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5554B1 - 세탁기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세탁기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5554B1
KR101275554B1 KR1020060052134A KR20060052134A KR101275554B1 KR 101275554 B1 KR101275554 B1 KR 101275554B1 KR 1020060052134 A KR1020060052134 A KR 1020060052134A KR 20060052134 A KR20060052134 A KR 20060052134A KR 101275554 B1 KR101275554 B1 KR 101275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evel
level
washing
washing machin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2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7912A (ko
Inventor
이팔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2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5554B1/ko
Publication of KR20070117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7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5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5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7Responding to irregular working conditions, e.g. malfunctioning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5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7Water 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7Machine fault alarm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8Washing liquid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6Recirculation of washing liquids, e.g. by pumps or diverting valv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세탁이 수행되기 전 감지되는 수위에 따라 일정시간 배수 후, 수위변화를 감지하여 경고신호를 출력하거나 세탁이 진행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세탁기의 수위 오감지, 배수구 막힘 또는 배수구동결 등으로 인한 배수불량 여부를 세탁 전 감지할 수 있어, 그에 따른 상기 세탁기의 오동작 및 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세탁기, 배수, 동결, 배수불량, 수위

Description

세탁기 및 그 동작방법{Washing machine and its operating method}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구성이 도시된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출력부가 도시된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동작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수위변화 감지방법의 제 1실시예가 도시된 순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수위변화 감지방법의 제 2 실시예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제어부 20: 배수펌프
30: 수위감지부 40: 변화량판단부
50: 타이머 60: 모터구동부
70: 모터 80: 출력부
본 발명은 세탁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드럼 내의 수위변화에 따라 배수불량 및 수위 오감지 여부를 사전에 감지하여 세탁기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세탁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탁물에 묻은 때를 제거하는 장치로서, 세탁물이 잠기도록 세탁수를 공급하고, 상기 세탁수에 적당량의 세제를 용해시켜 상기 세탁물에 묻은 오염물이 상기 세제와의 화학 작용에 의해 제거되도록 하고, 세탁물이 담겨진 세탁조(드럼)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세탁수와 세탁물이 기계적인 마찰 또는 진동을 일으켜 세탁물의 오염물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세탁기는 설정에 따라 세탁행정, 헹굼행정, 탈수행정을 수행하며, 각각의 행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급수 및 배수를 반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세탁기는 드럼내에 일정 수위로 세탁수를 급수하고, 급수된 세탁수를 배수하게 되는데, 수위감지에 오류가 발생되거나, 배수가 불량인 경우 세탁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세탁기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수위가 오감지 되는 경우에는, 세탁수가 급수되지 않아도 세탁수가 존재하는 것으로 잘못 판단되어, 세탁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탈수행정이 진행될 수 없을 뿐 아니라, 세탁수를 가열하기 위한 히팅 과정에서 세탁기가 손상될 수 있으며, 히팅 과정에서 화재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세탁기는 배수구 막힘, 배수구 동결, 배수펌프 동결 등의 원인으로 인하여 세탁수가 정상적으로 배수 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때, 세탁기는 급수 전, 상기와 같은 배수 불량여부를 사전에 감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배수불량이 발생된 상태에서 세탁이 진행되어 드럼에 세탁수가 공급되면, 배수불량으로 인하여 세탁이 진행될 수 없어 오동작 되며, 또한 배수구 동결 또는 배수펌프가 동결되는 경우에는 배수펌프에 과부하가 걸리게 되므로, 그로인해 배수펌프가 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세탁 수행 전 수위를 감지하고, 감지결과에 따라 배수 후 세탁이 진행되도록 하여, 수위변화여부에 따라 수위 오감지 및 세탁기의 배수 불량을 사전에 감지하여, 세탁기의 오동작을 방지하고, 세탁기의 소손을 예방하는 세탁기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드럼 내 세탁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부와, 상기 감지된 수위에 따라 변화량을 측정하여 수위변 화를 판단하는 변화량 판단부와, 급수 전 감지된 수위가 기준 수위 이상인 경우 배수를 수행하고, 배수 중 상기 변화량 판단부의 판단결과에 따라 수위가 변화되지 않는 경우, 경고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동작방법은 드럼 내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와, 감지되는 수위가 기준 수위 이상인 경우, 세탁수를 배수하는 단계와, 배수 중, 일정시간 동안 수위변화를 감지하는 단계와, 수위가 변화되지 않는 경우,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구성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91)과, 세탁수를 배수하는 배수펌프(20)와, 드럼 내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부(30)와, 수위감지부(30)로부터 입력되는 수위값에 따라 수위변화여부를 판단하는 변화량판단부(40)와, 수위감지부(20)로부터 입력되는 수위값 및 변화량판단부(40)의 판단결과에 따라, 설정된 세탁이 진행 되거나 또는 경고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부(10)를 포함한다.
