장치(33)와, 조작부(34)와, 승강 프레임(35)을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30)은 후술하는 권취 유닛(11)의 각 부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권취축(31)은 권취 보빈(21)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고, 프레임(30) 내의 도시 생략된 구동 수단에 접속되어 있다. 권취 보빈(21)은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 권취축(31)에 삽통된 상태로 유지된다. 터치 롤러 유지부(32)는 터치 롤러(36)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이 터치 롤러(36)는 권취 작업시에 패키지(22)의 실층에 소정의 압력으로 접촉하면서 회전함으로써 탄성사(20)의 권취 작업을 부드럽게 한다. 트래버스 장치(33)는 권취 보빈(21)에 권취된 실을 트래버싱(traversing)하기 위한 것이고 도시 생략된 트래버스 가이드를 갖고 있다. 이 트래버스 가이드가 탄성사(20)를 유지하면서 왕복 운동함으로써 탄성사(20)의 트래버싱을 행한다.
조작부(34)는 오퍼레이터가 패키지(22)의 권취를 정지하거나 권취 보빈(21)의 교환이 종료된 후에 권취 작업을 개시시키거나 하는 등 각종의 조작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승강 프레임(35)은 권취 축(31) 및 터치 롤러 유지부(32)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고, 프레임(30)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승강 프레임(35)을 이동시킴으로써 권취축(31)과 터치 롤러 유지부(32) 및 트래버스 장치(33)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권취 유닛(11)은 와인더(10)의 상류측으로부터 이송되어 오는 8개의 탄성사(20)가 공통의 권취 보빈(21)에 권취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공통의 권취 보빈에 권취되는 실의 수는 8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16개, 32개, 46개, 64개 등 권취하는 실의 수를 변경해도 본 발명의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이어서, 스위칭 장치(12)에 관하여 설명한다. 스위칭 장치(12)는 본체부(51)와, 암부(52)와, 노즐 유지부(53)와, 노즐(흡인구)(54)을 구비한다. 본체부(51)는 후술하는 스위칭 장치(12)의 각 부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고, 내부에는 암부(52)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수단 등을 구비하고 있다. 암부(52)는 2개 1세트로 구성되어 있고, 본체부(51)의 정면측 및 배면측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노즐 지지부(53)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둘레면에는 복수개의 노즐(54)이 노즐 유지부(53)의 축방향과 평행한 직선 상에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이 노즐 지지부(53)는 암부(52)의 선단에 양쪽 지지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노즐(54)은 권취되는 탄성사(20)의 개수에 대응해서 8개 배치되어 있고, 각각의 노즐(54)에는 흡인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관통 형상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스위칭 장치(12)는 도시 생략된 부압원에 접속 가능하게 구성됨과 아울러 이 러한 부압원의 흡인력을 노즐(54)에 발생시키기 위한 흡인 경로를 내부에 구비하고 있다. 또한, 와인더(10)의 적절한 장소에는 셔터 장치가 배치되어 있고, 이 셔터 장치에 의해서 노즐(54) 근방에 흡인류를 작용시킬지의 여부를 스위칭할 수 있다. 셔터 장치는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통상시는 흡인 경로를 폐쇄해 두고, 적당한 타이밍에서 흡인 경로를 개방해서 노즐(54) 근방에 흡인류를 작용시키도록 제어된다. 또한, 이 셔터 장치는 스위칭 장치(12)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스위칭 장치(12)는 도시 생략된 주행대차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 주행대차는 도시 생략된 레일을 따라 권취 유닛(11) 사이를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스위칭 장치(12)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승강 수단은 대차에 대해서 스위칭 장치(12)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예를 들면 유압 실린더 등이 그 구동 수단으로서 사용된다. 이에 따라, 스위칭 장치(12)는 좌우 방향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도 이동 가능해지므로, 패키지(22)나 권취 유닛(11)의 각 부에 접촉됨이 없이 적절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스위칭 장치(12) 및 상기 주행대차는 상기 제어부에 접속되어 있고, 제어부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각종 동작을 행하도록 제어되어 있다.
