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0326Y1 -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 Google Patents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0326Y1
KR200430326Y1 KR2020060021402U KR20060021402U KR200430326Y1 KR 200430326 Y1 KR200430326 Y1 KR 200430326Y1 KR 2020060021402 U KR2020060021402 U KR 2020060021402U KR 20060021402 U KR20060021402 U KR 20060021402U KR 200430326 Y1 KR200430326 Y1 KR 2004303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pot
pressure cooker
electric pressure
plating
p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14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종민
이창룡
Original Assignee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쿠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214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03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03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032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25Vessels with non-stick features, e.g. coat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47J36/10Lid-loc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압력밥솥의 내솥에 관한 것으로, 전기압력밥솥의 내솥에 있어서, 상기 전기압력밥솥의 뚜껑에 설치된 록킹링과 잠김/해제됨으로써 상기 내솥의 내부를 밀폐/해제시키는 상기 내솥의 상단의 플랜지부와, 상기 록킹링과 접촉하는 부분을 제외한 상기 내솥의 외면에 코팅된 도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내솥이다.
전기압력밥솥, 내솥, 도금

Description

전기압력밥솥의 내솥{INNER-POT FOR A ELECTRICAL-HIGH PRESSURE RICE POT}
도 1은 종래의 전기압력밥솥의 내솥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전기압력밥솥의 내솥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내솥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내솥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내솥이 잠김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도금 방법의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내솥 200-플랜지부
300-도금부 310-도금경계부
320-미도금부 400-록킹링
본 고안은 전기압력밥솥의 내솥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압력밥솥의 내솥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전기압력밥솥의 내솥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전기압력밥솥의 내솥(10)은 고압의 상태에서 쌀 등의 음식물을 취사하기 위하여 상기 내솥(10)을 상기 전기압력밥솥의 뚜껑으로 밀폐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전기압력밥솥의 뚜껑에는 회전식 다이얼식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에 따라 회전하는 내솥 뚜껑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내솥 뚜껑의 둘레에는 요철형상의 록킹링(4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내솥(10)은 플랜지부(20)와, 도금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플랜지부(20)는 상기 내솥 뚜껑과 맞물리는 요철부위를 가지고 있고 상기 내솥(10)의 상단에 형성된다. 상기 내솥 뚜껑의 회전에 따라 상기 록킹링(40)과 상기 플랜지부(20)가 잠김/해제되어 상기 내솥(10)의 내부를 밀폐/해제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내솥(10)의 외부에는 별도의 코팅수지를 이용하여 코팅을 하거나, 연마하여 외관면을 미려하게 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상기 내솥(10)의 외면 전체에 각종 비철 금속류나 귀금속 등을 도금하여 내구성, 내식성 및 열전달률을 향상시켜 제품의 성능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내솥 뚜껑의 밀폐/해제시 발생하는 상기 록킹링(40)과 상기 플랜지부(20)의 마찰로 인하여 상기 내솥(10)의 마찰부(30a)에 형성된 도금부(30)가 떨어지고 가루가 발생하는 등의 것으로 인하여 상기 내솥(10) 자체의 내식성, 내구성 및 미관저하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상기 마찰로 인하여 발생한 가루가 상기 내솥(10)의 내부로 혼입될 경우 밥과 섞여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기압력밥솥의 내솥의 내식성, 내구성 및 외관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마찰에 의한 도금부 떨어짐 및 가루발생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건강을 해치는 것을 방지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기압력밥솥의 내솥에 있어서, 상기 전기압력밥솥의 뚜껑에 설치된 록킹링과 잠김/해제됨으로써 상기 내솥의 내부를 밀폐/해제시키는 상기 내솥의 상단의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록킹링과 접촉하거나 대면하는 부분을 제외한 상기 내솥의 외면에 코팅된 도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내솥이다.
또한, 상기 도금부는 상기 전기압력밥솥의 가열부재와 대면하는 상기 내솥의 외면에만 형성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금부는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록킹링과 대면하는 부분과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례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내솥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내솥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내솥이 잠김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도금 방법의 블록도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전기압력밥솥의 내솥(100)에서 플랜지부(200)와 도금부(300)를 포함한다.
