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3553B1 - 온수기 내장형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온수기 내장형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3553B1
KR101273553B1 KR1020120045489A KR20120045489A KR101273553B1 KR 101273553 B1 KR101273553 B1 KR 101273553B1 KR 1020120045489 A KR1020120045489 A KR 1020120045489A KR 20120045489 A KR20120045489 A KR 20120045489A KR 101273553 B1 KR101273553 B1 KR 101273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heater
heater
signal
dishwa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5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구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5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35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3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3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85Water-heater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87Temperature measuring or regula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수기 내장형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지된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세척실의 저부에 버너와 송풍팬 및 열교환기를 구비하고 직수를 소정온도로 가열하여 헹굼수 저장조로 공급해 주는 온수기를 내장 설치하되, 상기 제어부의 출력부에는 온수기의 연소관련 구동부품의 구동을 제어하는 연소관련 구동부를 설치하고, 상기 세척실의 배면으로 노출된 상기 열교환기의 배기구에는 연도를 설치하며, 상기 온수기의 열교환기 입구와 급수관 사이에는 상기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온"될 때 온수기에 일정수량의 물을 급수시켜 주는 정수량 변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헹굼수로 공급하기 의한 온수를 자체 내에서 직접 가열/공급시켜 줄 수 있도록 온수기를 식기세척기에 내장 설치하여 줌으로써 연결관 냉각에 의한 열손실 최소화할 수 있고, 급수관과 온수기의 입구 사이에 일정수량을 공급할 수 있는 정수량 변을 설치하여 줌으로써 안정적으로 온수를 지속/공급할 수 있으며, 정수량 변과 온수기 사이 또는 온수기와 헹굼수 저장조 사이에 수류 스위치를 추가하여 제어부에서 정수량 변에 "온"신호를 출력시켜 주었는데 수류 스위치에서 "오프"신호가 검출되거나 또는 정수량 변에 "오프"신호를 출력시켜 주었는데 수류 스위치에서 "온"신호가 검출되어 급수 자체가 아예 되지 않거나 급수가 비정상적으로 이루질 경우 즉시 에러 상태로 인식하고 이를 표시부나 경보기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줌은 물론 온수기에 연결된 가스밸브를 강제로 닫아 제품의 작동을 안정적으로 정지시켜 줌으로써 온수기의 열교환기 등이 고장을 일으키거나 소손 등에 의해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 자체의 동작에 따른 안전성과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온수기 내장형 식기세척기{Dishwasher with a embedded heater}
본 발명은 온수기 내장형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헹굼수로 공급하기 의한 온수를 자체 내에서 직접 가열/공급시켜 줄 수 있는 온수기를 식기세척기에 내장 설치하여 연결관 냉각에 의한 열손실 최소화하고, 일정수량을 공급할 수 있는 정수량 변을 적용하여 안정적으로 온수를 공급할 수 있으며, 수류 스위치를 추가하여 온수기의 정상 작동 중 정수량 변 및 수류 스위치의 작동상태를 상호 검출 및 비교하여 이들 중 어느 하나에서라도 고장 등이 발생된 경우나 수로가 막힌 것으로 인식될 경우 즉시 에러 상태로 인식하고 온수기에 연결된 가스밸브를 강제로 닫아 제품의 작동을 안정적으로 정지시켜 온수기의 열교환기 고장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 자체의 작동에 따른 안전성과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食器洗滌機, dishwasher)는 식기 세척을 위생적이고 능률적으로 하는 기기로, 가정용과 대량 취사용(업소용이라고도 함)이 있다.
