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4602B1 - 데이터 전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전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4602B1
KR101644602B1 KR1020110024574A KR20110024574A KR101644602B1 KR 101644602 B1 KR101644602 B1 KR 101644602B1 KR 1020110024574 A KR1020110024574 A KR 1020110024574A KR 20110024574 A KR20110024574 A KR 20110024574A KR 101644602 B1 KR101644602 B1 KR 101644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ouch
information
touch pattern
relay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4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6458A (ko
Inventor
강문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10024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4602B1/ko
Publication of KR20120106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6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4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4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데이터 전달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데이터 전달 시스템은 제1 터치부를 장착하고, 제1 터치부를 이용하여 데이터 선택 및 제1 터치 패턴을 인식하고, 제1 터치 패턴에 대한 제1 인식 정보를 생성하는 제1 디바이스 및 제2 터치부를 장착하고, 제2 터치부를 이용하여 제2 터치 패턴을 인식하고, 제2 터치 패턴에 대한 제2 인식 정보를 생성하고, 제1 및 제2 인식 정보에 따라 연속적인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제1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데이터 전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data}
본 발명은 복수의 디바이스 간 데이터 전달이 수행되는 데이터 전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terminal)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구비한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의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기능 증대를 위하여,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이동통신단말은 구비된 이동 통신 수단,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 등을 통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다른 이동통신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입력 수단으로써, 키 패드, 터치 패드 또는 방향 키 등의 고정된 입력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동통신단말간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다소 복잡한 입력 절차가 수행됨으로, 보다 간편한 데이터 전송 방법에 대한 사용자 요구가 충족되지 못한다.
본 발명은 터치 입력 기능을 구비한 복수의 디바이스 간에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데이터 전달이 수행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달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달 시스템은 제1 터치부를 장착하고, 상기 제1 터치부를 이용하여 데이터 선택 및 제1 터치 패턴을 인식하고, 상기 제1 터치 패턴에 대한 제1 인식 정보를 생성하는 제1 디바이스 및 제2 터치부를 장착하고, 상기 제2 터치부를 이용하여 제2 터치 패턴을 인식하고, 상기 제2 터치 패턴에 대한 제2 인식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인식 정보에 따라 연속적인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터치부를 장착한 복수의 통신 디바이스 간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달 방법은 a) 제1 디바이스가 제1 터치부를 이용하여 데이터 선택 및 제1 터치 패턴을 인식하는 단계, b)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1 터치 패턴에 대한 제1 인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c) 제2 디바이스가 제2 터치부를 이용하여 데이터 선택 및 제2 터치 패턴을 인식하는 단계, d)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상기 제2 터치 패턴에 대한 제2 인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제1 및 제2 인식 정보에 따라 연속적인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터치 입력 기능을 구비한 복수의 디바이스 간에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데이터 전달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바이스의 종류에 상관없이 터치 입력 기능이 구비되어 있으면 편리하게 디바이스간 데이터 전달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데이터 전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구성도.
도 2는 연속적인 터치 이벤트 발생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데이터 전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구성도.
도 4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연속적인 터치 이벤트 발생 여부 판단을 예시한 도면.
도 5는 데이터 전달 시스템에 포함되는 디바이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구성도.
도 6은 도 1의 데이터 전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7 및 도 8은 도 3의 데이터 전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 번호에 상관없이 동일한 수단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데이터 전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데이터 전달 시스템은 복수의 디바이스(제1 디바이스(10), 제2 디바이스(20)) 및 데이터 중계 서버(40)를 포함한다. 제1 디바이스(10) 및 제2 디바이스(20)는 동일 공간(100) 내에 위치한다. 여기서, 동일 공간(100)은 사용자가 신체 부위(예를 들어, 손 등)를 통해 각 디바이스(10, 20)를 조작할 수 있는 근거리 범위 내의 공간이 될 수 있다. 또한, 각 디바이스(10, 20)는 동일 공간(100)을 벗어나 위치할 수도 있다. 즉, 디바이스별로 사용자가 존재하여 각 사용자가 자신의 디바이스를 조작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디바이스(10, 20)가 동일 공간(100)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복수의 디바이스(10, 20)는 터치 입력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며, 터치 입력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터치 패턴을 인식하고, 데이터 중계 서버(40)를 통해 데이터 전달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 20)는 터치부가 장착된 이동통신단말, TV, 웹패드(WebPad), 태블릿(tablet) PC 등일 수 있다.
