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6362B1 - 공기입 타이어 - Google Patents

공기입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6362B1
KR101256362B1 KR1020137006827A KR20137006827A KR101256362B1 KR 101256362 B1 KR101256362 B1 KR 101256362B1 KR 1020137006827 A KR1020137006827 A KR 1020137006827A KR 20137006827 A KR20137006827 A KR 20137006827A KR 101256362 B1 KR101256362 B1 KR 101256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reinforcement layer
belt
edge portion
circumferenti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6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4667A (ko
Inventor
토시유키 사토
Original Assignee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34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4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6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6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9/00Reinforcements or ply arrangement of pneumatic tyres
    • B60C9/18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9/00Reinforcements or ply arrangement of pneumatic tyres
    • B60C9/18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 B60C9/20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built-up from rubberised plies each having all cords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 B60C9/2003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built-up from rubberised plies each having all cords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the belt cords
    • B60C9/2006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built-up from rubberised plies each having all cords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the belt cords consisting of steel cord plie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9/00Reinforcements or ply arrangement of pneumatic tyres
    • B60C9/18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 B60C9/30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asymmetric to the midcircumferential plane of the ty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9/00Reinforcements or ply arrangement of pneumatic tyres
    • B60C9/18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 B60C9/20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built-up from rubberised plies each having all cords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9/00Reinforcements or ply arrangement of pneumatic tyres
    • B60C9/18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 B60C9/20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built-up from rubberised plies each having all cords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 B60C9/22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built-up from rubberised plies each having all cords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the plies being arranged with all cords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ty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9/00Reinforcements or ply arrangement of pneumatic tyres
    • B60C9/18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 B60C9/20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built-up from rubberised plies each having all cords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 B60C9/22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built-up from rubberised plies each having all cords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the plies being arranged with all cords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tyre
    • B60C9/2204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built-up from rubberised plies each having all cords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the plies being arranged with all cords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tyre obtained by circumferentially narrow strip wi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10Building tyres on round cores, i.e. the shape of the core is approximately identical with the shape of the completed tyre
    • B29D30/16Applying the layers; Guiding or stretching the layers during appl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30Applying the layers; Guiding or stretching the layers during appl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9/00Reinforcements or ply arrangement of pneumatic tyres
    • B60C9/18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 B60C9/20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built-up from rubberised plies each having all cords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 B60C2009/2012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built-up from rubberised plies each having all cords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with particular configuration of the belt cords in the respective belt layers
    • B60C2009/2019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built-up from rubberised plies each having all cords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with particular configuration of the belt cords in the respective belt layers comprising cords at an angle of 30 to 60 degrees to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9/00Reinforcements or ply arrangement of pneumatic tyres
    • B60C9/18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 B60C9/20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built-up from rubberised plies each having all cords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 B60C2009/2045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built-up from rubberised plies each having all cords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with belt joints or spl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9/00Reinforcements or ply arrangement of pneumatic tyres
    • B60C9/18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 B60C9/20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built-up from rubberised plies each having all cords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 B60C9/22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built-up from rubberised plies each having all cords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the plies being arranged with all cords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tyre
    • B60C2009/2252Physical properties or dimension of the zero degree ply cords
    • B60C2009/2257Diameters of the cords; Linear density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9/00Reinforcements or ply arrangement of pneumatic tyres
    • B60C9/18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 B60C9/20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built-up from rubberised plies each having all cords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 B60C9/22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built-up from rubberised plies each having all cords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the plies being arranged with all cords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tyre
    • B60C2009/2252Physical properties or dimension of the zero degree ply cords
    • B60C2009/2266Density of the cords in width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2/00Resilient tires and wheels
    • Y10T152/10Tires, resilient
    • Y10T152/10495Pneumatic tire or inner tube
    • Y10T152/10765Characterized by belt or breaker structure
    • Y10T152/10801Structure made up of two or more sets of plies wherein the reinforcing cords in one set lie in a different angular position relative to those in other 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이 공기입 타이어(1)는, 한 쌍의 교차 벨트(142, 143)와, 이러한 교차 벨트(142, 143) 사이 혹은 이러한 교차 벨트(142, 143)보다도 타이어 직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둘레 방향 보강층(145)을 가지는 벨트층(14)을 구비한다. 또한, 둘레 방향 보강층(145)이,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하여 ±5[deg]의 범위 내에서 경사하면서 나선상(螺旋狀)으로 감아 돌려진 1개의 와이어(1451)로 이루어진다. 또한, 둘레 방향 보강층(145)의 일방(一方)의 에지부에 있는 와이어 단부(端部)와 타방(他方)의 에지부에 있는 와이어 단부와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교차각 α가, 5[deg]≤α≤355[deg]의 범위 내에 있다.

Description

공기입 타이어{PNEUMATIC TIRE}
본 발명은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이고, 한층 더 자세하게는, 타이어의 내구 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근년(近年)의 공기입 타이어는, 타이어의 내구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벨트층에 보강층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용하는 종래의 공기입 타이어로서 특허 문헌 1에 기재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9-196600호
