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6728B1 - 와인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와인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6728B1
KR101246728B1 KR1020100116142A KR20100116142A KR101246728B1 KR 101246728 B1 KR101246728 B1 KR 101246728B1 KR 1020100116142 A KR1020100116142 A KR 1020100116142A KR 20100116142 A KR20100116142 A KR 20100116142A KR 101246728 B1 KR101246728 B1 KR 101246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ck tea
wine
weight
extrac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6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4823A (ko
Inventor
한혜정
신영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빙그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빙그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빙그레
Priority to KR1020100116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6728B1/ko
Publication of KR20120054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4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6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67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34Tea substitutes, e.g. matè;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4Tea preparations, e.g.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40Tea flavour; Tea oil; Flavouring of tea or tea ex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인(wine)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black tea beverage)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홍차 음료에 있어서, 와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차 음료홍차 및 홍차 음료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홍차 음료에 와인을 첨가하고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와인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에서 홍차 및 와인은 홍차:와인의 고형분 함량이 1∼10:1이 되도록 와인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와인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는 폴리페놀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우수한 효능을 지니는 홍차에 성인 남녀 모두 부담 없이 섭취할 수 있는 와인(wine)을 첨가하여 홍차의 떫은맛을 최소화하고 와인과 조화롭게 어우러지도록 하여 부드럽고 고풍스러운 홍차 음료를 제공함으로써 종래 홍차에 비해 홍차를 섭취하는 소비자들이 부담없이 홍차를 섭취할 수 있다.

Description

와인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Black tea beverage comprising wine and mak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와인(wine)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black tea beverage)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홍차 음료에 있어서, 와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차 음료홍차 및 홍차 음료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홍차 음료에 와인을 첨가하고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와인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에서 홍차 및 와인은 홍차:와인의 고형분 함량이 1∼10:1이 되도록 와인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홍차(紅茶, black tea)는 발효차(醱酵茶)의 대표적 종류로서 차나무의 어린잎을 발효시켜서 녹색을 빼내고 말린 것으로, 끓는 물에 넣으면 맑은 홍색을 띠고 향기가 난다. 주로 중국, 일본, 스리랑카 등지에서 생산된다
홍차의 어원은 19세기 중엽부터 홍차를 생산해 수출하려 했던 일본인이 자국내의 녹차를 "일본차"로 부르고 유럽인이 마시는 차를 차의 빛깔이 붉다고 하여 홍차라고 부르던 것을 그대로 받아들여 사용하기 시작했다.
홍차는 취향에 따라 스트레이트로 마시거나 설탕, 우유 등을 넣어 마신다.
홍차에 우유를 넣는 경우 먼저 찻잔에 우유를 따른 다음 홍차를 따르는 순서와 홍차를 먼저 부어 놓고 우유를 넣는 순서가 있는데 이는 홍차 맛과는 전혀 무관하다.
티백(tea bag)을 이용하여 홍차를 제조시 미리 데워 놓은 찻잔에 티백을 넣고 끓인 물을 부은 다음 약 2∼3분간 차를 우린다. 이때 잔을 뚜껑으로 덮어두는 것이 좋으며, 한편 보온재로 티백이 담긴 잔을 보온하면 더욱 좋다. 시간이 되면 티백을 2∼3번 가볍게 흔들고 꺼내며 음용하면 된다.
세계 3대 홍차로 다르질링, 우바, 기문을 꼽는데, 그것은 19세기 당시의 홍차 생산과 관련이 있다.
현재 홍차를 가장 많이 생산하는 국가는 인도, 스리랑카, 케냐, 중국 순이며 그밖에 홍차를 생산하는 국가는 생산량 순서로 인도네시아, 터키, 러시아, 이란, 파키스탄, 말라위, 베트남, 아르헨티나, 방글라데시, 탄자니아, 르완다, 짐바브웨, 남아프리카공화국 등이며 그밖에 이들 나라의 인근 국가들에서도 재배되고 있다.
