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9735B1 - 플랩이 부착된 랩 필름 장치 - Google Patents

플랩이 부착된 랩 필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9735B1
KR101269735B1 KR1020080017081A KR20080017081A KR101269735B1 KR 101269735 B1 KR101269735 B1 KR 101269735B1 KR 1020080017081 A KR1020080017081 A KR 1020080017081A KR 20080017081 A KR20080017081 A KR 20080017081A KR 101269735 B1 KR101269735 B1 KR 101269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wall
flap
wrap film
wall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7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9608A (ko
Inventor
다다시 우메쯔
마꼬또 히데오까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구레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구레하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구레하
Publication of KR20080079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9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9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97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52Devices for discharging successive articles or portions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72Contents-disp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5Plastic
    • B65H2701/1752Polymer fil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용기로부터 인출된 랩 필름을 절단 날이 압박하여 랩 필름을 손상시키는 「날 자국」을 없애는 동시에, 랩 필름이 롤 상으로 복귀되지 않는 개량된 랩 필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랩 필름 장치에 있어서, 덮개가 상벽(21), 덮개 전방벽(24) 및 덮개 전방벽에 고착된 절단 날(22)을 갖고, 절단 날의 날 끝(223)은 덮개가 개구를 폐쇄하였을 때 상자 전방벽의 하방 외면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플랩(50)이 부전방벽과 연결하는 플랩 연결부(55)를 갖도록 상자 전방벽(121)의 일부분을 잘라 세워 형성되고, 점착제층(14)이 플랩(50)의 외면 중 적어도 일부분에 설치된다.
랩 필름 장치, 플랩, 롤, 절단 날, 용기

Description

플랩이 부착된 랩 필름 장치 {LAP FILM DEVICE WITH FLAP}
본 발명은 식품과 그 밖의 포장에 사용되는 랩 필름의 롤을 용기 내에 수용하여 용기 밖으로 랩 필름을 용이하게 인출 가능하게 한 랩 필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용기로부터 인출된 랩 필름에 절단 날이 접촉하여 랩 필름을 손상시키는 「날 자국」이라 부르는 현상이 생기지 않도록 한 랩 필름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왼손잡이인 사람 및 오른손잡이인 사람 모두에게 사용상의 불편이 생기지 않는 개량된 랩 필름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랩 필름 및 그 단부 모서리(절단 모서리)를 용기 벽면으로부터 이격시키고, 랩 필름의 단부 모서리를 손가락으로 파지하여 랩 필름을 용기 밖으로 인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플랩을 구비하는 랩 필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인출된 랩 필름의 단부 모서리가 롤 상으로 감겨 복귀되는 것을 방지한 랩 필름 장치를 제공한다.
종래, 식품과 그 밖의 포장을 위한 랩 필름의 롤을 용기 내에 수용하여 랩 필름의 사용 시에 소정량의 랩 필름을 용기 밖으로 사람 손에 의해 인출하고, 용기에 설치한 절단 날에 의해 절단하여 사용 가능하게 하는 랩 필름 장치가 알려져 있 다. 특허문헌 1은 롤 형상 랩 필름을 수납하는 용기 본체(11) 및 용기 본체의 후면부의 정상 모서리에 회전 가능하게 연접된 용기 덮개부(12)를 구비하는 포장용 필름 용기를 개시한다. 특허문헌 1의 포장용 필름 용기는 용기의 전면 벽부에 돌출편(15) 및 박리 가능한 접착제(스토퍼 니스)(19)를 구비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5-178901호 공보
종래의 랩 필름 장치에 있어서는, 랩 필름의 롤을 용기 내에 수용하여 랩 필름의 사용 시에 랩 필름을 소정의 길이만큼 용기 밖으로 사람 손에 의해 인출하고, 용기에 설치한 절단 날에 의해 절단하여 사용 가능하게 한다. 랩 필름의 롤을 용기 밖으로 인출할 때, 용기로부터 인출된 랩 필름에 절단 날이 압박되어 인출된 랩 필름을 손상시키는, 소위 「날 자국」의 문제가 있었다. 즉, 「날 자국」이 생김으로써 랩 필름이 절단되어 용기로부터 인출된 랩 필름 부분이 롤로 감겨 복귀되는 문제가 생겼다.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날 자국」을 해소한 랩 필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랩 필름 장치에 있어서는, 랩 필름 및 그 절단 모서리가 용기 외벽에 부착되면 랩 필름의 절단 모서리를 사람 손에 의해 파지하는 것이 곤란하므로, 이를 해소하기 위해, 랩 필름의 절단 모서리의 일부를 용기 외벽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플랩을 구비하고 있었다. 그러나, 오른손잡이인 사람과 왼손잡이인 사람 모두에게 적합한 구조로 되어 있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플랩은 오른손잡이인 사람에게 적합하도록, 용기를 왼손으로 잡고 잘 쓰는 팔인 오른손으로 랩 필름을 파지하여 인출할 때, 인출되는 랩 필름의 넓은 부분이 파지 부분과 사용자 사이에 있도록, 플랩은 사용자에 대해 용기의 길이 방향 중앙보다 먼 위치가 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은 배치는, 왼손잡이인 사람의 경우에는 플랩이 사용자에 대해 가까운 위치가 되어, 사용의 어려움이 생겼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왼손잡이인 사람의 불편을 해소하는 동시에 오른손잡이인 사람에게 사용의 어려움이 생기지 않게 하기 위한 개량된 플랩을 갖는 랩 필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인출된 랩 필름의 단부 모서리가 롤 상으로 복귀되지 않도록 점착제를 플랩 외면에 배치한 랩 필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및 이점은 특허청구의 범위, 첨부한 도면 및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명백해진다.
