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5864A -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과, 이를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장치 및 이동단말기 - Google Patents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과, 이를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장치 및 이동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5864A
KR20120115864A KR1020110033434A KR20110033434A KR20120115864A KR 20120115864 A KR20120115864 A KR 20120115864A KR 1020110033434 A KR1020110033434 A KR 1020110033434A KR 20110033434 A KR20110033434 A KR 20110033434A KR 20120115864 A KR20120115864 A KR 201201158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information
identification number
input
reques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3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6359B1 (ko
Inventor
류창화
Original Assignee
(주)시루정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시루정보 filed Critical (주)시루정보
Priority to KR1020110033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6359B1/ko
Publication of KR20120115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5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6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6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6Preventing errors by testing or debugging software
    • G06F11/3668Software testing
    • G06F11/3672Test management
    • G06F11/3692Test management for test results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5Updates
    • G06F8/658Incremental updates; Differential upd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과, 이를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장치 및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관리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장치는 입력정보 단말기로부터 어플리케이션 등록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상응하는 대표 식별번호 정보를 생성하는 대표 식별번호 생성부,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상기 대표 식별번호 정보를 단말 속성 정보 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어플 저장부, 이동단말기로부터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동단말기로 다운로드 처리하는 다운로드 처리부 및 상기 입력정보 단말기로부터 어플리케이션 등록요청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입력정보 단말기로 대표 식별번호 정보를 전송하는 어플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과, 이를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장치 및 이동단말기{METHOD,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APPLICATION MANAGEMENT}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과, 이를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장치 및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요즘 여러 부가기능이 달린 이동통신단말기들이 많이 출시되고 있다. 특히 키 입력부 이외에 카메라나 NFC모듈 등의 추가 입력장치를 하나 이상 구비한 단말기들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추가 입력장치 중 카메라는 인물이나 사물등과 같은 대상을 촬영하여 이미지나 동영상 정보를 만들어 단말기에 저장하는 기능이 기본적인 기능이며 바코드, QR 코드, 데이터 매트릭스 코드 등의 이미지 정보를 읽어 문자열과 같은 추가정보를 만들어내는 기능을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NFC모듈 또한 RF 신호를 검출하여 문자, 이미지, 동영상 등 다양한 정보를 읽을 수 있다. 이러한 추가 입력장치들은 대부분 정보를 읽어서 화면에 출력하거나 단말의 저장영역에 읽은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입력 정보들은 다양한 형식과 내용을 가지고 있으며 입력 정보를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들도 매우 다양하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OS 및 플랫폼을 가지고 있으며 최근 출시된 스마트폰은 카메라모듈, GPS, NFC 모듈, 중력센서, 나침반 등 여러 기능을 가지고 있어 이러한 기능을 이용하는 여러 종류의 다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다.
이렇게 다양한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다가 이용자가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클릭, 더블 클릭하는 등의 방법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한편 동일 목적의 어플리케이션이라도 단말기의 OS, 플랫폼 종류, 화면 해상도 등에 따라 각각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이 필요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요즘 단말기 OS 의 종류로는 iOS, linux, Android, Windows mobile 등 단말 제조사 별로 다양한 종류의 OS가 있으며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기 위한 플랫폼도 여러 종류가 존재한다.
한편, 보통 입력부를 통하여 읽은 입력 정보를 사용하는 방법은 문자 편집기, 이미지 뷰어, 동영상 재생기, 결제수단 어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저장된 입력정보를 다시 불러내어 사용한다든지, 카메라, 스캐너, NFC Reader 와 같은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읽은 입력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별도 조작에 의하여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실행하는 방식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일부 특정 입력정보들은 일부 특정 어플리케이션에서만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단말기를 통하여 입력정보를 읽고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을 해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사용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바코드 스캐너, NFC Reader 어플리케이션으로 정보를 읽는다 해도 그 입력 정보를 어떤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사용자가 모르는 경우에는 해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는 상황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입력정보를 식별하고 입력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부가적인 기능을 쉽게 사용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해당 입력정보를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클릭 또는 더블 클릭하는 등의 방법으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한다면 구동 속도나 늦어질 수 밖에 없고 사용자도 다소 불편하다.
