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1067B1 - 자전거 프레임용 접이장치 - Google Patents

자전거 프레임용 접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1067B1
KR101801067B1 KR1020160046042A KR20160046042A KR101801067B1 KR 101801067 B1 KR101801067 B1 KR 101801067B1 KR 1020160046042 A KR1020160046042 A KR 1020160046042A KR 20160046042 A KR20160046042 A KR 20160046042A KR 101801067 B1 KR101801067 B1 KR 101801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frame
folding
button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6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8368A (ko
Inventor
이으뜸
Original Assignee
삼천리자전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천리자전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천리자전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6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1067B1/ko
Publication of KR20170118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8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1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1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9/00Cycle frames
    • B62K19/18Joints between fram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9/00Children's cycles
    • B62K9/02Tri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 프레임용 접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자전거의 프레임(10)을 구성하는 제3프레임바아(14)를 프레임(10)의 일측에 설치된 접이하우징(20) 내부를 관통하게 설치한다. 상기 제3프레임바아(14)는 상기 접이하우징(20)의 양단에 설치된 지지링(3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3프레임바아(14)를 관통하여 설치된 핀홀더(40)에는 상기 접이하우징(20)에 형성된 제1핀공(24)과 제2핀공(26)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걸이핀(48)이 설치된다. 상기 걸이핀(48)은 상기 접이하우징(20)에 설치된 제1버튼(53)과 제2버튼(56)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제1핀공(24)과 제2핀공(26)에 걸어진 상태가 해지되어 상기 제3프레임바아(14)가 상기 접이하우징(20)에 대해서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접이하우징(20)의 내면에는 스톱턱(2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톱턱(22)에 걸어지도록 상기 핀홀더(40)의 일단부에는 걸이턱(46)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프레임(10)을 구성하는 제3프레임바아(14)를 접고 펼치는 것이 제1버튼(53)과 제2버튼(56)을 누름에 의해 쉽게 이루어지고, 걸이핀(48)과 걸이턱(46)이 이중으로 접이하우징(20)에 걸어지도록 하여 접이장치의 부분에서 프레임(10)이 펼쳐진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버튼프레임(50)에 제1버튼(53)과 제2버튼(56)을 모두 두었으므로 상대적으로 부품수가 감소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자전거 프레임용 접이장치{Folding apparatus for cycle}
본 발명은 자전거 프레임용 접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버튼을 누름에 의해 프레임의 일부를 프레임의 다른 부분에 대해서 접을 수 있도록 된 자전거 프레임용 접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전거가 이동수단의 하나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특히 보조적인 이동수단으로 많이 사용된다. 따라서, 차량에 자전거를 싣고 특정한 장소로 가서 거기서부터 자전거를 사용하거나, 지하철이나 다른 대중교통에 자전거를 들고 타서 원하는 장소로 가서 자전거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자전거를 차량에 싣거나 휴대하기 위해서는 그 부피를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자전거의 프레임을 접도록 하는 접이장치들이 많이 개발되었다.
하지만, 자전거 프레임을 접을 수 있도록 하는 종래의 접이장치들은 그 구조가 상대적으로 복잡하고, 접고 펼치는 동작이 상대적으로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프레임을 접고 펼치도록 하는 접이장치의 부분에서 탑승자 등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에 의한 힘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접이장치를 매우 투박하게 만들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20-341604호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003797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전거의 프레임을 버튼을 눌러서 접고 펼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접이장치 부분에서 프레임이 펼쳐진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레임을 접고 펼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버튼을 서로 연결하여 장착을 위한 구성등을 간소화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프레임바아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접을 수 있도록 하는 자전거 프레임용 접이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원기둥형상의 공간이 형성되고 제1핀공과 제2핀공이 내부의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며 프레임바아중 하나가 관통하는 접이하우징과, 상기 접이하우징의 양단에 구비되고 상기 접이하우징을 관통하는 프레임바아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내면이 구비되는 지지링과, 상기 접이하우징을 관통하는 프레임바아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접이하우징의 제1핀공이나 제2핀공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걸이핀이 탄성부재에 지지되어 입출가능하게 구성되는 핀홀더와, 상기 제1핀공과 제2핀공과 대응되는 위치로서 상기 접이하우징의 외면에 구비되는 제1버튼 및 제2 버튼을 포함한다.
상기 접이하우징의 내면에는 상기 핀홀더의 일측 단부 외면에 형성된 걸이턱이 걸어지는 스톱턱이 더 구비된다.