가정용은 자동 온수식 바닥 설치형과, 순간탕비기(瞬間湯沸器)와 같이 급탕설비에 직결해서 사용하는 소형의 탁상형이 있는데 모두 자동식이며, 이들은 각각의 분사방식에 의해 세제 액으로 더러움을 씻어 내리고 마무리 세척 및 헹금 후 건조되고, 또 보관고(保管庫)로도 사용되며, 온탕과 세척효력에 따라 살균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대량 취사용인 업소용에는 분사방식의 컨베이어 형태와 랙 도어 형태가 있으며, 랙 도어 형태의 식기세척기는 케이싱의 내측으로 세척할 식기를 적치할 수 있는 랙(rack)을 설치한 후, 상기 랙에 수납된 식기들을 세척수 공급펌프의 구동에 의해 세척노즐이 상부 또는 하부에서 분사되면서 식기를 세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식기세척기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 케이싱의 상측부로 소정용적의 세척실(10)이 형성되고, 상기 세척실(10)의 전방부에는 도어부가 설치되며, 상기 세척실(10)의 저부에는 세척수 내에 포함되어 있는 찌꺼기를 걸러주는 필터(12)와, 일정 깊이를 갖는 세척수 환수통(13) 및 상기 세척수 환수통(13) 내의 물을 세척용 노즐(14)로 송수시켜 주는 세척수 펌프(15)를 포함하여, 도시 생략한 헹굼수 저장조 내의 헹굼수를 헹굼수를 헹굼 노즐(16)로 송수시켜 주는 헹굼수 펌프(17)가 설치되며, 상기 세척실(10)의 상하부에 설치된 급수구의 헹굼수 공급관 상에는 세척수 및 헹굼수를 식기에 분사시켜 주는 세척용 노즐(14) 및 헹굼용 노즐(16)이 각각 상,하 한 쌍씩 설치되고, 세척실 중앙부에는 각종 식기가 담겨지는 랙(18)으로 크게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식기세척기의 도어를 열고 선반 위에 세척하고자 하는 식기들을 올려놓고 다시 도어를 닫은 다음, 전원스위치를 온시키게 되면 세척수 펌프가 소정시간 동안 구동하게 되므로, 세척수 환수통 내의 물이 상기 세척수 펌프에 의해 강제적으로 송수되어 세척용 노즐이 그의 물 분사공을 통해 분사되는 물의 수압 등에 의해 회동되므로, 선반 위의 식기들이 세척된다.
이어서 일정시간 경과되면 상기 세척수 펌프의 구동은 차단되고 헹굼수 펌프가 일정시간 동안 구동되므로, 일정온도를 유지한 상태로 도시 생략한 헹굼수 저장조에 담수되어 있는 헹굼수가 상기 헹굼수 펌프에 의해 강제적으로 송수되어 헹굼용 노즐이 그의 물 분사 공을 통해 분사되는 물의 수압 등에 의해 회동되므로, 랙 위에 올려져 1차적으로 세척된 식기들이 헹구어지게 되는데, 상기에서 식기의 세척 및 헹굼에 이용된 물은 필터를 통해 이물질이 제거된 후 다시 세척수 환수통으로 환수되어 차후 다른 식기들을 세척하는데 이용된다.
한편, 상기 헹굼수 저장조는 통상 정해진 용량을 갖는 것으로서, 히터와 자동 온도조절기, 저수위 및 만수위 검출센서 등을 구비하고 언제나 소정량 이상의 온수를 비치한 채 일정한 온도(보통 80∼95℃)가 유지되도록 한다.
