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3023B1 - 칠보기법을 이용한 액세서리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액세서리 - Google Patents

칠보기법을 이용한 액세서리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액세서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3023B1
KR101253023B1 KR1020110079453A KR20110079453A KR101253023B1 KR 101253023 B1 KR101253023 B1 KR 101253023B1 KR 1020110079453 A KR1020110079453 A KR 1020110079453A KR 20110079453 A KR20110079453 A KR 20110079453A KR 101253023 B1 KR101253023 B1 KR 101253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ze
frame
powdered
powder
viscous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9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7168A (ko
Inventor
고민지
Original Assignee
고민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민지 filed Critical 고민지
Priority to KR1020110079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3023B1/ko
Publication of KR20130017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7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3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30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8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of only ceramics
    • C04B41/81Coating or impregnation
    • C04B41/85Coating or impregnation with inorganic materials
    • C04B41/86Glazes; Cold glaz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루유약을 이용한 칠보기법에 있어서 상기 가루유약을 사용하기 전에 상기 가루유약에 흡착 또는 혼합된 불순물 또는 습기를 제거하여 상기 가루유약의 순도를 높여줌으로써, 광택이 살아있는 액세서리를 제공하는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칠보기법을 이용한 액세서리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액세서리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하고자 하는 일정량의 가루유약을 받침판에 올려놓고, 복사열로 상기 가루유약에 혼합 또는 흡착된 먼지와 같은 불순물을 제거하는 불순물 제거단계(S1)와; 상기 불순물 제거단계(S1)를 통해 불순물이 제거된 가루유약에 점성제를 혼합하여 미립자 형태의 상기 가루유약들이 상호 점성을 가지도록 하는 점성제 혼합단계(S2); 상기 점성제 혼합단계(S2)를 통해 점성을 가지는 가루유약을 준비된 프레임에 안착하는 프레임 안착단계(S3); 상기 프레임 안착단계(S3)를 통해 가루유약이 안착된 프레임을 복사열로 상기 점성제를 증발시키도록 하는 1차 건조단계(S5); 상기 1차 건조단계(S5)를 통해 점성제의 증발이 완료되면 프레임을 로(爐)에 투입시켜 가루유약을 융해시키는 융해단계(S6); 및 상기 융해단계(S6)를 통해 프레임에 융해된 가루유약을 건조시키는 2차 건조단계(S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칠보기법을 이용한 액세서리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액세서리{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cloisonne technique}
본 발명은 칠보기법을 이용한 액세서리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액세서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루유약을 이용한 칠보기법에 있어서 상기 가루유약을 사용하기 전에 상기 가루유약에 흡착 또는 혼합된 불순물 또는 습기를 제거하여 상기 가루유약의 순도를 높여줌으로써, 광택이 살아있는 액세서리를 제공하는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칠보기법을 이용한 액세서리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칠보기법이란 금속의 소지(素地)에 유리질의 유약(釉藥)을 발라 고온의 가마솥 과정을 거쳐 용해, 부착시켜 장식하는 기법을 말한다.
상기 칠보의 소지로는 적동(赤銅)을 쓰는 것이 보통이나 금, 은, 톰백(tombac:구리와 아연의 합금) 등을 쓰기도 하며 도기나 유리를 사용한 것도 있다. 유럽의 에나멜이나 에마유(email)는 칠보와 마찬가지의 기술로서, 각종의 소지에 유약을 발라 녹여 부착시킨다.
상기 유약은 규토, 장석(長石), 소다, 붕사 및 다른 재료를 녹여서 만든 물체이고, 그 색소는 금속산화물을 첨가하여 나타내며 발색(發色)도 상당히 자유롭고 아름다운 색상을 얻을 수 있으나 유약을 혼합시켜서 다른 색을 낼 수는 없다.
상기 유약은 완전한 무기물이기 때문에 금속과 함께 영원성을 지니게 된다. 유약은 그 과립(顆粒)의 크기에 따라 미세한 것과 거친 것으로 나뉘며, 투명도에 따라 불투명, 반투명, 투명으로 나뉜다.
또한 용해점에 따라서 분류하기도 하며 이는 가마솥 과정에서 대단히 중요하다. 용해점의 범위는 700∼820℃이다. 금속의 표면에 유약을 부착하는 방법은 매우 다양하며 기법에 따라 각기 다른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유약은 형태에 따라 알갱이형태로 이루어진 가루유약, 액체상태로 이루어진 액체유약, 덩어리 형태로 이루어진 덩어리유약 등 다양하게 존재한다.
또한, 액세서리에 사용되는 유약은 단가가 저렴하고 취급이 용이하다는 장점으로 가루유약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가루유약의 경우에는, 미립자 형태의 가루로 이루어져 있어 제조시 불순물의 침투가 용이하고 미립자에 먼지와 같은 불순물 등이 흡착된다.
