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7143B1 - 차량 시트, 특히 자동차 시트 - Google Patents

차량 시트, 특히 자동차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7143B1
KR101277143B1 KR1020077019633A KR20077019633A KR101277143B1 KR 101277143 B1 KR101277143 B1 KR 101277143B1 KR 1020077019633 A KR1020077019633 A KR 1020077019633A KR 20077019633 A KR20077019633 A KR 20077019633A KR 101277143 B1 KR101277143 B1 KR 101277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vehicle seat
use position
seat
backrest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9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0981A (ko
Inventor
디터 하르쓰
Original Assignee
카이퍼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이퍼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카이퍼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080020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0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7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7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60N2/3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loading plat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 B60N2/302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composed movement
    • B60N2/3031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composed movement in a longitudinal-vertical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88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link
    • B60N2/30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link 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60N2/3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loading platform
    • B60N2002/363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loading platform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enhancing the cargo floor surface, e.g. elements closing gaps or enlarging the back-rest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시트 부분 구조물(3), 하나 이상의 피팅(7)에 의해 고정가능한 방식으로 시트 부분 구조물(3)에 힌지식으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등받침 지지부(8), 및 조인트(18)에 의해 등받침 지지부(8)에 힌지식으로 연결되고 고정 장치(22)에 의해 등받침 지지부(8)를 따라 고정될 수 있는 등받침 구조물(8)을 포함하는, 차량 시트, 특히 자동차 시트가 공개된다. 차량 시트(1)는 등받침 지지부(8) 및/또는 등받침 구조물(4)을 해제하고 선회함으로써 작동적인 착석 위치로부터 평평한 부작동 위치로 변환될 수 있으며, 작동 위치로부터 부작동 위치로 변환하는 동안 해제되는 등받침 구조물(4)은 전방으로 선회하고 해제되는 등받침 지지부(8)는 후방으로 선회한다. 등받침 지지부(8)는 등받침 구조물(4)이 선회함으로써 능동 제어 방식으로 해제된다.

Description

차량 시트, 특히 자동차 시트 {VEHICLE SEAT, PARTICULARLY MOTOR VEHICLE SEAT}
본 발명은 차량 시트, 특히 청구항 1의 전제부의 구성을 가지는 자동차 시트에 관한 것이다.
DE 38 28 659 A1에 공개되는 도입부에서 언급된 타입의 차량 시트에서, 등받침 구조물은 선택적으로 고정 장치(locking device)를 해제(unlocking)함으로써 테이블 위치로 전방으로, 또는 등받침 지지부와 함께 피팅을 해제함으로써 경사진 위치로 후방으로 선회(pivot)될 수 있다. 차량에 부하를 가하기 위하여, 다수의 경우 낮은 비-사용 위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US 6,196,613 B1은 차량 시트를 제안하는데, 여기에서 등받침 구조물이 선회가능하게 부착된 등받침 지지부에 의해 베이스에 선회가능하게 부착되고 하단부에서 베이스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된다. 수 개의 사용 위치를 가지는 경사 위치는 제공되지 않는다. 시트 쿠션 구조물이 또한 선회가능하게 부착된 로커에 의해 베이스에 선회가능하게 부착되고, 후방 단부에서 베이스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된다. 사용 위치로부터 비-사용 위치로 변환될 때, 해제된 등받침 구조물이 전방으로 선회되고 등받침 구조물이 후방으로 선회되고, 독립적으로 시트 쿠션 구조물이 180°보 다 약간 더 많이 전방으로 선회된다. 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롤러가 작동하는 레일이 차량 시트의 각각의 측부에 제공되고, 상기 롤러가 한편으로는 시트 쿠션 구조물의 전방 단부에, 다른 한 편으로는 등받침 구조물의 하방 단부에 제공된다. 비-사용 위치에서, 시트 쿠션 구조물의 최초 하부는 상기 시트 쿠션 구조물의 후방에 위치하는 등받침 구조물의 최초 후방 표면과 높이 및 수준이 다소 맞추어 진다.
본 발명은 도입부에서 언급된 타입의 차량 시트를 개선하기 위한 목적을 기초로 한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구비한 차량 시트에 의한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유용한 세부 구성이 종속항에 개시되어 있다.
사용 위치로부터 비-사용 위치로 변환될 때, 해제된 등받침 구조물이 전방으로 선회되고 등받침 구조물에 의해 능동 제어 방식으로 해제되는(positively-controlled unlocked) 등받침 지지부가 후방으로 선회한다는 사실 때문에, 테이블 위치보다 낮고 경사 위치에 비해 부하 목적을 위해 적절한 비-사용 위치(플로어 위치)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힌지의 소정의 단부 위치들을 통하여 및/또는 차량 구조물에 함몰부를 제공함으로써 개선될 수 있다.