와인(葡萄酒, wine)은 잘 익은 포도의 당분을 발효시켜 만든 알코올 음료로 어원은 라틴어 Vinum(비눔: 포도를 발효시킨 것)에서 왔으며, 영어로는 와인(Wine), 프랑스어로는 Vin(뱅), 이탈리아어로는 Vino(비노), 독일어로 Wein(바인)이라고 한다. 사과, 복숭아, 라즈베리 등 다른 과실을 발효하여 만든 와인은 앞에 그 과실의 이름이 붙는다.
와인의 주요성분은 물, 설탕, 알코올이지만, 600가지 이상의 합성물이 포도주의 맛, 향, 색을 좌우하며, 타닌(Tannin)의 구성요소인 프로시아니딘(Procyanidin)과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 안토시아닌(Anthocyanin) 등은 영양학적으로도 높은 가치를 지닌다.
와인은 가장 흔하게 색상에 따라 레드와인(Red Wine), 로제와인(Rose Wine), 화이트 와인(white Wine)으로 분류되며, 알코올 함량의 분류에 의하면 화이트 와인은 알코올 함량이 10∼13%, 레드와인은 알코올 함량이 12∼14%, 일반 와인에 알코올이나 오드비(브랜디의 원액)를 첨가하여 알코올 도수를 보통의 와인 보다 높게 한 강화와인(Fortified Wine)은 알코올 함량이 16∼23%에 이른다.
와인의 주요 생산 국가로는 프랑스, 이탈리아, 독일, 스페인, 포르투갈, 미국, 칠레, 아르헨티나, 호주, 뉴질랜드, 남아프리카공화국을 들 수 있으며, 포도주의 이름은 생산지나 원료가 되는 포도 품종의 이름을 따서 붙이거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통칭을 붙인다.
홍차는 천연 항산화물인 폴리페놀이 다량 함유되어 있지만 특유의 떫은맛으로 인해 우수한 효능에도 불구하고 홍차 매니아 이외에 쉽게 소비자에게 음용 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은 상기의 홍차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홍차 음료에 폴리페놀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성인 남녀 모두 부담 없이 섭취할 수 있는 와인(wine)을 첨가하여 홍차의 떫은맛을 최소화하고 와인과 조화롭게 어우러지도록 하여 부드럽고 고풍스러운 와인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 일명 와인 홍차 음료를 제공함으로써 종래 홍차에 비해 홍차를 섭취하는 소비자들이 부담 없이 섭취할 수 있는 홍차 음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와인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와인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홍차 음료에 있어서, 와인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를 제공하되, 홍차 고형분:와인 고형분이 1∼10:1의 중량비로 홍차 및 와인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홍차 음료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홍차에 와인을 첨가하고 혼합하는 홍차 음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되, 홍차 고형분:와인 고형분이 1∼10:1의 중량비로 홍차 및 와인을 혼합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와인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는 폴리페놀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우수한 효능을 지니는 홍차에 성인 남녀 모두 부담 없이 섭취할 수 있는 와인(wine)을 첨가하여 홍차의 떫은맛을 최소화하고 와인과 조화롭게 어우러지도록 하여 부드럽고 고풍스러운 와인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 일명 와인 홍차 음료를 제공함으로써 종래 홍차에 비해 홍차를 섭취하는 소비자들이 부담 없이 홍차 음료를 섭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와인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홍차 음료에 있어서, 와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차 음료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와인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에서 홍차는 홍차잎 및/또는 홍차잎이 함유된 티백(tea bag)을 뜨거운 물에 첨가하여 추출하여 얻은 홍차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와인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에서 홍차는 홍차잎 및/또는 홍차잎이 함유된 티백(tea bag)을 홍차잎 중량 대비 5∼20배량의 뜨거운 물, 바람직하게는 90∼100℃의 물에 첨가하고 2∼5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얻은 홍차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와인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에서 홍차는 고형분 함량이 0.2∼0.5%인 홍차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와인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에서 홍차는 홍차잎 및/또는 홍차잎이 함유된 티백(tea bag)을 홍차잎 중량 대비 5∼20배량의 뜨거운 물, 바람직하게는 90∼100℃의 물에 첨가하고 2∼5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홍차를 얻고 상기 홍차의 고형분 함량이 0.2∼0.5%이 되도록 홍차를 농축하거나 및/또는 홍차에 물을 첨가하는 것을 조절하여 고형분 함량이 0.2∼0.5%인 홍차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와인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에서 와인은 고형분 함량이 0.02∼0.5%인 와인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와인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에서 홍차와 와인은 홍차 고형분:와인 고형분이 1∼10:1의 중량비가 되도록 홍차와 와인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를 나타낸다.
