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024949A1 - 차량용 시트트랙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트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024949A1
WO2013024949A1 PCT/KR2012/001190 KR2012001190W WO2013024949A1 WO 2013024949 A1 WO2013024949 A1 WO 2013024949A1 KR 2012001190 W KR2012001190 W KR 2012001190W WO 2013024949 A1 WO2013024949 A1 WO 201302494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upper rail
rail
vertical
lower rail
seat t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0119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팽현성
박건영
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10081963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199230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20003640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242421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스템
Publication of WO201302494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02494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02Slide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 B60N2/0705Slide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omega-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22Constructive details
    • B60N2/073Reinforcement members preventing slide dislocatio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t track for adjusting the front and rear slide of the seat (seat) provided in the vehicle.
  • the vehicle seat track is a device that allows the front and rear slide adjustment of the seat for the convenience of the seated occupant.
  • a lower rail that is fixed to the vehicle body and an upper rail that is slidably coupled to the lower rail in the lower rail It includes.
  • the seat is fastened on the upper rail to allow front and rear slide adjustment.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at track for a vehicle that can exhibit a certain restraining force so that the upper rail is not separated from the lower rail.
  • the bottom portion extending to face the portion and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bottom portion is extended upward and bent downward again to form a bent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guide portion therein so as to allow relative slide in the upper rail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 a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lower rail to be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horizontal extension portion and a pair of vertical portions, and the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 the upper end part is provided with both ends at both ends, and protrudes close to the vertical part of its outer side.
  •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rail has a through hole form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engaging end portion, and a lower end portion of the through hole has a protruding locking portion formed to protrude inwardly of the vertical portion, and the upper rail is formed through the horizontal extension portion.
  • the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lower rail extending from side to side to the upper and lower arm end facing the bent end of the lower rail is formed, the arm end is the upper rail between the bent end
  • the release preventing bracket is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lower rail, and the through hole and the protruding engaging portion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state where the upper rail is slid to the rear of the lower rail under the use condition of the vehicle seat track. It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end of the prevention bracket.
  • the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rail by being forged molded after the lower end is inserted through the bottom of the lower rail.
  • the locking end portion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may be formed to extend to be inclined in the outer downward direction, the protruding locking portion of the lower end of the upper rail side through hole may be extended to be inclined in the inner upward direction.
  • the vehicle seat track having a lower rail provided so that, on each bottom portion of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lower rail, a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standing up to be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horizontal extension portion and a pair of vertical portions It is fixedly installed, and the locking end portions protrude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each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rail has a through hole corresponding to the end of the release preventing bracket at a relative position in which the upper rail slides as far as possible to the front and the rear of the lower rail under the use condition of the vehicle seat track.
  • Each of the protrusions is formed and extends to the lower end of the through-hole and protrudes into the vertical portion, respectively, so that when the upper rail is raised, the protruding locking portion of the front or rear portion is caught from the release preventing bracket of the front or rear end. It is supported by the to provide a seat track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o prevent further rise of the upper rail.
  • the through-hole and the protruding engaging portion of the upper rail side vertical portion are formed to extend over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rail, so that the upper rail is forward and rearward of the lower rail under use conditions of the vehicle seat track.
  • the upper rail is raised in a certain slide section including the maximum sliding relative position, the upper rail is further raised by allowing the protruding locking portion of the front or rear portion to be caught by the locking end of the release preventing bracket of the front or rear end portion. You can also stop.
  • the release preventing bracket may extend from side to side on the bottom of the lower rail, and may have an arm end facing up and down with the bent end of the lower rail, and the arm end may be formed between the upper rail and the bent end. It is also possible to limit the moving range of the guide portion by interposing the guide portion.
  • the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may be formed so that the upper end surface thereof is adjacen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horizontal extension portion of the upper rail, to prevent the additional lowering of the upper rail by supporting the horizontal extension portion when the upper rail is lowered.
  • the release preventing bracket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rail by being forged molded after its lower end is inserted through the bottom of the lower rail.
  • the locking end portion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may be formed to extend to be inclined in the outer downward direction
  • the upper rail side protruding locking portion may be formed to extend to be inclined in the inner upward direction
  • the vehicle seat tr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pper rail is to be separated from the lower rail by an external force, in particular, when the upper rail is in a relative position slid to the front or rear of the lower rail as far as possible,
  • the projecting catching portion formed at the front or rear of the upper rail at the moment of detachment from the rail is supported by the catching end of the release preventing bracket fixedly installed at the front or rear end of the lower rail, thereby preventing further lifting of the upper rail. You can prevent it.
  • FIG. 1 and 2 are cross-sectional views for each operation step of the vehicle seat track according to the prior art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seat trac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vehicle seat track of FIG. 3;
  • FIG. 5 is a partial side view of the engaged state of the vehicle seat track of FIG. 4;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seat track assemble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vehicle seat track of FIG. 9;
  • FIG. 11 is a side view when the upper rail is in a relative position slid as far as possible in front of the lower rail in the engaged state of the vehicle seat track of FIG. 10;
  •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1;
  • FIG. 13 is a side view exaggerating a deformed state when colliding from the rear with respect to the vehicle seat track of FIG. 11;
  •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13 and a comparative example thereof;
  • FIG. 15 is a side view exaggerating a deformed state when a collision occurs in front of the vehicle seat track of FIG. 11;
  • 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15 and a comparative example thereof;
  • FIG. 1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18;
  • 20 is a side view showing an exaggerated state of the deformation during the collision from the rear with respect to the vehicle seat track of FIG.
  • FIG. 2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20 and a comparative example thereof;
  • FIG. 22 is a side view exaggerating a deformed state when a collision occurs in front of the vehicle seat track of FIG. 18; FIG.
  • FIG. 2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22 and a comparative example thereof.
  • the vehicle seat track 200 includes an upper rail 210, a lower rail 220, and two rails 210. , A plurality of ball bearing assemblies 230 interposed between the 220, a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240 installed on the lower rail 220, a plurality of fastening elements 250 installed on the upper rail 210, and the lik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 the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240 is fixedly coupled to the bottom portion 221 by inserting the lower portion 241 through the coupling hole 221a formed in the bottom portion 221 of the lower rail 220 and forging. .
  • the lower end portion 241 shown in Figure 4, etc. shows the state after all forged.
  • the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240 is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lower rail 220 (the right direction in the drawing).
  • the upper rail 210 is slid to the rearmost (right side in the drawing) with respect to the lower rail 220 under the design condition of the seat track 200.
  • the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240 is installed inside the lower rail 220 along the AA line of FIG. 5, and is a vertical portion of the upper rail 21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240.
  • a through hole (212a in FIG. 3) is formed on the AA line of FIG. 5.
  • FIG. 6 is a virtu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5, through which the upper and lower rails 210 and 220 and the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240 may be arranged and coupled in more detail.
  • the upper rail 210 includes a horizontal extension part 211 at the upper end, a pair of left and right vertical parts 212 extending downward from both left and right ends thereof, and a guide extending outward from a lower end of each vertical part 212.
  • the part 213 is formed.
  • the lower rail 220 extends upward and downward from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bottom part 221 extending horizontally and horizontally to face the horizontal extension part 211 of the upper rail 210.