또한 동일 목적의 어플리케이션이라고 하더라도 이동통신단말기의 OS, 플랫폼, 해상도 등의 단말속성에 따라 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필요가 있는데 현재는 이용자가 직접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찾아 단말기에 다운로드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포함된 입력부가 읽은 입력정보가 어떤 정보인지,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 사용자가 미리 인지하지 않아도 정보를 읽기만 하면 자동으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과, 이를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장치 및 이동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해당 서비스를 사용자가 미리 인지하고 있었다고 하더라도 이동단말기를 통하여 읽은 정보를 추가적인 조작을 통해서 사용할 수 밖에 없어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를 해결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과, 이를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장치 및 이동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기 위한 입력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의 OS, 플랫폼, 해상도 별로 정확히 선별하여 자동 구동하므로 기존의 방법 보다 정교하게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구동 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과, 이를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장치 및 이동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시 입력정보에 포함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특정 프로세스를 자동으로 더 실행하여 이용자의 편의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과, 이를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장치 및 이동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일 측면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관리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관리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장치는 입력정보 단말기로부터 어플리케이션 등록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상응하는 대표 식별번호 정보를 생성하는 대표 식별번호 생성부,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상기 대표 식별번호 정보를 단말 속성 정보 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어플 저장부 및 상기 입력정보 단말기로부터 어플리케이션 등록요청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입력정보 단말기로 대표 식별번호 정보를 전송하는 어플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이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관리 장치에서 수행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어플리케이션 관리 장치에서 수행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은 입력정보 단말기로부터 어플리케이션 등록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등록요청신호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에 상응하는 대표 식별번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입력정보 단말기로 어플리케이션 대표 식별번호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이동단말기 또는 웹 서버로부터 대표 식별번호 정보 및 단말 속성 정보를 포함한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요청신호에 상응하는 단말 속성 정보 별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상기 이동단말기 또는 웹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일 측면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이동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이동단말기는 어플리케이션 자동 구동을 위한 입력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입력정보를 분석하는 입력정보 분석부, 상기 입력정보를 분석한 결과, 상기 입력정보에 어플 구동 정보 및 대표 식별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대표 식별번호 정보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부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구동된 결과가 비디오 또는 오디오로 출력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이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이동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관리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관리하는 방법은 어플리케이션 자동 구동을 위한 입력정보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입력정보를 분석하는 단계-상기 입력정보는 어플 구동 정보, 대표 식별번호 정보 및 파라미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상기 입력정보를 분석한 결과, 상기 입력정보에 어플 구동 정보가 포함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판단결과, 상기 어플 구동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입력정보에 더 포함된 대표 식별번호 정보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된 경우, 상기 입력정보에 더 포함된 파라미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자동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자동 실행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포함된 입력부를 통하여 읽은 입력정보가 어떤 정보인지,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 사용자가 미리 인지하지 않아도 정보를 읽기만 하면 자동으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구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해당 서비스를 사용자가 미리 인지하고 있었다고 하더라도 입력장치를 통하여 읽은 정보를 추가적인 조작을 통해서 사용할 수 밖에 없어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기 위한 입력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의 OS, 플랫폼, 해상도 별로 정확히 선별하여 자동 구동하므로 기존의 방법 보다 정교하게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구동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시 입력정보에 포함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특정 프로세스를 자동으로 더 수행하게 하면 이용자의 편의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망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관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관리장치에서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등록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에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입력 정보의 예시도면이다.
도 8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의 실시 예시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이를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장치 및 이동단말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망 구성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들은 어플리케이션 관리장치(100), 입력정보 단말기(200) 및 이동단말기(300)가 포함된다.