따라서, 칠보기법에 있어서 액체유약 또는 덩어리유약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상기 가루유약을 사용한 경우 상기 가루유약에 흡착되거나 혼합된 먼지와 같은 불순물에 의해 순도가 떨어지고 그에 따라 선명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액체유약 또는 덩이리유약을 이용한 경우에는 광택이 있지만, 가루유약의 경우에는 무광택이다.
그러므로, 액세서리를 사용하는 사용자 입장에서는 좀더 나아보이는 광택이 있는 것을 선호하게 되지만, 가루유약을 이용할 경우 무광택이므로 제품 경쟁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루유약을 이용한 칠보기법에 있어서 상기 가루유약을 사용하기 전에 상기 가루유약에 흡착 또는 혼합된 불순물 또는 습기를 제거하여 상기 가루유약의 순도를 높여주어, 광택이 살아있는 액세서리를 제공하는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칠보기법을 이용한 액세서리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액세서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루유약을 칠보기법에 의해 액세서리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하고자 하는 일정량의 가루유약을 받침판에 올려놓고, 복사열로 상기 가루유약에 혼합 또는 흡착된 먼지와 같은 불순물을 제거하는 불순물 제거단계와; 상기 불순물 제거단계를 통해 불순물이 제거된 가루유약에 점성제를 혼합하여 미립자 형태의 상기 가루유약들이 상호 점성을 가지도록 하는 점성제 혼합단계; 상기 점성제 혼합단계를 통해 점성을 가지는 가루유약을 준비된 프레임에 안착하는 프레임 안착단계; 상기 프레임 안착단계를 통해 가루유약이 안착된 프레임을 복사열로 상기 점성제를 증발시키도록 하는 1차 건조단계; 상기 1차 건조단계를 통해 점성제의 증발이 완료되면 프레임을 로(爐)에 투입시켜 가루유약을 융해시키는 융해단계; 및 상기 융해단계를 통해 프레임에 융해된 가루유약을 건조시키는 2차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프레임 안착단계를 통해 프레임에 가루유약을 안착하고, 상기 안착된 가루유약이 이종(異種)의 색상을 가질 경우 상기 이종의 색상에 따른 경계면에 점성제를 떨어뜨리는 후 상기 경계면이 혼합되어 자연스러운 분위기가 연출되도록 하는 그라데이션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불순물 제거단계의 복사열 조건은 80 내지 120℃;이고, 점성제혼합단계의 점성제는 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루유약을 이용한 칠보기법에 있어서 상기 가루유약을 사용하기 전에 상기 가루유약에 흡착 또는 혼합된 불순물 또는 습기를 제거하여 상기 가루유약의 순도를 높여줌으로써, 광택이 살아있는 액세서리를 제공하는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루유약을 이용한 칠보기법의 액세서리 제조방법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액세서리의 견본 사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칠보기법을 이용한 액세서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세서리의 기초를 이루는 프레임(1)과, 상기 프레임(1)에 융해되어 굳어져 심미감을 일으키는 유약(2)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칠보기법을 이용한 액세서리의 제조방법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불순물 제거단계(S1)는, 사용하고자 하는 일정량의 가루유약을 받침판에 올려놓고, 복사열로 상기 가루유약에 혼합 또는 흡착된 먼지와 같은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이는, 미립자 형태의 가루유약은, 제조하는 과정 또는 보관 및 이송되는 과정 중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등의 불순물이 흡착되거나 또는 미립자들 사이에 혼합된 상태를 이루어 상기 가루유약의 순도를 떨어뜨린다.
따라서, 사용하고자 하는 량만큼의 가루유약을 받침판에 올려놓고 복사열을 이용하여, 상기 가루유약에 혼합 또는 흡착된 불순을 제거하여 순도를 상승시킨다.
상기 받침판은, 복사열에 의해 가루유약과 화학적 반응을 일으키지않으며 흡착되는 성질이 없는 재질이다. 이 경우, 종이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사열은, 80 내지 120℃ 임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가루유약에 혼합 또는 흡착된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는 정도의 온도임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가루유약이 융해되는 온도이상이 되지않는 범위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사열은, 로(爐)의 주변에서 발산되는 복사열을 이용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복사열을 이용하여 가루유약에서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가령, 복사열이 아닌 용기에 가루유약을 넣고 화기로 상기 용기를 가열시키는 직접 열을 이용할 경우, 사용이 불가하지는 않으나, 직접 열에 의해 가루유약의 물성이 변화게 됨에 따라 가열온도를 맞추기가 어렵다는 사용이 까다로운 문제가 있다.
점성제 혼합단계(S2)는, 상기 불순물 제거단계(S1)를 통해 불순물이 제거된 가루유약에 점성제를 혼합하여 미립자 형태의 상기 가루유약들이 상호 점성을 가지도록 하는 단계이다.
