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9678B1 - 전기 진공 청소기 - Google Patents

전기 진공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9678B1
KR101259678B1 KR1020107017814A KR20107017814A KR101259678B1 KR 101259678 B1 KR101259678 B1 KR 101259678B1 KR 1020107017814 A KR1020107017814 A KR 1020107017814A KR 20107017814 A KR20107017814 A KR 20107017814A KR 101259678 B1 KR101259678 B1 KR 101259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blower
coil spring
group
spring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7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4067A (ko
Inventor
요시유끼 이와따
이꾸오 오시마
유우스께 기노시따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홈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8030993A external-priority patent/JP519704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05101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9207553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홈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100114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4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9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9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2Mountings for motor fan assembl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81Means for exhaust-air diffusion; Means for sound or vibration dam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전동 송풍부(11)는 축 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판 스프링 군(46a, 46b)의 판 스프링(45, 45)에 의해 본체 케이스(5)에 대하여 지지된다. 판 스프링 군(46a, 46b)의 각각의 판 스프링(45)은 전동 송풍부(11)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해서 배치된다. 각 판 스프링(45)의 변형에 의해, 전동 송풍부(11)의 구동에 수반하는 축 방향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의 진동을 억제하고, 전동 송풍부(11)의 축방향 흔들림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 진공 청소기{ELECTRIC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전동 송풍부를 탄성 부재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전기 진공 청소기는, 원심 팬과 이 원심 팬을 전후로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갖는 전동 송풍기가 본체 케이스의 내부를 구획하여 형성된 수용실로서의 송풍실에 수용된 청소기 본체를 포함한다. 전동 송풍기는 서로 대향 배치한 한 쌍의 판 스프링에 의해 모터측의 외주면이 상측과 하측으로부터 끼움 지지되는 방식으로 유지되어, 본체 케이스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전동 송풍기의 진동이 본체 케이스에 거의 전달될 수 없다(특허문헌1 참조).
[특허문헌1] 일본 특허 공개 평4-193143호 공보
상술한 전기 진공 청소기에서는 전동 송풍기의 구동에 수반하는 직경 방향(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의 진동 등은 판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그러나, 모터측보다 이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원심 팬측쪽이 크게 진동하므로, 회전 축심의 흔들림(run-out), 즉, 축 흔들림이 발생하고, 이러한 축방향 흔들림을 상기의 구성에서는 충분히 흡수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에 감안해 이루어진 것으로, 전동 송풍부의 축방향 흔들림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전기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전기 진공 청소기는 전동 송풍부와, 상기 전동 송풍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실이 제공되는 본체 케이스와, 상기 전동 송풍부의 외주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전동 송풍부를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본체 케이스에 대하여 지지하는 한 쌍의 탄성 부재를 각각이 포함하는 복수의 탄성 부재군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군은 상기 전동 송풍부의 원주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각도로 서로 어긋나도록 상기 전동 송풍부의 축 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하나의 상기 탄성 부재군의 한 쌍의 탄성 부재와 나머지 상기 탄성 부재군의 한 쌍의 탄성 부재가 상기 전동 송풍부의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서로 이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 진공 청소기는, 전동 송풍기와, 상기 전동 송풍기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커버체를 포함하는 전동 송풍부와, 상기 전동 송풍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실이 제공되는 본체 케이스와, 상기 전동 송풍기와 커버체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커버체에 대해 상기 전동 송풍기를 탄성 지지하는 복수의 제1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제1 코일 스프링 군과, 상기 커버체와 본체 케이스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본체 케이스에 대해 상기 전동 송풍부를 탄성 지지하는 복수의 제2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제2 코일 스프링 군을 포함하고, 각 코일 스프링 군은 상기 전동 송풍부의 축 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코일 스프링과 상기 제2 코일 스프링은 상기 전동 송풍부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동 송풍부를 본체 케이스에 대하여 지지하는 복수의 탄성 부재군을 서로 전동 송풍부의 축 방향으로 다른 위치에 배치하여 각 탄성 부재군의 탄성 부재가 전동 송풍부의 원주 방향으로 대략 등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기 때문에, 축 방향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의 진동을 억제하고, 전동 송풍부의 축방향 흔들림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동 송풍기가 커버체에 대해 제1 코일 스프링 군에 의해 지지되는 전동 송풍부가 본체 케이스에 대해 제2 코일 스프링 군에 의해 지지되고, 제1 코일 스프링 군의 제1 코일 스프링과 제2 코일 스프링 군의 제2 코일 스프링이 전동 송풍부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됨으로써, 전동 송풍기의 구동에 수반하는 진동이 각 코일 스프링 군에 의해 효과적으로 흡수될 수 있고 전동 송풍부의 축방향 흔들림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전기 진공 청소기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전기 진공 청소기의 한 쪽의 탄성 부재군의 후방측을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도 3은 전기 진공 청소기의 다른 쪽의 탄성 부재군의 전방측을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도 4는 전기 진공 청소기의 탄성 부재군의 작용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5는 전기 진공 청소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전기 진공 청소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7은 전기 진공 청소기의 한 쪽의 탄성 부재군의 후방측을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도 8은 전기 진공 청소기의 다른 탄성 부재군의 후방측을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도 9는 전기 진공 청소기의 또 다른 탄성 부재군의 전방측을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전기 진공 청소기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전기 진공 청소기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전기 진공 청소기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의 전기 진공 청소기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의 전기 진공 청소기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전기 진공 청소기를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서, 참조번호 1은 진공 청소기 본체를 나타내며, 이 진공 청소기 본체(1)는 피청소면으로서의 바닥면을 주행가능한 소위 캐니스터형의 전기 진공 청소기이다.
진공 청소기 본체(1)는 상측이 개방된 하부 케이스(2)와, 이 하부 케이스(2)의 후방부 상측에 대향 배치되어 이 후방부 상측을 덮는 상부 케이스(3)와, 하부 케이스(2)의 전방부 상측을 개폐가능한 덮개(4, lid body)를 갖는 본체 케이스(5)를 포함한다. 이 본체 케이스(5)에는 하부 케이스(2)와 상부 케이스(3) 사이에 수용실로서의 송풍실(6)이 제공되고, 하부 케이스(2)와 덮개(4) 사이에 (도시하지 않은) 집진실이 제공되고, 이들 양쪽이 서로 구획되도록 송풍실(6)과 집진실 사이에 격벽부(8)가 제공된다.
전동 송풍부(11)의 축 방향이 전후 방향에 대응되도록 대략 원통 형상인 전동 송풍부(11)가 송풍실(6)에 대략 수평 형상으로 수용되고, 전동 송풍부(11)는 하부 케이스(2)와 상부 케이스(3)가 (도시하지 않은) 시일 패킹을 통해서 나사 등에 의해 서로 기밀하게 부착되어 제공되는 공간부이다. 또한, 이 송풍실(6)은 상부 케이스(3)의 후방부에 보링가공된 배기 구멍(12)을 통해서 본체 케이스(5)의 외부와 연통한다. 또한, 이 송풍실(6)의 측방에는 외부로부터 전동 송풍부(11)에 전원 공급가능한 전원 코드(13)를 권회한 코드 릴이 수용되는 코드 릴실이 제공된다.
여기서, 하부 케이스(2)의 후방부에서 개구된 코드 도출구를 통해 전원 코드(13)는 코드 릴실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
한편, 집진실에는 예를 들어 종이 팩, 또는 사이클론 집진 장치 등의 집진부가 착탈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체 흡입구(21)는 이 집진실의 전방부에서 덮개(4)에 보링가공된다. 이 본체 흡입구(21)에는 호스체(22)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호스체(22)의 선단부에 손잡이 조작부(23)가 설치된다. 이 손잡이 조작부(23)에는 작업자가 파지하는 파지부(25)가 돌출되어 있고, 이 파지부(25)에는 작업자가 전동 송풍부(11)의 동작 모드 등을 설정하는 설정 버튼(26)이 복수 설치된다. 또한, 손잡이 조작부(23)의 선단부에는 연장관(28)과 흡입구체로서의 바닥 브러시(29)가 순차 연통 접속된다.
격벽부(8)는 송풍실(6)측인 후방부에 위치하는 후방부 격벽(31)과, 집진실측인 전방부에 위치하는 (도시하지 않은) 전방부 격벽과, 이 전방부 격벽에 연속해서 송풍실(6)과 코드 릴실 사이의 구획부로서 개재된 측부 격벽(33)을 포함한다. 전방부 격벽의 후방부에 진공 청소기 본체(1) 내의 (도시하지 않은) 각종 기구를 동작시키는 구동부가 부착된다.
후방부 격벽(31)에는 둥근 구멍 형상의 후방부 연통 구멍(37)이 보링가공되고, 전방부 격벽에는 둥근 전방부 연통 구멍이 보링가공되고, 후방부 연통 구멍(37)과 전방부 연통 구멍이 (도시하지 않은) 덕트에 의해 서로 기밀하게 접속된다.
후방부 연통 구멍(37)의 후방부에는 전동 송풍부(11)가 기밀하게 접속된다. 또한, 전방부 연통 구멍의 집진실측인 전방부측에 (도시하지 않은) 필터가 배치된다.
측부 격벽(33)에는 송풍실(6)과 코드 릴실을 연통하는 (도시하지 않은) 연통구가 형성된다.