본 발명은 타이어의 내구 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는, 한 쌍의 교차 벨트와, 상기 교차 벨트 사이 혹은 상기 교차 벨트보다도 타이어 직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둘레 방향 보강층을 가지는 벨트층을 구비하는 공기입 타이어이고, 상기 둘레 방향 보강층이,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하여 ±5[deg]의 범위 내에서 경사하면서 나선상(螺旋狀)으로 감아 돌려진 1개의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한 겹 감기 구조를 가지고, 상기 둘레 방향 보강층의 일방(一方)의 에지부에 있는 상기 와이어의 단부(端部)와 타방(他方)의 에지부에 있는 상기 와이어의 단부와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교차각 α가, 5[deg]≤α≤355[deg]의 범위 내에 있고, 또한, 상기 둘레 방향 보강층이, 상기 한 쌍의 교차 벨트 중 폭이 좁은 교차 벨트의 좌우의 에지부보다도 타이어 폭 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것과 함께, 상기 폭이 좁은 교차 벨트의 폭 W와, 상기 둘레 방향 보강층의 에지부로부터 상기 폭이 좁은 교차 벨트의 에지부까지의 거리 S가, 0.03≤S/W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는, 한 쌍의 교차 벨트와, 상기 교차 벨트 사이 혹은 상기 교차 벨트보다도 타이어 직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둘레 방향 보강층을 가지는 벨트층을 구비하는 공기입 타이어이고, 상기 둘레 방향 보강층이,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하여 ±5[deg]의 범위 내에서 경사하는 것과 함께 서로 병주(倂走)하면서 나선상으로 감아 돌려진 복수개의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한 겹 감기 구조를 가지고, 상기 둘레 방향 보강층의 일방의 에지부에 있는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의 단부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엇갈림각 β1과, 타방의 에지부에 있는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의 단부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엇갈림각 β2 중 적어도 일방이, 0[deg] 이상 5[deg] 미만의 범위 내에 있고, 상기 둘레 방향 보강층의 일방의 에지부에 있는 상기 와이어의 단부와 타방의 에지부에 있는 상기 와이어의 단부와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교차각 α가, 10[deg]≤α≤350[deg]의 범위 내에 있고, 또한, 상기 둘레 방향 보강층이, 상기 한 쌍의 교차 벨트 중 폭이 좁은 교차 벨트의 좌우의 에지부보다도 타이어 폭 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것과 함께, 상기 폭이 좁은 교차 벨트의 폭 W와, 상기 둘레 방향 보강층의 에지부로부터 상기 폭이 좁은 교차 벨트의 에지부까지의 거리 S가, 0.03≤S/W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는, 한 쌍의 교차 벨트와, 상기 교차 벨트 사이 혹은 상기 교차 벨트보다도 타이어 직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둘레 방향 보강층을 가지는 벨트층을 구비하는 공기입 타이어이고, 상기 둘레 방향 보강층이,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하여 ±5[deg]의 범위 내에서 경사하는 것과 함께 서로 병주하면서 나선상으로 감아 돌려진 복수개의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한 겹 감기 구조를 가지고, 상기 둘레 방향 보강층의 일방의 에지부에 있는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의 단부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엇갈림각 β1과, 타방의 에지부에 있는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의 단부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엇갈림각 β2가, 5[deg]≤β1≤180[deg] 또한 5[deg]≤β2≤180[deg]의 범위 내에 있고, 상기 둘레 방향 보강층의 일방의 에지부에 있는 상기 와이어의 단부와 타방의 에지부에 있는 상기 와이어의 단부와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교차각 α가, 5[deg]≤α≤355[deg]의 범위 내에 있고, 또한, 상기 둘레 방향 보강층이, 상기 한 쌍의 교차 벨트 중 폭이 좁은 교차 벨트의 좌우의 에지부보다도 타이어 폭 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것과 함께, 상기 폭이 좁은 교차 벨트의 폭 W와, 상기 둘레 방향 보강층의 에지부로부터 상기 폭이 좁은 교차 벨트의 에지부까지의 거리 S가, 0.03≤S/W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는, 한 쌍의 교차 벨트와, 상기 교차 벨트 사이 혹은 상기 교차 벨트보다도 타이어 직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둘레 방향 보강층을 가지는 벨트층을 구비하는 공기입 타이어이고, 상기 둘레 방향 보강층이, 타이어 폭 방향으로 복수 분할된 분할 구조를 가지는 것과 함께, 상기 둘레 방향 보강층의 분할부가,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하여 ±5[deg]의 범위 내에서 경사하면서 나선상으로 감아 돌려진 1개의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한 겹 감기 구조를 가지고, 상기 둘레 방향 보강층의 일방의 에지부에 있는 상기 와이어의 단부와 타방의 에지부에 있는 상기 와이어의 단부와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교차각 α가, 5[deg]≤α≤355[deg]의 범위 내에 있고, 타이어 둘레 방향에 수직인 단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의 상기 와이어의 외관상 개수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가, 타이어 회전축 둘레의 임의의 30[deg]의 구간에서 1개 이하이고, 또한, 상기 둘레 방향 보강층이, 상기 한 쌍의 교차 벨트 중 폭이 좁은 교차 벨트의 좌우의 에지부보다도 타이어 폭 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것과 함께, 상기 폭이 좁은 교차 벨트의 폭 W와, 상기 둘레 방향 보강층의 에지부로부터 상기 폭이 좁은 교차 벨트의 에지부까지의 거리 S가, 0.03≤S/W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는, 한 쌍의 교차 벨트와, 상기 교차 벨트 사이 혹은 상기 교차 벨트보다도 타이어 직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둘레 방향 보강층을 가지는 벨트층을 구비하는 공기입 타이어이고, 상기 둘레 방향 보강층이, 타이어 폭 방향으로 복수 분할된 분할 구조를 가지는 것과 함께, 상기 둘레 방향 보강층의 분할부가,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하여 ±5[deg]의 범위 내에서 경사하는 것과 함께 서로 병주하면서 나선상으로 감아 돌려진 복수개의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한 겹 감기 구조를 가지고, 상기 둘레 방향 보강층의 일방의 에지부에 있는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의 단부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엇갈림각 β1과, 타방의 에지부에 있는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의 단부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엇갈림각 β2 중 적어도 일방이, 0[deg] 이상 5[deg] 미만의 범위 내에 있고, 상기 둘레 방향 보강층의 일방의 에지부에 있는 상기 와이어의 단부와 타방의 에지부에 있는 상기 와이어의 단부와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교차각 α가, 10[deg]≤α≤350[deg]의 범위 내에 있고, 타이어 둘레 방향에 수직인 단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의 상기 와이어의 외관상 개수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가, 타이어 회전축 둘레의 임의의 30[deg]의 구간에서 1개의 상기 분할부를 구성하는 상기 와이어의 개수 이하이고, 또한, 상기 둘레 방향 보강층이, 상기 한 쌍의 교차 벨트 중 폭이 좁은 교차 벨트의 좌우의 에지부보다도 타이어 폭 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것과 함께, 상기 폭이 좁은 교차 벨트의 폭 W와, 상기 둘레 방향 보강층의 에지부로부터 상기 폭이 좁은 교차 벨트의 에지부까지의 거리 S가, 0.03≤S/W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는, 한 쌍의 교차 벨트와, 상기 교차 벨트 사이 혹은 상기 교차 벨트보다도 타이어 직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둘레 방향 보강층을 가지는 벨트층을 구비하는 공기입 타이어이고, 상기 둘레 방향 보강층이, 타이어 폭 방향으로 복수 분할된 분할 구조를 가지는 것과 함께, 상기 둘레 방향 보강층의 분할부가,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하여 ±5[deg]의 범위 내에서 경사하는 것과 함께 서로 병주하면서 나선상으로 감아 돌려진 복수개의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한 겹 감기 구조를 가지고, 상기 둘레 방향 보강층의 일방의 에지부에 있는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의 단부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엇갈림각 β1과, 타방의 에지부에 있는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의 단부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엇갈림각 β2가, 5[deg]≤β1≤180[deg] 또한 5[deg]≤β2≤180[deg]의 범위 내에 있고, 상기 둘레 방향 보강층의 일방의 에지부에 있는 상기 와이어의 단부와 타방의 에지부에 있는 상기 와이어의 단부와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교차각 α가, 5[deg]≤α≤355[deg]의 범위 내에 있고, 타이어 둘레 방향에 수직인 단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의 상기 와이어의 외관상 개수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가, 타이어 회전축 둘레의 임의의 30[deg]의 구간에서 1개의 상기 분할부를 구성하는 상기 와이어의 개수 이하이고, 또한, 상기 둘레 방향 보강층이, 상기 한 쌍의 교차 벨트 중 폭이 좁은 교차 벨트의 좌우의 에지부보다도 타이어 폭 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것과 함께, 상기 폭이 좁은 교차 벨트의 폭 W와, 상기 둘레 방향 보강층의 에지부로부터 상기 폭이 좁은 교차 벨트의 에지부까지의 거리 S가, 0.03≤S/W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에서는, 상기 와이어가 스틸 와이어이고, 상기 둘레 방향 보강층이 17[개/50mm] 이상 30[개/50mm] 이하의 엔드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는, 상기 와이어의 직경이 1.2[mm] 이상 2.2[mm] 이하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공기입 타이어는, 둘레 방향 보강층에 있어서의 와이어의 단부의 교차각 α가 적정화되기 때문에, 타이어 둘레 방향의 강성의 국소적인 변화가 억제된다. 이것에 의하여, 둘레 방향 보강층의 주변에 있어서의 고무 재료의 세퍼레이션의 발생이 억제되어, 타이어의 내구성이 향상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를 도시하는 타이어 자오선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기재한 공기입 타이어(1)의 벨트층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1에 기재한 공기입 타이어(1)의 벨트층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1에 기재한 공기입 타이어의 둘레 방향 보강층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1에 기재한 공기입 타이어의 둘레 방향 보강층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5에 기재한 둘레 방향 보강층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5에 기재한 둘레 방향 보강층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5에 기재한 둘레 방향 보강층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도 5에 기재한 둘레 방향 보강층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5에 기재한 둘레 방향 보강층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5에 기재한 둘레 방향 보강층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도 5에 기재한 둘레 방향 보강층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도 5에 기재한 둘레 방향 보강층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4는 도 5에 기재한 둘레 방향 보강층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5는 도 5에 기재한 둘레 방향 보강층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6은 도 5에 기재한 둘레 방향 보강층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7은 도 5에 기재한 둘레 방향 보강층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8은 도 5에 기재한 둘레 방향 보강층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의 성능 시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덧붙여, 이 실시 형태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실시 형태의 구성 요소에는, 발명의 동일성을 유지하면서 치환 가능하고 또한 치환 자명한 것이 포함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 기재된 복수의 변형예는, 당업자 자명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조합이 가능하다.
[공기입 타이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를 도시하는 타이어 자오선(子午線) 방향의 단면도이다. 동 도면은, 공기입 타이어의 일례로서, 장거리 수송용의 트럭, 버스 등의 조향축(steering axis)에 장착되는 중하중(重荷重)용 래디얼 타이어(radial tire)를 도시하고 있다.
이 공기입 타이어(1)는, 한 쌍의 비드 코어(11, 11)와, 한 쌍의 비드 필러(12, 12)와, 카커스(carcass)층(13)과, 벨트층(14)과, 트레드 고무(15)와, 한 쌍의 사이드 월 고무(16, 16)를 구비한다(도 1 참조). 한 쌍의 비드 코어(11, 11)는 환상(環狀) 구조를 가지고, 좌우의 비드부의 코어를 구성한다. 한 쌍의 비드 필러(12, 12)는 로우어 필러(121) 및 어퍼 필러(122)로 이루어지고, 한 쌍의 비드 코어(11, 11)의 타이어 직경 방향 외주(外周)에 각각 배치되어 비드부를 보강한다. 카커스층(13)은 단층 구조를 가지고, 좌우의 비드 코어(11, 11) 사이에 토로이덜(toroidal) 형상으로 걸쳐져 타이어의 골격을 구성한다. 또한, 카커스층(13)의 양 단부는, 비드 코어(11) 및 비드 필러(12)를 감싸도록 타이어 폭 방향 외측으로 되감겨 계지(係止, 서로 걸려 고정되는 것)된다. 벨트층(14)은, 적층된 복수의 벨트 플라이(141 ~ 145)로 이루어지고, 카커스층(13)의 타이어 직경 방향 외주에 배치된다. 트레드 고무(15)는, 카커스층(13) 및 벨트층(14)의 타이어 직경 방향 외주에 배치되어 타이어의 트레드부를 구성한다. 한 쌍의 사이드 월 고무(16, 16)는, 카커스층(13)의 타이어 폭 방향 외측에 각각 배치되어 좌우의 사이드 월부를 구성한다. 또한, 공기입 타이어(1)는,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재(延在)하는 복수의 둘레 방향 주 홈(21 ~ 23)과, 이러한 둘레 방향 주 홈(21 ~ 23)으로 구획되어 이루어지는 복수의 육부(陸部, 타이어의 트레드면에서 노면(路面)에 접지하는 부분)(31 ~ 34)를 트레드부에 구비한다. 덧붙여, 이 실시 형태에서는, 공기입 타이어(1)가 타이어 적도면(CL)을 중심으로 한 좌우 대칭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기재한 공기입 타이어(1)의 벨트층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도 2는 타이어 적도면(CL)을 경계로 한 트레드부의 편측(片側) 영역을 도시하고, 도 3은 벨트층의 적층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벨트층(14)은, 고각도 벨트(141)와 한 쌍의 교차 벨트(142, 143)와 벨트 커버(144)와 둘레 방향 보강층(145)을 적층하여 이루어지고, 카커스층(13)의 외주에 돌려져 배치된다(도 2 및 도 3 참조).
고각도 벨트(141)는, 스틸 혹은 유기 섬유재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벨트 코드(belt cord)를 코트 고무로 피복하고 압연(壓延) 가공하여 구성되고, 절대값으로 40[deg] 이상 60[deg] 이하의 벨트 각도(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한 벨트 코드의 섬유 방향의 경사각)를 가진다. 또한, 고각도 벨트(141)는, 카커스층(13)의 타이어 직경 방향 외측에 적층되어 배치된다.
