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5153B1 -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 액츄에이터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 액츄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5153B1
KR101575153B1 KR1020090121992A KR20090121992A KR101575153B1 KR 101575153 B1 KR101575153 B1 KR 101575153B1 KR 1020090121992 A KR1020090121992 A KR 1020090121992A KR 20090121992 A KR20090121992 A KR 20090121992A KR 101575153 B1 KR101575153 B1 KR 101575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shaft
door
case
doors
door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1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5126A (ko
Inventor
정재경
최영호
주영복
김학규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1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5153B1/ko
Publication of KR20110065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5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5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5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21Driving arrangements for parts of a vehicle air-conditioning
    • B60H1/00428Driving arrangements for parts of a vehicle air-conditioning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8Optimized components or subsystems, e.g. lighting, actively controlled glas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도어 액츄에이터로 복수의 도어를 구동시킬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부품수를 줄일 수 있고, 제조원가를 저감시킬 수 있으며, 제품을 소형화·슬림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조케이스의 도어들을 회전시켜 개도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공조케이스에 장착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 액츄에이터에 있어서, 케이스와;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제어신호에 따라 정,역회전되는 구동모터와; 어느 한 쪽의 도어와 연결될 수 있도록, 케이스에 회전 및 축방향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출력축과; 다른 쪽의 도어와 연결될 수 있도록, 케이스에 회전 및 축방향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출력축과; 구동모터의 동력을 제 1출력축에 전달하는 제 1동력전달장치와; 구동모터의 동력을 제 2출력축에 전달하는 제 2동력전달장치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 액츄에이터{DOOR ACTUATOR OF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도어 액츄에이터로 복수의 도어를 구동시킬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부품수를 줄일 수 있고, 제조원가를 저감시킬 수 있으며, 제품을 소형화·슬림화할 수 있게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공기통로의 개도량을 조절하는 각종 도어를 구비하며, 이들 도어들은 도어 액츄에이터에 의해 구동된다.
도 1에는 도어 액츄에이터(1)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어 액츄에이터(1)는, 공조케이스(3)의 외측면에 설치되며, 공조케이스(3)의 내부에 설치되는 도어(5a, 5b)와 연결된다.
이러한 도어 액츄에이터(1)는,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되면서 도어(5a, 5b)를 특정각도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도어(5a, 5b)의 개도각을 조절한다.
한편, 도어 액츄에이터(1)는, 각 도어(5b)를 개별적으로 제어하기도 하고, 캠(6)을 통해 복수의 도어(5a)를 한꺼번에 제어하기도 한다. 통상적으로, 템프도 어(Temp. Door)(5b)는 독립적으로 제어하고, 모드도어(Mode Door)(5a)들, 예를 들면, 디프 도어(Def. Door)와 벤트 도어(Vent Door)와 플로어 도어(Floor Door) 등은, 캠(6)을 통해 한꺼번에 제어한다.
따라서, 공조장치는, 템프도어(5b)를 제어하기 위한 도어 액츄에이터(1a)와, 모드도어(5a)들을 제어하기 위한 도어 액츄에이터(1b)를 별도로 구비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공조장치는, 템프도어(5b)와 모드도어(5a)들을 제어하기 위해 2개의 도어 액츄에이터(1a, 1b)가 필요하므로, 부품수가 증가된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제조원가가 상승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공조장치는, 2개의 도어 액츄에이터(1a, 1b)가 공조케이스(3)에 설치되는 구조이므로, 공조케이스(3)의 크기를 증가시킨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공조케이스(3)의 설치 시에 많은 설치공간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특히, 공조케이스(3)의 설치 시에 많은 설치공간이 필요하므로, 차실내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없고, 주변의 부품들과 간섭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공조장치와 주변 부품들의 레이아웃(Layout)을 재고(再考)해야 한다는 결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도어 액츄에이터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하나의 도어 액츄에이터로 2군데의 도어를 구동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 액츄에이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도어 액츄에이터로 2군데의 도어를 구동시킬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부품수를 줄일 수 있고, 따라서, 제조원가를 저감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 액츄에이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나의 도어 액츄에이터만으로도 복수의 도어를 구동시킬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공조케이스의 크기를 소형화·슬림화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 액츄에이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조케이스를 