두 개의 고정 배열체, 즉 피팅 및 고정 장치는 등받침 지지부의 설계가 더 간단히 되도록 하고(예를 들면, 단지 간단한 로커(rocker)일 수 있다) 또한 후방 지지부의 운동의 더 넓은 범위를 허용하며, 반면 예를 들면, 등받침 지지부로서 4-링크 기구가 단지 하나의 로크를 요구하지만, 한편으로는 더 많은 관절작동형 요소를 요구하고 더 많이 제한된 범위의 운동을 가진다. 시트 부분 구조물을 구비한 등받침 지지부 및 등받침 지지부를 구비한 등받침 구조물의 연속적인 상호고정 때문에, 한정되는 등받침이 운동학적인 유닛을 형성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운동학적인 유닛의 경사는 피팅에 의해 전체적으로 조절가능하다. 탑승자의 착석 안락감을 증가시키기 위해, 단지 등받침 구조물의 경사가 조절가능한 경우 충분한다.
피팅의 능동 제어 방식 해제는 사용자에 의한 작동을 단순화하며, 이는 등받침 구조물이 등받침 지지부의 해제를 초래하는 동안, 즉 피팅 작동을 하는 동안, 사용자에 의한 작동이 예를 들면 단지 등받침 구조물의 고정 장치를 해제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등받침 구조물은 바람직하게는 강성 설계의 연결 장치에 의한 피팅을 해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별한 임시적 운동 순서에 대해, 연결 장치는 일부 자유 운동, 예를 들면, 슬롯 및 핀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슬롯 및 핀 가이드에 의해, 능동 제어 방식 해제 공정이 지연되어 등받침 구조물의 소정의 선회 각도 범위로 조절될 수 있다.
등받침 구조물 및 등받침 지지부를 해제함으로써, 즉 두 개의 록크의 해제에 의해, 두 개의 자유도가 이용가능하게 된다. 확실한 전체적인 운동을 얻기 위하여, 해제된 등받침 구조물 및 해제된 등받침 지지부의 운동은 예를 들면 상호작동 스프링 또는 기어형 연결부에 의해 서로 더 큰 정도로 일치되거나 서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등받침 보상 스프링은 시트 부분 구조물에 대해 등받침 지지부의 운동시 작동할 수 있으며, 추가의 스프링 유닛은 등받침 지지부에 대한 또는 시트 부분 구조물에 대한 등받침 구조물의 운동시 작용한다. 운동하는 부분에 제공되는 스프링의 단부는 상기 부분의 선회 축선에 대해, 예를 들면, 상기 부분에 부착되거나 회전가능한 강성 방식으로 부착되는 아암 상에 편심되게 결합한다.
바람직하게는 단지 하나의 등받침 지지부가 차량 시트의 어느 한 측부에, 예를 들면 로커의 형태로 제공되고, 두 개의 등받침 지지부는 횡방향 연결부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는 통상적인 사용을 위해 그리고 충돌의 경우 등받침을 안정시킨다. 사용 위치와 비-사용 위치 사이의 변환을 위해 제공되는 스프링 또는 기어형 연결부가 단지 차량 시트의 일 측부, 바람직하게는 차량 시트의 다른 측부들 상에 존재할 것이 요구된다. 등받침 구조물의 운동시 작용하도록 제공되는 스프링 유닛은 경사가 조절될 때 등받침 중량을 보상하는 방향으로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두 개의 전형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사용 위치에 있으며 개략적인 부분을 구비한, 전형적인 제 1 실시예의 측면도이며,
도 2는 중간 위치에서, 도 1에 대응하는 측면도이며,
도 3은 비-사용 위치에서, 도 1에 대응하는 측면도이며,
도 4는 전형적인 제 2 실시예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5는 전형적인 제 2 실시예의 외부 측부의 부분도이며,
도 6은 사용 위치에 있으며 개략적인 부분을 구비한, 전형적인 제 2 실시예 의 내부 측면도이며,
도 7은 중간 위치에 있는, 도 6에 대응하는 측면도이며,
도 8은 다른 중간 위치에 있는, 도 6에 대응하는 측면도이며,
도 9는 비-사용 위치에 있는, 도 6에 대응하는 측면도이다.
전형적인 제 1 실시예에서, 차량 시트(1)는 후방 열(row), 특히 자동차의 시트의 제 3 열에 제공되며, 여기에서 자동차 내의 차량 시트(1)의 배열 및 이의 통상적인 이동 방향은 아래에서 사용되는 방향 데이터를 형성한다. 부하-지지 구조물의 부분으로서, 차량 시트(1)는 공지된 방식으로 장착되는 시트 부분 구조물(3) 및 등받침 구조물(4)을 가진다. 차량 시트(1)의 시트 쿠션을 낮추거나 전방으로 접기 위해서, 시트 부분 구조물(3)은 자체적으로 관절식으로 작동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 경우, 시트 부분 구조물(3)은 자동차의 차량 구조물(S)에 강성으로 부착되지만, 또한 시트 레일에 의해 차량 구조물에 대해 종방향으로 조절가능하다. 차량 시트의 양 측부 상에, 피팅(fitting; 7)이 시트 부분 구조물(3)에 제공되고, 각각의 상기 피팅에 의해 로커로서 설계된 등받침 지지부(8)가 시트 부분 구조물(3)에 선회가능하고 고정가능하게 부착된다. 장착된 등받침 구조물(4)과 함께, 두 개의 등받침 지지부(8)는 차량 시트(1)의 등받침을 형성한다. 앞에서, 차량 시트(1)의 착석 사용 위치가 설명되었다.