  • the curved portion 223 is formed to receive the guide portion 213 inwardly by bending downward.
  • an end portion of the guide portion 213 of the upper rail 210 is disposed outside the end portion extending downwardly of the bent portion 223, and as a result, the guide portion 213 is left-right and right-sided with the bent portion 223. It is surrounded by the upper part.
  • 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240 has a shape mounted on the bottom portion 221 of the lower rail 220, and the upper end portion is provided with a locking end portion 242 on both sides of the through hole of the vertical portion 212 on the outside thereof. It protrudes to approach 212a.
  • a protruding engaging portion 212b protruding inwardly of the vertical portion 212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through hole 212a.
  • the locking end portion 242 does not touch the vertical portion 112, including the through hole 212a and the protruding locking portion 212b, so that interference does not occur. Do not.
  • this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240 it is possible to further secure the support for preventing the separation of the upper rail (210).
  • the locking end portion 242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240 is formed to extend to be inclined in the outward downward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rail 210 side protruding locking portion 212b inclined in the inner upward direction It is formed to extend so that the mutual bonding force can be improved.
  • Upper rail 210 is mainly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by the bone portion 223 by supporting the lower rail 220 in the form that most of the are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portion 213 is wrapped in the bent portion 223 is received. 5, the rear end of the upper rail 210 deviating from the lower rail 220 in the worst condition in which the upper rail 210 slides to the last end may be support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tructure cannot be secured, when the vehicle collides in front of the vehicle, the upper rail 210 is pulled out of the support rail by the lower rail 220 and peeled forward (that is, counterclockwise) from the rear end thereof, and is pulled out of the lower rail 220. There has been a problem of coming out.
  • the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240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lower rail 220 particularly helps to prevent the departure by holding the upper rail 210 in such a situation.
  • the upper rail 210 side through hole 212a and the protruding engaging portion 212b, which can be combined with the release preventing bracket 240, are provided in one as in this embodiment or the minimum slide pitch interval of the upper rail 210 is provided. It may be provided with two or more.
  • the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240 is coupled to the bottom portion 221 of the lower rail 220, the arm end portion 243 extend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t the site interviewed by the bent portion 223 of the lower rail 220 It is formed to face up and down the end (223a).
  • the upper rail 210 side guide portion 213 is sandwiched between the arm end 243 and the end 223a of the bent portion 223, thereby limiting the range of deformation.
  • the deformation range of the guide part 213 is limited by the arm end 243 and the end 223a of the bent part 223.
  • the upper rail 210 is deformed due to deformation. Separation from the lower rail 220 may be prevented.
  • the vehicle seat track 300 includes an upper rail 310, a lower rail 320, and two rails 310.
  • 320 includes a plurality of ball bearing assemblies 330 inter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s 340 and 350 installed on the lower rail 320.
  • the anti-separation brackets 340 and 350 are formed by forging the lower ends 341 and 351 through the coupling holes 321a formed in the bottom 321 of the lower rail 320 and then forged to form the bottom 321. It is fixed to the installation.
  • the lower ends 341 and 351 shown in FIG. 10 and the like show the state after forging.
  • the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s 340 and 350 are install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lower rail 320, respectively.
  • FIG 11 is a state in which the seat track 300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rail 310 is the foremost (left direction in the drawing) with respect to the lower rail 320 under the design use conditions of the seat track 300. It shows the state that slides.
  • the front 340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s (340 and 350 of FIG. 10) is installed in the lower rail 320 along the AA line of FIG. 11, and the upper rail 310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hereto.
  • the vertical portion 312 of the through hole (312a of FIG. 10) is formed along the left and right longitudinal direction, in particular in the left direction on the line AA of FIG.
  • FIG. 12 is a virtu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1, through which upper and lower rails 310 and 320 and the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340 may be arranged and coupled to each other.
  • the upper rail 310 includes a horizontal extension part 311 at the upper end, a pair of left and right vertical parts 312 extending downward from both left and right ends thereof, and a guide extending outward from a lower end of each vertical part 312.
  • the part 313 is formed.
  • the lower rail 320 has a bottom portion 321 extending horizontally and horizontally to face the horizontal extension portion 311 of the upper rail 310, and extends upward from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bottom portion 321.
  • the curved portion 323 is formed to accommodate the guide portion 313 by bending downward.
  • the end portion 313a of the guide portion 313 of the upper rail 310 is disposed outside the end portion 323a extending downward of the curved portion 323, and as a result, the guide portion 313 is bent portion. 323 is shown to be surrounded from the left and right and the upper portion.
  • 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340 has a shape mounted on the bottom portion 321 of the lower rail 320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ngaging end portion 342 protrudes from the through hole of the vertical portion 312 on the outside thereof. 312a).
  • a protruding engaging portion 312b protruding inwardly of the vertical portion 312 is softly formed.
  • the locking end portion 342 does not touch the vertical portion 312 including the through hole 312a and the protruding locking portion 312b so that interference does not occur. Do not.
  • the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340 is not present at the front end of the lower rail 320, as shown in the left figure of Figure 14, the guide of the upper rail 310 due to the external force (F1).
  • the portion 313 is raised to contact and deform the lower rail 320 side bent portion 323, so that the front portion of the upper rail 310 is raised.
  • the upper rail 310 When the front portion of the () is raised by the external force (F1) is the projection engaging portion 312b which is raised integrally with this is caught by the locking end portion 342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340 side by the upper rail ( Further rise in 310 is prevented.
  • the height at which the upper rail 310 is raised may be significantly lower than in the case of the left figure of FIG. 14 in which the separation preventing bracket 340 is not provided.
  • it is represented by the height difference of d.
  • the support force for preventing the additional separation of the upper rail 310 by the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340 can be secured.
  • the locking end portion 342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340 is formed to extend to be inclined in the outer downward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rail 310 side protruding locking portion 312b in the inner upward direction By being formed so as to be inclined, it is possible to improve mutual coupling force or restraint force.
  • the protruding locking portion 312a is supported by the locking end portion 342 of the release preventing bracket 340, as shown in FIG.
  • the guide rails do not leave the upper rail 310 that rises with the minimum interval L overlapping between the rails 310 and 320.
  • the support force of the bent portion 323 supporting the portion 313 is also to compensate for the support force when the minimum.
  • the upper rail 310 of the bent portion 323 with respect to the guide portion 313 including the position as far as possible sliding forward of the lower rail 320
  • the protrusion catching portion 312b may be caught and supported by the catching end 342 of the release preventing bracket 340.
  • the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340 is coupled to the bottom portion 321 of the lower rail 320, and the arm end portion 343 extend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t the site where the guide portion 313 is extended. Is formed so as to face up and down the bent end 323a of the lower rail 320 with the interposed therebetween.
  • the movement range of the guide part 313 when the upper rail 310 is raised or lowered may be limited by the arm end 343 and the end 323a of the bent part 323.
  • FIG. 15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seat is pulled forward due to a collision in the front of the vehicle in the state of FIG. 11, wherein the upper rails 310 have external forces F3 and F4 in the direction as shown. This action causes the front part to fall down.
  • the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340 is not present at the front end of the lower rail 320, as shown in the left figure of FIG. 16, the guide portion of the upper rail 310 due to the external force (F3) As the 313 descends, the front portion of the upper rail 310 descends as a result.
