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2155B1 - 철도차량용 볼스터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용 볼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2155B1
KR101242155B1 KR1020110039374A KR20110039374A KR101242155B1 KR 101242155 B1 KR101242155 B1 KR 101242155B1 KR 1020110039374 A KR1020110039374 A KR 1020110039374A KR 20110039374 A KR20110039374 A KR 20110039374A KR 101242155 B1 KR101242155 B1 KR 101242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ster
suspension means
upper plate
underframe
low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9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1515A (ko
Inventor
김형준
민영정
강광호
이원상
Original Assignee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로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9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2155B1/ko
Publication of KR20120121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1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2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2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5/00Constructional details of bogies; Connections between bogies and vehicle underframe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 B61F5/02Arrangements permitting limited transverse relative movements between vehicle underframe or bolster and bogie; Connections between underframes and bogies
    • B61F5/04Bolster supports or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5/00Constructional details of bogies; Connections between bogies and vehicle underframe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 B61F5/02Arrangements permitting limited transverse relative movements between vehicle underframe or bolster and bogie; Connections between underframes and bogies
    • B61F5/04Bolster supports or mountings
    • B61F5/10Bolster supports or mountings incorporating fluid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5/00Constructional details of bogies; Connections between bogies and vehicle underframe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 B61F5/50Othe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11/00Buffers
    • B61G11/12Buffers with fluid springs or shock-absorbers; Combinatio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11/00Buffers
    • B61G11/1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23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fluid means
    • F16F15/023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fluid means with at least one gas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02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차량용 볼스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언더프레임의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현가수단이 설치되는 하판과, 상기 상판 및 하판 사이를 이격하고 그 둘레를 폐쇄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상판 및 하판 사이의 내부공간을 밀폐하는 측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고, 상기 상판 및 하판 사이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내부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격벽이 구비되되, 상기 격벽은 상기 내부공간의 중앙에 위치하며 상기 상판 및 하판의 길이방향에 횡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볼스터가 언더프레임에서 분리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현가수단의 설치가 언더프레임과 대차 조립 전에 이루어져 현가수단 설치시 종래처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현가수단인 공기스프링에 공기 주입이나 높이조절 등의 세팅작업도 보다 수월하게 할 수 있고, 또 현가수단의 특성치 변경 및 구조설계 변경 등의 이유로 볼스터의 수정작업이 들어갈 경우, 볼스터만 단독으로 이동 및 수정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거대한 구조물인 언더프레임의 이동이 필요 없어 볼스터의 수정작업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최소화되고, 또한 볼스터의 내부공간이 보조공기통 역할을 수행하여 현가수단인 공기스프링은 종래보다 공기수용 용량이 증대되어 진동과 소음을 감쇄하는 능력이 향상됨으로써, 언더프레임을 통해 객실바닥으로 전달되는 소음과 진동이 감소하여 승차감이 향상되는 특출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철도차량용 볼스터{Bolster for railway vehicle}
본 발명은 철도차량용 볼스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철도차량의 언더프레임 및 대차 사이에 현가수단을 설치하기 위한 볼스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에는 차체와 대차 사이에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을 차체로 전달되는 것을 감쇄하여 차체에 승차감을 좋게 하기 위해 현가수단이 설치되는데, 틸팅 철도차량과 같은 고속열차에는 주로 공기스프링이 설치되며, 기타 각종 댐퍼, 안티롤바 등이 설치된다.
상기 현가수단인 공기스프링은 고무로 된 용기 안에 압축공기를 넣어 공기의 탄성을 이용한 스프링으로, 또 고주파진동의 절연성이 좋기 때문에 진동 감쇄는 물론이고 삐걱거리는 소음도 적어 많이 사용한다.
따라서 차체의 하부를 이루는 언더프레임에는 상기 현가수단을 설치하기 위해서 볼스터가 꼭 필요하였다. 그 이유는 언더프레임은 여러 개의 빔으로 이루어져 형성되어 빔들 사이에 빈공간이 존재하고, 또 상기 볼스터에 현가수단의 고정위치를 나타내 주면 현가수단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종래의 볼스터(10)는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두께의 직사각 판으로 이루어지며, 언더프레임(20)의 하부에 이 언더프레임(20)의 길이방향과 횡 방향으로 부착되어 용접을 통해 일체로 설치되었다.
