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2219B1 - 복공판을 이용한 철도건널목 구조 - Google Patents

복공판을 이용한 철도건널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2219B1
KR100622219B1 KR1020060025366A KR20060025366A KR100622219B1 KR 100622219 B1 KR100622219 B1 KR 100622219B1 KR 1020060025366 A KR1020060025366 A KR 1020060025366A KR 20060025366 A KR20060025366 A KR 20060025366A KR 100622219 B1 KR100622219 B1 KR 100622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road crossing
crossing structure
rails
rai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5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익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Priority to KR1020060025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22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2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2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4Pavings for railroad level-cross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1/00Track superstructure adapted for tramways in paved stree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3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composition used for beds or joint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la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공판을 이용한 철도건널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등이 철도의 레일을 지나갈 수 있도록 설치되는 철도 건널목의 강성을 향상시켜 파손을 방지하고 조립 및 분해가 간단하도록 한 복공판을 이용한 철도건널목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철도 건널목의 제작, 조립 및 설치가 간편함과 아울러 강성을 향상시켜 고중량인 차량이 통과하여도 파손 및 변형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한 복공판을 이용한 철도건널목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철도 레일(R)의 저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침목(S)에서 레일(R)의 사이에 일정 높이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다수의 앵커 고리(1)와, 상기한 침목(S)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폭이 레일(R)의 사이 간격보다 약간 작도록 형성되고 침목(S)의 윗면에 양단이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한 앵커고리(1)에 대응되도록 볼트공(2)이 관통 형성된 복공판(3)과, 상기한 볼트공(2) 및 앵커고리(1)에 삽입되면서 너트(4)로 고정되어 복공판(3)을 견고하게 고정하는 고정볼트(5)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복공판을 이용한 철도건널목 구조

