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8671B1 - 유닛 브레이크 - Google Patents

유닛 브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8671B1
KR101268671B1 KR1020117011806A KR20117011806A KR101268671B1 KR 101268671 B1 KR101268671 B1 KR 101268671B1 KR 1020117011806 A KR1020117011806 A KR 1020117011806A KR 20117011806 A KR20117011806 A KR 20117011806A KR 101268671 B1 KR101268671 B1 KR 101268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rod
shoe head
brake
shoe
link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1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3619A (ko
Inventor
요시오 아사노
미츠마사 모리타
히데유키 오이에
Original Assignee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73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3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8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8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16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 F16D65/22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pressing members apart, e.g. for drum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9/00Brakes with a braking member co-operating with the periphery of a drum, wheel-rim,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00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 B60T1/02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by retarding wheels
    • B60T1/04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by retarding wheels acting directly on t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1/00Applications or arrangements of brakes with a braking member or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periphery of the wheel rim, a drum,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1/00Applications or arrangements of brakes with a braking member or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periphery of the wheel rim, a drum, or the like
    • B61H1/003Applications or arrangements of brakes with a braking member or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periphery of the wheel rim, a drum, or the like with an actuator directly acting on a brake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13/00Actuating rail vehicle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1/00Type of actuator operation force
    • F16D2121/02Fl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18Mechanical mechanisms
    • F16D2125/58Mechanical mechanisms transmitting linear movement
    • F16D2125/66W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푸시로드에 작용하는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상방에 배치되는 대차 기기 등과의 간섭을 억제할 수 있는 유닛 브레이크를 제공한다. 유닛 브레이크(1)는, 브레이크 본체(11)로부터 진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푸시로드(12)와, 푸시로드(12)의 진출 방향의 선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슈 헤드(13)와, 슈 헤드(13)에 있어서의, 푸시로드(12)와의 연결 위치보다도 상부에, 슈 헤드(13)의 푸시로드(12)에 대한 회전축과 대략 평행한 축 둘레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링크 부재(14)와, 브레이크 본체(11)에 있어서의, 슈 헤드(13)와 푸시로드(12)의 연결 위치보다도 하방에 설치되고, 링크 부재(14)가 슈 헤드의 푸시로드(12)에 대한 회전축과 대략 평행한 축 둘레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 아암(15)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유닛 브레이크{UNIT BRAKE}
본 발명은, 철도 차량 등에 이용되고, 브레이크 슈를 차륜에 가압하여 당해 차륜의 회전을 제동하기 위한 유닛 브레이크에 관한 것이다.
종래, 브레이크 슈를 차륜에 가압하여 당해 차륜의 회전을 제동하기 위한 유닛 브레이크로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유닛 브레이크는, 압력 유체의 급배구를 가지는 본체와, 당해 본체의 외부로 돌출하고, 선단에 제륜자가 연결된 푸시로드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된 지지 아암과, 일단이 상기 본체의 상기 지지 아암에 핀으로 축 지지됨과 더불어 타단이 상기 푸시로드의 선단에 축 지지된 매달음구(具)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 지지 아암으로부터 상기 매달음구를 통하여 상기 푸시로드가 지지되므로, 푸시로드에 작용하는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소 59-192664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유닛 브레이크는, 매달음구와 지지 아암과 제륜자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서, 지지 아암이 푸시로드 및 제륜자의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륜자보다도 상방에 배치되는 대차 기재(대차의 구성 요소나 공기 배관 등)와 간섭하기 쉽다.
