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9844B1 - 벨트 구동장치를 채용한 전사유니트 및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벨트 구동장치를 채용한 전사유니트 및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9844B1
KR101249844B1 KR1020070085415A KR20070085415A KR101249844B1 KR 101249844 B1 KR101249844 B1 KR 101249844B1 KR 1020070085415 A KR1020070085415 A KR 1020070085415A KR 20070085415 A KR20070085415 A KR 20070085415A KR 101249844 B1 KR101249844 B1 KR 101249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roller
tension
locking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5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7253A (ko
Inventor
강일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047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7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9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9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6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 G03G15/167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at least one of the recording member or the transfer member being rotatable during the transf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75Details relating to xerographic drum, band or plate, e.g. replacing, testing
    • G03G15/754Details relating to xerographic drum, band or plate, e.g. replacing, testing relating to band, e.g. tensio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transfer un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벨트 구동에 의해 이완 상태의 벨트에 대해 자동으로 장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된 구조의 벨트 구동장치를 채용한 전사유니트 및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개시된 화상형성장치는, 토너를 현상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유니트와; 현상유니트에서 형성된 화상을 인쇄매체에 전사하는 전사유니트와; 인쇄매체에 전사된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유니트;를 포함하며, 전사유니트는, 벨트와; 이 벨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롤러와; 복수의 롤러 중 제1롤러가 벨트를 이완시키는 벨트 장력 해제위치와, 복수의 롤러 중 제2롤러의 회전에 연동되어 벨트에 장력을 인가하는 벨트 장력 인가위치 사이에서 움직이도록 하는 벨트장력 인가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벨트 구동장치를 채용한 전사유니트 및 화상형성장치{Transfer unit using belt driv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벨트를 회전 구동하는 벨트 구동장치를 채용한 전사유니트 및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벨트 구동에 의해 이완 상태의 벨트에 대해 자동으로 장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된 구조의 벨트 구동장치를 채용한 전사유니트 및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벨트 구동장치는 벨트의 내주면에 배치된 복수개의 롤러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벨트와 적어도 하나의 롤러 사이의 마찰에 의해 벨트를 회전 구동한다. 이 벨트 구동장치는 레이저 프린터, 레이저 팩스, 디지털 복사기 등의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널리 적용된다. 즉,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감광벨트, 감광매체 상의 토너 화상을 전사하는 전사벨트, 인쇄매체를 이송하는 이송벨트 등을 포함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벨트 구동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벨트 구동장치는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되는 전사벨트를 구동하는 장치를 예로 들어 나타낸 것으로, 전사 및 인쇄매체 이송을 수행하는 벨트(10)를 회전 지지하는 다수의 롤러들과, 상기 롤러들을 지지하는 프레임(도 2의 1) 및, 상기 벨트(10)에 장력을 인가하기 위한 탄성부재(25)를 포함한다. 상기 롤러들은 상기 벨트(10)를 이송 구동하기 위한 구동롤러(21)와, 상기 탄성부재(25)에 의하여 탄성 바이어스 되어 상기 벨트(10)가 일정 장력을 유지하도록 하는 텐션롤러(23) 및, 상기 벨트(10)가 다른 구성요소에 간섭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보조롤러(27)를 포함한다.
여기서, 구동롤러(21)와 텐션롤러(23) 사이에 위치된 벨트(10)의 표면에서 화상의 전사가 수행된다. 이를 위하여 칼라 화상이 전사되는 위치에 복수의 전사롤러(30) 각각이 배치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의 벨트 구동장치를 구성한 경우에 있어서, 생산 제품을 유통 및 창고 보관시와 같이 상기 벨트(10)의 회전 구동이 없는 상태로 장기간 상기 벨트에 장력이 계속 작용될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가 초래될 수 있다. 즉, 각 롤러 특히, 구동롤러(21)와 텐션롤러(23)와 접촉된 벨트 부분은 롤러(10) 형상을 따라 원호 형상으로 굽혀진 상태이므로, 그 부분에서 집중적으로 벨트(10)의 변형이 초래될 수 있다. 이러한 벨트 변형은 화상 전사시 인쇄 품질에 직접적인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사용자가 벨트 구동장치가 포함된 기기를 사용 전까지의 유통기간 동안은 벨트(10)에 인가된 장력을 해제할 것이 요구된다.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통단계에서 벨트(10)에 인가되는 장력을 해제할 수 있는 별도의 릴리즈 스페이서(50)가 장착된 구성이 개시된 바 있다.
상기 릴리즈 스페이서(50)는 화상형성장치를 처음 사용하기 전까지인 제품의 유통 기간, 창고 보관 상태에서 벨트 장력이 해제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릴리즈 스페이서(50)는 텐션롤러(23)를 지지하는 부싱(24)과 프레임(1) 사이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탄성부재(25)가 상기 릴리즈 스페이서(50)에 의하여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탄성부재(25)의 탄성 가압력이 상기 텐션롤러(23)로 전달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벨트(10)에 장력이 해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경우, 화상형성장치를 처음으로 사용하고자 할 때,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벨트 구동장치에서 릴리즈 스페이서(50)를 화살표 A 방향으로 제거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25)의 탄성 가압력이 상기 텐션롤러(23)로 전달되도록 하여 상기 벨트(10)에 장력을 인가할 수 있다.