도 1에서는, 데이터 전달이 데이터 중계 서버(40)를 통해 제1 디바이스(10)에서 제2 디바이스(20)로 수행되는 경우로 가정하여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를 위하여 사전에, 제1 디바이스(10)와 제2 디바이스(20)는 사용자 조작에 의하여 터치 입력 신호에 따라 데이터 전달이 수행되는 데이터 전달 모드가 설정될 수 있으며, 데이터 중계 서버(40)와 연결되기 위한 통신 모드가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모드는 이동 통신 모드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디바이스(10)와 제2 디바이스(20)는 저장된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1 디바이스(10)와 제2 디바이스(20)는 진행상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행상태 정보는 데이터 중계 서버로의 등록 여부, 인식된 터치 입력 신호에 상응하는 명령 실행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 및 제2 디바이스(20)는 동일 공간(100) 내에 위치하면, 데이터 중계 대상으로서 자신을 데이터 중계 서버(40)로 등록한다. 이와 같은 절차는 사용자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원하는 복수의 디바이스(10, 20)를 동일 공간(100) 내에 위치시키고, 각 디바이스를 조작하여 각 디바이스를 데이터 중계 대상으로 데이터 중계 서버(40)에 등록시킬 수 있다. 이때, 데이터 중계 서버(40)는 제1 디바이스(10) 및 제2 디바이스(20)로부터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등록 요청을 받아 등록하여 제1 디바이스(10) 및 제2 디바이스(20)간의 데이터 중계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디바이스 식별 정보는 예를 들어, 전화번호, MAC 정보, 디바이스 ID 등일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가 이동통신단말일 경우, 데이터 중계 서버(40)는 이동통신망의 가입자 정보 서버(예를 들면, 홈위치등록기(HLR) 등)와 연동하여 해당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가입자 정보를 획득하여 등록할 수도 있다. 이때, 가입자 정보는 이동통신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데이터 중계 서버(40)는 등록한 이동통신단말이 동일 공간(100) 내에 위치함을 위치 정보를 통해 인식할 수 있다.
이어, 제1 디바이스(10) 및 제2 디바이스(20)는 데이터 중계 서버(40)로 등록됨에 따라 터치부의 잠금을 해제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각 디바이스(10, 20)가 데이터 중계 서버(40)로 등록된 상태에서 데이터 전달이 수행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나, 데이터 중계 서버(40)로의 등록은 제1 디바이스(10)에서 데이터 전달 절차가 시작(예를 들어, 사용자의 데이터 터치 입력)됨과 함께 수행될 수 있다. 즉, 각 디바이스(10, 20)는 사전에 데이터 전달 모드 및 통신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므로, 이를 통해 사용자의 데이터 터치 입력을 데이터 전달 절차의 시작으로 인식하고, 데이터 중계 서버(40)로의 등록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제1 디바이스(10) 및 제2 디바이스(20)는 터치 입력 신호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 패턴을 인식하고, 터치 패턴에 대한 인식 정보를 데이터 중계 서버(40)로 전송함으로써, 데이터 전달 기능을 수행한다.
즉,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10)의 화면에 출력된 데이터 중에서 제2 디바이스(20)로 전달하려는 데이터를 터치하면, 제1 디바이스(10)는 데이터 선택을 인식한다. 이어, 사용자가 데이터 터치 후, 미리 설정된 패턴에 따른 터치 입력을 수행하면, 제1 디바이스(10)는 입력되는 제1 터치 패턴을 인식한다. 이때, 제1 디바이스(10)는 제1 터치 패턴에 대한 제1 인식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1 인식 정보를 데이터 중계 서버(40)로 전송한다. 여기서, 제1 인식 정보는 터치 패턴이 형성되는 시간 정보, 터치 패턴의 형태 정보 및 전달 데이터 존재 여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 정보는 터치 패턴의 형성이 시작되는 시작 시각과 종료되는 종료 시각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제2 디바이스(20)에서 제1 터치 패턴과 동일하게 터치 입력을 수행하면, 제2 디바이스(20)는 입력되는 제2 터치 패턴을 인식한다. 이때, 제2 디바이스(20)는 제1 디바이스(10)와 마찬가지로, 제2 터치 패턴에 대한 제2 인식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2 인식 정보를 데이터 중계 서버(40)로 전송한다. 여기서, 제2 인식 정보는 터치 패턴이 형성되는 시간 정보 및 터치 패턴의 형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중계 서버(40)는 제1 및 제2 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연속적인 터치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연속적인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제1 디바이스(10)로 데이터 전송을 요청하여 제1 디바이스(1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제2 디바이스(20)로 전송한다. 여기서, 데이터 중계 서버(40)는 제1 인식 정보에 포함된 전달 데이터 존재 여부 정보를 통해 제1 디바이스(10)를 데이터를 송신하는 디바이스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중계 서버(40)는 제1 인식 정보와 제2 인식 정보를 비교하여 연속적인 터치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중계 서버(40)는 터치 패턴이 형성되는 시간 정보를 확인하여, 제1 터치 패턴의 인식 후 미리 설정된 임계시간 이내에 제2 터치 패턴이 인식되고, 터치 패턴의 형태 정보를 비교하여 제1 및 제2 터치 패턴이 동일한 형태일 경우, 연속적인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데이터 중계 서버(40)를 통해 제1 디바이스(10)에서 제2 디바이스(20)로 전달되는 데이터는 금융 정보가 될 수 있다. 