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0098B1 - 가요성 재료의 밴드 또는 스트립을 픽업하고, 이송하고,배치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가요성 재료의 밴드 또는 스트립을 픽업하고, 이송하고,배치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0098B1
KR101250098B1 KR1020077016850A KR20077016850A KR101250098B1 KR 101250098 B1 KR101250098 B1 KR 101250098B1 KR 1020077016850 A KR1020077016850 A KR 1020077016850A KR 20077016850 A KR20077016850 A KR 20077016850A KR 101250098 B1 KR101250098 B1 KR 101250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ete delete
band
roller
conveyor belt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6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7199A (ko
Inventor
하인츠 구트크네흐트
Original Assignee
브이엠아이 홀랜드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이엠아이 홀랜드 비.브이. filed Critical 브이엠아이 홀랜드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070087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7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0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0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38Textile inserts, e.g. cord or canvas layers, for tyres; Treatment of inserts prior to building the tyre
    • B29D30/42Endless textile bands without bead-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38Textile inserts, e.g. cord or canvas layers, for tyres; Treatment of inserts prior to building the tyre
    • B29D30/44Stretching or treating the layers before application on the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38Textile inserts, e.g. cord or canvas layers, for tyres; Treatment of inserts prior to building the tyre
    • B29D30/46Cutting textile inserts to required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16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contact of one face only with moving tapes, band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belts or chains, e.g. between belts or chains
    • B65H5/021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belts or chains, e.g. between belts or chains by belts
    • B65H5/02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belts or chains, e.g. between belts or chains by belts between belts and stationary pressing, supporting or guiding elements forming a transport n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20Belts
    • B65H2404/28Other properties of belts
    • B65H2404/281Other properties of belts por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20Belts
    • B65H2404/28Other properties of belts
    • B65H2404/283Other properties of belts magne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93Ty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04Proc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202With product handling means
    • Y10T83/2092Means to move, guide, or permit free fall or flight of product
    • Y10T83/2192Endless convey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647With means to convey work relative to tool station
    • Y10T83/654With work-constraining means on work conveyor [i.e., "work-carri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647With means to convey work relative to tool station
    • Y10T83/6584Cut made parallel to direction of and during work mov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647With means to convey work relative to tool station
    • Y10T83/664Roller
    • Y10T83/6648Continuous conveying during, cutting; e.g., straw cu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yre Moulding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요성 재료(3), 구체적으로 미가황 고무,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강 코드를 갖는 미가황 고무의 밴드 또는 스트립을 픽업하고, 이송하여 배치하는 장치(1)에 관한 것으로, 이 장치는 프레임(15)과, 제1 롤러(11)와 제2 롤러(14)에 걸쳐 주행하는 컨베이어 벨트(7)와, 스트립 또는 밴드를 컨베이어 벨트 상에 유지하기 위한 유지 수단(9)을 갖춘 유지 유닛(8)을 포함하고, 프레임(15)은 제1 롤러(11)를 구비하고, 유지 유닛(8)은 프레임(15)에 변위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2 롤러(14)를 구비하며, 이 장치는 유지 유닛(8)의 변위 중에 컨베이어 벨트(7)를 인장 상태로 유지하는 인장 수단(12, 13)을 더 구비한다.

Description

가요성 재료의 밴드 또는 스트립을 픽업하고, 이송하고, 배치하는 장치{DEVICE FOR PICKING UP, DISPLACING AND PLACING BANDS OR STRIPS OF FLEXIBLE MATERIAL}
본 발명은 가요성 재료, 구체적으로 미가황 고무, 보다 구체적으로 보강 코드를 갖는 미가황 고무의 밴드 또는 스트립을 픽업하고, 이송하고 배치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밴드 및/또는 스트립은 특히 타이어의 제조에 사용된다.
특히 NL-C-1.022.246와 EP 904.959 및 EP 1.095.764로부터, 각각의 벨트 층이 수 개의 스트립으로부터 제조되는 벨트 층을 형성하는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공정에 있어서 스트립을 공급하고 위치 결정하는 데에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개선의 여지가 있다.
EP 1.286.903으로부터, 고무 재료를 절단 장치에 공급하는 공급 장치가 또한 공지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절단 장치를 지나서 밴드를 운반하고, 이 경우에 구체적으로 벨트 층에 대하여 밴드 또는 밴드로부터 절단된 스트립을 위치 결정하는 데에 개선의 여지가 있다.
US 4,954,205로부터, 스트립을 드럼 상에 배치하는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선택된 구조로 인하여, 작업 속도를 개선할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결점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극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가요성 재료, 구체적으로 미가황 고무,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강 코드를 갖는 미가황 고무의 밴드 또는 스트립을 픽업하고, 이송하여 배치하여, 스트립 또는 밴드의 선단이 하류 방향으로 시작 위치로부터 종료 위치까지 이르게 하는 배치 장치를 제공하는 데, 이 배치 장치는,
- 프레임과,
- 적어도 제1 회전축을 갖는 제1 롤러와 제2 회전축을 갖는 제2 롤러에 걸쳐 주행하는 컨베이어 벨트와,
- 스트립 또는 밴드를 컨베이어 벨트 상에 유지하기 위한 유지 수단을 갖춘 유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제1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 유닛은 프레임에 변위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2 롤러를 구비하며,
이 배치 장치는 유지 유닛의 변위 중에 컨베이어 벨트를 인장 상태로 유지하는 인장 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2 롤러는 제2 회전축이 시작 위치의 상류에 있는 제1 위치를 갖는다.
이러한 장치에 의해, 밴드는 매우 빠르게, 또한 위치와 관련하여 상당히 확실하게 이송될 수 있다. 특히, 밴드와 함께 이동해야 하는 부품의 수, 특히 질량을 가능한 한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이송되는 밴드 또는 스트립의 위치 및 방위를 공정 중에 결정할 수 있다.
장치가 컨베이어 벨트용 구동 장치를 더 구비하는 때에, 밴드는 훨씬 빠르게 이송될 수 있고, 유지 유닛의 작동 행정은 더욱 작아진다.
US-A-4,954,205에는, 컨베이어 벨트용 구동 장치에 대한 설명이 추가로 제공되지 않는다. 제1 프레임이 고정 프레임에 대하여 변위되고, 제2 프레임이 고정 프레임 및 제1 프레임에 대하여 변위된다. 그 후에, 완전한 벨트 층이 형성 드럼으로 또한 이송된다.
예컨대 승용차 타이어, 트럭 타이어 등과 같은 차량용 타이어의 부품을 제조하는 데에, 특히 벨트 층과 같은 부품을 생산하는 데에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그러한 장치에 있어서는, 속도 및 정확도가 중요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본 명세서에 전체적으로 참고로 인용되는 PCT/NL03/00926에 개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으로부터 브레이커 플라이(breaker ply)의 벨트 층을 형성하는 장치에 사용될 때에, 위치 결정은 0.1 mm보다 정확해야 하고, 밴드는 0.1초 내에 배치되어야 한다. 밴드는 밴드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 보강 코드를 갖는다. 스트립은 보강 코드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절단된다. 밴드는 압출 장치로부터 산출된다.