이 경우 피팅(7)은 예를 들면, WO 00/44582 A1에서의 내부 설계에 관련하여 그리고 DE 101 05 282 A1에서의 외부 설계에 관련하여 설명된 종류의 멈춤쇠 피팅 으로서 설계되며 이들의 공개된 내용은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두 개의 피팅 부분 중 하나는 시트 부분 구조물(3)의 후방 단부에 단단히 부착되고 다른 피팅 부분은 등받침 지지부(8)의 하단부에 단단히 연결된다. 그러나, 피팅(7)으로서 예를 들면 공개된 내용이 본 명세서에서 포함되는 DE 100 48 127 A1에서 설명된 종류의 선회가 없는 기능을 가진 기어형 피팅(geared fitting)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정상적으로 고정되는 피팅(7)은 제 1 회전 요소(11)에 의해 해제될 수 있으며, 벨 크랭크로서 설계되는 상기 제 1 작동 요소(11)는 샤프트(13)를 회전시킨다. 샤프트(13)는 각각의 피팅(7)에 제공될 수 있거나 공통 샤프트(13)는 양 피팅(7)에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샤프트는 두 개의 피팅(7)과 결합하여 단일 제 1 작동 요소(11)에 의해 동시에 해제되는 것을 허용한다. 샤프트(13)는 시트 부분 구조물(3)에 대해, 피팅(7)의 회전 축선, 즉 등받침 지지부(8)의 선회 축선과 정렬된다. 등받침의 경사를 조정하기 위하여, 피팅(7)(멈춤쇠 피팅으로서 도면에 도시됨)은, 이 경우 레버 핸들로서 설계되는, 제 2 작동 요소(15)에 의해 해제될 수 있다. 제 2 작동 요소(15)는 제 1 작동 요소(11)와 회전가능한 강성 방식으로 연결되거나 샤프트(13) 상에 직접 작용하며 이를 위해 구동기 수단 또는 분리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나선 스프링으로서 설계되는 등받침 보상 스프링(backrest compensation spring; 17)은 시트 부분 구조물(3)과 등받침 지지부(8) 또는 이에 부착되는 피팅 부분 사이에 작용한다. 피팅 부분(7)이 해제될 때, 등받침 보상 스프링(17)은 전체 등받침 중량의 적어도 일 부분을 보상한다.
등받침 구조물(4)은 선회 베어링으로서 설계되는 조인트(18)에 의해 차량 시 트의 어느 한 측부 상에 등받침 지지부(8)에 선회가능하게 부착된다. 등받침 구조물(4)의 전방 돌출 아암(20)과 등받침 지지부(8)의 상단부 사이의 조인트(18)가 등받침 구조물(4)의 하부 반부에 제공된다. 조인트(18)에 의해 형성된 회전 축선은 서로 정렬되며 등받침 지지부(8)에 대해 등받침 구조물(4)의 선회 축선을 형성한다. 사용 위치에서, 등받침 구조물(4)의 후방 측부가 후방으로 실질적으로 뾰족하게 되어 수평선에 대해 약간 경사진다.
등받침 구조물(4)의 바닥 단부에서, 고정 장치(22)가 차량 시트의 적어도 하나의 측부, 본 발명의 경우 양 측부 상에 제공된다. 이 경우, 고정 장치(22)는 예를 들면 공개된 내용이 본 명세서에서 참조되는, DE 203 02 007 U1의 로크로서 설계된다. 등받침 구조물(4) 상에 장착된 이러한 고정 장치(22)에 의해, 상기 등받침 구조물(4)은 관련된 등받침 지지물(8), 또는 더욱 정확하게 말해서 관련된 등받침 지지물(8) 상의 대항 요소(23), 즉 본원의 경우 등받침 지지부(8) 상의 록킹 스터업(locking stirrup)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된다. 고정 장치(22) 및 대항 요소(counter element; 23)의 위치가 상호 교환가능하다. 결과적으로, 등받침 구조물(4) 및 등받침 지지부(8)에 의해 형성된 등받침은 사용 위치에서 운동학적 유닛(kinematic unit)을 형성한다. 이러한 유닛의 수 개의 이용 위치는 피팅(7)에 의해 조절될 수 있으며, 특히 등받침 구조물(4)의 등받침의 경사가 조절될 수 있다. 조인트(18) 및 고정 장치(22)로 이루어지는 조합 대신, 피팅(7)을 특징으로 하는 타입의 피팅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차량 시트의 적어도 일 측부 상에, 등받침 구조물에 강성으로 부착되는 제어 핀(24)은 아암(20)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되거나, 등받침 구조물(4) 상의 그밖의 장소에 위치한다. 연결 요소(26)는 일단부에서 제 1 작동 요소(11)에 선회가능하게 부착되고, 회전가능하게, 제한된 정도로 미끄러지게 제어 핀을 둘러싸는 슬롯(28)에 의해 제어 핀(24)으로 타단부에서 결합된다. 이 경우 인장 스프링으로서 이용되는 가스 스프링인 스프링 유닛(30)은 한 편으로는 시트 부분 구조물(3)에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아암(20)에 부착된다. 아암은 차량 시트의 일 측부 또는 어느 한 측부에 제공될 수 있다.