상기에서 와인은 레드와인(red wine)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와인은 화이트와인(white wine)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와인은 스파클링와인(sparkling Wine)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와인은 레드와인, 화이트와인, 스파클링와인 중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이 동일한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 와인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와인은 알코올 함량이 10∼15%인 와인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와인은 알코올 함량이 16∼23%인 와인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와인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는 홍차, 와인 이외에 통상 홍차 음료에 사용되는 정제수, 감미료, 홍차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와인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의 일예로서 정제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홍차 0.5∼5중량부, 와인 0.5∼5중량부, 감미료 5∼30중량부, 홍차향 0.05∼0.1중량부를 포함하는 홍차 음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와인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의 일예로서 정제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홍차 0.5∼5중량부, 와인 0.5∼5중량부, 감미료 5∼30중량부, 구연산 0.01∼0.5중량부, 구연산나트륨 0.01∼0.5중량부 및 홍차향 0.05∼0.1중량부를 포함하는 홍차 음료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 감미료는 설탕, 포도당, 과당, 엿류, 당시럽, 덱스트린, 말토올리고당, 이소말토올리고당, 셀로올리고당, 프락토올리고당, 이눌로올리고당, 갈락토올리고당, 키토올리고당, 자일로올리고당, 꿀(honey), 프로폴리스(propolis), 트레할로스(trehalos)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감미료는 솔비톨(sorbitol), 자일리톨(xylitol), 만니톨(mannitol), 만티톨(mantitol), 람니톨(rhamnitol), 이노시톨(Inositol), 에리스리톨(Erythritol), 파라티노스(paratinose), 쿠에르시톨(quercitol)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와인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는 홍차 음료의 기능성 향상을 위해 와인 이외에 기능성 성분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와인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는 기능성 향상을 위해 와인 이외에 기능성 성분을 정제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0.1∼2.5중량부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와인 및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의 일예로서 정제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홍차 0.5∼5중량부, 와인 0.5∼5중량부, 기능성 성분 0.1∼2.5중량부, 감미료 5∼30중량부, 홍차향 0.05∼0.1중량부를 포함하는 홍차 음료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기능성 성분은 기능성 성분을 기능성 성분 중량 대비 5∼20배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90∼120℃의 온도에서 최초 정제수의 부피 대비 5∼50%, 바람직하게는 10∼40%, 보다 바람직하게는 15∼35%,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5∼30%가 되도록 추출한 다음 여과수단에 의해 여과한 추출액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기능성 성분은 깻잎 추출액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기능성 성분은 현초(玄草) 추출액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기능성 성분은 산사 추출액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기능성 성분은 백련잎 추출액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기능성 성분은 마치현잎 추출액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기능성 성분은 마가목잎 추출액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기능성 성분은 충위 추출액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기능성 성분은 클로렐라 추출액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기능성 성분은 스피루리나 추출액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기능성 성분은 깻잎 추출액, 현초(玄草) 추출액, 산사 추출액, 백련잎 추출액 마치현잎 추출액, 마가목잎 추출액, 충위 추출액, 클로렐라 추출액, 스피루리나 추출액 중에서 2종 이상이 동일한 중량비로 혼합된 기능성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와인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의 제조방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홍차 음료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홍차 음료에 와인을 첨가하고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의 제조방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와인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 