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8439B1 - 드릴링 공구 - Google Patents

드릴링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8439B1
KR101288439B1 KR20117029154A KR20117029154A KR101288439B1 KR 101288439 B1 KR101288439 B1 KR 101288439B1 KR 20117029154 A KR20117029154 A KR 20117029154A KR 20117029154 A KR20117029154 A KR 20117029154A KR 101288439 B1 KR101288439 B1 KR 101288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end side
groove
tool body
re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7029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6267A (ko
Inventor
켄고 와다
코지 니시카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탕가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탕가로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탕가로이
Publication of KR20120016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6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8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8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2Twist dr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1/00Details of 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2251/08Side or plan views of cutting edges
    • B23B2251/085Discontinuous or interrupted cutting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1/00Details of 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2251/14Configuration of the cutting part, i.e. the main cutting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1/00Details of 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2251/24Overall form of drilling tools
    • B23B2251/241Cross sections of the diameter of the drill
    • B23B2251/244Cross sections of the diameter of the drill decreasing in a direction towards the shank from the tool t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1/00Details of 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2251/40Flutes, i.e. chip conveying grooves
    • B23B2251/404Flutes, i.e. chip conveying grooves with decreasing depth in a direction towards the shank from the tool t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1/00Details of 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2251/40Flutes, i.e. chip conveying grooves
    • B23B2251/406Flutes, i.e. chip conveying grooves of special form not otherwise provided 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T408/89Tool or Tool with support
    • Y10T408/905Having stepped cutting ed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T408/89Tool or Tool with support
    • Y10T408/909Having peripherally spaced cutting edges
    • Y10T408/9095Having peripherally spaced cutting edges with axially extending relief chann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T408/89Tool or Tool with support
    • Y10T408/909Having peripherally spaced cutting edges
    • Y10T408/9095Having peripherally spaced cutting edges with axially extending relief channel
    • Y10T408/9097Spiral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Tools (AREA)

Abstract

부스러기를 원하는 폭까지 세분화하여 부스러기 처리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동시에, 공구 강성의 향상을 도모한다. 축선(O) 둘레로 회전되는 외형이 대략 원기둥 형상인 공구본체(2)와, 상기 공구본체(2)의 외주부에 상기 공구본체의 선단측으로부터 후단측을 향하여 뻗도록 형성된 부스러기 배출용 홈(4)과, 상기 부스러기 배출용 홈(4)의 공구회전방향(T) 전방측을 향하는 내면(6)에, 상기 공구본체(2)의 선단면로부터 후단측을 향하여 뻗도록 형성된 적어도 1개의 보조홈(7)과, 레이크면(10)과, 선단 플랭크면(16)과, 상기 선단 플랭크면(16)과 상기 레이크면(10) 각각과의 교차능선부에 형성된 절삭날(14)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레이크면(10)에 의해 적어도 1개의 단부(11)를 가지는 계단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홈(7)의 후단측의 마무리부(8)가 상기 부스러기 배출용 홈(4)의 후단측의 마무리부(5)와 다른 방향으로 올라가 있는 드릴링 공구(1)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드릴링 공구{DRILLING TOOL}
본 발명은 드릴링 공구에 관한 것이다.
근래, 자동차 엔진부품 등 복잡한 형상의 가공물에 드릴링 가공을 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부스러기 처리성 향상의 관점에서 가공시에 발생하는 부스러기의 미세화가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따르는 것으로서, 드릴 선단부의 절삭날의 일부를 플랭크면에 따라 절결한 부스러기를 분단하기 위한 닉(nick)을 형성한 닉모양 드릴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일본특허공개공보 2007-50477호 참조).
이러한 닉모양 드릴은 복수의 절삭날 각각에 절삭날에 수직한 오목홈 형상의 닉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이 닉들이 둘레방향으로 인접하는 절삭날끼리 축선둘레의 회전궤적을 어긋나게 하여 배치됨으로써, 닉 사이마다의 짧은 범위에서 부스러기를 그 폭방향으로 분단하여 생성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일본특허공개공보 2007-50477호의 발명에서는, 닉이 절삭날로부터 플랭크면에 따라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드릴 선단부의 절삭날을 연마하는 경우에는 닉 주위 부분이 연마됨으로써 닉이 없어져 버릴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닉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드릴을 사용하기 전에 다시 닉이 연삭가공에 의해 드릴에 형성되어야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닉을 형성하기 위한 드릴에 대한 재가공을 피하기 위하여, 닉을 절삭날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한 경우에는, 절삭날의 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닉이 둘레방향으로 인접하는 절삭날끼리 축선둘레의 회전궤적을 어긋나게 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닉의 홈 폭, 위치, 개수 등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없고, 나눌 수 있는 부스러기의 폭에 한계가 있었다.
또한, 드릴회전방향에서 선행하는 절삭날에 의해 절삭된 가공구멍의 닉에 의한 나머지 부분을, 닉의 회전궤적이 어긋난 후속하는 절삭날에 의해 절삭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날이 1개인 회전공구에는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도 있었다.
그래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출원인은 일본특허공개공보 2009-202288호에서, 부스러기를 미세화하는 방법으로서, 레이크면을 적어도 1개의 단부를 가지는 계단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절삭날을 공구본체의 직경방향으로 분단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이와 같은 드릴링 공구에 따르면, 절삭날을 재연마할 때마다 닉을 형성하기 위한 가공을 할 필요가 없고, 단부의 개수나 직경방향의 폭 등을 바꾸어 분단된 각 절삭날의 직경방향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부스러기를 원하는 폭으로 세분화시킬 수 있으며, 또한 날이 1개인 건 드릴(gun drill)이나 리머(reamer) 등에 적용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레이크면을 계단형상으로 형성하였을 경우, 부스러기를 배출하기 위한 홈을 구성하는 부분이 많아지기 때문에, 깊은 구멍을 가공하기 위한 드릴에 적용하는 경우에 공구 강성의 저하가 우려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부스러기를 원하는 폭까지 세분화할 수 있으며, 부스러기 처리성 및 공구 강성이 뛰어난 회전공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래의 수단을 채용한다.
본 발명은, 축선둘레로 회전되는 외형이 대략 원기둥 형상인 공구본체와, 상기 공구본체의 외주부에 상기 공구본체의 선단면으로부터 후단측을 향하여 뻗도록 형성된 부스러기 배출용 홈과, 상기 부스러기 배출용 홈의 공구회전방향 전방측을 향하는 내면에, 상기 공구본체의 선단면로부터 후단측을 향하여 뻗도록 형성된 적어도 1개의 보조홈과, 상기 부스러기 배출용 홈 및 상기 적어도 1개의 보조홈 각각의 공구회전방향 전방측을 향하는 내면에 형성된 레이크면과, 상기 공구본체의 선단면에 형성된 선단 플랭크면과, 상기 선단 플랭크면과 상기 레이크면과의 교차능선부에 형성된 절삭날을 구비하고, 상기 부스러기 배출용 홈의 공구회전방향 전방측을 향하는 내면은, 상기 레이크면에 의해 적어도 1개의 단부를 가지는 계단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홈의 후단측의 마무리부가 상기 부스러기 배출용 홈의 후단측의 마무리부와 다른 방향으로 올라가 있는 드릴링 공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레이크면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레이크면에 의해 계단형상의 단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레이크면의 모서리부에 설치된 절삭날은 계단형상으로 공구회전방향의 전후로 간격을 두고 불연속적으로 배치되게 된다.
