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4551B1 - 휴대단말기간의 어플리케이션 이체설치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간의 어플리케이션 이체설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4551B1
KR101284551B1 KR1020110048478A KR20110048478A KR101284551B1 KR 101284551 B1 KR101284551 B1 KR 101284551B1 KR 1020110048478 A KR1020110048478 A KR 1020110048478A KR 20110048478 A KR20110048478 A KR 20110048478A KR 101284551 B1 KR101284551 B1 KR 101284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mobile terminal
information
portabl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8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9946A (ko
Inventor
송상민
Original Assignee
(주)지온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702226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28455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온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지온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110048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4551B1/ko
Priority to PCT/KR2012/002477 priority patent/WO2012144756A2/ko
Priority to AU2012246918A priority patent/AU2012246918B2/en
Priority to US13/447,183 priority patent/US9032395B2/en
Priority to CN201210118288.3A priority patent/CN102750162B/zh
Priority to JP2012096152A priority patent/JP5653958B2/ja
Publication of KR20120119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9946A/ko
Priority to HK13104933.7A priority patent/HK1177970A1/zh
Publication of KR101284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45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riority to JP2014145746A priority patent/JP5902249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1Instal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61Computing infrastructure, e.g. computer clusters, blade chassis or hardware partitio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1Installation
    • G06F8/63Image based installation; Cloning; Build to ord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software upgrading or downloa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 G06F9/44505Configuring for program initiating, e.g. using registry, configuration 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새로운 휴대단말기 구매시 기존 휴대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던 어플리케이션을 신규 휴대단말기에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단말기간의 어플리케이션 이체설치 방법이 개시된다. 데이터 이체를 위한 이체장치와 데이터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제1휴대단말기로부터, 이체장치가 제1휴대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식별정보를 추출한다. 이체장치는 식별정보를 토대로 어플리케이션의 파일을 웹상에서 제공하는 어플장터에서 다운로드받아 구비하거나, 어플리케이션을 어플장터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링크정보를 추출한다. 이체장치는 제2휴대단말기로 이체장치가 어플리케이션의 파일을 전송하여 제2휴대단말기에 설치되도록 하거나 링크정보를 전송하여 제2휴대단말기에 저장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간의 어플리케이션 이체설치 방법 {Method for installing applications that have been installed in an old mobile terminal to a new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간의 어플리케이션 이체설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새로운 휴대단말기 구입시 기존의 휴대단말기에 기 설치되어 있던 어플리케이션을 새로운 휴대단말기에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 이체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하던 휴대폰을 새로운 휴대폰으로 교체하는 경우, 기존 휴대폰에 저장되어 있던 다양한 데이터들을 새로운 휴대폰에 입력할 필요가 있다. 기존 휴대폰에 저장되어 있던 데이터 중 대표적으로 중요한 데이터가 전화번호와 이름 등이 저장되어 있는 주소록 데이터이다. 주소록 데이터를 구 휴대폰으로부터 신 휴대폰으로 이체하기 위한 주소록 이체 프로그램이 상용화되어 있어, 사용자는 구 휴대폰으로부터 신 휴대폰으로 자동으로 주소록 데이터를 이체시킬 수 있다.
상용화된 이체 프로그램은 예컨대 휴대폰을 판매하는 대리점이나 휴대폰의 수리를 하는 서비스 센터 등에 비치된 컴퓨터 내에 탑재되어 주소록 이체를 수행하는 이체장치를 구성한다. 이러한 이체장치에 구 휴대폰을 연결한 후 구 휴대폰에 저장되어 있던 주소록 데이터를 이체장치가 읽어들이고, 이와 같이 읽어들인 주소록 데이터를 이체장치가 신 휴대폰의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한 후 신 휴대폰으로 전송함으로써 신 휴대폰에도 동일한 주소록 데이터가 저장된다. 이와 같은 이체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새로이 휴대폰을 구매한 경우에도 일일이 데이터를 입력하는 번거로움이 없이 기존 주소록을 이용할 수 있다.
최근에는 휴대폰의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주소록 데이터 외에도 사용자가 기존 휴대폰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중에서 신규 휴대폰에 이체시킬 필요가 있는 데이터의 종류가 많아지고 있다. 특히 컴퓨터의 기능을 겸한 휴대폰인 스마트폰이나 휴대용 컴퓨터인 태블릿 PC 의 경우(이하, '휴대단말기'라 함) 소위 '앱'이라고 불리는 어플리케이션이 다수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기존 휴대단말기에서 신규 휴대단말기로 자동 이체시켜 설치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지 않아 사용자는 신규 휴대단말기를 구매할 때마다 자신이 기존에 사용하던 어플리케이션을 일일이 새로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개개의 어플리케이션을 재설치하는 불편함과 함께 유료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는 대금 지불을 다시 하거나 사용 권한에 대한 인증을 다시 수행하여야 하는 등의 불편을 감수해야 한다. 또한 사용자에 따라서는 수십 개 내지 수백 개의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데, 자신이 사용하던 어플리케이션에 어떤 것들이 있었는지에 대해서도 정확하게 파악하기가 어려우며, 나아가 각 어플리케이션을 웹사이트에서 일일이 검색해서 찾아내야 하는 작업도 수행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휴대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던 어플리케이션을 신규 휴대단말기에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단말기간의 어플리케이션 이체설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데이터 이체를 위한 이체장치와 데이터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제1휴대단말기로부터, 상기 이체장치가 상기 제1휴대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이체장치가 상기 식별정보를 토대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파일을 제공하는 어플장터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파일을 다운로드받아 구비하거나,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어플장터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링크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이체장치와 데이터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제2휴대단말기로, 상기 이체장치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파일을 전송하여 상기 제2휴대단말기에 설치되도록 하거나, 상기 제2휴대단말기가 상기 어플장터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상기 이체장치가 상기 링크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간의 어플리케이션 이체설치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a) 단계 전에, 상기 식별정보를 상기 제1휴대단말기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이체장치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추출프로그램을 상기 이체장치가 상기 제1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체장치는,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파일을 상기 어플장터에서 다운로드 받기 위해서, 소정의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각각의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상기 식별정보의 데이터베이스를 실시간으로 제공받거나 사전에 제공받아 구비한다.
상기 제1휴대단말기와 상기 제2휴대단말기가 운영체제가 서로 상이한 경우,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어플장터는 상기 제2휴대단말기용 운영체제에 상응하는 어플장터가 된다. 이때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이체장치가 다운로드 받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되도록 구성된 어플리케이션이다.
