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0531B1 - 폴리우레탄 우레아 용액 - Google Patents

폴리우레탄 우레아 용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0531B1
KR101260531B1 KR1020077019161A KR20077019161A KR101260531B1 KR 101260531 B1 KR101260531 B1 KR 101260531B1 KR 1020077019161 A KR1020077019161 A KR 1020077019161A KR 20077019161 A KR20077019161 A KR 20077019161A KR 101260531 B1 KR101260531 B1 KR 101260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ution
polyurethaneurea
butyrolactone
molecular weight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9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5898A (ko
Inventor
위르겐 쾨헤르
게랄드 쿠렉
홀거 카쎌만
위르겐 우르반
토마스 펠러
Original Assignee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filed Critical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070115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5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0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05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54Polycondensates of aldehy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4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0838Manufacture of polymers in the presence of non-reactive compounds
    • C08G18/0842Manufacture of polymers in the presence of non-reactive compounds in the presence of liquid diluents
    • C08G18/0847Manufacture of polymers in the presence of non-reactive compounds in the presence of liquid diluents in the presence of solvents for the polymers
    • C08G18/0852Manufacture of polymers in the presence of non-reactive compounds in the presence of liquid diluents in the presence of solvents for the polymers the solvents being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0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4Manufacture of cellular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2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 C08J3/09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organic liquids
    • C08J3/091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organic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constitution of the organic liquid
    • C08J3/095Oxygen 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in the ring
    • C08K5/15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in the ring having one oxygen atom in the ring
    • C08K5/1535Five-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09D175/12Polyurethanes from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nd active hydrogen, the nitrogen atom not being part of an isocyanate group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32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D06M13/35Heterocyclic compounds
    • D06M13/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five-membered heterocyclic ring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64Polyureas, polyurethanes or other polymers having ureide or urethane links; Precondensation products form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90Applications
    • C08G2261/93Applications in textiles, fabrics and yar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5/04Polyurethanes
    • C08J2375/12Polyurethanes from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nd active hydrogen, the nitrogen atom not being part of an isocyanate group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10Repellency against liquids
    • D06M2200/12Hydrophobic propert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Y10T428/24438Artificial wood or leather grain su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10T428/24496Foamed or cellular component
    • Y10T428/24504Component comprises a polymer [e.g., rubber, etc.]
    • Y10T428/24512Polyureth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51Of polyamidoester [polyurethane, polyisocyanate, polycarbamate,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164Coating or impregnation specified as water repell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213Coating or impregnation is specified as weather proof, water vapor resistant, or moisture resista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221Coating or impregnation is specified as water pro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Colo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재의 코팅을 위한, 용매 성분으로서 γ-부티로락톤을 함유하는 유기 용매 중 폴리우레탄우레아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γ-부티로락톤, 폴리우레탄우레아 용액, 코팅

Description

폴리우레탄 우레아 용액 {POLYURETHANE UREA SOLUTIONS}
본 발명은 γ-부티로락톤 또는 γ-부티로락톤과 독소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기 용매의 혼합물 중 폴리우레탄우레아의 용액, 이러한 폴리우레탄우레아 용액을 사용하는 기재의 코팅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코팅된 기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코팅된 기재는 바람직하게는 텍스타일 제품 또는 가죽이지만, 목재 또는 콘크리트와 같은 물질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코팅될 수 있다.
기재, 예를 들어 직물을 폴리우레탄계로 코팅하는 것은 최신 기술에 속한다. 여기에서는 수-기재 폴리우레탄 분산액과 용매-기재 계 사이에 차이점이 존재한다.
수-기재 폴리우레탄계는 광범위한 용도 분야를 포함하며, 휘발성 유기 물질이 실질적으로 없어도 되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제조된 코팅은 그의 본질적인 친수성으로 인하여 친수성기가 코팅 필름에 잔존하기 때문에, 유기 용액으로부터 제조된 상응하는 폴리우레탄 코팅에 비해 낮은 내수성을 갖는다.
우수한 내수성을 갖는 코팅을 제조하는 것이 요망될 경우, 유기 용매를 기재로 하는 폴리우레탄계가 수-기재 계보다 바람직하다. 1-성분 폴리우레탄의 경우, 필름 형성 공정은, 2-성분 폴리우레탄과는 달리 화학적 반응을 수반하지 않는 물리적 공정이다.
유기 용매 기재 1-성분 폴리우레탄우레아 코팅은 그의 경도, 탄성 및 내성으로 인하여 사용자에게 매우 가치가 있으며, 예를 들어 텍스타일 상에 마감 처리를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계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와 선형 마크로디올 (폴리에테르디올, 폴리에스테르디올 또는 폴리카르보네이트디올)을 반응시켜 예비중합체를 생성한 후, 사슬 연장제로서 지방족 디아민과 반응시켜 필요한 분자량으로 조절하는 것에 의해 제조된다. 특히 내성 코팅을 제공하는 이러한 선형 폴리우레탄우레아 용액은, 경질 우레아 단편 및 연질 마크로디올 단편으로 이루어진 그의 구조로 인하여, 유기 용액으로부터 회합 및 결정화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폴리우레탄 코팅의 우수한 가공성 및 우수한 특성은 더이상 보장되지 않는다.
이러한 결정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현재 개선된 독소학적 지식의 관점에서는 허용되지 않는 용매로 간주되고 있는 용매 혼합물이 종래 기술에서 추천된다. 지방족 폴리우레탄우레아의 경우, DE-A 3 134 112호 및 DE-A 2 457 387호에는 방향족 탄화수소와 알코올의 용매 혼합물, 예를 들어 톨루엔과 이소프로판올의 혼합물이 추천되어 있다.
보다 최근의 독소학적 지식의 관점에서는, 톨루엔은 위험한 물질이므로, 텍스타일 코팅에 있어서 폴리우레탄우레아를 위한 용매 혼합물로 더이상 사용되어서는 안된다. 지금까지 텍스타일 코팅에 통상적으로 사용된 아미드-함유 및 우레아-함유 용매, 예컨대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또는 테트라메틸우레아 또한 유해한 용매이며, 이러한 이유로 그의 용해력이 우수한 것 으로 공지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될 수 없다.