제조시 홍차는 홍차잎 및/또는 홍차잎이 함유된 티백(tea bag)을 뜨거운 물에 첨가하여 추출하여 얻은 홍차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와인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에서 홍차는 홍차잎 및/또는 홍차잎이 함유된 티백(tea bag)을 홍차잎 중량 대비 5∼20배량의 뜨거운 물, 바람직하게는 90∼100℃의 물에 첨가하고 2∼5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얻은 홍차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와인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에서 홍차는 고형분 함량이 0.2∼0.5%인 홍차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와인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 제조시 홍차는 홍차잎 및/또는 홍차잎이 함유된 티백(tea bag)을 홍차잎 중량 대비 5∼20배량의 뜨거운 물, 바람직하게는 90∼100℃의 물에 첨가하고 2∼5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홍차를 얻고, 상기 홍차의 고형분 함량이 0.2∼0.5%이 되도록 홍차를 농축하거나 및/또는 홍차에 물을 첨가하는 것을 조절하여 고형분 함량이 0.2∼0.5%인 홍차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와인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 제조시 와인은 고형분 함량이 0.02∼0.5%인 와인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와인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 제조시 홍차와 와인은 홍차 고형분:와인 고형분이 1∼10:1의 중량비가 되도록 홍차와 와인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를 나타낸다.
상기에서 와인은 레드와인(red wine)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와인은 화이트와인(white wine)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와인은 스파클링와인(sparkling Wine)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와인은 레드와인, 화이트와인, 스파클링와인 중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이 동일한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 와인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와인은 알코올 함량이 10∼15%인 와인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와인은 알코올 함량이 16∼23%인 와인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와인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 제조시 홍차, 와인 이외에 통상 홍차 음료에 사용되는 정제수, 감미료,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홍차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와인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 제조의 일예로서 정제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홍차 0.5∼5중량부, 감미료 5∼30중량부, 홍차향 0.05∼0.1중량부로 이루어진 홍차 음료에 와인 0.5∼5중량부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와인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와인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 제조의 일예로서 정제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홍차 0.5∼5중량부, 감미료 5∼30중량부, 구연산 0.01∼0.5중량부, 구연산나트륨 0.01∼0.5중량부 및 홍차향 0.05∼0.1중량부로 이루어진 홍차 음료에 와인 0.5∼5중량부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와인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에서 감미료는 설탕, 포도당, 과당, 엿류, 당시럽, 덱스트린, 말토올리고당, 이소말토올리고당, 셀로올리고당, 프락토올리고당, 이눌로올리고당, 갈락토올리고당, 키토올리고당, 자일로올리고당, 꿀(honey), 프로폴리스(propolis), 트레할로스(trehalos)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감미료는 솔비톨(sorbitol), 자일리톨(xylitol), 만니톨(mannitol), 만티톨(mantitol), 람니톨(rhamnitol), 이노시톨(Inositol), 에리스리톨(Erythritol), 파라티노스(paratinose), 쿠에르시톨(quercitol)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와인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 제조시 홍차 음료의 기능성 향상을 위해 와인 이외에 기능성 성분을 추가로 더 첨가하고 혼합시켜 와인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와인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 제조시 홍차 음료의 기능성 향상을 위해 와인 이외에 기능성 성분을 정제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0.1∼2.5중량부를 추가로 더 첨가하고 혼합시켜 와인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와인 및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 제조의 일예로서 정제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홍차 0.5∼5중량부, 와인 0.5∼5중량부, 감미료 5∼30중량부, 홍차향 0.05∼0.1중량부로 이루어진 와인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에 기능성 