한 쌍의 교차 벨트(142, 143)는, 스틸 혹은 유기 섬유재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벨트 코드를 코트 고무로 피복하고 압연 가공하여 구성되고, 절대값으로 10[deg] 이상 30[deg] 이하의 벨트 각도를 가진다. 또한, 한 쌍의 교차 벨트(142, 143)는, 서로 다른 부호의 벨트 각도를 가지고, 벨트 코드의 섬유 방향을 서로 교차시켜 적층된다(크로스 플라이 구조). 여기에서는, 타이어 직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교차 벨트(142)를 내경(內徑) 측 교차 벨트라고 부르고, 타이어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교차 벨트(143)를 외경(外徑) 측 교차 벨트라고 부른다. 덧붙여, 3매 이상의 교차 벨트가 적층되어 배치되어도 무방하다(도시 생략). 또한, 한 쌍의 교차 벨트(142, 143)는, 고각도 벨트(141)의 타이어 직경 방향 외측에 적층되어 배치된다.
벨트 커버(144)는, 스틸 혹은 유기 섬유재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벨트 코드를 코트 고무로 피복하고 압연 가공하여 구성되고, 절대값으로 10[deg] 이상 45[deg] 이하의 벨트 각도를 가진다. 또한, 벨트 커버(144)는, 교차 벨트(142, 143)의 타이어 직경 방향 외측에 적층되어 배치된다. 덧붙여, 이 실시 형태에서는, 벨트 커버(144)가, 외경 측 교차 벨트(143)와 동일한 벨트 각도를 가지고, 또한, 벨트층(14)의 최외층에 배치되어 있다.
둘레 방향 보강층(145)은, 고무 코팅된 스틸제의 와이어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1개의 와이어를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하여 ±5[deg]의 범위 내에서 경사시키면서 나선상으로 감아 돌려 구성된다. 또한, 둘레 방향 보강층(145)은, 한 쌍의 교차 벨트(142, 143)의 사이에 끼워 넣어져 배치된다. 또한, 둘레 방향 보강층(145)은, 한 쌍의 교차 벨트(142, 143)의 좌우의 에지부보다도 타이어 폭 방향 내측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와이어가 내경 측 교차 벨트(142)의 외주에 나선상으로 감아 돌려져, 둘레 방향 보강층(145)이 형성된다. 이 둘레 방향 보강층(145)이 타이어 둘레 방향의 강성을 보강하는 것에 의하여, 타이어의 내구 성능이 향상한다.
덧붙여, 벨트층(14)은 에지 커버를 가져도 무방하다(도시 생략). 일반적으로, 에지 커버는, 스틸 혹은 유기 섬유재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벨트 코드를 코트 고무로 피복하고 압연 가공하여 구성되고, ±5[deg]의 범위 내의 벨트 각도를 가진다. 또한, 에지 커버는, 외경 측 교차 벨트(143)(혹은 내경 측 교차 벨트(142))의 좌우의 에지부의 타이어 직경 방향 외측에 각각 배치된다. 이러한 에지 커버가 테 효과를 발휘하는 것에 의하여, 트레드부 센터 영역과 숄더 영역과의 직경 성장차가 완화되어, 타이어의 내편마모 성능이 향상한다.
[둘레 방향 보강층]
도 4는 도 1에 기재한 공기입 타이어의 둘레 방향 보강층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동 도면은, 둘레 방향 보강층을 구성하는 와이어의 감기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둘레 방향 보강층(145)은,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하여 ±5[deg]의 범위 내에서 경사하면서 나선상으로 감아 돌려진 적어도 1개의 와이어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이 실시 형태에서는, 벨트층(14)이, 교차 벨트(142, 143) 사이에 단일의 둘레 방향 보강층(145)을 구비하고 있다(도 2 및 도 3 참조). 또한, 둘레 방향 보강층(145)이, 타이어 적도면(CL)을 중심으로 타이어 폭 방향으로 연재하고, 트레드부 센터 영역의 대략 전역(全域)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둘레 방향 보강층(145)의 양 에지부가, 각 교차 벨트(142, 143)의 양 에지부보다도 타이어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둘레 방향 보강층(145)이, 내경 측 교차 벨트(142)의 외주에 나선상으로 감아 돌려진 단일의 와이어(1451)로 구성되어 있다(도 4 참조).
덧붙여, 이 실시 형태에서는, 둘레 방향 보강층(145)이, 한 쌍의 교차 벨트(142, 143)의 사이에 끼워 넣어져 배치되어 있다(도 2 참조). 그러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둘레 방향 보강층(145)이, 한 쌍의 교차 벨트(142, 143)의 내측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둘레 방향 보강층(145)이, (1) 고각도 벨트(141)와 내경 측 교차 벨트(142)와의 사이에 배치되어도 무방하고, (2) 카커스층(13)과 고각도 벨트(141)와의 사이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도시 생략).
[와이어 단부의 교차각 α]
도 5는 도 1에 기재한 공기입 타이어의 둘레 방향 보강층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5에 기재한 둘레 방향 보강층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이들 도면은, 와이어의 감기 구조와 타이어 둘레 방향의 강성과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둘레 방향 보강층의 일방의 에지부에 있는 와이어의 단부와 타방의 에지부에 있는 와이어의 단부와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교차각 α를 정의한다(도 4 참조). 이 교차각 α는 타이어 회전축 둘레의 각도이고, 일방의 에지부에 있는 와이어의 단부와 타방의 에지부에 있는 와이어의 단부가 타이어 둘레 방향에 교차(랩)하는 영역의 범위를 나타낸다. 또한, 교차각 α의 범위는 0[deg]≤α<360[deg]이다. 덧붙여, 1개의 둘레 방향 보강층(145)이 복수개의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구성에 관해서도, 교차각 α가 마찬가지로 정의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예를 들어, 이 실시 형태에서는, 벨트층(14)이, 교차 벨트(142, 143) 사이에 단일의 둘레 방향 보강층(145)을 구비하고, 이 둘레 방향 보강층(145)이, 내경 측 교차 벨트(142)의 외주에 나선상으로 감아 돌려진 단일의 와이어(1451)로 구성되어 있다(도 3 및 도 4 참조). 이 때문에, 교차각 α가, 와이어(1451)의 시단(始端)과 종단(終端)과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위치 관계에 의하여 규정되어 있다.
발명자들의 연구에 의하면, 타이어 둘레 방향의 강성은, 둘레 방향 보강층(145)의 좌우의 에지부에 있어서의 와이어의 단부를 기점(起點)으로 하여 변화한다(도 5 및 도 6 참조).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교차각 α가 0[deg]에 가까워지면(와이어(1451)의 단부의 위치가 가까워지면), 타이어 둘레 방향의 강성이 와이어(1451)의 각 단부의 주변에서 국소적으로 증가한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교차각 α가 360[deg]에 가까워지면, 타이어 둘레 방향의 강성이 와이어(1451)의 각 단부의 주변에서 국소적으로 감소한다.
그래서, 이 공기입 타이어(1)에서는, 둘레 방향 보강층(145)의 일방의 에지부에 있는 와이어(1451)의 단부와 타방의 에지부에 있는 와이어(1451)의 단부와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교차각 α가, 5[deg]≤α≤355[deg]의 범위 내에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둘레 방향 보강층(145)에 있어서의 와이어(1451)의 단부의 교차각 α가 적정화되기 때문에, 타이어 둘레 방향의 강성의 국소적인 변화가 억제된다(도 5 및 도 6 참조). 이것에 의하여, 둘레 방향 보강층의 주변에 있어서의 고무 재료의 세퍼레이션의 발생이 억제되어, 타이어의 내구성이 향상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교차각 α가 α=5[deg]인 구성에서는, α=3[deg]인 구성과 비교하여, 타이어 둘레 방향의 강성의 변화율이 현저하게 저감되는(그래프의 기울기가 완만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교차각 α가 α=355[deg]인 구성에서는, α=357[deg]인 구성과 비교하여, 타이어 둘레 방향의 강성의 변화율이 현저하게 저감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덧붙여, 이 공기입 타이어(1)에서는, 교차각 α가 20[deg]≤α≤40[deg]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둘레 방향 보강층(145)의 일방의 에지부에 있는 와이어(1451)의 단부와 타방의 에지부에 있는 와이어(1451)의 단부가 적당히 교차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여, 타이어 둘레 방향의 강성 변화가 효과적으로 완화된다.
또한, 이 공기입 타이어(1)에서는, 교차각 α가 5[deg]≤α≤30[deg] 및 330[deg]≤α≤355[deg]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30[deg]<α<330[deg]로 되는 위치를 제외하는 것에 의하여, 타이어의 중량 밸런스가 균일화되어, 타이어의 유니포미티(uniformity)가 향상한다.
