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6455B1 - 청소용 물품 - Google Patents

청소용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6455B1
KR101246455B1 KR1020050109148A KR20050109148A KR101246455B1 KR 101246455 B1 KR101246455 B1 KR 101246455B1 KR 1020050109148 A KR1020050109148 A KR 1020050109148A KR 20050109148 A KR20050109148 A KR 20050109148A KR 101246455 B1 KR101246455 B1 KR 101246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
joining
cleaning
cleaning articl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9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5361A (ko
Inventor
마사토시 후지와라
히로쿠니 오노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5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5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6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6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16Cloths; Pads;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38Other dust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42Details
    • A47L13/46Securing scouring or polishing cloths or sponges to the handles by gripping means, tong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32B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characterised by added members at particular parts
    • B32B3/0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characterised by added members at particular parts spaced apart pieces on the surface of a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having non-uniform 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characterised by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mechanically connected, e.g. by needling to another layer, e.g. of fibres, of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0All layers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2/00Cleaning articles, e.g. mops, wipe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 Brushes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조 공정이 간편하며,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기계적인 위치 결정 정밀도의 허용도가 높은 청소용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 청소부 본체(11)는 토우 섬유 다발 등으로 이루어지는 솔부(17)와, 솔부(17)에 접합되어, 파지구의 삽입부를 삽입하기 위한 피삽입 공간(13)이 1쌍의 시트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피삽입부(16)로 이루어진다. 솔부(17)와 피삽입부(16)는 예컨대 핫멜트(20) 등의 접착제에 의해서 접합되어 있다. 이 피삽입 공간(13)에, 기초부 및 이 기초부에서부터 연장되는 삽입부를 갖는 파지구를 삽입함으로써 청소용구로서 사용한다.

Description

청소용 물품{AN ARTICLE FOR USE IN CLEAINING}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청소용 물품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피삽입부 형성 공정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는 제1 실시형태의 청소용 물품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솔부 형성 공정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b)는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솔부 형성 공정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의 청소용 물품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접합 공정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청소용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있어서의 X-X 단면도로서, (a) 솔부 융착선이 솔부 중앙에 위치하고 있는 예, 및 (b) 솔부 융착선이 솔부 중앙으로부터 틀어져 있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제2 실시형태의 청소용 물품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피삽입부 형성 공정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형태의 청소용 물품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솔부 형성 공정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형태의 청소용 물품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접합 공정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제3 실시형태의 청소용 물품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피삽입부 형성 공정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3 실시형태의 청소용 물품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접합 공정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3 실시형태의 변형예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접합 공정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31, 41 : 유지 시트
2, 32, 42 : 기재 시트
3a : 제1의 섬유 다발
3b : 제2의 섬유 다발
3c : 제3의 섬유 다발
3d : 제4의 섬유 다발
5 : 세그먼트(短冊) 시트
6a : 피삽입부 융착선
6b, 7b : 솔부 융착선
6' : 접합선
7 : 피삽입부 융착선
7' : 접합선
8 : 세그먼트부(短冊剖)
10 : 청소용구
11, 35, 45, 55 : 청소부 본체
12 : 파지구(把持具)
12a : 삽입부
12b : 기초부
13, 33 : 피삽입 공간
15 : 접합체
16, 36, 46 : 피삽입부
17, 17', 37 : 솔부(刷毛剖)
20 : 핫멜트
본 발명은 섬유형 기재를 갖는 실내 청소용 물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섬유형 기재를 갖는 솔부에 파지구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청소용 물품에 관한 것이다.
일회용이나 교환이 가능한 종래의 실내 청소용 물품으로서, 섬유형 기재, 예컨대, 토우 섬유 다발이나 세그먼트형으로 절단된 시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솔부를 갖고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청소용구로서, 예컨대, 하기의 특허문헌 1에는 브러시를 형성하는 시트의 일부가 펠트 및 파이버로 구성되고, 이 시트 사이의 소정 위치에 핸들을 고정하여 사용하는 청소용구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하기의 특허문헌 2에는, 기재 시트의 한쪽 면 또는 양면에, 장섬유와 세그먼트형(短冊狀) 시트의 적어도 한 쪽으로 이루어지는 층을 겹쳐, 복수의 복합선에 의해 접합되고, 또한 기재 시트와 상기 층을 절단하여 이루어지는 청소용 물품이 개시되어 있다.
더욱이, 하기의 특허문헌 3에는, 솔부를 갖는 청소용 물품에 있어서, 솔부가 연질의 시트로 가늘고 길게 형성된 복수의 세그먼트 부재와, 섬유 다발과, 기재 시트를 겹쳐, 부분적으로 접합된 청소용구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미국 특허 제898725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평11-235301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 특허 공개 2002-369783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청소용구는, 핸들을 고정하여 사용하는 청소용구로, 파지부의 착탈을 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청소부 본체를 일회용으로 하는 청소용구로서는 부적합하다.