차량 시트(1)는 사용 위치로부터 평평한 플로어 위치 또는 비-사용 위치 내로 변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능하게는 시트 쿠션 위로 낮추어지거나 접혀진 후, 고정 장치(22)는 해제되고 등받침 구조물(4)은 조인트(18) 둘레의 등받침 지지부(8)에 대해 전방으로 선회된다. 초기에, 스프링 유닛(30)은 이러한 운동에 대해 작용한다. 가이드 핀(24)은 슬롯(28) 내에서 상방으로 이동, 즉 가이드 핀은 소정의 거리 동안 자유롭게 이동한다. 특히 중간 위치에서, 즉, 소정의 선회 각도 또는 적어도 등받침 구조물(4)의 소정의 선회 각도 범위에서, 예를 들면, 스프링 유닛(30)이 사점 위치(dead center position)를 넘어갈 때, 가이드 핀(24)은 슬롯(28)의 단부에 도달하여 연결 링크(26)가 가이드 핀에 걸리게 되며, 상기 연결 링크(26)는 제 1 작동 요소(11)에 의해 피팅(7)을 능동 제어 방식으로 해제한다.
양 피팅(7)이 해제될 때, 등받침 지지부(8)가 수평 위치로 후방으로 선회될 수 있다. 동시에, 등받침 구조물(4)은 수평선을 향하는 선회 운동을 계속한다. 이때, 가이드 핀(24)은 슬롯(28) 내로 역으로 이동한다. 전방 또는 상방으로 등받침 보상 스프링(17)에 의해 증강된 토크는 적절히 일치될 때, 하방으로 스프링 유닛(30)에 의해 증강된 토크에 의해 적어도 근사하게 보상될 수 있다. 동시에, 등받침 보상 스프링(17)과 스프링 유닛(30) 사이의 상호 작용은 등받침 구조물(4)과 등받침 지지부(8)의 강제 안내 또는 이동의 조정을 상당히 한정한다. 운동의 조정은 또한 예를 들면 기어휠 및 치형 벨트에 의해, 조인트(18) 및 피팅(7)의 기어형 연결부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비-사용 위치는 등받침 지지부(8) 뿐만 아니라 등받침 구조물(4)이 수평 위치로 적어도 거의 도달하였을 때 달성된다. 실내장식물과 함께, 등받침의 마지막으로 언급된 부분은 차량 구조물(S) 내의 함몰부에 의해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대체로, 상술된 등받침의 상부 부분이 시트 부분 구조물(3) 위에 배치되고, 상술된 하부 부분이 함몰부 내로 연장한다. 이 경우, 운동들 사이의 상호작용 때문에, 등받침 구조물(4)이 이전의 차량 구조물(S) 상의 하부 및 지금의 후방 단부에 놓이게 되거나, 더욱 정확하게는, 비-사용 위치에 도달할 때 자체적으로 차량 구조물(S)의 적절한 수용 부분 내에 배치되는 특별한 상황이 달성된다. 등받침 구조물(4)의 최초 후방 측부는 지금 상방으로 향하고 후방에 위치하는 화물 영역 플러어의 고정 부분과 높이 및 수준이 맞추어져서, 자체적으로 현재 연속하는 화물 영역 플러어의 부분을 형성한다. 이제 다시 피팅(7) 및/또는 고정 장치(22)를 적절하게 위치하는 대항 요소에 고정함으로써 비-사용 위치에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아래에서 달리 설명되지 않는 경우, 전형적인 제 2 실시예는 전형적인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며, 동일하고 일치하는 기능을 하는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가진다. 차량 시트(1)의 경우 시트 부분 구조물(3), 등받침 구조물(4), 피팅(7) 및 등받침 지지부(8)는 설계가 동일하다. 등받침 구조물(4)은 차량 시트의 어느 한 측부 상에 조인트(18)에 의해 등받침 구조물(8)에 피봇적으로 부착되고 관련된 등받침 지지부(8)의 관련된 대항 요소(23)와 각각의 고정 장치(22)의 협동을 통하여, 상기 등받침 지지부(8)에 고정된다. 두 개의 작동 요소(11 및 15)는 각각의 경우 피팅(7)에 해제되는 샤프트(13)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 1 작동 요소(11)는 샤프트(13)의 단부에 배치되고 차량의 중앙에 더 근접하고 차량 시트(1)의 내부 측부 만큼 짧게 지칭되는 차량 시트의 측부 상에 배치된다. 제 2 작동 요소(15)는 샤프트(13)의 단부에 배치되고, 이 단부는 차량의 외부에 더 근접하고 차량 시트(1)의 외부 측부 만큼 짧은 차량의 측부 상에 배치된다.
