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3543B1 - 농약조성물 - Google Patents

농약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3543B1
KR101233543B1 KR1020077005544A KR20077005544A KR101233543B1 KR 101233543 B1 KR101233543 B1 KR 101233543B1 KR 1020077005544 A KR1020077005544 A KR 1020077005544A KR 20077005544 A KR20077005544 A KR 20077005544A KR 101233543 B1 KR101233543 B1 KR 101233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compound
benzoic acid
compounds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5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3744A (ko
Inventor
토시히로 이케우치
테츠오 오오카와
슈지 오오노
히로시 카와사키
료 하나이
야스노리 오가와
마코토 후지나미
Original Assignee
구미아이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미아이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구미아이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53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3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3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35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32Ingredient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substance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e.g. toxicity reducing compositions, self-destructing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4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two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541,3-Diazines; Hydrogenated 1,3-diaz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713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four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9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two or more relevant hetero rings, condensed among themselves or with a common carbocyclic ring syste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범한 제초활성화합물에 대해서, 그것을 단순히 시용한 경우에 대상작물 등의 약해(藥害) 증상을 일으키게 하는 것일지라도, 충분한 제초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동시에, 대상작물의 약해 증상을 경감 또는 방지할 수 있는 농약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농약조성물은, (A) 설포닐요소계 화합물, 설폰아미드계 화합물, 클로로아세트아닐리드계 화합물, 티오카르바메이트계 화합물, 피리미디닐옥시(티오)벤조산계 화합물, 테트라졸리논계 화합물, 피라졸계 화합물, 시클로헥산디온계 화합물, 페녹시카르복시산계 화합물, 옥사지논계 화합물 및, 디플루오르메탄설포닐아닐리드계 화합물 또는 그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초활성화합물과, (B) 벤조산계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농약조성물{AGRICULTURAL CHEMICAL COMPOSITION}
본 발명은, 약해(藥害)를 경감 또는 방지하고, 환경부하를 저감할 수 있는 농약조성물 및 약해저감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지된 제초제에 있어서, 설포닐요소계 화합물, 설폰아미드계 화합물, 클로로아세트아닐리드계 화합물, 티오카르바메이트계 화합물, 피리미디닐옥시(티오)벤조산계 화합물, 테트라졸리논계 화합물, 피라졸계 화합물, 시클로헥산디온계 화합물, 페녹시카르복시산계 화합물, 옥사지논계 화합물 및 일반식
[화 1]
Figure 112007019265486-pct00001
(식 중의 R1은 수소원자, 알킬기 또는 알콕시알킬기임)
로 표현되는 디플루오르메탄설포닐아닐리드계 화합물 또는 그 염 등의 제초활성화합물이, 저약량으로, 돌피(Echinochloa crus-galli), 알방동사니(Cyperus difformis), 물달개비(Monochoria vaginalis), 좀부처꽃(A㎜annia multiflora) 등 의 1년생 잡초나, 쇠털골(Eleocharis acicularis for. longiseta), 올미(Sagittaria pygmaea), 벗풀(Sagittaria trifolia L) 등의 다년생 잡초, 특히 논 잡초에 높은 제초효과를 나타내고, 또, 광범한 제초스펙트럼을 가지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이들 제초활성화합물은 경우에 따라서는 벼에 대해서 약해를 미치는 경우가 있으며, 특히 고온, 사질토양, 누수답 등의 불량환경조건 하에 있어서, 또, 천식묘(淺植苗), 이식, 파종 직후의 모종 등에 대해서, 약해가 한층 강해진다. 또, 이들 제초활성화합물은 본의 아니게 또는 우발적으로 과잉량이 시용(施用)되는 경우에 약해를 초래하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종래보다, 보다 선택성이 높은 제초활성화합물의 개발 또는 제초활성화합물의 선택성을 높이기 위한 약해경감제(Safener)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실용화되어 있는 약해경감제로서는, 예를 들면 클로로아세트아닐리드계 화합물의 프레틸라크롤(pretilachlor)에 대한 펜클로림(fenclorim), 알릴옥시계 화합물의 페녹사프롭-에틸(Fenoxaprop-ethyl)에 대한 클로라졸 등을 들 수 있다. 또, 설포닐요소계 화합물의 약해경감제로서 벤조일옥심에테르계 화합물을 이용하는 시도(특허문헌 2 참조)도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약해경감제는 특정의 제초활성화합물에만 대해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널리 일반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또, 상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제초활성화합물과, 프레틸라크롤, 부타크롤 등의 특정의 다른 제초활성화합물을 조합해서 사용함으로써, 높은 제초효과와 벼에의 안전성을 양립하는 시도도 제안되어 있지만(특허문헌 3 참조), 복수의 제초활성 화합물을 병용하는 일 없이, 높은 제초효과와 벼에의 안전성을 양립하는 기술은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은 것이 현상황이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0-44546호 공보(특허청구의 범위 그 외)
[특허문헌 2]
유럽 특허 EP-A122231호 공보(특허청구의 범위 그 외)
[특허문헌 3]
일본국 특개2000-281513호 공보(특허청구의 범위 그 외)
본 발명의 과제는, 이와 같은 사정 하에서, 광범한 제초활성화합물에 대해서, 그것을 단순히 시용한 경우에 벼 등의 대상작물의 생육장해나 생육억제, 분얼(tillering)억제, 황화(黃化) 등의 약해 증상을 일으키게 하는 것일지라도, 충분한 제초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동시에, 대상작물의 약해 증상을 경감 또는 방지할 수 있는 농약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바람직한 특성을 지니는 농약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해서 다양한 연구를 거듭한 결과, 공지된 제초활성화합물인 설포닐요소계 화합물, 설폰아미드계 화합물, 클로로아세트아닐리드계 화합물, 티오카르바메이트계 화합물, 피리미디닐옥시(티오)벤조산계 화합물, 테트라졸리논계 화합물, 피라졸계 화합물, 시클로헥산디온계 화합물, 페녹시카르복시산계 화합물, 옥사지논계 화합물 및 일반식 (I)
[화 2]
Figure 112007019265486-pct00002
(식 중의 R1은 수소원자, 알킬기 또는 알콕시알킬기임)
로 표현되는 디플루오르메탄설포닐아닐리드계 화합물 또는 그 염에, 그 자체로는 각별한 농약활성을 나타내지 않는 특정의 화합물을 배합해서 이루어지는 농약조성물이 과제해결에 이바지하는 것을 발견하고, 이 식견에 의거해서 본 발명을 이루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농약조성물 및 상기 농약조성물에 의한, 특별히는 벼과식물에 대한 약해경감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1) (A) 설포닐요소계 화합물, 설폰아미드계 화합물, 클로로아세트아닐리드계 화합물, 티오카르바메이트계 화합물, 피리미디닐옥시(티오)벤조산계 화합물, 테트라졸리논계 화합물, 피라졸계 화합물, 시클로헥산디온계 화합물, 페녹시카르복시산계 화합물, 옥사지논계 화합물 및 상기 일반식 (Ⅰ)로 표현되는 디플루오르메탄설포닐아닐리드계 화합물 또는 그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초활성화합물과, (B) 일반식 (Ⅱ)
[화 3]
Figure 112007019265486-pct00003
(식 중의 R2는, 수소원자, 탄소원자수 1~15의 알킬기, 히드록실기, 니트로기 또는 아미노기를 나타내고, R3은 수소원자, 금속원자 또는 알킬기임)
로 표현되는 벤조산계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조성물.
