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2770B1 - 식기세척기의 헹굼수 순환펌프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의 헹굼수 순환펌프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2770B1
KR100912770B1 KR1020070139784A KR20070139784A KR100912770B1 KR 100912770 B1 KR100912770 B1 KR 100912770B1 KR 1020070139784 A KR1020070139784 A KR 1020070139784A KR 20070139784 A KR20070139784 A KR 20070139784A KR 100912770 B1 KR100912770 B1 KR 100912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lation
rinsing water
water
dishwasher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9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1858A (ko
Inventor
박문영
강한충
이황의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9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2770B1/ko
Publication of KR20090071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1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2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2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6Devices for the automatic control of the different phases of cleaning ; Contro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의 순환펌프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식기세척기의 헹굼수 가열을 위한 열교환기의 순환코일 내부에 에어가 채워져 순환펌프의 작동에도 불구하고 헹굼수의 순환이 불가능할 경우, 순환펌프를 단속적으로 제어하여 순환코일 내부에 채워진 물이 출렁이면서 채워진 에어가 조금씩 배출도록 하여 헹굼수의 정상적인 순환이 가능하게 하는 식기세척기의 헹굼수 순환펌프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헹굼수 통에 저장된 헹굼수의 가열을 위한 순환코일을 갖는 열교환기와, 열교환기로의 헹굼수 순환을 감지하는 수류 스위치와, 헹굼수 통의 헹굼수를 순환코일로 순환시키는 순환펌프를 구비하는 식기세척기의 순환펌프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순환펌프가 가동한 후, 헹굼수 통과 열교환기를 연결하는 순환관 상에 설치된 수류 스위치를 이용하여 헹굼수의 정상적인 순환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단계; 상기 수류 스위치로부터 헹굼수의 순환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순환펌프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정지단계; 상기 정지된 순환펌프를 재가동시켜 순환코일에 채워진 물의 출렁임을 발생시켜 순환코일에 채워진 에어의 배출을 유도하는 재가동단계; 및 상기 감지단계와 정지단계 및 재가동단계를 순차적으로 정해진 횟수만큼 반복하며, 상기 반복되는 감지단계로부터 헹굼수의 순환이 감지되면 식기세척기를 정상작동하고, 상기 감지단계를 정해진 횟수만큼 반복했음에도 불구하고 헹굼수의 순환이 감지되지 않으면, 식기세척기의 작동을 중단하는 반복제어단계;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헹굼수 순환펌프 제어방법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Figure R1020070139784
헹굼수 통, 순환펌프, 수류 스위치, 순환코일

Description

식기세척기의 헹굼수 순환펌프 제어방법{Mothod for controlling pump of dish washer which circulate rinse wat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의 헹굼수 순환펌프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식기세척기를 장기간 사용하지 않거나 또는 청소를 위해 헹굼수 통 내의 헹굼수를 모두 뺀 후, 식기세척기의 재가동할 때, 열교환기의 순환코일로 유입된 에어(air)에 의해 헹굼수의 순환이 원활하지 못할 경우, 헹굼수의 순환을 원활하게 하는 식기세척기의 헹굼수 순환펌프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는 투입된 식기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을 실시하고, 세척이 완료된 식기로 고온의 헹굼수를 분사하여 헹굼을 실시함으로써 식기를 세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세척수는 직수를 그대로 사용하거나 또는 별도의 세척수 통 내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여 사용하게 되며, 식기 세척에 사용된 세척수는 필터를 통해 여과된 후, 세척수 통으로 반환되어 다음 식기의 세척시 재사용된다.