상기 걸이핀의 선단에는 반구형상으로 된 구형선단이 구비되어 상기 제1핀공이나 제2핀공의 내면을 따라 안내된다.
상기 접이하우징을 관통하는 프레임바아는 그 횡단면이 타원형 또는 원형으로 된다.
상기 프레임바아의 횡단면이 타원형으로 되는 경우에는 상기 접이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프레임바아의 외면을 감싸는 회전안내커버가 한쌍이 구비되어 상기 회전안내커버의 양측 외면이 상기 지지링의 지지내면에 안내된다.
상기 회전안내커버에는 상기 핀홀더가 끼워지는 홀더통공이 각각 형성되는데, 상기 홀더통공의 형상은 상기 핀홀더의 홀더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의 횡단면 형상과 같고, 상기 홀더통공의 내면을 따라서는 압입리브가 형성되어 상기 핀홀더가 상기 홀더통공에 압입된다.
상기 걸이핀을 조작하는 상기 제1버튼은 상기 접이하우징의 외면에 장착되는 버튼프레임의 버튼안착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버튼은 상기 버튼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 프레임용 접이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접이장치는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는 접이하우징을 관통하는 프레임바아가 회전하는 것을 조작버튼에 의해 동작되는 걸이핀이 회전하는 프레임바아에 대해 쉽게 해지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간단하게 버튼을 누르는 동작만으로 자전거 프레임의 일부를 접고 펼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접이장치는 자전거 프레임을 펼쳐서 사용할 때에 탑승자의 하중에 의해 가해지는 힘을 충분히 받을 수 있도록 걸이핀이 내부에 안착되어 입출되는 핀홀더가 접이하우징의 스톱턱에 걸어지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접이장치 부분에서 자전거 프레임이 펼쳐진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프레임을 접기 위한 제1버튼과 프레임을 펼치기 위한 제2버튼을 버튼프레임에 두어서 접이하우징에 설치되도록 하였다. 특히 버튼프레임에 제2버튼을 일체로 형성하고 그 자체의 탄성을 이용하여 동작되도록 하였으므로 상대적으로 부품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 프레임용 접이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가 채용된 세발자전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의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접이하우징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버튼프레임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가 동작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제1버튼이 눌러져 프레임바아를 접을 수 있는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프레임바아가 소정 각도 회전하여 접어진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자전거의 골격을 프레임(10)이 형성한다. 상기 프레임(10)에는 다수개의 프레임바아(12,13,14)가 있다. 즉, 프레임바아(12,13,14)는 제1프레임바아(12), 제2프레임바아(13) 그리고 제3프레임바아(14)이다. 도 1에는 세발자전거가 예로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다른 종류의 자전거에서도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바아(12,13,14)의 구성은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제1프레임바아(12)의 선단에 헤드튜브(12')가 장착되어 핸들(16)과 연결된 앞포크(17)가 헤드튜브(12')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앞포크(17)에는 앞바퀴(18)가 설치된다. 상기 제2프레임바아(13)에는 안장(13')이 설치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안장(13')은 제1프레임바아(12)에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3프레임바아(14)는 본 실시례에서는 'U'자 형상으로 되어 양단에 뒷바퀴(19)가 설치된다. 상기 제3프레임바아(14)는 본 실시례에서는 횡단면이 타원형상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제3프레임바아(14)의 횡단면이 원형으로 될 수도 있다.
상기 프레임(10)의 일측, 즉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2프레임바아(13)의 일단부에는 접이하우징(20)이 설치된다. 상기 접이하우징(20)은 본 실시례에서는 원통형상으로 된다. 상기 접이하우징(20)의 내부에는 원기둥형상의 공간이 있고, 상기 원기둥형상의 공간을 상기 제3프레임바아(14)가 관통한다. 상기 접이하우징(20)의 내면 일측에는 스톱턱(22)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톱턱(22)은 상기 접이하우징(20)의 내부에 상기 제3프레임바아(14)가 관통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스톱턱(22)의 횡단면은 사각형 보다 상세하게는 사다리꼴로 되는 것이 좋다.
