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8110B1 - 영업용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영업용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8110B1
KR101818110B1 KR1020160179754A KR20160179754A KR101818110B1 KR 101818110 B1 KR101818110 B1 KR 101818110B1 KR 1020160179754 A KR1020160179754 A KR 1020160179754A KR 20160179754 A KR20160179754 A KR 20160179754A KR 101818110 B1 KR101818110 B1 KR 101818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discharge
motor pump
vacuum cleaner
iso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9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점숙
Original Assignee
(주)주일환경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주일환경기술 filed Critical (주)주일환경기술
Priority to KR1020160179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81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8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8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08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interiors of lan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76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adapted for vehicle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세차장이나 주유소에 설치되며 소음 차단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영업용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하부에 내장되는 진공모터펌프와, 상기 진공모터펌프의 흡입구에 일단이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케이스 외부로 길게 돌출되는 흡입관과, 상기 흡입관의 일정 지점에 설치되는 이물질필터와, 상기 이물질 필터에 인접되게 설치되는 이물질 수집함과, 상기 진공모터펌프의 토출구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케이스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 어셈블리 및, 상기 진공모터펌프가 내부에 내장되는 격리케이스;로 이루어지되, 상기 격리케이스에는 저면에는 지지기둥이 돌출되고, 케이스 바닥에는 지지기둥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지지기둥 외주면과 관통공 내주면 사이에는 중공 탄성판이 설치됨으로써, 소음을 철저하게 차단시켜 진공청소기 사용자 및 인근 주민에게 불쾌감과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한편, 나아가 진공청소기의 소음과 진동을 차단시킴으로써 지진과 같은 주위 진동이 진공청소기에 미칠 수 있는 피해도 최소화 될 수 있는 영업용 진공청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영업용 진공청소기{Vacuum cleaner for business use}
본 발명은 영업용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차장이나 주유소에 설치되며 소음 차단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영업용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세차장이나 대형 주유소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차량용 진공청소기에서는 매우 큰 소음이 발생되므로 청소기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며, 인근 주택가 및 사무실 등에 피해를 준다.
이러한 진공청소기 소음은 먼지와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모터에서 발생되는 기계음이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흡입모터의 설치 방향을 바꾸거나 또는 흡입모터가 내장되는 케이스 내부에 방음 부재를 함께 내장하기도 하지만 그 효과는 미미하다.
이와 관련하여 세차장이나 대형 주유소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영업용 진공청소기와 관련된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등록특허공보 제10-1238746호(등록일자: 2013. 02. 25)에 개시된 '차량용 진공청소기'에서 볼 수 있듯이 내부 기밀 유지로 인한 청결 유지와 흡입력 향상에 관한 기술은 개발되고 있지만 앞서 설명된 소음을 방지시키는 문제점을 개선시키는 기술은 아직 개발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영업용 진공청소기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철저하게 차단시켜 진공청소기 사용자 및 인근 주민에게 불쾌감과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한편, 나아가 진공청소기의 소음과 진동을 차단시킴으로써 지진과 같은 주위 진동이 진공청소기에 미칠 수 있는 피해도 최소화 될 수 있는 제진 수단이 구비되는 영업용 진공청소기의 개발이 요청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238746호(등록일자: 2013. 02. 25)
