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6429B1 -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 액츄에이터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 액츄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6429B1
KR101266429B1 KR1020100081728A KR20100081728A KR101266429B1 KR 101266429 B1 KR101266429 B1 KR 101266429B1 KR 1020100081728 A KR1020100081728 A KR 1020100081728A KR 20100081728 A KR20100081728 A KR 20100081728A KR 101266429 B1 KR101266429 B1 KR 101266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output shaft
door
case
enga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1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8838A (ko
Inventor
한규익
김영근
김태완
윤길상
서정훈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1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6429B1/ko
Publication of KR20120018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8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6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642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도어 액츄에이터로 복수의 도어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고, 선택되지 않은 도어의 공회전을 방지하여 도어의 개도량 변화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케이스와;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제어신호에 따라 정,역회전되는 구동모터와; 어느 한 쪽의 도어와 연결되도록 케이스에 설치되는 제 1출력축과; 다른 쪽의 도어와 연결되도록 케이스에 설치되는 제 2출력축과; 구동모터의 동력을 제 1출력축과 제 2출력축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 및; 제 1출력축과 제 2출력축 중 구동모터의 동력이 전달되지 않은 출력축을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 액츄에이터{DOOR ACTUATOR OF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도어 액츄에이터로 복수의 도어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고, 선택되지 않은 도어의 공회전을 방지하여 도어의 개도량 변화를 차단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공기통로의 개도량을 조절하는 각종 도어를 구비하며, 이들 도어들은 도어 액츄에이터에 의해 구동된다.
도 1에는 도어 액츄에이터(1)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어 액츄에이터(1)는, 공조케이스(3)의 외측면에 설치되며, 공조케이스(3)의 내부에 설치되는 도어(5a, 5b)와 연결된다.
이러한 도어 액츄에이터(1)는,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되면서 도어(5a, 5b)를 특정각도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도어(5a, 5b)의 개도각을 조절한다.
한편, 도어 액츄에이터(1)는, 각 도어(5a)를 개별적으로 제어하기도 하고, 캠(6)을 통해 복수의 도어(5b)를 한꺼번에 제어하기도 한다. 통상적으로, 템프도어(Temp. Door)(5a)는 독립적으로 제어하고, 모드도어(Mode Door)(5b)들, 예를 들면, 디프 도어(Def. Door)와 벤트 도어(Vent Door)와 플로어 도어(Floor Door) 등은, 캠(6)을 통해 한꺼번에 제어한다.
따라서, 공조장치는, 템프도어(5a)를 제어하기 위한 도어 액츄에이터(1a)와, 모드도어(5b)들을 제어하기 위한 도어 액츄에이터(1b)를 별도로 구비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공조장치는, 템프도어(5a)와 모드도어(5b)들을 제어하기 위해 2개의 도어 액츄에이터(1a, 1b)가 필요하므로, 부품수가 증가된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제조원가가 상승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공조장치는, 2개의 도어 액츄에이터(1a, 1b)가 공조케이스(3)에 설치되는 구조이므로, 공조케이스(3)의 크기를 증가시킨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공조케이스(3)의 설치 시에 많은 설치공간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한편, 이를 감안하여 하나의 도어 액츄에이터로 2군데의 도어를 구동시킬 수 있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그 일례로서, 본 출원인이 출원한 국내특허 제2009-121990호가 있다.
