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2420B1 - 예초기 - Google Patents

예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2420B1
KR101122420B1 KR1020050077664A KR20050077664A KR101122420B1 KR 101122420 B1 KR101122420 B1 KR 101122420B1 KR 1020050077664 A KR1020050077664 A KR 1020050077664A KR 20050077664 A KR20050077664 A KR 20050077664A KR 101122420 B1 KR101122420 B1 KR 101122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lever
lock
clutch mechanism
sl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7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0596A (ko
Inventor
플로라보우에 토미
보지에 도미니크
비주티 질라우메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0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0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2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2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69/08Clut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67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 A01D34/68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with motor driven cutters or wheels
    • A01D34/6806Driving mechanisms
    • A01D34/6812Braking or clutch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67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 A01D34/68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with motor driven cutters or wheels
    • A01D2034/6843Control levers on the handle of the mow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2101/00Lawn-mow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6/00Harvesters
    • Y10S56/06Clutches and gear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 Arrangement And Mounting Of Devices That Control Transmission Of Motive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러치기구의 접속을 록 하기 위한 록 기구를 가지는 예초기에 관한 발명이다. 클러치 레버 조작 후 록 기구의 록 레버(26)를 조작하는 2모션 제어조작으로 인해, 록 기구의 록 상태가 해제된다. 이 록 기구의 해제는 즉시 클러치기구를 접속상태로 만들고, 반 클러치 상태가 거의 없도록 한다.
클러치 레버를 핸들 쪽으로 이동시킬 때, 오랫동안 지속하는 반 클러치 상태를 제거할 수 있어, 클러치기구의 마모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클러치기구의 접속조절을 확실히 하는 것과, 클러치기구의 수명을 연장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예초기, 록 기구

Description

예초기{LAWN MOWER}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록 기구가 적용된 예초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예초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예초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화살표 4방향에서 본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예초기의 멀칭(mulching) 작업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클러치 기구 단면도이다.
도 7a와 도 7b는 도 6의 클러치기구 작용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1의 핸들이 취부된 본 발명에 관한 록 기구 측면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록 기구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록 기구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8의 록 기구 평면도이다.
도 12a와 도 12b는 클러치 절단상태에 있는 록 기구를 보이는 설명도이다.
도 13a와 도 13b는 클러치 레버가 작동 중인 록 기구를 보이는 설명도이다.
도 14a와 도 14b는 록 레버를 앞쪽으로 이동시킨 록 기구를 보이는 설명도이다.
도 15a와 도 15b는 록 레버를 복귀시키고, 록 레버로부터 손을 제거한 록 기구를 보이는 설명도이다.
도 16은 종래 예초기의 측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예초기에 적용되는 록 기구를 보이는 설명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예초기 14… 커터 블레이드
25… 클러치 레버 26… 록 레버
40… 클러치기구 47… 케이블
60… 록 기구 61, 62… 제1?제2 슬라이드 부재
64… 인장 스프링 65… 계지부재
97… 캠부
본 발명은 예초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터 블레이드에 동력을 조절하는 클러치기구가 접속 또는 절단되는 작동을 할 때, 록 기구의 작동이 향상된 예초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예초기는 동력원으로써 엔진을 탑재하고, 이 엔진의 회전을 후륜에 전달하는 주행식의 예초기에 채용하는데 바람직하다.
예초기로써, 동력을 전달하거나 절단하는 클러치 기구를 구비하고, 이 클러 치 기구를 작동시키는 조작 레버(클러치 레버)를 구비한 것이 실용적으로 제공되고 있다. 이런 종류의 예초기는 안전 록 기구가 제공되므로, 조작 레버를 의도적이지 않게 조작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런 예초기로써, 클러치 레버에 록 기구가 제공되고, 이 록 기구를 해제하지 않는다면 클러치 레버가 작동하지 않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 일본 실공소 60-33785호). 이러한 예초기를 도 16 및 도 17에 근거하여 기술하겠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초기(200)는 커터 하우징(201)에 엔진(202)을 취부한다. 이 엔진(202)에 클러치기구(203)를 통해서 예초(잔디를 깎음)를 하는 커터 블레이드(204)를 취부한다. 커터 하우징(201)에서 후방으로 핸들(205)이 연장된다. 이 핸들(205)에 지지 브래킷(208)을 통해서 클러치기구(203)를 접속하거나 절단하는 클러치 레버(206)를 취부하는 것이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206)는, 초기상태에서 움직임을 록(lock) 하는 록 기구(207)를 구비한 것이다. 록 기구(207)는, 지지 브래킷(208)에 중앙을 운전자재로 취부하는 것으로 조작 레버(206)를 일단에서 록 하는 록 편(209)과, 이 록 편(209)의 타단 및 지지 브래킷(208) 사이를 통과하는 인장 스프링(211)과, 록 편(209)에 감합(嵌合)시키는 것으로 지지 브래킷(208)에서 록 편(209)의 일단을 해제하는 해제 레버(212)로 구성된다. 록 기구(207)는 지지 브래킷(208)에 회전자재로 취부한 조작 레버(206)를 소정상태에서 록 하여 유지하도록 한 것이다.
즉, 도 16에 도시한 예초기(200)는, 조작 레버(주조작부, 206) 및 해제 레버 (부조작부, 212)를 구비한 것으로, 2모션(two motions)으로의 클러치기구(203)를 조작하는 방식이고, 조작 레버(206)의 연속한 1동작에서는 클러치기구(203)의 접속과 커터 블레이드(204)의 회전이 불가능하도록 제작된 것이다.