상기 이체장치는,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링크정보를 추출하기 위하여 소정의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각각의 상기 식별정보에 대한 상기 링크정보의 데이터베이스를 실시간으로 제공받거나 사전에 제공받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 전에, 상기 이체장치가 상기 제2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파일을 상기 제2휴대단말기에 설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설치프로그램을, 상기 이체장치가 상기 제2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이체장치는 상기 식별정보와 함께 상기 제1휴대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함에 따라 생성된 부가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이체장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파일 또는 상기 링크정보와 함께 상기 부가데이터를 상기 제2휴대단말기로 전송하여 저장한다.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이체장치는 상기 식별정보와 함께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상기 제1휴대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한 사용 회수, 사용 시각, 및 사용 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이체장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파일 또는 상기 링크정보와 함께 상기 사용정보를 상기 제2휴대단말기로 전송한다. 상기 이체장치는 상기 사용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외부에 표시한다. 상기 이체장치는 표시된 상기 사용정보를 토대로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선택명령을 입력받으며, 상기 이체장치는, 상기 선택명령에 의해 선택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 상기 b) 단계 및 상기 c)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이체장치는 상기 식별정보와 함께 상기 제1휴대단말기의 사용자의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라이센스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이체장치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기 위하여 상기 어플장터에 상기 라이센스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이체장치는 상기 링크정보와 함께 상기 라이센스 정보를 상기 제2휴대단말기로 전송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a) 제1휴대단말기가 자신에게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어플장터에 대한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링크정보를, 상기 제1휴대단말기가 상기 식별정보를 토대로 추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1휴대단말기가 제2휴대단말기로 상기 링크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간의 어플리케이션 이체설치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a) 제1휴대단말기가 자신에게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식별정보를 추출하여 제2휴대단말기로 전송함에 따라 상기 제2휴대단말기가 상기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어플장터에 대한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링크정보를, 상기 제2휴대단말기가 상기 식별정보를 토대로 추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2휴대단말기가 상기 링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어플장터에 접속하여, 상기 어플장터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간의 어플리케이션 이체설치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새로운 휴대단말기 구매시 기존 휴대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던 어플리케이션을 신규 휴대단말기에 쉽게 설치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간의 어플리케이션 이체장치가 기존 및 신규 휴대단말기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 는 도 1 의 이체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어플리케이션 이체설치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3 은 도 2 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이체설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기존 및 신규 휴대단말기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 는 도 4 의 상태에서 어플리케이션이 이체설치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6 은 도 5 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간의 어플리케이션 이체장치가 기존 및 신규 휴대단말기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휴대단말기'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단말기 중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구동시킬 수 있는 기능이 탑재된 단말기를 칭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도 1 에서 도면부호 10 은 사용자가 사용하던 기존 휴대단말기(이하, '제1휴대단말기'이라 함)이고, 도면부호 20 은 사용자가 새로 사용할 신규 휴대단말기(이하, '제2휴대단말기'이라 함)이며, 도면부호 30 은 제1휴대단말기(10)과 제2휴대단말기(20)간의 어플리케이션 이체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이체장치(30)이다. 이체장치(30)는 통상적인 컴퓨터로 구성되며, 본 발명에 따른 이체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탑재됨으로써 일반적인 컴퓨터가 이체장치로서 기능한다. 도면부호 40 은 휴대단말기(10, 20)용 어플리케이션을 유상 또는 무상으로 다운로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웹사이트인 어플장터(application market)로서, 아이폰용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앱스토어나 안드로이드폰용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안드로이드 마켓과 같은 것을 의미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의 어플장터(40)는 이체장치(30)가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을 수 있는 모든 수단을 포함하는 의미로 정의되는 것으로서, 예컨대 CD(콤팩트 디스크)나 USB 메모리 등과 같은 저장매체에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한 상태로 배포/유통시키는 경우 이러한 저장매체를 이체장치(30) 내에 구비된 저장매체 판독장치를 통해 읽어들여 어플리케이션을 이체장치(30)가 얻는 경우도 포함된다.
도 2 는 도 1 의 이체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어플리케이션 이체설치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제1휴대단말기(10)를 이체장치(30)와 데이터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한다. 이들의 연결은 USB 케이블과 같은 유선 케이블에 의한 것이 일반적일 것이나, WiFi, 블루투스, 3G, 4G, 와이브로,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 등과 같이 광대역 통신 혹은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호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이 채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제1휴대단말기(10)가 이체장치(30)에 연결됨에 따라, 이체장치(30)는 제1휴대단말기(10)의 기종을 식별함으로써 제1휴대단말기(10)가 사용하는 운영체제(OS : Operating System)의 종류나 제1휴대단말기(10)가 채용하는 데이터 포맷 등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휴대단말기의 기종별로 사용하는 운영체제나 데이터 포맷에 대한 정보를 이체장치(30)가 사전에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휴대단말기(10)가 이체장치(30)에 연결된 상태에서, 이체장치(30)는 제1휴대단말기(10)에 추출프로그램을 전송하여 설치한다.(S110) 추출프로그램은 제1휴대단말기(10)에 기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식별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휴대단말기들에 채용되어 있는 다양한 운영체제들에 부합되도록 제작되어 이체장치(30)가 사전에 구비하고 있는 소프트웨어이다. 이러한 추출프로그램은 운영체제에 따라서는 동일한 기능이 지원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불필요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추출프로그램을 전송하여 설치하는 S110 단계는 생략된다. 예컨대 아이폰(i-phone)에 채용되어 있는 운영체제의 경우에는 아이폰에 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를 추출을 허용하고 있으므로 추출프로그램의 전송이 불필요하다. 그러나 구글(Google)의 운영체제를 탑재하고 있는 소위 안드로이드폰의 경우에는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 추출 기능을 제공하고 있지 않으므로 안드로이드폰에 설치 가능한 추출프로그램을 사전에 제작하여 제1휴대단말기(10)에 전송하여 설치함으로써 제1휴대단말기(10)에 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식별정보는 어플리케이션을 타 어플리케이션과 구별하여 식별하기 위한 일종의 코드이다. 이 식별정보는, 어플리케이션의 제작자에 의해 또는 제작자가 어플리케이션을 등록한 어플장터(40)의 관리자에 의해 각 어플리케이션별로 부여된 정보로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식별정보는 특정 운영체제에서 각 어플리케이션들을 서로 구분하는 고유 정보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식별정보는 각 어플리케이션의 어플장터(40)에서의 위치를 대표하는 고유정보(예컨대 URL 과 같은 정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모든 어플리케이션에는 서로를 구분할 수 있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그러한 것이 없을 경우 몇 가지 정보를 혼합하여 식별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현재는 모든 운영체제에서 어플리케이션 자체를 구분하는 고유의 식별정보가 존재한다.
추출프로그램은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식별정보를 추출하여(S120) 이체장치(30)로 전송하며(S130), 이에 따라 이체장치(30)에 의한 식별정보의 추출이 완료된다.
제1휴대단말기(10)로부터 식별정보가 추출되면 이체장치(30)는 식별정보를 통해 어떤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지를 알 수 있다. 추출한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특정하기 위해서는 이체장치(30)는 외부의 데이터베이스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즉,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특정하기 위해서, 이체장치(30)는 어플리케이션 제작자나 어플장터(40)의 관리자, 또는 이들로부터 위탁을 받은 식별정보 관리 업체가 운영하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 서버(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이러한 식별정보를 사전에 제공받아 각 어플리케이션별로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사전에 저장하고 있어야 한다. 또는, 이체장치(3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이와 같이 식별정보와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하여 매칭된 데이터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체 동작을 수행할 때마다 실시간(real-time)으로 조회하여 제공받을 수도 있다. 하나의 예로, 데이터베이스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에 대응되어 각 어플장터(40)에서 동 어플리케이션의 위치나 각각 상이한 복수의 어플장터(40)에서의 동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들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식별정보는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해 추출프로그램에 의해 또는 이를 수신한 이체장치(30)에 의해 암호화될 수 있다.
이체장치(30)는 어플장터(40)에 접속하여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한다.(S140) 이때 이체장치(30)는 식별정보 자체를 어플장터(40)에 전송하여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할 수도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 서버(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개개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이체장치(30) 자신이 사전에 구비함으로써 동 어플리케이션을 어플장터(40)에서 검색할 수도 있다. 어플장터(40)에서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의 존재가 확인되면, 이체장치(30)는 어플장터(40)로부터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파일을 다운로드하며(S150), 이에 따라 이체장치(30)에는 동 어플리케이션 파일이 저장된다.
