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2421B1 - 차량용 시트트랙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트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2421B1
KR101242421B1 KR1020120003640A KR20120003640A KR101242421B1 KR 101242421 B1 KR101242421 B1 KR 101242421B1 KR 1020120003640 A KR1020120003640 A KR 1020120003640A KR 20120003640 A KR20120003640 A KR 20120003640A KR 101242421 B1 KR101242421 B1 KR 101242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rail
rail
seat track
lower rail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3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팽현성
박건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스템
Priority to KR1020120003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2421B1/ko
Priority to PCT/KR2012/001190 priority patent/WO201302494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2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2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02Slide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 B60N2/0705Slide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omega-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22Constructive details
    • B60N2/073Reinforcement members preventing slide dis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단의 수평연장부(211)와 한 쌍의 수직부(212)와 가이드부(213)가 형성된 어퍼레일(210)과, 상기 수평연장부(211)와 대면되는 바닥부(221)와 내측에 상기 가이드부(213)를 수용하는 굴곡부(223)가 형성된 로어레일(220)을 갖는 차량용 시트트랙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로어레일(220)의 전,후방 단부의 각 바닥부(221) 상에는 상기 수평연장부(211)와 한 쌍의 수직부(212)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수용되도록 기립되는 이탈방지브래킷(240, 250)이 고정 설치되고, 각 이탈방지브래킷(240, 250)의 상단부에는 걸림단부(242, 252)가 양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어퍼레일(210)의 수직부(212)에는 상기 어퍼레일(210)이 상기 로어레일(220)의 전방과 후방으로 최대한 슬라이드된 위치에서 상기 이탈방지브래킷(240, 250)의 걸림단부(242, 252)에 대응하여 관통홀(212a, 212c)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212a, 212c)의 하단부에 연장하여 돌출 걸림부(212b, 212d)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어퍼레일(210)의 상승 시 전방 또는 후방의 돌출 걸림부(212b 또는 212d)가 상기 이탈방지브래킷(240 또는 250)의 걸림단부(242 또는 252)에 걸려 지지됨으로써 상기 어퍼레일(210)의 추가 상승을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어퍼레일이 로어레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확실한 구속력을 발휘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트랙{SEAT TRACK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내부에 구비되는 시트(seat)의 전후 슬라이드 조절을 위한 시트트랙(seat track)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시트트랙은 착석자의 편의를 위해 시트의 전후 슬라이드 조절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장치로서, 통상적으로 차체에 고정되는 로어레일(lower rail)과 이 로어레일에 전후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어퍼레일(upper rail)을 포함한다. 시트는 이 어퍼레일 상에 체결됨으로써 전후 슬라이드 조절이 가능해진다.
종래, 어퍼레일이 로어레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단면 형상들이 제안되어 왔다(도 1a 참조).
그러나, 이와 같은 레일의 단면 형상 설계만으로는 최근의 경량화 추세 등을 고려할 때 시트의 안전성에 취약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차량의 충돌과 같은 사고 발생 시, 어퍼레일이 로어레일의 구속을 이기고 상부로 이탈하게 되는 경우에는 인체에 치명적인 상해가 가해질 수 있어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2010. 4. 10.자 특허출원 제2010-0029678호 "차량용 시트트랙"을 통해 해결책을 제안한 바 있다.