그러나 관련된 기술의 예초기(200)에서는, 해제 레버(212)에서 조작 레버(206)를 조작가능한 상태로 하고, 조작 레버(206)에서 클러치기구(203)를 접속하고, 이 클러치기구(203)의 접속조작을 작업자의 감각에 의존한다. 따라서, 조작 레버(206)를 이동시킬 때, 종종 반 클러치상태가 오랫동안 지속된다. 그 결과, 클러치기구(203)가 마모되고, 클러치기구(203)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예초기(200)에서는, 해제 레버(212)를 눌러서 록 편(209)을 해제하는 것이다. 클러치기구(203)를 접속할 때, 해제 레버(212)를 눌러서 조작 레버(206)를 핸들(205) 쪽으로 움직이는 조작이 필요하다. 따라서, 종종 해제 레버(212)를 불확실하게 눌러주면서 조작 레버(206)를 움직이는 경우가 생기고, 클러치기구(203)의 접속조절의 제어가능성이 불확실해지고, 나빠지는 결점이 생긴다.
따라서, 클러치기구(203)를 2모션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클러치기구(203)의 접속조작을 작업자의 감각에 의존하는 것을 피하고, 또한, 클러치 접속조절을 확실히 할 수 있는 예초기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클러치기구의 접속조작을 작업자의 감각에 의존시키는 점을 해결하고, 클러치기구의 접속조작을 일정의 타이밍에 유지하고, 2모션 제어조작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예초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예초를 하는 커터 블레이드와, 엔진으로부터 이 커터 블레이드에 동력을 전달 혹은 절단하는 클러치기구와, 이 클러치기구를 케이블을 통해서 원격제어하는 클러치 레버와, 이 클러치 레버의 클러치 접속기능을 막는 록 기구를 구비한 예초기에 있어서, 록 기구는 케이블과 클러치 레버와의 사이에 개재시키는 기구이고, 케이블 측에 접속하는 제1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클러치 레버 측에 접속하는 제2 슬라이드 부재와, 이들 제1?제2 슬라이드 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인장 스프링과, 제1 슬라이드 부재를 소정위치에 유지하거나 소정위치에서 해제하는 계지부재와, 이 계지부재를 이동시키는 캠부재와, 이 캠부재를 구동하기 위한 록 레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클러치기구의 접속조작을 작업자의 감각에 의존시키는 점을 해결하고, 클러치기구의 접속동작을 일정의 타이밍에 유지하고, 2모션의 제어조작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클러치 레버 조작과 그 후 록 레버의 조작하는 2모션 제어조작으로 클러치기구를 접속상태로 한다.
예컨대, 클러치기구의 접속을 일정의 접속타이밍으로 유지하여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클러치기구의 접속조작을 작업자의 감각에 의존하지 않고 행하는 것이 가능하여 바람직하다.
여기서, 록 기구를 케이블과 클러치 레버와의 사이에 개재시켰다. 즉, 록 기구에, 케이블 측에 접속하는 제1 슬라이드 부재와, 클러치 레버 측에 접속하는 제2 슬라이드 부재와, 이들 제1?제2 슬라이드 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인장 스프링, 제1 슬라이드 부재를 소정위치에 유지하거나 소정위치에서 해제하는 계지부재와, 이 계지부재를 이동시키는 캠부재와, 이 캠부재를 구동하기 위한 록 레버를 구비한 것으로 클러치기구의 접속조작을 작업자의 감각에 의존시키던 것을 접속제어조작에서 제거하여, 클러치기구의 접속조작을 일정 타이밍으로 유지하고, 2모션 제어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캠부재는 록 레버에 형성된 캠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기술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예초기의 사시도이고,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만들어진 자주식(self-propelling type) 예초기이다. 예초를 하는 커터 블레이드(14)는 동력원인 엔진(13)에 의해 회전된다. 깎인 풀은 반송풍에 의해 커터 하우징(12)으로부터 잔디수집장치(grass bag, 24)로 반송됨으로써 수집된다. 후륜(17)은 엔진(13)에 의해 구동된다.
도면 중, 부호 11은 기체(機體), 16은 전륜, 18은 핸들 스테이, 19는 핸들, 21은 핸들(19)의 횡 방향으로 가로지른 핸들 커버, 22는 후륜(17)에 엔진(13)의 클러치제어 동력을 전달하는 주행용 클러치 레버, 23은 글라스 커버, 25는 커터 블레이드(14)에 클러치제어 회전력을 주기 위한 클러치 레버(제1 조작 레버 혹은 주조작부), 26은 록 레버(제2 조작 레버 혹은 부조작부), 27은 헤드 커버, 60은 록 기구를 가리킨다.
