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8361B1 - pellicle container - Google Patents

pellicle contai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8361B1
KR101268361B1 KR1020060136446A KR20060136446A KR101268361B1 KR 101268361 B1 KR101268361 B1 KR 101268361B1 KR 1020060136446 A KR1020060136446 A KR 1020060136446A KR 20060136446 A KR20060136446 A KR 20060136446A KR 101268361 B1 KR101268361 B1 KR 101268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or
pellicle
container
tray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64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103670A (en
Inventor
카주토시 세키하라
Original Assignee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03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367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8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83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1/00Originals for 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masks, photo-masks, reticles; Mask blanks or pellicles therefor;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Preparation thereof
    • G03F1/62Pellicles, e.g. pellicle assemblies, e.g. having membrane on support frame; Preparation thereof
    • G03F1/64Pellicles, e.g. pellicle assemblies, e.g. having membrane on support fram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frames, e.g. structure or material, including bonding mean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1/00Originals for 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masks, photo-masks, reticles; Mask blanks or pellicles therefor;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Preparation thereof
    • G03F1/66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asks, mask blanks or pellicles; Preparation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691Handling of masks or workpieces
    • G03F7/70733Handling masks and workpieces, e.g. exchange of workpiece or mask, transport of workpiece or mask
    • G03F7/70741Handling masks outside exposure position, e.g. reticle librar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8Construction of apparatus, e.g. environment aspects, hygiene aspects or materials
    • G03F7/70983Optical system protection, e.g. pellicles or removable covers for protection of mas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Preparing Plates And Mask In Photomechanical Process (AREA)
  • Exposure And Positioning Against Photoresist Photosensitive Materials (AREA)

Abstract

페리클로부터 세퍼레이트를 안전ㆍ확실하게 분리할 수 있는 페리클 수납용기를 제공한다.Provides a pellicle container that can safely and reliably separate the separator from the pellicle.

세퍼레이터의 외주에 복수의 관통구멍을 갖는 돌출된 영역을 설치하고, 상기 관통구멍에 그 관통구멍보다 큰 지름의 부분을 갖는 고정구를 삽입하여 페리클 수납용기 트레이에 세퍼레이터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rotruding region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parator, and the separator is fixed to the ferrule container tray by inserting a fastener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through hole in the through hole.

상기 세퍼레이터 고정수단과는 다른 수단에 의해 페리클을 페리클 수납용기 트레이에 고정하는 것, 상기 다른 수단은, 페리클 프레임의 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비관통의 구멍에 삽입된 핀에 의해 페리클 수납용기의 트레이에 고정되는 것, 페리클 수납용기로에 세퍼레이터의 고정구가 탈착 가능한 것, 세퍼레이터의 고정구는 자력에 의해 페리클 수납용기에 흡착 고정되는 것, 페리클 수납용기로의 세퍼레이터의 고정구 중, 적어도 1개소는 페리클 프레임의 코너부로부터 50㎜ 이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각각 바람직하다.Fixing the pellicle to the pellicle container tray by means other than the separator fixing means, wherein the other means includes pellicle storage by pins inserted into a plurality of non-penetrating holes formed on the side of the pellicle frame. Among the things fixed to the tray of the container, the fixture of the separator can be detachable from the ferry container, the fixture of the separator is fixed to the ferrule container by magnetic force, the separator of the separator to the container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place is provided within 50 mm from the corner of the ferrule frame, respectively.

Description

페리클 수납용기{PELLICLE CONTAINER}Pericle container {PELLICLE CONTAINER}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페리클 수납용기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로서, 도 1(a)는 평면도 및 측면(AA단면)의 개략도, 도 1(b)는 세퍼레이터 고정수단의 단면확대도, 도 1(c)는 페리클 프레임의 고정수단의 단면확대도이다.1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a ferrul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 (a) is a schematic view of a plan view and side (AA section), Figure 1 (b)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parator fixing means 1 (c)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xing means of the ferrule frame.

도 2(a)~(d)는, 본 발명에 의한 세퍼레이터의 박리의 공정을 순서대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FIG.2 (a)-(d) are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he process of peeling of the separator by this invention in order.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페리클에 첨부된 세퍼레이터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로서, 도 3(a)는 세퍼레이터 탭부가 늘려진 예(도시예에서는 6개), 도 3(b)는, 세퍼레이터 탭부가 페리클의 전체 둘레에 설치된 예를 나타낸다.Fig. 3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eparator attached to the ferr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a)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separator tab portions are increased (6 in the example), and Fig. 3 (b) shows, An example of the separator tab portion provided around the entire circumference is shown.

도 4(a)~(d)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세퍼레이터의 박리를 순서대로 나타내는 개략적인 설명도이다.4 (a) to 4 (d) are schematic explanatory diagrams showing the peeling of a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 order.

도 5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페리클 및 페리클 수납용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5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pericle and a pericle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S)

10: 페리클 프레임 10a: 둥근 구멍(페리클 프레임 고정용 구멍)10: Pericle Frame 10a: Round Hole (Pericle Frame Fixing Hole)

11: 페리클 막 12: 마스크 점착층11: pellicle film 12: mask adhesive layer

13: 페리클 막 접착층 14: 세퍼레이터(라이너)13: pellicle membrane adhesive layer 14: separator (liner)

14a: (세퍼레이터)탭부 14b: (세퍼레이터 탭부의) 관통구멍14a: (Separator) Tap Part 14b: Through Hole (Separator Tab Part)

15a: (세퍼레이터)고정구 15b: 수용시트15a: (Separator) Fixture 15b: Seat

15c: 마그넷 15d: 볼트15c: Magnet 15d: Bolt

16: (프레임 고정용)핀 17: (핀 지지)블록16: (for frame fixing) Pin 17: (pin support) block

18: (페리클)수납용기 트레이 19: O링18: (Pericle) storage container tray 19: O-ring

20: 페리클 프레임 21: 마스크 점착층20: Pericle Frame 21: Mask Adhesive Layer

22: 세퍼레이터(라이너) 23: (세퍼레이터)고정구22: Separator (Liner) 23: (Separator) Fixture

24: 수용시트 25: 페리클 수납용기 트레이24: Receiving sheet 25: Pericle container container tray

30: 페리클 프레임 31: 세퍼레이터(라이너)30: Pericle Frame 31: Separator (Liner)

32: (세퍼레이터)탭부 40: 페리클 프레임32: (Separator) Tap Part 40: Pericle Frame

41: 페리클 막 42: 마스크 점착층41: pellicle film 42: mask adhesive layer

43: 세퍼레이터(라이너) 44: 핀셋43: separator (liner) 44: tweezers

50: 페리클 프레임 51: 페리클 막50: Pericle Frame 51: Pericle Film

52: 마스크 점착층 53: 막 접착층52: mask adhesive layer 53: film adhesive layer

54: 세퍼레이터(라이너) 54a: (세퍼레이터)탭부54: separator (liner) 54a: (separator) tab part

55: 점착테이프 56: 페리클 수납용기 트레이55: adhesive tape 56: pellicle container tray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 프린트 기판 혹은 액정 디스플레이 등을 제조할 때 의 쓰레기 막이로서 사용되는 석판인쇄용 페리클, 특히 액정 디스플레이 제조에 이용되는 대형의 페리클 수납용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thographic printing pellicle used as a trash shield when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a printed board or a liquid crystal display, and particularly a large pellicle container used for manufacturing a liquid crystal display.

웨이퍼 또는 액정용 유리 원판에 광을 조사하여 패턴을 제작하지만, 이 때에 이용하는 포토마스크 혹은 레티클(이하, 단지 포토마스크라고 함)에 쓰레기가 부착되어 있으면, 이 쓰레기가 빛을 차단하거나, 왜곡하거나 해버리기 때문에 전사한 패턴이 손상된다는 문제가 있었다.If a pattern is produced by irradiating light onto a wafer or a glass plate for liquid crystal, but the garbage is attached to a photomask or reticle (hereinafter referred to simply as a photomask) used at this time, the garbage blocks, distorts or distorts the light. Because of this,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transferred pattern was damaged.