즉, 제1 디바이스(10)와 제2 디바이스(20)간 금융 정보의 전달을 통해 금융 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는 상품 구매에 대한 결제를 위하여 금융 정보를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설정한 후, 상술한 데이터 전달 기능을 통해 금융 정보를 제2 디바이스(20)로 전달할 수 있고, 제2 디바이스(20)는 전달받은 금융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금융 정보는 결제 수단 정보로서, 신용카드 정보, 은행계좌 정보, 전자화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연속적인 터치 이벤트 발생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도 2는 터치부가 장착된 디바이스의 화면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제1 디바이스(10)와 제2 디바이스(20)는 서로 밀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제1 디바이스(10)에서 데이터(11)를 터치하고, 직선 형태로 드레그(drag)하여 제1 터치 패턴(12)을 형성하고, 바로 제2 디바이스(20)로 드레그하여 제2 터치 패턴(13)을 형성함으로써, 연속적인 터치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도 2의 (b) 및 (c)를 참조하면, 제1 디바이스(10)와 제2 디바이스(20)는 일정한 거리를 두고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 디바이스(10)와 제2 디바이스(20)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근거리 범위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디바이스(10)와 제2 디바이스(20)는 원거리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디바이스별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조작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제1 터치 패턴(12)을 형성한 후, 미리 설정된 임계시간 이내에 제2 터치 패턴(13)을 형성함으로써, 연속적인 터치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터치 패턴의 형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 곡선, 원, 삼각형 등의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도 3은 데이터 전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데이터 전달 시스템은 제1 디바이스(10) 및 제2 디바이스(20)를 포함한다. 제1 디바이스(10) 및 제2 디바이스(20)는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을 장착하고 있으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을 통해 서로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디바이스(10, 20)는 사용자에 의하여 동일 공간(100) 내에 위치할 수 있고,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을 통해 서로 통신 연결되도록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각 디바이스(10, 20)는 터치 입력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며, 터치 입력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터치 패턴을 인식하고, 터치 패턴의 인식에 따라 데이터 전달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각 디바이스(10, 20)는 터치부 및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이 장착된 이동통신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무선 통신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가 될 수 있다. NFC(Near Field Communication)는 RFID(RF IDentification) 기술의 하나로서, 휴대폰, PCS 단말기, PDA 단말기, 노트북 등과 같은 이동통신단말이나 PC 등이 13.56M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10㎝이내의 거리에서 낮은 전력으로 데이터를 전송(424kbps급)할 수 있는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의미한다. NFC 단말은 크게 단대단(Peer to Peer) 통신 기능, RFID 판독 기능, 카드 에뮬레이션(Card Emulation) 기능을 지원하는데, 이 중에서 단대단 통신이나 RFID 판독 기능은 NFC 디바이스 상에서 필수로 구현해야 하는 기능이다.
또한, 근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등이 될 수 있다. 다음 표 1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의 사양(Specification)을 나타낸다.
주파수 대역 Range Speed Setup Time Security Application
NFC 13.56MHz 0.3m+ 400Kbps+ 0.1s High
(Hardware Level)
Payment, RFID
블루투스 2.4GHz 1~100m 1~3Mbps 6s Middle(Software Level) Data Exchange
지그비 2.4GHz 중심 ~100m+ 20~250
Kbps
Always Low Device Control
도 3에서는, 데이터 전달이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제1 디바이스(10)에서 제2 디바이스(20)로 수행되는 경우로 가정하여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를 위하여 사전에, 제1 디바이스(10)와 제2 디바이스(20)는 사용자 조작에 의하여 터치 입력 신호에 따라 데이터 전달이 수행되는 데이터 전달 모드가 설정될 수 있으며, 통신 모드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드가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디바이스(10)와 제2 디바이스(20)는 저장된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1 디바이스(10)와 제2 디바이스(20)는 진행상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행상태 정보는 인식된 터치 입력 신호에 상응하는 명령 실행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 및 제2 디바이스(20)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통신 연결이 설정된다.
이어, 제1 디바이스(10) 및 제2 디바이스(2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통신 연결이 설정됨에 따라 터치부의 잠금을 해제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각 디바이스(10, 20)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통신 연결이 설정된 상태에서 데이터 전달이 수행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통신 연결의 설정은 제1 디바이스(10)에서 데이터 전달 절차가 시작(예를 들어, 사용자의 데이터 터치 입력)됨과 함께 수행될 수 있다. 즉, 각 디바이스(10, 20)는 사전에 데이터 전달 모드 및 통신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므로, 이를 통해 데이터 전달 대상 디바이스를 인식하고, 사용자의 데이터 터치 입력을 데이터 전달 절차의 시작으로 인식하여 서로 간에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통신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 및 제2 디바이스(20)는 터치 입력 신호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 패턴을 인식하고, 터치 패턴에 대한 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전달 기능을 수행한다.
