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4017B1 - 개구 형성 장치의 요소들 사이를 걸기 위한 장치와, 그제조 방법 및 이 장치를 이용한 걸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개구 형성 장치의 요소들 사이를 걸기 위한 장치와, 그제조 방법 및 이 장치를 이용한 걸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4017B1
KR101274017B1 KR1020060063057A KR20060063057A KR101274017B1 KR 101274017 B1 KR101274017 B1 KR 101274017B1 KR 1020060063057 A KR1020060063057 A KR 1020060063057A KR 20060063057 A KR20060063057 A KR 20060063057A KR 101274017 B1 KR101274017 B1 KR 101274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end piece
branches
strands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3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5516A (ko
Inventor
필립 고베
미카엘 힘멜스토스
빠트릭스 프리찌탈스키
Original Assignee
스또불리 리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또불리 리옹 filed Critical 스또불리 리옹
Publication of KR20070005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5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4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4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3/00Jacquards
    • D03C3/24Features common to jacquards of different types
    • D03C3/40Constructions of lifting-cor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3/00Jacquar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3/00Jacquards
    • D03C3/24Features common to jacquards of different types
    • D03C3/28Pick-finding arrangements; Arrangements for preventing next shed from being opened during stopping of lo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장치는 자카드 형식의 직조기의 잉아(8)를 직조기의 하니스에 속하는 코드(6)와 걸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장치는 잉아(8)의 상측 단부(8a)에 사출성형되어, 코드(6)의 통로 및 밀어내기를 위한 구멍(224)을 형성하는 단부편(22)과, 코드의 두 개의 가닥들(6c)을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228)을 구비한다. 또한 장치는, 단부편(22)에 장착되며, 이 단부편 상에서, 구멍(224)으로의 접근을 허용하는 제1 위치와, 구멍을 덮어 구멍(224)과 하우징(228)을 축소시키도록 구심력을 작용하여 코드(6)의 하측 단부를 차단할 수 있게 하는 제2 위치의 사이에서 병진 운동으로 이동할 수 있는 강체 슬리브(24)를 포함한다.
또한 이와 같은 장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코드들을 스트링에 걸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개구 형성 장치의 요소들 사이를 걸기 위한 장치와, 그 제조 방법 및 이 장치를 이용한 걸기 위한 방법{Device for hooking between elements of a shed forming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it and method for hooking by means of such a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직조기의 부분 모식도이다.
도 2는 잉아의 상측 단부를 코드의 하측 단부에 걸기 위한 장치의 실시예 1에 관한 변형예 1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 의 선을 따라 취한 종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3의 일부를 확대하여 세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변형예 2에 관한 걸기 위한 장치의 도 2와 유사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Ⅴ-Ⅴ 의 선을 따라 취한 종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5의 A-A 의 선을 따라 취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걸기 위한 장치의 도 5a에 유사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 내지 도 5의 장치에 사용되는 슬리브를 확대한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Ⅶ-Ⅶ 의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관한 걸기 위한 장치의 도 5의 Ⅷ 부분에 대응 하는 상세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자카드 기구 16: 로드
4: 스트링들 20: 걸기 위한 장치
6: 코드들 22: 단부편
8b: 눈 24: 슬리브
8: 잉아 222, 223, 226, 227: 분기부들
10: 경사 224: 구멍
12: 스프링 229: 쇼울더
14: 프레임
본 발명은 자카드(Jacquard) 형식의 직조기의 통사(harness cord)에 잉아(heddle)를 걸거나, 자카드 직조기의 스트링에 통사를 걸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장치를 구비하는 자카드 직조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장치를 제작하는 방법과, 이와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자카드 통사에 잉아를 걸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카드 기구 후크(hook)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코드(cord)들이 걸리는 스트링(string)과 관련된 것으로서, 한 세트의 코드들은 자카드 기구의 잉 아를 형성한다. 각각의 코드는 그 하부에서 경사(warp thread)의 통로용 눈(eye)을 포함하는 잉아의 상부 단부에 걸려야 한다. 이와 같은 연결을 위하여 코드의 하부를 위한 통로 및 밀어내기(wedging)용 구멍을 형성하는 단부편을 잉아의 상부 단부에 사출성형하고, 코드의 하부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보조하기 위해 합성 소재의 유연성 피복이 단부편의 둘레를 미끄러져 감싸도록 하는 기술이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0915195호에 의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피복이 적절한 파지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큰 두께를 가져야 하며, 이를 통해 잉아의 배치 밀도가 높을 때에는 두 개의 잉아가 반대되는 이동 방향으로 구동되어 교차하는 동안 인접하는 잉아들에 장착된 여러 가지의 피복들 사이에 마찰력을 발생시킨다. 또한 이와 같은 피복들은 충분한 파지력을 발휘할 수 있기 위해서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야 한다. 사실상, 단부들이 서로 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피복들의 길이는 최소한 행정거리보다 길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결과, 상당한 길이와 지름을 갖는 상술한 피복들은 잉아의 상측 부분에서 소형 조립체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조립체는 수리를 위한 조작을 하는 동안 하니스(harness)를 통과하여 경사(warp thread)로 접근하는 것을 제한한다. 또한 이와 같은 피복들이 휘어져 단부편과 연결되어 있는 코드들이 미끄러지는 위험을 발생시킨다.