이어서,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해서 권취 보빈(21)의 교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8에는 만권이 된 패키지(22)를 권취 보빈(21)마다 떼어내고, 빈 권취 보빈(21)을 상기 권취 유닛(11)에 장착해서 권취 작업을 재개하는 공정이 순서에 따라 나타내어져 있다.
제어부는 권취 유닛(11)의 패키지(22)가 만권 상태에 가까워지면 스위칭 장치(12)를 상기 주행대차에 의해 상기 권취 유닛(11)까지 이동시킨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는 패키지(22)가 만권 상태로 된 곳에서 프레임(30)에 대해 승강 프레임(35)을 상승시켜서 터치 롤러 지지부(32) 및 트래버스 장치(33)와 권취축(31)의 거리를 넓힌다.
이어서, 제어부는 상기 승강 수단에 의해 스위칭 장치(12)를 소정 위치까지 상승시킨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 위치까지 상승한 스위칭 장치(12)는 패키지(22)측으로 암부(52)를 회전시켜서 패키지(22)와 터치 롤러(36) 사이이며 탄성사(20)의 바로 옆에서 대면하는 포착 위치에 노즐(54)을 이동시킨다. 노즐(54)이 포착 위치까지 이동한 곳에서 제어부는 상기 셔터 장치에 의해 흡인 경로를 개방하고, 노즐(54)에 의한 흡인을 개시시킴과 아울러 권취축(31)의 회전 속도를 감속시킨다.
권취축(31)의 회전 속도의 저하에 의해 패키지(22)보다 상류측의 탄성사(20)는 장력이 감소해서 느슨해진 상태로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노즐(54)의 흡인력이 탄성사(20)에 작용하므로, 나이론 실이나 폴리에스테르 실 등에 비해서 실 강력이 낮은 탄성사(20)는 흡인에 의해서 발생되는 부하에 견딜 수 없게 되어 자연히 끊어지고, 패키지(22)측의 실과 노즐(54) 상류측의 실로 끊어져 떨어진다. 이에 따라, 패키지(22)를 권취 유닛(11)으로부터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와인더(10) 상류로부터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탄성사(20)는 새로운(빈) 권취 보빈(21)으로의 권취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노즐(54)에 의해 계속 흡인되게 된다. 탄성사(20) 가 절단되는 것과 병행해서 제어부는 권취축(31)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오퍼레이터는 권취축(31)의 회전이 정지되면 권취 보빈(21)의 교환 작업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위칭 장치(12)의 노즐(54)에 의한 탄성사(20)의 흡인을 계속하는 상태에서 오퍼레이터가 패키지(22)를 권취 보빈(21)마다 권취축(31)로부터 떼어낸다. 이어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퍼레이터는 권취축(31)에 빈 권취 보빈(21)을 장착시킨다. 그리고, 조작부(34)를 조작해서 권취 작업을 개시시킨다.
권취 작업 개시의 지시가 오퍼레이터에 의해 조작부(34)에 입력되면, 제어부는 권취축(31)의 회전을 개시함과 아울러 회전 속도가 소정 속도에 도달할 때까지 회전을 가속시킨다. 회전 속도가 소정 속도에 도달한 곳에서 제어부는 도 7에 나타내는 권취 작업을 스위칭 장치(12)에 개시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순서로 권취 작업이 행하여진다. 우선, 승강 수단에 의해 스위칭 장치(12)를 하강시킨다. 이어서, 주행대차에 의해 권취축(31)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스위칭 장치(12)를 이동시킨다. 권취축(31)의 반대측으로 이동한 곳에서 승강 수단에 의해 스위칭 장치(12)를 상승시킨다. 이어서, 스위칭 장치(12)는 새로운 권취 보빈[권취축(31)](21)측으로 암부(52)를 회전시켜서 노즐(54)에 흡인 포착되어 있는 탄성사(20)가 권취 보빈(21)에 충분히 접촉하는 권취 위치까지 노즐(54)을 이동시킨다. 노즐(54)이 권취 위치까지 이동하고 권취 보빈(21)에 접촉하는 실 양이 충분해진 곳에서 노즐(54)에 의한 흡인을 정지시킨다. 노즐(54)에 의한 흡인력으로부터 개방 됨으로써 탄성사(20)의 실 끝부분은 회전하고 있는 권취 보빈(21)의 둘레면에 권취된다.