[둘레 방향 보강층의 다중 감기 구조]
도 7 ~ 도 13은 도 5에 기재한 둘레 방향 보강층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이들 도면은, 다중 감기 구조를 가지는 둘레 방향 보강층을 도시하고 있다. 덧붙여, 이들 변형예에 있어서, 도 5의 둘레 방향 보강층과 동일 사항에 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의 구성에서는, 둘레 방향 보강층(145)이, 나선상으로 감아 돌려진 단일의 와이어(1451)로 구성되어 있다(도 3 및 도 4 참조). 그리고, 교차각 α가, 단일의 와이어(1451)의 시단과 종단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위치 관계에 의하여 규정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둘레 방향 보강층(145)이, 서로 병주하면서 나선상으로 감아 돌려진 복수개의 와이어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도 7 ~ 도 13 참조). 즉, 둘레 방향 보강층(145)이 다중 감기 구조를 가져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도, 교차각 α가 마찬가지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도 7 및 도 8의 변형예에서는, 둘레 방향 보강층(145)이, 서로 병주하면서 나선상으로 감아 돌려진 2개의 와이어(1451, 1452)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둘레 방향 보강층(145)의 일방의 에지부에 2개의 와이어(1451, 1452)의 시단이 각각 배치되고, 타방의 에지부에 2개의 와이어(1451, 1452)의 종단이 각각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와이어(1451, 1452)의 시단이 타이어 둘레 방향의 위치를 서로 가지런히 하여 배치되고, 또한, 이러한 종단이 타이어 둘레 방향의 위치를 서로 가지런히 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9 ~ 도 12의 변형예에서는, 도 7 및 도 8의 변형예에 있어서, 2개의 와이어(1451, 1452)의 시단이 타이어 둘레 방향의 위치를 서로 엇갈리게 하여 배치되고, 또한, 이러한 종단이 타이어 둘레 방향의 위치를 서로 엇갈리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도 7 및 도 8의 변형예와 비교하여, 타이어 둘레 방향의 강성 변화가 효과적으로 완화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덧붙여, 둘레 방향 보강층(145)의 좌우의 에지부에서는, 도 9와 같이, 둘레 방향 보강층(145)의 폭 방향 내측에 있는 와이어가 길어도 무방하고, 도 10과 같이, 둘레 방향 보강층(145)의 폭 방향 외측에 있는 와이어가 길어도 무방하다.
여기서, 둘레 방향 보강층(145)의 좌우의 에지부에 있어서의 각 와이어(1451, 1452)의 단부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엇갈림각을, 타이어 회전축 둘레의 각도 β1[deg] 및 β2[deg]를 이용하여 정의한다. 이러한 엇갈림각 β1, β2의 범위는, 0[deg]≤β1≤180[deg] 및 0[deg]≤β2≤180[deg]이다.
교차각 α는, 이러한 엇갈림각 β1, β2에 따라 이하와 같이 정의된다.
우선, 도 7 및 도 8의 변형예에서는, 둘레 방향 보강층(145)의 좌우의 에지부에서, 각 와이어(1451, 1452)의 단부가 각각 가지런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엇갈림각 β1, β2가 β1=β2=0[deg]으로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2개의 와이어(1451, 1452)의 시단과 종단의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교차각 α가 정의된다.
또한, 도 9 및 도 10의 변형예에서는, 엇갈림각 β1, β2가 0[deg]<β1<5[deg] 또한 0[deg]<β2<5[deg]의 범위 내에 있고, 2개의 와이어(1451, 1452)의 단부가 거의 가지런하게 된 상태에 있다. 그래서, 이와 같은 경우에는, 2개의 와이어(1451, 1452)의 시단끼리의 중점 M1 및 종단끼리의 중점 M2를 각각 취하여, 이러한 중점 M1, M2에 의하여, 2개의 와이어(1451, 1452)의 단부 위치를 근사(近似)한다. 그리고, 중점 M1, M2의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교차각 α가 정의된다.
또한, 도 11의 변형예에서는, 엇갈림각 β1, β2가 0[deg]<β1<5[deg] 또한 5[deg]≤β2≤180[deg]의 범위 내에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일방의 엇갈림각 β1에 관하여, 도 9 및 도 10의 변형예와 마찬가지로, 중점 M1을 이용하여 2개의 와이어(1451, 1452)의 단부 위치를 근사한다. 그리고, 이 중점 M1과 타방의 에지부에 있는 2개의 와이어(1451, 1452)의 단부와의 각 조합에 관하여, 교차각 α1, α2가 각각 정의된다.
또한, 도 12의 변형예에서는, 엇갈림각 β1, β2가 5[deg]≤β1≤180[deg] 또한 5[deg]≤β2≤180[deg]의 범위 내에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둘레 방향 보강층(145)의 일방의 에지부에 있는 2개의 와이어(1451, 1452)의 단부와, 타방의 에지부에 있는 2개의 와이어(1451, 1452)의 단부와의 각 조합에 관하여, 교차각 α1 ~ α4가 각각 정의된다. 여기에서는, 둘레 방향 보강층(145)이 2개의 와이어(1451, 1452)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4개의 교차각 α1 ~ α4가 생긴다.
도 7 ~ 도 11의 변형예에서는, 교차각 α(α1, α2)가 10[deg]≤α≤350[deg]의 범위 내에 설정된다. 덧붙여, 둘레 방향 보강층(145)이 단일의 와이어(1451)로 이루어지는 구성(도 5 및 도 6 참조)과 비교하여, α의 범위가 좁은 것은, 둘레 방향 보강층(145)이 복수개의 와이어(1451, 1452)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타이어 둘레 방향의 강성 변화율이 큰 것에 의한다(도 7 및 도 8 참조).
또한, 도 12의 변형예에서는, 교차각 α(α1 ~ α4)가 5[deg]≤α≤355[deg]의 범위 내에 설정된다. 덧붙여, 도 11 및 도 12의 변형예와 같이, 복수의 교차각 α1 ~ α4가 생기는 경우에는, 모든 교차각 α1 ~ α4가, 상기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요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둘레 방향 보강층(145)에 있어서의 각 와이어(1451, 1452)의 단부의 교차각 α(α1 ~ α4)가 적정화되어, 타이어 둘레 방향의 강성의 국소적인 변화가 억제된다(예를 들어, 도 7 및 도 8 참조). 이것에 의하여, 둘레 방향 보강층의 주변에 있어서의 고무 재료의 세퍼레이션의 발생이 억제되어, 타이어의 내구성이 향상한다.
덧붙여, 도 7 ~ 도 12의 변형예에서는, 교차각 α(α1 ~ α4)가 15[deg]≤α≤30[deg]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둘레 방향 보강층(145)의 일방의 에지부에 있는 와이어(1451, 1452)의 단부와 타방의 에지부에 있는 와이어(1451, 1452)의 단부가 적당히 교차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여, 타이어 둘레 방향의 국소적인 강성 변화가 효과적으로 완화된다.
또한, 도 7 ~ 도 12의 변형예에서는, 교차각 α가 10[deg]≤α≤30[deg] 및 330[deg]≤α≤350[deg]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30[deg]<α<330[deg]로 되는 위치를 제외하는 것에 의하여, 타이어의 중량 밸런스가 균일화되어, 타이어의 유니포미티가 향상한다.
또한, 도 7 ~ 도 12의 변형예에서는, 둘레 방향 보강층(145)이 2개의 와이어(1451, 1452)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둘레 방향 보강층(145)이 3개 이상의 와이어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도 13 참조).
예를 들어, 도 13의 변형예는, 둘레 방향 보강층(145)이 3개의 와이어(1451 ~ 1453)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둘레 방향 보강층(145)이 3개 이상의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구성에서는, 둘레 방향 보강층(145)의 각 에지부에 있어서의 각 와이어(1451 ~ 1453)의 단부의 엇갈림각의 최대값(가장 떨어져 있는 단부 사이의 각도) β1, β2가 이용되어, 교차각 α가 정의된다. 구체적으로는, 엇갈림각의 최대값 β1, β2 중 적어도 일방이, 0[deg] 이상 5[deg] 미만의 범위 내에 있는 경우(도 13 참조)에는, 도 7 ~ 도 11의 변형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교차각 α가 10[deg]≤α≤350[deg]의 범위 내에 설정된다. 또한, 엇갈림각의 최대값 β1, β2가 5[deg]≤β1≤180[deg] 또한 5[deg]≤β2≤180[deg]의 범위 내에 있는 경우(도시 생략)에는, 도 12의 변형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교차각 α가 5[deg]≤α≤355[deg]의 범위 내에 설정된다.
덧붙여, 도 7 ~ 도 13의 변형예와 같이, 둘레 방향 보강층(145)이 복수개의 와이어를 서로 병주시키면서 나선상으로 감아 돌려 이루어지는 구성(다중 감기 구조)에서는, 와이어의 개수가 5개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5개의 와이어를 다중 감기 하였을 때의 단위당 감기 폭이 12[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여, 복수개(2개 이상 5개 이하)의 와이어를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하여 ±5[deg]의 범위 내에서 경사시키면서 적정하게 감을 수 있다.
[둘레 방향 보강층의 분할 구조]
도 14 ~ 도 18은 도 5에 기재한 둘레 방향 보강층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이들 도면은, 분할 구조를 가지는 둘레 방향 보강층을 도시하고 있다. 덧붙여, 이들 변형예에 있어서, 도 5의 둘레 방향 보강층과 동일 사항에 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의 구성에서는, 둘레 방향 보강층(145)이 단일 구조를 가지고, 나선상으로 감아 돌려진 단일의 와이어(1451)로 구성되어 있다(도 3 및 도 4 참조). 이 때문에, 와이어(1451)의 시단과 종단이, 둘레 방향 보강층(145)의 좌우의 에지부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교차각 α가 와이어(1451)의 시단과 종단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위치 관계에 의하여 규정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둘레 방향 보강층(145)이 타이어 폭 방향으로 복수 분할된 분할 구조를 가져도 무방하다. 바꾸어 말하면, 둘레 방향 보강층(145)이, 타이어 폭 방향의 중앙부에 와이어의 단부를 가져도 무방하다. 이것에 의하여, 복수개의 와이어를 감기 시작하여 둘레 방향 보강층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타이어의 생산성이 향상한다.
예를 들어, 도 14 ~ 도 16의 변형예에서는, 둘레 방향 보강층(145)이, 중앙부에서 타이어 폭 방향으로 2분할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둘레 방향 보강층(145)이, 좌우의 분할부(145L, 145R)로 이루어지고, 타이어 폭 방향의 중앙부에 와이어(1451, 1452)의 단부를 가지고 있다. 또한, 1개의 분할부(145L(145R))가, 내경 측 교차 벨트(142)의 외주에 나선상으로 감아 돌려진 단일의 와이어(1451(1452))로 이루어지는 단일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둘레 방향 보강층(145)이 전체적으로 4개의 와이어 단부를 가지고 있다.