그 경우에, 밴드의 폭은 약 5-20 cm이고, 보강 코드가 절단되는 절단 각도는 보강 코드를 가로지를 수도 있고, 벨트 층에 대해서는 15-30도일 수도 있다.
인장 수단은, 롤러의 상호 변위 중에, 컨베이어가 롤러의 둘레에 정확하게 유지되는 것을 보장한다. 일 실시예에서, 인장 수단은, 롤러의 상호 변위 중에 컨베이어 벨트의 적어도 일부가 프레임에 대하여 그 위치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인장 수단은 추가의 제3 롤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인장 수단은 추가의 제4 롤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추가의 제3 롤러는 유지 유닛 상에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추가의 제4 롤러는 프레임 상에 장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4 롤러의 회전 속도에 의해 벨트 속도를 결정하는 장치가 가능하다.
추가의 제3 및 제4 롤러를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제3 롤러는 유지 유닛 상에 장착되고, 제4 롤러는 프레임 상에 장착되며, 롤러들은 유지 유닛의 상기 변위 중에 컨베이어 벨트를 인장 상태로 유지하도록 상호 배치되어 있다. 롤러를 이용함으로써, 인장 수단을 매우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또한, 이하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동해야 하는 질량을 더욱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유지 유닛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변위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유지 유닛은 밴드의 이송 경로의 적어도 일부에 평행하게 변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유지 유닛은 선형 변위 경로를 따라, 바람직하게는 수평 변위 경로를 따라 변위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추가로 기술하고 있듯이, 밴드를 픽업하고 그 밴드가 절단 장치를 지나서 이송되게 하도록 절단 장치를 지나서 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유지 수단은 컨베이어 벨트 내에 위치하고, 바람직하게는 자석 또는 진공 발생 수단을 구비한다. 에어 펌프에 의해 진공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예컨대 컨베이어 벨트에 구멍을 형성하고, 진공 펌프에 의하여 상기 구멍을 통하여 일측의 공기를 흡인함으로써, 밴드를 컨베이어 벨트 상에 흡인 고정할 수 있다. 밴드가 강제 또는 강철 보강 코드를 구비하는 때에, 밴드는 자석(영구 자석 또는 전자석)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 상에 유지될 수 있고, 이러한 자석은 스위치 온-오프될 수 있다는 추가의 이점을 갖는다. 심지어 바람직한 실시예에는, 컨베이어 벨트 아래에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컨베이어 벨트용 구동 장치가 프레임에 연결되고, 바람직하게는 프레임에 고정 연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생산 속도를 더욱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유지 유닛의 변위를 위한 구동 장치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유지 유닛용 구동 장치는 프레임에 고정되고, 바람직하게는 프레임에 고정 연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생산 속도를 더욱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제3 롤러를 구비하는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제2 롤러와 제3 롤러는, 양 롤러와 개념적으로 접촉하는 제1 접선이 유지 유닛의 변위 경로와 평행하도록 서로에 대하여 유지 유닛 상에 장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지 유닛을 변위시킬 때에, 컨베이어 벨트가 용이하게 인장 상태로 유지된다.
제3 및 제4 롤러를 구비하는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제3 롤러와 제4 롤러는, 양 롤러와 개념적으로 접촉하는 제2 접선이 제1 접선과 평행하도록 서로에 대하여 장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지 유닛의 변위 중에 컨베이어 벨트가 인장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컨베이어 벨트는 유지 유닛의 변위 중에 프레임에 대하여 회전-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컨베이어 벨트는 치형 벨트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변위를 조정하고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장치는 밴드를 실질적으로 밴드의 종축을 따라 이송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밴드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밴드가 길이 방향으로 보강 코드를 갖는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컨베이어 벨트는 밴드의 위에 위치한다. 유지 유닛은 밴드를 컨베이어 벨트의 바닥측에 유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유지 유닛과 컨베이어 벨트 구동용 구동 유닛은 컨베이어 벨트와 유지 유닛의 상호 협력 변위 시에, 밴드를 이송 경로를 따라 변위시키는 제어 유닛에 조작 가능하게 연결된다. 유지 유닛과 컨베이어 벨트의 협력에 기인하여, 속도 이득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장치는 선택적으로 제어 유닛에 연결되어 밴드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기 또는 위치 센서를 더 포함한다. 위치 검출기 또는 다른 센서는, 한편으로 공정 모니터링 목적으로, 다른 한편으로 조정 목적으로 제어 유닛에 측정 데이터를 공급한다. 특히 결과적인 손실이 매우 클 수 있는 타이어 형성 장치의 경우에, 생산 데이터에 대한 검증이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가요성 재료, 구체적으로 미가황 고무, 더 구체적으로 보강 코드를 갖는 미가황 고무의 밴드로부터 스트립을 형성하기 위한 조립체로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배치 장치를 포함하며, 여기서 조립체는,
- 밴드의 단부로부터 절단선을 따라 스트립을 절단하는 절단 장치와,
- 밴드를 공급 방향으로 절단 장치로 공급하는 공급 장치와,
- 절단 장치에 의해 절단된 스트립을 배출 방향으로 배출하는 배출 장치를 더 포함하고,
배치 장치는 절단 장치의 하류에 위치하여, 절단 장치를 지나서 상류로 연장되어 공급 장치로부터 밴드를 단부에서 픽업한 후, 이 밴드의 단부를 절단 장치를 지나서 하류로 통과시키며, 절단 장치에 의해 밴드의 단부로부터 절단된 스트립을 배출 장치 상으로 이동시키거나 밴드의 단부를 배출 장치 상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조립체는 본 발명에 따른 배치 장치의 이점을 명확하게 구비한다. 스트립을 간단하게 절단 장치를 통과시킬 수 있는 반면에, 위치는 항상 고정되어 있다. 또한, 변위가 빠르다.
이러한 조립체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배치 유닛은 공급 방향에 평행한 종축과, 조립체의 작동 시에, 공급 장치로부터 배출 장치로 변위될 수 있는 공급측을 갖는 컨베이어 부재를 구비한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한다. 이러한 장치는 절단 장치의 작동을 방해하거나 느리게 하지 않으면서 절단 장치의 하부 및 상부 블레이드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조립체의 일 실시예에서, 유지 유닛은 컨베이어 벨트에 평행하게 변위될 수 있다.
조립체의 일 실시예에서, 유지 유닛은 절단 장치를 향하여 배향된 단부를 갖고 제2 롤러를 구비하며, 이 유지 유닛은 제2 롤러가 절단 장치에 대하여 상류에 있는 제1 위치와 제2 롤러가 절단 장치에 대하여 하류에 있는 제2 위치 사이에서 변위될 수 있다.