후방부 격벽(31), 전방부 격벽 및 측부 격벽(33)의 상부에는 이 상부들과 상부 케이스(3) 사이에서 유지되고 송풍실(6), 집진실과 코드 릴실 사이의 기밀 구획부로 기능하는 시일 링 부재인 (도시하지 않은) 패킹이 부착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 송풍부(11)는 무거운 물체로서 팬 모터인 전동 송풍기(41)와, 이 전동 송풍기(41)의 적어도 일부를 덮어서 유지하는 비교적 경량의 커버체로서의 유지 부재인 대략 원통 형상인 모터 커버(42)와, 전동 송풍기(41)를 모터 커버(42)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해서 전동 송풍기(41)의 회전 진동을 감쇠하는 복수, 예를 들어 3개의 코일 스프링(43)을 갖는 내부 지지 유닛인 코일 스프링 군(44)을 포함한다. 전동 송풍부(11)는 예를 들어 한 쌍의 탄성 부재로서의 판 스프링(45, 45)을 각각이 갖는 복수, 예를 들어 2개의 외부 지지 유닛(제1 외부 지지 유닛 및 제2 외부 지지 유닛)으로 구성되는 탄성 부재군으로서의 판 스프링 군(46)에 의해 본체 케이스(5)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전동 송풍기(41)는 케이스체로서의 모터 프레임(47)과-이 프레임(47)은 바닥 형상을 한 원통 형상임-, 이 모터 프레임(47)의 개구측인 전방측에 끼워 부착되고 모터 프레임(47)보다 큰 직경의 대략 원통 형상인 팬 커버(48)를 갖고, 서로 대응되는 전동 송풍기(41)와 모터 커버(42)의 축 방향을 맞춰서 이 모터 커버(42) 내에 유지된다. 이 전동 송풍기(41)의 모터 프레임(47)의 주위에는 코일 스프링 군(44)을 이루고 각각이 코일 스프링 수용부로서의 스프링 수용링인 내주측 스프링 지지체(51) 및 외주측 스프링 지지체(52)가 구비되고, 스프링 지지체(51, 52) 사이에 코일 스프링(43)이 유지되고, 전동 송풍기(41)가 모터 커버(42)에 대하여 탄성 지지된다.
모터 프레임(47)에는 구동원인 전동부(actuator)로서의 모터(55)가 수용된다. 이 모터(55)의 회전축(56)은 팬 커버(48)에 의해 덮이고 로터 블레이드인 원심 팬(57)과 접속되어, 이 원심 팬(57)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모터 프레임(47)의 후방측의 원주면에는 복수의 사각 형상의 배기구(61)가 원주 방향으로 서로 대략 등간격으로 이격되어서 보링가공되어 있고, 배기구(61) 사이에 보링가공된 (도시하지 않은) 설치 구멍에는 모터(55)의 정류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시하지 않은) 브러시 기구부가 각각 부착된다.
또한, 팬 커버(48)의 중심부에는 흡기구(66)가 보링가공된다.
전동 송풍기(41)는 모터(55)에 의해 회전되는 원심 팬(57)에 의해, 흡기구(66)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이 흡입한 공기를 배기구(61)를 통해서 모터 프레임(47)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배기함으로써, 덕트, 집진실, 호스체(22)(도 5), 연장관(28)(도 5) 및 바닥 브러시(29)(도 5) 등에 부압을 작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내주측 스프링 지지체(51)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 또는 금속으로 제조되어 모터 프레임(47)의 외주에 따른 형상, 예를 들어 원환상으로 형성되고, 모터 프레임(47)의 외주에 밀착해서 전동 송풍기(41)를 유지시킨다. 또한, 이 내주측 스프링 지지체(51)는 전동 송풍기(41)의 축 방향에 상응하는 지지체(51)의 축 방향으로 모터 프레임(47)에 설치되고, 전후 방향(축 방향)으로의 지지체(51)의 중심 영역이 전동 송풍기(41)의 무게 중심(G)에 대응하는 위치인, 모터 프레임(47)의 전단부 근방이고 또한 팬 커버(48)의 후방에 위치한다. 또한, 전동 송풍기(41)의 무게 중심은 전동 송풍기(41)와 모터 커버(42) 사이의 중량차를 고려하면 전동 송풍부(11)의 무게 중심과 대략 일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하, 무게 중심(G)은 전동 송풍기(41) 및 전동 송풍부(11) 양쪽을 나타낸다. 또한, 무게 중심(G)에 대응하는 위치는 이하, 무게 중심(G)을 포함해서 전동 송풍부(11)(전동 송풍기(41))의 축 방향으로 직교하는 평면과 교차하는 위치, 또는 그 교차 위치에 대하여 전동 송풍부(11)(전동 송풍기(41))의 축 방향 전후 근방의 위치를 나타낸다. 또한, 내주측 스프링 지지체(51)의 외주측에는 각 코일 스프링(43)의 일단부를 유지하는 내주 코일 스프링 유지부로서의 내주 스프링 유지부(71)가 복수, 예를 들어 3개 형성된다.
내주 스프링 유지부(71)는 각각 코일 스프링(43)의 일단부를 내주측에 끼워 부착하는 원통 형상인 내주 유지 원통부(71a)와, 이 내주 유지 원통부(71a)에서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코일 스프링(43)에 삽입되어서 이 코일 스프링(43)을 유지하는 내주 돌출 유지부(7lb)를 구비하고, 내주측 스프링 지지체(51)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대략 동일한 각도,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서로 120°만큼 이격된다. 내주 스프링 유지부(71) 중 하나는 전동 송풍기(41)의 하부에 위치하고, 나머지 유지부(71)는 송풍기 상부 양측에 위치한다.
또한, 내주 스프링 유지부(71)가 원주 방향으로 서로 120°만큼 어긋난 상태는 서로 대략 120°만큼 어긋난 상태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이하, 각 부분의 각도를 규정하는 수치는 그 수치뿐만아니라, 그 수치의 전후의 수치를 포함한다.
한편, 외주측 스프링 지지체(52)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 또는 금속으로 제조되어 모터 커버(42)의 내주와 일치하는 형상, 예를 들어 내주측 스프링 지지체(51)보다도 큰 직경의 원환상으로 형성되고, 내주측 스프링 지지체(51)와 동심 형상으로 배치되어서 모터 커버(42)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이 외주측 스프링 지지체(52)도 전후 방향(축 방향)으로의 지지체(52)의 중심 영역이 무게 중심(G)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된다. 즉, 외주측 스프링 지지체(52)는 무게 중심(G)을 포함해 전동 송풍부(11)(전동 송풍기(41))의 축 방향으로 직교하는 평면과 지지체(52)의 일부가 교차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외주측 스프링 지지체(52)의 내주측에는 내주측 스프링 지지체(51)의 내주 스프링 유지부(71)에 따라서 각 코일 스프링(43)의 타단부를 유지하는 외주 코일 스프링 유지부로서의 외주 스프링 유지부(73)가 형성된다.
외주 스프링 유지부(73)는 코일 스프링(43)의 일단부를 내주측에 끼워 부착하는 원통 형상인 외주 유지 원통부(73a)와, 이 외주 유지 원통부(73a)에서 직경 방향으로 돌출해 코일 스프링(43)에 삽입되어서 이 코일 스프링(43)을 유지하는 외주 돌출 유지부(73b)를 포함한다. 외주 스프링 유지부(73) 중 하나는 전동 송풍기(41)의 하부에 위치하고, 나머지 유지부(73)는 송풍기 상부 양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코일 스프링(43)은 스프링 지지체(51, 52) 사이에서 전동 송풍기(41)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구비되고, 서로 대략 등간격(거의 동일한 각도)으로 이격된다. 즉, 각 코일 스프링(43)은 전동 송풍기(41)측인 일단부가, 무게 중심(G) 또는 중심축을 향해서 내주측 스프링 지지체(51)의 각 내주 스프링 유지부(71)에 의해 유지되고, 타단부가 외주측 스프링 지지체(52)의 각 외주 스프링 유지부(73)에 의해 유지된다. 이로 인해, 코일 스프링 군(44)은 전동 송풍부(11)(전동 송풍기(41))의 무게 중심(G)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즉 코일 스프링 군(44)의 외곽의 내측에 무게 중심(G)이 위치하도록 제공된다. 코일 스프링(43)은 전동 송풍부(11)를 축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원주 방향으로 서로 120°만큼 어긋난, 즉, 전동 송풍기(41)에 대하여 Y자 형상으로 배치된다. 즉, 코일 스프링 군(44)은 무게 중심(G)을 포함해 전동 송풍부(11)(전동 송풍기(41))의 축 방향으로 직교하는 평면과 적어도 일부가 교차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한편, 모터 커버(42)는 대략 원통 형상인 제1 모터 커버로서의 전방부 모터 커버(75)와, 이 전방부 모터 커버(75)의 후방부에 접속되는 대략 원통 형상인 제2 모터 커버로서의 후방부 모터 커버(76)를 갖고 있다. 즉, 모터 커버(42)는 전동 송풍부(11)의 축 방향(스러스트 방향)으로 조립 및 분해 가능하다. 모터 커버(42)는 내부에 전동 송풍기(41)를 동축형으로 수용한다.
전방부 모터 커버(75)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 등에 의해 형성되고, 전방측의 덮개부가 되는 대략 원판 형상의 전방판(81)과, 이 전방판(81)의 외주연부에서 후방으로 연장하는 전방부 주위벽(82)을 구비한다. 전방판(81)의 대략 중앙부에, 본체 케이스(5)의 후방부 연통 구멍(37)과 전동 송풍기(41)의 흡기구(66)를 연통하는 연통 개구인 둥근 형상의 전방부 연통 개구(83)가 형성된다. 따라서, 전방부 모터 커버(75)는 후단부가 개구된다.
본체 케이스(5)의 집진실에 연통하는 후방부 연통 구멍(37)과 전동 송풍부(11)의 부압측인 전동 송풍기(41)의 흡기구(66)를 기밀하게 접속하는 시일 링 부재로서의 패킹인 대략 원통 형상인 시일 링(88)이 전방부 연통 개구(83)의 옆 위치 및 후방부 격벽(31)과 전방판(81) 사이에 제공된다. 이 시일 링(88)은 예를 들어 고무 또는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을 갖는 부재에 의해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전동 송풍부(11)의 축 방향으로의 진동에 의해 축 방향으로 탄성 변형함으로써, 이 진동이 격벽부(8)를 통해서 본체 케이스(5)에 전달되지 않도록 이 진동을 감쇠시키는 진동 감쇠부로 기능한다.