그러나 상기 헹굼수는 최종적인 식기 세척을 수행하는 바, 고온의 깨끗한 물 을 사용하게 되며, 이를 위하여 별도의 헹굼수 통에 일정량을 물을 저장하고, 이를 열교환기로 순환시켜 일정한 온도는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필요시 온수의 즉각적인 공급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종래 식기세척기의 헹굼수의 가열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는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헹굼수 통(10)에는 물이 공급되는 공급관(11)과 식기의 헹굼을 위한 물이 배출되는 배출관(12)이 연결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는 수위감지기(13)가 구비되어 헹굼수 통(10) 내의 수위에 따라 공급관(11) 상의 밸브(14)를 제어하여 일정 수위가 항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헹굼수 통(10)에 저장된 물의 가열을 위하여 열교환기(20)로 물을 순환시키는 순환관(15)이 헹굼수 통의 일측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순환관 상에는 물의 순환시키는 순환펌프(30) 및 물의 순환여부를 감지하는 수류 스위치(40)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순환펌프에 의해 순환관을 따라 유동하는 헹굼수는 열교환기를 거치며 일정온도범위로 가열되어 헹굼수 통으로 반환되어짐으로써 헹굼수를 일정한 온도로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열교환기의 순환코일(21)은 설치구조상의 문제로 도 1에서와 같이 90°로 누워져 있는 상태로 설치되는 경우가 발생되며, 이러한 경우, 식기세척기를 장기간 사용하지 않거나 또는 청소나 A/S를 위해 물탱크 내의 물을 모두 뺀 다음 식기세척기를 재가동할 때, 순환코일의 'U'자 관(22)에 고여 미처 배출되지 못한 잔류수에 의해 순환코일의 내부에는 에어가 차게 된다.
따라서 식기세척기의 재가동시 순환펌프의 작동에도 불구하고, 순환관 및 순환코일에는 물이 순환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며, 이 경우 순환펌프에 큰 부하가 작용하여 순환펌프의 손상을 초래하므로, 순환펌프의 작동을 중지하고, 순환코일에 채워진 에어를 사용자가 직접 빼주어야만 하나, 이러한 에어 빼기는 실제 사용자에게는 익숙하지 않은 번거롭고 어려운 일로써 식기세척기의 사용상의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식기세척기의 헹굼수 가열을 위한 열교환기의 순환코일 내부에 에어가 채워져 순환펌프의 작동에도 불구하고 헹굼수의 순환이 불가능할 경우, 순환펌프를 단속적으로 제어하여 순환코일 내부에 채워진 물이 출렁이면서 채워진 에어가 조금씩 배출도록 하여 헹굼수의 정상적인 순환이 가능하게 하는 식기세척기의 헹굼수 순환펌프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헹굼수 통에 저장된 헹굼수의 가열을 위한 순환코일을 갖는 열교환기와, 열교환기로의 헹굼수 순환을 감지하는 수류 스위치와, 헹굼수 통의 헹굼수를 순환코일로 순환시키는 순환펌프를 구비하는 식기세척기의 순환펌프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순환펌프가 가동한 후, 헹굼수 통과 열교환기를 연결하는 순환관 상에 설치된 수류 스위치를 이용하여 헹굼수의 정상적인 순환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단계;
상기 수류 스위치로부터 헹굼수의 순환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순환펌프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정지단계;
상기 정지된 순환펌프를 재가동시켜 순환코일에 채워진 물의 출렁임을 발생시켜 순환코일에 채워진 에어의 배출을 유도하는 재가동단계; 및
상기 감지단계와 정지단계 및 재가동단계를 순차적으로 정해진 횟수만큼 반복하며, 상기 반복되는 감지단계로부터 헹굼수의 순환이 감지되면 식기세척기를 정상작동하고, 상기 감지단계를 정해진 횟수만큼 반복했음에도 불구하고 헹굼수의 순환이 감지되지 않으면, 식기세척기의 작동을 중단하는 반복제어단계;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헹굼수 순환펌프 제어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헹굼수의 가열을 위한 열교환기 의 순환코일에 에어가 유입되어 헹굼수의 순환이 불가능할 경우, 순환펌프를 단속적으로 제어하여 순환코일에 잔류한 헹굼수의 출렁임을 유도하고, 이러한 헹굼수의 출렁임으로 인해 순환코일 내에 채워진 에어가 조금씩 빠져나가며 순환코일 내의 공기압력이 낮아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에어빼기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헹굼수의 순환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에어빼기에 대한 사용자의 부담을 덜어주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게 되었다.