이에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써, 영업용 진공청소기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철저하게 차단시켜 진공청소기 사용자 및 인근 주민에게 불쾌감과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한편, 나아가 진공청소기의 소음과 진동을 차단시킴으로써 지진과 같은 주위 진동이 진공청소기에 미칠 수 있는 피해도 최소화 될 수 있는 제진 수단이 구비되는 영업용 진공청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업용 진공청소기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하부에 내장되는 진공모터펌프와, 상기 진공모터펌프의 흡입구에 일단이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케이스 외부로 길게 돌출되는 흡입관과, 상기 흡입관의 일정 지점에 설치되는 이물질필터와, 상기 이물질 필터에 인접되게 설치되는 이물질 수집함과, 상기 진공모터펌프의 토출구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케이스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 어셈블리 및, 상기 진공모터펌프가 내부에 내장되는 격리케이스;로 이루어지되, 상기 격리케이스에는 저면에는 지지기둥이 돌출되고, 케이스 바닥에는 지지기둥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지지기둥 외주면과 관통공 내주면 사이에는 중공 탄성판이 설치되어, 진공모터펌프로 인한 격리케이스의 진동이 케이스로 전달되지 않고 지하로 흡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공 탄성판은 직경이 서로 다른 동심원 형상의 주름이 하나 이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기둥은 바닥이 막힌 수직 실린더와, 수직 실린더 바닥면에 설치되는 진동흡수 스프링과, 격리케이스 저면에 돌출되어 수직 실린더 상부로 삽입되며 하단이 진동흡수 스프링 상단과 용접으로 연결되는 지지다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 실린더 내부에는 실리콘 충진재가 채워져서 진동흡수 스프링의 공진을 방지시킨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출 어셈블리는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는 격실과, 일단이 상기 격리케이스에 삽입되고 타단이 격실 일측으로 삽입되는 배출관과, 격실 타측에 설치되는 배출 창과, 격실 내부에서 배출관 타단과 배출 창 사이 공간을 차단시키며 배출공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격리벽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개의 격리벽에 형성되는 배출공은, 인접되는 격리벽 간에는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격리벽은 배출관 측을 향하는 면에 배출공이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위에 미세먼지 집진부재가 부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업용 진공청소기에는 영업용 진공청소기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철저하게 차단시켜 진공청소기 사용자 및 인근 주민에게 불쾌감과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한편, 나아가 진공청소기의 소음과 진동을 차단시킴으로써 지진과 같은 주위 진동이 진공청소기에 미칠 수 있는 피해도 최소화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업용 진공청소기의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업용 진공청소기의 측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 배출 어셈블리의 확대도,
도 4a는 도 1 및 도 2에서 지지기둥의 확대도,
도 4b는 도 4a에서 중공 탄성판의 사시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업용 진공청소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와, 진공모터펌프(21)와, 흡입관(22,25)과, 이물질필터(23)와, 이물질 수집함(24)과, 배출 어셈블리(40) 및 격리케이스(31)로 이루어진다.
케이스(10)는 영업용 진공청소기의 나머지 구성들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함체이다. 케이스(10)는 통상의 철제 함체일 수 있으며 형태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다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는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내부에는 본 발명을 이루는 각 구성이 별도로 배치되도록 내부가 수직 방향으로 구획된 층을 이루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0) 내부에서 본 발명의 각 구성이 위치하는 장소에 따라 케이스(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서 하부로 차례로 제어실(11), 집진실(12), 배출실(13), 구동실(14)의 순서로 구획이 나누어질 수 있다. 다만 필요에 따라 제어실(11)부터 구동실(14)의 순서는 서로 변경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구동실(14)은 바람직하게는 가장 하단에 위치한다.
진공모터펌프(21)는 본 발명에 따른 영업용 진공청소기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에 해당된다. 진공모터펌프(21)는 통상적으로 배큠 블로워(vacuum blower)라고 불리는 것으로서 모터로 동작되는 에어 펌프이다. 진공모터펌프(21)에 의하여 후술하게 될 흡입관(22,25)이 외부 이물질을 빨아들일 수 있다.