  • the depth at which the upper rail 310 descends can be considerably reduced as compared to the case of the left figure of FIG. 16 in which the arm end 343 of the separation preventing bracket 340 is not provided.
  • FIG. 16 it is represented by the depth difference of e.
  • the overall height h of the departure preventing bracket 340 is adjusted.
  • the upper surface 344 of the upper portion 344 is formed to be close to the bottom of the horizontal extension portion 311 of the upper rail 310, thereby supporting the horizontal extension portion 311 when the upper rail 310 descends. It may be possible to stop the descent.
  • the falling depth e 'of the upper rail 310 may be appropriately smaller than, for example, e of FIG. 16 according to the set height h of the separation preventing bracket 340.
  • the upper surface 344 may be formed together with the arm end 343, and the upper rail 310 may be contacted and supported before the arm end 343.
  • the rear one 350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s 340 and 350 of FIG. 10 is installed inside the lower rail 320 along the BB line of FIG. 18, and the upper rail 310 is dispos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 a through hole (312c in FIG. 10) extends along a left and right longitudinal direction, particularly in a right direction, on a line BB of FIG. 18.
  • FIG. 19 is a virtu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18, and the shape and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upper rail 310 and the lower rail 320 are the same as in FIG. 12.
  • the detachment preventing member 350 has a shape mounted on the bottom portion 321 of the lower rail 320,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engaging end portion 352 protrudes to both sides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vertical portion 312 of the outside And close to 312c.
  • a protruding engaging portion 312d protruding inwardly of the vertical portion 312 is softly formed.
  • the locking end portion 352 does not touch the vertical portion 312 including the through hole 312c and the protruding locking portion 312d so that interference does not occur. Do not.
  • the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350 is coupled to the bottom portion 321 of the lower rail 320, the arm end portion 353 extend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from the site interviewed by the guide portion 313 between the lower It is formed to face up and down the bent portion 323 end 323a of the rail 320.
  • the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350 is not present at the rear end of the lower rail 320, as shown in the left figure of Figure 21, the guide portion of the upper rail 310 due to the external force (F6) As the 313 descends, the rear portion of the upper rail 310 also descends as a result.
  • the depth at which the upper rail 310 descends can be considerably reduced as compared to the case of the left figure of FIG. 21 in which the arm end 353 of the separation preventing bracket 350 is not provided.
  • FIG. 21 it is represented by the depth difference of f.
  • the upper surface may contact the upper rail 310 by increasing the height of the release preventing bracket 350 (see FIG. 17H).
  • the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350 is not present at the rear end of the lower rail 320, as shown in the left figure of Figure 23, due to the action of the relatively strong external force (F8) the upper rail ( The guide portion 313 of the 310 is raised to overcome the bearing force of the lower rail 320 side bent portion 323 and mutually deformed, so that the rear portion of the upper rail 310 is greatly raised.
  • the height at which the upper rail 310 is raised may be significantly lower than in the case of the left figure of FIG. 23 in which the release preventing bracket 350 and the like are not provided.
  • FIG. 23 it is represented by the height difference of g.
  • the locking end portion 352 of the rear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350 is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outward downward direction, the upper rail 310 correspondingly
  • the side protruding engaging portion 312d may extend to be inclined upward inward to improve mutual coupling force or restraint force.
  • FIG. 18 the structure in which the protruding locking portion 312c is supported by the locking end portion 352 of the release preventing bracket 350 when the upper rail 310 is raised as described above is illustrated in FIG. 18.
  • the upper rail 310 rising as the overlapping section M between the rails 310 and 320 is minimal does not escape. Since the support force of the bent portion 323 supporting the guide portion 313 is also minimal, the support force is compensated for, so that the through hole 312c and the protruding engagement formed at the rear of the vertical portion 312 of the upper rail 310 are provided. As shown in FIG.
  • the portion 312d extends over a predetermined length l along the front-rear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rail 310 similarly to the front through-hole 312a and the protruding engaging portion 312b.
  • the protruding locking portion 312d prevents the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350. It may be to be supported by the hanging end 352 of the.
  • vehicle seat tracks 200 and 300 described above is only one embodiment for helping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limited theret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단의 수평연장부와 그 양단의 한 쌍의 수직부와 각 수직부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가 형성된 어퍼레일과, 상기 수평연장부와 대면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양단에서 상방향으로 다시 하방향으로 굴곡되어 내측에 상기 가이드부를 수용하는 굴곡부가 형성된 로어레일을 갖는 차량용 시트트랙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로어레일의 바닥부 상에는 상기 수평연장부와 한 쌍의 수직부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기립되는 이탈방지브래킷이 설치되고, 상기 이탈방지브래킷의 상단부에는 걸림단부가 양측으로 구비되어 그 외측의 수직부에 근접하게 돌출되며, 상기 어퍼레일의 수직부에는 상기 걸림단부에 대응하여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하단부에는 상기 수직부의 내측으로 돌출 걸림부가 형성되어, 상기 어퍼레일이 외력의 작용으로 상방향으로 들려질 경우 상기 수직부의 변형을 통해 상기 이탈방지브래킷의 걸림단부가 상기 돌출 걸림부에 걸리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어퍼레일이 로어레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확실한 구속력을 발휘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트랙
본 발명은 차량 내부에 구비되는 시트(seat)의 전후 슬라이드 조절을 위한 시트트랙(seat track)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시트트랙은 착석자의 편의를 위해 시트의 전후 슬라이드 조절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장치로서, 통상적으로 차체에 고정되는 로어레일(lower rail)과 이 로어레일에 전후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어퍼레일(upper rail)을 포함한다. 시트는 이 어퍼레일 상에 체결됨으로써 전후 슬라이드 조절이 가능해진다.
종래, 어퍼레일이 로어레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단면 형상들이 제안되어 왔다(도 1 참조).