한편, 통상적으로 화상형성장치 등의 벨트를 채용한 기기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사용자의 경우에 릴리즈 스페이서(50)를 제거하는 과정을 누락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매뉴얼 등에 설치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언급한다고 하여도, 매뉴얼을 숙지하고 설치작업을 진행하지 않는 경우가 있으므로, 릴리즈 스페이서(50)가 제거되지 않은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벨트(10)가 장력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구동되므로, 정상적인 벨트 구동이 어려워 인쇄동작 등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고, 벨트 구동장치의 내부 부품들이 파손되어 제품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처음 사용시까지 벨트에 인가되는 장력을 해제하여 벨트를 이완상태로 유지함과 아울러, 벨트 구동에 의해 이완 상태의 벨트에 대해 사용자의 조작없이 자동으로 장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된 구조의 벨트 구동장치를 채용한 전사유니트 및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토너를 현상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유니트와; 상기 현상유니트에서 형성된 화상을 인쇄매체에 전사하는 전사유니트와; 상기 인쇄매체에 전사된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유니트;를 포함하며, 상기 전사유니트는,
벨트와; 상기 벨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롤러와; 상기 복수의 롤러 중 제1롤러가 상기 벨트를 이완시키는 벨트 장력 해제위치와, 상기 복수의 롤러 중 제2롤러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벨트에 장력을 인가하는 벨트 장력 인가위치 사이에서 움직이도록 하는 벨트장력 인가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2롤러는 초기 벨트 구동전에 상기 벨트 장력 해제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벨트 구동시상기 벨트 장력 인가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벨트장력 인가유니트는, 상기 제2롤러에 돌출 형성된 록킹 해제 돌기와; 상기 제2롤러의 회전시 상기 록킹 해제돌기에 접촉되어 이동되는 록킹링크와; 상기 제1롤러를 회전 지지하며 상기 장력 인가 위치에서 상기 제1롤러가 설치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록킹링크는 제1걸림턱을 가지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록킹링크가 상기 록킹 해제돌기에 의하여 이동시 상기 제1걸림턱에 걸리는 제2걸림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벨트장력 인가유니트는,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벨트 장력 인가위치에서 상기 제1롤러가 설치된 방향으로 상기 지지부재를 탄성 바이어스 시키는 것으로, 상기 제1 및 제2걸림턱 사이의 걸림 해제시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된 제1롤러를 장력인가 위치로 복원시키는 록킹해제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벨트장력 인가유니트는, 상기 장력인가 위치에서 상기 제1롤러가 설치된 방향으로 상기 지지부재가 움직이도록 상기 지지부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형성된 멈춤턱과; 상기 지지부재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제1롤러가 장력 인가 위치로 복원시 상기 멈춤턱에 걸려 상기 지지부재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는, 탄성재와, 상기 제1롤러로부터 연장되는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넓어지는 테이퍼 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사유니트는, 상기 벨트가 소정 장력을 가지도록 상기 복수의 롤러 중 제3롤러를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롤러는 상기 벨트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백업롤러를 포 함하고, 상기 제2롤러는 상기 벨트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3롤러는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 바이어스 되어 상기 벨트에 장력을 인가하는 텐션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록킹 해제돌기는 상기 구동롤러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백업롤러를 회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토너를 현상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유니트와; 상기 현상유니트에서 형성된 화상을 인쇄매체에 전사하는 전사유니트와; 상기 인쇄매체에 전사된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유니트;를 포함하며, 상기 전사유니트는, 벨트와; 상기 벨트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롤러와, 상기 벨트에 장력을 인가하는 텐션롤러를 포함하는 복수의 롤러와; 초기 벨트 구동전에 상기 텐션롤러가 상기 벨트의 장력 해제방향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벨트를 이완시키고, 초기 벨트 구동시 상기 구동롤러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텐션롤러를 장력인가 위치로 복원시키는 벨트장력 인가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벨트장력 인가유니트는, 상기 구동롤러의 측면부에 돌출 형성된 록킹 해제돌기와; 제1걸림턱을 가지며, 상기 구동롤러의 회전시 상기 록킹 해제돌기에 접촉되어 이동되는 록킹링크와; 상기 텐션롤러를 회전 지지하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 상기 제1걸림턱에 걸리는 제2걸림턱을 가지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탄성 바이어스 시키는 것으로, 상기 제1 및 제2걸림턱 사이의 걸림 해제시 상기 텐션롤러를 장력인가 위치로 복원시킴과 아울러 상기 텐션롤러에 장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토너를 현상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유니트와; 상기 