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3409B1 - 보행형 작업 기계 - Google Patents

보행형 작업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3409B1
KR101243409B1 KR1020060024563A KR20060024563A KR101243409B1 KR 101243409 B1 KR101243409 B1 KR 101243409B1 KR 1020060024563 A KR1020060024563 A KR 1020060024563A KR 20060024563 A KR20060024563 A KR 20060024563A KR 101243409 B1 KR101243409 B1 KR 101243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throttle
engine
lever
clutch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4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1325A (ko
Inventor
히로시 모리야마
다까시 스즈끼
마사유끼 사사오까
마꼬도 와라시나
도미니크 보오제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638535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24340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01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1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3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3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82Other details
    • A01D34/824Handle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4Connecting devices for connecting lines to hooks or l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67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 A01D34/68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with motor driven cutters or wheels
    • A01D34/6806Driv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A01K95/02Devices for fixing on or removing sinkers from l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67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 A01D34/68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with motor driven cutters or wheels
    • A01D2034/6843Control levers on the handle of the mow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보행형 작업 기계는 제1 클러치 레버(25)와, 제2 클러치 레버(22)와, 제1 클러치 레버 및 제2 클로치 레버 각각에 의해 제어 가능한 개도를 갖는 트로틀(33)을 포함한다. 작업 기계는 피봇 부재(52)와, 피봇 부재에 연결되는 트로틀 와이어(51)와, 피봇 부재에 마련되는 결합 부재(56)와의 결합을 위해 제1 클러치 레버에 마련되는 제1 가동 부재(62)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1 클러치 레버가 제1 클러치(34)를 연결 상태에 배치하도록 작동되면, 트로틀은 제1 클러치 레버의 작업에 의해 공전 엔진 속도가 생성되는 제1 개방 위치에서 작업 기계 가동 엔진 속도가 생성되는 제2 개방 위치로 이동된다.
보행형 작업 기계, 클러치 레버, 트로틀, 피봇 부재, 가동 부재

Description

보행형 작업 기계{WALK-BEHIND WORKING MACHINE}
도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잔디깍기 기계의 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잔디깍기 기계의 측면도.
도3은 도1에 도시된 잔디깍기 기계의 평면도.
도4는 도3에 도시된 제어 장치의 확대 평면도.
도5는 도2에 도시된 제어 장치의 확대 측면도.
도6은 제1 클러치 기구의 일부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5에 도시된 제1 클러치 기구의 확대 측면도.
도7은 도5에 도시된 제2 클러치 기구의 확대 측면도.
도8a는 비교예로서 보행형 작업 기계의 제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8b는 본 발명에 따르는 잔디깍기 기계의 제어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9a 내지 도9c는 주행하면서 잔디깍기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잔디깍기 기계의 작업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
도10a 및 도10b는 잔디깍기 작업을 수행하지 않으면서 주행하기 위한 잔디깍기 기계의 작업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
도11은 트로틀 레버가 클러치 레버와 함께 작동 가능하도록 배열된 종래의 잔디깍기 기계를 위한 기구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잔디깍기 기계
11: 기계 본체
13: 엔진
14: 절단기 블레이드
17: 후륜
19: 핸들
22: 제2 클러체 레버
26: 선택 노브
25: 제1 클러치 레버
33: 트로틀
34: 제1 클러치
36: 제2 클러치
40: 제어 장치
41: 조절 기구
42: 제1 클러치 기구
43: 제2 클러치 기구
51: 트로틀 와이어
52: 피봇 부재
53: 핸들 브라켓
54: 지지핀
55: 부착부
56: 결합핀
62: 제1 가동 부재
72: 제2 가동 부재
본 발명은 클러치 작업과 일치하여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된 트로틀을 갖는 보행형 작업 기계(walk-behind working machine)에 관한 것이다.
공지된 보행형 작업 기계는 트로틀을 조절하기 위한 트로틀 레버를 구비하는 핸들과, 엔진 및 작업 부재 사이의 구동을 연결 또는 분리하기 위해 제1 클러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1 클러치 레버와, 엔진 및 주행 부재 사이의 구동을 연결 또는 분리하기 위해 제2 클러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2 클러치 레버를 포함한다. 이들 세 종류의 레버는 개별적으로 작동된다.
이런 작업 기계는 작업 기계가 작업을 수행할 때의 엔진 운행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그 엔진이 계속 운행되기 때문에 작업 기계가 주행을 멈추는 경우에도 불가피하게 심각한 소음을 일으키며 필요 이상의 연료를 소모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본 특허 출원 3-2503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 레버가 엔진 및 주행 유닛 사이의 구동을 연결 또는 분리하기 위해 클러치 를 연결 또는 분리할 뿐만 아니라 트로틀 레버를 작동하도록 조작될 수 있게 배열된 보행형 작업 기계를 제안할 수 있다.
도11은 일본 특허 출원 3-25033호에 개시된 작업 기계의 트로틀 레버 및 클러치 레버를 도시한다. 트로틀 레버(202)와 클러치 레버(203)는 핸들(201)에 피봇 가능하게 장착된다. 핸들(201)에는 클러치 레버(203)와 트로틀 레버(202)에 연결된 연결구(204)가 마련되어 클러치 레버(203)가 피봇 동작을 할 때 트로틀 레버(202)를 회전시킨다.
연결구(204)는 트로틀 레버(202)를 지지하는 샤프트(205)와 일체로 형성된 섹터 기어(206)와, 클러치 레버(203)를 지지하는 샤프트(207)와 일체로 형성된 섹터 기어(208)와, 일 단부에서 섹터 기어(206)에 연결되고 타 단부에서 섹터 기어(208)에 연결되어 섹터 기어(206, 208)가 서로 물림 결합하도록 압박하기 위한 연장 스프링(209)과, 클러치(비도시)와 분리되는 방향으로 클러치 레버(203)를 압박하기 위한 연장 스프링(210)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손(비도시)에서 클러치 레버(203)를 해제하면, 연장 스프링(210)의 힘을 받는 클러치 레버(203)는 화살표 R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207)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피봇되어 작업 기계의 추진을 중단하도록 클러치를 분리한다. 섹터 기어(208)도 클러치 레버(203)와 함께 시계 방향으로 피봇됨으로써 섹터 기어(206)가 샤프트(205)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피봇되도록 한다.