(2) 벤조산계 화합물이, p-알킬벤조산, p-아미노벤조산, p-히드록시벤조산, 이들의 염 및 이들의 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된 화합물인 상기 (1)에 기재된 농약조성물.
(3) 설포닐요소계 화합물이 벤설푸론메틸(bensulfuron-methyl), 피라조설푸론에틸(pyrazosulfuron ethyl), 할로설푸론메틸(halosulfuron-methyl), 아짐설푸론(azimsulfuron), 시노설푸론(cinosulfuron), 싸이클로설파무론(cyclosulfamuron), 플루세토설푸론(flucetosulfuron), 이마조설푸론(imazosulfuron) 또는 에톡시설푸론(ethoxysulfuron)인 상기 (1)에 기재된 농약조성물.
(4) 설폰아미드계 화합물이 페녹슐람(penoxsulam)인 상기 (1)에 기재된 농약조성물.
(5) 클로로아세트아닐리드계 화합물이 부타크롤(butachlor), 프레틸라크롤(pretilachlor) 또는 테닐크롤인 상기 (1)에 기재된 농약조성물.
(6) 티오카르바메이트계 화합물이 티오벤카브(thiobencarb), 에스프로카브(esprocarb) 또는 몰리네이트(molinate)인 상기 (1)에 기재된 농약조성물.
(7) 피리미디닐옥시(티오)벤조산계 화합물이 피리미노박ㆍ메틸(pyriminobac-methyl), 피리프탈리드(pyriftalid), 비스피리박ㆍ나트륨(bispyribac-sodium) 또는 피리벤족심(pyribenzoxim)인 상기 (1)에 기재된 농약조성물.
(8) 테트라졸리논계 화합물이 펜트라자마이드(fentrazamide)인 상기 (1)에 기재된 농약조성물.
(9) 피라졸계 화합물이 피라졸레이트(pyrazolate), 피라족시펜(pyrazoxyfen) 또는 벤조페납(benzofenap)인 상기 (1)에 기재된 농약조성물.
(10) 시클로헥산디온계 화합물이 벤조비싸이클론(benzobicyclon), 메소트리온(mesotrione) 또는 식
[화 4]
Figure 112007019265486-pct00004
로 표현되는 화합물(이하 「AVH-301」이라고 함)인 상기 (1)에 기재된 농약조성물.
(11) 페녹시카르복시산계 화합물이 2,4-D, MCPA, MCPB 또는 클로메프롭(clomeprop)인 상기 (1)에 기재된 농약조성물.
(12) 옥사지논계 화합물이 옥사지크로메폰(oxaziclomefone)인 상기 (1)에 기재된 농약조성물.
(13) 또한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상기 (1) 내지 (12)에 기재된 농약조성물.
(14) (A) 설포닐요소계 화합물, 설폰아미드계 화합물, 클로로아세트아닐리드계 화합물, 티오카르바메이트계 화합물, 피리미디닐옥시(티오)벤조산계 화합물, 테트라졸리논계 화합물, 피라졸계 화합물, 시클로헥산디온계 화합물, 페녹시카르복시산계 화합물, 옥사지논계 화합물 및 상기 일반식 (I)로 표현되는 디플루오르메탄설포닐아닐리드계 화합물 또는 그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초활성화합물과, (B) 상기 일반식 (Ⅱ)로 표현되는 벤조산계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화합물을 동시에 시용하거나 혹은 근접 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제초활성화합물에 의한 약해를 경감시키는 방법.
본 발명 조성물에 있어서, (A)성분의 제초활성화합물로서 바람직한 화합물은, 벤설푸론메틸, 피라조설푸론에틸, 할로설푸론메틸, 페녹슐람, 아짐설푸론, 시노설푸론, 싸이클로설파무론, 플루세토설푸론, 이마조설푸론, 에톡시설푸론, 부타크롤, 프레틸라크롤, 테닐크롤, 티오벤카브, 에스프로카브, 몰리네이트, 피리미노박ㆍ메틸, 피리프탈리드, 비스피리박ㆍ나트륨, 피리벤족심, 피라졸레이트, 피라족시펜, 벤조페납, 벤조비싸이클론, 메소트리온, AVH-301, 2,4-D, MCPA, MCPB, 클로메프롭, 옥사지크로메폰, 펜트라자마이드, 상기 일반식 (I)로 표현되는 디플루오르메탄설포닐아닐리드계 화합물 또는 그 염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식 (Ⅰ)로 표현되는 화합물 중의 R1은, 바람직하게는, 수소원자, 탄소원자수가 1~6인 직쇄형상 혹은 분기형상의 알킬기 또는 전체 탄소원자수 2~6인 직쇄형상 혹은 분기형상의 알콕시알킬기이다. 알킬기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이소부틸기, sec-부틸기, t-부틸기, n-펜틸기, 1-메틸부틸기, n-헥실기 등이 바람직하며, 알콕시알킬기로서는 메톡시메틸기, 메톡시에틸기, 에톡시에틸기, 3-에톡시프로필기, 1-메틸-3-메톡시부틸기 등이 바람직하다.