그런데, 종래 대부분의 식기세척기 온수 공급 시스템은 식기세척기와 별도로 제작/설치한 수도 직결식 온수 가열기(이하 "온수기"로 약칭함)를 통해 소정온도(예를 들어 40∼45℃)로 1차 가열한 다음 상기 온수기와 연결된 식기세척기의 헹굼수 저장조 내로 공급한 후 부족한 온도는 헹굼수 저장조에 설치된 히터를 이용하여 필요한 온도까지 가열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때, 상기 온수기에서 물을 가열하기 위해 사용되는 히팅수단으로는 주로 가스 버너를 이용하여 물을 가열하는 열교환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와 같이 열교환기를 통해 정해진 온도로 가열된 온수는 식기세척기 내의 헹굼수 저장조로 송수되어 식기세척시 헹굼수로 공급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식기세척기 온수 공급 시스템은 급수 연결관이 식기세척기와 온수기 사이에서 외부로 노출된 형태로 설치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길이가 길어 온수기에서 1차 가열된 온수가 식기세척기 내의 헹굼수 저장조로 송수되는 과정에서 열 손실이 매우 많이 이루어지게 되어 실제 식기세척기 내 헹굼수 저장조로 공급되는 온수의 온도는 원하는 온도 이하로 냉각되어 차후 헹굼수 저장조 내에 설치되어 있는 히터를 통해 원하는 온도로 가열시키는데 따른 불필요한 경제적 손실 및 부담이 가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식기세척기와 온수기가 별도로 제작되어 상호 연결시켜 놓은 온수 공급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급수 조작 후 온수기와 식기세척기에 각각 개별로 설치된 스위치들을 조작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 종래 식기세척기 온수 공급 시스템에서는 물의 흐름은 검출하여 각부 제어에 이용할 수 있는 수류 스위치 등이 전혀 구비되어 있지 않고, 수량 조절 기능이 없는 수전자변을 온수기와 식기세척기 내의 헹굼수 저장조 사이에 단순히 설치하여 온수의 공급을 온/오프 제어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 만약 수전자변이 ON 고장(즉, 식기세척기에 설치되어 있는 제어부에서 수전자변에 "ON"신호를 출력하지 않았는데도 불구하고 고장으로 인해 수전자변이 "ON" 상태를 유지할 때)을 일으키더라도 이를 검출하여 안전 제어를 실시할 수 없어, 헹굼수 저장조 내에서 실제로는 온수가 부족하지 않은데도 불구하고 식기세척기로 지속적인 온수 공급이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온수기 등의 설치환경(수압)에 따라 수량의 변화가 심하게 변하게 됨에도 불과하고 종래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량 조절 기능이 없는 수전자변을 단순히 온/오프 제어하고 있어 온수기의 온수능력이 설치환경에 따라 서로 다르게 되어 식기세척기의 헹굼수 온도 편차가 매우 심하게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008832호(2011년 01월 11일)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66685호(2004년 10월 26일)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헹굼수로 공급하기 의한 온수를 자체 내에서 직접 가열/공급시켜 줄 수 있도록 온수기를 식기세척기에 내장 설치하여 줌으로써 연결관 냉각에 의한 열손실 최소화할 수 있고, 급수관과 온수기의 입구 사이에 일정수량을 공급할 수 있는 정수량 변을 설치하여 줌으로써 안정적으로 온수를 지속/공급할 수 있으며, 정수량 변과 온수기 사이 또는 온수기와 헹굼수 저장조 사이에 수류 스위치를 추가하여 제어부에서 정수량 변에 "온"신호를 출력시켜 주었는데 수류 스위치에서 "오프"신호가 검출되거나 또는 정수량 변에 "오프"신호를 출력시켜 주었는데 수류 스위치에서 "온"신호가 검출(즉, 수로가 막히거나 정수량 변 또는 수류 스위치가 고장이 난 경우)되어 급수 자체가 아예 되지 않거나 급수가 비정상적으로 이루질 경우 즉시 에러 상태로 인식하고 이를 표시부나 경보기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줌은 물론 온수기에 연결된 가스밸브를 강제로 닫아 제품의 작동을 안정적으로 정지시켜 줌으로써 온수기의 열교환기 등이 고장을 일으키거나 소손 등에 의해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 자체의 동작에 따른 안전성과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온수기 내장형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측부로 도어를 구비한 소정용적의 케이싱 저부로 세척실이 형성되고, 상기 세척실의 저부에는 헹굼수 저장조와 세척수 환수통, 헹굼수 및 세척수 펌프가 내설되며, 세척실의 저부 전면 내,외부에는 조작패널과 제어부가 설치된 구성의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세척실의 저부에 버너와 송풍팬 및 