섹터 기어(206)가 반시계 방향으로 피봇 동작을 하면 트로틀 레버(202)는 화살표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을 감속시키는 전방 경사 위치로 자동으로 전방 피봇되는 반면 연장 스프링(209)은 샤프트(205, 207)보다 낮은 수준으로 이동된다. 이동된 연장 스프링(209)은 각각의 섹터 기어(206, 208)가 트로틀 레버(202)를 전방 경사 위치에 유지하도록 이들 섹터 기어를 압박한다.
이렇게 배열된 연결구(204)로 인해, 클러치 레버(203)는 심각한 소음의 발생과 과도한 연료 소모를 방지하기 위해 엔진을 감속시키도록 트로틀 레버(202)를 작동시키면서 작업 기계의 추진을 중단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다.
그러나, 연결구(204)는 하나의 트로틀 레버 및 하나의 클러치 레버를 포함하는 작업 기계에만 적용될 수 있다. 즉, 이런 연결구(204)는 핸들이 트로틀 레버 외에도 두 개의 클러치 레버를 구비하되 그 중 하나는 절단 블레이드를 회전시키거나 그 회전을 중단시키도록 클러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작업 기계를 추진시키거나 중단시키도록 클러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사용되도록 구성된 자동 추진형 잔디 깍기 기계와 같은 보행형 작업 기계에는 적용될 수 없다. 그러나, 이런 유형의 잔디 깍기 기계의 경우, 두 개의 클러치 각각이 결합될 때마다, 트로틀 레버는 엔진의 공전 속도를 제공하는 개방 위치로부터 절단 블레이드를 회전시키거나 잔디 깍기 기계를 추진시키기 위한 엔진의 속도를 제공하는 추가 개방 위치로 트로틀을 이동하도록 작동되어야 한다. 이러한 잔디 깍기 기계에는 두 개의 클러치 레버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작동될 때 트로틀 레버를 제어하기 위한 연결구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 개의 클러치 레버 중 어느 하나만을 포함하는 보행형 작업 기계뿐 아니라 상술한 두 개의 클러치 레버를 포함하는 보행형 작업 기계에 유용한 기술이 요구된 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본 특허 출원 3-25033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종래의 연결구는 두 개의 클러치 레버 중 선택된 어느 한 클러치 레버의 작동시 트로틀 레버를 제어하도록 개선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는 보행형 작업 기계는 기계 본체와, 기계 본체 상에 마련되는 엔진과, 엔진용 트로틀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 기구와, 작업 부재와, 엔진 및 작업 부재 사이의 구동을 연결 또는 분리하기 위한 제1 클러치 기구와, 기계 본체의 후방부로부터 후방 연장되는 핸들을 포함하되, 조절 기구는 핸들에 피봇 가능하게 부착되는 피봇 부재와, 트로틀로부터 연장되어 그 말단부에서 피봇 부재에 연결되는 트로틀 와이어와, 제1 클러치 기구와의 결합을 위해 피봇 부재에 마련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고, 제1 클러치 기구는 엔진 및 작업 부재 사이의 구동을 연결 또는 분리하기 위한 제1 클러치와, 핸들에 피봇 가능하게 부착되는 제1 클러치 레버와, 제1 클러치로부터 연장되어 그 말단부에서 제1 클러치 레버에 연결되는 제1 클러치 와이어와, 제1 클러치 레버에 마련되고 공전 엔진 속도가 생성되는 제1 개방 위치로부터 작업 기계 가동 엔진 속도가 생성되는 제2 개방 위치로 트로틀을 이동시킴으로서 제1 클러치를 연결 상태에 배치하도록 결합 부재와 결합 가능한 제1 가동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클러치 레버가 제1 클러치와 결합하도록 작동될 때, 제1 클러치 레버에 마련되는 제1 가동 부재는 트로틀를 제1 개방 위치로부터 제2 개방 위치로 이동시킨다. 즉, 트로틀의 작업은 클러치 레버의 작업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런 배 열로 인해, 작업 기계에는 클러치 레버와 별개인 트로틀 레버가 설치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사용자는 클러치 레버만을 작동시킴으로써 트로틀과 제1 클러치 모두를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보행형 작업 기계는 주행 부재와, 엔진 및 주행 부재 사이의 구동을 연결 또는 분리하기 위한 제2 클러치 기구를 추가로 포함하되, 제2 클러치 기구는 엔진과 주행 부재 사이의 구동을 연결 또는 분리하기 위한 제2 클러치와, 핸들에 피봇 가능하게 부착되는 제2 클러치 레버와, 제2 클러치로부터 연장되어 그 말단부에서 제2 클러치 레버에 연결되는 제2 클러치 와이어와, 제2 클러치 레버에 마련되고 제1 개방 위치로부터 제2 개방 위치로 트로틀을 이동시킴으로서 제2 클러치를 연결 상태에 배치시키도록 결합 부재에 대해 제1 가동 부재와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한 제2 가동 부재를 포함한다.
제2 클러치 레버에는 결합 부재와의 결합을 위해 제2 가동 부재가 마련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트로틀을 이동시키기 위해 두 클러치 레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제1 클러치 레버 및 제2 클러치 레버를 포함하는 이런 배열 구조는 다양한 유형의 작업 기계에 적용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보행형 작업 기계는 제1 클러치 레버에 마련되고 제1 가동 부재와 조인트식으로 작동함으로써 제1 클러치를 연결 상태에 배치하도록 제1 가동 부재와 결합 가능한 선택 기구를 추가로 포함한다.