현상유니트에서 형성된 화상을 인쇄매체에 전사하는 전사유니트와; 상기 인쇄매체에 전사된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유니트;를 포함하며, 상기 전사유니트는, 벨트와; 상기 벨트를 회전 구동시키며, 그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록킹 해제돌기를 가지는 제1롤러와; 상기 벨트에 장력을 인가하는 제2롤러와; 상기 벨트 방향으로 상기 제2롤러를 바이어스 시키는 록킹 해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롤러의 회전에 따른 걸림턱의 움직임에 의하여 상기 록킹 해제돌기와 상기 록킹 해제부재 사이의 걸림이 해제될 때까지 상기 제2롤러가 상기 벨트 쪽으로 바이어스되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록킹 해제돌기는 상기 제1롤러가 초기 구동될 때, 상기 록킹 해제부재가 차단해제 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화상형성장치는, 걸림턱을 가지며, 상기 제1롤러의 회전시 상기 록킹 해제돌기에 접촉되어 이동되는 록킹링크와; 상기 제2롤러를 회전 지지하며 상기 제2롤러가 상기 벨트에 텐션을 인가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 상기 록킹링크가 상기 걸림턱에 접촉되어 이동될 때까지 상기 걸림턱에 의하여 걸리는 다른 걸림턱을 구비한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사유니트는, 인쇄매체에 화상을 전사하기 위한 전사벨트와; 상기 전사벨트를 회전 지지하는 것으로, 소정 색상의 토너 화상이 상기 인쇄매체에 전사되는 위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전사롤러를 포함하는 복수의 롤러와; 초기 상기 전사벨트 구동전에 상기 복수의 롤러 중 제1롤러가 상기 전사벨트의 장력 해제방향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전사벨트를 이완시키고, 초기 벨트 구동시 상기 복수의 롤러 중 제2롤러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제1롤러를 장력인가 위치로 복원시키는 벨트장력 인가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전사유니트는, 상기 제2롤러로부터 돌출된 록킹해제돌기와; 제1걸림턱을 가지며, 상기 제2롤러의 회전시 상기 록킹 해제돌기에 접촉되어 이동되는 록킹링크와; 상기 제1롤러를 회전 지지하며 상기 제1롤러가 상기 전사벨트에 텐션을 인가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 상기 록킹링크가 상기 제1걸림턱에 접촉되어 이동될 때까지 상기 제1걸림턱에 의하여 걸리는 제2걸림턱을 구비한 지지부재와; 상기 벨트장력 인가위치에서 상기 제1롤러가 위치되는 방향으로 상기 지지부재를 탄성 바이어스 시키는 것으로, 상기 제1 및 제2걸림턱 사이의 걸림 해제시 상기 지지부재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기 제1롤러를 장력인가 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벨트 구동장치는 처음 사용시까지 벨트에 인가되는 장력을 해제하여 벨트를 이완상태로 유지함과 아울러, 벨트 구동에 연동되어 구동되는 벨트장력 인가유니트를 마련하여, 이완 상태의 벨트에 대해 사용자의 조작없이 자동으로 장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수동 동작에 의하여 벨트 장력을 인가하는 방식의 문제점인 릴리즈 스페이서 제거 동작의 누락에 따른 오동작 및 고장의 원인을 근본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벨트 구동장치를 전사유니트와, 화상형성장치에 채용함으로써, 자동으로 초기 전사벨트 구동시 자동으로 전사벨트에 장력을 인가할 수 있다. 따라서, 전사벨트에 장력을 인가하지 않은 상태로 사용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 구동장치, 이를 채용한 전사유니트 및 화상형성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이른바 탠덤 방식의 컬러 화상형성장치에 포함된 전사유니트에 채용되는 벨트 구동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벨트 구동장치는 전사유니트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화상형성장치 예컨대 모노크로 프린터, 팩스, 디지털 복사기 등의 일부로서 이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들 외에도 출력 용지를 반송하는 종이 반송유니트, 잠상을 형성하여 토너 화상을 담지하는 감광체 벨트유니트, 토너 화상을 전사 유지하는 중간전사유니트 등에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벨트 콘베이어 등의 벨트반송장치로서도 이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구동장치를 채용한 전사유니트를 보인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 및 도 6각각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구동장치의 작동 상태에 따른 위치 관계를 보인 개략도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구동장치를 채용한 전 사유니트는 벨트(60)와, 이 벨트(60)를 회전 구동할 수 있도록 메인프레임(미도시)에 설치되는 벨트 구동장치와, 소정 색상의 토너 화상이 전사되는 위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전사롤러(100)를 포함한다.
상기 벨트 구동장치는 상기 벨트(6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롤러와, 상기 벨트(60)에 장력을 인가하기 위한 탄성부재(75) 및 벨트장력 인가유니트(80)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롤러는 상기 벨트(60)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롤러(71)와, 상기 탄성부재(75)에 의해 탄성 바이어스 되어 상기 벨트(60)에 장력을 인가하는 텐션롤러(73) 및 상기 벨트(60)를 회전 지지하며 상기 벨트(60)가 다른 구성요소에 간섭하지 않도록 하는 백업롤러(77)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롤러(71)는 직접 혹은 기어 등의 구동전달기구를 통하여 모터 등의 구동원(미도시)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롤러(71)와 상기 텐션롤러(73) 사이에 위치된 상기 벨트(60)의 표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감광매체(미도시)가 마주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감광매체 각각과 대향하는 상기 벨트(60)의 내주측에는 상기 전사롤러(100)가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전사롤러(100)가 배치된 위치에서 감광매체에 형성된 토너 화상이 공급된 인쇄매체(미도시)로 전사된다.