다음으로, 이체장치(30)는 다운로드된 어플리케이션 파일을 신규 휴대단말기인 제2휴대단말기(20)에 설치하는 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제2휴대단말기(20)가 이체장치(30)에 데이터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어야 하며, 연결 방법은 제1휴대단말기(20)의 경우와 동일하다. 도 1 에서는 제1휴대단말기(10)과 제2휴대단말기(20)가 동시에 연결된 것처럼 도시하였으나, 실제로는 제1휴대단말기(10)으로부터 식별정보의 추출이 완료된 후에는 제1휴대단말기(10)은 이체장치(30)로부터 분리되고 그 후에 제2휴대단말기(20)가 연결되는 방식이 채용되는 것이 일반적일 것이다.
제2휴대단말기(20)가 연결된 상태에서, 이체장치(30)는 제1휴대단말기(1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2휴대단말기(20)의 기종을 식별하여 운영체제(OS : Operating System) 등을 식별하고, 이를 토대로 필요시 제2휴대단말기(10)에 설치프로그램을 전송하여 설치한다.(S160) 설치프로그램은 제2휴대단말기(20)에 어플리케이션 파일을 전송하는 경우 제2휴대단말기(20)가 전송받은 파일의 설치를 수행하도록 기동하는 프로그램으로서, 설치프로그램 또한 휴대단말기들에 채용되어 있는 다양한 운영체제들에 부합되도록 제작되어 이체장치(30)가 사전에 구비하고 있는 소프트웨어이다. 설치프로그램 또한 추출프로그램과 마찬가지로 운영체제에 따라서는 동일 기능이 지원되어 설치가 불필요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설치프로그램을 전송하여 설치하는 S160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이체장치(30)는 어플리케이션 파일을 제2휴대단말기(20)에 전송한다.(S170) 제2휴대단말기(20)의 설치프로그램은 전송받은 어플리케이션 파일의 설치 작업을 수행하며(S180), 이에 따라 신규 휴대단말기인 제2휴대단말기(20) 내에 제1휴대단말기(10)에 설치되어 있던 어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설치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휴대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던 어플리케이션들이 신규 휴대단말기에 자동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신규 휴대단말기로 교체할 때마다 자신이 기존에 사용하던 어플리케이션을 일일이 새로 설치할 필요가 없고, 자신이 사용하던 어플리케이션의 목록을 파악하여 일일이 어플장터(40)에서 검색하고 설치하지 않아도 동일 어플리케이션들이 자동으로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제1휴대단말기(10)와 제2휴대단말기(20)가 운영체제가 서로 상이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제1휴대단말기(10)는 아이폰이고 제2휴대단말기(20)는 안드로이드폰인 경우 양자는 운영체제가 상이하여 어플장터 또한 제1휴대단말기(10)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어플장터와 제2휴대단말기(20)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어플장터가 상이하게 존재한다. 이러한 경우 제2휴대단말기(20)에 이체될 어플리케이션은 제2휴대단말기(20)의 운영체제에 부합되는 것이어야 하므로, S140 단계에서 검색하는 대상은 제1휴대단말기(10)용 어플장터가 아니라 제2휴대단말기(20)용 어플장터가 되어야 한다. 통상적으로 어플리케이션 제작자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다수의 운영체제에 부합되도록 다종으로 제작하고 이를 각각의 어플장터에 등록하여 둔다. 따라서 동일 제작자에 의한 동일한 기능의 다종 어플리케이션에는 하나의 식별정보가 부여될 수 있으며, 또는 다종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상이한 식별정보를 부여하더라도 이들이 서로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임을 이체장치(30)에 사전에 알려줄 수 있다. 따라서 이체장치(30)는 제2휴대단말기(20)에 대해 식별된 기종을 토대로 어플장터(40)를 제2휴대단말기(20)에 부합되는 것으로 선택한 후에 제1휴대단말기(10)으로부터 추출된 식별정보만을 가지고도 이 식별정보에 대응되도록 구성된 어플리케이션을 제2휴대단말기(20)용 어플장터(40)에서 검색하고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S120 단계 및 S130 단계에서 이체장치(30)가 식별정보만을 추출 및 전송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와 함께 제1휴대단말기(10)의 어플리케이션에 부가되어 있는 부가데이터를 추출하여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부가데이터란 사용자가 개개의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함에 따라 생성되어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로서, 개개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환경설정 데이터나 어플리케이션 사용에 따라 생성된 데이터와 같은 것이다. 예컨대 개인일정관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할 경우, 사용자는 개인일정관리 프로그램에 특정 일정을 기록하여 둠과 동시에 기록된 일정에 대해 정해진 시각이 도래하기 1시간 전에 알람을 울리도록 환경설정을 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에서 부가데이터란 이러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부가데이터는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함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거나 어플리케이션 자체에 의해 생성되어 누적되며, 통상적으로 동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할당된 폴더 내에 마련된 특정 데이터폴더에 저장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추출프로그램이 이러한 부가데이터를 함께 추출하여 전송하고, 이를 전송받은 이체장치(30)는 S170 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 파일 전송시 이러한 부가데이터를 함께 전송한다. S180 단계에서 설치 프로그램은 어플리케이션 파일을 제2휴대단말기(20)에 설치함과 동시에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할당된 데이터폴더에 부가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이 단순히 자동 설치되는 데에서 나아가 어플리케이션마다 개개의 누적된 데이터와 환경설정 상태가 동일하게 신규 휴대단말기에서도 자동 구현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이 더욱 높아진다.
또한, S120 단계 및 S130 단계에서는 이체장치(30)가 식별정보와 함께 개개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정보를 추출하여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사용정보는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1휴대단말기(10)의 사용자에 의한 사용 회수, 사용 시각, 및 사용 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보를 의미한다. 이는 사용자가 어느 어플리케이션을 어느 정도의 빈도로 또는 어느 정도의 선호도로 사용하여 왔는지를 알려주는 정보이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사용정보는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데이터로서 운영체제 자체에 저장되어 있으며, 이를 추출함으로써 이체장치(30)는 사용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이러한 사용정보는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이체장치(30)가 S170 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 파일을 제2휴대단말기(20)으로 전송시 사용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이 사용정보는 제2휴대단말기(20)에 표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개개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정보를 참고하여 자신이 잘 사용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 삭제하는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이체장치(30)가 사용정보를 이체장치(30)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외부에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이체장치(30)에 표시된 사용정보를 토대로 자신이 자주 사용하거나 실질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다. 이 경우, S140 단계 내지 S180 단계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이체장치(30)는 표시된 사용정보를 조회한 사용자로부터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제2휴대단말기(20)에 대해서도 설치를 원하는지 여부를 묻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개별적인 선택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가 선택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만 어플장터(40)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제2휴대단말기(20)에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신규 휴대단말기에 어플리케이션을 선별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 빈도 등을 쉽게 알 수 있도록 사용정보 자체가 이체장치(30) 등에 의해 특정의 형태로 가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S120 단계 및 S130 단계에서는, 식별정보와 함께 제1휴대단말기(10)에 저장되어 있는 라이센스 정보를 추출하여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라이센스 정보는 제1휴대단말기(10)의 사용자가 제1휴대단말기(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당한 사용 권한을 부여받은 라이센시(Licensee)임을 인증하는 정보를 의미한다. 어플리케이션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을 권한 또는 사용할 권한을 어플리케이션 제작자 또는 어플장터 관리자로부터 부여받는 경우에만 다운로드 또는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경우가 있다. 이러한 사용권한인 라이센스가 요구되는 것은 통상적으로는 어플리케이션이 유료로 구성되어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또는 사용을 위해 대금 결제를 요구하는 경우에 해당된다. 그런데, S150 단계에서 이체장치가 이러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거나 어플리케이션을 신규 설치한 제2휴대단말기(20)의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기존에 대금 결제 등을 통하여 라이센스를 취득한 사실을 입증하는 정보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라이센스 정보를 이체장치(30)가 제1휴대단말기(10)로부터 추출하여, 이를 다운로드시 어플장터(40)에 제공하거나 이와 함께 또는 선택적으로 라이센스 정보를 제2휴대단말기(20)로 전송하여 저장함으로써 새로운 휴대단말기(20)에서도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이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 은 도 2 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는 도 2 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체장치(30)가 제1휴대단말기(10)로 추출프로그램을 전송하고 제1휴대단말기(10)가 식별정보를 추출하여 이체장치(30)로 전송하는 과정(S210, S220, S230)들은 도 2 의 S110, S120, S130 단계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 도 2 의 실시예와 상이한 점은, 이체장치(30)가 전송받은 식별정보를 토대로 링크정보를 생성한다는 점이다. 여기에서 링크정보는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정보(URI (Uniform Resource Identifier : 인터넷에 있는 자원을 나타내는 고유 주소)의 개념이며 예컨대 HTML 링크 정보)이다. 따라서 이 링크정보를 선택하여 실행시키면 실행시킨 단말기는 해당 어플장터(40) 내의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화면으로 링크되어,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즉시 다운로드 가능하게 된다.