상기 조립체의 일 실시예에서, 공급 장치는 밴드가 공급될 수 있는 공급면을 구비하고, 바람직하게는 공급 장치는 공급용 컨베이어 벨트를 구비하고, 제2 롤러는 제1 위치에서 공급면 위에, 바람직하게는 공급면으로부터 밴드 또는 스트립을 박리하도록 공급면의 바로 위에 있다.
상기 조립체의 일 실시예에서, 공급 유닛은 공급 장치에 대하여 일직선으로 변위될 수 있다.
상기 조립체의 일 실시예에서, 배출 장치는 스트립 또는 스트립으로 제조된 부품이 배출될 수 있는 배출면을 구비하고, 바람직하게는 이 배출 장치는 배출용 컨베이어 벨트를 구비하고, 제2 롤러는 제2 위치에서 배출면의 위에, 바람직하게는 배출면 상의 밴드 또는 스트립을 배출하도록 배출면의 바로 위에 배치된다.
조립체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롤러는 제2 롤러에 대하여 일직선으로 위치하고, 제1 및 제2 롤러와 개념적으로 접촉하는 개념상의 접선은 공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조립체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롤러는 제2 롤러에 대하여 일직선으로 위치하고, 제1 및 제2 롤러와 개념적으로 접촉하는 개념상의 접선은 배출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조립체의 일 실시예에서, 롤러는 제2 위치를 지나서 하류에 위치한다.
조립체의 일 실시예에서, 공급 장치는 공급 방향이 배출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출 장치에 대하여 배치된다.
본 발명은 또한 가요성 재료, 구체적으로 미가황 고무, 더 구체적으로 보강 코드를 갖는 미가황 고무의 밴드로부터 스트립을 형성하기 위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 밴드의 단부로부터 절단선을 따라 스트립을 절단하는 절단 장치와,
- 밴드를 공급 방향으로 절단 장치로 공급하는 공급 장치와,
- 절단 장치에 의해 절단된 스트립을 배출 방향으로 배출하는 배출 장치와,
- 공급 장치로부터의 밴드를 밴드의 단부에서 픽업하고, 이어서 밴드의 단부를 절단 장치를 지나가게 통과시키고, 절단 장치에 의해 밴드의 단부로부터 절단된 스트립을 배출 유닛 상에 이동시키거나, 밴드의 단부를 배출 유닛 상에 이동시키는 픽업 및 배치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배치 유닛은, 공급 방향에 평행한 종축을 갖고 그 종축에 평행하게 변위될 수 있는 컨베이어 벨트를 구비하며, 이 컨베이어 벨트는 조립체가 작동할 때에, 절단 전에는 절단 장치의 제1측에 있고 절단 후에는 타측에 있는 단부를 구비한다.
조립체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배치 유닛은 밴드의 단부 또는 스트립을 컨베이어 벨트 상에 유지하는 유지 유닛을 구비한다.
조립체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절단 장치는 하부 블레이드와 상부 블레이드를 구비하고, 컨베이어 벨트의 단부는 하부 블레이드와 상부 블레이드 사이에서 변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가요성 재료, 구체적으로 미가황 고무, 더 구체적으로 보강 코드를 갖는 미가황 고무의 밴드로부터 스트립을 절단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 공급 장치에 의하여, 밴드를 공급 방향으로 절단 장치로 공급하는 단계와,
- 픽업 및 배치 장치에 의하여, 가요성 재료의 밴드를 픽업 및 배치하고, 공급 장치로부터 절단 장치에 대하여 상류에 스트립을 픽업하고, 그 스트립을 절단 장치를 지나가게 하는 단계와,
- 밴드로부터 스트립을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의 일 실시예에서, 절단 장치는 하부 블레이드와 상부 블레이드를 구비하고, 픽업 및 배치 장치는 하부 블레이드와 상부 블레이드 사이에 도달하여 밴드를 픽업하고, 그 밴드가 블레이드를 지나가게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미가황 고무 재료의 연속 밴드로부터 스트립을 절단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서로에 대하여 절단 동작을 실시하도록 위치한 제1 및 제2 절단 부재와, 연속 밴드를 절단 부재로 이송하는 공급용 컨베이어 장치와, 공급측을 갖는 컨베이어 벨트를 구비하는 배치 유닛을 포함하고, 컨베이어 벨트는 절단 부재를 지나서 하류의 제1 위치에 위치하는 것으로, 절단 부재 사이로 상류의 공급측을 공급용 컨베이어 장치에 이르는 상류 위치로 변위시키는 변위 수단을 구비하는 한편, 공급측의 상류 위치에서 밴드를 컨베이어 벨트 상에 유지하며 컨베이어 벨트가 제1 위치로 복귀하는 동안에 그 밴드를 위에 유지하는 유지 수단을 구비한다.
삭제
이러한 방식으로, 빠르고 확실한 변위가 가능하면서도, 변형을 가능한 한 많이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롤러는 제1 회전축이 종료 위치의 하류에 있는 위치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장치가 작동 중인 때에, 제1 롤러는 종료 위치에 대하여 고정 위치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축선을 갖는 제1 롤러는 종료 위치의 하류에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체 이송 경로에 걸쳐서 스트립 또는 밴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장치가 작동 중일 때에, 프레임은 종료 위치에 대하여 고정 위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인장 수단은 추가의 제3 롤러를 구비한다.
상기 장치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추가의 제3 롤러는 유지 유닛 상에 장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3 롤러는 회전축이 제2 롤러의 회전축에 대하여 하류에 있는 상태로 장착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3 롤러는 장치가 작동 중일 때에 제2 롤러에 대하여 고정 위치를 갖는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3 롤러는 회전축이 제2 롤러의 회전축으로부터 상류에 있는 제1 위치에서 장착된다.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인장 수단은 프레임 상에 장착되는 추가의 제4 롤러를 구비하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4 롤러는, 장치가 작동 중일 때, 제1 롤러에 대하여 고정 위치에서 장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위치는 제1 롤러의 상류의 위치이다.
