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1884B1 - 압연강판 생산라인용 가이드장치 - Google Patents

압연강판 생산라인용 가이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1884B1
KR101251884B1 KR1020110032532A KR20110032532A KR101251884B1 KR 101251884 B1 KR101251884 B1 KR 101251884B1 KR 1020110032532 A KR1020110032532 A KR 1020110032532A KR 20110032532 A KR20110032532 A KR 20110032532A KR 101251884 B1 KR101251884 B1 KR 101251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olled steel
steel sheet
guide roller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2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4780A (ko
Inventor
김성규
Original Assignee
에스엠메탈(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엠메탈(주) filed Critical 에스엠메탈(주)
Priority to KR1020110032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1884B1/ko
Publication of KR20120114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4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1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1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03/00Auxiliary arrangements, devices or methods in combination with rolling mills or rolling methods
    • B21B2203/24Hydrostatic bearings or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gistering, Tensioning, Guiding Webs, And Rollers Therefor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연강판 생산라인용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이송롤러가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는 압연강판 생산라인의 끝단 양측에 가이드패널이 하단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백플레이트가 세워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압연강판 생산라인용 가이드장치에 있어서,
가이드패널의 하단에 소정 간격으로 결합홈을 형성하고,
이송롤러 위로 이송되는 압연강판의 측면부와 접촉되면서 회전하는 가이드롤러를 구비한 가이드모듈을 각각의 결합홈에 착탈식으로 끼워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기존 가이드장치는 고정된 플레이트로 압연강판을 안내하는 것이어서 매우 빨리 마모되고, 발열이 심하여 어떠한 높은 강도를 갖는 재질을 사용하여도 1일~2일 밖에 견디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바, 본 발명에서는 압연강판과의 접촉에 의해 가이드롤러가 회전하면서 구름마찰을 이용해서 안내하므로 압연강판이 플레이트에 접촉되지 않고 가이드롤러에 접촉되므로 전체적인 가이드장치의 수명을 대폭 연장시킬 수 있음은 물론 가이드롤러의 마모율을 줄여줄 수 있고, 착탈이 용이하여 가이드롤러가 마모되었을때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어서 압연강판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며, 고속으로 이송되는 압연강판의 스윙동작에 의해 압연강판의 측면부가 가이드롤러에 부딪혀 강한충격이 가해질 때 복수개소에 설치된 완충스프링에 의해 가이드롤러가 탄력적으로 후퇴하면서 충격을 완충하게 되므로 가이드롤러의 수명을 더욱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압연강판 생산라인용 가이드장치{Guide device}
본 발명은 압연강판 생산라인용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가이드장치는 고정된 플레이트로 압연강판을 안내하는 것이어서 매우 빨리 마모되고, 발열이 심하여 어떠한 높은 강도를 갖는 재질을 사용하여도 1일~2일 밖에 견디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바, 본 발명에서는 압연강판과의 접촉에 의해 가이드롤러가 회전하면서 구름마찰을 이용해서 안내하므로 압연강판이 플레이트에 접촉되지 않고 가이드롤러에 접촉되므로 전체적인 가이드장치의 수명을 대폭 연장시킬 수 있음은 물론 가이드롤러의 마모율을 줄여줄 수 있고, 착탈이 용이하여 가이드롤러가 마모되었을때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어서 압연강판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며, 고속으로 이송되는 압연강판의 스윙동작에 의해 압연강판의 측면부가 가이드롤러에 부딪혀 강한충격이 가해질 때 복수개소에 설치된 완충스프링에 의해 가이드롤러가 탄력적으로 후퇴하면서 충격을 완충하게 되므로 가이드롤러의 수명을 더욱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압연강판 생산라인용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 은 종래기술을 도시한 것으로서, 압연강판 생산라인의 끝단부에는 생산된 압연강판(1)이 고속으로 이송되는 이송롤러(2)들이 미도시된 베이스상에 설치되어 있고, 끝단에는 압연강판(1)이 코일형태로 권취되도록 하강시키는 권취롤러(3)가 끝단의 이송롤러(2)와 대응하도록 이송롤러(2)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권취롤러(3)에 의해 하강된 압연강판(1)이 코일형태로 권취되는 것이 압연코일(4)이다.
상기와같은 압연강판 생산라인에서 압연강판(1)이 삐뚤어지지 않고 균일하게 압연코일(4)로 권취될 수 있도록 이송롤러(2)를 통과하는 압연강판(1)을 안내하는 것이 가이더(5)이며, 가이더(5)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압연강판 생산라인의 끝단부에 설치된다.
