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8549B1 - 단말 간 데이터 이동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단말 간 데이터 이동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8549B1
KR101648549B1 KR1020140098572A KR20140098572A KR101648549B1 KR 101648549 B1 KR101648549 B1 KR 101648549B1 KR 1020140098572 A KR1020140098572 A KR 1020140098572A KR 20140098572 A KR20140098572 A KR 20140098572A KR 101648549 B1 KR101648549 B1 KR 101648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tem
terminal
supportable
writing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8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5816A (ko
Inventor
성병규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테크엑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테크엑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테크엑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8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8549B1/ko
Publication of KR20160015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58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8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8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단말 간 데이터 이동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가 개시된다. 데이터 이동 장치에 연결되는 두 개의 단말을 각각 읽기 단말과 쓰기 단말로 인식하고, 읽기 단말에 저장된 항목 중 쓰기 단말에서 지원 가능한 항목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읽기 단말에 저장된 항목을 구분하여 표시하고, 지원 가능한 항목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읽기 단말의 이동 대상 데이터를 쓰기 단말로 복사함으로써, 쓰기 단말에서 지원 불가능한 데이터들까지 불필요하게 읽어 들이지 않고, 사용자가 읽기 단말로부터 쓰기 단말로 어떠한 데이터가 지원이 안되어서 옮겨지지 아니하는지 개별적으로 확인하는 노력과 시간을 절약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단말 간 데이터 이동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METHOD FOR MOVING DATA BETWEEN TERMINALS AND APPARATUS FOR THE SAME}
본 발명은 단말 간 데이터 이동 시, 데이터 이동 장치에 두 개의 단말을 동시에 연결하여 데이터를 이동할 수 있고, 쓰기 단말에서 지원 가능한 항목을 판단하여 데이터를 이동시킬 수 있는 단말 간 데이터 이동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업계의 활발한 경쟁 구도로 인해 스마트 폰, 피처 폰과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공급이 급증하고 있으며, 그 종류도 매우 다양해지고 있다. 또한, 신제품이 출시되는 간격이 짧아짐에 따라 사용자들이 단말을 교체하는 기간도 짧아져 단말의 교체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실정이다.
새로운 단말을 구입하여 단말을 교체할 때, 일반적으로는 이동통신 사업장에 방문하여 기존의 단말에 있던 데이터를 데이터 이동에 사용할 컴퓨터로 이동시킨 후, 새로운 단말을 해당 컴퓨터로 다시 연결하여 데이터를 전달하였다. 이 때, 구 단말과 신 단말을 순차적으로 데이터 이동에 사용할 컴퓨터로 연결하여 데이터를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데이터 이동 여부를 항상 확인하고 있지 않는다면 작업의 처리 속도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구 단말과 신 단말의 동기화 여부와는 상관없이 데이터를 모두 이동시켜야 하므로 비효율적인 데이터 이동 작업을 수행해야 하였고, 간혹 데이터 이동 과정에서 단말의 연결 문제로 인해 구 단말의 데이터가 삭제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한국 공개 특허 제10-2002-0024235호, 2002년 3월 29일 공개 (명칭: 컴퓨터를 이용한 이기종 이동 통신 단말기간의 사용자데이터 변환, 전송에 대한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 간 데이터 이동 서비스를 제공 시 읽기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들 중 쓰기 단말에서 지원 가능한 데이터들을 선별함으로써, 쓰기 단말에서 지원 불가능한 데이터들까지 불필요하게 읽어 들일 필요 없는 보다 효율적인 데이터 이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읽기 단말로부터 쓰기 단말로 어떠한 데이터가 지원이 안되어서 옮겨지지 아니하는지 개별적으로 확인할 필요 없는 보다 편리한 데이터 이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 간 데이터 이동 방법은, 데이터 이동 장치에 연결되는 두 개의 단말을 각각 읽기 단말과 쓰기 단말로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읽기 단말에 저장된 항목 중 상기 쓰기 단말에서 지원 가능한 항목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를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상기 읽기 단말에 저장된 항목을 구분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지원 가능한 항목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읽기 단말의 이동 대상 데이터를 상기 쓰기 단말로 복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지원 가능한 항목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읽기 단말에 저장된 항목에 대한 항목 식별자 및 쓰기 단말에 대한 단말 식별자를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의 수신 결과를 고려하여, 상기 쓰기 단말에 대해 상기 읽기 단말에 저장된 항목이 상기 지원 가능한 항목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지원 가능한 항목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가 각 단말의 지원 항목들이 기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식별자에 및 상기 항목 식별자가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지원 가능한 항목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식별자에 및 상기 항목 식별자가 매칭되는 경우, 상기 쓰기 단말에 대해 상기 읽기 단말에 저장된 항목이 상기 지원 가능한 항목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읽기 단말에 저장된 항목은 연락처 항목, 메시지 항목, 통화 기록 항목, 북마크 항목, 캘린더 항목, 시스템 설정 항목, 배경화면 항목, 사진 항목, 동영상 항목, 음악 항목, 벨소리 항목 및 어플리케이션 항목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항목은 상기 읽기 단말에 설치된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을 하위 항목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쓰기 단말로 복사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추천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쓰기 단말로 복사할 수 있다.