이러한 배치로 인하여, 제4 롤러의 회전 속도가 벨트의 속도를 결정하도록 롤러들을 상호 위치 설정을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장치는 추가의 제3 및 제4 롤러를 구비하고, 제3 롤러는 유지 유닛 상에 장착되고, 제4 롤러는 프레임 상에 장착되며, 롤러들은 유지 유닛의 상기 변위 중에 컨베이어 벨트를 인장 상태로 유지하도록 상호 배치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장치가 작동 중일 때, 제3 롤러의 회전축은 스트립 또는 밴드의 이송 중에 제4 롤러의 하류에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지 유닛은 상류의 후방 유지 단부와 하류의 전방 유지 단부를 구비하고, 장치가 작동 중일 때, 유지 유닛은 후방 유지 단부가 적어도 시작 위치에 근접한 상태의 제1 위치로부터 전방 유지 단부가 적어도 종료 위치에 인접한 상태의 제2 위치로 변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지 유닛은 밴드의 이송 경로의 적어도 일부에 평행하게 변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지 유닛은 선형 변위 경로, 바람직하게는 수평 변위 경로를 따라 변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지 수단은 컨베이어 벨트 내에 위치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유지 수단은 자석 또는 진공 발생 수단을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서, 컨베이어 벨트를 구동하는 구동 장치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컨베이어 벨트용 구동 장치는 프레임에 연결되고, 특히 고정 상태로 프레임에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유지 유닛용 구동 장치는 프레임에 연결되고, 특히 고정 상태로 프레임에 대하여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 장치는 구동 장치에 의해 프레임에 대해 구동 변위될 수 있는, 일 실시예에서는 장치가 작동 중일 때 스트립 또는 밴드가 이송되는 이송 경로에 평행하게 이동 가능한 변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 유닛은 유지 유닛을 동작 상태로 설정하도록 변위 부재에 결합하는 플라이트(flight)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서, 장치는 동작 시에 스트립 또는 밴드의 이송 또는 배치를 실행하도록 컨베이어 벨트를 구동하는 컨베이어 벨트 구동 유닛을 더 포함하고, 일 실시예에서 컨베이어 벨트 구동 유닛은 프레임에 배치되고, 일 실시예에서 프레임에 대하여 고정 상태로 배치되고, 컨베이어 벨트 구동 유닛은 일 실시예에서 제1 롤러 또는, 존재하는 경우, 프레임에 장착된 다른 롤러 또는 롤러들의 조합을 구동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3 롤러를 구비할 때에, 제2 롤러와 제3 롤러는, 양 롤러와 개념적으로 접촉하는 제1 접선이 유지 유닛의 변위 경로와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서로에 대하여 유지 유닛 상에 장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4 롤러를 더 포함하고, 제3 롤러와 제4 롤러는, 양 롤러와 개념적으로 접촉하는 제2 접선이 제1 접선과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서로에 대하여 장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컨베이어 벨트는 치형 벨트이다.
일 실시예에서, 장치는 밴드를 실질적으로 밴드의 종축을 따라 이송하도록 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컨베이어 벨트는 밴드 위에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서, 유지 유닛과 컨베이어 벨트 구동용 구동 유닛은, 컨베이어 벨트와 유지 유닛의 상호 협력 변위 시에, 밴드를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하는 제어 유닛에 작동적으로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장치는 선택적으로 제어 유닛에 연결되어 밴드 또는 스트립의 위치를 판독하는 위치 판독기 또는 위치 센서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 유닛은 컨베이어 벨트 구동 유닛에도 작동적으로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 유닛은 위치 판독기 또는 위치 센서에 의해 판독한 스트립 또는 밴드의 위치에 기초하여 구동 유닛과, 존재하는 경우, 컨베이어 벨트 구동 유닛의 교정을 실시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배치 장치를 포함하고, 절단선을 따라 밴드의 단부로부터 스트립을 절단하는, 시작 위치와 종료 위치 사이에 위치한 절단 장치를 더 포함하는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배치 장치는 절단 장치의 하류에 위치하여, 작동 시에 절단 장치를 지나서 상류로 연장되어 밴드를 단부에 픽업한 후, 이 밴드의 단부를 절단 장치를 지나서 하류로 통과시키며, 작동 시에 제2 롤러의 제1 위치가 절단선의 상류에 있다.
그러한 조립체의 일 실시예에서, 밴드에는 밴드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 코드가 구비되고, 상기 절단 장치는 보강 코드에 대하여 소정 각도의 절단선을 갖도록 위치한다.
조립체의 일 실시예에서, - 밴드를 공급 방향으로 절단 장치에 공급하는 공급 장치와,
- 절단 장치에 의해 절단된 스트립을 배출 방향으로 배출하는 배출 장치를 더 포함하고,
배치 장치는, 공급 장치로부터 밴드를 픽업하고, 밴드의 단부가 절단 장치를 지나가게 하고, 이어서 절단 장치에 의해 밴드의 단부로부터 절단된 스트립을 배출 장치 상으로 이동시키거나 밴드의 단부를 배출 장치 상으로 이동시키도록 배치된다.
조립체의 일 실시예에서, 배치 유닛은 컨베이어 부재를 구비한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며, 이 컨베이어 부재는 공급 방향에 평행한 종축과, 조립체의 작동 시에, 공급 장치로부터 배출 장치로 변위될 수 있는 공급측을 갖는다.
조립체의 일 실시예에서, 유지 유닛은 컨베이어 벨트에 평행하게 변위될 수 있다.
조립체의 일 실시예에서, 유지 유닛은 절단 장치를 향하여 배향된 단부를 갖고 제2 롤러를 구비하며, 이 유지 유닛은 제2 롤러가 절단 장치에 대하여 상류에 있는 제1 위치와 제2 롤러가 절단 장치에 대하여 하류에 있는 제2 위치 사이에서 변위될 수 있다.
조립체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공급 장치는 밴드가 공급될 수 있는 공급면을 구비하고, 일 실시예에서 공급 장치는 공급용 컨베이어 벨트를 구비하고, 제1 위치의 제2 롤러는 공급면 위에, 일 실시예에서는 공급면으로부터 밴드 또는 스트립을 박리하도록 공급면의 바로 위에 있다.
조립체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공급 유닛은 공급 장치에 대하여 일직선으로 변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배출 장치는 스트립 또는 스트립으로 제조된 부품이 배출될 수 있는 배출면을 구비하고, 일 실시예에서, 이 배출 장치는 배출용 컨베이어 벨트를 구비하고, 제2 롤러는 제2 위치에서 배출면 위에, 다른 실시예에서는 배출면 상의 밴드 또는 스트립을 배출하도록 배출면의 바로 위에 배치된다.
조립체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롤러는 제2 롤러에 대하여 일직선으로 위치하고, 제1 및 제2 롤러와 개념적으로 접촉하는 개념상의 접선은 공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롤러는 제2 롤러에 대하여 일직선으로 위치하고, 제1 및 제2 롤러와 개념적으로 접촉하는 개념상의 접선은 배출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롤러는 제2 위치를 지나서 하류에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서, 공급 장치는 공급 방향이 배출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출 장치에 대하여 배치된다.
본 발명은 또한 가요성 재료, 구체적으로 미가황 고무, 더 구체적으로 보강 코드를 갖는 미가황 고무의 밴드로부터 스트립을 형성하기 위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이 조립체는
- 밴드의 단부로부터 절단선을 따라 스트립을 절단하는 절단 장치와,
- 밴드를 공급 방향으로 절단 장치로 공급하는 공급 장치와,
- 절단 장치에 의해 절단된 스트립을 배출 방향으로 배출하는 배출 장치와,
- 공급 장치로부터의 밴드를 밴드의 단부에서 픽업하고, 이어서 밴드의 단부를 절단 장치를 지나가게 통과시키고, 절단 장치에 의해 밴드의 단부로부터 절단된 스트립을 배출 유닛 상에 이동시키거나, 밴드의 단부를 배출 유닛 상에 이동시키는 픽업 및 배치 유닛을 포함하고,
배치 유닛은, 공급 방향에 평행한 종축을 갖고 그 종축에 평행하게 변위될 수 있는 컨베이어 벨트를 구비하며, 이 컨베이어 밸트는 조립체가 작동할 때에, 절단 전에는 절단 장치의 제1측에 있고 절단 후에는 타측에 있는 단부를 갖는다.
