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1352B1 - 이중 전을 구비한 내솥 - Google Patents

이중 전을 구비한 내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1352B1
KR101241352B1 KR1020110088006A KR20110088006A KR101241352B1 KR 101241352 B1 KR101241352 B1 KR 101241352B1 KR 1020110088006 A KR1020110088006 A KR 1020110088006A KR 20110088006 A KR20110088006 A KR 20110088006A KR 101241352 B1 KR101241352 B1 KR 101241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pot
fringe
double
rice
coo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8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문호
이호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홈
Priority to KR1020110088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13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1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1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철제 내솥에 이중 전을 구비하여 열 손실을 이중으로 차단하여 최소화하고 내솥 외주면에 대한 강도보강을 하고 사용자의 파지를 용이하게 하는 이중 전을 구비한 내솥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주철제로 이루어져 전기압력밥솥에 내부에 장착되어 취사가 이루어지는 내솥으로서, 내솥 본체; 상기 내솥 본체의 상단에 형성되고 밥솥 뚜껑과 체결되어 밀폐상태를 이루도록 형성된 플랜지부; 상기 플랜지부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내솥 본체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되며 일정높이로 돌출된 상단 전; 상기 상단 전에서 일정 폭만큼 하방으로 이격된 상태에 위치하고 상기 상단 전과 동일한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하단 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이중 전을 구비한 내솥{INNER POT HAVING DOUBLE FRINGE}
본 발명은 이중 전을 구비한 내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철제 내솥에 이중 전을 구비하여 열 손실을 이중으로 차단하여 최소화하고 내솥 외주면에 대한 강도보강을 하고 사용자의 파지를 용이하게 하는 이중 전을 구비한 내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력밥솥은 압력에 따라 물의 끓는점이 달라지는 것을 이용하여 밥을 지을 때 쌀이 담긴 내솥의 압력을 높게 함으로써 물의 끓는점을 높여 밥맛을 좋게 할 수 있도록 한 밥솥이다. 즉, 압력밥솥을 이용하여 밥을 지으면 쌀의 전분질이 알파화되는 비율이 높아져 단맛이 향상된다.
통상적으로, 물의 온도가 높아질수록 쌀의 전분질이 알파화되는 비율 또한 더욱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압력밥솥의 내솥 압력이 높아지면 물의 끓는점이 높아지므로 내솥의 쌀이 알파화되는 비율이 더욱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밥이 빨리 조리될 뿐만 아니라 단맛의 비율이 높아져 밥맛이 좋아지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압력밥솥은 일반 밥솥에 비해 밥이 빨리 되고 밥맛이 좋기 때문에 널리 실용화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압력밥솥은 기존에는 연소열을 이용하여 내솥 내부의 쌀을 가열시켜 취사를 수행하는 방식이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이러한 연소열을 이용한 압력밥솥과는 달리 상용전기를 이용하여 발열하는 가열히터를 이용한 방식의 전기압력밥솥이 대중화되고 있으며, 특히 유도전류를 발생시켜 내솥이 발생된 유도전류에 의해 발열하면서 조리물을 가열시키는 유도가열방식이 적용된 전기압력밥솥 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하, 유도가열 전기압력밥솥의 구조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유도가열 전기압력밥솥의 투시도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압력밥솥은 상부가 개방된 설치공간부가 형성되어 외부를 구성하는 본체(10), 본체(10)의 설치공간부에 설치 고정되는 외솥(20), 외솥(20)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솥(30), 본체(10)의 상부를 개폐시키는 본체뚜껑(13), 본체뚜껑(13)의 하부에 설치되어 내솥(30)을 개폐시키는 내솥뚜껑(33), 조리에 따른 일정 이상의 증기압이 발생되면 증기를 배출시키는 증기배출수단(40) 및 내솥(30)을 가열하는 가열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내솥(30)의 상부 테두리부에 해당하는 플랜지(31)가 외솥(20)에 걸쳐지면서 내솥(30)이 외솥(20) 내부에 안착되고, 내솥(30)을 안착시킨 후 플랜지(31) 부위에 록킹장치(미도시)를 체결하여 취반공정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내솥(30)은 알루미늄, 알루미늄합금 및 스테인레스 스틸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근래에는 2000℃ 용사기법(내솥표면에 철 미세입자를 고온으로 녹여 뿌리는 방식)으로 만든 무쇠(주철제) 내솥이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무쇠 내솥은 기존의 동급 내솥보다 열효율성이 높아 쌀알 하나하나가 골고루 찰지게 익어 진짜 가마솥 밥맛을 재현하는 효과가 있었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이러한 무쇠 내솥에 대한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보다 보온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내솥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주철제 내솥에 이중 전을 구비하여 열 손실을 이중으로 차단하여 최소화하고 내솥 외주면에 대한 강도보강을 하고 사용자의 파지를 용이하게 하는 이중 전을 구비한 내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주철제로 이루어져 전기압력밥솥에 내부에 장착되어 취사가 이루어지는 내솥으로서, 내솥 본체; 상기 내솥 본체의 상단에 형성되고 밥솥 뚜껑과 체결되어 밀폐상태를 이루도록 형성된 플랜지부; 상기 플랜지부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내솥 본체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되며 일정높이로 돌출된 상단 전; 상기 상단 전에서 일정 폭만큼 하방으로 이격된 상태에 위치하고 상기 상단 전과 동일한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하단 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중 전을 구비한 내솥을 제공한다.