분할 구조를 가지는 둘레 방향 보강층(145)에서는, 교차각 α가, 둘레 방향 보강층(145)의 좌우의 에지부(좌우의 분할부(145L, 145R)의 타이어 폭 방향의 외측의 에지부)에 있는 와이어(1451, 1452)의 단부를 기준으로 하여 정의되어, 적정화된다. 도 14 ~ 도 16의 변형예에서는, 좌우의 분할부(145L, 145R)가 모두 단일의 와이어(1451, 1452)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교차각 α가 5[deg]≤α≤355[deg]의 범위 내에 있도록, 와이어(1451, 1452)의 단부의 위치가 각각 조정되어 있다. 이 점은, 도 5 및 도 6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둘레 방향 보강층(145)의 분할부(145L, 145R)가, 나선상으로 감아 돌려진 X개(X : 자연수)의 와이어(1451, 1452)로 이루어질 때에, 타이어 둘레 방향에 수직인 단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의 와이어의 외관상 개수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가, 타이어 회전축 둘레의 임의의 30[deg]의 구간에서 X개 이하로 되도록, 와이어(1451, 1452)의 단부의 위치가 각각 조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분할부(145L, 145R)의 와이어(1451, 1452)의 단부의 위치가 적정화되기 때문에, 타이어 둘레 방향의 국소적인 강성 변화가 효과적으로 완화된다.
예를 들어, 도 14 및 도 15의 변형예에서는, 도면 중에서 왼쪽 방향으로 되는 와이어의 단부를 시단이라고 부르고, 오른쪽 방향으로 되는 와이어의 단부를 종단이라고 부를 때에, 와이어(1451, 1452)의 시단과 종단이 타이어 둘레 방향을 향하여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타이어 둘레 방향에 수직인 단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의 와이어의 외관상 개수가, 임의의 위치에서, N[개] 혹은 N+1[개]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와이어의 외관상 개수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가, 타이어 둘레 방향의 임의의 구간에서 1개 이하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6의 변형예에서는, 와이어(1451, 1452)의 시단(종단)이 타이어 둘레 방향을 향하여 연속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웃하는 시단(종단)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배치 각도 θ1(θ2)이, 30[deg] <θ1(30[deg]<θ2)로 되도록, 와이어(1451, 1452)의 단부의 위치가 각각 조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와이어의 외관상 개수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가, 타이어 둘레 방향의 임의의 구간에서 1개 이하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덧붙여, 배치 각도 θ1(θ2)은, 타이어 회전축 둘레의 각도이며, 이웃하는 와이어(1451, 1452)의 시단(종단)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배치 간격을 나타낸다. 또한, 시단(종단)의 배치 각도 θ1(θ2)의 상한은, 와이어(1451, 1452)의 시단(종단)이 타이어 둘레 방향을 향하여 연속하여 배치되는 것으로부터, 종단(시단)의 위치에 의하여 제약을 받는다.
다음으로, 도 17의 변형예는, 도 14 ~ 도 16의 변형예와 비교하여, 1개의 분할부(145L(145R))가, 서로 병주하면서 나선상으로 감아 돌려진 2개의 와이어(1451, 1452(1453, 1454))로 이루어지는 점에서 상이하다. 또한, 이웃하는 와이어(1451, 1452(1453, 1454))의 시단이 타이어 둘레 방향의 위치를 서로 가지런히 하여 배치되고, 또한, 이러한 종단이 타이어 둘레 방향의 위치를 서로 가지런히 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엇갈림각 β1, β2가 β1=β2=0[deg]으로 되어 있다. 또한, 둘레 방향 보강층(145)이 전체적으로 8개의 와이어 단부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도 17의 변형예에서는, 교차각 α가 10[deg]≤α≤350[deg]의 범위 내에 있도록, 와이어(1451 ~ 1454)의 단부의 위치가 각각 조정되어 있다. 이 점은, 도 7 및 도 8의 변형예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도 17의 변형예에서는, 타이어 둘레 방향에 수직인 단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의 와이어의 외관상 개수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가, 타이어 회전축 둘레의 임의의 30[deg]의 구간에서 2개 이하로 되도록, 와이어(1451 ~ 1454)의 단부의 위치가 각각 조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지런하게 된 한 쌍의 와이어(1451, 1452 ; 1453, 1454)의 시단과 종단이, 타이어 둘레 방향을 향하여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타이어 둘레 방향에 수직인 단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의 와이어의 외관상 개수가, 임의의 위치에서, N[개] 혹은 N+2[개]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와이어의 외관상 개수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가, 타이어 둘레 방향의 임의의 구간에서 2개 이하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18의 변형예에서는, 도 17의 변형예와 비교하여, 이웃하는 와이어(1451, 1452(1453, 1454))의 시단 및 종단이, 타이어 둘레 방향에 위치를 엇갈리게 하여 배치되는 점에서 상이하다. 이 때문에, 둘레 방향 보강층(145)의 좌우의 에지부에서 이웃하는 와이어(1451, 1452 ; 1453, 1454)의 단부가, 각각 엇갈림각 β2, β1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러한 엇갈림각 β1, β2가 0[deg]<β1<5[deg] 또한 0[deg]<β2<5[deg]의 범위 내에 있고, 이웃하는 와이어(1451, 1452 ; 1453, 1454)의 단부가 거의 가지런하게 된 상태에 있다.
그래서, 도 18의 변형예에서는, 교차각 α가 10[deg]≤α≤350[deg]의 범위 내에 있도록, 와이어(1451 ~ 1454)의 단부의 위치가 각각 조정되어 있다. 이 점은, 도 9의 변형예와 마찬가지이다.
덧붙여, 도 18의 변형예에 있어서, 엇갈림각 β1, β2가, 5[deg]≤β1≤180[deg] 또한 5[deg]≤β2≤180[deg]의 범위 내에 있어도 무방하다(도시 생략). 이와 같은 경우에는, 둘레 방향 보강층(145)의 일방의 에지부에 있는 2개의 와이어(1451, 1452)의 단부와, 타방의 에지부에 있는 2개의 와이어(1451, 1452)의 단부와의 각 조합에 관하여, 교차각 α(α1 ~ α4)가 각각 정의된다. 이 점은 도 12의 변형예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도 18의 변형예에서는, 타이어 둘레 방향에 수직인 단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의 와이어의 외관상 개수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가, 타이어 회전축 둘레의 임의의 30[deg]의 구간에서 2개 이하로 되도록, 와이어(1451 ~ 1454)의 단부의 위치가 각각 조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와이어(1451 ~ 1454)의 시단과 종단이, 타이어 둘레 방향을 향하여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타이어 둘레 방향에 수직인 단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의 와이어의 외관상 개수가, 임의의 위치에서, N[개], N+1[개] 혹은 N+2[개]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와이어의 외관상 개수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가, 타이어 둘레 방향의 임의의 구간에서 2개 이하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덧붙여, 도 17 및 도 18의 변형예에서는, 둘레 방향 보강층(145)의 좌우의 분할부(145L, 145R)가, 2개의 와이어(1451, 1452 ; 1453, 1454)로 이루어지는 2개 감기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둘레 방향 보강층(145)의 좌우의 분할부(145L, 145R)가, 서로 병주하면서 나선상으로 감아 돌려진 3개 이상의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다중 감기 구조를 가져도 무방하다(도시 생략).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도, 도 7 ~ 도 13, 도 17 및 도 18의 변형예와 마찬가지로, 교차각 α를 적정화할 수 있다. 또한, 도 18의 변형예와 마찬가지로, 타이어 둘레 방향에 수직인 단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의 와이어의 외관상 개수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가, 타이어 회전축 둘레의 임의의 30[deg]의 구간에서 분할부(145L, 145R)를 구성하는 와이어의 개수 이하로 되도록, 와이어의 단부의 위치가 각각 조정된다.
또한, 도 14 ~ 도 18의 변형예에서는, 둘레 방향 보강층(145)이 좌우의 분할부(145L, 145R)로 이루어지는 2분할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둘레 방향 보강층(145)이 3분할 이상의 다분할 구조를 가져도 무방하다(도시 생략). 나아가, 각 분할부가, 서로 다른 개수의 와이어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이 때, 교차각 α는, 둘레 방향 보강층(145)의 좌우의 에지부(타이어 폭 방향의 가장 외측에 있는 좌우의 에지부)에 있는 와이어의 단부를 기준으로 하여 정의되어, 적정화된다. 또한, 타이어 둘레 방향에 수직인 단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의 와이어의 외관상 개수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는, 타이어 폭 방향의 가장 외측에 있는 좌우의 분할부에 있어서의 와이어의 개수의 최대값을 기준으로 하여 적정화된다.
[부가적 사항]
덧붙여, 이 공기입 타이어(1)에서는, 둘레 방향 보강층(145)이, 한 쌍의 교차 벨트(142, 143) 중 폭이 좁은 교차 벨트(143)의 좌우의 에지부보다도 타이어 폭 방향 내측에 배치된다(도 3 참조). 또한, 폭이 좁은 교차 벨트(143)의 폭 W와, 둘레 방향 보강층(145)의 에지부로부터 폭이 좁은 교차 벨트(143)의 에지부까지의 거리 S가, 0.03≤S/W의 범위에 있다.