이에 의해, 부스러기가 세분화되어 폭이 좁은 부스러기가 생성되기 때문에, 부스러기의 처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보조홈의 개수나 폭 등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설계상의 제한을 받지 않고 각 절삭날의 직경방향의 길이를 원하는 길이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부스러기를 원하는 폭까지 세분화할 수 있다.
더욱이, 종래의 닉모양 드릴과 같이 절삭날을 연마할 때마다 닉을 형성하기 위한 가공을 하는 번잡한 작업이 필요없다. 또한, 날이 1개인 건 드릴이나 리머 등에서도, 본 발명의 레이크면의 형상 및 부스러기 배출용 홈의 형상을 적용함으로써 부스러기를 세분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보조홈의 마무리부가 상기 부스러기 배출용 홈의 마무리부와 다른 방향으로 올라가 있기 때문에, 부스러기 배출용 홈과 보조홈이 대략 같은 길이로 형성되고, 각각의 마무리부가 축선방향에서 대략 같은 위치에 나란한 경우에도, 절삭에 따라 흘러나온 부스러기가 보조홈의 마무리부에서 막힐 우려가 없다. 그 때문에, 부스러기의 걸림에 의한 공구의 결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발명에서는, 상기 부스러기 배출용 홈의 마무리부가, 공구회전방향 전방측을 향하는 내면에 따라 상기 공구본체의 중심측으로부터 외주측을 향하여 점차 올라가 있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부스러기 배출용 홈의 마무리부는, 범용 드릴의 부스러기 배출용 홈의 마무리부와 같은 방향으로 올라가게 되어, 종래대로 가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보조홈의 마무리부는 부스러기 배출용 홈의 공구회전방향 전방측을 향하는 내면에 따라 공구본체의 중심측으로부터 외주측을 향하여 올라가는 것이 아니라, 이와 다른 방향으로 올라가 있기 때문에, 보조홈의 마무리부에 도달한 부스러기는, 상기 보조홈의 마무리부에서 부스러기 배출용 홈의 마무리부와 다른 방향의 공구본체의 외주측으로 밀려나가게 된다. 이 때문에, 부스러기가 보조홈의 마무리부와 피삭재 사이의 좁은 틈에 걸려 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발명에서는, 상기 보조홈의 마무리부가 선단측으로부터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보조홈의 공구회전방향 전방측을 향하는 내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방향을 향하여 점차 올라가 있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부스러기가 보조홈의 마무리부에 도달하였을 경우, 부스러기 배출용 홈의 내부를 향하여 밀려나가게 된다. 그 때문에, 부스러기가 보조홈의 마무리부에서 막히지 않고, 부스러기 배출용 홈 안에 수용되어 원활하게 배출되기 때문에, 부스러기 배출성이 뛰어나다.
또한, 상기 발명에서는, 상기 보조홈의 길이가 상기 부스러기 배출용 홈의 길이보다 짧은 것으로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보조홈의 길이를 부스러기 배출용 홈의 길이와 같은 길이로 한 경우와 비교하여, 공구본체의 후단측에서의 두께가 늘어나기 때문에, 공구의 강성이 향상된다. 이 때문에, 깊은 구멍의 가공에 사용되는 건 드릴과 같은 전체길이가 긴 공구에 적용하는 경우에도, 공구의 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위축 진동의 발생이나 공구의 절손(折損)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보조홈의 길이와 부스러기 배출용 홈의 길이를 같은 길이로 하였을 경우와 비교하여, 공구본체의 제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발명에서는, 상기 공구본체에 선단측으로부터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외경이 가늘어지는 백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구본체의 후단측에서의 웹(web)의 두께가 상기 공구본체의 심두께 이상인 것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발명에서는, 상기 공구본체에 선단측으로부터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웹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웹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백 테이퍼에 대응하여 선단측으로부터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웹의 두께가 얇아지는 일반적인 백 테이퍼 모양 드릴과 비교하여 공구의 강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공구본체의 선단측으로부터 후단측을 향하여 웹의 두께가 대략 일정한 것으로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부스러기 배출용 홈의 단면적을 늘릴 수 있기 때문에, 부스러기 배출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회전공구에 따르면, 부스러기를 원하는 폭까지 세분화시킬 수 있어서, 부스러기 처리성 및 공구의 강성이 뛰어나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릴링 공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드릴링 공구의 공구본체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드릴링 공구의 공구본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드릴링 공구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드릴링 공구의 단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드릴링 공구의 웹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도 6의 웹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종래의 드릴링 공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는 종래의 백 테이퍼 모양 드릴의 웹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드릴링 공구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드릴링 공구(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경이 대략 둥근막대 형상을 이룬다. 그리고, 날부를 구비하고 공구의 기본부가 되는 공구본체(2)와, 이 공구본체(2)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공구의 손잡이부가 되는 생크(shank)부(2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공구본체(2)는 초경합금, 서멧, 세라믹, 초고압 소결체 등으로 구성되고,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선(O) 둘레로 회전되는 축선(O)을 중심으로 하여 외경이 대략 원기둥인 형상을 이룬다. 이 공구본체(2)는, 외주부에 선단면으로부터 후단측을 향하여 뻗도록 형성된 부스러기 배출용 홈(4)과, 선단면에 형성된 선단 플랭크면(16)과, 내부로 뚫린 절삭오일제를 분출하기 위한 오일구멍(17)을 구비하고 있다.
이 공구본체(2)의 날부 선단 외경의 치수, 즉 직경은 예를 들어, 6.0mm가 된다. 또한, 이 공구본체(2)에는 선단측으로부터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외경이 가늘어지는 백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다(도 6 참조). 도 6에서는 설명을 위하여 공구본체(2)에서의 테이퍼 형상을 강조하여 나타내었다. 공구본체(2)의 백 테이퍼의 양은 0.04/100 이상 0.06/100 이하의 범위내로 설정되고, 예를 들어, 0.05/100이 된다. 더욱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공구본체(2)에서의 축선(O)을 사이에 끼우고 180° 회전대칭으로 형성된 부스러기 배출용 홈(4) 및 보조홈(7)의 홈 바닥에 의해 형성된 부분끼리의 사이의, 공구본체(2)의 두께 부분, 즉 웹(3)에는, 선단측으로부터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웹(3)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웹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다. 공구본체(2)의 선단부에서의 웹(3)의 두께, 즉 심두께(D)는, 공구본체(2) 직경의 20% 이상 50% 이하의 범위내로 설정되고, 예를 들어, 공구본체(2) 직경의 35%가 된다. 또한, 공구본체(2)의 웹 테이퍼의 양은, 공구본체(2)의 강성 확보라는 관점에서 0.01/100 이상 0.50/100 이하, 바람직하게는 0.05/100 이상 0.10/100 이하의 범위내로 설정되고, 예를 들어, 0.05/100이 된다.