또 상기 볼스터(10)의 하면에는 공기스프링(41)과 같은 현가수단(40)을 설치하기 위한 고정부(11)가 형성되어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볼스터(10)는 여러 가지로 많은 문제를 야기하였다. 즉, 종래의 볼스터(10)는 언더프레임(20)과 일체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현가수단(40) 설치시 반드시 언더프레임(20)과 대차(30) 간에 조립이 이루어진 후에 수행되어야하므로, 언더프레임(20)과 대차(30) 사이에 공간이 비좁아 현가수단(40)인 공기스프링(41)의 공기 주입이나 높이조절 등의 세팅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 현가수단(40)의 설치를 마친 다음에 현가수단(40)의 특성치 변경 및 구조설계 변경 등의 이유로 언더프레임(20)의 하부에 용접된 볼스터(10)의 수정작업이 들어갈 경우, 장착된 현가수단(40)을 먼저 분리하고, 언더프레임(20)을 대차(30)에서 분리한 후, 이 언더프레임(20)을 차체 가공장비로 이동하여 수정하고, 수정작업이 완료된 다음, 다시 언더프레임(20)과 대차(30)를 조립하여야 하기 때문에, 거대한 구조물인 언더프레임(20) 분리와 이동 및 수정작업에 따른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볼스터(10)는 일정두께의 판으로 언더프레임(20)의 하부에 전체적으로 용접을 통해 고정되었기 때문에, 현가수단(40)인 공기스프링(41)이 진동과 소음을 감쇄하는 능력이 초과할 경우에는 초과한 진동과 소음은 언더프레임(20)을 통해 객실바닥으로 전달되어 승차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현가수단의 설치가 차체의 언더프레임과 대차 조립전에 완료되게 하여 현가수단 설치 및 세팅작업이 비좁은 공간에서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현가수단의 특성치 변경 및 구조설계 변경 등의 이유로 볼스터의 수정작업이 들어갈 경우, 볼스터의 수정작업에 따른 시간과 비용이 최소화 되도록 하는 것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현가수단인 공기스프링에 진동과 소음을 감쇄하는 능력이 증대되게 하고, 현가수단인 공기스프링이 감쇄하지 못한 진동과 소음이 언더프레임을 통해 객실바닥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소음과 진동으로 승차감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언더프레임 및 대차 사이에 현가수단을 설치하기 위한 볼스터로서, 상기 언더프레임의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현가수단이 설치되는 하판과, 상기 상판 및 하판 사이를 이격하고 그 둘레를 폐쇄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상판 및 하판 사이의 내부공간을 밀폐하는 측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고, 상기 상판 및 하판 사이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내부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격벽이 구비되되, 상기 격벽은 상기 내부공간의 중앙에 위치하며 상기 상판 및 하판의 길이방향에 횡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볼스터가 언더프레임에서 분리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현가수단의 설치가 언더프레임과 대차 조립 전에 이루어져 현가수단 설치시 종래처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현가수단인 공기스프링에 공기 주입이나 높이조절 등의 세팅작업도 보다 수월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현가수단의 특성치 변경 및 구조설계 변경 등의 이유로 볼스터의 수정작업이 들어갈 경우, 볼스터만 단독으로 이동 및 수정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거대한 구조물인 언더프레임의 이동이 필요 없어 볼스터의 수정작업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볼스터는 내부공간이 보조공기통 역할을 수행하여 현가수단인 공기스프링은 종래보다 공기수용 용량이 증대되어 진동과 소음을 감쇄하는 능력이 향상됨으로써, 언더프레임을 통해 객실바닥으로 전달되는 소음과 진동이 감소하여 승차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발명에 따른 볼스터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발명에 따른 볼스터에 현가수단이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볼스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볼스터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5는 4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6, 7은 본 발명에 따른 볼스터에 현가수단이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볼스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하기의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아울러,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것은 고유의 통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도 3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언더프레임(200) 및 대차(300) 사이에 현가수단(400)을 설치하기 위한 볼스터(100)로서,
상기 볼스터(100)는 상기 언더프레임(200)의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판(110)과, 상기 상판(110)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현가수단(400)이 설치되는 하판(120)과, 상기 상판(110) 및 하판(120) 사이를 이격하고 그 둘레를 폐쇄하여 상기 상판(110) 및 하판(120) 사이의 내부공간(140)을 밀폐하는 측판(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판(110)과 하판(120) 및 측판(130)은 모두 용접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고, 또 상기 현가수단(400)은 용기 안에 압축공기를 넣어 공기의 탄성을 이용한 공기스프링(410)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상판(110) 및 하판(120) 사이의 내부공간(140)에는 이 내부공간(140)을 구획하기 위한 격벽(150)이 더 구비된다.
상기 격벽(150)은 상기 내부공간(140)의 중앙에 위치하며 상기 상판(110) 및 하판(120)의 길이방향에 횡 방향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상판(110)의 양측 가장자리는 상기 언더프레임(200)의 하부에 설치되기 위해 상기 측판(130) 보다 외부로 연장되는 플랜지부(111)가 더 구비된다.