또한, 특허문헌 2의 청소용 물품은, 마루용에 알맞은 것으로, 파지구를 착탈 가능하게 삽입하기 위한 피삽입부를 갖고 있지 않다.
또한, 특허문헌 3의 청소용구는, 파지구를 착탈 가능하게 삽입하기 위한 피 삽입부를 갖고 있지만, 섬유 다발과, 기재 시트와, 유지 시트를 전부 겹친 상태로 열융착에 의해 접합하여 일체화되어 있다. 이 때문에, 두께가 있는 시트나 섬유층에 각각의 부재를 강고하게 열융착으로 접합하면서, 지나친 열융착에 의한 접합부의 강도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 열융착시에는 미묘한 온도나 압력의 조절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이상의 과제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파지구의 삽입부를 간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제조 공정이 간편한 청소용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청소부 본체에 있어서의 솔부와, 파지부의 삽입부를 삽입하기 위한 피삽입부를 따로 제조하여, 그 후에 접합함으로써 상기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것을 제공한다.
(1) 섬유형 기재로 이루어지는 솔부와, 파지구를 착탈 가능하게 삽입하기 위한 피삽입 공간이 1쌍의 시트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피삽입부를 구비하는 청소용 물품으로서, 상기 피삽입부는 상기 솔부 상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솔부와 상기 피삽입부는 접합 수단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것인 청소용 물품.
본 발명의 청소용 물품에 따르면, 청소부 본체는, 솔부와, 파지구를 삽입하기 위한 피삽입부로 이루어지며, 각각은 따로 제조된다. 그리고, 이들이 접착제 등 으로 접합되어 있다. 따라서, 접합 공정에서는 솔부와 피삽입부의 전체를 선형으로 열융착하는 것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솔부와 피삽입부의 형성에 있어서의 열융착의 조건 허용도가 높다. 또한, 솔부의 열융착선과 피삽입부의 열융착선은 관계없이 설계할 수 있기 때문에 설계의 자유도도 높다. 더욱이, 솔부의 두께나 형상이 이형이라도, 피삽입부의 형상은 자유롭게 독립적으로 설계하여 부착된다. 또한, 제조 공정도 간편하고, 부품 개수도 종래의 것과 동등하기 때문에, 낮은 비용으로 청소용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2) 상기 접합 수단은 접착제인 (1)에 기재한 청소용 물품.
이 형태에 따르면, 보다 고속으로, 확실하고, 낮은 비용으로, 솔부와 피삽입부를 접합할 수 있다.
(3) 상기 접합 수단은 상기 피삽입부에 있어서의 피삽입 공간 이외의 부분과 상기 솔부에 대한 열융착인 (1)에 기재한 청소용 물품.
이 형태에 따르면, 솔부의 일부만 피삽입부와 일체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솔부의 자유도나 형상에 영향을 주지 않고서 접합할 수 있다.
(4) 상기 파지구는, 상기 기초부측에서부터 복수로 나뉘어 선단부측에 대략 평행하게 뻗는 복수의 상기 삽입부를 갖고 있고, 상기 피삽입부는 각각의 상기 삽입부를 삽입할 수 있도록 복수의 공간을 갖고 있는 것인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청소용 물품.
이 형태에 따르면, 피삽입부가, 각각의 삽입부를 삽입할 수 있도록 복수의 공간을 갖고 있기 때문에, 파지구의 삽입부가 복수인 경우에도 대응할 수 있다.
(5) 복수의 상기 삽입부를 삽입하기 위한 복수의 피삽입부는 상기 솔부 상에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인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청소용 물품.
이 형태에 따르면, 복수의 피삽입부의 위치를, 복수의 상기 삽입부에 맞추어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다.
(6) 상기 접합 수단은 핫멜트인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청소용 물품.
이 형태에 따르면, 접합 수단으로서 핫멜트를 이용함으로써, 보다 고속으로, 확실하고, 낮은 비용으로, 솔부와 피삽입부를 접합할 수 있다.
(7) 상기 솔부는 토우 섬유 다발 및/또는 세그먼트형으로 절단된 시트인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청소용 물품.
이 형태에 따르면, 섬유형 기재로서, 토우 섬유 다발 및/또는 세그먼트형으로 절단된 시트를 이용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쓰레기나 먼지를 모을 수 있어, 효과적으로 청소를 할 수 있다.
