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0301B1 - 듀얼 액추에이터 - Google Patents

듀얼 액추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0301B1
KR101080301B1 KR1020100020019A KR20100020019A KR101080301B1 KR 101080301 B1 KR101080301 B1 KR 101080301B1 KR 1020100020019 A KR1020100020019 A KR 1020100020019A KR 20100020019 A KR20100020019 A KR 20100020019A KR 101080301 B1 KR101080301 B1 KR 101080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shaft
gear
geared
motor
pow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0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0925A (ko
Inventor
엄정현
Original Assignee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0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0301B1/ko
Publication of KR20110100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0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0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0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6Self-contained devices, i.e. including own drive m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나의 동력원으로부터 다수의 출력이 발생되고, 선택적인 출력이 이루어지는 듀얼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케이스와, 케이스에 설치되는 모터와,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제1출력축과,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제2출력축과, 모터의 회전력을 제1출력축과 제2출력축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와, 동력전달부를 제어하여 동력전달 방향을 결정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듀얼 액추에이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듀얼 액추에이터 {DUAL ACTUATOR}
본 발명은 듀얼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나의 동력원으로부터 다수의 출력이 발생되고, 선택적인 출력이 이루어지는 듀얼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추에이터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재나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재를 이동시키는 장치로서, 공기조화기의 덕트 내부에 설치되는 도어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 작동하기 어려운 부재의 구동을 위해 설치된다.
공기조화기는 실내나 차량 내부의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실내나 차량 내부에 온풍을 공급하기 위한 히터와, 냉풍을 공급하기 위한 냉동사이클이 설치된다.
온풍을 공급하기 위한 히터는 전기 에너지에 의해 가열되는 코일, 가스의 연소열을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에 열 전달하는 가스히터, 및 화석 연료의 연소열을 공급하는 히터 등이 있으며, 차량에는 전기 에너지의 의해 가열되는 코일이 주로 설치된다.
또한, 냉풍을 공급하기 위한 냉동사이클은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와, 압축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를 저온으로 변환시키는 응축기와, 응축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를 저압으로 변환시키는 팽창밸브와, 팽창밸브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를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와 열 교환시켜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저온으로 변환시키는 증발기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히터와 증발기는 각각 실내 또는 차량 내부로 공기를 안내하는 덕트 내부에 설치되고, 각각 다른 공간으로 구획되며, 각각의 공간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로를 가변시키는 도어가 설치된다.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난방작동이 개시되면 도어가 구동되어 증발기 측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차단하고 히터 측으로 공기를 안내하게 되고, 냉방작동이 개시되면 도어가 구동되어 히터 측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차단하고 증발기 측으로 공기를 안내하게 된다.
또한, 덕트에는 공기의 이동 방향을 전환시키는 도어 외에 토출구에 설치되어 토출구의 개폐여부 및 개폐정도를 조절하는 에어벤트가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난방 또는 냉방이 결정되고, 난방 또는 냉방의 수위가 결정되면, 히터 및 냉동사이클이 구동되고,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도어 및 에어벤트가 개폐되면서 난방 또는 냉방 작동이 이루어지고, 난방 또는 냉방 작동의 수위가 조절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액추에이터는 다수 개의 도어를 구동시키기 위해 각각의 도어에 개별적으로 액추에이터가 설치되기 때문에 부품수를 절감하기 어렵고, 부품수 절감을 위해 하나의 액추에이터를 사용하여 다수 개의 도어를 구동시키면 다수 개의 도어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부품수를 절감할 수 있고, 다수 개의 작동 대상물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듀얼 액추에이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제1출력축;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제2출력축;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제1출력축과 상기 제2출력축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동력전달부를 제어하여 동력전달 방향을 결정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액추에이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기어물림되는 감속전환기어; 및 상기 감속전환기어와 연결되고 상기 제1출력축과 상기 제2출력축에 선택적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제1출력축에 기어물림되고 상기 스위칭부와 기어물림되는 