즉,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어레일(120) 상에 이탈방지부재(140)를 설치하고 이에 대응하여 어퍼레일(110)의 좌우 수직벽(112)에는 관통홀(112a)을 형성함으로써,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레일(110)의 이탈 및 변형 시 이탈방지부재(140)의 좌우 걸림단부(142)가 관통홀(112a)에 걸리게 하여 어퍼레일(110)의 이탈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출원된 발명에 의할 경우, 걸림단부(142)와 관통홀(112a)의 결합을 위해서는 어퍼레일(110)에 과도한 변형이 발생하여야 한다는 제약으로 인해 필요한 순간에 제대로 기능하리라고 보장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어퍼레일이 로어레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확실한 구속력을 발휘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트랙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단의 수평연장부와 그 좌우 양단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부와 각 수직부의 하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가 형성된 어퍼레일과, 상기 수평연장부와 대면되게 연장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좌우 양단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다시 하방향으로 굴곡됨으로써 내측에 상기 가이드부를 수용하는 굴곡부가 형성되어 상기 어퍼레일과 길이방향으로 상대 슬라이드가 가능하도록 마련된 로어레일을 갖는 차량용 시트트랙에 있어서, 상기 로어레일의 전,후방 단부의 각 바닥부 상에는 상기 수평연장부와 한 쌍의 수직부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수용되도록 기립되는 이탈방지브래킷이 고정 설치되고, 각 이탈방지브래킷의 좌우 양측으로는 걸림단부가 돌출되어 그 외측의 수직부에 근접하며, 상기 어퍼레일의 수직부에는 상기 차량용 시트트랙의 사용조건 하에서 상기 어퍼레일이 상기 로어레일의 전방과 후방으로 최대한 슬라이드된 상대 위치에서 상기 이탈방지브래킷의 걸림단부에 대응하여 관통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하단부에 연장하여 상기 수직부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 걸림부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어퍼레일의 상승 시 전방 또는 후방의 돌출 걸림부가 상기 전방 또는 후방 단부의 이탈방지브래킷의 걸림단부에 걸려 지지됨으로써 상기 어퍼레일의 추가 상승을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트랙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어퍼레일측 수직부의 관통홀과 돌출 걸림부는 상기 어퍼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에 걸쳐 연장 형성됨으로써, 상기 차량용 시트트랙의 사용조건 하에서 상기 어퍼레일이 상기 로어레일의 전방과 후방으로 최대한 슬라이드된 상대 위치를 포함하는 일정한 슬라이드 구간에서 상기 어퍼레일이 상승하는 경우 상기 전방 또는 후방의 돌출 걸림부가 상기 전방 또는 후방 단부의 이탈방지브래킷의 걸림단부에 걸려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어퍼레일의 추가 상승을 저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이탈방지브래킷은, 상기 로어레일의 바닥부 상에서 좌우로 연장되어 상기 로어레일의 굴곡부 끝단과 상하로 대면하는 아암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아암단부는 상기 굴곡부 끝단과의 사이에 상기 어퍼레일의 가이드부를 개재시킴으로써 상기 가이드부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브래킷(240, 250)은 그 상단면(244)이 상기 어퍼레일(210)의 수평연장부(211) 저면에 인접되게 형성되어, 상기 어퍼레일(210)의 하강 시 상기 수평연장부(211)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어퍼레일(210)의 추가 하강을 저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이탈방지브래킷은 그 하단부가 상기 로어레일의 바닥부에 관통 삽입된 후 단조 성형됨으로써 상기 로어레일에 고정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브래킷의 걸림단부는 외측 하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되고, 상기 어퍼레일측 돌출 걸림부는 내측 상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트랙에 의하면, 어퍼레일이 로어레일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최대한 슬라이드된 상대 위치에 있을 때 외력에 의해 들려 로어레일로부터 이탈하려는 순간 어퍼레일의 전방 또는 후방에 형성된 돌출 걸림부가 로어레일의 전방 또는 후방 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이탈방지브래킷의 걸림단부에 걸려 지지되도록 하여 상기 어퍼레일의 추가 상승을 저지함으로써 그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시트트랙의 작동단계별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트랙이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차량용 시트트랙의 분해 사시도,