일반식 (I)로 표현되는 화합물 중에서 특히 바람직한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2-[(4,6-디메톡시피리미딘-2-일)히드록시메틸]-N-디플루오르메탄설포닐아닐리드, 2-[(4,6-디메톡시피리미딘-2-일)히드록시메틸]-6-메톡시메틸-N-디플루오르메탄설포닐아닐리드, 2-[(4,6-디메톡시피리미딘-2-일)히드록시메틸]-6-에틸-N-디플루오르메탄설포닐아닐리드 등의 일본국 특개2000-44546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 일반식 (I)로 표현되는 제초활성화합물의 염으로서는, 나트륨염, 칼륨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농약조성물에 이용되는 (A)성분은, 그 대부분이 예를 들면, 더ㆍ페스티사이드ㆍ매뉴얼(The Pesticide Manual) 제 13판[브리티시ㆍ크롭ㆍ프로텍션ㆍ카운실(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발행, 2OO4년], WO00/21924호 공보 및 WO2003/061388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공지의 것이다.
본 발명 조성물에 있어서, (A)성분의 제초활성화합물에 대하여, 그 약해 경감을 위해서 조합해서 사용되는 (B)성분의 벤조산계 화합물은, 상기 일반식 (Ⅱ)로 표현되는 화합물로서, 예를 들면 p-에틸벤조산, p-(n-프로필)벤조산, p-(n-부틸)벤조산, p-(t-부틸)벤조산, p-(n-펜틸)벤조산[이하, p-(n-아밀)벤조산이라고 칭함], p-(n-헥실)벤조산 등의 p-알킬벤조산, p-아미노벤조산, p-히드록시벤조산이나, 이들의 염이나, 이들의 알킬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염으로서는, 금속염, 그 중에서도 알칼리금속염, 특히 나트륨염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p-(t-부틸)벤조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알킬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p-(t-부틸)벤조산메틸, p-히드록시벤조산n-프로필, p-히드록시벤조산이소프로필, p-히드록시벤조산n-부틸, p-히드록시벤조산이소부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는, 상기 이외의 제초활성화합물을 조합해서 이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농약조성물에 있어서, (B)성분과 (A)성분과의 사용비율은, 양자의 종류, 대상작물의 종류나 생육시기, 예를 들면, 벼 등에 있어서의 이식기 등에 의해 적절히 변동하는 경우가 있지만, (A)성분의 질량에 대해서 (B)성분의 질량이 통상 0.1~200배량이다. 바람직하게는, (B)성분의 질량은 설포닐요소계 화합물에 대해서 5~100배량, 설폰아미드계 화합물에 대해서 20~100배량, 클로로아세트아닐리드계 화합물에 대해서 0.5~10배량, 티오카르바메이트계 화합물에 대해서 0.25~1배량, 피리미디닐옥시(티오)벤조산계 화합물에 대해서 5~50배량, 테트라졸리논계 화합물에 대해서 3~30배량, 피라졸계 화합물에 대해서 0.25~10배량, 시클로헥산디온계 화합물에 대해서 1~50배량, 페녹시카르복시산계 화합물에 대해서 0.25~5배량, 옥사지논계 화합물에 대해서 10~50배량 및 일반식 (Ⅰ)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대해서 0.2~100배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5~50배량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의 농약조성물에 있어서, (A)성분의 시용량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농지 1헥타르당, 통상, 설포닐요소계 화합물에서는, 1~200g, 바람직하게는 5~100g, 설폰아미드계 화합물에서는, 5~50g, 바람직하게는 10~30g, 클로로아세트아닐리드계 화합물에서는, 50~3000g, 바람직하게는 100~2000g, 티오카르바메이트계 화합물에서는, 500~5000g, 바람직하게는 1000~4000g, 피리미디닐옥시(티오)벤조산계 화합물에서는, 5~500g, 바람직하게는 10~200g, 테트라졸리논계 화합물에서는, 50~1000g, 바람직하게는 100~500g, 피라졸계 화합물에서는, 100~5000g, 바람직하게는 500~3000g, 시클로헥산디온계 화합물에서는, 5~1000g, 바람직하게는 10~500g, 페녹시카르복시산계 화합물에서는, 50~2000g, 바람직하게는 100~1000g, 옥사지논계 화합물에서는, 5~200g, 바람직하게는 10~100g 및 일반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는, 5~200g, 바람직하게는 10~100g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의 농약조성물에 있어서, (B)성분의 시용량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농지 1헥타르당, 통상, 10~5000g, 바람직하게는 50~3000g,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2000g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의 농약조성물은, 필요에 따라서 농약 제제에 통상 이용되는 첨가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이 첨가성분으로서는, 고체 담체 또는 액체 담체 등의 담체, 계면활성제, 결합제, 점착부여제, 증점제, 착색제, 확전제(擴展劑), 전착제(展着劑), 동결방지제, 고결방지제, 붕괴제, 분해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외 필요에 따라서, 방부제나, 식물편(植物片) 등을 첨가성분으로서 이용해도 된다.
이들의 첨가성분은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또,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이용해도 된다.
상기 첨가성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고체 담체로서는, 예를 들면 석영, 점토, 고령석, 피로필라이트)(pyrophyllite), 견운모(sericite), 활석, 벤토나이트, 산성백토, 애타펄자이트, 제올라이트(zeolite), 규조토 등의 천연광물질류, 탄산칼슘, 황산암모늄, 황산나트륨, 염화칼륨 등의 무기염류, 합성규산, 합성규산염, 전분, 셀룰로오스, 식물분말 등의 유기고체담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리덴 등의 플라스틱 담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또,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이용해도 된다.
