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1436B1 - 접이식 이륜차 - Google Patents

접이식 이륜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1436B1
KR101241436B1 KR1020100088053A KR20100088053A KR101241436B1 KR 101241436 B1 KR101241436 B1 KR 101241436B1 KR 1020100088053 A KR1020100088053 A KR 1020100088053A KR 20100088053 A KR20100088053 A KR 20100088053A KR 101241436 B1 KR101241436 B1 KR 101241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frame
frame
front frame
insertion hole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8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5880A (ko
Inventor
경진화
Original Assignee
경진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진화 filed Critical 경진화
Priority to KR1020100088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1436B1/ko
Publication of KR20120025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5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1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1436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이륜차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앞바퀴 및 뒷바퀴와, 상기 앞바퀴를 지지하는 전방 프레임과, 상기 뒷바퀴를 지지하는 후방 프레임과, 상기 전방프레임과 상기 후방프레임을 연결하며 상기 전방프레임 및 상기 후방프레임이 좌우방향과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접힌상태와 펼친상태 사이에서 위치이동가능하게 하는 링크 기구수단을 포함하는 접이식 이륜차에 있어서,
상기 링크 기구수단은,
상기 전방프레임과 상기 후방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축을 이루는 축부재; 펼친상태와 접힌상태에서 상기 전방프레임과 상기 후방프레임의 자세를 고정하는 록킹위치와, 상기 전방프레임과 상기 후방프레임의 자세 고정을 해제하는 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록킹수단; 및 상기 록킹수단을 록킹위치로 탄성바이어스되게 하는 탄성바이어스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접이식 이륜차{Collapsible two-wheel vehicle}
본 발명은 접이식 이륜차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터치 방식에 의하여 쉽게 접거나 펼 수 있는 접이식 이륜차에 대한 것이다.
최근 환경문제가 대두하면서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많이 사용하는 자동차 등의 교통수단 대신에 오염물질을 전혀 배출하지 않거나 적게 소모하는 자전거, 전동 자전거, 오토바이, 등 각종 이륜차를 사용하자는 움직임이 점차 확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자전거 전용도로 등의 기반시설에 대한 투자도 점차 늘고 있는 추세이다. 이렇게 이륜차의 다양한 긍정적 측면에도 불구하고, 급격한 도시화 및 인구집중으로 인하여 주거형태가 아파트와 같은 집단주거형태로 변화하면서 협소한 주거공간으로 인하여 이륜차의 보관이 점차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이륜차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앞바퀴와 뒷바퀴를 분리 제작한 후, 양쪽으로 분리된 양쪽 프레임을 링크 기구수단으로 연결하고, 상기 링크 기구수단을 이용하여 이륜차를 접거나 펼 수 있는 접이식 이륜차가 개발됨으로써, 보관이나 운송시에 이륜차의 부피로 인하여 발생하였던 문제점을 어느 정도 해결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접이식 이륜차의 경우 전방/ 후방 프레임을 접거나 펼치는 과정에 있어서, 그 전방/ 후방 프레임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나사를 돌리는 등의 복잡한 조작이 필요하거나, 링크 기구수단이 견고하게 결합되지 않아 외부의 충격으로 링크 기구수단이 쉽게 풀리면서 사고가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접거나 펼치기 위하여 복잡한 조작이 필요없고 외부의 충격으로 인하여 링크 기구수단이 쉽게 풀리지 않는 접이식 이륜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게 위한 본 발명의 접이식 이륜차는, 앞바퀴 및 뒷바퀴와, 상기 앞바퀴를 지지하는 전방 프레임과, 상기 뒷바퀴를 지지하는 후방 프레임과, 상기 전방프레임과 상기 후방프레임을 연결하며 상기 전방프레임 및 상기 후방프레임이 좌우방향과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접힌상태와 펼친상태 사이에서 위치이동가능하게 하는 링크 기구수단을 포함하는 접이식 이륜차에 있어서,
상기 링크 기구수단은,
상기 전방프레임과 상기 후방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축을 이루는 축부재;
펼친상태와 접힌상태에서 상기 전방프레임과 상기 후방프레임의 자세를 고정하는 록킹위치와, 상기 전방프레임과 상기 후방프레임의 자세 고정을 해제하는 해제위치 사이에서 위치이동하는 록킹수단; 및
상기 록킹수단을 상기 록킹위치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바이어스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접이식 이륜차는,
상기 전방프레임에는 상기 축부재가 관통하는 제1관통공과, 상기 제1관통공의 주위에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삽입공과, 상기 제1삽입공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삽입공이 마련되고,