도 4a는 도 3의 차량용 시트트랙의 결합 상태에서 어퍼레일이 로어레일의 전방으로 최대한 슬라이드된 상대 위치에 있을 때의 측면도,
도 4b는 도 4a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5a는 도 4a의 차량용 시트트랙에 대한 후방에서의 추돌 시 그 변형된 모습을 과장하여 도시한 측면도,
도 5b는 도 5a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와 그 비교예의 단면도,
도 6a는 도 4a의 차량용 시트트랙에 대한 전방에서의 충돌 시 그 변형된 모습을 과장하여 도시한 측면도,
도 6b는 도 6a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와 그 비교예의 단면도,
도 6c는 도 6b에서 이탈방지브래킷의 변형례를 적용한 경우의 단면도,
도 7a는 도 3의 차량용 시트트랙의 결합 상태에서 어퍼레일이 로어레일의 후방으로 최대한 슬라이드된 상대 위치에 있을 때의 측면도,
도 7b는 도 7a의 B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8a는 도 7a의 차량용 시트트랙에 대한 후방에서의 추돌 시 그 변형된 모습을 과장하여 도시한 측면도,
도 8b는 도 8a의 B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와 그 비교예의 단면도,
도 9a는 도 7a의 차량용 시트트랙에 대한 전방에서의 충돌 시 그 변형된 모습을 과장하여 도시한 측면도,
도 9b는 도 9a의 B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와 그 비교예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트랙(2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레일(upper rail, 210)과 로어레일(lower rail, 220), 양 레일(210, 220)의 사이에 개재되는 다수의 볼베어링 어셈블리(230), 상기 로어레일(220)에 설치되는 복수의 이탈방지브래킷(240, 2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탈방지브래킷(240, 250)은 그 하단부(241, 251)가 로어레일(220)의 바닥부(221)에 형성된 결합홀(221a)을 관통하여 삽입된 후 단조 성형됨으로써 상기 바닥부(221)에 고정 설치된다. 도 3 등에 도시된 하단부(241, 251)는 모두 단조 성형된 후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탈방지브래킷(240, 250)은 로어레일(220)의 전방 및 후방 단부에 각각 설치된다.
도 4a는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시트트랙(200)의 결합 상태로서, 어퍼레일(210)이 시트트랙(200)의 설계상의 사용조건 하에서 로어레일(220)을 기준으로 최전방(도면에서는 좌측방향)으로 슬라이드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한 이탈방지브래킷(도 3의 240, 250) 중에서 전방의 것(240)은 도 4a의 AA선을 따라 로어레일(220)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이며,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어퍼레일(210)의 수직부(212)에는 도 4a의 AA선 상에서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특히 좌측 방향으로 일정 길이에 걸쳐 관통홀(도 3의 212a)이 연장 형성된다.
도 4b는 도 4a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가상의 단면도로서, 이를 통해 어퍼 및 로어레일(210, 220) 그리고 이탈방지브래킷(240)의 배치 및 결합관계를 더욱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어퍼레일(210)은 상단의 수평연장부(211)와, 그 좌우 양단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수직부(212)와, 각 수직부(212)의 하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213)가 형성된다.
로어레일(220)은 상기 어퍼레일(210)의 수평연장부(211)와 대면되게 좌우 수평으로 연장되는 바닥부(221)와, 이 바닥부(221)의 좌우 양단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다시 하방향으로 굴곡됨으로써 내측에 상기 가이드부(213)를 수용하는 굴곡부(223)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어퍼레일(210)의 가이드부(213)의 단부(213a)는 상기 굴곡부(223)의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부(223a)의 외측에 배치되어, 결과적으로 가이드부(213)가 굴곡부(223)에 좌우 및 상부에서 둘러싸인 모습이 된다.
이탈방지부재(240)는 로어레일(220)의 바닥부(221) 상에 탑재된 형태를 취하며 좌우 양측으로는 걸림단부(242)가 돌출되어 그 외측의 수직부(212)의 관통홀(212a)에 근접한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관통홀(212a)의 하단부에는 수직부(212)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 걸림부(212b)가 연하여 형성된다.