이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위칭 장치(12)의 이동과 암부(52)의 회전에 의해 실을 포착한 상태의 노즐(54)은 권취 보빈(21)의 하측을 돌아 들어가도록 해서 포착 위치로부터 권취 위치까지 정면으로 바라봐서 대략 U자 형상의 궤적을 그려서 이동한다. 이에 따라, 노즐(54)에 유지되는 탄성사(20)는 회전 중의 권취 보빈(21)의 하방 부분에 접촉함과 아울러 노즐(54)에 의해서 상방향으로 인장되는 상태로 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권취 위치의 노즐(54)은 권취축(31)에 대해서 상방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흡인력으로부터 개방된 탄성사(20)의 실 끝부분은 하방에 위치하는 새로운 권취 보빈(21)에 양호하게 권취된다.
또한, 포착 위치로부터 권취 위치까지 노즐(54)의 이동시에 있어서, 노즐 유지부(53)는 노즐(54)의 선단이 권취축(31)측을 항상 향하도록 스위칭 장치(12)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스위칭 장치(12)가 이동해도 노즐 유지부(53)에 탄성사(20)가 얽히지 않고, 부드럽게 노즐(54)을 포착 위치로부터 권취 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스위칭 장치(12)는 흡인 정지와 함께 상기 승강 수단에 의해 하강하고, 이어서 어느 하나의 권취 유닛(11)에 있어서 권취 보빈(21)의 교환 작업이 행해지기까지 적절한 대기 위치에서 대기한다. 권취 보빈(21)이 스위칭된 권취 유닛(11)에 있어서는 스위칭 장치(12)가 하방 위치로 이동한 곳에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권취 작업이 행해지는 권취 위치까지 승강 프레임(35)을 하강시켜 터치 롤 러(36)를 탄성사(20)에 접촉시킨다. 그 후에 새로운 권취 보빈(21)의 권취 작업이 개시된다.
이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와인더(10)는 이하와 같이 구성된다. 즉, 와인더(10)는 권취 보빈(21)을 회전 구동하기 위한 권취축(31)을 갖는 권취 유닛(11)과, 권취축(31)의 상류로부터 이송되어 오는 탄성사(20)를 실마다 흡인 포착하기 위한 복수개의 노즐(흡인구)(54)을 갖는 스위칭 장치(12)를 구비한다. 권취 보빈(21)의 교환은 소정 길이로 된 패키지(22)보다 상류측의 탄성사(20)를 노즐(54)에 의해 흡인 포착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권취축(31)으로부터 패키지(22)를 인출하여 빈 권취 보빈(21)을 상기 권취축(31)에 장착시킴으로써 행한다.
이에 따라, 탄성사(20)의 공급을 정지시킴이 없이 권취 보빈(21)의 교환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권취축의 위치를 스위칭함으로써 권취 보빈의 교환을 행하는 터렛 기구 등의 구성에 비해서 권취 유닛(11)의 구성을 간이하고 또한 콤팩트하게 통합할 수 있다. 따라서, 한정된 공간에 배치할 수 있는 권취 유닛(11)의 수를 증가시켜서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권취 유닛 1대에 드는 제조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와인더(10)에 있어서는 권취 보빈(21)에 권취되는 실은 탄성사(20)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탄성사(20)를 권취하는 권취 유닛(11)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와인더(10)에 있어서는 권취 보빈(21)의 교환시에 있어 서 노즐(54)에 의한 흡인 포착을 행함과 아울러 권취축(31)의 회전 속도를 감속시킴으로써 탄성사(20)를 절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실 강력이 낮은 탄성사(20)를 절단하는 기구를 커터 등의 특별한 절단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은 간이한 구성으로 실현된다. 따라서, 와인더(10)의 제조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와인더(10)에 있어서, 노즐(54)은 탄성사(20)를 흡인 포착한 상태에서 패키지(22) 상류측의 실을 포착하는 포착 위치로부터 상기 노즐(54)에 의해 포착된 탄성사(20)가 빈 권취 보빈(21)에 접촉하는 권취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와인더(10)는 노즐(54)이 탄성사(20)를 포착한 상태에서 상기 권취 위치까지 이동한 후에 노즐(54)의 흡인을 정지한다.