(8) 섬유형 기재로 이루어지는 솔부와, 이 솔부에 접합되어, 파지구를 착탈 가능하게 삽입하기 위한 피삽입부를 구비하는 청소용 물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섬유형 기재의 일부를 접합하여 일체화함으로써, 솔부를 형성하는 솔부 형성 공정과, 1쌍의 시트를 서로 겹쳐 그 일부를 접합함으로써, 파지구의 삽입부를 삽입하기 위한 공간을 갖는 상기 피삽입부를 형성하는 피삽입부 형성 공정과, 상기 솔부와 상기 피삽입부를 접합하는 접합 공정을 포함하는 청소용 물품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청소용 물품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청소부 본체는, 솔부와, 파지구를 삽입하기 위한 피삽입부로 이루어지고, 각각은 따로 제조된다. 그리고, 이들을 접착제로 접합한다. 따라서, 접합 공정에서는 솔부와 피삽입부의 전체를 선형으로 열융착하는 것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솔부와 피삽입부의 형성에 있어서의 열융착의 조건 허용도가 높다. 또한, 솔부의 열융착선과 피삽입부의 열융착선은 관계없이 설계할 수 있기 때문에 설계의 자유도도 높다. 더욱이, 솔부의 두께나 형상이 이형이라도, 피삽입부의 형상은 자유롭게 독립적으로 설계하여 부착된다. 또한, 제조 공정도 간편하고, 부품 개수도 종래의 것과 동등하기 때문에, 낮은 비용으로 청소용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청소용 물품의 일례인 각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한편, 이하의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는, 동일한 구성 요건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은 생략하거나 혹은 간략하게 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에서부터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청소용 물품 및 그 제조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청소용 물품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피삽입부 형성 공정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a), 도 2(b)는 청소용 물품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솔부 형성 공정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청소용 물품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접합 공정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청소용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있어서의 X-X 단면도이다. 이하, 청소용 물품의 제조 공정을 따라서 제1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피삽입부 형성 공정>
우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지 시트(1)와 기재 시트(2)를 겹쳐, 2 라인의 접합선(7') 및 그 대략 중앙부에 위치하는 접합선(6')에 있어서 열융착하여 접합체(15)를 형성한다. 이로써, 2 라인의 피삽입부 융착선(7)과 피삽입부 융착선(6a)에 의해서, 유지 시트(1)와 기재 시트(2) 사이에서, 2개의 피삽입 공간(13, 13)이 형성된다. 유지 시트(1)와 기재 시트(2)는, 예컨대 부직포 등의 열융착 가능한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의 융착선을 형성하는 「열융착」이란, 단순한 열을 지닌 시일 바를 덮어 누르는 히트 시일 이외에도, 임펄스 시일, 고주파 시일, 초음파 시일 등의 수단도 포함하는 것이다.
이어서, 접합체(15)의 양측변에서부터 칼자국을 넣어 세그먼트부(8)를 형성하여, 피삽입부(16)를 형성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의 피삽입부에는, 세그먼트부는 형성되어 있지 않더라도 좋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피삽입부의 형성 방법은 상기한 피삽입부(16)에는 한정되지 않고, 솔부에 접합되어, 그 삽입부를 삽입하기 위한 공간이 1쌍의 시트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면 된다.
<솔부 형성 공정>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우 파이버로 이루어지는 제1의 섬유 다발(3a), 토우 파이버로 이루어지는 제2의 섬유 다발(3b), 토우 파이버로 이루어지는 제3의 섬유 다발(3c), 토우 파이버로 이루어지는 제4의 섬유 다발(3d), 복수의 세그먼트 부재가 형성된 세그먼트 시트(5)의 순으로 적층한다. 그리고, 접합선(6')에 있어서, 5장의 시트를 전부 열융착으로 접합하여, 솔부(17)를 형성한다. 즉, 이 솔 부(17)는 솔부 융착선(6b)에 의해서, 전층이 일체화되어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솔부 융착선은 1 라인의 융착선에 한정되지는 않고, 예컨대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3 라인의 솔부 융착선(6b, 7b)과 같이, 복수의 융착선으로 구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또한, 직선 이외의 지그재그한 선 또는 곡선이라도 좋고, 점형의 소위 포인트 시일이라도 좋다.