상기 접이하우징(20)에는 제1핀공(24)과 제2핀공(26)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핀공(24)과 제2핀공(26)을 통해 접이하우징(20)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된다. 상기 제1핀공(24)과 제2핀공(26)은 아래에서 설명될 걸이핀(48)이 입출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핀공(24)과 제2핀공(26)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3프레임바아(14)가 회전될 수 있는 구간이다. 상기 제1핀공(24)의 양옆에는 체결공(28)이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이하우징(20)의 양단은 개방되어 있는데, 상기 양단에는 각각 지지링(30)이 설치된다. 상기 지지링(30) 역시 원통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지지링(30)에는 원통형상의 원통부(32)가 있다. 상기 원통부(32)의 내면은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곡면인데, 지지내면(33)이라 부르기로 한다. 상기 지지내면(33)은 상기 제3프레임바아(14) 또는 아래에서 설명될 회전안내커버(60)의 외면이 밀착되어 지지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3프레임바아(14)의 횡단면 형상이 타원형인 본 실시례의 경우는 상기 제3프레임바아(14)의 외면이 상기 지지내면(33)에 직접 닿지 않고, 회전안내커버(60)가 상기 지지내면(33)에 밀착되어 지지된다. 상기 제3프레임바아(14)의 횡단면이 원형인 경우에는 제3프레임바아(14)의 외면이 상기 지지내면(33)에 안착되어 회전이 안내된다.
상기 지지링(30)의 내부를 관통하여서는 관통공(34)이 형성되는데, 상기 관통공(34)에는 상기 제3프레임바아(14)가 관통하고, 아래에서 설명될 회전안내커버(60)가 위치된다. 상기 제3프레임바아(14)의 횡단면이 원형인 경우에는 상기 관통공(34)의 내경과 거의 같은 외경을 가지도록 제3프레임바아(14)의 외경칫수가 설계된다.
상기 지지링(30)의 일단부를 둘러서는 단턱(36)이 형성된다. 상기 단턱(36)은 상기 지지링(30)이 접이하우징(20)에 삽입되는 정도를 규제한다. 따라서, 상기 단턱(36)은 상기 지지링(3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다. 도면부호 38은 턱안착채널이다. 상기 턱안착채널(38)에는 상기 스톱턱(22)이 안착되어 상기 지지링(30)의 회전을 방지한다. 물론, 상기 지지링(30)은 나사와 같은 것으로 상기 접이하우징(20)에 장착되어 회전이 방지될 수도 있다.
핀홀더(40)는 상기 제3프레임바아(14)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3프레임바아(14)와 일체로 동작된다. 상기 핀홀더(40)는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3프레임바아(14)와 아래에서 설명될 회전안내커버(60) 내에 위치한다. 상기 핀홀더(40)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으로 만들어지는데, 내부에는 핀안착공간(42)이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걸이핀(48)이 위치된다. 상기 핀안착공간(42)의 내부에는 탄성부재(44)가 위치되어 걸이핀(48)을 상기 핀홀더(40)의 외부로 밀어주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핀홀더(40)의 일단부 외면을 둘러서는 걸이턱(46)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46)은 상기 핀홀더(40)의 외면이 다른 부분보다 더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46)은 상기 접이하우징(20)의 스톱턱(22)에 걸어져서 제3프레임바아(14)가 특정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한다. 즉, 자전거의 사용중에 탑승자의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스톱턱(22)에 상기 걸이턱(46)이 걸어져서 접이하우징(20)(프레임(10))에 고정된)에 대해서 제3프레임바아(14)가 특정방향으로 회전되지 못하도록 한다.
상기 핀홀더(40)는 상기 접이하우징(20)의 내부에서 회전되어야 하므로, 상기 스톱턱(22)이 형성된 일측 단부는 곡면으로 되어 상기 접이하우징(20)의 내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 곡면을 선단면(47)이라고 한다. 상기 선단면(47)은 상기 접이하우징(20)의 내면을 따라 이동된다.
상기 핀홀더(40)의 내부에는 걸이핀(48)이 설치된다. 상기 걸이핀(48)은 상기 탄성부재(44)에 의해 지지되어 있어 상기 핀안착공간(42)에서부터 외부로 약간 돌출되어 있다. 상기 외부로 돌출된 걸이핀(48)의 부분은 반구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부분을 구형선단(49)이라고 한다. 상기 구형선단(49)이 있음으로 해서 상기 접이하우징(20)의 제1 및 제2 핀공(24,26)에 대해 걸이핀(48)이 원활하게 입출될 수 있다.