어플리케이션 관리장치(100)는 입력정보 단말기(200)로부터 단말 속성 별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등록 받고, 단말 속성 정보 별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저장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별 대표 식별번호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단말 속성 정보는 OS(Operation system) 정보, 플랫폼 종류 정보 및 화면 해상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관리장치(100)는 이동단말기(300)로부터 단말 속성 정보 및 대표 식별번호 정보를 수신하고, 상응하는 단말 속성 정보 별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처리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관리장치(100)는 이동단말기(300)로부터 단말 속성 정보 및 대표 식별번호 정보를 수신하고, 상응하는 단말 속성 정보 별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선택한 후 별도의 다운로드 서버(미도시)를 통하여 이동단말기(300)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처리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관리장치(100)는 예를 들면, 애플사의 앱 스토어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등록 및 저장하고 이를 배포하는 시스템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관리장치(100)에 대해서는 후술되는 도 2 내지 도 4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입력정보 단말기(200)는 단말 속성 정보 별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어플리케이션 관리장치(100)에 등록하고, 어플리케이션 관리장치(100)로부터 대표 식별번호 정보를 수신한다.
입력정보 단말기(200)는 수신된 대표 식별번호 정보가 포함된 입력정보를 생성하여 배포한다.
여기서, 입력정보는 어플 구동 정보, 대표 식별번호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자동 구동을 위한 파라미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입력정보에 관해서는 후술할 도 7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입력정보 단말기(200)는 예를 들면, 컴퓨터 일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을 제작하고, 이를 어플리케이션 관리장치(100)에 등록할 수 있는 어떠한 전자기기도 포함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동단말기(300)는 배포된 입력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입력정보를 분석하여 어플 구동 정보가 포함되는지 판단한다.
이동단말기(300)는 판단결과, 어플 구동 정보가 포함된 경우, 입력정보에 더 포함된 대표 식별번호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 경우, 이를 실행한다.
이동단말기(300)는 판단결과, 어플 구동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일반적인 입력부(310)의 처리 기능을 실행한다.
이동단말기(300)는 판단결과, 어플 구동 정보가 포함된 경우이나 대표 식별번호 정보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이동단말기(300)에 상응하는 단말 속성 정보를 추출한다.
이동단말기(300)는 추출된 단말 속성 정보 및 대표 식별번호 정보를 포함한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요청신호를 어플리케이션 관리장치(100)로 전송하고, 이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구동한다.
또한, 이동단말기(300)는 추출된 단말 속성 정보 및 대표 식별번호 정보를 포함한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요청신호를 어플리케이션 관리장치(100)로 전송하고, 이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선택되고, 별도의 다운로드 서버를 통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구동할 수 있다.
이동단말기(300)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 패드(pad),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등 이동이 가능한 통신 단말기이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이동단말기(300)에 대해서는 후술되는 도 5 내지 도 9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관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 관리장치(100)는 대표 식별번호 정보 생성부(110), 어플 저장부(120), 다운로드 처리부(130), 어플 통신부(140)를 포함한다.
대표 식별번호 정보 생성부(11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어플 통신부(140)를 통하여 등록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에 상응하는 대표 식별번호 정보를 생성한다.
어플 저장부(120)는 등록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대표 식별번호 정보와 함께 단말 속성 정보 별로 분류하여 저장한다.
또한, 어플 저장부(120)는 별도의 다운로드 서버에 포함될 수 있다.
다운로드 처리부(130)는 이동단말기(300)로부터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요청 신호에 포함된 대표 식별번호 정보 및 단말 속성 정보를 분석하여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처리한다. 여기서, 단말 속성 정보는 적용 OS 정보, 적용 플랫폼 정보 및 화면 해상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다운로드 처리부(130)는 이동단말기(300)로부터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요청 신호에 포함된 대표 식별번호 정보 및 단말 속성 정보를 분석하여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고 별도의 다운로드 서버를 통하여 다운로드 처리할 수 있다.
도4를 더 참조하면, 다운로드 처리부(130)는 예를 들면, iOS를 사용하는 아이폰 단말기로부터 대표식별번호 정보 101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요청이 있는 경우,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에 상응하는 파일명 C-Card-1의 파일을 다운로드 처리한다.