그 밖에 코드가 직조된 후에 잉아의 상부 단부들에 배치되는 열수축 피복들이 사용되기도 한다. 이들 피복들은 한 번 수축되면 피복이 둘러싸고 있는 형상에 대해 동일한 상인 대단히 불규칙적인 외관 형상을 갖는다. 이 외관 형상은 교차가 이루어지는 동안 인접한 잉아들에 장착된 피복들 사이에 마모가 빨리 발생하게 하 는 돌기들을 갖는다.
프랑스 공개특허공보 제2822479호에는 잉아의 상측 단부 상에 사출성형된 단부편에 형성된 길이방향 구멍에 코드의 하측 단부를 파지하기 위해서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제작된 관부(菅部)를 사용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V' 자 형상의 구멍은 코드를 충분히 파지하지 못하므로 직조기가 작동되는 경우 미끄러질 위험이 있다. 이로 인해 잉아의 제어가 부정확해지고 개구(shed)의 오류가 생길 수도 있다. 게다가 단부편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하는 구멍은 잉아의 사출성형 영역에서 이 단부편을 무르게 만든다. 관부의 하측 부분에 추가적인 단부편이 설치되어야 하므로 이로 인해 장착 작업이 복잡해진다. 결국 코드를 밀어내기 전에 관부는 단부편에서 완전히 분리되어 눈과 잉아의 바닥에 대해 같은 높이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신규한 걸기 위한 장치(hooking device)를 제공함으로서 이와 같은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걸기 위한 장치의 전체 지름 크기가 크게 축소될 수 있어 잉아의 고밀도 배치를 가능하게 하므로, 이를 통해 효율적인 걸기를 가능하게 하고 설치를 편리하게 한다.
본 발명은 자카드 형식의 직조기에서 개구(shed) 형성용 조립체의 제1 요소를 이 조립체에 속하는 제2 요소에 걸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걸기 위한 장치는 제1 요소의 상측 단부에 사출성형되며 두 개의 제1 분기부들을 구비하는 단부편 을 구비하고, 제1 분기부들 사이에는 상기 제2 요소의 하측 단부의 통과를 위한 구멍이 형성되고, 단부는 구멍에 수용되는 제2 요소의 부분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하는 두 개의 가닥들을 구비한다. 이 장치는, 단부편이 상술한 가닥들을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이 서로의 사이에 형성되는 두 개의 제2 분기부들을 구비하고, 장치는 단부편에 장착되어 단부편 상의 제1 위치와 제2 위치의 사이에서 병진 운동으로 이동이 가능한 금속 슬리브를 더 포함하고, 제1 위치에서는 슬리브가 상술한 구멍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며 제2 분기부들과 상호 작용하지 않고, 제2 위치에서는 구멍과 하우징을 수축시키고, 제2 요소의 하측 단부의 상술한 부분과 인접한 가닥들을 각각 구멍과 단부편에 의해 형성되는 하우징에 밀어 넣기 위한 구심력을, 슬리브가 제1 분기부들과 제2 분기부들 상에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금속 슬리브를 사용함으로써, 슬리브가 코드가 장착된 단부편에 설치된 이후에, 후방부가 사실상 원형인 소정의 단면을 구비하는 원통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걸기 위한 장치의 전체 지름 크기는 효과적으로 제어될 수 있어, 마찰로 인한 마모의 위험을 줄인다. 관부의 강체의 성질을 고려하면, 관부는 종래의 피복에 비해 실질적으로 짧고, 얇아지면서도 충분한 파지력을 작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결과, 하니스의 수작업 수리를 위한 경편에 대한 접근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하니스의 하측 부분에 대한 접근성이 크게 향상된다. 슬리브의 작은 길이의 관점에서 보면, 장치는 경량이 될 수 있다. 슬리브의 지름이 축소됨으로 인하여 마찰력이 크게 줄어들거나 또는 없어진다. 슬리브의 강성으로 인해, 코드의 미끄럼 저항은 시간이 흘러도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구멍에 연결된 제2 요소의 부분 에 인접한 가닥들이 제2 분기부들에 의해 구획되는 하우징에 수용되는 점은, 이들 가닥들의 길이를 따라 분배되는 차단력을 얻을 수 있게 하는 데, 이는 특별히 효과적이다.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측면들에 따르면, 장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후술하는 특징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분기부들에는 자유 단부들이 제공되고, 자유 단부들은 슬리브가 제1 위치에 있을 때에는 서로 이격되고, 슬리브가 제2 위치에 있을 때에는 함께 단부편의 상측 단부를 형성한다.
슬리브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면 슬리브의 앞쪽을 향하여 위치하는 슬리브의 제1 단부가 전방을 향해 벌어진다. 이 경우, 슬리브의 제2 단부가 제1 단부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면서 수렴할 수 있다.
슬리브와 단부편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를 향하는 슬리브의 병진운동을 정지시키는 맞닿음 부분을 형성하는 보완수단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고정수단을 통해, 관부의 위치 결정을 행할 수 있어, 장착 작업과 잉아의 높이가 정확한 위치에 있는지를 점검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하니스의 미적 외관도 향상된다. 슬리브와 단부편은 마찬가지로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를 향하는 슬리브의 병진 운동을 정지시키는 맞닿음 부분을 형성하는 보완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맞닿음 부분을 형성하는 이들 수단들은 바람직하게는 단부편의 외측 주변의 표면에 형성되는 부조(relief)를 구비하고, 슬리브가 다른 위치로부터 상술한 위치들의 어느 하나에 도달하면 슬리브의 일 단부가 부조에 대하여 지지된다. 부조는 적어도 하나의 치 부(齒部)를 구비할 수 있고, 슬리브가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에 도달하면 슬리브의 일 단부가 치부에 대하여 지지되며, 치부는 제2 위치의 반대측의 위치로부터 제1 위치를 향하는 슬리브의 변위에 양립한다
슬리브와 단부편은 형상들의 협동에 의해 슬리브를 단부편 상의 제2 위치에 정지시키는 고정수단들을 구비한다. 이들 고정수단들은 마찬가지로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를 향하는 슬리브의 병진 운동을 정지시키는 맞닿음 수단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들 고정수단들은 바람직하게는 슬리브의 이동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목 부조와, 단부편의 부분에 형성되어 슬리브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통과할 때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완 부조를 구비한다. 보완 부조는 두 개의 제1 분기부의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슬리브는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구리계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0.6 mm 보다 작고, 바람직하게는 0.3 mm 보다 작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mm 의 정도의 두께를 갖는 벽을 구비한다.