또한, 세탁기는 세탁기의 동작상태 및 경고신호가 출력되는 출력부(80)와, 드럼(91)을 회전시키는 모터(70)와, 모터(70)에 전압/전류를 인가하여 모터구동을 제어하는 모터구동부(60)와,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50)와, 드럼내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밸브(V1), 세탁수를 가열하는 히터(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모터구동부(60)는 세탁, 헹굼, 탈수의 각 행정이 진행되는 경우, 제어부(1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모터(70)로 일정크기의 전압 또는 전류를 공급하여, 모터(70)가 일정 회전수로 동작되도록 한다.
타이머(50)는 시간을 카운트하여, 세탁이 진행되는 시간, 잔여 시간등의 시간정보를 제공하며, 일정시간동안 시간을 카운트하여 변화량판단부(40) 및 제어부(10)로 시간의 경과를 통보한다.
배수펌프(20)는 드럼(91) 내의 세탁수를 일정량 또는 전량 배수되도록 한다. 배수펌프(20)는 드럼(91) 및 터브(92)의 하단에 구비되고, 벨로우즈(21)를 통해 터브(92)와 연결되어 드럼(91) 및 터브(92)의 세탁수가 배수호스(22)를 통해 외부로 배출 되도록 한다.
이때, 터브(92)의 하단 또는 벨로우즈(21)의 어느 일 측면에 에어챔버(Air chamber, 31)가 구비될 수 있다.
수위감지부(30)는 드럼(91)내의 세탁수의 수위를 감지하며, 감지되는 수위를 변화량판단부(40) 및 제어부(10)로 인가한다. 이하, 수위감지부(30)는 압력센서인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수위를 감지하는 방법에 따라 다른 종류의 센서 및 장치가 사용 될 수 있다.
수위감지부(30)는 에어챔버(31) 내의 압력을 측정하여, 측정된 압력값에 따라 수위를 감지하게 된다.
즉, 수위감지부(30)는 수위가 변화에 따라 에어챔버(31) 내의 세탁수의 양이 증가 또는 감소되고, 그에 따라 에어챔버(31) 내의 압력값이 가변되므로, 압력값을 측정하여 수위를 감지하게 된다.
여기서, 수위감지부(30)가 드럼(91)내의 수위를 감지하는 것은 드럼(91)및 터브(92)에 수용되는 세탁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것이며, 그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변화량판단부(40)는 일정시간 동안 수위감지부(30)로부터 측정된 수위값을 입력받아, 수위의 변화량을 산출하고 그에 따라 드럼(91) 내의 수위변화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변화량판단부(40)는 산출된 수위 변화량을 기준변화량과 비교하여 수위변화를 판단한다.
여기서, 변화량판단부(40)는 수위감지부(30)로부터 입력되는 다수의 수위값 및 산출된 변화량을 저장하는 버퍼(미도시)를 포함한다.