열교환기를 구비하고 직수를 소정온도로 가열하여 헹굼수 저장조로 공급해 주는 온수기를 내장 설치하되, 상기 제어부의 출력부에는 온수기의 연소관련 구동부품의 구동을 제어하는 연소관련 구동부를 설치하고, 상기 세척실의 배면으로 노출된 상기 열교환기의 배기구에는 연도를 설치하며, 상기 온수기의 열교환기 입구와 급수관 사이에는 상기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온"될 때 온수기에 일정수량의 물을 급수시켜 주는 정수량 변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수량 변과 온수기 사이 또는 온수기와 헹굼수 저장조 사이에 온수기 또는 헹굼수 저장조로 공급되는 물의 흐름을 전기적으로 검출하여 제어부로 전달하는 수류 스위치를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어부에서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패널로부터 온수기 구동신호가 입력된 경우, 정수량 변에 "온"신호를 출력하고 수류 스위치로부터 "온"신호가 입력되면 정해진 시간 후 연소관련 구동부를 통해 온수기에 연소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에서 정해진 시간은 정수량 변이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온"된 후 온수기의 열교환기 내에 급수가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는 시간인 2-4초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서는 정수량 변에 "온"신호를 출력시켜 주었는데 수류 스위치에서 "오프"신호가 검출되거나 또는 정수량 변에 "오프"신호를 출력시켜 주었는데 수류 스위치에서 "온"신호가 검출될 경우 급수관이 막히거나 정수량 변 또는 수류 스위치가 고장이 난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연소관련 구동부에 가스밸브 차단 신호를 발생시켜 온수기의 연소를 강제로 차단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어부의 출력단에는 상기와 같이 급수관이 막히거나 정수량 변 또는 수류 스위치가 고장을 일으켜 온수기 또는 헹굼수 저장조에 정상 급수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표시부 또는 경보기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온수기 내장형 식기세척기에 의하면, 헹굼수로 공급하기 의한 온수를 자체 내에서 직접 가열/공급시켜 줄 수 있도록 온수기를 식기세척기에 내장 설치하여 줌으로써 연결관 냉각에 의한 열손실 최소화할 수 있고, 급수관과 온수기의 입구 사이에 일정수량을 공급할 수 있는 정수량 변을 설치하여 줌으로써 안정적으로 온수를 지속/공급할 수 있으며, 정수량 변과 온수기 사이 또는 온수기와 헹굼수 저장조 사이에 수류 스위치를 추가하여 제어부에서 정수량 변에 "온"신호를 출력시켜 주었는데 수류 스위치에서 "오프"신호가 검출되거나 또는 정수량 변에 "오프"신호를 출력시켜 주었는데 수류 스위치에서 "온"신호가 검출(즉, 수로가 막히거나 정수량 변 또는 수류 스위치가 고장이 난 경우)되어 급수 자체가 아예 되지 않거나 급수가 비정상적으로 이루질 경우 즉시 에러 상태로 인식하고 이를 표시부나 경보기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줌은 물론 온수기에 연결된 가스밸브를 강제로 닫아 제품의 작동을 안정적으로 정지시켜 줌으로써 온수기의 열교환기 등이 고장을 일으키거나 소손 등에 의해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 자체의 동작에 따른 안전성과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 식기세척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온수기 내장형 식기세척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온수기 내장형 식기세척기의 요부 절취 측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온수기 내장형 식기세척기의 요부 확대 측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온수기 내장형 식기세척기의 블록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온수기 내장형 식기세척기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온수기 내장형 식기세척기의 요부 절취 측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온수기 내장형 식기세척기의 요부 확대 측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온수기 내장형 식기세척기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측부에 도어(11)를 구비한 케이싱의 저부로 소정용적의 세척실(10)이 형성되고, 상기 세척실(10)의 저부에는 헹굼수 저장조(19)와 세척수 환수통(13), 헹굼수 및 세척수 펌프(17)(15)가 