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9830B1 - 박지 문양을 이용한 도자기의 양각 문양 성형방법 - Google Patents

박지 문양을 이용한 도자기의 양각 문양 성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9830B1
KR101269830B1 KR1020110069558A KR20110069558A KR101269830B1 KR 101269830 B1 KR101269830 B1 KR 101269830B1 KR 1020110069558 A KR1020110069558 A KR 1020110069558A KR 20110069558 A KR20110069558 A KR 20110069558A KR 101269830 B1 KR101269830 B1 KR 101269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foil
porcelain
embossed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9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8888A (ko
Inventor
조무호
조원혁
Original Assignee
조원혁
조무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원혁, 조무호 filed Critical 조원혁
Priority to KR1020110069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9830B1/ko
Publication of KR20130008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8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9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9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4Manufacture of porcelain or white wa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01Applying decorations on shaped articles, e.g. by pai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지 문양을 이용한 도자기의 양각 문양 성형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자기의 양각 문양의 성형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두께를 가진 동판(1)에 천공된 문양공(2)을 이용하여 문양 소재(m)로 박지(3)면에 동판의 두께에 상응하는 두께를 가진 박지 문양(4)을 성형하고 도자기(5)의 표면에 상기 박지(3)와 함께 박지 문양(4)을 부착하여 양각 문양(4')을 성형하고 초벌구이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성이 간편하여 기술자가 아니라도 누구나 도자기의 양각 문양을 성형할 수 있고 불량품이 없으며 양각 문양이 성형된 고품질의 도자기를 다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

Description

박지 문양을 이용한 도자기의 양각 문양 성형방법{METHOD FOR FORMING A RELIEF PATTERN ON POTTERY BY MEANS OF PATTERN PAPER}
본 발명은 양각 문양(陽刻 紋樣)의 성형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두께를 가진 동판에 천공된 문양공을 통하여 박지(薄紙)에 도자기 소재로 박지 문양을 성형하고 상기 박지 문양을 도자기 표면에 밀착되게 박지를 부착하여 도자기에 양각 문양을 성형한 다음 박지가 부착된 도자기를 초벌구이하여 양각 문양의 도자기를 산업적으로 다량 생산할 수 있는 박지 문양을 이용한 도자기의 양각 문양 성형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자기의 표면에 안료가 배합된 유약으로 각종 색상의 회화(繪畵)나 문양(紋樣)을 그리거나 전사(轉寫), 또는 상감 문양 기법을 이용하여 도자기의 표면에 문양을 표현하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또 도자기 표면에 각종 문양을 입체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여러 가지 양각 문양의 성형방법이 선행기술로서 알려져 있다.
본원 발명과 관련한 도자기의 양각 문양의 성형방법의 선행 기술을 예를 들면,
① 가장 초보적 방법으로는 초벌구이 전의 아직 수분이 보유된 성형 도자기의 표면의 소지(素地)에 조소(彫塑) 방법으로 양각 문양을 성형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하나 또는 몇 개의 도자기에 적용할 수 있는 수공(手工)적인 것으로 산업적인 도자기 생산에는 적용하기 어렵다.
② 또한, 선행기술의 한 예로서 특허등록공보 제10-0381916호(2003. 04. 26공고)의 도자기의 양각 문양 및 문자 성형방법은 분청토, 백자토, 청자토 등을 이용하여 반죽, 성형, 건조, 초벌구이, 유약도포, 건조, 재벌구이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도자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도자기를 성형하여 아직 수분이 있을 때, 석고 형틀에 조각된 음각 문양이나 문자 부분에 도자기 소재를 채운 다음 도자기의 표면에 흙물을 칠한 다음 석고 형틀을 도자기 표면에 밀착시키어 석고 형틀의 음각 문양, 문자에 채워진 소재가 도자기 표면에 전이(轉移) 부착되게 하여, 도자기의 표면에 양각 문양, 문자를 성형하는 것이다.