상기 걸이핀(48)을 조작하기 위한 제1버튼(53)과 제2버튼(56)이 버튼프레임(50)에 구비된다. 상기 버튼프레임(50)에는 버튼안착부(52)가 있고, 제2버튼(56)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버튼안착부(52)에는 제1버튼(53)이 설치된다. 상기 제1버튼(53)은 상기 버튼프레임(50)을 관통하여 형성된 버튼안착부(52)에 안착되는 것으로, 그 후방으로 돌출되어 제1누름돌기(53')가 있다. 상기 제1누름돌기(53')는 상기 걸이핀(48)을 눌러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버튼(53)의 후단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걸이리브(53")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버튼안착부(52)에서 제1버튼(53)이 빠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버튼안착부(52)의 양측에는 체결부(5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부(54)를 관통하여 나사가 상기 접이하우징(20)의 체결공(28)에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상기 버튼프레임(50)이 상기 접이하우징(20)에 체결된다.
상기 버튼프레임(50)의 일측에는 상기 접이하우징(20)의 외면을 따라 연장되게 연장아치(55)가 있다. 상기 연장아치(55)는 상기 접이하우징(20)의 외면과 소정의 간격을 가질 수 있도록 아치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연장아치(55)의 선단에는 제2버튼(56)이 형성된다. 상기 제2버튼(56)은 상기 연장아치(55)와 일체로 된다. 상기 제2버튼(56)의 배면에는 제2누름돌기(56')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제2누름돌기(56')는 상기 접이하우징(20)의 제2핀공(26)과 대응되는 위치에 있으면서 상기 걸이핀(48)을 눌러주게 된다.
회전안내커버(60)는 상기 접이하우징(20)의 내부에서 상기 제3프레임바아(14)를 감싸게 된다. 상기 회전안내커버(60)는 상기 제3프레임바아(14)의 횡단면 형상이 타원형이므로 사용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3프레임바아(14)에서 적어도 상기 접이하우징(20)의 내부에 위치되는 부분의 횡단면 형상이 원형이어서, 상기 지지내면(33)에 지지될 수 있으면 상기 회전안내커버(60)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 회전안내커버(60)는 2개가 하나의 원통을 형성하도록 된다. 상기 회전안내커버(60)에는 홀더통공(6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홀더통공(62)은 일측 회전안내커버(60)의 것은 원형이지만, 타측 회전안내커버(60)의 것은 사각형으로 된다. 이는 상기 걸이턱(46)의 존재 때문에 그러하다. 상기 핀홀더(40)가 상기 회전안내커버(60)와 제3프레임바아(14)를 관통하여서 상기 홀더통공(62)에 압입되어 끼워지게 되면, 상기 회전안내커버(60)가 서로 결합되어 제3프레임바아(14)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홀더통공(62)의 내면을 따라서는 압입리브(6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압입리브(64)의 구성은 도 3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회전안내커버(60)의 내면에는 다수개의 보강리브(66)가 있어서, 회전안내커버(60)의 외면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충분히 버틸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 프레임용 접이장치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프레임(10)에 대해서 상기 제3프레임바아(14)가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상태는 프레임(10)을 펼쳐서 사용하고 있는 것이고, 도 7에 도시된 상태는 제3프레임바아(14)를 소정 각도 회전시켜서 프레임(10)을 접은 것이다.
이와 같은 동작을 위한 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도 6의 상태에서는 상기 걸이핀(48)이 상기 접이하우징(20)의 제1핀공(24)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접이하우징(20)(다시 말해서 상기 프레임(10)의 프레임바아(12,13))에 대해서 상기 제3프레임바아(14)가 회전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접이하우징(20)의 스톱턱(22)에는 상기 걸이핀(48)이 수용되어 있는 핀홀더(40)의 걸이턱(46)이 걸어져 있어서 상기 걸이핀(48)과 접이하우징(20) 사이의 관계와 협력하여 상기 제3프레임바아(14)가 상기 접이하우징(20)에 대해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은 탑승자의 하중이 상기 제2프레임바아(13)에 설치된 안장(13')을 통해 전달되더라도 프레임(10)이 전체 형상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제3프레임바아(14)를 회전시켜 프레임(10)을 접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버튼(53)을 누르면 된다. 상기 제1버튼(53)이 눌러지면 상기 걸이핀(48)이 상기 탄성부재(44)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핀홀더(40)의 핀안착공간(42)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상기 걸이핀(48)의 이동은 상기 걸이핀(48)이 상기 접이하우징(20)의 제1핀공(24)을 통해 접이하우징(20)의 내부로 들어가게 한다. 이때, 상기 걸이핀(48)의 선단이 어느 정도 접이하우징(20)의 내부로 들어가서 상기 구형선단(49)이 상기 제1핀공(24)의 위치에 있게 되면 상기 제3프레임바아(14)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7에 이와 같은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제3프레임바아(14)를 도 7을 기준으로 시계방향(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접이하우징(20)의 제1핀공(24) 일측 내면을 따라 상기 구형선단(49)이 안내되면서 걸이핀(48)이 상기 핀안착공간(42)의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이 상태로 상기 제3프레임바아(14)(회전안내커버(60), 핀홀더(40), 걸이핀(48)포함)가 회전하고, 상기 제3프레임바아(14)가 프레임(10)에 대해서 소정 각도 접어진 상태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3프레임바아(14)가 회전하여 상기 걸이핀(48)의 구형선단(49)이 상기 접이하우징(20)의 내면을 따라 안내되다가 상기 제2핀공(26)을 만나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44)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걸이핀(48)이 밀린다. 상기 제2핀공(26)을 상기 걸이핀(48)이 관통하게 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이핀(48)이 제2핀공(26)을 관통하여 상기 제1버튼(56)과 닿아 있게 된다. 이는 프레임(10)의 제3프레임바아(14)가 접어진 상태를 나타낸다.