상기 후방프레임에는 상기 축부재가 관통하는 제2관통공과, 펼친상태에서는 제1삽입공과 좌우방향으로 연통되고 상기 접힌상태에서는 상기 제2삽입공과 좌우방향으로 연통되는 제3삽입공이 마련되며,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펼친상태에서 상기 제1삽입공 및 상기 제3삽입공을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접힌상태에서는 상기 제1삽입공 및 상기 제3삽입공을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록킹핀을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접이식 이륜차는,
상기 록킹수단이,
상기 록킹핀과 연동되어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되 상기 축부재의 중앙을 관통하는 삽입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접이식 이륜차에서,
상기 삽입핀의 일단에는 상기 삽입핀보다 단면적이 큰 가압판이 고정결합되며, 상기 록킹핀은 상기 가압판과의 사이에 후방프레임을 두고 상기 가압판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접이식 이륜차에서,
상기 탄성바이어스부재는, 상기 가압판과 상기 후방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접이식 이륜차에서,
상기 삽입핀의 타단에는 상기 삽입핀과 수직방향으로 그 삽입핀에 고정결합되는 지지판이 배치되고 상기 록킹핀은 상기 지지판에 상기 삽입핀과 평행하게 놓이도록 고정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접이식 이륜차에서,
상기 전방프레임과 상기 후방프레임은 속이 빈 통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전방프레임과 상기 후방프레임의 내부에는 브레이크 작동을 위한 와이어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접이식 이륜차는, 록킹수단이 록킹위치와 해제위치 사이를 위치이동하고 탄성바이어스부재는 상기 록킹수단을 록킹위치로 탄성바이어스시킴에 따라서, 상기 록킹위치에 위치하는 록킹수단은 해제위치로 이동시키는 간편한 동작에 m이하여 상기 접이식 이륜차의 접거나 펼치는 동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어 조작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록킹수단은 평상시에는 탄성바이어스부재에 의하여 록킹위치로 탄성바이어스되고 있으므로 링크 기구수단이 쉽게 풀리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접이식 이륜차의 펼친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접이식 이륜차의 주요부분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2의 Ⅳ-Ⅳ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작동도.
도 6은 도 1의 접이식 이륜차가 접힌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의 용어 중에서 "펼친 상태"라는 것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륜차를 타기 위하여 전방프레임과 후방프레임이 대략적으로 전후방향으로 펼쳐져 있는 상태를 말하고, "접힌 상태"라 함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륜차의 보관들을 위하여 전방프레임과 후방프레임을 대략 상하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시킨 상태를 말한다. 또한, "록킹위치"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프레임과 후방프레임을 각각 위치고정하는 록킹수단의 위치를 말하며, "해제위치"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프레임 및 후방프레임이 상대적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록킹수단의 위치를 말하는 것으로서 이하 명세서에서 상기 용어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이륜차(10)는, 앞바퀴(11) 및 뒷바퀴(12)와, 상기 앞바퀴(11)를 지지하는 전방프레임(20)과, 상기 뒷바퀴(12)를 지지하는 후방프레임(30)과, 상기 전방프레임(20)과 상기 후방프레임(30)을 연결하며 상기 전방프레임(20) 및 상기 후방프레임(30)이 좌우방향과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접힌상태와 펼친상태 사이에서 위치이동가능하게 하는 링크 기구수단(40)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접이식 이륜차(10)는, 앞바퀴(11)와 뒷바퀴(12), 전방프레임(20), 후방프레임(30) 및 링크 기구수단(40)을 포함한다.
상기 앞바퀴(11)와 뒷바퀴(12)는 이륜차(10)의 전방 및 후방측에 배치되는 바퀴로서 통상적으로 이륜차(10)에 사용되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전방프레임(20)은 일측에는 앞바퀴(11)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그 앞바퀴(11)를 지지하고 타측에는 상기 후방프레임(30)과 결합되는 판형상의 전방결합부가 배치된다. 상기 전방결합판(21)이 배치된다. 한편, 상기 전방프레임(20)의 앞바퀴의 지지는 직접적으로 지지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다른 프레임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지지하는 것도 포함되는 것이다. 이러한 전방결합판(21)에는 축부재(41)가 관통하도록 중앙에 원형의 제1관통공(211)이 되고, 상기 제1관통공(211)의 주위에는 상기 제1관통공(211)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1관통공(211)을 사이에 두고 양쪽에 배치된 한 쌍의 제1삽입공(21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삽입공(212)의 주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서 상기 제1삽입공(212)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제2삽입공(213)이 형성된다. 상기 제1삽입공(212)은 한 쌍이 상기 제1관통공(211)을 사이에 두고 양쪽에 배치된다.