상기 상단 전과 하단 전 사이의 영역에는 다수의 홈이 형성된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단 전에는 서로 대향하게 설치된 복수의 손잡이부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솥 본체의 측벽에 복수의 전이 형성되어 취사시 발생되는 취사열이 외기로 손실되는 것을 차단하고 내솥의 측벽을 보강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간편하게 파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유도가열 전기압력밥솥의 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전을 구비한 내솥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전을 구비한 내솥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전을 구비한 내솥의 일부 단면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전을 구비한 내솥이 전기밥솥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전을 구비한 내솥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전을 구비한 내솥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전을 구비한 내솥의 일부 단면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솥(100)은 내솥 본체(112)에 상단전(120), 하단전(140), 손잡이부(150), 플랜지(110), 및 요철부(160)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플랜지(110)는 내솥 본체(112)의 최상단 테두리에 다수개가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며, 이 플랜지(110)는 밥솥 뚜껑과 잠금링(미도시)과 결합되어 취사시 밀폐(압력 취사식)를 이루기 위해 제공된다. 여기서 내솥 본체(112)는 주철제로 이루어진 무쇠 내솥이다.
상기 상단전(120)과 하단전(140)은 내솥 본체(112)의 벽면(바닥부;111에 수직한 측면) 외측에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즉, 상단전(120)은 플랜지(110)의 직하방에 위치되도록 내솥 본체(112)의 측벽 외부에 돌출형성되며, 내솥 본체(112)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되는 띠 형상으로 돌출형성된다. 마찬가지로 하단전(140)은 상단전(120)의 하방측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며 형상은 상단전(120)과 동일한 띠 형상을 갖는다.
상기 요철부(160)는 상단전(120)과 하단전(140) 사이의 영역에 걸쳐 형성되는데, 다수의 홈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고, 내솥 본체(112)의 높이방향으로 다수 개가 반복된 패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단전(120)에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손잡이부(150)가 장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내솥은 주철제로 이루어진 무쇠 내솥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취사시나 보온시에 열기로 인해 사용자가 내솥 본체(112)를 들어내기 어렵다. 따라서 상단전(120)의 일부에 손잡이부(150; 도 2 및 도 3과 같이 복수 개로 구비됨)를 장착함으로써 내솥 본체(112)의 열로 인해 사용자가 화상을 입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이중 전을 구비한 내솥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전을 구비한 내솥이 전기밥솥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이다.
밥솥 본체(200)에는 유도가열부(250)가 내솥(100)이 장착되는 바닥부의 일정면적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유도전류를 통해 내솥(100)을 간접가열한다.
한편, 내솥 본체(112)에 형성된 하단전(140)은 밥솥 본체(200)의 내측 단턱(260)에 거치되는 용도로 적용된다. 또한 상단전(120)은 내솥(100) 장착시 밥솥 본체(200)와 밥솥뚜껑(210) 사이에 위치되고, 밥솥 본체(200)의 최상단 테두리에 안착된다.
이와 같이, 내솥(100) 장착시 밥솥 본체(200)에 이중으로 안착되는 상단전(120)과 하단전(140)은 내솥(100)과 밥솥 본체(200)의 내측면과의 틈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이중방지구조)함으로써 취사열의 열손실을 최소화한다.
즉, 이중 전(120.140)을 내솥 본체(112)의 측면에 형성함으로써 취사시 내솥(100)과 밥솥 본체(200)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틈을 이중으로 차단할 수 있어, 유도기전력에 의해 발생되는 취사열이 외부로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취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단전(120)에는 복수의 손잡이부(150)가 장착되어, 사용자가 언제든지 간편하게 내솥(100)을 밥솥 본체(200)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상단전(120)과 하단전(140) 사이에 형성된 요철부(160)는 내솥 본체(112)의 측면을 보강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외관의 미적인 요소도 부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내솥 본체(112)의 두께는 바닥부(111)와 유도가열부(250)가 인접한 영역은 6mm 정도의 두께로 형성하고, 그 외의 내솥 본체(112)의 측면 등은 3mm 정도로 형성하여 열전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내솥 110: 플랜지
111: 바닥부 112: 내솥 본체
120: 상단전 140: 하단전
150: 손잡이부 160: 요철부