그러나, 이와 같은 레일의 단면 형상 설계만으로는 최근의 경량화 추세 등을 고려할 때 시트의 안전성에 취약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차량의 충돌과 같은 사고 발생 시, 어퍼레일이 로어레일의 구속을 이기고 상부로 이탈하게 되는 경우에는 인체에 치명적인 상해가 가해질 수 있어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2010. 4. 10.자 특허출원 제2010-0029678호 "차량용 시트트랙"을 통해 해결책을 제안한 바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어레일(120) 상에 이탈방지부재(140)를 설치하고 이에 대응하여 어퍼레일(110)의 좌우 수직벽(112)에는 관통홀(112a)을 형성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레일(110)의 이탈 및 변형 시 이탈방지부재(140)의 좌우 걸림단부(142)가 관통홀(112a)에 걸리게 하여 어퍼레일(110)의 이탈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출원된 발명에 의할 경우, 걸림단부(142)와 관통홀(112a)의 결합을 위해서는 어퍼레일(110)에 과도한 변형이 발생하여야 한다는 제약으로 인해 필요한 순간에 제대로 기능하리라고 보장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어퍼레일이 로어레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확실한 구속력을 발휘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트랙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단의 수평연장부와 그 좌우 양단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부와 각 수직부의 하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가 형성된 어퍼레일과, 상기 수평연장부와 대면되게 연장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좌우 양단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다시 하방향으로 굴곡됨으로써 내측에 상기 가이드부를 수용하는 굴곡부가 형성되어 상기 어퍼레일과 길이방향으로 상대 슬라이드가 가능하도록 마련된 로어레일을 갖는 차량용 시트트랙에 있어서, 상기 로어레일의 바닥부 상에는 상기 수평연장부와 한 쌍의 수직부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수용되도록 기립되는 이탈방지브래킷이 설치되고, 상기 이탈방지브래킷의 상단부에는 걸림단부가 양측으로 구비되어 그 외측의 수직부에 근접하게 돌출 형성되며, 상기 어퍼레일의 수직부에는 상기 걸림단부에 대응하는 높이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하단부에는 상기 수직부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 걸림부가 형성되어, 상기 어퍼레일이 상기 수평연장부를 통한 외력의 작용으로 상방향으로 들려질 경우 상기 수직부가 내측으로 오므라드는 변형을 통해 상기 이탈방지브래킷의 걸림단부가 상기 돌출 걸림부에 걸리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트랙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이탈방지브래킷은, 상기 로어레일의 바닥부 상에서 좌우로 연장되어 상기 로어레일의 굴곡부 끝단과 상하로 대면하는 아암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아암단부는 상기 굴곡부 끝단과의 사이에 상기 어퍼레일의 가이드부를 개재시킴으로써 상기 가이드부가 변형될 수 있는 범위를 제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이탈방지브래킷은 상기 로어레일의 후방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관통홀과 돌출 걸림부는, 상기 차량용 시트트랙의 사용조건 하에서 상기 어퍼레일이 상기 로어레일의 후방으로 최대한 슬라이드된 상태에서 상기 이탈방지브래킷의 걸림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브래킷은 그 하단부가 상기 로어레일의 바닥부에 관통 삽입된 후 단조 성형됨으로써 상기 로어레일에 고정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브래킷의 걸림단부는 외측 하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되고, 상기 어퍼레일측 관통홀 하단부의 돌출 걸림부는 내측 상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단의 수평연장부와 그 좌우 양단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부와 각 수직부의 하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가 형성된 어퍼레일과, 상기 수평연장부와 대면되게 연장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좌우 양단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다시 하방향으로 굴곡됨으로써 내측에 상기 가이드부를 수용하는 굴곡부가 형성되어 상기 어퍼레일과 길이방향으로 상대 슬라이드가 가능하도록 마련된 로어레일을 갖는 차량용 시트트랙에 있어서, 상기 로어레일의 전,후방 단부의 각 바닥부 상에는 상기 수평연장부와 한 쌍의 수직부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수용되도록 기립되는 이탈방지브래킷이 고정 설치되고, 각 이탈방지브래킷의 좌우 양측으로는 걸림단부가 돌출되어 그 외측의 수직부에 근접하며, 상기 어퍼레일의 수직부에는 상기 차량용 시트트랙의 사용조건 하에서 상기 어퍼레일이 상기 로어레일의 전방과 후방으로 최대한 슬라이드된 상대 위치에서 상기 이탈방지브래킷의 걸림단부에 대응하여 관통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하단부에 연장하여 상기 수직부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 걸림부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어퍼레일의 상승 시 전방 또는 후방의 돌출 걸림부가 상기 전방 또는 후방 단부의 이탈방지브래킷의 걸림단부에 걸려 지지됨으로써 상기 어퍼레일의 추가 상승을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트랙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어퍼레일측 수직부의 관통홀과 돌출 걸림부는 상기 어퍼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에 걸쳐 연장 형성됨으로써, 상기 차량용 시트트랙의 사용조건 하에서 상기 어퍼레일이 상기 로어레일의 전방과 후방으로 최대한 슬라이드된 상대 위치를 포함하는 일정한 슬라이드 구간에서 상기 어퍼레일이 상승하는 경우 상기 전방 또는 후방의 돌출 걸림부가 상기 전방 또는 후방 단부의 이탈방지브래킷의 걸림단부에 걸려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어퍼레일의 추가 상승을 저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이탈방지브래킷은, 상기 로어레일의 바닥부 상에서 좌우로 연장되어 상기 로어레일의 굴곡부 끝단과 상하로 대면하는 아암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아암단부는 상기 굴곡부 끝단과의 사이에 상기 어퍼레일의 가이드부를 개재시킴으로써 상기 가이드부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브래킷은 그 상단면이 상기 어퍼레일의 수평연장부 저면에 인접되게 형성되어, 상기 어퍼레일의 하강 시 상기 수평연장부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어퍼레일의 추가 하강을 저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이탈방지브래킷은 그 하단부가 상기 로어레일의 바닥부에 관통 삽입된 후 단조 성형됨으로써 상기 로어레일에 고정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브래킷의 걸림단부는 외측 하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되고, 상기 어퍼레일측 돌출 걸림부는 내측 상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트랙에 의하면, 어퍼레일이 외력에 의해 로어레일로부터 이탈하려는 순간, 특히 어퍼레일이 로어레일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최대한 슬라이드된 상대 위치에 있을 때 외력에 의해 들려 로어레일로부터 이탈하려는 순간 어퍼레일의 전방 또는 후방에 형성된 돌출 걸림부가 로어레일의 전방 또는 후방 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이탈방지브래킷의 걸림단부에 걸려 지지되도록 하여 상기 어퍼레일의 추가 상승을 저지함으로써 그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시트트랙의 작동단계별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트랙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차량용 시트트랙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차량용 시트트랙의 결합 상태의 부분 측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도 5의 AA선을 따라 절단하되 각각 작동단계별로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트랙이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차량용 시트트랙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차량용 시트트랙의 결합 상태에서 어퍼레일이 로어레일의 전방으로 최대한 슬라이드된 상대 위치에 있을 때의 측면도,
도 12는 도 11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13은 도 11의 차량용 시트트랙에 대한 후방에서의 추돌 시 그 변형된 모습을 과장하여 도시한 측면도,
도 14는 도 13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와 그 비교예의 단면도,
도 15는 도 11의 차량용 시트트랙에 대한 전방에서의 충돌 시 그 변형된 모습을 과장하여 도시한 측면도,
도 16은 도 15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와 그 비교예의 단면도,
도 17은 도 16에서 이탈방지브래킷의 변형례를 적용한 경우의 단면도,
도 18은 도 10의 차량용 시트트랙의 결합 상태에서 어퍼레일이 로어레일의 후방으로 최대한 슬라이드된 상대 위치에 있을 때의 측면도,
도 19는 도 18의 B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20은 도 18의 차량용 시트트랙에 대한 후방에서의 추돌 시 그 변형된 모습을 과장하여 도시한 측면도,
도 21은 도 20의 B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와 그 비교예의 단면도,
도 22는 도 18의 차량용 시트트랙에 대한 전방에서의 충돌 시 그 변형된 모습을 과장하여 도시한 측면도,
도 23은 도 22의 B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와 그 비교예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트랙(2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레일(upper rail, 210)과 로어레일(lower rail, 220), 양 레일(210, 220)의 사이에 개재되는 다수의 볼베어링 어셈블리(230), 상기 로어레일(220)에 설치되는 이탈방지브래킷(240), 상기 어퍼레일(210)에 설치되는 다수의 체결요소(2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어퍼레일(210)에 결합되는 다수의 체결요소(250)는 상부로 돌출되어 시트(seat, 도면 미도시)의 쿠션(cushion) 측에 체결된다.