소형화·슬림화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주변 부품들과의 간섭을 방지하고 차실내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 액츄에이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조케이스의 도어들을 회전시켜 개도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공조케이스에 장착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 액츄에이터에 있어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제어신호에 따라 정,역회전되는 구동모터와; 어느 한 쪽의 도어와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에 회전 및 축방향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출력축과; 다른 쪽의 도어와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에 회전 및 축방향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출력축과;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상기 제 1출력축에 전달하는 제 1동력전달장치와; 상기 구 동모터의 동력을 상기 제 2출력축에 전달하는 제 2동력전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동력전달장치는,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설치되는 구동기어와; 인가된 신호에 따라 여자되면서 상기 제 1출력축을 해제위치로부터 연동위치로 축방향운동시키는 제 1솔레노이드와; 상기 제 1출력축에 일체로 설치되며, 상기 연동위치로 운동한 상기 제 1출력축과 상기 구동기어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연동위치에서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는 연결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2동력전달장치는,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설치되는 구동기어와; 인가된 신호에 따라 여자되면서 상기 제 2출력축을 해제위치로부터 연동위치로 축방향운동시키는 제 2솔레노이드와; 상기 제 2출력축에 일체로 설치되며, 상기 연동위치로 운동한 상기 제 2출력축과 상기 구동기어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연동위치에서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는 연결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 액츄에이터에 의하면, 하나의 구동모터로 2군데의 도어를 구동시킬 수 있는 구조이므로, 하나의 도어 액츄에이터로 2군데의 도어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2군데의 도어를 제어하기 위해서 2개의 도어 액츄에이터가 필요한 종래의 기술 보다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제조원가를 대폭적으로 저감시 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도어 액츄에이터만 설치해도 복수의 도어를 구동시킬 수 있으므로, 2개의 도어 액츄에이터가 설치되는 종래의 공조케이스에 비해 공조케이스의 크기를 소형화·슬림화할 수 있다.
따라서, 공조케이스의 설치시 많은 설치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로써, 배치가 자유롭고 차실내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 액츄에이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 액츄에이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액츄에이터는, 케이스(10)를 구비하며, 케이스(10)의 내부에는 구동모터(12)와 제 1출력축(14)과 제 2출력축(16)이 설치된다.
구동모터(12)는,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정,역회전한다. 이러한 구동모터(12)는 동력을 감속시키기 위한 감속기어(도시하지 않음)들을 내장하고 있다.
제 1출력축(14)은, 케이스(10)에 회전 및 축방향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특히, 축방향을 따라 "해제위치"(A)와 "연동위치"(B) 사이에서 슬라이딩운동한다.
이러한, 제 1출력축(14)은, 탄성가압수단, 즉, 스프링(14a)에 의해 "해제위치"(A)방향으로 탄성가압된다. 따라서,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해제위치"(A)에 배치된 다.
반대로,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 1출력축(14)은 "연동위치"(B)로 운동하며, "연동위치"(B)로 운동한 제 1출력축(14)은 구동모터(12)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그리고 회전되는 제 1출력축(14)은, 도어(5a), 예를 들면, 모드도어(5a)를 회전시킨다.
제 2출력축(16)은, 케이스(10)에 회전 및 축방향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특히, 축방향을 따라 "해제위치"(X)와 "연동위치"(Y) 사이에서 슬라이딩운동한다.
이러한 제 2출력축(16)은, 탄성가압수단, 즉, 스프링(16a)에 의해 "해제위치"(X)방향으로 탄성가압된다. 따라서,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해제위치"(X)에 배치된다.
반대로,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 2출력축(16)은 "연동위치"(Y)로 운동하며, "연동위치"(Y)로 운동한 제 2출력축(16)은 구동모터(12)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그리고 회전되는 제 2출력축(16)은, 다른 도어(5b), 예를 들면, 템프도어(5b)를 회전시킨다.
다시,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도어 액츄에이터는, 구동모터(12)의 동력을 제 1출력축(14)에 전달하는 제 1동력전달장치(20)와, 구동모터(12)의 동력을 제 2출력축(16)에 전달하는 제 2동력전달장치(30)를 구비한다.
제 1동력전달장치(20)는, 구동모터(12)의 모터축(12a)에 설치되는 구동기어(22)와, 제 1출력축(14)을 "연동위치"(B)로 운동시키는 제 1솔레노이드(24)와, "연동위치"(B)로 운동한 제 1출력축(14)과 구동기어(22)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기 어(26)를 구비한다.
제 1솔레노이드(24)는, 전원의 인가여부에 따라 여자(勵磁) 및 소자(消磁)되는 것으로,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여자되면서 제 1출력축(14)을 "연동위치"(B)방향으로 잡아당긴다. 따라서, 제 1출력축(14)이 "연동위치"(B)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연결기어(26)는, 제 1출력축(14)의 외주면에 일체로 설치되는 것으로, 제 1출력축(14)이 "연동위치"(B)로 운동할 시에 구동모터(12)의 구동기어(22)와 치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구동모터(12)의 구동력이 제 1출력축(14)에 전달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제 1출력축(14)과 연결된 도어(5a), 예를 들면, 모드도어(5a)가 회전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모드도어(5a)의 개도각이 조절될 수 있게 한다.