성분 0.1∼2.5중량부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와인 및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와인 및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 제조의 일예로서 정제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홍차 0.5∼5중량부, 와인 0.5∼5중량부, 감미료 5∼30중량부, 구연산 0.01∼0.5중량부, 구연산나트륨 0.01∼0.5중량부 및 홍차향 0.05∼0.1중량부로 이루어진 와인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에 기능성 성분 0.1∼2.5중량부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와인 및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기능성 성분은 기능성 성분을 기능성 성분 중량 대비 5∼20배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90∼120℃의 온도에서 최초 정제수의 부피 대비 5∼50%, 바람직하게는 10∼40%, 보다 바람직하게는 15∼35%,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5∼30%가 되도록 추출한 다음 여과수단에 의해 여과한 추출액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기능성 성분은 깻잎 추출액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기능성 성분은 현초(玄草) 추출액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기능성 성분은 산사 추출액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기능성 성분은 백련잎 추출액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기능성 성분은 마치현잎 추출액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기능성 성분은 마가목잎 추출액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기능성 성분은 충위 추출액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기능성 성분은 클로렐라 추출액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기능성 성분은 스피루리나 추출액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기능성 성분은 깻잎 추출액, 현초(玄草) 추출액, 산사 추출액, 백련잎 추출액 마치현잎 추출액, 마가목잎 추출액, 충위 추출액, 클로렐라 추출액, 스피루리나 추출액 중에서 2종 이상이 동일한 중량비로 혼합된 기능성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와인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 와인 및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 제조시 홍차 음료를 포장하여 제품화하기 전에 살균 공정을 실시하여 미생물의 오염에 의해 제품의 손상을 방지하고 일정한 기간의 음료 제품 유통기간을 갖도록 하여 음료 제품의 보관성을 향상시켜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와인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 와인 및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 제조시의 살균 공정은 통상의 음료 제조시 사용하는 살균 조건을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으면 족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와인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해 다양한 조건으로 실시한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에서 언급한 조건에 의해 와인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제조예,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제조예,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다즐링 홍차엽 50g을 100℃ 온도의 물 500g에 넣고 50rpm으로 교반하면서 4분 동안 추출한 다음 여과지로 여과하여 홍차를 얻고, 상기 홍차에 물을 첨가하거나 또는 홍차를 농축하여 고형분 함량이 0.2%인 홍차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다즐링 홍차엽 50g을 100℃ 온도의 물 500g에 넣고 50rpm으로 교반하면서 4분 동안 추출한 다음 여과지로 여과하여 홍차를 얻고, 상기 홍차에 물을 첨가하거나 또는 홍차를 농축하여 고형분 함량이 0.3%인 홍차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3>
다즐링 홍차엽 50g을 100℃ 온도의 물 500g에 넣고 50rpm으로 교반하면서 4분 동안 추출한 다음 여과지로 여과하여 홍차를 얻고, 상기 홍차에 물을 첨가하거나 또는 홍차를 농축하여 고형분 함량이 0.4%인 홍차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4>
다즐링 홍차엽 50g을 100℃ 온도의 물 500g에 넣고 50rpm으로 교반하면서 4분 동안 추출한 다음 여과지로 여과하여 홍차를 얻고, 상기 홍차에 물을 첨가하거나 또는 홍차를 농축하여 고형분 함량이 0.5%인 홍차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정제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조예 2에서 얻은 고형분 함량이 0.3%인 홍차 3중량부, 백설탕 5중량부, 홍차향 0.08중량부를 첨가하여 홍차 음료를 얻었다.
상기의 홍차 음료에 고형분 함량이 0.3%이고 알코올 함량이 13%인 레드와인 3중량부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홍차 고형분:와인 고형분이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와인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정제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조예 2에서 얻은 고형분 함량이 0.3%인 홍차 3중량부, 백설탕 5중량부, 홍차향 0.08중량부를 첨가하여 홍차 음료를 얻었다.