클러치 레버(25)는, 커터 블레이드(14)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동안 커터 블레 이드(14)에 브레이크를 거는 조작을 동시에 행하는 레버이고, 블레이드?브레이크?클러치(BBC)를 조절하기 때문에, BBC용 조작 레버라고 부르기도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예초기의 측면도이고, 예초기(10)의 엔진(13)은 커터 하우징(12)의 상부에 취부되어 있다. 이 엔진(13)의 출력축(구동축: 28)에 클러치기구(40)를 통해서 커터 블레이드(14)를 취부한다. 커터 하우징(12)의 전부 측면에 좌우 전륜(16)을 취부하고, 커터 하우징(12)의 후부 측면에 좌우 후륜(17)을 취부한다. 커터 하우징(12)의 후부 측면에 좌우 핸들 스테이(18)를 취부한다. 이 핸들 스테이(18, 18) 후부로부터 후방으로 핸들(19)을 연장시킨다. 이 핸들(19)에 클러치기구(40)를 조절하는 클러치 레버(25)를 취부한다. 클러치 레버(25)의 전방에 클러치 레버 접속기능을 막는 록 레버(26)를 취부한다. 커터 하우징(12)의 후부 벽면(31)에 잔디수집장치(24)를 착탈자재하게 취부한다. 커터 하우징(12)의 후부 벽면31) 상부에 글라스 가드(23)를 스윙자재하게 취부한다.
또, 잔디수집장치(24)는 자른 잔디는 통과시키지 않고, 반송풍만을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한 통기공(도시하지 않음)을 가지는 통기성 소재로 형성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예초기의 평면도이고, 엔진(13, 도 2 참조)을 시동시킨 상태에서, 클러치 레버(25)를 핸들(19) 측에 도달시키는 2단계 모션으로 클러치기구(40, 도 2 참조)를 절단상태에서 접속상태로 이행시키고, 록 레버(26)를 기체(11)의 전방에 도달시켜 커터 블레이드(14)를 회전시키고, 후륜(17, 17)을 회전시키기 위해 주행용 클러치 레버(22)를 핸들(19) 측으로 이행시킨다.
커터 블레이드(14)는 화살표 A, A에서 보이는 회전방향에 대해서 앞 측에 위 치하는 부위에 블레이드부(38, 38)를 구비하고, 이들 블레이드부(38, 38)에서 회전방향에 대해서 후측에 위치하는 위쪽으로 만곡시키기 위한 에어 리프트부(39, 39)를 형성한 것이다.
즉, 예초기(10)는, 커터 블레이드(14)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에어 리프트부(39, 39)의 하면에 생기는 부압(負壓)으로 지표의 잔디를 들어올려, 블레이드부(38, 38)로 잔디를 깎는다. 깎인 잔디는 에어 리프트부(39, 39)의 상면에서 히트(hit)하고, 커터 블레이드(14)의 회전으로 일어나는 선회류에 태우고, 이 선회류를 반송풍으로써 작용시키고, 이 반송풍과 함께 잔디를 흰색 화살표 B와 같이 잔디반송통로(32)에서 잔디수집장치(24)로 보내는 것이다.
도 4는 도 1의 화살표 4방향에서 본 도면이고, 예초기(10)의 하면을 보인다.
커터 하우징(12)은 커터 블레이드(14)를 보호한다. 예초를 잔디수집장치(24, 도 2 참조)로 보내기 위한 잔디반송통로(32)는 커터 하우징(12)에 형성된다. 잔디반송통로(32)는 잔디수집장치(24)에 연결된다.
부호 29는 동력전달부품(벨트), 33은 커터 블레이드(14)를 회전가능하게 수납하기 위해 커터 하우징(12)에 제공하는 스크롤부, 52는 구동 풀리, 34는 주행용 클러치, 35는 후륜용 차축을 가리킨다.
예초기(10)는, 출력축(28)의 구동 풀리(52)에서 동력전달부품(벨트; 29)을 통해서 종동 풀리(29a)에 엔진(13) 출력을 전달하고, 종동 풀리(29a)에서는 주행용 클러치(34)를 통해서 후륜용 차축(35)에 엔진(13)의 출력을 전달하고, 후륜(17, 17, 도 3 참조)을 구동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예초기의 멀칭 작업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멀칭 작업(mulching mode)은, 커터 하우징 내에 2장의 커터 블레이드를 구비하고, 이들 커터 블레이드로 잔디면을 깎고, 이 미세하게 깎은 잔디를 잔디표면(지표)에 흩뜨려서 눈에 띄지 않게 하는 작업상태를 말한다. 또, 멀칭 작업은, 후술하는 디스차지 작업의 일 형태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
또, 디스차지 작업(discharge mode)은, 1장의 커터 블레이드에서 잔디면을 깎고, 깎은 잔디를 잔디반송통로를 경유시켜서 글라스 커버를 통해 외부로 잔디를 방출하는 작업형태를 말한다.
게다가, 배깅 작업(bagging mode)은, 1장의 커터 블레이드에서 잔디면을 깎고, 깎은 잔디를 잔디반송통로를 경유시켜서 잔디수집장치에 수집하는 작업형태를 말한다.
즉, 예초기(10)는, 멀칭 작업, 디스차지 작업 및 배깅 작업(도 2 참조)에 대응한 예초기이다. 멀칭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엔진(13)의 출력축에 멀칭 작업용의 상부 커터 블레이드(15)를 취부함과 동시에, 디스차지 작업 및 배깅 작업용 커터 블레이드(14)를 취부하고, 잔디반송통로(32, 도 4 참조)에 클로징부(도시하지 않음)를 씌워서 작업을 한다.
도 6은 도 2의 클러치 기구 단면도이다.