결정화를 교란하는 첨가제, 예를 들어 사슬을 연장시키기 위한 여러가지 아민의 혼합물의 사용은 목적하는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다. 또한, 이종 성분의 중합체로의 이러한 의도적 도입은 생성물, 즉 코팅의 목적하는 특성을 손상시키는 수준으로 그의 조성을 교란한다. 상기 문제에 대해 시도된 해법보다는 적합한 용매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특성이 표준 이상인 것으로 공지된 1-성분 폴리우레탄우레아 용액을 추가로 사용할 수 있도록, 신규한 독소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용매계를 갖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비교예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독소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용매 혼합물을 사용하여 결정화에 대해 안정한 폴리우레탄우레아 용액을 제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성이 이 분야의 최신 기술의 것과 적어도 동등하며, 제조 및 사용에 있어서 독소학적으로 허용되지 않는 용매를 필요로 하지 않고 폴리우레탄우레아-기재 코팅을 생성할 수 있는 신규 기재-코팅 용액을 발견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제 또는 용액은 안정하여야 하며, 이는 특히 용해된 중합체가 침전 또는 결정화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 즉 용액이 높은 저장 안정성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목적은 선형 또는 단지 약간 분지된 폴리우레탄우레아의 용액의 보조로 달성되었다. 본 발명에 따라 적합한 용매는 γ-부티로락톤, 바람직하게는 다른 독소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용매와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우레아 용액 (임의로는, 유기 용매의 혼합물)은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60 중량%의 고체,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중량%의 고체를 함유하며, 이러한 용액은 알코올, 에스테르 및 케톤과 같은 다른 용매와 함께, 전체 용액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8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0 중량%의 γ-부티로락톤 함량을 갖는다.
그 자체로 사용될 수 있는 폴리우레탄우레아는 코팅에 적합한 것으로 공지된 모든 것, 특히 텍스타일 코팅에 대한 유용성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거나 명백하게 적합한 것으로 보이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폴리우레탄우레아는
a) 분자량이 600 내지 4000,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3000인 마크로디올 (폴리에테르디올, 폴리에스테르디올 또는 폴리카르보네이트디올), 또는 상기 마크로디올 성분의 혼합물, 또는 상기 마크로디올 중 하나와 분자량이 50 내지 500이고 마크로디올 1몰 당 0.2 내지 0.5몰 첨가된 단쇄 지방족 디올의 혼합물,
b) 소위 사슬 연장제로서, 마크로디올 1몰 당 0.5 내지 2.0몰의 지방족 또는 시클로지방족 디아민 또는 히드라진, 및
c) 마크로디올 1몰 당 1.5 내지 3.0몰의 지방족, 시클로지방족 또는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 바람직하게는 지방족 또는 시클로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합성된 것이다.
직물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코팅 조성물에 함유된 폴리우레탄우레아는 고분자량이지만, 사실상 용액 또는 용융물로 제조된 비가교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우레아이다. 그것은 특히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테트라메틸우레아, 톨루엔 또는 다른 독성 고극성 용매를 병용하지 않고 제조 및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우레아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γ-부티로락톤, 또는 γ-부티로락톤을 기재로 한 용매 혼합물 및 다른 독소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용매, 예컨대 알코올, 에스테르 및 케톤 중에서 제조, 용해 및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놀랍게도 γ-부티로락톤은 비교적 고비점 용매임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에 따른 코팅 조성물은 건조된 필름의 점착성 및 경도와 같은 우수한 특성을 특징으로 한다.
원칙적으로 공지된 다수의 폴리우레탄 원료가 본 발명에 따른 코팅 조성물이 기재로 하는 폴리우레탄의 합성 성분으로서 적합하다.
원칙적으로, 마크로디올 (a), 즉 약 1.8 내지 2.2, 바람직하게는 1.95 내지 2.05의 평균 히드록실 관능가를 갖는 폴리히드록실 화합물이 적합하다. 고 가교화도는 생성된 폴리우레탄 용액에 코팅 용액으로서 가공하기에 불리한 매우 고 점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마크로디올의 고 분지화도는 방지되어야 한다. 또한, 고 가교화도는 시장의 요구로서, 생성된 폴리우레탄 용액이 몇개월 동안 안정한 상태로 존재하는 것을 방해한다.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카르보네이트가 특히 적합하며,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카르보네이트가 바람직하다.
히드록실기를 함유하는 적합한 폴리에테르로는, 시클릭 에테르, 예컨대 에틸렌 옥시드, 프로필렌 옥시드, 부틸렌 옥시드, 테트라히드로푸란, 스티렌 옥시드 또는 에피클로로히드린을 그 자체로 예를 들어 BF3의 존재하에 중합하여, 또는 이러한 고리 화합물을 임의로는 혼합물로 또는 연속적으로 알코올 및 아민과 같은 반응성 수소 원자를 갖는 출발 성분, 예를 들어, 물,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1,3-프로필렌 글리콜에 첨가하여 제조된 것이 있다.
히드록실기를 함유하는 적합한 폴리에스테르로는, 예를 들어 다가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2가 알코올과 다가 카르복실산, 바람직하게는 2가 카르복실산의 반응 생성물이 있다. 유리 카르복실산 대신, 또한 상응하는 폴리카르복실산 무수물 또는 저급 알코올의 상응하는 폴리카르복실산 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할 수 있다.
폴리카르복실산은 지방족, 시클로지방족, 방향족 및/또는 헤테로시클릭 특성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할로겐 원자에 의해 임의로 치환되고/되거나 불포화될 수 있다. 다음의 화합물이 예로서 언급될 수 있다:
숙신산, 아디프산, 세바크산, 프탈산, 이소프탈산, 트리멜리트산, 프탈산 무수물, 테트라히드로프탈산 무수물, 헥사히드로프탈산 무수물, 테트라클로로프탈산 무수물, 글루타르산 무수물, 말레산, 말레산 무수물, 푸마르산 또는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
적합한 다가 알코올의 예로는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필렌 글리콜, 1,3-프로필렌 글리콜, 1,4-부틸렌 글리콜, 2,3-부틸렌 글리콜, 1,6-헥산디올, 1,8-옥탄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또는 2-메틸-1,3-프로판디올이 있다. 락톤, 예를 들어 ε-카프로락톤으로부터의 폴리에스테르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히드록실기를 함유하는 적합한 폴리카르보네이트로는, 예를 들어 디올, 예컨대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또는 디-, 트리- 또는 테트라에틸렌 글리콜을 디아릴 또는 디알킬 카르보네이트 또는 포스겐과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는 것이 있다. 바람직한 폴리카르보네이트는 1,6-헥산디올 뿐만 아니라, 개질 활성을 갖는 코-디올, 예를 들어 1,4-부탄디올 또는 ε-카프로락톤을 기재로 한 것이다.
사용되는 마크로디올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카르보네이트이며, 본 발명에 따른 텍스타일 코팅에 매우 특히 바람직한 마크로디올은 폴리카르보네이트이다.
적합한 단쇄 지방족 디올의 예로는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네오펜틸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에탄올아민, 2-에틸-1,3-헥산디올, N-메틸디이소프로판올아민, 1,3-프로판디올, 1,4-프로판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또는 1,6-헥산디올이 있다. 마크로디올 1몰 당 0.2 내지 0.5몰의 단쇄 지방족 디올이 첨가된다.