액체 담체로서는,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등의 1가 알코올류나,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의 다가 알코올류와 같은 알코올류, 프로필렌계 글리콜에테르 등의 다가 알코올계 화합물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디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류, 에틸에테르, 디옥산,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프로필에테르, 테트라히드로퓨란 등의 에테르류, 노르말파라핀, 나프텐, 이소파라핀, 케로신, 광물유 등의 지방족탄화수소류, 벤젠, 톨루엔, 크실렌, 솔벤트나프타, 알킬나프탈렌 등의 방향족탄화수소류, 디클로로에탄, 클로로포름, 4염화탄소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아세트산에틸, 디이소프로필프탈레이트, 디부틸프탈레이트, 디옥틸프탈레이트, 아디프산디메틸 등의 에스테르류, γ-부티로락톤 등의 락톤류, 디메틸포름아미드, 디에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N-알킬피롤리디논 등의 아미드류, 아세트니트릴 등의 니트릴류, 디메틸술폭시드 등의 유황화합물류, 대두유, 유채기름, 면실유, 피마자유 등의 식물유, 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또,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이용해도 된다.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자당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수지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디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디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포르말린축합물,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블록폴리머, 알킬폴리옥시에틸렌폴리프로필렌블록폴리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비스페닐에테르, 폴리알킬렌벤질페닐에테르, 폴리옥시알킬렌스티릴페닐에테르, 아세틸렌디올, 폴리옥시알킬렌 부가 아세틸렌디올, 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형 실리콘, 에스테르형 실리콘, 불소계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등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알킬황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황산염, 폴리옥시에틸렌스티릴페닐에테르황산염, 알킬벤젠술폰산염, 리그닌술폰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나프탈렌술폰산의 포르말린축합물의 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의 포르말린축합물의 염, 지방산염, 폴리카르복시산염, N-메틸-지방산사르코시네이트, 수지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인산염 등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라우릴아민염산염, 스테아릴아민염산염, 올레일아민염산염, 스테아릴아민아세트산염, 스테아릴아미노프로필아민아세트산염, 알킬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알킬디메틸벤잘코늄클로라이드 등의 알킬아민염 등의 양이온 계면활성제, 아미노산형 또는 베타인형 등의 양성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계면활성제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또,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이용해도 된다.
또, 결합제나 점착부여제로서는, 예를 들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 그 염, 덱스트린, 수용성 전분, 산탄검, 구아검, 자당, 폴리비닐피롤리돈, 아라비아고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평균분자량 6000~200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 평균분자량 10만~500만인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인지질(예를 들면, 세파린, 레시틴 등) 등을 들 수 있다.
증점제로서는, 예를 들면 산탄검, 구아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아크릴계 폴리머, 전분계 화합물 및 수용성 다당류와 같은 수용성 고분자, 고순도 벤토나이트, 퓸드 실리카(fumed silica, 화이트카본)와 같은 무기미분 등을 들 수 있다.
착색제로서는, 예를 들면 산화철, 산화티탄, 프러시안 블루(Prussian Blue)와 같은 무기안료, 알리자린(alizarin) 염료, 아조 염료, 금속프탈로시아닌 염료와 같은 유기염료 등을 들 수 있다.
확전제로서는, 예를 들면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셀룰로오스분말, 덱스트린, 가공전분, 폴리아미노카르복시산킬레이트화합물, 가교 폴리비닐피롤리돈, 말레산과 스티렌류의 공중합체, (메타)아크릴산계 공중합체, 다가 알코올로 이루어지는 폴리머와 디카르복시산무수물과의 하프에스테르, 폴리스티렌설폰산의 수용성 염 등을 들 수 있다.
전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파라핀, 테르펜, 폴리아미드수지, 폴리아크릴산염, 폴리옥시에틸렌, 왁스, 폴리비닐알킬에테르, 알킬페놀포르말린축합물, 합성수지에멀션 등을 들 수 있다.
동결방지제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의 다가 알코올류 등을 들 수 있다.
고결방지제로서는, 예를 들면, 전분, 알긴산, 만노오스, 갈락토오스 등의 다당류, 폴리비닐피롤리돈, 퓸드 실리카(fumed silica, 화이트카본), 에스테르검, 석유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붕괴제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폴리인산소다, 헥사메타인산소다, 스테아린산금속염, 셀룰로오스분말, 덱스트린, 메타크릴산에스테르계의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아미노카르복시산킬레이트화합물, 설폰화 스티렌ㆍ이소부틸렌ㆍ무수말레산공중합체, 전분ㆍ폴리아크릴로니트릴그래프트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분해방지제로서는, 예를 들면 제올라이트, 생석회, 산화마그네슘 등의 건조제, 살리실산계, 벤조페논계 등의 자외선흡수제 등을 들 수 있다.
방부제로서는, 예를 들면 소르빈산칼륨, 1,2-벤즈티아졸린-3-온 등을 들 수 있다.
식물편으로서는, 예를 들면, 톱밥, 야자껍질, 옥수수 이삭축, 담배줄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농약조성물에 상기 첨가성분을 함유시키는 경우, 그 함유비율은, 질량기준으로, 담체에서는 통상 5~95%, 바람직하게는 20~90%, 계면활성제에서는 통상 0.1%~30%, 바람직하게는 0.5~10%, 기타 첨가제에서는 0.1~30%, 바람직하게는 0.5~10%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의 농약조성물은, 액제, 유제(乳劑), 수화제, 분제, 유제, 과립 수화제, 플로아블(flowable)제, 유현탁제, 입제(粒劑), 점보(jumbo)제, 서스포에멀션, 마이크로캡슐 등의 임의의 제형(劑型)으로 제제화해서 사용된다.