클러치 기구(40, 클러치/브레이크 기구)는, 엔진(13)의 출력축(28)에 취부한 입력 허브(구동측 허브; 41)와, 이 입력 허브(41)에 이접(離接)시킴과 동시에 커터 블레이드(14)를 취부하는 출력 허브(수동측 허브; 42)와, 이들 입력 허브(42) 및 출력 허브(41) 사이에 개재시킴과 함께 출력축(28)의 축선을 따라 승강시키는 마찰판(43)과, 이 마찰판(43) 및 출력 허브(42) 사이에 개재시키는 것으로 마찰판(43)을 입력 허브(41) 측으로 밀어붙이는 판 스프링(44)과, 마찰판(43) 및 입력 허브(41) 사이를 이접(離接)시킴과 동시에 마찰판(43) 및 출력 허브(42)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브레이크판(45)과, 이 브레이크판(45)을 승강시키는 조작판(46)으로 구성된다.
즉, 클러치 기구(40)는, 커터 블레이드(14, 도 1 참조)에 엔진(13)의 회전을 접속하거나 절단하기 위한 클러치기구를 구비함과 함께, 커터 블레이드(14)의 회전을 허용하거나 정지하기 위한 브레이크기능을 구비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더욱이, 클러치 기구(40)는, 조작판(46)에 케이블(47)의 일단을 접속하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47)의 타단을 록 기구(60)를 통해서 클러치 레버(25)에 접속하고, 원격제어를 하는 것이다.
도 6에서, 부호 51은 조작판(46)에 부착된 코일 스프링, 52는 출력축(28)에 취부하는 것으로 동력전달부품(29, 도 4 참조)을 통해서 후륜(17, 17, 도 3 참조)에 엔진(13)의 회전을 전달하는 풀리, 53은 출력축(28)과 입력 허브(41)와의 사이에 개재시킨 베어링, 54는 출력 허브(42) 측과 조작판(46)/브레이크판(45)과의 사이에 개재시킨 베어링, 55는 커터 블레이드(14)를 출력 허브(42)에 고정하는 볼트, 56은 입력 허브(41) 및 베어링(53, 54)을 일괄하여 출력축(28)에 고정하는 볼트를 가리킨다.
도 7a 및 도 7b는 도 6의 클러치기구(40)의 작용 설명도이고, 도 7a는 클러 치 절단상태를 보이고, 도 7b는 클러치 접속상태를 보인다.
도 7a에서, 클러치기구(40)는, 케이블(47)을 화살표 a1과 같이 느슨하게 하는 것으로, 브레이크판(45)에서 마찰판(43)을 밀고, 이 마찰판(43), 판 스프링(44) 및 출력 허브(42)를 정지시키고, 커터 블레이드(14)에 브레이크를 걸고 동시에, 마찰판(43)과 입력 허브(41)와의 사이에 간격 S1을 만들고, 입력 허브(41)에서 출력 허브(42)를 절단하도록 한다.
도 7b에서, 클러치기구(40)는, 케이블(47)을 화살표 a2와 같이 끌어당기는 것으로, 마찰판(43)에서 브레이크판(45)을 해제시키고, 마찰판(43)과 브레이크판(45) 사이의 간격 S2를 만들고, 동시에, 입력 허브(41)에 마찰판(43)을 접속하고, 입력 허브(41)에서 마찰판(43), 판 스프링(44), 출력 허브(42) 및 커터 블레이드(14) 측에 출력축(28)의 회전을 전달한다.
도 8, 9, 10, 11은 클러치 레버(25)가 록 상태를 유지하는 록 기구(60)를 도시한다.
록 기구(6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러치기구(40)를 케이블(47)을 통해서 원격제어하는 클러치 레버(25)를 클러치 절단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록 기구(60)를 케이블(47)과 클러치 레버(25) 사이에 개재시키고, 핸들(19)의 우측에 개재시킨다.
클러치 레버(25)는 연결 스테이부(57)를 통해서 록 기구(60)의 구성부품에 연결된다. 커버부(58)는 핸들커버(21)에 형성되는 것으로 록 기구(60)를 커버한다. 록 레버 슬롯(59)은 커버부(58)에 형성된다.
클러치 레버(25)를 화살표 b1과 같이 핸들(19)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록 기구(60)의 인장 스프링(64)이 화살표 b2와 같이 연장되는 것으로, 클러치 레버(25)의 회전을 흡수한다. 따라서 케이블(47)은 끌어당겨 지지 않는다.
다음에, 록 레버(26)를 화살표 b3과 같이 앞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록을 해제하고, 케이블(47)을 화살표 b4와 같이 끌어당기고,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러치를 접속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록 기구(60)는 핸들(19, 도 8 참조)의 좌측에 취부하는 하우징(63)에 수납한다.
케이블(47)에 접속하는 제1 슬라이드 부재(61)는 이 하우징(63)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납한다. 클러치 레버 (25, 도 8 참조) 측에 접속하는 제2 슬라이드 부재 역시 하우징(63)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납한다. 이들 제1?제2 슬라이드 부재61, 62) 사이에 인장 스프링(64)이 걸린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지부재(65)는 제1 슬라이드 부재(61)를 소정위치에서 유지하거나 소정위치에서 해제한다. 이 계지부재(65)는 압축 스프링(66, 66)에 의해 상방으로 밀어 붙여진다.