③ 또 다른 선행기술의 예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0774295호 도자기의 양각 문양 성형방법은 도자기를 성형할 수 있는 흙 재료를 선별하여 반죽하고 도자기를 성형 한 다음 별도로 음각(陰刻)의 문양(紋樣)이 조각된 금형(金型)에 탈형제를 도포하고 반죽한 흙을 넣어 문양을 성형한 다음 성형된 문양 개체를 금형에서 박리한 다음 박리된 문양의 개체를 도자기의 표면에 구공적으로 부착하여 양각 문양을 성형하고 초벌구이와, 유약 도포 및 재벌구이를 하여 양각 문양이 형성된 도자기를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①의 종래의 초보적인 도자기의 양각 문양 성형방법은 시종 수공적인 방법이므로 문양의 예술적 단일성의 가치를 구현할 수는 있으나 산업적 생산에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②의 특허발명의 도자기의 양각 문양의 성형방법은 석고 형틀에 조각된 음각 문양에 흙을 채워서 도자기의 표면에 석고 형틀을 밀착하여 양각 문양을 형성하는 것이나 석고 형틀의 음각 문양이나 문자의 획의 좁고 예리한 끝 부분에 채워진 흙은 도자기 면에 부착된 면에 비하여 석고 형틀의 내면에 부착된 면이 크기 때문에 탈형제가 도포되어 있어도 석고 형틀에서 온전하게 도자기에 전이(轉移)되지 못하여 그때마다 문양의 결손(缺損)부분을 수공적으로 일일이 흙으로 채워서 수정해야 하는 등 후처리에 손이 많이 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③의 특허발명의 도자기의 양각 문양 방법은 먼저, 금형에 의해 입체적인 양각 문양을 성형한 다음 성형된 양각 문양의 개체를 도자기 표면에 일일이 부착하여 성형하는 것이므로 양각 문양의 성형이 확실한 이점이 있으나 여러 개의 문양을 일일이 도자기 표면에 부착해야 하기 때문에 수공 작업부분이 많게 되어 양각 문양의 성형 시간이 매우 오래 걸리며, 이는 상기 ①의 선행기술과 ②의 선행 기술을 결합한 정도로서 양각 문양이 성형된 도자기를 다량 생산하는 산업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미비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도자기의 양각 문양의 성형방법과 달리,
소정의 두께를 가진 동판(銅版)에 형성된 문양공(紋樣孔)에 의해 문양 소재로 박지(薄紙)에 동판의 두께와 상응한 두께를 가진 박지 문양(薄紙 紋樣)을 성형하고 도자기의 표면에 물을 바르고 상기 박지 문양이 밀착되게 박지를 도자기에 부착하여 간편하게 도자기에 양각 문양을 성형하는 박지 문양을 이용한 도자기의 양각 문양 성형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박지 문양이 도자기 표면에 부착되어 양각 문양이 성형되는 간단한 공정에 의해 누구나 용이하게 균일한 양각 문양을 성형할 수 있고 작업성이 양호하여 양각 문양이 성형된 고품질의 도자기를 보다 능률적으로 다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박지 문양을 이용한 도자기의 양각 문양 성형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박지 문양을 이용한 도자기의 양각 문양 성형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자기의 성형 공정과, 도자기의 표면에 양각 문양의 성형 공정과, 도자기의 초벌구이 공정과, 유약의 도포 공정과, 재벌구이 공정으로 제조되는 도자기에서의 양각 문양 성형방법에 있어서,
박지 문양의 성형 단계와 박지 문양을 도자기의 표면에 부착하는 양각 문양의 성형 단계의 결합으로 구성된다.
박지 문양의 성형 단계는 문양공의 형성 공정과 박지 문양의 성형 공정으로 된다.
문양공의 형성 공정은, 도자기의 표면에 성형할 양각 문양의 두께와 상응한 두께를 가진 평면적인 동판(銅版)에 박지 문양을 성형하기 위한 문양공(紋樣孔)을 형성한다. 문양공은 동판의 표면에서 뒷면으로 관통되게 뚫린 문양이다.
상기 문양공의 형성은 동판 면에 성형할 문양의 밑그림을 사진 기법이나, 전사 기법으로 표시하고 밑그림의 선획을 따라 적당한 공구를 사용하여 문양공을 천공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문양의 정밀가공 및 능률성을 감안하여, 컴퓨터에 입력된 문양의 프로그램에 따라 자동적으로 레이저빔으로 동판에 문양공을 천공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동판에 문양의 밑그림을 표시할 필요가 없다. 전자빔을 이용한 문양공의 형성은 매우 정교하고 정확성이 뛰어나며 여러 장의 동판에 동일한 문양공을 반복적으로 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동판에 천공된 문양공의 측면은 수직면이며, 동판의 두께가 큰 경우에는 문양공의 수직면을 하방향으로 확장되게 약간의 경사 각도로 가공하면 문양공에 채워진 박지 문양의 소재가 보다 용이하게 문양공에서 이탈되어 박지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박지 문양의 형성 공정은 박지 문양을 성형할 박지(薄紙)가 사용되며, 박지는 내수성(耐水性)과 가소성(可塑性)이 양호한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한지(韓紙)가 유용하다.