상기의 홍차 음료에 고형분 함량이 0.15%이고 알코올 함량이 13%인 레드와인 3중량부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홍차 고형분:와인 고형분이 2:1의 중량비로 혼합된 와인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정제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조예 2에서 얻은 고형분 함량이 0.3%인 홍차 3중량부, 백설탕 5중량부, 홍차향 0.08중량부를 첨가하여 홍차 음료를 얻었다.
상기의 홍차 음료에 고형분 함량이 0.1%이고 알코올 함량이 13%인 레드와인 3중량부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홍차 고형분:와인 고형분이 3:1의 중량비로 혼합된 와인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정제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조예 2에서 얻은 고형분 함량이 0.3%인 홍차 3중량부, 백설탕 5중량부, 홍차향 0.08중량부를 첨가하여 홍차 음료를 얻었다.
상기의 홍차 음료에 고형분 함량이 0.075%이고 알코올 함량이 13%인 레드와인 3중량부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홍차 고형분:와인 고형분이 4:1의 중량비로 혼합된 와인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정제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조예 2에서 얻은 고형분 함량이 0.3%인 홍차 3중량부, 백설탕 5중량부, 홍차향 0.08중량부를 첨가하여 홍차 음료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에서 제조한 와인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와 비교예에서 제조한 홍차 음료에 대한 홍차 강도, 와인 강도, 조화도, 선호도에 대해서 관능검사 및 구매의사여부를 5점 척도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의 관능검사는 관능검사 경력이 3년 이상인 패널 20명(남 10명, 여 10명)으로 하여금 측정한 것이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에서 제조한 홍차 음료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홍차 음료의 관능검사 결과
항목 홍차 강도 와인 강도 조화도 선호도 구매의사여부
실시예 1 3.7 4.7 2.6 3.0 2.8
실시예 2 4.0 4.5 4.2 4.1 4.0
실시예 3 3.8 3.6 4.7 4.8 4.6
실시예 4 4.4 2.7 3.2 3.5 3.7
비교예 3.0 - - 2.9 2.5
*상기 표 1에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에서 제조한 와인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와 비교예에서 제조한 홍차 음료에 대한 홍차 강도, 와인 강도, 조화도, 선호도 및 구매의사여부에 대한 검사 항목 수치는 패널의 점수 총합을 패널수로 나눈 후 소수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한 것으로 수치가 높을수록 관능성이 우수하고 구매의사가 높음을 의미한다.
상기 표 1의 결과에서처럼 보통의 홍차 음료에 비해 본 발명의 와인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는 홍차 강도가 동등 수준 이상의 관능성을 지니고 있으며, 와인의 첨가로 인해 부드러운 와인의 맛, 향에 의해 와인 강도, 조화도 및 선호도가 우수하여 결과적으로 구매의사가 있으며, 특히 홍차 고형분:와인 고형분이 3:1의 중량비로 혼합된 와인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의 경우 구매의사가 매우 높아 음료로서의 상품가치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5>
정제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조예 2에서 얻은 고형분 함량이 0.3%인 홍차 3중량부, 백설탕 5중량부, 홍차향 0.08중량부를 첨가하여 홍차 음료를 얻었다.
상기의 홍차 음료에 고형분 함량이 0.1%이고 알코올 함량이 13%인 레드와인 3중량부 및 기능성 성분으로 깻잎 추출액 1.5중량부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와인 및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깻잎 추출액은 깻잎을 깻잎 중량 대비 10배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110℃의 온도에서 최초 정제수의 부피 대비 30%가 되도록 추출한 다음 여과지로 여과한 추출액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6 내지 실시예 15>
깻잎 추출액 대신 하기 표 2에 기재된 각각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성분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와인 및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성분
실시예 기능성 성분 실시예 기능성 성분
실시예 6 현초 추출액 실시예 7 산사 추출액
실시예 8 백련잎 추출액 실시예 9 마치현잎 추출액
실시예 10 마가목잎 추출액 실시예 11 충위 추출액
실시예 12 클로렐라 추출액 실시예 13 스피루리나 추출액
실시예 14 깻잎 추출액 + 현초 추출액 실시예 15 클로렐라 추출액 + 스피루리나 추출액
*상기 표 2의 실시예 14 및 실시예 15는 두 개의 기능성 성분이 동일한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을 사용하였다.