즉,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10)의 화면에 출력된 데이터 중에서 제2 디바이스(20)로 전달하려는 데이터를 터치하면, 제1 디바이스(10)는 데이터 선택을 인식한다. 이어, 사용자가 데이터 터치 후, 미리 설정된 패턴에 따른 터치 입력을 수행하면, 제1 디바이스(10)는 입력되는 제1 터치 패턴을 인식한다. 이때, 제1 디바이스(10)는 제1 터치 패턴에 대한 제1 인식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1 인식 정보를 제2 디바이스(20)로 전송한다. 여기서, 제1 인식 정보는 터치 패턴이 형성되는 시간 정보, 터치 패턴의 형태 정보 및 전달 데이터 존재 여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 정보는 터치 패턴의 형성이 시작되는 시작 시각과 종료되는 종료 시각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제2 디바이스(20)에서 제1 터치 패턴과 동일하게 터치 입력을 수행하면, 제2 디바이스(20)는 입력되는 제2 터치 패턴을 인식한다. 이때, 제2 디바이스(20)는 제1 디바이스(10)와 마찬가지로, 제2 터치 패턴에 대한 제2 인식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제2 인식 정보는 터치 패턴이 형성되는 시간 정보 및 터치 패턴의 형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 또는 제2 디바이스(20)는 제1 및 제2 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연속적인 터치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연속적인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제1 디바이스(10)는 데이터를 제2 디바이스(20)로 전송한다. 여기서, 제2 디바이스(20)는 제1 인식 정보에 포함된 전달 데이터 존재 여부 정보를 통해 제1 디바이스(10)를 데이터를 송신하는 디바이스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1 디바이스(10) 또는 제2 디바이스(20)는 제1 인식 정보와 제2 인식 정보를 비교하여 연속적인 터치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 또는 제2 디바이스(20)는 터치 패턴이 형성되는 시간 정보를 확인하여, 제1 터치 패턴의 인식 후 미리 설정된 임계시간 이내에 제2 터치 패턴이 인식되고, 터치 패턴의 형태 정보를 비교하여 제1 및 제2 터치 패턴이 동일한 형태일 경우, 연속적인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바이스(10)와 제2 디바이스(20)가 밀착 또는 근접되어 위치하는 경우, 제1 디바이스(10) 또는 제2 디바이스(20)는 제1 터치 패턴(12)의 끝점과 제2 터치 패턴(13)의 시작점의 위치를 비교하여 연속적인 터치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4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연속적인 터치 이벤트 발생 여부 판단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디바이스(10)와 제2 디바이스(20)가 서로 밀착 또는 근접되게 위치함으로써, 각 디바이스(10, 20)의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4, 15)(예를 들어, NFC 모듈)이 서로 마주보며 접촉 또는 근접될 수 있다. 이후, 제1 디바이스(10)와 제2 디바이스(20)는 제1 터치 패턴(12) 및 제2 터치 패턴(13)을 인식하면, 근거리 통신 모듈(14, 15)의 위치에 대한 터치 패턴(12, 13)의 상대적인 위치 정보를 교환하여 제1 터치 패턴(12)의 끝점(16)과 제2 터치 패턴(13)의 시작점(17)의 위치를 비교한다. 즉, 제1 디바이스(10) 또는 제2 디바이스(20)는 근거리 통신 모듈(14, 15)의 위치를 원점으로 설정하여 끝점(16)과 시작점(17)의 좌표를 산출하고, 산출된 끝점(16)과 시작점(17)의 좌표를 이용하여 끝점(16)과 시작점(17) 간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이어, 제1 디바이스(10) 또는 제2 디바이스(20)는 산출된 끝점(16)과 시작점(17) 간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임계 거리 이하이면, 끝점(16)과 시작점(17)이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디바이스(10) 또는 제2 디바이스(20)는 끝점(16)과 시작점(17)이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면, 연속적인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제1 디바이스(10)에서 제2 디바이스(20)로 전달되는 데이터는 금융 정보가 될 수 있다. 즉, 제1 디바이스(10)와 제2 디바이스(20)간 금융 정보의 전달을 통해 금융 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는 상품 구매에 대한 결제를 위하여 금융 정보를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설정한 후, 상술한 데이터 전달 기능을 통해 금융 정보를 제2 디바이스(20)로 전달할 수 있고, 제2 디바이스(20)는 전달받은 금융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금융 정보는 결제 수단 정보로서, 신용카드 정보, 은행계좌 정보, 전자화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데이터 전달 시스템에 포함되는 디바이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 20)는 통신부(1), 표시부(2), 저장부(3), 입력부(4), 인식부(7) 및 제어부(8)를 포함한다.