가이더(5)는 이송롤러(2)의 양측에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백플레이트(6)로 이루어지고, 백플레이트(6)의 내측 하단에는 내마모성이 우수한 특수강재질로 이루어진 가이드패널(7)이 결합되어 있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이드패널(7) 사이를 이송롤러(2)에 안내되어 고속으로 이송되는 압연강판(1)이 통과하게되며, 압연강판(1)은 가이드패널(7)에 안내되어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곧바로 이송되므로 최종적으로 권취되어 생산되는 압연코일(4)이 삐뚤어지지 않고 균일하게 권취될 수 있게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이송롤러(2)에 의해 고속으로 이송되는 압연강판(1)의 스윙동작(압연강판이 좌우로 흔들리는 현상)에 의해 압연강판의 양측단이 지속적으로 가이드패널(7)에 접촉되고, 더욱이 생산 이송되는 압연강판(1)의 양측단은 미세하게 경사진 돌출부위가 존재하게 되므로 이 돌출부위가 가이드패널(7)에 접촉될 경우 가이드패널(7)의 마모를 더욱 촉진시키게 되어 가이드패널(7)의 수명이 짧게는 1일에서 길게는 2일에 지나지 않게되고, 이로인해 가이드패널(7)을 빈번히 교체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가이드장치는 가이드패널(7) 교체시 가이드패널(7)이 결합되어 있는 백플레이트(6) 전체를 생산라인의 베이스로 부터 교체해야만 하므로 가이드장치의 교체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밖에 없었고, 이로인해 가이드장치를 교체하는 동안 압연강판 생산을 중단해야만 하므로 제품의 생산성에 악영향을 끼치게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가이드를 대형 롤러형태로 설치하기도 하였으나, 대형 롤러를 가이더로서 사용할 경우 대형 롤러의 자중에 의해 이송되는 압연강판과 대형 롤러가 접촉되더라도 대형 롤러가 회전하지 못하게되어 압연강판이 접촉되는 부분이 빠르게 마모되어 제수명을 다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이더의 압연강판 접촉부위를 고강도 세라믹으로 제조하기도 하였으나 이러한 경우에도 압연강판이 접촉되는 부위가 빠르게 마모되어 가이더의 수명을 현저히 연장시키지 못하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압연강판 생산라인의 끝단 양측에 설치되는 가이더의 백플레이트 하단에 고속으로 지나가는 압연강판의 양측과 접촉되면서 회전하는 가이드롤러가 구비된 가이드모듈을 착탈이 용이하게 소정간격으로 설치하여 구성하므로서, 압연강판과의 접촉에 의해 가이드롤러가 회전하면서 안내하므로 가이드롤러의 마모율을 줄여줄 수 있고, 착탈이 용이하여 가이드롤러가 마모되었을때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 압연강판 생산라인용 가이드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다수의 이송롤러가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는 압연강판 생산라인의 끝단 양측에 가이드패널이 하단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백플레이트가 세워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압연강판 생산라인용 가이드장치에 있어서,
가이드패널의 하단에 소정 간격으로 결합홈을 형성하고,
이송롤러 위로 이송되는 압연강판의 측면부와 접촉되면서 회전하는 가이드롤러를 구비한 가이드모듈을 각각의 결합홈에 착탈식으로 끼워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압연강판과의 접촉에 의해 가이드롤러가 회전하면서 구름마찰을 이용해서 안내하므로 가이드롤러의 마모율을 줄여줄 수 있고, 착탈이 용이하여 가이드롤러가 마모되었을때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어서 압연강판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며, 고속으로 이송되는 압연강판의 스윙동작에 의해 압연강판의 측면부가 가이드롤러에 부딪혀 강한충격이 가해질 때 복수개소에 설치된 완충스프링에 의해 가이드롤러가 탄력적으로 후퇴하면서 충격을 완충하게 되므로 가이드롤러의 수명을 더욱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 은 종래의 압연강판 생산라인을 예시한 도면.
도 2 는 종래 가이드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3 은 종래 가이드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압연강판 생산라인용 가이드장치를 보인 도면.