<시험예 2>
상기 실시예 5 내지 실시예 15에서 제조한 와인 및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와 비교예에서 제조한 홍차 음료에 대한 맛, 향, 선호도에 대해서 관능검사 및 구매의사여부를 5점 척도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3에 나타내었다.
상기의 관능검사는 관능검사 경력이 3년 이상인 패널 20명(남 10명, 여 10명)으로 하여금 측정한 것이다.
실시예 5 내지 실시예 15에서 제조한 홍차 음료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홍차 음료의 관능검사 결과
항목 선호도 구매의사여부
실시예 5 4.2 4.0 4.1 4.2
실시예 6 4.1 4.1 4.1 4.2
실시예 7 4.1 4.1 4.1 4.1
실시예 8 4.0 4.0 4.0 4.1
실시예 9 4.1 4.1 4.1 4.2
실시예 10 4.0 4.1 4.0 4.2
실시예 11 4.1 4.0 4.1 4.2
실시예 12 4.0 4.1 4.1 4.2
실시예 13 4.1 4.0 4.1 4.1
실시예 14 3.9 4.1 4.2 4.1
실시예 15 3.9 4.0 4.1 4.0
비교예 3.1 3.2 3.0 3.1
*상기 표 3에서 실시예 5 내지 실시예 15에서 제조한 와인 및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와 비교예에서 제조한 홍차 음료에 대한 맛, 향, 선호도 및 구매의사여부에 대한 검사 항목 수치는 패널의 점수 총합을 패널수로 나눈 후 소수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한 것으로 수치가 높을수록 관능성이 우수하고 구매의사가 높음을 의미한다.
상기 표 3의 결과에서처럼 보통의 홍차 음료에 비해 본 발명의 와인 및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는 맛, 향, 선호도 등의 관능성을 우수함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우수한 관능성에 의해 구매의사여부 또한 높아 본 발명의 와인 및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는 음료로서의 상품가치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조예,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와인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는 폴리페놀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우수한 효능을 지니는 홍차에 성인 남녀 모두 부담 없이 섭취할 수 있는 와인(wine)을 첨가하여 홍차의 떫은맛을 최소화하고 와인과 조화롭게 어우러지도록 하여 부드럽고 고풍스러운 홍차 음료를 제공함으로써 종래 홍차에 비해 홍차를 섭취하는 소비자들이 부담없이 홍차를 섭취할 수 있어 홍차 관련 산업발전에 기여하여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Claims (6)

  1. 홍차 음료에 있어서,
    홍차 음료 중의 정제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홍차 0.5∼5중량부; 와인 0.5∼5중량부; 깻잎 추출액, 현초(玄草) 추출액, 산사 추출액, 백련잎 추출액, 마치현잎 추출액, 마가목잎 추출액, 충위 추출액, 클로렐라 추출액, 스피루리나 추출액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성 성분 0.1∼2.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차 음료.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홍차 음료 중의 홍차는 고형분 함량이 0.2∼0.5%이고, 와인은 고형분 함량이 0.02∼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차 및 와인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
  4. 홍차 음료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홍차 음료 중의 정제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홍차 0.5∼5중량부; 와인 0.5∼5중량부; 깻잎 추출액, 현초(玄草) 추출액, 산사 추출액, 백련잎 추출액, 마치현잎 추출액, 마가목잎 추출액, 충위 추출액, 클로렐라 추출액, 스피루리나 추출액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성 성분 0.1∼2.5중량부를 첨가하고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의 제조방법.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홍차 음료 중의 홍차는 고형분 함량이 0.2∼0.5%이고, 와인은 고형분 함량이 0.02∼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의 제조방법.