이체장치(30)는 각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링크정보를 전술한 바와 같은 데이터베이스 서버(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받거나 또는 사전에 제공받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이체장치(30)는 제1휴대단말기(10)로부터 식별정보를 전송받음에 따라 이에 대응되는 링크정보를 추출할 수 있고(S240), 추출된 링크정보를 제2휴대단말기(20)에 전송하여 제공한다.(S250) 제2휴대단말기(20)는 전송받은 링크정보를 자신의 디스플레이에 표시(S260)하여 사용자가 조회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는 표시된 링크정보를 실행시킴으로써 링크정보가 가리키는 어플장터(40)의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화면에 즉시 접속할 수 있고(S270), 다운로드를 선택함으로써 어플장터(40)로부터 제2휴대단말기(20)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S280) 다운로드된 어플리케이션은 제2휴대단말기(20)에 의해 설치된다.(S290)
이와 같은 실시예에 따르면, 이체장치(30)가 제2휴대단말기(20)로 링크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기존 휴대단말기(10)에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손쉽게 신규 휴대단말기(20)에 설치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하면 이체장치(30)가 어플리케이션 파일을 어플장터(40)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다시 제2휴대단말기(20)로 전송하는 두 단계의 과정을 거치지 않고, 제2휴대단말기(20) 자신이 직접 링크정보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 파일을 다운로드 받는다. 이에 따라 한 번의 다운로드 작업으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과정에서의 오류 발생을 줄일 수 있고 또한 제2휴대단말기(20)의 사용자 자신이 직접 개개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재설치 여부를 제2휴대단말기(20)를 조작하여 선택하도록 하는 편의를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도 전술한 도 2 의 실시예에 채용되었던 다양한 변형예들이 적용 가능하다.
예컨대 제1휴대단말기(10)와 제2휴대단말기(20)의 운영체제가 서로 상이한 경우 이체장치(30)는 제2휴대단말기(20)의 운영체제에 대응되는 어플장터(40)에 대한 링크정보를 추출한다. 이를 위하여, 이체장치(30)는 동일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각 어플장터(40)의 링크정보들을 전술한 데이터베이스 서버 등으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 제1휴대단말기(10)의 어플리케이션에 부가되어 있는 부가데이터를 식별정보 추출시 함께 추출하여 S260 단계에서 이체장치(30)가 링크정보 전송시 함께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S290 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 파일 설치시 부가데이터가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어 저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도 3 의 실시예에서도 필요하다면 도 2 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설치프로그램을 사전에 제2휴대단말기(20)으로 전송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 이체장치(30)가 식별정보와 함께 개개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정보를 추출하여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사용정보의 활용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 이체장치(30)가 식별정보와 함께 개개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라이센스 정보를 추출하여 제2휴대단말기(20)로 전송하여 주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라이센스 정보의 활용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 도 2 의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필요시 설치프로그램을 제2휴대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4 는 본 실시예에서의 기존 및 신규 휴대단말기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 는 도 4 의 상태에서 어플리케이션이 이체설치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 에서 도 1 의 구성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인 기존 휴대단말기, 신규 휴대단말기, 및 어플장터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인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데이터베이스 서버(50)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내지 도 3 의 실시예들과는 달리 기존 휴대단말기(10)로부터 신규 휴대단말기(20)가 이체장치(30)를 거치지 않고 직접 연결되어 이들간에 어플리케이션의 이체가 직접 이루어지는 경우를 예시한다. 즉, 제1휴대단말기(10)에 어플리케이션의 이체를 위한 별도의 이체프로그램이 설치된 상태에서 동 프로그램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의 이체 작업이 수행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 어플리케이션의 이체 과정은 도 3 에서 도시한 링크정보를 전송하는 방식과 개념적으로 매우 유사하며, 다만 도 3 과는 달리 이체장치(30) 없이 링크정보의 전송이 이루어진다.
먼저 도 4 를 참조하면, 제1휴대단말기(10)와 제2휴대단말기(20)는 직접 데이터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들간의 연결은 유선 케이블에 의한 직접 연결 방식,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연결 방식, 및 WiFi 나 3G 무선인터넷 통신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가능하다.
도 5 를 참조하면, 먼저 제1휴대단말기(10)는 그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들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프로그램을 어플장터(40)로부터 전송받는다.(S310) 여기에서의 추출프로그램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추출프로그램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체장치가 별도로 존재하지 않으므로 이 추출프로그램을 어플장터(40)를 통해 다운로드 받아 설치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이러한 추출프로그램은 제1휴대단말기(10)의 운영체제가 동일한 기능을 지원하는 운영체제인 경우에는 별도의 다운로드 과정(S310)이 필요하지 않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1휴대단말기(10)가 어플리케이션의 이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이체프로그램이 제1휴대단말기(10)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이체프로그램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제1휴대단말기(10)가 출시할 때 미리 설치될 수도 있고,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이체과정을 사용자가 수행하기를 원할 때 사용자에 의해 별도로 제1휴대단말기(10)에 설치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를 위하여, S310 단계에서 전송받은 추출프로그램을 이체프로그램과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제작함으로써 사용자가 제1휴대단말기(10)를 위하여 이체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는 작업을 수행할 때 식별정보의 추출 기능까지 함께 제공하는(즉, 추출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이체프로그램이 제1휴대단말기(10)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는 이체를 위한 이체프로그램을 어플장터(40) 등으로부터 별도의 앱을 다운로드 받는 방식에 의하여 다운로드 받음으로써 제1휴대단말기(10)에 이체 기능 및 식별정보 추출 기능을 갖는 이체프로그램을 한 번에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이체프로그램(또는 추출프로그램)을 실행시킴으로써 제1휴대단말기(10)는 그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들을 추출한다.(S320) 그리고 나서, 제1휴대단말기(10)는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어플장터(40)에 대한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링크정보를 추출한다.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링크정보를 추출하기 위하여, 제1휴대단말기(10)는 데이터베이스 서버(50)에 접속한다. 여기에서의 데이터베이스 서버(50)는 어플리케이션의 제조자, 어플장터(40)의 관리자, 또는 이들로부터 링크정보를 제공받아 관리하는 업체가 운영하는 서버로서, 식별정보들과 그에 각각 대응되는 링크정보들에 대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있는 서버이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 서버(50)는 실질적으로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데이터베이스 서버(도시되지 않음)와 동일한 방식으로 구현된다. 제1휴대단말기(10)가 데이터베이스 서버(50)에 접속하여 데이터베이스 서버(50)로 식별정보를 전송하면 데이터베이스 서버(50)는 그 내부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해당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링크정보를 조회하여 제1휴대단말기(10)로 전송하여 준다. 이에 따라 제1휴대단말기(10)에 의한 식별정보의 전송 및 링크정보의 조회가 이루어지며(S330), 제1휴대단말기(10)는 데이터베이스 서버(50)로부터 링크정보를 전송받음으로써 링크정보를 추출하게 된다.(S340)
한편, 여기에서의 링크정보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제1휴대단말기(10)와 제2휴대단말기(20)가 운영체제가 서로 상이한 경우 제2휴대단말기(20)용 운영체제에 상응하는 어플장터(40) 내의 대응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링크정보이다. 이를 위해서는 제1휴대단말기(10)와 제2휴대단말기(20)가 연결되었을 때 이체프로그램이 제2휴대단말기(20)의 운영체제의 종류를 판독하여야 할 것이다.