이 기술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10)와, 어느 한 쪽의 도어(5a)와 연결되는 제 1출력축(12)과, 다른 쪽의 도어(5b)와 연결되는 제 2출력축(14) 및, 구동모터(1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제 1출력축(12)과 제 2출력축(14)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매개기어(16)를 구비한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매개기어(16)를 통해 구동모터(10)의 구동력을 제 1출력축(12)과 제 2출력축(14)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전달한다. 따라서, 제 1출력축(12)에 연결된 템프도어(5a)와, 제 2출력축(14)에 연결된 모드도어(5b)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이로써, 하나의 도어 액츄에이터로 두 군데의 도어(5a, 5b)들을 구동시킬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매개기어(16)가 제 1출력축(12)과 제 2출력축(14)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될 경우, 다른 하나는 아이들(Idle) 상태가 되는 구조이므로, 아이들 상태의 출력축이 외부의 진동과 충격에 의해 공회전될 우려가 있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출력축과 연결된 도어가 임의로 회전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도어가 임의로 회전되므로, 도어의 개도량이 임의로 변경된다는 결점이 있으며, 이러한 결점 때문에 차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와 토출방향이 변화되어 차실내의 냉,난방효율이 현저하게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도어 액츄에이터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구동모터와 연결되지 않는 출력축의 공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 액츄에이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동모터와 연결되지 않는 출력축의 공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출력축의 공회전으로 인한 도어의 개도량 변화를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 액츄에이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출력축의 공회전으로 인한 도어의 개도량 변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도어의 개도량 변화로 인한 차실내의 냉,난방 효율 저하현상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 액츄에이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어들을 회전시켜 개도각을 조절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 액츄에이터에 있어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제어신호에 따라 정,역회전되는 구동모터와; 어느 한 쪽의 도어와 연결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제 1출력축과; 다른 쪽의 도어와 연결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제 2출력축과;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상기 제 1출력축과 제 2출력축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 및; 상기 제 1출력축과 제 2출력축 중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이 전달되지 않은 출력축을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력전달기구는,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설치되는 구동기어와; 제 1위치와 제 2위치 사이에서 동시에 축방향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에 쌍을 이루며 설치되고, 상기 제 1위치에서는 어느 하나가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며, 상기 제 2위치에서는 다른 하나가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는 제 1 및 제 2매개기어와; 상기 제 1매개기어와 치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출력축에 설치되는 제 1동력전달기어와; 상기 제 2매개기어와 치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출력축에 설치되는 제 2동력전달기어 및; 상기 제 1 및 제 2매개기어를 상기 제 1위치와 제 2위치 중 선택된 어느 한쪽 위치로 운동시키는 운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 1위치와 제 2위치 중 상기 구동기어에 치합되지 않은 위치로 운동한 상기 제 1매개기어의 기어이빨들 사이에 끼워져 상기 제 1매개기어 및 이에 연결된 상기 제 1출력축을 고정시키는 제 1스토퍼와; 상기 제 1위치와 제 2위치 중 상기 구동기어에 치합되지 않은 위치로 운동한 상기 제 2매개기어의 기어이빨들 사이에 끼워져 상기 제 2매개기어 및 이에 연결된 상기 제 2출력축을 고정시키는 제 2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 액츄에이터에 의하면, 구동모터의 동력을 제 1 및 제 2출력축에 각각 전달하는 제 1 및 제 2매개기어 중, 구동모터와 연결되지 않는 매개기어를 고정시키는 구조이므로, 구동모터와 연결되지 않는 매개기어와 이와 연결된 출력축의 공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동모터의 동력이 전달되지 않는 출력축의 공회전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출력축의 공회전으로 인한 도어의 개도량 변화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출력축의 공회전으로 인한 도어의 개도량 변화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도어의 개도량 변화로 인한 차실내의 냉,난방 효율 저하현상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과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 액츄에이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 액츄에이터의 주요부분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템프도어를 제어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3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모드도어를 제어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 액츄에이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도어 액츄에이터는, 케이스(20)를 구비하며, 케이스(20)에는 구동모터(22)와 제 1출력축(24)과 제 2출력축(26)이 설치된다.
구동모터(22)는, 공조장치의 제어신호에 따라 정,역회전한다.
제 1출력축(24)은, 구동모터(22)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이렇게 회전하는 제 1출력축(24)은, 도어(5a), 예를 들면, 템프도어(5a)와 연결되어 상기 템프도어(5a)를 회전시킨다.
제 2출력축(26)은, 구동모터(22)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이렇게 회전하는 제 2출력축(26)은, 다른 도어(5b), 예를 들면, 모드도어(5b)와 연결되어 상기 모드도어(5b)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본 발명의 도어 액츄에이터는, 구동모터(22)의 동력을 제 1출력축(24)과 제 2출력축(26)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30)를 구비한다.
동력전달기구(30)는, 구동모터(22)의 모터축(22a)에 설치되는 구동기어(32)와, 구동기어(32)의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는 제 1 및 제 2매개기어(34, 36)와, 제 1매개기어(34)와 치합될 수 있도록 제 1출력축(24)에 설치되는 제 1동력전달기어(38)와, 제 2매개기어(36)와 치합될 수 있도록 제 2출력축(26)에 설치되는 제 2동력전달기어(39)를 구비한다.
구동기어(32)는, 웜기어(Worm Gear)로 구성되며, 구동모터(22)가 정,역회전함에 따라 동시에 정,역회전운동한다.