어플 통신부(140)는 입력정보 단말기(200)로부터 어플리케이션 등록요청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상응한 대표 식별번호 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서, 등록요청신호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에 상응하는 단말 속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플 통신부(140)는 이동단말기(300)로부터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동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어플 통신부(140)는 이동단말기(300)로부터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선택한 후 별도의 다운로드 서버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다운로드 서버가 해당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동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전송 요청 신호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파일명을 포함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관리장치(100)에서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S310에서, 어플리케이션 관리장치(100)는 입력정보 단말기(200)로부터 단말 속성 정보 별 제작된 어플리케이션 등록요청신호를 수신한다.
단계 S320에서, 어플리케이션 관리장치(100)는 단말 속성 정보 별 어플리케이션을 등록하고, 어플리케이션에 상응하는 대표 식별번호를 생성 및 저장한다.
단계 S330에서, 어플리케이션 관리장치(100)는 입력정보 단말기(200)로 어플리케이션 대표 식별번호 정보를 전송한다.
입력정보 단말기(200)는 대표 식별번호 정보가 포함된 입력정보를 생성하여 배포한다.
여기서, 입력정보는 어플 구동 정보, 대표 식별번호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자동 구동을 위한 파라미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단계 S340에서, 어플리케이션 관리장치(100)는 이동단말기(300)로부터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요청신호는 단말 속성 정보 및 대표 식별번호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단계 S350에서, 어플리케이션 관리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요청신호에 상응하는 단말 속성 정보 별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동단말기(300)로 전송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관리장치(100)는 별도의 다운로드 서버를 통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동단말기(300)로 다운로드 처리할 수 있다.
이동단말기(300)는 단말 속성 정보 별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수신 및 설치하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자동 실행된 결과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등록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어플리케이션 관리장치(100)는 입력정보 단말기(200)로부터 어플리케이션 등록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응하는 대표 식별번호를 생성한다.
어플리케이션 관리장치(100)는 생성된 대표 식별번호와 어플리케이션 등록요청 신호에 포함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단말 속성 정보를 저장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 관리장치(100)에 저장되는 어플리케이션 등록 테이블은 대표 식별번호 정보(410), 어플리케이션 명칭정보(420), 어플리케이션 버전 정보(430), 적용 OS 정보(440), 적용 플랫폼 정보(450), 화면 해상도 정보(460), 파일 명칭 정보(470) 및 어플리케이션 생성 시간 정보(48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관리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 등록 테이블에 저장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요청하는 이동단말기(300)의 단말 속성 정보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동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300)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동단말기(300)는 입력부(310), 입력정보 분석부(320), 어플리케이션 구동부(330), 다운로드 관리부(340), 저장부(350), 출력부(360) 및 통신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310)는 어플리케이션 자동 구동을 위한 입력정보가 입력된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 자동 구동을 위한 입력정보는 사용자가 입력수단, 예를 들면, 키패드, 터치스크린, 음성인식, 영상인식 등을 통하여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인식은 이미지 정보, 예를 들면, 문자열코드, 바코드, QR 코드, 데이터 메트릭스 코드 등, 또는 동영상 정보에 해석하여 입력정보를 인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자동 구동을 위한 입력정보는 타 단말기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 예를 들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 블루투스 통신, 지그비 통신 등, 또는 무선 통신, 예를 들면, 와이파이 통신, 와이브로 통신, 3G 통신, 4G 통신 등을 통하여 입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입력부(310)는 키패드, 터치스크린, 마이크 및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후술할 통신부(370)를 포함하여 근거리통신모듈 및 이동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입력정보 분석부(320)는 어플리케이션 자동 구동을 위한 입력정보를 분석한다.
입력정보 분석부(320)는 입력정보가 어플 구동 정보, 대표 식별번호 정보 및 파라미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지 분석한다.
어플리케이션 구동부(330)는 입력정보에 어플 구동 정보, 대표 식별번호 정보 및 파라미터 정보가 포함된 경우, 대표 식별번호 정보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파라미터 정보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실행한다.