단부편은 그 단부들의 각각에 평행하게 또는 그 근처에 반대측 단부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면서 수렴하는 실질적인 원추형상 또는 절두원추형상 영역을 갖는다. 이로 인해 직조기에 장착되는 인접한 장치들이 서로 걸리는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제2 분기부들은 단부편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가닥들의 하나의 중심을 맞추는 수단들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걸기 위한 장치를 적어도 하나 구비하는 자카드 형식 의 직조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직조기는 더 경제적이며, 하니스의 교체가 종래 기술의 장치에 비해 용이하고 신속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a) 슬리브를 제1 요소의 상측 단부로부터 이격시켜 제1 요소 상에 설치하는 단계와,
b) 제1 요소 상에 단부편을 사출성형하는 단계와,
c) 적절한 경우, 슬리브를 단부편 상의 제1 위치를 향하여 변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별히 장치가 잉아를 통사(harness cord)에 걸기 위해 사용될 때에는 단계 c)가 나중에 실행될 수 있으므로, 단계 c)는 선택적인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상술한 장치를 이용하여 직조기의 잉아를 자카드 통사에 걸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d) 코드를 단부편의 개구부에 도입하는 단계와,
e) 가닥들을 제2 분기부들 사이에 구획되는 하우징에 배치하는 단계와
f) 슬리브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를 향하여 변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걸기 위한 장치(hooking device)의 세 가지 실시예들과 자카드 직조기에 대한 후술하는 설명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나머지 다른 장점들도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이와 같은 설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며, 예시로써 제공되는 것일 뿐이다.
도 1에 도시된 직조기(M)에는 복수 개의 스트링들(4)을 제어하는 자카드 기구(2)가 장착된다. 이들 가운데 하나만이 도시되었으며, 그 하측 단부는 복수개의 코드들(6)에 연결되고, 코드들의 조립체는 직조기의 하니스(harness, H)를 형성한다. 각각의 코드(6)의 하측 단부(6a)는 잉아(8)의 상측 단부(8a)에 연결되고, 각각의 잉아는 경사(10)의 통로를 위한 눈(8b)을 구비하여, 로드(rod, 16)에 의해 직조기(14)의 프레임(14)에 고정된 스프링(12)의 복원력의 영향을 받는다.
또한 잉아들(8)은 기구(2)에 의해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각각의 코드(6)는 이 기구에 의해 개별적으로 이동한다.
본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상측"(upper)이라는 형용사는 직조기(M)의 일반적인 사용 형태에서 장치의 요소의 상측 방향을 향하는 부분에 관한 것이다. 즉 도 1에서 상측을 말한다. 반면에 "하측"(lower)이라는 형용사는 이와 같은 형태에서 하측 방향을 향하는 요소 또는 부분을 가리킨다.
각각의 잉아(8)의 상측 단부를 대응되는 코드(6)의 하측 단부(6a)에 걸기 위해 걸기 위한 장치(20)가 사용된다. 이 장치(20)는 원형 단면을 가지며 실질적으로 원추형상인 몸체(221)의 형태로 단부(8a)에 사출성형되는 단부편(22)을 구비한다. 몸체(221)는 단부(8a)를 지나 두 개의 분기부들(222, 223)에 의해 연장된다. 분기부들 사이에는 개구부(224)가 구획되고, 도 3 및 도 5의 평면 상의 개구부의 치수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분기부들(22, 223)의 상호 접근할 수 있는 작용에 의해 변화할 수 있다.
분기부들(222, 223)은 몸체(221)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영역(225)에서 서로 만나고, 이로부터 다른 두 개의 분기부들(226, 227)이 연장된다. 다른 두 개의 분기부들의 자유 단부들(226a, 227b)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편(22)이 가압되지 않는 경우 서로 이격되며 연장된다.
코드(6)의 단부(6a)는 구멍(224)에 연결될 수 있다. 구멍(224)에 수용되는 부분(6d)의 양측에서 코드(6)에 의해 형성되는 두 개의 가닥들(6b, 6c)은 영역(225)을 따라 연장되어 분기부들(226, 227)의 사이에 구획되는 관통유격(228)에 연결된다. 두 개의 가닥들(6b, 6c)은 구멍(224)에 수용된 코드(6)의 부분(6d)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연장한다.
도 2에서 화살표 F1 및 F2 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6a)는 구멍(224)에 연결될 수 있고, 그래서 이들 가닥들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형성하는 유격(228)을 향하여 휘어질 수 있다.
단부편(22)의 길이방향 중심축은 X22 로 지정되며, 이 축은 잉아(8)의 길이 방향 축 X8 과 일치한다.