특히, 기존 설치의 유닛 브레이크를 새로운 유닛 브레이크로 변경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새로운 유닛 브레이크와 기존 설치의 대차 기재의 간섭이 생기면, 기존 설치의 대차 기재도 변경할 필요가 생기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함으로써, 푸시로드에 작용하는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상방에 배치되는 대차 기재 등과의 간섭을 억제할 수 있는 유닛 브레이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유닛 브레이크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하와 같은 몇개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유닛 브레이크는, 이하의 특징을 단독으로, 혹은, 적절히 조합하여 구비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관련된 유닛 브레이크에 있어서의 제1의 특징은, 브레이크 본체로부터 진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푸시로드와, 상기 푸시로드의 진출 방향의 선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차륜에 맞닿아 당해 차륜의 회전을 제동하는 브레이크 슈가 부착되는 슈 헤드와, 상기 슈 헤드에 있어서의, 상기 푸시로드와의 연결 위치보다도 상부에, 상기 슈 헤드의 상기 푸시로드에 대한 회전축과 대략 평행한 축 둘레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링크 부재와, 상기 브레이크 본체에 있어서의, 상기 슈 헤드와 상기 푸시로드의 연결 위치보다도 하방에 설치되고, 상기 링크 부재가 상기 슈 헤드의 상기 푸시로드에 대한 회전축과 대략 평행한 축 둘레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 아암을 구비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지지 아암으로부터 링크 부재를 통하여 슈 헤드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푸시로드에 작용하는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 아암은, 푸시로드보다도 하방에 설치됨과 더불어, 링크 부재는, 당해 지지 아암과 슈 헤드의 사이에 배치되므로, 당해 지지 아암과 당해 링크 부재가, 슈 헤드보다도 상방에 배치되는 대차 기재 등과 간섭하기 어렵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유닛 브레이크에 있어서의 제2의 특징은, 상기 푸시로드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슈 헤드에 있어서의 당해 푸시로드와의 연결 위치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연결되는 연장부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푸시로드에 대하여 슈 헤드가 기우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유닛 브레이크에 있어서의 제3의 특징은, 상기 연장부는, 마찰에 의해 상기 슈 헤드의 상기 푸시로드에 대한 경동(傾動)을 규제하도록, 상기 슈 헤드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슈 헤드의 기울기를 규제하는 소정의 마찰력보다도 큰 힘이 당해 슈 헤드에 작용한 경우는, 당해 슈 헤드는 푸시로드에 대하여 경동한다. 이 때문에, 브레이크 시에 브레이크 슈에 있어서의 제동면의 각도가 적절하지 않고, 차륜과 브레이크 슈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경우에도, 이하와 같이, 슈 헤드의 각도가 적절한 각도로 조정된다. 즉, 슈 헤드가 푸시로드에 의해 차륜측으로 밀려넣어짐으로써, 상기 소정의 마찰력을 넘어서 당해 슈 헤드에 경동력이 작용하여, 당해 슈 헤드가 자동적으로 적절한 각도로 조정된다. 이에 따라, 브레이크 시에 있어서, 차륜과 브레이크 슈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유닛 브레이크에 있어서의 제4의 특징은, 상기 지지 아암은, 상기 연장부와 상기 슈 헤드의 연결 위치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지지 아암이 슈 헤드보다도 낮은 위치에 배치되지 않으므로, 차량의 주행 시에 있어서, 당해 지지 아암이 지면측에 재치된 부재 등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유닛 브레이크에 있어서의 제5의 특징은, 상기 브레이크 본체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푸시로드와 함께 진퇴 이동하도록 설치되고, 당해 푸시로드의 진퇴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는 지지 축을 가지는 조정체와, 상기 지지 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롤러와, 상기 브레이크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구동 기구에 의해, 상기 푸시로드의 진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고, 또한, 상기 지지 축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되는 쐐기체를 구비하고, 상기 쐐기체는, 상기 롤러를 향하여 이동했을 때에 당해 롤러를 상기 푸시로드의 진출 방향으로 부세(付勢) 가능한, 당해 쐐기체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푸시로드를 진퇴시키기 위한 기구를, 푸시로드의 진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고, 또한, 지지 축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작아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유닛 브레이크에 있어서의 제6의 특징은, 상기 지지 축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지지 아암은, 상기 지지 축의 하단의 위치보다도 상방에서 상기 링크 부재에 연결되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지지 아암이, 지지 축의 하단보다도 낮은 위치에 배치되지 않으므로, 차량의 주행 시에 있어서, 당해 지지 아암이 지면측에 재치된 부재 등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링크 부재를 통하여 지지 아암으로 슈 헤드를 지지함으로써, 푸시로드에 작용하는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고, 또한, 지지 아암과 링크 부재가, 대차 기재 등과 간섭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된 유닛 브레이크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 모식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유닛 브레이크(1)의 S1-S1 단면 모식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유닛 브레이크(1)의 S2-S2 단면 모식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마찰 기구의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련된 유닛 브레이크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 모식도.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철도 차량의 차륜의 회전을 제동하기 위한 유닛 브레이크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차륜의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을 「차량의 폭 방향」, 차량의 진행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차량의 전후 방향」, 당해 차량의 폭 방향 및 차량의 전후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을 「차량의 상하 방향」으로 기재한다.