상기 플랜지부(111)에는 상기 언더프레임(200)의 하부에 볼스터(100)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B)가 삽입되는 복수 개의 체결공(111a)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하판(120)의 양측에는 상기 현가수단(400)인 공기스프링(410)이 설치하기 위한 스프링시트(121)가 더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시트(121)의 중앙에는 상기 현가수단(400)인 공기스프링(410)의 노즐(411)과 상기 내부공간(140)을 연결되기 위한 연결구(121a)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상판(110) 및 하판(120)의 양측에는 이격된 상기 상판(110) 및 하판(120)의 가장자리에 휨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대(16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하판(120) 하부에는 현가수단(400)인 공기스프링(410) 이외에 다른 현가수단인 댐퍼 등이 고정되는 브래킷(170)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가수단(400)을 설치할 경우, 대차(300)에 현가수단(400)의 일부분을 조립하고, 대차(300)의 상부에 볼스터(100)를 올려놓은 다음, 이 볼스터(100)의 하판(120) 하부에 현가수단(400)의 나머지 부분을 조립하여 현가수단(400)이 대차(300)와 볼스터(100) 사이에 완전히 조립되도록 한다.
이때, 볼스터(100)의 하판(120) 하부 양측에는 스프링시트(121)가 형성되어 있음으로, 현가수단(400)인 공기스프링(410)은 스프링시트(121)에 용이하게 안착하면서 볼스터(100)의 하부 양측에 각각 고정된다.
따라서 현가수단(400)인 공기스프링(410)에 공기 주입이나 높이조절 등의 세팅작업이 종래처럼 설치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아 수월하게 이루어진다.
이후, 현가수단(400)이 설치된 대차(300) 및 볼스터(100)의 상판(110) 상부에 언더프레임(200)을 올려놓고, 상기 상판(110)의 플랜지부(111)와 언더프레임(200)을 체결부재(B)로 고정하면 언더프레임(200) 및 대차(300) 사이에 현가수단(400)의 설치가 끝나게 된다.
또, 현가수단(400)의 설치를 마친 다음에, 현가수단(400)의 특성치 변경 및 구조설계 변경 등의 이유로 볼스터(100)의 수정작업이 들어갈 경우, 상기 볼스터(100)의 상판과 언더프레임(200)을 고정한 체결부재(B)를 풀고, 언더프레임(200)을 들어올리면 언더프레임(200)과 볼스터(100)은 분리된다.
이후, 볼스터(100)에 장착된 현가수단(400)을 분리하고, 분리된 볼스터(100)만 차체 가공장비로 이동하여 수정하고, 수정작업이 완료된 다음, 다시 현가수단(400)을 조립하면 되므로, 거대한 구조물인 언더프레임(200)의 이동이 필요 없어 볼스터(100)의 수정작업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볼스터(100)는 스프링시트(121)의 중앙에 형성된 연결구(121a)가 현가수단(400)인 공기스프링(410)의 노즐(411)과 볼스터(100)의 내부공간(140)을 연결하기 때문에, 상기 내부공간(140)은 보조공기통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현가수단(400)인 공기스프링(410)은 볼스터(100)의 내부공간(140)이 더해져 종래보다 공기수용 용량이 증대되어 많은 공기를 담을 수 있다.
따라서 대차(300)에 진동과 소음이 발생하면, 상기 진동과 소음은 현가수단(400)인 공기스프링(410)은 전달되고, 이때 공기스프링(410)는 진동과 소음을 감쇄하는 능력이 종래보다 향상됨으로써, 언더프레임(200)을 통해 객실바닥으로 전달되는 소음과 진동은 감소하게 된다.
한편, 볼스터(100)의 상판(110) 및 하판(12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보강대(160)는 이격된 상판(110) 및 하판(120)이 외부 충격에 의해 휘는 것을 방지하고 상판(110) 및 하판(120)의 결합력을 증대하기 위함이다.
10: 볼스터 20: 언더프레임
30: 대차 40: 현가수단
41: 공기스프링 100: 볼스터
110: 상판 111: 플랜지부
111a: 체결공 120: 하판
121: 스프링시트 121a: 연결구
130: 측판 140: 내부공간
150: 격벽 160: 보강대
170: 브래킷 200: 언더프레임
300: 대차 400: 현가수단
410: 공기스프링 411: 노즐
B: 체결부재

Claims (8)

  1. 철도차량의 언더프레임 및 대차 사이에 현가수단을 설치하기 위한 볼스터로서,
    상기 언더프레임의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현가수단이 설치되는 하판과,
    상기 상판 및 하판 사이를 이격하고 그 둘레를 폐쇄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상판 및 하판 사이의 내부공간을 밀폐하는 측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고,
    상기 상판 및 하판 사이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내부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격벽이 구비되되,
    상기 격벽은 상기 내부공간의 중앙에 위치하며 상기 상판 및 하판의 길이방향에 횡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볼스터.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양측 가장자리는 상기 언더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기 위해 상기 측판 보다 외부로 연장되는 플랜지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볼스터.