작업 기계는 제1 클러치가 선택 기구와 함께 작동될 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선택 기구가 작동되지 않는 상태에서 제2 클러치가 작동될 때, 작업 기계는 작업을 수행하지 않으면서 주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따르는 보행형 작업 기계는 작업 기계의 엔진 및 작업 부재 사이의 구동을 연결 또는 분리하기 위한 제1 클러치 기구와, 작업 기계의 엔진 및 주행 부재 사이에서 구동을 연결 또는 분리하기 위한 제2 클러치 기구와, 엔진 및 작업 부재 사이의 구동 연결 또는 엔진 및 주행 부재 사이의 구동 연결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 기구와, 공전 엔진 속도가 생성되는 제1 개방 위치로부터 작업 기계 가동 엔진 속도가 생성되는 제2 개방 위치로 엔진용 트로틀을 이동시키기 위해 제1 클러치 기구 및 제2 클러치 기구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여 작동 가능한 트로틀 조절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보행형 작업 기계의 일 예인 자동 추진형 잔디깍기 기계(10)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1,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잔디깍기 기계(10)는 엔진(13)(동력원)에 의해 생성된 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형 절단기 블레이드(작업 부재)(14)가 풀을 절단하고 이렇게 절단된 풀은 이송류에 의해 절단기 하우징(절단기 데크)(12)으로부터 풀 수집 상자(24) 내로 송풍되도록 구성된다. 후륜(주행 부재)(17, 17)은 엔진(13)으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인용 부호 11, 16, 18, 19, 21, 23, 27, 28, 29 및 31은 각각 기계 본체, 전 륜, 핸들 스테이, 핸들, 시프트 레버, 그래스 커버, 헤드 커버, 리코일 스타터 노브, 리코일 스타터 로프 및 시동 스위치를 나타낸다.
제1 클러치 레버(25)는 절단기 블레이드(14)가 회전되거나 절단기 블레이드(14)의 회전이 중단될 때 작동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클러치 레버(25)는 절단기 블레이드(14)의 회전을 중단시키기 위해 절단기 블레이드(14)에 제동을 걸도록 구성된 "BBC"로 약칭되는 블레이드 브레이크 클러치(34)(이하, 제1 클러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제1 클러치 레버(25)는 그 상단부에 선택 노브(26)가 위치된다. 엔진(13)은 기계 본체(11) 상에 마련된다. 제2 클러치 레버(22)는 엔진(13)의 동력이 후륜(17, 17)으로 전달되거나 후륜(17, 17)으로 전달되는 엔진(13)의 동력이 차단될 때 작동된다.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잔디깍기 기계(10)는 트로틀(33)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 기구(41)와, 엔진(13) 및 절단기 블레이드(14) 사이의 구동을 연결 또는 분리하기 위한 제1 클러치(34)를 포함하는 제1 클러치 기구(42)와, 엔진(13) 및 후륜(17, 17) 사이의 구동을 연결 또는 분리하기 위한 제2 클러치(36)를 포함하는 제2 클러치 기구(43)를 포함한다. 조절 기구(41), 제1 클러치 기구(42) 및 제2 클러치 기구(43)는 기계 본체(11)로부터 후방 연장되는 핸들(19)에 마련된다. 조절 기구(41), 제1 클러치 기구(42) 및 제2 클러치 기구(43)는 상호 관련되어 공동으로 잔디깍기 기계(10)의 제어 장치(40)를 구성한다.
제1 클러치(34)가 분리 상태로부터 결합 상태가 되게 하기 위해, (1) 선택 노브(26)를 누르는 단계 및 (2) 선택 노브(26)를 누른 상태에서 클러치 레버(25)를 핸들(19)쪽으로 회전시키는 두 단계가 수행된다.
잔디깍기 기계(10)가 잔디깍기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제1 클러치 기구(42)의 제1 클러치(34)가 결합되어 트로틀(33)을 제1 개방 위치로부터 제2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조절 기구(41)를 구동한다. 잔디깍기 기계(10)가 주행하기 위해, 제2 클러치 기구(43)의 제2 클러치(36)가 결합되어 트로틀(33)을 제1 개방 위치로부터 제2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조절 기구(41)를 구동한다. 잔디깍기 기계(10)가 잔디깍기 작업을 수행하면서 주행하기 위해, 제1 클러치 기구(42)의 제1 클러치(36)가 결합되어 트로틀(33)을 제1 개방 위치로부터 제2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조절 기구(41)를 구동시키며, 그 후 제2 클러치 기구(43)의 제2 클러치(36)가 결합되다.
이하, 트로틀(33)의 제1 개방 위치 및 제2 개방 위치를 각각 정의하기로 한다.
트로틀(33)이 제1 개방 위치에 있는 경우, 이는 트로틀(33)이 잔디깍기 기계(10)가 주행하지도 않고 잔디깍기 작업도 하지 않도록 잔디깍기 기계(10)를 휴지시키기 위한 엔진(13)의 공전 속도를 제공하는 개도를 가짐을 의미한다[즉, 후륜(17, 17)이 구동되지 않고 절단기 블레이드(14)도 회전하지 않는다]. 트로틀(33)이 제2 개방 위치에 있는 경우, 이는 트로틀(33)이 잔디깍기 기계(10)가 주행 작업 및 잔디깍기 작업 모두를 수행하거나 잔디깍기 기계(10)가 주행 작업 및 잔디깍기 작업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도록 잔디깍기 기계(10)를 가동시키는데 필요한 엔진(13)의 속도를 제공하는 개도를 가짐을 의미한다.
잔디깍기 기계(10)가 주행하면서 잔디깍기 작업을 수행하도록 만들기 작업 순서는 다음과 같다.