통신부(1)는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1)는 이동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이동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중계 서버(4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통신부(1)는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등록 요청, 터치 패턴에 대한 인식 정보 및 사용자가 선택한 데이터를 데이터 중계 서버(40)로 전송하고,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데이터 중계 서버(4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표시부(2)는 디바이스(10, 20)에서 발생되는 각종 표시 데이터 및 메시지 등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3)는 터치 입력 신호에 따라 데이터 전달이 수행되는 데이터 전달 모드가 설정되면, 저장부(4)에 저장된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저장부(3)는 디바이스(10, 20)에 구현된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과 데이터, 디바이스(10, 20) 동작 중 발생하는 각종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입력부(4)는 디바이스(10, 20)의 동작에 필요한 외부 입력을 받는다. 예를 들어, 입력부(4)는 통신 모드 설정 입력, 데이터 전달 모드 설정 입력, 데이터 입력 등과 같은 외부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입력부(4)는 키입력부(5) 및 터치부(6)를 포함한다. 키입력부(5)는 키입력을 받을 수 있는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터치부(6)는 터치 입력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부(6)는 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 패널로 구성되어 터치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 입력장치일 수 있으며, 표시부(2)에 포함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인식부(7)는 터치부(6)를 통해 입력된 터치 입력 신호를 인식하고, 인식된 터치 입력 신호에 대한 인식 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인식부(7)는 사용자가 터치한 데이터에 대하여 데이터 선택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인식부(7)는 입력된 터치 패턴을 인식하고, 터치 패턴에 대한 인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하였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인식부(7)의 기능 및 역할은 제어부(8)가 통합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제어부(8)는 통신부(1), 표시부(2), 저장부(3), 입력부(4) 및 인식부(7)를 제어한다.
제어부(8)는 통신 모드 및 데이터 전달 모드가 설정되면, 터치부(6)가 잠금을 해제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8)는 인식부(7)에 의하여 생성된 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전달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8)는 데이터 중계 서버(40)를 통해 데이터 전달이 수행되는 경우, 인식 정보를 데이터 중계 서버(4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를 제어하고, 데이터 선택의 인식에 따라 선택된 데이터를 데이터 중계 서버(4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를 제어한다. 여기서, 데이터 중계 서버(40)는 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연속적인 터치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연속적인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디바이스 사이에서 데이터를 중계한다.
또한, 제어부(8)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 전달이 수행되는 경우, 선택된 데이터를 다른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8)는 통신부(1)를 통해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인식 정보가 수신되면, 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연속적인 터치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연속적인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다른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8)는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 전송 요청이 수신되면 데이터를 다른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8)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 전달이 수행되는 경우, 통신부(1)를 통해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인식 정보가 수신되면, 연속적인 터치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연속적인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다른 디바이스로 데이터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8)는 인식 정보를 다른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데이터 전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S611 단계에서, 제1 디바이스(10) 및 제2 디바이스(20)는 근거리 또는 원거리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1 디바이스(10) 및 제2 디바이스(20)를 동일 공간(100) 내에 위치시킬 수 있다. 또는, 각 디바이스(10, 20)는 동일 공간(100)을 벗어나 위치할 수도 있다. 즉, 디바이스별로 사용자가 존재하여 각 사용자가 자신의 디바이스를 조작할 수도 있다.
S612 단계에서, 제1 디바이스(10)는 데이터 중계 대상으로서 자신을 데이터 중계 서버(40)로 등록한다.
S613 단계에서, 제2 디바이스(20)는 데이터 중계 대상으로서 자신을 데이터 중계 서버(40)로 등록한다.
즉, 사용자는 제1 디바이스(10) 및 제2 디바이스(20)를 조작하여 각 디바이스(10, 20)를 데이터 중계 대상으로 데이터 중계 서버(40)에 등록시킬 수 있다. 이때, 데이터 중계 서버(40)는 제1 디바이스(10) 및 제2 디바이스(20)로부터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등록 요청을 받아 등록할 수 있다.
S614 단계에서, 제1 디바이스(10) 및 제2 디바이스(20)는 데이터 중계 서버(30)에 등록됨에 따라 터치부의 잠금을 해제한다.
S615 단계에서, 제1 디바이스(10)는 데이터 선택을 인식한다. 즉,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10)의 화면에 출력된 데이터 중에서 제2 디바이스(20)로 전달하려는 데이터를 터치하면, 제1 디바이스(10)는 데이터 선택을 인식한다.
S616 단계에서, 제1 디바이스(10)는 제1 터치 패턴을 인식한다. 즉, 사용자가 데이터 터치 후, 미리 설정된 패턴에 따른 터치 입력을 수행하면, 제1 디바이스(10)는 입력되는 제1 터치 패턴을 인식한다. 이때, 제1 디바이스(10)는 제1 터치 패턴에 대한 제1 인식 정보를 생성한다.
S617 단계에서, 제1 디바이스(10)는 생성된 제1 인식 정보를 데이터 중계 서버(40)로 전송한다. 여기서, 제1 인식 정보는 터치 패턴이 형성되는 시간 정보, 터치 패턴의 형태 정보 및 전달 데이터 존재 여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618 단계에서, 제2 디바이스(20)는 제2 터치 패턴을 인식한다. 즉, 사용자가 제2 디바이스(20)에서 제1 터치 패턴과 동일하게 터치 입력을 수행하면, 제2 디바이스(20)는 입력되는 제2 터치 패턴을 인식한다. 이때, 제2 디바이스(20)는 제1 디바이스(10)와 마찬가지로, 제2 터치 패턴에 대한 제2 인식 정보를 생성한다.