더욱이 헹굼수가 순환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순환펌프가 계속적으로 작동하여 발생되는 순환펌프나 배관계통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순서도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순환펌프 제어방법은 헹굼수 통(10)에 저장된 헹굼수의 가열을 위한 순환코일(21)을 갖는 열교환기(20)와, 열교환기(20)로의 헹굼수 순환을 감지하는 수류 스위치(40)와, 헹굼수 통(10)의 헹굼수를 순환코일(21)로 순환시키는 순환펌프(30)를 구비하는 공지의 식기세척기 중에서 상기 열교환기(20)의 순환코일(21)이 90°로 누워진 상태로 설치된 식기세척기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순환펌프 제어방법은 식기세척기에 구비되어 상기 수류 스위치(40)와 순환펌프(30)를 비롯하여 각종 밸브류나 구동부품들을 제어하는 미도시된 제어부에 의해 구현되며, 본 실시 예에서 언급되는 순환펌프(30)와, 헹굼수 통(10)과, 수류 스위치(40)와, 열교환기(20) 등은 종래와 동일하게 구성되는 바, 앞서 배경기술의 설명을 위해 사용된 도 1과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순환펌프 제어방법은 순환코일 내에 채워진 에어로 인하여 헹굼수가 순환 되지 않을 경우, 순환펌프(30)를 단속적으로 제어하여 순환코일(21) 내에 잔류한 헹굼수에 출렁임을 유발하고, 이러한 헹굼수의 출렁임에 의해 에어가 조금씩 배출되어 순환코일(21) 내의 공기 압력을 낮춤으로써 순환펌프(30)에 의해 헹굼수의 순환이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헹굼수의 순환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수류 스위치(40)를 이용한 감지단계(S110)와, 순환코일(21) 내에 잔류한 헹굼수의 출렁임을 유발하기 위한 정지단계(S120) 및 재가동단계(S130)와, 상기와 같은 감지단계(S110)와 정지단계(S120) 및 재가동단계(S130)를 수차례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반복제어단계(S140)를 포함하게 된다. 이하 각각의 단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감지단계(S110)는 순환관(15) 상에 설치된 수류 스위치(40)를 이용하여 순환관(15)을 통해 헹굼수가 정상적으로 순환되고 있는지를 감지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감지단계(S110)는 보다 정확한 수류의 감지를 위하여 상기 수류 스위치가 2 내지 4초 동안 지속적으로 수류를 감지하였는지를 확인하게 되며, 2 내지 4초 동안 지속적으로 수류가 감지되었을 경우에는 정상적인 가동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공지의 식기세척기와 마찬가지로 구동하게 된다. 물론 2초 보다 짧거나 4초 보다 긴 시간 동안 수류 스위치가 연속적으로 수류를 감지하였는지를 확인하는 것으로 감지단계(S110)를 수행할 수도 있으나, 2초 보다 짧은 경우 헹굼수의 맥동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수류 스위치가 수류를 감지하지 못한 경우에도 불필요하게 순환펌프를 정지시키게 되고, 4초 보단 긴 경우 순환펌프에 무리를 줄 수 있으므로, 2 내지 4초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초간 수류 스위치의 연속적인 감지유무를 확인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수류 스위치(40)에 의해 감지되는 결과에 따른 순환펌프(30)의 제어는 제어부에서 이루어지게 되며, 후술될 설명에 있어서도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각 구성요소의 제어는 제어부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한편 정상적인 헹굼수의 순환이 이루어지고 있을 때의 제어과정을 도 2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열교환기(20)의 순환코일(21)로 헹굼수가 정상적으로 순환하고 있으므로, 헹굼수의 가열을 위한 미도시된 버너를 작동하게 되고(S210), 이후 다신 한번 수류 스위치(40)를 이용하여 헹굼수의 순환여부를 확인하게 된다(S220). 이때 헹굼수가 정상적으로 순환되고 있으면 버너의 연소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는 것과 함께 수류 스위치(40)를 이용하여 헹굼수의 순환여부를 지속적으로 확인하게 되며, 이와 반대로 헹굼수가 정상적으로 순환되고 있지 않으면, 버너의 연소를 정지하고(S230), 순환펌프(30)의 작동지시를 연속 7초간 주게 된다(S240). 상기와 같은 순환펌프(30)의 작동지시로 인해 헹굼수의 순환이 확인되면 다시 버너를 연소하고(S210), 앞서 설명된 S220단계로부터 S250단계를 반복하게 된 다. 한편 순환펌프(30)의 작동지시에도 불구하고 헹굼수의 순환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기기의 오류로 판단하여 식기세척기의 가동을 중지하게 된다.