제 1매개기어(34)는, 대직경기어부(34a)와 소직경기어부(34b)가 일체로 연결된 2단기어(Double Gear)로서, 대직경기어부(34a)는 구동모터(22)의 구동기어(32)와 치합될 수 있고, 소직경기어부(34b)는 제 1동력전달기어(38)에 치합된다. 특히, 소직경기어부(34b)는 제 1동력전달기어(38)에 항상 치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제 2매개기어(36)는, 대직경기어부(36a)와 소직경기어부(36b)가 일체로 연결된 2단기어로서, 대직경기어부(36a)는 구동모터(22)의 구동기어(32)와 치합될 수 있고, 소직경기어부(36b)는 제 2동력전달기어(39)에 치합된다. 특히, 소직경기어부(36b)는 제 2동력전달기어(39)에 항상 치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렇게 구성된 제 1 및 제 2매개기어(34, 36)는, 동일한 회전축선(ℓ)을 갖도록 케이스(30)에 쌍을 이루며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쌍을 이루는 제 1 및 제 2매개기어(34, 36)는, 축방향을 따라 슬라이딩운동한다.
특히,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축(37)을 따라 "제 1위치"(X)와 "제 2위치"(Y)사이에서 슬라이딩운동하는데, 이때, "제 1위치"(X)로 슬라이딩운동할 경우에는, 도 4에서와 같이, 제 1매개기어(34)가 구동모터(22)의 구동기어(32)에 치합되도록 구성되고, "제 2위치"(Y)로 슬라이딩운동할 경우에는, 도 5에서와 같이, 제 2매개기어(36)가 구동모터(22)의 구동기어(32)에 치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 1매개기어(34)와 제 2매개기어(36)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만 구동모터(22)의 구동기어(32)에 치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제 1매개기어(34)와 제 2매개기어(36)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만 구동모터(22)의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제 1동력전달기어(38)는, 제 1매개기어(34)와 항상 치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도 4에서와 같이, 제 1매개기어(34)로부터 전달된 구동모터(22)의 구동력을 제 1출력축(24)에 전달한다. 이로써, 제 1출력축(24)과 연결된 도어(5a), 예를 들면, 템프도어(5a)가 회전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템프도어(5a)의 개도각이 조절될 수 있게 한다.
제 2동력전달기어(39)는, 제 2매개기어(36)와 항상 치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도 5에서와 같이, 제 2매개기어(36)로부터 전달된 구동모터(22)의 구동력을 제 2출력축(26)에 전달한다. 이로써, 제 2출력축(26)과 연결된 도어(5b), 예를 들면, 모드도어(5b)가 회전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모드도어(5b)의 개도각이 조절될 수 있게 한다.
다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동력전달기구(30)는, 제 1 및 제 2매개기어(34, 36)를 필요에 따라 "제 1위치"(X)와 "제 2위치"(Y) 중 선택된 어느 한쪽 위치로 운동시킬 수 있는 운동수단(40)을 구비한다.
운동수단(40)은, 제 1 및 제 2매개기어(34, 36)를 "제 1위치"(X)와 "제 2위치"(Y) 중 어느 한쪽 위치로 탄성가압하는 스프링(42)과, 어느 한쪽 위치로 탄성가압된 제 1 및 제 2매개기어(34, 36)를 다른 쪽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솔레노이드(44)를 포함한다.
스프링(42)은, 코일스프링으로서, 제 1 및 제 2매개기어(34, 36)의 중심축(37)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 1 및 제 2매개기어(34, 36)를 "제 1위치"(X)방향으로 탄성가압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매개기어(34, 36)가 항상 "제 1위치"(X)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제 1매개기어(34)가 구동모터(22)의 구동기어(32)에 치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제 1매개기어(34)에 구동모터(22)의 구동력이 전달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제 1매개기어(34)에 전달된 구동모터(22)의 구동력이 제 1동력전달기어(38)를 통해 제 1출력축(24)에 전달될 수 있게 한다.