이 때, 쓰기 단말로 복사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연령대, 성별 및 선호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상기 추천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항목을 구분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 결과가 지원 가능한 항목인 경우, 상기 사용자가 선택 가능하도록 표시하고, 상기 판단 결과가 지원 불가능한 항목인 경우, 상기 사용자가 선택 불가능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 간 데이터 이동 장치는, 두 개의 단말을 각각 읽기 단말과 쓰기 단말로 인식하는 단말 인식부; 상기 읽기 단말에 저장된 항목 중 상기 쓰기 단말에서 지원 가능한 항목을 판단하는 지원 가능 항목 판단부; 상기 판단 결과를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상기 읽기 단말에 저장된 항목을 구분하여 표시하는 항목 표시부; 및 상기 지원 가능한 항목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읽기 단말의 이동 대상 데이터를 상기 쓰기 단말로 복사하는 데이터 복사부를 포함한다.
이 때, 지원 가능 항목 판단부는 상기 읽기 단말에 저장된 항목에 대한 항목 식별자 및 쓰기 단말에 대한 단말 식별자를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의 수신 결과를 고려하여, 상기 쓰기 단말에 대해 상기 읽기 단말에 저장된 항목이 상기 지원 가능한 항목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지원 가능 항목 판단부는 상기 서버가 각 단말의 지원 항목들이 기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식별자에 및 상기 항목 식별자가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지원 가능 항목 판단부는 상기 단말 식별자에 및 상기 항목 식별자가 매칭되는 경우, 상기 쓰기 단말에 대해 상기 읽기 단말에 저장된 항목이 상기 지원 가능한 항목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읽기 단말에 저장된 항목은 연락처 항목, 메시지 항목, 통화 기록 항목, 북마크 항목, 캘린더 항목, 시스템 설정 항목, 배경화면 항목, 사진 항목, 동영상 항목, 음악 항목, 벨소리 항목 및 어플리케이션 항목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항목은 상기 읽기 단말에 설치된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을 하위 항목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 복사부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추천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쓰기 단말로 복사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 복사부는 상기 사용자의 연령대, 성별 및 선호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상기 추천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항목 표시부는 상기 판단 결과가 지원 가능한 항목인 경우, 상기 사용자가 선택 가능하도록 표시하고, 상기 판단 결과가 지원 불가능한 항목인 경우, 상기 사용자가 선택 불가능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 간 데이터 이동 서비스를 제공 시 읽기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들 중 쓰기 단말에서 지원 가능한 데이터들을 선별함으로써, 쓰기 단말에서 지원 불가능한 데이터들까지 불필요하게 읽어 들일 필요 없는 보다 효율적인 데이터 이동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읽기 단말로부터 쓰기 단말로 어떠한 데이터가 지원이 안되어서 옮겨지지 아니하는지 개별적으로 확인할 필요 없는 보다 편리한 데이터 이동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 간 데이터 이동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이동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본 데이터 항목 선택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App 데이터 항목 선택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추천 App 항목 선택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대상 데이터 선택 인터페이스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 간 데이터 이동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 간 데이터 이동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 간 데이터 이동 시스템은 데이터 이동 장치(130) 및 단말(121, 122)을 포함한다.
단말(121, 122)은 데이터를 전달할 읽기 단말과 데이터를 저장할 쓰기 단말로 분류될 수 있다. 단말(121, 122)은 데이터 이동 장치(130)에 동시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고, 읽기 단말에 포함된 데이터 중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선택하여 교환할 수 있다.