이탈방지브래킷(240)은 그 하단부(241)가 로어레일(220)의 바닥부(221)에 형성된 결합홀(221a)을 관통하여 삽입된 후 단조 성형됨으로써 상기 바닥부(221)에 고정 결합된다. 도 4 등에 도시된 하단부(241)는 모두 단조 성형된 후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이탈방지브래킷(240)은 로어레일(220)의 후방(도면에서는 우측방향) 단부에 설치된다.
한편, 도 5에서 어퍼레일(210)은 시트트랙(200)의 설계상의 사용조건 하에서 로어레일(220)을 기준으로 최후방(도면에서는 우측방향)으로 슬라이드된 상태이다.
상기한 이탈방지브래킷(240)은 도 5의 AA선을 따라 로어레일(220)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이며, 또한 상기 이탈방지브래킷(240)에 대응하는 위치의 어퍼레일(210)의 수직부(212)에는 도 5의 AA선 상에 관통홀(도 3의 212a)이 형성된다.
도 6은 도 5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가상의 단면도로서, 이를 통해 어퍼 및 로어레일(210, 220) 그리고 이탈방지브래킷(240)의 배치 및 결합관계를 더욱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어퍼레일(210)은 상단의 수평연장부(211)와, 그 좌우 양단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수직부(212)와, 각 수직부(212)의 하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213)가 형성된다.
로어레일(220)은 상기 어퍼레일(210)의 수평연장부(211)와 대면되게 좌우 수평으로 연장되는 바닥부(221)와, 이 바닥부(221)의 좌우 양단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다시 하방향으로 굴곡됨으로써 내측에 상기 가이드부(213)를 수용하는 굴곡부(223)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어퍼레일(210)의 가이드부(213)의 단부는 상기 굴곡부(223)의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결과적으로 가이드부(213)가 굴곡부(223)에 좌우 및 상부에서 둘러싸인 모습이 된다.
이탈방지부재(240)는 로어레일(220)의 바닥부(221) 상에 탑재된 형태를 취하며 그 상단부에는 걸림단부(242)가 양측으로 구비되어 그 외측의 수직부(212)의 관통홀(212a)에 근접하도록 돌출된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관통홀(212a)의 하단부에는 수직부(212)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 걸림부(212b)가 형성된다.
어퍼레일(21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정상적인 상태에서, 상기 걸림단부(242)는 관통홀(212a) 및 돌출 걸림부(212b)를 포함하여 수직부(112)에 일체 닿지 않으므로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차량의 진행 중 충돌로 인해 시트가 전방으로 쏠리는 등의 원인으로 어퍼레일(210)의 후방이 상부로 들어올려지게 되는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213)가 굴곡부(223)에 접촉 및 지지되어 내측으로 오므라드는 변형을 하게 되고, 수직부(212) 또한 내측으로 오므라드는 변형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변형된 모습으로 어퍼레일(210)이 상승할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브래킷(240)의 걸림단부(242)가 돌출 걸림부(212b)에 걸리게 된다. 이때, 상기 걸림단부(242)는 그 끝단부가 관통홀(212a)에 삽입된다.
따라서, 이러한 이탈방지브래킷(240)에 의해 어퍼레일(21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력을 추가로 확보할 수 있다.
도 8에서와 같이, 이탈방지브래킷(240)의 걸림단부(242)는 외측 하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어퍼레일(210)측 돌출 걸림부(212b)는 내측 상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됨으로써 상호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어퍼레일(210)은 주로 그 길이방향으로 대부분의 영역이 가이드부(213)가 굴곡부(223)에 감싸져 수용되는 형태로 로어레일(220)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골국부(223)에 의한 이탈방지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레일(210)이 최후단으로 슬라이드되는 최악의 조건에 있어서 로어레일(220)을 벗어난 어퍼레일(210)의 후단부는 상기와 같은 지지되는 구조를 확보할 수 없어서, 차량의 진행 중 정면충돌 시 어퍼레일(210)은 로어레일(220)에 의한 지지력을 벗어나 그 후단으로부터 전방(즉, 반시계방향)으로 벗겨져 로어레일(220)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는 문제가 종래 있어왔다.
로어레일(220)의 후방 단부에 설치된 이탈방지브래킷(240)은 특히 이와 같은 상황에서 어퍼레일(210)을 잡아주어 그 이탈을 방지하는데 기여한다.
이탈방지브래킷(240)과 결합할 수 있는 어퍼레일(210)측 관통홀(212a)과 돌출 걸림부(212b)는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하나로 마련되거나 또는 어퍼레일(210)의 최소 슬라이드 피치 간격으로 2 이상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이탈방지브래킷(240)은 로어레일(220)의 바닥부(221) 상에 결합되어 면접한 부위에서 좌우 방향으로 아암단부(243)가 연장되어 상기 로어레일(220)의 굴곡부(223) 끝단(223a)과 상하로 대면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아암단부(243)에 의하면, 어퍼레일(210)측 가이드부(213)가 상기 아암단부(243)와 상기 굴곡부(223)의 끝단(223a) 사이에 개지됨으로써 그 변형의 범위가 제한된다.
즉, 어퍼레일(210)의 상승 시 상기 가이드부(213)의 변형 범위가 아암단부(243)와 굴곡부(223)의 끝단(223a)에 의해 제한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어퍼레일(210)이 변형으로 인해 로어레일(220)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트랙(300)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레일(upper rail, 310)과 로어레일(lower rail, 320), 양 레일(310, 320)의 사이에 개재되는 다수의 볼베어링 어셈블리(330), 상기 로어레일(320)에 설치되는 복수의 이탈방지브래킷(340, 3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탈방지브래킷(340, 350)은 그 하단부(341, 351)가 로어레일(320)의 바닥부(321)에 형성된 결합홀(321a)을 관통하여 삽입된 후 단조 성형됨으로써 상기 바닥부(321)에 고정 설치된다. 도 10 등에 도시된 하단부(341, 351)는 모두 단조 성형된 후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탈방지브래킷(340, 350)은 로어레일(320)의 전방 및 후방 단부에 각각 설치된다.
도 11은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시트트랙(300)의 결합 상태로서, 어퍼레일(310)이 시트트랙(300)의 설계상의 사용조건 하에서 로어레일(320)을 기준으로 최전방(도면에서는 좌측방향)으로 슬라이드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한 이탈방지브래킷(도 10의 340, 350) 중에서 전방의 것(340)은 도 11의 AA선을 따라 로어레일(320)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이며,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어퍼레일(310)의 수직부(312)에는 도 11의 AA선 상에서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특히 좌측 방향으로 일정 길이에 걸쳐 관통홀(도 10의 312a)이 연장 형성된다.
도 12는 도 11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가상의 단면도로서, 이를 통해 어퍼 및 로어레일(310, 320) 그리고 이탈방지브래킷(340)의 배치 및 결합관계를 더욱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어퍼레일(310)은 상단의 수평연장부(311)와, 그 좌우 양단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수직부(312)와, 각 수직부(312)의 하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313)가 형성된다.