또한, 소위 사슬 연장제 (b)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코팅을 생성한다. 이러한 사슬 연장제로는 히드라진 또는 지방족 디아민, 예를 들어 에틸렌디아민, 프로필렌디아민, 1,6-헥사메틸렌디아민 또는 다른 지방족 디아민이 있다. 시클로지방족 디아민, 예컨대 1,4-비스(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4,4'-디아미노-3,3'-디메틸디시클로헥실메탄 및 다른 (C1-C4)-디알킬- 및 (C1-C4)-테트라알킬디시클로헥실메탄, 예를 들어 4,4'-디아미노-3,5-디에틸-3',5'-디이소프로필디시클로헥실메탄 또한 적합하다. 1-아미노-3,3,5-트리메틸-5-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이소포론디아민) 및 4,4'-디아미노디시클로헥실메탄이 바람직하다.
마크로디올 혼합물 (a) 1몰 당 약 0.5 내지 2.0몰,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1.7몰의 사슬 연장제 (b)가 사용된다.
마크로디올 혼합물과 반응된 이소시아네이트의 분율을 뺀 후에 남아있는 이소시아네이트를 기준으로 대략 등량의 사슬 연장제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등량 미만, 즉 NCO기의 약 30 내지 80%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잔류 NCO기는 단관능성 종결제, 예컨대 부틸아민, 스테아릴아민, 트리알콕시실릴프로판아민, 부타논 옥심 또는 모르폴린과 반응될 수 있다. 이것은 분자량의 과도한 성장 또는 가교화 및 분지화 반응을 방지한다. 또한 용매 혼합물에 함유된 알코올은 이러한 형태로 사슬 연장제로서 작용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디이소시아네이트 (c)로는 평균 NCO 관능가가 1 이상, 바람직하게는 2 이상인 당업자에게 공지된 모든 지방족, 시클로지방족 및/또는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단독 또는 이들의 임의의 목적하는 혼합물)가 있으며, 이들이 포스겐 공정 또는 포스겐-무함유 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지의 여부는 중요하지 않다.
(존재하는 NCO 기를 제외한) 탄소 골격이 3 내지 30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4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족 또는 시클로지방족류로부터의 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 (c)의 특히 바람직한 화합물은 지방족 및/또는 시클로지방족으로 결합된 NCO기를 갖는 상기한 유형, 예컨대 비스(이소시아네이토알킬)에테르, 비스- 및 트리스(이소시아네이토알킬)벤젠, -톨루엔 및 -크실렌, 프로판 디이소시아네이트, 부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펜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 (예를 들어,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HDI), 헵탄 디이소시아네이트, 옥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노난 디이소시아네이트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2,4,4 및 2,2,4 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트리메틸-HDI (TMDI)), 노난 트리이소시아네이트 (예를 들어, 4-이소시아네이토메틸-1,8-옥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데칸 디이소시아네이트, 데칸 트리이소시아네이트, 운데칸 디이소시아네이트, 운데칸 트리이소시아네이트, 도데칸 디이소시아네이트, 도데칸 트리이소시아네이트, 1,3- 및 1,4-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시클로헥산 (H6XDI), 3-이소시아네이토메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실 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IPDI), 비스(4-이소시아네이토시클로헥실)메탄 (H12MDI) 또는 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노르보르난 (NBDI)에 상응한다.
성분 (c)의 매우 특히 바람직한 화합물은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HDI), 트리메틸-HDI (TMDI), 2-메틸-1,5-펜탄 디이소시아네이트 (MPDI),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IPDI), 1,3- 및 1,4-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시클로헥산 (H6XDI), 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노르보르난 (NBDI), 3(4)-이소시아네이토메틸-1-메틸시클로헥실 이소시아네이트 (IMCI) 및/또는 4,4'-비스(이소시아네이토시클로헥실)메탄 (H12MDI), 또는 이러한 이소시아네이트들의 혼합물이다.
마크로디올 혼합물 (a) 1몰 당 약 1.5 내지 3.0몰, 바람직하게는 1.7 내지 2.8몰의 디이소시아네이트 성분 (c)가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우레아 코팅을 제조하기 위해서, 마크로디올, 임의로는 저분자량 지방족 디올, 및 디이소시아네이트를 모든 히드록실기가 소모될 때까지 용융물 또는 용액 중에서 함께 반응시킨다. 이 후, 추가의 용매 및 디아민 사슬 연장제를 임의로는 용액으로 첨가한다. 표적 점도에 도달했을 때, 잔류 NCO기를 단관능성 지방족 아민 또는 부타논 옥심으로 블록킹 (blocking)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우레아 코팅의 제조 및 용도에 적합한 용매는 알코올과 γ-부티로락톤의 혼합물이며, 폴리우레탄 용액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γ-부티로락톤의 분율은 10 중량% 내지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내지 50 중량%이다. γ-부티로락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알코올의 예로는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및 1-메톡시-2-프로판올이 있다. 또한, 에스테르 및 케톤, 예를 들어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및 메틸 이소부틸 케톤이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우레아는 100℃ 초과, 바람직하게는 130℃ 내지 220℃의 융점을 갖는다. 상기 폴리우레탄우레아는 높은 점착력 및 표면 경도, 높은 파괴점 신장률 및 최종 인장 강도를 갖는다.
상기 폴리우레탄우레아는 특정 용도 또는 코팅될 기재의 유형에 맞게 조정된 임의의 적합한 농도로 사용될 수 있다. 15 내지 60 중량%의 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20 내지 40 중량%의 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우레아 용액은 바람직하게는 직물 및 가죽의 코팅에 사용된다. 상기 폴리우레탄우레아 용액은 인쇄, 분무, 나이프 코팅 또는 전사 코팅에 의해 직접 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우레아 용액은 전사 방법에 의한 텍스타일 기재 상 코팅 용품의 제조에 특히 중요하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우레아 용액은 담체 직물 상에 5 내지 60 g/m2의 범위를 생성하는 마무리 코팅으로 사용된다.
통상적인 첨가제 및 보조 물질, 예컨대 조작 개선제, 안료, 염료, 매팅제, UV 안정화제, 페놀성 산화방지제, 광 안정화제, 소수화제 및/또는 유동 제어제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비교적 고비점의 용매 γ-부티로락톤의 사용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우레아 용액으로 얻어진 마감은 매우 우수한 견뢰도 (fastness)를 갖는다. 높은 점착성, 경도 및 최종 인장 강도가 특히 장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우레아 용액의 이점은 하기 실시예에서 비교 실험에 의해 예시된다.