상기 후방프레임(30)은 상기 일측에는 뒷바퀴(12)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그 뒷바퀴(12)를 지지하고 타측에는 상기 전방프레임(20)과 결합되는 후방결합부(31)가 배치된다. 한편, 상기 후방프레임(30)의 뒷바퀴의 지지는 직접적으로 지지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다른 프레임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지지하는 것도 포함되는 것이다.상기 후방결합부(31)에는 상기 전방결합판(21)이 끼워져 삽입될 수 있는 슬롯(311)이 중앙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후방결합부(31)의 중앙에는 상기 축부재(41)가 관통할 수 있으며 상기 제1관통공(211)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관통공(312)이 배치된다. 이러한 제2관통공(312)의 주위에는 상기 제1관통공(211)과 상기 제1삽입공(212)이 이격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3삽입공(313)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제3삽입공(313)은 펼친상태에서는 제1삽입공(212)과 좌우방향으로 연통되고 접힌 상태에서는 상기 제1삽입공(212)과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각 상태에 따라서 후술하는 록킹수단(42)의 록킹핀(421)이 관통되어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링크기구수단은, 축부재(41), 록킹수단(42), 탄성바이어스부재(43)를 포함한다.
상기 축부재(41)는, 그 중앙에 좌우방향으로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대체적으로 원통의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서 상기 전방프레임(20)과 상기 후방프레임(30)을 관통하여 회전축을 이루는 것이다. 이러한 축부재(41)는, 축핀부재(411)와 너트부재(412)로 이루어진다.
상기 축핀부재(411)는, 일단에 후방프레임(30)에 걸리는 플렌지형상의 플렌지부(411a)와 그 플렌지부(411a)로부터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부(411b)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몸체부(411b)의 끝단에는 상기 너트부재(412)와 나사결합될 수 있는 나삿니(411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너트부재(412)는 상기 축부재(41)를 위치고정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중앙에 상기 후방프레임(30)을 사이에 두고 상기 플렌지와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너트부재(412)는 축핀부재(411)의 나삿니(411c)와 나사결합된다.
상기 록킹수단(42)은, 펼친상태와 접힌상태에서 상기 전방프레임(20)과 상기 후방프레임(30)의 자세를 고정하는 록킹위치와 상기 전방프레임(20)과 상기 후방프레임(30)의 자세 고정을 해제하는 해제위치사이에서 위치이동하는 것이다. 이러한 록킹수단(42)은, 록킹핀(421), 지지판(422), 삽입핀(423) 및 가압판(424)을 포함한다.
상기 록킹핀(421)은, 펼친상태에서는 상기 제1삽입공(212)과 상기 제3삽입공(313)을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접힌상태에서는 상기 제1삽입공(212) 및 상기 제3삽입공(313)을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핀이다. 이러한 구체적으로 록킹핀(421)은 록킹상태에서는 제1삽입공(212) 또는 제2 및 제3삽입공(313)을 관통하여 삽입되며, 해제상태에서는 제3삽입공(313)에만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지지판(422)은, 상기 삽입핀(423)의 타단에 상기 삽입핀(423)과 수직방향으로 그 삽입핀(423)에 고정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록킹핀(421)은 상기 지지판(422)에 상기 삽입핀(423)과 평행하게 놓이도록 고정결합된다. 이러한 지지판(422)은 상기 삽입핀(423)과 연동되어 함께 좌우방향으로 위치이동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록킹위치와 해제위치를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삽입핀(423)은, 상기 록킹핀(421)과 연동되어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되 상기 축부재(41)의 중앙을 관통하는 것이다. 상기 삽입핀(423)은 상기 록킹핀(421)이 전방프레임(20)의 제1 또는 제2삽입공(212, 213)에 삽입되거나 빠져나올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를 갖는다.