제 2동력전달장치(30)는, 구동모터(12)의 모터축(12a)에 설치되는 구동기어(22)와, 제 2출력축(16)을 "연동위치"(Y)로 운동시키는 제 2솔레노이드(34)와, "연동위치"(Y)로 운동한 제 2출력축(16)과 구동기어(22)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기어(36)를 구비한다.
제 2솔레노이드(34)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여자되면서 제 2출력축(16)을 "연동위치"(Y)방향으로 잡아당긴다. 따라서, 제 2출력축(16)이 "연동위치"(Y)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연결기어(36)는, 제 2출력축(16)의 외면에 일체로 설치되는 것으로, 제 2출력축(16)이 "연동위치"(Y)로 운동할 시에 구동모터(12)의 구동기어(22)와 치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구동모터(12)의 구동력이 제 2출력축(16)에 전달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제 2출력축(16)과 연결된 도어(5b), 예를 들면, 템프도어(5b)가 회전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템프도어(5b)의 개도각이 조절될 수 있게 한다.
다시,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도어 액츄에이터는, 제 1동력전달장치(20)와 제 2동력전달장치(30)를 제어하는 제어부(40)를 구비한다.
제어부(4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어값에 따라, 또는 미리 설정된 제어값에 따라 제 1동력전달장치(20)와 제 2동력전달장치(30)를 제어한다.
특히, 제 1 및 제 2동력전달장치(20, 30)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작동시키거나 또는 동시에 모두 작동시킬 수 있도록, 제 1 및 제 2솔레노이드(24, 34)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작동시키거나 또는 모두를 동시에 작동시킨다.
따라서, 제 1동력전달장치(20)와 연결된 제 1출력축(14)과, 제 2동력전달장치(30)와 연결된 제 2출력축(16) 중 선택된 어느 하나만 회전시키거나 또는 모두를 동시에 회전시킨다.
그 결과, 제 1출력축(14)과 연결된 모드도어(5a)와, 제 2출력축(16)과 연결된 템프도어(5b) 중 선택된 어느 하나만 제어되거나 또는 모두다 제어되게 한다.
다시,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도어 액츄에이터는, "해제위치"(A)(X)로 복귀한 제 1 및 제 2출력축(14, 16)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수단(50)을 더 구비한다.
스토퍼수단(50)은, 제 1 및 제 2출력축(14, 16) 각각에 형성되는 다수의 걸림홈(52)들과, 제 1 및 제 2출력축(14, 16)의 걸림홈(52)에 걸릴 수 있도록, 케이 스(10)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핀(54)들을 포함한다.
걸림홈(52)은, 제 1 및 제 2출력축(14, 16)의 일부분에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특히, 회전중심축선(ℓ)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상에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걸림핀(54)은, 제 1 및 제 2출력축(14, 16)의 걸림홈(52)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해제위치"(A)(X)로 복귀한 제 1 및 제 2출력축(14, 16)의 걸림홈(52)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에 끼워져 걸리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출력축(14, 16)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스토퍼수단(50)에 의하면, "해제위치"(A)(X)로 복귀한 제 1 및 제 2출력축(14, 16)의 회전을 제한하는 구조이므로, "해제위치"(A)(X)로 복귀한 제 1 및 제 2출력축(14, 16)의 공회전을 방지한다.
따라서, 제 1출력축(14)과 연결된 모드도어(5a)와 제 2출력축(16)과 연결된 템프도어(5b)의 공회전을 방지한다. 이로써, 모드도어(5a)와 템프도어(5b)의 오작동을 방지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동예를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도어 액츄에이터를 공조케이스(3)의 일측면에 설치한다. 이때, 제 1출력축(14)을 모드도어(5a)에 연결하고, 제 2출력축(16)을 템프도어(5b)에 연결한다. 모드도어(5a)들과의 연결은 캠(6)을 통해 이루어지며, 템프도어(5b)와의 연결은 별도의 링크수단 또는 기어수단(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도어 액츄에이터가 모드도어(5a)들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제어부(40)의 제어신호가 제 1솔레노이드(24)에 인가되면, 제 1출력축(14)은 제 1솔레노이드(24)의 자력에 의해 "연동위치"(B) 방향으로 슬라이딩운동한다.
그리고 제 1출력축(14)이 "연동위치"(B)로 운동하면, 제 1출력축(14)의 연결기어(26)는 구동모터(12)의 구동기어(22)와 치합되며, 구동기어(22)와 치합된 연결기어(26)는 구동모터(12)의 구동력을 제 1출력축(14)에 전달한다.