이 조립체의 일 실시예에서, 배치 유닛은 밴드의 단부 또는 스트립을 컨베이어 벨트 상에 유지하는 유지 유닛을 구비한다.
조립체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절단 장치는 하부 블레이드와 상부 블레이드를 구비하고, 컨베이어 벨트의 단부는 하부 블레이드와 상부 블레이드 사이에서 변위될 수 있다.
상기 조립체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픽업 및 배치 유닛은 전술한 바와 같은 장치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또한, 가요성 재료, 구체적으로 미가황 고무, 더 구체적으로 보강 코드를 갖는 미가황 고무의 밴드로부터 스트립을 절단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방법은,
- 공급 장치에 의하여, 밴드를 공급 방향으로 절단 장치로 공급하는 단계와,
- 픽업 및 배치 장치에 의하여, 가요성 재료의 밴드를 픽업 및 배치하고, 공급 장치로부터 절단 장치에 대하여 상류에 스트립을 픽업하고, 그 스트립을 절단 장치를 지나가게 하류로 통과시키는 단계와,
- 밴드로부터 스트립을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의 일 실시예에서, 절단 장치는 하부 블레이드와 상부 블레이드를 구비하고, 픽업 및 배치 장치는 하부 블레이드와 상부 블레이드 사이에 도달하여 밴드를 픽업하고, 그 밴드가 블레이드를 지나가게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미가황 고무 재료의 연속 밴드로부터 스트립을 절단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서로에 대하여 절단 동작을 실시하도록 위치한 제1 및 제2 절단 부재와, 연속 밴드를 절단 부재로 이송하는 공급용 컨베이어 장치와, 공급측을 갖는 컨베이어 벨트를 구비하는 배치 유닛을 포함하고, 컨베이어 벨트는 절단 부재를 지나서 하류의 제1 위치에 위치하는 것으로, 절단 부재 사이로 상류의 공급측을 공급용 컨베이어 장치에 이르는 상류 위치로 변위시키는 변위 수단을 구비하는 한편, 공급측의 상류 위치에서 밴드를 컨베이어 벨트 상에 유지하며 컨베이어 벨트가 제1 위치로 복귀하는 동안에 그 밴드를 위에 유지하는 유지 수단을 구비한다.
삭제
본 발명은 또한, 가요성 재료, 구체적으로 미가황 고무,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강 코드를 갖는 미가황 고무의 스트립 또는 밴드를 픽업하고, 이송하여 배치하여, 밴드 또는 스트립의 선단이 하류 방향으로 시작 위치로부터 종료 위치에 이르게 하는 배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 프레임과,
- 적어도 제1 회전축을 갖는 제1 롤러와 제2 회전축을 갖는 제2 롤러에 걸쳐 주행하는 컨베이어 벨트와,
- 스트립 또는 밴드를 컨베이어 벨트 상에 유지하기 위한 유지 수단을 갖춘 유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제1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 유닛은 프레임에 변위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2 롤러를 구비하며,
이 장치는 유지 유닛의 변위 중에 컨베이어 벨트를 인장 상태로 유지하는 인장 수단을 더 구비한다.
전술한 실시예들을 조합할 수 있다.
추가의 이점을 설명하고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 조립체 및 방법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을 추가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도 1b는 도 1a의 조립체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2는 제1 공정 단계 중의 도 1a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도 3은 추가의 공정 단계 중의 도 1a을 도시하고,
도 4는 다음 공정 단계에서의 도 1a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도 5는 다음 공정 단계에서의 도 1a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최대 이동 부분이 진행해야 하는 전체 배치 거리를 도시하고,
도 7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배치 장치를 도시하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a에는, 배치 장치(1)와 공급 벨트(2)를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공급 벨트는 고무 재료(3)의 밴드를 그 위에 유지하도록 자성 수단 또는 진공 수단과 같은 유지 수단(4)을 구비한다. 본 예에서, 밴드는 밴드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한 보강 코드를 갖는 연속 밴드이다. 본 예에서, 밴드는 압출기로부터 얻어진다.
조립체는 절단 장치를 더 구비하고, 본 예에서의 절단 장치는 상부 블레이드(6)와 하부 블레이드(5)를 구비한다. 절단 장치는 공급용 컨베이어 벨트(2)의 출구측(16)에 위치한다. 공급용 컨베이어 벨트(2)에 대하여 상류측에 블레이드(5, 6)에 인접하여, 배출 컨베이어 장치(10; 본 예의 경우에는 예컨대 소위 치형 벨트 또는 타이밍 벨트 컨베이어와 같은 컨베이어)가 위치한다. 상기 컨베이어 장치(10)는 이송 방향이 방향 V에 있어서 도면의 지면으로 나오는 방향을 향하게 위치한다.
배치 장치(1)는 롤러(11, 12, 13, 14)에 걸쳐서 진행하는 컨베이어 벨트(7)를 구비한다. 배치 장치는 프레임(15)을 구비하고, 이 프레임에는 롤러(11, 12)가 서로에 대해 고정 장착된다. 배치 장치는 배치 유닛(8)을 더 구비하고, 이 배치 유닛은 프레임(15)에 대하여 상류 및 하류로, 본 예의 경우에는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또는 그와 반대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의 롤러(14)와 롤러(13)는 이동 가능하거나 변위 가능한 배치 유닛(8) 상에 서로에 대해 고정 장착된다. 롤러의 위치와, 프레임(15) 및 배치 유닛(8)의 상호 이동은, 배치 유닛(8)이 프레임(15)에 대하여 변위되는 경우에 컨베이어 벨트가 인장 상태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배치 유닛(8)은 컨베이어 벨트(7)까지 상향 연장하는 유지 수단(9)을 또한 구비한다. 상기 유지 수단은, 예컨대 스위치 온-오프될 수 있는 전자석 또는 진공 발생 수단일 수 있다.
도 1b는 도 1a의 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컨베이어 벨트(7)와 스트립(3)이 일직선으로 있다는 것을 명백하게 볼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10) 상에서 스트립을 서로 나란하게 배치함으로써 벨트 층(20)이 형성된다. 특히 본원 출원인 명의의 PCT/NL03/00926에는 상기 스트립들을 접합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 결과, 소정 코드 각도의 보강 코드를 갖는 평행사변형 형상의 벨트 층이 형성된다.