S619 단계에서, 제2 디바이스(20)는 생성된 제2 인식 정보를 데이터 중계 서버(40)로 전송한다. 여기서, 제2 인식 정보는 터치 패턴이 형성되는 시간 정보 및 터치 패턴의 형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620 단계에서, 데이터 중계 서버(40)는 제1 및 제2 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연속적인 터치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즉, 데이터 중계 서버(40)는 제1 인식 정보와 제2 인식 정보를 비교하여 연속적인 터치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중계 서버(40)는 터치 패턴이 형성되는 시간 정보를 확인하여, 제1 터치 패턴의 인식 후 미리 설정된 임계시간 이내에 제2 터치 패턴이 인식되고, 터치 패턴의 형태 정보를 비교하여 제1 및 제2 터치 패턴이 동일한 형태일 경우, 연속적인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621 단계에서, 데이터 중계 서버(40)는 연속적인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제1 디바이스(10)로 데이터 전송을 요청한다.
S622 단계에서, 제1 디바이스(10)는 데이터 전송 요청의 수신에 따라 데이터 중계 서버(40)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S623 단계에서, 데이터 중계 서버(40)는 제1 디바이스(1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제2 디바이스(20)로 전송한다.
도 7은 도 3의 데이터 전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S711 단계에서, 제1 디바이스(10)와 제2 디바이스(2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된다.
S712 단계에서, 제1 디바이스(10) 및 제2 디바이스(2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통신 연결이 설정됨에 따라 터치부의 잠금을 해제한다.
S713 단계에서, 제1 디바이스(10)는 데이터 선택을 인식한다. 즉,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10)의 화면에 출력된 데이터 중에서 제2 디바이스(20)로 전달하려는 데이터를 터치하면, 제1 디바이스(10)는 데이터 선택을 인식한다.
S714 단계에서, 제1 디바이스(10)는 제1 터치 패턴을 인식한다. 즉, 사용자가 데이터 터치 후, 미리 설정된 패턴에 따른 터치 입력을 수행하면, 제1 디바이스(10)는 입력되는 제1 터치 패턴을 인식한다. 이때, 제1 디바이스(10)는 제1 터치 패턴에 대한 제1 인식 정보를 생성한다.
S715 단계에서, 제1 디바이스(10)는 생성된 제1 인식 정보를 제2 디바이스(20)로 전송한다. 여기서, 제1 인식 정보는 터치 패턴이 형성되는 시간 정보, 터치 패턴의 형태 정보 및 전달 데이터 존재 여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716 단계에서, 제2 디바이스(20)는 제2 터치 패턴을 인식한다. 즉, 사용자가 제2 디바이스(20)에서 제1 터치 패턴과 동일하게 터치 입력을 수행하면, 제2 디바이스(20)는 입력되는 제2 터치 패턴을 인식한다. 이때, 제2 디바이스(20)는 제1 디바이스(10)와 마찬가지로, 제2 터치 패턴에 대한 제2 인식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제2 인식 정보는 터치 패턴이 형성되는 시간 정보 및 터치 패턴의 형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717 단계에서, 제2 디바이스(20)는 제1 및 제2 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연속적인 터치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제2 디바이스(20)는 제1 인식 정보와 제2 인식 정보를 비교하여 연속적인 터치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718 단계에서, 제2 디바이스(20)는 연속적인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제1 디바이스(10)로 데이터 전송을 요청한다. 이때, 데이터 전송 요청은 제2 인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719 단계에서, 제1 디바이스(10)는 데이터 전송 요청의 수신에 따라 제2 디바이스(20)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도 8은 도 3의 데이터 전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에서는 도 7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S811 단계에서, 제1 디바이스(10)와 제2 디바이스(2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된다.
S812 단계에서, 제1 디바이스(10) 및 제2 디바이스(2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통신 연결이 설정됨에 따라 터치부의 잠금을 해제한다.
S813 단계에서, 제1 디바이스(10)는 데이터 선택을 인식한다. 즉,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10)의 화면에 출력된 데이터 중에서 제2 디바이스(20)로 전달하려는 데이터를 터치하면, 제1 디바이스(10)는 데이터 선택을 인식한다.
S814 단계에서, 제1 디바이스(10)는 제1 터치 패턴을 인식한다. 즉, 사용자가 데이터 터치 후, 미리 설정된 패턴에 따른 터치 입력을 수행하면, 제1 디바이스(10)는 입력되는 제1 터치 패턴을 인식한다. 이때, 제1 디바이스(10)는 제1 터치 패턴에 대한 제1 인식 정보를 생성한다.