내설되며, 세척실(10)의 저부 전면 내,외부에는 조작패널(20)과 제어부(21)가 설치된 구성의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세척실(10)의 저부에 버너(221)와 송풍팬(222) 및 열교환기(223)를 구비하고 직수를 소정온도로 가열하여 헹굼수 저장조(19)로 공급해 주는 온수기(22)를 내장 설치하되, 상기 제어부(21)의 출력부에는 스파커와 가스밸브(224) 및 송풍팬(222) 등과 같은 연소관련 부품의 구동을 제어하는 연소관련 구동부(26)를 설치하고, 상기 세척실(10)의 배면으로 노출된 상기 열교환기(223)의 배기구에는 연도(225)를 설치하며, 상기 온수기(22)의 열교환기(223) 입구와 급수관(23) 사이에는 상기 제어부(21)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온"될 때 온수기(22)에 일정수량의 물을 급수시켜 주는 정수량 변(24)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수량 변(24)과 온수기(22) 사이 또는 온수기(22)와 헹굼수 저장조(19) 사이에 온수기(22) 또는 헹굼수 저장조(19)로 공급되는 물의 흐름을 전기적으로 검출하여 제어부(21)로 전달하는 수류 스위치(25)를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어부(21)에서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패널(20)로부터 온수기 구동신호가 입력된 경우, 정수량 변(24)에 "온"신호를 출력하고 수류 스위치(25)로부터 "온"신호가 입력되면 정해진 시간(t) 후 연소관련 구동부(26)를 통해 온수기(22)에 연소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에서 정해진 시간(t)은 정수량 변(24)이 제어부(21)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온"된 후 온수기(22)의 열교환기(223) 내에 급수가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는 시간인 2-4초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1)에서는 정수량 변(24)에 "온"신호를 출력시켜 주었는데 수류 스위치(25)에서 "오프"신호가 검출되거나 또는 정수량 변(24)에 "오프"신호를 출력시켜 주었는데 수류 스위치(25)에서 "온"신호가 검출될 경우 급수관(23)이 막히거나 정수량 변(24) 또는 수류 스위치(25)가 고장이 난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연소관련 구동부(26)에 가스밸브(224) 차단 신호를 발생시켜 온수기(22)의 연소를 강제로 차단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어부(21)의 출력단에는 상기와 같이 급수관(23)이 막히거나 정수량 변(24) 또는 수류 스위치(25)가 고장을 일으켜 온수기(22) 또는 헹굼수 저장조(19)에 정상 급수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표시부 또는 경보기(27)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91은 헹굼수 저장조에 설치된 히터이고, 192는 헹굼수 온도 검출센서이며, 226은 온수기의 출탕온도 검출센서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 온수기 내장형 식기세척기에 대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공지된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세척실(10)의 저부에 온수기(22)를 내장 설치하되, 제어부(21)의 출력부에는 연소관련 구동부(26)를 설치하고, 상기 세척실(10)의 배면에는 연도(225)를 설치하며, 상기 온수기(22)의 열교환기(223) 입구와 급수관(23) 사이에는 온수기(22)에 일정수량의 물을 급수시켜 주는 정수량 변(24)을 설치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이때, 공지된 식기세척기는 상측부에 도어(11)를 구비한 케이싱의 저부로 소정용적의 세척실(10)이 형성되고, 상기 세척실(10)의 저부에는 헹굼수 온도 검출센서(192) 및 히터(191)를 구비한 헹굼수 저장조(19)와 세척수 환수통(13), 헹굼수 및 세척수 펌프(17)(15)가 내설되며, 세척실(10)의 저부 전면 내,외부에는 조작패널(20)과 제어부(21)를 포함하여 도시 생략한 헹굼수 및 세척수 펌프 구동부 등이 설치된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공지된 식기세척기의 세척실(10) 저부에 버너(221)와 송풍팬(222) 및 열교환기(223)를 구비하고 직수를 소정온도로 가열하여 헹굼수 저장조(19)로 공급해 주는 온수기(22)를 내장 설치하여 즉, 온수기(22)가 일체로 내장된 식기세척기로 그 구조를 변경시킨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온수기(22)의 내장과 더불어 상기 제어부(21)의 출력부에는 스파커와 가스밸브(224) 및 송풍팬(222) 등과 같은 