또한, 단말(121, 122)은 다양한 이동통신 사양을 갖는 모바일(Mobile) 단말일 수 있으며, 데이터 이동 장치(130)와 연결되어 데이터 교환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데이터 이동 장치(130)는 단말(121, 122)이 데이터 이동 장치(130)에 연결되는 순서에 따라 각각 읽기 단말과 쓰기 단말로 인식한다.
이 때, 데이터 이동 장치(130)에 연결되는 순서에 따라 단말(121, 122)에 각각 인덱스 번호를 부여하고, 두 개의 단말 중 인덱스 번호가 낮은 단말을 읽기 단말로 인식할 수 있다.
데이터 이동 장치(130)는 데이터 저장량을 고려하여 단말(121, 122)의 역할 변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말(121, 122)을 읽기 단말과 쓰기 단말로 분류하여 식별할 때, 상대적으로 데이터 저장량이 많은 단말을 읽기 단말로 식별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121, 122)이 데이터 이동 장치(130)에 연결된 순서로 결정된 역할을 단말(121, 122)의 데이터 저장량을 고려하여 역할 변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읽기 단말의 데이터 저장량이 기설정된 기준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고, 읽기 단말의 데이터 저장량이 기설정된 기준 미만인 경우에 단말(121, 122)의 역할을 변경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읽기 단말의 데이터 저장량이 기설정된 기준 이상인지 판단하기 위해서는 읽기 단말에 저장된 연락처, 메시지 및 통화기록의 개수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읽기 단말에 저장된 연락처, 메시지 및 통화기록의 개수가 각각 기설정된 개수 이하일 경우에 읽기 단말의 데이터 저장량이 기설정된 기준 미만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단말(121, 122)에 상응하는 단말 기종 출시일을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읽기 단말과 쓰기 단말의 단말 기종 출시일을 비교하여, 읽기 단말의 데이터 저장량이 기설정된 기준 이상이면서 읽기 단말의 단말 기종 출시일이 쓰기 단말의 단말 기종 출시일보다 느린 경우에는, 데이터 이동 장치(130)의 사용자에게 단말(121, 122)의 역할 변경 여부에 대한 판단을 위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121, 122)간 데이터를 교환하는 경우에는 단말 기종 출시일이 빠른 구 단말에서 단말 기종 출시일이 느린 신 단말로 데이터를 이동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데이터 저장량이 기설정된 기준 이상인 읽기 단말의 단말 기종 출시일이 쓰기 단말의 단말 기종 출시일보다 느린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판단을 위임하여 읽기 단말과 쓰기 단말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판단 결과 단말(121, 122)의 역할을 변경하는 경우에, 데이터 이동 장치(130)의 사용자에게 역할 변경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이동 장치(130)는 역할 변경을 위한 스왑 버튼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스왑 버튼 입력이 있는 경우에, 읽기 단말 및 쓰기 단말을 서로 전환하고, 전환 결과에 따라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갱신하여 표시한다. 읽기 단말과 쓰기 단말이 전환됨에 따라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 각각 표시되었던 모델명들도 전환 결과에 맞게 갱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스왑 버튼 입력이 있는 경우에, 항목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정보를 전환 결과에 상응하는 읽기 단말에 저장된 항목으로 갱신할 수 있다. 스왑 버튼 입력으로 인해 읽기 단말과 쓰기 단말이 전환됨으로써, 항목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항목들도 새롭게 식별된 읽기 단말에 저장된 항목으로 갱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이동 장치(130)는 항목 표시 영역에 읽기 단말에 저장된 항목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에게 읽기 단말에 저장된 항목 중 쓰기 단말에서 지원 가능한 항목을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읽기 단말에 저장된 항목에 대한 항목 식별자 및 쓰기 단말에 대한 단말 식별자를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수신한 결과에 따라 읽기 단말에 저장된 항목이 지원 가능한 항목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판단 결과 읽기 단말에 저장된 항목이 지원 불가능한 항목인 경우 지원 불가능한 항목을 사용자가 선택 불가능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원 불가능한 항목이 어떤 항목인지 디스플레이는 되지만, 해당 항목을 클릭하여 선택할 수 없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서버로부터 수신한 결과에 따라 단말 식별자 및 항목 식별자가 매칭되는 경우에, 읽기 단말에 저장된 항목이 지원 가능한 항목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서버로부터 수신한 결과는 단말(121, 122)에 상응하는 지원 항목들이 기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서버가 단말 식별자 및 항목 식별자가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일 수 있다.