이는, 미립자 형태로 이루어진 가루유약은 주변의 바람 또는 진동 등에 의해 쉽게 반응하여 주변으로 비산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루유약에 점성제를 투입시켜 상기 가루유약들이 상호 점성으로 뭉쳐있도록 한다.
상기 점성제의 투입비율은 가루유약 70 : 점성제 30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성제는, 물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프레임 안착단계(S3)는, 상기 점성제 혼합단계(S2)를 통해 점성을 가지는 가루유약을 준비된 프레임에 안착하는 단계이다.
이는, 점성을 가지는 가루유약을 붓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일정량을 떠서 준비된 프레임(1)에 안착시킨다.
그라데이션 단계(S4)는, 상기 프레임 안착단계(S3)를 통해 프레임에 가루유약을 안착하고, 상기 안착된 가루유약이 이종(異種)의 색상을 가질 경우 상기 이종의 색상에 따른 경계면에 점성제를 떨어뜨리는 후 상기 경계면이 혼합되어 자연스러운 분위기가 연출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이는, 도 2와 같이, 한 공간에서 이종의 색상으로 표현하고자 할 경우로서, 상기 가루유약은 상호 혼합되지 않으므로, 이종의 색상에 따른 경계면이 형성되고 이러한 경계면에 점성제를 1 ~ 3방울 떨어뜨린다.
그리고, 상기 경계면을 섞어주어 경계면을 기준으로 상호 이종의 색상을 가지는 가루유약들이 상호 섞어짐에 따라 자연스러운 색 혼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1차 건조단계(S5)는, 상기 프레임 안착단계(S3) 또는 그라데이션 단계(S4)를 통해 가루유약이 안착된 프레임을 복사열로 상기 점성제를 증발시키도록 하는 단계이다.
이는, 프레임(1)에 가루유약의 안착한 후 상기 가루유약에 포함된 점성제를 증발시킨다.
이 경우, 점성제를 증발시키는 방법은 상술된 불순물 제거단계(S1)의 복사열을 이용한 건조방법과 동일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사열은 80 내지 150℃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1차 건조는, 가루유약에 포함된 점성제의 완전 증발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후술되는 가루유약의 융해 중 점성제의 증발로 인해 주변의 가루유약이 뛰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러한 뜀 현상으로 유약면이 고르지 못하다는 불량을 야기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1차건조는, 점성제가 완전 증발이 이루어지도록 충분한 시간을 가짐이 바람직하다.
융해단계(S6)는, 상기 1차 건조단계(S5)를 통해 점성제의 증발이 완료되면 프레임을 로(爐)에 투입시켜 가루유약을 융해시키는 단계이다.
이는, 가루유약이 안착된 프레임(1)을 준비된 로(爐)에 투입시켜 상기 가루유약을 융해시킨다.
상기 로(爐)는, 가루유약의 융해점인 700 내지 900℃의 고온을 발산하는 전기로, 가마 등이 사용된다.
2차 건조단계(S7)는, 상기 융해단계(S6)를 통해 프레임에 융해된 가루유약을 건조시키는 단계이다.
이는, 프레임(1)에 융해된 유약(2)이 완전하게 굽어지도록 건조한다.
상기 건조조건은 상온에서 자연건조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건조기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칠보기법을 이용한 액세서리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액세서리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프레임 2: 유약

Claims (5)

  1. 가루유약을 칠보기법에 의해 액세서리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하고자 하는 일정량의 가루유약을 받침판에 올려놓고, 복사열로 상기 가루유약에 혼합 또는 흡착된 먼지와 같은 불순물을 제거하는 불순물 제거단계(S1)와;
    상기 불순물 제거단계(S1)를 통해 불순물이 제거된 가루유약에 점성제를 혼합하여 미립자 형태의 상기 가루유약들이 상호 점성을 가지도록 하는 점성제 혼합단계(S2);
    상기 점성제 혼합단계(S2)를 통해 점성을 가지는 가루유약을 준비된 프레임에 안착하는 프레임 안착단계(S3);
    상기 프레임 안착단계(S3)를 통해 가루유약이 안착된 프레임을 복사열로 상기 점성제를 증발시키도록 하는 1차 건조단계(S5);
    상기 1차 건조단계(S5)를 통해 점성제의 증발이 완료되면 프레임을 로(爐)에 투입시켜 가루유약을 융해시키는 융해단계(S6); 및
    상기 융해단계(S6)를 통해 프레임에 융해된 가루유약을 건조시키는 2차 건조단계(S7);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칠보기법을 이용한 액세서리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안착단계(S3)를 통해 프레임에 가루유약을 안착하고, 상기 안착된 가루유약이 이종(異種)의 색상을 가질 경우 상기 이종의 색상에 따른 경계면에 점성제를 떨어뜨린 후 상기 경계면이 혼합되어 자연스러운 분위기가 연출되도록 하는 그라데이션 단계(S4);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칠보기법을 이용한 액세서리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불순물 제거단계(S1)의 복사열 조건은 80 내지 12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칠보기법을 이용한 액세서리 제조방법.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점성제혼합단계(S2)의 점성제는 물;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칠보기법을 이용한 액세서리 제조방법.