이 때문에, 이들 작업은 통상 클린룸 내에서 행해지고 있지만, 그래도 포토마스크를 항상 청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어렵다. 그래서, 포토마스크 표면에 쓰레기 막이로서, 페리클을 부착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For this reason, these operations are usually performed in a clean room, but it is still difficult to keep a photomask clean at all times. Therefore, a method of adhering a pellicle as a waste film on the surface of the photomask is taken.

이 경우, 이물은 포토마스크의 표면상에는 직접 부착되지 않고, 페리클 상에 부착되기 때문에, 석판인쇄시에 초점을 포토마스크의 패턴 상에 맞춰 두면, 페리클 상의 이물은 전사와 상관없게 된다. 이 페리클은, 통상 광을 잘 투과시키는 니트로셀루로오스, 초산셀로스 혹은 불소계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투명한 페리클 막을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폴리에틸렌 등으로 이루어지는 페리클 프레임의 상단면에 페리클 막의 양용매를 도포하고, 풍건하여 접착하거나(특허문헌1 참조), 에폭시수지(특허문헌2, 특허문헌3 참조)나 아크릴수지 등의 접착제로 접착하고, 또한, 페리클 프레임의 하단에는, 포토마스크에 장착하기 위한 폴리브덴수지, 폴리초산비닐수지, 아크릴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점착층, 및 점착층의 보호를 목적으로 한 이형층(세퍼레이터)이 설치된다.In this case, the foreign matter does not directly adhere on the surface of the photomask, but adheres to the pericle, so that if the focus is set on the pattern of the photomask during lithography, the foreign matter on the pericle is irrelevant to the transfer. This pellicle is a transparent pellicle film made of nitrocellulose, cellulose acetate or fluorine resin, which transmits light well, and a good solvent of pellicle film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ellicle frame made of aluminum, stainless steel, polyethylene, or the like. It is applied, air-dried, and bonded (see Patent Document 1), or bonded with an adhesive such as an epoxy resin (see Patent Documents 2 and 3) or an acrylic resin, and attached to a photomask at the lower end of the pericle frame. And a release layer (separator)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de of polybdenum resin, polyvinyl acetate resin, acrylic resin and the like.

또한, 페리클을 포토마스크에 붙인 상태에 있어서, 페리클 내부에 둘러싸여 진 공간과 외부의 기압차를 없애는 것을 목적으로서, 페리클 프레임의 일부에 기압조정용 작은 구멍을 개방하고, 작은 구멍을 통해서 이동하는 공기로부터의 이물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가 설치되는 경우도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eliminate the space surrounded by the inside of the ferrule and the external air pressure difference in the state where the ferrule is attached to the photomask, a small hole for air pressure adjustment is opened in a part of the ferrule frame and moved through the small hole. In some cases, a filter may be provided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air.

페리클을 사용하는 때에는 세퍼레이터(라이너)를 박리하여 점착층을 노출시켜야만 한다. 변 길이가 300㎜를 초과하는 대형의 페리클의 경우, 페리클을 수평으로 한 채 박리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도 4(a)~(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페리클을 거의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행해지는 일이 많다.When using a pellicle, the separator (liner) must be peeled off to expose the adhesive layer. In the case of a large-sized pellicle having a side length exceeding 300 mm, it is difficult to remove the pellicle while keeping the pellicle horizontal, so as shown in Figs. Much is done in

통상, 세퍼레이터는 두께 100~150㎛ 정도의 PET 등의 수지 필름으로 만들어져 있어서 강성이 없기 때문에, 박리시에는 매우 불안정한 거동을 나타낸다. 그 때문에, 도 4(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박리시에 페리클 막에 접촉하여 손상시키거나, 또는 부착되어 있던 이물이 비산하여 페리클 막을 오염시키는 일이 있었다.Usually, since a separator is made of resin films, such as PET of about 100-150 micrometers in thickness, and there is no rigidity, it shows very unstable behavior at the time of peeling. Therefore, as shown in FIG.4 (d), the peeling contacted and damaged the peeling foreign substance, or the foreign matter which adhered to it may contaminate the fertilizing membrane.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박리시에 펄럭펄럭하지 않도록 전면을 덮는 형상으로 하는 것도 고려되지만, 면적이 매우 커지기 때문에, 전면을 청정하게 세정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또한, 중량의 증가나 중앙부의 느슨함 등에 유래하는 취급의 문제, 세퍼레이터 부착한 후에 페리클 막의 검사가 가능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어, 채용할 수 없다.In order to prevent this, it is also conceivable to have a shape that covers the entire surface so as not to flutter during peeling, but since the area becomes very large, it becomes difficult to clean the entire surface cleanly.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of handling resulting from an increase in weight, looseness in the center part, or the like that the inspection of the pellicle film is not possible after the separator is attached and cannot be employed.

지그(예컨대, 세퍼레이터를 몇 개소에서 고정하는)를 사용하는 방법에서는, 세퍼레이터로의 지그의 설치가 매우 곤란한 것으로 예상되고, 또한, 지그를 페리클 사이즈별로 준비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도 있다.In the method of using a jig (for example, fixing the separator at several places), installation of the jig on the separator is expected to be very difficult, and there is also a problem in that the jig needs to be prepared for each of the pericle size.

이상과 같이, 페리클을 수직으로 세워서 세퍼레이터를 박리하는 방법에 있어 서, 세퍼레이터의 페리클 막에의 접촉이나 페리클 막에의 이물부착을 방지하는 유효하고 또한 간편한 수단은 없다. 따라서, 페리클을 수평으로 한 상태에서 세퍼레이터를 박리하는 것이 좋지만, 상기와 같이, 페리클을 어디에 두고 박리하려고 하면 하측에 세퍼레이터가 와버려, 박리시킬 수 없다.As described above, there is no effective and convenient means for preventing the separator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ellicle film or the foreign matter adhered to the pellicle film in the method of vertically peeling the separator. Therefore, although it is good to peel a separator in the state in which the fertilizer was level, as mentioned above, when trying to peel off where a ferrule is located, a separator will come under and cannot peel.

그 때문에, 페리클을 가로방향으로부터 어떠한 지그로 유지하여 높게 들어 올려 두어서, 그 상태에서 하측 방향으로 세퍼레이터를 잡아 당길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이것을 장치로 실현하고자 하면, 상당히 대규모의 것이 필요하게 되어, 간단하게는 실시할 수 없다.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hold the ferrule in a certain jig from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lift it high, and pull the separator downward in that state. Therefore, if this is to be realized by the device, a very large one is required and cannot be simply performed.

통상, 페리클은 페리클 수납용기에 수평으로 수납되어 있다. 취출은, 페리클 수납용기 트레이 상에 적재된 페리클을 거의 수평으로 유지한 채 상방에 들어 올려서 행해진다. 이 때, 세퍼레이터가 어떠한 방법으로 수납용기 트레이 상에 고정되어 있으면, 이 동작에 맞춰 세퍼레이터는 박리되어서 수납용기 트레이 상에 남을 것이다. 이 방식이 실현가능하면, 특별한 지그나 장치를 준비하지 않더라도, 목적한 세퍼레이터 박리시의 페리클 막에의 접촉 방지가 달성된다.Usually, the pellicle is stored horizontally in the pellicle container. Extraction is performed by lifting upwards while keeping the pellicle loaded on the pellicle container tray almost horizontal. At this time, if the separator is fixed on the storage tray by any means, the separator will peel off and remain on the storage tray in accordance with this operation. If this method is feasible, the prevention of contact with the pellicle film during peeling of the desired separator can be achieved even if a special jig or device is not prepared.