또한, 시일 링(88)은 전동 송풍부(11)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약간 전방으로 압박되게, 즉 시일 링(88)의 전방부가 격벽부(8)의 후방부 격벽(31)의 후방면과 약간 압접되게 부착된다.
한편, 후방부 모터 커버(76)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 등에 의해 형성되고, 후방측의 덮개부가 되는 대략 원판 형상의 후판(91)과, 이 후판(91)의 외주연부에서 전방으로 연장하는 후방부 주위벽(92)과, 이 후방부 주위벽(92)의 외주연부에서 직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플랜지부(93)를 구비한다. 이 플랜지부(93)는 전방부 모터 커버(75)의 전방부 주위벽(82)의 후단부에 예를 들어 나사로 고정시킴으로써 접속된다.
후판(91)의 후방부에는 완충 부재인 쿠션 부재로서의 모터 쿠션(95)이 설치된다. 이 모터 쿠션(95)은 하부 케이스(2)의 후방부에 대하여 소정의 간극으로 대향하고, 진동에 의해 예를 들어 전동 송풍부(11)가 후방으로 이동했을 경우에 하부 케이스(2)에 접촉해서 가요 변형한다. 따라서, 이 접촉시의 충격을 흡수해서 하부 케이스(2)측, 또는 전동 송풍부(11)측에 전달하기 어렵게 한다.
전동 송풍기(41)를 통과한 후의 공기를 모터 커버(42)의 외부로 배기하는 후방부 연통 개구(97)가 후방부 주위벽(92)의 하부에서 개구된다.
플랜지부(93)에는 복수 개소에 나사 고정용의 (도시하지 않은) 나사 구멍이 형성된다. 나사 구멍에 (도시하지 않은) 나사를 나사 고정함으로써, 전방부 모터 커버(75)와 후방부 모터 커버(76)가 서로 고정된다.
각 판 스프링(45)은 원호 형상으로 만곡된 만곡부(45a)와, 이 만곡부(45a)의 양단부에 연속하는 연속부(45b, 45b)와, 연속부(45b, 45b)에 연속하는 지지부(45c, 45c)를 구비하고, 소정의 금속 부재를 적절히 만곡하여 형성된다.
만곡부(45a)는 전동 송풍부(11)의 외주인 모터 커버(42)(전방부 모터 커버(75), 후방부 모터 커버(76))의 외주의 일부에 따르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각 연속부(45b)는 만곡부(45a)의 단부로부터 이 만곡부(45a)의 돌출측과 동측에 거의 직선 형상으로 돌출한다.
각 지지부(45c)는 각 연속부(45b)에 대하여 만곡부(45a) 측에서 굴곡되고, 각 연속부(45b)에 대하여 거의 직교 방향으로 연장한다.
각 만곡부(45a)는 모터 커버(42)(전방부 모터 커버(75), 후방부 모터 커버(76))의 외주에 돌출한 송풍부측 리브(98, 98) 사이에 유지되고, 각 연속부(45b) 및 각 지지부(45c)는 본체 케이스(5)의 송풍실(6)의 내벽에 돌출한 본체측 리브(99, 99) 사이에 유지되고, 각 판 스프링(45)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판 스프링 군(46)의 한 쪽이 무게 중심(G)보다도 전방측인 원심 팬(57)측, 즉 모터 커버(42)의 전방부 모터 커버(75)의 외주에 위치되고(이하, 판 스프링 군(46a)이라 함), 판 스프링 군(46)의 다른 쪽이 무게 중심(G)보다도 후방측인 모터(55)측, 즉 모터 커버(42)의 후방부 모터 커버(76)의 외주에 위치한다 (이하, 판 스프링 군(46b)이라 함). 즉, 판 스프링 군(46a, 46b)은 전동 송풍부(11)(전동 송풍기(41))의 축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무게 중심(G)이 위치된 사이의 위치, 즉 무게 중심(G)에 대하여 축 방향의 (한 쪽인) 전방측과 축 방향의 (다른 쪽인) 후방측에서, 코일 스프링 군(44)이 위치된 위치에 배치된다. 즉, 판 스프링 군(46a, 46b)은 전후 방향의 중심 또는 그 근방이 무게 중심(G)을 포함해 전동 송풍부(11)(전동 송풍기(41))의 축 방향으로 직교하는 평면과 교차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판 스프링 군(46a, 46b)은 무게 중심(G)으로부터 대략 등거리에 배치된다. 즉, 판 스프링 군(46a, 46b)은 코일 스프링 군(44)으로부터 대략 등거리에 배치된다.
또한, 판 스프링 군(46a, 46b)은 전동 송풍부(11)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소정 각도, 예를 들어 90°어긋난 각도로 배치된다. 즉, 판 스프링 군(46a)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판 스프링(45, 45)이 서로 상하로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판 스프링 군(46b)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판 스프링(45, 45)이 축 방향으로 좌우로 대향되도록 배치된다. 이로 인해, 판 스프링 군(46a, 46b)은 판 스프링(45)이 전동 송풍부(11)의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이 되게 배치된다.
또한, 판 스프링 군(46a, 46b)의 판 스프링(45)은 모두 동일한 재료로 형성하여도 되고, 임의의 다른 재료로 형성하여도 된다.
다음에,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전기 진공 청소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미리 코일 스프링(43)에 의해 스프링 지지체(51, 52)를 서로 연결한 코일 스프링 군(44)을 전동 송풍기(41)의 모터 프레임(47)의 외주에 부착한 상태에서, 이 전동 송풍기(41)를 모터 커버(75, 76)로 전후로부터 덮어서 모터 커버(42)에 조립함으로써, 전동 송풍부(11)를 형성한다.
계속해서, 전동 송풍부(11)의 외부의 송풍부측 리브(98, 98) 사이에 만곡부(45a)를 유지하고, 각 판 스프링(45)을 이 전동 송풍부(11)의 외주에 설치하고, 전동 송풍부(11)와 판 스프링 군(46a, 46b)을 각 판 스프링(45)의 연속부(45b) 및 지지부(45c)가 본체측 리브(99, 99) 사이에 유지되도록 송풍실(6) 내에 끼워 부착하고, 전동 송풍부(11)측과 본체 케이스(5)측의 배선을 서로 접속한다.
이 상태에서, 각 부품을 조립해서 덮개(4)와 연결한 상부 케이스(3)로 상측으로부터 하부 케이스(2)를 덮고, 상부 케이스(3)와 하부 케이스(2)를 나사 등에 의해 서로 조립한다. 따라서, 진공 청소기 본체(1)가 완성된다.
다음에,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청소 시에는 우선, 본체 흡입구(21)에 호스체(22), 연장관(28) 및 바닥 브러시(29)를 먼저 순서대로 연통 접속하고, 본체 케이스(5)의 덮개(4)를 열어서 집진부를 집진실에 장착하고, 덮개(4)를 폐쇄한다.
이 청소를 개시하기 전의 상태에서는 전동 송풍부(11)는 판 스프링 군(46)의 판 스프링(45)의 압박력의 균형에 의해 소정의 스타트 위치에 위치된다.
작업자가 본체 케이스(5)로부터 전원 코드(13)를 인출해서 벽면 등의 콘센트에 코드를 접속하고, 파지부(25)를 파지해서 소정의 설정 버튼(26)을 조작하면, 전동 송풍부(11)의 전동 송풍기(41)가 구동된다.
이 전동 송풍기(41)의 구동과 이 구동에 의해 발생한 부압 등에 의해, 전동 송풍부(11)에서는 전동 송풍기(41)의 회전 방향을 교차하는 직경 방향(중심축 방향)으로의 진동이 발생한다.
이 때, 전동 송풍기(41)의 무게 중심(G)의 방향(무게 중심(G)측)으로 압박되어 있는 각 코일 스프링(43)이 적절히 신축해서 전동 송풍기(41)를 중심맞춤으로써, 전동 송풍기(41)의 구동에 수반하는 직경 방향(중심축 방향)의 진동이 코일 스프링 군(44)에 의해 흡수된다.
또한, 전동 송풍기(41)의 진동에 의해, 전동 송풍부(11)는 축 방향(전후 방향) 및 직경 방향(상/하 좌/우 방향)으로 진동한다.
특히, 전동 송풍기(41)의 원심 팬(57)측은 모터(55)측보다도 크게 진동한다.
이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판 스프링(45)의 만곡부(45a)가 전동 송풍부(11)에 의해 직경 방향으로 가압됨으로써, 만곡부(45a)의 양단부가 서로 접근하도록 변형된다. 이 변형에 따라 연속부(45b, 45b)가 경사지게 변형함으로써, 각 판 스프링(45)의 변형에 의해 전동 송풍부(11)의 진동이 흡수된다. 또한, 이 도 4에서, 만곡부(45a) 및 연속부(45b, 45b)의 변형은 편의적으로 과장해서 도시된다.
이 결과, 각 판 스프링 군(46a, 46b)의 각 판 스프링(45)의 압박에 의해 전동 송풍부(11)가 중심맞춰지도록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압박되고, 각 판 스프링 군(46a, 46b)에 의해 전동 송풍부(11)의 전방측(원심 팬(57)측)과 후방측(모터(55)측)이 유지되고, 전동 송풍부(11)의 구동에 수반하는 축 방향(전후 방향) 및 상하 좌우 방향의 진동이 흡수된다.
또한, 전동 송풍부(11)의 전후 방향으로의 진동은 각 판 스프링(45)의 폭 방향의 강성에 의해 규제되어, 거의 발생되지 않는다.
전동 송풍기(41)의 구동에 의한 부압에 의해, 바닥 브러시(29), 연장관(28), 호스체(22), 본체 흡입구(21) 및 집진부를 통해 연장되는 풍로가 형성되고, 공기와 함께 먼지가 흡입된다.