도 2(b)와 같이 복수의 융착선 등을 형성함으로써, 복수의 융착선 사이(7b-6b-7b)는 섬유가 움직이기 어렵게 되어 평면성을 유지하기 쉽게 된다. 이 때문에, 접합 공정에서 피접합부와의 접합이 용이하게 되어, 확실하게 접합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융착선(7b-6b-7b) 사이에 의해 중앙 부분에 움직이기 어려운 섬유부를 형성함으로써, 융착선(7b)의 외측(양측변측)으로 개방 상태로 되어 있는 섬유부(솔 효과를 갖는 섬유부)끼리는 적절히 이격된다. 이 때문에, 양측의 섬유부끼리가 얽혀 솔 효과가 저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섬유 다발(3a∼3d)은 종래 공지의 토우 파이버를 사용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열융착 가능한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섬유 다발의 층수는 한정되지 않고 1층이라도 좋다. 세그먼트 시트(5)는, 상기한 유지 시트(1)나 기재 시트(2)와 같이 예컨대 부직포 등의 열융착 가능한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는, 솔부(17)를 구성하는 것은 토우 섬유 다발 및 세그먼트형으로 절단된 시트의 조합에는 한정되지 않고, 토우 섬유 다발만이라도 좋고, 세그먼트형으로 절단된 시트만이라도 좋다. 또한, 솔부(17)를 구성하는 것은 섬유형이면 되며 상기한 토우 섬유 다발 및/또는 세그먼트형으로 절단된 시트 이외의 것, 예컨대 직 물, 편물, 유상물(紐狀物)이라도 좋다. 한편, 「세그먼트형으로 절단된 시트」로서는, 섬유형 기재로 이루어지는 시트의 바깥 둘레측에서부터, 그 시트의 중심선 방향에 걸쳐 복수의 칼자국을 형성한 세그먼트 시트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접합 공정>
상기한 피삽입부(16)와, 솔부(17)를, 핫멜트(20)에 의해서 접합한다. 구체적으로는, 솔부(17)의 제1의 섬유 다발(3a) 상의 대략 중앙부, 바람직하게는 피삽입부 융착선(7, 7) 사이에 핫멜트(20)를 도포하여 접합하여, 청소부 본체(이하, 본 발명에 있어서의 청소용부 물품)(11)를 얻는다.
피삽입부(16)와 솔부(17)와의 접합 수단은 공지의 접착제면 되며 한정되지 않지만, 특히 종래 공지의 핫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착제의 도포는 피삽입부(16)측이라도 좋고, 솔부(17)측이라도 좋고, 양측이라도 좋다. 또한, 도포 위치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피삽입부(16)와 솔부(17)를 접합할 수 있는 위치면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접합 수단은 접착제에는 한정되지 않고, 피삽입부의 외주 주연부를 점형의 열융착(소위 포인트 시일)으로 접합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피삽입부의 외주 주연부를, 1 mm×1 mm나 1 mm×2 mm의 포인트 시일 패턴으로 열융착하면, 솔부의 극히 일부만 피삽입부와 일체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솔부의 자유도나 형상에 영향을 주지 않고서 접합할 수 있다. 이 방법은 후술하는 제2 실시형태와 같이, 세그먼트 시트 상에 피삽입부를 형성하는 경우에 특히 적합하게 이용된다.
<작용>
상기한 제조 방법에 의해서 얻어진 청소부 본체(11)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피삽입 공간(13, 13)이, 유지 시트(1)와 기재 시트(2) 사이에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파지구(12)는 기초부(12b)에서 둘로 나뉘어 대략 병행하여 뻗는 삽입부(12a, 12a)로 이루어지고, 이 삽입부(12a)가 피삽입 공간(13, 13)에 삽입함으로써 청소용구(10)가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여기서,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청소용구(10)에 있어서는, 청소부 본체(11)의 솔부(17)와 피삽입부(16)는, 핫멜트(20)로 접합되어 있고, 전층을 접합하고 있는 융착선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삽입부 융착선(6a)과 솔부 융착선(6b)이 틀어져 버린 경우에 있어서도, 피삽입 공간(13)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접합 공정에서는, 기계적인 위치 결정 정밀도를 그만큼 고려할 필요가 없다고 하는 효과를 불러온다.
[제2 실시형태]
도 6에서부터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청소용 물품의 제조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은 피삽입부 형성 공정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솔부 형성 공정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접합 공정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피삽입부 형성 공정에서 피삽입 공간(33)만이 형성되고 있고, 피삽입부(36)에는 세그먼트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한편 솔부(37)의 최상부에 세그먼트부를 갖는 세그먼트 시트가 설치되어 있는 점이 제1 실시형태 와 다르다.
즉, 토우 섬유 다발과, 섬유형 기재로 이루어지는 시트의 바깥 둘레측에서부터 복수의 칼자국을 형성한 세그먼트 시트가 적층되어 있고, 이 적층체의 중심선 부근의 영역이, 복수의 열융착선으로 일체화되어 있는 솔부와, 파지구를 착탈 가능하게 삽입하기 위한 피삽입 공간이 1쌍의 시트를 열융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피삽입부를 구비하는 청소용 물품으로서, 상기 피삽입부는 상기 세그먼트 시트 상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솔부의 상기 세그먼트 시트와 상기 피삽입부는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청소용 물품이다.