도 2에는, 스트립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공정 사이클의 제1 단계가 도시되어 있다. 공급 컨베이어(2)에 의하여, 재료(3)의 밴드가 절단 장치(5, 6)에 공급된다. 상부 블레이드(6)는 배치 유닛(8)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화살표 B로 표시된 방향으로 상향 이동하고, 압력 롤러(13, 14)가 배치 유닛(8) 상에서 상호 고정 위치에 있을 때에, 컨베이어 벨트(7)는 절단 장치의 블레이드를 지나서 공급 장치(2)의 고무 재료(3)까지 연장한다. 배치 유닛(8)의 동작 초기에, 전체 프레임(15)은 화살표 A로 지시된 바와 같이 약간 상향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공정 단계의 말미에, 컨베이어 벨트(7)와 함께 배치 유닛이 절단 장치를 지나서, 공급 장치(2) 및 고무 재료(3)의 밴드 위에 위치한다.
도면에서, 상부 블레이드(6)는 하부 블레이드(5)에 대하여 전체 배치 유닛(8)이 통과하기에 충분히 큰 행정을 갖는다. 이러한 행정은 선택된 치수에 기인하여 단지 롤러(14)가 통과만 할 수 있을 정도로 작게 선택될 수 있다. 그 결과, 행정이 작아질수록, 더욱 빠른 속도가 가능하다.
도 3은 처리 장치에 있어서 도시된 다음 단계를 도시한다. 공급 장치(2)는 서보모터(도시 생략)에 의해 작동하여, 고무 재료(3)의 밴드를 화살표 D로 표시된 공급 방향으로 이송한다. 롤러를 구동하도록 설치된 서보모터[본 예에서는, 컨베이어 벨트(7)의 롤러(12)를 구동하는 서보모터]도 또한 작동된다. 프레임에 부착된 롤러를 구동함으로써, 컨베이어 벨트(7)를 구동할 수 있는 반면에, 구동 장치 자체는 변위될 필요가 없다.
배치 유닛(8)의 유지 수단(9)은 고무 재료가 컨베이어 벨트(7) 상에 또한 유지되도록 작동하며, 컨베이어 벨트(7)를 작동시킴으로써, 컨베이어 벨트(7)에 대하여 유지된 고무 재료(3)는 방향 E로 이송된다. 이제, 고무 재료(3)는 배치 장치의 컨베이어 벨트(7)와 공급 장치(2) 양자의 협력에 의해 이송되고, 롤러(12)의 회전 속도는 컨베이어 벨트의 주행 속도를 결정한다. 동시에, 예컨대 출원인 명의의 EP-B1-649,730에 특히 개시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블레이드를 지나서 이송된 재료의 길이 측정이 개시된다.
도 4는 재료의 스트립을 형성하는 공정에 있어서 다음 단계를 도시한다. 이 단계에서, 컨베이어 벨트(7)는 여전히 방향 E로 진행하여 고무 재료가 이송되며, 또한 공급 장치(2)가 여전히 작동하여 고무 재료가 D 방향으로 이송된다. 그에 따라, 특히 고무 재료는 배치 장치의 컨베이어 벨트(7)와 공급 장치(2)의 경로 협력에 의하여 변위된다. 공급용 컨베이어 벨트(2)와 배치 장치(1)의 컨베이어 벨트(7) 양자에는 유지 수단(4, 9)에 의해 재료(3)가 유지되어, 재료는 상당히 확실하게 변위될 것이다. 도 4는 배치 유닛(8)이 C' 방향으로 또한 이동하는 것도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재료(3)를 절단하는 공정을 도시한다. 배치 유닛(8)은 이제 블레이드(5, 6)를 지나서 하류에 있다. 상부 블레이드(6)는 화살표 B'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하여, 고무 재료(3)의 밴드의 단부로부터 스트립을 절단한다. 유지 수단(4, 9)이 여전히 작동하기 때문에, 스트립과 밴드(3)의 단부 모두는 적절하게 위치 결정되고, 절단 중에 이동할 수 없다. 밴드(3)는 도입된 길이에 따라 절단 장치를 지나서 통과한 상태이다. 배치 장치는 밴드를 컨베이어 벨트(10) 상에 배치하도록 방향 A'로 하향 이동한다. 그 후에, 밴드가 절단되고, 프레임(15)이 상향 이동한다. 절단된 스트립은 배치 유닛(8)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배출 컨베이어(10)의 벨트 상으로 보내진다.
절단된 스트립이 컨베이어 벨트(10) 상의 정확한 위치에 있을 때, 유지 수단(9)은 스위치 오프로 된다(예컨대, 전자석이 스위치 오프로 된다). 동시에, 컨베이어 벨트(10)의 유지 수단이 스위치 온으로 되고, 그 결과 밴드가 컨베이어 벨트(10) 상에 유지된다.
그 후에, 배출용 컨베이어(10)는 다음 스트립을 선행 스트립에 접하게 배치할 수 있도록, 또는 여러 스트립으로 형성된 완전한 구성 요소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이송를 실행하기 위하여 작동한다. 이러한 절차는 예컨대 상기 PCT/NL03/00926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도 6은 하나의 도면에 배치 유닛(8)의 양쪽의 최종 위치를 도시한다. 명확성을 위하여, 위치 중 하나는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컨베이어 벨트(7) 및 배치 유닛(8) 양자의 동작에 의해 밴드(3')가 이송되면, 배치 유닛(8)의 전체 변위 행정은 변위 거리 L로 제한될 수 있다. 비교 목적으로, 도 7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배치 장치(8')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배치 장치(8')는 전적으로 변위 거리 L'에 걸쳐 이동하고, 이 거리는 절단되는 스트립의 전체 길이와 거의 동일하다. 그 결과, 매우 긴 변위 경로를 진행해야 하며, 공정은 상당히 느려질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변형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예에서, 배치 유닛(8)은 치형 벨트(22)를 구동하는 전동기(23)에 의해 구동된다. 치형 벨트( 22)에는, 배치 유닛(8)에 연결되는 클램프(21)가 부착된다. 전동기 및 치형 벨트에 의해, 배치 유닛은 경로 L에 걸쳐 변위될 수 있다. 여기서, 전동기(23) 자체는 변위될 필요가 없다.
또한 컨베이어 벨트(7)도 구동 가능하기 때문에, 컨베이어 벨트와 협력하여 배치 유닛을 거리 L에 걸쳐 변위시킴으로써 밴드를 소정 거리 변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컨베이어 벨트(7)는 4개의 롤러에 걸쳐 진행하고, 롤러(13, 14)는 배치 유닛(4)에 연결되어 있다. 롤러(11, 12, 12')는 프레임(15)에 장착되어 있다. 선택된 구조로 인하여, 롤러를 구비한 배치 유닛(8)이 상류 및 하류로 왕복 이동하면 되는데, 이는 컨베이어 벨트용 구동 장치 및 배치 유닛(8)의 구동 장치(23)는 프레임(15)에 고정 장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 결과, 이동시켜야 하는 질량을 가능한 한 작게 유지할 수 있어, 매우 높은 생산 속도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스트립과 밴드 모두는 위치를 알 수 있도록 계속 유지되므로, 스트립을 정확하게 배치할 수 있다.