솔레노이드(44)는, 전원의 인가여부에 따라 여자(勵磁) 및 소자(消磁)되는 것으로,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여자되면서 상기 제 1 및 제 2매개기어(34, 36)를 "제 2위치"(Y)방향으로 잡아당긴다. 따라서, 제 1 및 제 2매개기어(34, 36)가 "제 2위치"(Y)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제 2매개기어(34)가 구동모터(22)의 구동기어(32)에 치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제 2매개기어(36)에 구동모터(22)의 구동력이 전달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제 2매개기어(36)에 전달된 구동모터(22)의 구동력이 제 2동력전달기어(39)를 통해 제 2출력축(26)에 전달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동력전달기구(30)에 의하면, 제 1 및 제 2매개기어(34, 36)를 필요에 따라 "제 1위치"(X) 또는 "제 2위치"(Y)로 운동시킬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구동모터(12)의 구동력을 제 1출력축(24)과 제 2출력축(26)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제 1출력축(24)에 연결된 템프도어(5a)와, 제 2출력축(26)에 연결된 모드도어(5b)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게 한다. 이로써, 하나의 구동모터(22)로 두 군데의 도어(5a, 5b)들을 구동시킬 수 있게 한다.
다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도어 액츄에이터는, 제 1 및 제 2매개기어(34, 36) 중, 구동모터(22)의 구동기어(32)에 치합되는 않은 기어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50)을 구비한다.
고정수단(50)은, 제 1매개기어(34)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제 1스토퍼(52)와, 제 2매개기어(36)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제 2스토퍼(54)를 구비한다.
제 1스토퍼(5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22)의 구동기어(32)에 치합되는 않은 채, "제 2위치"(Y)로 운동한 제 1매개기어(34)의 기어 이빨들 사이에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 1매개기어(34)의 공회전을 방지한다. 특히, 외부의 진동과 충격에 의한 제 1매개기어(34)의 공회전을 방지한다. 이로써, 제 1매개기어(34)의 공회전으로 인한 템프도어(5a)의 개도량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템프도어(5a)의 개도량 변화로 인한 차실내의 냉,난방 효율 저하현상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 1스토퍼(52)는, 기어 이빨 모양으로 구성되며, 기어이빨 모양의 제 1스토퍼(52)는 제 1매개기어(34)의 기어 이빨들과 치합된다. 따라서, 제 1매개기어(34)의 공회전을 방지한다.
그리고 제 1스토퍼(52)는, 제 1매개기어(34)와 치합되데, 제 1매개기어(34)의 대직경기어부(34a)에 치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스토퍼(5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22)의 구동기어(32)에 치합되는 않은 채, "제 1위치"(X)로 운동한 제 2매개기어(36)의 기어 이빨들 사이에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 2매개기어(34)의 공회전을 방지한다. 특히, 외부의 진동과 충격에 의한 제 2매개기어(36)의 공회전을 방지한다. 이로써, 제 2매개기어(36)의 공회전으로 인한 모드도어(5b)의 개도량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모드도어(5b)의 개도량 변화로 인한 차실내의 냉,난방 효율 저하현상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 2스토퍼(54)는, 기어 이빨 모양으로 구성되며, 기어 이빨 모양의 제 2스토퍼(54)는 제 2매개기어(36)의 기어 이빨들과 치합된다. 따라서, 제 2매개기어(36)의 공회전을 방지한다.
그리고 제 2스토퍼(54)는, 제 2매개기어(36)와 치합되데, 제 2매개기어(36)의 대직경기어부(36a)에 치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고정수단(50)에 의하면, 구동모터(22)의 동력을 제 1 및 제 2출력축(26)에 각각 전달하는 제 1 및 제 2매개기어(34, 36) 중, 구동모터(22)와 연결되지 않는 매개기어를 고정시키는 구조이므로, 구동모터(22)와 연결되지 않는 매개기어와 이와 연결된 출력축의 공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동모터(22)의 동력이 전달되지 않는 출력축의 공회전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출력축의 공회전으로 인한 도어의 개도량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출력축의 공회전으로 인한 도어의 개도량 변화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도어의 개도량 변화로 인한 차실내의 냉,난방 효율 저하현상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 도어 액츄에이터(Door Actuator) 3: 공조케이스(Case)
5a: 템프도어(Temp. Door) 5b: 모드도어(Mode Door)
6: 캠(Cam) 20: 케이스(Case)
22: 구동모터 24: 제 1출력축
26: 제 2출력축 30: 동력전달기구
32: 구동기어 34: 제 1매개기어
34a: 대직경기어부 34b: 소직경기어부
36: 제 2매개기어 36a: 대직경기어부
36b: 소직경기어부 40: 운동수단