23℃에서 하케 (Haake) (독일 카를스루헤 소재)로부터의 PK 100 콘-앤드-플레이트 측정 배치를 갖는 VT 550 점도계 상에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용액의 동점도 를 측정하였다. 상이한 전단 속도에서 측정을 수행하여 사용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혼합물의 유동 거동 및 참조 제품의 유동 거동이 이상적인 뉴턴 액체의 유동 거동에 상응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전단 속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기재된 수지의 NCO 함량은 DIN 53 185에 따른 적정에 의해 측정되었다. 실시예에 제공된 NCO 값은 항상 전체 용액이 아닌, 본 발명의 합성 단계에서 반응 혼합물의 초기 중량을 기준으로 하였다.
달리 지시되지 않는다면, %로 제공된 양은 중량%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수득된 전체 용액을 기준으로 한다.
폴리우레탄 용액으로부터 수득된 필름에 대한 가수분해 시험은 DIN EN 12280-3에 따라 수행하였다.
실시예 1:
본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우레아 용액의 제조에 대해 기술한다.
디메틸 카르보네이트 및 1,6-헥산디올로부터 제조된 평균 분자량 2000의 폴리카르보네이트디올 200 g을 1-메톡시프로필 아세테이트 63.3 g 및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52.3 g과 혼합하고, 혼합물을 110℃에서 반응시켜 3.60%의 일정한 NCO 함량으로 만들었다. 상기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γ-부티로락톤 211.2 g 및 이소프로판올 188.9 g으로 희석하였다. 1-메톡시-2-프로판올 169.1 g 중 4,4'-디아미노디시클로헥실메탄 23.9 g의 용액을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분자량의 증가가 중 단되고, 목적하는 점도 범위에 도달했을 때, n-부틸아민 1 g을 첨가하여 잔류 NCO 함유물을 블록킹하였다. 이것은 22℃에서 21,500 mPas의 점도를 갖는 1-메톡시프로필 아세테이트/γ-부티로락톤/이소프로판올/1-메톡시-2-프로판올 중 폴리우레탄우레아의 30% 용액 909 g을 제공하였다.
생성된 용액은 결정화에 대해 완전히 안정하였으며, 탁도 또는 침전이 없었다. 실온에서 6개월 동안 저장한 후에도 탁도는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2:
본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우레아 용액의 제조에 대해 기술한다.
디메틸 카르보네이트 및 1,6-헥산디올로부터 제조된 평균 분자량 2000의 폴리카르보네이트디올 200 g을 1-메톡시프로필 아세테이트 63.3 g 및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52.3 g과 혼합하고, 혼합물을 110℃에서 반응시켜 3.60%의 일정한 NCO 함량으로 만들었다. 상기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γ-부티로락톤 211.2 g 및 이소프로판올 188.9 g으로 희석하였다. 1-메톡시-2-프로판올 161.8 g 중 4,4'-디아미노디시클로헥실메탄 21.2 g의 용액을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분자량의 증가가 중단되고, 목적하는 점도 범위에 도달했을 때,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5 g을 첨가하여 잔류 NCO 함유물을 블록킹하였다. 이것은 22℃에서 34,800 mPas의 점도를 갖는 1-메톡시프로필 아세테이트/γ-부티로락톤/이소프로판올/1-메톡시-2-프로판올 중 폴리우레탄우레아의 30% 용액 909 g을 제공하였다.
생성된 용액은 결정화에 대해 완전히 안정하였다. 실온에서 6개월 동안 저 장한 후에도 탁도는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3: 비교예 (톨루엔 함유 용액)
본 실시예는 톨루엔을 사용한 폴리우레탄우레아 용액의 제조에 대해 기술한다.
과정은 실시예 2에 기재된 바와 같았다. γ-부티로락톤을 동량의 톨루엔으로 대체하고, 모든 다른 유리체 및 반응 파라미터는 실시예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유지하였다. 이것은 30,000 mPas의 점도를 갖는 30% 폴리우레탄우레아 용액 909 g을 제공하였으며, 이것은 실온에서 6개월 동안 안정하였다.
실시예 4: 톨루엔 또는 γ-부티로락톤을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과의 비교를 위한 비교예이다.
본 실시예의 폴리우레탄우레아 용액은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되었으나, 실시예 1을 다음과 같이 변경하였다:
- γ-부티로락톤을 동량의 메틸 에틸 케톤으로 대체하였다.
이것은 22℃에서 30,400 mPas의 점도를 갖는 1-메톡시프로필 아세테이트/메틸 에틸 케톤/이소프로판올/1-메톡시-2-프로판올 중 폴리우레탄우레아의 30% 용액을 제공하였다.
실온에서 2주 동안 저장한 후에 용액의 탁도 증가가 관찰되었다.
실시예 5: 톨루엔 또는 γ-부티로락톤을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과의 비교를 위한 비교예이다.
본 실시예의 폴리우레탄우레아 용액은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되 었으나, 실시예 1을 다음과 같이 변경하였다:
- γ-부티로락톤을 동량의 1-메톡시프로필 아세테이트로 대체하고,
- n-부틸아민 1 g을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4 g으로 대체하여 잔류 NCO 함유물을 블록킹하였다.
이것은 22℃에서 22,000 mPas의 점도를 갖는 1-메톡시프로필 아세테이트/이소프로판올/1-메톡시-2-프로판올 중 폴리우레탄우레아의 약간 탁한 30% 용액을 제공하였다. 며칠 후에 용액의 탁도가 증가하였다.
실시예 6: 톨루엔 또는 γ-부티로락톤을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과의 비교를 위한 비교예이다.
본 실시예의 폴리우레탄우레아 용액은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되었으나, 실시예 1을 다음과 같이 변경하였다:
- γ-부티로락톤을 1-메톡시프로필 아세테이트 111.2 g과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 100 g의 혼합물로 대체하고,
- n-부틸아민 1 g을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5 g으로 대체하여 잔류 NCO 함유물을 블록킹하였다.
이것은 33,000 mPas의 점도를 갖는 1-메톡시프로필 아세테이트/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이소프로판올/1-메톡시-2-프로판올 중 폴리우레탄우레아의 30% 용액을 제공하였다. 실온에서 4일 동안 저장한 후에 용액이 탁해졌다.
실시예 7: 톨루엔 또는 γ-부티로락톤을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과의 비교를 위한 비교예이다.
본 실시예의 폴리우레탄우레아 용액은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되었으나, 실시예 1을 다음과 같이 변경하였다:
- γ-부티로락톤을 1-메톡시프로필 아세테이트 111.2 g과 부틸 아세테이트 100 g의 혼합물로 대체하였다.
형성된 중합체의 용해도 결핍으로 인하여, 1-메톡시-2-프로판올 중 4,4'-디아미노디시클로헥실메탄의 총량의 80%를 첨가한 후에, 혼합물은 겔화되었다.