도 1∼도 3에 도시하는 유닛 브레이크(1)는, 압력 유체의 급배구(11a)를 가지는 상자형상의 브레이크 본체(11)와, 브레이크 본체(11)로부터 진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푸시로드(12)와, 푸시로드(12)의 선단에 연결되는 슈 헤드(13)와, 슈 헤드(13)에 연결된 링크 부재(14)와, 브레이크 본체(11)의 전면으로부터 대략 수평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링크 부재(14)와 연결하는 지지 아암(15)을 구비한다. 또한, 슈 헤드(13)의 전면에는, 차륜의 답면(踏面)에 맞닿아 당해 차륜의 회전을 제동하는 브레이크 슈(도시하지 않음)가 부착된다.
<슈 헤드의 지지 기구에 대해서>
푸시로드(12)는, 후술하는 브레이크 본체(11) 내의 기구에 의해, 차륜을 향해서 진출하는 방향(도 1에 있어서의 화살표 X1 방향) 및 차륜으로부터 퇴피하는 방향(도 1에 있어서의 화살표 X2 방향)으로 이동된다.
슈 헤드(13)는, 소정의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쌍의 측판(31, 31)과, 당해 한쌍의 측판의 전방 가장자리부에 접속된 원호상으로 만곡한 전면 판부(32)를 가진다. 전면 판부(32)는, 상부측과 하부측으로 분할되어 있다. 푸시로드(12)의 진출 방향에 있어서의 선단부는, 한쌍의 측판(31, 31)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차량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슈 헤드 핀(91)이 한쌍의 측판(31, 31)과 당해 푸시로드(12)의 선단부를 관통하고 있다. 이에 따라, 슈 헤드(13)가 푸시로드(12)에 대하여 슈 헤드핀(91) 둘레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푸시로드(12)는, 진출 방향의 선단부에 있어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판(16)(연장부)이 설치되어 있다. 연장판(16)은, 푸시로드(12)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푸시로드(12)로부터 약 90도 굴곡하여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확대하여 도시하는 바와같이, 연장판(16)의 하단부는, 푸시로드(12)의 진퇴 방향으로 평행한 면(16a, 16a)을 가지고 있다. 또한, 당해 연장판(16)의 하단부는, 슈 헤드(13)의 한쌍의 측판(31, 31)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당해 연장판(16)의 하단부에는, 슈 헤드(13)의 회전 방향과 대략 일치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16b)이 형성되어 있다 (도 1 참조).
장공(16b)을 사이에 둔 슈 헤드(13)의 측판(31, 31)에는, 각각 동심 구멍(31a)이 형성되어 있다. 이 동심 구멍(31a)에는 스프링 박스(33)가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넣어져 있다. 이 스프링 박스(33)의 내향 공간에는, 권회 스프링(34)이 수납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 박스(33)의 중심 구멍(33a)에 부착 볼트(35)가 삽입되고, 더블 너트(38)를 조임으로써, 스프링 박스(33)를 내향으로 조일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연장판(16)의 양측의 평행한 면(16a, 16a)과, 와셔(37, 37)의 사이에, 마찰판(36, 36)이 끼워져 있다. 당해 와셔(37, 37)에 권회 스프링(34, 34)의 부세력이 내향으로 작용한다. 마찰판(36, 36) 및 와셔(37, 37)는, 장공(16b)을 관통하는 부착 볼트(35)에 지지되어 있고, 더블 너트(38)의 조임 정도로, 마찰판(36, 36)의 연장판(16)에의 가압력을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링크 부재(14)의 상단부는, 슈 헤드(13)의 상단부에, 슈 헤드 핀(91)과 평행한 축 둘레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링크 부재(14)는, 슈 헤드(13)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하로 연장되는 한쌍의 판상 부재(14a, 14a)를 가진다. 한쌍의 판상 부재(14a, 14a)는, 상단부에 차량의 폭 방향으로 돌출하는 축부(14b, 14b)를 가진다. 한편, 슈 헤드(13)의 상단부에는 차량의 폭 방향으로 관통한 관통 구멍(13a)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한쌍의 판상 부재(14a, 14a)는, 각각의 축부(14b, 14b)가 슈 헤드(13)의 관통 구멍(13a)에 양측으로부터 삽입된다. 