이 제제화 시에, (A)성분 이외의 농약, 예를 들면 다른 제초제, 살충제, 살균제, 식물성장조절제나, 비료 등과의 혼합조성물로 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의 농약조성물은, 상기 임의의 제제를 수용성 필름으로 포장한 형태로 해도 된다. 이 형태로 시용하면, 생력화에 이바지하며, 또,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농약조성물은, 잡초의 발생 전부터 생육기까지의 임의의 시기에 시용해서, 잡초방제와 대상작물에의 약해 경감을 모두 발현시킬 수 있다. 대상작물로서는 벼가 본 발명 조성물의 적용효과가 가장 현저하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A)성분과 (B)성분을 동시에 시용해도 되고, 또, 근접 시용해도 된다.
여기서 근접 시용이란, 상기 (A)성분에 의한 대상작물의 약해가 명백하게 나타나기 전에, 상기 (A)성분의 시용으로부터의 기간을 근접시켜서 상기 (B)성분을 시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 동시 시용에 대해서는, 레디믹스(ready mix)의 형태로 적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사전에 제제화된 본 발명 조성물을 이용해도 되며, 또, 상기 (A)성분과 (B)성분을 별개로 준비하여, 사용 시에 혼합되는 현장조합물의 형태로, 즉 탱크믹스(tank mix)의 형태로 적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농약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 이하의 방법이 이용된다.
전체원료의 혼합품에 적당량의 물을 첨가해서 혼련한 후, 일정한 크기의 구멍을 낸 스크린으로부터 압출 조립(造粒)해서 건조시키는 방법.
제초활성화합물, 벤조산계 화합물 및 계면활성제를 유기용제에 용해 또는 현탁하고, 담체에 흡착시키는 방법.
전체원료의 혼합품을, 적당한 분쇄기에 의해 혼합분쇄하는 방법.
다음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를 설명한다. 이하의 기재에 있어서, 「부」는 「질량부」를 의미한다. 또, 「무처리구간」이란, 본 발명의 (A)성분도 (B)성분도 이용하지 않은 조건으로 각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작물을 생육시킨 작물구분을 의미한다.
실시예 1~13
염수선(鹽水選)한 볍씨[품종명, 금남풍(Kinmaze)]를 O.5% 차아염소산나트륨수용액에 10분간 침지한 후, 30분간 흐르는 물에 유수수세하고, 이것을 30℃로 36시간 유지하며, 최아(催芽)시켜서 최아 벼를 조제하였다. 한편, 호오글랜드(hoagland) No.2 배양기용 염류(SIGMA사 제품)의 수용액 100부에 겔란검(gellan gum) 0.3부를 용해시키고, 그 15ml를, 내경 2㎝, 높이 5㎝의 유리관 13개에 충전하고, 이들에 2-[(4,6-디메톡시피리미딘-2-일)히드록시메틸]-6-메톡시메틸-N-디플루오르메탄설포닐아닐리드(이하 「제초활성화합물 A1」이라고 함) 및 표 1에 나타내는 각종의 벤조산계 화합물을 각각 0.15ppm 및 2ppm의 농도로 되도록 첨가하고, 정치(靜置)해서 용액을 유리관 속에서 겔화시켜서 본 발명 조성물을 함유해서 이루어지는 배양기(이하 「본 배양기」라고 칭함)를 조제하였다. 또, 마찬가지로 상기 배양기용 염류의 수용액에 동일비율로 겔란검만을 용해시키고, 그 15ml를 유리관에 충전하고, 정치해서 용액을 유리관 속에서 겔화시킨 배양기(이하 「무처리배양기」라고 칭함)를 조제하였다. 이들 배양기에 상기 최아 벼를 5알씩 파종하였다. 파종 후 성장챔버(growth chamber)(산요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내에 있어서, 온도 25℃, 명기(明期): 16시간, 암기(暗期): 8시간의 조건으로 상기 최아 벼를 생육시키고, 7일 후 즉 7주기 경과 후에 뿌리부분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본 배양기에서 생육시킨 각 실시예의 작물구분과 무처리배양기에서 생육시킨 작물구분(이하 무처리구간이라고 칭함)의 측정치에 대해서, 각각의 평균치를 구하고, 각 실시예의 작물구분의 측정치를 무처리구간의 측정치에 대한 백분율로 표시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본 배양기에 벤조산계 화합물을 첨가하지 않았던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최아 벼를 생육시키고, 7일 후에 뿌리부분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그 측정치의 평균치를 구하고, 각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백분율로 해서 표 1에 나타낸다.
벤조산계 화합물 뿌리부분 길이(%)
실시예1 p-에틸벤조산 25
실시예2 p-(n-프로필)벤조산 27
실시예3 p-(n-부틸)벤조산 66
실시예4 p-(n-아밀)벤조산 70
실시예5 p-(n-헥실)벤조산 43
실시예6 p-(t-부틸)벤조산 47
실시예7 p-(t-부틸)벤조산나트륨 41
실시예8 p-(t-부틸)벤조산메틸 25
실시예9 p-아미노벤조산 37
실시예10 p-히드록시벤조산n-프로필 37
실시예11 p-히드록시벤조산이소프로필 31
실시예12 p-히드록시벤조산n-부틸 44
실시예13 p-히드록시벤조산이소부틸 44
비교예1 - 21
무처리구간 - 100
실시예 14~20
무라시게ㆍ스쿠그배양기용 염류(와코쥰야쿠 가부시키가이샤 제품)의 25% 수용액에, 사전에 제초활성화합물 A1 및 표 2에 나타낸 각종의 벤조산계 화합물을 각각 0.1ppm 및 표 2에 나타낸 농도로 되도록 첨가한 시험배양기의 50ml씩을 용량 50ml의 에를렌마이어플라스크(Erlenmeyer flask, 삼각플라스크)에 분취해서 각종의 액체배양기를 조정하였다. 또, 마찬가지로 상기 플라스크에, 무라시게ㆍ스쿠그배양기용 염류의 25% 수용액을 동일량 투입한 액체배양기(이하 「무처리배양기」라고 칭함)를 조제하였다. 이들 배양기에, 육묘용 배토(培土)에서 2엽기까지 생육시킨 벼(금남풍)를, 뿌리부분을 2㎝의 길이를 남기고 절단한 후에 침지하고, 성장챔버 내에서 25℃, 명기: 16시간, 암기: 8시간의 조건으로 생육시키고, 14일 후 즉 14주기 경과 후, 벼의 초장(草丈), 뿌리부분의 길이 및 지상부분 및 뿌리부분의 생질량(生質量)을 측정하였다. 이들 측정치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2
벤조산계 화합물을 첨가하지 않았던 것 이외는 실시예 14와 동일하게 해서 벼를 생육시키고, 14일 후, 벼의 초장, 뿌리부분의 길이 및 지상부분 및 뿌리부분의 생질량을 측정하였다. 이들 측정치를 표 2에 나타낸다.