제어부(10)는 수위감지부(30)로부터 감지되는 수위값과, 변화량판단부(40)의 수위변화 판단결과에 따라 오류발생여부를 판단하여, 오류발생시 경고신호를 생성하고 세탁 정지되도록 하며, 정상동작시 세탁설정에 따른 세탁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10)는 입력부(미도시)를 통해 세탁설정이 완료되면, 바로 급수 및 세탁을 진행하지 않고, 수위감지부(20)를 통해 수위를 측정하여 드럼(91)내 세탁수의 존재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0)는 수위가 기준수위 이상인 경우, 배수펌프(30)를 구동시켜, 세탁수가 배수되도록 하며, 배수 중 수위가 측정되도록 수위감지부(20)를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10)는 배수 중, 변화량판단부(30)를 판단결과에 따라 수위가 변화되는 경우에는 급수 및 설정된 세탁이 진행되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0)는 수위가 변화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일정 시간동안 배수를 재 수행하고, 배수 중 측정되는 수위값에 따라 출력부(80)를 통해 경고신호가 출력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10)는 경고신호 출력 후, 세탁기가 정지되도록 한다.
출력부(80)는 표시부, 램프, 스피커 등을 포함하며, 제어부(1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경고메세지, 경고음, 경고등 중 적어도 하나의 경고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출력부의 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부(80)는 세탁기의 동작상태가 문자, 이미지로 출력되는 표시부(81)를 포함한다.
표시부(81)는 설정된 세탁코스, 세탁수위, 세탁수 온도, 현재의 진행상태, 세탁시간, 세탁 잔여시간 등의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81)는 오동작 시 그에 대한 오류코드 또는 오류메시지(A)를 표시하여 경고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80)는 램프(B)가 구비되어, 오류발생시 램프(B)를 점등 또는 점멸시켜 경고신호를 경고등을 통해 출력 가능하다.
이때, 램프(B)는 표시부(81)와 함께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그 위치는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동작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 설정이 완료되어 세탁시작명령이 입력된다(S100).
이때, 세탁설정에 따라 바로 급수 및 세탁을 시작하지 않고, 급수 전드럼내의 수위를 감지한다(S105).
감지된 수위, 즉 초기수위를 기 설정된 기준수위와 비교하여 초기수위가 기준수위 이상인지 판단한다(S110).
이때, 기준수위는 공수위를 나타내는 수위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감지되는 수위의 값으로 수위주파수가 사용되는 경우, 약 25.0khz 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수위주파수는 실제 수위와 반비례 관계에 있으므로, 수위가 증가될수록 수위주파수는 낮아진다.
초기수위가 기준수위 이하인 경우에는 드럼내에 세탁수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드럼내로 세탁수를 공급하여 설정된 세탁이 시작되도록 하여 정상세탁이 진행되도록 한다(S130 내지 S140).
한편, 초기수위가 기준수위 보다 높은 경우, 즉 감지되는 수위가 공수위 이상으로 드럼 내에 세탁수가 존재하는 것을 판단되는 경우에는 배수펌프를 구동하여 세탁수가 배수되도록 한다(S115).
세탁수가 배수되는 중에도 드럼내의 수위를 감지하고(S120), 감지되는 수위에 따라 수위변화여부를 판단한다(S125).
이때, 감지된 수위의 변동량을 산출하여 변동량에 따라 수위변화여부를 판단하게 되며, 감지되는 수위와 초기수위를 비교하여 변동량을 산출한다.
배수가 시작되는 시점부터 시간을 카운트 하여 일정시간 동안의 수위를 감지한다(S145). 일정 시간이 경과 될 때 까지 배수와 수위감지를 반복 수행하여 수위변화여부를 판단한다(S115 내지 S125, S145)
이때, 일정시간이 경과되기 전에 수위가 가변되거나, 일정시간 경과 시 수위가 변화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세탁설정에 따라 급수를 시작하여 세탁이 진행되도록 한다(S130 내지 S140).
일정시간이 경과된 이후에도 수위가 변화되지 않은 경우에는 경고신호를 출력하여 세탁기가 오동작 됨을 사용자가 인지 가능하도록 한다(S150).
이때, 경고신호는 경고 등, 경고메시지, 경고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단으로 출력된다.
경고신호가 출력되면, 세탁이 중지되며, 경고신호는 일정 시간 반복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S155).
여기서, 상기와 같은 세탁기의 동작방법 중 수위감지 및 수위변화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수위변화 감지방법의 제 1실시예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수위를 감지하고(S200), 감지되는 초기수위를 기 설정된 기준수위와 비교한다(S205).