차량 시트(1)의 내 측부 상에 아암(20)이 제공되는 조인트(18)의 영역에 배치되어 등받침 구조물(4)과 회전적으로 강성인 방식으로 연결된다. 등받침 보상 스프링(17)의 상단부는 등받침 구조물(4)의 선회 축선과 정렬되고, 상기 선회 축선은 조인트(18)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상단부는 예를 들면 조인트(18)의 베어링 핀에 선회가능하게 부착된다. 이 경우, 등받침 보상 스프링(17)은 가스 스프링의 형태이다. 등받침 보상 스프링(17)의 하단부는 시트 부분 구조물에 선회가능하게 부착된다. 연결 요소(26)의 상단부는 아암(20)에 선회가능하게, 즉 조인트(18)에 편심되게 부착된다. 연결 요소(26)는 슬롯(28)이 하단부에 위치하는 방식으로 배치 된다. 슬롯(28)에 의해 연결 요소(26)는 가이드 핀(24)을 둘러싼다. 가이드 핀(24)은 제 1 작동 요소(11)에, 즉 피팅(7)의 선회 축선에 편심되게 배치되며, 이 축선으로 샤프트(13)가 정렬된다.
차량 시트(1)의 외측부 상에, 제공된 조인트(28)의 영역에, 추가의 아암(20)이 배치되어 등받침 구조물(4)에 회전적으로 강성인 방식으로 부착된다. 스프링 유닛(30)의 상단부는 이러한 아암(20)에 선회적으로, 즉 조인트(18)에 편심되게, 부착된다. 이 경우, 스프링 유닛(30)은 가스 스프링으로서 설계된다. 스프링 유닛(30)의 하단부는 시트 부분 구조물(3)에 선회가능하게 부착된다.
상술된 부분으로, 전형적인 제 2 실시예의 작동 방법은 전형적인 제 1 실시예의 방법과 동일하다.
지금까지 단지 일반적으로 조립체로 전형적인 양 실시예로 설명된 시트 부분 구조물(3)은 베이스(31), 두 개의 로커(33) 및 시트 쿠션 구조물(35)로 이루어진다. 베이스(31)는 지금까지 차량 구조물(S)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된 시트 부분 구조물(3)의 부분이며, 또한 상기 부분으로 피팅(7) 및 두 개의 스프링(17 및 30)의 일 단부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부착된다. 두 개의 로커(33) 각각의 일 단부는 차량 시트의 각각의 측부에 선회가능하게 부착된다. 각각의 로커(33)의 다른 단부는 시트 쿠션 구조물(35)에 선회적으로 부착된다. 차량 시트의 어느 한 측부 상의 대응하는 조인트가 서로 정렬된다. 로커(33) 및 이들의 각각의 두 개의 선회 축선에 의해 선회적으로 부착되는 대신, 변형된 실시예에서 시트 쿠션 구조물(35)이 베이스(31)에 직접, 즉 서로 정렬되는 두 개의 조인트에 의해 형성되는 단일 선회 축선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실내 장식 재료와 함께, 시트 쿠션 구조물(35)은 차량 시트(1)의 시트 쿠션을 형성한다. 스프링이 작용하여 베이스(31)와 로커(33) 사이 및/또는 로커(33)와 시트 쿠션 구조물(35) 사이의 예비인장(pretention)을 증강시킬 수 있다. 사용 위치에서, 시트 쿠션 구조물(35)의 하부는 실질적으로 하방으로 수직선에 대해 약간의 각도를 가지고 뾰족하게 된다.
차량 시트(1)의 사용 위치에서, 시트 쿠션 구조물(35)은 적어도 제 2 고정 장치(37), 예를 들면 등받침 구조물(4)(또는 등받침 지지부(8) 또는 베이스(31))의 어느 한 측부 상에 제공된 로크, 및 이와 협동하는 제 2 대항 요소(39), 예를 들면 시트 쿠션 구조물(35)의 어느 한 측부에 제공된 핀에 의해 고정된다. 제 2 고정 장치(37) 및 제 2 대항 요소(39)의 위치는 상호 교체가능하다. 변형된 일 실시예에서, 고정 수단을 이용하는 대신, 등받침 구조물(4)이 예를 들면, 정지부 또는 수용부와 같은 포지티브 수단에 의해 시트 쿠션 구조물(35)을 사용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사용 위치로부터 비-사용 위치로 변환될 때, 등받침 구조물(4), 등받침 지지부(8) 및 시트 부분 구조물(3)(더욱 정확하게는, 베이스(31))의 상술된 상대적인 운동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제 2 고정 장치(37)가 해제된다. 등받침 구조물(4)이 개략적으로 수직 중간 위치에 도달할 때, 시트 쿠션 구조물(35)이 선회 범위 내에서 선회하도록 한다. 그리고나서 시트 쿠션 구조물(35)은 이 경우 180°보다 약간 더 많이 전방으로 선회되어, 시트 쿠션 구조물(35)의 최초 하부가 수평으로 배향되 어 상방으로 뾰족하게 된다. 이 경우, 이러한 운동은, 로커(33) 상의 스프링에 의해 증강되는 상기 예비인장에 의해 지지되어, 자동적으로 발생된다.