한편 감지단계(S110)를 수행함에 있어 헹굼수의 순환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감지되면, 10초간 연속적으로 순환펌프(30)를 가동시키는 것과 함께 수류 스위치(40)가 3초간 연속으로 수류를 감지하였지를 확인하는 재감지단계(S110-1)를 더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는 수류 스위치가 일시적으로 수류를 인식하지 못한 것인지에 대한 정확한 판단을 위한 것으로, 감지단계(S110)로부터 수류가 감지되지 않았을 경우, 10초 동안 순환펌프를 가동하면서 헹굼수가 정상적으로 순환되는지를 다시 한번 감지하도록 함으로써 수류 스위치나 기타 기기의 오류에 의한 식기세척기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재감지단계(S110-1)로부터 헹굼수의 순환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감지되면, 식기세척기의 정상적인 작동을 위하여 앞서 설명된 S220단계로부터 S250단계를 반복하게 되며, 만약 재감지단계(S110-1)를 통해서도 헹굼수의 순환이 감지되지 않으면, 후술될 순환펌프의 정지단계(S120)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재감지단계(S110-1)는 식기세척기의 정상적인 작동을 위한 S220단계 내지 S250단계의 수행시, S250단계로부터 헹굼수의 순환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감지된 경우에도 보다 정확한 감지를 위하여 추가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정지단계(S120)는 수류 스위치(40)로부터 헹굼수의 순환이 2 내지 4 초간 감지되지 않을 경우, 순환펌프(30)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단계이다. 이러한 정지단계(S120)는 순환펌프(30)가 완전히 정지하는 것과 함께 순환코일(21) 내의 헹굼 수가 충분히 안정되는 시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4 내지 6초간 진행되며, 바람직하게는 5초간 진행하게 된다.
상기 재가동단계(S130)는 순환펌프(30)의 정지로 인해 안정된 순환코일(21)의 헹굼수에 출렁임을 유발하기 위한 단계이다. 이러한 재가동단계(S130)는 순환펌프(30)를 다시 작동하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순환펌프(30)의 작동에 의해 발생된 압력으로 인하여 순환코일(21) 내의 헹굼수는 출렁이게 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헹굼수(W)가 출렁이는 과정에서 순환코일(21) 내에 채워진 에어(A)의 일부가 순환코일(21)의 배출측으로 빠져나가게 되므로 순환코일(21) 내의 공기압력을 낮출 수 있게 된다.
상기 반복제어단계(S140)는 상기와 같은 감지단계(S110)와 정지단계(S120) 및 재가동단계(S130)를 정해진 횟수반큼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순환코일(21) 내의 공기압력을 조금씩 낮추어 헹굼수의 순환을 유도하는 단계이다. 한편 감지단계(S110)와 정지단계(S120) 및 재가동단계(S130)를 정해진 횟수만큼 반복하며 실행함에 있어 제어부는 감지단계(S110)의 반복횟수를 순차적으로 카운트 하여 저장하게 되며, 본 실시 예에서는 최대 반복횟수를 4회로 설정하였으나, 이는 설계여건이나 식기세척기의 용량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반복제어단계(S140)를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최초 감지단계(S110)로부터 헹굼수의 순환이 감지되지 못하면, 제어부는 감지단계(S110)의 반복횟수를 1회 카운트하여 저장하는 것과 함께 순환펌프(30)를 약 5초간 정지시키는 정지단계(S120)를 실행하게 되며, 이후 순환펌프(30)를 재가동시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순환코일(21) 내의 헹굼수에 출렁임을 유발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반복제어단계(S140)는 감지단계(S110)와 정지단계(S120)를 재가동단계(S130)를 최대 4회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순환코일(21) 내의 공기압력을 조금씩 낮추게 되며, 반복되는 과정 중 순환코일(21) 내의 공기압력이 충분히 낮아져 헹굼수의 순환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반복되는 감지단계(S110)로부터 헹굼수의 순환이 정상적으로 감지되므로, 앞서 설명된 S210~250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식기세척기를 정상적으로 작동하게 되며, 4회 반복이 이루어진 후에도 불구하고 헹굼수의 순환이 감지되지 않으면, 펌프의 작동을 완전히 정지하고(S310), 제어부에 저장된 반복횟수를 0으로 초기화(S320)하는 것과 함께 모든 동작을 종료하게 된다(S330).