작은 직경의 롤러(14)로 인하여, 블레이드의 행정을 제한된 상태로 또한 유지할 수 있다.
롤러의 선택으로 인하여, 컨베이어 벨트가 프레임(15)에 대해 회전하지 않는 동안, 즉 정지 상태로 있거나 비회전 상태로 있는 동안 배치 유닛(8)을 이동시키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전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작동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본 명세서에 도시 및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명백하다. 전술한 설명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많은 변형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49)

  1. 가요성 재료의 밴드 또는 스트립의 선단이 하류 방향으로 시작 위치로부터 종료 위치에 이르도록 상기 밴드 또는 스트립을 픽업하고 이송하여 배치하는 배치 장치를 포함하는 조립체로서, 상기 배치 장치는,
    - 프레임과,
    - 적어도 제1 회전축을 갖는 제1 롤러와 제2 회전축을 갖는 제2 롤러에 걸쳐 주행하는 컨베이어 벨트와,
    - 스트립 또는 밴드를 컨베이어 벨트 상에 유지하기 위한 유지 수단을 갖춘 유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이 상기 제1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 유닛은 프레임에 변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2 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배치 장치는 유지 유닛의 변위 중에 컨베이어 벨트를 인장 상태로 유지하는 인장 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2 롤러는 제2 회전축이 시작 위치의 상류에 있는 제1 위치를 갖는 것인 조립체에 있어서,
    절단선을 따라 밴드의 단부로부터 스트립을 절단하는, 시작 위치와 종료 위치 사이에 위치한 절단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치 장치는 절단 장치의 하류에 위치하여, 작동 시에 절단 장치를 지나서 상류로 연장되어 밴드를 단부에서 픽업한 후, 이 밴드의 단부를 절단 장치를 지나서 하류로 통과시키며, 작동 시에 제2 롤러의 제1 위치가 절단선의 상류에 있는 것인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에는 밴드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 코드가 구비되고, 상기 절단 장치는 보강 코드에 대하여 각도를 이루는 절단선으로 절단하도록 위치 설정되는 것인 조립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 밴드를 공급 방향으로 절단 장치에 공급하는 공급 장치와,
    - 절단 장치에 의해 절단된 스트립을 배출 방향으로 배출하는 배출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치 장치는, 공급 장치로부터 밴드를 픽업하여, 밴드의 단부가 절단 장치를 지나가게 하고, 이어서 절단 장치에 의해 밴드의 단부로부터 절단된 스트립을 배출 장치 상으로 이동시키거나 밴드의 단부를 배출 장치 상으로 이동시키도록 배치되는 것인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배치 장치는 컨베이어 부재를 구비한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며, 이 컨베이어 부재는 공급 방향에 평행한 종축과, 조립체의 작동 시에, 공급 장치로부터 배출 장치로 변위될 수 있는 공급측을 구비하는 것인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유닛은 컨베이어 벨트에 평행하게 변위될 수 있는 것인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유닛은 절단 장치를 향하여 배향된 단부를 갖는 한편, 상기 제2 롤러를 구비하며, 이 유지 유닛은 제2 롤러가 절단 장치에 대하여 상류에 있는 제1 위치와 제2 롤러가 절단 장치에 대하여 하류에 있는 제2 위치 사이에서 변위될 수 있는 것인 조립체.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장치는 밴드가 공급될 수 있는 공급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롤러는 제1 위치에서 공급면 위에 있는 것인 조립체.
  8. 제3항에 있어서, 공급 유닛은 공급 장치에 대하여 일직선으로 변위될 수 있는 것인 조립체.
  9. 제3항에 있어서, 배출 장치는 스트립 또는 이 스트립으로 제조된 부품이 배출될 수 있는 배출면을 구비하는 것인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배출 장치는 배출용 컨베이어 벨트를 구비하며, 제2 롤러는 제2 위치에서 배출면의 위에 배치되는 것인 조립체.
  11. 제7항에 있어서, 제1 롤러는 제2 롤러에 대하여 일직선으로 위치하고, 제1 및 제2 롤러와 개념적으로 접촉하는 개념상의 접선은 공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것인 조립체.
  12. 제9항에 있어서, 제1 롤러는 제2 롤러에 대하여 일직선으로 위치하고, 제1 및 제2 롤러와 개념적으로 접촉하는 개념상의 접선은 배출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것인 조립체.
  13. 제6항에 있어서, 제1 롤러는 제2 위치를 지나서 하류에 위치하는 것인 조립체.
  14. 제3항에 있어서, 공급 장치는 공급 방향이 배출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출 장치에 대하여 배치되는 것인 조립체.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KR1020077016850A 2004-12-22 2005-12-22 가요성 재료의 밴드 또는 스트립을 픽업하고, 이송하고,배치하는 장치 KR1012500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1027846A NL1027846C2 (nl) 2004-12-22 2004-12-22 Inrichting voor het opnemen, verplaatsen en plaatsen van strips of stroken flexibel materiaal.
NL1027846 2004-12-22
PCT/NL2005/000882 WO2006068474A1 (en) 2004-12-22 2005-12-22 Device for picking up, displacing and placing bands or strips of flexible materi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7199A KR20070087199A (ko) 2007-08-27
KR101250098B1 true KR101250098B1 (ko) 2013-04-02

Family

ID=34974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6850A KR101250098B1 (ko) 2004-12-22 2005-12-22 가요성 재료의 밴드 또는 스트립을 픽업하고, 이송하고,배치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3) US20080185095A1 (ko)
EP (1) EP1831004B1 (ko)
JP (1) JP4744531B2 (ko)
KR (1) KR101250098B1 (ko)
CN (1) CN101107119B (ko)
BR (1) BRPI0519191A2 (ko)
DE (1) DE602005012990D1 (ko)
NL (1) NL1027846C2 (ko)
RU (1) RU2379186C2 (ko)
WO (1) WO20060684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33452C2 (nl) * 2007-02-26 2008-08-27 Vmi Epe Holland Snijinrichting.
DE102007027531A1 (de) * 2007-06-15 2008-12-18 Schmidt & Heinzmann Gmbh & Co. Kg Materialstrang-Behandl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Behandlung eines Materialstrangs
US9252318B2 (en) * 2008-03-05 2016-02-02 Hanergy Hi-Tech Power (Hk) Limited Solution containment during buffer layer deposition
US20090238662A1 (en) * 2008-03-18 2009-09-24 Goss International Americas, Inc. Servo driven apparatus for trimming and transporting printed products in a trimmer
NL2001849C2 (nl) * 2008-07-23 2010-01-26 Vmi Epe Holland Werkwijze voor het op een bouwtrommel aanbrengen van een breaker van een groene band.
FR2939780B1 (fr) * 2008-12-12 2011-10-21 Michelin Soc Tech Dispositif de transfert et d'alignement de bandelettes destinees a etre assemblees pour former une nappe.