제1전환기어; 및 상기 제2출력축에 기어물림되고 상기 스위칭부와 기어물림되는 제2전환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감속전환기어에 기어물림되는 제1피니언; 상기 제1피니언에 기어물림되고 상기 제1전환기어와 상기 제2전환기어에 선택적으로 기어물림되는 제2피니언; 및 일측 단부에 상기 제1피니언이 설치되고 타측 단부에 상기 제2피니언이 설치되며 일측 단부가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연결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제1출력축 또는 상기 제2출력축 중 어느 하나가 구동될 때에 다른 하나를 구속하는 잠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제1출력축과 상기 제2출력축에 선택적으로 기어물림되는 고정기어; 및 일측부에는 상기 연결플레이트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부에는 상기 고정기어가 설치되는 구동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구동플레이트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조절부가 연결되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고정기어가 구속되게 삽입되는 고정축이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축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조절부는,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에 출몰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는 구동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액추에이터는 모터의 구동력이 제1출력축 또는 제2출력축에 선택적으로 전달됨으로써, 하나의 동력원으로 2개의 출력축을 구동시킬 수 있으므로 부품수가 절감되는 이점이 있고, 제1출력축과 제2출력축을 개별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으므로 다수 개의 작동 대상물을 개별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액추에이터는 제1출력축과 제2출력축 중 어느 하나가 구동될 때에 나머지 하나가 구속되므로 작동 대상물의 작동이 완료되어 다른 작동 대상물을 구동시킬 때에 작동 완료된 작동 대상물이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액추에이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액추에이터의 제1출력축 및 제2출력축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액추에이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액추에이터의 스위칭부 및 조절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액추에이터의 동력전달부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액추에이터의 동력전달부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액추에이터의 제1출력축 구동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액추에이터의 제2출력축 구동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액추에이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액추에이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액추에이터의 제1출력축 및 제2출력축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액추에이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액추에이터의 스위칭부 및 조절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액추에이터의 동력전달부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액추에이터의 동력전달부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액추에이터는 케이스(12, 14)와, 케이스(12, 14)에 설치되는 모터(20)와, 모터(20)에 의해 회전되는 제1출력축(30)과, 모터(20)에 의해 회전되는 제2출력축(50)과, 모터(20)의 회전력을 제1출력축(30)과 제2출력축(50)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70)와, 동력전달부(70)를 제어하여 동력전달 방향을 결정하는 조절부(100)를 포함한다.
모터(20)에 전원이 인가되어 회전력이 발생되면 동력전달부(70)를 통해 회전력이 전달되어 제1출력축(30) 또는 제2출력축(50)이 회전된다.
동력전달의 방향을 결정하는 조작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제1출력축(30)에 연결된 작업 대상물의 구동을 결정하는 조작을 행하게 되면 조절부(100)의 작동에 의해 동력전달부(70)가 제1출력축(30) 측으로 이동되므로 모터(20)의 회전력이 제1출력축(30)으로 전달된다.
또한, 작업자가 제2출력축(50)에 연결된 작업 대상물의 구동을 결정하는 조작을 행하게 되면 조절부(100)의 작동에 의해 동력전달부(70)가 제2출력축(50) 측으로 이동되므로 동력전달부(70)의 작동에 의해 모터(20)의 회전력이 제2출력축(50)으로 전달된다.
제1출력축(30) 및 제2출력축(50)으로부터 각각의 작업 대상물까지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회전편 또는 링크가 설치되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면이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케이스(12, 14)는 모터(20)가 안착되고, 동력전달부(70) 및 출력축(30, 50)이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제1케이스(12)와, 제1케이스(12)와 결합되고 출력축(30, 50)의 출력부(34, 54)가 회전 가능하게 관통되는 제2케이스(14)를 포함한다.
동력전달부(70)는 모터(20)의 회전축(22)에 기어물림되는 감속전환기어(80)와, 감속전환기어(80)에 기어물림되고, 모터(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1출력축(30)과 제2출력축(50)에 선택적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스위칭부(90)를 포함한다.
모터(20)의 회전축(22)에는 스크루 형상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감속전환기어(80)의 입력나사부(82)와 웜기어 방식으로 기어물림되므로 모터(20)의 회전축(22)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회전력은 방향이 90도 전환되어 감속전환기어(80)에 전달된다.
또한, 감속전환기어(80)는 입력나사부(82)와 비교하여 지름이 작고, 나사산의 개수가 작은 출력나사부(84)가 형성되어 스위칭부(90)와 기어물림되므로 회전력의 방향이 전환됨과 동시에 감속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모터(20)에 전원이 인가되어 회전력이 발생되면 감속전환기어(80)로 회전력이 전달되면서 회전력의 방향이 변환됨과 동시에 감속되고, 조절부(100)가 정방향으로 구동되면 스위칭부(90)의 위치가 가변되므로 제1출력축(30) 또는 제2출력축(50) 중 어느 하나에 기어물림되어 회전력이 전달된다.