상기 부스러기 배출용 홈(4)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선(O)과 대략 평행하게 직선형상으로 뻗은 스트레이트 홈으로 이루어진다. 부스러기 배출용 홈(4)은 공구본체(2)의 선단 부근에서는 약 90°의 원호형상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부스러기 배출용 홈(4)을 형성하는 내면 중, 공구회전방향(T)의 전방에 형성된 내면은, 선단으로부터 일정한 길이인 지점에서, 공구본체(2)의 선단측으로부터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공구본체(2)의 중심측으로부터 외주측을 향하여 그 공구회전방향(T)의 전방에 형성된 내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방향으로 점차 올라가게 형성되어 있다. 이 부스러기 배출용 홈(4)을 가공할 때의 공구의 마무리에 상당하는 부분, 즉 부스러기 배출용 홈(4)의 마무리부(5)는, 이 부스러기 배출용 홈(4)의 공구회전방향(T) 전방측을 향하는 내면(6)에 따라 공구본체(2)의 중심측으로부터 외주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올라가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부스러기 배출용 홈(4)의 공구회전방향(T) 전방측을 향하는 내면(6)의 공구직경방향 바깥쪽에는, 2개의 보조홈(7, 7)이 선단측으로부터 후단측을 향하여 뻗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보조홈(7, 7)과 인접하는 공구직경방향 안쪽에서의 부스러기 배출용 홈(4)의 내면(6)의 선단측에는 레이크면(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조홈(7)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으로부터 일정한 길이의 지점까지는 축선(O)과 대략 평행하게 직선형상으로 뻗게 형성되어 있다. 이 보조홈(7)을 가공할 때의 공구의 마무리에 상당하는 부분, 즉 보조홈(7)의 마무리부(8)는, 부스러기 배출용 홈(4)에서의 마무리부(5)의 마무리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올라가 있다. 즉, 부스러기 배출용 홈(4)의 마무리부(5)가 공구의 공구회전방향 전방측을 향하는 내면에 따라 선단측으로부터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공구본체의 중심측으로부터 외주측을 향하여 올라가게 형성되어 있는데 대하여, 보조홈(7)의 마무리부(8)는 그 보조홈(7)의 공구회전방향(T) 전방측을 향하는 내면(9)에 대하여 대략 수직방향을 향하여 점차 올라가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보조홈(7)의 공구회전방향(T) 전방측을 향하는 내면(9)의 선단측에도 레이크면(10)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보조홈(7)은 1개의 부스러기 배출용 홈(4)에 대하여 2개씩 설치되어 있으며, 1개의 부스러기 배출용 홈(4)에 설치된 2개의 보조홈(7, 7)과 다른 부스러기 배출용 홈(4)에 설치된 2개의 보조홈(7, 7)이 축선(O)에 대하여 180° 회전대칭인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보조홈(7)이 부스러기 배출용 홈(4)의 내부에 2개 형성되어 있는데,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부스러기 배출용 홈(4)의 내부에 1개의 보조홈(7)이 형성되어도 되고, 부스러기 배출용 홈(4)의 내부에 3개 이상의 보조홈(7)이 형성되어도 된다.
이 모든 보조홈(7)의 축선(O)과 평행하게 잰 길이(L2)는 대략 같고, 축선(O)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공구본체(2)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 각 보조홈(7)의 마무리부(8)는 대략 같은 위치에 늘어서 있다. 또한, 각 보조홈(7)의 길이(L2)는 부스러기 배출용 홈의 길이(L1)보다 짧고, 각각의 보조홈(7)의 마무리부(8)가 부스러기 배출용 홈(4)의 마무리부(5)보다 선단측에 위치하게 되어 있다. 이 보조홈(7)의 길이(L2)는 부스러기 배출용 홈(4)의 길이(L1)의 20% 이상 100% 미만,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60% 이하의 범위내로 설정되고, 예를 들어, 50%가 된다.
또한, 각 보조홈(7)의 공구직경방향에서의 폭(W)은 대략 같고, 1개의 부스러기 배출용 홈(4)의 공구직경방향에서의 폭을 상기 부스러기 배출용 홈(4) 안에 설치된 2개의 보조홈(7, 7)에 의해 3등분하는 폭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보조홈(7)의 폭(W)은 0.2mm 이상 4.0mm 이하, 바람직하게는 0.4mm 이상 2.0mm 이하의 범위내로 설정되고, 예를 들어, 0.6mm가 된다.
상기 레이크면(10)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개의 부스러기 배출용 홈(4) 안에서 부스러기 배출용 홈(4)에 형성된 레이크면(10)과 상기 2개의 보조홈(7, 7) 각각에 형성된 레이크면(10, 10)이 공구회전방향(T)의 전후로 간격을 두고 계단형상으로 3개 나란히 배치되고, 2개의 단부(11, 11)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각 레이크면(10)의 공구직경방향의 폭은 대략 같고, 보조홈(7)의 폭(W)에 대응하여 0.2mm 이상 4.0mm 이하, 바람직하게는 0.4mm 이상 2.0mm 이하의 범위내로 설정되며, 예를 들어, 0.6mm가 된다.
상기 단부(11)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이크면(10)으로부터 상승하는 상승면(12)과 상기 상승면(12)과 교차하는 레이크면(10)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 상승면(12)에 의해 각각의 레이크면(10) 사이에 단차(Q)가 설치되어 있다. 이 단부(11)의 단차(Q)는 예를 들어, 레이크면(10)과 수직하게 잰 경우에 1.5mm가 된다. 이 상승면(12)은 상승면(12)과 레이크면(10)이 교차하는 단부(11)의 각부가 그리는 회전궤적원(도 5에서 쇄선으로 나타내는 원)의 접선(N)에 대하여 단부(11)로부터 공구회전방향(T) 후단측이며 공구직경방향 안쪽으로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승면(12)의 접선(N)에 대한 경사각(α)은 15°가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1개의 부스러기 배출용 홈(4) 안에 설치된 2개의 단부(11, 11)와 다른 부스러기 배출용 홈(4) 안에 설치된 2개의 단부(11, 11)는 축선(O)에 대하여 180° 회전대칭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레이크면(10)과 상기 선단 플랭크면(16)의 교차능선부 각각에는 절삭날(14)이 형성되어 있고, 인접하는 3개의 절삭날(14, 14, 14)이 공구회전방향(T)의 전후로 간격을 두고 불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공구직경방향으로 계단형상으로 배치된 3개의 절삭날(14, 14, 14)은 1장의 절삭날(15)을 구성하고, 한쌍의 절삭날(15, 15)이 축선(O)에 대하여 180° 회전대칭으로 배치되어 날이 2개인 드릴링 공구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2장의 절삭날(15, 15)에 의해 드릴링 가공이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축선(O)에 대하여 서로 180° 회전대칭인 위치에 있는 절삭날(14, 14)끼리는 대략 같은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모든 절삭날(14)의 길이는 대략 같고, 보조홈(7)의 폭(W)에 대응하여 0.2mm 이상 4.0mm 이하, 바람직하게는 0.4mm 이상 2.0mm 이하의 범위내로 설정되며, 예를 들어 0.6mm가 된다.