예를 들어, 이 실시 형태에서는, 외경 측 교차 벨트(143)가 폭이 좁은 구조를 가지고, 둘레 방향 보강층(145)이 외경 측 교차 벨트(143)의 좌우의 에지부보다도 타이어 폭 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외경 측 교차 벨트(143)와 둘레 방향 보강층(145)이 타이어 적도면(CL)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타이어 적도면(CL)을 경계로 하는 일방의 영역에서, 외경 측 교차 벨트(143)의 에지부와 둘레 방향 보강층(145)의 에지부와의 위치 관계 S/W가 상기의 범위 내로 적정화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교차 벨트(142, 143)의 에지부와 둘레 방향 보강층(145)의 에지부와의 위치 관계 S/W가 적정화되어, 둘레 방향 보강층(145)의 주변 고무 재료에 발생하는 일그러짐을 저감할 수 있다.
덧붙여, 폭 W 및 거리 S는, 타이어 자오선 방향의 단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의 타이어 폭 방향의 거리로서 측정된다. 또한, S/W의 상한값은,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둘레 방향 보강층(145)의 폭 Ws와 폭이 좁은 교차 벨트(143)의 폭 W와의 관계에서 제약을 받는다.
또한, 둘레 방향 보강층(145)의 폭 Ws는, 일반적으로, 60≤Ws/W로 설정된다. 덧붙여, 둘레 방향 보강층(145)의 폭 Ws는, 둘레 방향 보강층(145)이 분할 구조를 가지는 경우(도 14 참조)에는, 각 분할부(145L, 145R)의 폭의 총합으로 된다.
또한, 이 공기입 타이어(1)에서는, 둘레 방향 보강층(145)을 구성하는 와이어(1451)가 스틸 와이어이고, 둘레 방향 보강층(145)이 17[개/50mm] 이상 30[개/50mm] 이하의 엔드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와이어 직경이, 1.2[mm] 이상 2.2[mm] 이하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와이어가 합쳐져 꼬아진 복수개의 와이어 코드로 이루어지는 구성에서는, 와이어 직경이 와이어의 외접원(外接圓)의 직경으로서 측정된다.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공기입 타이어(1)는, 한 쌍의 교차 벨트(142, 143)와, 이러한 교차 벨트(142, 143) 사이 혹은 이러한 교차 벨트(142, 143)보다도 타이어 직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둘레 방향 보강층(145)을 가지는 벨트층(14)을 구비한다(도 1 및 도 2 참조). 또한, 둘레 방향 보강층(145)이,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하여 ±5[deg]의 범위 내에서 경사하면서 나선상으로 감아 돌려진 1개의 와이어(1451)로 이루어진다(도 4 참조). 또한, 둘레 방향 보강층(145)의 일방의 에지부에 있는 와이어 단부와 타방의 에지부에 있는 와이어 단부와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교차각 α가, 5[deg]≤α≤355[deg]의 범위 내에 있다(도 5 및 도 6 참조).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둘레 방향 보강층(145)에 있어서의 와이어(1451)의 단부의 교차각 α가 적정화되기 때문에, 타이어 둘레 방향의 강성의 국소적인 변화가 억제된다(도 5 및 도 6 참조). 이것에 의하여, 둘레 방향 보강층의 주변에 있어서의 고무 재료의 세퍼레이션의 발생이 억제되어, 타이어의 내구성이 향상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 공기입 타이어(1)에서는, 둘레 방향 보강층(145)이,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하여 ±5[deg]의 범위 내에서 경사하는 것과 함께 서로 병주하면서 나선상으로 감아 돌려진 복수개의 와이어로 이루어진다(도 7 ~ 도 11 참조). 또한, 둘레 방향 보강층(145)의 일방의 에지부에 있는 복수개의 와이어의 단부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엇갈림각 β1과, 타방의 에지부에 있는 복수개의 와이어의 단부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엇갈림각 β2 중 적어도 일방이, 0[deg] 이상 5[deg] 미만의 범위 내에 있다. 또한, 둘레 방향 보강층(145)의 일방의 에지부에 있는 와이어(1451, 1452)의 단부와 타방의 에지부에 있는 와이어(1451, 1452)의 단부와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교차각 α(α1, α2)가, 10[deg]≤α≤350[deg]의 범위 내에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둘레 방향 보강층(145)에 있어서의 각 와이어(1451, 1452)의 단부의 교차각 α(α1, α2)가 적정화되어, 타이어 둘레 방향의 강성의 국소적인 변화가 억제된다(예를 들어, 도 7 및 도 8 참조). 이것에 의하여, 둘레 방향 보강층의 주변에 있어서의 고무 재료의 세퍼레이션의 발생이 억제되어, 타이어의 내구성이 향상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 공기입 타이어(1)에서는, 둘레 방향 보강층(145)이,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하여 ±5[deg]의 범위 내에서 경사하는 것과 함께 서로 병주하면서 나선상으로 감아 돌려진 복수개의 와이어로 이루어진다(도 12 참조). 또한, 둘레 방향 보강층(145)의 일방의 에지부에 있는 복수개의 와이어의 단부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엇갈림각 β1과, 타방의 에지부에 있는 복수개의 와이어의 단부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엇갈림각 β2가, 5[deg]≤β1≤180[deg] 또한 5[deg]≤β2≤180[deg]의 범위 내에 있다. 또한, 둘레 방향 보강층(145)의 일방의 에지부에 있는 와이어(1451, 1452)의 단부와 타방의 에지부에 있는 와이어(1451, 1452)의 단부와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교차각 α(α1 ~ α4)가, 5[deg]≤α≤355[deg]의 범위 내에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둘레 방향 보강층(145)에 있어서의 각 와이어(1451, 1452)의 단부의 교차각 α(α1 ~ α4)가 적정화되어, 타이어 둘레 방향의 강성의 국소적인 변화가 억제된다. 이것에 의하여, 둘레 방향 보강층(145)의 주변에 있어서의 고무 재료의 세퍼레이션의 발생이 억제되어, 타이어의 내구성이 향상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 공기입 타이어(1)에서는, 둘레 방향 보강층(145)이, 타이어 폭 방향으로 복수 분할된 분할 구조를 가진다(도 14 ~ 도 16 참조). 또한, 둘레 방향 보강층(145)의 분할부(145L, 145R)가,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하여 ±5[deg]의 범위 내에서 경사하면서 나선상으로 감아 돌려진 1개의 와이어로 이루어진다. 또한, 둘레 방향 보강층(145)의 일방의 에지부(일방의 분할부(145L)의 타이어 폭 방향의 외측의 에지부)에 있는 와이어 단부와 타방의 에지부(일방의 분할부(145R)의 타이어 폭 방향의 외측의 에지부)에 있는 와이어 단부와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교차각 α가, 5[deg]≤α≤355[deg]의 범위 내에 있다. 또한, 타이어 둘레 방향에 수직인 단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의 와이어의 외관상 개수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가, 타이어 회전축 둘레의 임의의 30[deg]의 구간에서 1개 이하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분할부(145L, 145R)의 와이어의 단부의 위치가 적정화되기 때문에, 타이어 둘레 방향의 국소적인 강성 변화가 효과적으로 완화된다.
또한, 이 공기입 타이어(1)에서는, 둘레 방향 보강층(145)이, 타이어 폭 방향으로 복수 분할된 분할 구조를 가진다(도 17 및 도 18 참조). 또한, 둘레 방향 보강층(145)의 분할부(145L, 145R)가,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하여 ±5[deg]의 범위 내에서 경사하면서 나선상으로 감아 돌려진 복수개의 와이어로 이루어진다. 또한, 둘레 방향 보강층(145)의 일방의 에지부에 있는 복수개의 와이어의 단부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엇갈림각 β1과, 타방의 에지부에 있는 복수개의 와이어의 단부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엇갈림각 β2 중 적어도 일방이, 0[deg] 이상 5[deg] 미만의 범위 내에 있다. 또한, 둘레 방향 보강층(145)의 일방의 에지부에 있는 와이어 단부와 타방의 에지부에 있는 와이어 단부와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교차각 α가, 10[deg]≤α≤350[deg]의 범위 내에 있다. 또한, 타이어 둘레 방향에 수직인 단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의 와이어의 외관상 개수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가, 타이어 회전축 둘레의 임의의 30[deg]의 구간에서 분할부(145L, 145R)를 구성하는 와이어의 개수 이하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분할부(145L, 145R)의 와이어의 단부의 위치가 적정화되기 때문에, 타이어 둘레 방향의 국소적인 강성 변화가 효과적으로 완화된다.
또한, 이 공기입 타이어(1)에서는, 둘레 방향 보강층(145)이, 타이어 폭 방향으로 복수 분할된 분할 구조를 가진다(도시 생략). 또한, 둘레 방향 보강층(145)의 분할부(145L, 145R)가,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하여 ±5[deg]의 범위 내에서 경사하면서 나선상으로 감아 돌려진 복수개의 와이어로 이루어진다. 또한, 둘레 방향 보강층(145)의 일방의 에지부에 있는 복수개의 와이어의 단부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엇갈림각 β1과, 타방의 에지부에 있는 복수개의 와이어의 단부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엇갈림각 β2가, 5[deg]≤β1≤180[deg] 또한 5[deg]≤β2≤180[deg]의 범위 내에 있다. 또한, 둘레 방향 보강층(145)의 일방의 에지부에 있는 와이어 단부와 타방의 에지부에 있는 와이어 단부와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교차각 α가, 5[deg]≤α≤355[deg]의 범위 내에 있다. 또한, 타이어 둘레 방향에 수직인 단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의 와이어의 외관상 개수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가, 타이어 회전축 둘레의 임의의 30[deg]의 구간에서 분할부(145L, 145R)를 구성하는 와이어의 개수 이하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분할부(145L, 145R)의 와이어의 단부의 위치가 적정화되기 때문에, 타이어 둘레 방향의 국소적인 강성 변화가 효과적으로 완화된다.