벤조산계 화합물 초장
(㎝)
뿌리부분
길이(㎝)
생질량
종류 농도
(ppm)
지상부분(g) 뿌리부분(g)
실시예14 p-(n-부틸)벤조산 3 25.9 5.6 0.49 0.29
실시예15 p-(n-부틸)벤조산 1 23.6 6.3 0.37 0.20
실시예16 p-(n-아밀)벤조산 3 27.6 6.2 0.52 0.39
실시예17 p-(n-아밀)벤조산 1 25.2 6.0 0.41 0.23
실시예18 p-(n-헥실)벤조산 3 24.7 3.7 0.36 0.18
실시예19 p-(n-부틸)벤조산 3 25.6 8.5 0.49 0.27
실시예20 p-(n-부틸)벤조산 1 21.7 2.9 0.31 0.18
비교예2 - 0 15.6 2.1 0.16 0.07
무처리구간 - 0 27.0 7.3 0.70 0.45
실시예 21~25
무라시게ㆍ스쿠그배양기용 염류(와코쥰야쿠 가부시키가이샤 제품)의 25% 수용액에, 사전에, 표 3에 나타낸 각종의 제초활성화합물 및 p-(t-부틸)벤조산을 각각 표 3에 나타낸 농도 및 3ppm으로 되도록 첨가한 시험배양기의 50ml씩을 용량 50ml의 에를렌마이어플라스크에 분취해서 각종의 액체배양기를 조정하였다. 또, 마찬가지로 해서 제초활성화합물 및 벤조산계 화합물의 무첨가인 액체배양기를 조제하였다. 이들의 배양기에, 육묘용 배토에서 2엽기까지 생육시킨 벼(금남풍)를, 뿌리부분을 2㎝의 길이를 남기고 절단한 후에 침지하고, 성장챔버(산요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내에서 25℃, 명기: 16시간, 암기: 8시간의 조건으로 생육시키고, 14일 후, 벼의 초장, 뿌리부분의 길이 및 지상부분 및 뿌리부분의 생질량을 측정하였다. 이들 측정치를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3~7
실시예 21~25의 각각에 있어서, 배양기에 벤조산계 화합물을 첨가하지 않았던 것 이외는 동일하게 해서 벼를 생육시키고, 14일 후, 벼의 초장, 뿌리부분의 길이 및 지상부분 및 뿌리부분의 생질량을 측정하였다. 이들 측정치를 표 3에 나타낸다.

제초활성화합물 농도(ppm) 초장
(㎝)
뿌리길이
(㎝)
생질량
지상부분
(g)
뿌리부분
(g)
실시예21
비교예3
벤설푸론메틸
0.1
22.9
12.4
8.1
2.2
0.34
0.11
0.17
0.05
실시예22
비교예4
피라조설푸론에틸
0.1
12.1
11.7
2.3
2.0
0.11
0.07
0.06
0.04
실시예23
비교예5
부타크롤
0.3
24.4
15.5
10.5
2.8
0.52
0.14
0.25
0.09
실시예24
비교예6
티오벤카브
3
21.9
19.4
10.4
8.1
0.32
0.23
0.19
0.18
실시예25
비교예7
펜트라자마이드
0.1
14.2
11.6
6.3
2.2
0.21
0.08
0.11
0.05
무처리구간 - 25.5 7.0 0.38 0.26
표 1, 표 2 및 표 3에서, 벤조산계 화합물을 첨가한 각 실시예 쪽이, 제초활성화합물만을 이용한 각 비교예에 비해서, 초장, 뿌리부분의 길이 및 지상부분과 뿌리부분의 생질량이 우수하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농약조성물의 명확한 우위성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6
1/5000a 와그너 포트(Wagner pot)에 논토양(모래토양)을 충전하고, 입수(入水), 써레질한 후, 수심을 4㎝로 유지하였다. 다음날, 육묘용 배토에서 2엽기까지 생육시킨 벼(금남풍)를, 뿌리부분을 0.5㎝의 길이를 남기고 절단하고, 기부(基部)의 깊이가 2㎝로 되도록 1그루씩 이식하였다. 이식 3일 후, 제초활성화합물 A1을 0.7% 함유하는 입제 및 p-(t-부틸)벤조산의 10% 수화제를 각각, 10g ai/10a 및 150g ai/10a 상당량으로 와그너 포트 내에 균일하게 되도록 수면 살포하였다. 감소한 수심은, 약제처리 당일로부터 1O일간, 1㎝/일, 합계 10㎝로 하였다. 약제처리 45일 후, 초장 및 분얼 줄기수를 측정하였다. 이들 측정치를 표 4에 나타낸다.
비교예 8
벤조산계 화합물을 포트에 살포하지 않았던 것 이외는 실시예 26과 동일하게 해서 벼를 생육시키고, 45일 후, 초장 및 분얼 줄기수를 측정하였다. 이들 측정치를 표 4에 나타낸다.
