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6083B1 - 도시철도용 도상 흡음블록 - Google Patents

도시철도용 도상 흡음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6083B1
KR101276083B1 KR1020120105641A KR20120105641A KR101276083B1 KR 101276083 B1 KR101276083 B1 KR 101276083B1 KR 1020120105641 A KR1020120105641 A KR 1020120105641A KR 20120105641 A KR20120105641 A KR 20120105641A KR 101276083 B1 KR101276083 B1 KR 101276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ound absorbing
absorbing block
sound
slee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5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호
정종덕
이우동
전우상
손동기
이인세
오장헌
김효산
유재광
정명렬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주식회사 케이알티씨
서울메트로
주식회사지이티-피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주식회사 케이알티씨, 서울메트로, 주식회사지이티-피씨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05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60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6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6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9/00Protection of permanent way against development of dust or against the effect of wind, sun, frost, or corrosion; Means to reduce development of noise
    • E01B19/003Means for reducing the development or propagation of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00Ballastway; Other means for supporting the sleepers or the track; Drainage of the ballastway
    • E01B1/002Ballastless track, e.g. concrete slab trackway, or with asphalt lay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00Ballastway; Other means for supporting the sleepers or the track; Drainage of the ballastway
    • E01B1/008Drainage of track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4/00Characteristics of the track and its foundations
    • E01B2204/07Drainage

Abstract

본 발명은 도시철도의 콘크리트 도상에 적용하여 과거의 자갈 대신 철도소음을 방지케 하는 도상 흡음블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철도의 침목 및 레일교체, 흡음블록의 파손시 보수가 용이하도록 도상에 흡음블록을 부착하지 않고, 탈착 가능케 함과, 철도의 침목형태, 도상구조, 노선궤도에 따라 호환적용이 가능케 함과, 철도의 소음발생부로부터 근접설치를 가능케 하여 소음방지의 효율성을 극대화되도록 한 도시철도용 도상 흡음블록을 제공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시철도 콘크리트 도상 상면의 침목 주변에 흡음블록을 고강도 몰탈이나, 에폭시, 등을 이용하여 직접적으로 영구부착한 도시철도용 도상 흡음블록에 있어서, 상기 흡음블록과 도상 사이에 하부블록을 구성하며, 상기 하부블록은 도상의 양측 끝단과 침목의 중간에 국부적 형태로 구성하여 도상의 상면에 부착고정하고, 상기 흡음블록은 하부블록의 상단에 하면 일측이 암수결합으로 삽입안착하되, 하면의 타측은 침목의 상단 일측에 얹혀지게 하며, 상기 흡음블록은 평면상 인접하는 흡음블록 간에 양끝단을 암수결합으로 안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철도용 도상 흡음블록을 제안한다.