피삽입부 형성 공정에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지 시트(31)와 기재 시트(32)를 겹쳐, 2 라인의 접합선(7') 및 그 대략 중앙부에 위치하는 접합선(6')에 있어서 열융착하여, 2개의 피삽입 공간(33)을 갖는 피삽입부(36)를 형성하고 종료한다.
한편, 솔부 형성 공정에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세그먼트 부재가 형성된 세그먼트 시트(5), 토우 파이버로 이루어지는 제1의 섬유 다발(3a), 토우 파이버로 이루어지는 제2의 섬유 다발(3b), 토우 파이버로 이루어지는 제3의 섬유 다발(3c), 토우 파이버로 이루어지는 제4의 섬유 다발(3d), 복수의 세그먼트 부재가 형성된 세그먼트 시트(5)의 순으로 적층한다. 그리고, 접합선(6')에 있어서, 6장의 시트를 전부 열융착으로 접합하여, 솔부(37)를 형성한다. 즉, 이 솔부(37)는, 솔부 융착선(6b)에 의해서, 전층이 일체화되어 있고, 최상부에는 세그먼트 시트(5)를 갖는다.
그리고, 접합 공정에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솔부(37)의 세그먼트 시트(5) 상에 핫멜트(20)를 도포하고, 솔부(37)와 피삽입부(36)를 접합하여, 청소부 본체(35)를 얻는다. 이와 같이 토우 파이버보다 평활성이 높은 세그먼트 시트(5) 상에 핫멜트(20)를 도포함으로써, 솔부(37)와 피삽입부(36)와의 접합을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도 9, 도 10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청소용 물품의 제조 방법이 나타내어져 있다. 도 9는 피삽입부 형성 공정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10은 접합 공정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삽입부 형성 공정에서는 하나의 피삽입 공간(43)을 갖는 피삽입부(46)가 형성되어 있고, 접합 공정에서는, 2개의 피삽입부(46)가, 솔부(37) 상에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점이 제2 실시형태와 다르다. 한편, 솔부(37)는 제2 실시형태와 같은 것을 사용하고 있다.
즉, 피삽입부 형성 공정에서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지 시트(41)와 기재 시트(42)를 겹쳐, 2 라인의 접합선(7')만으로 열융착하여, 하나의 피삽입 공간(43)을 갖는 피삽입부(46)를 형성한다.
그리고, 접합 공정에서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솔부(37)의 세그먼트 시트(5) 상에 핫멜트(20)를 도포하여, 2개의 피삽입부(46)를 병렬시킨 상태로 솔부(37)와 접합하여 청소부 본체(45)를 얻는다. 한편, 각각의 피삽입부(46)의 형상이나 위치는 파지구의 삽입부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1과 같이, 피삽입부(46)는 하나만이라도 좋다. 또한, 복수의 피삽입부는, 이 실시형태와 같이 각각 동일하더라도 좋고, 다르더라도 좋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파지구의 삽입부의 수나 형상에 따라서, 복수의 피삽입부를 설치하더라도 좋다.
본 발명은 섬유형 기재를 갖는 실내 청소용 물품으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파지구의 삽입부를 간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청소용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복수 층의 섬유형 기재로 이루어지는 솔부와,
    파지구를 착탈 가능하게 삽입하기 위한 피삽입 공간이, 적층된 1쌍의 시트를 제1의 접합부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상기 1쌍의 시트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피삽입부를 구비하는 청소용 물품으로서,
    상기 솔부는, 상기 섬유형 기재가 복수의 융착선인 제2의 접합부에 의해 일체적으로 접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솔부와 상기 피삽입부는, 상기 솔부와 상기 피삽입부를 접합하는 융착선을 형성하지 않고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청소용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접합부와 상기 제2의 접합부는 틀어져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물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접합부는 3 라인의 접합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의 접합부는 지그재그 선, 곡선 또는 점형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물품.