그리고 제 1출력축(14)에 구동력이 전달되면, 제 1출력축(14)과 연결된 모드도어(5a)가 회전 조절되며, 그 결과, 모드도어(5a)의 개도각은 조절된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도어 액츄에이터가 템프도어(5b)들을 제어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살펴본다.
먼저, 제어부(40)의 제어신호가 제 2솔레노이드(34)에 인가되면, 제 2출력축(16)은 제 2솔레노이드(34)의 자력에 의해 "연동위치"(Y) 방향으로 슬라이딩운동한다.
그리고 제 2출력축(16)이 "연동위치"(Y)로 운동하면, 제 2출력축(16)의 연결기어(36)는 구동모터(12)의 구동기어(22)와 치합되며, 구동기어(22)와 치합된 연결기어(36)는 구동모터(12)의 구동력을 제 2출력축(16)에 전달한다.
그리고 제 2출력축(16)에 구동력이 전달되면, 제 2출력축(16)과 연결된 템프도어(5b)가 회전 조절되며, 그 결과, 템프도어(5b)의 개도각은 조절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구동모터(12)로 2군데의 도어를 구동시킬 수 있는 구조이므로, 하나의 도어 액츄에이터로 2군데의 도어(5a, 5b)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2군데의 도어(5a, 5b)를 제어하기 위해서 2개의 도어 액츄에이터가 필요한 종래의 기술보다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제조원가를 대폭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도어 액츄에이터만 설치해도 복수의 도어(5a, 5b)를 구동시킬 수 있으므로, 2개의 도어 액츄에이터가 설치되는 종래의 공조케이스(3)에 비해 공조케이스(3)의 크기를 소형화·슬림화할 수 있다.
따라서, 공조케이스(3)의 설치시 많은 설치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로써, 배치가 자유롭고 차실내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 액츄에이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 액츄에이터의 주요부분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액츄에이터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모드도어를 제어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액츄에이터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템프도어를 제어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도어 액츄에이터(Door Actuator) 3: 공조케이스(Case)
5a: 모드도어(Mode Door) 5b: 템프도어(Temp. Door)
6: 캠(Cam) 10: 케이스(Case)
12: 구동모터 14: 제 1출력축
14a: 스프링(Spring) 16: 제 2출력축
16a: 스프링 20: 제 1동력전달장치
22: 구동기어 24: 제 1솔레노이드(Solenoid)
26: 연결기어 30: 제 2동력전달장치
34: 제 2솔레노이드(Solenoid) 36: 연결기어
40: 제어부 50: 스토퍼수단
52: 걸림홈 54: 걸림핀

Claims (5)

  1. 삭제
  2. 공조케이스(3)의 도어(5a, 5b)들을 회전시켜 개도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공조케이스(3)에 장착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 액츄에이터에 있어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제어신호에 따라 정,역회전되는 구동모터(12)와; 어느 한 쪽의 도어(5a)와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0)에 회전 및 축방향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출력축(14)과; 다른 쪽의 도어(5b)와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0)에 회전 및 축방향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출력축(16)과; 상기 구동모터(12)의 동력을 상기 제 1출력축(14)에 전달하는 제 1동력전달장치(20)와; 상기 구동모터(12)의 동력을 상기 제 2출력축(16)에 전달하는 제 2동력전달장치(30)를 포함하며;
    상기 제 1동력전달장치(20)는,
    상기 구동모터(12)의 모터축(12a)에 설치되는 구동기어(22)와;
    인가된 신호에 따라 여자되면서 상기 제 1출력축(14)을 해제위치(A)로부터 연동위치(B)로 축방향운동시키는 제 1솔레노이드(24)와;
    상기 제 1출력축(14)에 일체로 설치되며, 상기 연동위치(B)로 운동한 상기 제 1출력축(14)과 상기 구동기어(22)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연동위치(B)에서 상기 구동기어(22)와 치합되는 연결기어(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 액츄에이터.