그런데, 세퍼레이터를 페리클 수납용기 트레이에 고정하는 공지기술로서, 예컨대 이하와 같은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4, 특허문헌5 참조).By the way, as a well-known technique of fixing a separator to a ferry container container tray, the following are proposed, for example (patent document 4, patent document 5).

특허문헌4의 방법은, 목적이 본 발명과는 달라서, 세퍼레이터의 고정이 아니라 세퍼레이터(보호필름)를 이용한 페리클의 위치 어긋남 방지이고, 세퍼레이터에 돌출시킨 가압대에 구멍을 형성하고, 트레이 상에 설치한 핀에 그 구멍을 삽입하여 고정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상하방향으로의 규제가 없기 때문에, 세퍼레이터를 수납용기 트레이에 고정하는 기능이 없어, 페리클을 들어 올렸을 때에 세퍼레이터를 박리할 수는 없다. 또한, 수송시에 페리클 수납용기 내에서 페리클이 상하로 움직여, 발진에 의해 페리클 막이 오염된다는 우려가 있다.The method of Patent Document 4 differs from the present invention in that the object is not fixed to the separator but is used to prevent misalignment of the ferrule using a separator (protective film). The hole is inserted into the installed pin and fixed. Since this method has no restriction in the up-down direction, there is no function of fixing the separator to the storage container tray, and the separator cannot be peeled off when the ferrule is lifted up. In addition, there is a fear that the pellicle moves up and down in the pellicle container during transportation, and the pellicle membrane is contaminated by oscillation.

특허문헌5의 방법은, 세퍼레이터(보호필름)에 돌출시킨 가압대 부분을 페리클 케이스에 점착테이프 고정하고 있다. 특허문헌5의 방법은, 특허문헌6의 방법과 마찬가지로, 본 발명과는 목적이 다르지만, 세퍼레이터가 페리클 수납용기 트레이에 테이프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페리클을 천천히 상방에 끌어 올리면, 세퍼레이터를 박리할 수 있는 가능성은 있다. 그러나, 세퍼레이터에 의해 간접적으로 페리클을 페리클 수납용기 트레이에 고정하고 있는 점에 문제가 있다. 세퍼레이터는 가벼운 박리력으로 마스크 점착층으로부터 박리되어 버린다. 그 때문에, 강한 충격이나 수납용기를 상하 반대로 한 경우 등에 마스크 점착층이 세퍼레이터로부터 박리되고, 수납용기 내에서 페리클이 움직여져 손상되어 버질 우려가 있다. 또한, 점착테이프의 성질상, 직접, 손에서 취급하지 않으면 점착ㆍ박리작업을 하기 어렵다. 페리클 막의 근처에서 수작업을 행해야만 하는 것은, 페리클 막에의 이물부착 방지의 점에서 매우 문제이다.In the method of patent document 5, the pressure stick part which protruded to the separator (protective film) is fixed to the pellicle case by adhesive tape. Although the method of patent document 5 differs from the present invention similarly to the method of patent document 6, since a separator is fixed to the pellicle container tray, when a pellicle is pulled upward slowly, a separator may be peeled off. There is a possibility.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eparator is indirectly fixed to the pellicle container tray by the separator. The separator is peeled off from the mask adhesion layer with light peel force. Therefor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mask adhesive layer peels off from the separator, for example, when a strong impact or the storage container is reversed up and down, and the ferrule moves in the storage container and is damaged. Moreover, due to the nature of the adhesive tape, it is difficult to perform the adhesion and peeling work unless it is handled by hand. The manual work in the vicinity of the pellicle membrane is very problematic in terms of preventing foreign matter from adhering to the pellicle membrane.

이상의 것 때문에, 지금까지 세퍼레이터를 박리할 때에 페리클 막에의 세퍼레이터의 접촉이나 이물부착이 없는 페리클은 존재하지 않았다.For this reason, there has been no pellicle without contact of the separator to the pellicle film or foreign matter adhesion so far when the separator is peeled off.

[특허문헌1] 일본 특허공개 소58-219023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58-219023

[특허문헌2] 미국 특허 제4861402호 명세서[Patent Document 2] US Patent No. 4861402

[특허문헌3] 일본 특허공고 소63-27707호 공보[Patent Document 3]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63-27707

[특허문헌4] 일본 특허공개 2004-361648호 공보[Patent Document 4]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4-361648

[특허문헌5] 일본 특허공개 2004-361647호 공보[Patent Document 5]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4-361647

이상과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페리클을 페리클 수납용기로부터 취출하기 직전에, 페리클로부터 세퍼레이트를 안전ㆍ확실하게 분리할 수 있게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make it possible to safely and reliably separate the separator from the pellicle immediately before taking out the pellicle from the pellicle container.

본 발명의 페리클 수납용기는, 세퍼레이터의 외주에 복수의 관통구멍을 갖는 돌출된 영역을 설치하고, 상기 관통구멍에 그 관통구멍보다 큰 지름의 부분을 갖는 고정구를 삽입하여 페리클 수납용기 트레이에 세퍼레이터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iphery container includes a protruding region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t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parator, and inserts a fastener having a portion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through holes to the periphery container tray. It is characterized by fixing a separator.

세퍼레이터를 페리클 수납용기 트레이에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세퍼레이터 고정수단과는 다른 수단에 의해 페리클을 페리클 수납용기 트레이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른 수단은, 페리클이 페리클 프레임의 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비관통의 구멍에 각각 삽입된 핀에 의해 페리클 수납용기의 트레이에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o fix the separator to the pellicle container tray, and to fix the pellicle to the pellicle container tray by means different from the separator fixing means. The other means may be that the pellicle is fixed to the tray of the pellicle container by pins respectively inserted into a plurality of non-penetrating holes formed in the side surface of the pellicle frame.

페리클 수납용기로에 세퍼레이터의 고정구가 탈착 가능한 것, 세퍼레이터의 고정구는 자력에 의해 페리클 수납용기에 흡착 고정되는 것, 페리클 수납용기로의 세퍼레이터의 고정구 중, 적어도 1개소는 페리클 프레임의 코너부로부터 50㎜ 이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각각 바람직하다.Separator fasteners are detachable from the ferrule container, the separator fixtures are fixed to the ferrule container by magnetic force, and at least one of the fixtures of the separator to the It is preferable that it is provided within 50 mm from a corner part, respectively.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althoug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also with reference to drawings,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도 1에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도 1(a)는 평면도 및 측면(AA단면)의 개략도, 도 1(b)는 세퍼레이터 고정수단의 단면확대도, 도 1(c)는 페리클 프레임의 고정수단의 단면확대도이다.1,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shown. Figure 1 (a) is a schematic view of the plan view and side (AA section), Figure 1 (b)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parator fixing means, Figure 1 (c)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xing means of the pellicle frame.

페리클 프레임(10) 끝면의 마스크 점착층(12)에 붙여진 세퍼레이터(14)에 있어서, 4개의 코너 근방에는 관통구멍을 갖는 탭부(14a)가 설치되어 있다. 이 세퍼레이터 탭부(14a)의 바로 아래에 있는 수납용기 트레이(18) 상에는 수용시트(15b)가 볼트(15d)에 의해 고정되고, 또한 수용시트(15b)의 내부에는 마그넷(15c)이 고정되어 있다.In the separator 14 attached to the mask adhesive layer 12 on the end face of the ferrule frame 10, tab portions 14a having through holes are provided near four corners. The storage sheet 15b is fixed by the bolt 15d on the storage container tray 18 just below the separator tab portion 14a, and the magnet 15c is fixed inside the storage sheet 15b. .