  5.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액세서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칠보기법을 이용한 액세서리.
KR1020110079453A 2011-08-10 2011-08-10 칠보기법을 이용한 액세서리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액세서리 KR101253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9453A KR101253023B1 (ko) 2011-08-10 2011-08-10 칠보기법을 이용한 액세서리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액세서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9453A KR101253023B1 (ko) 2011-08-10 2011-08-10 칠보기법을 이용한 액세서리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액세서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7168A KR20130017168A (ko) 2013-02-20
KR101253023B1 true KR101253023B1 (ko) 2013-04-16

Family

ID=47896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9453A KR101253023B1 (ko) 2011-08-10 2011-08-10 칠보기법을 이용한 액세서리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액세서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30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5765B1 (ko) * 2016-05-17 2018-01-05 좋아실업주식회사 장식용 칠보의 제작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379A (ja) * 1994-07-05 1996-01-16 Bisou:Kk 七宝調構造装飾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238756B1 (en) 1999-11-19 2001-05-29 William F. Yee Cloisonne articles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008137381A (ja) 2006-11-09 2008-06-19 Aida Kagaku Kogyo Kk 貴金属装飾品の製造方法、及び貴金属装飾品
KR100982108B1 (ko) 2010-02-24 2010-09-13 이상목 금속 밑판과 테두리가 없는 칠보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379A (ja) * 1994-07-05 1996-01-16 Bisou:Kk 七宝調構造装飾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238756B1 (en) 1999-11-19 2001-05-29 William F. Yee Cloisonne articles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008137381A (ja) 2006-11-09 2008-06-19 Aida Kagaku Kogyo Kk 貴金属装飾品の製造方法、及び貴金属装飾品
KR100982108B1 (ko) 2010-02-24 2010-09-13 이상목 금속 밑판과 테두리가 없는 칠보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5765B1 (ko) * 2016-05-17 2018-01-05 좋아실업주식회사 장식용 칠보의 제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7168A (ko) 2013-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47307A1 (en) Antiskid and Wear-Resistant Glaze, Antiskid, Wear-Resistant and Easy-to-Clean Ceramic Til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JP6258976B2 (ja) イオン交換プロセスに適合した装飾用多孔性無機層を表面に有する強化ガラス物品
EP1950239A4 (en) TRANSPARENT Dispersion of inorganic oxide, inorganic oxide particles CONTAINING RESIN COMPOSITION, COMPOSITION FOR ENCAPSULATION OF A luminescent, luminescent, OPTICAL FUNCTIONAL FILM, OPTICAL PART AND METHOD FOR PRODUCING A inorganic oxide particles CONTAINING RESIN COMPOSITION
KR101253023B1 (ko) 칠보기법을 이용한 액세서리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액세서리
CN102557754A (zh) 一种乳浊釉的配方
CN101209930A (zh) 发光陶瓷及其制备方法
JP2007131509A (ja) 陶磁器用釉薬の製造方法
US20150299032A1 (en) Composite material
Breuer The chemistry of pottery
CN102531703A (zh) 一种不含锆英砂的乳浊釉
JP5041324B2 (ja) 天然大理石様結晶化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
Bloomfield Colour in glazes
CN107572808B (zh) 一种康熙釉里红色料的制备方法及其在釉里红瓷中的应用
JP5140346B2 (ja) 装飾材
JP2017014068A (ja) サンドアートパフォーマンス作品の保存方法、装飾用ガラスの製造方法及び装飾用ガラス
JP2014141395A (ja) ガラス工芸品及びガラス工芸品の製造方法
Molina Giralt Colour and Technology in historic decorated glazes and glasses
JP2527402B2 (ja) 結晶化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6519062B2 (ja) セラミック製品の製造方法
JP6168512B2 (ja) 焼成用造形物形成材料及び造形物形成方法
CN112601722B (zh) 用于玻璃瓶等玻璃容器的具有玻璃基的标签
JP2014031471A (ja) 蓄光ビーズ及び蓄光ビーズの製造方法
Siikamäki Glass can be recycled forever: utilisation of end-of-Life cathode ray tube glasses in ceramic and glass industry
US20220055937A1 (en) Method and process for creating a composite material
KR101789017B1 (ko) 대나무 잎을 이용한 장식 석재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