온수기(22)의 연소관련 부품에 대한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연소관련 구동부(26)를 설치하고, 상기 세척실(10)의 배면으로 노출된 상기 열교환기(223)의 배기구에는 연도(225)를 설치함은 물론 상기 온수기(22)의 열교환기(223) 입구와 급수관(23) 사이에는 상기 제어부(21)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온"될 때 온수기(22)에 일정수량의 물을 급수시켜 주는 정수량 변(24)을 설치한 것을 또 다른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이와 같이 식기세척기 내에 헹굼수로 공급하기 의한 온수를 자체 내에서 직접 가열/공급시켜 줄 수 있는 온수기(22)를 내장시키게 되면 온수기(22)와 헹굼수 저장조(19) 사이의 연결관 길이가 매우 짧고 외부 공기와의 열교환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불필요한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고, 또한 상기와 같이 급수관(23)과 온수기(22)의 입구 사이에 정수량 변(24)을 설치하여 줌으로써 온수기(22)에 일정수량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 헹굼수 저장조(19)에 안정적으로 온수를 지속/공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구성 이외에도 상기 정수량 변(24)과 온수기(22) 사이 또는 온수기(22)와 헹굼수 저장조(19) 사이에 온수기(22) 또는 헹굼수 저장조(19)로 공급되는 물의 흐름을 전기적으로 검출하여 제어부(21)로 전달하는 수류 스위치(25)를 부가 설치한 것을 또 다른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이때, 상기 수류 스위치(25)를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온수기(22)와 헹굼수 저장조(19) 사이에 설치하는 것보다 상기 정수량 변(24)과 온수기(22) 사이에 설치하는 것이 더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온수기(22)로 직접 공급되는 급수의 온도는 대략 상온 정도로 낮어 수류 스위치(25)에 아무런 지장을 주지 않는데 반하여, 온수기(22)를 통해 1차 가열된 후 헹굼수 저장조(19)로 공급되는 물의 온도는 40∼45℃로 높아 수류 스위치(25)가 높은 물의 온도에 의해 오동작을 일으키거나 장기간 사용시 쉽게 소손 또는 고장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어부(21)에 입력되는 제어프로그램의 일부를 변경하여,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패널(20)로부터 온수기 구동신호가 입력될 경우, 제어부(21)에서 이를 인식하고 상기 정수량 변(24)에 "온"신호를 출력하고, 이후 수류 스위치(25)로부터 "온"신호가 입력되면 즉시 온수기(22)의 연소 작동을 실시하지 않고 수류 스위치(25)로부터 물흐름 검출신호를 입력받은 시간부터 정해진 시간(t) 후 연소관련 구동부(26)를 통해 온수기(22)에 연소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에서 정해진 시간(t)은 2-4초 정도로, 상기 정수량 변(24)이 제어부(21)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온"되므로 인해 수류 스위치(25)에서 "온"신호가 검출된 다음 상기 정수량 변(24)과 수류 스위치(25)를 통과한 물이 온수기(22)의 열교환기(223) 내에까지 충분히 급수될 수 있는 시간을 기다렸다가 온수기(22)에 연소신호를 발생시켜 줌으로써 온수기(22)의 열교환기(223) 내에 물이 충분히 채워지지 않은 상태에서 점화가 이루어지고 가스에 의한 연소가 이루어짐으로 인해 열교환기(223) 등이 과열로 인해 열화 또는 소손되거나 열교환기 내 물이 비등되는 것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정수량 변(24)과 수류 스위치(25)의 상태 검출을 통해 급수관(23)이 막혔는지, 정수량 변(24) 또는 수류 스위치(25)가 고장이 났는지를 정확히 판단하여 이들 중 어느 한 경우로 인식될 경우 즉시 온수기(22)의 구동을 차단시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어부(21)로 하여금 온수기(22)에 직수를 급수시켜 주기 위해 자체에서 정수량 변(24)에 "온"신호를 출력시켜 주었는데도 불과하고 수류 스위치(25)에서 "오프"신호가 계속 검출되거나, 또는 정수량 변(24)에 "오프"신호를 출력시켜 주었는데 수류 스위치(25)에서 "온"신호가 계속 검출될 경우에는, 급수관(23)이 막혀 급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거나 정수량 변(24) 또는 수류 스위치(25)가 고장이 난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연소관련 구동부(26)에 가스밸브(224) 차단 신호를 발생시켜 온수기(22)의 연소를 강제로 차단시켜 