어퍼레일(21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정상적인 상태에서, 상기 걸림단부(242)는 관통홀(212a) 및 돌출 걸림부(212b)를 포함하여 수직부(212)에 일체 닿지 않으므로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차량의 진행 중 후방에서의 추돌로 인해 시트가 후방으로 젖히게 되는 경우에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레일(210)에 외력(F1, F2)이 작용하게 되어 그 전방 부분이 상부로 들어 올려지게 된다.
이때, 로어레일(220)의 전방 단부에 상기와 같은 이탈방지브래킷(240)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도 5b의 좌측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력(F1)으로 인해 어퍼레일(210)의 가이드부(213)가 상승하여 로어레일(220)측 굴곡부(223)에 접촉 및 변형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어퍼레일(210)의 전방 부분이 상승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이탈방지브래킷(240) 그리고 이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관통홀(212a)과 돌출 걸림부(212b)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도 5b의 우측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레일(210)의 전방 부분이 외력(F1)에 의해 상승하게 되는 경우 이와 일체로 상승하게 되는 상기 돌출 걸림부(212b)가 이탈방지브래킷(240) 측의 걸림단부(242)에 걸려 지지됨으로써 상기 어퍼레일(210)의 추가적인 상승이 저지된다.
그 결과, 어퍼레일(210)이 상승되는 높이는 상기 이탈방지브래킷(240) 등이 구비되지 않은 도 5b의 좌측 그림의 경우에 비해 크게 낮출 수 있다. 도 5b에서는 d의 높이차로 표시된다.
따라서, 이탈방지브래킷(240) 등에 의해 어퍼레일(210)의 추가적인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브래킷(240)의 걸림단부(242)는 외측 하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어퍼레일(210)측 돌출 걸림부(212b)는 내측 상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됨으로써 상호 결합력 내지 구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어퍼레일(210)의 상승 시 돌출 걸림부(212a)가 이탈방지브래킷(240)의 걸림단부(242)에 걸려 지지되도록 한 구조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퍼레일(210)이 로어레일(220) 기준으로 최전방으로 슬라이드된 경우와 같이 레일(210, 220) 간 중첩되는 구간(L)이 최소인 관계로 상승하는 어퍼레일(210)이 이탈하지 않도록 그 가이드부(213)를 지지하는 굴곡부(223)의 지지력 또한 최소인 경우에 상기 지지력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어퍼레일(210)의 수직부(212)에 형성되는 관통홀(212a)과 돌출 걸림부(212b)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퍼레일(210)의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특히 좌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l)에 걸쳐 연장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어퍼레일(210)이 로어레일(220)의 전방으로 최대한 슬라이드된 위치를 포함하여 가이드부(213)에 대한 굴곡부(223)의 지지력이 비교적 취약한 일정 슬라이드 구간에서 상기 어퍼레일(210)이 외력에 의해 상승하는 경우 돌출 걸림부(212b)가 이탈방지브래킷(240)의 걸림단부(242)에 걸려 지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나아가, 도 4b를 참조하면, 이탈방지브래킷(240)은 로어레일(220)의 바닥부(221) 상에 결합되어 면접한 부위에서 좌우 방향으로 아암단부(243)가 연장되어 가이드부(213)를 사이에 두고 상기 로어레일(220)의 굴곡부(223) 끝단(223a)과 상하로 대면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아암단부(243)에 의하면, 어퍼레일(210)의 상승 또는 하강 시 가이드부(213)의 이동 범위를 아암단부(243)와 굴곡부(223)의 끝단(223a)에 의해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는 도 4a의 상태에서 차량의 진행 중 전방에서의 충돌로 인해 시트가 전방으로 쏠리게 되는 경우로서, 이때 어퍼레일(21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은 방향의 외력(F3, F4)이 작용하여 그 전방 부분이 하부로 내려앉게 된다.