우선, 엔진(13)이 시동된다. 그 후, 풀을 절단하도록 절단기 블레이드(14)를 회전시키기 위해 상술한 두 단계 (1) 및 (2)가 수행되어 제1 클러치(34)를 분리 상태로부터 결합 상태로 가져간다. 최종적으로, 잔디깍기 기계(10)를 추진하도록 후륜(17, 17)을 구동시키기 위해 제2 클러치 레버(22)가 핸들(19)쪽으로 회전됨으로써 제2 클러치(36)를 분리 상태로부터 결합 상태로 가져간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기 블레이드(14)는 절단기 블레이드(14)의 회전 방향(A)으로 대면하는 블레이드부(38, 38)와, 회전 방향(A)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상향 만곡되어 연장되는 공기 상승부(39, 39)를 포함한다.
절단기 블레이드(14)가 회전하면, 공기 승강부(39)의 바닥면에는 부압이 형성된다. 부압의 작용 하에서, 풀은 직립하게 되어 회전하는 절단기 블레이드(14)에 의해 절단된다. 절단된 풀은 절단기 블레이드(14)의 회전에 의해 생성되는 나선형 공기 유동에 의해 공기 승강부(39, 39)의 상면으로 이동되고, 그 후 절단된 풀은 절단기 블레이드(14)의 회전에 의해 생성되는 이송류에 수반되어 화살표 B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경로(32)를 거쳐 풀 수집 상자(24)로 이동된다.
도4는 조절 기구(41)가 단면으로 도시된 제어 장치(40)를 도시한다. 조절 기구(41), 제1 클러치 기구(42) 및 제2 클러치 기구(43) 외에도, 제어 장치(40)는 트랜스미션(35)을 제어하기 위한 시프트 레버(21)를 추가로 포함한다. 시프트 레버(21)는 제어 케이스(57)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시동 스위치(31)는 케이스(57)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 기구(41)는 핸들(19)에 마련되는 핸들 브라켓(53)에 지지핀(54)을 거쳐 피봇 가능하게 장착되는 피봇 부재(52)와, 트로틀(33)(도2)로부터 연장되어 그 말단부에서 피봇 부재(52)에 연결되는 트로틀 와이어(51)를 포함한다. 피봇 부재(52)는 피봇핀(54) 상에서 피봇 가능하다. 피봇 부재(52)는 트로틀 와이어(51)의 말단부가 부착되는 부착부(55)를 갖는다. 조절 기구(4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클러치 기구(42) 또는 제2 클러치 기구(43)와 결합하기 위한 피봇 부재(52)에 마련되는 결합핀(56)(결합 부재)을 추가로 포함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클러치 기구(42)는 엔진(16) 및 절단기 블레이드(14) 사이의 구동을 연결 또는 분리하기 위한 제1 클러치(34)와, 제1 클러치(34)로부터 연장되는 제1 클러치 와이어(61)와, 지지핀(67)을 거쳐 핸들 브라켓(53)에 피봇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클러치 레버(25)와, 제1 클러치 레버(25)의 하부에 마련되어 지지핀(67) 상에서 제1 클러치 레버(25)와 함께 피봇 가능한 제1 가동 부재(62)를 포함한다.
제1 가동 부재(62)는 결합핀(56)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68)와, 제1 클러치 와이어(61)의 말단부가 부착되는 부착부(69a)를 포함한다. 제1 가동 부재(62)는 결합핀(69)을 구비한다. 제1 가동 부재(62)는, 제1 클러치(34)(도2)가 결합 상태로 될 때 제1 가동 부재(62)의 결합부(68)가 조절 기구(41)의 결합핀(56)과 결합하게 되어 조절 기구(41)의 피봇 부재(52)가 트로틀(33)(도2)을 제1 개방 위치로부터 제2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지지핀(54) 상에서 피봇되도록 구성된다.
잔디깍기 기계(10)는 제1 클러치 레버(25)의 상단부에 위치된 선택 노브(26)를 포함하는 선택 기구(63)와, 제1 가동 부재(62)에 마련되는 결합핀(69)과 결합 가능한 결합 부재(66)와, 그 근접 단부에서 선택 노브(26)에 연결되고 그 말단부에서 결합 부재(66)에 연결되는 로드(65)를 추가로 포함한다.
결합 부재(66)는 지지핀(81)을 거쳐 제1 클러치 레버(25)에 부착되고 제1 클러치 레버(25)와 함께 피봇 가능하다. 결합 부재(66)는 제1 가동 부재(62)에 마련되는 결합핀(69)과 후크 결합하도록 구성된 후크 형상부(82)를 갖는다. 결합 부재(66)는 또한 로드(65)의 말단부가 부착되는 부착부(83)를 갖는다.
도7을 참조하면, 제2 클러치 기구(43)는 엔진(13)으로부터 후륜(17, 17)으로의 동력 전달을 허용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제2 클러치(36)(도2)와, 지지핀(77)을 거쳐 핸들 브라켓(53)에 피봇 가능하게 부착되는 제2 클러치 레버(22)와, 제2 클러치 레버(22)의 하부에 마련되어 지지핀(77) 상에서 제2 클러치 레버(22)와 함께 피봇 가능한 제2 가동 부재(72)와, 제2 클러치(22)로부터 연장되어 말단부에서 제2 가동 부재(72)의 말단부에 연결되는 제2 클러치 와이어(71)를 포함한다.
제2 가동 부재(72)는 조절 기구(41)의 결합핀(56)과 결합 가능한 결합부(78)와, 제2 클러치 와이어(71)의 말단부가 부착되는 부착부(79a)를 포함한다. 제2 가동 부재(72)는, 제2 클러치(36)가 결합 상태로 될 때 제2 가동 부재(72)의 결합부(78)가 조절 기구(41)의 결합핀(56)과 결합되어 조절 기구(41)의 피봇 부재(52)가 트로틀(33)을 제1 개방 위치로부터 제2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지지핀(54) 상에서 피봇되도록 구성된다.