대판 상에 박지를 평면으로 펴 놓고 박지 위에 상기 문양공이 천공된 동판을 재치(載置)한다. 동판은 어느 정도의 중량감이 있기 때문에 특별한 고정 기구 없이도 박지 위에 안정되게 밀착 고정된다.
도자기의 소재와 동일한 소재가 문양 소재로 사용되며, 반죽하여 가소성이 부여된 문양 소재를 동판의 상면에서 문양공에 기공(氣孔)이 없도록 조밀하게 채워넣고 여분의 소재를 긁어내고 롤러로 몇 차례 문질러 소재를 가압하여 문양 소재가 박지면에 밀착되게 하고 아직 문양 소재에 물기가 있는 동안에 동판을 박지에서 수직 상방으로 들어내어 문양공에 채워진 문양 소재가 박지에 부착되어 동판의 두께와 상응한 두께를 가진 박지 문양을 성형한다.
동판에 천공된 문양공을 이용하여 박지에 박지 문양을 성형하는 것은 문양공에서 박지에 부착된 박지 문양 소재가 용이하게 박리(剝離)되기 때문에 종래의 금형이나 석고 형틀에 음각으로 조각된 음각 문양으로부터 양각 문양을 성형하는 것에 비하여, 문양(紋樣)의 절손(切損)이 없고 작업성이 양호하며, 특별히 기술이 없는 자도 누구나 용이하게 일정한 두께를 가진 박지 문양을 성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성형된 박지 문양의 수분은 박지에 흡수되어 젖은 상태로 되며 여분의 박지를 트리밍(Triming)한 다음 건조되지 않게 보관한다.
본 발명의 도자기의 양각 문양의 성형 단계는 소정의 무기질 소재를 배합 및 반죽하여 성형된 도자기를 8~24시간 건조하고 건조된 도자기의 표면에 양각 문양을 성형한다. 즉, 도자기의 표면에 붓으로 물을 바른다. 아직 도자기 소재는 초벌구이 이전이므로 수분이 흡수되면 같은 소재(素材)끼리 친화성(親和性)과 접착성을 갖는다.
이때 준비한 상기의 박지 문양의 표면이 도자기의 표면에 밀착되게 하고 상기 박지 문양과 함께 박지를 도자기의 표면에 물로 부착시킨다. 한지에는 섬유 조직을 유지시키는 어느 정도의 호료(糊料)가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수분(水分)에 의해 호료의 점도가 생기어 도자기 표면에 용이하게 부착된다.
도자기의 표면에 부착된 박지에 의해 박지 문양이 도자기의 표면에 부착되어 양각 문양으로 성형되는 동시 양각 문양 소재의 점결력과 박지의 부착력의 결합에 의해 도자기에 양각 문양이 탈락없이 안전하게 부착 유지된다.
그늘에서 건조된 상기 양각 문양이 성형된 도자기는 소성 가마에 넣어 800~900℃의 온도로 초벌구이하고 초벌구이한 도자기의 표면에 지정 유약을 도포하여 건조한 다음 1100~1200℃의 온도로 재벌구이를 하여 본 발명의 양각 문양이 성형된 도자기를 얻는다.
본 발명에서 도자기의 제법은 공지이므로 도자기의 제조 공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되어 있다.
본 발명의 요지는 동판에 문양공을 천공하고 천공된 문양공에 의해 박지에 임의 두께의 박지 문양을 성형한 다음 박지 문양을 도자기 표면에 부착하여 확실하게 돌출된 양각 문양을 간편하고 능률적으로 성형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스크린 인쇄법이나, 사진 전사법에서는 표현할 수 없는 입체적으로 돌출된 양각 문양을 도자기에 성형할 수 있어 도자기의 예술적 심미감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박지 문양에 의한 도자기의 양각 문양의 성형방법은 임의 두께의 양각 문양의 성형이 가능하여 도자기의 표면에 시각적이고 촉각적으로 확실하게 돌출된 양각 문양이 성형된 도자기의 제조가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의한 박지 문양에 의한 도자기의 양각 문양의 성형방법은 종래 선행기술인 형판(型板)에 조각된 음각 문양으로부터 양각 문양을 성형한 다음 성형된 양각 문양을 하나씩 떼어 도자기의 표면에 부착하여 성형하던 것에 비하여,작업성이 양호하여 기술이 없는 자도 누구나 용이하게 반복적으로 실시가 가능하다.