한편, 작업자가 상기 제3프레임바아(14)를 원래의 상태로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제2버튼(56)을 누르면 된다. 상기 제2버튼(56)은 연장아치(55)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제2버튼(56)을 누르면 상기 연장아치(55)가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걸이핀(48)을 상기 핀안착공간(42)의 내부로 들어가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핀공(26)의 위치에 상기 구형선단(49)이 위치하면서, 상기 제3프레임바아(14)가 회전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작업자가 이 상태에서 도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3프레임바아(14)에 반시계방향의 힘을 가하게 되면 상기 구형선단(49)이 제2핀공(26)의 내면에 안내되면서 상기 탄성부재(44)를 탄성변형시키면서 핀홀더(40)의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제3프레임바아(14)가 상기 접이하우징(20)에 대해서 회전가능하다.
상기 제3프레임바아(14)를 도 8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을 회전시키면 상기 제3프레임바아(14)와 함께 상기 핀홀더(40), 걸이핀(48) 등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1핀공(24)을 상기 걸이핀(48)이 만나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44)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걸이핀(48)이 상기 제1핀공(24)을 관통하여 돌출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걸이핀(48)이 상기 접이하우징(20)의 제1핀공(24)에 걸어진 상태가 되면서 상기 제3프레임바아(14)가 상기 프레임(10)에 대해서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2버튼(56)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연장아치(55)는 작업자가 제2버튼(56)을 누르는 상태가 해제되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면서 상기 제2버튼(56)이 상기 제2핀공(26)에서 벗어나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로,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제3프레임 바아(14)를 프레임(10)을 구성하는 제2프레임 바아(13)측에 대해서 접을 수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접이구조가 제1프레임 바아(12)나 제2프레임 바아(13) 등 다양한 위치에 있을 수 있다.
10: 프레임 12: 제1프레임 바아
12': 헤드튜브 13: 제2프레임 바아
13': 안장 14: 제3프레임 바아
16: 핸들 17: 앞포크
18: 앞바퀴 19: 뒷바퀴
20: 접이하우징 22: 스톱턱
24: 제1핀공 26: 제2핀공
28: 체결공 30: 지지링
32: 원통부 33: 지지내면
34: 관통공 36: 단턱
38: 턱안착채널 40: 핀홀더
42: 핀안착공간 44: 탄성부재
46: 걸이턱 47: 선단면
48: 걸이핀 49: 구형선단
50: 버튼프레임 52: 버튼안착부
53: 제1버튼 53': 제1누름돌기
53": 걸이리브 54: 체결부
55: 연장아치 56: 제2버튼
56': 제2누름돌기 60: 회전안내커버
62: 홀더통공 64: 압입리브
66: 보강리브

Claims (7)

  1. 프레임바아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접을 수 있도록 하는 자전거 프레임용 접이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원기둥형상의 공간이 형성되고 제1핀공과 제2핀공이 내부의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며 프레임바아중 하나가 관통하는 접이하우징과,
    상기 접이하우징의 양단에 구비되고 상기 접이하우징을 관통하는 프레임바아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내면이 구비되는 지지링과,
    상기 접이하우징을 관통하는 프레임바아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접이하우징의 제1핀공이나 제2핀공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걸이핀이 탄성부재에 지지되어 입출가능하게 구성되는 핀홀더와,
    상기 제1핀공과 제2핀공과 대응되는 위치로서 상기 접이하우징의 외면에 구비되는 제1버튼 및 제2 버튼을 포함하는 자전거 프레임용 접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하우징의 내면에는 상기 핀홀더의 일측 단부 외면에 형성된 걸이턱이 걸어지는 스톱턱이 더 구비되는 자전거 프레임용 접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핀의 선단에는 반구형상으로 된 구형선단이 구비되어 상기 제1핀공이나 제2핀공의 내면을 따라 안내되는 자전거 프레임용 접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하우징을 관통하는 프레임바아는 그 횡단면이 타원형 또는 원형으로 되는 자전거 프레임용 접이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바아의 횡단면이 타원형으로 되는 경우에는 상기 접이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프레임바아의 외면을 감싸는 회전안내커버가 한쌍이 구비되어 상기 회전안내커버의 양측 외면이 상기 지지링의 지지내면에 안내되는 자전거 프레임용 접이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안내커버에는 상기 핀홀더가 끼워지는 홀더통공이 각각 형성되는데, 상기 홀더통공의 형상은 상기 핀홀더의 홀더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의 횡단면 형상과 같고, 상기 홀더통공의 내면을 따라서는 압입리브가 형성되어 상기 핀홀더가 상기 홀더통공에 압입되는 자전거 프레임용 접이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핀을 조작하는 상기 제1버튼은 상기 접이하우징의 외면에 장착되는 버튼프레임의 버튼안착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버튼은 상기 버튼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되는 자전거 프레임용 접이장치.