S815 단계에서, 제1 디바이스(10)는 생성된 제1 인식 정보를 제2 디바이스(20)로 전송한다. 여기서, 제1 인식 정보는 터치 패턴이 형성되는 시간 정보, 터치 패턴의 형태 정보 및 전달 데이터 존재 여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816 단계에서, 제2 디바이스(20)는 제2 터치 패턴을 인식한다. 즉, 사용자가 제2 디바이스(20)에서 제1 터치 패턴과 동일하게 터치 입력을 수행하면, 제2 디바이스(20)는 입력되는 제2 터치 패턴을 인식한다. 이때, 제2 디바이스(20)는 제1 디바이스(10)와 마찬가지로, 제2 터치 패턴에 대한 제2 인식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제2 인식 정보는 터치 패턴이 형성되는 시간 정보 및 터치 패턴의 형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817 단계에서, 제2 디바이스(20)는 생성된 제2 인식 정보를 제1 디바이스(10)로 전송한다.
S818 단계에서, 제1 디바이스(20)는 제2 인식 정보의 수신에 따라 제1 및 제2 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연속적인 터치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제1 디바이스(10)는 제1 인식 정보와 제2 인식 정보를 비교하여 연속적인 터치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819 단계에서, 제1 디바이스(20)는 연속적인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제2 디바이스(20)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지금까지, 제1 디바이스(10)와 제2 디바이스(20)간에 데이터 전달이 수행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디바이스가 3개 이상인 경우의 데이터 전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디바이스가 터치 패턴을 인식 후, 다수의 수신 디바이스가 연속적으로 또는 미리 설정된 임계 시간 이내에 송신 디바이스가 인식한 터치 패턴과 동일한 터치 패턴을 인식하면, 송신 디바이스에서 다수의 디바이스로 데이터 전달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를 포함하는 N(N은 3이상의 자연수)개의 디바이스가 존재하고, 제1 디바이스(10)가 데이터를 송신하는 디바이스라고 가정하자. 도 2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 형태의 터치 패턴이 이용되는 경우,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10)를 기준으로 나머지 디바이스를 일렬로 배치하고, 제1 디바이스(10)부터 나머지 디바이스로 직선 형태의 터치 패턴에 따른 터치 입력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면, 제1 디바이스(10)에서 나머지 디바이스로 데이터 전달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 형태의 터치 패턴이 이용되는 경우, 나머지 디바이스가 임계 시간 이내에 제1 디바이스(10)가 인식한 터치 패턴과 동일한 터치 패턴을 인식하면, 제1 디바이스(10)에서 나머지 디바이스로 데이터 전달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제1 디바이스(10)의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10)로 원 형태의 터치 패턴에 따른 터치 입력을 수행한 후, 나머지 디바이스의 각 사용자가 자신의 디바이스로 원 형태의 터치 패턴에 따른 터치 입력을 수행하면, 제1 디바이스(10)에서 나머지 디바이스로 데이터 전달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6)

  1. 복수의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달 시스템에 있어서,
    제1 터치부를 장착하고, 상기 제1 터치부를 이용하여 데이터 선택 및 제1 터치 패턴을 인식하고, 상기 제1 터치 패턴에 대한 제1 인식 정보를 생성하는 제1 디바이스; 및
    제2 터치부를 장착하고, 상기 제2 터치부를 이용하여 제2 터치 패턴을 인식하고, 상기 제2 터치 패턴에 대한 제2 인식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인식 정보에 따라 연속적인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디바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연속적인 터치 이벤트의 발생은 상기 제1 디바이스, 상기 제2 디바이스 및 상기 데이터를 중계하는 데이터 중계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판단되는 데이터 전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인식 정보는 터치 패턴이 형성되는 시간 정보 및 터치 패턴의 형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연속적인 터치 이벤트는 상기 제1 터치 패턴의 인식 후 미리 설정된 임계시간 이내에 상기 제2 터치 패턴이 인식되고, 상기 형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1 및 제2 터치 패턴이 동일한 형태일 경우에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중계하는 상기 데이터 중계 서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디바이스는 상기 데이터 중계 서버에 등록되고,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데이터 중계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디바이스는 상기 제1 및 제2 인식 정보를 상기 데이터 중계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제1 인식 정보는 전달 데이터 존재 여부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중계 서버는 상기 전달 데이터 존재 여부 정보를 통해 상기 제1 디바이스를 상기 데이터의 송신 디바이스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달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중계 서버가 상기 연속적인 터치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연속적인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데이터를 중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달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디바이스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통신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데이터 전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제1 및 제2 인식 정보를 서로 교환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 또는 상기 제2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연속적인 터치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연속적인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달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이 서로 밀착 또는 근접되게 위치하는 경우,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의 위치에 대한 상기 제1 및 제2 터치 패턴의 상대적인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터치 패턴의 끝점과 상기 제2 터치 패턴의 시작점의 위치가 산출되고, 상기 끝점과 시작점의 위치가 임계 거리 이하인 경우에 상기 연속적인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달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결제 수단 정보를 포함하는 금융 정보이고, 상기 제1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금융 정보를 이용하여 금융 거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달 시스템.