이때, 로어레일(220)의 전방 단부에 상기와 같은 이탈방지브래킷(240)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도 6b의 좌측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력(F3)으로 인해 어퍼레일(210)의 가이드부(213)가 하강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이와 함께 어퍼레일(210)의 전방 부분이 하강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이탈방지브래킷(240)의 아암단부(243)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도 6b의 우측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레일(210)의 전방 부분이 외력(F3)에 의해 하강하게 되는 경우 이와 일체로 하강하게 되는 상기 가이드부(213)가 이탈방지브래킷(240) 측의 아암단부(243)에 접촉하여 지지됨으로써 상기 어퍼레일(210)의 추가적인 하강이 저지된다.
그 결과, 어퍼레일(210)이 하강하는 깊이는 상기 이탈방지브래킷(240)의 아암단부(243)가 구비되지 않은 도 6b의 좌측 그림의 경우에 비해 상당히 줄일 수 있다. 도 6b에서는 e의 깊이차로 표시된다.
반면에,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레일(210)이 상승하는 경우에는 가이드부(213)가 굴곡부 끝단(223a)에 접촉 회전하면서 변형이 생기게 되는데, 이때 상기 아암단부(243)는 가이드부(213)를 접촉 지지함으로써 추가적인 변형을 방지하며 이를 통해 어퍼레일(210)의 이탈을 방지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한편, 어퍼레일(210)의 하강 시 이탈방지브래킷(240)의 아암단부(243)로 지지하는 대신, 도 6c의 우측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탈방지브래킷(240)의 전체 높이(h)를 조금 더 키워 그 상단면(244)이 어퍼레일(210)의 수평연장부(211) 저면에 근접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이를 통해 어퍼레일(210)의 하강 시 상기 수평연장부(211)를 지지함으로써 추가적인 하강을 저지토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어퍼레일(210)의 하강 깊이 e'는 상기 이탈방지브래킷(240)의 설정 높이(h)에 따라 적절하게, 예를 들어 도 6b의 e보다 더 작은 값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상단면(244)은 아암단부(243)와 함께 형성되되, 이 아암단부(243)보다 먼저 어퍼레일(210)을 접촉 지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7a는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시트트랙(200)의 결합 상태로서, 어퍼레일(210)이 시트트랙(200)의 설계상의 사용조건 하에서 로어레일(220)을 기준으로 최후방(도면에서는 우측방향)으로 슬라이드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한 이탈방지브래킷(도 3의 240, 250) 중에서 후방의 것(250)은 도 7a의 BB선을 따라 로어레일(220)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이며,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어퍼레일(210)의 수직부(212)에는 도 7a의 BB선 상에서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특히 우측 방향으로 일정 길이에 걸쳐 관통홀(도 3의 212c)이 연장 형성된다.
도 7b는 도 7a의 BB선을 따라 절단한 가상의 단면도로서, 어퍼레일(210)과 로어레일(220)의 형상 및 결합관계는 상기한 도 4b의 경우와 동일하다.
이탈방지부재(250)는 로어레일(220)의 바닥부(221) 상에 탑재된 형태를 취하며 그 상단부에는 걸림단부(252)가 양측으로 돌출되어 그 외측의 수직부(212)의 관통홀(212c)에 근접한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관통홀(212c)의 하단부에는 수직부(212)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 걸림부(212d)가 연하여 형성된다.
어퍼레일(21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정상적인 상태에서, 상기 걸림단부(252)는 관통홀(212c) 및 돌출 걸림부(212d)를 포함하여 수직부(212)에 일체 닿지 않으므로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이탈방지브래킷(250)은 로어레일(220)의 바닥부(221) 상에 결합되어 면접한 부위에서 좌우 방향으로 아암단부(253)가 연장되어 가이드부(213)를 사이에 두고 상기 로어레일(220)의 굴곡부(223) 끝단(223a)과 상하로 대면하도록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차량의 진행 중 후방에서의 추돌로 인해 시트가 후방으로 젖히게 되는 경우에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레일(210)에 외력(F5, F6)이 작용하게 되어 그 후방 부분이 하부로 내려앉게 된다.