각각의 분기부(222, 223)는 나머지 분기부들(222, 223)에 대하여 축 X22 의 방향으로 오목한 부분(222a, 223a)을 구비한다. 그러므로 이들 부분들(222a, 223a)은 분기부들(222, 223)의 외측 표면들(222c, 223)에 대하여 전체 길이에 걸쳐 오목하게 형성되는 두 개의 영역들(222b, 223b)을 구획한다.
금속 슬리브(24)는 단부편(22)에 설치되며, 단부편(22)에 대한 단부(6a)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잉아(8)의 높이 조정이 수행되면 단부편에 대하여 코드(6)의 단부(6a)를 고정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슬리브(24)는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놋쇠와 같은 구리계 합금으로 이루어져, 직조기(M)가 습지 또는 거친 환경에서 작동해야 하는 경우에도 녹슬 위험이 없도록 할 수 있다. 슬리브(24)는 전체 길이에 걸쳐 원형 단면을 가지며, 벽면은 얇아, 그 두께가 0.3 mm 보다 작고, 바람직하게는 0.1 mm 근처가 된다. 사실상, 슬리브(24)의 벽의 두께는 0.6 mm 보다 작은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슬리브(24)의 단부(241)는 확대된다. 즉 이동부(242)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며 벌어진다. 반대측 단부(243)는 슬리브(24)의 중심축 X24 의 방향으로 수렴하며, 부분(242)으로부터 멀어지며 연장한다.
슬리브(24)의 길이는 L24 로 지정된다. 이 길이는, 예를 들어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0915195호에 의해 알려진 장치에 사용되는 유연성 피복의 길이보다 실질적으로 작다. 사실상, 길이 L24 는 10 내지 40 mm 이고, 바람직하게는 20 mm 의 정도이다.
슬리브(24)는, 축 X24 를 중심으로 균일하게 배치되며 축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세 개의 국소적인 오목부들(244)을 구비한다. 이들 세 개의 오목부들 또는 목부들은 슬리브(24)의 최소 내경, 즉 슬리브 내에서 이들 오목부의 영역에 수용될 수 있는 요소의 실질적인 공칭 외경을 구획한다.
몸체(221)는 두 개의 치부(221a)를 구비하고, 각각의 치부는 축 X22 에 수직 한 표면(221b)과 이 축 방향으로 경사진 표면(221c)의 사이에 구획되며, 구멍(224)으로부터 멀어지며 연장한다.
장치(20)가 제작될 때에는, 슬리브(24)는 일반적인 판금과 굽힘 가공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슬리브는 잉아(8)의 단부(8a) 상으로 미끄러져 결합되고, 이 단부로부터 이격되도록 눈(8b)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단부편(22)은 단부(8a)에 사출성형된다. 다음으로 슬리브(2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제1 위치를 향하여 복귀할 수 있다. 이는 치부(221a)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가능한데, 표면들(221c)의 경사진 특성으로 인해 단부(243)가 치부(221a)를 지나도록 허용되기 때문이다. 일단 이와 같은 이동이 이루어지면, 치부(221a)는 눈(24b)의 방향을 향하는 슬리브(24)의 변위에 대한 맞닿음 부분을 형성한다. 그러므로 도 2 및 도 3의 구조가 완성된다.
슬리브(24)는 선택적으로 단부편(22)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유지되거나, 이 단부편에 결합되도록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그 단부(243)가 치부(221a)를 넘어가지 않아야 한다.
일단 코드(6)의 단부(6a)가 삽입되고, 잉아의 높이 조정이 수행되면, 코드는 가닥(6b)을 제공하기 위한 길이로 절단된다. 이 때에 가닥(6c)은 코드(6)의 중간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상측을 향하여 연장된다. 그리고 슬리브(24)는 화살표 F3 방향을 향해, 즉 여기에서 서로 일치하는 X22 와 X24 의 축들에 평행한 병진운동으로, 동시에 잉아(8)의 눈(8b)에 대하여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로 인해 슬리브 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제2 의 위치에 도달할 수 있다. 제2 위치에서 슬리브(24)의 단부(241)는 분기부들(226, 227)의 외측 표면 상의 두 개의 부분들(229a, 229b)에 형성되는 쇼울더(229)에 대해 지지된다. 그러므로 쇼울더(229)의 단부(241)는 도 2의 위치로부터 도 5의 위치를 향하는 슬리브(24)의 운동에 대한 맞닿음 부분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이동으로 인하여, 한편에서는 분기부들(222, 223)이, 다른 한편에서는 분기부들(226, 227)이 서로 접근하며, 동시에 구멍(224)과 유격(228)을 축소시킨다. 정확히 말해, 슬리브(224)의 강성으로 인해 슬리브는 분기부들(222, 223, 226, 227)에 X22 와 X24 의 축들의 방향으로 구심력 E1을 작용할 수 있고, 단부(6a)의 부분(6d)을 구멍(224)에 밀어 넣을 수 있다. 이 힘은 단부들(226a, 227a)의 상호 접근에 의한 결과로 인해 가닥들(6b, 6c)을 차단하기에 충분하다.
이와 같은 영역에서, 영역(225) 상에서의 결합 지점을 중심으로 회동하기 쉬운 분기부들(22, 223)을 폐쇄하도록 하기 위해 슬리브(24)에 의해 부분들(222a, 223a)의 영역에 작용하는 파지력 E1 과 관련한 증폭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므로 코드의 단부(6a)는 평평하게 된 구멍(224)의 내측에 견고히 지지된다. 가닥들(6b, 6c)과 관련된 지역에서, 가닥들도 마찬가지로 영역(225)에 대하여 강하게 밀착되므로 힘 E1 때문에 분기부들(226, 227)의 사이에 파지된다.