반대로, 조절부(100)가 역방향으로 구동되면 스위칭부(90)가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출력축(30) 또는 제2출력축(50) 중 나머지 하나에 기어물림되어 회전력이 전달된다.
따라서 하나의 액추에이터를 설치하여 2개의 도어를 개폐토록 하는 공기조화장치를 제작할 수 있게 되고, 제1출력축(30)에 연결되는 제1도어를 개폐할 때에는 조절부(100)를 정방향으로 구동시키고, 제2출력축(50)에 연결되는 제2도어를 개폐할 때에는 조절부(100)를 역방향으로 구동시켜 공기조화장치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동력전달부(70)는 제1출력축(30)의 입력부(32)에 기어물림되고, 스위칭부(90)와 기어물림되는 제1전환기어(62)와, 제2출력축(50)의 입력부(52)에 기어물림되고, 스위칭부(90)와 기어물림되는 제2전환기어(64)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스위칭부(90)로부터 제1출력축(30)으로 회전력이 전달될 때에는 스위칭부(90)와 제1전환기어(62)가 기어물림되고, 제2출력축(50)으로 회전력이 전달될 때에는 스위칭부(90)와 제2전환기어(64)가 기어물림된다.
여기서, 전환기어(62, 64)는 스위칭부(90)와 기어물림되는 입력부와, 입력부와 비교하여 지름이 작고 출력축(30, 50)의 입력부(32, 52)에 기어물림되는 출력부가 형성되므로 출력축(30, 50)에 전달되는 회전력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키고 회전방향을 반대방향으로 전환시키게 된다.
스위칭부(90)는 감속전환기어(80)에 기어물림되는 제1피니언(92)과, 제1피니언(92)에 기어물림되고 제1전환기어(62)와 제2전환기어(64)에 선택적으로 기어물림되는 제2피니언(94)과, 일측부에 제1피니언(92)이 설치되고 타측부에 제2피니언(94)이 설치되며 일측부가 케이스(12, 14)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연결플레이트(96)를 포함한다.
연결플레이트(96)는 제1피니언(92)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일측부에 회전축(98)이 설치되고, 회전축(98)에 제1피니언(92)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므로 제1피니언(92)과 감속전환기어(80)는 기어물림된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제2피니언(94)은 연결플레이트(96)의 타측부에 설치되므로 연결플레이트(96)가 제1출력축(30) 측으로 이동되면 제2피니언(94)은 제1전환기어(62)와 기어물림되고, 연결플레이트(96)가 제2출력축(50) 측으로 이동되면 제2피니언(94)은 제2전환기어(64)와 기어물림된다.
연결플레이트(96)는 제1피니언(92)과 제2피니언(94)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플레이트(96a)와, 제1피니언(92)과 제2피니언(94)의 하부를 연결하는 제2연결플레이트(96b)를 포함한다.
또한, 동력전달부(70)는 제1출력축(30)과 제2출력축(50) 중 어느 하나가 구동될 때에 다른 하나를 구속하는 잠금부(110)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제1출력축(30)에 의한 작동이 완료된 후에 제2출력축(50)에 의한 작동이 진행되면 작동 완료된 제1출력축(30)이 잠금부(110)에 의해 회전되지 않게 된다.
본 실시예의 듀얼 액추에이터가 공기조화장치의 제1도어(미도시) 및 제2도어(미도시)를 개폐할 경우에는 제1출력축(30)에 의해 닫힌 제1도어의 폐쇄 상태가 유지되므로 제2도어를 개방할 때에 제1도어가 오작동에 의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제1도어의 개폐를 행할 때에는 잠금부(110)에 의해 제2도어의 폐쇄 또는 개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잠금부(110)는 제1출력축(30)과 제2출력축(50)에 선택적으로 기어물림되는 고정기어(114)와, 일측부에는 연결플레이트(96)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부에는 고정기어(114)가 설치되는 구동플레이트(112)를 포함한다.
구동플레이트(112)의 일측부에는 회전홀부(112a)가 형성되고, 제2연결플레이트(96b)의 타측단부에는 회전돌기(96c)가 형성되므로 회전돌기(96c)를 회전홀부(112a)에 삽입하여 연결플레이트(96)와 구동플레이트(112)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또한, 구동플레이트(112)의 일측 단부에는 조절부(100)가 연결되는 고정부(112d)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고정기어(114)가 구속되게 삽입되는 고정축(112c)이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케이스(12, 1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축(112b)이 형성된다.