이 때, 읽기 단말에 저장된 항목은 연락처, 메시지, 통화 기록, 북마크, 캘린더, 시스템 설정, 배경화면, 사진, 동영상, 음악, 벨소리 및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이동 장치(130)는 읽기 단말의 이동 대상 데이터를 쓰기 단말로 복사한다.
이 때, 읽기 단말에 저장된 항목 중 쓰기 단말에서 지원 가능한 항목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이동 대상 데이터를 쓰기 단말로 복사할 수 있다. 읽기 단말에 저장된 항목을 모두 이동시키지 않고 사용자가 필요한 항목만을 선택하여 이동시킴으로써 필요 없는 데이터의 이동으로 인해 작업시간이 늘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이동 장치(130)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이동 장치(130)는 단말 인식부(210), 지원 가능 항목 판단부(220), 항목 표시부(230) 및 데이터 복사부(240)를 포함한다.
단말 인식부(210)는 두 개의 단말을 각각 읽기 단말과 쓰기 단말로 인식한다.
지원 가능 항목 판단부(220)는 읽기 단말에 저장된 항목 중 쓰기 단말에서 지원 가능한 항목을 판단한다.
이 때, 지원 가능 항목 판단부(220)는 읽기 단말에 저장된 항목에 대한 항목 식별자 및 쓰기 단말에 대한 단말 식별자를 서버에 전송하고, 서버로부터의 수신 결과를 고려하여, 쓰기 단말에 대해 읽기 단말에 저장된 항목이 지원 가능한 항목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지원 가능 항목 판단부(220)는 서버가 각 단말의 지원 항목들이 기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단말 식별자에 및 항목 식별자가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지원 가능 항목 판단부(220)는 단말 식별자에 및 항목 식별자가 매칭되는 경우, 쓰기 단말에 대해 읽기 단말에 저장된 항목이 지원 가능한 항목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읽기 단말에 저장된 항목은 연락처 항목, 메시지 항목, 통화 기록 항목, 북마크 항목, 캘린더 항목, 시스템 설정 항목, 배경화면 항목, 사진 항목, 동영상 항목, 음악 항목, 벨소리 항목 및 어플리케이션 항목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항목은 읽기 단말에 설치된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을 하위 항목으로 포함할 수 있다.
항목 표시부(230)는 판단 결과를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읽기 단말에 저장된 항목을 구분하여 표시한다.
이 때, 항목 표시부(230)는 판단 결과가 지원 가능한 항목인 경우, 사용자가 선택 가능하도록 표시하고, 판단 결과가 지원 불가능한 항목인 경우, 사용자가 선택 불가능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도 2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이동 장치(130)는 쓰기 단말에 저장된 항목 리스트를 획득하여 읽기 단말에 저장된 항목 중 쓰기 단말에 이미 복사된 항목을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항목 표시부(230)는 지원 가능한 항목을 선택 가능 항목 및 이미 복사된 항목으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항목 표시부(230)는 이미 복사된 항목에 대해 선택 불가능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항목 표시부(230)는 선택 가능 항목을 선택된 항목 및 선택되지 아니한 항목으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항목 표시부(230)는 각각의 항목에 대해 선택된 항목, 선택되지 아니한 항목, 이미 복사된 항목, 지원 불가능한 항목과 같이 4가지 아이콘을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데이터 복사부(240)는 지원 가능한 항목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읽기 단말의 이동 대상 데이터를 쓰기 단말로 복사하는 데이터 복사부를 포함한다.
이 때, 데이터 복사부(24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추천 어플리케이션을 쓰기 단말로 복사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 복사부(240)는 사용자의 연령대, 성별 및 선호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추천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본 데이터 항목(631) 선택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본 데이터 항목(631) 선택 인터페이스는 기본 데이터 항목(631), 기본 데이터 항목(631)을 전체선택하기 위한 전체선택 항목(301) 및 클라우드 백업을 이용하기 위한 클라우드 항목(302)를 포함한다.