도 5a로부터 특별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분기부들(226, 227)의 서로 마주보는 표면들(226b, 227b)은, 힘 E1 에 의해 표면들이 서로 접근할 때에 표면들이 X22 의 축 상에 가닥(6c)의 중심을 맞출 수 있도록 오목하다. 도 5a에 도시된 예에서, 표면들(226b, 227b)은 각각 경사부에 의해 연결되는 두 개의 평행한 부분들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들(226b, 227b)은 실질적으로 개방된 'V'자 형태일 수 있다. 그러므로 마찬가지로 가닥(6c)의 중심을 축 X22 상에 맞출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에 대응하는 단면들은 단부편(22)의 부분의 가닥(6c) 만이 존재하는 곳에서 취한 것이다. 가닥(6b)은 이 하우징의 높이 부분에 대해서만 하우징(228) 내에 수용된다.
튜브(24)의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를 향하는 이동으로 인해 오목부들(244)의 하나를 분기부들(222, 223)의 영역들(222b, 223b)의 하나에 평행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슬리브(24)가 단부편(22)에 맞물림으로써 도 4 및 도 5의 구성으로 고정된다.
영역들(22b, 223)과 오목부들(244)은 마찬가지로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를 향하는 슬리브(24)의 이동에 대한 맞닿음 부분으로 기능한다. 이와 같은 경우, 슬리브의 전방 단부(241)가 쇼울더(229)와 간섭하지 않도록 슬리브는 도면들에 도시된 것보다 더 짧고, 오목부들(244)이 영역들(222b, 223b)에 결합할 때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를 향하는 슬리브의 이동 F3 에 대한 제한이 구현된다.
어떠한 경우이든지, 슬리브(24)의 전방 단부(241)가 확대되는 사실은, 슬리 브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를 향하여 이동하는 동안 이 전방 단부가 단부편(22)에 흠집을 내거나 성형된 모양을 손상시키지 못하도록 한다. 단부(241)의 확대되는 특성은 단부(241)의 외측을 향하는 변형의 결과로 인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되었다. 선택적으로, 이와 같이 확대되는 특성은 단부(241)의 내측 모따기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며, 외측 표면은 변형되지 않을 것이다.
도 4 및 도 5에 구성에 의해 구현되는 정지상태는, 분기부들(222, 223)을 탄성 변형시켜 오목부들(244)을 영역들(222b, 223b)로부터 빼냄으로써 슬리브(24)를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위치를 향하여 다시 이동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가역적이다. 분기부들의 탄성 변형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를 향하는 슬리브(24)의 이동의 행정을 정지시킬 때 발생하는 것과 동일한 형태이다.
슬리브(24)의 이용으로 인해 장치(20)의 전체 외경 크기를 제한하고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장치(20)의 최대 외경 D20 은 분기부들(226, 227)의 두께에 의해 결정되며, 슬리브(24)는 장치의 외경을 증가시키지 않는다.
그러므로 걸기 위한 장치의 조속한 마모의 위험을 줄이거나 완전히 제거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잉아를 고밀도로 배치할 수 있다.
몸체(221)는 분기부들(226, 227)의 반대측 부분에서 눈(8b)의 방향으로 수렴하는 절두원추형 영역(221e)에 의해 몸체(221)의 주된 부분에 연결되는 작은 지름(221d)의 튜브를 형성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구성에서, 분기부들(226, 227)의 외측 단부 표면들은 실질적으로 절두원추형상을 가지며, 만곡되며, 축 X22 를 향하여 수렴한다. 장치(20)의 상측 단부는 이들 표면들에 의해 구획되므로, 장치의 상측 단부는, 장치가 인접하는 장치들에 대하여 상측을 향하여 이동할 때에 인접하는 장치들과의 사이에 발생하는 충격이나 마찰을 제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영역(221e)은 장치(20)가 하측을 향하여 이동할 때에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슬리브의 얇은 두께와 상대적으로 적절한 길이 L24 를 고려하면, 슬리브(24)는 경량이어서 코드(6)와 잉아(8)에 의해 형성되는 조립체의 관성을 심하게 증가시키지 않는다. 맞닿음 부분들(229, 241 및/또는 222b, 223b)의 덕분에 튜브(24)의 배치를 도 4 및 도 5의 위치에 아주 잘 구획할 수 있으므로, 특별히 수많은 잉아들이 소정 형상으로 병렬 배치되고 이에 대응하여 동일한 수의 슬리브들이 실질적으로 정렬되어야 하는 경우에, 튜브가 정확하게 위치되었는지를 용이하게 점검할 수 있다.
슬리브(24)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를 향하여, 그리고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형태는 대응하는 운동의 자동화를 고려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므로 상당한 시간절감과 노동력절감을 성취할 수 있다.
슬리브(24)를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위치로 위치시킬 수 있는 가역적인 특성 때문에, 코드의 길이를 조정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슬리브(24)에 의해 얻을 수 있는 파지력을 약화시키지 아니하면서도, 슬리브(24)는 순간적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구성으로 이동되었다가, 도 4 및 도 5의 구성의 위치로 복귀한다.
도 8은 실시예 2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1에 유사한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들을 갖는다. 본 실시예의 구멍(224)은 재료에 의해 완전히 포위되지는 않는다. 분기부(223)는 절단되어 코드(6)의 부분(6d)이 측면에서 개구부(224)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부(223o)를 형성한다. 슬리브(24)가 배치되면, 이 부분(6d)은 분기부들(222, 223)에 의해서 구멍(224)의 내측에 파지된다.