그리고, 당해 축부(14b, 14b)의 선단을 서로 맞닿게한 상태에서, 축부(14b, 14b)의 축심과 동심으로 형성된 관통 구멍(14c, 14c)에 연결 볼트(94)의 축을 삽입시키고, 축부(14b, 14b)의 양측으로부터 연결 볼트(94)의 헤드 및 너트(95)의 사이에 끼워넣어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링크 부재(14)는, 축부(14b, 14b)를 회전축으로 하여, 슈 헤드(13)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1∼도 3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브레이크 본체(11)에는, 푸시로드(12)의 진출 방향을 향해서 돌출하는 한쌍의 지지 아암(15, 15)이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당해 한쌍의 지지 아암(15, 15)은, 브레이크 본체(11)의 하단부에 있어서, 슈 헤드(13)의 폭방향 양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한쌍의 지지 아암(15, 15)에는, 링크 부재(14)에 있어서의 한쌍의 판상 부재(14a, 14a)의 하단부가 각각 링크 고정 핀(92)을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링크 고정 핀(92)은, 슈 헤드 핀(91)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당해 한쌍의 지지 아암(15, 15)은, 각각, 슈 헤드(13)의 하단부에 설치된 부착 볼트(35)의 양단부의 상방에 위치한다.
<브레이크 본체 내의 구동 기구에 대해서>
유닛 브레이크(1)는, 브레이크 본체(11) 내에 있어서, 차량의 폭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피스톤(21)과, 피스톤(21)을 급배구(11a)측에 부세하는 스프링(22)과, 푸시로드(12)에 설치되고, 상하 방향의 양쪽으로 각각 돌출하는 한쌍의 지지 축(24, 24)을 가지는 조정체(25)와, 한쌍의 지지 축(24, 24)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1 롤러(26, 26) 및 제2 롤러(27, 27)와, 제1 롤러(26, 26)의 후방의 브레이크 본체(11)에 당해 제1 롤러(26, 26)에 대향하도록 설치된 제3 롤러(28, 28)와, 피스톤(21)에 고정된 한쌍의 쐐기체(29, 29)와, 조정체(25)를 푸시로드(12)의 퇴피 방향(화살표 X2 방향)으로 부세하는 스프링(30)을 구비하고 있다. 조정체(25)는, 브레이크 본체(11) 내의 푸시로드(12)에 대하여 슬리브(23)를 통하여 설치되어 있고, 당해 푸시로드(12)와 함께 진퇴 이동한다.
쐐기체(29)는, 기단측이 피스톤(21)에 고정됨과 더불어, 제1 롤러(26)와 제3 롤러(28)의 사이에 끝이 가늘게 형성된 선단부가 삽입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당해 쐐기체(29)는, 차량의 폭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반작용면(29a)과, 당해 반작용면(29a)에 대하여 경사진 작용면(29b)을 가진다. 또한, 쐐기체(29)는, 차량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 1쌍 설치되어 있다.
피스톤(21)은, 급배구(11a)로부터 브레이크 본체(11)의 압력실(11b)에 압력 유체가 공급됨으로써, 쐐기체(29)의 선단을 제1 롤러(26)와 제3 롤러(28)의 사이에 밀어넣도록 이동한다. 즉, 도 2에 있어서 화살표 Y1 방향(이하, 「브레이크 방향」이라고 한다)으로 이동한다. 또한, 스프링(22)은, 피스톤(21)을 브레이크 방향과는 역방향(도 2에 있어서 화살표 Y2 방향)으로 부세한다.
제2 롤러(27)는, 조정체(25)에 있어서의 지지축(24)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제1 롤러(26)는, 제2 롤러(27)보다도 슬리브(23)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제3 롤러(28)는, 상하로 연장되는 롤러 핀(93)을 통하여 브레이크 본체(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브레이크 본체(11)에는, 제2 롤러(27)가 맞닿아 회전 이동하기 위한 가이드(11c)가 설치되어 있다. 당해 가이드(11c)는, 제2 롤러(27)로부터 봐서 피스톤(21)과는 반대측에 설치된다. 또한, 당해 가이드(11c)에 있어서의 제2 롤러(27)와 맞닿는 면은, 피스톤(21)의 이동 방향과 수직인 면이다.