42: 스프링(Spring) 44: 솔레노이드(Solenoid)
50: 고정수단 52: 제 1스토퍼(Stopper)
54: 제 2스토퍼(Stopper)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케이스(20)와; 상기 케이스(20)의 내부에 설치되며, 제어신호에 따라 정,역회전되는 구동모터(22)와; 어느 한 쪽의 도어(5a)와 연결되도록 상기 케이스(20)에 설치되는 제 1출력축(24)과; 다른 쪽의 도어(5b)와 연결되도록 상기 케이스(20)에 설치되는 제 2출력축(26)과; 상기 구동모터(22)의 동력을 상기 제 1출력축(24)과 제 2출력축(26)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30) 및; 상기 제 1출력축(24)과 제 2출력축(26) 중 상기 구동모터(22)의 동력이 전달되지 않은 출력축을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수단(5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도어(5a, 5b)들을 회전시켜 개도각을 조절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 액츄에이터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기구(30)는,
    상기 구동모터(22)의 모터축(22a)에 설치되는 구동기어(32)와;
    제 1위치(X)와 제 2위치(Y) 사이에서 동시에 축방향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20)에 쌍을 이루며 설치되고, 상기 제 1위치(X)에서는 어느 하나가 상기 구동기어(32)와 치합되며, 상기 제 2위치(Y)에서는 다른 하나가 상기 구동기어(32)와 치합되는 제 1 및 제 2매개기어(34, 36)와;
    상기 제 1매개기어(34)와 치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출력축(24)에 설치되는 제 1동력전달기어(38)와;
    상기 제 2매개기어(36)와 치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출력축(26)에 설치되는 제 2동력전달기어(39) 및;
    상기 제 1 및 제 2매개기어(34, 36)를 상기 제 1위치(X)와 제 2위치(Y) 중 선택된 어느 한쪽 위치로 운동시키는 운동수단(40)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50)은,
    상기 제 1위치(X)와 제 2위치(Y) 중 상기 구동기어(32)에 치합되지 않은 위치로 운동한 상기 제 1매개기어(34)의 기어 이빨들 사이에 끼워져 상기 제 1매개기어(34) 및 이에 연결된 상기 제 1출력축(24)을 고정시키는 제 1스토퍼(52)와;
    상기 제 1위치(X)와 제 2위치(Y) 중 상기 구동기어(32)에 치합되지 않은 위치로 운동한 상기 제 2매개기어(36)의 기어 이빨들 사이에 끼워져 상기 제 2매개기어(36) 및 이에 연결된 상기 제 2출력축(26)을 고정시키는 제 2스토퍼(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 액츄에이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스토퍼(52, 54)는, 기어 이빨 모양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 1 및 제 2매개기어(34, 36)의 각 기어 이빨들과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 액츄에이터.
  5. 케이스(20)와; 상기 케이스(20)의 내부에 설치되며, 제어신호에 따라 정,역회전되는 구동모터(22)와; 어느 한 쪽의 도어(5a)와 연결되도록 상기 케이스(20)에 설치되는 제 1출력축(24)과; 다른 쪽의 도어(5b)와 연결되도록 상기 케이스(20)에 설치되는 제 2출력축(26)과; 상기 구동모터(22)의 동력을 상기 제 1출력축(24)과 제 2출력축(26)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30) 및; 상기 제 1출력축(24)과 제 2출력축(26) 중 상기 구동모터(22)의 동력이 전달되지 않은 출력축을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수단(5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도어(5a, 5b)들을 회전시켜 개도각을 조절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 액츄에이터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기구(30)는,
    상기 구동모터(22)의 모터축(22a)에 설치되는 구동기어(32)와;
    제 1위치(X)와 제 2위치(Y) 사이에서 동시에 축방향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20)에 쌍을 이루며 설치되고, 상기 제 1위치(X)에서는 어느 하나가 상기 구동기어(32)와 치합되며, 상기 제 2위치(Y)에서는 다른 하나가 상기 구동기어(32)와 치합되는 제 1 및 제 2매개기어(34, 36)와;
    상기 제 1매개기어(34)와 치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출력축(24)에 설치되는 제 1동력전달기어(38)와;
    상기 제 2매개기어(36)와 치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출력축(26)에 설치되는 제 2동력전달기어(39) 및;
    상기 제 1 및 제 2매개기어(34, 36)를 상기 제 1위치(X)와 제 2위치(Y) 중 선택된 어느 한쪽 위치로 운동시키는 운동수단(40)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매개기어(34, 36)는, 대직경기어부(34a, 36a)와 소직경기어부(34b, 36b)가 일체로 연결된 2단기어(Double Gear)로 각각 구성되며,
    상기 대직경기어부(34a, 36a)는 상기 구동모터(22)의 구동기어(32)와 선택적으로 치합되고, 상기 소직경기어부(34b, 36b)는 제 1 및 제 2동력전달기어(38, 39)각각에 항상 치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 액츄에이터.