록 레버(26)는 계지부재(65)를 압하(壓下)하는 것으로 제1 슬라이드 부재(61)를 해제한다. 이 록 레버(26)는 샤프트(지축, 68)에 의해 하우징(63)에 회전자재하게 지지된다. 이 샤프트(68)는 스냅 링(69, 69)에 의해 하우징(63)에 달리게 된다.
연결 와이어(71)의 일단은 제2 슬라이드 부재(62)에 취부한다. 연결 와이어 (71)의 타단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스테이부(57)에 의해 클러치 레버(25)에 취부한다.
록 레버(26)는 록 레버(26) 및 하우징(63) 사이에 걸어 넘긴 리턴 스프링(72)에 의해 초기상태로 복귀가능하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63)은, 핸들(19, 도 8 참조)에 취부하기 위한 고정용 스테이부(73, 73)와, 제1 슬라이드 부재(61)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제1 가이드부(74, 74)와, 제2 슬라이드 부재(62)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제2 가이드부(75)와, 록 레버(26)를 스윙자재하게 지지하기 위한 레버 지지부(76)와, 계지부재(65)를 승강가능하게 지지함과 함께 압축 스프링을 수납하는 수납부(77)와, 케이블(47)을 지지하는 케이블 지지부(78)를 구비한다.
제1 슬라이드 부재(61)는, 케이블(47)을 접속하는 케이블 접속부(81)와, 인장 스프링(64)의 일단을 거는 스프링 걸이부(82)와, 제2 슬라이드 부재(62)에 맞닿아 접하는 내당접부(83, 83)와, 계지부재(65)에 선택적으로 접하는 외당접부(84, 84)를 구비한다.
제2 슬라이드 부재(62)는, 연결 와이어(71)를 접속하는 와이어 접속부(86)와, 인장 스프링(64)의 타단을 거는 스프링 걸이부(87)와, 제1 슬라이드 부재(61)에 접하는 내당접부(88, 88)와, 계지부재(65)의 빈틈을 위한 외부 도피부(89, 89)를 구비한다.
계지부재(65)는, 대략 V자 형의 스토퍼이고, 제1 슬라이드 부재(61)의 외당접부(84, 84)를 수납하기 위한 당접부 접수면(91, 91)과, 압축 스프링(66, 66)을 수납하기 위한 스프링 수납면(93, 93)과, 록 레버(26)에 계합(係合)시키는 계합면(94, 94)을 구비한다.
하기에서 좀 더 상세히 기술하는 도 12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슬라이드 부재(61)는, 조립상태에서 외당접부(84, 84)와 계지부재(65)의 당접부 접수면(91, 91)과의 사이에 간격(S3)을 띄워 놓는다. 제2 슬라이드 부재(62)는, 외부 도피부(89, 89)와 계지부재(65)와의 사이의 간격(S4)을 띄워 놓는다.
록 레버(26)는, 포크형으로 형성된 레버 본체(95)와, 이 레버 본체(95)에 형성되고 샤프트(68)를 관통시키는 관통공(96, 96)과, 레버 본체(95)의 포크형 선단에 형성된 계지부재(65)의 계합면(94, 94)에 작동하기 위한 캠부(97, 97)와, 레버 본체(95)에 씌운 손잡이(98)로 구성된다.
샤프트(68)는, 스냅 링(69, 69)을 감합시키는 감합홈(68a, 68a)을 구비한다.
도 10에서, 부호 99, 99는 하우징(63)을 핸들(19)에 고정하는 고정 스크루, 99a는 고정 스크루(99)에 비틀어 넣는 너트이다.
도 11은 도 8의 록 기구 평면도이고, 예초기(10)는, 도 2에 보이듯이, 예초를 하는 커터 블레이드(14)와, 이 커터 블레이드(14)에 동력을 전달 혹은 절단하는 클러치기구(40)와, 이 클러치기구(40)를 케이블(47)을 통해서 원격제어하는 클러치 레버(25)와, 이 클러치 레버(25)의 클러치조작기능을 막는 록 기구(60)를 구비한 예초기에 있어서, 도 11에 보이는 록 기구(60)를, 케이블(47)과 클러치 레버(25) 사이에 개재시키고, 케이블(47) 측에 접속하는 제1 슬라이드 부재(61)와, 클러치 레버(25) 측에 접속하는 제2 슬라이드 부재(62)와, 이들 제1?제2 슬라이드 부재 (61, 62) 사이에 걸리는 인장 스프링(64)과, 제1 슬라이드 부재(61)를 소정위치에 유지하거나 소정위치에서 해제하는 계지부재(65, 도 10 참조)와, 이 계지부재(65)를 이동시키는 캠부(97, 도 10 참조)와, 이 캠부(97)를 구동하기 위한 록 레버(26)로 구성한 것이다.
예컨대, 클러치기구를 접속할 때에, 일정 접속타이밍으로 유지하여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클러치기구의 접속동작을 작업자의 감각에 의존하지 않고 할 수 있어서 바람직한 것이다.
그래서, 록 기구(60)를, 케이블(47)과 클러치 레버(25) 사이에 개재시켰다.