로어레일(320)은 상기 어퍼레일(310)의 수평연장부(311)와 대면되게 좌우 수평으로 연장되는 바닥부(321)와, 이 바닥부(321)의 좌우 양단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다시 하방향으로 굴곡됨으로써 내측에 상기 가이드부(313)를 수용하는 굴곡부(323)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어퍼레일(310)의 가이드부(313)의 단부(313a)는 상기 굴곡부(323)의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부(323a)의 외측에 배치되어, 결과적으로 가이드부(313)가 굴곡부(323)에 좌우 및 상부에서 둘러싸인 모습이 된다.
이탈방지부재(340)는 로어레일(320)의 바닥부(321) 상에 탑재된 형태를 취하며 좌우 양측으로는 걸림단부(342)가 돌출되어 그 외측의 수직부(312)의 관통홀(312a)에 근접한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관통홀(312a)의 하단부에는 수직부(312)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 걸림부(312b)가 연하여 형성된다.
어퍼레일(31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정상적인 상태에서, 상기 걸림단부(342)는 관통홀(312a) 및 돌출 걸림부(312b)를 포함하여 수직부(312)에 일체 닿지 않으므로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차량의 진행 중 후방에서의 추돌로 인해 시트가 후방으로 젖히게 되는 경우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레일(310)에 외력(F1, F2)이 작용하게 되어 그 전방 부분이 상부로 들어 올려지게 된다.
이때, 로어레일(320)의 전방 단부에 상기와 같은 이탈방지브래킷(340)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도 14의 좌측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력(F1)으로 인해 어퍼레일(310)의 가이드부(313)가 상승하여 로어레일(320)측 굴곡부(323)에 접촉 및 변형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어퍼레일(310)의 전방 부분이 상승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이탈방지브래킷(340) 그리고 이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관통홀(312a)과 돌출 걸림부(312b)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도 14의 우측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레일(310)의 전방 부분이 외력(F1)에 의해 상승하게 되는 경우 이와 일체로 상승하게 되는 상기 돌출 걸림부(312b)가 이탈방지브래킷(340) 측의 걸림단부(342)에 걸려 지지됨으로써 상기 어퍼레일(310)의 추가적인 상승이 저지된다.
그 결과, 어퍼레일(310)이 상승되는 높이는 상기 이탈방지브래킷(340) 등이 구비되지 않은 도 14의 좌측 그림의 경우에 비해 크게 낮출 수 있다. 도 14에서는 d의 높이차로 표시된다.
따라서, 이탈방지브래킷(340) 등에 의해 어퍼레일(310)의 추가적인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브래킷(340)의 걸림단부(342)는 외측 하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어퍼레일(310)측 돌출 걸림부(312b)는 내측 상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됨으로써 상호 결합력 내지 구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어퍼레일(310)의 상승 시 돌출 걸림부(312a)가 이탈방지브래킷(340)의 걸림단부(342)에 걸려 지지되도록 한 구조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퍼레일(310)이 로어레일(320) 기준으로 최전방으로 슬라이드된 경우와 같이 레일(310, 320) 간 중첩되는 구간(L)이 최소인 관계로 상승하는 어퍼레일(310)이 이탈하지 않도록 그 가이드부(313)를 지지하는 굴곡부(323)의 지지력 또한 최소인 경우에 상기 지지력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어퍼레일(310)의 수직부(312)에 형성되는 관통홀(312a)과 돌출 걸림부(312b)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퍼레일(310)의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특히 좌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l)에 걸쳐 연장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어퍼레일(310)이 로어레일(320)의 전방으로 최대한 슬라이드된 위치를 포함하여 가이드부(313)에 대한 굴곡부(323)의 지지력이 비교적 취약한 일정 슬라이드 구간에서 상기 어퍼레일(310)이 외력에 의해 상승하는 경우 돌출 걸림부(312b)가 이탈방지브래킷(340)의 걸림단부(342)에 걸려 지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나아가, 도 12를 참조하면, 이탈방지브래킷(340)은 로어레일(320)의 바닥부(321) 상에 결합되어 면접한 부위에서 좌우 방향으로 아암단부(343)가 연장되어 가이드부(313)를 사이에 두고 상기 로어레일(320)의 굴곡부(323) 끝단(323a)과 상하로 대면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아암단부(343)에 의하면, 어퍼레일(310)의 상승 또는 하강 시 가이드부(313)의 이동 범위를 아암단부(343)와 굴곡부(323)의 끝단(323a)에 의해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는 도 11의 상태에서 차량의 진행 중 전방에서의 충돌로 인해 시트가 전방으로 쏠리게 되는 경우로서, 이때 어퍼레일(31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은 방향의 외력(F3, F4)이 작용하여 그 전방 부분이 하부로 내려앉게 된다.
이때, 로어레일(320)의 전방 단부에 상기와 같은 이탈방지브래킷(340)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도 16의 좌측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력(F3)으로 인해 어퍼레일(310)의 가이드부(313)가 하강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이와 함께 어퍼레일(310)의 전방 부분이 하강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이탈방지브래킷(340)의 아암단부(343)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도 16의 우측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레일(310)의 전방 부분이 외력(F3)에 의해 하강하게 되는 경우 이와 일체로 하강하게 되는 상기 가이드부(313)가 이탈방지브래킷(340) 측의 아암단부(343)에 접촉하여 지지됨으로써 상기 어퍼레일(310)의 추가적인 하강이 저지된다.
그 결과, 어퍼레일(310)이 하강하는 깊이는 상기 이탈방지브래킷(340)의 아암단부(343)가 구비되지 않은 도 16의 좌측 그림의 경우에 비해 상당히 줄일 수 있다. 도 16에서는 e의 깊이차로 표시된다.
반면에,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레일(310)이 상승하는 경우에는 가이드부(313)가 굴곡부 끝단(323a)에 접촉 회전하면서 변형이 생기게 되는데, 이때 상기 아암단부(343)는 가이드부(313)를 접촉 지지함으로써 추가적인 변형을 방지하며 이를 통해 어퍼레일(310)의 이탈을 방지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한편, 어퍼레일(310)의 하강 시 이탈방지브래킷(340)의 아암단부(343)로 지지하는 대신, 도 17의 우측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탈방지브래킷(340)의 전체 높이(h)를 조금 더 키워 그 상단면(344)이 어퍼레일(310)의 수평연장부(311) 저면에 근접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이를 통해 어퍼레일(310)의 하강 시 상기 수평연장부(311)를 지지함으로써 추가적인 하강을 저지토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어퍼레일(310)의 하강 깊이 e'는 상기 이탈방지브래킷(340)의 설정 높이(h)에 따라 적절하게, 예를 들어 도 16의 e보다 더 작은 값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상단면(344)은 아암단부(343)와 함께 형성되되, 이 아암단부(343)보다 먼저 어퍼레일(310)을 접촉 지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8은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시트트랙(300)의 결합 상태로서, 어퍼레일(310)이 시트트랙(300)의 설계상의 사용조건 하에서 로어레일(320)을 기준으로 최후방(도면에서는 우측방향)으로 슬라이드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한 이탈방지브래킷(도 10의 340, 350) 중에서 후방의 것(350)은 도 18의 BB선을 따라 로어레일(320)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이며,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어퍼레일(310)의 수직부(312)에는 도 18의 BB선 상에서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특히 우측 방향으로 일정 길이에 걸쳐 관통홀(도 10의 312c)이 연장 형성된다.