비-사용 위치에서, 시트 쿠션 구조물(35)의 최초 하부는 후방에 위치 설정되는 등받침 구조물(4)의 최초 후방 측부와 다소 높이가 인접하여 현재 연속하는 화물 영역 플로어의 추가 부분을 형성한다. 바람직한 경우, 이 부분에서 차량 시트(1)가 시트의 제 3 열에서 이용되며, 비-사용 위치가 시트의 제 2 열에 차량 시트를 위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비-사용 위치에서 시트의 제 2 열의 관련된 등받침의 최초 후방 측부가 시트의 제 3 열의 시트 쿠션 구조물(35)의 최초 하부와 다소 높이 및 수준이 인접한다. 결과적으로, 화물 영역 플러어가 더욱 확장된다.
도면부호 리스트
1 차량 시트
3 시트 부분 구조물
4 등받침 구조물
7 피팅
8 등받침 지지부
11 제 1 작동 요소
13 샤프트
15 제 2 작동 요소
17 등받침 보상 스프링
18 조인트
20 아암
22 고정 장치
23 대항 요소
24 가이드 핀
26 연결 요소
28 슬롯
30 스프링 유닛
31 베이스
33 로커
35 시트 쿠션 구조물
37 제 2 고정 장치
39 제 2 대항 요소
S 차량 구조물

Claims (12)

  1. 차량 시트로서,
    시트 부분 구조물(3), 하나 이상의 피팅(7)에 의해 상기 시트 부분 구조물(3)에 선회가능하게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등받침 지지부(8), 조인트(18)에 의해 상기 등받침 지지부(8)에 선회가능하게 부착되고 고정 장치(22)에 의해 상기 등받침 지지부(8)에 고정될 수 있는 등받침 구조물(4)을 가져서, 상기 등받침 지지부(8), 상기 등받침 구조물(4) 또는 상기 등받침 지지부(8) 및 상기 등받침 구조물(4) 모두를 잠금 해제하여 선회시킴으로써 상기 차량 시트(1)가 착석 사용 위치로부터 평평한 비-사용 위치로 변환될 수 있는, 차량 시트에 있어서,
    상기 착석 사용 위치로부터 상기 평평한 비-사용 위치로 변환될 때, 상기 잠금 해제된 등받침 구조물(4)이 전방으로 선회되고 상기 잠금 해제된 등받침 지지부(8)가 후방으로 선회되고, 상기 등받침 지지부(8)가 상기 등받침 구조물(4)의 선회에 의해 능동 제어 방식으로(positively-controlled) 해제되고,
    상기 착석 사용 위치로부터 상기 평평한 비-사용 위치로 변환될 때, 초기에 단지 상기 고정 장치(22)가 해제되고 상기 등받침 구조물(4)이 선회되며, 상기 등받침 구조물이, 소정의 선회 각도 범위 내의 중간 위치에서, 상기 피팅(7)을 능동 제어 방식으로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침 구조물(4)과 상기 피팅(7)의 제 1 작동 요소(11) 사이에 능동 제어 방식 해제를 위해 연결 요소(26)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소(26)는 상기 등받침 구조물(4)의 소정의 선회 각도 범위 내에서 움직이는 자유 이동 경로를 제공하여 상기 연결 요소(26)가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 이동 경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등받침 구조물(4) 또는 상기 제 1 작동 요소(11)는 핀(24)을 가지며, 상기 연결 요소(26)는 관련 단부에서 상기 연결 요소와 협동하는 슬롯(28)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5. 삭제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해제된 등받침 구조물(4) 및 상기 잠금 해제된 등받침 지지부(8)의 서로에 대한 움직임은, 스프링(17, 30), 기어형 연결부 또는 상기 스프링 및 상기 기어형 연결부 모두에 의해, 매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침 구조물(4)의 선회 각도 범위에서 상기 스프링들(17, 30) 중 하나가 사점 위치(dead center position)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사용 위치에서 상기 조인트(18)는 상기 피팅(7) 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9.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사용 위치에서 차량 구조물(S) 내의 함몰부가 상기 등받침 지지부(8) 및 상기 등받침 구조물(4)에 의해 형성된 등받침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10.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위치에서, 상기 등받침 구조물(4)의 경사는 상기 피팅(7)에 의해 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11.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부분 구조물(3)은 하나 이상의 로커(33)에 의해, 베이스(31)에 대해 또는 선회 축선 주위로 직접, 상기 착석 사용 위치로부터 상기 평평한 비-사용 위치로 선회가능한 시트 쿠션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침 구조물(4)이 소정의 중간 위치에 도달하자 마자 상기 베이스(31)와 상기 시트 쿠션 구조물(35) 사이 또는 상기 로커(33)와 상기 시트 쿠션 구조물(35) 사이의 스프링에 의해 증강되는 예비인장(pretension)에 의해, 상기 착석 사용 위치로부터 상기 평평한 비사용 위치로의 선회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KR1020077019633A 2005-07-08 2006-07-01 차량 시트, 특히 자동차 시트 KR1012771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32382A DE102005032382B4 (de) 2005-07-08 2005-07-08 Fahrzeugsitz, insbesondere Kraftfahrzeugsitz
DE102005032382.0 2005-07-08