줄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급수관(23)이 막혀 급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거나 정수량 변(24) 또는 수류 스위치(25)가 고장이 난 상태에서 제품의 작동을 안정적으로 정지시켜 줄 수 있으므로 온수기(22)의 열교환기(223) 등이 열화 또는 소손되거나 수명 자체가 단축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어부(21)의 출력단에 표시부 또는 경보기(27)를 더 설치하여, 상기와 같이 급수관(23)이 막히거나 정수량 변(24) 또는 수류 스위치(25)가 고장을 일으켜 온수기(22) 또는 헹굼수 저장조(19)에 정상 급수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이를 즉시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와 같은 상태를 즉시 인식하고 필요한 조치(즉, 막힌 급수관을 청소 등의 방법으로 뚫어주거나 정수량 변(24) 또는 수류 스위치(25)를 포함하여 급수관의 일부 등을 교체하는 방법 등을 통해 빠른 시간 내에 온수기(22)가 내장된 식기세척기를 정상화시켜 줄 수 있어 제품 자체의 동작에 따른 안전성과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0 : 세척실 11 : 도어
13 : 세척수 환수통 15 : 세척수 펌프
17 : 헹굼수 펌프 19 : 헹굼수 저장조
191 : 히터 192 : 헹굼수 온도 검출센서
20 : 조작패널 21 : 제어부
22 : 온수기
221 : 버너 222 : 송풍팬
223 : 열교환기 224 : 가스밸브
225 : 연도 226 : 출탕온도 검출센서
23 : 급수관 24 : 정수량 변
25 : 수류 스위치 26 : 연소관련 구동부
27 : 표시부 또는 경보기

Claims (6)

  1. 상측부로 도어를 구비한 소정용적의 케이싱 저부로 세척실이 형성되고, 상기 세척실의 저부에는 헹굼수 저장조와 세척수 환수통, 헹굼수 및 세척수 펌프가 내설되며, 세척실의 저부 전면 내,외부에는 조작패널과 제어부가 설치된 구성의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세척실의 저부에 버너와 송풍팬 및 열교환기를 구비하고 직수를 소정온도로 가열하여 헹굼수 저장조로 공급해 주는 온수기를 내장 설치하되, 상기 제어부의 출력부에는 온수기의 연소관련 구동부품의 구동을 제어하는 연소관련 구동부를 설치하고, 상기 세척실의 배면으로 노출된 상기 열교환기의 배기구에는 연도를 설치하며, 상기 온수기의 열교환기 입구와 급수관 사이에는 상기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온"될 때 온수기에 일정수량의 물을 급수시켜 주는 정수량 변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기 내장형 식기세척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수량 변과 온수기 사이 또는 온수기와 헹굼수 저장조 사이에 온수기 또는 헹굼수 저장조로 공급되는 물의 흐름을 전기적으로 검출하여 제어부로 전달하는 수류 스위치를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기 내장형 식기세척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패널로부터 온수기 구동신호가 입력된 경우, 정수량 변에 "온"신호를 출력하고 수류 스위치로부터 "온"신호가 입력되면 정해진 시간 후 연소관련 구동부를 통해 온수기에 연소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기 내장형 식기세척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정해진 시간은 정수량 변이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온"된 후 온수기의 열교환기 내에 급수가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는 시간으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기 내장형 식기세척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는 정수량 변에 "온"신호를 출력시켜 주었는데 수류 스위치에서 "오프"신호가 검출되거나 또는 정수량 변에 "오프"신호를 출력시켜 주었는데 수류 스위치에서 "온"신호가 검출될 경우 급수관이 막히거나 정수량 변 또는 수류 스위치가 고장이 난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연소관련 구동부에 가스밸브 차단 신호를 발생시켜 온수기의 연소를 강제로 차단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기 내장형 식기세척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출력단에는 급수관이 막히거나 정수량 변 또는 수류 스위치가 고장을 일으켜 온수기 또는 헹굼수 저장조에 정상 급수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표시부 또는 경보기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기 내장형 식기세척기.