즉, 케이블(47)과 클러치 레버(25) 사이에 개재시키고, 케이블(47) 측에 접속하는 제1 슬라이드 부재(61)와, 클러치 레버(25) 측에 접속하는 제2 슬라이드 부재(62)와, 이들 제1?제2 슬라이드 부재(61, 62) 사이에 걸리는 인장 스프링(64)과, 제1 슬라이드 부재(61)를 소정위치에 유지하거나 소정위치에서 해제하는 계지부재(65)와, 이 계지부재(65)를 이동시키는 캠부(97)와, 이 캠부(97)를 구동하기 위한 록 레버(26)를 록 기구(60)에 구비한 것으로, 클러치기구(40, 도 6 참조)의 접속동작을 작업자의 감각에 의존시키던 것을 접속조작작업에서 제외하여, 클러치기구(40)의 접속동작을 일정 타이밍으로 유지할 수 있는 2모션 제어조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 2모션 제어조작(구조)은, 클러치 레버(제1 조작 레버 혹은 주조작부, 25) 및 록 레버(제2 조작 레버 혹은 부조작부, 26)의 2개의 조작 부재의 조합으로 클러치기구(40)의 접속 혹은 절단을 조작하도록 한 것을 말한다.
이 결과, 클러치 레버(25)를 핸들(19) 쪽으로 이동시킬 때, 오랫동안 지속하는 반 클러치상태를 제거할 수 있어, 클러치기구(40, 도 6 참조)의 마모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클러치기구(40)의 접속조절을 확실히 하는 것과, 클러치기구(40)의 수명을 연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은 도 12a에서 도 15b까지를 기초하여, 클러치가 접속되거나 절단될 때 록 기구(60)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a, 도 12b는 클러치가 절단(OFF)상태에 있을 때 록 기구(60)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 12a에서, 클러치 레버(25; 제1 조작 레버) 및 록 레버(26; 제2 조작 레버)는 같이 해제상태(초기상태)이다. 록 기구(60)의 계지부재(65)는 상방으로 솟아오른 위치에 있다. 엔진(13, 도 1 참조)은 작동상태에 있으나, 후륜(17, 17) 및 커터 블레이드(14, 도 3 참조)는 정지상태에 있다.
도 12b에서, 간격(S3)은 제1 슬라이드 부재(61)의 외당접부(84, 84)와 계지부재(65) 사이에 제공된다. 간격(S4)은 제2 슬라이드 부재(62)의 외부 도피부(89, 89)와 계지부재(65) 사이에 제공된다. 또, 제1 슬라이드 부재(61)의 내당접부(83, 83)와 제2 슬라이드 부재(62)의 내당접부(88, 88)와는 맞닿아 접한 상태에 있다.
도 13a와 도 13b는 작동하고 있는 클러치 레버(25)를 보인다.
도 1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러치 레버(25)를 화살표 c1처럼 핸들(19)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연결 와이어(71)를 화살표 c2와 같이 끌어당긴다. 이 상태에서는, 도 12와 같이, 엔진(13, 도 1 참조)은 작동상태에 있고, 후륜(17, 17) 및 커터 블레이드(14)는 정지상태에 있다.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슬라이드 부재(62)를 화살표 c3과 같이 이동시키고, 인장 스프링(64)을 신장시킨다. 이에 따라, 제1 슬라이드 부재(61)를 화살표 c4와 같이 여유 간격(S3)만큼 이동시킨다. 계지부재(65)의 당접부 접수면(91, 91, 도 10 참조)에 접한 제1 슬라이드 부재(61)의 외당접부(84, 84)와 제1 슬라이드 부재(61)를 정지시킨다. 제1 슬라이드 부재(61)를 여유 간격(S3)만큼 이동시키기 때문에, 클러치기구(40, 도 6 참조)는 접속상태에 있지 않다. 즉, 클러치기구(40)의 절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4a와 도 14b는 록 레버(26)를 앞쪽으로 이동시킨 것을 도시한다.
도 14a에서, 록 레버(26)를 화살표 c5처럼 앞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계지부재(65)를 화살표 c6와 같이 압하하여, 계지부재(65)에서 제1 슬라이드 부재(61)를 해제한다. 즉, 도 13a에서의 클러치 레버(25) 작동과 도 14a에서의 록 레버(26)의 작동인 2모션 제어조작에 의해, 클러치기구(40, 도 6 참조)를 절단 상태에서 접속상태로 이동시키고, 커터 블레이드(14, 도 2 참조)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2모션 제어조작은, 클러치 레버(25) 및 록 레버(26)의 2개의 조작 부재의 조합으로 클러치기구(40)의 접속 혹은 절단을 제어조작하도록 한 것이다.
도 14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록 레버(26)의 조작의 결과로서, 제1 슬라이드 부재(61)를 화살표 c7과 같이 인장 스프링(64)의 끌어당기는 힘으로 이동시킨다. 케이블(47)을 끌어당기고, 클러치기구(40, 도 7 참조)를 절단 상태에서 접속상 태로 동시에 이행시키는 것이다.
이 결과, 도 14a에 보이는 클러치 레버(25)를 핸들(19) 쪽으로 이동시킬 때, 오랫동안 지속하는 반 클러치상태를 제거할 수 있다. 그러므로 클러치기구(40)의 마모를 방지하고, 클러치기구(40)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 클러치기구(40)의 접속 시 소음발생을 억제하고, 클러치기구(40)의 열 발생을 방지하여 전달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인장 스프링(64)의 끌어당기는 힘으로, 클러치기구(40, 도 7 참조)를 순간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초 작업을 신속하게 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제1?제2 슬라이드 부재(61, 62)가 직선적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케이블(47)의 열화가 적다. 따라서, 록 기구(60)는 간단한 동작을 이용하는 내구성이 높은 기구라 말할 수 있게 된다.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에 관한 예초기 록 레버를 복귀시킨 상태를 보인 설명도이다.