KR1020160046042A 2016-04-15 2016-04-15 자전거 프레임용 접이장치 KR101801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042A KR101801067B1 (ko) 2016-04-15 2016-04-15 자전거 프레임용 접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042A KR101801067B1 (ko) 2016-04-15 2016-04-15 자전거 프레임용 접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8368A KR20170118368A (ko) 2017-10-25
KR101801067B1 true KR101801067B1 (ko) 2017-11-27

Family

ID=60300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6042A KR101801067B1 (ko) 2016-04-15 2016-04-15 자전거 프레임용 접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106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0706Y1 (ko) 2002-04-26 2002-10-04 웬 푸 시 절첩형 유아용 삼륜 자전거
KR101241436B1 (ko) 2010-09-08 2013-03-11 경진화 접이식 이륜차
JP2014177231A (ja) 2013-03-15 2014-09-25 Toyota Motor Corp 折り畳み可能な小型移動体のフレーム連結装置
CN204137251U (zh) 2014-10-09 2015-02-04 杭州康谷科技有限公司 铰接翻转机构及折叠车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0706Y1 (ko) 2002-04-26 2002-10-04 웬 푸 시 절첩형 유아용 삼륜 자전거
KR101241436B1 (ko) 2010-09-08 2013-03-11 경진화 접이식 이륜차
JP2014177231A (ja) 2013-03-15 2014-09-25 Toyota Motor Corp 折り畳み可能な小型移動体のフレーム連結装置
CN204137251U (zh) 2014-10-09 2015-02-04 杭州康谷科技有限公司 铰接翻转机构及折叠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8368A (ko) 2017-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08136B2 (en) Multi child stroller
US9404528B2 (en) Locking assembly and supporting device therewith
US9174661B2 (en) Armrest folding device for a foldable stroller
US20080277901A1 (en) Size-Reducible Folding Tricycle for Children
GB2503092B (en) Child safety seat
JP2015224023A (ja) 折り畳み式ベビーカー用のヒンジ組立体
US7021650B2 (en) Collapsing device for carrier
JP6209100B2 (ja) 折畳式乳母車
US20170050660A1 (en) Interlocking folding component and method thereof for strollers
KR101816681B1 (ko) 폴딩형 구조물 록킹장치
JP2012183848A (ja) 折畳式乳母車
KR101801067B1 (ko) 자전거 프레임용 접이장치
US20240157994A1 (en) Vehicle frame and baby stroller
GB2445806A (en) Locking pivot for baby stroller comprising blocking member
KR101375740B1 (ko) 유모차용 브레이크장치
JP2014177231A (ja) 折り畳み可能な小型移動体のフレーム連結装置
KR102603001B1 (ko) 차량용 네트 포켓 장치
CN107031695B (zh) 婴儿车
KR101537923B1 (ko) 접이식 자전거
CN211107828U (zh) 折叠三轮车的折叠机构
US7635159B2 (en) Collapsing device and child seat using the same
KR101831481B1 (ko) 연계 조작 기구
KR20040058000A (ko) 유모차
JP4691076B2 (ja) 自転車の折畳み式フレームの安全ロック装置
JP4241966B2 (ja) テー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