PCT/EP2006/006422 WO2007006440A2 (de) 2005-07-08 2006-07-01 Fahrzeugsitz, insbesondere kraftfahrzeugsitz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0981A KR20080020981A (ko) 2008-03-06
KR101277143B1 true KR101277143B1 (ko) 2013-06-20

Family

ID=37307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9633A KR101277143B1 (ko) 2005-07-08 2006-07-01 차량 시트, 특히 자동차 시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628449B2 (ko)
EP (1) EP1901939B1 (ko)
JP (1) JP4990893B2 (ko)
KR (1) KR101277143B1 (ko)
CN (1) CN101213109B (ko)
DE (1) DE102005032382B4 (ko)
PL (1) PL1901939T3 (ko)
WO (1) WO200700644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19711B4 (de) 2007-04-26 2009-11-19 Keiper Gmbh & Co. Kg Fahrzeugsitz, insbesondere Kraftfahrzeugsitz
DE102008012714B3 (de) * 2008-03-03 2009-10-15 Keiper Gmbh & Co. Kg Fahrzeugsitz, insbesondere Kraftfahrzeugsitz
DE202009000783U1 (de) * 2009-01-20 2010-06-17 Twb-Presswerk Gmbh & Co. Kg Fahrzeugsitz
US8505999B2 (en) * 2009-06-29 2013-08-13 Honda Motor Company, Ltd. Vehicular seat assembly and vehicles including same
US8196990B2 (en) 2010-04-07 2012-06-12 Honda Motor Company, Ltd. Vehicular seat assembly and vehicles including same
WO2012006941A1 (zh) * 2010-07-12 2012-01-19 Zhang Xingliang 乘客座椅和组合坐卧两用座椅单元、多用座椅单元
DE102010050074A1 (de) * 2010-10-29 2012-05-03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
CN103153697B (zh) * 2010-11-19 2016-06-22 张兴亮 乘客座椅和组合坐卧两用座椅单元、多用座椅单元
DE102010052273A1 (de) 2010-11-23 2012-05-24 Keiper Gmbh & Co. Kg Entriegelungseinheit für einen Fahrzeugsitz
DE102011101879B4 (de) 2011-05-12 2013-12-24 Keiper Gmbh & Co. Kg Fahrzeugsitz, insbesondere Kraftfahrzeugsitz
DE102011113789B4 (de) * 2011-08-29 2014-04-24 Keiper Gmbh & Co. Kg Fahrzeugsitz, insbesondere Kraftfahrzeugsitz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8634A (ja) * 1998-06-12 1999-12-21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アームレスト
JPH11348625A (ja) * 1998-06-09 1999-12-21 Ikeda Bussan Co Ltd 自動車のフラット化シート構造
JP2002225606A (ja) * 2001-01-29 2002-08-14 Johnson Controls Automotive Systems Corp 車両のフラット化シート構造
JP2002240607A (ja) * 2001-02-20 2002-08-28 Takashimaya Nippatsu Kogyo Co Ltd 格納式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02453A (en) * 1963-07-09 1965-08-24 Ford Motor Co Retractable seat
DE3828659A1 (de) * 1987-09-11 1989-03-23 Volkswagen Ag Gelenkbeschlag fuer einen fahrzeugsitz mit verstellbarer rueckenlehne
DE19811190C2 (de) * 1998-03-14 1999-12-16 Daimler Chrysler Ag Sitzanordnung für Fahrzeuge
JPH11348624A (ja) * 1998-06-09 1999-12-21 Ikeda Bussan Co Ltd 自動車のフラット化シート構造
JP3926485B2 (ja) 1998-07-27 2007-06-06 ジョンソン コントロールズ オートモーティブ システムズ株式会社 自動車のフラット化シート構造
DE19904300C1 (de) * 1999-01-28 2000-08-03 Keiper Gmbh & Co Rastbeschlag für einen Fahrzeugsitz
DE19943891C1 (de) * 1999-09-14 2000-11-16 Faure Bertrand Sitztech Gmbh Sitz oder Sitzbank für den Kofferraum- bzw. Laderaumbereich eines Kraftfahrzeuges
US6540295B1 (en) * 2000-01-13 2003-04-01 Lear Corporation Vehicle seat
DE10048127B4 (de) * 2000-09-28 2008-05-29 Keiper Gmbh & Co.Kg Beschlag für einen Fahrzeugsitz
US6464297B2 (en) * 2000-12-01 2002-10-15 Dura Global Technologies Load floor seat assembly
US6874840B2 (en) * 2000-12-11 2005-04-05 Magna Seating Systems Inc. Stow to floor seat assembly having a cantilevered seat cushion