또한, 외부로부터의 진애의 침입을 완전히 방지하기 위해서, 수용시트(15b)의 볼트 구멍 주위에는 홈이 형성되고, O링(19)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세퍼레이터 탭부(14a)의 관통구멍(14b) 및 수용시트(15b)에 자성체로 제작된 고정구(15a)를 삽입하고, 고정구(15a)의 선단이 마그넷(15c)에 흡착 고정됨으로써, 수납용기 트레이(18) 상에 세퍼레이터(14)가 고정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completely prevent intrusion of dust from the outside, a groove is formed around the bolt hole of the accommodating sheet 15b, and the O-ring 19 is attached. Then, the fastener 15a made of magnetic material is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 14b and the receiving sheet 15b of the separator tab portion 14a, and the tip of the fastener 15a is fixed to the magnet 15c, whereby the storage container is inserted. The separator 14 is fixed on the tray 18.

여기서, 고정구(15a)는 적절한 강성이 있는 자성체이면 되므로, 도금 등의 표면처리를 한 탄소강이나, 마르텐사이트계 혹은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가 바람직하다. 형상으로서는 세퍼레이터 탭부(14a)에 형성된 관통구멍(14b)보다 적어도 1.2배 이상의 큰 지름부분이면 된다. 또한, 탈착시에 핀셋 등으로 파지하기 쉽도록, 핸들링용 홈이나 구멍 등을 형성해도 된다.Here, since the fastener 15a may be a magnetic material having appropriate rigidity, carbon steel subjected to surface treatment such as plating or martensitic or ferritic stainless is preferable. The shape may be a diameter portion that is at least 1.2 times larger than the through-hole 14b formed in the separator tab portion 14a. Moreover, you may form a groove | channel for handling, a hole, etc. in order to be easy to hold by tweezers etc. at the time of desorption.

마그넷(15c)은, 소형이고 강한 자력이 얻어지는 사마륨-코발트 자석이나 네오디뮴-철-붕소 자석 등의 소위 희토류 자석이 특히 바람직하지만, 자석 표면으로부터의 발진방지 및 방청의 관점 때문에, 표면에는 니켈 도금이나 에폭시수지 코팅 등의 적절한 표면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마그넷(15c)의 고정은, 도 1(b)와 같이 공간에 수납하고, 수용시트(15b)의 박육부를 통해서 고정구(15a)에 자력이 작용하도록 하거나, 또는, 수용시트(15b)의 박육부를 생략하여, 가스 발생이 적은 접착제로 수용시트(15b)의 구멍 내에 직접 고정해도 된다.The magnet 15c is particularly preferably a so-called rare earth magnet such as a samarium-cobalt magnet or a neodymium-iron-boron magnet which has a small and strong magnetic force. However, the surface of the magnet 15c has a nickel plating on the surface. It is preferable to perform appropriate surface treatment, such as epoxy resin coating. In addition, the magnet 15c is fixed in the space as shown in FIG. 1 (b), and the magnetic force acts on the fastener 15a through the thin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sheet 15b, or the accommodating sheet 15b. May be omitted and fixed directly in the hole of the accommodating sheet 15b with an adhesive with little gas generation.

자력을 이용함으로써, 고정구의 탈착이 용이한데다가, 고정력의 경년 열화가 없어 높은 신뢰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화학물질의 휘발의 우려나 스치기에 의한 발진의 우려가 없기 때문에, 수납용기 내의 청정성 유지의 점에서도 매우 바람직하다.By using the magnetic force,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fastener is easy, and there is no aging deterioration of the fastening force, and high reliability can be obtained. Moreover, since there is no fear of volatilization of a chemical substance and the possibility of oscillation by rubbing, it is very preferable also at the point of maintaining the cleanliness in a storage container.

고정구(15a)와 수용시트(15b)의 간극은, 고정구(15a)의 탈착이 원활하게 가능한 범위에서, 가능한 한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관통구멍(14b), 고정구(15a) 및 수용시트(15b)의 구멍형상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둥근 구멍 이외의 형상이어도 목적은 달성되지만, 가공의 용이성이나 스쳤을 때의 발진을 고려하면, 둥근 구멍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clearance gap between the fastener 15a and the accommodating sheet 15b is as narrow as possible within the range in which the fastener 15a can be detachably attached. Here, there are no particular limitations on the shape of the holes of the through hole 14b, the fastener 15a, and the receiving sheet 15b, and even if the shape is other than a round hole, the object is achieved, but considering the ease of processing and oscillation when rubbing, , Round holes are preferred.

또한, 세퍼레이터 탭부(14a)에 형성된 관통구멍의 크기는, 고정구(15a)의 삽입부분의 굵기보다 적어도 1㎜, 특히는 5㎜ 정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구(15a)를 삽입할 때의 위치맞춤이 용이해지는데다가, 수납용기 트레이(18)로부터 페리클을 떼어 놓을 때에, 고정구(15a)와 탭부(14a) 관통구멍 간의 유격만큼, 세퍼레이터 가 상방으로 움직여서 마스크 점착층(12)에 대하여 경사지게 끌어내지게 되어, 박리가 용이해진다.In addition, the size of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separator tab portion 14a is preferably at least 1 mm, especially about 5 mm,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fastener 15a. Positioning at the time of inserting the fastener 15a becomes easy, and when separating the ferrule from the storage container tray 18, the separator moves upward by the clearance between the fastener 15a and the tab portion 14a through-hole. It is pulled out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mask adhesion layer 12, and peeling becomes easy.

세퍼레이터의 고정뿐만 아니라, 페리클 그 자체를 페리클 수납용기 트레이에 고정하는 것을 병용하는 것도 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로 된다.It is a more preferable embodiment to use not only the fixing of the separator but also the fixing of the pellicle itself to the pellicle container tray.

페리클의 페리클 수납용기 트레이로의 고정으로서는, 이하와 같은 구성에 의해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s the fixing of the pellicle to the pellicle container tray, it is preferable that the pellicle is performed by the following configuration.

페리클 프레임(10)의 외측면에는 비관통의 둥근 구멍(10a)이 4개소 형성되어 있고, 거기에는 이탈삽입 가능한 핀(16)이 삽입된다. 각각의 핀(16)은 수납용기 트레이 상에 접착 등의 방법(도시생략)으로 고정된 블록(17)에 유지되는 구조로 되어 있고, 핀(16)의 삽입에 의해 페리클 프레임(10)은 수납용기 트레이(18) 상에 고정된다. 핀 및 블록은, 치수정밀도, 비용의 면에서, PPS, ABS 등의 수지를 사출성형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또한 페리클 프레임과 핀의 마찰에 의한 발진 방지로서, 핀 선단에 러버 부품을 부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Four non-penetrating round holes 10a are form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ferrule frame 10, and the pin 16 which can be detachably inserted is inserted therein. Each pin 16 is structured to be held in a block 17 fixed on the storage container tray by a method such as bonding (not shown). It is fixed on the storage tray 18. In terms of dimensional accuracy and cost, the pin and the block are preferably produced by injection molding a resin such as PPS or ABS. Moreover, it is also preferable to attach a rubber component to the tip of a pin as a prevention of the oscillation by friction of a ferrule frame and a pin.

페리클을 페리클 수납용기 트레이에 고정하는 수단과, 세퍼레이터를 페리클 수납용기에 고정하는 수단을 따로따로 함으로써, 불안정한 세퍼레이터를 통해서 페리클을 페리클 수납용기에 고정하지 않으므로, 수송중에 페리클이 움직여져 발진, 손상될 우려가 없다. 그리고, 페리클 고정수단을 해제한 후에 페리클을 페리클 수납용기로부터 떼어 놓으면, 세퍼레이터만을 페리클 수납용기 트레이 상에 남겨 두게 되어, 자동적으로 이것을 박리할 수 있다.Separate means for securing the pellicle to the pellicle container tray and means for securing the separator to the pellicle container prevents the pellicle from being secured to the pellicle container through unstable separators. There is no fear of moving, damaging and damaging. Then, the releasing of the pellicle holding means removes the pellicle from the pellicle container, leaving only the separator on the pellicle container tray, which can be peeled off automatically.