또 도자기에 입체적으로 돌출된 양각 문양에 각종 색상을 부여하여 다색상의 양각 문양에 의해 종래 사진 전사나 스크린 전사에 의한 도자기의 평면성의 문양에 비하여 도자기의 예술적 가치가 향상되고, 양각 문양이 성형된 고품질의 도자기를 보다 능률적으로 다량 생산하여 보급할 수 있는 등의 여러 가지의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문양공이 천공된 동판의 평면도
도2는 본 발명의 동판의 문양공을 이용하여 문양 소재를 문양공에 채워 가압하여 박지 문양을 성형하는 공정을 보인 실시예시도
도3은 본 발명의 박지에서 동판을 분리하여 문양공에 채워진 문양 소재가 박지에 부착되어 박지 문양을 성형하는 공정을 보인 실시예시도
도4는 본 발명의 박지 문양의 예시도
도5는 박지 문양을 도지기의 표면에 부착하는 공정의 실시예시도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도자기에 박지 문양을 부착한 실시예시도
도7은 본 발명의 도자기 표면에 확실하게 돌출된 양각 문양이 성형된 실시 예시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자기의 성형 공정과, 도자기의 표면에 양각 문양의 성형공정과, 도자기의 초벌구이 공정과, 유약의 도포 공정과 재벌구이 공정으로 제조되는 도자기에서의 양각 문양의 성형방법에 있어서,
도자기의 청자토 원료의 한 실시예로서 상백토 3kg, 오부점토 3kg, 운천점토 0.8kg, 포천점토 1.5kg 의 무기질 소재를 반죽하여 도자기를 성형하고 8~24 시간 건조하여 본 발명의 양각 문양을 성형하는 도자기로 한다. 여기에서 도자기라 함은 형태나 용도에 한정하지 않고 모든 자기 제품을 말한다.
본 발명의 도자기의 양각 문양 성형방법은 박지 문양의 성형단계와 박지 문양을 도자기의 표면에 부착하여 양각 문양을 성형하는 단계의 결합으로 구성된다.
1. 박지 문양의 성형단계
박지 문양의 성형단계는 문양공의 형성 공정과 박지 문양의 성형 공정으로 된다.
(1) 문양공의 형성공정
도1에 표시된 바와 같이, 도자기의 표면에 성형할 양각 문양의 두께와 상응한 두께(3mm~5mm)를 가진 평면적인 동판(銅版)(1)에 박지 문양을 성형하기 위한 문양공(紋樣孔)(2)을 천공한다. 문양공(2)은 동판(1)의 표면에서 뒷면으로 관통되게 문양이 뚫린 것이다.
동판(1) 면에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컴퓨터에 입력된 문양의 프로그램에 따라 자동적으로 원하는 문양공(2)을 동판에 천공하여 형성한다. 이 경우에는 동판에 문양의 밑그림을 표시할 필요가 없다.
전자빔을 이용한 문양공은 매우 정교하고 정확성이 뛰어나며, 반복적으로 여러 장의 동판에 동일한 문양공을 반복적으로 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도1에는 꽃 모양의 문양공(2)이 천공되어 있다.
동판(1)에 천공된 문양공(2)의 측면(s)은 수직면이며, 동판(1)이 두꺼운 경우에는 문양공(2)의 수직 측면(s)을 하방향으로 확장되게 약간의 경사각도로 가공하면 문양공(2)에 채워진 문양 소재(m)가 보다 용이하게 문양공(2)에서 박리되어 박지(3)에 부착될 수 있다.
(2) 박지 문양의 성형공정
도2에 표시된 바와 같이, 박지 문양을 성형할 박지(3)는 내수성(耐水性)과 가소성(可塑性)이 양호한, 예컨대 한지(韓紙)가 적당하며, 박지(3)를 대판상(p)에 평면으로 놓고 박지(3) 위에 문양공(2)이 천공된 동판(1)을 올려놓는다.
동판(1)은 두께가 클수록 어느 정도 중량이 있기 때문에 별도의 고정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박지(3)에서 움직이지 않고 고정 상태로 유지된다. 그러나 작업의 안전을 위해서 동판을 고정할 수 있는 직사각형의 고정 프레임을 사용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음)
반죽하여 가소성을 부여한 문양 소재(m)를 동판(1)의 상면에서 문양공(2)에 기공이 없도록 조밀하게 채워넣고 여분의 소재를 긁어내고 롤러로 몇 차례 소재를 문질러 가압하여 문양 소재(m)가 문양공(2)의 개방된 하부를 통하여 박지(3)면에 밀착되게 한다.