본 발명의 랩 필름 장치는 랩 필름의 롤을 용기 내에 수용하여 용기 밖으로 랩 필름이 인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용기는 상자 본체 및 덮개를 포함한다. 상자 본체는 상자 전방벽, 후방벽, 저벽 및 대향하는 2개의 상자 단부벽 및 상자 전방벽, 후방벽 및 대향하는 2개의 상자 단부벽 상변에 둘러싸인 개구를 갖고, 또한 상자 전방벽 상변에 연결되어 상자 본체 내부를 거의 상자 전방벽을 따라서 하방으로 신장되는 부전방벽, 인출된 랩 필름이 롤 상으로 복귀되는 것을 방지하는 점착제층 및 랩 필름 및 그 절단 모서리를 상자 전방벽으로부터 이격시키는 플랩을 갖는다. 덮개는 상벽, 덮개 전방벽 및 덮개 전방벽에 고착된 절단 날을 갖고, 상 벽은 후방벽 상변에 연결되고, 절단 날의 날 끝은 덮개가 개구를 폐쇄하였을 때 상자 전방벽의 하방 외면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절단 날의 날 끝의 형상은 직선 형상으로 할 수 있지만, 하방으로 돌출되는 꼭대기부를 갖는 V자형이 적합하다.
본 발명의 랩 필름 장치에 있어서, 플랩은 상자 전방벽의 일부분을 부전방벽과의 연결부를 남기고 잘라 세워 형성되고, 플랩 하부 모서리는 플랩과 부전방벽의 연결부에 의해 생기는 탄성력에 의해 상자 전방벽에 대해 회전된다. 플랩은 대향하는 2개의 상자 단부벽 사이의 거리의 2등분선을 포함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오른손잡이인 사람 및 왼손잡이인 사람 모두에 대해 1종류의 상품으로 대응할 수 있다. 또한, 플랩을 상자 단부벽 사이의 거리의 2등분선을 포함하는 위치로부터 한쪽 또는 다른 쪽으로 어긋나게 함으로써, 오른손잡이인 사람 및 왼손잡이인 사람에게 각각 적합한 상품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은 개략, 상자 본체에 수용된 롤을 기준으로 하여 절단 날에 가까운 측을 가리키고, 『후』는 그 반대측을 가리킨다. 또한, 『상』은 개략, 상자 본체에 수용된 롤을 기준으로 하여 개구에 가까운 측을 가리킨다.
본 발명의 랩 필름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다음의 구성을 구비한다. 즉, 상벽(21)의 폭, 즉 후방벽 상변(16)과 덮개 전방벽 상변(242) 사이의 치수를 A, 상벽(21)의 수평 방향으로부터의 회전각을 R, 덮개 전방벽 상변(242)으로부터 날 끝의 꼭대기부(221)까지의 치수를 S, 개구(15)의 폭, 즉 후방벽 상변(16)과 플랩 연결부(55) 사이의 치수를 B, 플랩 연결부(55)와 플랩 하부 모서리(51) 사이의 최대 치수를 H, 플랩(50)의 수직 방향으로부터의 회전각을 X라고 하면, 회전각(R, X)이 각각 다음의 식1 및 식2의 범위 중 임의의 값을 취할 때에,
[식1]
0 < R < 45 °
[식2]
0 < X < 45°
플랩 하부 모서리의 전체 영역에 있어서, 치수 A, B, S, H가
[식3]
S × cosR = A × sinR + H × cosX
[식4]
H × sinX ≤ (A × cosR + S × sinR) - B
를 만족시키도록 결정된다. 이와 같이 치수 A, B, S, H를 설정함으로써, 전술한 「날 자국」을 방지할 수 있다. 식4는 하기 식4a 및 식4b를 포함한다.