또한, 이 공기입 타이어(1)에서는, 둘레 방향 보강층(145)이, 한 쌍의 교차 벨트(142, 143) 중 폭이 좁은 교차 벨트(143)의 좌우의 에지부보다도 타이어 폭 방향 내측에 배치된다(도 3 참조). 또한, 폭이 좁은 교차 벨트(143)의 폭 W와, 둘레 방향 보강층(145)의 에지부로부터 폭이 좁은 교차 벨트(143)의 에지부까지의 거리 S가, 0.03≤S/W의 범위에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교차 벨트(142, 143)의 에지부와 둘레 방향 보강층(145)의 에지부와의 위치 관계 S/W가 적정화되어, 둘레 방향 보강층(145)의 주변 고무 재료에 발생하는 일그러짐을 저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 공기입 타이어(1)에서는, 둘레 방향 보강층(145)을 구성하는 와이어가 스틸 와이어이고, 둘레 방향 보강층(145)이 17[개/50mm] 이상 30[개/50mm] 이하의 엔드수를 가진다. 이것에 의하여, 둘레 방향 보강층(145)의 구조 강도가 적정하게 확보된다.
또한, 이 공기입 타이어(1)에서는, 둘레 방향 보강층(145)을 구성하는 와이어의 직경이, 1.2[mm] 이상 2.2[mm] 이하의 범위 내에 있다. 이것에 의하여, 둘레 방향 보강층(145)의 구조 강도가 적정하게 확보된다.
또한, 공기입 타이어(1)는, 편평률 S를 S≤70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공기입 타이어(1)는, 본 실시 형태와 같이, 버스 트럭용 등의 중하중용 공기입 타이어로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평률 S가 S≤70인 공기입 타이어, 특히 버스 트럭용 등의 중하중용 공기입 타이어는, 둘레 방향 보강층을 배치하는 것으로 내구성 등 다양한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 본 실시 형태와 같이, 둘레 방향 보강층 단부의 위치를 규정하는 것으로, 타이어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의 성능 시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이 성능 시험에서는, 서로 다른 복수의 공기입 타이어에 관하여, (1) 내구 성능 및 (2) 중량 밸런스에 관한 평가가 행하여졌다(도 19 참조). 또한, 타이어 사이즈 445/50R22.5의 공기입 타이어가 TRA 규정의 「Design Rim」에 조립되고, 이 공기입 타이어에 TRA 규정의 「TIRE LOAD LIMITS AT VARIOUS COLD INFLATION PRESSURES」의 최대값 및 「TIRE LOAD LIMITS AT VARIOUS COLD INFLATION PRESSURES」의 최대값이 부여된다.
(1) 내구 성능에 관한 평가에서는, 실내 드럼 시험기가 이용되고, 공기압을 TRA 규정의 80[%]로 하여, 타이어가 고장날 때까지의 주행거리가 측정된다. 그리고, 이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종래예를 기준(100)으로 한 지수 평가가 행하여진다. 이 평가는, 그 수치가 클수록 바람직하고, 105 이상이면 우위성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2) 중량 밸런스에 관한 평가에서는, 정지 상태에서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중량 밸런스가 측정된다. 그리고, 이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종래예를 기준(100)으로 한 지수 평가가 행하여진다. 이 평가는, 그 수치가 클수록 바람직하고, 98 이상이면 중량 밸런스가 적정하게 확보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실시예 1 ~ 4, 21의 공기입 타이어(1)는 도 5 혹은 도 6의 구성을 가지고, 둘레 방향 보강층(145)이 1개의 와이어(1451)를 나선상으로 감아 돌려 이루어지는 단일 구조를 가지고 있다. 실시예 5 ~ 실시예 16의 공기입 타이어(1)는 도 7 ~ 도 9 혹은 도 12의 구성을 가지고, 둘레 방향 보강층(145)이 2개의 와이어(1451, 1452)를 나선상으로 감아 돌려 이루어지는 단일 구조를 가지고 있다. 실시예 17 ~ 20은 도 14 혹은 도 15의 구성을 가지며, 둘레 방향 보강층(145)이 좌우의 분할부(145L, 145R)로 이루어지는 분할 구조를 가지고, 이러한 분할부(145L, 145R)가 1개의 와이어를 나선상으로 감아 돌려 이루어지는 단일 구조를 가지고 있다.
종래예의 공기입 타이어는, 도 1의 구성에 있어서, 둘레 방향 보강층을 가지지 않는다.
시험 결과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 21의 공기입 타이어에서는, 타이어의 내구 성능이 향상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교차각 α가 적정화되는 것에 의하여, 타이어의 중량 밸런스가 향상하는 것을 알 수 있다.
1 : 공기입 타이어 11 : 비드 코어
12 : 비드 필러 13 : 카커스층
14 : 벨트층 15 : 트레드 고무
16 : 사이드 월 고무 21 ~ 23 : 둘레 방향 주 홈
31 ~ 34 : 육부 121 : 로우어 필러
122 : 어퍼 필러 141 : 고각도 벨트
142 : 내경 측 교차 벨트 143 : 외경 측 교차 벨트
144 : 벨트 커버 145 : 둘레 방향 보강층
145L, 145R : 분할부 1451 ~ 1454 : 와이어

Claims (9)

  1. 한 쌍의 교차 벨트와, 상기 교차 벨트 사이 혹은 상기 교차 벨트보다도 타이어 직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둘레 방향 보강층을 가지는 벨트층을 구비하는 공기입 타이어이고,
    상기 둘레 방향 보강층이,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하여 ±5[deg]의 범위 내에서 경사하면서 나선상(螺旋狀)으로 감아 돌려진 1개의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한 겹 감기 구조를 가지고,
    상기 둘레 방향 보강층의 일방(一方)의 에지부에 있는 상기 와이어의 단부(端部)와 타방(他方)의 에지부에 있는 상기 와이어의 단부와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교차각 α가, 5[deg]≤α≤355[deg]의 범위 내에 있고, 또한,
    상기 둘레 방향 보강층이, 상기 한 쌍의 교차 벨트 중 폭이 좁은 교차 벨트의 좌우의 에지부보다도 타이어 폭 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것과 함께, 상기 폭이 좁은 교차 벨트의 폭 W와, 상기 둘레 방향 보강층의 에지부로부터 상기 폭이 좁은 교차 벨트의 에지부까지의 거리 S가, 0.03≤S/W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2. 한 쌍의 교차 벨트와, 상기 교차 벨트 사이 혹은 상기 교차 벨트보다도 타이어 직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둘레 방향 보강층을 가지는 벨트층을 구비하는 공기입 타이어이고,
    상기 둘레 방향 보강층이,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하여 ±5[deg]의 범위 내에서 경사하는 것과 함께 서로 병주(倂走)하면서 나선상으로 감아 돌려진 복수개의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한 겹 감기 구조를 가지고,
    상기 둘레 방향 보강층의 일방의 에지부에 있는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의 단부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엇갈림각 β1과, 타방의 에지부에 있는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의 단부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엇갈림각 β2 중 적어도 일방이, 0[deg] 이상 5[deg] 미만의 범위 내에 있고,
    상기 둘레 방향 보강층의 일방의 에지부에 있는 상기 와이어의 단부와 타방의 에지부에 있는 상기 와이어의 단부와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교차각 α가, 10[deg]≤α≤350[deg]의 범위 내에 있고, 또한,
    상기 둘레 방향 보강층이, 상기 한 쌍의 교차 벨트 중 폭이 좁은 교차 벨트의 좌우의 에지부보다도 타이어 폭 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것과 함께, 상기 폭이 좁은 교차 벨트의 폭 W와, 상기 둘레 방향 보강층의 에지부로부터 상기 폭이 좁은 교차 벨트의 에지부까지의 거리 S가, 0.03≤S/W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3. 한 쌍의 교차 벨트와, 상기 교차 벨트 사이 혹은 상기 교차 벨트보다도 타이어 직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둘레 방향 보강층을 가지는 벨트층을 구비하는 공기입 타이어이고,
    상기 둘레 방향 보강층이,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하여 ±5[deg]의 범위 내에서 경사하는 것과 함께 서로 병주하면서 나선상으로 감아 돌려진 복수개의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한 겹 감기 구조를 가지고,
    상기 둘레 방향 보강층의 일방의 에지부에 있는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의 단부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엇갈림각 β1과, 타방의 에지부에 있는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의 단부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엇갈림각 β2가, 5[deg]≤β1≤180[deg] 또한 5[deg]≤β2≤180[deg]의 범위 내에 있고,
    상기 둘레 방향 보강층의 일방의 에지부에 있는 상기 와이어의 단부와 타방의 에지부에 있는 상기 와이어의 단부와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교차각 α가, 5[deg]≤α≤355[deg]의 범위 내에 있고, 또한,
    상기 둘레 방향 보강층이, 상기 한 쌍의 교차 벨트 중 폭이 좁은 교차 벨트의 좌우의 에지부보다도 타이어 폭 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것과 함께, 상기 폭이 좁은 교차 벨트의 폭 W와, 상기 둘레 방향 보강층의 에지부로부터 상기 폭이 좁은 교차 벨트의 에지부까지의 거리 S가, 0.03≤S/W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4. 한 쌍의 교차 벨트와, 상기 교차 벨트 사이 혹은 상기 교차 벨트보다도 타이어 직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둘레 방향 보강층을 가지는 벨트층을 구비하는 공기입 타이어이고,
    상기 둘레 방향 보강층이, 타이어 폭 방향으로 복수 분할된 분할 구조를 가지는 것과 함께, 상기 둘레 방향 보강층의 분할부가,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하여 ±5[deg]의 범위 내에서 경사하면서 나선상으로 감아 돌려진 1개의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한 겹 감기 구조를 가지고,
    상기 둘레 방향 보강층의 일방의 에지부에 있는 상기 와이어의 단부와 타방의 에지부에 있는 상기 와이어의 단부와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교차각 α가, 5[deg]≤α≤355[deg]의 범위 내에 있고,
    타이어 둘레 방향에 수직인 단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의 상기 와이어의 외관상 개수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가, 타이어 회전축 둘레의 임의의 30[deg]의 구간에서 1개 이하이고, 또한,
    상기 둘레 방향 보강층이, 상기 한 쌍의 교차 벨트 중 폭이 좁은 교차 벨트의 좌우의 에지부보다도 타이어 폭 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것과 함께, 상기 폭이 좁은 교차 벨트의 폭 W와, 상기 둘레 방향 보강층의 에지부로부터 상기 폭이 좁은 교차 벨트의 에지부까지의 거리 S가, 0.03≤S/W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5. 한 쌍의 교차 벨트와, 상기 교차 벨트 사이 혹은 상기 교차 벨트보다도 타이어 직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둘레 방향 보강층을 가지는 벨트층을 구비하는 공기입 타이어이고,
    상기 둘레 방향 보강층이, 타이어 폭 방향으로 복수 분할된 분할 구조를 가지는 것과 함께, 상기 둘레 방향 보강층의 분할부가,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하여 ±5[deg]의 범위 내에서 경사하는 것과 함께 서로 병주하면서 나선상으로 감아 돌려진 복수개의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한 겹 감기 구조를 가지고,