FR2951711B1 (fr) * 2009-10-28 2012-10-05 Michelin Soc Tech Tapis de stockage pour une nappe servant a la fabrication de pneumatiques
US20110265624A1 (en) * 2010-05-01 2011-11-03 Pasek James E High Speed Slicing Machine
NL2007058C2 (nl) * 2011-07-06 2013-01-08 Vmi Holland Bv Samenstel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groene band.
FR2992253B1 (fr) * 2012-06-22 2015-01-09 Michelin & Cie Dispositif de coupe et de transfert d'une bande de produit destinee a l'assemblage d'un pneumatique
CN105121144B (zh) 2013-03-27 2017-10-10 倍耐力轮胎股份公司 用于获得用于车辆车轮的轮胎的处理和设备
NL2011541C2 (en) * 2013-10-02 2015-04-07 Vmi Holland Bv Method for picking up and placing tire components.
CN104370136A (zh) * 2014-11-27 2015-02-25 江南大学 一种布条传动装置
US10359327B2 (en) 2014-12-01 2019-07-23 Ebay Inc. Waist measuring belt
CN111702822A (zh) * 2015-02-06 2020-09-25 斯第莱斯梯克有限公司 带形成系统
NL2015978B1 (en) * 2015-12-17 2017-07-10 Vmi Holland Bv Joining apparatus for joining tire components.
ES2729526T3 (es) * 2016-01-07 2019-11-04 Fagor Arrasate S Coop Dispositivo de transporte de piezas y método para transportar piezas
IT201600094439A1 (it) * 2016-09-20 2018-03-20 Manz Italy Srl Apparato di lavorazione
NL2018057B1 (en) 2016-12-23 2018-07-02 Vmi Holland Bv Cutting device and method for cutting-off a length of a continuous strip to form a tire compon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531A (ja) * 1986-06-23 1988-01-06 Mitsubishi Heavy Ind Ltd タイヤ部材の自動貼付方法及び装置
JPH01225536A (ja) * 1988-03-04 1989-09-08 Mitsubishi Heavy Ind Ltd コード入りストリツプの接合方法および装置
US4954205A (en) * 1988-01-07 1990-09-04 Mitsubishi Jukogyo Kabushiki Kaisha Joining device for cord-reinforced belt-shaped material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339391A (fr) * 1962-11-22 1963-10-04 Continental Gummi Werke Ag Dispositif pour la coupe oblique ou transversale de câbles juxtaposés ou de bandesà câbles métalliques insérés
DE1556022A1 (de) * 1967-10-11 1970-01-15 Th Jaeger Feinpappenfabrik Endoses Foerderband
US3803965A (en) * 1972-05-24 1974-04-16 Steelastic Co Apparatus for producing reinforced fabric
JPS5855235A (ja) * 1981-09-29 1983-04-01 Bridgestone Corp リボン状材料の連続スプライス方法及び装置
JPS63231927A (ja) * 1987-03-20 1988-09-28 Mitsubishi Heavy Ind Ltd タイヤ部材の供給装置
NL8800077A (nl) * 1988-01-14 1989-08-01 Vmi Epe Holland Inrichting voor het doorsnijden van een strook ongevulcaniseerde rubber.
US5123231A (en) * 1990-10-31 1992-06-23 Fallas David M Product grouping and packing apparatus and method
JPH04260516A (ja) * 1991-02-14 1992-09-16 Bridgestone Corp タイヤ構成部材搬送装置
DE4407964A1 (de) * 1994-03-10 1995-09-14 Continental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tomatischen Auflegen und Spleißen von Materialbahnen auf eine Reifenaufbautrommel
US6533891B1 (en) * 1999-02-03 2003-03-18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Butt splicing of elastomeric sheet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531A (ja) * 1986-06-23 1988-01-06 Mitsubishi Heavy Ind Ltd タイヤ部材の自動貼付方法及び装置
US4954205A (en) * 1988-01-07 1990-09-04 Mitsubishi Jukogyo Kabushiki Kaisha Joining device for cord-reinforced belt-shaped materials
JPH01225536A (ja) * 1988-03-04 1989-09-08 Mitsubishi Heavy Ind Ltd コード入りストリツプの接合方法およ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519191A2 (pt) 2008-12-30
JP4744531B2 (ja) 2011-08-10
CN101107119B (zh) 2010-08-25
US20100095820A1 (en) 2010-04-22
RU2379186C2 (ru) 2010-01-20
DE602005012990D1 (de) 2009-04-09
US20100095814A1 (en) 2010-04-22
EP1831004B1 (en) 2009-02-25
KR20070087199A (ko) 2007-08-27
CN101107119A (zh) 2008-01-16
JP2008525223A (ja) 2008-07-17
US20080185095A1 (en) 2008-08-07
EP1831004A1 (en) 2007-09-12
NL1027846C2 (nl) 2006-06-23
RU2007128003A (ru) 2009-01-27
WO2006068474A1 (en) 2006-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0098B1 (ko) 가요성 재료의 밴드 또는 스트립을 픽업하고, 이송하고,배치하는 장치
KR101140074B1 (ko) 컷팅 장치
KR100891033B1 (ko) 점착성 밴드의 밴드 부분을 절단 및 접합하는 장치 및 방법
US20090126874A1 (en) Supply device for a tire-building drum
KR20140019738A (ko) 코드밴드용 중첩 스플라이싱 장치
JP4743591B2 (ja) タイヤ用帯状部材の搬送装置及び接合装置
JP2000159399A (ja) 帯状部材の接合方法および接合装置
JPS63116838A (ja) タイヤ構成部材の貼付装置
US6984285B2 (en) Splicer for splicing strips of in rubber material embedded cords to each other
JP6100083B2 (ja) 一定長さにカットされた部材の巻付体への巻付方法及び巻付体への部材の巻付装置
KR100287246B1 (ko) 띠형부재를 형성하여 공급하는 방법 및 장치
JP3953818B2 (ja) コードが埋め込まれたゴム材料からなる複数のストリップを互いに接合するスプライサ
JPH11221860A (ja) タイヤ構成部材の成形方法および装置
US634616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heet members
JP2008200998A (ja) タイヤ成型装置
JP4167003B2 (ja) 加硫済トレッド部材の切断方法
KR200351470Y1 (ko) 타이어 성형드럼의 카카스 공급장치
KR920009953B1 (ko) 타이어용 코드지의 재단방법과 그 장치
CN218197083U (zh) 用于向轮胎成型鼓供应第一轮胎部件和第二轮胎部件的双轮胎部件供料器
US10987888B2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ire component member
JP2011121301A (ja) タイヤ構成部材の搬送装置
KR20050052810A (ko) 타이어 성형기용 벨트자동공급장치
JP2009113378A (ja) タイヤ用のプライ材料の切断搬出装置
JPH1148364A (ja) バイアスプライの成形方法および装置
JPH05208725A (ja) タイヤ構成部材の供給方法及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