본 발명에 관한 장치에서, 잉아의 단부(8a)에 사출성형되는 몸체(221)의 부분은 요소들(222 내지 229)에 의해 형성되는 부분들로부터 독립적이며, 이 부분들로 인해 코드의 단부(6a)가 차단된다. 그러므로 코드의 연결 구조는 단부편(22)과 잉아(8)의 사이의 연결을 약화시킬 위험을 갖지 않는다.
슬리브(24)는 연속적인 원형 단면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슬리브는 길이방향으로 분리될 수 있고, 또는 금속판을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감아 형성될 수도 있다.
장치는 동일하게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사들(6)과 스트링(4) 사이를 걸기 위한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은 경우 코드 또는 코드들의 상측 단부 또는 하측 단부는 몸체(221)에 사출성형되고, 스트링(4)의 하측 단부는 구멍(224)에 밀어 넣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장치는, 걸기 위한 장치의 전체 지름 크기가 크게 축소될 수 있어 잉아의 고밀도 배치를 가능하게 하므로, 이를 통해 효율적인 걸기를 가능하게 하고 설치를 편리하게 한다.

Claims (20)

  1. 자카드 형식의 직조기(M)에서 개구 형성용 조립체(2-8)의 제1 요소(8)를 상기 개구 형성용 조립체에 속하는 제2 요소(6)에 걸기 위한 장치(20)로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제1 요소(8)의 상측 단부(8a)에 사출성형되며 두 개의 제1 분기부들(222,223)을 구비하는 단부편(22)을 구비하고,
    제1 분기부들 사이에는 상기 제2 요소의 하측 단부(6a)의 통과를 위한 구멍(224)이 형성되고,
    상기 단부는 상기 구멍에 수용되는 상기 제2 요소의 부분(6d)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하는 두 개의 가닥들(6b, 6c)을 구비하고,
    상기 단부편(22)은 상기 가닥들(6b, 6c)을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228)이 서로의 사이에 형성되는 두 개의 제2 분기부들(226,227)을 구비하고,
    상기 장치는 상기 단부편에 장착되어 상기 단부편 상의 제1 위치와 제2 위치의 사이에서 병진 운동으로 이동이 가능한 금속 슬리브(24)를 더 포함하고,
    제1 위치에서는, 상기 슬리브가 상기 구멍(224)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며, 상기 제2 분기부들(226, 227)과 상호 작용하지 않고,
    제2 위치에서는, 상기 구멍(224)과 상기 하우징(228)을 수축시키고, 상기 부분(6d)과 상기 가닥들(6b, 6c)을 각각 상기 구멍(224)과 상기 하우징(228)에 밀어 넣기 위한 구심력(E1)을, 상기 슬리브(24)가 상기 제1 분기부들(222, 223)과 상기 제2 분기부들(226,227) 상에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분기부들(226, 227)에는 자유 단부들(226a, 227a)이 제공되고, 상기 자유 단부들은 상기 슬리브(24)가 제1 위치에 있을 때에는 서로 이격되고, 상기 슬리브가 제2 위치에 있을 때에는 함께 상기 단부편(22)의 상측 단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면 슬리브의 앞쪽에 위치하는 상기 슬리브(24)의 제1 단부(241)가 벌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24)의 제2 단부(243)가 상기 제1 단부(241)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면서, 수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24)와 상기 단부편(22)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를 향하는 상 기 슬리브의 병진 운동(F3)을 정지시키는 맞닿음 부분을 형성하는 보완수단(229, 24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24)와 상기 단부편(22)은 마찬가지로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를 향하는 상기 슬리브의 병진 운동을 정지시키는 맞닿음 부분을 형성하는 보완수단(221a, 24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들은 상기 단부편(22)의 외측 주변의 표면에 형성되는 부조(229, 221a)를 구비하고, 상기 슬리브가 다른 위치로부터 상기 위치들의 어느 하나에 도달하면 상기 슬리브(24)의 일 단부(241, 243)가 부조에 대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들은 상기 단부편(22)의 외측 주변의 표면에 형성되는 부조(229, 221a)를 구비하고, 상기 슬리브가 다른 위치로부터 상기 위치들의 어느 하나에 도달하면 상기 슬리브(24)의 일 단부(241, 243)가 부조에 대해 지지되고, 상기 부조는 적어도 하나의 치부(221a)를 구비하며, 상기 슬리브(24)가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슬리브의 일 단부(243)가 상기 치부에 대하여 지지되고, 상기 치부는 상기 제2 위치의 반대측의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를 향하는 상기 슬리브의 변위에 양립하는 것(221c 에서)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24)와 상기 단부편(22)은
    형상들의 협동에 의해 상기 슬리브를 상기 단부편 상의 제2 위치에 정지시키는 고정수단들(222a, 223a, 24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들(222a, 223a, 244)은 마찬가지로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를 향하는 상기 슬리브의 병진 운동(F3)을 제한하는 맞닿음 수단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들은 상기 슬리브(24)의 이동부(242)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목 부조(24)와, 상기 단부편(22)의 부분(22, 223)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완 부조(22b, 223b)를 구비하고, 상기 부분은 상기 슬리브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통과할 때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완 부조(222b, 223b)는 상기 두 개의 제1 분기부(222, 223)의 하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24)는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구리계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0.6 mm 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24)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단부편(22)은 그 단부들의 각각에 평행하게 또는 그 근처에 반대측 단부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면서 수렴하는 실질적인 원추형상 또는 절두원추형상 영역(221a, 226c, 227c)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분기부들(226, 227)은 상기 단부편(22)의 길이방향 축(X22)을 따라 상기 가닥들(6b, 6c)의 하나(6c)의 중심을 맞추는 수단들(226b, 227b)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 1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장치(20)를 구비하는 자카드 형식의 직조기(M).