도 5 는 본 발명의 가이드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가이드장치를 보인 평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 도 4 내지 도 8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다수의 이송롤러(2)가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는 압연강판 생산라인의 끝단 양측에 가이드패널(7)이 하단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백플레이트(6)가 세워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압연강판 생산라인용 가이드장치에 있어서,
가이드패널(7)의 하단에 소정 간격으로 결합홈(8)을 형성하고,
이송롤러(2) 위로 이송되는 압연강판(1)의 측면부와 접촉되면서 회전하는 가이드롤러(20)를 구비한 가이드모듈(10)을 각각의 결합홈(8)에 착탈식으로 끼워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모듈(10)은 일측이 개구되고 내부에 가이드롤러(20)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어 있으면서 내부 바닥면에 가이드롤러(20)가 안착되는 저널부(13)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11)을 구비하고, 하우징(11) 내부에 가이드롤러(20)가 저널부(13)에 안착되도록 중심축(21)을 가이드롤러(20)의 중심에 끼운 상태로 세워 설치하며, 하우징(11)의 상부에 커버(12)를 볼트로서 결합하여 중심축(21)을 고정시킨다.
이때, 중심축(21) 상부에 스냅링(27)을 끼워 중심축(21)이 커버(12)로 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며, 가이드롤러(20)의 외주연이 하우징(11)의 측면으로 부터 소정두께 돌출되도록 구성하여 가이드모듈(10)이 백플레이트(6)의 결합홈(8)에 끼워져 설치되었을때 가이드롤러(20)의 외주연이 백플레이트(6)의 하단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패널(7)보다 더 돌출되도록 하여 이송롤러(2)를 통과하는 압연강판(1)의 양측단이 가이드패널(7)이 아닌 가이드롤러(20)에 접촉되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 커버(12)와 중심축(21) 사이에 챔버(24)를 형성하고, 커버(12)에는 외부로 부터 공급되는 오일을 챔버(24)로 공급하는 오일공급라인(25)을 형성하며, 중심축(21)에는 챔버(24)에 충진된 오일을 가이드롤러(20)와 저널부(13)로 공급하는 오일홀(22)을 형성하여 챔버(24)에 충진되어 있는 오일이 지속적으로 중심축(21)과 가이드롤러(20)의 접촉면, 그리고 가이드롤러(20)와 저널부(13) 사이로 공급되어 가이드롤러(20)의 회전동작이 원활해지도록 한다.
상기 챔버(24)에는 오일 또는 구리스와 같은 윤활제가 충진된다.
챔버(24)에 구리스를 충진시킬 경우에는 챔버(24)로 구리스를 투입할 수 있는 구멍을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모듈(10)을 착탈식으로 결합홈(8)에 끼워 설치하기 위하여, 결합홈(8)의 양측으로 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백플레이트(6) 외측에 볼트(31)로서 한쌍의 결합판(30)을 결합한다.
이때, 결합판(30)의 일단, 즉, 결합홈(8) 내측으로 돌출된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볼트홀에 끼움볼트(32)를 나사결합하여 끼움볼트(32)의 끝부분이 결합판(30)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며, 하우징(11)의 양측에 돌출된 날개부(15)에 끼움볼트(32)가 끼워지는 끼움홈(17)을 형성하여 끼움볼트(32)의 끝부분이 끼움홈(17)에 끼워지도록 결합홈(8)으로 하우징(11)을 밀어넣어 작업자가 매우 용이하게 하우징(11)을 결합판(30)에 착탈식으로 끼워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날개부(15)에는 끼움홈(17)을 수용하면서 후설하는 완충스프링(18)이 끼워지는 홈(16)을 더 형성하고, 상기 결합판(30)과 날개부(15) 사이에 위치하도록 기움볼트(32)에 완충스프링(18)을 끼워 설치하여 고속으로 이송되는 압연강판(1)의 스윙동작에 의해 압연강판의 측면부위가 가이드롤러(20)에 강하게 부딪힐 때 완충스프링(18)이 수축되면서 가이드롤러(2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도록 구성한다.
즉, 압연강판(1)의 측면부위가 가이드롤러(20)에 부딪히면 완충스프링(18)이 수축되면서 하우징(11) 전체가 외측으로 살짝 밀렸다가 다시 완충스프링(18)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며, 이 과정에서 가이드롤러(20)에 가해지는 강한 충격을 완충시켜 가이드롤러(20)가 빨리 마모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한편,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중심축(21)에 오일을 가이드롤러(20)와 저널부(13)로 공급하는 오일홀(22)을 형성하고, 중심축(21)의 저면부에 오일홀(22)로 오일을 공급하기 위한 니플(23)을 결합하며, 하우징(11)의 바닥부에는 외부로 부터 니플(23)에 오일관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홀(14)을 형성한 것이며, 이또한 니플(23)을 통해 공급되는 오일이 중심축(21)과 가이드롤러(20) 및 저널부(13)에 원활히 공급되어 가이드롤러(20)의 회전동작이 원활해지게 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26)은 사용된 오일이 외부로 배출되는 드레인홀을 나타낸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5 에 도시된 바와같이 백플레이트(6)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결합홈(8) 각각에 가이드롤러(20)를 구비하고 있는 가이드모듈(10)을 착탈식으로 결합하는 것이다.