  3. 공조케이스(3)의 도어(5a, 5b)들을 회전시켜 개도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공조케이스(3)에 장착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 액츄에이터에 있어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제어신호에 따라 정,역회전되는 구동모터(12)와; 어느 한 쪽의 도어(5a)와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0)에 회전 및 축방향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출력축(14)과; 다른 쪽의 도어(5b)와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0)에 회전 및 축방향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출력축(16)과; 상기 구동모터(12)의 동력을 상기 제 1출력축(14)에 전달하는 제 1동력전달장치(20)와; 상기 구동모터(12)의 동력을 상기 제 2출력축(16)에 전달하는 제 2동력전달장치(30)를 포함하며;
    상기 제 2동력전달장치(30)는,
    상기 구동모터(12)의 모터축(12a)에 설치되는 구동기어(22)와;
    인가된 신호에 따라 여자되면서 상기 제 2출력축(16)을 해제위치(X)로부터 연동위치(Y)로 축방향운동시키는 제 2솔레노이드(34)와;
    상기 제 2출력축(16)에 일체로 설치되며, 상기 연동위치(Y)로 운동한 상기 제 2출력축(16)과 상기 구동기어(22)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연동위치(Y)에서 상기 구동기어(22)와 치합되는 연결기어(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 액츄에이터.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공조장치의 모드상태를 조절하는 모드도어(Mode Door)(5a)들과, 냉,온기량을 조절하는 템프도어(Temp. Door)(5b)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출력축(14)은 상기 모드도어(5a)들과 캠(6)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 2출력축(16)은 상기 템프도어(5b)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 액츄에이터.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출력축(14)과 제 2출력축(16) 각각을 상기 해제위치(A)(X)로 탄성가압하여 복귀시키는 스프링(14a, 16a)과;
    상기 해제위치(A)(X)로 복귀한 상기 제 1 및 제 2출력축(14, 16)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수단(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 액츄에이터.
KR1020090121992A 2009-12-09 2009-12-09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 액츄에이터 KR101575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992A KR101575153B1 (ko) 2009-12-09 2009-12-09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 액츄에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992A KR101575153B1 (ko) 2009-12-09 2009-12-09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 액츄에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5126A KR20110065126A (ko) 2011-06-15
KR101575153B1 true KR101575153B1 (ko) 2015-12-07

Family

ID=44398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1992A KR101575153B1 (ko) 2009-12-09 2009-12-09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 액츄에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51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5062B1 (ko) * 2018-10-02 2023-07-1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9596B1 (ko) 2004-07-26 2006-06-14 우리산업 주식회사 차량의 에어컨디셔닝 도어용 멀티 액츄에이터 장치
JP2008120196A (ja) 2006-11-10 2008-05-29 Kojima Press Co Ltd 車両用空調コントロール装置
JP2008120209A (ja) 2006-11-10 2008-05-29 Tokai Rika Co Ltd 空調用操作装置
JP2008120200A (ja) * 2006-11-10 2008-05-29 Kojima Press Co Ltd 車両用空調コントロール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9596B1 (ko) 2004-07-26 2006-06-14 우리산업 주식회사 차량의 에어컨디셔닝 도어용 멀티 액츄에이터 장치
JP2008120196A (ja) 2006-11-10 2008-05-29 Kojima Press Co Ltd 車両用空調コントロール装置
JP2008120209A (ja) 2006-11-10 2008-05-29 Tokai Rika Co Ltd 空調用操作装置
JP2008120200A (ja) * 2006-11-10 2008-05-29 Kojima Press Co Ltd 車両用空調コントロー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5126A (ko) 201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89671B2 (en) Multiple output transmission systems
JP6242748B2 (ja) クラッチ付きモータ及び開閉体の開閉装置
JP2009517603A (ja) 自動車用の駆動装置
US20080034912A1 (en) Device for activating gearshift forks
JP2012526928A (ja) フラップ扉駆動システム
US20130079189A1 (en) Load-sensitive gear shifting apparatus
CN104249617B (zh) 用于机动车辆的车顶模块的驱动装置
KR101575153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 액츄에이터
CN109099144B (zh) 换档装置
JP2012072854A (ja) パーキングロック用電動アクチュエータ
US7779713B2 (en) Transmission device for motor vehicles, gear actuator, axial/radial bearing unit,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a motor vehicle transmission device
KR101266429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 액츄에이터
US20070033876A1 (en) Motion transmission for tailgate
KR20110065124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 액츄에이터
KR101227394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 액츄에이터
US9822575B2 (en) Movable body driving device
KR101236493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 액츄에이터
KR101227397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 액츄에이터
JP5668454B2 (ja) 一入力複数出力切替機構
KR100531638B1 (ko) 온도편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에어컨디셔닝 도어용 듀얼액츄에이터 장치 및 그 액츄에이터
KR101849010B1 (ko) 자동화 수동 변속기의 변속 액츄에이터
KR20120020391A (ko) 차량 공조장치의 도어 액츄에이터
KR101154264B1 (ko) 차량용 도어 액츄에이터
US20230296146A1 (en) Clutch for preventing backdrive
KR101909019B1 (ko) Rc카용 트랜스미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