그런데 진공모터펌프(21)는 모터의 소음과 펌프의 소음으로 인하여 상당한 소음을 발생시킨다. 앞서 배경기술 란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진공모터펌프(21)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차단시키는 기술이 요청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기본적으로 진공모터펌프(21)의 소음과 진동을 케이스(10)로 전달시키지 않고 지면 아래로 배출시켜 결과적으로 진공모터펌프(21) 자체 소음과 케이스(10) 진동으로 인한 소음이 모두 차단될 수 있는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구성에 대해서는 자세하게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이처럼 진공모터펌프(21)의 소음과 진동을 지면 아래로 전달시키기 용이하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모터펌프(21)는 케이스(10) 내부에서도 가장 하부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흡입관(22,25)은 진공모터펌프(21)의 흡입구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케이스(10) 외부로 길게 돌출되는 관으로서, 통상적으로 벨로우즈 형태의 유연한 관으로 형성되어 차량 내부 청소에 이용된다. 흡입관(22,25)은 흡입관(22,25)에 설치되는 이물질 필터(23)와 이물질 수집함(24)으로 인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부위로 나누어진다. 진공모터펌프(21)로부터 이물질 필터(23)까지 연결되는 흡입관을 제1흡입관(22)이라 하고 이물질 수집함(24)으로부터 케이스(10) 외부로 길게 돌출되는 타단까지를 제2흡입관(25)이라 칭하기로 한다.
이물질필터(23)는 제2흡입관(25)을 타고 들어오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이다. 이물질 필터(23)는 공지의 소재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물질 수집함(24)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필터(23)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이물질필터(23)로 인하여 통과되지 못하는 이물질이 중력으로 낙하하여 수집되는 통이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모터펌프(21)의 작동을 원격 조작할 수 있는 제어수단이 케이스(1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배출 어셈블리(40)는 도 2의 측단면도에 도시된 것처럼 진공모터펌프(21)의 토출구(212)에서 빠져나오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성의 집합체이다. 배출 어셈블리(40)는 설치 위치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도 2에서는 배출 어셈블리(40) 위치가 케이스(10) 내부에서 상부의 이물질필터(23) 및 이물질 수집함(24)과 하부의 진공모터펌프(21) 사이에 위치하는 배출실(13)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다만 배출 어셈블리(40)는 진공모터펌프(21)의 측면에 별도의 배출실이 형성되고 이 별도의 배출실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고(미도시), 또는 집진실(12)과 배출실(13)의 위치가 서로 바뀔 수도 있다.
도 2는 측단면도로서 도 1에서 B라고 표시된 방향의 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어셈블리(40)는 배출실(13) 내에서 격실벽(44)과 배출실(13)의 나머지 벽면으로 형성되는 격실(45)과, 일단이 진공모터펌프(21)를 둘러싸는 격리케이스(31)에 삽입되고 타단은 격실(45) 하부로 돌출되게 격실(45)에 삽입되는 배출관(26)과, 격실(45) 상부 측면에 형성되는 배출 창(42)과, 격실(45) 내부에서 배출관(26) 타단과 배출 창(42) 사이 공간을 다수개로 구분시키며 배출공(43)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격리벽(41)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배출관(26) 타단의 삽입 위치와 배출 창(42) 위치는 반드시 도 2로 한정되지는 않으므로 배출관(26) 타단이 만일 격실벽(44)으로 삽입되면 격리벽(41)들은 수직 방향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공기가 배출되는 경로를 살펴보면, 먼저 진공모터펌프(21)의 토출구(212)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진공모터펌프(21)를 둘러싸는 격리케이스(31) 내부에 가득 차게 되면 격리케이스(31) 내부 압력으로 인하여 격리케이스(31)에 일단이 연결된 배출관(26)으로 배출되어 배출공기가 격실(45)에 진입된다.
격실(45)에 진입된 배출공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리벽(41)에 형성된 배출공(43)을 통하여 차례로 빠져나가서 최종적으로는 배출 창(42)을 통하여 배출된다.
배출관(26)에서 분출되어 첫 번째 격리벽(41)과 만나는 공기가 격리벽(41)과의 충돌로 인하여 큰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첫 번째 격리벽(41)은 배출관(26)과 대향되는 면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배출관(26)에서 분출되는 공기는 격리벽(41)에 형성된 배출공(43)으로 빠져나가는데, 이때 격리벽(41)이 다수개로 형성되므로 각 격리벽(41)으로 격리되는 공간 내부에서 공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회전을 하게 된다. 참고로 도 3에 도시된 화살표는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다.