다운로드 관리부(340)는 입력정보에 포함된 대표 식별번호 정보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이동단말기(300)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어플리케이션 관리장치(100)에 해당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요청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요청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요청신호는 이동단말기(300)의 단말 속성 정보 및 대표 식별번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350)는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구동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관련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출력부(360)는 어플리케이션 자동 구동된 결과가 비디오 또는 오디오로 출력된다.
통신부(370)는 입력정보,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요청신호 및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중 적어도 하나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37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예를 들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 블루투스 통신, 지그비 통신 등, 및 무선 통신 모듈, 예를 들면, 와이파이 통신, 와이브로 통신, GSM 통신, 3G 통신, 4G 통신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에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S610에서 이동단말기(300)는 입력부(310)를 통하여 입력정보가 입력된다.
단계 S620에서 이동단말기(300)는 입력정보를 분석한다. 여기서, 입력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직접 입력, 음성인식, 영상인식, RF 신호를 통하여 입력될 수 있다.
단계 S630에서 이동단말기(300)는 분석된 입력정보에 어플 구동 정보가 포함되었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어플 구동 정보는 입력정보의 헤더에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단말기(300)는 입력정보의 헤더를 분석하여 어플 구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640에서 이동단말기(300)는 판단결과, 어플 구동 정보가 포함된 경우, 입력정보에 더 포함된 대표 식별번호 정보를 추출한다.
단계 S650에서 이동단말기(300)는 판단결과, 어플 구동 정보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일반적인 입력부(310) 처리기능이 진행된다. 이동단말기(300)는 이미지 정보가 입력된 경우, 이미지 정보를 분석한 결과, 어플 구동 정보가 없는 경우 이미지 뷰어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이미지 정보를 편집하거나 저장하는 일반적인 입력부(310) 처리기능을 진행할 수 있다.
단계 S660에서 이동단말기(300)는 대표 식별번호 정보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단계 S670에서 이동단말기(300)는 판단 결과,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한다.
단계 S680에서 이동단말기(300)는 판단 결과,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이동단말기(300)의 단말 속성 정보를 추출한다.
단계 S682에서 이동단말기(300)는 추출된 이동단말기(300)의 단말 속성 정보 및 대표 식별 번호 정보를 포함한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요청신호를 어플리케이션 관리장치(100)로 전송한다.
단계 S684에서 이동단말기(300)는 어플리케이션 관리장치(100)로부터 해당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한다.
또한, 이동단말기(300)는 어플리케이션 관리장치(100)와 연계된 별도의 다운로드 서버를 통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할 수 있다.
이후, 이동단말기(300)는 상술한 단계 S670를 수행한다.
단계 S690에서 이동단말기(300)는 입력정보에 포함된 파라미터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실행한다.
이후 이동단말기(30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실행한 결과를 비디오 또는 오디오로 출력한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입력 정보의 예시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 자동 구동을 위한 입력정보는 헤더에 어플 구동 정보(710)가 포함되며, 다른 데이터필드에 대표 식별번호 정보(720) 및 파라미터 정보(73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우선 이동단말기(300)는 입력정보의 헤더를 분석하여 어플 구동 정보(710)가 있는 경우, 다음으로, 대표 식별번호 정보(720)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자동 구동된다. 예를 들면, 대표 식별번호 정보(720)이 101인 경우,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인 신용카드 결제 어플리케이션이 자동 구동될 수 있다.
이후, 이동단말기(300)는 파라미터 정보(730)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입력되고 자동 실행된다.
예를 들면, 파라미터 정보(730)가 구매번호=123 & 목록=민소매티 & 단가=1 & 수량=1 & 구매금액=4900 & 구매처=Kmarket인 경우, 신용카드 결제 어플리케이션에 파라미터 정보(730)가 입력되어 자동 실행될 수 있다.
즉, 이동단말기(300)는 이용자의 별도의 조작이 없어도 신용카드 결제 어플리케이션이 자동 구동되고, 더 포함된 파라미터 정보를 결제 시스템에 전송 후 상기 구매식별번호에 해당하는 거래내역을 추출, 가맹점코드 및 구매금액을 비교 후,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여 이용자가 구매내역을 확인하는 화면을 바로 출력할 수 있다.