또한, 페리클을 확실하게 수납용기 트레이 상에 유지하여, 수송중의 발진의 우려가 매우 작은데다가, 페리클의 고정을 해제할 때에도 핀셋 등으로 간접적으로 작업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사람의 손을 페리클에 접근시키지 않게 되어, 이물부착의 우려가 작다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ellicle is reliably held on the container tray, there is a small possibility of dusting during transportation, and since the work can be indirectly performed with tweezers or the like even when releasing the fix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re is no fear of foreign matter adhesion since the ferrule is not approached.

또한, 페리클 수납용기로에 세퍼레이터의 고정구가 탈착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페리클의 고정수단과 함께 세퍼레이터의 고정수단도 해제하면, 세퍼레이터를 박리하지 않고 페리클을 페리클 수납용기로부터 취출할 수 있고, 검사만 행하여, 또한 수납용기에 되돌리는 경우 등에 특히 유익하다.In addition, by allowing the fasteners of the separator to be detachable from the ferry container, by releasing the fixing means of the separator together with the fixing means of the ferrule, the ferrule can be taken out of the ferry container without detaching the separator. It is especially advantageous when only inspection is carried out and it returns to a storage container.

도 2(a)~(d)에 페리클 수납용기 트레이로부터 페리클을 들어 올리는 장면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페리클 프레임(20)에 삽입되어 있는 핀(도시생략)을 발취하고, 다음으로, 페리클 프레임(20)을 페리클 수납용기 트레이(25)와 거의 평행하게 상방으로 들어 올려 간다. 그러면, 도 2(b)와 같이, 페리클 프레임(20)의 상승에 따라, 고정구(23)와 세퍼레이터(22)에 형성된 둥근 구멍(도시생략)의 간극분만큼 세퍼레이터가 끌어내지게 된 후, 고정구(23)에 걸리고, 하측 경사방향으로 내려진다. 또한 페리클 프레임(20)을 상방에 들어 올려 가면, 도 2(b)와 같이 코너부로부터 세퍼레이터(22)의 박리가 시작되고, 도 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경과를 거쳐서, 최후에는 도 2(d)와 같이 박리가 완료된다.Fig.2 (a)-(d) shows schematic of the scene which lifts a pellicle from a pellicle container tray. The pin (not shown) inserted in the ferrule frame 20 is taken out, and then the pericle frame 20 is lifted upwards almost in parallel with the pericle storage container tray 25. Then, as shown in FIG. 2 (b), the separator is pulled out by the gap between the round holes (not shown) formed in the fastener 23 and the separator 22 as the ferrule frame 20 rises. It is caught by the fixture 23 and lowered in the downward inclination direction. In addition, when the ferrule frame 20 is lifted upward, peeling of the separator 22 starts from a corner part like FIG.2 (b), and passes through the process as shown in FIG.2 (c), and finally, FIG. Peeling is completed as 2 (d).

이 때, 고정구는 세퍼레이터의 관통구멍보다 큰 지름부분을 갖고 있으므로, 관통구멍에 삽입 및 고정된 고정구가 충분한 고정력으로 유지되어 있으면, 세퍼레이터는 고정구로부터 빠지거나, 미끄러지거나 할 우려가 없다.At this time, since the fastener has a larger diameter portion than the through hole of the separator, if the fastener inserted and fixed in the through hole is maintained at a sufficient fastening force, the separator is not likely to slip out of the fastener or slip.

도 3(a),(b)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3(a)는 페리클 장변에 있어서, 세퍼레이터(31)에 구멍 뚫린 탭부(32)의 수를 늘리고, 세퍼레이터(31)가 수납용기 트레이(도시생략)에, 보다 밀착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물론, 이 때에는 페리클 수납용기 트레이측도 구멍 뚫린 탭부(32)에 대응한 장소에 수용시트, 고정구 외의 고정수단이 필요하다(도시생략). 세퍼레이터 고정 개소의 증가는, 장변이 1m를 초과하는 특히 대형의 페리클에 대하여, 세퍼레이터 박리시의 안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3A and 3B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a) is to increase the number of tab portions 32 drilled in the separator 31 on the long side of the ferry, and to make the separator 31 more closely fixed to the storage container tray (not shown). Of course, in this case, fixing means other than the receiving sheet and the fastener is required at a place corresponding to the tab portion 32 which also has a perforated container container side (not shown). The increase in the separator fixing poin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stability at the time of peeling the separator with respect to a particularly large-sized ferrule whose long side exceeds 1 m.

도 3(b)는 구멍 뚫린 탭부를 일부만의 돌출로 하지 않고, 세퍼레이터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한 것이다. 세퍼레이터 외주부의 형상이 코너부 이외는 직선만이므로, 제조가 용이하다. 단, 불필요한 세퍼레이터의 면적이 증가한다는 마이너스 요소가 있다. 이와 같이, 세퍼레이터 탭부의 형상 및 세퍼레이터 고정부의 수는, 세퍼레이터를 안정되게 박리할 수 있고, 또한, 가능한 한 심플한 형상을 목표로 한다는 관점에서 결정하는 것이 좋다.Fig. 3 (b) is formed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separator without making the perforated tab portion protrude only. Since the shape of a separator outer peripheral part is only a straight line except a corner part, manufacture is easy. However, there is a negative factor that increases the area of an unnecessary separator. Thus, it is good to determine the shape of a separator tab part and the number of separator fixing parts from a viewpoint which can peel a separator stably and aims at a simple shape as possible.

세퍼레이터에 형성하는 탭부는, 적어도 1개소는 페리클 프레임의 코너부로부터 50㎜ 이내에 설치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한 실시형태로 된다. 그렇게 하면, 세퍼레이터의 박리가 페리클의 수납용기로부터의 떼어 놓음과 아울러 자동적으로 행해지는 조건으로서, 코너 근방에서부터 박리가 개시되는 것을 들 수 있지만, 이 조건이 확실하게 만족된다. 코너부 근방에서부터 박리가 시작됨으로써 점착층으로부터의 박리가 원활하게 되어, 박리력이 작아지게 되는데다가, 세퍼레이터에 큰 힘이나 급격한 거동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발진의 우려가 작다.It is also in a preferred embodiment that at least one of the tab portions formed in the separator is provided within 50 mm from the corner portion of the ferrule frame. In this case, the peeling of the separator is detached from the storage container of the pericle, and the peeling is started from the corner vicinity, but this condition is surely satisfied. Since peeling starts from the corner part vicinity, peeling from an adhesion layer becomes smooth and peeling force becomes small, and since a big force and a sudden behavior are not applied to a separator, there is little concern of oscill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 니다.Hereinafter, although the Example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실시예][Example]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형상의 알루미늄합금제 페리클 프레임(10)을 기계가공에 의해 제작했다. 이 페리클 프레임(10)의 형상은, 외측 치수 1136×783㎜, 내측 치수 1114×763㎜, 높이 6㎜로 하였다. 또한, 측면에는 프레임 고정용 구멍(10a)을 장변측면의 코너부로부터 각각 36㎜의 위치에 4개소 배치하고, 그 형상은 직경 2.5㎜ 깊이 2.5㎜의 둥근 구멍으로 하였다. 그리고, 최후에 표면을 샌드블라스트 처리한 후, 흑색 알루마이트 처리를 실시했다.An aluminum alloy pellicle frame 10 having a shape as shown in Fig. 1 (a) was produced by machining. The shape of this ferrule frame 10 was made into outer dimension 1136x783mm, inner dimension 1114x763mm, and height 6mm. Moreover, the frame fixing hole 10a was arrange | positioned at the position of 36 mm each from the corner part of a long side side, and the shape was made into the round hole of 2.5 mm diameter and 2.5 mm depth in the side surface. After the last sandblasting of the surface, black anodized treatment was performed.