<유닛 브레이크의 동작에 대해서>
유닛 브레이크(1)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동을 거는 경우에 있어서, 급배구(11a)로부터 압력실(11b)에 압력 유체가 공급되면, 피스톤(21) 및 쐐기체(29)가 조정체(25)에 근접하는 방향(화살표 Y1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쐐기체(29)의 작용면(29b)과 맞닿는 제1 롤러(26)가 전방(화살표 X1 방향)으로 밀려, 조정체(25), 슬리브(23) 및 푸시로드(12)가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 때, 제2 롤러(27)는, 가이드(11c)에 맞닿아 회전하면서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푸시로드(12)의 전단에 설치된 슈 헤드(13)는, 차륜의 답면을 향해서 이동한다.
이 때, 슈 헤드(13)는, 링크 부재(14)의 하단의 링크 고정 핀(92)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의해, 다소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차륜의 답면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푸시로드(12)는, 슬리브(23)에 대하여 도시하지 않은 구면 베어링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으므로, 당해 푸시로드(12) 선단의 상하 방향으로의 원호상의 움직임이 허용된다.
또한, 슈 헤드(13)의 슈 헤드핀(91)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은, 푸시로드(12)로부터 연장되는 연장판(16)과 슈 헤드(13)의 하단부의 사이에 설치된 마찰판(36)의 마찰력에 의해 규제되어 있다. 이 때문에, 브레이크 슈가 차륜에 맞닿기까지는, 푸시로드(12)에 대한 슈 헤드(13)의 기울기가 바뀌지 않는다.
그리고, 슈 헤드(13)에 설치된 브레이크 슈가 차륜의 답면에 맞닿음으로써, 차륜의 회전이 제동된다.
여기에서, 브레이크 슈가 차륜의 답면에 맞닿을 때에, 당해 브레이크 슈와 차륜의 간극이 균일하지 않은 경우는, 슈 헤드(13)의 상하 중 어느 일단에 하중이 걸리고, 그 힘이 연장판(16)과 마찰판(36)의 사이의 마찰력을 넘으면, 슈 헤드(13)는, 슈 헤드핀(9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차륜의 답면과 브레이크 슈가 밀착한다.
또한, 브레이크를 풀 때에 푸시로드(12)가 되돌려지는데, 슈 헤드(13)는 마찰판(36)의 마찰력으로, 회전 후의 위치를 유지한 채 되돌려진다.
이상과 같이, 유닛 브레이크(1)는, 브레이크 본체(11)로부터 진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푸시로드(12)와, 푸시로드(12)의 진출 방향의 선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차륜에 맞닿아 당해 차륜의 회전을 제동하는 브레이크 슈가 부착되는 슈 헤드(13)와, 슈 헤드(13)에 있어서의, 푸시로드(12)와의 연결 위치보다도 상부에, 슈 헤드(13)의 푸시로드(12)에 대한 회전축과 대략 평행한 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링크 부재(14)와, 브레이크 본체(11)에 있어서의, 슈 헤드(13)와 푸시로드(12)의 연결 위치보다도 하방에 설치되고, 링크 부재(14)가 슈 헤드(13)의 푸시로드(12)에 대한 회전축과 대략 평행한 축 둘레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 아암(15)을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지지 아암(15)으로부터 링크 부재(14)를 통하여 슈 헤드(13)를 지지할 수 있다. 즉, 슈 헤드(13)에 작용하는 상하 방향의 힘의 일부가, 링크 부재(14)를 통하여 지지 아암(15)에 작용하므로, 슈 헤드(13)로부터 푸시로드(12)에 전해지는 상하 방향의 힘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푸시로드(12)에 걸리는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 아암(15)은, 푸시로드(12)보다도 하방에 설치됨과 더불어, 링크 부재(14)는,지지 아암(15)과 슈 헤드(13)의 사이에 배치되고, 당해 링크 부재(14)는, 슈 헤드(13)의 상단보다도 상방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당해 지지 아암(15)과 당해 링크 부재(14)가, 슈 헤드(13)보다도 상방에 배치되는 대차 기재 등과 간섭하기 어렵다.