기본 데이터 항목(631)은 연락처 항목, 메시지 항목, 통화 기록 항목, 북마크 항목, 캘린더 항목, 시스템 설정 항목, 배경화면 항목, 사진 항목, 동영상 항목, 음악 항목 및 벨소리 항목 등 어플리케이션을 제외한 읽기 단말에 저장된 항목들을 포함한다.
이 때, 쓰기 단말에서 지원 불가능한 항목은 선택이 불가하도록 지원 불가 아이콘(641), 쓰기 단말에서 지원 가능한 항목은 선택 가능하도록 선택 가능 아이콘(643, 644)으로 구분되어 표시된다.
이 때, 선택 가능한 아이콘(643, 644)은 선택되지 아니한 항목을 나타내는 미선택 아이콘(643), 선택된 항목을 나타내는 선택 아이콘(644)으로 구분되어 표시된다.
이 때, 사용자는 기본 데이터 항목(631) 중 선택 가능한 항목 중에서 쓰기 단말로 이동시키고 싶은 항목만을 선택하여 이동 시킬 수 있다.
클라우드 항목(302)은 사용자가 미리 클라우드에 백업해 놓은 기본 데이터 항목을 쓰기 단말로 이동시키고 싶은 경우 이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App 데이터 항목(632) 선택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App 데이터 항목(632) 선택 인터페이스는 App 데이터 항목(632), App 데이터에 앞서 App 자체의 이동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App 이동 여부 선택 항목(401) 및 App 데이터 이동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App 데이터 이동 여부 선택 항목(402)을 포함한다.
App 데이터 항목(632)은 읽기 단말에 저장된 각 어플리케이션 항목들을 포함한다.
이 때, 쓰기 단말에 이미 복사된 항목은 선택이 불가하도록 이미 복사된 항목 아이콘(642)으로 표시된다.
이 때, 사용자는 App 데이터 항목(632) 중 선택 가능한 항목 중에서 쓰기 단말로 이동시키고 싶은 항목만을 선택하여 이동 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추천 App 항목(633) 선택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추천 App 항목(633) 선택 인터페이스는 추천 App 항목(633), 추천 App 이동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추천 App 이동 여부 선택 항목(501), 추천 App 기준 설정 버튼(502, 503)을 포함한다.
추천 App 항목(633)은 추천 App 기준 설정 버튼(502, 503)에 따라 설정된 추천 App 기준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기등록된 App이거나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으로 판단하여 결정된 App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천 App 기준 설정 버튼(502)이 남자이고, 추천 App 기준 설정 버튼(503)이 20~30대인 경우, 데이터베이스에서 20~30대 남자에게 추천하기 위한 App을 추천 App 항목(633)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추천 App 기준 설정 버튼(502)이 남자이고, 추천 App 기준 설정 버튼(503)이 20~30대인 경우, 사용자들의 App 이용 이력을 통해 20~30대 남자에 해당하는 사용자들이 많이 이용한 App들을 추천 App 항목(633)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대상 데이터 선택 인터페이스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대상 데이터 선택 인터페이스는 스왑 버튼(610), 읽기 단말 표시 영역(621), 쓰기 단말 표시 영역(622), 기본 데이터 항목(631), App 데이터 항목(632) 및 추천 App 항목(633)을 포함한다.
기본 데이터 항목(631) 및 App 데이터 항목(632)은 읽기 단말에 저장된 항목일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기본 데이터 항목(631) 및 App 데이터 항목(632)에서 쓰기 단말로 이동시키고 싶은 항목만을 선택하여 이동 시킬 수 있다.
또한, 추천 App 항목(633)을 두어, 읽기 단말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항목 중에서 쓰기 단말에 설치하고 싶은 항목을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다. 추천 App 항목(633)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및 데이터들은 데이터 이동 장치와 연결된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것일 수 있으며, 또는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도 있다.