  17. 제 1 항에 따른 장치(20)의 제조 방법으로서,
    a) 상기 슬리브(24)를 제1 요소의 상측 단부(8a)로부터 이격시켜 상기 제1 요소(8) 상에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제1 요소 상에 상기 단부편(22)을 사출성형하는 단계; 및
    c) 상기 슬리브를 상기 단부편 상의 제1 위치를 향하여 변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
  18. 제 1 항에 따른 장치(20)에 의해, 직조기에서 개구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의 제1 요소(8)를 상기 장치의 제2 요소(6)에 걸기 위한 방법으로서,
    d) 상기 제2 요소를 상기 구멍(224)에 도입하는 단계;
    e) 상기 가닥들(6b, 6c)을 상기 하우징(228)에 배치하는 단계; 및
    f) 상기 슬리브(F3)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를 향하여 변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걸기 위한 방법.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24)의 상기 벽은 0.3 mm 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24)의 상기 벽은 0.1 mm의 정도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60063057A 2005-07-06 2006-07-05 개구 형성 장치의 요소들 사이를 걸기 위한 장치와, 그제조 방법 및 이 장치를 이용한 걸기 위한 방법 KR1012740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507199 2005-07-06
FR0507199A FR2888256B1 (fr) 2005-07-06 2005-07-06 Dispositif d'accrochage entre elements d'un dispositif de formation de la foule, son procede de fabrication et procede d'accrochage au moyen d'un tel dispositi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5516A KR20070005516A (ko) 2007-01-10
KR101274017B1 true KR101274017B1 (ko) 2013-06-12

Family

ID=36130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3057A KR101274017B1 (ko) 2005-07-06 2006-07-05 개구 형성 장치의 요소들 사이를 걸기 위한 장치와, 그제조 방법 및 이 장치를 이용한 걸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398799B2 (ko)
EP (1) EP1741815B1 (ko)
JP (1) JP5019806B2 (ko)
KR (1) KR101274017B1 (ko)
CN (1) CN1928176B (ko)
BR (1) BRPI0602637B1 (ko)
FR (1) FR28882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1016685A3 (nl) * 2005-07-15 2007-04-03 Wiele Michel Van De Nv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borgen van de verbinding van een hevel en een harnaskoord.
FR2891282B1 (fr) * 2005-09-27 2007-11-16 Staubli Lyon Sa Procede de fabrication d'une lisse, lisse de mecanisme de formation de la foule et metier a tisser incorporant une telle lisse.
BE1020551A3 (nl) * 2012-03-01 2013-12-03 Wiele Michel Van De Nv Inrichting voor het losneembaar verbinden van elementen voor het positioneren van kettinggarens op een weefmachine.
CN103252642B (zh) * 2012-07-25 2015-08-26 浙江旷达纺织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通丝装造的校眼机的工装部件
CN102825457B (zh) * 2012-07-25 2015-08-26 浙江旷达纺织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通丝装造的校眼设备的综眼板定位结构
FR3027315B1 (fr) 2014-10-16 2019-04-26 Staubli Lyon Lisse pour metier a tisser et metier equipe d'une telle lisse
FR3027313B1 (fr) 2014-10-16 2016-11-18 Staubli Lyon Lisse pour metier a tisser, metier a tisser equipe d'une telle lisse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e telle lisse
FR3027314B1 (fr) 2014-10-16 2019-04-26 Staubli Lyon Lisse pour metier a tisser et metier a tisser equipe d'une telle lisse
FR3054246B1 (fr) * 2016-07-25 2018-08-31 Staubli Lyon Lisse pour metier jacquard, son procede de fabrication, et metier a tisser comprenant une telle lisse
DE202018103292U1 (de) * 2018-06-12 2018-07-20 Gebrüder Klöcker GmbH Klemmvorrichtung zur lösbaren Verbindung einer Harnischschnur mit einer Hebelitze einer Dreherbindungsvorrichtung
FR3105269B1 (fr) 2019-12-20 2021-12-31 Staubli Lyon Lisse pour métier à tisser et harnais équipé d’une telle lisse
CN112323207B (zh) * 2020-11-10 2022-02-08 常熟纺织机械厂有限公司 电子提花机的电磁阀组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36959A (en) * 1975-02-07 1976-11-26 Sulzer Ag Device for fixing tension element in jacquard warp lifting unit
JPH11217744A (ja) * 1997-11-05 1999-08-10 Staubli Lyon コ―ドにヘルドを掛止めする装置、そのような掛止め装置を有する織機のヘルド及びそのようなヘルドを備えた織機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20272A (en) * 1927-10-05 1929-07-09 Warren B Harris Harness cord for looms
US2557033A (en) * 1948-01-29 1951-06-12 Steel And Alloy Tank Company Harness return mechanism
US2565375A (en) * 1949-05-10 1951-08-21 Steel And Alloy Tank Company Harness return strap and anchor device
US2700398A (en) * 1951-03-27 1955-01-25 Bernard E Green Harness cord for loom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3736962A (en) * 1971-12-16 1973-06-05 Zangs Ag Maschf Harness connector for jacquard machines
JPS50128466U (ko) * 1974-04-02 1975-10-22
FR2685015B1 (fr) * 1991-12-12 1994-04-01 Staubli Verdol Sa Attache rapide pour la liaison d'au moins un element funiculaire par rapport a l'extremite d'un cordon.