이때, 기준수위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공수위이다.
초기수위가 기준수위보다 큰 경우에는, 즉 드럼 내에 세탁수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배수를 수행하고, 배수 중에 수위를 지속적으로 감지하여 수위변화여부를 판단한다(S210 내지 S220).
이때, 수위변화는 현재 감지된 수위를 초기수위에서 감산하여 수위의 변화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변화량이 기준 변화량 이상인 경우 수위가 변화된 것으로 판단한다.
기준변화량은 수위를 감지하는 방법에 따라 가변될 수 있으며, 수위를 감지하는 최소 단위 또는 수위변화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정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수위주파수를 이용하여 수위를 감지하는 경우에는 감지가능 한 최소 단위의 값을 기준변화량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때 감지 가능한 최소단위가 0.1khz인 경우, 0.1khz 내지 0.2khz를 기준변화량으로 설정할 수 있다.
수위의 변화량이 기준 변화량 이상인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세탁수를 공급하고 세탁이 진행되도록 한다(S225).
한편, 수위가 변화되지 않은 경우, 즉 산출된 변화량이 0이거나 기준 변화량 미만인 경우에는 배수 후 경과된 시간이 제 1 기준시간 이상인지 연부를 판단한다(S230).
이때, 제 1 기준시간은 1분인 것이 바람직하나, 기준 변화량의 크기에 따라 기준변화량에 도달 가능한 정도의 시간으로 임의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기준시간이 경과되지 않은 경우에는 지속적으로 배수 및 수위감지를 반복하여 수위변화여부를 판단한다(S210 내지 S220, S230).
즉, 제 1 기준시간 이내에, 수위의 변화량이 기준 변화량 이상이거나, 또는 제 1 기준시간 경과 시 수위변화량이 기준 변화량 이상인 경우에는 급수 및 세탁이 진행된다.
한편, 제 1 기준시간 경과 후, 수위 변화량이 기준변화량 미만으로 수위변화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배수를 재수행하고, 배수 중에 수위를 재 감지한다(S235, S240)
감지되는 현재의 수위가 제 2 기준수위 이하인 경우에는 급수 및 세탁이 진행되도록 한다(S225).
여기서, 제 2 기준수위는 기준수위보다 낮은 수위로 설정되며, 세탁수가 완전히 배수된 정도의 수위이다. 또한, 제2 기준수위는 기준수위에서 기준변화량을 감산한 정도의 수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위주파수를 이용하여 수위를 감지하는 경우에는 수위주파수가 수위에 반비례하므로, 수위주파수값을 비교하는 경우 제 2 기준수위는 기준수위보다 높은 수위주파수 값이 된다.
현재 수위가 제 2 기준수위 보다 높은 경우에는 제 2 기준시간동안 배수 및 수위 감지를 반복 수행한다(S250, S240 내지 S250).
이때, 제 2 기준시간은 제 1 기준시간보다 큰 값으로 설정되며, 세탁수가 완 전히 배수될 수 있는 정도의 시간으로 설정된다. 약 10분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
제 2 기준시간 도달 전, 즉 제 2 기준시간 이내에 감지되는 수위가 제 2 기준수위 이하인 경우에는 급수 및 정상 세탁이 진행 되도록 한다(S225).
제 2 기준시간이 경과 시, 감지되는 현재의 수위가 제 2 기준수위보다 큰 경우에는 배수 불량 또는 수위가 잘못 감지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세탁기의 오동작에 대한 경고신호가 출력된다(S255).
여기서, 상기와 같은 세탁기의 동작방법 중 수위감지 및 수위변화를 판단하는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수위변화 감지방법의 제 2 실시예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이때, 세탁기의 동작방법 중 수위감지 및 수위변화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한 제 2 실시예는 전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단계 및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 1 실시예의 기준값과 동일한 값이 사용됨을 명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수위를 감지하고 기준수위와의 비교결과에 따라 배수 및 수위감지를 수행하여 수위변화여부를 판단한다(S300 내지 S320).