가이드모듈(10)을 결합홈(8)에 끼워 설치할 때에는 백플레이트(6)에 설치되어 있는 결합판(30)의 끼움볼트(32)에 하우징(11)의 날개부(15)에 형성된 끼움홈(17)을 끼워 매우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된다.
가이드모듈(10)이 각각의 결합홈(8)에 설치되면, 이송롤러(2)를 고속으로 통과하는 압연강판(1)의 측면부가 가이드모듈(10)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롤러(20)에 접촉되면서 가이드롤러(20)가 압연강판(1)의 진향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구름마찰을 이용해서 압연강판(1)이 직진하도록 안내하게 되므로 가이드롤러(20)의 측면부 마모율을 낮춰줄 수 있게되는 것이다.
또한, 압연강판의 스윙동작으로 압연강판(1)의 측면부위가 가이드롤러(20)에 부딪혀 큰 충격이 가이드롤러(20)에 가해질때 완충스프링(18)이 수축되면서 가이드롤러(20)가 일시적으로 후퇴하게되므로 가이드롤러(20)에 가해지는 충격을 효율적으로 완충시켜 가이드롤러(20)의 수명을 더욱 연장시킬 수 있게된다.
또한, 가이드롤러(20)가 소정높이 상하로 유동되면서 압연강판(1)과 접촉되므로 그만큼 압연강판(1)과 접촉되는 가이드롤러(20)의 면적이 넓어져 가이드롤러(2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되는 것이다.
그리고, 압연강판(1)과의 지속적인 접촉에 의해 가이드롤러(10)가 마모되었을 때에는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패널(7)이 가이드역할을 수행하게 되므로 마모된 가이드롤러(10)를 그 즉시 교체하지 않아도 되는 부가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롤러(10)의 수명이 기존에 비해 월등히 증가하여 가이드모듈(10)의 교체주기를 늘려줄 수 있게되고, 이로인해 압연강판 생산라인의 정지시간을 줄여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이드모듈(10)을 착탈식으로 교체할 수 있으므로 교체시간을 현저히 줄여줄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1: 압연강판, 2; 이송롤러,
6: 백플레이트, 7: 가이드패널,
8: 결합홈, 10: 가이드모듈,
11; 하우징, 12: 커버,
13: 저널부, 14: 홀,
15: 날개부, 16: 홈,
17: 끼움홈, 18: 완충스프링,
20: 가이드롤러, 21: 중심축,
22; 오일홀, 23: 니플,
24: 챔버, 25: 오일공급라인,
26: 드레인홀, 27: 스냅링,
30: 결합판, 31: 볼트,
32: 끼움볼트,

Claims (7)

  1. 삭제
  2. 다수의 이송롤러(2)가 이격 되게 설치되어 있는 압연강판 생산라인의 끝단 양측에 가이드패널(7)이 하단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백플레이트(6)가 세워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압연강판 생산라인용 가이드장치에 있어서,
    가이드패널(7)의 하단에 등 간격으로 결합홈(8)을 형성하고,
    이송롤러(2) 위로 이송되는 압연강판(1)의 측면부와 접촉되면서 회전하는 가이드롤러(20)를 구비한 가이드모듈(10)을 각각의 결합홈(8)에 착탈식으로 끼워 결합하며,
    상기 가이드모듈(10)은 일측이 개구되고 내부 바닥면에 가이드롤러(20)가 안착되는 저널부(13)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11)을 구비하고, 하우징(11) 내부에 가이드롤러(20)가 저널부(13)에 안착되도록 중심축(21)을 가이드롤러(20)의 중심에 끼운 상태로 세워 설치하며, 하우징(11)의 상부에 커버(12)를 볼트로서 결합하여 중심축(21)을 고정시켜 가이드롤러(20)의 외주연이 하우징(11)의 내측으로 부터 돌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강판 생산라인용 가이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2)와 중심축(21) 사이에 챔버(24)를 형성하고, 커버(12)에는 외부로 부터 공급되는 오일을 챔버(24)로 공급하는 오일공급라인(25)을 형성하며, 중심축(21)에는 챔버(24)에 충진된 오일을 가이드롤러(20)와 저널부(13)로 공급하는 오일홀(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강판 생산라인용 가이드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결합홈(8)의 양측으로 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백플레이트(6) 외측에 볼트(31)로서 한쌍의 결합판(30)을 결합하고, 결합판(30)의 일단에 끼움볼트(32)를 나사결합하여 끼움볼트(32)의 끝부분이 결합판(30)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며,
    하우징(11)의 양측에 돌출된 날개부(15)에 끼움볼트(32)가 끼워지는 끼움홈(17)을 형성하여 하우징(11)을 결합판(30)에 끼워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강판 생산라인용 가이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판(30)과 날개부(15) 사이에 완충스프링(18)을 설치하여 이송되는 압연강판(1)의 스윙동작으로 측면부가 가이드롤러(20)에 부딪힐 때 완충스프링(18)이 수축되면서 가이드롤러(2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강판 생산라인용 가이드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중심축(21)에 오일을 가이드롤러(20)와 저널부(13)로 공급하는 오일홀(22)을 형성하고, 중심축(21)의 저면부에 오일홀(22)로 오일을 공급하기 위한 니플(23)을 결합하며, 하우징(11)의 바닥부에는 외부로 부터 니플(23)에 오일관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홀(14)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강판 생산라인용 가이드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2)와 중심축(21) 사이에 챔버(24)를 형성하고, 커버(12) 상부로 부터 챔버(24)로 구리스를 투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강판 생산라인용 가이드장치.