Description

도시철도용 도상 흡음블록{ballast Sound absorbing block of urban railway}
본 발명은 도시철도의 콘크리트 도상에 적용하여 과거의 자갈 대신 철도소음을 방지케 하는 도상 흡음블록에 관한 것이다.
과거의 자갈 대신 적용되고 있는 도상 흡음블록은 그 형태와 구조가 다양한데, 특히 도1과 같이, 종래의 흡음블록은 침목 주변에 흡음블록을 고강도 몰탈이나, 에폭시, 등과 같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직접적으로 영구부착시키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영구부착은 침목 및 레일교체, 흡음블록의 파손, 등과 같이, 보수가 필요한 경우, 일단 흡음블록을 파쇄하여 도상에서 제거한 다음, 보수작업을 수행해야 하는데, 여기에서 흡음블록의 제거 및 새로운 흡음블록으로의 교체, 부착부의 제거 및 재시공, 등에 대한 비용낭비와 보수시간이 상당히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흡음블록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한가지 타입으로 제작하는 게 대부분인데, 이는 다양한 타입의 침목의 형태, 도상의 구조, 노선의 궤도가 평지인지 커브인지에 따라 다르게 적용시켜야 하는데, 그에 대한 호환성이 떨어져, 흡음블록의 하부구조를 다양하게 제작해야 하는데, 이에 따른 몰드 제작비용의 낭비는 물론, 흠음블록의 구조가 달라질 경우, 각 타입마다 흡음효과를 재검증 받아 사용해야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영구부착은 도1과 같이 소음이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레일로부터 흡음블록이 멀고(a), 차량 저부로부터 낮게(b), 즉 소음발생부로부터의 근접설치가 어려워 소음이 심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의한 대안으로 소음발생부로부터의 근접설치를 위해 흡음블록의 두께를 두껍고 넓게 제조할 수밖에 없는데, 이로 인한 불필요한 용적낭비로 제조단가가 비싸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하여, 본 발명은 도시철도의 침목 및 레일교체, 흡음블록의 파손시 보수가 용이하도록 도상에 흡음블록을 부착하지 않고, 탈착 가능케 함과, 철도의 침목형태, 도상구조, 노선궤도에 따라 호환적용이 가능케 함과, 철도의 소음발생부로부터 근접설치를 가능케 하여 소음방지의 효율성을 극대화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흡음블록을 도상에 영구부착하지 않고, 흡음블록과 도상 사이에 하부블록을 구성하며, 상기 하부블록은 도상의 양측 끝단과 침목의 중간에 국부적 형태로 구성하여 도상의 상면에 부착고정하고, 상기 흡음블록은 하부블록의 상단에 하면 일측이 암수결합으로 삽입안착하되, 하면의 타측은 침목의 상단 일측에 얹혀지게 하며, 상기 흡음블록은 평면상 인접하는 흡음블록 간에 양끝단을 암수결합으로 안착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된 본 발명은, 하부블록의 적용으로 흡음블록을 탈착할 수 있기 때문에, 침목 및 레일교체, 흡음블록의 파손시 보수가 용이함과, 종래와 같은 흡음블록 또는 부착부의 제거 및 재시공에 대한 비용절감, 그리고 보수시간이 상당히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 흡음블록은 길이방향으로 삽입안착되는 하부블록과의 결합력과, 하부블록과 침목 사이에 얹혀진 형태의 자체적 중량, 그리고 흡음블록 간의 암수 결합력에 의해 유동성이 없고 견고한 고정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하부블록의 적용으로 다양한 타입의 침목형태, 도상구조, 노선궤도에 따라 흡음블록의 구조를 바꾸지 않고도, 호환적용이 가능케 함은 물론, 흡음블록에 대한 별도의 흡음효과를 재검증 받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에서 하부블록은 구조가 단순하여 침목의 형태 또는 노선궤도에 따라 블록의 높이 또는 하단면의 경사각만 변경하면 되므로 제작비용이 상당히 절감됨은 물론 몇 가지 타입으로 규격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하부블록의 적용으로 레일 및 차량의 저부, 즉 소음발생부로부터의 흡음블록의 근접설치가 가능하며, 흡음블록의 두께를 두껍고 폭을 넓게 하지 않고도 소음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소멸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 흡음블록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 하부블록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흡음블록을 분리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흡음블록을 안착한 사시도
도 7은 침목 타입에 따른 하부블록의 또 다른 예시도
도 8은 노선 궤도에 따른 하부블록의 또 다른 예시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선등록된 공지기술 및 통상적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어 생략 또는 간단한 명칭 등으로 대체한다.
도1과 같이, 종래에는 도시철도 콘크리트 도상(A) 상면의 침목(A1) 주변에 흡음블록(1)을 고강도 몰탈이나, 에폭시, 등과 같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직접적으로 영구부착시키고 있었다.
도2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의 흡음블록(1)을 영구부착하지 않고, 흡음블록(1)과 도상(A) 사이에 하부블록(2)을 구성하며, 상기 하부블록(2)은 도상(A)의 양측 끝단과 침목(A1)의 중간에 국부적 형태로 구성하여 도상(A)의 상면에 부착고정하고, 상기 흡음블록(1)은 하부블록(2)의 상단에 하면 일측이 암수결합(13)으로 삽입안착하되, 하면 타측은 침목(A1)의 상단 일측에 얹혀지게 하여 안착하며, 상기 흡음블록(1)은 평면상 인접하는 흡음블록(1) 간에 양끝단을 암수결합(14)으로 안착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요소에 대해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과 같이, 흡음블록(1)은 적정의 두께를 갖고, 블록표면의 양끝단에는 중간에 통로홈(11a)이 형성된 돌출턱(11)이 마련되며, 돌출턱(11)의 중간에는 요철형태의 무늬로 되는 흡음부(12)가 구성되고, 블록하면의 일측에는 안착홈(13a)이 형성되며, 평면상 블록의 길이방향 양끝단에 결합돌기(14a)와 결합홈(14b)이 각각 구성된다.
상기에서 돌출턱(11)은 소음을 밖으로 내보내지 않고 흡음부(12)로 유도하는 작용을 하며, 통로홈(11a)은 이물질제거, 청소, 빗물, 등의 배수에 대한 용이성을 확보하기 위해 구성된다.
상기에서 흡음부(12)는 돌출된 사각무늬(12a)를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형성함이 바람직하며,
상기에서 안착홈(13a)은 전체길이 3/4의 위치에 구성하되, 짧은 쪽이 쉽게 파손되지 않는 최소두께(60mm)를 확보한 채 형성함이 바람직하고,
상기에서 결합돌기(14a)와 결합홈(14b)은 양끝단의 중간에 형성하되, 암수결합부(14)의 간격을 적정히(2~3mm) 띄워 진동전달을 방지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4와 같이, 하부블록(2)은, 사각형태로 되어 적정의 높이를 갖고, 상면 일단에 흡음블록(1)의 안착홈(13a)과 암수결합(13)되는 안착돌기(21)가 형성된다.
도3의 흡음블록(1)과, 도4의 하부블록(2)을 이용하여 도상(A)에 실시한 예가 도5, 도6과 같다.
한편, 도7과 같이, 흡음블록(1)의 타단을 받칠 수 없을 정도로 여유공간이 없는 침목(A1) 타입의 경우, 흡음블록(1)의 폭을 길게 연장하고, 안착돌기(21)를 상면 양측으로 구성하되, 타단의 안착돌기(21)는 흡음블록(1)의 반대편 측면에 걸려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하부블록(2)의 하면 중간은 부착 및 안착의 용이성을 위해 교각홈(22)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2와 같이, 노선의 궤도가 평지일 때는 도4, 도7와 같이 하부블록(2)의 하면을 평편하게 하면 되나, 도8과 같이, 노선의 궤도가 커브일 때는 탈선방지를 위해 외측이 높도록 기울어지게 도상(A)을 구축하는 데, 이때 하부블록(2)은 도8의 상세도와 같이 블록의 하면은 경사면(23)이 되고, 양측면은 수직이 되도록 제조하여서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상(A) 및 흡음블록(1)의 기울임에 따라 하부블록(2)도 같이 기울어지게 되면 중량에 의해 흡음블록(1)이 낮은 곳으로 쏠리는 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흡음블록(1)은 하나로 단일화할 수 있고, 하부블륵은 안착돌기(21)가 일측에만 형성된 것과, 양측으로 형성된 것, 그리고 상기의 하부블록(2)의 하면이 경사면(23)으로 되되, 급경사용과 완만한 경사용으로 규격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서 제시한 도면은 예시도로 특징을 부각시키고자 구체적인 장치나 구조 등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어 간단하게 도시하였다. 이에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충분히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고, 이를 기반으로 본 발명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나, 본 발명의 사상 내지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못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될 것이다.
도상(A) 침목(A1)
레일(A2) 흡음블록(1)
돌출턱(11) 통로홈(11a)
흡음부(12) 사각무늬(12a)
암수결합(13) 안착홈(13a)
암수결합(14) 결합돌기(14a)
결합홈(14b) 하부블록(2)
안착돌기(21) 교각홈(22)
경사면(23)