이 페리클 프레임을 중성 세제와 순수로 세정, 건조후, 한쪽의 끝면에 페리클 막 접착층(13)으로서 실리콘 점착제, 다른쪽의 끝면에 마스크 점착층(12)으로서 실리콘 점착제(상품명 KR120,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주) 제작)를 톨루엔으로 희석해서 도포하고, 가열에 의해 경화시켰다. 그리고, 마스크 점착층 끝면에는, 점착층 보호를 위해서, 세퍼레이터(14)를 붙였다. 세퍼레이터는 두께 125㎛의 PET필름을 기재로 하고, 표면에는 불소 변성 실리콘 이형제(상품명: X-70-201,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주) 제작)를 도포하고 있다. 또한, 이 세퍼레이터(14)에는, 4개소의 코너부에 직경 10㎜의 관통구멍을 가진 탭부(14a)를 설치했다.After washing and drying this pericle frame with neutral detergent and pure water, it is a silicone adhesive as a liquid adhesive layer 13 on one end surface, and a silicone adhesive as a mask adhesive layer 12 on the other end surface (brand name KR120, Shin-Etsu). Kagaku Kogyo Co., Ltd. product was diluted with toluene, and apply | coated, and it hardened | cured by heating. And the separator 14 was stuck to the mask adhesion layer end surface for the adhesion layer protection. The separator is based on a 125-micrometer-thick PET film, and is coated with a fluorine-modified silicone releasing agent (trade name: X-70-201, manufactured by Shin-Etsu Chemical Co., Ltd.). In addition, the separator 14 was provided with a tab portion 14a having a through hole having a diameter of 10 mm at four corner portions.

또한, 불소계 폴리머(상품명 사이톱, 아사히가라스(주) 제작)를 스핀 코트법에 의해 850×1200×두께 10㎜의 직사각형 석영기판 상에 성막하고, 용매건조후, 기판 외형과 동일한 형상의 프레임체에 접착, 박리하여 얻은 두께 약 4㎛의 페리클 막을 이 페리클 프레임에 붙였다. 그리고, 페리클 프레임 주위의 불필요한 막을 커터로 절단 제거하여 페리클로 하였다.In addition, a fluorine-based polymer (trade name Cytop, manufactured by Asahi Glass Co., Ltd.) was deposited on a 850 × 1200 × 10 mm thick quartz substrate by spin coating, and after drying the solvent, a frame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outer surface of the substrate. A pellicle film having a thickness of about 4 µm obtained by adhering and peeling to a sieve was attached to this pellicle frame. And the unnecessary film | membrane around a pellicle frame was cut out by the cutter, and it was set as pellicle.

또한,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단면형상의 ABS수지 용기를 진공성형법에 의해 제작하고, 페리클 프레임(10) 측면의 고정용 구멍(10a)에 대응한 위치에 고정용의 핀(16)이 삽입되도록 블록(17)의 위치를 조정하고, 수납용기 트레이(18) 상에 접착제 및 볼트 체결(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음)로 고정했다.In addition, an ABS resin container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as shown in FIG. 1 (a) is produced by a vacuum molding method, and the pin 16 for fixing is positio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xing hole 10a on the side of the ferrule frame 10. The position of the block 17 was adjusted so that () was inserted, and it fixed by the adhesive agent and the bolt fastening (not shown in figure) on the storage container tray 18.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세퍼레이터 탭부(14a)에 형성한 관통구멍에 대응한 위치에, 수용시트(15b)를 볼트(15d)로 체결 고정했다. 수용시트(15b) 내부의 공간에는 φ6㎜, 높이 6㎜의 네오디뮴-철-붕소 자석에 니켈 도금을 실시한 것을 삽입했다. 또한, 볼트 구멍 주변에는 O링(19)을 배치했다. 또한, 고정구(15a)로서, 탄소강 S45C를 기계가공에 의해 수용시트(15b)에 끼워맞추고, 직경 16㎜의 대경부를 갖는 단이 형성된 둥근 막대형상으로 기계가공한 후, 니켈 도금을 실시했다. 수용시트(15b)의 구멍 지름은 6㎜, 고정구(15a)의 선단 원기둥부의 외경은 5.8㎜로 하고, 원활하게 삽입이탈가능하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들 부재를 모두 중성 세제와 순수로 세정하고, 잘 건조시켰다.Moreover, the accommodating sheet | seat 15b was fastened and fixed by the bolt 15d in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rough-hole formed in the said separator tab part 14a. In the space inside the accommodating sheet 15b, a nickel plated one was inserted into a neodymium-iron-boron magnet having a diameter of 6 mm and a height of 6 mm. In addition, an O-ring 19 was disposed around the bolt hole. As the fastener 15a, carbon steel S45C was fitted to the accommodating sheet 15b by machining, and machined into a round bar shape having a step having a large diameter portion having a diameter of 16 mm, and then nickel-plated. The hole diameter of the accommodating sheet 15b was 6 mm,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tip cylindrical portion of the fastener 15a was 5.8 mm, so that insertion and removal were possible smoothly. Finally, all of these members were washed with neutral detergent and pure water and dried well.

상기 방법에 의해 완성된 페리클에 대해서, 암실 내에서 광량 30만럭스의 할로겐램프로 이물 검사를 행한 후, 주의 깊게 수납용기 트레이(18) 상에 적재하여, 핀(16)을 페리클 프레임(10) 측면의 둥근 구멍(10a)에 삽입했다. 다음으로, 세퍼레이터 탭부(14a)의 관통구멍 및 수용시트(15b)에 고정구(15a)를 삽입, 마그넷(15c)에 흡착 고정시켰다.After the foreign matter inspection is carried out with a halogen lamp having a light quantity of 300,000 lux in a dark room, the ferrule completed by the above method is carefully loaded on the tray 18 of the container, and the pin 16 is placed in a ferric frame ( 10) It inserted into the round hole 10a of the side surface. Next, the fastener 15a was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 of the separator tab part 14a and the accommodating sheet 15b, and it fixedly fixed to the magnet 15c.

그 후, 2명의 작업자에 의해 4코너를 잡고 페리클 수납용기 트레이(18)를 수직으로 세우고, 또한, 상하 반대로 하고, 게다가는 상하 반대인 채로 5회 상하로 흔들어(속도: 약 30㎝/s, 상하 스트로크: 약 30㎝) 고정된 페리클 프레임(10)의 거동을 확인했지만, 페리클 프레임(10), 세퍼레이터(14) 모두 위치 어긋남은 전혀 보이지 않았다. 또한, 핀셋을 이용하여 페리클 프레임(10)으로부터 핀(16)을 빼냈다.Thereafter, the four corners are held by two workers to hold the ferry container tray 18 vertically, and the upper and lower sides are shaken up and down five times while still upside down (speed: about 30 cm / s). Up and down stroke: about 30 cm) Although the behavior of the fixed pellicle frame 10 was confirmed, the positional shift of both the pellicle frame 10 and the separator 14 was not seen at all. In addition, the pin 16 was pulled out of the pericle frame 10 using tweezers.

다음으로, 페리클 프레임(10)을 상방에 끌어 올려서 세퍼레이터(14)의 박리 상태를 다음과 같이 확인했다.Next, the peeling state of the separator 14 was confirmed as follows by pulling up the pericle frame 10 upwards.

2명의 작업자가 니트릴고무제의 장갑을 장착한 후, 순수로 잘 세정, 건조시켰다. 다음에, 페리클 프레임의 외측, 4개소의 코너부 근방을 잡고 거의 수평을 유지한 채, 천천히 상방으로 끌어 올렸다. 5㎜ 정도 끌어 올린 곳에서부터 세퍼레이터가 박리되기 시작하고, 5㎝ 정도 끌어 올린 곳에서, 마스크 점착층(12)으로부터 완전히 세퍼레이터(14)가 탈락되었다.Two workers wore gloves made of nitrile rubber, and then washed and dried well with pure water. Next, it grasped the outer side of a pericle frame and the vicinity of four corner parts, and pulled it upward slowly, maintaining substantially horizontal. The separator began to peel from the place where it pulled up about 5 mm, and the separator 14 fell completely from the mask adhesion layer 12 at the place where it pulled up about 5 cm.