전기압력밥솥의 내솥(100)은 고압의 상태에서 쌀등의 음식물을 취사하기 위하여 상기 내솥(100)을 상기 전기압력밥솥의 뚜껑으로 밀폐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전기압력밥솥의 뚜껑에는 회전식 다이얼식 손잡이(미도시)와 상기 손잡이에 따라 회전하는 내솥뚜껑(미도시)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내솥뚜껑의 둘레에는 요철형상의 록킹링(40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부(200)는 상기 내솥(100)을 밀폐/해제하기 위하여 상기 록킹링(400)과 잠김/해제되는 요철형상으로 상기 내솥(100)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 및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도금부(300)는 상기 내솥(100)의 외면에 니켈, 구리, 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도금재료로 구성된다. 상기 구리는 상기 내솥(100)의 열전달률을 향상시키고, 상기 니켈은 상기 도금재료 상호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상기 금은 상기 내솥(100)의 보온력을 향상시키고 외관을 미려하게 하여 전체적으로 상기 내솥(100)의 내식성, 내구성 및 외관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 도금부(300)를 코팅할 때에는 상기 록킹링(400)과 접촉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코팅을 하여야 하는데, 적어도 상기 록킹링(400)과 접촉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상기 내솥(100)의 상단 이외의 부분에만 실시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내솥(100)을 밀폐하기 위하여 상기 록킹링(400)과 잠금/해제되는 상기 플랜지부(200)의 마찰로 인하여 생기는 문제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미도금부(32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구간(320a), 제2구간(320b), 제3구간(320c)으로 나누어 진다. 상기 제1구간(320a)은 상기 록킹링(400)과 접촉 및 대면하는 구간이고, 상기 제2구간(320b)은 상기 록킹링(400)과 대면만 하는 구간이고, 상기 제3구간(320c)은 상기 제2구간(320b)으로부터 소정간격이 이격된 구간이다. 상기 제1구간(320a)은 상기 록킹링(400)과 상기 플랜지부(200)가 접촉 및 대면하여 상기 록킹링(400)에 의하여 상기 내솥(100)이 밀폐/해제될 때 상기 도금부(300)가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서는 반드시 상기 미도금부(320)가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제2구간(320b)은 상기 록킹링(400)과 상기 플랜지부(200)가 대면만 하는 구간으로 상기 내솥(100)의 유동에 따라 상기 도금부(300)가 벗겨질 우려가 있어 상기 미도금부(320)가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제3구간(320c)에 대한 고안의 효과는 후술하는 내솥(100) 도금 방법에 있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유도가열식 전기압력밥솥(이하 IH전기압력밥솥)의 경우에는 상기 IH전기압력밥솥의 밑면 및 측면을 포함하는 부분에 가열부재(미도시)가 설치되는데, 상기 도금부(300)는 상기 가열부재에 의해 형성된 열을 효과적으로 상기 내솥(100)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적어도 상기 가열부재가 설치된 부분에 대면하는 상기 내솥(100)의 외면에 상기 도금부(300)가 형성되어야 한다. 이 경우에도 본 고안의 목적인 상기 도금부(300)의 벗겨짐 등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미도금부(320)가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도금경계부(310)는 상기 제3구간(320c)내에 형성되어야 하는데, 상세한 이유는 후술하는 상기 내솥(100) 도금 방법과 관련하여 후술된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또 다른 본 고안은 전기압력밥솥의 내솥(100)을 도금하는 방법으로 마스킹단계(S1)와, 도금단계(S2)와, 마스킹제거단계(S3)를 포함한다.
상기 마스킹단계(S1)는 후술하는 도금단계(S2)를 실시하기 전에 원하지 않는 부분에 도금되는 것을 막기 위해 미도금부(320)를 구획하는 단계로 마스킹부재(미도시)가 상기 플랜지부(200)를 적어도 포함하는 상기 내솥(100)의 상단부의 외면을 덮도록 한다. 본 고안의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3구간까지 상기 마스킹부재(미도시)를 실리콘소재를 사용하여 상기 마스킹 단계를 수행함으로서 상기 마스킹부재(미도시)를 씌우고 제거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부(200)를 적어도 포함하는 상기 제3구간(320c)까지의 상기 미도금부(320)가 형성되는 이유는 상기 마스킹단계(S1)에서 상기 플랜지부(200)에만 상기 마스킹부재(미도시)를 씌우는 것이 어렵고 반복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생산공정의 수율을 낮추는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플랜지부(200)를 적어도 포함하는 상기 내솥(100) 상단의 외면을 보다 쉽게 마스킹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후술되는 도금재료의 성분이 고가의 금속이기 때문에 비용절감의 효과도 있다.
상기 도금단계(S2)는 상술한 니켈, 구리, 금 중 어느 하나로 적어도 이루어지는 도금재료를 사용하여 상기 내솥(100)의 외면을 코팅하는 것이다. 상기 내솥(100)을 상기 도금재료를 사용하여 코팅하는 방법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기술을 생략한다.
상기 마스킹제거단계(S3)는 상기 도금단계(S2)를 통해 상기 내솥(100)의 외 면을 상기 도금재료를 코팅한 후 건조를 마치고 상기 마스킹부재(미도시)를 제거하는 것으로, 상기 마스킹부재(미도시)가 상술한 바와 같이 실리콘소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쉽게 상기 내솥(100)의 상단으로부터 이탈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으로부터 용이하게 변형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경우를 포함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전기압력밥솥의 내솥의 내식성, 내구성 및 외관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마찰에 의한 도금부 떨어짐 및 가루발생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건강을 해치는 것을 방지하는 다른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전기압력밥솥의 내솥에 있어서,
    상기 전기압력밥솥의 뚜껑에 설치된 록킹링과 잠김/해제됨으로써 상기 내솥의 내부를 밀폐/해제시키는 상기 내솥의 상단의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록킹링과 접촉하거나 대면하는 부분을 제외한 상기 내솥의 외면에 코팅된 도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부는 상기 전기압력밥솥의 가열부재와 대면하는 상기 내솥의 외면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부는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록킹링과 대면하는 부분과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KR2020060021402U 2006-08-09 2006-08-09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KR2004303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402U KR200430326Y1 (ko) 2006-08-09 2006-08-09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402U KR200430326Y1 (ko) 2006-08-09 2006-08-09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7097A Division KR100833824B1 (ko) 2005-10-14 2005-10-14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및 내솥 도금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0326Y1 true KR200430326Y1 (ko) 2006-11-10