[식4a]
H × sinX < (A × cosR + S × sinR) - B
[식4b]
H × sinX = (A × cosR + S × sinR) - B
식4a의 경우에는, 절단 날의 날 끝(223)은 플랩 하부 모서리에 접촉하지 않아, 플랩 하부 모서리 상의 랩 필름을 절단하지 않는다. 식4b의 경우에는 절단 날의 날 끝(223)이 플랩 하부 모서리에 접촉하지만, 랩 필름을 압박하지 않으므로, 유연한 랩 필름은 작게 변형되는 것만으로 절단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랩 필름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랩의 연결부(55)의 길이를 W, 플랩 연결부(55)와 플랩 하부 모서리(51) 사이의 최대 치수를 H라고 하면, 비(W/H)가 0.5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 더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이다. 본 발명의 랩 필름 장치는 다음의 구성을 구비할 수 있다. (1) 상자 전방벽 및 부전방벽은 일체의 두꺼운 종이를 절곡부에 있어서 절곡하여 형성되고, 상자 전방벽 상변은 절곡부로 형성되고, 상기 플랩 연결부는 절곡부의 일부분이다. (2) 절단 날의 V자형의 꼭대기부는 대향하는 2개의 덮개 단부벽(또는 상자 단부벽) 사이의 거리의 2등분선의 근변에 위치된다. (3) 상기 플랩 하부 모서리는 직선 형상 또는 곡선 형상이고, 바람직하게는 오목형부를 갖는다. (4) 상기 플랩을 상자 전방벽으로부터 회전시키는 힘은 상기 절곡부의 복원력에 의해 생긴다. (5) 상기 점착제층은 상자 전방벽의 외면 또는 상기 플랩의 외면 상에 배치된다. (6) 절단 날의 날 끝을 덮는 동시에 상자 전방벽에 박리 가능하게 고착되는 밀봉벽을 포함한다. (7) 밀봉벽은 덮개 전방벽의 연장부에 의해 형성되는 동시에 덮개 전방벽에 대해 파단이 용이한 연결부에 의해 접속된다. 파단이 용이한 연결부는, 예를 들어 이음매이다. (8) 밀봉벽이 상자 전방벽으로부터 박리되었을 때 절단 날의 날 끝이 노출된다. 연결부는 절단 날의 날 끝으로부터 소정 치수 이격된 V자형을 이룬다. (9) 밀봉벽은 상자 전방벽에 대해 복수의 접착부에 의해 접착되어, 절단 날의 V자형의 꼭대기부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접착부의 면적을 꼭대기부로부터 먼 위치에 있는 접착부의 면적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로부터 인출된 랩 필름을 절단 날이 압박하여 랩 필름을 손상시키는 「날 자국」을 없애는 동시에, 랩 필름이 롤 상으로 복귀되지 않는 개량된 랩 필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첨부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랩 필름 장치의 사용 개시 전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2의 A는 도1의 랩 필름 장치의 밀봉벽(23)을 제거한 상태의 랩 필름 장치의 개략 사시도, 도2의 B는 상자 전방벽(121)으로부터 제거된 밀봉벽(23)의 입면도이다. 도3은 도2의 A의 랩 필름 장치의 덮개가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2의 A는 상자 전방벽(121) 상에 밀봉벽(23)을 접착하는 원형 접착부(132, 134)를 도시하지만, 도3의 전방벽(121)에 있어서는, 원형 접착부(132, 134)가 생략되어 있다.
도4는 도3의 랩 필름 장치의 용기(10)로부터 랩 필름을 사용자가 사람 손(61, 62)에 의해 인출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 단면도이고, 도5는 도2의 A의 랩 필름 장치의 상자 전방벽(121), 부전방벽(125) 등을 전개하여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1 내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랩 필름 장치(1)는 랩 필름(36)의 롤(30)을 용기(10) 내에 수용하여 용기 밖으로 랩 필름(36)을 인출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갖는다. 용기(10)는 상자 본체(12) 및 덮개(20)를 포함한다. 도4는 용기(10)를 왼손(61)으로 잡고 오른손(62)으로 랩 필름을 파지하여 인출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플랩(50)은 대향하는 2개의 상자 단부벽(123) 사이의 거리의 2 등분선을 포함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자 본체(12)는 상자 전방벽(121), 후방벽(122), 저벽(124) 및 대향하는 2개의 상자 단부벽(123) 및 상자 전방벽(121), 후방벽(122) 및 대향하는 2개의 상자 단부벽(123)의 상변에 둘러싸인 개구(15)를 갖는다. 또한, 상자 본체(12)는 상자 전방벽 상변(17)에 연결되어 상자 본체 내부를 거의 상자 전방벽(121)을 따라서 하방으로 신장되는 부전방벽(125), 인출된 랩 필름(36)이 롤(30) 상으로 복귀되는 것을 방지하는 점착제층(14)(도3 참조) 및 랩 필름 및 그 절단 모서리(361)를 상자 전방벽(121)으로부터 이격시키는 플랩(50)을 구비한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20)는 대응하는 2개의 덮개 단부벽(25)을 구비한다. 또한, 상자 전방벽(121)은 상자 단부벽(123)에 고착 가능한 고착부(136)를 구비한다.
덮개(20)는 상벽(21), 덮개 전방벽(24) 및 덮개 전방벽에 고착된 절단 날(22)을 갖는다. 상벽(21)은 후방벽 상변(16)에 연결된다. 절단 날(22)은 덮개(20)가 상자 본체의 개구(15)를 폐쇄하였을 때 상자 전방벽(121)의 하방 외면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동시에 하방으로 돌출되는 꼭대기부(221)를 갖는 V자형을 갖는다. 절단 날의 V자형의 꼭대기부(221)는 대향하는 2개의 덮개 단부벽(25, 25) 사이의 거리의 2등분선(2)의 근변에 위치된다.