이때, 로어레일(220)의 후방 단부에 상기와 같은 이탈방지브래킷(250)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도 8b의 좌측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력(F6)으로 인해 어퍼레일(210)의 가이드부(213)가 하강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이와 함께 어퍼레일(210)의 후방 부분도 하강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이탈방지브래킷(250)의 아암단부(253)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도 8b의 우측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레일(210)의 후방 부분이 외력(F6)에 의해 하강하게 되는 경우 이와 일체로 하강하게 되는 상기 가이드부(213)가 이탈방지브래킷(250) 측의 아암단부(253)에 접촉하여 지지됨으로써 상기 어퍼레일(210)의 추가적인 하강이 저지된다.
그 결과, 어퍼레일(210)이 하강하는 깊이는 상기 이탈방지브래킷(250)의 아암단부(253)가 구비되지 않은 도 8b의 좌측 그림의 경우에 비해 상당히 줄일 수 있다. 도 8b에서는 f의 깊이차로 표시된다.
물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탈방지브래킷(250)의 높이(도 6c의 h 참조)를 키움으로써 그 상단면(도 6c의 244 참조)이 어퍼레일(210)을 접촉 지지토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도 7a의 트랙(210, 220)간 결합 상태에서 차량의 진행 중 전방에서의 충돌로 인해 시트가 전방으로 쏠리게 되는 경우에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레일(210)에 외력(F7, F8)이 작용하게 되어 그 후방 부분이 상부로 크게 들어 올려지게 된다.
이때, 로어레일(220)의 후방 단부에 상기와 같은 이탈방지브래킷(250)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도 9b의 좌측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강한 외력(F8)의 작용으로 인해 어퍼레일(210)의 가이드부(213)가 상승하여 로어레일(220)측 굴곡부(223)의 지지력을 이기고 상호 변형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어퍼레일(210)의 후방 부분이 크게 상승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이탈방지브래킷(250) 그리고 이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관통홀(212c)과 돌출 걸림부(212d)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도 9b의 우측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레일(210)의 후방 부분이 외력(F8)에 의해 상승하게 되는 경우 이와 일체로 상승하게 되는 상기 돌출 걸림부(212d)가 이탈방지브래킷(250) 측의 걸림단부(252)에 걸려 지지됨으로써 상기 어퍼레일(210)의 추가적인 상승이 저지된다.
그 결과, 어퍼레일(210)이 상승되는 높이는 상기 이탈방지브래킷(250) 등이 구비되지 않은 도 9b의 좌측 그림의 경우에 비해 크게 낮출 수 있다. 도 9b에서는 g의 높이차로 표시된다.
따라서, 이탈방지브래킷(250) 등에 의해 어퍼레일(210)의 추가적인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때에도 상기한 전방의 이탈방지브래킷(24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후방의 이탈방지브래킷(250)의 걸림단부(252)는 외측 하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어퍼레일(210)측 돌출 걸림부(212d)는 내측 상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됨으로써 상호 결합력 내지 구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어퍼레일(210)의 상승 시 돌출 걸림부(212c)가 이탈방지브래킷(250)의 걸림단부(252)에 걸려 지지되도록 한 구조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퍼레일(210)이 로어레일(220) 기준으로 최후방으로 슬라이드된 경우와 같이 레일(210, 220) 간 중첩되는 구간(M)이 최소인 관계로 상승하는 어퍼레일(210)이 이탈하지 않도록 그 가이드부(213)를 지지하는 굴곡부(223)의 지지력 또한 최소인 경우에 상기 지지력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므로, 어퍼레일(210)의 수직부(212) 후방에 형성되는 관통홀(212c)과 돌출 걸림부(212d)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의 관통홀(212a) 및 돌출 걸림부(212b)와 마찬가지로 상기 어퍼레일(210)의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l)에 걸쳐 연장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어퍼레일(210)이 로어레일(220)의 후방으로 최대한 슬라이드된 위치를 포함하여 가이드부(213)에 대한 굴곡부(223)의 지지력이 비교적 취약한 일정 슬라이드 구간에서 상기 어퍼레일(210)이 외력에 의해 상승하는 경우 돌출 걸림부(212d)가 이탈방지브래킷(250)의 걸림단부(252)에 걸려 지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차량용 시트트랙(200)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지 기술적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지 기술적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에 의해 정하여진다.