상기 벨트장력 인가유니트(80)는 초기 벨트(60)의 구동 전에는 상기 백업롤러(77)가 벨트(60)에 인가되는 장력이 해제되는 위치에 놓이도록 하여 상기 벨트(60)를 이완시킨다. 그리고, 전사유니트를 화상형성장치에 장착하여 처음으로 벨트(60)를 구동할 때, 상기 구동롤러(71)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백업롤러(77)를 장력 인가 위치로 복원시킨다. 따라서, 처음으로 벨트(60) 구동시, 사용자의 조작없이 자동으로 벨트(60)에 장력이 인가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벨트장력 인가유니트(80)는 상기 구동롤러(71)에 돌출 형성된 록킹 해제돌기(81)와, 록킹 해제돌기(81)에 일단부(83a)가 접촉되어 이동되는 록킹링크(83)와, 상기 백업롤러(77)를 회전 지지하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지지부재(85) 및, 록킹해제 스프링(89)을 포함한다.
상기 록킹 해제돌기(81)는 상기 구동롤러(71)의 측면부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구동롤러(71)의 회전 구동시 상기 벨트(60)의 움직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상기 록킹링크(83)는 메인프레임(미도시)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 상기 록킹 해제돌기(81)에 연동되어 이동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록킹링크(83)에는 가이드 장공(83b)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프레임에는 상기 가이드 장공(83b)에 결합되는 가이드돌기(93)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돌기(93)가 상기 록킹링크(83)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장공(83b)이 상기 메인프레임에 형성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그리고, 벨트 구동장치의 제조 및 벨트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제품의 유통시에 있어서 상기 록킹링크(83)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롤러(71) 쪽으로 치우쳐 배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록킹링크(83)는 상기 록킹 해제돌기(81)와 접촉되거나 이격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록킹 해제돌기(81)의 간섭을 받지 않는다.
반면, 상기 벨트 장력 인가장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배치 상태가 되면서, 상기 록킹해제 스프링(89)이 상기 지지부재(85)를 탄성 가압하여 벨트(60) 외측으로 상기 백업롤러(77)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벨트(60)에 장력이 인가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지지부재(85)는 상기 백업롤러(77)를 회전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벨트(60)에 장력을 인가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재(85)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도록, 상호 마주하는 상기 록킹링크(83)의 일면과 상기 지지부재(85)의 일면 각각에는 제 1 및 제2걸림턱(84)(86)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벨트 구동장치의 제조 및 유통단계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걸림턱(86)이 제1걸림턱(84)에 걸리게 되어, 상기 록킹해제 스프링(89)의 탄성력이 상기 지지부재(85)에 미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벨트(60)에 걸리는 장력이 완화되어, 상기 벨트(60)가 느슨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벨트(60)에 인가된 장력을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탄성부재(75)의 탄성 바이어스에 의해 상기 텐션롤러(73)가 상기 벨트(60)에 장력을 인가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방지된다.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부분(91)이 상기 텐션롤러(7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부싱(74)에 대향되게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75)에 의하여 탄성 바이어스 되는 상기 텐션롤러(73)의 작동 거리는 도면번호 91 부재에 의하여 제한되므로, 상기 백업롤러(77)의 물러남 위치가 상기 텐션롤러(73)의 작동 거리 이상을 유지함으로써, 상기 벨트(60)에 인가 된 장력이 해제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사유니트가 화상형성장치에 채용되어 처음으로 벨트가 구동되는 경우 즉, 상기 구동롤러(71)에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구동롤러(71)가 회전하게 되는 경우에는 록킹 상태가 해제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걸림턱(86)이 제1걸림턱(84)의 규제를 받지 않는 상태가 되므로, 상기 록킹해제 스프링(89)의 탄성력이 상기 지지부재(85)에 미치게 되어, 벨트(60)에 장력이 인가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구동롤러(71)와 함께 회전되는 상기 록킹 해제돌기(81)가 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록킹링크(83)의 일단부(83a)를 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록킹링크(83)가 화살표 C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85)는 메인프레임에 결합 설치된 가이드 프레임(95)에 의하여 화살표 C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규제되고, 화살표 C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움직임 가능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록킹링크(83)가 이동하면서, 상기 제2걸림턱(86)의 승강을 규제하는 제1걸림턱(84)이 상기 제2걸림턱(86)을 회피하여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85)와, 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백업롤러(77)는 상기 록킹해제 스프링(89)의 탄성력에 의하여 벨트(60)의 외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정상적인 동작 상태에서의 백업롤러(77)의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동된 지지부재(85)가 처음으로 벨트 구동장치를 구동한 이후에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방편으로, 상기 벨트장력 인가유니트(80)는 상 기 가이드 프레임(95)에 형성된 멈춤턱(96)과, 상기 지지부재(85)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8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멈춤턱(96)은 상기 가이드 프레임(95)의 단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스토퍼(87)의 일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제한한다. 상기 스토퍼(87)는 상기 지지부재(85)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백업롤러(77)가 장력 인가 위치로 상기 록킹해제 스프링(89)에 의하여 이동시 상기 멈춤턱(96)에 걸려 상기 지지부재(85)의 이동을 규제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스토퍼(87)는 상기 지지부재(85)의 상기 록킹해제 스프링(89)쪽 단부에 마련된 것으로, 소정 탄성을 가지며 그 외측면이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스토퍼(87)는 탄성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텐션롤러(73)로부터 연장되는 방향으로 점차 넓어지는 테이퍼진 외측면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85)가 장력 해제 상태에서 인가 상태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스토퍼(87)의 테이퍼진 외측면이 상기 멈춤턱(96)에 접촉되면서 상기 스토퍼(87)가 탄성 변형된다. 그러므로, 상기 지지부재(85)가 멈춤턱(96)의 방해를 받지 않고, 벨트(60)에 장력을 인가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반면, 한번 장력인가 상태에 상기 지지부재(85)가 놓인 경우는 상기 스토퍼(87)의 하단부가 상기 멈춤턱(96)의 내측면과 마주하게 되어, 상기 지지부재(85)의 움직임을 규제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 5의 상태에서 도 6의 상태로 상기 벨트 구동장치가 원활히 동작하기 위해서, 상기 록킹 해제 스프링(89)의 가압력이 상기 텐션롤러(73)를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75)의 가압력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값을 가질 수 있 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벨트 구동장치를 채용한 전사유니트를 보인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벨트 구동장치의 벨트 장력 인가 상태에서의 작동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벨트 구동장치를 채용한 전사유니트는 벨트(160)와, 이 벨트(160)를 회전 구동할 수 있도록 메인프레임(미도시)에 설치되는 벨트 구동장치와, 소정 색상의 토너 화상이 전사되는 위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전사롤러(200)를 포함한다.