한편 상기와 같이 기기의 에러로 인식될 경우, 에러메세지를 식기세척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나 또는 점등되는 램프를 이용한 시각적인 방법이나, 또는 일정한 소리를 발산하는 스피커를 이용한 청각적인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 은 종래 식기세척기의 헹굼수의 가열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순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순환펌프의 제어시 순환코일의 내부에서 헹굼수의 상태변화에 의해 에어가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헹굼수 통 (20) : 열교환기
(21) : 순환코일 (30) : 순환펌프
(40) : 수류 스위치

Claims (5)

  1. 헹굼수 통(10)에 저장된 헹굼수의 가열을 위한 순환코일(21)을 갖는 열교환기(20)와, 열교환기(20)로의 헹굼수 순환을 감지하는 수류 스위치(40)와, 헹굼수 통(10)의 헹굼수를 순환코일(21)로 순환시키는 순환펌프(30)를 구비하는 식기세척기의 순환펌프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순환펌프(30)가 가동한 후, 헹굼수 통(10)과 열교환기(20)를 연결하는 순환관(15) 상에 설치된 수류 스위치(40)를 이용하여 헹굼수의 정상적인 순환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단계(S110);
    상기 수류 스위치(40)로부터 헹굼수의 순환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순환펌프(30)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정지단계(S120);
    상기 정지된 순환펌프(30)를 재가동시켜 순환코일(21)에 채워진 물의 출렁임을 발생시켜 순환코일(21)에 채워진 에어의 배출을 유도하는 재가동단계(S130); 및
    상기 감지단계(S110)와 정지단계(S120) 및 재가동단계(S130)를 순차적으로 정해진 횟수만큼 반복하며, 상기 반복되는 감지단계(S110)로부터 헹굼수의 순환이 감지되면 식기세척기를 정상작동하고, 상기 감지단계(S110)를 정해진 횟수만큼 반복했음에도 불구하고 헹굼수의 순환이 감지되지 않으면, 식기세척기의 작동을 중단하는 반복제어단계(S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헹굼수 순환펌프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단계(S110)는 수류 스위치(40)의 2 내지 4초간 연속적인 신호 발생유무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헹굼수 순환펌프 제어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단계(S120)는 순환펌프(30)의 완전한 정지를 위해 4 내지 6초간 순환펌프(30)의 정지상태를 유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헹굼수 순환펌프 제어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제어단계(S140)는 반복되는 감지단계(S110)의 반복횟수를 순차적으로 카운트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반복횟수가 정해진 횟수보다 증가였음에도 불구하고, 헹굼수의 순환이 감지되지 않으면, 펌프의 작동을 완전히 정지하고, 저장된 반복횟수를 0으로 초기화하는 것과 함께 에러메세지를 디스플레이 또는 램프 또는 스피커를 이용하여 시각 또는 청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시세척기의 헹굼수 순환펌프 제어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단계(S110)로부터 헹굼수의 순환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감지되면,
    10초간 연속적으로 순환펌프(30)를 가동시키는 것과 함께 수류 스위치(40)가 3초간 연속으로 헹굼수의 순환을 감지하였지는를 확인하여 식기세척기를 정상작동하거나 또는 상기 정지단계(S120)를 수행하도록 하는 재감지단계(S110-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시세척기의 헹굼수 순환펌프 제어방법.