흡입된 공기는 흡기풍이 되고, 이 흡기풍으로 포함되는 먼지는 흡기풍이 집진부를 통과할 때에 집진부에 포집된다.
또한, 집진부를 통과한 흡기풍은 필터, 전방부 연통 구멍, 덕트 및 후방부 연통 구멍(37)을 통과하고, 전동 송풍기(41)의 흡기구(66)를 통해서 전동 송풍기(41)의 팬 커버(48) 내에 유입하고, 원심 팬(57)의 중심부로부터 흡입되어서 원주 방향으로 배기되어, 모터 프레임(47) 내를 통과하고, 각 배기구(61)로부터 배기풍으로서 전동 송풍기(41)의 외부로 배기된다.
배기풍은 모터 커버(42)의 후방부 연통 개구(97)를 통해서 하단으로 배기되고, 전동 송풍부(11)의 주위로부터 일부가 상방으로 흘러, 본체 케이스(5)의 배기 구멍(12)으로부터 본체 케이스(5)의 외부로 배기되고, 그후 배기풍의 나머지가 격벽부(8)의 연통구로부터 코드 릴실에 유입해서 코드 릴(전원 코드(13))을 냉각하면서, 코드 도출구를 통해서 본체 케이스(5)의 외부로 배기된다.
청소가 종료되면, 작업자는 설정 버튼(26)을 조작해서 전동 송풍기(41)를 정지시켜, 전기 진공 청소기의 운전을 정지한다.
이 때, 전동 송풍부(11)는 판 스프링 군(46a, 46b)의 센터링 작용에 의해 소정의 스타트 위치로 복귀한다.
집진부에 소정량 이상의 먼지가 축적되었을 경우에는 덮개(4)를 열어서 집진부를 집진실로부터 제거한다. 집진부가 종이 팩의 경우에는 이 종이 팩을 먼지와 함께 폐기하고, 새로운 종이 팩을 집진실에 장착한다. 집진부가 집진 컵 등의 경우에는 먼지를 폐기한 후, 컵을 다시 집진실에 설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전동 송풍부(11)를 축 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한 판 스프링 군(46a, 46b)의 각 판 스프링(45, 45)에 의해 본체 케이스(5)에 대하여 지지하고, 판 스프링 군(46a, 46b)의 판 스프링(45)을 전동 송풍부(11)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치함으로써, 각 판 스프링(45)의 변형에 의해 전동 송풍부(11)(전동 송풍기(41))의 구동에 수반하는 축 방향의 다른 위치에서의 진동을 억제하고, 전동 송풍부(11)의 축방향 흔들림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본체 케이스(5)에 대한 진동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전동 송풍부(11)는 전동 송풍기(41)가 모터(55)에 의해 원심 팬(57)을 회전시키기 때문에, 무게 중심(G)과 관련해서 전방측과 후방측에서 요동하고, 즉 축방향 흔들림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전동 송풍부(11)의 무게 중심(G)이 위치된 사이의 위치, 즉 무게 중심(G)보다도 전동 송풍부(11)의 전방측과 후방측에, 판 스프링 군(46a, 46b)을 전동 송풍부(11)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90°어긋나도록 배치해서 판 스프링 군(46a, 46b)에 의해 전동 송풍부(11)를 탄성 지지하면, 전동 송풍부(11)의 요동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고, 축방향 흔들림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판 스프링 군(46a)의 각 판 스프링(45)의 변형에 의해, 전동 송풍기(41)의 구동에 수반하는 전동 송풍부(11)의 상하 방향으로의 진동을 흡수하고 또한, 전동 송풍부(11)의 좌우 방향으로의 진동을 판 스프링 군(46b)의 각 판 스프링(45)의 변형에 흡수하고, 한 쪽의 판 스프링 군에 의해 진동을 흡수하기 어려운 위치를 다른 쪽의 판 스프링 군에 의해 커버할 수 있어서, 전동 송풍기(41)의 구동에 수반하는 진동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코일 스프링 군(44)의 3개의 코일 스프링(43)을 원주 방향으로 서로 120°만큼 어긋나게 해서 배치하기 때문에, 전동 송풍기(41)의 구동에 수반하는 진동을 코일 스프링 군(44)에 의해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어서, 모터 커버(42)에 거의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코일 스프링 군(44)과 판 스프링 군(46)의 상승 효과에 의해, 진동을 더 확실하게 흡수할 수 있다.
게다가, 코일 스프링 군(44)을 무게 중심(G)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전동 송풍기(41)의 구동에 무게 중심(G)보다도 전방측 또는 후방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발생하는 진동을 최소로 할 수 있고, 진동을 모터 커버(42)에 거의 전달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각 진동을 본체 케이스(5)에 전달하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전기 진공 청소기의 운전시의 전동 송풍부(11)의 진동에 기인하는 소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특히 진동이 반향하기 쉬운 마루 바닥 등에서의 청소 시에도, 동작음이 조용해져, 비교적 진동이 큰 전동 송풍기(41)에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진공 청소기의 품질이 안정된다.
또한,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 판 스프링 군(46a, 46b)은 서로의 배치를 역으로 해도 좋다. 즉, 판 스프링 군(46a)의 판 스프링(45, 45)에 의해 전동 송풍부(11)를 축 방향으로 좌우 양측부로부터 협지하고, 판 스프링 군(46b)의 판 스프링(45, 45)에 의해 전동 송풍부(11)를 상하로부터 협지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도,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판 스프링 군(46a, 46b)은 전동 송풍부(11)의 무게 중심(G)이 위치된 사이의 위치에, 전동 송풍부(11)의 주방향으로 서로 90°다른 각도로 배치하면, 전동 송풍부(11)의 상하, 또는 전동 송풍부(11)의 축 방향으로의 좌우 양측부에 관계없이 배치될 수 있다.
다음에, 제2 실시 형태를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2 실시 형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3개의 판 스프링 군(46a, 46b, 46c)을 포함한다.
판 스프링 군(46a)은 전동 송풍부(11)의 무게 중심(G)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즉, 판 스프링 군(46a)은 무게 중심(G)을 포함해 전동 송풍부(11)(전동 송풍기(41))의 축 방향으로 직교하는 평면과 판 스프링 군(46a)의 적어도 일부가 교차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판 스프링 군(46b, 46c)은 판 스프링 군(46a) 사이의 위치에 배치된다. 즉, 판 스프링 군(46b, 46c)은 전동 송풍부(11)의 무게 중심(G)에 대하여 축 방향의 일단부측과 타단부측에 각각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판 스프링 군(46b)은 전동 송풍부(11)의 전방측인 전방부 모터 커버(75)의 외주에 설치된다. 즉, 판 스프링 군(46b)은 전동 송풍기(41)의 원심 팬(57)측에 위치한다.
또한, 판 스프링 군(46c)은 전동 송풍부(11)의 후방측인 후방부 모터 커버(76)의 판 스프링 군(46a)보다도 후방의 외주에 설치된다. 즉, 판 스프링 군(46c)은 전동 송풍기(41)의 모터(55)측에 위치한다.
또한, 판 스프링 군(46a, 46b, 46c)은 전동 송풍부(11)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60°만큼 다른 각도로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판 스프링 군(46a)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스프링(45, 45)이 상하에 위치하고, 판 스프링 군(46b)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스프링(45, 45)이 좌측 하단 및 우측 상단에 위치하고, 판 스프링 군(46c)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스프링(45, 45)이 좌측 상단 및 우측 하단에 위치한다.
따라서, 판 스프링 군(46a, 46b, 46c)의 판 스프링(45, 45)은 전동 송풍부(11)의 원주 방향으로 각각 소정 각도, 예를 들어 60°마다 서로 등간격으로 순차 배치된다. 또한, 판 스프링 군(46a 내지 46c)의 각 판 스프링(45)은 만곡부(45a)가 송풍부측 리브(98, 98) 사이에 유지된다. 또한, 판 스프링 군(46b, 46c)의 각 판 스프링(45)은 연속부(45b)가 송풍실(6)의 측면을 따르도록 만곡부(45a)로부터 굴곡되고, 지지부(45c)가 송풍실(6)의 저면 또는 상면을 따르도록 연속부(45b)로부터 굴곡되어서, 연속부(45b)와 지지부(45c)가 본체측 리브(99, 99) 사이에 유지된다.
예를 들어,전동 송풍부(11)를 본체 케이스(5)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복수의 판 스프링 군(46)을 전동 송풍부(11)의 원주 방향으로 어긋나게 해서 배치하여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가짐으로써,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판 스프링 군(46a, 46b, 46c)을 전동 송풍부(11)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60°만큼 다른 각도로 배치하고, 판 스프링 군(46a)을 전동 송풍부(11)의 무게 중심(G)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하고, 판 스프링 군(46b, 46c)을 판 스프링 군(46a)이 위치된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전동 송풍부(11)의 요동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고, 축방향 흔들림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 전동 송풍부(11)는 전동 송풍기(41)와 모터 커버(42)에 의해 구성되는 것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전동 송풍기(41)만으로 구성해도 좋다. 즉, 전동 송풍기(41) 자체를 각 판 스프링 군(46)에 의해 탄성 지지하는 구성이 각각의 상기 실시 형태에 포함될 수 있다.
전동 송풍부(11)에서, 전동 송풍기(41)는 축방향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는 구성이면, 임의의 구성에 의해 모터 커버(42)에 대하여 지지해도 좋다.
또한, 2개 이상의 판 스프링 군(46)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 이상의 홀수 개의 판 스프링 군(46)을 갖는 경우에는 1개를 무게 중심(G)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하고 나머지를 하나의 판 스프링 군 전후로 균형있게 배치한다. 2개 이상의 짝수 개의 판 스프링 군(46)을 갖는 경우에는 무게 중심(G)이 위치된 사이의 위치에 균형있게 배치하고, 각 판 스프링 군(46)의 판 스프링(45)이 전동 송풍부(11)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거의 등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각 판 스프링(45)은 예를 들어 지지부(45c)에 긴 구멍 등을 형성함으로써, 이 긴 구멍을 통해서 본체 케이스(5), 모터 커버(42) 등에 나사 등으로 설치해도 좋다.