Claims (4)

  1. 도시철도 콘크리트 도상 상면의 침목 주변에 흡음블록을 접착제로 영구부착한 도시철도용 도상 흡음블록에 있어서,
    상기 흡음블록과 도상 사이에 하부블록을 구성하며, 상기 하부블록은 도상의 양측 끝단과 침목의 중간에 국부적 형태로 구성하여 도상의 상면에 부착고정하고, 상기 흡음블록은 하부블록의 상단에 하면 일측이 암수결합으로 삽입안착하되, 하면의 타측은 침목의 상단 일측에 얹혀지게 하며, 상기 흡음블록은 평면상 인접하는 흡음블록 간에 양끝단을 암수결합으로 안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철도용 도상 흡음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블록은 적정의 두께를 갖고, 블록표면의 양끝단에는 중간에 통로홈이 형성된 돌출턱이 마련되며, 돌출턱의 중간에는 요철형태의 무늬로 되는 흡음부가 구성되고, 상기 흡음부는 돌출된 사각무늬를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형성되며, 블록하면의 일측에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평면상 블록의 길이방향 양끝단 중간에 결합돌기와 결합홈이 각각 구성됨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블록은 사각형태로 되어 적정의 높이를 갖고, 상면 일단에 흡음블록을 안착할 수 있는 안착돌기가 구성됨을 포함하는 도시철도용 도상 흡음블록.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블록의 안착돌기를 일단에만 구성하지 않고, 양단 모두 구성함을 포함하는 도시철도용 도상 흡음블록.
  4. 제 2항,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블록의 하면이 경사면으로 됨을 포함하는 도시철도용 도상 흡음블록.
KR1020120105641A 2012-09-24 2012-09-24 도시철도용 도상 흡음블록 KR101276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641A KR101276083B1 (ko) 2012-09-24 2012-09-24 도시철도용 도상 흡음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641A KR101276083B1 (ko) 2012-09-24 2012-09-24 도시철도용 도상 흡음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6083B1 true KR101276083B1 (ko) 2013-06-18