고정축(112c)은 사각기둥 모양으로 형성되고, 고정축(112c)에 고정기어(114)가 회전 불가능한 상태로 삽입되므로 고정기어(114)와 기어물림되는 출력축(30, 50)은 회전이 구속된다.
따라서 조절부(100)에 의해 제2피니언(94)이 제1전환기어(62)에 기어물림되면 구동플레이트(112)는 구동축(112b)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타측부가 제2출력축(50) 측으로 이동되므로 고정기어(114)가 제2출력축(50)과 기어물림되면서 제2출력축(50)을 구속하게 된다.
조절부(100)는 케이스(12, 14)에 설치되는 실린더(102)와, 실린더(102)에 출몰 가능하게 연결되고 고정부(112d)에 연결되는 구동암(104)을 포함한다.
실린더(102) 내부로 구동암(104)이 삽입되면 연결플레이트(96)의 일측부와 구동플레이트(112)의 타측부를 제1전환기어(62) 측으로 이동시켜 제2피니언(94)이 제1전환기어(62)와 기어물림되도록 한다.
이때, 구동플레이트(112)의 타측부는 제2출력축(50) 측으로 이동되므로 고정기어(114)가 제2출력축(50)과 기어물림된다.
구동암(104)이 실린더(102) 외측으로 돌출되면 연결플레이트(96)의 일측부와 구동플레이트(112)의 타측부를 제2전환기어(64) 측으로 이동시켜 제2피니언(94)이 제2전환기어(64)와 기어물림되도록 한다.
이때, 구동플레이트(112)의 타측부는 제1출력축(30) 측으로 이동되므로 고정기어(114)가 제1출력축(30)과 기어물림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액추에이터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액추에이터의 제1출력축 구동상태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액추에이터의 제2출력축 구동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모터(20)에 전원이 인가되고, 회전축(22)이 구동되어 구동력이 발생되며, 모터(20)의 회전축(22)에 기어물림된 감속전환기어(80)로 구동력이 전달되면서 회전력이 감속되고 전달 방향이 전환된다.
사용자가 제1도어의 개폐를 조작하면 모터(20)의 회전력은 감속전환기어(80), 제1피니언(92) 및 제2피니언(94)을 따라 제1전환기어(62)에 전달되므로 제1출력축(30)을 따라 제1도어에 전달된다.
이때, 실린더(102) 내부로 삽입되는 구동암(104)은 연결플레이트(96)의 타측부 및 구동플레이트(112)의 일측부를 제1전환기어(62) 측으로 이동시키므로 구동플레이트(112)는 구동축(112b)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구동플레이트(112)의 타측부가 제2출력축(50) 측으로 배치되어 고정기어(114)가 제2출력축(50)과 기어물림된다.
따라서 모터(20)의 회전력이 제1출력축(30)에 전달되어 제1도어의 개폐작동이 진행되는 동안에 제2출력축(50)의 회전이 구속되어 제2도어의 개방상태 또는 폐쇄상태가 유지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제2도어의 개폐를 조작하였으면 모터(20)의 회전력은 감속전환기어(80), 제1피니언(92) 및 제2피니언(94)을 따라 제2전환기어(64)에 전달되므로 제2출력축(50)을 따라 제2도어에 전달된다.
이때, 실린더(102)로부터 돌출되는 구동암(104)은 연결플레이트(96)의 타측부 및 구동플레이트(112)의 일측부를 제2전환기어(64) 측으로 이동시키므로 구동플레이트(112)는 구동축(112b)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구동플레이트(112)의 타측부가 제1출력축(30) 측으로 배치되어 고정기어(114)가 제1출력축(30)과 기어물림된다.
따라서 모터(20)의 회전력이 제2출력축(50)에 전달되어 제2도어의 개폐작동이 진행되는 동안에 제1출력축(30)의 회전이 구속되어 제1도어의 개방상태 또는 폐쇄상태가 유지된다.