다음에, 제3 실시 형태를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들과 마찬가지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3 실시예에서, 전기 송풍부(11)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커버(42)에 대해 전기 송풍기(41)를 탄성 지지하고 전기 송풍기(41)의 회전 진동을 감쇠하는 복수 예를 들어, 3개의 제1 코일 스프링(101)을 갖는 제1 지지 유닛인 제1 코일 스프링 군(102)을 포함하고, 복수 예를 들어 3개의 제2 코일 스프링(103)을 각각 갖는 제2지지 유닛인 복수 예를 들어 2개의 제2 코일 스프링 군(104)에 의해 본체 케이스(5)에 대해 탄성 지지된다.
제1 코일 스프링 군(102)을 구성하고 각각이 제1 코일 스프링 수용부로서의 제1 스프링 수용링인 내주측 스프링 지지체(111)와 외주측 스프링 지지체(112)는 전기 송풍기(41)의 모터 프레임(47) 주위에 구비되고, 제1 코일 스프링(101)은 지지체(111, 112) 사이에 유지되고, 전기 송풍기(41)는 모터 커버(42)에 대해 탄성 지지된다.
내주측 스프링 지지체(111)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 또는 금속으로 형성되어, 모터 프레임(47)의 외주와 일치하는 형상, 예를 들어 원환상을 갖고, 모터 프레임(47)의 외주와 긴밀 접촉되어 전기 송풍기(41)를 보유한다. 또한, 내주측 스프링 지지체(111)는 전기 송풍기(41)에 대응한 지지체(111)의 축 방향으로 모터 프레임(47)에 설치되고, 전후 방향(축 방향)으로 지지체(111)의 중심 구역이 무게 중심(G)에 대응한 위치 및 모터 프레임(47)의 전방측 및 팬 커버(48) 후방에 위치된다. 또한, 각 제1 코일 스프링(101)의 일단부를 각각 유지하는 제1 내주 코일 스프링 유지부로서의 복수의 예를 들어 3개의 제1 내주 스프링 유지부(121)는 내주측 스프링 지지체(111)의 외주측 상에 형성된다.
제1 내주 스프링 유지부(121)는 각각 내주측 상에 제1 코일 스프링(101)의 일단부에 끼워지는 원통 형상인 제1 내주 유지 원통부(121a)와, 제1 내주 유지 원통부(121a)에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고 제1 코일 스프링(101)을 유지하도록 제1 코일 스프링(101) 안으로 삽입되는 제1 내주 돌출 유지부(121b)를 포함하고, 본 실시 형태에서 내주측 스프링 지지체(111)의 원주 방향으로 대략 120°만큼 등각도로 서로 이격된다. 제1 내주 스프링 유지부(121)의 한 쪽은 전동 송풍부(41) 하부에 위치되고 다른 제1 내주 스프링 유지부(121)는 송풍기 상부 양측에 위치된다.
또한, 제1 내주 스프링 유지부(121)가 원주 방향으로 120°만큼 서로 어긋난 상태는 대략 120°만큼 서로 어긋난 상태를 포함한다.
한편, 외주측 스프링 지지체(112)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 또는 금속으로 형성되어 모터 커버(42)의 내주에 따른 형상, 예를 들어 내주측 스프링 지지체(111)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환상을 갖고, 내주측 스프링 지지체(111)와 동축으로 배치되어 모터 커버(42)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외주측 스프링 지지체(112)도 전후 방향(축 방향)으로 지지체(112)의 중심 구역이 무게 중심(G)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된다. 또한, 각 제1 코일 스프링(101)의 타단부를 유지하는 제1 외주 코일 스프링 유지부로서의 제1 외주 스프링 유지부(123)는 외주측 스프링 지지체(112)의 내주측 상에 내주측 스프링 지지체(111)의 제1 내주 스프링 유지부(121)에 따라 형성된다.
제1 외주 스프링 유지부(123)는 내주측 상에 제1 코일 스프링(101)의 일단부를 끼우는 원통 형상인 제1 외주 보유 원통부(123a)와, 제1 외주 보유 원통부(123a)에 직경 방향으로 돌출하고 제1 코일 스프링(101)을 유지하기 위해 제1 코일 스프링(101)에 삽입되는 제1 외주 돌출 유지부(123b)를 포함한다. 제1 외주 보유 스프링 유지부(123)의 한 쪽은 전동 송풍기(41) 하부에 위치되고 다른 외주 보유 스프링 유지부(123)는 송풍기 상부 양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제1 코일 스프링(101)은 전동 송풍기(41)에 대해 직경 방향으로 스프링 지지체(111, 112) 사이 및 대략 등간격(대략 등각도)으로 서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즉, 각 제1 코일 스프링(101)의 전동 송풍기(41)측인 일단부는 무게 중심(G) 또는 중심축을 향해 내주측 스프링 지지체(111)의 각 제1 내주 스프링 유지부(121)에 의해 유지되고, 타단부는 외주측 스프링 지지체(112)의 각 제1 외주 스프링 유지부(123)에 의해 유지된다. 따라서, 제1 코일 스프링 군(102)은 전동 송풍부(11)(전동 송풍기(41))의 무게 중심(G)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고, 즉, 무게 중심(G)이 제1 코일 스프링 군(102)의 외피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된다. 전동 송풍부(11)의 축 방향으로 보았을 때 제1 코일 스프링(101)은 원주 방향으로 서로 120°만큼 어긋나고, 즉, 전동 송풍기(41)에 대해 Y자 형상으로 배치된다.
모터 커버(42) 주위에, 각 제2 코일 스프링(103)의 일단부를 각각 유지하는 제2 내주 코일 스프링 유지부로서의 복수의 제2 내주 스프링 유지부(131)가 형성되고, 각 제2 코일 스프링 군(104)을 구성하고 제2 코일 스프링 수용부로서의 제2 코일 스프링 수용링인 본체 케이스측 스프링 지지체(132)가 구비된다. 제2 코일 스프링(103)은 제2 내주 스프링 유지부(131)와 본체 케이스측 스프링 지지체(132) 사이에 유지되고, 전동 송풍부(11)는 본체 케이스(5)에 대해 탄성 지지된다.
3개의 제2 내주 스프링 유지부(131)는 예를 들어 각각의 전후방 모터 커버(75, 76) 상에 형성된다. 제2 내주 스프링 유지부(131) 각각은 내주측 상에 제2 코일 스프링(103)의 일단부에 끼우기 위한 원통 형상인 제2 내주 유지 원통부(131a)와, 제2 내주 유지 원통부(131a)에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고 제2 코일 스프링(103)을 유지하도록 제2 코일 스프링(103)에 삽입되는 제2 내주 돌출 유지부(131b)를 포함하고, 본 실시 형태에서 모터 커버(42)의 원주 방향으로 120°의 대략 등각도로 서로 이격된다. 또한, 제2 내주 스프링 유지부(131)의 한 쪽은 전동 송풍부(11)의 상부에 위치되고, 다른 제2 내주 스프링 유지부(131)는 전동 송풍부(11)의 하부 양측에 위치된다.
한편, 본체 케이스측 스프링 지지체(132)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 또는 금속으로 형성되어 지지체(132)의 내측은 모터 커버(42)의 외주와 일치하는 형상, 예를 들어 모터 커버(42)보다 큰 직경의 원환상을 갖는다. 지지체(132)의 외측은 송풍실(6)의 내면을 따른 형상, 예를 들어 하부 케이스(2)의 내벽과 상부 케이스(3)의 상부 케이스 하부판(3a)을 따르는 대략 사각형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본체 케이스(5)측에 위치된다. 또한, 각 제2 코일 스프링(103)의 타단부를 각각 유지하는 제2 외주 코일 스프링 유지부로서의 제2 외주 스프링 유지부(137)는 본체 케이스측 스프링 지지체(132)의 내주측 상에 제2 내주 스프링 유지부(131)에 따라 각각 형성된다.
제2 외주 스프링 유지부(137)는 내주측 상에 제2 코일 스프링(103)의 일단부에 끼우기 위한 원통 형상인 제2 외주 유지 원통부(137a)와, 제2 외주 유지 원통부(137a)에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고 제2 코일 스프링(103)을 유지하도록 제2 코일 스프링(103)에 삽입되는 제2 외주 돌출 유지부(137b)를 포함한다. 또한, 제2 외주 스프링 유지부(137)의 한 쪽은 전동 송풍부(11) 상부에 위치되고, 다른 제2 외주 스프링 유지부(137)는 전동 송풍부(11) 하부 양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제2 코일 스프링(103)은 모터 커버(42)와 전동 송풍부(11)에 관련된 본체 케이스측 스프링 지지체(132) 사이에 직경 방향으로 구비되고, 대략 등간격(대략 등각도)으로 서로 이격된다. 즉, 각 제2 코일 스프링(103)의 전동 송풍부(11)측인 일단부는 전동 송풍부(11)의 무게 중심(G) 또는 중심축을 향해 모터 커버(42)의 각 제2 내주 스프링 유지부(131)에 의해 유지되고, 타단부는 본체 케이스측 스프링 지지체(132)의 각 제2 외주 스프링 유지부(137)에 의해 유지된다. 따라서, 전동 송풍부(11)의 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 각 제2 코일 스프링 군(46)의 제2 코일 스프링(103)은 원주 방향으로 120°만큼 서로 어긋나고, 즉, 전동 송풍기(41)에 대해 역 Y자 형상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제1 코일 스프링(101) 및 제2 코일 스프링(103)은 전동 송풍부(11)의 원주 방향으로 60°만큼 대략 등간격으로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된다.