초장
(대비 무처리구간비 %)
분얼 줄기수
(개)
실시예26 100 8.5
비교예8 91 4.5
무처리구간 100 7.8
실시예 27~38
1/5000a 와그너 포트에 논토양(모래토양)을 충전하고, 입수, 써레질한 후, 수심을 4㎝로 유지하였다. 다음날, 육묘용 배토에서 2엽기까지 생육시킨 벼(금남풍)를, 뿌리부분을 0.5㎝의 길이를 남기고 절단하고, 기부의 깊이가 2㎝로 되도록 1그루씩 이식하였다. 이식 다음날, 표 1에 나타내는 각종의 제초활성화합물의 10% 수화제 및 p-(t-부틸)벤조산의 10% 수화제를 와그너 포트 내에 각각 표 5에 나타내는 시료약량 상당량 및 200g ai/10a 상당량으로 되도록 균일하게 수면 살포하였다. 약제처리 35일 후, 초장 및 분얼 줄기수를 측정하였다. 이들 측정치를 표 5에 나타낸다.
비교예 9~20
실시예 27~38에 있어서, 각각 벤조산계 화합물을 포트에 살포하지 않았던 것 이외는 동일하게 해서 벼를 생육시키고, 측정한 값을 표 5에 나타낸다.
제초활성화합물
[시료약량(g ai/10a)]
초장
(대비 무처리구간비 %)
분얼 줄기수(개)
실시예27
비교예9
벤설푸론메틸
[15]
83
75
7.2
5.2
실시예28
비교예10
피라조설푸론에틸
[6]
92
85
8.0
7.8
실시예29
비교예11
할로설푸론메틸
[12]
96
95
9.8
7.8
실시예30
비교예12
피리프탈리드
[36]
89
86
5.3
4.8
실시예31
비교예13
피리미노박메틸
[20]
98
69
7.2
4.8
실시예32
비교예14
페녹슐람
[3.5]
81
71
6.3
3.7
실시예33
비교예15
프레틸라크롤
[120]
103
81
8.0
5.7
실시예34
비교예16
티오벤카브
[400]
97
90
11.5
9.2
실시예35
비교예17
펜트라자마이드
[60]
74
73
6.0
5.5
실시예36
비교예18
AVH-301
[60]
62
23
3.2
1.0
실시예37
비교예19
클로메프롭
[90]
107
104
7.7
5.5
실시예38
비교예20
옥사지크로메폰
[12]
87
86
10.8
8.5
무처리구간 - 100 11.8
표 4 및 표 5에서, 벤조산계 화합물을 살포한 각 실시예 쪽이 상기 화합물을 살포하지 않았던 각 비교예에 비해서, 생육억제, 분얼억제 등의 약해가 경감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연유로, 본 발명의 농약조성물은 사질토양, 누수 등의 불량환경조건 하에 있어서도 논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 조성물의 각종 제제에 대해서 그 예를 나타낸다.
실시예 39
제초활성화합물 A1을 1부, p-(n-프로필)벤조산 5부, 알파화 전분 3부, 탄산칼슘 30부 및 점토 61부에 적당량의 물을 첨가해서 혼련한 후, 압출 조립기를 이용해서 체눈직경 1㎜인 스크린으로부터 압출 조립하고, 품온(品溫) 60℃에서 유동층 건조기에 의해 건조하고, 체로 쳐서 분류함으로써, 제초활성화합물 A1 및 p-(n-프로필)벤조산을 함유하는 입제를 얻었다.
실시예 40
제초활성화합물 A1을 0.7부, p-(n-부틸)벤조산 10부, 효소변성 덱스트린 3부, 탄산칼슘 30부 및 점토 56.3부에 적당량의 물을 첨가해서 혼련한 후, 압출 조립기를 이용해서 체눈직경 1㎜인 스크린으로부터 압출 조립하고, 품온 60℃에서 유동층 건조기에 의해 건조하고, 체로 쳐서 분류함으로써, 제초활성화합물 A1 및 p-(n-부틸)벤조산을 함유하는 입제를 얻었다.
실시예 41
제초활성화합물 A1을 0.7부, p-(n-아밀)벤조산 10부, 알파화 전분 3부, 디옥틸설포석시네이트나트륨염 1부, 탄산칼슘 30부 및 점토 55.3부에 적당량의 물을 첨가해서 혼련한 후, 압출 조립기를 이용해서 체눈직경 1㎜인 스크린으로부터 압출 조립하고, 품온 60℃에서 유동층 건조기에 의해 건조하고, 체로 쳐서 분류함으로써, 제초활성화합물 A1 및 p-(n-아밀)벤조산을 함유하는 입제를 얻었다.
실시예 42
제초활성화합물 A1을 1부, p-(n-헥실)벤조산 5부, 효소변성 덱스트린 3부, 도데실벤젠설폰산나트륨 1부 및 탄산칼슘 90부에 적당량의 물을 첨가해서 혼련한 후, 압출 조립기를 이용해서 체눈직경 1㎜인 스크린으로부터 압출 조립하고, 품온 60℃에서 유동층 건조기에 의해 건조하고, 체로 쳐서 분류함으로써, 제초활성화합물 A1 및 p-(n-헥실)벤조산을 함유하는 입제를 얻었다.
실시예 43
제초활성화합물 A1을 0.7부, p-(t-부틸)벤조산 10부, 알파화 전분 3부 및 탄산칼슘 61부에 적당량의 물을 첨가해서 혼련한 후, 압출 조립기를 이용해서 체눈직경 1㎜인 스크린으로부터 압출 조립하고, 품온 60℃에서 유동층 건조기에 의해 건조하고, 체로 쳐서 분류함으로써, 제초활성화합물 A1 및 p-(t-부틸)벤조산을 함유하는 입제를 얻었다.
실시예 44
제초활성화합물 A1을 1부, p-(t-부틸)벤조산나트륨 5부, 알파화 전분 3부,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5부, 점토 30부 및 탄산칼슘 56부에 적당량의 물을 첨가해서 혼련한 후, 압출 조립기를 이용해서 체눈직경 1㎜인 스크린으로부터 압출 조립하고, 품온 60℃에서 유동층 건조기에 의해 건조하고, 체로 쳐서 분류함으로써, 제초활성화합물 A1 및 p-(t-부틸)벤조산나트륨을 함유하는 입제를 얻었다.