또한, 푸시로드(12)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슈 헤드(13)에 있어서의 푸시로드(12)와의 연결 위치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연결되는 연장판(16)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푸시로드(12)에 대하여 슈 헤드(13)가 기울어지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또한, 마찰판(36)을 통하여 연결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연장판(16)과 슈 헤드(13)를, 핀 등으로 연결한 구성이어도 동일한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연장판(16)은, 마찰에 의해 슈 헤드(13)의 푸시로드(12)에 대한 경동을 규제하도록, 슈 헤드(13)에 연결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연장판(16)으로부터 작용하는 슈 헤드(13)의 기울기를 규제하는 소정의 마찰력보다도 큰 힘이 슈 헤드(13)에 작용한 경우는, 슈 헤드(13)는 푸시로드(12)에 대하여 슈 헤드 핀(91) 둘레로 회전한다. 이 때문에, 브레이크 시에 브레이크 슈에 있어서의 제동면의 각도가 적절하지 않고, 차륜과 브레이크 슈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경우에도, 이하와 같이, 슈 헤드(13)의 각도가 적절한 각도로 조정된다.
즉, 슈 헤드(13)가 차륜측으로 밀어넣어져, 브레이크 슈의 상측 또는 하측만이 차륜의 답면에 맞닿으면, 당해 슈 헤드(13)에 슈 헤드핀(91) 둘레의 회전력이 작용한다. 그리고, 당해 회전력에 의해, 마찰판(36)과 연장판(16)의 사이에 생기는 소정의 마찰력에 저항하여, 당해 슈 헤드(13)의 각도가, 브레이크 슈가 차륜의 답면에 균일하게 맞닿는 적절한 기울기가 되도록, 자동적으로 조정된다. 이에 따라, 브레이크 시에 있어서의, 차륜과 브레이크 슈의 밀착성이 향상된다.
또한, 지지 아암(15)은, 연장판(16)과 슈 헤드(13)의 연결 위치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므로, 차량의 주행 시에 있어서, 지지 아암(15)이 지면측에 재치된 부재 등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장판(16)과 슈 헤드(13)의 연결부(부착 볼트(35) 등)가 차량의 폭방향 외측을 향해서 슈 헤드(13)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경우에도, 당해 연결부의 위치를 피해, 상방에 한쌍의 지지 아암(15)이 배치됨으로써, 차량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한쌍의 지지 아암(15)의 간격을 좁힐 수 있다.
이에 따라, 슈 헤드(13)를 지지하는 기구가, 차량의 폭 방향에 있어서 과도하게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유닛 브레이크(1)는, 브레이크 본체(11)의 내부에 있어서, 푸시로드(12)와 함께 진퇴 이동하도록 설치되고, 당해 푸시로드(12)의 진퇴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는 지지 축(24)을 가지는 조정체(25)와, 지지 축(2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1 롤러(26)와, 브레이크 본체(11)의 내부에 설치되고, 급배구(11a)로부터 압력실(11b)로 압력 유체가 공급됨으로써 스프링(22)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푸시로드(12)의 진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고, 또한, 지지축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하는 피스톤(21)과, 피스톤(21)에 고정된 쐐기체(29)를 구비한다. 쐐기체(29)는, 당해 쐐기체(29)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작용면(29b)을 가진다. 그리고, 피스톤(21)과 함께 쐐기체(29)가 제1 롤러(26)를 향하여 이동했을 때에, 작용면(29b)에 의해 당해 제1 롤러(26)가 푸시로드(12)의 진출 방향으로 부세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푸시로드(12)를 진퇴시키기 위한 기구를, 푸시로드(12)의 진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고, 또한, 지지 축(24)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작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지지 축(24)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푸시로드(12)를 진퇴시키기 위한 기구를, 차량의 폭 방향에 있어서 작아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지지 아암(15)은, 지지 축(24)의 하단의 위치보다도 상방에서 링크 부재(14)에 연결되므로, 차량의 주행 시에 있어서, 지지 아암(15)이 지면측에 재치된 부품 등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 축(24)은, 브레이크 본체(11)에 수용되어 있고, 당해 브레이크 본체(11) 내를 소정 범위 내에서 진퇴 이동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지지 축(24)이 가장 멀리 슈 헤드(13)측으로 진출한 위치(이하, 최대 진출 위치라고 한다)보다도 전방은, 이용할 수 없는 스페이스로 되기 쉽다.