또한, 본체 케이스측 스프링 지지체(132)가 각각의 스프링 지지체(111, 112)와 대략 동일폭을 갖지만, 이러한 지지체는 다른 재료 또는 다른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코일 스프링 군(104)의 한 쪽은 무게 중심(G) 전방의 원심 팬(57)측, 즉, 모터 커버(42)의 전방 모터 커버(75)의 외주측 상에 위치되고(이하, 제2 코일 스프링 군(104a)이라 함), 다른 스프링 군(104)은 무게 중심(G) 후방의 모터(55)측, 즉, 모터 커버(42)의 후방 모터 커버(76)의 외주 상에 위치된다(이하, 제2 코일 스프링 군(104b)이라 함). 즉, 제2 코일 스프링 군(104a, 104b)은 전동 송풍부(11)(전동 송풍기(41))의 무게 중심(G)이 위치된 사이의 위치, 즉, 제1 코일 스프링 군(102)이 위치된 사이의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제2 코일 스프링 군(104a, 104b)은 무게 중심(G)으로부터 대략 동일 거리에 배치된다. 즉, 제2 코일 스프링 군(104a, 104b)은 제1 코일 스프링 군(102)으로부터 대략 동일 거리에 배치된다.
또한, 제2 코일 스프링 군(104a)의 제2 코일 스프링(103)의 스프링 상수는 제2 코일 스프링 군(104b)의 제2 코일 스프링(103)보다 더 작도록 설정된다. 즉, 제2 코일 스프링 군(104a)의 제2 코일 스프링(103)은 제2 코일 스프링 군(104b)의 제2 코일 스프링(103)보다 더 작은 탄성을 갖는다(작은 힘에 의해 쉽게 신축한다).
또한, 제1 코일 스프링(101)과 제2 코일 스프링(103)의 진동 횟수는 서로 다르다. 구체적으로, 제1 코일 스프링(101)과 제2 코일 스프링(103)의 재료, 직경, 와이어 직경 등은 서로 다르다.
다음에,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진동 진공 청소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전동 송풍기(41)는 전후방으로부터 모터 커버(75, 76)로 덮여 스프링 지지체(111, 112)가 제1 코일 스프링(101)에 의해 서로 접속되는 제1 코일 스프링 군(102)으로 모터 커버(42)에 합체되고, 전동 송풍기(41)의 모터 프레임(47)의 외주에 미리 부착됨으로써 전동 송풍부(11)로 형성된다.
다음에, 모터 커버(42)와 본체 케이스측 스프링 지지체(132)는 제2 코일 스프링(103)에 의해 서로 미리 접속되고, 이들은 송풍실(6)에 끼워지고, 전동 송풍부(11)측의 배선과 본체 케이스(5)측이 서로 접속된다.
이 상태에서, 각 부분이 합체되고, 즉, 하부 케이스(2)는 상부로부터 덮개(4)에 접속된 상부 케이스(3)로 덮이고, 상부 케이스(3)와 하부 케이스(2)는 나사 등으로 함께 조립된다. 따라서, 진공 청소기 본체(1)가 완성된다.
다음에, 제3 실시 형태의 작동을 설명한다.
청소 전에, 전동 송풍부(11)는 제2 코일 스프링 군(104)의 제2 코일 스프링(103)의 압박력의 균형에 의해 축 방향(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스타트 위치에 위치된다.
작업자가 본체 케이스(5)로부터 전원 코드(13)를 인출해서 벽면 등의 콘센트에 코드를 접속하고, 파지부(25)를 파지해서 소정의 설정 버튼(26)을 동작시키는 경우, 전동 송풍부(11)의 전동 송풍기(41)가 구동되고 전동 송풍부(11)는 전동 송풍기(41)의 구동 및 이 구동에 의해 생성된 부압에 의해 축방향으로 전후로 진동한다.
이 때, 전동 송풍부(11)는 제2 코일 스프링 군(104a, 104b)의 각 제2 코일 스프링(103)의 압박에 의해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도2에 도시됨)으로 압박되어 중심맞춰지고, 원심 팬(57)측 상의 제2 코일 스프링 군(104a)과 모터(55)측 상의 제2 코일 스프링 군(104b)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압박되고, 즉, 제2 코일 스프링 군(104a, 104b)의 각 제2 코일 스프링(103)에 의해 중심맞춰진다. 따라서, 전동 송풍부(11)의 구동으로 축 방향(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의 진동이 흡수된다.
또한, 전동 송풍기(41)의 구동에 의해 전동 송풍기(41)의 회전 방향과 교차하는 직경 방향(중심 축 방향)으로 전동 송풍부(11)에 진동이 생성된다.
이 때, 전동 송풍기(41)의 무게 중심(G)을 향해 압박되는 각 제1 코일 스프링(101)이 적절하게 신축되어 전동 송풍기(41)를 중심맞춤으로써, 전동 송풍기(41)의 구동에 수반하는 직경 방향(중심 축 방향)으로의 진동도 제1 코일 스프링 군(102)에 의해 흡수된다.
청소 후에, 작업자는 설정 버튼(26)을 동작시켜 전동 송풍기(41)를 정지시키고, 따라서 전기 진공 청소기의 구동이 정지된다.
이 때, 전동 송풍부(11)는 제2 코일 스프링 군(104a, 104b)의 센터링 작동에 의해 소정의 스타팅 위치로 복귀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제3 실시 형태에서, 전동 송풍기(41)가 모터 커버(42)에 대해 제1 코일 스프링 군(102)의 제1 코일 스프링(101)에 의해 지지되는 전동 송풍부(11)는 제2 코일 스프링 군(104)의 제2 코일 스프링(103)에 의해 본체 케이스(5)에 대해 지지되고, 제1 코일 스프링 군(102)의 제1 코일 스프링(101)과 제2 코일 스프링 군(104)(제2 코일 스프링 군(104a, 104b))의 제2 코일 스프링(103)은 전동 송풍부(11)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제2874401호에 개시된 종래 전기 진공 청소기에서는, 전동 송풍기(41)가 복수의 코일 스프링에 의해 본체 케이스(5)에 직접 접속되기 때문에, 전동 송풍기(41)의 진동이 코일 스프링에 의해 불충분하게 흡수된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전동 송풍기(41)의 구동에 수반하는 상하 및 좌우 방향 및 축방향의 진동이 모터 커버(42)에 대한 제1 코일 스프링(101)의 신축에 의해 흡수될 수 있고, 모터 커버(42)에 남아있는 진동이 제2 코일 스프링(103)의 신축에 의해 흡수될 수 있고, 코일 스프링(101, 103) 중 한쪽이 진동을 거의 흡수하지 않는 위치가 다른 코일 스프링에 의해 커버될 수 있고, 즉, 전동 송풍기(41)의 구동에 수반하는 진동이 코일 스프링 군(102, 104)에 의해 효과적으로 흡수될 수 있고, 전동 송풍부(11)의 축방향 흔들림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있어서, 본체 케이스(5)에 대한 진동 방지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제1 코일 스프링(101)이 스프링 지지체(111, 112) 사이에 유지되고 이들이 제1 코일 스프링 군(102)으로 이용됨으로써, 제1 코일 스프링(101)은 전동 송풍기(41)에 쉽게 설치될 수 있어서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각 제2 코일 스프링(103)의 일단부는 본체 케이스측 스프링 지지체(132)에 의해 유지되고 지지체(132)를 가진 제2 코일 스프링(103)이 제2 코일 스프링 군(104)으로 이용되기 때문에, 제2 코일 스프링(103)은 전동 송풍부(11)의 제2 내주 스프링 유지부(131)에 쉽게 설치될 수 있어서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1 코일 스프링 군(102)의 3개의 제1 코일 스프링(101)과 각 제2 코일 스프링 군(104)의 3개의 제2 코일 스프링(103)은 원주 방향으로 60°만큼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제1 코일 스프링(101) 및 제2 코일 스프링(103)은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고 전동 송풍기(41)의 구동에 수반하는 진동이 코일 스프링 군(102, 104)에 의해 더 효율적으로 흡수될 수 있다.
제1 코일 스프링 군(102)의 제1 코일 스프링(101)이 전동 송풍기(41)의 하부와 상부 양측에 위치되고 제2 코일 스프링 군(104)의 제2 코일 스프링(103)이 전동 송풍부(11)의 상부 및 하부 양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전동 송풍부(11)는 제2 코일 스프링 군(104)에 현수되어 유지될 수 있고, 전동 송풍기(41)의 구동에 수반하는 진동은 예를 들어 제2 코일 스프링(103)이 전동 송풍부(11)의 하부 및 상부 양측에 배치되는 경우와 비교해서 본체 케이스(5)에 거의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코일 스프링 군(102)이 무게 중심(G)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전동 송풍기(41)의 구동에 의한 무게 중심(G) 전방 또는 후방의 상하 방향으로 생성되는 진동은 최소화되고 모터 커버(42)에 거의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1 코일 스프링 군(102)이 위치되는 사이의 위치에 제2 코일 스프링 군(104a, 104b)이 배치되기 때문에, 전동 송풍부(11)의 무게 중심(G) 전방 및 후방의 진동이 흡수될 수 있다.
전동 송풍부(11)의 원심 팬(57)측(전방측)은 전동 송풍기(41)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원심 팬(57)에 의해 중심축에 관련해 모터(55)측(후방측)보다 더 크게 요동한다. 따라서, 원심 팬(57) 상의 제2 코일 스프링 군(104a)의 각 제2 코일 스프링(103)의 스프링 상수가 모터(55)측 상의 제2 코일 스프링 군(104b)의 각 제2 코일 스프링(103)의 스프링 상수보다 작게 형성되면, 원심 팬(57) 측 상의 요동이 신뢰성있게 흡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각 진동을 본체 케이스(5)에 전달하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전기 진공 청소기의 운전시의 전동 송풍부(11)의 진동에 기인하는 소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특히 진동이 반향하기 쉬운 마루 바닥 등에서의 청소 시에도, 동작음이 조용해져, 비교적 진동이 큰 전동 송풍기(41)에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진공 청소기의 품질이 안정된다.