Family

ID=41778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1402U KR200430326Y1 (ko) 2006-08-09 2006-08-09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032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537B1 (ko) 2006-03-10 2007-08-20 주식회사 부방테크론 전기압력밥솥 및 그 취반 제어방법
KR101241352B1 (ko) 2011-08-31 2013-03-11 주식회사 리홈 이중 전을 구비한 내솥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537B1 (ko) 2006-03-10 2007-08-20 주식회사 부방테크론 전기압력밥솥 및 그 취반 제어방법
KR101241352B1 (ko) 2011-08-31 2013-03-11 주식회사 리홈 이중 전을 구비한 내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3824B1 (ko)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및 내솥 도금 방법
KR200430326Y1 (ko)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US20020070209A1 (en) Non-stick ceramic slow-cooker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2008154659A (ja) 調理器
KR100527796B1 (ko) 조리용기 제조방법
CN101313822B (zh) 电压锅的内锅以及内锅镀膜方法
EP0672497B1 (fr) Procédé pour former un décor sur un ustensile culinaire
KR20070047263A (ko) 인덕션렌지용 조리기구
KR102122680B1 (ko) 금속재 뚜껑이 구비된 조리용기
KR100838470B1 (ko) 전기 압력 밥솥의 내솥
CN206284832U (zh) 烹饪器具
CN107374334B (zh) 易清理黏贴食物的锅具及电加热炊具
KR101184422B1 (ko) 전기밥솥용 내솥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44172A (ko) 외면법랑 및 내면 테프론 코팅이 된 주방용기
KR20170064013A (ko) 전기압력조리기의 내솥
CN219147324U (zh) 一种新型防溅透气微波炉烹饪用餐具
JP3192822U (ja) 電磁調理器具
CN208973379U (zh) 一种夹钳式压力锅
JPH0336616Y2 (ko)
KR0121577Y1 (ko) 압력조리용기의 표면적층구조
CN211748811U (zh) 陶瓷压力锅
CN207544930U (zh) 烹饪器具
KR100872900B1 (ko) 전기압력밥솥의 개폐장치
KR101216686B1 (ko) 전기밥솥용 내솥
CN209285095U (zh) 烹饪器具的内胆及烹饪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EXTG Extinguishm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71102

Effective date: 20080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