이하,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드릴링 공구(1)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드릴링 공구(1)에 따르면, 축선(O)을 중심으로 하여 180° 회전대칭인 위치에 배치된 2장의 절삭날(15, 15)이 각각 공구회전방향(T)의 전후로 간격을 두고 불연속적으로 배치된 3개의 절삭날(14, 14, 14)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 절삭날(14)에서 그 절삭날(14)의 길이에 대응하는 폭의 부스러기가 생성되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1장의 절삭날(15)이 2개의 단부(11, 11)에 의해 분단되어 3개의 절삭날(14, 14, 14)로 나뉘기 때문에, 절삭날(15)의 길이에 상당하는 폭을 가지는 부스러기가 1개 생성되는 것이 아니라, 절삭날(15)의 약 1/3 길이의 절삭날(14)의 길이에 상당하는 폭을 가지는 부스러기(3)가 3개 생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 세분화된 폭이 좁은 부스러기는, 변형하기 쉽고, 빠르게 감기기 때문에, 부스러기 처리성이 뛰어난 형상이다. 이 때문에 부스러기가 공구본체(2)와 피삭재 사이에 걸려서 날부의 손상 등을 일으키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피삭재에서의 마무리면 조도의 정밀도나 치수 정밀도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공구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단부(11)의 상승면(12)을 단부(11)의 각부가 그리는 회전궤적원의 접선(N)에 대하여 공구회전방향(T) 후방측이며 공구직경방향측으로 소정의 각도(α)만큼 경사지게 하였을 경우, 공구회전방향(T)에서 선행하는 절삭날(14)의 외주단부에 대응하는 각부의 바로 뒤쪽에 배치된, 후속하는 절삭날(14)의 내주단부는 절삭에 관여하지 않게 된다(도 5 참조). 그 때문에, 절삭에 따라 후속하는 절삭날(14)의 내주단부에 부스러기의 일부가 융착하는 등에 의해 단차(Q)가 없어져버릴 우려가 없고, 부스러기를 확실하게 세분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닉의 홈 폭, 위치, 개수 등이 설계상의 문제로 한정되는 종래의 닉모양 드릴과 달리, 본 발명의 드릴링 공구는 요구되는 부스러기의 폭에 맞추어 보조홈(7)의 개수나 폭(W) 등은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각 절삭날(14)의 길이를 설계상의 제한을 받지 않고 원하는 길이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부스러기의 폭을 4mm 정도 까지밖에 세분화할 수 없는 종래의 닉모양 드릴과 달리, 부스러기를 원하는 폭까지 세분화시켜서 더욱 미세화할 수 있다. 그 결과, 예를 들어, 실린더 블럭, 저널 급유구멍 등의 엔진 블록 부품과 같은 복잡한 형상의 깊은 구멍을 가공하는 경우에도, 부스러기를 쉽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고, 부스러기의 잔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닉모양 드릴과 달리 절삭날을 연마할 때마다 닉을 재가공하는 작업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작업효율이 뛰어나다.
또한, 절삭날(15)을 구성하는 3개의 절삭날(14, 14, 14)과 다른 절삭날(15)을 구성하는 3개의 절삭날(14, 14, 14)이 서로 축선(O)에 대하여 회전대칭인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축선(O)에 대하여 서로 180° 회전대칭인 위치에 있는 절삭날(14, 14)끼리 대략 같은 길이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각 절삭날(14)에 균형적으로 균등하게 절삭저항이 가해져서, 절삭시에 각각의 절삭날(14)에 작용하는 절삭력의 균형이 유지된다. 그 결과, 공구의 회전이 안정되고, 진동의 발생이 억제되기 때문에, 구멍위치 정밀도, 구멍직경 치수, 진원도(roundness), 진직도(straightness), 마무리면 조도 등의 가공구멍의 가공정밀도가 뛰어나다.
더욱이, 모든 절삭날(14)의 길이를 대략 같게 하였을 경우, 각 절삭날(14)로부터 생성되는 부스러기의 폭이나 변형 방법 등이 일치하게 된다. 그 때문에, 일부 부스러기만 길게 늘어나는 일이 없이, 각 절삭날(14)에서 안정적으로 동일하게 부스러기가 처리된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드릴링 공구(1)는, 보조홈(7)의 마무리부(5)가 부스러기 배출용 홈(4)의 마무리부(5)와 달리, 그 보조홈(7)의 공구회전방향(T) 전방측을 향하는 내면(9)에 대하여 대략 수직방향을 향하여 점차 올라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부스러기가 보조홈(7)의 마무리부(8)에 도달한 경우에는 부스러기 배출용 홈(4)의 내부를 향하여 밀려나오게 된다. 그 때문에, 드릴링 공구(1)는 부스러기 배출성이 뛰어나고, 부스러기의 걸림에 의한 치핑, 공구의 결손, 가공면의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공구 수명의 연장 및 가공정밀도가 향상된다.
이에 대하여,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조홈(37)의 마무리부(38)가 부스러기 배출용 홈(4)의 마무리부(5)와 마찬가지로, 공구회전방향(T) 전방을 향하는 내면(9)에 따라 선단측으로부터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공구본체(2)의 중심측으로부터 외주측을 향하여 올라간 종래의 드릴링 공구(30)에서는, 부스러기가 보조홈(37)의 마무리부(38)에 도달하였을 경우, 보조홈(37)의 마무리부(38)에서 공구본체(2)의 외주측으로 그 부스러기가 밀려나오게 된다. 그 때문에, 부스러기가 공구직경방향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는 보조홈(37)의 마무리부(38)와 피삭재 사이의 좁은 틈에 걸릴 가능성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드릴링 공구(1)의 보조홈(7)의 길이(L2)는 부스러기 배출용 홈(4)의 길이(L1)보다 짧기 때문에, 부스러기 배출용 홈(4)과 같은 길이의 보조홈(37)을 구비하는 종래의 드릴링 공구(30)(도 8 참조)에 비하여, 드릴링 공구(1)가 공구본체(2) 후단측의 두께가 증가하고, 공구의 강성이 크다. 그 때문에, 깊은 구멍의 가공에 사용되는 건 드릴과 같은 전체길이가 긴 공구에 상기와 같은 형상의 절삭날이 적용된 경우에도, 공구의 강성이 충분히 확보되고, 위축 진동의 발생이나 공구의 절손이 억제된다.
또한, 보조홈(7)의 길이(L2)가 부스러기 배출용 홈(4)의 길이(L1)보다 짧게 설정됨으로써, 보조홈(7)을 가공하는데 필요한 시간이 짧아진다. 이에 의해, 부스러기 배출용 홈(4)과 같은 길이의 보조홈(37)을 구비하는 종래의 드릴링 공구(30)에 비하여, 드릴링 공구(1)의 제조시간이 단축되고, 제조비용이 삭감된다.