도3에 표시된 바와 같이, 아직 소재(m)에 물기가 있는 동안에 동판(1)을 박지(3)에서 수직 상방으로 들어내면 문양공(2)에 채워진 문양 소재(m)가 자체 점결력에 의해 박지(3)의 표면에 부착되어 도4와 같은 동판(1)의 두께와 상응한 두께를 가진 박지 문양(4)을 성형한다.
성형된 박지 문양(4)의 소재(m)에 함유된 일부 수분은 박지(3)에 흡수되어 젖은 상태로 되며, 여분(餘分)의 박지(3)를 트리밍(Triming)한 다음 건조되지 않게 보관한다. 박지 문양(4)의 소재(m)에 수분이 존재하는 것이 후에 도자기에 박지 문양(4)을 부착할 때 유리하다.
2. 도자기의 양각 문양의 성형 단계
도5 및 도6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도자기(5)의 표면에 붓으로 물을 바른다. 아직 도자기(5) 소재는 초벌구이 이전이므로 수분이 흡수되면 같은 소재(素材)끼리 친화성(親和性)과 접착성을 갖는다.
이때 준비한 상기의 박지 문양(4)의 표면이 도자기(5)의 표면에 접촉되게 밀착하고 박지(3)를 도자기(5)의 표면에 덮어 물로 접착시킨다. 한지에는 섬유 조직을 유지시키는 어느 정도의 호료(糊料)가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수분에 의해 호료의 점도에 의해 도자기 표면에 용이하게 부착된다.
도자기(5)의 표면에 부착된 박지(3)에 의해 박지 문양(4)이 도자기의 표면에 양각 문양(4')으로 전이(轉移)되는 동시 양각 문양(4')의 소재(m)의 점결력과 박지(3)의 부착력의 결합에 의해 안전하게 부착 유지된다.
박지(3)와 함께 박지 문양(4)이 부착된 도자기(5)를 그늘에서 건조하면 도자기(5)에 양각 문양(4')이 일체로 고착된다.
박지(3)가 부착된 채, 양각 문양(4')이 성형된 도자기(5)는 소성 가마에 넣어 800~900℃의 온도로 초벌구이하면 박지(3)은 소각되고 도7에 표시된 바와 같이 도자기(5)의 표면에 양각 문양(4')이 확실하게 돌출되어 아름다운 심미감이 나타나는 도자기를 얻는다. 초벌구이한 도자기의 표면에 유약을 도포하여 건조한 다음 1100~1200℃의 온도로 재벌구이를 하여 양각 문양이 성형된 도자기를 얻는다.
본 발명의 요지는 동판(1)에 문양공(2)을 천공하고 천공된 문양공(2)을 통하여 문양 소재(m)로 박지(3)에 동판(1)의 두께와 상응하는 두께를 가진 박지 문양(4)을 성형한 다음 박지 문양(4)을 초벌구이 전의 도자기(5)의 표면에 부착하여 확실하게 돌출된 양각 문양(4')을 간편하고 능률적으로 성형하는 것이다.
이때 박지 문양(4)이 곧 도자기의 양각 문양(4')이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임의 두께의 양각 문양의 성형이 가능하여 도자기의 표면에 시각적이고 촉각적으로 확실하게 돌출된 양각 문양이 성형된 도자기의 제조가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선행기술인 금형이나 형판(型板)에 조각된 음각 문양으로부터 양각 문양을 성형한 다음 성형된 양각 문양을 하나씩 떼어 도자기의 표면에 부착하여 성형하던 것에 비하여, 작업성이 양호하여 기술이 없는 자도 누구나 용이하게 반복적으로 실시가 가능하고 불량품이 거의 나오지 않는다.
또 도자기에 입체적으로 돌출된 양각 문양에 각종 색상을 부여하여 입체 다색상의 양각 문양에 의해 종래 사진 전사(傳寫)나 스크린 인쇄에 의한 도자기의 평면성의 문양에 비하여 도자기의 예술적 가치가 향상되고 양각 문양이 성형된 고품질의 도자기를 보다 능률적으로 다량 생산하여 보급할 수 있다.