이에 따라, 노즐(54)에 의해 포착한 탄성사(20)를 빈 권취 보빈(21)에 자동적으로 권취하기 위한 기구를 간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와인더(10)에 있어서 상기 권취 유닛(11)은 복수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권취 유닛(11) 사이를 스위칭 장치(12)가 주행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에 따라, 권취 보빈(21)의 교환시에는 스위칭 장치(12)가 권취 보빈(21)의 교환이 필요한 권취 유닛(11)의 장소까지 이동해서 권취 보빈(21)의 교환 작업의 보조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와인더(10)에 필요한 스위칭 장치(12)의 수를 억제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상기의 구성은 이하와 같이 더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스위칭 장치(12)의 구성은 사정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위칭 장치는 신축 가능한 암부를 구비하는 구성이나 노즐 유지부(53)가 장치 정면측의 암부에 의해 캔틸레버 상태로 지지되는 구성 등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구성 대신에 각 권취 유닛(11) 각각이 스위칭 장치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권취 보빈 교환시에 실의 절단을 노즐(54)의 흡인류와 권취축(31)의 회전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행하고 있지만 이러한 구성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만권 상태의 패키지의 상류측에서 와인더의 상류측으로부터 공급되는 실을 절단하기 위한 절단 수단을 스위칭 장치가 구비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권취 유닛(11)은 탄성사(20)를 권취하는 구성이지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테르 등으로 구성된 탄성사(20) 이외의 실을 권취하는 구성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실을 확실히 절단하는 관점에서 상기 절단 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권취 보빈(21)의 교환 작업은 오퍼레이터가 행하고 있지만 권취 보빈(21)의 교환 작업을 기계적으로 행하는 권취 보빈 교환 장치를 와인더(10)가 구비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와인더의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권취 작업 중의 권취 유닛의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터치 롤러 유지부 및 트래버스 장치를 상승시켰을 때의 권취 유닛의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스위칭 장치의 노즐이 포착 위치에 있을 때의 권취 유닛의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권취 보빈 교환시에 있어서 패키지가 떼어내어졌을 때의 권취 유닛의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권취 보빈 교환시에 있어서 새로운 권취 보빈이 장착되었을 때의 권취 유닛의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스위칭 장치의 노즐이 권취 위치에 있을 때의 권취 유닛의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권취 보빈의 교환이 종료되고 권취 작업이 개시되었을 때의 권취 유닛의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Claims (5)

  1.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복수개의 실을 공통의 권취 보빈에 권취해서 소정 길이의 패키지를 형성하는 실 권취기에 있어서:
    상기 권취 보빈을 회전 구동하기 위한 권취축을 갖는 권취 유닛과,
    상기 권취축의 상류로부터 이송되어 오는 실을 실마다 흡인 포착하기 위한 복수개의 흡인구를 갖는 스위칭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권취 보빈의 교환은 소정 길이로 된 상기 패키지보다 상류측의 실을 상기 흡인구에 의해서 흡인 포착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권취축으로부터 상기 패키지를 인출해서 빈 권취 보빈을 상기 권취축에 장착시킴으로써 행하고,
    상기 흡인구는 실을 흡인 포착한 상태에서 상기 패키지보다 상류측의 실을 포착하는 포착 위치로부터 상기 흡인구에 의해서 포착된 실이 빈 권취 보빈에 접촉하는 권취 위치까지 이동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흡인구가 실을 포착한 상태에서 상기 권취 위치까지 이동한 후에 상기 흡인구의 흡인을 정지하며,
    상기 포착 위치로부터 상기 권취 위치까지 주행하는 실의 주행 방향과 상기 권취 보빈의 회전 방향이 같은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권취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구가 실을 포착한 상태에서 상기 권취 위치까지 이동한 후에 상기 흡인구의 흡인을 정지함으로써 실의 실 끝부분은 회전하고 있는 상기 권취 보빈의 둘레면에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권취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포착 위치 및 상기 권취 위치는 상기 권취 보빈의 하방부분보다도 상방이며,
    상기 흡인구는 실을 흡인 포착한 상태에서 상기 포착 위치로부터 상기 권취 위치까지 상기 권취 보빈의 주위를 회전하면서 이동함으로써 실은 상기 권취 보빈의 하방부분에 접촉함과 아울러 상기 흡인구에 의해 상방향으로 인장되는 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권취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 보빈에 권취되는 실은 탄성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권취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 보빈의 교환시에 있어서 상기 흡인구에 의한 흡인 포착을 행함과 아울러 상기 권취축의 회전 속도를 감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권취기.