이와 같이 보조홈(7)의 길이(L2)가 부스러기 배출용 홈(4)의 길이(L1)보다 짧게 설정된 경우에도, 부스러기 배출용 홈(4)의 길이(L1)는 종래대로 길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부스러기를 배출하기 위한 공간이 충분히 확보된다. 또한, 보조홈(7)의 마무리부(8)에 도달한 부스러기가 보조홈(7)의 마무리부(8)의 마무리 방향에 따라 부스러기 배출용 홈(4)의 내부를 향하여 밀려나오게 되기 때문에, 드릴링 공구(1)는 뛰어난 부스러기 배출성을 발휘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드릴링 공구(1)에는 공구본체(2)의 선단측으로부터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웹(3)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웹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공구의 강성이 종래보다 향상된다.
이와 같이 공구 강성의 향상이라는 관점에서, 백 테이퍼를 형성한 공구본체(2)에 웹 테이퍼가 형성된 경우, 공구본체(2)의 후단측에는 부스러기 배출용 홈(4)의 단면적을 늘릴 수 없어서, 공구본체(2)의 선단측에 비하여 부스러기 배출용 홈(4)의 단면적이 작아지게 된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드릴링 공구(1)에 따르면, 계단형상의 절삭날(14)에 의해 부스러기를 세분화할 수 있고 부스러기 처리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부스러기 배출용 홈(4)의 단면적이 크게 확보되지 않아도 공구본체(2)의 후단측에서 부스러기가 부스러기 배출용 홈(4) 안에 막혀버리거나 공구본체(2)와 피삭재 사이에 걸리지 않는다. 그 때문에, 백 테이퍼를 형성한 공구본체(2)에 웹 테이퍼를 형성할 수 있게 되고, 공구 강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의 백 테이퍼 모양 드릴(40)은 부스러기를 확실하게 배출하기 위하여 부스러기 배출용 홈의 단면적을 어느 정도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웹(43)은 백 테이퍼에 대응하여 공구본체(2)의 선단측으로부터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웹(43)의 두께가 얇아지게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보조홈(37)의 개수가 많아지면 공구의 강성이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드릴링 공구(1)에서는, 공구본체(2)에 선단측으로부터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웹(3)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웹 테이퍼를 형성하는 것으로 하였는데, 그 대신,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웹(3')의 두께를 바꾸지 않고 대략 일정하게 하고, 공구본체(2)의 전체길이에 걸쳐서 심두께(D)와 대략 같은 두께로 설정하여도 된다. 이 경우, 공구본체(2)의 선단측으로부터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웹(43)의 두께가 얇아지는 종래의 백 테이퍼 모양 드릴(40)에 비하여, 공구의 강성이 향상된다. 또한, 도 7의 드릴링 공구는 공구본체(2)에 선단측으로부터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웹(3)의 두께가 두꺼워지게 형성된 상기 드릴링 공구(1)에 비하여 부스러기 배출용 홈(4)의 단면적이 커지기 때문에, 그 만큼 부스러기 배출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드릴링 공구(1)에서는, 보조홈(7)의 개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직경이 같은 드릴링 공구(1)의 경우, 보조홈(7)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절삭날(14)의 개수가 많아지고, 절삭에 관여하는 1날당 길이가 짧아지기 때문에, 각 절삭날(14)로부터 유출되는 부스러기의 폭이 가늘어진다. 결국, 이 보조홈(7)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만큼 부스러기는 폭방향으로 분할되기 때문에, 부스러기 세분화의 관점에서는 보조홈(7)의 개수가 많을수록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공구의 직경이 12mm이면 하나의 부스러기 배출용 홈(4) 안에 2~4개, 공구의 직경이 16mm이면 3~5개의 보조홈(7)을 설치함으로써, 부스러기를 1~4mm 정도의 폭까지 세분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드릴링 공구(1)는, 각 보조홈(7)의 폭(W)을 대략 같게, 부스러기 배출용 홈(4)의 공구직경방향에서의 폭을 2개의 보조홈(7, 7)에 의해 3등분하는 폭으로 설정하여 모든 절삭날(14)의 길이를 대략 같은 길이로 하였는데, 그 대신, 예를 들어, 보조홈의 폭(W)을 3등분보다 짧게 설정하거나, 각각의 보조홈의 폭을 바꾸어서, 각 절삭날(14)의 길이를 사용목적이나 사용조건에 따라 임의의 폭으로 할 수 있다. 이 보조홈(7)의 폭(W)이 좁을수록 1개의 부스러기 배출용 홈(4) 안에 형성할 수 있는 보조홈(7)의 개수가 늘어나고, 절삭날(14)의 개수가 증가한다. 이에 의해 1날당 길이가 짧아지기 때문에, 부스러기 세분화의 관점에서는 보조홈(7)의 폭(W)이 좁을수록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드릴링 공구(1)는, 모든 보조홈(7)의 길이(L)를 같은 길이로 하였는데, 그 대신, 1개의 부스러기 배출용 홈(4) 안에 인접하는 각 보조홈(7)의 길이가 공구직경방향 안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감에 따라 점차 짧아지게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공구의 강성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드릴링 공구(1)는, 보조홈(7)의 마무리부(8)를 선단측으로부터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그 보조홈(7)의 공구회전방향(T) 전방측을 향하는 내면(9)에 대하여 대략 수직방향으로 점차 올라가게 형성하였다. 하지만, 보조홈(7)의 마무리부(8)의 마무리 방향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보조홈(7)의 마무리부(8)는 부스러기 배출용 홈(4)의 공구회전방향(T) 전방측을 향하는 내면(6)에 대하여 대략 수직방향으로 점차 올라가게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드릴링 공구(1)는, 단부(11)의 단차(Q)가 0.5mm로서, 상승면(12)의 경사각(α)이 15°인데, 본 발명의 드릴링 공구는 단부(11)의 단차(Q) 및 상승면(12)의 경사각(α)을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단부(11)의 단차(Q)는 0.15mm 이상 2.0mm 이하, 유리하게는 0.25mm 이상 1.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차(Q)가 0.15mm보다 작으면, 절삭에 따라 발생하는 융착물에 의해 단차(Q)가 없어져서, 각 절삭날(14)에서 부스러기가 분단되지 않고 이어져 버려서 폭이 넓은 부스러기가 생성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단차(Q)가 2.0mm보다 크면, 공구본체(2)의 단면적이 작아져서, 공구 강성이 떨어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승면(12)의 경사각(α)은 0°<α≤45°, 유리하게는 2°<α≤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승면(12)이 단부(11)의 각도가 그리는 회전궤적원의 접선(N)에 대하여 공구회전방향(T) 전방측으로 경사져 있으면, 후속하는 절삭날(14)의 내주단부에서도 절삭이 이루어져 버리기 때문에, 각 절삭날(14)에서 부스러기가 분단되지 않고 이어져 버려서 폭이 넓은 부스러기가 생성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레이크면(10)과 상승면(12)이 이루는 각도가 90°이고, 그리고 상승면(12)의 접선(N)에 대한 경사각(α)이 0°이면, 절삭에 따라 후속하는 절삭날(14)의 내주단부에 부스러기의 일부가 융착하는 등에 의한 경우, 부스러기가 각 절삭날에서 분단되지 않고 이어져 버릴 가능성이 있다. 또한, 상승면(12)의 경사각(α)이 45°를 넘으면, 본 발명의 드릴링 공구는 레이크면(10)과 상승면이 교차하는 능선부의 강도를 유지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드릴링 공구(1)는, 2장의 절삭날(15, 15)이 설치된 2장날 드릴인데, 본 발명의 드릴링 공구는 1장날 드릴이나 3장날 드릴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드릴링 공구가 3장날인 경우, 3장의 절삭날(15, 15, 15) 각각을 구성하는 절삭날(14, 14, 14)이 축선(O)에 대하여 120° 회전대칭(3회 대칭)으로 배치됨으로써, 공구의 회전이 안정된다. 이에 의해, 진동의 발생이 억제되어, 가공면 품위, 치수 정밀도 등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드릴링 공구를 설명하기 위하여, 드릴링 공구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드릴링 공구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인 솔리드 드릴, 팁(tipped) 드릴, 탑 솔리드 드릴, 코어 드릴, 리머, 보링 커터 등 여러 종류의 드릴링 공구가 될 수 있다. 또한, 공구본체(2)의 외주부에 마무리면 조도 향상의 관점에서 장치를 설치하여도 된다. 또한, 가이드성 향상의 관점에서 가이드 패드를 설치하여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는데, 본 실시예는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하고,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에서 이탈하지 않는 한, 치환, 변경이 가능하다.