사용자가 스왑 버튼(610)을 클릭하여 읽기 단말과 쓰기 단말을 전환할 수 있다. 이 때, 읽기 단말과 쓰기 단말이 전환됨에 따라 읽기 단말 표시 영역(621)과 쓰기 단말 표시 영역(622)에 표시되는 단말의 명칭과 모델명도 전환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기본 데이터 항목(631)과 App 데이터 항목(632)에 표시되는 내용도 전환된 읽기 단말에 상응하게 갱신될 수 있으며, 추천 App 항목(633)도 전환된 읽기 단말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App들로 항목이 새로이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기본 데이터 항목(631), App 데이터 항목(632) 및 추천 App 항목(633)에서 선택할 데이터를 선택한 뒤 데이터 이동 실행 버튼(640)을 클릭하면, 데이터 이동 실행 버튼(640)을 클릭하는 순간 읽기 단말 표시 영역(621)에 표시된 단말에서 쓰기 단말 표시 영역(622)에 표시된 단말로 데이터를 이동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 간 데이터 이동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 간 데이터 이동 방법은 데이터 이동 장치에 연결되는 두 개의 단말을 각각 읽기 단말과 쓰기 단말로 인식한다(S710).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 간 데이터 이동 방법은 읽기 단말에 저장된 항목 중 쓰기 단말에서 지원 가능한 항목을 판단한다(S720).
이 때, 단계(S720)는 읽기 단말에 저장된 항목에 대한 항목 식별자 및 쓰기 단말에 대한 단말 식별자를 서버에 전송하고, 서버로부터의 수신 결과를 고려하여, 쓰기 단말에 대해 읽기 단말에 저장된 항목이 지원 가능한 항목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720)는 서버가 각 단말의 지원 항목들이 기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단말 식별자에 및 항목 식별자가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720)는 단말 식별자에 및 항목 식별자가 매칭되는 경우, 쓰기 단말에 대해 읽기 단말에 저장된 항목이 지원 가능한 항목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읽기 단말에 저장된 항목은 연락처 항목, 메시지 항목, 통화 기록 항목, 북마크 항목, 캘린더 항목, 시스템 설정 항목, 배경화면 항목, 사진 항목, 동영상 항목, 음악 항목, 벨소리 항목 및 어플리케이션 항목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항목은 읽기 단말에 설치된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을 하위 항목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 간 데이터 이동 방법은 판단 결과를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읽기 단말에 저장된 항목을 구분하여 표시한다(S730).
이 때, 단계(S730)는 판단 결과가 지원 가능한 항목인 경우, 사용자가 선택 가능하도록 표시하고, 판단 결과가 지원 불가능한 항목인 경우, 사용자가 선택 불가능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 간 데이터 이동 방법은 지원 가능한 항목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읽기 단말의 이동 대상 데이터를 쓰기 단말로 복사한다(S740).
이 때, 단계(S74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추천 어플리케이션을 쓰기 단말로 복사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740)는 사용자의 연령대, 성별 및 선호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추천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 간 데이터 이동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스마트폰 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프로그램 또는 스마트폰 앱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모든 형태의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 간 데이터 이동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두 개의 단말이 데이터 이동 장치에 연결되는 두 단말에 대해, 읽기 단말에 저장된 항목 중 쓰기 단말에서 지원 가능한 항목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읽기 단말에 저장된 항목을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나아가, 고객들의 단말기 교체로 인한 데이터 이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리점에서 일일이 단말의 식별을 위한 액션을 할 필요가 없어 교체 업무를 진행하는데 효율적이며, 데이터 교체 시 발생할 수 있는 단말 식별 오류로 인한 데이터 소실문제를 방지할 수 있어 보다 신뢰할 수 있는 고객 응대를 수행할 수 있다.
121, 122: 단말 130: 데이터 이동 장치
210: 단말 인식부 220: 지원 가능 항목 판단부
230: 항목 표시부 240: 데이터 복사부

Claims (19)

  1. 데이터 이동 장치에 연결되는 두 개의 단말을 각각 읽기 단말과 쓰기 단말로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읽기 단말에 저장된 항목 중 상기 쓰기 단말에서 지원 가능한 항목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를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상기 읽기 단말에 저장된 항목을 구분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지원 가능한 항목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읽기 단말의 이동 대상 데이터를 상기 쓰기 단말로 복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두 개의 단말이 상기 데이터 이동 장치에 연결되는 순서에 따라 각각 부여된 인덱스 번호를 기반으로 상기 인덱스 번호가 낮은 단말을 상기 읽기 단말, 다른 하나를 상기 쓰기 단말로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읽기 단말과 상기 쓰기 단말의 역할을 변경하기 위한 스왑(swap) 버튼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지원 가능한 항목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스왑 버튼의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에 두 개의 단말 간 역할 변경에 상응하게 상기 지원 가능한 항목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간 데이터 이동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원 가능한 항목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읽기 단말에 저장된 항목에 대한 항목 식별자 및 쓰기 단말에 대한 단말 식별자를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의 수신 결과를 고려하여, 상기 쓰기 단말에 대해 상기 읽기 단말에 저장된 항목이 상기 지원 가능한 항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간 데이터 이동 방법.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원 가능한 항목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가 각 단말의 지원 항목들이 기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식별자에 및 상기 항목 식별자가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간 데이터 이동 방법.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원 가능한 항목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식별자에 및 상기 항목 식별자가 매칭되는 경우, 상기 쓰기 단말에 대해 상기 읽기 단말에 저장된 항목이 상기 지원 가능한 항목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간 데이터 이동 방법.