KR1020120045489A 2012-04-30 2012-04-30 온수기 내장형 식기세척기 KR101273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5489A KR101273553B1 (ko) 2012-04-30 2012-04-30 온수기 내장형 식기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5489A KR101273553B1 (ko) 2012-04-30 2012-04-30 온수기 내장형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3553B1 true KR101273553B1 (ko) 2013-06-17

Family

ID=48866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5489A KR101273553B1 (ko) 2012-04-30 2012-04-30 온수기 내장형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355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8322B1 (ko) * 2013-09-30 2015-01-3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온수공급장치
KR20170056916A (ko) 2015-11-16 2017-05-24 송영일 식기세척기를 이용한 온수 공급장치
KR101786551B1 (ko) 2016-11-08 2017-10-24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온수기 및 보일러의 열교환기 내 결로방지방법
KR20170136085A (ko) 2016-05-31 2017-12-11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온수 사용시 식기세척기의 헹굼수 열량 최적 제어방법
KR101823960B1 (ko) * 2016-11-30 2018-03-14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온수 공급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20180077754A (ko) 2016-12-29 2018-07-09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시스템
CN112806939A (zh) * 2021-01-22 2021-05-1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洗碗机及其控制方法、控制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1089B2 (ja) 1992-07-10 1998-03-04 東京瓦斯株式会社 食器洗浄機
KR100323387B1 (ko) 1999-09-21 2002-02-19 강성모 식기세척기
KR100912770B1 (ko) 2007-12-28 2009-08-1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헹굼수 순환펌프 제어방법
JP2011050732A (ja) 2009-08-04 2011-03-17 Ihi Compressor & Machinery Co Ltd 食器洗浄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1089B2 (ja) 1992-07-10 1998-03-04 東京瓦斯株式会社 食器洗浄機
KR100323387B1 (ko) 1999-09-21 2002-02-19 강성모 식기세척기
KR100912770B1 (ko) 2007-12-28 2009-08-1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헹굼수 순환펌프 제어방법
JP2011050732A (ja) 2009-08-04 2011-03-17 Ihi Compressor & Machinery Co Ltd 食器洗浄機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8322B1 (ko) * 2013-09-30 2015-01-3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온수공급장치
KR20170056916A (ko) 2015-11-16 2017-05-24 송영일 식기세척기를 이용한 온수 공급장치
KR20170136085A (ko) 2016-05-31 2017-12-11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온수 사용시 식기세척기의 헹굼수 열량 최적 제어방법
KR101786551B1 (ko) 2016-11-08 2017-10-24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온수기 및 보일러의 열교환기 내 결로방지방법
KR101823960B1 (ko) * 2016-11-30 2018-03-14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온수 공급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20180077754A (ko) 2016-12-29 2018-07-09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시스템
CN112806939A (zh) * 2021-01-22 2021-05-1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洗碗机及其控制方法、控制装置
CN112806939B (zh) * 2021-01-22 2022-02-2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洗碗机及其控制方法、控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3553B1 (ko) 온수기 내장형 식기세척기
TWI412347B (zh) Tableware cleaning machine
JP5469925B2 (ja) 食器洗浄機
KR101712913B1 (ko)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JP2020115973A (ja) 食器洗浄システム
EP2079354B1 (en) A method for controlling a dish washing machine
KR20170082034A (ko)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
JP2007125165A (ja) 食器洗浄機
KR101304973B1 (ko) 연도를 통한 응축수 유입 방지기능을 갖는 온수기 내장형 식기세척기
KR101488322B1 (ko) 식기세척기의 온수공급장치
KR100323387B1 (ko) 식기세척기
JP2007222258A (ja) 食器洗い機
JP2020171550A (ja) 洗浄機
JP5445566B2 (ja) 食器洗い機
JP5019894B2 (ja) 食器洗浄機
JP2004097608A (ja) 食器洗浄機
JP2950389B2 (ja) 食器洗浄機及びその制御方法
CN101778589A (zh) 洗碗机
JPH1132966A (ja) 食器洗浄機
KR101793466B1 (ko) 온수 사용시 식기세척기의 헹굼수 온도저하 방지방법
KR102317314B1 (ko) 온수 사용시 식기세척기의 헹굼수 열량 최적 제어방법
JP2981050B2 (ja) 食器洗浄機
KR20160025343A (ko) 식기세척용 히터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H0613757U (ja) 食器洗浄機
KR20230129884A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