  6. 제 3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수단(40)은,
    상기 제 1 및 제 2매개기어(34, 36)를 상기 제 1위치(X)와 제 2위치(Y) 중 어느 한쪽 위치로 탄성가압하는 스프링(42)과;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여자되면서 어느 한쪽 위치의 제 1 및 제 2매개기어(34, 36)를 다른 쪽 위치로 이동시키는 솔레노이드(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 액츄에이터.
  7. 제 3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차실내로 토출되는 냉,온기량을 조절하는 템프도어(Temp. Door)(5a)와 공조장치의 모드상태를 조절하는 모드도어(Mode Door)(5b)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출력축(24)은 상기 템프도어(5a)들과 연결되고, 상기 제 2출력축(26)은 상기 모드도어(5b)들과 캠(6)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 액츄에이터.
KR1020100081728A 2010-08-24 2010-08-24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 액츄에이터 KR101266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1728A KR101266429B1 (ko) 2010-08-24 2010-08-24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 액츄에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1728A KR101266429B1 (ko) 2010-08-24 2010-08-24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 액츄에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8838A KR20120018838A (ko) 2012-03-06
KR101266429B1 true KR101266429B1 (ko) 2013-05-22

Family

ID=46127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1728A KR101266429B1 (ko) 2010-08-24 2010-08-24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 액츄에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64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9023B1 (ko) 2020-10-28 2023-06-29 주식회사 두원전자 차량용 액츄에이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0209A (ja) * 2006-11-10 2008-05-29 Tokai Rika Co Ltd 空調用操作装置
JP2008208856A (ja) * 2007-02-23 2008-09-11 Ogino Seiki Seisakusho:Kk 動力伝達切換機構
JP2009209981A (ja) * 2008-03-03 2009-09-17 Denso Corp 多軸駆動用アクチュエー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0209A (ja) * 2006-11-10 2008-05-29 Tokai Rika Co Ltd 空調用操作装置
JP2008208856A (ja) * 2007-02-23 2008-09-11 Ogino Seiki Seisakusho:Kk 動力伝達切換機構
JP2009209981A (ja) * 2008-03-03 2009-09-17 Denso Corp 多軸駆動用アクチュエ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8838A (ko) 2012-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16016B1 (en) Air distribution assembly for vehicles
US20090015088A1 (en) Drive for Use in a Motor Vehicle
JP6242748B2 (ja) クラッチ付きモータ及び開閉体の開閉装置
JP2013534396A (ja) 自動車の開閉パネルのためのモータによる駆動装置
KR100918984B1 (ko) 액추에이터, 밸브 장치 및 댐퍼 장치
JP2009209981A (ja) 多軸駆動用アクチュエータ
WO2015025544A1 (ja) 車両用ドア開閉装置
KR101266429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 액츄에이터
KR101154265B1 (ko) 차량 공조장치의 도어 액츄에이터
CN108005518A (zh) 用于窗玻璃和门帘的集成操作设备和系统
KR101575153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 액츄에이터
KR20110065124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 액츄에이터
KR101386002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
KR101227394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 액츄에이터
KR101236493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 액츄에이터
KR101227397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 액츄에이터
KR20120020391A (ko) 차량 공조장치의 도어 액츄에이터
CN210554024U (zh) 供暖通风和空调模块及用于控制其挡板的操作的系统
KR101154264B1 (ko) 차량용 도어 액츄에이터
JPH08170708A (ja) ばね復帰アクチュエータ用伝達装置
KR20100137702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080301B1 (ko) 듀얼 액추에이터
KR100531638B1 (ko) 온도편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에어컨디셔닝 도어용 듀얼액츄에이터 장치 및 그 액츄에이터
KR100578417B1 (ko) 차량 공조기 도어의 구동장치
JP3887166B2 (ja) クラッチ及びモ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