    상기 둘레 방향 보강층의 일방의 에지부에 있는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의 단부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엇갈림각 β1과, 타방의 에지부에 있는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의 단부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엇갈림각 β2 중 적어도 일방이, 0[deg] 이상 5[deg] 미만의 범위 내에 있고,
    상기 둘레 방향 보강층의 일방의 에지부에 있는 상기 와이어의 단부와 타방의 에지부에 있는 상기 와이어의 단부와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교차각 α가, 10[deg]≤α≤350[deg]의 범위 내에 있고,
    타이어 둘레 방향에 수직인 단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의 상기 와이어의 외관상 개수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가, 타이어 회전축 둘레의 임의의 30[deg]의 구간에서 1개의 상기 분할부를 구성하는 상기 와이어의 개수 이하이고, 또한,
    상기 둘레 방향 보강층이, 상기 한 쌍의 교차 벨트 중 폭이 좁은 교차 벨트의 좌우의 에지부보다도 타이어 폭 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것과 함께, 상기 폭이 좁은 교차 벨트의 폭 W와, 상기 둘레 방향 보강층의 에지부로부터 상기 폭이 좁은 교차 벨트의 에지부까지의 거리 S가, 0.03≤S/W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6. 한 쌍의 교차 벨트와, 상기 교차 벨트 사이 혹은 상기 교차 벨트보다도 타이어 직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둘레 방향 보강층을 가지는 벨트층을 구비하는 공기입 타이어이고,
    상기 둘레 방향 보강층이, 타이어 폭 방향으로 복수 분할된 분할 구조를 가지는 것과 함께, 상기 둘레 방향 보강층의 분할부가,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하여 ±5[deg]의 범위 내에서 경사하는 것과 함께 서로 병주하면서 나선상으로 감아 돌려진 복수개의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한 겹 감기 구조를 가지고,
    상기 둘레 방향 보강층의 일방의 에지부에 있는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의 단부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엇갈림각 β1과, 타방의 에지부에 있는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의 단부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엇갈림각 β2가, 5[deg]≤β1≤180[deg] 또한 5[deg]≤β2≤180[deg]의 범위 내에 있고,
    상기 둘레 방향 보강층의 일방의 에지부에 있는 상기 와이어의 단부와 타방의 에지부에 있는 상기 와이어의 단부와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교차각 α가, 5[deg]≤α≤355[deg]의 범위 내에 있고,
    타이어 둘레 방향에 수직인 단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의 상기 와이어의 외관상 개수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가, 타이어 회전축 둘레의 임의의 30[deg]의 구간에서 1개의 상기 분할부를 구성하는 상기 와이어의 개수 이하이고, 또한,
    상기 둘레 방향 보강층이, 상기 한 쌍의 교차 벨트 중 폭이 좁은 교차 벨트의 좌우의 에지부보다도 타이어 폭 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것과 함께, 상기 폭이 좁은 교차 벨트의 폭 W와, 상기 둘레 방향 보강층의 에지부로부터 상기 폭이 좁은 교차 벨트의 에지부까지의 거리 S가, 0.03≤S/W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가 스틸 와이어이고, 상기 둘레 방향 보강층이 17[개/50mm] 이상 30[개/50mm] 이하의 엔드수를 가지는 공기입 타이어.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직경이 1.2[mm] 이상 2.2[mm] 이하의 범위 내에 있는 공기입 타이어.
  9. 삭제
KR1020137006827A 2011-07-29 2011-07-29 공기입 타이어 KR1012563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1/067532 WO2013018178A1 (ja) 2011-07-29 2011-07-29 空気入りタイ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4667A KR20130034667A (ko) 2013-04-05
KR101256362B1 true KR101256362B1 (ko) 2013-04-25

Family

ID=46498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6827A KR101256362B1 (ko) 2011-07-29 2011-07-29 공기입 타이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505268B2 (ko)
JP (1) JP4952864B1 (ko)
KR (1) KR101256362B1 (ko)
CN (1) CN103717410B (ko)
DE (1) DE112011105480B4 (ko)
WO (1) WO20130181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79367B (zh) * 2012-07-13 2016-06-08 横滨橡胶株式会社 充气轮胎
JP6811684B2 (ja) * 2017-06-19 2021-01-13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
JP6861144B2 (ja) * 2017-12-13 2021-04-21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
JP6750639B2 (ja) * 2018-01-30 2020-09-0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CN113560475B (zh) * 2021-09-26 2021-12-31 天津赛象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巨型轮胎钢丝圈的圆形化排列控制方法及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06409A (ja) * 1988-10-14 1990-04-18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
JPH04365604A (ja) * 1990-08-24 1992-12-17 Sumitomo Rubber Ind Ltd ラジアルタイヤ
JPH05254309A (ja) * 1992-03-16 1993-10-05 Yokohama Rubber Co Ltd:The タイヤにおける補強材の巻付構造
JP2007137384A (ja) 2005-11-22 2007-06-07 Sumitomo Rubber Ind Ltd 重荷重用ラジアルタイヤ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545753A (ko) * 1955-01-15
GB1601100A (en) * 1977-03-28 1981-10-21 Goodyear Tire & Rubber Method of building a radial tyre
JPS62241704A (ja) * 1986-04-15 1987-10-22 Bridgestone Corp ベルテツドタイヤ
JPH03287402A (ja) * 1990-04-02 1991-12-18 Ohtsu Tire & Rubber Co Ltd :The ラジアルタイヤ
FR2744954B1 (fr) * 1996-02-20 1998-03-20 Michelin & Cie Armature de sommet pour pneumatique "poids-lourds"
JP4219584B2 (ja) * 2001-11-12 2009-02-04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ニューマチック型ソリッドタイヤ
JP4004034B2 (ja) * 2002-06-10 2007-11-07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重荷重用空気入りタイヤ及び重荷重用空気入りタイヤの組立方法
JP4433725B2 (ja) * 2003-08-28 2010-03-17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US7575031B2 (en) 2005-11-22 2009-08-18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Heavy duty radial tire with belt reinforcing rubber layer having axially inner and outer rubber portions
BRPI0722291B1 (pt) * 2007-12-14 2018-10-23 Pirelli pneu
JP5102062B2 (ja) 2008-02-25 2012-12-19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DE102010000181B4 (de) 2010-01-25 2022-03-10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Fahrzeugluftreife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06409A (ja) * 1988-10-14 1990-04-18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
JPH04365604A (ja) * 1990-08-24 1992-12-17 Sumitomo Rubber Ind Ltd ラジアルタイヤ
JPH05254309A (ja) * 1992-03-16 1993-10-05 Yokohama Rubber Co Ltd:The タイヤにおける補強材の巻付構造
JP2007137384A (ja) 2005-11-22 2007-06-07 Sumitomo Rubber Ind Ltd 重荷重用ラジアルタイ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18178A1 (ja) 2013-02-07
JP4952864B1 (ja) 2012-06-13
US20140166178A1 (en) 2014-06-19
DE112011105480B4 (de) 2016-02-11
DE112011105480T5 (de) 2014-04-10
JPWO2013018178A1 (ja) 2015-03-02
KR20130034667A (ko) 2013-04-05
CN103717410B (zh) 2015-04-15
CN103717410A (zh) 2014-04-09
US9505268B2 (en) 2016-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8195B1 (ko) 공기입 타이어
JP6299218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5182455B1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1274463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1290526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1292532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1290075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1741788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1741051B1 (ko) 공기입 타이어
JP2009214760A (ja) 重荷重用空気入りタイヤ
US11186122B2 (en) Reduced weight aircraft tire
KR101274462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1256362B1 (ko) 공기입 타이어
CN106232380A (zh) 用于施工场地类型的车辆的轮胎
US11827064B2 (en) Reduced weight aircraft tire
JP6015450B2 (ja) 空気入りタイヤ
US20160023517A1 (en) Reduced weight aircraft tire
JP5831491B2 (ja) 空気入りタイヤ
US20180056724A1 (en) Reduced weight aircraft tire
JP6079237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15116843A (ja) 空気入りタイ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