1: 드릴링 공구 2: 공구본체
3: 웹 4: 부스러기 배출용 홈
5: 마무리부 6: 내면
7: 보조홈 8: 마무리부
9: 내면 10: 레이크면
11: 단부 12: 상승면
14, 15: 절삭날 16: 선단 플랭크면
17: 오일구멍 20: 생크부

Claims (13)

  1. 축선(0) 둘레로 회전되는 외형이 원기둥 형상인 공구본체(2)와,
    상기 공구본체(2)의 외주부에 상기 공구본체(2)의 선단면으로부터 후단측을 향하여 뻗도록 형성된 부스러기 배출용 홈(4)과,
    상기 부스러기 배출용 홈(4)의 공구회전방향(T) 전방측을 향하는 내면(6)에, 상기 공구본체(2)의 선단면로부터 후단측을 향하여 뻗도록 형성된 적어도 1개의 보조홈(7)과,
    상기 부스러기 배출용 홈(4) 및 상기 적어도 1개의 보조홈(7) 각각의 공구회전방향(T) 전방측을 향하는 내면에 형성된 레이크면(10)과,
    상기 공구본체(2)의 선단면에 형성된 선단 플랭크면(16)과,
    상기 선단 플랭크면(16)과 상기 레이크면(10)과의 교차능선부에 형성된 절삭날(14)을 구비하고,
    상기 부스러기 배출용 홈(4)의 공구회전방향(T) 전방측을 향하는 내면은, 상기 레이크면(10)에 의해 적어도 1개의 단부(11)를 가지는 계단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홈(7)의 후단측의 마무리부(8)가 상기 부스러기 배출용 홈(4)의 후단측의 마무리부(5)와 다른 방향으로 올라가 있는 드릴링 공구(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러기 배출용 홈(4)의 마무리부(5)가, 공구회전방향(T) 전방측을 향하는 내면에 따라 선단측으로부터 후단측을 향하여 상기 공구본체(2)의 중심측으로부터 외주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점차 올라가 있는 드릴링 공구(1).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홈(7)의 마무리부(8)가 선단측으로부터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보조홈(7)의 공구회전방향(T) 전방측을 향하는 내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점차 올라가 있는 드릴링 공구(1).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홈(7)의 길이가 상기 부스러기 배출용 홈(4)의 길이보다 짧은 드릴링 공구(1).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본체(2)에 선단측으로부터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외경이 가늘어지는 백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구본체(2)의 후단측에서의 웹(3)의 두께가 상기 공구본체(2)의 심두께 이상인 드릴링 공구(1).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본체(2)에 선단측으로부터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웹(3)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웹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는 드릴링 공구(1).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본체(2)의 선단측으로부터 후단측을 향하여 웹(3)의 두께가 일정한 드릴링 공구(1).
  8. 제 1 항에 있어서,
    공구본체(2)는 레이크면(10)으로부터 상승하는 상승면(12)을 구비하고,
    상승면(12)은 상승면(12)과 레이크면(10)이 교차하는 단부(11)로부터 단부(11)의 각부에 의해 그려진 회전궤적원에 의한 접선(N)에 대하여 공구회전방향(T) 후단측이며 공구직경방향 안쪽으로 경사져 있는 드릴링 공구(1).
  9. 제 1 항에 있어서,
    보조홈(7)의 마무리부(8)는 부스러기 배출용 홈(4)의 마무리부(5)보다 선단에 더 가까이 위치되는 드릴링 공구(1).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스러기 배출용 홈(4) 내의 서로 인접한 보조홈들(7)은 공구직경방향 안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감에 따라 점차 짧아지게 설정된 길이를 구비하는 드릴링 공구(1).
  11. 축선(0) 둘레로 회전되는 외형이 원기둥 형상인 공구본체(2)와,
    상기 공구본체(2)의 외주부에 상기 공구본체(2)의 선단면으로부터 후단측을 향하여 뻗도록 형성된 부스러기 배출용 홈(4)과,
    상기 부스러기 배출용 홈(4)의 공구회전방향(T) 전방측을 향하는 내면(6)에, 상기 공구본체(2)의 선단면로부터 후단측을 향하여 뻗도록 형성된 적어도 1개의 보조홈(7)과,
    상기 부스러기 배출용 홈(4) 및 상기 적어도 1개의 보조홈(7) 각각의 공구회전방향(T) 전방측을 향하는 내면에 형성된 레이크면(10)과,
    상기 공구본체(2)의 선단면에 형성된 선단 플랭크면(16)과,
    상기 선단 플랭크면(16)과 상기 레이크면(10)과의 교차능선부에 형성된 절삭날(14)을 구비하고,
    상기 부스러기 배출용 홈(4)의 공구회전방향(T) 전방측을 향하는 내면은, 상기 레이크면(10)에 의해 적어도 1개의 단부(11)를 가지는 계단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홈(7)의 후단측의 마무리부(8)가 상기 부스러기 배출용 홈(4)의 후단측의 마무리부(5)와 다른 방향으로 올라가 있으며,
    상기 부스러기 배출용 홈(4)의 마무리부(5)가, 공구회전방향(T) 전방측을 향하는 내면에 따라 선단측으로부터 후단측을 향하여 상기 공구본체(2)의 중심측으로부터 외주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점차 올라가 있고,
    상기 보조홈(7)의 마무리부(8)가 선단측으로부터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보조홈(7)의 공구회전방향(T) 전방측을 향하는 내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점차 올라가 있으며,
    상기 보조홈(7)의 길이가 상기 부스러기 배출용 홈(4)의 길이보다 짧고,
    상기 공구본체(2)에 선단측으로부터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외경이 가늘어지는 백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구본체(2)의 후단측에서의 웹(3)의 두께가 상기 공구본체(2)의 심두께 이상인 드릴링 공구(1).