실시예 8: 톨루엔 또는 γ-부티로락톤을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과의 비교를 위한 비교예이다.
본 실시예의 폴리우레탄우레아 용액은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되었으나, 실시예 1을 다음과 같이 변경하였다:
- γ-부티로락톤을 동량의 부틸 아세테이트로 대체하고,
- n-부틸아민 1 g을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7 g으로 대체하여 잔류 NCO 함유물을 블록킹하였다.
이것은 22℃에서 36,000 mPas의 점도를 갖는 1-메톡시프로필 아세테이트/부틸 아세테이트/이소프로판올/1-메톡시-2-프로판올 중 폴리우레탄우레아의 30% 용액을 제공하였다. 실온에서 8일 동안 저장한 후에 용액의 현저한 탁도가 관찰되었다.
실시예 9: 톨루엔 또는 γ-부티로락톤을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과의 비교를 위한 비교예이다.
본 실시예의 폴리우레탄우레아 용액은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되 었으나, 실시예 1을 다음과 같이 변경하였다:
- γ-부티로락톤을 동량의 부틸 아세테이트로 대체하였다.
이것은 22℃에서 39,200 mPas의 점도를 갖는 1-메톡시프로필 아세테이트/부틸 아세테이트/이소프로판올/1-메톡시-2-프로판올 중 폴리우레탄우레아의 30% 용액을 제공하였다. 실온에서 4일 동안 저장한 후에 용액의 심한 탁도가 관찰되었다.
실시예 10: 톨루엔 또는 γ-부티로락톤을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과의 비교를 위한 비교예이다.
본 실시예의 폴리우레탄우레아 용액은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되었으나, 실시예 1을 다음과 같이 변경하였다:
- γ-부티로락톤을 부틸 아세테이트 161.2 g과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 50 g의 혼합물로 대체하고,
- n-부틸아민 1 g을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5 g으로 대체하여 잔류 NCO 함유물을 블록킹하였다.
이것은 22℃에서 39,200 mPas의 점도를 갖는 1-메톡시프로필 아세테이트/부틸 아세테이트/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이소프로판올/1-메톡시-2-프로판올 중 폴리우레탄우레아의 30% 용액을 제공하였다. 실온에서 6일 동안 저장한 후에 용액의 탁도가 관찰되었다.
실시예 11: 톨루엔 또는 γ-부티로락톤을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과의 비교를 위한 비교예이다.
본 실시예의 폴리우레탄우레아 용액은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되었으나, 실시예 1을 다음과 같이 변경하였다:
- 1-메톡시프로필 아세테이트를 동량의 부틸 아세테이트로 대체하고, γ-부티로락톤을 동량의 부틸 아세테이트로 대체하고,
- n-부틸아민 1 g을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5 g으로 대체하여 잔류 NCO 함유물을 블록킹하였다.
이것은 22℃에서 27,500 mPas의 점도를 갖는 부틸 아세테이트/이소프로판올/1-메톡시-2-프로판올 중 폴리우레탄우레아의 30% 용액을 제공하였다. 실온에서 3일 동안 저장한 후에 용액의 현저한 탁도가 관찰되었다.
실시예 12:
본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우레아 용액의 제조에 대해 기술한다.
디메틸 카르보네이트 및 1,6-헥산디올로부터 제조된 평균 분자량 2000의 폴리카르보네이트디올 400 g을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82.2 g과 혼합하고, 혼합물을 110℃에서 반응시켜 2.9%의 일정한 NCO 값으로 만들었다. 그 후, 상기 혼합물을 γ-부티로락톤 357.8 g 및 이소프로판올 238.4 g으로 희석하였다.
1-메톡시-2-프로판올 190 g 중 이소포론디아민 22.6 g의 용액을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반응이 종결되었을 때, n-부틸아민 2 g을 첨가하여 잔류 NCO 함유물을 블록킹하였다.
이것은 22℃에서 37,000 mPas의 점도를 갖는 γ-부티로락톤/이소프로판올/1- 메톡시-2-프로판올 중 폴리우레탄우레아의 38% 용액 1293 g을 제공하였다.
생성된 용액은 결정화에 대해 완전히 안정하였다. 실온에서 6개월 동안 저장한 후에도 탁도는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13:
본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우레아 용액의 제조에 대해 기술한다.
디메틸 카르보네이트 및 1,6-헥산디올로부터 제조된 평균 분자량 2000의 폴리카르보네이트디올 400 g을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82.2 g과 혼합하고, 혼합물을 110℃에서 반응시켜 2.9%의 일정한 NCO 값으로 만들었다. 그 후, 상기 혼합물을 γ-부티로락톤 357.8 g 및 이소프로판올 238.4 g으로 희석하였다.
1-메톡시-2-프로판올 214.3 g 중 이소포론디아민 22.8 g의 용액을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반응이 종결되었을 때,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7 g을 첨가하여 잔류 NCO 함유물을 블록킹하였다.
이것은 22℃에서 50,400 mPas의 점도를 갖는 γ-부티로락톤/이소프로판올/1-메톡시-2-프로판올 중 폴리우레탄우레아의 38% 용액 1322.5 g을 제공하였다.
생성된 용액은 결정화에 대해 완전히 안정하였다. 실온에서 6개월 동안 저장한 후에도 탁도는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14: 비교예 (톨루엔 함유 용액)
본 실시예는 톨루엔을 사용한 폴리우레탄우레아 용액의 제조에 대해 기술한다.
과정은 실시예 13에 기재된 바와 같았다. γ-부티로락톤을 동량의 톨루엔으로 대체하고, 모든 다른 유리체 및 반응 파라미터는 실시예 1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유지하였다. 이것은 48,000 mPas의 점도를 갖는 38% 폴리우레탄우레아 용액 1322.5 g을 제공하였으며, 상기 폴리우레탄우레아 용액은 실온에서 6개월 동안 안정하였다.
실시예 15: 톨루엔 또는 γ-부티로락톤을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과의 비교를 위한 비교예이다.
본 실시예의 폴리우레탄우레아 용액은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되었으나, 실시예 1을 다음과 같이 변경하였다:
- γ-부티로락톤을 동량의 부틸 아세테이트로 대체하고,
- n-부틸아민 2 g을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6.5 g으로 대체하여 잔류 NCO 함유물을 블록킹하였다.
이것은 22℃에서 32,500 mPas의 점도를 갖는 부틸 아세테이트/이소프로판올/1-메톡시-2-프로판올 중 폴리우레탄우레아의 38% 용액을 제공하였다. 실온에서 단지 1일 동안 저장한 후에 용액의 현저한 탁도가 관찰되었다.