KR1020090001157A 2008-08-29 2009-01-07 실 권취기 KR1012930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21919 2008-08-29
JP2008221919A JP2010052930A (ja) 2008-08-29 2008-08-29 糸巻取機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5359A Division KR101293089B1 (ko) 2008-08-29 2013-04-01 실 권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6948A KR20100026948A (ko) 2010-03-10
KR101293088B1 true KR101293088B1 (ko) 2013-08-05

Family

ID=4160626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1157A KR101293088B1 (ko) 2008-08-29 2009-01-07 실 권취기
KR1020130035359A KR101293089B1 (ko) 2008-08-29 2013-04-01 실 권취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5359A KR101293089B1 (ko) 2008-08-29 2013-04-01 실 권취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0052930A (ko)
KR (2) KR101293088B1 (ko)
CN (1) CN101659363B (ko)
DE (1) DE102009007694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19435B2 (ja) * 2010-07-13 2014-06-11 Tmtマシナリー株式会社 紡糸巻取装置
JP2012086925A (ja) * 2010-10-18 2012-05-10 Murata Machinery Ltd ボビンセット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糸巻取機
US9725277B2 (en) * 2013-01-24 2017-08-08 Oerlikon Textile Gmbh & Co. Kg Winding machine
JP7053283B2 (ja) * 2017-02-06 2022-04-12 Tmtマシナリー株式会社 糸巻取機、紡糸引取装置、及び糸巻取機における糸掛方法
CN107758316B (zh) * 2017-11-07 2024-01-12 湖南世优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布线机用线缆端子输送装置
CN108639856A (zh) * 2018-05-29 2018-10-12 台嘉玻璃纤维有限公司 玻璃纤维布切边绳收取装置
EP3771673B1 (en) * 2019-07-30 2023-09-06 TMT Machinery, Inc. Peg, package exchanging device, and yarn processing system
CN111924659B (zh) * 2020-07-08 2022-04-19 北自所(北京)科技发展有限公司 基于孪生模型的化纤长丝落卷方法、系统及自动落卷设备
CN111924660B (zh) * 2020-07-08 2022-04-19 北自所(北京)科技发展有限公司 基于孪生模型的化纤长丝落卷方法、系统及自动落卷设备
CN115140617B (zh) * 2022-09-01 2022-11-11 山东杰瑞纺织科技有限公司 一种纺织纱线绕线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3471A (ja) * 1984-03-02 1985-09-18 Toray Ind Inc 素型多糸条巻取機の振り支点ガイドへの糸掛け方法
JPH0717668A (ja) * 1993-07-01 1995-01-20 Teijin Ltd 玉揚げ装置
JP2000086090A (ja) 1998-09-11 2000-03-28 Murata Mach Ltd 紡糸巻取機の糸掛け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52025A (en) * 1970-02-02 1972-03-28 Leesona Corp Bobbin processing
DE2939675A1 (de) 1979-09-29 1981-04-16 Barmag Barmer Maschinenfabrik Ag, 5630 Remscheid Spulenwechseleinrichtung fuer textilmaschinen
DE3336388A1 (de) 1982-10-13 1984-04-19 Barmag Barmer Maschinenfabrik Ag, 5630 Remscheid Fadenbedienungswagen in einer spulenwechseleinrichtung