  4. 복수 층의 섬유형 기재로 이루어지는 솔부와, 이 솔부에 접합되어 파지구를 착탈 가능하게 삽입하기 위한 피삽입부를 구비하는 청소용 물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섬유형 기재의 일부를 복수의 융착선인 제2의 접합부에 의해 일체화함으로써 솔부를 형성하는 솔부 형성 공정과,
    적층된 1쌍의 시트를 서로 겹쳐 그 일부를 제1의 접합부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파지구의 삽입부를 삽입하기 위한 공간을 갖는 상기 피삽입부를 형성하는 피삽입부 형성 공정과,
    상기 솔부와 상기 피삽입부를, 상기 솔부와 상기 피삽입부를 접합하는 융착선을 형성하지 않고 접착제에 의해 접합하는 접합 공정
    을 포함하는 청소용 물품의 제조 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050109148A 2004-11-16 2005-11-15 청소용 물품 KR1012464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32496A JP4785369B2 (ja) 2004-11-16 2004-11-16 清掃用物品
JPJP-P-2004-00332496 2004-11-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5361A KR20060055361A (ko) 2006-05-23
KR101246455B1 true KR101246455B1 (ko) 2013-03-21

Family

ID=35169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9148A KR101246455B1 (ko) 2004-11-16 2005-11-15 청소용 물품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779502B2 (ko)
EP (3) EP2436297A1 (ko)
JP (1) JP4785369B2 (ko)
KR (1) KR101246455B1 (ko)
CN (2) CN2808051Y (ko)
CA (1) CA2515926C (ko)
ES (1) ES2425222T3 (ko)
MX (1) MXPA05012379A (ko)
PL (1) PL1656876T3 (ko)
TW (2) TWM274919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521270T1 (de) 2000-07-10 2011-09-15 Uni Charm Corp Gegenstand zum reinigen
WO2007046252A1 (ja) * 2005-10-19 2007-04-26 Kao Corporation 清掃具
JP4657075B2 (ja) * 2005-10-21 2011-03-23 花王株式会社 清掃用物品
US8151402B2 (en) * 2006-03-09 2012-04-10 Kao Corporation Cleaning article, method of fluffing cleaning article, and method of producing cleaning article
JP5048274B2 (ja) * 2006-05-31 2012-10-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体及び清掃用具
ATE514370T1 (de) * 2006-06-13 2011-07-15 Yang Ya Ching Staubwedel und zugehöriges staubtuch
US9833118B2 (en) 2006-08-07 2017-12-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loor cleaning article having strips with differential bond pattern
US10617273B2 (en) 2006-08-07 2020-04-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loor cleaning article having strips and an absorbent core
JP4709105B2 (ja) 2006-09-12 2011-06-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体及び清掃用具
EP2114234B1 (en) 2007-02-06 2015-04-08 S.C. Johnson & Son, Inc. Cleaning or dusting pad with attachment member holder
US8893347B2 (en) 2007-02-06 2014-11-25 S.C. Johnson & Son, Inc. Cleaning or dusting pad with attachment member holder
JP4934464B2 (ja) 2007-03-05 2012-05-1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清掃用具
JP5048376B2 (ja) * 2007-03-30 2012-10-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体及び清掃用具
JP5235493B2 (ja) * 2008-05-15 2013-07-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用具、清掃体ホルダ
CA2685904C (en) * 2009-12-04 2013-05-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article with non-planar element in place of strips
JP5147909B2 (ja) * 2010-08-23 2013-02-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体及び清掃用具
US8893345B2 (en) 2012-03-09 2014-11-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article with apertured sheet and tow fibers
US8756746B2 (en) * 2012-03-09 2014-06-24 The Procter & Gamble Cleaning article with elastically contracted sheet
US8931132B2 (en) 2012-03-09 2015-01-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article with differential overlap between sheet and tow fibers
US9198553B2 (en) 2012-03-09 2015-12-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article with upstanding elastic panel
CA2836166C (en) * 2012-12-10 2016-08-09 Garant Gp Snow brush
JP6047400B2 (ja) 2012-12-29 2016-12-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部材を製造する方法及び装置
JP6047401B2 (ja) 2012-12-29 2016-12-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開繊された繊維束の製造方法、清掃部材の製造方法、繊維束の開繊装置、及び清掃部材の製造システム
JP6073128B2 (ja) 2012-12-29 2017-02-0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切断装置及び切断装置を用いた清掃部材の製造方法
JP6080550B2 (ja) 2012-12-29 2017-02-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帯状シートにシールを施す融着装置
JP6057707B2 (ja) 2012-12-29 2017-01-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開繊された繊維束の製造方法、清掃部材の製造方法、繊維束の開繊装置、及び清掃部材の製造システム
JP6037828B2 (ja) 2012-12-29 2016-12-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開繊された繊維束の製造方法、清掃部材の製造方法、繊維束の開繊装置、及び清掃部材の製造システム
US20140187406A1 (en) 2012-12-29 2014-07-03 Unicharm Corporation Method of producing cleaning member
WO2014104325A1 (ja) 2012-12-29 2014-07-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部材を製造する方法、及び清掃部材を製造するシステム
US20140182767A1 (en) 2012-12-29 2014-07-03 Unicharm Corporation Method of producing cleaning member
JP6141023B2 (ja) 2013-01-10 2017-06-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トウを含むウエブ部材の製造方法
JP6103945B2 (ja) 2013-01-10 2017-03-2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積み重ね装置及びウェブ部材を製造する方法
JP6228366B2 (ja) 2013-02-07 2017-11-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具