도4는 용기(10)를 왼손(61)으로 잡고 오른손(62)으로 랩 필름(36)을 파지하여 인출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플랩(50)은 대향하는 2개의 상자 단부벽(123) 사이의 거리의 2등분선을 포함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그로 인해, 사용자에게 근접하는 상자 단부벽(123)과 플랩(50)(랩 필름의 손잡이 위치) 사이의 랩 필름의 치수(폭) 와, 사용자로부터 이격되는 상자 단부벽(123)과 플랩 사이의 랩 필름 치수가 거의 갖다. 플랩(50)이 대향하는 2개의 상자 단부벽(123) 사이의 거리의 2등분선을 포함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도4와는 손을 반대로 한 경우, 즉 용기(10)를 오른손(62)으로 잡고 왼손(61)으로 랩 필름(36)을 파지하여 인출하는 경우에도, 사용자에게 근접하는 상자 단부벽(123)과 플랩(50)(랩 필름의 손잡이 위치) 사이의 랩 필름의 치수(폭)와 사용자로부터 이격되는 상자 단부벽(123)과 플랩(50) 사이의 랩 필름 치수가 거의 동등해지므로, 종래의 사용의 어려움이 생기지 않는다.
도6은 본 발명의 랩 필름 장치의 플랩(50)을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이고, 도7은 도6의 플랩(50)의 개략 사시도이다. 랩 필름(36) 및 그 절단 모서리(361)를 상자 전방벽(121)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플랩(50)은, 도6 및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자 전방벽(121)의 일부분을 부전방벽(125)과의 연결부(55)를 남기고 잘라 세워 형성된다. 플랩(50)의 하부 모서리(51)는 연결부(55)에 의해 생기는 탄성력에 의해 상자 전방벽(121)으로부터 이격된다. 플랩(50)은 대향하는 2개의 상자 단부벽(123) 사이의 거리의 2등분선(2)을 포함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플랩(50)의 형상은 하부 모서리(51)가 직선 형상 또는 곡선 형상이라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플랩(50)의 형태는 사각형(정사각형, 직사각형) 또는 플랩 연결부(55)와 하부 모서리(51)를 상부 바닥 혹은 하부 바닥으로 한 사다리꼴이라도 좋다. 또한, 하부 모서리(51)의 중앙부가 오목형(52)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오목형(52)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V자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오목형(52)은,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U자형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오목형(52) 상에 적재된 랩 필름이 플랩면 으로부터 약간 오목함으로써, 절단 날의 V자형의 꼭대기부(221)의 「날 자국」이 저감되는 효과가 생긴다. 덧붙여, 필름을 파지할 때에 오목형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필름을 파지하기 쉬워지는 효과를 갖는다. 오목형(52)은 U자형 또는 V자형의 절결부를 가질 수 있다. 도6 및 도10에 있어서, 플랩(50)의 연결부의 길이(W)와 플랩의 최대 높이[플랩 연결부(55)와 플랩 하부 모서리(51) 사이의 최대 치수]의 비(W/H)는 0.5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 더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이다. 플랩의 연결부의 길이(W)가 플랩의 최대 높이(H), 즉 연결부에 수직 방향의 치수에 대해, 2 이상인 경우, 연결부에 의해 플랩에 부여되는 탄성력이 커서, 플랩의 하부 모서리가 상자 전방벽(121)에 부착되거나 충분히 이격되지 않는 문제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오목형(52)에 결합하는 랩 필름 부분은 상자 전방벽(121)에 근접하여 위치되므로, 그 외측을 회전하는 V자형 절단 날(22)의 꼭대기부(221)에 의해 압박되어 손상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인출된 랩 필름(36)이 롤(30) 상으로 복귀되는 것을 방지하는 점착제층(14)은 플랩(50)의 외면 상에 배치된다. 플랩(50)의 외면은 그 하변이 상자 전방벽(121) 외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랩 필름(36)의 절단 모서리에 접촉하기 쉬운 위치에 있으므로, 플랩(50)의 외면 상의 점착제층은 인출된 랩 필름(36)의 절단 모서리를 확실하게 접착하여 유지한다.