상기 가압판(424)은, 상기 삽입핀(423)의 일단에 고정결합되는 것으로서 그 삽입핀(423)보다 단면적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록킹핀(421)은 상기 가압판(424)과의 사이에 후방프레임(30)을 두고 상기 가압판(424)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바이어스부재(43)는 상기 록킹수단(42)을 록킹위치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압축코일스프링이 사용된다. 이러한 탄성바이어스부재(43)는 상기 가압판(424)과 상기 후방프레임(30)의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면번호 44, 45, 46, 47, 48, 49 는 각각 제1환상체, 제2환상체, 볼, 와셔, 스페이서 및 막음판을 지칭한다.
상기 제1환상체(44)는, 제1관통공(211)의 내벽면에 접촉되며 그 제1관통공(211)과 상기 축부재(41)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제2환상체(45)는 상기 축부재(41)의 외벽면에 접촉되면서 상기 제1환상체(44)와 상기 축부재(41)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볼(46)은 상기 제1환상체(44)와 제2환상체(45)와 서로 미끄럼 접촉될 수 있도록 축지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1환상체(44) 및 제2환상체(45) 및 볼(46)은 모두 후방프레임(30)이 축부재(41)에 대하여 상대적인 회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다.
상기 스페이서(48)는 상기 삽입핀(423)의 타단측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그 사이에는 지지판(422)이 배치되어 그 지지판(422)을 위치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막음판(49)은 상기 스페이서(48)의 단부에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막음판(49)에는 상기 스페이서(48), 지지판(422) 및 삽입핀(423)을 관통하는 고정볼(46)트가 배치된다.
한편, 상기 전방프레임(20)과 상기 후방프레임(30)은 속이 빈 통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전방프레임(20)과 상기 후방프레임(30)의 내부에는 브레이트 작동을 위한 와이어(50)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접이식 이륜차(10)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가진다.
도 1 내지 4에서는 펼친 상태에 있는 이륜차(10)가 도시되는 데, 이때 상기 록킹핀(421)은 제3삽입공(313)과 제1삽입공(212)을 관통하여 삽입된다. 이와 같이 록킹상태에서 상기 록킹핀(421)이 그 제3삽입공(313)과 제1삽입공(212)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전방프레임(20)과 후방프레임(30)은 상대적인 회전이 억제되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록킹핀(421)은 후방프레임(30)을 사이에 두고 그 반대측에 배치된 가압판(424)을 탄성바이어스부재(43)가 가압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록킹핀(421)이 상기 제1 및 제3삽입공(212, 313)으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펼친 상태에 놓여진 이륜차(10)를 접힌 상태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판(424)을 누른다. 이와 같이 가압판(424)이 눌리면 상기 가압판(424)과 함께 삽입핀(423), 지지판(422) 및 록킹핀(421)이 함께 연동되어 우측으로 밀리게 된다. 이때 록킹핀(421)은 제1삽입공(212)으로부터 빠져나가게 된다. 이와 같이 록킹핀(421)이 그 제1삽입공(212)으로부터 빠져나게 되어 해제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전방프레임(20)과 후방프레임(30)의 자세 고정이 해제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방프레임(20)은 후방프레임(30)에 대하여 회전축을 중심으로하여 회전할 수 있는 상태에 놓이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해제상태에 놓이게 된 후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프레임(20)을 후방프레임(30)에 대하여 근접하도록 회전시켜 접혀질 수 있도록 한다. 즉, 접힌 상태에 놓일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접힌 상태에 놓인 경우에는 상기 록킹핀(421)이 제2삽입공(213)과 제3삽입공(313)을 함께 관통할 수 있도록 된다. 이때 탄성바이어스부재(43)는 가압판(424)을 탄성가압하고 있으므로 자동으로 상기 록킹핀(421)이 록킹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록킹핀(421)이 록킹위치로 이동하면, 즉 록킹핀(421)이 상기 제2삽입공(213)과 제3삽입공(313)을 함께 관통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방프레임(20)과 후방프레임(30)의 위치가 고정되고 이에 따라서 그 접힌 상태의 자세가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브레이크 작동을 위한 와이어(50)가 전방프레임(20)과 후방프레임(3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어 와이어(50)로 인하여 이륜차(10)에 올라탄 사람이 그 와이어(50)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기타 미관상으로도 좋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접힌 상태에서 펼친 상태로 변환하거나 펼친 상태에서 접힌 상태로 변환하기 위해서 가압판만을 누른 후에 상기 전방프레임을 상기 후방프레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시키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전체적인 조작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즉, 원터치 동작에 의하여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는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별도로 나사를 풀거나 조이는 등의 불편함을 해소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록킹수단이 평상시에는 탄성바이어스부재에 의하여 록킹위치로 탄성바이어스되고 있으므로 링크 기구수단이 쉽게 풀리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즉, 종래기술과 같이 나사가 헐거워지거나 빠져서 링크 기구수단이 쉽게 풀리는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펼침위치에서 그 전방프레임이 후방프레임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억제하는 돌출걸림부가 그 전방프레임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돌출걸림부는 회전과정에서 상기 후방프레임에 걸리게 함으로서 상기 전방프레임이 더이상 회전하는 것을 억제한다. 이는 펼침위치를 사용자가 쉽게 알 수 있으며 록킹핀이 제1삽입공 등에 삽입할 수 있는 위치를 눈으로 보지 않고도 쉽게 판별할 수 있게 한다.