링크정보의 추출을 위하여 도 5 의 실시예에서는 제1휴대단말기(10)가 데이터베이스 서버(50)에 실시간(real-time)으로 접속하여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링크정보를 조회하는 방식(S330)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제1휴대단말기(10)가 이체 과정을 수행하기 전에 미리 데이터베이스 서버(50)에 접속하여 식별정보와 링크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자체를 다운로드받아 저장하거나, 또는 식별정보의 추출 단계(S320) 후에 데이터베이스 자체를 데이터베이스 서버(50)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저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휴대단말기(10)는 그 내부에 다운로드 받아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자신이 조회하여 링크정보를 추출한다.
링크정보의 추출이 완료되면, 제1휴대단말기(10)는 추출된 링크정보를 제2휴대단말기(20)로 전송한다.(S350) 그 후의 과정, 즉 전송받은 링크정보를 제2휴대단말기(20)가 표시하고(S360),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링크정보를 실행하여 어플장터(40)에 접속하고(S370), 어플장터(40)로부터 어플리케이션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S380) 설치하는 과정(S390)은 전술한 도 3 의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제2휴대단말기(20)의 운영체제가 다운로드 받은 어플리케이션 파일을 자동으로 설치하는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제2휴대단말기(20)가 전술한 바와 같은 설치 프로그램을 사전에 어플장터(40)로부터 다운로드받아 설치하여 두어야 할 것이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이체프로그램이 설치 프로그램의 기능도 포함하도록 제작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이체프로그램은, 제1휴대단말기(10)가 그 내부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기능, 추출된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링크정보를 추출하는 기능, 제1휴대단말기(10)로부터 제2휴대단말기(20)로 링크정보를 전송하는 기능, 및 링크정보를 전송받은 제2휴대단말기(20)가 링크정보를 실행시켜 어플장터(40)에 접속하여 어플리케이션 파일을 다운로드받고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기능 등의 제 기능을 모두 수행하도록 제작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두 휴대단말기(10, 20)간의 어플리케이션 이체설치 작업을 위하여 하나의 동일한 이체프로그램을 앱 다운로드 방식으로 두 휴대단말기(10, 20)에 각각 다운로드 받은 후 두 휴대단말기(10, 20)를 연결하기만 하면, 어플리케이션의 이체에 필요한 제반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이체프로그램을 어플장터(40) 등으로부터 다운로드받은 후 제1휴대단말기(10)와 제2휴대단말기(20)를 직접 데이터통신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별도의 이체장치(30)의 개입 없이도 어플리케이션들을 이체 설치할 수 있는 편리함이 제공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도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S320 단계에서 제1휴대단말기(10)가 상기 식별정보와 함께 부가데이터를 추출하여 S350 단계에서 링크정보와 함께 부가데이터를 제2휴대단말기(20)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S320 단계에서 제1휴대단말기(10)가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정보를 추출하여 S350 단계에서 링크정보와 함께 사용정보를 제2휴대단말기(20)로 전송하는 방식, 및 제2휴대단말기(20)가 전송받은 사용정보를 자신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외부에 표시하는 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S320 단계에서 제1휴대단말기(10)가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라이센스 정보를 추출하여 S350 단계에서 링크정보와 함께 라이센스 정보를 제2휴대단말기(20)로 전송하는 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휴대단말기(2)는 라이센스 정보를 S370 단계에서 어플장터(40)에 제공할 것이다.
도 6 은 도 5 의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 것이다.
전술한 도 5 의 본 실시예에서는 S330 단계 내지 S350 단계가 제1휴대단말기(10)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본 변형예에서는 동 단계들이 제2휴대단말기(20)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6 에서는 S330a, S340a, S350a 단계들만 도 5 와 상이하고 다른 단계들은 도 5 와 동일하며, 이에 따라 다른 단계들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시하였고 그 설명은 생략된다.
본 변형예에서는, S320 단계에서 제1휴대단말기(10)가 식별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된 식별정보를 제2휴대단말기(20)로 전송한다.(S330a) 식별정보를 전송받은 제2휴대단말기(20)는 데이터베이스 서버(50)에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 서버(50) 내부의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링크정보를 조회한다.(S340a) 데이터베이스 서버(50)는 조회된 링크정보를 제2휴대단말기(20)로 전송하여 주며(S350a), 이에 따라 제2휴대단말기(20)는 동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링크정보를 추출하게 된다. 그 후에 제2휴대단말기(20)가 링크정보를 표시하고(S360) 실행시켜(S370) 어플리케이션을 어플장터(40)로부터 다운로드 받아(S380) 설치하는(S390) 과정은 도 5 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한편, 제1휴대단말기(10)와 제2휴대단말기(20)가 운영체제가 서로 상이한 경우를 대비하여, S330a 단계에서 식별정보 전송시 제1휴대단말기(10)는 자신의 운영체제를 알려주는 정보를 제2휴대단말기(20)에 함께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제2휴대단말기(20)가 데이터베이스 서버(50)를 통해 링크정보를 조회하기 S340a 단계에서 식별정보를 전송할 때 제1휴대단말기(10)의 운영체제 정보(및 이와 함께 제2휴대단말기(20) 자신의 운영체제 정보)를 함께 전송함으로써, S350a 에서 데이터베이스 서버(50)가 운영체제 정보를 토대로 하여 제2휴대단말기(20)에서 요구되는 링크정보를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변형예에서도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설치 프로그램을 제2휴대단말기(20)가 S390 단계 전에 전송받아 설치하는 방식, 제2휴대단말기(20)가 제1휴대단말기(10)로부터 식별정보와 함께 부가데이터를 수신하는 방식, 제2휴대단말기(20)가 제1휴대단말기(10)로부터 상기 식별정보와 함께 사용정보를 수신하여 제2휴대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외부에 표시하는 방식, 제2휴대단말기(20)가 제1휴대단말기(10)로부터 식별정보와 함께 라이센스 정보를 수신하여 어플장터(40)로 전송하는 방식 등의 다양한 방식들이 채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들 중에서, 도 2 및 도 3 의 실시예는 주로 휴대단말기 판매 대리점이나 휴대단말기에 대한 A/S 를 하는 서비스센터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방식이다. 즉, 대리점이나 서비스센터에서는 미리 컴퓨터에 본 발명에 따른 이체설치 서비스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이체장치(30)를 구성하고, 사용자가 기존 휴대폰을 신규 휴대폰으로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본 실시예의 작업을 수행한다. 또는 사용자가 사용 중이던 휴대폰의 운영체제를 재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운영체제의 재설치 전에 미리 어플리케이션을 이체장치(30)로 백업받고 추후에 휴대폰의 운영체제 재설치가 완료된 후 동일 휴대폰에 어플리케이션을 일괄하여 재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 본 실시예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는 통상적으로 하드디스크, 주메모리, CPU,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도 2 및 도 3 의 실시예에서 이체 동작을 수행하는 전체 프로그램은 하드디스크에 저장되어 컴퓨터 기동시 주메모리에서 구동된다. 이에 따라 CPU 는 전반적인 어플리케이션의 이체설치 동작을 제어하는 주제어부로서 동작하며, 인터페이스는 제1휴대단말기(10)와 제2휴대단말기(20)가 컴퓨터와 데이터통신을 하는 접속 수단을 제공하고, 디스플레이는 이체 설치 과정에서의 진행 상황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들 중에서 도 5 및 도 6 의 실시예는 주로 사용자 자신이 직접 기존 휴대단말기로부터 신규 휴대단말기로 어플리케이션 이체작업을 수행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방식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경우 사용자는 제1휴대단말기(10) 및/또는 제2휴대단말기(20)에 이체프로그램을 앱 다운로드 방식으로 다운로드 받아 설치한 후 이들을 상호 연결하며, 이에 따라 제1휴대단말기(10)와 제2휴대단말기(20)가 각각 컴퓨터로서 동작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제1휴대단말기(10)와 제2휴대단말기(20)가 각각 플래시메모리, 주메모리, CPU,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도 5 및 6 의 실시예에서 이체 동작을 수행하는 이체프로그램은 플래시메모리에 저장되어 컴퓨터 기동시 주메모리에서 구동된다. 이에 따라 CPU 는 이체프로그램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의 이체설치 동작을 제어하는 주제어부로서 동작하며 인터페이스는 제1휴대단말기(10)와 제2휴대단말기(20)가 상호 데이터통신을 하는 접속 수단을 제공하고, 디스플레이는 이체 설치 과정에서의 진행 상황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0)

  1. a) 데이터 이체를 위한 이체장치와 데이터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제1휴대단말기로부터, 상기 이체장치가 상기 제1휴대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이체장치가 상기 식별정보를 토대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파일을 제공하는 어플장터에서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되어 있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파일을 다운로드받아 구비하는 단계; 및
    c) 상기 이체장치와 데이터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제2휴대단말기로, 상기 이체장치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파일을 전송하여 상기 제2휴대단말기에 설치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이체장치는,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파일을 상기 어플장터에서 다운로드 받기 위해서, 소정의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각각의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상기 식별정보의 데이터베이스를 실시간으로 제공받거나 사전에 제공받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간의 어플리케이션 이체설치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전에,