KR1020100116142A 2010-11-22 2010-11-22 와인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46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142A KR101246728B1 (ko) 2010-11-22 2010-11-22 와인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142A KR101246728B1 (ko) 2010-11-22 2010-11-22 와인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4823A KR20120054823A (ko) 2012-05-31
KR101246728B1 true KR101246728B1 (ko) 2013-03-25

Family

ID=46270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6142A KR101246728B1 (ko) 2010-11-22 2010-11-22 와인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67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85030A (zh) * 2017-12-28 2018-06-22 厦门快乐番薯股份有限公司 一种奶茶之原料红茶的生产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121611A1 (it) * 2012-09-27 2014-03-28 Sergio Capaldo Infuso per il trattamento di alimenti a base di carne
KR101493040B1 (ko) * 2013-10-16 2015-02-12 롯데칠성음료주식회사 홍차 탄산음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홍차 탄산음료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2079A (ko) * 1997-07-26 1999-02-25 서경배 보존성이 우수한 다류 음료 조성물
JP2000037164A (ja) 1998-07-23 2000-02-08 Kikkoman Corp 果汁入り紅茶飲料
JP2003116500A (ja) 2001-10-10 2003-04-22 Shinya Nabeshima 乾燥皮リンゴ紅茶飲料
KR100578626B1 (ko) 2003-12-17 2006-05-11 주식회사풀무원 기능성 항산화 음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2079A (ko) * 1997-07-26 1999-02-25 서경배 보존성이 우수한 다류 음료 조성물
JP2000037164A (ja) 1998-07-23 2000-02-08 Kikkoman Corp 果汁入り紅茶飲料
JP2003116500A (ja) 2001-10-10 2003-04-22 Shinya Nabeshima 乾燥皮リンゴ紅茶飲料
KR100578626B1 (ko) 2003-12-17 2006-05-11 주식회사풀무원 기능성 항산화 음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85030A (zh) * 2017-12-28 2018-06-22 厦门快乐番薯股份有限公司 一种奶茶之原料红茶的生产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4823A (ko) 201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6505B1 (ko) 대추와 과즙을 이용한 식초 음료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대추와 과즙을 이용한 식초 음료
JP6092126B2 (ja) アムラ由来成分含有果実系飲食品
EP2939549B1 (en) Herbal extract composition
CA2646947A1 (en) Tea-flavored beer
CN103960384A (zh) 超高压冷泡浓茶的制作方法
KR101861604B1 (ko) 백향과 와인의 제조방법
CN104144610A (zh) 含茶叶果胶的饮料
CN104560574B (zh) 一种槟榔酒的制备方法
KR101246728B1 (ko) 와인을 포함하는 홍차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440222B1 (ko) 홍삼 음료
CN117202788A (zh) 基于山茶和刺葡萄的组合物及其制备工艺
RU2482170C1 (ru) Коктейль винный газированный &#34;тенстрайк энерджи скай&#34;
CN103468493B (zh) 一种瓜子燕麦露
Amorocho Cruz et al. Physicochemical, microbiological, and sensory characterization of fermented coffee pulp beverages.
RU2222584C1 (ru)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бальзама &#34;старый симбирск&#34;
Gallo et al. An overview of natural beverages
RU2270241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настойки горькой &#34;охотничий клуб с чесноком&#34;
AU2012100353A4 (en) Process for producing a beverage
RU2482171C1 (ru) Коктейль винный газированный &#34;тенстрайк энерджи дарк&#34;
CN112239711A (zh) 一种改善白酒口感风味的酒伴侣
CN106509248A (zh) 一种西瓜皮、薄荷叶和桑叶凉茶加工工艺
KR100678509B1 (ko) 건강 음료용 액상 홍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RU2280681C1 (ru) Настойка горькая &#34;славянская медовая с перцем&#34;
WO2002091845A1 (en) Lingering intoxication aquaous tea comprising puerh extract as an effective component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KR102111127B1 (ko) 주박을 이용한 단술로 제조된 곶감 모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곶감 모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