실시예 16:
본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우레아 용액의 제조에 대해 기술한다.
디메틸 카르보네이트 및 1,6-헥산디올로부터 제조된 평균 분자량 2000의 폴리카르보네이트디올 183.8 g을 1-메톡시-2-프로필 아세테이트 50.6 g, N-메틸디이 소프로판올아민 3.9 g 및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57.3 g과 혼합하고, 혼합물을 110℃에서 반응시켜 3.9%의 일정한 NCO 함량으로 만들었다. 상기 혼합물을 50℃로 냉각시키고, γ-부티로락톤 255.2 g 및 tert-부탄올 333.5 g으로 희석하였다. 실온에서 tert-부탄올 73.6 g, 1-메톡시-2-프로필 아세테이트 59.2 g 및 γ-부티로락톤 46.6 g 중 4,4'-디아미노디시클로헥실메탄 24.7 g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분자량의 증가가 중단되고, 목적하는 점도 범위에 도달했을 때, 부타논 옥심 6 g을 첨가하여 잔류 NCO 함유물을 블록킹하였다. 이것은 22℃에서 16,000 mPas의 점도를 갖는 γ-부티로락톤/tert-부탄올/1-메톡시-2-프로필 아세테이트 중 폴리우레탄우레아의 25.2% 용액 1094.4 g을 제공하였다.
생성된 용액은 6개월 동안 탁도가 없고, 결정화에 대해 안정하였다.
실시예 17:
본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우레아 용액의 제조에 대해 기술한다.
디메틸 카르보네이트 및 1,6-헥산디올로부터 제조된 평균 분자량 2000의 폴리카르보네이트디올 183.8 g을 부틸 아세테이트 50.6 g, N-메틸디이소프로판올아민 3.9 g 및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57.3 g과 혼합하고, 혼합물을 110℃에서 반응시켜 3.9%의 일정한 NCO 함량으로 만들었다. 상기 혼합물을 90℃로 냉각시키고, γ-부티로락톤 255.2 g 및 tert-부탄올 333.5 g으로 희석하였다. 실온에서 tert-부탄올 71.3 g 및 1-메톡시-2-프로필 아세테이트 102.5 g 중 4,4'-디아미노디시클로헥실메탄 25.7 g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분자량의 증가가 중단되고, 목적하는 점 도 범위에 도달했을 때, 부타논 옥심 6 g을 첨가하여 잔류 NCO 함유물을 블록킹하였다. 이것은 22℃에서 17,200 mPas의 점도를 갖는 γ-부티로락톤/부틸 아세테이트/tert-부탄올/1-메톡시-2-프로필 아세테이트 중 폴리우레탄우레아의 25.4% 용액 1089.7 g을 제공하였다.
생성된 용액은 6개월 동안 탁도가 없고, 결정화에 대해 안정하였다.
실시예 18:
본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우레아 용액의 제조에 대해 기술한다.
디메틸 카르보네이트 및 1,6-헥산디올로부터 제조된 평균 분자량 2000의 폴리카르보네이트디올 183.8 g을 γ-부티로락톤 50.6 g, N-메틸디이소프로판올아민 3.9 g 및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57.3 g과 혼합하고, 혼합물을 110℃에서 반응시켜 3.9%의 일정한 NCO 함량으로 만들었다. 상기 혼합물을 90℃로 냉각시키고, γ-부티로락톤 255.2 g 및 tert-부탄올 333.5 g으로 희석하였다. 실온에서 tert-부탄올 74.6 g 및 1-메톡시-2-프로필 아세테이트 107.3 g 중 4,4'-디아미노디시클로헥실메탄 25.6 g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분자량의 증가가 중단되고, 목적하는 점도 범위에 도달했을 때, 부타논 옥심 5 g을 첨가하여 잔류 NCO 함유물을 블록킹하였다. 이것은 22℃에서 12,800 mPas의 점도를 갖는 γ-부티로락톤/tert-부탄올/1-메톡시-2-프로필 아세테이트 중 폴리우레탄우레아의 25.1% 용액 1096.8 g을 제공하였다.
생성된 용액은 6개월 동안 탁도가 없고, 결정화에 대해 안정하였다.
실시예 19:
본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우레아의 제조에 대해 기술한다.
디메틸 카르보네이트 및 1,6-헥산디올로부터 제조된 평균 분자량 2000의 폴리카르보네이트디올 183.8 g을 부틸 아세테이트 50.6 g, N-메틸디이소프로판올아민 3.9 g 및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57.3 g과 혼합하고, 혼합물을 110℃에서 반응시켜 3.9%의 일정한 NCO 함량으로 만들었다. 상기 혼합물을 90℃로 냉각시키고, γ-부티로락톤 255.2 g 및 tert-부탄올 333.5 g으로 희석하였다. 실온에서 tert-부탄올 72.1 g 및 1-메톡시-2-프로필 아세테이트 103.6 g 중 4,4'-디아미노디시클로헥실메탄 26.6 g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분자량의 증가가 중단되고, 목적하는 점도 범위에 도달했을 때, 1-부틸아민 2.0 g을 첨가하여 잔류 NCO 함유물을 블록킹하였다. 이것은 22℃에서 11,000 mPas의 점도를 갖는 γ-부티로락톤/부틸 아세테이트/tert-부탄올/1-메톡시-2-프로필 아세테이트 중 폴리우레탄우레아의 25.1% 용액 1090.6 g을 제공하였다.
생성된 용액은 6개월 동안 탁도가 없고, 결정화에 대해 안정하였다.
실시예 20: 비교예 (톨루엔 함유 용액)
본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6, 17, 18 및 19와의 비교를 위한 비교예로서, γ-부티로락톤을 사용하지 않고 톨루엔을 사용한 폴리우레탄우레아 용액의 제조에 대해 기술한다.
과정은 실시예 17에 기재된 바와 같았다. 부틸 아세테이트 및 γ-부티로락톤을 동량의 톨루엔으로 대체하고, 모든 다른 유리체 및 반응 파라미터는 실시예 1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유지하였다.
이것은 22℃에서 14,000 mPas의 점도를 갖는 톨루엔/tert-부탄올/1-메톡시-2-프로필 아세테이트 중 폴리우레탄우레아의 25.4% 용액 1089.7 g을 제공하였다.
실시예 21: 톨루엔 또는 γ-부티로락톤을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6 내지 19와의 비교를 위한 비교예이다.