KR1020110032532A 2011-04-08 2011-04-08 압연강판 생산라인용 가이드장치 KR101251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2532A KR101251884B1 (ko) 2011-04-08 2011-04-08 압연강판 생산라인용 가이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2532A KR101251884B1 (ko) 2011-04-08 2011-04-08 압연강판 생산라인용 가이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4780A KR20120114780A (ko) 2012-10-17
KR101251884B1 true KR101251884B1 (ko) 2013-04-10

Family

ID=47283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2532A KR101251884B1 (ko) 2011-04-08 2011-04-08 압연강판 생산라인용 가이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188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332A (ja) * 1992-06-30 1994-01-25 Kawasaki Steel Corp 粗ミル用入側及び出側サイドガイド装置
JPH06246325A (ja) * 1993-02-26 1994-09-06 Hitachi Ltd 可動サイドガイド装置
JPH06320210A (ja) * 1993-05-13 1994-11-22 Mitsubishi Heavy Ind Ltd 圧延機のサイドガイド装置
KR200243121Y1 (ko) * 1997-12-19 2001-11-16 이구택 스트립용 사이드 가이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332A (ja) * 1992-06-30 1994-01-25 Kawasaki Steel Corp 粗ミル用入側及び出側サイドガイド装置
JPH06246325A (ja) * 1993-02-26 1994-09-06 Hitachi Ltd 可動サイドガイド装置
JPH06320210A (ja) * 1993-05-13 1994-11-22 Mitsubishi Heavy Ind Ltd 圧延機のサイドガイド装置
KR200243121Y1 (ko) * 1997-12-19 2001-11-16 이구택 스트립용 사이드 가이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4780A (ko) 2012-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643108U (zh) 水平过渡对接装置
CN205098866U (zh) 一种刮板输送机
KR101251884B1 (ko) 압연강판 생산라인용 가이드장치
CN207061609U (zh) 一种永磁式滚轮罐耳缓冲器
KR101324487B1 (ko) 압연강판 생산라인용 디스크타입 가이드장치
CN203682502U (zh) 皮带机
CN209814948U (zh) 一种便捷拆卸式耐久工业输送链条
CN210084223U (zh) 更换皮带机滚筒的专用支架
CN204544422U (zh) 矿渣除铁装置
CN204544427U (zh) 矿渣铁料分离装置
CN104003140B (zh) 带式输送机自动纠偏托辊组
CN203740480U (zh) 可快速更换的模板传送机构
CN201999457U (zh) 自动调芯输送机
CN203989884U (zh) 跑马机
AU2011363699B2 (en) Automatic anti-slanting adjusting roller for belt conveyer
CN217898681U (zh) 钻机的链条支撑结构及钻机
CN216271381U (zh) 一种液压元件组装用输送带
KR101207616B1 (ko) 컨베이어의 벨트 사행 조정장치
CN202880300U (zh) 铸石托辊自动调心器
CN204568635U (zh) 全悬挂耐高温灰渣刮板输送机
CN204713915U (zh) 一种板式给料机托轮装置
KR101320122B1 (ko) 사이드 롤러 장치
CN215853356U (zh) 一种耐磨冲击床
CN219384516U (zh) 一种煤矿机电运输输送防偏装置
CN220744244U (zh) 一种缓冲溜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