상기 벨트 구동장치는 상기 벨트(16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롤러와, 정상적인 벨트 구동시 상기 벨트(160)에 장력을 인가함과 아울러, 초기 상태에서 벨트(160)에 인가되는 장력을 해제하기 위한 벨트장력 인가유니트(180)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롤러는 상기 벨트(160)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롤러(171)와, 상기 벨트(160)가 다른 구성요소에 간섭받지 않도록 지지하는 백업롤러(173) 및 상기 벨트(160)에 장력을 인가하는 텐션롤러(175)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롤러(171)는 직접 혹은 기어 등의 구동전달기구를 통하여 모터 등의 구동원(미도시)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롤러(171)와 상기 백업롤러(173) 사이에 위치된 상기 벨트(160)의 표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감광매체(미도시)가 마주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감광매체 각각과 대향하는 상기 벨트(160)의 내주측에는 상기 전사롤러(200)가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전사롤러(200)가 배치된 위치 에서 감광매체에 형성된 토너 화상이 상기 벨트(160)에 정전력에 의하여 부착되어 공급되는 인쇄매체(미도시)로 전사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벨트 구동장치는 도 3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구동장치와 비교하여 볼 때, 일 실시예에 따른 텐션롤러(73)의 위치에 메인프레임에 대하여 고정된 위치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백업롤러를 배치하고, 이를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배제한 점에서 구별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백업롤러(77)의 위치에 텐션롤러(175)를 배치하고, 장력인가시 이용되는 록킹해제 스프링(89)을 록킹 해제 및 벨트(160) 장력을 유지하는데 이용되는 탄성부재(75)를 겸할 수 있도록 한 점에서 구별된다.
상기 벨트장력 인가유니트(180)는 초기 벨트(160)의 구동 전에는 상기 텐션롤러(175)가 벨트(160)에 인가되는 장력이 해제되는 위치에 놓이도록 하여 상기 벨트(160)를 이완시킨다. 그리고, 전사유니트를 화상형성장치에 장착하여 처음으로 벨트(160)를 구동할 때, 상기 구동롤러(171)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텐션롤러(175)를 장력인가 위치로 복원시킨다. 따라서, 처음으로 벨트(160) 구동시, 사용자의 조작없이 자동으로 벨트(160)에 장력이 인가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벨트장력 인가유니트(180)는 상기 구동롤러(171)에 돌출 형성된 록킹 해제돌기(181)와, 록킹 해제돌기(181)에 일단부가 접촉되어 이동되는 록킹링크(183)와, 상기 텐션롤러(175)를 회전 지지하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지지부재(185) 및, 탄성부재(189)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재(185)는 상기 텐션롤러(175)를 회전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벨 트(160)에 장력을 인가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재(185)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도록, 상호 마주하는 상기 록킹링크(183)의 일면과 상기 지지부재(185)의 일면 각각에는 제 1 및 제2걸림턱(184)(186)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록킹 해제돌기(181), 록킹링크(183) 및 지지부재(185)의 구성 및 동작은 일 실시예 따른 동일 부재명의 구성요소와 실질상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벨트 구동장치의 제조 및 유통단계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걸림턱(186)이 제1걸림턱(184)에 걸리게 되어, 상기 탄성부재(189)의 탄성력이 상기 지지부재(185)에 미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벨트(160)에 걸리는 장력이 완화되어, 상기 벨트(160)가 느슨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사유니트가 화상형성장치에 채용되어 처음으로 벨트가 구동되는 경우 즉, 상기 구동롤러(171)에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구동롤러(171)가 회전하게 되는 경우에는 록킹 상태가 해제된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걸림턱(186)이 제1걸림턱(184)의 규제를 받지 않는 상태가 되므로, 상기 탄상부재(189)의 탄성력이 상기 지지부재(185)에 미치게 되어, 벨트(160)에 장력이 인가된다.