    상기 식별정보를 상기 제1휴대단말기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이체장치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추출프로그램을 상기 이체장치가 상기 제1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간의 어플리케이션 이체설치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휴대단말기와 상기 제2휴대단말기가 운영체제가 서로 상이한 경우,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어플장터는 상기 제2휴대단말기용 운영체제에 상응하는 어플장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간의 어플리케이션 이체설치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전에,
    상기 이체장치가 상기 제2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파일을 상기 제2휴대단말기에 설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설치프로그램을, 상기 이체장치가 상기 제2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간의 어플리케이션 이체설치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이체장치는 상기 식별정보와 함께 상기 제1휴대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함에 따라 생성된 부가데이터를 추출며,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이체장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파일과 함께 상기 부가데이터를 상기 제2휴대단말기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간의 어플리케이션 이체설치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체장치는,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식별정보와 함께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상기 제1휴대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한 사용 회수, 사용 시각, 및 사용 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사용정보를 상기 제2휴대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외부에 표시하고, 표시된 상기 사용정보를 토대로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선택명령을 입력받음에 따라 상기 선택명령에 의해 선택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 상기 c)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간의 어플리케이션 이체설치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체장치는,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이체장치는 상기 식별정보와 함께 상기 제1휴대단말기의 사용자의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라이센스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기 위하여 상기 어플장터에 상기 라이센스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간의 어플리케이션 이체설치 방법.
  8. a) 데이터 이체를 위한 이체장치와 데이터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제1휴대단말기로부터, 상기 이체장치가 상기 제1휴대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이체장치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파일을 제공하는 어플장터에서 상기 식별정보를 토대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링크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이체장치와 데이터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제2휴대단말기로, 상기 제2휴대단말기가 상기 어플장터에서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상기 이체장치가 상기 링크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이체장치는,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링크정보를 추출하기 위하여 소정의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각각의 상기 식별정보에 대한 상기 링크정보의 데이터베이스를 실시간으로 제공받거나 사전에 제공받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간의 어플리케이션 이체설치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전에,
    상기 식별정보를 상기 제1휴대단말기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이체장치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추출프로그램을 상기 이체장치가 상기 제1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간의 어플리케이션 이체설치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휴대단말기와 상기 제2휴대단말기가 운영체제가 서로 상이한 경우,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어플장터는 상기 제2휴대단말기용 운영체제에 상응하는 어플장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간의 어플리케이션 이체설치 방법.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이체장치는 상기 식별정보와 함께 상기 제1휴대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함에 따라 생성된 부가데이터를 추출하며,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이체장치는 상기 링크정보와 함께 상기 부가데이터를 상기 제2휴대단말기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간의 어플리케이션 이체설치 방법.
  12.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체장치는,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식별정보와 함께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상기 제1휴대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한 사용 회수, 사용 시각, 및 사용 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사용정보를 상기 제2휴대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외부에 표시하고, 표시된 상기 사용정보를 토대로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선택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선택명령에 의해 선택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 상기 c)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간의 어플리케이션 이체설치 방법.
  13.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이체장치는 상기 식별정보와 함께 상기 제1휴대단말기의 사용자의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라이센스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링크정보와 함께 상기 라이센스 정보를 상기 제2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간의 어플리케이션 이체설치 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a) 제1휴대단말기가 자신에게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어플장터에 대한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링크정보를, 상기 제1휴대단말기가 상기 식별정보를 토대로 추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1휴대단말기가 제2휴대단말기로 상기 링크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간의 어플리케이션 이체설치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전에, 상기 식별정보를 상기 제1휴대단말기로부터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추출프로그램을 상기 제1휴대단말기가 상기 어플장터로부터 다운로드받아 설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간의 어플리케이션 이체설치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휴대단말기가, 소정의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각각의 상기 식별정보에 대한 상기 링크정보의 데이터베이스를 상기 a) 단계 후에 제공받거나 상기 a) 단계 전에 제공받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간의 어플리케이션 이체설치 방법.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제1휴대단말기가 소정의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각각의 상기 식별정보에 대한 상기 링크정보의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함으로써,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상기 링크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간의 어플리케이션 이체설치 방법.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휴대단말기와 상기 제2휴대단말기가 운영체제가 서로 상이한 경우,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어플장터는 상기 제2휴대단말기용 운영체제에 상응하는 어플장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간의 어플리케이션 이체설치 방법.
  22. 제 17 항에 있어서,
    d) 상기 c) 단계 후에, 상기 제2휴대단말기가 상기 링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어플장터에 접속하여, 상기 어플장터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간의 어플리케이션 이체설치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휴대단말기가, 다운로드 받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파일을 설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설치 프로그램을 상기 d) 단계 이전에 전송받아 설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간의 어플리케이션 이체설치 방법.
  24. 제 17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제1휴대단말기는 상기 식별정보와 함께 상기 제1휴대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함에 따라 생성된 부가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간의 어플리케이션 이체설치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제1휴대단말기는 상기 링크정보와 함께 상기 부가데이터를 상기 제2휴대단말기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간의 어플리케이션 이체설치 방법.