도 19는 도 18의 BB선을 따라 절단한 가상의 단면도로서, 어퍼레일(310)과 로어레일(320)의 형상 및 결합관계는 상기한 도 12의 경우와 동일하다.
이탈방지부재(350)는 로어레일(320)의 바닥부(321) 상에 탑재된 형태를 취하며 그 상단부에는 걸림단부(352)가 양측으로 돌출되어 그 외측의 수직부(312)의 관통홀(312c)에 근접한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관통홀(312c)의 하단부에는 수직부(312)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 걸림부(312d)가 연하여 형성된다.
어퍼레일(31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정상적인 상태에서, 상기 걸림단부(352)는 관통홀(312c) 및 돌출 걸림부(312d)를 포함하여 수직부(312)에 일체 닿지 않으므로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이탈방지브래킷(350)은 로어레일(320)의 바닥부(321) 상에 결합되어 면접한 부위에서 좌우 방향으로 아암단부(353)가 연장되어 가이드부(313)를 사이에 두고 상기 로어레일(320)의 굴곡부(323) 끝단(323a)과 상하로 대면하도록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차량의 진행 중 후방에서의 추돌로 인해 시트가 후방으로 젖히게 되는 경우에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레일(310)에 외력(F5, F6)이 작용하게 되어 그 후방 부분이 하부로 내려앉게 된다.
이때, 로어레일(320)의 후방 단부에 상기와 같은 이탈방지브래킷(350)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도 21의 좌측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력(F6)으로 인해 어퍼레일(310)의 가이드부(313)가 하강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이와 함께 어퍼레일(310)의 후방 부분도 하강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이탈방지브래킷(350)의 아암단부(353)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도 21의 우측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레일(310)의 후방 부분이 외력(F6)에 의해 하강하게 되는 경우 이와 일체로 하강하게 되는 상기 가이드부(313)가 이탈방지브래킷(350) 측의 아암단부(353)에 접촉하여 지지됨으로써 상기 어퍼레일(310)의 추가적인 하강이 저지된다.
그 결과, 어퍼레일(310)이 하강하는 깊이는 상기 이탈방지브래킷(350)의 아암단부(353)가 구비되지 않은 도 21의 좌측 그림의 경우에 비해 상당히 줄일 수 있다. 도 21에서는 f의 깊이차로 표시된다.
물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탈방지브래킷(350)의 높이(도 17의 h 참조)를 키움으로써 그 상단면(도 17의 244 참조)이 어퍼레일(310)을 접촉 지지토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8의 트랙(310, 320)간 결합 상태에서 차량의 진행 중 전방에서의 충돌로 인해 시트가 전방으로 쏠리게 되는 경우에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레일(310)에 외력(F7, F8)이 작용하게 되어 그 후방 부분이 상부로 크게 들어 올려지게 된다.
이때, 로어레일(320)의 후방 단부에 상기와 같은 이탈방지브래킷(350)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도 23의 좌측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강한 외력(F8)의 작용으로 인해 어퍼레일(310)의 가이드부(313)가 상승하여 로어레일(320)측 굴곡부(323)의 지지력을 이기고 상호 변형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어퍼레일(310)의 후방 부분이 크게 상승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이탈방지브래킷(350) 그리고 이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관통홀(312c)과 돌출 걸림부(312d)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도 23의 우측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레일(310)의 후방 부분이 외력(F8)에 의해 상승하게 되는 경우 이와 일체로 상승하게 되는 상기 돌출 걸림부(312d)가 이탈방지브래킷(350) 측의 걸림단부(352)에 걸려 지지됨으로써 상기 어퍼레일(310)의 추가적인 상승이 저지된다.
그 결과, 어퍼레일(310)이 상승되는 높이는 상기 이탈방지브래킷(350) 등이 구비되지 않은 도 23의 좌측 그림의 경우에 비해 크게 낮출 수 있다. 도 23에서는 g의 높이차로 표시된다.
따라서, 이탈방지브래킷(350) 등에 의해 어퍼레일(310)의 추가적인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때에도 상기한 전방의 이탈방지브래킷(34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후방의 이탈방지브래킷(350)의 걸림단부(352)는 외측 하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어퍼레일(310)측 돌출 걸림부(312d)는 내측 상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됨으로써 상호 결합력 내지 구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어퍼레일(310)의 상승 시 돌출 걸림부(312c)가 이탈방지브래킷(350)의 걸림단부(352)에 걸려 지지되도록 한 구조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퍼레일(310)이 로어레일(320) 기준으로 최후방으로 슬라이드된 경우와 같이 레일(310, 320) 간 중첩되는 구간(M)이 최소인 관계로 상승하는 어퍼레일(310)이 이탈하지 않도록 그 가이드부(313)를 지지하는 굴곡부(323)의 지지력 또한 최소인 경우에 상기 지지력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므로, 어퍼레일(310)의 수직부(312) 후방에 형성되는 관통홀(312c)과 돌출 걸림부(312d)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의 관통홀(312a) 및 돌출 걸림부(312b)와 마찬가지로 상기 어퍼레일(310)의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l)에 걸쳐 연장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어퍼레일(310)이 로어레일(320)의 후방으로 최대한 슬라이드된 위치를 포함하여 가이드부(313)에 대한 굴곡부(323)의 지지력이 비교적 취약한 일정 슬라이드 구간에서 상기 어퍼레일(310)이 외력에 의해 상승하는 경우 돌출 걸림부(312d)가 이탈방지브래킷(350)의 걸림단부(352)에 걸려 지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차량용 시트트랙(200, 300)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지 기술적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지 기술적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에 의해 정하여진다.

Claims (11)

  1. 상단의 수평연장부와 그 좌우 양단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부와 각 수직부의 하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가 형성된 어퍼레일과, 상기 수평연장부와 대면되게 연장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좌우 양단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다시 하방향으로 굴곡됨으로써 내측에 상기 가이드부를 수용하는 굴곡부가 형성되어 상기 어퍼레일과 길이방향으로 상대 슬라이드가 가능하도록 마련된 로어레일을 갖는 차량용 시트트랙에 있어서,
    상기 로어레일의 바닥부 상에는 상기 수평연장부와 한 쌍의 수직부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수용되도록 기립되는 이탈방지브래킷이 설치되고, 상기 이탈방지브래킷의 상단부에는 걸림단부가 양측으로 구비되어 그 외측의 수직부에 근접하게 돌출 형성되며,
    상기 어퍼레일의 수직부에는 상기 걸림단부에 대응하는 높이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하단부에는 상기 수직부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 걸림부가 형성되어, 상기 어퍼레일이 상기 수평연장부를 통한 외력의 작용으로 상방향으로 들려질 경우 상기 수직부가 내측으로 오므라드는 변형을 통해 상기 이탈방지브래킷의 걸림단부가 상기 돌출 걸림부에 걸리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트랙.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브래킷은, 상기 로어레일의 바닥부 상에서 좌우로 연장되어 상기 로어레일의 굴곡부 끝단과 상하로 대면하는 아암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아암단부는 상기 굴곡부 끝단과의 사이에 상기 어퍼레일의 가이드부를 개재시킴으로써 상기 가이드부가 변형될 수 있는 범위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트랙.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브래킷은 상기 로어레일의 후방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관통홀과 돌출 걸림부는, 상기 차량용 시트트랙의 사용조건 하에서 상기 어퍼레일이 상기 로어레일의 후방으로 최대한 슬라이드된 상태에서 상기 이탈방지브래킷의 걸림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트랙.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브래킷은 그 하단부가 상기 로어레일의 바닥부에 관통 삽입된 후 단조 성형됨으로써 상기 로어레일에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트랙.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브래킷의 걸림단부는 외측 하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되고,
    상기 어퍼레일측 관통홀 하단부의 돌출 걸림부는 내측 상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트랙.