  5.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현가수단은 용기 안에 압축공기를 넣어 공기의 탄성을 이용한 공기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볼스터.
  6. 청구항 5 에 있어서,
    상기 하판의 양측에는 상기 공기스프링이 설치하기 위한 스프링시트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볼스터.
  7. 청구항 6 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시트의 중앙에는 상기 공기스프링의 노즐과 상기 내부공간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볼스터.
  8.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상판 및 하판의 양측에는 이격된 상기 상판 및 하판의 가장자리에 휨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볼스터.
KR1020110039374A 2011-04-27 2011-04-27 철도차량용 볼스터 KR101242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374A KR101242155B1 (ko) 2011-04-27 2011-04-27 철도차량용 볼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374A KR101242155B1 (ko) 2011-04-27 2011-04-27 철도차량용 볼스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1515A KR20120121515A (ko) 2012-11-06
KR101242155B1 true KR101242155B1 (ko) 2013-03-11

Family

ID=47507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9374A KR101242155B1 (ko) 2011-04-27 2011-04-27 철도차량용 볼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21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27653A1 (de) * 2022-05-25 2023-11-30 Siemens Mobility Austria Gmbh Schienenfahrzeug mit einer luftfederu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98780B2 (ja) * 2017-06-08 2021-07-07 川崎重工業株式会社 鉄道車両台車の枕梁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5667A (ja) 2000-06-13 2001-12-26 Toyo Tire & Rubber Co Ltd 空気ばね及び空気ばねの組立方法
KR20080019983A (ko) * 2006-08-30 2008-03-05 현대로템 주식회사 전동차용 볼스터 일체형 조립 구조체
KR20090109048A (ko) * 2008-04-14 2009-10-19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차체 구조
KR20110006142A (ko) * 2009-07-13 2011-01-2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차량용 차체 구조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5667A (ja) 2000-06-13 2001-12-26 Toyo Tire & Rubber Co Ltd 空気ばね及び空気ばねの組立方法
KR20080019983A (ko) * 2006-08-30 2008-03-05 현대로템 주식회사 전동차용 볼스터 일체형 조립 구조체
KR20090109048A (ko) * 2008-04-14 2009-10-19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차체 구조
KR20110006142A (ko) * 2009-07-13 2011-01-2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차량용 차체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27653A1 (de) * 2022-05-25 2023-11-30 Siemens Mobility Austria Gmbh Schienenfahrzeug mit einer luftfeder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1515A (ko) 2012-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219556A1 (zh) 转向架
JP6356342B2 (ja) 軌条車両
CN110341733B (zh) 一种轨道车辆用地板减震结构及轨道车辆
AU2017279685B2 (en) Vehicle cab suspension
KR101242155B1 (ko) 철도차량용 볼스터
KR101650059B1 (ko) 철도 차량용 대차
CN112061164B (zh) 一种转向架
CN104139694B (zh) 一种用于悬置支架的悬置软垫结构及悬置支架总成
JP7103826B2 (ja) 防振材の構造及び防振床構造を有する鉄道車両
JP2018030395A (ja) 鉄道車両用台車
JP6082709B2 (ja) 移動体の床面支持構造
KR101417982B1 (ko) 대륙철도차량용 대차의 현가장치
CN109835796B (zh) 一种隔音减振轿厢
CN215826704U (zh) 车下设备吊挂结构及轨道车辆
JP6796470B2 (ja) 鉄道車両用台車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336032B2 (ja) 動吸振器の取付方法及び鉄道車両
JP6520649B2 (ja) 車両用シートの取付構造
CN210854872U (zh) 一种用于货梯的支撑装置
JP7315423B2 (ja) 軌条車両
CN214648292U (zh) 轴箱定位装置及转向架
CN214492923U (zh) 轴箱体及具有该轴箱体的转向架
JP6772338B2 (ja) 鉄道車両の床面構造
JP2002104181A (ja) 車両の車体弾性振動防止方法および同車体構造
KR200218709Y1 (ko) 철도차량용 2차 현가장치
KR101402790B1 (ko) 대륙철도차량용 대차의 충격흡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