여기에서, 지지 축(24)의 하단보다도 높은 위치에서 링크 부재(14)와 연결되는 것과 같은 지지 아암(15)을, 지지 축(24)의 최대 진출 위치의 전방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강성이 높은 지지 아암(15)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링크 부재(14)는, 슈 헤드(13)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푸시로드(12)의 진퇴 이동에 따른 슈 헤드(13)의 상하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연장판(16)은, 슈 헤드(13)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슈 헤드(13)에 있어서의 슈 헤드핀(91)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위치에, 연장판(16)을 연결시킴으로써, 슈 헤드(13)의 경동을 비교적 작은 힘으로 규제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에 관련된 유닛 브레이크(2)에 대해서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유닛 브레이크(2)는, 브레이크 본체(41) 및 그 내부 기구의 방향이,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방향과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유닛 브레이크(2)에 있어서는, 브레이크 본체(41)의 상단부에 급배구(11a)가 형성되어 있고, 피스톤(21) 및 쐐기체(29)는, 차량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조정체(25)의 지지축(24)은, 차량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 아암(45)은, 브레이크 본체(41)의 전면과 하단면의 모퉁이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그 선단에서 링크 부재(14)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슈 헤드(13)는, 그 상단이, 브레이크 본체(41)의 상단보다도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차량의 폭 방향에 있어서 브레이크 본체(41)가 차지하는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상술의 실시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것에 한해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 2 : 유닛 브레이크 11 : 브레이크 본체
12 : 푸시로드 13 : 슈 헤드
14 : 링크 부재 15 : 지지 아암
16 : 연장판(연장부) 24 : 지지 축
25 : 조정체 26 : 제1 롤러
29 : 쐐기체

Claims (6)

  1. 브레이크 본체로부터 진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푸시로드와,
    상기 푸시로드의 진출 방향의 선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차륜에 맞닿아 당해 차륜의 회전을 제동하는 브레이크 슈가 부착되는 슈 헤드와,
    상기 슈 헤드에 있어서의, 상기 푸시로드와의 연결 위치보다도 상부에, 상기 슈 헤드의 상기 푸시로드에 대한 회전축과 평행한 축 둘레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링크 부재와,
    상기 브레이크 본체에 있어서의, 상기 슈 헤드와 상기 푸시로드의 연결 위치보다도 하방에 설치되고, 상기 링크 부재가 상기 슈 헤드의 상기 푸시로드에 대한 회전축과 평행한 축 둘레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 아암을 구비하는 유닛 브레이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푸시로드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슈 헤드에 있어서의 당해 푸시로드와의 연결 위치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연결되는 연장부를 구비하는 유닛 브레이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마찰에 의해 상기 슈 헤드의 상기 푸시로드에 대한 경동(傾動)을 규제하도록, 상기 슈 헤드에 연결되어 있는 유닛 브레이크.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 아암은, 상기 연장부와 상기 슈 헤드의 연결 위치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는 유닛 브레이크.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본체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푸시로드와 함께 진퇴 이동하도록 설치되고, 당해 푸시로드의 진퇴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는 지지 축을 가지는 조정체와,
    상기 지지 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롤러와,
    상기 브레이크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구동 기구에 의해, 상기 푸시로드의 진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고, 또한, 상기 지지 축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되는 쐐기체를 구비하고,
    상기 쐐기체는, 상기 롤러를 향해서 이동했을 때에 당해 롤러를 상기 푸시로드의 진출 방향으로 부세(付勢) 가능한, 당해 쐐기체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는 유닛 브레이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지지 축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지지 아암은, 상기 지지 축의 하단의 위치보다도 상방에서 상기 링크 부재에 연결되는 유닛 브레이크.