  12. 축선(0) 둘레로 회전되는 외형이 원기둥 형상인 공구본체(2)와,
    상기 공구본체(2)의 외주부에 상기 공구본체(2)의 선단면으로부터 후단측을 향하여 뻗도록 형성된 부스러기 배출용 홈(4)과,
    상기 부스러기 배출용 홈(4)의 공구회전방향(T) 전방측을 향하는 내면(6)에, 상기 공구본체(2)의 선단면로부터 후단측을 향하여 뻗도록 형성된 적어도 1개의 보조홈(7)과,
    상기 부스러기 배출용 홈(4) 및 상기 적어도 1개의 보조홈(7) 각각의 공구회전방향(T) 전방측을 향하는 내면에 형성된 레이크면(10)과,
    상기 공구본체(2)의 선단면에 형성된 선단 플랭크면(16)과,
    상기 선단 플랭크면(16)과 상기 레이크면(10)과의 교차능선부에 형성된 절삭날(14)을 구비하고,
    상기 부스러기 배출용 홈(4)의 공구회전방향(T) 전방측을 향하는 내면은, 상기 레이크면(10)에 의해 적어도 1개의 단부(11)를 가지는 계단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홈(7)의 후단측의 마무리부(8)가 상기 부스러기 배출용 홈(4)의 후단측의 마무리부(5)와 다른 방향으로 올라가 있으며,
    상기 부스러기 배출용 홈(4)의 마무리부(5)가, 공구회전방향(T) 전방측을 향하는 내면에 따라 선단측으로부터 후단측을 향하여 상기 공구본체(2)의 중심측으로부터 외주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점차 올라가 있고,
    상기 보조홈(7)의 마무리부(8)가 선단측으로부터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보조홈(7)의 공구회전방향(T) 전방측을 향하는 내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점차 올라가 있으며,
    상기 보조홈(7)의 길이가 상기 부스러기 배출용 홈(4)의 길이보다 짧고,
    상기 공구본체(2)에 선단측으로부터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외경이 가늘어지는 백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구본체(2)의 후단측에서의 웹(3)의 두께가 상기 공구본체(2)의 심두께 이상이며,
    상기 공구본체(2)에 선단측으로부터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웹(3)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웹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는 드릴링 공구(1).
  13. 축선(0) 둘레로 회전되는 외형이 원기둥 형상인 공구본체(2)와,
    상기 공구본체(2)의 외주부에 상기 공구본체(2)의 선단면으로부터 후단측을 향하여 뻗도록 형성된 부스러기 배출용 홈(4)과,
    상기 부스러기 배출용 홈(4)의 공구회전방향(T) 전방측을 향하는 내면(6)에, 상기 공구본체(2)의 선단면로부터 후단측을 향하여 뻗도록 형성된 적어도 1개의 보조홈(7)과,
    상기 부스러기 배출용 홈(4) 및 상기 적어도 1개의 보조홈(7) 각각의 공구회전방향(T) 전방측을 향하는 내면에 형성된 레이크면(10)과,
    상기 공구본체(2)의 선단면에 형성된 선단 플랭크면(16)과,
    상기 선단 플랭크면(16)과 상기 레이크면(10)과의 교차능선부에 형성된 절삭날(14)을 구비하고,
    상기 부스러기 배출용 홈(4)의 공구회전방향(T) 전방측을 향하는 내면은, 상기 레이크면(10)에 의해 적어도 1개의 단부(11)를 가지는 계단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홈(7)의 후단측의 마무리부(8)가 상기 부스러기 배출용 홈(4)의 후단측의 마무리부(5)와 다른 방향으로 올라가 있으며,
    상기 부스러기 배출용 홈(4)의 마무리부(5)가, 공구회전방향(T) 전방측을 향하는 내면에 따라 선단측으로부터 후단측을 향하여 상기 공구본체(2)의 중심측으로부터 외주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점차 올라가 있고,
    상기 보조홈(7)의 마무리부(8)가 선단측으로부터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보조홈(7)의 공구회전방향(T) 전방측을 향하는 내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점차 올라가 있으며,
    상기 보조홈(7)의 길이가 상기 부스러기 배출용 홈(4)의 길이보다 짧고,
    상기 공구본체(2)에 선단측으로부터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외경이 가늘어지는 백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구본체(2)의 후단측에서의 웹(3)의 두께가 상기 공구본체(2)의 심두께 이상이며,
    상기 공구본체(2)의 선단측으로부터 후단측을 향하여 웹(3)의 두께가 일정한 드릴링 공구(1).
KR20117029154A 2009-06-11 2010-06-04 드릴링 공구 KR1012884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40447 2009-06-11
JP2009140447 2009-06-11
PCT/JP2010/059542 WO2010143595A1 (ja) 2009-06-11 2010-06-04 穴あけ工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6267A KR20120016267A (ko) 2012-02-23
KR101288439B1 true KR101288439B1 (ko) 2013-07-26

Family

ID=43308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7029154A KR101288439B1 (ko) 2009-06-11 2010-06-04 드릴링 공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028179B2 (ko)
EP (1) EP2441543B1 (ko)
JP (1) JP4919182B2 (ko)
KR (1) KR101288439B1 (ko)
CN (1) CN102802851B (ko)
BR (1) BRPI1010618A2 (ko)
CA (1) CA2763051C (ko)
RU (1) RU2487783C1 (ko)
WO (1) WO20101435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41840A1 (de) * 2010-10-01 2012-04-05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Ventilationsbohrung in einem Lagerstuhl eines Kurbelgehäuses einer Hubkolben-Brennkraftmaschine
US9232952B2 (en) 2012-04-16 2016-01-12 Medtronic Ps Medical, Inc. Surgical bur with non-paired flutes
JP5584790B1 (ja) * 2013-02-27 2014-09-03 株式会社タンガロイ ドリルの先端構造並びに該先端構造を有するドリルおよびドリルヘッド
US9883873B2 (en) 2013-07-17 2018-02-06 Medtronic Ps Medical, Inc. Surgical burs with geometries having non-drifting and soft tissue protective characteristics
CN105451918B (zh) * 2013-08-26 2018-08-14 京瓷株式会社 钻头以及使用了该钻头的切削加工物的制造方法
US10335166B2 (en) * 2014-04-16 2019-07-02 Medtronics Ps Medical, Inc. Surgical burs with decoupled rake surfaces and corresponding axial and radial rake angles
JP6223316B2 (ja) * 2014-11-13 2017-11-01 ジヤトコ株式会社 切削装置
TWI508804B (zh) * 2014-12-23 2015-11-21 Hsin Tien Chang Screw feed cutter
CN105798358A (zh) * 2014-12-27 2016-07-27 汪风珍 齿钻
CN105983718A (zh) * 2015-02-16 2016-10-05 汪风珍 一种钻头
US9955981B2 (en) 2015-03-31 2018-05-01 Medtronic Xomed, Inc Surgical burs with localized auxiliary flutes
US10265082B2 (en) 2015-08-31 2019-04-23 Medtronic Ps Medical, Inc. Surgical burs
JP5967328B1 (ja) * 2016-03-28 2016-08-10 株式会社タンガロイ 穴あけ工具
DE102017111630A1 (de) * 2017-05-29 2018-11-29 Botek Präzisionsbohrtechnik Gmbh Einlippen-Tieflochbohrer mit abgesetzter Spanfläche
CN107081456A (zh) * 2017-06-19 2017-08-22 沈阳飞机工业(集团)有限公司 一种加工深孔用拉式扩孔刀具
JP7164101B2 (ja) * 2018-02-06 2022-11-01 国立大学法人東海国立大学機構 ドリルおよびドリル加工装置
DE102018114138A1 (de) * 2018-06-13 2019-12-19 Botek Präzisionsbohrtechnik Gmbh Tieflochbohrer mit mehreren Spanformern und Mulden in der Spanfläche
CN109227062A (zh) * 2018-09-21 2019-01-18 上海名古屋精密工具股份有限公司 一种圆柱形切削刀具的制作方法
WO2024176372A1 (ja) * 2023-02-22 2024-08-29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ドリル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91418U (ko) * 1973-12-24 1975-08-01
JPS6074904U (ja) * 1983-10-28 1985-05-25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ガンドリル
JPS6442815U (ko) * 1987-09-05 1989-03-14
JPH0691418A (ja) * 1991-06-04 1994-04-05 Ishikura Kogyo Kk バニッシングドリル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7639A (en) * 1906-05-21 1907-10-08 George J Bragg Twist-drill.