  5. 데이터 이동 장치에 연결되는 두 개의 단말을 각각 읽기 단말과 쓰기 단말로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읽기 단말에 저장된 항목 중 상기 쓰기 단말에서 지원 가능한 항목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를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상기 읽기 단말에 저장된 항목을 구분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지원 가능한 항목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읽기 단말의 이동 대상 데이터를 상기 쓰기 단말로 복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읽기 단말의 데이터 저장량이 기설정된 기준 미만인 경우에 상기 읽기 단말과 상기 쓰기 단말의 역할을 변경하여 인식하는 단계; 및
    두 개의 단말 간 역할 변경을 위한 스왑(swap) 버튼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지원 가능한 항목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스왑 버튼의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두 개의 단말 간 역할 변경에 상응하게 상기 지원 가능한 항목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간 데이터 이동 방법.
  6. 삭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쓰기 단말로 복사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추천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쓰기 단말로 복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간 데이터 이동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쓰기 단말로 복사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연령대, 성별 및 선호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상기 추천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간 데이터 이동 방법.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항목을 구분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 결과가 지원 가능한 항목인 경우, 상기 사용자가 선택 가능하도록 표시하고, 상기 판단 결과가 지원 불가능한 항목인 경우, 상기 사용자가 선택 불가능하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간 데이터 이동 방법.
  10. 두 개의 단말을 각각 읽기 단말과 쓰기 단말로 인식하는 단말 인식부;
    상기 읽기 단말에 저장된 항목 중 상기 쓰기 단말에서 지원 가능한 항목을 판단하는 지원 가능 항목 판단부;
    상기 판단 결과를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상기 읽기 단말에 저장된 항목을 구분하여 표시하는 항목 표시부; 및
    상기 지원 가능한 항목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읽기 단말의 이동 대상 데이터를 상기 쓰기 단말로 복사하는 데이터 복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 인식부는
    상기 두 개의 단말이 데이터 이동 장치에 연결되는 순서에 따라 각각 부여된 인덱스 번호를 기반으로 상기 인덱스 번호가 낮은 단말을 상기 읽기 단말, 다른 하나를 상기 쓰기 단말로 인식하고, 상기 읽기 단말과 상기 쓰기 단말의 역할을 변경하기 위한 스왑(swap) 버튼을 표시하고,
    상기 지원 가능 항목 판단부는
    상기 스왑 버튼의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에 두 개의 단말 간 역할 변경에 상응하게 상기 지원 가능한 항목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간 데이터 이동 장치.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지원 가능 항목 판단부는
    상기 읽기 단말에 저장된 항목에 대한 항목 식별자 및 쓰기 단말에 대한 단말 식별자를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의 수신 결과를 고려하여, 상기 쓰기 단말에 대해 상기 읽기 단말에 저장된 항목이 상기 지원 가능한 항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간 데이터 이동 장치.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지원 가능 항목 판단부는
    상기 서버가 각 단말의 지원 항목들이 기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식별자에 및 상기 항목 식별자가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간 데이터 이동 장치.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지원 가능 항목 판단부는
    상기 단말 식별자에 및 상기 항목 식별자가 매칭되는 경우, 상기 쓰기 단말에 대해 상기 읽기 단말에 저장된 항목이 상기 지원 가능한 항목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간 데이터 이동 장치.