도6 또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 기구(41)의 피봇 부재(52)는 탄성 스프링(58)(연장 스프링)을 구비한다. 탄성 스프링(58)은 트로틀(33)(도2)이 제1 개방 위치에서 유지되는 정상 위치로 피봇 부재(52)를 압박한다.
제1 가동 부재(62)의 결합부(68)가 조절 기구(41)의 결합핀(56)과 결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 클러치 레버(25)와 핸들(19)을 함께 파지한 경우, 사용자가 제1 클러치 레버(25)와 핸들(19)을 놓으면 스프링(58)의 힘으로 인해 피봇 부재(52)는 정상 위치로 후방 피봇되어 핸들(19)로부터 멀어지게 제1 가동 부재(62)와 제1 클러치 레버(25)를 회전시킨다. 즉, 제1 클러치 레버(25)는 결합부(68)가 결합핀(56)과 결합한 상태에서 제1 클러치 레버(25)와 핸들(19)이 파지될 때 핸들(19)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스프링(58)에 의해 압박된다.
마찬가지로, 제2 가동 부재(72)의 결합부(78)가 결합핀(56)과 결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 클러치 레버(22)와 핸들(19)를 함께 파지한 경우, 사용자가 제2 클러치 레버(22)와 핸들(19)을 놓으면 탄성 스프링(58)의 힘으로 인해 피봇 부재(52)는 정상 위치로 후방 피봇되어 핸들(19)로부터 멀어지게 제2 가동 부재(72)와 제2 클러치 레버(22)를 회전시킨다. 즉, 제2 클러치 레버(22)는 결합부(78)가 결합핀(56)과 결합한 상태에서 제2 클러치 레버(22)와 핸들(19)이 함께 유지될 때 핸들(19)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스프링(58)에 의해 압박된다.
도8a는 비교예로서 보행형 작업 기계의 제어 장치(140)를 도시한다. 도8b는 잔디깍기 기계(10)의 제어 장치(140)를 도시한다.
도8a에서, 제어 장치(140)는 트로틀을 조절하기 위해 트로틀 와이어(144)를 거쳐 트로틀에 연결되는 트로틀 레버(141)와, 엔진으로부터 절단기 블레이드와 같은 작업 부재로의 동력 전달을 허용 또는 차단하기 위해 와이어(145)를 거쳐 클러치에 연결되는 클러치 레버(142)와, 엔진과 차륜과 같은 주행 부재 사이의 구동을 연결 또는 분리하기 위해 와이어(146)를 거쳐 클러치에 연결되는 클러치 레버(143)를 포함한다. 트로틀 레버(141)와, 클러치 레버(142)와, 클러치 레버(143)는 독립적으로 작동된다.
도8a에 도시된 제어 장치(140)의 경우, 작업 기계가 주행을 하거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 트로틀 레버(141)는 엔진의 공전 속도를 제공하는 제1 개방 위치로부터 작업 기계가 작업을 수행하거나 주행하는 데 필요한 엔진의 속도를 제공하는 제2 개방 위치로 트로틀을 이동시키기 위해 클러치 레버(142 또는 143)와 별도로 작동되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사용자가 트로틀 레버와 클러치 레버를 개별적으로 조작하는 것은 어렵거나 귀찮은 작업이다.
도8b에 도시된 제어 장치(40)의 경우, 제1 클러치 레버(25)는 조절 기구(41)의 피봇 부재(52)에 마련되는 결합핀(56)과 결합함으로써 트로틀(33)(도2)을 제1 개방 위치에서 제2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트로틀 와이어(51)를 당기는 방향으로 피봇 부재(52)를 피봇시키도록 구성된 제1 가동 부재(62)를 구비한다. 즉, 제1 클러치 레버(25)는 트로틀 와이어(51)에 연결되는 피봇 부재(52)에 마련되는 결합핀(56)과 결합 가능한 제1 가동 부재(62)를 구비하기 때문에, 트로틀(33)(도2)은 제1 클러치 레버(25)의 작업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장치(40)는 제어 장치(140)에서 발견되는 바와 같이 다른 클러치 레버와 별개인 트로틀 레버를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될 수 있다. 이런 구조의 제어 장치(40)를 포함하는 잔디깍기 기계(10)는 조작이 보다 용이하다.
마찬가지로, 제2 클러치 레버(22)는 결합핀(56)과 결합함으로써 트로틀(33)을 제1 개방 위치에서 제2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트로틀 와이어(51)를 당기는 방향으로 피봇 부재(52)를 피봇시키도록 설계된 제2 가동 부재(72)를 구비한다.
제1 가동 부재(62)와 결합핀(56)의 결합 및 제2 가동 부재(72)와 결합핀(56)의 결합은 선택적으로 이루어진다. 제1 가동 부재(62)와 제2 가동 부재(72) 중 어느 것이 피봇 부재(52)에 마련되는 결합핀(56)과 결합할 것인지는 도9a 내지 도10b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선택 기구(63)(도6)의 선택 노브(26)가 눌려졌는지 여부에 의해 결정된다.
도9a 내지 도9c는 잔디깍기 기계(10)가 주행 동안 잔디깍기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 순서를 도시한다.
도9a를 참조하면, 선택 기구(63)의 선택 노브(26)는 눌려지지 않았다. 제1 클러치 레버(25)는 작동되지 않는다. 제2 클러치 레버(22)는 작동되지 않는다. 조절 기구(41)도 작동되지 않는다. 트로틀(33)은 엔진(13)의 공전 속도를 제공하는 제1 개방 위치에 있다.
우선, 선택 노브(26)가 화살표 a1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눌려진다. 선택 노브(26)가 눌려진 상태에서, 제1 클러치 레버(25)는 작동되거나 핸들(19)쪽으로 피봇하기 시작하며, 이 때 선택 기구(63)의 결합 부재(66)가 화살표 a2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회전되어, 제1 클러치 레버(25)가 제1 클러치 와이어(61)에 작동식 으로 연결되도록 결합 부재(66)의 후크 형상부(82)를 제1 가동 부재(62)에 마련되는 결합핀(69)과 후크 결합시킨다.