도 1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록 레버(26)에서 사람의 손을 치우면, 록 레버26) 및 하우징(63)의 사이에 위치한 리턴 스프링(72, 도 10 참조)의 신축성 있는 동작하에서, 자동적으로 록 레버(26)를 화살표 c8과 같이 초기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주행용 클러치 레버(22, 도 2 참조)를 핸들(19) 측으로 넘기면, 후륜(17, 17)에 엔진(13)의 동력을 전달하고, 기체(11)가 앞으로 추진되면서 예초기(10)가 잔디작업을 개시한다.
도 15b에서, 계지부재(65)의 계합면(94, 94, 도 10 참조)을 제1 슬라이드 부재(61)의 하면에 접한 상태에 있기 때문에, 도 15a에 보이는 클러치 레버(25)에서 사람의 손을 치우면, 화살표 c9와 같이 케이블(47), 제1 슬라이드 부재(61), 인장 스프링(64), 제2 슬라이드 부재(62) 및 연결 와이어(71)를 초기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예초기는, 록 레버(26)에 캠부(97)를 일체적으로 형성하는 것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들었지만,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고, 록 레버와 캠부재를 별개의 개체로 하는 캠부라도 좋다.
본 발명에서는, 록 기구에, 케이블 측에 접속하는 제1 슬라이드 부재와, 클러치 레버 측에 접속하는 제2 슬라이드 부재와, 이들 제1?제2 슬라이드 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인장 스프링, 제1 슬라이드 부재를 소정위치에 유지하거나 소정위치에서 해제하는 계지부재와, 이 계지부재를 이동시키는 캠부재와, 이 캠부재를 구동하기 위한 록 레버를 구비하고, 록 기구를 케이블과 클러치 레버와의 사이에서 개재시킨 것으로, 클러치기구의 접속조작을 작업자의 감각에 의존시키는 것을 접속조작에서 제거하여, 클러치기구의 접속조작을 일정 타이밍에 유지하고, 2모션 제어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이 결과, 클러치 레버를 핸들 쪽으로 이동시킬 때, 오랫동안 지속하는 반 클러치상태를 제거할 수 있어, 클러치기구의 마모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클러치기구의 접속조절을 확실히 하는 것과, 클러치기구의 수명을 연장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예초를 하는 커터 블레이드(14)와, 엔진(13)으로부터 이 커터 블레이드(14)에 동력을 전달 혹은 절단하는 클러치기구(40)와, 케이블(47)을 통해서 예초기를 원격제어하는 클러치 레버(25)와, 이 클러치 레버의 클러치 접속기능을 막는 록 기구(60)를 구비한 예초기에 있어서,
    상기 록 기구는 상기 케이블과 상기 클러치 레버와의 사이에 개재시키는 기구이고, 상기 케이블 측에 접속하는 제1 슬라이드 부재(61)와, 상기 클러치 레버 측에 접속하는 제2 슬라이드 부재(62)와, 이들 제1?제2 슬라이드 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인장 스프링(64)과,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를 소정위치에 유지하거나 소정위치에서 해제하는 계지부재(65)와, 이 계지부재를 이동시키는 캠부재(97)와, 이 캠부재를 구동하기 위해 록 레버(26)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재는 록 레버와 일체로 형성된 캠부(9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
KR1020050077664A 2004-09-02 2005-08-24 예초기 KR1011224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55798 2004-09-02
JP2004255798A JP4202984B2 (ja) 2004-09-02 2004-09-02 芝刈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0596A KR20060050596A (ko) 2006-05-19
KR101122420B1 true KR101122420B1 (ko) 2012-03-09

Family

ID=35395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7664A KR101122420B1 (ko) 2004-09-02 2005-08-24 예초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337598B2 (ko)
EP (1) EP1632122B1 (ko)
JP (1) JP4202984B2 (ko)
KR (1) KR101122420B1 (ko)
CN (2) CN2850233Y (ko)
CA (1) CA2515969C (ko)
DE (1) DE602005001479T2 (ko)
ES (1) ES2288289T3 (ko)
TW (1) TWI33383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02984B2 (ja) * 2004-09-02 2008-12-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芝刈機
JP5116568B2 (ja) * 2008-06-05 2013-01-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の吸気装置
DE102010045333A1 (de) * 2010-09-14 2012-03-15 Andreas Stihl Ag & Co. Kg Handgeführtes Arbeitsgerät
CN102301861A (zh) * 2011-06-28 2012-01-04 浙江亚特电器有限公司 一种便携式割草机辅助机构
CA2962238C (en) * 2012-02-13 2017-12-05 Husqvarna Ab All wheel drive, walk behind mower
CN104115611B (zh) * 2013-04-26 2017-06-16 苏州科瓴精密机械科技有限公司 割草机器人
JP5995785B2 (ja) * 2013-05-31 2016-09-21 株式会社マキタ 刈払機
JP6165091B2 (ja) * 2014-03-27 2017-07-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芝刈機のブレード取付構造
CN104472116B (zh) * 2014-12-11 2018-01-05 隆鑫通用动力股份有限公司 稳定离合式操纵机构
US9677648B2 (en) 2015-01-14 2017-06-13 The Toro Company Walk-behind power equipment unit having all-wheel drive control system
CN105960950B (zh) * 2015-12-29 2019-06-18 常州格力博有限公司 一种割草机
JP6193421B2 (ja) * 2016-02-29 2017-09-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芝刈機
CN105751891B (zh) * 2016-03-29 2018-03-09 宁波市德霖机械有限公司 一种割草机的无极调速控制机构
CN207665494U (zh) 2016-12-23 2018-07-31 南京德朔实业有限公司 割草机