이처럼 배출관(26)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격리벽(41)으로 형성되는 공간 내부에서 역회전을 함으로써 배출관(26)에서 배출되는 공기 압력이 각각의 배출공(43)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점차 낮아짐으로써 소음도 함께 감소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배출공(43)이 격리벽(41)에 형성되는 위치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인접되는 격리벽(41) 간에는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공기의 흐름은 격리벽(41)을 통과할 때 마다 꺾이게 되므로 역류가 형성될 수밖에 없으므로 진행되는 공기가 배출공(43)을 통과할 때 마다 급격한 압력 감소가 일어나게 되어 소음 감소가 더욱 철저하게 발생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격리벽(41)은 배출관(26)을 향하는 면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먼지 집진부재(412)가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미세먼지 집진부재(412)는 통상의 부직포일 수도 있지만 보다 효과적인 미세먼지 집진을 위한 흡착재가 혼합된 직물편일 수도 있다. 이러한 미세먼지 집진부재(412)가 격리벽(41)에 부착됨으로써 각 격리벽(41)을 통과하는 공기에 함유된 미세먼지가 흡착되면서 더욱 깨끗한 공기가 배출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미세먼지 집진부재(412)가 통상의 부직포와 같이 미세한 그물망 구조를 가짐으로써 배출공기에서 발생되는 소음도 흡수되므로 소음 감소 효과가 보다 철저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렇게 각 격리벽(41)에 형성된 배출공(43)을 통과한 공기가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배출 창(42)에도 미세먼지가 흡수되면서 소음 감소도 이루어질 수 있는 필터부재가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의 필터부재는 공기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으면서 소음감소 및 미세먼지가 흡착될 수 있는 소재라면 그 선택에 제한은 없다.
또한 각각의 격리벽(41)에 형성된 배출공(43)에도 도 3에 형성된 것처럼 방음 필터가 부착되어 배출공(43)을 통과하는 공기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한층 더 감소될 수 있다.
배출어셈블리(40)가 이처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최대한 소음 발생이 억제되면서 또한 미세먼지도 철저하게 제거된 상태로 배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a와 도 4b를 참조하여 진공모터펌프(21)에서 발생되는 진동과 소음 감쇠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진공모터펌프(21)는 케이스(10) 내부에서 구동실에 내장되므로 일차적인 소음 감쇠는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보다 철저한 소음 감쇠를 위해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실(14) 내부에 설치되는 격리케이스(31)에 내장된다.
격리케이스(31) 내부에는 주지의 흡음제(미도시)가 부착될 수 있다. 그런데 진공모터펌프(21)에서 발생되는 소음은 진공모터펌프(21) 자체에서 발생될 수도 있지만, 진공모터펌프(21)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케이스(10)에 전달되면서 케이스(10) 자체가 진동하여 발생될 수도 있다. 따라서 소음 발생을 철저하게 방지시키기 위해서는 케이스(10)에 전달되는 진동을 차단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진공모터펌프(21)가 내장되는 격리케이스(31)의 통 울림이 케이스(10)가 아닌 지면 하부로 전파될 수 있는 구성을 가진다.
진공모터펌프(21)가 내장되는 격리케이스(31)는 저면에 지지기둥(34)이 구비된다. 지지기둥(34)은 구체적으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리케이스(31) 저면으로 돌출되는 지지다리(341)와, 지지다리(341)가 삽입되는 수직실린더(342)와, 수직실린더(342) 바닥에 고정되게 안착되는 진동흡수스프링(343)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지지다리(341) 하단은 진동흡수 스프링(343) 상단에 용접으로 고정 연결되어 진동으로 발생될 수 있는 진동흡수 스프링(343)과 지지다리(341)의 엇갈림이 방지되며, 지지다리(341)를 통하여 전달받는 진동이 진동흡수 스프링(343)에 의하여 소멸될 수 있다.