Family

ID=48867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5641A KR101276083B1 (ko) 2012-09-24 2012-09-24 도시철도용 도상 흡음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60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4343B1 (ko) * 2017-01-17 2018-06-04 주식회사 지이티-피씨 고속철도의 콘크리트 도상용 흡음블록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04U (ja) * 1991-06-27 1993-01-19 財団法人鉄道総合技術研究所 軌道用騒音防止装置
JPH10102403A (ja) * 1996-10-02 1998-04-21 Railway Technical Res Inst スラブ軌道用吸音材料および吸音構造物
JP2009114813A (ja) * 2007-11-09 2009-05-28 Railway Technical Res Inst レールの防音構造
KR20110124848A (ko) * 2010-05-12 2011-11-1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 콘크리트 도상용 흡음판, 이를 이용한 철도 콘크리트 도상의 방음시공방법 및 철도 콘크리트 도상 방음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04U (ja) * 1991-06-27 1993-01-19 財団法人鉄道総合技術研究所 軌道用騒音防止装置
JPH10102403A (ja) * 1996-10-02 1998-04-21 Railway Technical Res Inst スラブ軌道用吸音材料および吸音構造物
JP2009114813A (ja) * 2007-11-09 2009-05-28 Railway Technical Res Inst レールの防音構造
KR20110124848A (ko) * 2010-05-12 2011-11-1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 콘크리트 도상용 흡음판, 이를 이용한 철도 콘크리트 도상의 방음시공방법 및 철도 콘크리트 도상 방음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4343B1 (ko) * 2017-01-17 2018-06-04 주식회사 지이티-피씨 고속철도의 콘크리트 도상용 흡음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41572C2 (ru) Способ превращения колеи на основании из балласта в колею на основании из плит
JP5507663B2 (ja) 鉄道線路用の安全構造
KR101276083B1 (ko) 도시철도용 도상 흡음블록
KR101131745B1 (ko) 노면트램용 궤도구조
JP5325300B2 (ja) 線路支持層
KR20130007077U (ko) 조립식 매립형 레일구조
KR200473880Y1 (ko) 레일체결장치
JP5913033B2 (ja) 鉄道線路横断用舗装板及びその舗装構造
JP2006526720A (ja) レール使用車両、特に鉄道のためのレール構造体
KR20130035150A (ko) 매립식 레일 구조
KR100667584B1 (ko) 연약지반 철도 보강을 위한 방석침목구조
KR102122610B1 (ko) 자갈궤도의 급속개량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콘크리트궤도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콘크리트 슬래브 지지장치와 철도 부설장치
KR101230381B1 (ko) 다용도 겸용 레일바이크 궤도
CN209722595U (zh) 一种复合轨枕无砟轨道结构
DK2817456T3 (en) Noise Reduction device
KR200410824Y1 (ko) 연약지반용 철로설치구조
JP4639137B2 (ja) 脱線防止構造
JP3936950B2 (ja) バリアフリー型レール側方間隙閉塞構造、及びレール側方の間隙閉塞方法
JP2004156318A (ja) バリアフリー型レール側方間隙閉塞構造、及びレール側方の間隙閉塞方法
KR200250967Y1 (ko) 철도 교량 하부의 방음 구조
JP2011084934A (ja) 踏切舗装板構造
JP4949716B2 (ja) バリアフリー型レール側方間隙閉塞構造、及びレール側方の間隙閉塞方法
KR200467323Y1 (ko) 매립형 레일구조 및 이에 사용되는 레일조립체
JP4698381B2 (ja) レール底部把持式部材支持構造、軌道舗装構造、列車逸脱防止型軌道構造、レール底部を利用する部材支持方法、軌道近傍の舗装方法、及び列車逸脱防止方法
KR100622219B1 (ko) 복공판을 이용한 철도건널목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