KR1020117011806A 2008-11-18 2009-10-13 유닛 브레이크 KR1012686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94004 2008-11-18
JPJP-P-2008-294004 2008-11-18
PCT/JP2009/067714 WO2010058664A1 (ja) 2008-11-18 2009-10-13 ユニットブレー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3619A KR20110073619A (ko) 2011-06-29
KR101268671B1 true KR101268671B1 (ko) 2013-05-29

Family

ID=42198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1806A KR101268671B1 (ko) 2008-11-18 2009-10-13 유닛 브레이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2357376B1 (ko)
JP (1) JP5284367B2 (ko)
KR (1) KR101268671B1 (ko)
CN (1) CN102216640B (ko)
HK (1) HK1161626A1 (ko)
TW (1) TW201033054A (ko)
WO (1) WO20100586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64772B2 (ja) * 2011-10-19 2013-12-1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ブレーキ装置
CN103342129A (zh) * 2013-07-29 2013-10-09 南车株洲电力机车有限公司 一种用于机车制动器的闸瓦托装置
JP7133380B2 (ja) * 2018-07-26 2022-09-08 ナブテスコ株式会社 姿勢制御装置及びブレーキ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01766A (ja) 2006-09-22 2008-05-01 Nabtesco Corp ブレーキシリンダ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ユニットブレーキ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17960A (en) * 1959-12-31 1962-01-23 Westinghouse Air Brake Co Wheel tread brake unit for railway car trucks
DE2659768C3 (de) * 1976-12-31 1979-05-10 Knorr-Bremse Gmbh, 8000 Muenchen Zuspaiuivorrichtung für Reibungsbremsen, insbesondere von Schienenfahrzeugen
JPS5777254A (en) * 1980-10-27 1982-05-14 Bai Modeiru Corp Za Brake gear for railway rolling stock
JPS59192664A (ja) 1983-04-18 1984-11-01 株式会社ナブコ ブレ−キユニツト
JPS59192665A (ja) * 1983-04-18 1984-11-01 株式会社ナブコ ブレ−キユニツト
DE3336983A1 (de) * 1983-10-11 1985-04-25 Knorr-Bremse GmbH, 8000 München Klotzbremse fuer schienenfahrzeuge
SE468125B (sv) * 1991-03-11 1992-11-09 Wabco Holdings Sab Bromsaktuator foer ett raelsfordon med en bromsblockhaallare
SE468085B (sv) * 1991-03-11 1992-11-02 Wabco Holdings Sab Tryckkraftoeverfoerande anordning vid en bromsaktuator
JP4804791B2 (ja) * 2005-05-10 2011-11-02 ナブテスコ株式会社 鉄道車両用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01766A (ja) 2006-09-22 2008-05-01 Nabtesco Corp ブレーキシリンダ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ユニットブレー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63014B (ko) 2012-05-01
JP5284367B2 (ja) 2013-09-11
CN102216640A (zh) 2011-10-12
EP2357376A4 (en) 2018-04-25
EP2357376B1 (en) 2020-02-19
JPWO2010058664A1 (ja) 2012-04-19
WO2010058664A1 (ja) 2010-05-27
CN102216640B (zh) 2013-10-16
EP2357376A1 (en) 2011-08-17
TW201033054A (en) 2010-09-16
HK1161626A1 (en) 2012-07-27
KR20110073619A (ko) 201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277063C (zh) 制动机构
TWI642576B (zh) Steering trolley for railway vehicles with brake unit
EP2787238A1 (en) Disc-brake device and calipers
WO2013011978A1 (ja) 鉄道車両用操舵台車
KR101268671B1 (ko) 유닛 브레이크
JP5015101B2 (ja) アジャスタ機構
WO2006062734B1 (en) Disk brake arranged tmx
JPWO2010010655A1 (ja) ブレーキ付きキャスター
JP4231456B2 (ja) 鉄道車両の車輪踏面清掃装置
JP2017198226A (ja) 鉄道車両用浮動型キャリパブレーキ装置
JP5399124B2 (ja) 被牽引台車
JP4939444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の防振ゴムによるブレーキトルク受け機構
KR20110060245A (ko) 기계식 드럼 브레이크
JP4242888B2 (ja) 踏面ブレーキ装置
JP4566170B2 (ja) 鉄道車両用キャリパブレーキ装置
CN103998813B (zh) 多用途车辆的制动系统
JP4926677B2 (ja) 鉄道車両用ブレーキ装置
JP2008286234A (ja) 鉄道車両用キャリパブレーキ装置
JP6351560B2 (ja) 運搬台車
JP4921296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のテコ式ブレーキ摺動型リンク機構
JP2008051169A (ja) 鉄道車両用キャリパブレーキ装置
JP6660216B2 (ja) ブレーキ支持部材及びこれを備えるブレーキ装置
JP6684128B2 (ja) ブレーキ装置
JPS6354586B2 (ko)
JP2017172729A (ja) ブレー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