JP2018102235A (ja) * 2016-12-27 2018-07-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カッタブレード及び芝刈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7459A (en) 1985-03-14 1987-05-26 Roper Corporation Two action control for power mowers
JP2003274731A (ja) 2002-03-27 2003-09-30 Seirei Ind Co Ltd 歩行型作業機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7813A (en) * 1977-03-11 1983-01-11 Andreas Stihl Mechanism to control power chain saw clutch operation
JPS6033785Y2 (ja) 1980-01-21 1985-10-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動力芝刈機の操作レバ−装置
US4428180A (en) * 1980-06-09 1984-01-31 Capro, Inc. Lawn mower and controls therefor
US4327539A (en) * 1980-12-16 1982-05-04 The Toro Company Control system for power equipment
US4335566A (en) * 1981-01-12 1982-06-22 The Toro Company Control system for power equipment
US4580455A (en) * 1982-01-01 1986-04-08 Conchemco, Incorporated Locking mechanism for blade clutch control assembly
US4466232A (en) * 1983-01-21 1984-08-21 Conchemco, Incorporated Lawnmower control assembly
US4614130A (en) * 1984-12-11 1986-09-30 Outboard Marine Corporation Tensioning control for flexible cable
US4833935A (en) * 1987-06-11 1989-05-30 Capro, Inc. Lawn mower electric start control
US4930369A (en) * 1987-07-09 1990-06-05 Wescon Products Company Radial ground drive and blade clutch control for lawnmower
US4850182A (en) * 1987-07-09 1989-07-25 Wescon Products Company Radial ground drive and blade clutch control for lawnmower
JP2550673B2 (ja) * 1988-07-29 1996-11-06 井関農機株式会社 歩行用草刈機の操作装置
JPH08142702A (ja) * 1994-11-18 1996-06-04 Kubota Corp 歩行型移動農機
US5784868A (en) * 1996-06-13 1998-07-28 The Toro Company Control system for outdoor power equipment
FR2768295B1 (fr) * 1997-09-12 1999-11-12 Wolf Outils Dispositif de commande pour tondeuses a gazon
CN2475267Y (zh) * 2001-03-29 2002-02-06 李江 割草机
US6745878B1 (en) * 2003-01-22 2004-06-08 Deere & Company Transmission clutch interlock
JP4202984B2 (ja) * 2004-09-02 2008-12-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芝刈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7459A (en) 1985-03-14 1987-05-26 Roper Corporation Two action control for power mowers
JP2003274731A (ja) 2002-03-27 2003-09-30 Seirei Ind Co Ltd 歩行型作業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42535A (zh) 2006-03-08
US7337598B2 (en) 2008-03-04
CN2850233Y (zh) 2006-12-27
JP4202984B2 (ja) 2008-12-24
TWI333832B (en) 2010-12-01
CN100418397C (zh) 2008-09-17
EP1632122A1 (en) 2006-03-08
CA2515969A1 (en) 2006-03-02
KR20060050596A (ko) 2006-05-19
DE602005001479T2 (de) 2008-03-06
DE602005001479D1 (de) 2007-08-09
CA2515969C (en) 2012-05-29
US20060042213A1 (en) 2006-03-02
ES2288289T3 (es) 2008-01-01
JP2006067912A (ja) 2006-03-16
EP1632122B1 (en) 2007-06-27
TW200628064A (en) 2006-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2420B1 (ko) 예초기
US6082083A (en) Ground speed control system
US20060218887A1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self-propelled machines
AU2016204373A1 (en) Door lift and handle for walk behind mower
EP2227937B1 (en) Bail-free machine control devices and methods
US7975459B1 (en) String trimmer attachment for a riding lawn mower
US4493180A (en) Lawn mower dead man control
JP2004242666A (ja) 芝の手入れ装置用オペレータ存在型制御アセンブリ
US5542243A (en) Lawn tractor having a blower unit and a grass clippings transport duct
KR20060047867A (ko) 기체 후방 보행식 동력장치의 운전자 실재 제어 방법
US20070256401A1 (en) Drive operation device of walk-behind lawn mower
US6237311B1 (en) Reverse mowing prevention device
JPH03175907A (ja) ベルトブレーキ装置付縁草刈り機
JP4918262B2 (ja) 芝刈機
JP3494290B2 (ja) 自走型草刈機の刈刃駆動機構
EP1106046A1 (en) Ground speed control system for lawn mower
US2608102A (en) Transmission and clutch system
JP2002165509A (ja) 歩行型草刈機のハンドル長さ調節装置
JP3921026B2 (ja) 芝刈機の刈刃クラッチ機構
CA1251047A (en) Lawn mower dead man control
EP0321283A1 (en) Rotary mower
JPH0430451Y2 (ko)
JPH11137040A (ja) 剪枝装置
JP4545263B2 (ja) 自走式乗用型草刈機
JPH0297317A (ja) 歩行型草刈機の操作レバー位置保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