  6. 상단의 수평연장부와 그 좌우 양단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부와 각 수직부의 하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가 형성된 어퍼레일과, 상기 수평연장부와 대면되게 연장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좌우 양단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다시 하방향으로 굴곡됨으로써 내측에 상기 가이드부를 수용하는 굴곡부가 형성되어 상기 어퍼레일과 길이방향으로 상대 슬라이드가 가능하도록 마련된 로어레일을 갖는 차량용 시트트랙에 있어서,
    상기 로어레일의 전,후방 단부의 각 바닥부 상에는 상기 수평연장부와 한 쌍의 수직부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수용되도록 기립되는 이탈방지브래킷이 고정 설치되고, 각 이탈방지브래킷의 좌우 양측으로는 걸림단부가 돌출되어 그 외측의 수직부에 근접하며,
    상기 어퍼레일의 수직부에는 상기 차량용 시트트랙의 사용조건 하에서 상기 어퍼레일이 상기 로어레일의 전방과 후방으로 최대한 슬라이드된 상대 위치에서 상기 이탈방지브래킷의 걸림단부에 대응하여 관통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하단부에 연장하여 상기 수직부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 걸림부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어퍼레일의 상승 시 전방 또는 후방의 돌출 걸림부가 상기 전방 또는 후방 단부의 이탈방지브래킷의 걸림단부에 걸려 지지됨으로써 상기 어퍼레일의 추가 상승을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트랙.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레일측 수직부의 관통홀과 돌출 걸림부는 상기 어퍼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에 걸쳐 연장 형성됨으로써, 상기 차량용 시트트랙의 사용조건 하에서 상기 어퍼레일이 상기 로어레일의 전방과 후방으로 최대한 슬라이드된 상대 위치를 포함하는 일정한 슬라이드 구간에서 상기 어퍼레일이 상승하는 경우 상기 전방 또는 후방의 돌출 걸림부가 상기 전방 또는 후방 단부의 이탈방지브래킷의 걸림단부에 걸려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어퍼레일의 추가 상승을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트랙.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브래킷은, 상기 로어레일의 바닥부 상에서 좌우로 연장되어 상기 로어레일의 굴곡부 끝단과 상하로 대면하는 아암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아암단부는 상기 굴곡부 끝단과의 사이에 상기 어퍼레일의 가이드부를 개재시킴으로써 상기 가이드부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트랙.
  9. 제6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브래킷은 그 상단면이 상기 어퍼레일의 수평연장부 저면에 인접되게 형성되어, 상기 어퍼레일의 하강 시 상기 수평연장부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어퍼레일의 추가 하강을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트랙.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브래킷은 그 하단부가 상기 로어레일의 바닥부에 관통 삽입된 후 단조 성형됨으로써 상기 로어레일에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트랙.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브래킷의 걸림단부는 외측 하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되고,
    상기 어퍼레일측 돌출 걸림부는 내측 상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트랙.
PCT/KR2012/001190 2011-08-18 2012-02-17 차량용 시트트랙 WO201302494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1963 2011-08-18
KR1020110081963A KR101199230B1 (ko) 2011-08-18 2011-08-18 차량용 시트트랙
KR1020120003640A KR101242421B1 (ko) 2012-01-12 2012-01-12 차량용 시트트랙
KR10-2012-0003640 2012-01-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24949A1 true WO2013024949A1 (ko) 2013-02-21

Family

ID=47715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01190 WO2013024949A1 (ko) 2011-08-18 2012-02-17 차량용 시트트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302494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88600A (zh) * 2018-02-07 2018-06-22 苏州司巴克自动化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油嘴上料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4462A (ja) * 1991-10-31 1993-05-21 Fuji Sheet Kk シートトラツク
KR100523922B1 (ko) * 2005-01-12 2005-10-26 (주)케이엠앤아이 차량용 시트트랙 고정장치
JP2006168688A (ja) * 2004-12-20 2006-06-29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2008024110A (ja) * 2006-07-20 2008-02-07 Fuji Kiko Co Ltd 自動車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4462A (ja) * 1991-10-31 1993-05-21 Fuji Sheet Kk シートトラツク
JP2006168688A (ja) * 2004-12-20 2006-06-29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100523922B1 (ko) * 2005-01-12 2005-10-26 (주)케이엠앤아이 차량용 시트트랙 고정장치
JP2008024110A (ja) * 2006-07-20 2008-02-07 Fuji Kiko Co Ltd 自動車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88600A (zh) * 2018-02-07 2018-06-22 苏州司巴克自动化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油嘴上料装置
CN108188600B (zh) * 2018-02-07 2023-06-09 苏州司巴克自动化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油嘴上料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9151271A2 (ko) 엘리베이터의 승장 도어 이탈 방지 구조
WO2009128688A2 (ko) 엘리베이터의 승장 도어 이탈 방지 구조
WO2010032972A2 (ko)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 및 이물질 끼임 방지구조
WO2013154282A1 (en) Assembly of airbag module and steering wheel
WO2013077649A1 (en) Apparatus for moving headrest
WO2014025143A1 (en) Track locking mechanism for vehicle seat
WO2017026695A1 (ko) 차량용 루프박스 장착장치
WO2014171672A1 (ko) 가드레일 단부 충격흡수장치
WO2018070702A1 (en) Headrest moving device and driving unit of headrest
WO2014168355A1 (ko) 승강장 안전발판 및 그 구동장치
JP5058269B2 (ja) エレベータかご及びその据付方法
WO2013024949A1 (ko) 차량용 시트트랙
WO2018038500A1 (ko) 서랍장 가구의 안전 잠금장치
WO2019172484A1 (ko) 유아동용 시트가 내장된 카시트.
WO2020022686A1 (ko) 비상용 엘리베이터 사다리 보관 장치
WO2014133242A1 (ko) 보행자 보호를 위한 화약식 후드 리프팅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KR101081305B1 (ko) 차량용 시트트랙
WO2010104236A1 (ko) 단층수직프레임을 구비한 장비수납용 랙 캐비넷
WO2017047894A1 (ko) 좌굴 유도형 차량용 크래쉬 박스 및 이를 갖는 차량용 백빔
WO2022030887A1 (ko) 차량용 시트레일의 회전방지장치
JP5676496B2 (ja) ガイドレールを支持するエレベータシステムドアフレーム
WO2017222224A1 (ko) 운전석 에어백 모듈의 장착 장치
WO2010016739A2 (ko)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방지장치
KR101242421B1 (ko) 차량용 시트트랙
WO2021096015A1 (ko) 자동차용 윈도우 승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82467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282467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