도9b를 참조하면, 후크 형상부(82)가 결합핀(69)과 결합한 상태에서 제1 클러치 레버(25)가 화살표 a3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핸들(19)쪽으로 피봇함에 따라, 제1 가동 부재(62)는 화살표 a4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제1 클러치 와이어(61)를 제1 클러치(34)(도2)와 결합하도록 당기기 위해 지지핀(67) 상에서 피봇하게 된다. 제1 가동 부재(62)의 피봇 동작 동안, 제1 가동 부재(62)의 결합부(68)는 조절 기구(41)의 피봇 부재(52)에 마련되는 결합핀(56)과 결합하게 되고 이로써 피봇 부재(52)는 트로틀(33)(도2)을 제1 개방 위치로부터 제2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화살표 a5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트로틀 와이어(51)를 당기는 방향으로 피봇된다.
즉, 선택 노브(26)가 눌린 상태에서 제1 클러치 레버(25)를 핸들(19)쪽으로 피봇 이동시키면 제1 클러치(34)(도2)와 결합하도록 제1 클러치 와이어(61)를 당길 뿐만 아니라 제1 개방 위치에서 제2 개방 위치로 트로틀(33)을 이동하도록 트로틀 와이어(51)를 당긴다.
도9c를 참조하면, 제2 클러치 레버(22)가 화살표 a6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19)쪽으로 회전되면, 제2 가동 부재(72)는 피봇됨으로써 제2 클러치 와이어(71)(도7)를 당긴다. 제2 가동 부재(72)의 피봇 동작 동안, 제2 가동 부재(72)의 결합부(78)는 도9b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이미 피봇된 피봇 부재(52)에 마련된 결합핀(56)쪽으로 각방향 이동한다.
제1 클러치 레버(25)와 제2 클러치 레버(22)가 핸들(19)에 보유되고 선택 노브(26)가 눌려지고 트로틀(33)이 제2 개방 위치에 보유됨으로써 잔디깍기 기계(10)는 주행을 함과 동시에 잔디깍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10a 및 도10b는 잔디깍기 기계(10)가 잔디깍기 작업을 수행하지 않으면서 주행을 하기 위한 작업 순서를 도시한다.
도10a를 참조하면, 제1 클러치 레버(25)는 선택 노브(26)가 눌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화살표 b1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핸들쪽으로 회전된다. 선택 노브(26)가 눌려지지 않았기 때문에, 결합 부재(66)의 후크 형상부(82)는 제1 가동 부재(62)에 마련된 결합핀(69)과 결합하지 않는다. 따라서, 비록 제1 클러치 레버(25)는 화살표 b1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19)쪽으로 회전되지 않았지만 제1 클러치 와이어(61)는 당겨지지 않는다. 이때, 제1 클러치(34)(도2)는 결합되지 않고 트로틀(33)은 엔진의 공전 속도를 제공하는 제1 개방 위치에 유지된다.
후크 형상부(82)가 결합핀(69)과 결합하지 않기 때문에, 제1 가동 부재(62)는 피봇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가동 부재(62)의 결합부(68)도 피봇 부재(52)에 마련되는 결합핀(56)과 결합하지 않는다. 즉, 선택 노브(26)가 눌려지지 않은 경우, 제1 가동 부재(62)의 결합부(66)는 결합핀(56)과 결합하지 않는다.
도10b를 참조하면, 제2 클러치 레버(22)가 화살표 b2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클러치(36)(도2)와 결합하도록 핸들(19)쪽으로 회전되면, 제2 가동 부재(72)는 제2 가동 부재(72)의 결합부(78)(도10b에 도시되지 않고 도7에 도시됨)를 피봇 부재(52)에 마련된 결합핀(56)과 결합시키는 방향으로 피봇함으로써, 피봇 부 재(52)를 화살표 b3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핀(54) 상에서 피봇시키게 된다. 피봇 부재(52)의 피봇 동작은 화살표 b4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트로틀 와이어(51)를 당김으로써 트로틀(33)(도2)을 제1 개방 위치로부터 제2 개방 위치로 이동시킨다.
제1 클러치 레버(25)와 제2 클러치 레버(22)가 핸들(19)에 보유되고 선택 노브(26)가 눌려지지지 않고 트로틀(33)이 제2 개방 위치에 보유됨으로써 잔디깍기 기계(10)는 잔디깍기 작업을 수행하지 않으면서 주행할 수 있다.
비록 상술한 실시예에서 피봇 부재(52)는 제1 가동 부재(62)의 결합부(68) 및 제2 가동 부재(72)의 결합부(78)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결합핀(56)을 구비하지만, 제1 및 제2 가동 부재(62, 72)가 각각 제1 및 제2 결합핀을 구비할 수 있도록 변경될 수 있다.