따라서, 정상적인 동작 상태에서의 텐션롤러(175)의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인쇄동작 수행시에 있어서, 상기 텐션롤러(175)는 상기 탄성부재(189)에 의하여 탄성 바이어스 되어 상기 벨트(160)가 일정 장력을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전사유니트에 채용되는 벨트 구동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다양한 장치에 채용되는 벨트 구동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벨트 구동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벨트를 지지하는 복수의 롤러로서, 구동롤러, 텐션롤러, 백업롤러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어도 2개 이상의 롤러로 구성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롤러에 록킹 해제돌기가 형성되고, 백업롤러가 장력해제 위치에서 장력인가 위치로 이동하는 구조를 예로 들어 나타내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롤러 중에서 선택된 어느 두 롤러 각각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벨트장력 인가유니트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탠덤형 칼라 화상형성장치로서, 캐비넷(210)과, 이 캐비넷(210) 내에 장착되는 현상유니트(230), 광주사유니트(240), 전사유니트(250) 및 정착유니트(270)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넷(210)은 화상형성장치의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 이 캐비넷(210)내에는 공급될 인쇄매체(M)가 적재되는 공급유니트(220)가 착탈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 공급유니트(220)를 통하여 공급되는 인쇄매체(M)는 이송경로를 통하여 상기 현상유니트(230)와 전사유니트(250) 사이로 이송된다. 상기 공급유니트(220)는 상기 캐비넷(210) 내부에 마련되는 것으로, 인쇄매체(M)가 적재되는 녹업 플레이트(223)과, 이 녹업 플레이트(223)에 적재된 인쇄매체(M)를 1매씩 픽업하는 피딩롤 러(225)를 포함한다.
상기 현상유니트(230)는 광주사유니트(240)에서 주사된 빔에 감응하여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매체(235)를 포함하는 것으로, 내부에 수용된 토너를 상기 감광매체(235)에 현상하여, 감광매체(235) 상에 토너 화상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현상유니트(230)는 싱글 패스 방식으로 풀 칼라 화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각 칼라별로 복수개 마련될 수 있다. 도 9는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 칼라를 각각 구현할 수 있도록 4개의 유니트로 구성된 것을 예로 들어 나타낸 것이다.
상기 광주사유니트(240)는 상기 복수의 감광매체(235) 각각에 정전 잠상이 형성되도록 빔을 주사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광주사유니트(240)는 동시에 복수의 감광매체(235)에 빔을 주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멀티 빔 광주사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광원(미도시)과, 상기 광원에서 조사된 빔을 편향 주사시키는 빔편향기(241)와, 상기 빔편향기(241)에서 편향된 광속을 피주사면 상에 주사 결상하는 결상렌즈(243)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광원은 발광점이 복수개 가지는 구성 내지는 단일 발광점을 가지는 반도체 소자를 각 칼라에 대응되게 구비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전사유니트(250)는 이송경로를 통하여 이송되는 인쇄매체(M)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감광매체(235)에 마주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감광매체(235)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공급되는 인쇄매체(M)에 전사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사유니트(250)는 복수의 감광매체(235)와 마주하게 배치된 전사벨트(251)와 전사롤러(255) 및, 상기 전사벨트(251)를 회전 구동할 수 있도록 된 벨트 구동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벨트 구동장치는 상기 전사벨트(25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롤러와, 정상적인 벨트 구동시 상기 전사벨트(251)에 장력을 인가함과 아울러, 초기 상태에서 전사벨트(251)에 인가되는 장력을 해제하기 위한 벨트장력 인가유니트(2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사유니트(250) 및 벨트장력 인가유니트(260)의 구성 및 작용원리는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예에 따른 전사유니트 및 벨트 구동장치의 구성과 실질상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전사유니트(250)를 통하여 인쇄매체에 전사된 화상은 상기 정착유니트(270)를 통하여 정착된다.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벨트 구동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릴리즈 스페이서를 채용한 벨트 구동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구동장치를 채용한 전사유니트를 보인 개략적인 정면도.