KR1020070139784A 2007-12-28 2007-12-28 식기세척기의 헹굼수 순환펌프 제어방법 KR100912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9784A KR100912770B1 (ko) 2007-12-28 2007-12-28 식기세척기의 헹굼수 순환펌프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9784A KR100912770B1 (ko) 2007-12-28 2007-12-28 식기세척기의 헹굼수 순환펌프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1858A KR20090071858A (ko) 2009-07-02
KR100912770B1 true KR100912770B1 (ko) 2009-08-18

Family

ID=41329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9784A KR100912770B1 (ko) 2007-12-28 2007-12-28 식기세척기의 헹굼수 순환펌프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27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553B1 (ko) 2012-04-30 2013-06-17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온수기 내장형 식기세척기
KR20170136085A (ko) 2016-05-31 2017-12-11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온수 사용시 식기세척기의 헹굼수 열량 최적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65900A (en) 1980-05-24 1981-12-19 Shinko Kawada Removal of scale from heat exchanger and condenser and pulsative vibration generator used therefor
KR19980024969U (ko) * 1998-04-27 1998-07-25 이흥길 온수보일러 순환수의 공기 및 기포가 자연방출되는 보일러 구조
KR19990058247A (ko) * 1997-12-30 1999-07-15 곽원복 배관내의 공기 제거 방법 및 그 장치
KR20050074735A (ko) * 2004-01-14 2005-07-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관내의 기포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65900A (en) 1980-05-24 1981-12-19 Shinko Kawada Removal of scale from heat exchanger and condenser and pulsative vibration generator used therefor
KR19990058247A (ko) * 1997-12-30 1999-07-15 곽원복 배관내의 공기 제거 방법 및 그 장치
KR19980024969U (ko) * 1998-04-27 1998-07-25 이흥길 온수보일러 순환수의 공기 및 기포가 자연방출되는 보일러 구조
KR20050074735A (ko) * 2004-01-14 2005-07-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관내의 기포제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553B1 (ko) 2012-04-30 2013-06-17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온수기 내장형 식기세척기
KR20170136085A (ko) 2016-05-31 2017-12-11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온수 사용시 식기세척기의 헹굼수 열량 최적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1858A (ko) 200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73595B (zh) 清洗机,例如洗碗机或洗衣机,以及操作清洗机的方法
US9751115B2 (en) Washer such as a dishwasher or a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operating a washer
CA2769869C (en) Washer such as a dishwasher or a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operating a washer
US7371288B2 (en) Dishwash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7385769A (zh) 用于检测洗衣机中泡沫的方法
KR100912770B1 (ko) 식기세척기의 헹굼수 순환펌프 제어방법
KR102144296B1 (ko) 보일러 자동 세관 방법
JP2009162460A (ja) 浴槽自動洗浄装置
KR101275554B1 (ko) 세탁기 및 그 동작방법
CN108803439B (zh) 蒸汽发生器的控制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4660417B2 (ja) 食器洗浄機
JP2006247109A (ja) 食器洗浄機
JP3721207B2 (ja) 風呂装置および風呂装置の浴槽排水完了検知方法
KR100484878B1 (ko) 가스보일러의 시운전방법
JP2011163693A (ja) 風呂自動機能付き給湯機
KR20170046252A (ko) 식기세척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180340693A1 (en) Method for identifying a degree of soiling of a cooking appliance interior
KR100590478B1 (ko) 보일러 분배기 조절을 이용한 시운전 방법
JP2007167098A (ja) 食器洗い機の保守支援システムと食器洗い機
KR20210025820A (ko) 식기세척기 시스템 및 제어방법
US20210235963A1 (en) Dishwasher, method for operating a dishwasher,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JP7436846B2 (ja) ふろ装置
JP2010110343A (ja) 食器洗い機
JP3651937B2 (ja) 自動風呂釜の自動運転制御装置
JP2009192189A (ja) 風呂湯張り機能付き給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