상술한 바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작업 기계에는 클러치 레버와 별개인 트로틀 레버가 설치될 필요가 없으며, 이로써 사용자가 클러치 레버만을 조작함으로써 트로틀과 제1 클러치 모두를 제어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기계 본체(11)와,
    기계 본체 상에 마련되는 엔진(13)과,
    엔진용 트로틀(33)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 기구(41)와,
    작업 부재(14)와,
    엔진과 작업 부재 사이의 구동을 연결 또는 분리하기 위한 제1 클러치 기구(42)와,
    기계 본체의 후방부로부터 후방 연장되는 핸들(19)과,
    주행 부재(17, 17)와,
    엔진과 주행 부재 사이의 구동을 연결 또는 분리하기 위한 제2 클러치 기구(43)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 기구는, 핸들에 피봇 가능하게 부착되는 피봇 부재(52)와, 트로틀로부터 연장되어 그 말단부에서 피봇 부재에 연결되는 트로틀 와이어(51)와, 제1 클러치 기구와의 결합을 위해 피봇 부재에 마련되는 결합 부재(56)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클러치 기구는, 엔진과 작업 부재 사이의 구동을 연결 또는 분리하기 위한 제1 클러치(34)와, 핸들에 피봇 가능하게 부착되는 제1 클러치 레버(25)와, 제1 클러치로부터 연장되어 그 말단부에서 제1 클러치 레버에 연결되는 제1 클러치 와이어(61)와, 제1 클러치 레버에 마련되고 공전 엔진 속도가 생성되는 제1 개방 위치로부터 작업 기계 가동 엔진 속도가 생성되는 제2 개방 위치로 트로틀을 이동시켜 제1 클러치가 연결 상태에 놓이도록 결합 부재와 결합 가능한 제1 가동 부재(62)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클러치 기구는, 엔진과 주행 부재 사이의 구동을 연결 또는 분리하기 위한 제2 클러치(36)와, 핸들에 피봇 가능하게 부착되는 제2 클러치 레버(22)와, 제2 클러치로부터 연장되어 그 말단부에서 제2 클러치 레버에 연결되는 제2 클러치 와이어(71)와, 제2 클러치 레버에 마련되고 제1 개방 위치로부터 제2 개방 위치로 트로틀을 이동시켜 제2 클러치가 연결 상태에 놓이도록 결합 부재에 대해 제1 가동 부재와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한 제2 가동 부재(72)를 포함하는, 보행형 작업 기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제1 클러치 레버에 마련되고 제1 가동 부재와 공동으로 작동함으로써 제1 클러치가 연결 상태에 놓이도록 제1 가동 부재와 결합 가능한 선택 기구(63)를 추가로 포함하는, 보행형 작업 기계.
  4. 제1항에 있어서, 엔진과 작업 부재 사이의 구동 연결 또는 엔진과 주행 부재 사이의 구동 연결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 기구(63)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트로틀 조절 기구(41)는 제1 개방 위치로부터 제2 개방 위치로 엔진용 트로틀(33)을 이동시키기 위해 제1 클러치 기구 및 제2 클러치 기구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여 작동 가능한, 보행형 작업 기계.
KR1020060024563A 2005-03-18 2006-03-17 보행형 작업 기계 KR1012434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80434 2005-03-18
JP2005080434A JP4528174B2 (ja) 2005-03-18 2005-03-18 歩行型作業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1325A KR20060101325A (ko) 2006-09-22
KR101243409B1 true KR101243409B1 (ko) 2013-03-13

Family

ID=36385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4563A KR101243409B1 (ko) 2005-03-18 2006-03-17 보행형 작업 기계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7644781B2 (ko)
EP (1) EP1702504B1 (ko)
JP (1) JP4528174B2 (ko)
KR (1) KR101243409B1 (ko)
CN (2) CN1833932B (ko)
AU (1) AU2006201007B2 (ko)
BR (1) BRPI0601022A8 (ko)
CA (1) CA2537705C (ko)
DE (1) DE602006001009T2 (ko)
ES (1) ES2306385T3 (ko)
TW (1) TWI40059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28174B2 (ja) * 2005-03-18 2010-08-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歩行型作業機
JP4925723B2 (ja) * 2006-05-24 2012-05-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芝刈機の駆動操作機構
JP4680873B2 (ja) * 2006-11-29 2011-05-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作業機の操作機構
US7543430B2 (en) * 2007-09-10 2009-06-09 Honda Motor Co., Ltd. Button type blade brake clutch control
JP4484917B2 (ja) * 2007-11-21 2010-06-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歩行型作業機のハンドル構造
IT1393165B1 (it) * 2009-01-26 2012-04-11 Rocchi Comando per frizione normalmente disinnestata su macchina semovente
US8312946B2 (en) * 2009-07-02 2012-11-20 Husqvarna Consumer Outdoor Products N.A., Inc. Trigger controller
US8695314B2 (en) * 2011-04-01 2014-04-15 Honda Motor Co., Ltd. Two-way action cable control assemblies, systems and methods
US9696749B2 (en) 2013-05-24 2017-07-04 Honda Motor Co., Ltd. Control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self-propelled machinery
CN103299777B (zh) * 2013-06-21 2015-11-25 苏州金威特工具有限公司 一种割草机油门控制机构
US9185843B2 (en) 2013-11-15 2015-11-17 Honda Motor Co., Ltd. Variable speed control systems and methods for walk behind working machine
JP6129086B2 (ja) * 2014-01-08 2017-05-17 株式会社クボタ 歩行型作業機
US9470305B2 (en) 2014-01-24 2016-10-18 Honda Motor Co., Ltd. Variable speed control systems and methods for walk-behind working machines
US9545054B2 (en) * 2014-10-22 2017-01-17 Honda Motor Co., Ltd. Mechanisms and related methods for drive by wire control systems in walk-behind working machines
WO2016105258A1 (en) 2014-12-23 2016-06-30 Husqvarna Ab Assembly and method for safe starting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05751891B (zh) * 2016-03-29 2018-03-09 宁波市德霖机械有限公司 一种割草机的无极调速控制机构
CN110636754B (zh) 2017-06-23 2023-11-24 创科(澳门离岸商业服务)有限公司 割草机
US11827294B2 (en) * 2019-06-07 2023-11-28 Briggs & Stratton, Llc Single handed walk behind mower control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95029U (ja) 1982-06-21 1983-12-24 川崎重工業株式会社 作業用エンジン等のコントロ−ル装置
JPH0325033A (ja) * 1989-06-23 1991-02-01 Yamaha Motor Co Ltd エンジン駆動の移動作業機