FR2685357B1 (fr) * 1991-12-20 1994-04-01 Staubli Verdol Sa Dispositif destine a l'assemblage de plusieurs cordons.
FR2691481A1 (fr) * 1992-05-25 1993-11-26 Staubli Verdol Crochet mobile de dispositif de formation de la foule.
DE4309983C2 (de) * 1993-03-29 1996-09-05 Schleicher Oskar Fachbildevorrichtung für Webmaschinen
FR2718810B1 (fr) * 1994-04-19 1996-06-14 Staubli Verdol Dispositif d'assemblage de l'extrémité d'un ressort hélicoïdal par rapport à un autre organe.
BE1008504A5 (nl) * 1994-07-18 1996-05-07 Wiele Michel Van De Nv Beveiligende inrichting voor het snel verbinden van harnaskoorden met hefkoorden op een weefmachine.
FR2767843B1 (fr) * 1997-09-01 1999-10-22 Staubli Lyon Dispositif de selection, mecanique d'armure a trois positions et metier a tisser equipe d'une telle mecanique d'armure
BE1012321A5 (nl) * 1998-12-04 2000-09-05 Wiele Michel Van De Nv Jacquardhevel.
FR2825723B1 (fr) * 2001-06-08 2003-08-08 Staubli Lyon Organe de guidage, harnais jacquard et dispositif de formation de la foule incorporant un tel organe et procede de guidage des fils d'arcade d'un metier jacquard
BE1014814A5 (nl) * 2002-05-06 2004-04-06 Wiele Michel Van De Nv Verbindingsmidelen voor het losneembaar verbinden van koorden van een jacquardmachine.
US20040216797A1 (en) * 2003-04-30 2004-11-04 Staubli Corporation Shed-forming mechanism, weaving loom of jacquard type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number or type of warp yarns of such a loo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36959A (en) * 1975-02-07 1976-11-26 Sulzer Ag Device for fixing tension element in jacquard warp lifting unit
US4034782A (en) * 1975-02-07 1977-07-12 Sulzer Brothers Limited Connecting member for securing pull elements to lifting wires of a jacquard machine
JPH11217744A (ja) * 1997-11-05 1999-08-10 Staubli Lyon コ―ドにヘルドを掛止めする装置、そのような掛止め装置を有する織機のヘルド及びそのようなヘルドを備えた織機
US6014989A (en) * 1997-11-05 2000-01-18 Staubli Lyon Device for connecting a heddle to a harness co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28176A (zh) 2007-03-14
BRPI0602637B1 (pt) 2016-07-12
JP2007016379A (ja) 2007-01-25
BRPI0602637A (pt) 2007-03-06
EP1741815B1 (fr) 2014-01-08
US7398799B2 (en) 2008-07-15
US20070017592A1 (en) 2007-01-25
EP1741815A1 (fr) 2007-01-10
FR2888256A1 (fr) 2007-01-12
JP5019806B2 (ja) 2012-09-05
FR2888256B1 (fr) 2007-09-21
CN1928176B (zh) 2011-06-01
KR20070005516A (ko) 2007-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4017B1 (ko) 개구 형성 장치의 요소들 사이를 걸기 위한 장치와, 그제조 방법 및 이 장치를 이용한 걸기 위한 방법
KR100345569B1 (ko) 자카드 기계 하니스용으로 탈착가능한 넥 코드
JP6682230B2 (ja) 織機のヘドル、そのヘドルを備えた織機及びそのヘドルの製造方法
BE1008504A5 (nl) Beveiligende inrichting voor het snel verbinden van harnaskoorden met hefkoorden op een weefmachine.
JPH08170242A (ja) たわみ素子手段により複数の開口装置の選択を行うための機構
EP0292632A2 (en) A Resilient tensioner device for a jaquard machine
JPH11315441A (ja) ジャカ―ド型織機のハ―ネス用のヘルドを製造する方法、ヘルド及びジャカ―ド型織機用の開口形成装置
EP2422004B1 (en) Three dimensional heddle eyelet
JPH11217744A (ja) コ―ドにヘルドを掛止めする装置、そのような掛止め装置を有する織機のヘルド及びそのようなヘルドを備えた織機
US20040035488A1 (en) Device for attaching return springs in a harness of a jacquard weaving machine
KR200478899Y1 (ko) 직기용 종광
KR200478364Y1 (ko) 자카드직기용 종광
JP2005530049A (ja) コードレス糸制御装置
EP1217113A3 (en) Pulleyless shed-forming device for a weaving machine
SK9212001A3 (en) Ski pole handle
JPH09132837A (ja) 圧電素子の支援により開口手段を選択する開口装置
JP6042079B2 (ja) たて糸の保持を改良したアイを有するヘルド
CN108884609B (zh) 用于片梭织机的片梭
KR200178310Y1 (ko) 자카드직기용 통사
JPS6236874Y2 (ko)
ITTO970252U1 (it) Perfezionamenti ad un liccio elastico per arcate di macchine tessili tipo jacquard.
KR100361848B1 (ko) 낚시용 찌장착구
KR200228395Y1 (ko) 제트직기의 개구장치에 있어서의 사이드 스테이
KR20220001378U (ko) 낚싯대 탈부착 고무 릴가이드
ITMI20011473A1 (it) Liccio per meccanica jacquard, complesso di formazione del passo d'ordito e telaio dotato di tale licci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