도 8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의 실시 예시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300)에 대표 식별번호 정보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지 않는 경우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300)에 대표 식별번호 정보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된 경우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단계 S810에서 이동단말기(300)는 NFC 통신을 통하여 입력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단계 S820에서, 이동단말기(300)는 입력정보 헤더를 분석한 결과, 어플 구동 정보가 존재하고, 이후 추출한 대표 식별번호 정보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단말속성정보 및 대표식별번호 정보를 포함한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요청정보를 어플리케이션 관리장치(100)에 전송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 있다.
단계 S830에서, 이동단말기(30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구동하고, 입력정보에 더 포함된 파라미터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자동 실행한 결과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단계 S910에서 이동단말기(300)는 NFC 통신을 통하여 입력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단계 S920에서, 이동단말기(300)는 입력정보 헤더를 분석한 결과, 어플 구동 정보가 존재하고, 이후 추출한 대표 식별번호 정보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구동하고, 입력정보에 더 포함된 파라미터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자동 실행한 결과 화면을 바로 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어플리케이션 관리장치 200: 입력정보 단말기
300: 이동단말기 110: 대표 식별번호 생성부
120: 어플 저장부 130: 다운로드 처리부
140: 어플 통신부 310: 입력부
320: 입력정보 분석부 330: 어플리케이션 구동부
340: 다운로드 관리부 350: 저장부
360: 출력부 370: 통신부

Claims (20)

  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관리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장치에 있어서,
    입력정보 단말기로부터 어플리케이션 등록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상응하는 대표 식별번호 정보를 생성하는 대표 식별번호 생성부;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상기 대표 식별번호 정보를 단말 속성 정보 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어플 저장부; 및
    상기 입력정보 단말기로부터 어플리케이션 등록요청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입력정보 단말기로 대표 식별번호 정보를 전송하는 어플 통신부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이동단말기로부터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동단말기로 다운로드 처리하는 다운로드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이동단말기로부터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선택한 후 어플리케이션 전송 요청 신호를 다운로드 서버로 전송하는 다운로드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요청 신호는 상기 대표 식별번호 정보 및 상기 단말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속성 정보는 적용 OS 정보, 적용 플랫폼 정보 및 화면 해상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어플리케이션 관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 저장부는
    어플리케이션 대표 식별번호 정보, 어플리케이션 명칭정보, 어플리케이션 버전 정보, 적용 OS 정보, 적용 플랫폼 정보, 화면 해상도 정보, 파일 명칭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생성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등록 테이블 정보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 저장부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별도의 다운로드 서버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장치.
  8. 어플리케이션 관리 장치에서 수행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에 있어서,
    입력정보 단말기로부터 어플리케이션 등록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등록요청신호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에 상응하는 대표 식별번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입력정보 단말기로 어플리케이션 대표 식별번호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이동단말기로부터 대표 식별번호 정보 및 단말 속성 정보를 포함한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요청신호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요청신호에 상응하는 단말 속성 정보 별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전송 요청 신호를 다운로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다운로드 서버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등록요청신호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상기 대표 식별번호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11.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이동단말기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자동 구동을 위한 입력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입력정보를 분석하는 입력정보 분석부;
    상기 입력정보를 분석한 결과, 상기 입력정보에 어플 구동 정보 및 대표 식별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대표 식별번호 정보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부;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구동된 결과가 비디오 또는 오디오로 출력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정보를 분석한 결과, 상기 입력정보에 어플 구동 정보 및 대표 식별번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대표 식별번호 정보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다운로드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단말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부는 상기 입력정보에 파라미터 정보가 더 포함된 경우, 상기 파라미터 정보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자동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키패드, 터치스크린, 마이크, 카메라, 근거리통신모듈 및 이동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인 이동 단말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가 근거리통신모듈인 경우,
    상기 입력정보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신호,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 신호, 블루투스 통신 신호 및 지그비 통신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가 카메라인 경우,