Description

복공판을 이용한 철도건널목 구조{RAILWAY CROSSING STRUCTURE MAKE USE OF CHAMBER PLATE}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복공판을 이용한 철도건널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도1의 단면도,
도3은 도1에서 하나의 복공판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앵커고리 2: 볼트공
3: 복공판 4: 너트
5: 고정볼트 6: 인양공
7: 절곡부 R: 레일
S: 침목
본 발명은 복공판을 이용한 철도건널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등이 철도의 레일을 지나갈 수 있도록 설치되는 철도 건널목의 강성을 향상시켜 파손을 방지하고 조립 및 분해가 간단하도록 한 복공판을 이용한 철도건 널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로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타당성 검사등을 통해 계획을 수립한 후 땅을 매입하고 철로를 설계하며, 각 구간별로 시공업체를 선정하여 시공을 하게 된다.
상기한 시공 시 지면에 기초공사를 하여 지반이 붕괴되지 않도록 한 후, 상기한 기초공사가 끝난 지면에 자갈등을 깔고 그 위에 침목을 설치함과 아울러 레일을 설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철로 공사 중 도로를 관통하는 구간에서는 자동차등이 철로 레일을 지나갈 수 있도록 건널목을 설치하게 되는 바, 이는 일반적으로 레일 사이에 침목(또는 콘크리트로 제작된 침목)을 위치시켜 구성하게 된다.
즉, 레일 사이에 침목을 설치하여 레일과 동일 높이가 되도록 함으로써, 자동차가 레일 사이에서 빠지지 않고 지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한 침목과 레일의 사이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철도 차량의 통과 시 침목에 닿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레일 사이에 침목을 위치시켜 자동차가 레일을 건너갈 수 있도록 건널목을 설치하게 되면, 상기한 건널목을 통과하는 자동차가 RV자동차와 같이 점차 대형화, 고중량화되기 때문에 쉽게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되고 이로 인해 건널목의 유지보수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철도 건널목의 제작, 조립 및 설치가 간편함과 아울러 강성을 향상시켜 고중량인 차량이 통과하여도 파손 및 변형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한 복공판을 이용한 철도건널목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철도 레일의 저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침목에서 레일의 사이에 일정 높이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다수의 앵커 고리와, 상기한 침목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폭이 레일의 사이 간격보다 약간 작도록 형성되고 침목의 윗면에 양단이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한 앵커고리에 대응되도록 볼트공이 관통 형성된 복공판과, 상기한 볼트공 및 앵커고리에 삽입되면서 너트로 고정되어 복공판을 견고하게 고정하는 고정볼트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1과 도2와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복공판을 이용한 철도건널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와 단면도와 분해 사시도로서, 철도 레일(R)의 저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침목(S)에서 레일(R)의 사이에 일정 높이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다수의 앵커 고리(1)와, 상기한 침목(S)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폭이 레일(R)의 사이 간격보다 약간 작도록 형성되고 침목(S)의 윗면에 양단이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한 앵커고리(1)에 대응되도록 볼트공(2)이 관통 형성된 복공판(3)과, 상기한 볼트공(2) 및 앵커고리(1)에 삽입되면서 너트(4)로 고정되어 복공판(3)을 견고하게 고정하는 고정볼트(5)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복공판(3)은 금속 재질로 제작되거나 또는 강성이 우수하고 부식에 강한 재질로 제작되고, 레일(R)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철도 차량이 통과할 때 간섭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한 복공판(3)의 상면에는 이를 손으로 또는 공구로 들어서 올릴 수 있도록 다수의 인양공(6)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복공판(3)의 양측 저면에는 레일(R)의 저면 돌출 부분과 접촉되지 않도록 절곡부(7)가 형성되어 있게 되는 바, 상기한 절곡부(7)를 형성하지 않게 되면 레일(R)과 복공판(3)이 간격이 너무 넓어지게 되어 차량 통과 시 덜컹거리는 충격이 매우 심해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작업자가 건널목을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한 철로의 침목(S)에 다수의 앵커 고리(1)를 고정 설치하게 된다.
상기한 앵커고리(1)는 침목(S)에서 레일(R)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고정하게 되는 바, 앵커 고리(1)의 고정이 완료되면 각 침목(S) 사이에 복공판(3)을 하나씩 위치시키게 된다.
복공판(3)이 침목(S) 사이에 위치되면 앵커고리(1)의 구멍과 복공판(3)의 볼트공(2)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여기에 고정볼트(5)를 삽입하게 됨과 아울러 고정볼트(5)를 너트(4)로 나사 결합시키게 된다.
복공판(3)이 고정볼트(5)로 고정되면 레일(R)과 복공판(3)의 사이에 간격 D가 형성되는 바, 이는 매우 좁은 간격이기 때문에 차량이 통과 시 덜컹거리는 충격을 거의 받지 않게 된다.
즉, 레일(R)은 하단 부분이 상단 부분에 비해 더 넓기 때문에, 복공판(3)에 하단 부분을 수용할 수 있는 절곡부(7)를 형성하지 않게 되면, 상단 부분에서 레일(R)과 너무 많이 이격되어 차량 통과 시 심하게 덜컹거리게 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절곡부(7)에 의해 레일(R)과 복공판(3)의 간격이 좁기 때문에 차량이 안정적으로 통과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복공판(3)이 고정되면 도로에서 레일(R)로 올라가는 부분에 경사부를 형성하여 차량이 건널목을 쉽게 건널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강성이 우수한 재질로 복공판(3)을 제작하여 침목(S)에 지지되도록 설치하게 되면, 차량의 하중이 복공판(3)에 인가되어도 양측으로 침목(S)으로 분산되어 복공판(3)에 인가되는 하중이 감소되기 때문에, 복공판(3)의 변형, 파손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복공판(3)의 유지 보수 시 고정볼트(5)를 풀면 즉시 각각의 복공판(3)을 분리,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간편하게 유지 보수를 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철도 건널목을 제작할 때 침목에 다수의 앵커고리를 결합시키고 여기에 고정볼트로 결합되는 복공판을 레일 사이에 배치함과 아울러 침목의 상면에 안착시켜 하중을 분산시키도록 함으로써, 차량 통과 시 복공판의 파손등을 방지하고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철도 레일의 저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침목에서 레일의 사이에 일정 높이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다수의 앵커 고리와, 상기한 침목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폭이 레일의 사이 간격보다 약간 작도록 형성되고 침목의 윗면에 양단이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한 앵커고리에 대응되도록 볼트공이 관통 형성된 복공판과, 상기한 볼트공 및 앵커고리에 삽입되면서 너트로 고정되어 복공판을 견고하게 고정하는 고정볼트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을 이용한 철도건널목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복공판의 양측 저면에 형성되어 레일의 저면 돌출 부분과 접촉되지 않으면서 레일의 상면과 복공판의 간격을 좁게 하도록 하는 절곡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을 이용한 철도건널목 구조.
KR1020060025366A 2006-03-20 2006-03-20 복공판을 이용한 철도건널목 구조 KR100622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5366A KR100622219B1 (ko) 2006-03-20 2006-03-20 복공판을 이용한 철도건널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5366A KR100622219B1 (ko) 2006-03-20 2006-03-20 복공판을 이용한 철도건널목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2219B1 true KR100622219B1 (ko) 2006-09-18