이때, 판단결과에 따라 수위가 변화되는 경우에는 급수 또는 세탁을 수행한다(S325).
이때, 수위변화여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위의 변화량이 기준변화량 이상인 경우 수위가 변화된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수위가 변화되지 않는 경우, 제 1 기준시간 동안 배수 및 수위감지를 반복수행하여 수위변화여부를 판단한다(S330, S310 내지 S330).
여기서, 제 1 기준시간 경과 후에도 수위가 변화되지 않은 경우에는 감지되는 현재의 수위를 제 2 기준수위와 비교하여 수위변화여부를 재 판단한다(S335).
제 2 기준수위는 기준수위보다 낮은 수위로 설정되며, 기준수위에서 기준변화량을 감산한 정도의 수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기준변화량보다 작은 값을 감산하여 설정할 수 있다.
현재수위가 제 2 기준수위 이하인 경우, 정상 세탁이 수행되도록 하고(S325), 현재 수위가 제 2 기준수위보다 높은 경우에는 제 2 기준시간 동안 배수 및 수위감지를 반복 수행한다(S340, S310 내지 S320, S330 내지 S340).
여기서, 제 2 기준시간 이내에 감지되는 수위의 변화량이 기준변화량 이상이거나, 또는 감지되는 수위가 제 2 기준수위 이하인 경우에는 수위가 변화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정상 세탁이 진행되도록 한다(S220, S245, 325).
제 2 기준시간이 경과 된 후에도 수위가 변화되지 않은 경우에는 세탁기가 오동작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신호를 출력한다(S345).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세탁기 및 그 동작방법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응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 및 그 동작방법은 세탁 시작 전 세탁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세탁수가 존재하는 경우 배수 후 수위변화 여부에 따라 경고신호를 출력하도록 하여, 수위오감지, 배수펌프의 오동작 및 배수불량 여부를 사전에 감지 할 수 있어, 세탁기 오동작에 따른 사용자의 불편을 예방하고 수리 가능하도록 경고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세탁기의 오동작 및 세탁기의 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세탁 설정 완료 후, 급수 전 드럼 내의 세탁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
    감지되는 수위가 기준 수위 이상인 경우, 세탁수를 배수하는 단계;
    배수 중, 일정시간 동안 수위변화를 감지하는 단계; 및
    수위가 변화되지 않는 경우,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동작방법.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제 1 기준시간 동안 감지되는 수위의 변화량을 측정하여, 변화량이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수위가 변화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동작방법.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제 1 기준 시간 동안 감지되는 수위의 변화량이 기준 값 이하인 경우, 제 2 기준시간동안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동작방법.
  4. 청구항 3 에 있어서,
    제 2 기준 시간 동안 감지되는 수위가 제 2 기준 수위 이상인 경우 경고신호 를 출력하고, 제 2 기준 수위 미만인 경우 설정된 행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동작방법.
  5.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경고신호는 경고메시지, 경고음, 경고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단으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동작방법.
  6.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경고신호는 배수오류 및 동결에 대한 문자 및 오류코드 중 적어도 하나의 경고메시지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동작방법.
  7. 삭제
  8. 청구항 1 에 있어서,
    감지되는 세탁 수위가 기준 수위 이하인 경우, 설정된 행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동작방법.
  9. 청구항 1 에 있어서,
    배수 중 수위 변화 시, 설정된 행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동작방법.