JPH05236818A (ja) * 1992-02-28 1993-09-17 Honda Motor Co Ltd 歩行型芝刈機の操作レバー装置
US5701967A (en) * 1996-01-25 1997-12-30 Wescon Products Company Cable control lever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9862A (en) * 1980-06-09 1982-01-12 Capro, Inc. Lawn mower and controls therefor
US4335566A (en) * 1981-01-12 1982-06-22 The Toro Company Control system for power equipment
JPS5995841U (ja) * 1982-12-17 1984-06-29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駆動モ−ア
US4476643A (en) * 1983-03-08 1984-10-16 Mtd Products Limited Hand control system for motorized implements
US4835949A (en) * 1983-05-02 1989-06-06 Outboard Marine Corporation Operator presence control for self-propelled implements
US4667459A (en) * 1985-03-14 1987-05-26 Roper Corporation Two action control for power mowers
US4856264A (en) * 1987-01-26 1989-08-15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Hydraulic transmission apparatus
US4930369A (en) * 1987-07-09 1990-06-05 Wescon Products Company Radial ground drive and blade clutch control for lawnmower
JP2550673B2 (ja) * 1988-07-29 1996-11-06 井関農機株式会社 歩行用草刈機の操作装置
JPH02216330A (ja) * 1989-02-15 1990-08-29 Yamaha Motor Co Ltd 移動作業機
CA2022176C (en) * 1989-07-28 1995-01-03 Sadanori Nishimura Hydraulic transmission for motor vehicle
US5251711A (en) * 1989-11-29 1993-10-12 The Scott Fetzer Company Lawn mower
US5375674A (en) * 1993-04-13 1994-12-27 Mtd Products Inc. Operator control for lawn and garden vehicles
US5542241A (en) * 1993-09-27 1996-08-06 Garden Way Incoporated Control for lawn mowers and the like and other wheeled walk behind powered apparatus
US5467583A (en) * 1994-04-22 1995-11-21 Wescon Products Company Dual actuator control assembly and method of dual action control assembly utilization
US5735064A (en) * 1996-05-21 1998-04-07 Holl; Trygve A. Operational control mechanism
FR2768295B1 (fr) * 1997-09-12 1999-11-12 Wolf Outils Dispositif de commande pour tondeuses a gazon
US6047614A (en) * 1998-10-12 2000-04-11 Wescon Products Company Dual action bail and lever lawn mower control assembly
JP4607382B2 (ja) * 2000-12-28 2011-01-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歩行型作業機
JP2002315416A (ja) * 2001-04-20 2002-10-29 Honda Motor Co Ltd 歩行型自走式作業機
US6644002B2 (en) * 2001-09-25 2003-11-11 Deere & Company Walk-behind self-propelled power equipment unit with speed control
GB2399268B (en) * 2003-03-11 2006-01-18 Paul David Coates Throttle
US7032333B2 (en) * 2003-06-18 2006-04-25 The Toro Company Snowthrower chute and deflector control
JP4528174B2 (ja) * 2005-03-18 2010-08-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歩行型作業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95029U (ja) 1982-06-21 1983-12-24 川崎重工業株式会社 作業用エンジン等のコントロ−ル装置
JPH0325033A (ja) * 1989-06-23 1991-02-01 Yamaha Motor Co Ltd エンジン駆動の移動作業機
JPH05236818A (ja) * 1992-02-28 1993-09-17 Honda Motor Co Ltd 歩行型芝刈機の操作レバー装置
US5701967A (en) * 1996-01-25 1997-12-30 Wescon Products Company Cable control lever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02504A1 (en) 2006-09-20
CN1833932A (zh) 2006-09-20
DE602006001009D1 (de) 2008-06-12
AU2006201007A1 (en) 2006-10-05
AU2006201007B2 (en) 2011-04-28
JP2006254873A (ja) 2006-09-28
CA2537705C (en) 2012-10-02
BRPI0601022A8 (pt) 2018-04-03
EP1702504B1 (en) 2008-04-30
CN2868792Y (zh) 2007-02-14
US7644781B2 (en) 2010-01-12
CN1833932B (zh) 2010-11-17
KR20060101325A (ko) 2006-09-22
CA2537705A1 (en) 2006-09-18
DE602006001009T2 (de) 2009-06-25
US20060211540A1 (en) 2006-09-21
BRPI0601022A (pt) 2007-07-17
TWI400595B (zh) 2013-07-01
ES2306385T3 (es) 2008-11-01
TW200707159A (en) 2007-02-16
JP4528174B2 (ja) 2010-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3409B1 (ko) 보행형 작업 기계
US8087481B2 (en) Dual lever steering controls with control stops
KR100431099B1 (ko) 보행형 자주식 작업기계
EP1864565B1 (en) Variable speed transmission twist control apparatuses and methods for self-propelled mowing machine
KR100687770B1 (ko) 워크-비하인드 타입 구동 장치의 속도 제어 시스템
US4573307A (en) Lawn mower dead man control
KR101122420B1 (ko) 예초기
US20080047246A1 (en) Variable speed transmission twist-grip throttle control apparatuses and methods for self-propelled mowing machine
US4493180A (en) Lawn mower dead man control
JP2004242666A (ja) 芝の手入れ装置用オペレータ存在型制御アセンブリ
JP2007198240A (ja) エンジン駆動式作業機
JP4918262B2 (ja) 芝刈機
EP1457103B1 (en) Throttle
EP3531818B1 (en) Riding lawn care vehicle with cutting deck height adjustment system
JP4945137B2 (ja) 歩行型作業機
JP4777782B2 (ja) 芝刈機
JP5852492B2 (ja) 操作機構および操作機構付き作業機
JP2002303229A (ja) 作業機の始動安全装置、それを備えた作業機及び作業機の始動時の安全を図る方法
CA1251047A (en) Lawn mower dead man control
JP3799631B2 (ja) 移動農機
JP2008104429A (ja) 自走式二面草刈機
JP2008113598A (ja) 自走式二面草刈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