  10. 터치부를 장착한 복수의 통신 디바이스 간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제1 디바이스가 제1 터치부를 이용하여 데이터 선택 및 제1 터치 패턴을 인식하는 단계;
    b)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1 터치 패턴에 대한 제1 인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c) 제2 디바이스가 제2 터치부를 이용하여 데이터 선택 및 제2 터치 패턴을 인식하는 단계;
    d)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상기 제2 터치 패턴에 대한 제2 인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제1 및 제2 인식 정보에 따라 연속적인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연속적인 터치 이벤트의 발생은 상기 제1 디바이스, 상기 제2 디바이스 및 상기 데이터를 중계하는 데이터 중계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판단되는 데이터 전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인식 정보는 터치 패턴이 형성되는 시간 정보 및 터치 패턴의 형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연속적인 터치 이벤트는 상기 제1 터치 패턴의 인식 후 미리 설정된 임계시간 이내에 상기 제2 터치 패턴이 인식되고, 상기 형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1 및 제2 터치 패턴이 동일한 형태일 경우에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제1 및 제2 디바이스가 이동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상기 데이터 중계 서버에 등록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전달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 이전에,
    상기 제1 및 제2 디바이스가 상기 제1 및 제2 인식 정보를 상기 데이터 중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인식 정보는 전달 데이터 존재 여부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중계 서버는 상기 전달 데이터 존재 여부 정보를 통해 상기 제1 디바이스를 상기 데이터의 송신 디바이스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달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데이터 중계 서버가 상기 연속적인 터치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연속적인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데이터를 중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달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제1 및 제2 디바이스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통신 연결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전달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 이전에,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상기 제1 및 제2 인식 정보를 서로 교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e) 단계는
    상기 제1 디바이스 또는 상기 제2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연속적인 터치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연속적인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달 방법.
KR1020110024574A 2011-03-18 2011-03-18 데이터 전달 시스템 및 방법 KR101644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574A KR101644602B1 (ko) 2011-03-18 2011-03-18 데이터 전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574A KR101644602B1 (ko) 2011-03-18 2011-03-18 데이터 전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6458A KR20120106458A (ko) 2012-09-26
KR101644602B1 true KR101644602B1 (ko) 2016-08-01

Family

ID=47113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4574A KR101644602B1 (ko) 2011-03-18 2011-03-18 데이터 전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46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66264B2 (en) 2013-08-09 2019-07-30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content among devic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97805B1 (en) 1997-08-29 2001-10-02 Xerox Corporation Multiple interacting computers interfaceable through a physical manipulatory grammar
US20050190394A1 (en) 2004-01-28 2005-09-01 Yuji Ohue Generating multiple image files from an original document or original image data
US20090011829A1 (en) 2006-03-17 2009-01-08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td. Cheat Prevention Method, System and Client Terminal for Online Gam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551B1 (ko) * 2011-04-21 2013-07-11 (주)지온네트웍스 휴대단말기간의 어플리케이션 이체설치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97805B1 (en) 1997-08-29 2001-10-02 Xerox Corporation Multiple interacting computers interfaceable through a physical manipulatory grammar
US20050190394A1 (en) 2004-01-28 2005-09-01 Yuji Ohue Generating multiple image files from an original document or original image data
US20090011829A1 (en) 2006-03-17 2009-01-08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td. Cheat Prevention Method, System and Client Terminal for Online G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6458A (ko) 2012-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20017B (zh) 基于近场通信建立无线通信链路的移动无线通信设备及相关方法
KR20170020816A (ko) 전자식 액세스 제어 디바이스 및 액세스 제어 방법
KR20180030642A (ko) 주문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JP5903442B2 (ja) 通信システム
CN102223630A (zh) 一种遥控系统及方法
KR102393824B1 (ko) 복수의 통신 방식들 중 신호의 강도에 기반하여 선택된 통신 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EP1959410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s to a consumer electronics device and intermediate device for this transmission
KR101644602B1 (ko) 데이터 전달 시스템 및 방법
KR20120106464A (ko) 데이터 전달 시스템 및 방법
CN105744520B (zh) 一种应用业务的发放验证方法、装置和系统
KR102271329B1 (ko) 엔에프씨를 이용한 통신망 접속 방법
JP6272992B2 (ja) アンテナ装置および端末
JP6166748B2 (ja) 取引決済システム、取引決済方法、および取引決済プログラム
KR20170134884A (ko) 근거리장치를 이용한 결제 방법
KR20150060109A (ko) 근거리무선통신을 이용한 단말간 연결 방법 및 장치
KR20170121004A (ko) 공유자 무선단말을 이용한 역방향 파커 공유 방법
KR20210039109A (ko)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US20230128203A1 (en)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sa query in wlan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14036610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data of applet included in a plurality of secure elements
KR101940108B1 (ko) 공유자 무선단말을 이용한 역방향 파커 공유 방법
KR102271332B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통신망 접속 방법
KR101268886B1 (ko) 모바일 카드의 삽입 위치 이동을 위한 유저인터페이스 출력방법과 이를 위한 모바일 폰
KR20170134885A (ko) 시가잭장치를 이용한 결제 방법
KR20170065719A (ko) 시가잭장치를 이용한 선주문 상품 수령 방법
KR20180056496A (ko) 차량항법장치를 이용한 선주문 상품 수령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