디메틸 카르보네이트 및 1,6-헥산디올로부터 제조된 평균 분자량 2000의 폴리카르보네이트디올 183.8 g을 부틸 아세테이트 50.6 g, N-메틸디이소프로판올아민 3.9 g 및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57.3 g과 혼합하고, 혼합물을 110℃에서 반응시켜 3.9%의 일정한 NCO 함량으로 만들었다. 상기 혼합물을 90℃로 냉각시키고, 부틸 아세테이트 255.2 g 및 tert-부탄올 333.5 g으로 희석하였다. 실온에서 tert-부탄올 74.1 g 및 1-메톡시-2-프로필 아세테이트 106.5 g 중 4,4'-디아미노디시클로헥실메탄 24.6 g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사슬 연장제 용액의 첨가 동안 혼합물의 겔화가 관찰되었다. 분자량의 증가가 중단되고, 목적하는 점도 범위에 도달했을 때, 부타논 옥심 7 g을 첨가하여 잔류 NCO 함유물을 블록킹하였다. 이것은 22℃에서 24,000 mPas의 점도를 갖는 부틸 아세테이트/tert-부탄올/1-메톡시-2-프로필 아세테이트 중 폴리우레탄우레아의 25.2% 용액 1096.4 g을 제공하였다.
생성된 용액은 겔 입자를 함유하였으므로 이미 약간 탁하였다. 실온에서 1주일 동안 저장한 후 용액의 탁도가 현저하게 증가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실시예 22: 용도 실시예
코팅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3 (용매로서 톨루엔을 사용하는 종래 기술에 따른 생성물)에 따른 폴리우레탄 용액을 사용하여 0.15 mm의 층 두께의 코팅 필름을 제조하고, 이를 시험하였다.
Figure 112007060622894-pct00001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용액이 독소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코팅을 제조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실시예 23: 용도 실시예
코팅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실시예 12 및 비교예 3 (용매로서 톨루엔을 사용한 종래 기술에 따른 생성물)에 따른 폴리우레탄 용액을 사용하여 0.15 mm의 층 두께의 코팅 필름을 제조하고, 이를 시험하였다.
Figure 112007060622894-pct00002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용액이 독소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코팅을 제조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실시예 24: 용도 실시예
코팅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실시예 16, 실시예 17 및 비교예 18 (톨루엔 함유)에 따른 폴리우레탄 용액을 사용하여 0.15 mm의 층 두께의 코팅 필름을 제조하고, 이를 시험하였다.
Figure 112007060622894-pct00003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용액이 독소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코팅을 제조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수득된 코팅의 몇가지 기술적으로 관련된 특성이 현저하게 개선되었다.

Claims (11)

  1. 용해된 폴리우레탄우레아를 20 내지 40 중량%, 및 알코올과 혼합된 γ-부티로락톤을 15 내지 50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γ-부티로락톤을 함유하는 용매 중 폴리우레탄우레아의 용액.
  2. 제1항에 있어서, 용매로서, 에스테르 및 케톤이 추가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3. 제1항에 있어서, 용해된 폴리우레탄우레아를 20 내지 40 중량%, 및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및 1-메톡시프로판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저분자량 알코올과 혼합된 γ-부티로락톤을 15 내지 50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4. 제3항에 있어서, 용매로서, 부틸 아세테이트,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및 메틸 이소부틸 케톤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에스테르 및 케톤이 추가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함유된 폴리우레탄우레아가
    a) 분자량이 600 내지 4000이고 1.8 내지 2.2의 평균 관능가를 갖는, 폴리에테르디올, 폴리에스테르디올 및 폴리카르보네이트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선형 마크로디올, 또는 상기 마크로디올 성분의 혼합물, 또는 상기 마크로디올 중 하나와 분자량이 50 내지 500인 저분자량 지방족 디올의 혼합물,
    b) 사슬 연장제로서, 디올 1몰 당 0.5 내지 2.0몰의 지방족 또는 시클로지방족 디아민 또는 히드라진, 및
    c) 마크로디올 1몰 당 1.5 내지 3.0몰의 지방족, 시클로지방족 또는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
    로부터 합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용액으로 코팅된 기재.
  7. 제6항에 있어서, 용액이 인쇄, 분무, 나이프 코팅 또는 전사 코팅에 의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재.
  8. 제6항에 있어서, 텍스타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재.
  9. 제6항에 있어서, 가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재.
  10. 삭제
  11. 삭제
KR1020077019161A 2005-02-23 2006-02-10 폴리우레탄 우레아 용액 KR1012605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0510008182 DE102005008182A1 (de) 2005-02-23 2005-02-23 Polyurethanharnstoff-Lösungen
DE102005008182.7 2005-02-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5898A KR20070115898A (ko) 2007-12-06
KR101260531B1 true KR101260531B1 (ko) 2013-05-06

Family

ID=36190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9161A KR101260531B1 (ko) 2005-02-23 2006-02-10 폴리우레탄 우레아 용액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7425516B2 (ko)
EP (1) EP1856193B1 (ko)
JP (1) JP5265927B2 (ko)
KR (1) KR101260531B1 (ko)
AT (1) ATE449809T1 (ko)
BR (1) BRPI0606963A2 (ko)
CA (1) CA2598542A1 (ko)
DE (2) DE102005008182A1 (ko)
ES (1) ES2335128T3 (ko)
NO (1) NO20074779L (ko)
PT (1) PT1856193E (ko)
RU (1) RU2412215C2 (ko)
TW (1) TWI447184B (ko)
UA (1) UA89983C2 (ko)
WO (1) WO20060896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61765B2 (ja) 2005-08-04 2012-01-25 株式会社リコー 機器、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DE102006056956A1 (de) 2006-11-30 2008-06-05 Benecke-Kaliko Ag Verbundgebilde mit einer Polyurethanschicht, Verfahren zu deren Hersellung und Verwendung
KR101648591B1 (ko) * 2008-01-15 2016-08-16 인비스타 테크놀러지스 에스.에이 알.엘. 변경된 응력 프로파일을 갖는 의복
US10544543B2 (en) 2008-01-15 2020-01-28 The Lycra Company Llc Garment incorporating aqueous polyurethane dispersions having altered stress profile
US11692304B2 (en) 2008-01-15 2023-07-04 The Lycra Company Llc Garment incorporating waterproof or water resilient aqueous polyurethane dispersions and/or having altered stress profile
KR101123262B1 (ko) * 2008-02-25 2012-03-20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알코올 가용형 우레탄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폴리우레탄 다공체 및 투습성 필름
EP2182559A1 (de) * 2008-10-30 2010-05-05 Bayer MaterialScience AG Energiewandler auf Basis von Polyurethan-Lösungen
WO2010073981A1 (ja) * 2008-12-26 2010-07-01 昭和電工株式会社 硬化性組成物