이로써, 부품수를 절감할 수 있고, 다수 개의 작동 대상물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듀얼 액추에이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에 설치되는 듀얼 액추에이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차량의 공기조화장치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듀얼 액추에이터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20 : 모터 30 : 제1출력축
50 : 제2출력축 62 : 제1전환기어
64 : 제2전환기어 70 : 동력전달부
80 : 감속전환기어 90 : 스위칭부
92 : 제1피니언 94 : 제2피니언
96 : 연결플레이트 100 : 조절부
102 : 실린더 104 : 구동암
110 : 잠금부 112 : 구동플레이트
114 : 고정기어

Claims (8)

  1.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제1출력축;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제2출력축;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제1출력축과 상기 제2출력축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동력전달부를 제어하여 동력전달 방향을 결정하는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기어물림되는 감속전환기어; 및
    상기 감속전환기어와 연결되고 상기 제1출력축과 상기 제2출력축에 선택적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제1출력축에 기어물림되고 상기 스위칭부와 기어물림되는 제1전환기어; 및
    상기 제2출력축에 기어물림되고 상기 스위칭부와 기어물림되는 제2전환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액추에이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감속전환기어에 기어물림되는 제1피니언;
    상기 제1피니언에 기어물림되고 상기 제1전환기어와 상기 제2전환기어에 선택적으로 기어물림되는 제2피니언; 및
    일측 단부에 상기 제1피니언이 설치되고 타측 단부에 상기 제2피니언이 설치되며 일측 단부가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연결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액추에이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제1출력축 또는 상기 제2출력축 중 어느 하나가 구동될 때에 다른 하나를 구속하는 잠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액추에이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제1출력축과 상기 제2출력축에 선택적으로 기어물림되는 고정기어; 및
    일측부에는 상기 연결플레이트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부에는 상기 고정기어가 설치되는 구동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액추에이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플레이트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조절부가 연결되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고정기어가 구속되게 삽입되는 고정축이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축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액추에이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에 출몰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는 구동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액추에이터.
KR1020100020019A 2010-03-05 2010-03-05 듀얼 액추에이터 KR101080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019A KR101080301B1 (ko) 2010-03-05 2010-03-05 듀얼 액추에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019A KR101080301B1 (ko) 2010-03-05 2010-03-05 듀얼 액추에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0925A KR20110100925A (ko) 2011-09-15
KR101080301B1 true KR101080301B1 (ko) 2011-11-04

Family

ID=44953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0019A KR101080301B1 (ko) 2010-03-05 2010-03-05 듀얼 액추에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03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79061A (zh) * 2023-03-21 2023-04-18 汕头市迎贝母婴用品有限公司 水枪用驱动波箱及玩具水枪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6764A (ja) 1998-06-18 2000-01-11 Jidosha Denki Kogyo Co Ltd ワイパモータおよびワイパ装置
US20040099090A1 (en) 2002-11-21 2004-05-27 Hsueh-Chou Hsu Lever type motor switching apparatus
JP2009209981A (ja) * 2008-03-03 2009-09-17 Denso Corp 多軸駆動用アクチュエー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6764A (ja) 1998-06-18 2000-01-11 Jidosha Denki Kogyo Co Ltd ワイパモータおよびワイパ装置
US20040099090A1 (en) 2002-11-21 2004-05-27 Hsueh-Chou Hsu Lever type motor switching apparatus
JP2009209981A (ja) * 2008-03-03 2009-09-17 Denso Corp 多軸駆動用アクチュエ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0925A (ko) 201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99229B2 (ja) 電動式流量制御弁、アクチュエータ
CN107621119B (zh) 风门装置以及具有它的冰箱
WO2013088946A1 (ja) 流路切替弁、及びその流路切替弁を備えた車両用空気調和装置
US20110277495A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JP2009209981A (ja) 多軸駆動用アクチュエータ
KR101080301B1 (ko) 듀얼 액추에이터
KR101154265B1 (ko) 차량 공조장치의 도어 액츄에이터
KR101021601B1 (ko) 듀얼 액추에이터
JP7045162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5331148A (ja) 間冷式冷蔵庫の冷気調整用ダンパ
KR20190118060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394329B1 (ko) 5방 스텝밸브를 이용한 냉매 공급시스템
KR102136374B1 (ko) 차량용 히트펌프의 양방향성 팽창밸브
KR20180128761A (ko) 다단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
CN202303802U (zh) 一种汽车空调混合模式的风门运动机构
KR101266429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 액츄에이터
KR200452667Y1 (ko) 듀얼 액추에이터
CN206465727U (zh) 用于混合模式汽车空调的风门联动机构
KR20120020391A (ko) 차량 공조장치의 도어 액츄에이터
JP4168879B2 (ja) 機器駆動装置および空調装置
KR20100137702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19322B1 (ko) 다방향 스텝밸브
CN104729045A (zh) 混合模式汽车空调风门联动机构
KR100578417B1 (ko) 차량 공조기 도어의 구동장치
KR20220099645A (ko) 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