  14. 두 개의 단말을 각각 읽기 단말과 쓰기 단말로 인식하는 단말 인식부;
    상기 읽기 단말에 저장된 항목 중 상기 쓰기 단말에서 지원 가능한 항목을 판단하는 지원 가능 항목 판단부;
    상기 판단 결과를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상기 읽기 단말에 저장된 항목을 구분하여 표시하는 항목 표시부; 및
    상기 지원 가능한 항목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읽기 단말의 이동 대상 데이터를 상기 쓰기 단말로 복사하는 데이터 복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 인식부는
    상기 읽기 단말의 데이터 저장량이 기설정된 기준 미만인 경우에 상기 두 개의 단말의 역할을 변경하여 인식하고, 상기 두 개의 단말 간 역할 변경을 위한 스왑(swap) 버튼을 표시하고,
    상기 지원 가능 항목 판단부는
    상기 스왑 버튼의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두 개의 단말 간 역할 변경에 상응하게 상기 지원 가능한 항목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간 데이터 이동 장치.
  15. 삭제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복사부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추천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쓰기 단말로 복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간 데이터 이동 장치.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복사부는
    상기 사용자의 연령대, 성별 및 선호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상기 추천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간 데이터 이동 장치.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항목 표시부는
    상기 판단 결과가 지원 가능한 항목인 경우, 상기 사용자가 선택 가능하도록 표시하고, 상기 판단 결과가 지원 불가능한 항목인 경우, 상기 사용자가 선택 불가능하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간 데이터 이동 장치.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 내지 5 및 청구항 7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40098572A 2014-07-31 2014-07-31 단말 간 데이터 이동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648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8572A KR101648549B1 (ko) 2014-07-31 2014-07-31 단말 간 데이터 이동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8572A KR101648549B1 (ko) 2014-07-31 2014-07-31 단말 간 데이터 이동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5816A KR20160015816A (ko) 2016-02-15
KR101648549B1 true KR101648549B1 (ko) 2016-08-16

Family

ID=55356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8572A KR101648549B1 (ko) 2014-07-31 2014-07-31 단말 간 데이터 이동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854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7930A (ja) 2008-03-27 2009-10-15 Kddi Technology Corp アプリケーション移動システム、アプリケーションの移動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2226757A (ja) 2011-04-21 2012-11-15 Zeon Networks アプリケーションの携帯端末機間移動及びインストール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8454B1 (ko) 2002-02-07 2006-09-28 (주)지온네트웍스 컴퓨터를 이용한 이기종 이동 통신 단말기간의 사용자 데이터 변환 전송장치 및 방법
KR20130089735A (ko) * 2011-12-30 2013-08-13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사용자 선호도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추천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7930A (ja) 2008-03-27 2009-10-15 Kddi Technology Corp アプリケーション移動システム、アプリケーションの移動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2226757A (ja) 2011-04-21 2012-11-15 Zeon Networks アプリケーションの携帯端末機間移動及びインストール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 ‘연락처, 문자, 통화기록까지 갤럭시S5로 옮기는 가장 쉬운 방법, 스마트 스위치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 2014.04.21. 공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5816A (ko) 2016-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8362B1 (ko) 전자 장치의 메시지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382932B1 (ko) 모바일 장치용의 애플리케이션 관리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US9710147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9621650B2 (en) Mobile application state identifier framework
KR101036697B1 (ko) 컨택 및 아이템을 피닝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851082B1 (ko) 정보 푸시 방법 및 장치
US894971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integrated message using portable device
EP262950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ortable terminal having du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card
EP2634682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a shortcut menu
US20130326371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haring Information
TW201723822A (zh) 應用程式控制方法、應用程式跳轉關聯配置方法及裝置
JP6302602B2 (ja) チケット情報ディスプレイ方法、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20140181751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relevant applications
CN103809905A (zh) 用于管理消息的方法和设备和用于发送消息的方法和设备
US11095592B2 (en) Method for providing messenger ser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EP2690567B1 (en) Method for managing data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US20110244845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40179290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extracting incoming/outgoing information and managing contacts
MX2014008567A (es) Itinerancia de caracteristicas de aplicacion para tomar notas.
US956047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data with an electronic device
CN104219356A (zh) 一种显示搜索联系人信息的方法、装置和移动终端
US116306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ntent across applications
US20130254673A1 (en) Agent service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erver,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US20160330151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n informational site using a social networking application
KR101648549B1 (ko) 단말 간 데이터 이동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