그 후, 전용의 홀더(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음)에 페리클 프레임(10)을 설치하고, 암실 내에서 30만럭스의 할로겐램프를 조사하여 페리클 막(11)면을 관찰했다. 그 결과, 페리클 막면(11)에는 손상도 이물부착도 보이지 않았다.Thereafter, the ferrule frame 10 was installed in a dedicated holder (not shown), and 300,000 lux halogen lamps were irradiated in the dark room to observe the surface of the ferrule film 11. As a result, neither the damage nor foreign matter adhered to the pellicle membrane surface 11.

그리고, 동일한 시험을 10회 반복했지만, 세퍼레이터의 페리클 막면으로의 접촉 및 이물의 부착은 전무했다. 또한, 프레임 기계가공을 제외한 상기 모든 작업은 클래스1의 클린룸 내에서 행하고 있다.And although the same test was repeated 10 times, there was no contact of the separator to the pellicle membrane surface and foreign material adhesion. In addition, all the above operations except frame machining are performed in a class 1 clean room.

[비교예1][Comparative Example 1]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페리클을 제작했다. 단, 사용한 세퍼레 이터는 탭부를 1개소로 생략한 것으로 했다.Pericle was produced by the method similar to the said Example. However, the separator used was assumed to have omitted the tab portion.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단면형상을 갖는 ABS수지 페리클 수납용기를 진공성형법에 의해 제작하고, 상기 페리클 프레임 측면의 고정용 구멍에 대응한 위치에 고정용 핀(16)이 삽입되도록 블록(17)의 위치를 조정하고, 수납용기 트레이(18)에 접착제 및 볼트 체결(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음)로 고정했다. 그 후, 이 수납용기를 중성 세제와 순수로 세정하고, 잘 건조시켰다.In addition, an ABS resin pellicle container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as shown in FIG. 1 is manufactured by a vacuum molding method, and the block is inserted such that the fixing pin 16 is inser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xing hole on the side of the pellicle frame. The position of (17) was adjusted and it fixed to the storage container tray 18 by the adhesive agent and the bolt fastening (not shown). Then, this storage container was wash | cleaned with neutral detergent and pure water, and it dried well.

상기와 같이 해서 완성된 페리클에 대해서, 암실 내에서 광량 30만럭스의 할로겐램프로 페리클 막 상의 이물검사를 행한 후, 주의 깊게 수납용기 트레이(18) 상에 적재하고, 핀(16)을 페리클 프레임(10) 측면의 구멍(10a)에 삽입했다.After the aliquots were carried out on the pellicle film in the dark room with a halogen lamp of 300,000 lux in light, the pellicle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was carefully loaded on the storage container tray 18, and the pin 16 was loaded. It inserted into the hole 10a of the side surface of the ferrule frame 10.

그 후, 상기 실시예와 완전히 마찬가지로 하여, 2명의 작업자에 의해 페리클 수납용기 트레이(18)를 수직으로 세우고, 상하 반대로 하고, 게다가는 상하 반대인 채로 5회 상하로 흔들어(속도: 약 30㎝/s, 상하 스트로크: 약 30㎝), 페리클 프레임(10)의 거동을 확인했지만, 페리클 프레임(10)의 위치 어긋남은 전혀 보이지 않았다.Thereafter,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 embodiment, by two workers, the pellicle container tray 18 is placed vertically, upside down, and shaken up and down five times while still upside down (speed: about 30 cm). / s, up and down stroke: about 30 cm), and the behavior of the pellicle frame 10 was confirmed, but the positional shift of the pellicle frame 10 was not seen at all.

다음에, 2명의 작업자가 니트릴고무제의 장갑을 장착한 후, 순수로 잘 세정, 건조시키고, 페리클 프레임(10)의 외측, 4개소의 코너부 근방을 잡고 거의 수평을 유지한 채, 페리클 수납용기 트레이(18)로부터 천천히 취출, 지그(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음)로 도 4(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페리클을 수직으로 유지했다. 그 후, 도 4(a)~(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퍼레이터(43)의 탭부(도시생략)를 핀셋(44)으로 쥐고, 하방으로 당기면서 박리시키고, 그 거동을 확인했다.Next, after two workers put on gloves made of nitrile rubber, they were washed and dried well with pure water, and the ferry frame 10 was held near the four corners and held almost horizontal, As shown in FIG.4 (d) with a jig | tool (not shown in figure), it took out slowly from the claw storage container tray 18, and held | maintained the ferrule vertically. Then, as shown to Fig.4 (a)-(c), the tab part (not shown) of the separator 43 was grasped | pulled with the tweezers 44, it peeled while pulling downward, and the behavior was confirmed.

이 시험을 10회 반복해서 행한 결과, 10회 중 2회에 있어서, 세퍼레이터를 박리해 가는 도중에 급격하게 박리가 진행되고, 도 4(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거동으로 세퍼레이터(43)가 페리클 막(41)에 접촉하여, 페리클 막을 손상시켜 버렸다.As a result of repeating this test 10 times, in 2 out of 10 times, peeling advances abruptly in the middle of peeling a separator, and the separator 43 moves a pellicle film | membrane by the behavior shown in FIG.4 (d). In contact with (41), the pellicle membrane was damaged.

또한, 도 4 중, 40은 페리클 프레임, 42는 마스크 점착층이다.In addition, in FIG. 4, 40 is a pericle frame and 42 is a mask adhesion layer.

[비교예2] [Comparative Example 2]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단면형상의 ABS수지 페리클 수납용기를 진공성형법에 의해 제작했다. 이 용기는,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1에 있는 페리클 프레임 고정용 핀 및 블록(도 1 중의 16,17)은 생략되어 있다. 이 페리클 수납용기를 중성 세제와 순수로 세정하고, 잘 건조시켰다. 다음에,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페리클을 제작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한 세퍼레이터(54)는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탭부(54a)가 4개소인 것으로 하였지만, 탭부의 관통구멍은 생략된 형상으로 하였다. 그리고, 완성된 페리클에 대해서, 암실 내에서 광량 30만 럭스의 할로겐램프로 페리클 막면의 이물검사를 행하고, 주의 깊게 수납용기 트레이(56) 상에 얹어 놓았다. 그 후, 탭부(54a)를 폭 1/2인치의 점착테이프(55)(알마사 제작 상품명: 알마크 테이프)로 수납용기 트레이(56) 상에 붙여, 고정했다.As shown in FIG. 5, the cross section ABS resin pellicle container was produced by the vacuum molding method. In this container, the pins and blocks (16 and 17 in Fig. 1) for fixing the pericle frame in the above-mentioned Example and Comparative Example 1 are omitted. The pericle container was washed with a neutral detergent and pure water and dried well. Next, a pellicle was produced by the method similar to the said Example. As shown in Fig. 5, the used separator 54 had four tab portions 54a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 embodiment, but the through holes of the tab portions were omitted. Subsequently, foreign materials on the surface of the ferrule were inspected with a halogen lamp having a light quantity of 300,000 lux in the dark room, and placed on the storage container tray 56 carefully. Thereafter, the tab portion 54a was pasted onto the storage container tray 56 with an adhesive tape 55 (Alma Co., Ltd. product name: Almark tape) having a width of 1/2 inch and fixed.