US9174611B2 (en) 2011-07-28 2015-11-03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adapter, connector and assembly
WO2013067452A1 (en) * 2011-11-02 2013-05-10 U.S. Coatings Ip Co. Llc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n automotive oem multi-layer coating
CN104093790B (zh) * 2011-11-29 2016-10-12 涂料外国Ip有限公司 非水溶剂组合物及其作为隔离液体的用途
EP2725044B1 (de) * 2012-10-24 2017-06-21 Covestro Deutschland AG Alkoxysilanterminiertes Präpolymer auf Basis von Polyethercarbonatpolyolen für Sprühschäume
EP3177656B1 (de) * 2014-08-05 2019-01-16 Covestro Deutschland AG Polyurethanharnstofflösungen für textilbeschichtungen
CN104211896A (zh) * 2014-09-05 2014-12-17 四川大学 一种阳离子反应型双子聚氨酯表面活性剂及其制备方法
WO2015081904A2 (en) * 2015-01-19 2015-06-11 Bayer Materialscience Ag Polyurethaneurea solutions for compositions with active ingredients or fragrances
US20190359850A1 (en) * 2017-01-13 2019-11-28 Covestro Deutschland Ag Low-solvent coating systems for textiles
CN108118539B (zh) * 2017-12-30 2020-10-23 福建中裕新材料技术有限公司 环保型耐干湿擦、耐磨耗性聚氨酯合成革的制备方法
CN110305577A (zh) * 2019-06-12 2019-10-08 黄琳 一种耐折水性转移涂料的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73247A (en) * 1963-07-13 1971-03-30 Toyo Tire & Rubber Co Polyurea elastomer solutions improved by additions of specific inorganic salts
US5688855A (en) 1995-05-01 1997-11-18 S.K.Y. Polymers, Inc. Thin film hydrophilic coatings
US5703193A (en) 1996-06-03 1997-12-30 Uniroyal Chemical Company, Inc. Removal of unreacted diisocyanate monomer from polyurethane prepolymer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457387C3 (de) * 1974-12-05 1978-09-21 Bayer Ag, 5090 Leverkus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Textilbeschichtungen mit besonders weichem, Nappaleder-artigem Griff
DE3134112A1 (de) 1981-08-28 1983-03-10 Bayer Ag, 5090 Leverkusen Beschichtungs- und zurichtmittel fuer leder und lederaustauschstoffe auf basis von polyurethanharnstoff-beschichtungsmassen
US5178788A (en) * 1990-11-08 1993-01-12 Texaco Chemical Company Co-solvent system for removing cured fiberglass resin and cured flexible or rigid urethane foams from substrates
JPH08217849A (ja) * 1995-02-15 1996-08-27 Mitsubishi Chem Corp 熱可塑性ポリウレタンウレア溶液およびその用途
US5562794A (en) * 1995-03-08 1996-10-08 Basf Corporation Low solvent, thermoplastic polyurethane containing solvent cement
JPH08253547A (ja) * 1995-03-16 1996-10-01 Asahi Glass Co Ltd ポリウレタン溶液組成物
JPH10219098A (ja) * 1997-02-04 1998-08-18 Sunstar Eng Inc ポリウレタン樹脂組成物
DE10122444A1 (de) * 2001-05-09 2002-11-14 Bayer Ag Polyurethan-Polyharnstoff Dispersionen als Beschichtungsmitte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73247A (en) * 1963-07-13 1971-03-30 Toyo Tire & Rubber Co Polyurea elastomer solutions improved by additions of specific inorganic salts
US5688855A (en) 1995-05-01 1997-11-18 S.K.Y. Polymers, Inc. Thin film hydrophilic coatings
US5703193A (en) 1996-06-03 1997-12-30 Uniroyal Chemical Company, Inc. Removal of unreacted diisocyanate monomer from polyurethane prepolym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639224A (en) 2006-11-16
EP1856193B1 (de) 2009-11-25
ES2335128T3 (es) 2010-03-22
KR20070115898A (ko) 2007-12-06
RU2007135128A (ru) 2009-03-27
RU2412215C2 (ru) 2011-02-20
ATE449809T1 (de) 2009-12-15
WO2006089648A1 (de) 2006-08-31
CA2598542A1 (en) 2006-08-31
US20060189234A1 (en) 2006-08-24
EP1856193A1 (de) 2007-11-21
JP5265927B2 (ja) 2013-08-14
PT1856193E (pt) 2010-01-20
UA89983C2 (en) 2010-03-25
NO20074779L (no) 2007-09-19
US7425516B2 (en) 2008-09-16
JP2008531772A (ja) 2008-08-14
DE502006005456D1 (de) 2010-01-07
DE102005008182A1 (de) 2006-08-31
TWI447184B (zh) 2014-08-01
BRPI0606963A2 (pt) 2009-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0531B1 (ko) 폴리우레탄 우레아 용액
TWI457356B (zh) 聚胺基甲酸酯脲溶液
KR101584825B1 (ko) 수계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및 그것을 도포하여 이루어지는 도장품
KR101356293B1 (ko) 자가-가교결합성 폴리우레탄 분산액
JP2011046968A (ja) ポリウレタン分散液及びそれから製造した物品
EP1798248A1 (en) Water-dispersed polyurethane composition
CZ301652B6 (cs) Polyurethanové roztoky s alkoxysilanovými strukturními jednotkami, zpusob jejich výroby, jejich použití, povlaky z nich vyrobené a výrobky tyto povlaky obsahující
US7557156B2 (en) Aqueous hydroxy-functional polyester dispersions containing urethane groups
JP2007517947A (ja) 被覆剤組成物
CN109476812B (zh) 低硬度聚氨酯分散体
JP2016191000A (ja) ポリウレタン水分散体及び合成皮革
JP2018500402A (ja) 再生可能原料を基礎とする新規ポリウレタン分散液
KR20070101149A (ko) 개선된 저장 안정성을 갖는 수성 폴리우레탄 분산액
WO2016124251A1 (en) Aqueous polyurethane dispersions
US4446293A (en) Low-solvent, thermosetting reactive polyurethane coating composition, a process for its production and its use in direct and reverse coating processes
US5763526A (en) Urethane prepolymer, process for producing urethane prepolymer, isocyanate compound, and polyurethane dispersion
US10358575B2 (en) Polyurethane urea solutions for textile coatings
KR20100018175A (ko) 내썬크림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히드록시기 함유 수성폴리우레탄 분산액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연질 코팅조성물
JP2004137412A (ja) 水分散型ポリウレタン組成物
JPH02269723A (ja) 水系ウレタン樹脂組成物
TW201700605A (zh) 一種水性聚氨酯分散液及其製備方法
JP2024060253A (ja) ポリウレタンウレア樹脂組成物、コーティング剤、成形体、コーティング膜、合成皮革、及びポリウレタンウレア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KR920009685B1 (ko) 양이온계 수성우레탄 에멀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