JP6239828B2 (ja) * 2013-02-07 2017-11-2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具
JP6126398B2 (ja) * 2013-02-07 2017-05-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具
JP6208949B2 (ja) * 2013-02-07 2017-10-0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具
EP2953516B1 (en) 2013-02-08 2017-02-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Kit for fluffing a cleaning article
US9849638B2 (en) 2013-02-08 2017-12-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ocess and apparatus for fluffing a cleaning implement
JP6258591B2 (ja) * 2013-03-22 2018-01-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用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清掃用物品
USD709659S1 (en) * 2013-06-20 2014-07-22 Ez Products Of South Florida, L.L.C. Duster with interior sleeve
USD743133S1 (en) * 2014-08-11 2015-11-10 Manchul Shin Mop pad
USD782765S1 (en) * 2015-03-04 2017-03-28 Nice-Pak Products, Inc. Cleaning device
US20180042440A1 (en) * 2015-03-12 2018-02-15 Uni-Charm Corporation Cleaning sheet and cleaning instrument
EP3277147B1 (en) 2015-04-02 2020-12-0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Floor cleaning article having strips and an absorbent core
CA2981656C (en) 2015-04-02 2019-12-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loor cleaning article having strips with differential bond pattern
EP3078316B1 (en) 2015-04-09 2019-11-20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Cleaning article having discrete seal bonds
US11229343B2 (en) 2015-06-30 2022-01-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article having multi-layer gather strip element
US10694915B2 (en) 2017-04-06 2020-06-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heet with tow fiber and movable strips
US11253128B2 (en) 2017-09-11 2022-02-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article with differential pitch tow tufts
US11045061B2 (en) 2017-09-11 2021-06-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making a tufted laminated cleaning article
EP3453303B1 (en) 2017-09-11 2022-08-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making a cleaning article having cutouts
US11950737B2 (en) * 2017-09-11 2024-04-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article with irregularly spaced tow tufts
US10730081B2 (en) * 2017-09-11 2020-08-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making a cleaning article having cutouts
US10653286B2 (en) 2017-10-06 2020-05-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article with preferential coating
US10722091B2 (en) 2017-10-06 2020-07-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article with preferentially coated tow fibers
US11375867B2 (en) 2018-04-03 2022-07-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article with differential sized tow tufts
US11903542B2 (en) 2018-04-03 2024-02-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article with double bonded tow tufts
US20190298141A1 (en) 2018-04-03 2019-10-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article with irregularly spaced tow tufts
EP4133047A1 (en) 2020-04-10 2023-02-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article with preferential rheological solid composition
WO2021216288A1 (en) 2020-04-10 2021-10-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implement with a rheological solid composition
WO2022082192A1 (en) 2020-10-16 2022-04-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article with preferential coating
US11833237B2 (en) 2021-03-09 2023-12-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enhancing scalp active deposi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5301A (ja) 1997-12-16 1999-08-31 Uni Charm Corp 清掃用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369783A (ja) 2000-07-10 2002-12-24 Uni Charm Corp 清掃用物品
KR20030007546A (ko) * 2001-02-23 2003-01-23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청소용 물품
JP2004283338A (ja) 2003-03-20 2004-10-14 Rukku:Kk 清掃具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3725A (en) 1905-09-09 1906-06-19 Henry A Hayden Duster.
US898725A (en) 1908-02-17 1908-09-15 Alfred Adair Key-ring and door-securer.
US1437145A (en) 1921-07-21 1922-11-28 Theodore G Johnson Duster
US1542108A (en) 1923-05-23 1925-06-16 George E Taylor Bottle cleaner
US3525113A (en) 1968-08-16 1970-08-25 Ragnvald G Leland Mop with removable holder
US3822435A (en) 1972-12-22 1974-07-09 T Moss Disposable dust mop and method of making same
DE3802198A1 (de) 1988-01-26 1989-06-29 Karin Fuchs Wischmop mit optimierter reinigungsvorrichtung
JPH0745302Y2 (ja) * 1990-02-07 1995-10-18 東芝機械株式会社 原料供給装置
DE4316890A1 (de) 1993-04-29 1994-11-03 Metaform Metallverarbeitung Reinigungstuch
JPH0767821A (ja) 1993-08-31 1995-03-14 Tokai:Kk 柄付ハンドモップ
US5452491A (en) 1994-04-04 1995-09-26 Milliken Research Corporation Dust mop
ES1030456Y (es) 1995-03-22 1996-02-16 Mery Sa Mopa friegasuelos.