도1, 도2의 A 및 도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랩 필름 장치(1)는 절단 날(22)의 날 끝을 덮는 동시에 상자 전방벽(121)에 박리 가능하게 고착되는 밀봉벽(23)을 포함한다. 밀봉벽(23)은 덮개 전방벽(24)의 연장부에 의해 형성되고, 덮 개 전방벽(24)에 대해 파단이 용이한 연결부(241)에 의해 접속된다. 연결부(241)는 밀봉벽(23)이 상자 전방벽(121)으로부터 박리되었을 때 절단 날(22)의 날 끝(223)이 노출되도록 날 끝(223)으로부터 소정 치수 이격된 V자형을 이룬다. 또한, 도2의 A 및 도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봉벽(23)은 상자 전방벽(121)에 대해 복수의 접착부(132, 134)에 의해 접착된다. 복수의 접착부는 각각 원형을 갖고, 인접하는 원형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동등하며, 또한 절단 날(22)의 V자형의 꼭대기부(221)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접착부(134)의 면적을 꼭대기부(221)로부터 먼 위치에 있는 접착부(132)의 면적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도8은 덮개(20)가 어느 정도 개방 위치로 이동된 도2의 A의 랩 필름 장치의 2등분선(2)을 포함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 날(22)의 V자형의 꼭대기부(221)는 덮개(20)가 상자 본체(12)의 개구(15)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후방벽 상변(16)의 주위로 각도(R) 회전되면, 덮개 전방벽(24)의 상변(242)으로부터의 수직 방향 치수(S)가 클수록 인출된 랩 필름(36)으로부터 큰 거리만큼 이격된다. 치수(S)는 크게 함으로써 절단 날(22)의 V자형의 꼭대기부(221)가 인출된 랩 필름(36)을 압박하여 절단하는 「날 자국」을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날 자국」을 감소시키기 위해 치수(S)를 크게 하면, 도2의 B에 도시하는 밀봉벽(23)의 선(2) 부근의 수직 치수(T)가 작아진다. 밀봉벽(23)은 날 끝(223)을 가리는 동시에, 부서지지 않고 상자 전방벽(121) 표면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이 필요하고, 또한 랩 필름 장치의 사용 전에는 확실하게 상자 전방벽(121) 표면에 접착되어 절단 날의 날 끝(223)을 덮고 있는 것이 요구된다. 그로 인해, 밀봉 벽(23)의 2등분선(2) 부근의 수직 치수(T)는 일정값 이상, 예를 들어 10 ㎜ 이상 필요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단 날(22)의 V자형의 꼭대기부(221)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접착부(134, 134)의 면적을 꼭대기부(221)로부터 먼 위치에 있는 접착부(132)의 면적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도8에 있어서, 절단 날(22)의 V자형의 꼭대기부(221)가, 플랩 하부 모서리(51)와 상하 방향의 위치가 일치하였을 때에, 꼭대기부(221)가 플랩(50)을 압박하지 않는 것이 「날 자국」을 일으키지 않는 조건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랩 필름 장치에 있어서는, 상벽(21)의 폭, 즉 후방벽 상변(16)과 덮개 전방벽 상변(242) 사이의 치수를 A, 상벽(21)의 수평 방향으로부터의 회전각을 R, 덮개 전방벽 상변(242)으로부터 날 끝의 꼭대기부(221)까지의 치수를 S, 개구(15)의 폭, 즉 후방벽 상변(16)과 절곡부(55) 사이의 치수를 B, 플랩 절곡부(55)와 플랩 하부 모서리(51) 사이의 최대 치수를 H, 플랩(50)의 수직 방향으로부터의 회전각을 X라고 하면, 회전각(R, X)이 각각 다음의 식1 및 식2의 범위 중 임의의 값을 취할 때에,
[식1]
0 < R < 45 °
[식2]
0 < X < 45°
플랩 하부 모서리의 전체 영역에 있어서, 치수(A, B, S, H)가,
[식3]
S × cosR = A × sinR + H × cosX
[식4]
H × sinX ≤ (A × cosR + S × sinR) - B
를 만족시키도록 치수(A, B, S 및 H)가 선택된다. 일 예로서, X = 4°일 때 절단 날의 V자형의 꼭대기부(221)가 플랩 하부 모서리의 최대 치수 부분과 접하는 각도는, A = 43 ㎜, B = 43 ㎜, S = 27 ㎜, H = 20 ㎜일 때 R = 9°가 된다. 그때, 계산식으로부터 H × sinX = 3.10 ㎜, (A × cosR + S × sinR) - B = 3.70 ㎜가 되어, 상기 식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의해, 랩 필름 장치의 전술한 「날 자국」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식4는 H × sinX = (A × cosR + S × sinR) - B(식4b)의 경우를 포함하지만, 이 경우, 절단 날의 날 끝(223)이 플랩 하부 모서리에 접촉하는 것만으로 랩 필름을 압박하지 않으므로, 유연한 랩 필름은 절단(손상)되지 않는다. 즉, 실질적으로 「날 자국」을 일으키지 않는다. 본 발명의 랩 필름 장치에 있어서, 플랩은, 바람직하게는 대향하는 2개의 상자 단부벽 사이의 거리의 2등분선을 포함하도록 배치된다. 그로 인해, 사용자에게 근접하는 상자 단부벽과 플랩(랩 필름의 손잡이 위치) 사이의 랩 필름의 치수(폭)와, 사용자로부터 이격되는 상자 단부벽과 플랩 사이의 랩 필름 치수가 거의 동등하다. 