1 : 동판 2 : 문양공 3 : 박지 4 : 박지 문양
4' : 양각 문양 5 : 도자기

Claims (3)

  1. 동판(1)에 문양공(2)을 천공하여 문양공(2)을 통하여 문양 소재(m)로 박지(3)면에 상기 동판(1)의 두께와 상응한 두께를 가진 박지 문양(4)을 성형한 것에 있어서,
    성형된 도자기(5)의 표면에 박지(3)와 함께 박지 문양(4)을 부착하여 박지(3)와 함께 초벌구이하여 도자기의 표면에 양각 문양을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의 양각 문양의 성형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110069558A 2011-07-13 2011-07-13 박지 문양을 이용한 도자기의 양각 문양 성형방법 KR101269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9558A KR101269830B1 (ko) 2011-07-13 2011-07-13 박지 문양을 이용한 도자기의 양각 문양 성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9558A KR101269830B1 (ko) 2011-07-13 2011-07-13 박지 문양을 이용한 도자기의 양각 문양 성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8888A KR20130008888A (ko) 2013-01-23
KR101269830B1 true KR101269830B1 (ko) 2013-05-30

Family

ID=47838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9558A KR101269830B1 (ko) 2011-07-13 2011-07-13 박지 문양을 이용한 도자기의 양각 문양 성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98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04900A1 (ko) * 2014-12-24 2016-06-30 정주화 부조 제품 및 그를 위한 모델링 데이터 형성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6974A (ko) 2018-01-15 2019-07-24 이은석 트임 문양이 형성된 분청사기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4473Y1 (ko) 2000-06-19 2000-11-15 윤한석 입체부식문양을 가진 장식 목재판재
JP3247392B2 (ja) 1996-09-25 2002-01-15 チャートパック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スクリン印刷法による陶磁器製品の浮彫り装飾方法
KR100715283B1 (ko) 2005-07-14 2007-05-04 박호춘 구조물에 무늬를 형성시키는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47392B2 (ja) 1996-09-25 2002-01-15 チャートパック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スクリン印刷法による陶磁器製品の浮彫り装飾方法
KR200204473Y1 (ko) 2000-06-19 2000-11-15 윤한석 입체부식문양을 가진 장식 목재판재
KR100715283B1 (ko) 2005-07-14 2007-05-04 박호춘 구조물에 무늬를 형성시키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04900A1 (ko) * 2014-12-24 2016-06-30 정주화 부조 제품 및 그를 위한 모델링 데이터 형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8888A (ko) 2013-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520950B (zh) 一种仿通体砖的制备工艺
KR20080070345A (ko) 다양한 외관 디자인을 갖는 인조석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18035B1 (ko) 디지털 프린터와 에폭시를 이용한 벽화타일 및 그 제조방법
KR100774295B1 (ko) 도자기의 양각 문양 성형 방법
KR101269830B1 (ko) 박지 문양을 이용한 도자기의 양각 문양 성형방법
CN109291723A (zh) 立体面木纹陶瓷砖、立体面木纹陶瓷砖浮雕效果釉层及装饰工艺
KR101110310B1 (ko) 자개 문양이 형성된 도자기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도자기
CN100584802C (zh) 具有凹凸表面的陶瓷砖的生产方法
CN113910413A (zh) 窄口瓶内表面线雕及透光珐琅陶瓷制品及其制备工艺
KR102070849B1 (ko) 타일용 성형몰드 및 이를 이용한 타일제조방법
CZ20023811A3 (cs) Způsob výroby skleněných dlaždic, skleněných bordur, skleněných dekoračních panelů apod.
CN101555165A (zh) 一种陶瓷装饰用材料和陶瓷装饰及其陶瓷装饰方法
CN200981960Y (zh) 装饰陶瓷用彩色纸
CN106431502A (zh) 一种带有天然玉石纹理瓷砖的生产工艺
KR101186722B1 (ko) 도자기 캔버스 제조방법 및 도자기 캔버스
CN1152790C (zh) 陶板工艺年画的制作方法
KR20100048839A (ko) 도자기의 양각 문양 성형용 프레스 금형
KR102675014B1 (ko) 트임기법을 이용한 도자기 제조방법
JPS5869787A (ja) 装飾品
CN202264586U (zh) 一种陶瓷壁画
KR100905751B1 (ko) 전사용 용지, 전사용 용지의 제조방법 및 전사용 용지를이용한 채색무늬 형성방법
CN107756607A (zh) 具有立体无釉装饰纹路的陶瓷制品及制备工艺和印模
UA136514U (uk) Спосіб рельєфного декорування керамічних виробів
JP2006051688A (ja) 陶磁器の加飾方法
JPH05148063A (ja) 建材の加飾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