  26. 제 17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제1휴대단말기는 상기 식별정보와 함께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상기 제1휴대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한 사용 회수, 사용 시각, 및 사용 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간의 어플리케이션 이체설치 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제1휴대단말기는 상기 링크정보와 함께 상기 사용정보를 상기 제2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간의 어플리케이션 이체설치 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휴대단말기는 상기 사용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외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간의 어플리케이션 이체설치 방법.
  29. 제 17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제1휴대단말기는 상기 식별정보와 함께 상기 제1휴대단말기의 사용자의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라이센스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간의 어플리케이션 이체설치 방법.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제1휴대단말기는 상기 링크정보와 함께 상기 라이센스 정보를 상기 제2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간의 어플리케이션 이체설치 방법.
  31. a) 제1휴대단말기가 자신에게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식별정보를 추출하여 제2휴대단말기로 전송함에 따라 상기 제2휴대단말기가 상기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어플장터에 대한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링크정보를, 상기 제2휴대단말기가 상기 식별정보를 토대로 추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2휴대단말기가 상기 링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어플장터에 접속하여, 상기 어플장터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간의 어플리케이션 이체설치 방법.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제2휴대단말기가 소정의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각각의 상기 식별정보에 대한 상기 링크정보의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함으로써,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상기 링크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간의 어플리케이션 이체설치 방법.
  33.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는, 상기 제1휴대단말기의 운영체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2휴대단말기가 상기 제1휴대단말기로부터 상기 식별정보와 함께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간의 어플리케이션 이체설치 방법.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제2휴대단말기는 상기 운영체제 정보를 토대로 하여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링크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간의 어플리케이션 이체설치 방법.
  35. 제 31 항에 있어서,
    d) 상기 제2휴대단말기가, 다운로드 받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파일을 설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설치 프로그램을 상기 c) 단계 이전에 전송받아 설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간의 어플리케이션 이체설치 방법.
  36. 제 31 항 내지 제 3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제1휴대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함에 따라 생성된 부가데이터를 상기 제2휴대단말기가 상기 제1휴대단말기로부터 상기 식별정보와 함께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간의 어플리케이션 이체설치 방법.
  37. 제 31 항 내지 제 3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상기 제1휴대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한 사용 회수, 사용 시각, 및 사용 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정보를 상기 제2휴대단말기가 상기 제1휴대단말기로부터 상기 식별정보와 함께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간의 어플리케이션 이체설치 방법.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휴대단말기는 상기 사용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외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간의 어플리케이션 이체설치 방법.
  39. 제 31 항 내지 제 3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제1휴대단말기의 사용자의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라이센스 정보를 상기 제2휴대단말기가 상기 제1휴대단말기로부터 상기 식별정보와 함께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간의 어플리케이션 이체설치 방법.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제2휴대단말기는 상기 어플장터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파일을 다운로드 받기 위하여 상기 라이센스 정보를 상기 어플장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간의 어플리케이션 이체설치 방법.
KR1020110048478A 2011-04-21 2011-05-23 휴대단말기간의 어플리케이션 이체설치 방법 KR101284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478A KR101284551B1 (ko) 2011-04-21 2011-05-23 휴대단말기간의 어플리케이션 이체설치 방법
PCT/KR2012/002477 WO2012144756A2 (ko) 2011-04-21 2012-04-03 휴대단말기간의 어플리케이션 이체설치 방법
AU2012246918A AU2012246918B2 (en) 2011-04-21 2012-04-03 Method for transferring and installing an application across portable terminals
US13/447,183 US9032395B2 (en) 2011-04-21 2012-04-14 Method for installing applications installed in an old mobile terminal to a new mobile terminal
CN201210118288.3A CN102750162B (zh) 2011-04-21 2012-04-20 将已安装在旧移动终端上的应用安装到新移动终端的方法
JP2012096152A JP5653958B2 (ja) 2011-04-21 2012-04-20 アプリケーションの携帯端末機間移動及びインストール方法
HK13104933.7A HK1177970A1 (zh) 2011-04-21 2013-04-23 將已安裝在舊移動終端上的應用安裝到新移動終端的方法
JP2014145746A JP5902249B2 (ja) 2011-04-21 2014-07-16 アプリケーションの携帯端末機間移動及びインストール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7274 2011-04-21
KR20110037274 2011-04-21
KR1020110048478A KR101284551B1 (ko) 2011-04-21 2011-05-23 휴대단말기간의 어플리케이션 이체설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9946A KR20120119946A (ko) 2012-11-01
KR101284551B1 true KR101284551B1 (ko) 2013-07-11

Family

ID=47022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8478A KR101284551B1 (ko) 2011-04-21 2011-05-23 휴대단말기간의 어플리케이션 이체설치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032395B2 (ko)
JP (2) JP5653958B2 (ko)
KR (1) KR101284551B1 (ko)
CN (1) CN102750162B (ko)
AU (1) AU2012246918B2 (ko)
HK (1) HK1177970A1 (ko)
WO (1) WO201214475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4602B1 (ko) * 2011-03-18 2016-08-01 주식회사 케이티 데이터 전달 시스템 및 방법
CN106445622A (zh) * 2012-06-20 2017-02-22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应用程序卸载方法、卸载装置及移动终端
US10524100B2 (en) 2012-09-07 2019-12-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outputting content by the electronic apparatus
KR101888650B1 (ko) * 2012-09-07 2018-08-14 삼성전자주식회사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KR20140053698A (ko) 2012-10-26 2014-05-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토잉 후크 어셈블리
CN102937919A (zh) * 2012-11-02 2013-02-20 青岛海信传媒网络技术有限公司 多个智能终端的同步方法
CN103825917B (zh) * 2012-11-16 2017-11-21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一种数据同步方法、系统、数据同步服务器及终端
CN103092658B (zh) * 2013-01-30 2016-08-0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智能移动通信终端的应用程序安装方法、系统
CN104184764A (zh) * 2013-05-23 2014-12-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数据同步方法、装置与终端
CN103294515B (zh) * 2013-06-28 2017-03-15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获取应用程序的方法、装置和系统
CN104135503B (zh) * 2013-07-10 2015-09-23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数据下载的方法、装置及系统
CN104427495B (zh) * 2013-09-09 2019-01-15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数据分享方法及电子设备
CN103581706B (zh) * 2013-10-11 2017-03-29 聚好看科技股份有限公司 智能电视的应用安装方法和系统
KR101648549B1 (ko) * 2014-07-31 2016-08-16 에스케이테크엑스 주식회사 단말 간 데이터 이동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597897B1 (ko) * 2014-07-31 2016-02-2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단말간 데이터 이동 시 단말 식별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5306515B (zh) * 2014-07-31 2018-12-25 中国石油天然气股份有限公司 一种获取不同操作系统的终端上的应用数据的方法和装置
KR101590888B1 (ko) * 2014-11-27 2016-02-03 에스피테크놀러지 주식회사 Vid와 pid 정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인식 방법 및 그 장치
US9763024B2 (en) * 2015-04-09 2017-09-12 Yahoo Holdings, Inc. Mobile ghosting
CN105246175A (zh) * 2015-08-28 2016-01-13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无线通信模组运行方法及装置
CN105208109B (zh) * 2015-08-31 2018-12-25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设备控制方法和装置、Wi-Fi模组和智能设备
JP6096850B2 (ja) * 2015-09-04 2017-03-15 Kddi株式会社 端末装置
CN105260201B (zh) 2015-09-14 2019-08-06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应用安装方法、装置及智能设备
CN106126301A (zh) * 2016-06-30 2016-11-1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应用软件的安装方法、处理方法及移动终端
WO2018133228A1 (zh) * 2017-01-22 2018-07-2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管理应用片段的方法和终端设备