  10. 드럼 내 세탁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부와;
    상기 감지된 수위에 따라 변화량을 측정하여 수위변화를 판단하는 변화량 판단부와;
    세탁 설정 완료 후, 급수 전 상기 수위감지부를 통해 드럼 내 세탁수의 수위를 감지하도록 제어하고, 감지된 수위가 기준 수위 이상인 경우 배수를 수행하여, 배수 중 상기 변화량 판단부의 판단결과에 따라 수위가 변화되지 않는 경우, 경고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1. 청구항 10 에 있어서,
    상기 변화량 판단부는 제 1 기준시간 동안 상기 수위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수위값의 변화량을 측정하여, 변화량이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수위가 변화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2. 청구항 10 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감지되는 수위가 기준수위 이하 인 경우 및 배수 중 수위가 변화되는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경우, 급수 및 세탁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3. 청구항 10 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배수 중 수위가 변화되지 않는 경우, 제 2 기준시간 동안 수위가 감지되도록 상기 수위감지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4. 청구항 13 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 2 기준시간 동안 감지되는 수위가 기준 수위 이상인 경우 경고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5. 청구항 10 에 있어서,
    표시부, 스피커, 램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고신호 출력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20060052134A 2006-06-09 2006-06-09 세탁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275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2134A KR101275554B1 (ko) 2006-06-09 2006-06-09 세탁기 및 그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2134A KR101275554B1 (ko) 2006-06-09 2006-06-09 세탁기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7912A KR20070117912A (ko) 2007-12-13
KR101275554B1 true KR101275554B1 (ko) 2013-06-20

Family

ID=39142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2134A KR101275554B1 (ko) 2006-06-09 2006-06-09 세탁기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55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57997A1 (en) * 2016-06-14 2017-12-20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253134B2 (en) * 2018-11-28 2022-02-22 Lg Electronics Inc. Dishwasher with heat pump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1381B1 (ko) * 2008-06-09 2014-11-14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오작동 방지방법
ES2402497B1 (es) 2010-07-29 2014-03-12 Fagor, S. Coop. Metodo de lavado de ropa para una lavadora y lavadora que implementa dicho método
CN108396509B (zh) * 2018-05-18 2023-02-10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检测洗衣机排水的控制方法及洗衣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6696B1 (ko) * 1994-03-22 1998-12-15 김광호 드럼세탁기의 세탁제어방법
KR20000045017A (ko) * 1998-12-30 2000-07-15 전주범 세탁기의 배수에러 보상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6696B1 (ko) * 1994-03-22 1998-12-15 김광호 드럼세탁기의 세탁제어방법
KR20000045017A (ko) * 1998-12-30 2000-07-15 전주범 세탁기의 배수에러 보상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57997A1 (en) * 2016-06-14 2017-12-20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526739B2 (en) 2016-06-14 2020-01-07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253134B2 (en) * 2018-11-28 2022-02-22 Lg Electronics Inc. Dishwasher with heat pu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7912A (ko) 2007-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5554B1 (ko) 세탁기 및 그 동작방법
KR102196183B1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60215435A1 (en) Foam-Reducing Procedure in a Washing Machine During a Spinning Cycle
EA017259B1 (ru) Способ устранения пены в режиме центрифугирования в барабанной стиральной машине и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этого способа
US20160215436A1 (en) A Method for Operating a Washing Machine
KR20120051053A (ko) 식기 세척기나 세탁기와 같은 워셔 및 이 워셔의 작동 방법
JPH1043486A (ja) 新規なタイプのフィルタ監視設備を備えた衣類洗濯機
KR101053613B1 (ko) 세탁기의 배수 동작 제어 방법
JP4854683B2 (ja) 洗濯乾燥機
KR100919404B1 (ko) 세탁기의 급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EP2250312A1 (en)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ng parameters of a clothes dryer or washing/drying machine, and machine using said method
JP2015066328A (ja) 洗濯機
JPH07204382A (ja) 洗濯機
CN111173758B (zh) 水泵运行控制方法、装置、衣物处理装置及介质
KR100671837B1 (ko) 세탁기의 배수제어 방법
KR100912770B1 (ko) 식기세척기의 헹굼수 순환펌프 제어방법
KR0162315B1 (ko) 세탁기의 배수제어장치 및 방법
KR0134314B1 (ko) 세탁기의 배수 경보방법
KR100926758B1 (ko) 세탁기 급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197689B1 (ko) 세탁기의 배수 감지장치 및 그 감지방법
KR102457781B1 (ko) 세탁기 및 그의 동작 방법
CN114468889B (zh) 回收桶状态检测方法、处理系统及清洁设备
KR100682250B1 (ko) 보일러의 시운전에 따른 누수 검지 장치 및 방법
KR100605733B1 (ko) 드럼 세탁기의 탈수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083556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