200: 차량용 시트트랙 210: 어퍼레일(upper rail)
211: 수평연장부 212: 수직부
212a, 212c: 관통홀 212b, 212d: 돌출 걸림부
213: 가이드부 220: 로어레일(lower rail)
221: 바닥부 223: 굴곡부
223a: 굴곡부 끝단 230: 볼베어링 어셈블리
240, 250: 이탈방지브래킷 241, 251: 하단부
242, 252: 걸림단부 243, 253: 아암단부
244: 상단면

Claims (6)

  1. 상단의 수평연장부(211)와 그 좌우 양단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부(212)와 각 수직부(212)의 하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213)가 형성된 어퍼레일(210)과, 상기 수평연장부(211)와 대면되게 연장되는 바닥부(221)와 상기 바닥부(221)의 좌우 양단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다시 하방향으로 굴곡됨으로써 내측에 상기 가이드부(213)를 수용하는 굴곡부(223)가 형성되어 상기 어퍼레일(210)과 길이방향으로 상대 슬라이드가 가능하도록 마련된 로어레일(220)을 갖는 차량용 시트트랙에 있어서,
    상기 로어레일(220)의 전,후방 단부의 각 바닥부(221) 상에는 상기 수평연장부(211)와 한 쌍의 수직부(212)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수용되도록 기립되는 이탈방지브래킷(240, 250)이 고정 설치되고, 각 이탈방지브래킷(240, 250)의 좌우 양측으로는 걸림단부(242, 252)가 돌출되어 그 외측의 수직부(212)에 근접하며,
    상기 어퍼레일(210)의 수직부(212)에는 상기 차량용 시트트랙의 사용조건 하에서 상기 어퍼레일(210)이 상기 로어레일(220)의 전방과 후방으로 최대한 슬라이드된 상대 위치에서 상기 이탈방지브래킷(240, 250)의 걸림단부(242, 252)에 대응하여 관통홀(212a, 212c)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212a, 212c)의 하단부에 연장하여 상기 수직부(212)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 걸림부(212b, 212d)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어퍼레일(210)의 상승 시 전방 또는 후방의 돌출 걸림부(212b 또는 212d)가 상기 전방 또는 후방 단부의 이탈방지브래킷(240 또는 250)의 걸림단부(242 또는 252)에 걸려 지지됨으로써 상기 어퍼레일(210)의 추가 상승을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트랙.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레일(210)측 수직부(212)의 관통홀(212a, 212c)과 돌출 걸림부(212b, 212d)는 상기 어퍼레일(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l)에 걸쳐 연장 형성됨으로써, 상기 차량용 시트트랙의 사용조건 하에서 상기 어퍼레일(210)이 상기 로어레일(220)의 전방과 후방으로 최대한 슬라이드된 상대 위치를 포함하는 일정한 슬라이드 구간에서 상기 어퍼레일(210)이 상승하는 경우 상기 전방 또는 후방의 돌출 걸림부(212b 또는 212d)가 상기 전방 또는 후방 단부의 이탈방지브래킷(240 또는 250)의 걸림단부(242 또는 252)에 걸려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어퍼레일(210)의 추가 상승을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트랙.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브래킷(240, 250)은, 상기 로어레일(220)의 바닥부(221) 상에서 좌우로 연장되어 상기 로어레일(220)의 굴곡부 끝단(223a)과 상하로 대면하는 아암단부(243, 253)가 형성되고,
    상기 아암단부(243, 253)는 상기 굴곡부 끝단(223a)과의 사이에 상기 어퍼레일(210)의 가이드부(213)를 개재시킴으로써 상기 가이드부(213)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트랙.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브래킷(240, 250)은 그 상단면(244)이 상기 어퍼레일(210)의 수평연장부(211) 저면에 인접되게 형성되어, 상기 어퍼레일(210)의 하강 시 상기 수평연장부(211)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어퍼레일(210)의 추가 하강을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트랙.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브래킷(240, 250)은 그 하단부(241, 251)가 상기 로어레일(220)의 바닥부(221)에 관통 삽입된 후 단조 성형됨으로써 상기 로어레일(220)에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트랙.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브래킷(240, 250)의 걸림단부(242, 252)는 외측 하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되고,
    상기 어퍼레일(210)측 돌출 걸림부(212b, 212d)는 내측 상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트랙.