도 4는 도 3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분리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구동장치의 작동 상태에 따른 위치 관계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벨트 구동장치를 채용한 전사유니트를 보인 개략적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벨트 구동장치의 작동 상태에 따른 위치 관계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60, 160 : 벨트 71, 171 : 구동롤러
73, 175 : 텐션롤러 75, 189 : 탄성부재
77, 173 : 백업롤러 80, 180 : 벨트장력 인가유니트
81, 181 : 록킹 해제돌기 83, 183 : 록킹링크
84, 184 : 제1걸림턱 85, 185 : 지지부재
86, 186 : 제2걸림턱 87 : 스토퍼
89 : 록킹해제 스프링 95 : 가이드 프레임
96 : 멈춤턱 100, 200 : 전사롤러
210 : 캐비넷 230 : 현상유니트
235 : 감광매체 240 : 광주사유니트
250 : 전사유니트 270 : 정착유니트

Claims (20)

  1. 토너를 현상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유니트와;
    상기 현상유니트에서 형성된 화상을 인쇄매체에 전사하는 전사유니트와;
    상기 인쇄매체에 전사된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유니트;를 포함하며,
    상기 전사유니트는,
    벨트와;
    상기 벨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롤러와;
    상기 복수의 롤러 중 제1롤러가 상기 벨트를 이완시키는 상기 벨트에 장력을 인가하는 위치와, 상기 복수의 롤러 중 제2롤러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벨트에 장력을 인가하는 위치 사이에서 움직이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제2롤러에 돌출 형성된 록킹 해제돌기와, 상기 제2롤러의 회전시 상기 록킹 해제돌기에 접촉되어 이동되는 록킹링크를 구비한 벨트장력 인가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롤러는,
    초기 벨트 구동전에 상기 벨트에 장력을 해제하는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벨트 구동시 상기 벨트에 장력을 인가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롤러를 회전 지지하며 상기 벨트에 장력을 인가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1롤러가 설치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링크는 제1걸림턱을 가지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록킹링크가 상기 록킹 해제돌기에 의하여 이동시 상기 제1걸림턱에 걸리는 제2걸림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장력 인가유니트는,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벨트에 장력을 인가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1롤러가 설치된 방향으로 상기 지지부재를 탄성 바이어스 시키는 것으로, 상기 제1 및 제2걸림턱 사이의 걸림 해제 시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된 제1롤러를 상기 벨트에 장력을 인가하는 위치로 복원시키는 록킹해제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장력 인가유니트는,
    상기 벨트 장력 인가위치에서 상기 제1롤러가 설치된 방향으로 상기 지지부재가 움직이도록 상기 지지부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형성된 멈춤턱과;
    상기 지지부재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제1롤러가 상기 벨트 장력 인가위치로 복원시 상기 멈춤턱에 걸려 상기 지지부재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탄성재와, 상기 제1롤러로부터 연장되는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넓어지는 테이퍼 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유니트는, 상기 벨트가 소정 장력을 가지도록 상기 복수의 롤러 중 제3롤러를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록킹 해제 스프링의 가압력은 상기 탄성부재의 가압력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유니트는,
    상기 벨트가 소정 장력을 가지도록 상기 복수의 롤러 중 제3롤러를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롤러는 상기 벨트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백업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2롤러는 상기 벨트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3롤러는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 바이어스 되어 상기 벨트에 장력을 인가하는 텐션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록킹 해제돌기는 상기 구동롤러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백업롤러를 회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토너를 현상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유니트와;
    상기 현상유니트에서 형성된 화상을 인쇄매체에 전사하는 전사유니트와;
    상기 인쇄매체에 전사된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유니트;를 포함하며,
    상기 전사유니트는,
    벨트와;
    상기 벨트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롤러와, 상기 벨트에 장력을 인가하는 텐션롤러를 포함하는 복수의 롤러와;
    초기 벨트 구동전에 상기 텐션롤러가 상기 벨트에 장력을 해제하는 방향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벨트를 이완시키고, 초기 벨트 구동시 상기 구동롤러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텐션롤러를 상기 벨트에 장력을 인가하는 위치로 복원시키는 것으로, 상기 구동롤러의 측면부에 돌출 형성된 록킹 해제돌기와, 제1걸림턱을 가지며 상기 구동롤러의 회전시 상기 록킹 해제돌기에 접촉되어 이동되는 록킹링크를 구비한 벨트장력 인가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장력 인가유니트는,
    상기 텐션롤러를 회전 지지하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 상기 제1걸림턱에 걸리는 제2걸림턱을 가지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탄성 바이어스 시키는 것으로, 상기 제1 및 제2걸림턱 사이의 걸림 해제시 상기 텐션롤러를 상기 벨트에 장력을 인가하는 위치로 복원시킴과 아울러 상기 텐션롤러에 장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토너를 현상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유니트와;
    상기 현상유니트에서 형성된 화상을 인쇄매체에 전사하는 전사유니트와;
    상기 인쇄매체에 전사된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유니트;를 포함하며,
    상기 전사유니트는,
    벨트와;
    상기 벨트를 회전 구동시키며, 그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록킹 해제돌기를 가지는 제1롤러와;
    상기 벨트에 장력을 인가하는 제2롤러와;
    상기 벨트에 장력을 인가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롤러를 바이어스 시키는 록킹 해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롤러의 회전에 따른 걸림턱의 움직임에 의하여 상기 록킹 해제돌기와 상기 록킹 해제부재 사이의 걸림이 해제될 때까지 상기 제2롤러가 상기 벨트에 장력을 인가하는 방향으로 바이어스되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해제돌기는 상기 제1롤러가 초기 구동될 때, 상기 록킹 해제부재가 차단해제 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걸림턱을 가지며, 상기 제1롤러의 회전시 상기 록킹 해제돌기에 접촉되어 이동되는 록킹링크와;
    상기 제2롤러를 회전 지지하며 상기 제2롤러가 상기 벨트에 장력을 인가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 상기 록킹링크가 상기 걸림턱에 접촉되어 이동될 때까지 상기 걸림턱에 의하여 걸리는 다른 걸림턱을 구비한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롤러가 상기 벨트에 장력을 인가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2롤러가 이동되는 방향으로 상기 지지부재가 움직이도록 상기 지지부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형성된 멈춤턱과;
    상기 지지부재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제2롤러가 상기 벨트에 장력을 인가하는 위치로 복원시 상기 멈춤턱에 걸려 상기 지지부재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제3롤러와;
    상기 벨트에 추가적인 장력이 인가되도록 상기 제3롤러를 상기 벨트에 장력을 인가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9. 인쇄매체에 화상을 전사하기 위한 전사벨트와;
    상기 전사벨트를 회전 지지하는 것으로, 소정 색상의 토너 화상이 상기 인쇄매체에 전사되는 위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전사롤러를 포함하는 복수의 롤러와;
    초기 상기 전사벨트 구동전에 상기 복수의 롤러 중 제1롤러가 상기 전사벨트의 장력이 해제되는 방향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전사벨트를 이완시키고, 초기 벨트 구동시 상기 복수의 롤러 중 제2롤러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제1롤러를 상기 벨트에 장력을 인가하는 위치로 복원시키는 것으로, 상기 제2롤러로부터 돌출된 록킹해제돌기와, 제1걸림턱을 가지며 상기 제2롤러의 회전시 상기 록킹 해제돌기에 접촉되어 이동되는 록킹링크를 구비한 벨트장력 인가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유니트.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장력 인가유니트는,
    상기 제1롤러를 회전 지지하며 상기 제1롤러가 상기 전사벨트에 텐션을 인가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 상기 록킹링크가 상기 제1걸림턱에 접촉되어 이동될 때까지 상기 제1걸림턱에 의하여 걸리는 제2걸림턱을 구비한 지지부재와;
    상기 벨트에 장력을 인가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1롤러가 위치되는 방향으로 상기 지지부재를 탄성 바이어스 시키는 것으로, 상기 제1 및 제2걸림턱 사이의 걸림 해제시 상기 지지부재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기 제1롤러를 상기 벨트에 장력을 인가하는 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유니트.