그로 인해, 상기 2등분선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플랩이 설치된 경우의 왼손잡이인 사람 또는 오른손잡이인 사람 중 어느 한쪽에 생기는 불편을 해소하여, 오른손잡이인 사람 및 왼손잡이인 사람 모두에게 사용하기 쉬운 랩 필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랩 필름 장치에 있어서, 플랩의 하부 모서리는 오목부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을 취함으로써, 「날 자국」, 즉 랩 필름에 V자형 절단 날의 꼭대기부 부근이 압박되어 랩 필름이 절단되는 문제가 생기지 않는 개량된 랩 필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랩 필름 장치에 있어서, 인출된 랩 필름이 롤 상으로 복귀되는 것을 방지하는 점착제층은 플랩의 외면 상에 배치된다. 플랩의 외면은 그 하변이 상자 전방벽의 외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랩 필름 및 그 절단 모서리(단부 모서리)에 접촉하기 쉬운 위치에 있으므로, 플랩의 외면 상의 점착제층은 인출된 랩 필름의 단부 모서리를 더 확실하게 점착하여 유지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9는 도3의 랩 필름 장치의 변형예이고, 랩 필름 장치의 덮개가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다. 도9의 랩 필름 장치에 있어서는, 플랩(50)이 2개의 상자 단부벽 사이의 거리의 2등분선을 포함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9에 있어서, 롤(30)로부터 인출된 랩 필름(36)의 단부가 롤(30) 상으로 복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점착제층(14)은 플랩(50)의 외면 상에 배치되고, 또한 상자 전방벽(121) 상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랩 필름 장치에 있어서, 밀봉벽은 덮개 전방벽의 연장부에 의해 형성되는 동시에 덮개 전방벽에 대해 파단이 용이한 연결부에 의해 접속된다. 밀봉벽이 상자 전방벽으로부터 박리되었을 때 절단 날의 날 끝이 노출되도록 연결부는 절단 날의 날 끝으로부터 소정 치수 이격된 V자형을 갖는다. 밀봉벽은 상자 전방벽에 대해 복수의 접착부에 의해 접착되어, 절단 날의 V자형의 꼭대기부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접착부의 면적이 꼭대기부로부터 먼 위치에 있는 접착부의 면적보다 작다. 그로 인해, 밀봉벽은 날 끝을 가리는 동시에, 부서지지 않고 상자 전방 벽 표면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랩 필름 장치의 사용 전에는 확실하게 상자 전방벽 표면에 접착되어 절단 날의 날 끝을 덮을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플랩의 하부 모서리의 중앙부 부근이 오목형이 되고, 플랩의 연결부의 길이(W)와 플랩의 최대 높이(H)의 비(W/H)가 2 이상(도6, 도10)이다. 즉, 플랩의 연결부의 치수(W)가 플랩의 최대 높이(H), 즉 연결부에 수직 방향의 치수에 대해 2 이상인 것에 의해, 연결부에 의해 플랩에 부여되는 탄성력이 커서, 플랩의 하부 모서리가 상자 전방벽(121)에 부착되거나 충분히 이격되지 않는 문제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플랩의 오목형 부분에 결합하는 랩 필름 부분은 상자 전방벽에 근접하여 위치되고, 그 외측을 회전하는 V자형 절단 날의 꼭대기부에 의해 압박되어 손상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3, 도5, 도6의 실시예에 있어서, 절단 날(22)의 V자형의 꼭대기부(221) 및 플랩의 하부 모서리(51)의 오목형의 중심이 대향하는 상자 단부벽(123, 123) 사이의 거리의 2등분선(2) 상에 위치됨으로써, V자형의 꼭대기부(221)가 플랩의 하부 모서리(51)로부터 이격되고, 그것에 의해 절단 날의 꼭대기부(221)가 플랩의 하부 모서리(51) 상의 랩 필름으로 압박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2등분선(2) 상에 위치되는 대신에, 2등분선(2)과 평행한 직선(2')(도10) 상에 절단 날(22)의 V자형의 꼭대기부(221) 및 플랩의 하부 모서리(51)의 오목형의 중심을 위치함으로써, 절단 날의 꼭대기부(221)가 플랩의 하부 모서리(51) 상의 랩 필름을 압박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랩 필름 장치의 사용 개시 전의 개략 사시도.
도2의 A는 도1의 랩 필름 장치의 밀봉벽(23)을 제거한 상태의 랩 필름 장치의 개략 사시도, 도2의 B는 밀봉벽(23)의 입면도.
도3은 도2의 A의 랩 필름 장치의 덮개가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4는 도3의 랩 필름 장치로부터 랩 필름을 사람 손에 의해 인출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 단면도.
도5는 도2의 A의 랩 필름 장치의 상자 전방벽 및 부전방벽을 전개하여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랩 필름 장치의 플랩 부분을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7은 도6의 플랩 부분의 개략 사시도.
도8은 덮개가 어느 정도 개방 위치로 이동된 도2의 A의 랩 필름 장치의 2등분선(2)을 따르는 개략 단면도.
도9는 도3과 동일한 랩 필름 장치의 덮개가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고, 플랩이 2개의 상자 단부벽 사이의 거리의 2등분선을 포함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 도면.