KR1020120003640A 2011-08-18 2012-01-12 차량용 시트트랙 KR101242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640A KR101242421B1 (ko) 2012-01-12 2012-01-12 차량용 시트트랙
PCT/KR2012/001190 WO2013024949A1 (ko) 2011-08-18 2012-02-17 차량용 시트트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640A KR101242421B1 (ko) 2012-01-12 2012-01-12 차량용 시트트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2421B1 true KR101242421B1 (ko) 2013-03-12

Family

ID=48181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3640A KR101242421B1 (ko) 2011-08-18 2012-01-12 차량용 시트트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242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4462A (ja) * 1991-10-31 1993-05-21 Fuji Sheet Kk シートトラツク
KR100523922B1 (ko) * 2005-01-12 2005-10-26 (주)케이엠앤아이 차량용 시트트랙 고정장치
JP2006168688A (ja) * 2004-12-20 2006-06-29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2008024110A (ja) * 2006-07-20 2008-02-07 Fuji Kiko Co Ltd 自動車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4462A (ja) * 1991-10-31 1993-05-21 Fuji Sheet Kk シートトラツク
JP2006168688A (ja) * 2004-12-20 2006-06-29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100523922B1 (ko) * 2005-01-12 2005-10-26 (주)케이엠앤아이 차량용 시트트랙 고정장치
JP2008024110A (ja) * 2006-07-20 2008-02-07 Fuji Kiko Co Ltd 自動車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79899B1 (en) Lifter device for vehicle seat
EP2805875B1 (en) Vehicle body structure
CN102241241B (zh) 车辆用座椅的滑动装置
US20160052555A1 (en) Vehicle undercover
US9579997B2 (en) Device for selectively controlling and reducing the backward displacement of a vehicle seat in the event of an accident
EP2641775A1 (en) Vehicle seat provided with airbag device
EP3181411B1 (en) Automobile steering wheel
KR101081305B1 (ko) 차량용 시트트랙
KR101242421B1 (ko) 차량용 시트트랙
JP5882163B2 (ja) ラジエータグリル
US8398144B2 (en) Longitudinal adjustment device
KR101199230B1 (ko) 차량용 시트트랙
JP2008137589A (ja) 車体トンネル部構造
HU231369B1 (hu) Villamos alkatrész tartószerkezet
CN107466287B (zh) 电梯安全钳导引组合件和方法
JP6179694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WO2013024949A1 (ko) 차량용 시트트랙
KR20100093841A (ko) 엘리베이터의 보조 안전도어 개폐장치
CN211364404U (zh) 一种前大灯组件及汽车
JP7354734B2 (ja) ブラケット
CN109866660B (zh) 儿童安全座椅及其缓冲机构
KR101547699B1 (ko) 차량용 시트레일의 이탈방지 장치
KR100536374B1 (ko) 차량 시트 레일 보강 구조
JP6600501B2 (ja) 車両用シートのスライドレール装置
KR100373124B1 (ko) 버스용 가드 플레이트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