그 후, 상기 실시예, 비교예1과 완전히 마찬가지로 하여, 2명의 작업자에 의해 페리클 수납용기 트레이(56)를 수직으로 세우고, 상하 반대로 하고, 게다가는 상하 반대인 채로 5회 상하로 흔들어(속도: 약 30㎝/s, 상하 스트로크: 약 30㎝), 페리클 프레임(50)의 거동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상하 반대로 흔들었을 때에, 마스크 점착층(52)이 세퍼레이터(54)로부터 박리되어, 페리클 프레임(50)이 탈락해 버렸다.Subsequently,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described Example and Comparative Example 1, by two workers, the ferry container container 56 is placed vertically, upside down, and shaken up and down five times while still being upside down (speed : About 30 cm / s, upper and lower strokes: about 30 cm), and the behavior of the pericle frame 50 was confirmed. As a result, when shaking up and down, the mask adhesion layer 52 peeled from the separator 54, and the pellicle frame 50 fell out.

본 발명은, 점점 대형화해 되는 페리클의 보관ㆍ이동이나 세퍼레이터의 분리에 매우 안전ㆍ확실한 페리클 수납용기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IT제조산업에 공헌할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ibute to the IT manufacturing industry by providing a safer and more reliable ferrule storage container for the storage and movement of increasingly large pellicles and separation of separators.

본 발명에 의하면, 페리클의 페리클 수납용기로부터의 취출에 수반하여 세퍼레이터는 마스크 점착층으로부터 박리된다. 박리 종료까지 세퍼레이터는 페리클 수납용기 트레이에 고정된 채이므로, 페리클 막에의 접촉이 방지되고, 또한, 이물부착의 우려도 작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parator is peeled off from the mask adhesive layer with the takeout of the pellicle from the pellicle container. Since the separator is fixed to the pellicle container tray until the end of peeling, the contact with the pellicle membrane is prevented, and the risk of foreign matter adhesion is small.

Claims (9)

변 길이가 300㎜를 초과하는 페리클을 수납하는 페리클 수납용기에 있어서,In a pellicle container for storing pellicles whose side length exceeds 300mm, 세퍼레이터의 외주에 복수의 관통구멍을 갖는 돌출된 영역을 설치하고, Protruding regions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parator, 상기 관통구멍을 통하여 그 관통구멍보다 큰 지름의 부분을 갖는 고정구를 페리클 수납용기 트레이 상의 상기 관통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수용시트와 자력에 의해 흡착 고정함으로써 상기 페리클 수납용기 트레이에 세퍼레이터를 고정하며,A separator having a portion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through hole through the through hole is sucked and fixed by a magnetic force with the receiving sheet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on the ferry container tray. Fix the 상기 고정구는 탈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리클 수납용기.The fastener contain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movable. 제1항에 있어서, 세퍼레이터를 페리클 수납용기 트레이에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세퍼레이터 고정수단과는 다른 수단에 의해 페리클을 페리클 수납용기 트레이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리클 수납용기.2. A pellicle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parator is fixed to the pellicle container tray and the pellicle is fixed to the pellicle container tray by means different from the separator fixing means. 제1항에 있어서, 세퍼레이터를 페리클 수납용기 트레이에 고정함과 아울러, 페리클이 페리클 프레임의 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비관통의 구멍에 각각 삽입된 핀에 의해 페리클 수납용기의 트레이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리클 수납용기.The ferry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parator is fixed to the tray of the pellicle container, and the pin of the pellicle is fixed to the tray of the container of the pellicle by pins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non-penetrating holes formed on the side of the pellicle frame. Pericle storage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페리클 수납용기로의 세퍼레이터의 고정구 중, 적어도 1개소는 페리클 프레임의 코너부로부터 50㎜ 이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리클 수납용기.The pellicle contain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asteners of the separator to the pellicle container is provided within 50 mm from a corner of the pellicle frame. .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60136446A 2006-04-19 2006-12-28 pellicle container KR10126836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15604A JP4649363B2 (en) 2006-04-19 2006-04-19 Pellicle storage container
JPJP-P-2006-00115604 2006-04-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3670A KR20070103670A (en) 2007-10-24
KR101268361B1 true KR101268361B1 (en) 2013-05-28

Family

ID=38758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6446A KR101268361B1 (en) 2006-04-19 2006-12-28 pellicle container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649363B2 (en)
KR (1) KR101268361B1 (en)
TW (1) TWI332599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51840B2 (en) * 2007-11-22 2012-10-17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Method for storing a pellicle in a pellicle storage container
JP2010060992A (en) * 2008-09-05 2010-03-18 Asahi Kasei E-Materials Corp Large pellicle structure and large pellicle housing structure
JP2012103638A (en) * 2010-11-15 2012-05-31 Shin Etsu Chem Co Ltd Pellicle handling tool
JP5586560B2 (en) * 2011-10-28 2014-09-10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Pellicle container
JP5586559B2 (en) * 2011-10-28 2014-09-10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Pellicle container
JP5767730B2 (en) * 2014-03-20 2015-08-19 旭化成イー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How to remove a large pellicle from a storage container
JP6351178B2 (en) * 2015-07-13 2018-07-04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Pellicle storage container and pellicle removal method
JP7038640B2 (en) * 2018-10-26 2022-03-18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Pellicle peeling method and pellicle peeling device
CN113291620B (en) * 2021-05-25 2022-11-15 成都宏明双新科技股份有限公司 Nickel-plated metal sheet packag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4039A (en) * 1996-01-25 1997-08-05 Shin Etsu Chem Co Ltd Pellicle frame holder
JPH10114388A (en) * 1996-10-07 1998-05-06 Nikon Corp Pellicle container
JPH1138597A (en) * 1997-07-22 1999-02-12 Asahi Kasei Denshi Kk Structure for housing pellicle
JP3938224B2 (en) * 1997-08-04 2007-06-27 旭化成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Pellicle storage structure
JPH11202477A (en) * 1998-01-14 1999-07-30 Oki Electric Ind Co Ltd Fitting structure for pellicle
JP2001018359A (en) * 1999-07-07 2001-01-23 Taiyo Seiki Kk Screen retaining frame for screen printing
JP4345881B2 (en) * 2003-06-04 2009-10-14 旭化成イー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Large pellicle storage method
JP4406320B2 (en) * 2004-05-20 2010-01-27 矢崎総業株式会社 Door harness assembly structure and assembly method
JP2006066550A (en) * 2004-08-25 2006-03-09 Sharp Corp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286483A (en) 2007-11-01
TWI332599B (en) 2010-11-01
KR20070103670A (en) 2007-10-24
JP4649363B2 (en) 2011-03-09
TW200801792A (en) 2008-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8361B1 (en) pellicle container
KR101312478B1 (en) Pericle and pericle exfoliation device
JP2665433B2 (en) Optical pellicle hold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5051840B2 (en) Method for storing a pellicle in a pellicle storage container
TWI301653B (en)
US20100323281A1 (en) Pellicle
JP2006301525A (en) Pellicle frame
KR20230088663A (en) Pellicle storage container
KR20000023244A (en) Arrangement Configured To Support Substrate During Dicing Process,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Cutting Tapeless Substrate Using The Arrangement
KR101564115B1 (en) Jig for peeling pellicle and peeling method
JP5642377B2 (en) Substrate storage container and transport container for transporting the container
JP2001092113A (en) Pellicle for semiconductor lighography
JP2006306458A (en) Manufacturing method of fixing carrier
TWI465840B (en) Pellicle
TW200809432A (en) Method and tool for cleaning photomask
JPS61245163A (en) Mask protecting device
JP3427241B2 (en) Sticking structure of pellicle to photomask
KR200149834Y1 (en) Mask with pellicle
JPS6355551A (en) Protective tool for photomask
JPH1020480A (en) Method for affixing pellicle to photomask
KR20080099917A (en) Pellicle for protecting photomask and method of detachng and attaching the pellicle to the photomask
JPS61169848A (en) Separating method of pellicle for mask protection
JPH075678A (en) Production of mask for exposing and its device
JPH05216214A (en) Photomask and pellicle
JPH1039491A (en) Manufacture of mask protectiv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