DE10105282B4 (de) * 2001-02-06 2005-03-24 Keiper Gmbh & Co. Kg Beschlag für einen Fahrzeugsitz
FR2829441B1 (fr) * 2001-09-13 2004-01-02 Renault Siege pour vehicule automobile
DE10146711A1 (de) * 2001-09-21 2003-04-24 Intier Automotive Seating Germ Kraftfahrzeugrücksitz
DE10156644C2 (de) * 2001-11-17 2003-10-23 Keiper Gmbh & Co Kg Fahrzeugsitz mit Bodenstellung
JP4000556B2 (ja) * 2002-01-29 2007-10-31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US6598926B1 (en) * 2002-10-09 2003-07-29 General Motors Corporation Transformable rear seat for a vehicle
DE10260277A1 (de) * 2002-12-20 2004-07-01 Bayerische Motoren Werke Ag Fahrzeugsitz mit einem Sitzteil und einer Rückenlehne
DE20302007U1 (de) * 2003-02-08 2003-04-24 Keiper Gmbh & Co Kg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sitz
DE20304713U1 (de) * 2003-03-17 2004-07-29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Coburg Kraftfahrzeugsitz, insbesondere Rücksitz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4024225B3 (de) * 2004-05-15 2005-05-25 Faurecia Autositze Gmbh & Co. Kg Fahrzeugsitz
FR2877283B1 (fr) * 2004-10-29 2007-01-26 Faurecia Sieges Automobile Siege escamotable dans le planch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8625A (ja) * 1998-06-09 1999-12-21 Ikeda Bussan Co Ltd 自動車のフラット化シート構造
JPH11348634A (ja) * 1998-06-12 1999-12-21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アームレスト
JP2002225606A (ja) * 2001-01-29 2002-08-14 Johnson Controls Automotive Systems Corp 車両のフラット化シート構造
JP2002240607A (ja) * 2001-02-20 2002-08-28 Takashimaya Nippatsu Kogyo Co Ltd 格納式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06440A3 (de) 2007-05-24
PL1901939T3 (pl) 2012-05-31
EP1901939B1 (de) 2011-12-21
JP2009500224A (ja) 2009-01-08
DE102005032382A1 (de) 2007-01-11
EP1901939A2 (de) 2008-03-26
WO2007006440A2 (de) 2007-01-18
CN101213109A (zh) 2008-07-02
DE102005032382B4 (de) 2010-09-16
US7628449B2 (en) 2009-12-08
JP4990893B2 (ja) 2012-08-01
CN101213109B (zh) 2010-09-08
KR20080020981A (ko) 2008-03-06
US20080143163A1 (en) 2008-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7143B1 (ko) 차량 시트, 특히 자동차 시트
CN106314223B (zh) 具有可折叠的收起位置的交通工具座椅
US10829014B2 (en) Vehicle seat
US10926673B2 (en) Vehicle seat
US7255384B2 (en) Vehicle seat that tips and kneels and folds into a stowage well
US7255399B2 (en) Thin profile folding vehicle seat
EP1558460B1 (en) Seat cushion presenter device for folding seat
US6827394B2 (en) Vehicle seat system
US20170080831A1 (en) Vehicle seat, in particular motor vehicle seat
JP2009500224A5 (ko)
KR101547105B1 (ko) 차량 시트, 특히 자동차 시트
JP6060826B2 (ja) シートバック連動式オットマン装置
JP2003159140A (ja) 前方に折り畳むことができる背もたれを有する乗物用シート
US8702172B2 (en) Vehicle seat for a motor vehicle
US7390062B2 (en) Seat having cushion height and recline adjustment mechanisms
KR101579062B1 (ko) 차량 시트, 특히 자동차 시트
JP3787652B2 (ja) 車両用リアシートのリクライニング装置
US9604553B2 (en) Virtual H-point seat back system
CN112829654A (zh) 具有小腿支撑件的车辆座椅总成
JP2019064307A (ja) 乗物用シート
CN115210106A (zh) 车辆座椅
KR100501671B1 (ko) 시트백 각도 조절장치
JP7449756B2 (ja) 座席装置
US20230398917A1 (en) Lower leg support device for a vehicle seat, and vehicle seat
JP3982006B2 (ja) フルフラット可能な折畳式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