KR1020070085415A 2006-11-24 2007-08-24 벨트 구동장치를 채용한 전사유니트 및 화상형성장치 KR1012498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117052 2006-11-24
KR1020060117052 2006-11-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7253A KR20080047253A (ko) 2008-05-28
KR101249844B1 true KR101249844B1 (ko) 2013-04-05

Family

ID=39099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5415A KR101249844B1 (ko) 2006-11-24 2007-08-24 벨트 구동장치를 채용한 전사유니트 및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657207B2 (ko)
EP (1) EP1925988B1 (ko)
KR (1) KR101249844B1 (ko)
CN (1) CN101221396B (ko)
DE (1) DE602007009624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15244B2 (ja) * 2012-02-21 2016-05-1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KR102003423B1 (ko) * 2013-03-26 2019-07-24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화상형성장치
US10048635B2 (en) * 2016-12-28 2018-08-14 Kabushiki Kaisha Toshiba Sheet post-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JP6849489B2 (ja) * 2017-03-07 2021-03-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ベル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WO2020222814A1 (en) 2019-04-30 2020-11-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utomatic document feeder with automated media tray extender
CN114072289A (zh) * 2019-07-31 2022-02-18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采用蛇形带驱动的自动文件馈送器
US11827480B2 (en) 2019-07-31 2023-11-2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utomatic document feeder with automated media tray
WO2021025665A1 (en) 2019-08-02 2021-02-1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Rotatable media ramp for automatic document feed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2112A (ja) * 1998-05-12 1999-11-24 Oki Data Corp ベル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2188A (ja) 1999-07-09 2001-01-26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3617389B2 (ja) 1999-11-02 2005-02-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画像形成装置
US6269231B1 (en) 2000-04-28 2001-07-31 Xerox Corporation Belt tension variation minimizing mechanism and a reproduction machine having same
JP2003076155A (ja) * 2001-09-04 2003-03-1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中間転写ユニット及び記録材搬送ユニット
JP2003173090A (ja) 2001-12-06 2003-06-20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のベルト状像担持体支持装置
KR100495009B1 (ko) 2003-07-02 2005-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 장치의 전사벨트 텐션 자동 인가 장치
JP2006267890A (ja) * 2005-03-25 2006-10-05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及びベルト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2112A (ja) * 1998-05-12 1999-11-24 Oki Data Corp ベル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657207B2 (en) 2010-02-02
DE602007009624D1 (de) 2010-11-18
CN101221396A (zh) 2008-07-16
KR20080047253A (ko) 2008-05-28
EP1925988A1 (en) 2008-05-28
CN101221396B (zh) 2012-04-18
US20080124120A1 (en) 2008-05-29
EP1925988B1 (en) 2010-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9844B1 (ko) 벨트 구동장치를 채용한 전사유니트 및 화상형성장치
JP6525601B2 (ja) 画像形成装置
JP5284034B2 (ja) 画像形成装置
JP5128451B2 (ja) 手差し給紙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8250040A (ja) 画像形成装置
JP2009075402A (ja) ベルト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7032760A (ja) 画像形成装置
US1077571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support below a transfer belt and a lever for raising the support, and method
KR20130067667A (ko) 화상형성장치
JP2017227937A5 (ko)
JP2017227937A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222489B2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408924B2 (ja) 画像形成装置
JP6477931B2 (ja) シート供給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6929824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0217430A (ja) 転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638793B2 (ja) 画像形成装置
JP4216429B2 (ja) 電子写真装置
JP6590168B2 (ja) 偏心カム
US20220121141A1 (en) Belt device,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390316B2 (ja) 画像形成装置
JP3524378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619075B1 (ko) 회전력 단속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JP6287903B2 (ja) シート供給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6685679B2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