CN106936986A (zh) * 2017-02-21 2017-07-0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应用处理方法及装置
CN107071765B (zh) * 2017-04-13 2020-05-22 北京珠穆朗玛移动通信有限公司 数据接收方法及数据接收终端
US10505992B2 (en) 2017-07-07 2019-12-10 T-Mobile Usa, Inc. Bot profile discovery
US10917790B2 (en) * 2018-06-01 2021-02-09 Apple Inc. Server trust evaluation based authentication
CN109753315A (zh) * 2018-11-22 2019-05-14 广州小鸡快跑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设备交互式内容编辑实现方法及存储介质
CN113626041A (zh) * 2020-05-09 2021-11-09 华为技术有限公司 安装应用程序的方法、装置、终端设备和存储介质
US11474989B2 (en) 2020-09-09 2022-10-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nline reorganization of database tables with concurrent updates
CN116074305A (zh) * 2021-10-30 2023-05-05 华为技术有限公司 应用下载安装方法、应用老化方法及电子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4403A (ko) * 2003-07-02 2005-01-12 박수성 이동식 저장장치 및 이동식 저장장치의 구동방법
KR20050075111A (ko) * 2004-01-15 2005-07-20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스마트 카드용 애플리케이션 중계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32455A (ko) * 2007-09-28 2009-04-0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착탈식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다운로드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66197B2 (ja) * 1997-01-21 2006-04-12 株式会社東芝 ソフトウエア流通方法およびサーバ装置およびクライアント装置
JPH10260873A (ja) 1997-03-18 1998-09-29 Toshiba Corp 容量管理システムおよび容量管理方法
US6823508B1 (en) * 2000-04-27 2004-11-23 Microsoft Corporation Automatic computer program customization based on a user information store
US7392517B2 (en) * 2001-10-04 2008-06-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xtracting information from software
EP1537491A1 (en) * 2002-09-11 2005-06-08 Nokia Corpor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automated synchronization between terminals
JP2005338959A (ja) * 2004-05-24 2005-12-08 Sony Corp 情報処理装置,実行判定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701883B2 (ja) * 2004-07-13 2011-06-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7530065B1 (en) * 2004-08-13 2009-05-05 Apple Inc. Mechanism for determining applicability of software packages for installation
CN100527080C (zh) 2004-08-14 2009-08-12 艾利森电话股份有限公司 软件程序同步的方法
US7779409B2 (en) * 2004-08-24 2010-08-17 Nokia Corporation Device-to-device software distribution
SE532862C2 (sv) * 2004-12-08 2010-04-27 Smarttrust Ab Backup-system och förfarande i ett mobilt telekommunikationsverk
KR100719022B1 (ko) * 2005-08-18 2007-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시스템 및 디지털 방송시스템의소프트웨어 다운로드 방법과, 디지털tv 및 디지털tv 의소프트웨어 다운로드 방법
US7904901B1 (en) * 2005-11-02 2011-03-08 Parallels Holdings, Lt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stalled third party software components
JP4816012B2 (ja) * 2005-11-09 2011-11-1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ソフトウェアインストール方法、および光ディスク
US9552214B2 (en) * 2006-04-26 2017-01-24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Tool for automated extraction and loading of configuration settings
JP5018176B2 (ja) 2007-03-28 2012-09-05 日本電気株式会社 環境移行サーバ装置、端末装置、環境移行方法及び環境移行プログラム
CN100498702C (zh) * 2007-04-29 2009-06-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配置信息处理方法及装置以及平台系统
JP5112924B2 (ja) 2008-03-27 2013-01-09 株式会社Kddiテクノロジー アプリケーション移動システム、アプリケーションの移動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携帯端末
KR100921150B1 (ko) * 2008-09-29 2009-10-12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사용자 식별 모듈 카드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KR101456624B1 (ko) * 2008-10-28 2014-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웹 어플리케이션 설치 방법
TW201025133A (en) * 2008-12-22 2010-07-01 Asustek Comp Inc Method for installing application program and computer system
JP2010198473A (ja) * 2009-02-26 2010-09-09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携帯端末およびそのアプリケーション転送方法
JP5298996B2 (ja) 2009-03-18 2013-09-25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ソフトウェア配信サーバ、ソフトウェア配信システム、ソフトウェア配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346847B2 (en) 2009-06-03 2013-01-01 Apple Inc. Installing applications based on a seed application from a separate device
KR101369773B1 (ko) * 2009-07-08 2014-03-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어플리케이션 식별자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설치 방법 및 장치
WO2011018827A1 (ja) 2009-08-13 2011-02-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実行環境におけるアプリケーションの適性を評価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8819658B2 (en) * 2009-12-17 2014-08-26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update requests for a deployed software application
US8495614B2 (en) * 2010-05-28 2013-07-23 Red Hat, Inc. Mechanism for dynamically generating spec files for software package managers
US20120072898A1 (en) * 2010-09-21 2012-03-22 Startforce, Inc. On-premise deployment of virtual desktop service server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4403A (ko) * 2003-07-02 2005-01-12 박수성 이동식 저장장치 및 이동식 저장장치의 구동방법
KR20050075111A (ko) * 2004-01-15 2005-07-20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스마트 카드용 애플리케이션 중계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32455A (ko) * 2007-09-28 2009-04-0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착탈식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다운로드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032395B2 (en) 2015-05-12
JP5902249B2 (ja) 2016-04-13
JP2015007983A (ja) 2015-01-15
CN102750162A (zh) 2012-10-24
KR20120119946A (ko) 2012-11-01
WO2012144756A2 (ko) 2012-10-26
AU2012246918A1 (en) 2013-10-31
JP2012226757A (ja) 2012-11-15
AU2012246918B2 (en) 2015-11-19
JP5653958B2 (ja) 2015-01-14
US20120272232A1 (en) 2012-10-25
CN102750162B (zh) 2016-05-04
HK1177970A1 (zh) 2013-08-30
WO2012144756A3 (ko) 201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4551B1 (ko) 휴대단말기간의 어플리케이션 이체설치 방법
US987190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ustomized delivery of virtually installed applications
US9489686B2 (en) System and method based on use information obtained from a user terminal
KR101369773B1 (ko) 어플리케이션 식별자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설치 방법 및 장치
US2013023225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anking information of mobile application
US10163145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distribution-type app store service
US9483253B1 (en) Methods for customization of default applications o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20140059536A1 (en) Mobile termin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2016508254A (ja) マルチスクリーン・アプリケーションの可能化および配布サービス
KR20120089000A (ko)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어플리케이션 자동 인스톨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3324497A (zh) 用于将效果下载到效果单元的方法和系统
JP5548897B2 (ja) 携帯端末、情報表示システムおよび情報表示方法
CN105917347B (zh) 用于应用开发者的隐私设置元数据
WO2013187175A1 (ja)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サービス計算機、及び端末
CN102999349A (zh) 一种软件升级方法
US10805427B1 (en) Backup and restore of customer devices
CN103354927A (zh) 用于管理处理设备中的内容的方法和装置
KR20150120608A (ko) 스마트 단말수단의 응용프로그램 추천 시스템과 추천 방법
KR20190098516A (ko)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50105554A (ko) 마일리지 적립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6535503B2 (ja) コンテンツローカル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ローカル配信プログラム
KR20130065387A (ko)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방법
KR20120115864A (ko)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과, 이를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장치 및 이동단말기
KR102417060B1 (ko) 이미지 파싱 기반 혜택 수단 관리를 지원하는 사용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874627B1 (ko) 푸시 메시지를 이용한 컨텐츠 설치 및 삭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40702

Effective date: 2015022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