Claims (3)

  1. 주철제로 이루어져 전기압력밥솥에 내부에 장착되어 취사가 이루어지는 내솥으로서,
    내솥 본체;
    상기 내솥 본체의 상단에 형성되고 밥솥 뚜껑과 체결되어 밀폐상태를 이루도록 형성된 플랜지부;
    상기 플랜지부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내솥 본체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되며 일정높이로 돌출된 상단 전;
    상기 상단 전에서 일정 폭만큼 하방으로 이격된 지점에 위치하고 상기 상단 전과 동일한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하단 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전을 구비한 내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전과 하단 전 사이의 영역에는 다수의 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요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전을 구비한 내솥.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전에는 서로 대향하게 설치된 복수의 손잡이부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전을 구비한 내솥.
KR1020110088006A 2011-08-31 2011-08-31 이중 전을 구비한 내솥 KR101241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006A KR101241352B1 (ko) 2011-08-31 2011-08-31 이중 전을 구비한 내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006A KR101241352B1 (ko) 2011-08-31 2011-08-31 이중 전을 구비한 내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1352B1 true KR101241352B1 (ko) 2013-03-11

Family

ID=48181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8006A KR101241352B1 (ko) 2011-08-31 2011-08-31 이중 전을 구비한 내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135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8354U (ko) * 1985-11-25 1987-06-11 신승래 기록 받침대를 겸한 소품 보관함
KR910009541Y1 (ko) * 1989-12-08 1991-12-13 김영진 압력솥 뚜껑의 개폐장치
KR200430326Y1 (ko) 2006-08-09 2006-11-10 쿠쿠전자주식회사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KR100838470B1 (ko) 2006-09-27 2008-06-16 쿠쿠전자주식회사 전기 압력 밥솥의 내솥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8354U (ko) * 1985-11-25 1987-06-11 신승래 기록 받침대를 겸한 소품 보관함
KR910009541Y1 (ko) * 1989-12-08 1991-12-13 김영진 압력솥 뚜껑의 개폐장치
KR200430326Y1 (ko) 2006-08-09 2006-11-10 쿠쿠전자주식회사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KR100838470B1 (ko) 2006-09-27 2008-06-16 쿠쿠전자주식회사 전기 압력 밥솥의 내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21651A1 (en) Cooking vessel with lid
CN204438237U (zh) 烤盘组件及微波炉
CN103025213B (zh) 蒸汽锅
TWI772541B (zh) 電鍋
KR101667013B1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KR101241352B1 (ko) 이중 전을 구비한 내솥
JP2007236517A (ja) 炊飯器
KR101170007B1 (ko) 이중 가열식 냄비구조
KR20110040069A (ko) 다단조절 찜기 겸용 조리기구
KR200287850Y1 (ko) 전골 구이판
KR200443703Y1 (ko) 조리용 진공 솥
CN208524625U (zh) 电烤盘
CN205457996U (zh) 一种家用隔热珐琅锅
JP2003070632A (ja) 炊飯器用鍋
KR200339232Y1 (ko) 고기 구이판
JP2002142975A (ja) 炊飯器
KR102317457B1 (ko) 분리형 와이드 3구 불판
KR200420742Y1 (ko) 조리용기
CN213248361U (zh) 盖体和烹饪器具
KR200278443Y1 (ko) 조리기구
KR101041220B1 (ko) 직화 구이 오븐
CN211324298U (zh) 一种便于排气的鱼锅
KR200455898Y1 (ko) 조리기구의 바닥면 구조
CN210204485U (zh) 一种环保型烧烤盘
JP7048309B2 (ja) 加熱調理具および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