    상기 입력정보가 문자열코드, 바코드, QR 코드, 데이터 메트릭스 코드 및 동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7. 이동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자동 구동을 위한 입력정보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입력정보를 분석하는 단계-상기 입력정보는 어플 구동 정보, 대표 식별번호 정보 및 파라미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상기 입력정보를 분석한 결과, 상기 입력정보에 어플 구동 정보가 포함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판단결과, 상기 어플 구동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입력정보에 더 포함된 대표 식별번호 정보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된 경우, 상기 입력정보에 더 포함된 파라미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자동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자동 실행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정보에 포함된 대표 식별번호 정보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상기 대표 식별번호 정보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요청신호를 어플리케이션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상기 다운로드 요청신호는 상기 대표 식별번호 정보 및 단말 속성 정보를 포함함-;를 더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장치로부터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장치로부터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전송 요청 신호를 수신한 다운로드 서버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 구동 정보는 상기 입력정보의 데이터 헤더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KR1020110033434A 2011-04-11 2011-04-11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과, 이를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장치 및 이동단말기 KR101246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3434A KR101246359B1 (ko) 2011-04-11 2011-04-11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과, 이를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장치 및 이동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3434A KR101246359B1 (ko) 2011-04-11 2011-04-11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과, 이를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장치 및 이동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5864A true KR20120115864A (ko) 2012-10-19
KR101246359B1 KR101246359B1 (ko) 2013-03-21

Family

ID=47284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3434A KR101246359B1 (ko) 2011-04-11 2011-04-11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과, 이를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장치 및 이동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63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457B1 (ko) * 2014-07-08 2014-12-05 주식회사 시큐브 운영체제 정보에 기반한 이동통신단말기 등록 시스템, 이를 이용한 본인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50347114A1 (en) 2014-05-28 2015-12-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ternet of things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1822B1 (ko) * 2004-09-10 2007-03-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 복제 방지 방법
KR20080026496A (ko) * 2006-09-20 2008-03-25 미디어코러스 주식회사 특정 목적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메시지전달 방법
KR100836249B1 (ko) 2007-01-11 2008-06-1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어플리케이션 구동 방법 및 시스템
KR100848891B1 (ko) 2007-04-11 2008-07-2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와 외부장치의 연동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47114A1 (en) 2014-05-28 2015-12-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ternet of things devices
US10248399B2 (en) 2014-05-28 2019-04-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ternet of Things devices
US11409509B2 (en) 2014-05-28 2022-08-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ternet of things devices
KR101469457B1 (ko) * 2014-07-08 2014-12-05 주식회사 시큐브 운영체제 정보에 기반한 이동통신단말기 등록 시스템, 이를 이용한 본인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6359B1 (ko) 2013-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50440B2 (en) Payment collection device and method and apparatus
US8958927B2 (en) Vehicle-onboard apparatus system, portable terminal, and vehicle-onboard machine
JP5902249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の携帯端末機間移動及びインストール方法
US20150254737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customized service based on beacon signal
JP5925915B2 (ja) 商品を追跡しかつ商品情報を提供する方法及び装置
US20150254632A1 (en) Mobile payment service system and device therefor
JP2021193632A (ja) 端末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1101395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とその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051173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のダウンロード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140172532A1 (en) Optimal utilization of coupons
KR101546410B1 (ko) 전자 쿠폰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30126258A (ko)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CN105094830A (zh) 一种执行目标功能的方法和装置
US2013031137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aying for a product using a near field communication device
KR20130012188A (ko)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246359B1 (ko)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과, 이를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장치 및 이동단말기
JP5672691B2 (ja) 携帯端末装置、支払い媒体選択方法及び支払い媒体選択プログラム
CN109145591B (zh) 应用程序的插件加载方法
KR101559623B1 (ko) 디지털 사이니지 콘텐츠 유형에 따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매칭 방법 및 그 시스템
US11282044B2 (en) System for transmitting payment information using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JP2011118594A5 (ko)
US20160371677A1 (en) Electronic device and output device short range communication pairing system and method
CN105825381B (zh) 信息存储方法及装置
KR20200053752A (ko) 자동 완성 기능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JP6832459B2 (ja) 電子機器及び出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