10...이륜차 11...앞바퀴
12...뒷바퀴 20...전방프레임
21...전방결합판 211...제1관통공
213...제1삽입공 213...제2삽입공
30...후방프레임 31...후방결합부
311...슬롯 312...제2관통공
313...제3삽입공 40...링크 기구수단
41...축부재 411...축핀부재
411a...플렌지부 411b...몸체부
411c...나삿니 412...너트부재
42...록킹수단 421...록킹핀
422...지지판 423...삽입핀
424...가압판 43...탄성바이어스부재
44...제1환상체 45...제2환상체
46...볼 47...와셔
48...스페이서 49...막음판
50...와이어

Claims (7)

  1. 앞바퀴 및 뒷바퀴와, 상기 앞바퀴를 지지하는 전방 프레임과, 상기 뒷바퀴를 지지하는 후방 프레임과, 상기 전방프레임과 상기 후방프레임을 연결하며 상기 전방프레임 및 상기 후방프레임이 좌우방향과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접힌상태와 펼친상태 사이에서 위치이동가능하게 하는 링크 기구수단을 포함하는 접이식 이륜차에 있어서,
    상기 링크 기구수단은,
    상기 전방프레임과 상기 후방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축을 이루는 축부재;
    펼친상태와 접힌상태에서 상기 전방프레임과 상기 후방프레임의 자세를 고정하는 록킹위치와, 상기 전방프레임과 상기 후방프레임의 자세 고정을 해제하는 해제위치 사이에서 위치이동하는 록킹수단; 및
    상기 록킹수단을 상기 해제위치로부터 상기 록킹위치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바이어스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전방프레임에는 상기 축부재가 관통하는 제1관통공과, 상기 제1관통공의 주위에 상기 제1관통공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삽입공과, 상기 제1삽입공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삽입공이 마련되고,
    상기 후방프레임에는 상기 축부재가 관통하는 제2관통공과, 펼친상태에서는 제1삽입공과 좌우방향으로 연통되고 상기 접힌상태에서는 상기 제2삽입공과 좌우방향으로 연통되는 제3삽입공이 마련되며,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펼친상태에서 상기 제1삽입공 및 상기 제3삽입공을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접힌상태에서는 상기 제2삽입공 및 상기 제3삽입공을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록킹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이륜차.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록킹핀과 연동되어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되 상기 축부재의 중앙을 관통하는 삽입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이륜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핀의 일단에는 상기 삽입핀보다 단면적이 큰 가압판이 고정결합되며, 상기 록킹핀은 상기 가압판과의 사이에 후방프레임을 두고 상기 가압판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이륜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바이어스부재는, 상기 가압판과 상기 후방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이륜차.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핀의 타단에는 상기 삽입핀과 수직방향으로 그 삽입핀에 고정결합되는 지지판이 배치되고 상기 록킹핀은 상기 지지판에 상기 삽입핀과 평행하게 놓이도록 고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이륜차.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프레임과 상기 후방프레임은 속이 빈 통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전방프레임과 상기 후방프레임의 내부에는 브레이크 작동을 위한 와이어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이륜차.