수직실린더(342)는 하부가 막힌 실린더 형상으로서 지면 하부로 일부분 또는 전부가 매립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수직실린더(342)와, 수직실린더(342) 내부의 진동흡수 스프링(343) 및 지지다리(341)로 인하여 격리케이스(31)는 케이스(10) 바닥면이 아니라 기초면인 지면으로 지지된다.
따라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 바닥면에는 수직실린더(342)가 지면에 삽입될 수 있게 관통공(도면번호 없음)이 형성되고, 관통공 내주면과 수직실린더(342) 외주면 사이로 소음이 새어나가지 못하도록 중공(331)이 형성된 중공 탄성판(33)이 설치된다. 중공탄성판(33)에 형성되는 중공(331)에 수직실린더(342)가 삽입되고, 관통공의 내주면에는 중공탄성판(33) 테두리가 삽입될 수 있는 원형 홈(도면번호 없음)이 형성되어 중공탄성판(33)의 탄성을 이용하여 관통공에 간단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중공탄성판(33)은 수직실린더(342)의 진동이 전달되지 못하도록 탄성부재로 형성되고, 또한 중공(331) 주위로 중공(331)과 동심원을 이루는 형상의 주름(332)이 하나 이상 형성되어 탄성으로 진동이 흡수되는 한편, 주름(332)으로도 진동 전달이 방지된다. 도 4b에는 이러한 중공 탄성판(33)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런데 지지다리(341)와 용접으로 고정 연결되는 진동흡수 스프링(343)은 지지다리(341)의 진동으로 인하여 진동되므로 복수개의 지지다리(341)와 연결된 복수개의 진동흡수 스프링(343)으로 인한 공진이 발생될 염려가 있다. 이때 공진방지를 위해서 수직 실린더(342) 내부는 실리콘 충진재(344)가 채워질 수 있다.
실리콘 충진재(344)는 통상의 실리카 겔일 수도 있으며, 이와 유사한 물성을 가진 재료라면 어떤 것이든 채택될 수 있다. 실리콘 충진재(344)는 수직 실린더(342) 내부에 채워짐으로써 진동흡수 스프링(343)의 공진을 효과적으로 방지시킨다.
즉, 진동흡수 스프링(343)과 실리콘 충진재(344)로 인하여 지지다리(341)로 전달되는 진공모터펌프(21) 및 격리케이스(31)의 진동은 대부분 흡수 및 제거 가능하므로 수직 실린더(342) 자체에 전달되는 진동은 미미한 정도이지만, 수직 실린더(342)와 케이스(10) 저면 또한 직접 연결되지 않고 중공 탄성판(33)으로 연결되므로 사실상 케이스(10)에는 진공모터펌프(21)로 인한 진동이 거의 전달되지 않게되어 케이스(10) 자체의 진동으로 인한 소음은 철저하게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진동흡수 스프링(343)과 실리콘 충진재(344)로 인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업용 진공청소기는 지진과 같은 진동이 있더라도 진동이 차단됨으로써 지진이나 이와 유사한 재해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A : 정면 B : 측면
10 : 케이스 11 : 제어실
12 : 집진실 13 : 배출실
14 : 구동실 21 : 진공모터펌프
22 : 제1흡입관 23 : 이물질필터
24 : 이물질 수집함 25 : 제2흡입관
26 : 배출관 31 : 격리케이스
32 : 분리판 33 : 중공 탄성판
34 : 지지기둥 40 : 배출 어셈블리
41 : 격리벽 42 : 배출 창
43 : 배출공 44 : 격실벽
45 : 격실 212 : 토출구
331 : 중공 332 : 주름
341 : 지지다리 342 : 수직 실린더
343 : 진동흡수 스프링 344 : 실리콘 충진재
412 : 미세먼지 집진부재

Claims (7)

  1.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하부에 내장되는 진공모터펌프와;
    상기 진공모터펌프의 흡입구에 일단이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케이스 외부로 길게 돌출되는 흡입관과;
    상기 흡입관의 일정 지점에 설치되는 이물질필터와;
    상기 이물질 필터에 인접되게 설치되는 이물질 수집함과;
    상기 진공모터펌프의 토출구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케이스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 어셈블리; 및,
    상기 진공모터펌프가 내부에 내장되는 격리케이스;로 이루어지되,
    상기 격리케이스에는 저면에는 지지기둥이 돌출되고, 케이스 바닥에는 지지기둥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지지기둥 외주면과 관통공 내주면 사이에는 중공 탄성판이 설치되어, 진공모터펌프로 인한 격리케이스의 진동이 케이스로 전달되지 않고 지하로 흡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업용 진공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어셈블리는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는 격실과, 일단이 상기 격리케이스에 삽입되고 타단이 격실 일측으로 삽입되는 배출관과, 격실 타측에 설치되는 배출 창과, 격실 내부에서 배출관 타단과 배출 창 사이 공간을 차단시키며 