DE3411158A1 (de) 1984-03-27 1985-10-10 Barmag Barmer Maschinenfabrik Ag, 5630 Remscheid Aufspulvorrichtung
US4597539A (en) 1985-07-08 1986-07-01 Celanese Corporation Apparatus for cutting and aspirating filamentary material to waste
JPH03147816A (ja) 1989-11-06 1991-06-24 Toray Ind Inc 熱可塑性樹脂シートのキャスト方法
JPH04352827A (ja) * 1991-05-30 1992-12-07 Toray Eng Co Ltd 紡績機
JP2917947B2 (ja) 1996-12-16 1999-07-12 村田機械株式会社 弾性糸用紡糸巻取機とその糸切換え方法
TW404993B (en) * 1997-04-04 2000-09-11 Zinser Textilmaschinen Gmbh Automatic spool changing method and the spool device having changing apparatus
TW425369B (en) 1997-04-30 2001-03-11 Murata Machinery Ltd Spinning yarn winding machine and changing over method for yarn for winding machine
JP3147816B2 (ja) 1997-04-30 2001-03-19 村田機械株式会社 紡糸巻取機及び紡糸巻取機の糸切り替え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3471A (ja) * 1984-03-02 1985-09-18 Toray Ind Inc 素型多糸条巻取機の振り支点ガイドへの糸掛け方法
JPH0717668A (ja) * 1993-07-01 1995-01-20 Teijin Ltd 玉揚げ装置
JP2000086090A (ja) 1998-09-11 2000-03-28 Murata Mach Ltd 紡糸巻取機の糸掛け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59363B (zh) 2012-12-05
DE102009007694B4 (de) 2020-06-18
DE102009007694A1 (de) 2010-03-04
KR20100026948A (ko) 2010-03-10
KR20130037701A (ko) 2013-04-16
CN101659363A (zh) 2010-03-03
JP2010052930A (ja) 2010-03-11
KR101293089B1 (ko) 2013-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3088B1 (ko) 실 권취기
JP2013057148A (ja) 糸切断吸引装置及び紡糸巻取装置
JP2015164875A (ja) 糸巻取機
JP2008297078A (ja) 糸条巻取機
JP2012218922A (ja) 糸巻取機及び糸引き出し方法
JP2017082376A (ja) 紡糸引取装置
CN202481849U (zh) 自动络纱机
CN103848287A (zh) 纱线卷取机以及具备纱线卷取机的纤维机械
EP2738127A2 (en) Yarn winding machine and yarn withdrawal method
EP3357847B1 (en) Yarn winder, spun yarn take-up apparatus, and a method of yarn threading in yarn winder
CN111826735B (zh) 纺丝牵引设备
CN106048797B (zh) 纤维机械
CN109626108B (zh) 纱线卷绕机
CN103848286A (zh) 纱线卷绕机
JP6841710B2 (ja) 糸降ろし装置及び紡糸引取設備
JP3083232B2 (ja) ワイヤソー装置およびワーク引抜き方法
JP2004323166A (ja) レボルビング型自動巻取機の糸条案内装置
CN113939619B (zh) 用于环锭纺纱机的服务机器人、环锭纺纱机和服务机器人的操作方法
KR20010049681A (ko) 방사권취기 및 그 번치권취방법
EP4361075A1 (en) Yarn attaching device and spinning and processing equipment
JP2023142133A (ja) 糸巻取機
CN113293471A (zh) 自动纱线捻接单元
JP2023017711A (ja) 繊維機械のワークステーションの操作方法および繊維機械のワークステーション
JP3965832B2 (ja) 紡糸巻取機、及びその糸切換え方法
JP2024063352A (ja) 糸掛けロボット及び紡糸巻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