KR1020100088053A 2010-09-08 2010-09-08 접이식 이륜차 KR101241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053A KR101241436B1 (ko) 2010-09-08 2010-09-08 접이식 이륜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053A KR101241436B1 (ko) 2010-09-08 2010-09-08 접이식 이륜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5880A KR20120025880A (ko) 2012-03-16
KR101241436B1 true KR101241436B1 (ko) 2013-03-11

Family

ID=46132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8053A KR101241436B1 (ko) 2010-09-08 2010-09-08 접이식 이륜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14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09273B2 (en) 2014-02-12 2017-11-07 Royalty Bugaboo Gmbh Foldable vehicle
KR101801067B1 (ko) 2016-04-15 2017-11-27 삼천리자전거 주식회사 자전거 프레임용 접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10010B (zh) * 2013-01-06 2017-05-31 赵弘昌 可调整式自行车车架结构
CN103921879B (zh) * 2013-01-12 2019-03-01 刘岗 转动定位的速折机构
NZ611256A (en) * 2013-05-29 2014-09-26 David Barnaby Latham Richard Height adjustable bike
WO2015053481A1 (ko) * 2013-10-08 2015-04-1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바퀴 평행 정렬형 접이식 자전거
CN104943794B (zh) * 2015-07-01 2017-11-07 泰华宏业(天津)机器人技术研究院有限责任公司 带有自动复位转向组件的可折叠三轮代步工具
CN104943795B (zh) * 2015-07-01 2017-11-07 泰华宏业(天津)机器人技术研究院有限责任公司 可折叠自行车
CN105667681A (zh) * 2016-02-23 2016-06-15 大斧智能科技(常州)有限公司 旋转锁定装置及旋转锁定折叠车架
KR101894730B1 (ko) * 2016-11-28 2018-09-04 주식회사 원진테크 자전거의 접이장치
WO2020154881A1 (zh) * 2019-01-29 2020-08-06 李俊楠 一种转轴连接器及折叠式助力车
CN110329398B (zh) * 2019-07-31 2024-04-02 嘉兴市金腾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支撑稳定的摩托车驻车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8482A (ja) 1998-12-28 2000-07-18 Tsutomu Shinozuka 折り畳み自転車
KR20010045216A (ko) * 1999-11-03 2001-06-05 이익우 로킹기능이 구비된 사다리
KR200416207Y1 (ko) 2005-12-22 2006-05-12 한종안 자전거
KR20080039165A (ko) * 2006-10-31 2008-05-07 조순암 휴대용 접이식 미니 자전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8482A (ja) 1998-12-28 2000-07-18 Tsutomu Shinozuka 折り畳み自転車
KR20010045216A (ko) * 1999-11-03 2001-06-05 이익우 로킹기능이 구비된 사다리
KR200416207Y1 (ko) 2005-12-22 2006-05-12 한종안 자전거
KR20080039165A (ko) * 2006-10-31 2008-05-07 조순암 휴대용 접이식 미니 자전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09273B2 (en) 2014-02-12 2017-11-07 Royalty Bugaboo Gmbh Foldable vehicle
KR101801067B1 (ko) 2016-04-15 2017-11-27 삼천리자전거 주식회사 자전거 프레임용 접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5880A (ko) 2012-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1436B1 (ko) 접이식 이륜차
US20110193313A1 (en) Foldable bicycle
CA2503478C (en) Folding frame for a tricycle, scooter or child's bicycle
US7156409B2 (en) Collapsible bicycle
US6450517B1 (en) Folding collapsible kick scooter
EP2765072B1 (en) Foldable frame for a bicycle
US7506890B2 (en) Device for limiting swivel of a front wheel of a stroller
JP2013082443A (ja) 折り畳み式自転車、特にはペダルアシスト自転車
US7044249B2 (en) Connecting structure of front and rear frame parts of a cart for people to ride on
KR20160033582A (ko) 접이식 킥보드
ES2900450T3 (es) Acoplamiento
US7712843B2 (en) Structure of a foldable front wheel of a golf cart
JP5181069B1 (ja) 折畳み自転車
US20130309938A1 (en) Toy vehicle having variable heights
KR101286225B1 (ko) 다변형 접이식 자전거
US20170190374A1 (en) Engagement Mechanism Assembly for a Scooter
JP2006273314A (ja) 自転車の前後両立スタンド
FR2809325A3 (fr) Trottinette pliable
JP3199471U (ja) 多種連結施錠可能な自転車用錠
CN205186425U (zh) 一种折叠式电动滑板车
FR3041321A3 (fr) Trottinette pliable
US20070000714A1 (en) Assembling structure of a frame of a cart for use by handicapped and elderly persons
JP2003170881A (ja) 自転車の折り畳み構造
CN214189960U (zh) 一种车把竖管折叠接头
JP3120942U (ja) 自転車の車輪施錠機構付き折たたみハンド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