배출공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격리벽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업용 진공청소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격리벽에 형성되는 배출공은, 인접되는 격리벽 간에는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업용 진공청소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벽은 배출관 측을 향하는 면에 배출공이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위에 미세먼지 집진부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업용 진공청소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탄성판에는 중공 탄성판 중심에 형성되는 중공의 둘레에 직경이 서로 다른 동심원 형상의 주름이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업용 진공청소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둥은 바닥이 막힌 수직 실린더와, 수직 실린더 바닥면에 설치되는 진동흡수 스프링과, 격리케이스 저면에 돌출되어 수직 실린더 상부로 삽입되며 하단이 진동흡수 스프링 상단과 용접으로 연결되는 지지다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업용 진공청소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실린더 내부에는 실리콘 충진재가 채워져서 진동흡수 스프링의 공진을 방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업용 진공청소기.
KR1020160179754A 2016-12-27 2016-12-27 영업용 진공청소기 KR101818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754A KR101818110B1 (ko) 2016-12-27 2016-12-27 영업용 진공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754A KR101818110B1 (ko) 2016-12-27 2016-12-27 영업용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8110B1 true KR101818110B1 (ko) 2018-01-12

Family

ID=61001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9754A KR101818110B1 (ko) 2016-12-27 2016-12-27 영업용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811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9678B1 (ko) 2008-02-12 2013-05-02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전기 진공 청소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9678B1 (ko) 2008-02-12 2013-05-02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전기 진공 청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0077B2 (en) Central vacuum units with an acoustic damping pathway
US10419847B2 (en) Microspeaker enclosure with porous materials in resonance space
US5293664A (en) Low noise and less vibration vacuum cleaner
US9131819B2 (en) Vacuum cleaner
JP4538043B2 (ja) 電気掃除機
KR20110139262A (ko) 진공 청소기
US10455998B2 (en) Vacuum cleaner
AU2006213954A1 (en) Vacuum cleaner having a motor noise reduction system
KR101818110B1 (ko) 영업용 진공청소기
KR101785969B1 (ko) 흡음패널을 이용한 소음차단장치
CN101862707A (zh) 用于离心机的低噪声转子腔
JP2018100805A (ja) 簡易クリーンブース
KR101088874B1 (ko) 진공 청소기의 소음 저감 장치
JP2002243211A (ja) 空気調和機用圧縮機の吸音材
KR101172577B1 (ko) 수막을 이용한 건축물의 분진방지 및 차음장치
CN106955061B (zh) 吸尘器减震结构
JP6654421B2 (ja) 浴槽用ポンプの防音構造
CN109538332A (zh) 一种具有新型消音结构的汽车排气管
CN220045762U (zh) 水箱组件及清洁设备
JP3841334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の通気構造
CN204862971U (zh) 一种低噪声除螨器
JP3817709B2 (ja) 便器用冷房装置
KR20240028062A (ko) 무균실이 가능한 바이오 클린룸
JPH04343816A (ja) 電気掃除機
JP2022016287A (ja) 減音装置及び減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