CN1241520C (zh) 1995-08-01 2006-02-15 花王株式会社 清洁布
JPH0938009A (ja) 1995-08-01 1997-02-10 Kao Corp 清掃布、清掃具の柄及び清掃具
JP2977477B2 (ja) 1995-12-08 1999-11-15 花王株式会社 清掃具
JPH0947416A (ja) 1995-08-09 1997-02-18 Azuma Kogyo Kk モップ
JP3208306B2 (ja) 1995-11-17 2001-09-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拭き取り用具
JP3124478B2 (ja) 1995-12-01 2001-01-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拭き取り用具の製造方法
DE29701349U1 (de) 1997-01-28 1997-04-30 Grabarits Dieter Gerät zur Naßreinigung von Fußböden oder ähnlichen Flächen
JP2948160B2 (ja) * 1996-12-27 1999-09-13 株式会社まめいた 摺洗用ブラシ
US5715560A (en) 1997-02-18 1998-02-10 Banicki; Kathy Scrub brush with integral handle and cleaning elements
JP3666772B2 (ja) 1997-02-26 2005-06-29 花王株式会社 伸縮棒状具
JPH1189776A (ja) 1997-09-19 1999-04-06 Kao Corp 清掃布及び清掃具
TW394679B (en) * 1997-12-16 2000-06-21 Uni Charm Corp Cleaning articl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6143393A (en) 1997-12-16 2000-11-07 Uni-Charm Corporation Cleaning product and production process therefor
JP3628171B2 (ja) * 1998-03-27 2005-03-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用モップ
JP3628237B2 (ja) 2000-04-27 2005-03-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用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3628236B2 (ja) 2000-04-27 2005-03-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用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159427A (ja) 2000-11-27 2002-06-04 Uni Charm Corp 清掃用物品
JP4242552B2 (ja) 2000-12-01 2009-03-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用物品および該清掃用物品の保持具
JP4083978B2 (ja) 2000-12-27 2008-04-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用物品
JP4113740B2 (ja) 2002-07-22 2008-07-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用保持具およびその清掃用保持具を用いた清掃物品
JP4041706B2 (ja) 2002-07-22 2008-01-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用保持具およびその清掃用保持具を用いた清掃物品
JP2004332496A (ja) 2003-05-12 2004-11-25 Otaka Giken Kk 木造建築物の部分的な沈下を補正する方法および木造建築物の沈下補正用ジャッキホルダ
US6978509B2 (en) * 2004-02-06 2005-12-27 Pai Yung Lin Cleansing device having cleansing fibers
JP3103720U (ja) 2004-03-02 2004-08-19 紳宇実業有限公司 ハンディモップ
JP3842800B2 (ja) 2004-07-29 2006-11-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用モップ
US7740412B2 (en) * 2005-01-28 2010-06-22 S.C. Johnson & Son, Inc. Method of cleaning using a device with a liquid reservoir and replaceable non-woven pa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5301A (ja) 1997-12-16 1999-08-31 Uni Charm Corp 清掃用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369783A (ja) 2000-07-10 2002-12-24 Uni Charm Corp 清掃用物品
KR20030007546A (ko) * 2001-02-23 2003-01-23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청소용 물품
JP2004283338A (ja) 2003-03-20 2004-10-14 Rukku:Kk 清掃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34375C (zh) 2009-09-02
JP2006141483A (ja) 2006-06-08
US20060101601A1 (en) 2006-05-18
CA2515926A1 (en) 2006-05-16
CN2808051Y (zh) 2006-08-23
EP1656875B1 (en) 2013-09-25
TW200616575A (en) 2006-06-01
EP2436297A1 (en) 2012-04-04
JP4785369B2 (ja) 2011-10-05
PL1656876T3 (pl) 2014-01-31
TWI365734B (ko) 2012-06-11
KR20060055361A (ko) 2006-05-23
US7779502B2 (en) 2010-08-24
EP1656875A3 (en) 2007-08-08
TWM274919U (en) 2005-09-11
EP1656876A2 (en) 2006-05-17
EP1656876A3 (en) 2007-08-08
ES2425222T3 (es) 2013-10-14
CN1775162A (zh) 2006-05-24
EP1656876B1 (en) 2013-06-12
CA2515926C (en) 2015-02-10
EP1656875A2 (en) 2006-05-17
MXPA05012379A (es) 2007-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6455B1 (ko) 청소용 물품
KR101314285B1 (ko) 청소용 시트
EP1832217B1 (en) Cleaning devic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TWI322679B (ko)
KR100452568B1 (ko) 일회용 오물 닦기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WO2009128381A1 (ja) 清掃用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9990077956A (ko) 장섬유를이용한청소용물품
JP5548015B2 (ja) 清掃用シートおよび清掃具
JP5296834B2 (ja) 清掃用物品
JP2009254536A (ja) 清掃用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3997238B2 (ja) 清掃用物品
TWI536945B (zh) A cleaning member, a cleaning tool, and a cleaning member
JP5563901B2 (ja) 清掃用物品
JP3108773U (ja) 清掃用物品
WO2014073118A1 (ja) 清掃体保持具、及び、清掃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