도10은 플랩의 하부 모서리를 U자형으로 한 플랩 부분의 개략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랩 필름 장치
2 : 2등분선
2' : 오목형의 중심선
10 : 용기
12 : 상자 본체
14 : 점착제층
15 : 개구
16 : 후방벽 상변
17 : 상자 전방벽 상변(절곡부)
20 : 덮개
21 : 상벽
22 : 절단 날
23 : 밀봉벽
24 : 덮개 전방벽
25 : 덮개 단부벽
30 : 롤
36 : 랩 필름
50 : 플랩
51 : 플랩 하부 모서리
52 : 오목형부
55 : 플랩 연결부(상변)
57 : 반원형 부분
61 : 왼손
62 : 오른손
121 : 상자 전방벽
122 : 후방벽
123 : 상자 단부벽
124 : 저벽
125 : 부전방벽
132, 134 : 접착부
136 : 고착부
221 : 꼭대기부
223 : 날 끝
241 : 연결부
242 : 덮개 전방벽 상변
361 : 랩 필름 단부 모서리
H : 플랩의 최대 치수
W : 플랩의 연결부의 길이

Claims (12)

  1. 랩 필름의 롤(30)을 용기(10) 내에 수용하여 용기 밖으로 랩 필름을 인출 가능하게 한 랩 필름 장치이며,
    용기는 상자 본체(12) 및 덮개(20)를 포함하고,
    상자 본체(12)는,
    상자 전방벽(121)과,
    후방벽(122)과,
    저벽(124)과,
    대향하는 2개의 상자 단부벽(123)과,
    상자 전방벽 상변, 후방벽 상변, 및 상기 2개의 상자 단부벽 상변에 둘러싸인 개구(15)와,
    상자 전방벽 상변에 연결되어 상자 본체 내부를 상자 전방벽을 따라서 하방으로 신장되는 부전방벽(125)과,
    랩 필름 단부 모서리(361)를 상자 전방벽으로부터 이격시키는 플랩(50)을 갖고,
    덮개는 상벽(21), 덮개 전방벽(24) 및 덮개 전방벽에 고착된 절단 날(22)을 갖고, 상벽(21)은 후방벽 상변(16)에 연결되고, 절단 날의 날 끝(223)은 덮개가 개구를 폐쇄하였을 때 상자 전방벽의 하방 외면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플랩(50)은 부전방벽과 연결하는 플랩 연결부(55)를 갖도록 상자 전방벽(121)의 일부분을 잘라 세워 형성되고,
    인출된 랩 필름(36)이 롤 상으로 복귀되는 것을 방지하는 점착제층(14)이 상자 전방벽(121)의 외면 또는 상기 플랩(50)의 외면 상에 배치되어 있고,
    상벽(21)의 폭, 즉 후방벽 상변(16)과 덮개 전방벽 상변(242) 사이의 치수를 A, 상벽(21)의 수평 방향으로부터의 회전각을 R, 덮개 전방벽 상변(242)으로부터 날 끝의 꼭대기부(221)까지의 치수를 S, 개구(15)의 폭, 즉 후방벽 상변(16)과 상자 전방벽 상변(17) 사이의 치수를 B, 플랩 연결부(55)와 플랩 하부 모서리(51) 사이의 최대 치수를 H, 플랩(50)의 수직 방향으로부터의 회전각을 X라고 하면, 회전각(R, X)이 각각 다음의 식1 및 식2의 범위 중 임의의 값을 취할 때에,
    [식1]
    0 < R < 45°
    [식2]
    0 < X < 45°
    플랩 하부 모서리의 전체 영역에 있어서,
    [식3]
    S × cosR = A × sinR + H × cosX
    [식4]
    H × sinX ≤ (A × cosR + S × sinR) - B
    가 만족되고,
    상기 플랩(50)은 상기 플랩 연결부(55)의 복원력에 의해 상자 전방벽으로부터 상기 회전각(X)만큼 회전된 상태에서, 덮개(20)가 개구(15)를 폐쇄하였을 때 상기 날 끝(223)이 플랩(50)을 압박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 필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의 연결부(55)의 길이를 W, 플랩 연결부(55)와 플랩 하부 모서리(51) 사이의 최대 치수를 H라고 하면, 비(W/H)가 0.5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 필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50)은 대향하는 2개의 상자 단부벽(123, 123) 사이의 거리의 2등분선(2)을 포함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절단 날의 날 끝(223)은 덮개가 개구를 폐쇄하였을 때 상자 전방벽의 하방 외면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동시에 하방으로 돌출되는 꼭대기부(221)를 갖는 V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 필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 전방벽(121) 및 부전방벽(125)은 1매의 두꺼운 종이로 이루어지고, 상자 전방벽 상변(17)은 상기 두꺼운 종이의 절곡부이고,
    플랩 연결부(55)는 상기 절곡부의 일부분이고,
    절단 날(22)의 V자형의 꼭대기부(221)는, 대향하는 2개의 상자 단부벽(123, 123) 사이의 거리의 2등분선(2)의 근변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 필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50)은 직선 형상 또는 곡선 형상의 하부 모서리(5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 필름 장치.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50)의 하부 모서리(51)가 오목형(5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 필름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날(22)이 직선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 필름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또한, 절단 날의 날 끝(223)을 덮는 동시에 상자 전방벽(121)에 박리 가능하게 고착되는 밀봉벽(23)을 포함하고, 밀봉벽(23)은 덮개 전방벽(24)의 연장부에 의해 형성되는 동시에 덮개 전방벽에 대해 파단이 용이한 연결부(241)에 의해 접속되고, 밀봉벽(23)이 상자 전방벽으로부터 박리되었을 때 절단 날의 날 끝(223)이 노출되도록 상자 전방벽에 대해 복수의 접착부(132, 134)에 