US1407546A (en) * 1919-10-15 1922-02-21 Joseph Felix Alexander Twist drill
US2201159A (en) * 1937-05-10 1940-05-21 Philplug Products Ltd Boring or drilling tool
US2646701A (en) * 1949-12-27 1953-07-28 Peter A Letien Stepped edge cutting tool
SU517411A1 (ru) * 1972-10-10 1976-06-15 Московское Ордена Ленина И Ордена Трудового Красного Знамени Высшее Техническое Училище Имени Н.Э. Баумана Многоперовое сверло
JPS5014097U (ko) * 1973-05-31 1975-02-14
JPS53199B2 (ko) 1973-06-11 1978-01-06
US4080093A (en) * 1974-11-18 1978-03-21 Hartmetallwerkzeugfabrik Andreas Maier Kg Drill for electronic conductor plates
JPS5923925B2 (ja) * 1975-12-29 1984-06-06 カブシキガイシヤ ササクラキカイセイサクシヨ ドリルリ−マ−フクゴウセンコウグ
SU663501A2 (ru) * 1977-12-26 1979-05-25 Минское Специальное Конструкторское Бюро Автоматических Линий Спиральное сверло
JPS6042509U (ja) * 1983-08-29 1985-03-26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ガンドリル
JPS6074904A (ja) 1983-09-28 1985-04-27 Toyo Electric Mfg Co Ltd 電気車制御装置
JPS6442815A (en) 1987-08-10 1989-02-15 Mitsubishi Electric Corp Compound semiconductor crystal growth method
DE3730378A1 (de) * 1987-09-10 1989-03-23 Micro Crystal Ag Schneidwerkzeug, insbesondere bohrer und/oder fraeser
JP2523616Y2 (ja) * 1989-08-31 1997-01-29 東芝タンガロイ株式会社 穴あけ工具
JPH03196908A (ja) * 1989-12-22 1991-08-28 Masahiro Morita ドリル
EP0817694B1 (de) * 1995-03-30 2001-12-05 Vilab Ag Schneidwerkzeug
JPH08323541A (ja) * 1995-05-26 1996-12-10 Fuji Seiko Kk チップブレーカ付きリーマ
JP3766473B2 (ja) * 1996-07-12 2006-04-12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段付きドリル
IL120948A0 (en) * 1997-05-29 1997-09-30 Iscar Ltd Cutting tool assembly
US20030185640A1 (en) * 2002-03-27 2003-10-02 Eiji Ito Multiple rake drill bits
JP3720010B2 (ja) * 2002-10-02 2005-11-24 オーエスジー株式会社 深穴加工用ドリル
DE102005005982A1 (de) * 2005-02-09 2006-08-17 Günther & Co GmbH Tieflochbohrer
JP2007050477A (ja) 2005-08-18 2007-03-01 Mitsubishi Materials Kobe Tools Corp 超高圧焼結体チップ付きドリル
JP2009101460A (ja) * 2007-10-23 2009-05-14 Omi Kogyo Co Ltd 切削工具
JP4941356B2 (ja) 2008-02-28 2012-05-30 株式会社タンガロイ 穴あけ工具
CN201223962Y (zh) * 2008-07-21 2009-04-22 哈尔滨汽轮机厂有限责任公司 阶梯分屑槽深孔钻
JP5413888B2 (ja) 2009-04-24 2014-02-12 株式会社タンガロイ 穴あけ工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91418U (ko) * 1973-12-24 1975-08-01
JPS6074904U (ja) * 1983-10-28 1985-05-25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ガンドリル
JPS6442815U (ko) * 1987-09-05 1989-03-14
JPH0691418A (ja) * 1991-06-04 1994-04-05 Ishikura Kogyo Kk バニッシングドリ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802851B (zh) 2014-11-19
EP2441543A4 (en) 2017-04-05
JP4919182B2 (ja) 2012-04-18
WO2010143595A1 (ja) 2010-12-16
EP2441543B1 (en) 2018-10-03
US20120063860A1 (en) 2012-03-15
JPWO2010143595A1 (ja) 2012-11-22
RU2487783C1 (ru) 2013-07-20
CA2763051C (en) 2013-05-28
US9028179B2 (en) 2015-05-12
CN102802851A (zh) 2012-11-28
EP2441543A1 (en) 2012-04-18
KR20120016267A (ko) 2012-02-23
BRPI1010618A2 (pt) 2016-03-15
CA2763051A1 (en) 2010-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8439B1 (ko) 드릴링 공구
KR101699971B1 (ko) 솔리드 스텝 드릴
JP6421792B2 (ja) ドリル及びドリルヘッド
EP1666180B1 (en) Drill
JP5013435B2 (ja) ボールエンドミル
JP5683584B2 (ja) ドリル
RU2661684C2 (ru) Сверло для глубокого сверления
KR20110103066A (ko) 자동차 항공부품 정밀공차홀 가공용 드릴 리머공구
CN110446575B (zh) 球头立铣刀
CN110167702B (zh) 模具加工用立铣刀
KR20100103359A (ko) 드릴
KR20110109831A (ko) 리머
DK2758200T3 (en) Cutters
JP5746806B2 (ja) インデキサブル式ドリルのドリル本体
US20050271482A1 (en) Ballnose end mill
WO2016047803A1 (ja) ドリル及びドリルヘッド
JP2008062369A (ja) 穴あけ工具に取り付けられるチップの製造方法、並びに穴あけ工具の製造方法および穴あけ工具
JP4941356B2 (ja) 穴あけ工具
JP2016064477A (ja) ドリル
JP5413888B2 (ja) 穴あけ工具
KR101170164B1 (ko) 부등분할 구조의 리머
JP2016147328A (ja) ドリル
CN113560645B (zh) 具有与每齿进刀量成比例的切屑空间的旋转切削刀具
JP5018135B2 (ja) スローアウェイ式切削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