Family

ID=37631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5366A KR100622219B1 (ko) 2006-03-20 2006-03-20 복공판을 이용한 철도건널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22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3409B1 (ko) 2018-10-16 2019-09-20 서길원 철도 건널목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9827A (en) 1975-06-12 1977-03-01 Tafel Leonard I Flexible, resilient, and wear resistant railroad crossing structure
JPS5712402U (ko) 1980-06-20 1982-01-22
JP2004339769A (ja) 2003-05-15 2004-12-02 Kiyota Kido Kogyo Kk 踏切舗装板構造及びその取付方法
JP2005282082A (ja) 2004-03-29 2005-10-13 Sekisui Chem Co Ltd 踏切用床板、並びに、踏切
JP2005290776A (ja) 2004-03-31 2005-10-20 Sumitomo Rubber Ind Ltd 踏切路構造体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9827A (en) 1975-06-12 1977-03-01 Tafel Leonard I Flexible, resilient, and wear resistant railroad crossing structure
JPS5712402U (ko) 1980-06-20 1982-01-22
JP2004339769A (ja) 2003-05-15 2004-12-02 Kiyota Kido Kogyo Kk 踏切舗装板構造及びその取付方法
JP2005282082A (ja) 2004-03-29 2005-10-13 Sekisui Chem Co Ltd 踏切用床板、並びに、踏切
JP2005290776A (ja) 2004-03-31 2005-10-20 Sumitomo Rubber Ind Ltd 踏切路構造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3409B1 (ko) 2018-10-16 2019-09-20 서길원 철도 건널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2219B1 (ko) 복공판을 이용한 철도건널목 구조
KR20070114355A (ko) 철도 건널목
JP2008514840A (ja) レール溝用走行レール
KR102212757B1 (ko) 자갈궤도의 급속개량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콘크리트궤도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콘크리트슬래브 지지장치와 철도 부설장치
KR20100110906A (ko) 철도용 다지형 침목
KR101338375B1 (ko) 궤도 일체형 교량
KR100844965B1 (ko) 레일 지지 구조
KR100319577B1 (ko) 고무보판 건널목 장치
KR200404784Y1 (ko) 분리형 철도 침목
CN114182580A (zh) 一种可拆卸式铁路轨道路面结构
RU2676772C1 (ru) Железнодорожный переезд
KR100593194B1 (ko) 합성 수지를 이용한 철도 침목
JP6207267B2 (ja) 車輪ガード装置
KR200404783Y1 (ko) 철도 침목
KR200432583Y1 (ko) 복공판이 필요 없는 임시 가설교량
RU2638877C1 (ru) Сборное железобетонное покрытие путей и фиксатор для него
JP6886876B2 (ja) 縦まくらぎ構造及び車両用軌道
KR100742222B1 (ko) 복공판이 필요 없는 임시 가설교량
KR102138365B1 (ko) 종방향 슬립을 허용하는 강철도교용 무도상궤도 구조
JP3349912B2 (ja) レールの座屈防止装置
KR200410832Y1 (ko) 블록식 철도 침목
KR100593193B1 (ko) 블록식 철도 침목
KR102433171B1 (ko) 무도상 철도교량의 침목 고정장치
CN215104376U (zh) 一种病害整治的装配式预制道口板结构
RU216666U1 (ru) Плита путевая для устройства трамвайных путе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