의해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 필름 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또한, 절단 날의 날 끝(223)을 덮는 동시에 상자 전방벽(121)에 박리 가능하게 고착되는 밀봉벽(23)을 포함하고, 밀봉벽(23)은 덮개 전방벽(24)의 연장부에 의해 형성되는 동시에 덮개 전방벽에 대해 파단이 용이한 연결부(241)에 의해 접속되고, 밀봉벽(23)이 상자 전방벽으로부터 박리되었을 때 절단 날의 날 끝(223)이 노출되도록 상자 전방벽에 대해 복수의 접착부(132, 134)에 의해 접착되고, 절단 날의 꼭대기부(221)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접착부(134)의 면적이 꼭대기부로부터 먼 위치에 있는 접착부(132)의 면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 필름 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080017081A 2007-02-27 2008-02-26 플랩이 부착된 랩 필름 장치 KR1012697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046509 2007-02-27
JPJP-P-2007-00046516 2007-02-27
JP2007046516 2007-02-27
JP2007046509 2007-02-27
JP2008022525A JP5465386B2 (ja) 2007-02-27 2008-02-01 フラップ付きラップフィルム装置
JPJP-P-2008-00022525 2008-02-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9608A KR20080079608A (ko) 2008-09-01
KR101269735B1 true KR101269735B1 (ko) 2013-05-30

Family

ID=39911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7081A KR101269735B1 (ko) 2007-02-27 2008-02-26 플랩이 부착된 랩 필름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465386B2 (ko)
KR (1) KR101269735B1 (ko)
HK (1) HK1124819A1 (ko)
TW (1) TWI46010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01814A (ja) * 2010-11-09 2012-05-31 Kureha Corp ラップフィルム収納容器およびラップフィルム供給具
JP2013063802A (ja) * 2011-09-01 2013-04-11 Kureha Corp 巻回体収容箱及び巻回体入り収容箱
JP5083852B1 (ja) * 2012-05-08 2012-11-28 哲夫 村山 ラップフィルム容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1104A (ja) * 1999-07-19 2001-02-06 Kao Corp ラップカートン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7082A (ja) * 1995-09-08 1997-03-25 Masahide Nakamura ラップカットホルダー
JP3827761B2 (ja) * 1996-01-25 2006-09-27 株式会社クレハ 包装用容器
JP2000109091A (ja) * 1998-10-01 2000-04-18 Kazusato Sato ラップの取り出し機能
JP2001031103A (ja) * 1999-07-16 2001-02-06 Furubayashi Shiko Co Ltd 刃付シート収納容器
JP4753481B2 (ja) * 2001-03-15 2011-08-24 株式会社クレハ 包装用容器
JP4326431B2 (ja) * 2003-10-15 2009-09-09 株式会社クレハ 包装用フィルム容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1104A (ja) * 1999-07-19 2001-02-06 Kao Corp ラップカート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239252A (ja) 2008-10-09
TW200902391A (en) 2009-01-16
JP5465386B2 (ja) 2014-04-09
HK1124819A1 (en) 2009-07-24
TWI460106B (zh) 2014-11-11
KR20080079608A (ko) 2008-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79610A (ko) 플랩이 부착된 랩 필름 장치
TWI228479B (en) Packaging unit, packaging unit and article combination, packaging unit containing an article, and method for facilitating opening a packaging unit
KR20080079609A (ko) 플랩이 부착된 랩 필름 장치
KR100781305B1 (ko) 포장용 용기
KR101269735B1 (ko) 플랩이 부착된 랩 필름 장치
JP4889477B2 (ja) ラップフィルム装置の安全構造
TWI482723B (zh) 捲撓體收納盒及裝有捲撓體之收納盒
JP4996954B2 (ja) 食品用の包装袋
JP4632334B2 (ja) 包装用容器
JP2011225238A (ja) 袋体のオープンラベル
JP5670663B2 (ja) 収納ケース
JP5083852B1 (ja) ラップフィルム容器
KR101257312B1 (ko) 물티슈용 포장팩
JPH0419092B2 (ko)
JP2000203574A (ja) 裂開容器用開蓋補助具
JP6170353B2 (ja) ラップフィルム包装箱
JP3124110U (ja) ラップフィルム又はアルミホイル用鋸刃付き収納箱及び該収納箱入りラップフィルム又はアルミホイル
KR200325983Y1 (ko) 포장과 개봉이 용이한 비닐봉지
JP2023176915A (ja) ロールクリーナーの粘着テープ切断具
JPH0510237U (ja) ロールの包装箱
JPH0237707Y2 (ko)
JPH0710762U (ja) 包装体の蓋用ラベル
JP3011666B2 (ja) シート分配ケース
JP3009219U (ja) 剥離用耳片付き粘着テープ
JP2004142817A (ja) スクロールラップ収容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