다음에, 도 12를 참조하여 제4 실시 형태가 설명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들과 마찬가지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4 실시 형태에서, 제1 코일 스프링 군(102)은 4개의 제1 코일 스프링(101)을 갖고 각 제2 코일 스프링 군(104)은 제3 실시 형태의 4개의 제2 코일 스프링(103)을 갖는다.
제1 내주 스프링 유지부(121)는 제1 코일 스프링 군(102)을 구성하는 내주측 스프링 지지체(111)의 네 개소에 배치되어 본 실시 형태에서 내주측 스프링 지지체(111)의 원주 방향으로 대략 90°만큼 등각도로 서로 이격된다. 또한, 제1 내주 스프링 유지부(121)는 전동 송풍기(41)의 상부, 하부 및 좌우에 위치된다.
마찬가지로, 제1 외주 스프링 유지부(123)는 제1 코일 스프링 군(102)을 구성하는 외주측 스프링 지지체(112)의 네 개소에 배치되어 본 실시 형태에서 외주측 스프링 지지체(112)의 원주 방향으로 대략 90°만큼 등각도로 서로 이격된다. 또한, 제1 외주 스프링 유지부(123)는 제1 내주 스프링 유지부(121)에 대응하는 각각의 위치, 즉, 전동 송풍기(41)의 상부, 하부 및 좌우에 위치된다.
따라서, 제1 코일 스프링(101)은 전동 송풍부(11)의 축방향으로 보았을 때 원주 방향으로 90°만큼 서로 어긋나고, 즉, 전동 송풍기(41)에 대해 교차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제2 내주 스프링 유지부(131)는 모터 커버(42)의 각각의 전방 및 후방 모터 커버(75, 76)의 네 개소에 배치된다. 4개의 제2 내주 스프링 유지부(131)는 본 실시 형태에서 모터 커버(42)의 원주 방향으로 대략 90°만큼 등각도로 서로 이격된다. 또한, 4개의 제2 내주 스프링 유지부(131)는 전동 송풍기(41)의 상부 양측과 하부 양측에 위치된다.
마찬가지로, 제2 외주 스프링 유지부(137)는 제2 코일 스프링 군(104)을 구성하는 본체 케이스측 스프링 지지체(132)의 네 개소에 형성되어 본 실시 형태에서 본체 케이스측 스프링 지지체(132)의 원주 방향으로 대략 90°만큼 등각도로 서로 이격된다. 또한, 제2 외주 스프링 유지부(137)는 제2 내주 스프링 유지부(131)에 대응하는 각각의 위치, 즉, 전동 송풍부(11) 상부 양측과 하부 양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제2 코일 스프링(103)은 전동 송풍부(11)의 축방향으로 보았을 때 원주 방향으로 90°만큼 서로 이격되고, 즉, 전동 송풍기(41)에 관해 X자 형상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제1 코일 스프링(101)과 제2 코일 스프링(103)은 원주 방향으로 대략 등간격으로 전동 송풍부(11)의 원주 방향으로 45도만큼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된다.
제1 실시 형태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예를 들어 전동 송풍기(41)를 탄성 지지하는 복수의 제1 코일 스프링(101)을 모터 커버(42)에 대해 배치하고 전동 송풍부(11)를 탄성 지지하는 복수의 제2 코일 스프링(103)을 본체 케이스(5)에 대해 배치하여 이 스프링들이 전동 송풍부(11)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어긋남으로써,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동작 및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코일 스프링(101)과 제2 코일 스프링(103)이 제공되기 때문에, 전동 송풍기(41)의 구동에 수반하는 진동이 신뢰성있게 흡수될 수 있다.
다음에, 도 13을 참조하여 제5 실시 형태가 설명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들과 마찬가지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5 실시 형태에서, 제1 코일 스프링 군(102)은 2개의 제1 코일 스프링(101)을 갖고 각 제2 코일 스프링 군(104)은 제3 실시 형태의 2개의 제2 코일 스프링(103)을 갖는다.
제1 내주 스프링 유지부(121)는 제1 코일 스프링 군(102)을 구성하는 내주측 스프링 지지체(111)의 두 개소에 배치되어 본 실시 형태에서 내주측 스프링 지지체(111)의 원주 방향으로 대략 180°만큼 등각도로 서로 이격된다. 즉, 제1 내주 스프링 유지부(121)는 무게 중심(G)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또한, 제1 내주 스프링 유지부(121)는 전동 송풍기(41)의 좌우에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제1 외주 스프링 유지부(123)는 제1 코일 스프링 군(102)을 구성하는 외주측 스프링 지지체(112)의 두 개소에 배치되어 본 실시 형태에서 외주측 스프링 지지체(112)의 원주 방향으로 대략 180°만큼 등각도로 서로 이격된다. 또한, 제1 외주 스프링 유지부(123)는 제1 내주 스프링 유지부(121)에 대응하는 위치, 즉, 전동 송풍기(41)의 좌우에 각각 위치된다.
따라서, 제1 코일 스프링(101)은 전동 송풍부(11)의 축방향으로 보았을 때 전동 송풍기(41)에 대해 대략 수평이 되도록 배치된다.
한편, 제2 내주 스프링 유지부(131)는 모터 커버(42)의 각각의 전방 및 후방 모터 커버(75, 76)의 두 개소에 배치된다. 2개의 제2 내주 스프링 유지부(131)는 본 실시 형태에서 모터 커버(42)의 원주 방향으로 대략 180°만큼 등각도로 서로 이격된다. 즉, 2개의 제2 내주 스프링 유지부(131)는 무게 중심(G)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전동 송풍기(41)의 상하에 위치된다.
마찬가지로, 제2 외주 스프링 유지부(137)는 제2 코일 스프링 군(104)을 구성하는 본체 케이스측 스프링 지지체(132)의 두 개소에 형성되어 본 실시 형태에서 본체 케이스측 스프링 지지체(132)의 원주 방향으로 대략 180°만큼 등각도로 서로 이격된다. 또한, 제2 외주 스프링 유지부(137)는 제2 내주 스프링 유지부(131)에 대응하는 위치, 즉, 전동 송풍부(11) 상하에 각각 위치된다.
따라서, 제2 코일 스프링(103)은 전동 송풍부(11)의 축방향으로 보았을 때 전동 송풍기(41)에 대략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제1 코일 스프링(101)과 제2 코일 스프링(103)은 원주 방향으로 대략 등간격으로 전동 송풍부(11)의 원주 방향으로 90°만큼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된다.
제1 실시 형태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예를 들어 전동 송풍기(41)를 탄성 지지하는 복수의 제1 코일 스프링(101)을 모터 커버(42)에 대해 배치하고 전동 송풍부(11)를 탄성 지지하는 복수의 제2 코일 스프링(103)을 본체 케이스(5)에 대해 배치하여 이 스프링들이 전동 송풍부(11)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어긋남으로써,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동작 및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제1 코일 스프링(101)과 2개의 제2 코일 스프링(103)이 제공되기 때문에, 코일 스프링 군(102, 104)의 구성이 간소해질 수 있다.
또한, 제3 내지 제5 실시 형태에서, 3개 이상의 제2 코일 스프링 군(104)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코일 스프링 군(104)의 3개 이상의 홀수 개를 제공하는 경우, 이들 중 하나는 무게 중심(G)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되고, 나머지는 무게 중심(G)의 전방 및 후방에 균형적으로 배치된다. 제2 코일 스프링 군(104)의 2개 이상의 짝수 개를 제공하는 경우, 무게 중심(G)이 위치되는 사이의 위치에 균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한 쪽의 제2 코일 스프링 군(104)의 각 제2 코일 스프링(103)과 다른 쪽의 제2 코일 스프링 군(104)의 각 제2 코일 스프링(103)은 원주 방향으로 서로 어긋날 수 있다. 이 경우, 각 제2 코일 스프링(103)이 제1 코일 스프링(101)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서 제1 코일 스프링 군(102)의 제1 코일 스프링(101) 사이에 배치되면, 상기 각각의 실시 형태들과 동일한 동작 및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4를 참조하여 제6 실시 형태가 설명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들과 마찬가지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6 실시 형태에서, 하나의 제2 코일 스프링 군(104)이 제3 내지 제5 실시 형태에 제공된다.
즉, 제2 코일 스프링 군(104)은 전동 송풍부(11)의 무게 중심(G)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제1 코일 스프링 군(102)의 외측에 배치된다. 또한, 제1 코일 스프링(101)의 수와 배치 및 제2 코일 스프링(103)의 수와 배치는 편의상 제3 실시 형태와 유사하게 형성되지만, 제3 내지 제5 실시 형태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실시 형태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예를 들어 전동 송풍기(41)를 탄성 지지하는 복수의 제1 코일 스프링(101)을 모터 커버(42)에 대해 배치하고 전동 송풍부(11)를 탄성 지지하는 복수의 제2 코일 스프링(103)을 본체 케이스(5)에 대해 배치하여 이 스프링들이 전동 송풍부(11)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어긋남으로써, 각각의 상기 실시 형태들과 동일한 동작 및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하나만의 제2 코일 스프링 군(104)이 전동 송풍부(11)의 무게 중심(G)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전동 송풍부(11)는 제2 코일 스프링 군(104)에 이해 효율적으로 탄성 지지될 수 있고 이와 함께 그 구성이 간소해질 수 있다.
또한, 제3 내지 제6 실시 형태에서, 코일 스프링(101, 103)은 전동 송풍부(11)를 유지하도록 원주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기만 하면 임의로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코일 스프링 군(102, 104)은 각각 코일 스프링(101, 103)의 임의 개수(2개 이상)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3 내지 제6 실시 형태의 코일 스프링 군(102, 104)의 각각의 코일 스프링(101, 103)은 각각의 스프링(101, 103)의 스프링 상수와 완전 동일한 스프링 상수를 갖는 복수의 코일 스프링으로 대체될 수 있다.
제1 코일 스프링 군(102)이 스프링 지지체(111, 112)에 의해 하나의 유닛으로 형성되지만, 제1 코일 스프링(101)의 양단부는 예를 들어 모터 프레임(47)의 외주 및 모터 커버(42)의 내주에 직접 로킹될 수 있다.
또한, 스프링 지지체(111, 112)의 각각의 스프링 유지부(121, 123)에서, 제1 코일 스프링(101)의 단부는 예를 들어 홈에 끼워지거나 또는 안내 리브에 부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코일 스프링 군(104)이 본체 케이스측 스프링 지지체(132)에 의해 하나의 유닛으로 형성되지만, 제2 코일 스프링(103)의 양단부는 예를 들어 모터 커버(42)의 외주 및 송풍실(6)의 내면에 직접 로킹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스프링 유지부(131, 137)에서, 제2 코일 스프링(103)의 단부는 홈에 끼워지거나 또는 안내 리브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 진공 청소기의 구성은 상기 실시 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직립 진공 청소기, 핸디형 진공 청소기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 진공 청소기는 예를 들어 가정용 전기 진공 청소기로 사용된다.
5 : 본체 케이스
6 : 수용실로서의 송풍실
11 : 전동 송풍부
41 : 전동 송풍기
42 : 커버체로서의 모터 커버
45 : 탄성 부재로서의 판 스프링
46 : 탄성 부재군으로서의 판 스프링 군
55 : 전동부로서의 모터
57 : 팬으로서의 원심 팬
101 : 제1 코일 스프링
102 : 제1 코일 스프링 군
103 : 제2 코일 스프링
104 : 제2 코일 스프링 군

Claims (8)

  1. 전기 진공 청소기로서,
    전동 송풍부와,
    상기 전동 송풍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실이 제공되는 본체 케이스와,
    상기 전동 송풍부의 외주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전동 송풍부를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본체 케이스에 대하여 지지하는 한 쌍의 탄성 부재를 각각이 포함하는 복수의 탄성 부재군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군은 상기 전동 송풍부의 원주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각도로 서로 어긋나도록 상기 전동 송풍부의 축 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하나의 상기 탄성 부재군의 한 쌍의 탄성 부재와 나머지 상기 탄성 부재군의 한 쌍의 탄성 부재가 상기 전동 송풍부의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서로 이격되는, 전기 진공 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2개의 상기 탄성 부재군이 상기 전동 송풍부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90°만큼 어긋나도록 상기 전동 송풍부의 무게 중심에 대하여 축 방향의 일측과 타측에 배치되는, 전기 진공 청소기.
  3. 제1항에 있어서, 3개의 상기 탄성 부재군이 상기 전동 송풍부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60°만큼 어긋나도록 배치되고, 하나의 상기 탄성 부재군은 상기 전동 송풍부의 무게 중심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나머지 상기 탄성 부재군은, 상기 하나의 탄성 부재군이 그 사이에 위치되는 위치들에 배치되는, 전기 진공 청소기.
  4. 전기 진공 청소기로서,
    전동 송풍기와, 상기 전동 송풍기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커버체를 포함하는 전동 송풍부와,
    상기 전동 송풍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실이 제공되는 본체 케이스와,
    상기 전동 송풍기와 커버체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커버체에 대해 상기 전동 송풍기를 탄성 지지하는 복수의 제1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제1 코일 스프링 군과,
    상기 커버체와 본체 케이스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본체 케이스에 대해 상기 전동 송풍부를 탄성 지지하는 복수의 제2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제2 코일 스프링 군을 포함하고,
    각 코일 스프링 군은 상기 전동 송풍부의 축 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코일 스프링과 상기 제2 코일 스프링은 상기 전동 송풍부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되는, 전기 진공 청소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 스프링 군은 3개의 제1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코일 스프링 군은 3개의 제2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코일 스프링과 상기 제2 코일 스프링은 상기 전동 송풍부의 원주 방향으로 60°만큼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되는, 전기 진공 청소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 스프링 군에서, 하나의 상기 제1 코일 스프링은 상기 전동 송풍기 하부에 위치되고, 나머지 상기 제1 코일 스프링은 상기 전동 송풍기 상부 양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2 코일 스프링 군에서, 하나의 상기 제2 코일 스프링은 전동 송풍부의 상부에 위치되고, 나머지 상기 제2 코일 스프링은 상기 전동 송풍부의 하부 양측에 위치되는, 전기 진공 청소기.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 스프링 군은 상기 전동 송풍부의 무게 중심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되고,
    복수의 제2 코일 스프링 군은, 상기 전동 송풍부의 무게 중심이 그 사이에 위치되는 위치들에 배치되는, 전기 진공 청소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송풍기는 팬과 상기 팬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팬측에 위치된 상기 제2 코일 스프링 군의 상기 제2 코일 스프링의 스프링 상수는 상기 모터측에 위치된 상기 제2 코일 스프링 군의 상기 제2 코일 스프링의 스프링 상수보다 작은, 전기 진공 청소기.

KR1020107017814A 2008-02-12 2009-02-05 전기 진공 청소기 KR1012596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30993 2008-02-12
JP2008030993A JP5197044B2 (ja) 2008-02-12 2008-02-12 電気掃除機
JP2008051013A JP2009207553A (ja) 2008-02-29 2008-02-29 電気掃除機
JPJP-P-2008-051013 2008-02-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4067A KR20100114067A (ko) 2010-10-22
KR101259678B1 true KR101259678B1 (ko) 2013-05-02

Family

ID=40956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7814A KR101259678B1 (ko) 2008-02-12 2009-02-05 전기 진공 청소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252189B1 (ko)
KR (1) KR101259678B1 (ko)
CN (1) CN101945606B (ko)
RU (1) RU2430673C1 (ko)
WO (1) WO200910177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8110B1 (ko) 2016-12-27 2018-01-12 (주)주일환경기술 영업용 진공청소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34303B (en) * 2013-03-13 2017-05-17 Techtronic Floor Care Tech Ltd A source of suction for a vacuum cleaner
CN203815390U (zh) * 2014-02-18 2014-09-10 莱克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于吸尘器的电机降噪结构
CN104840155B (zh) * 2014-02-18 2017-06-13 莱克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于吸尘器的电机降噪结构
CN104083127A (zh) * 2014-06-27 2014-10-08 莱克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电机悬浮固定结构的吸尘器
CN104083124B (zh) * 2014-06-27 2017-06-13 莱克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电机减震结构的吸尘器
JP6517482B2 (ja) 2014-08-29 2019-05-22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自律走行体および電気掃除機
CN104638817B (zh) 2015-02-15 2018-05-29 莱克电气股份有限公司 吸尘器的电机降噪结构及吸尘器
EP3238592B1 (en) 2016-04-27 2021-06-02 Diversey, Inc. Vacuum cleaner
DE102016216292B4 (de) 2016-08-30 2024-05-16 BSH Hausgeräte GmbH Schwingungsentkoppelte und schallreduzierte Aufhängung eines Motors in einem Staubsauger
CN108209702A (zh) * 2018-02-23 2018-06-29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吸尘器
EP3698696A1 (en) * 2019-02-20 2020-08-26 Koninklijke Philips N.V. Fan aggregate suspension
CN112522934A (zh) * 2020-12-07 2021-03-19 庄志成 一种防尘效果好的纺织品智能加工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03929A (ja) * 1983-11-10 1985-06-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掃除機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19249C (de) * 1929-03-06 1931-02-25 Inventia Patent Verwert Ges Staubsauger
JP2850532B2 (ja) 1990-11-26 1999-01-2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掃除機
JP3166233B2 (ja) 1991-09-26 2001-05-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掃除機
JP2874401B2 (ja) * 1991-09-26 1999-03-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掃除機
JP3864660B2 (ja) * 2000-01-28 2007-01-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掃除機
CN1907240B (zh) * 2005-08-03 2011-03-16 比德曼莫泰赫有限公司 骨锚固件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03929A (ja) * 1983-11-10 1985-06-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掃除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8110B1 (ko) 2016-12-27 2018-01-12 (주)주일환경기술 영업용 진공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4067A (ko) 2010-10-22
RU2430673C1 (ru) 2011-10-10
EP2252189A1 (en) 2010-11-24
EP2252189A4 (en) 2012-08-15
WO2009101775A1 (en) 2009-08-20
CN101945606B (zh) 2013-01-16
CN101945606A (zh) 2011-01-12
EP2252189B1 (en) 2016-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9678B1 (ko) 전기 진공 청소기
KR101165897B1 (ko) 전기 청소기
JP5216688B2 (ja) 電気掃除機
JP2012065879A (ja) 電気掃除機
JP2009207555A (ja) 電気掃除機
JP2009183610A (ja) 電気掃除機
KR101252346B1 (ko) 전기 청소기 및 그 제조 방법
JP5197044B2 (ja) 電気掃除機
JP2012245179A (ja) 電気掃除機および吸込具
JP2009207553A (ja) 電気掃除機
KR20200076858A (ko) 모터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
JP4945665B2 (ja) 電気掃除機
JP2010253206A (ja) 電気掃除機用吸込み口体及び電気掃除機
WO2021117509A1 (ja) クリーナ
JP2020092909A (ja) クリーナ
CN211130862U (zh) 用于吸尘器的电机罩和吸尘器
JP2011245141A (ja) 電気掃除機
JP6271202B2 (ja) 電気掃除機
JP2010259488A (ja) 電気掃除機
JP5368239B2 (ja) 電気掃除機
JP2021126159A (ja) ロボット集塵機
JP2013085701A (ja) 電気掃除機
JP2011200480A (ja) 電気掃除機の電動送風機支持構造および電気掃除機
JP2009172215A (ja) 電気掃除機
JP2005110858A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