실시예 45
제초활성화합물 A1을 2부, p-히드록시벤조산n-부틸 5부, 알파화 전분 3부, 디옥틸설포석시네이트나트륨염 3부, 점토 20부 및 탄산칼슘 67부에 적당량의 물을 첨가해서 혼련한 후, 압출 조립기를 이용해서 체눈직경 1㎜인 스크린으로부터 압출 조립하고, 품온 60℃에서 유동층 건조기에 의해 건조하고, 체로 쳐서 분류함으로써, 제초활성화합물 A1 및 p-히드록시벤조산n-부틸을 함유하는 입제를 얻었다.
실시예 46
제초활성화합물 A1을 20부, p-(t-부틸)벤조산 30부, 퓸드 실리카(화이트카본) 5부, 알킬나프탈렌설폰산나트륨염 5부 및 점토 40부를 충격식 분쇄기를 이용해서 혼합분쇄함으로써, 제초활성화합물 A1 및 p-(t-부틸)벤조산을 함유하는 수화제를 얻었다.
실시예 47
제초활성화합물 A1을 2부, p-(t-부틸)벤조산 10부, 폴리옥시에틸렌스티릴페닐에테르설페이트나트륨염 5부, 프로필렌글리콜 10부, 산탄검 0.3부 및 물 72.7부를 습식 분쇄기를 이용해서, 유리제 비즈를 분쇄매체로서 혼합분쇄함으로써, 제초활성화합물 A1 및 p-(t-부틸)벤조산을 함유하는 플로아블제를 얻었다.
실시예 48
제초활성화합물 A1을 5부, p-(t-부틸)벤조산나트륨 15부, 효소변성 덱스트린 3부, 아세틸렌디올 3부, 물 함유 플라스틱 중공 비즈 12부, 무수황산나트륨 20부 및 요소 42부에 적당량의 물을 첨가해서 혼련한 후, 압출 조립기를 이용해서 체눈직경 5㎜인 스크린으로부터 압출 조립하고, 길이 3~20㎜로 정립(整粒)한 후, 품온 60℃에서 유동층 건조기에 의해 건조하고, 체로 쳐서 분류함으로써, 제초활성화합물 A1 및 p-(t-부틸)벤조산나트륨을 함유하는 부유확산형 입제를 얻었다.
실시예 49
제초활성화합물 A1을 0.7부, 알파화 전분 3부, 디올레일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7부, 점토 20부 및 탄산칼슘 69.3부에 적당량의 물을 첨가해서 혼련한 후, 압출 조립기를 이용해서 체눈직경 1㎜인 스크린으로부터 압출 조립하고, 품온 60℃에서 유동층 건조기에 의해 건조하고, 체로 쳐서 분류함으로써, 제초활성화합물 A1을 함유하는 입제를 얻었다. 별도로, p-(t-부틸)벤조산 10부, 알파화 전분 3부, 도데실벤젠설폰산나트륨 2부, 점토 20부 및 탄산칼슘 65부에 적당량의 물을 첨가해서 혼련한 후, 압출 조립기를 이용해서 체눈직경 1㎜인 스크린으로부터 압출 조립하고, 품온 60℃에서 유동층 건조기에 의해 건조하고, 체로 쳐서 분류함으로써, p-(t-부틸)벤조산을 함유하는 입제를 얻었다. 이들 입제를 혼합조제해서 혼합 입제를 얻었다.
실시예 50
벤설푸론메틸 1부, p-(n-프로필)벤조산 15부, 효소변성 덱스트린 3부, 도데실벤젠설폰산나트륨 1부, 벤토나이트 25부 및 탄산칼슘 55부에 적당량의 물을 첨가해서 혼련한 후, 압출 조립기를 이용해서 체눈직경 1㎜인 스크린으로부터 압출 조립하고, 품온 60℃에서 유동층 건조기에 의해 건조하고, 체로 쳐서 분류함으로써, 벤설푸론메틸 및 p-(n-프로필)벤조산을 함유하는 입제를 얻었다.
실시예 51
피리프탈리드 2부, p-(n-부틸)벤조산 10부, 효소변성 덱스트린 3부, 도데실벤젠설폰산나트륨 1부, 벤토나이트 25부 및 탄산칼슘 59부에 적당량의 물을 첨가해서 혼련한 후, 압출 조립기를 이용해서 체눈직경 1㎜인 스크린으로부터 압출 조립하고, 품온 60℃에서 유동층 건조기에 의해 건조하고, 체로 쳐서 분류함으로써, 피리프탈리드 및 p-(n-부틸)벤조산을 함유하는 입제를 얻었다.
실시예 52
피리미노박ㆍ메틸 1부, p-(n-아밀)벤조산 10부, 효소변성 덱스트린 3부, 도데실벤젠설폰산나트륨 1부, 벤토나이트 25부 및 탄산칼슘 60부에 적당량의 물을 첨가해서 혼련한 후, 압출 조립기를 이용해서 체눈직경 1㎜인 스크린으로부터 압출 조립하고, 품온 60℃에서 유동층 건조기에 의해 건조하고, 체로 쳐서 분류함으로써, 피리미노박ㆍ메틸 및 p-(n-아밀)벤조산을 함유하는 입제를 얻었다.
실시예 53
페녹슐람 0.2부, p-(n-헥실)벤조산 4부, 효소변성 덱스트린 3부, 도데실벤젠설폰산나트륨 1부, 벤토나이트 25부 및 탄산칼슘 66.8부에 적당량의 물을 첨가해서 혼련한 후, 압출 조립기를 이용해서 체눈직경 1㎜인 스크린으로부터 압출 조립하고, 품온 60℃에서 유동층 건조기에 의해 건조하고, 체로 쳐서 분류함으로써, 페녹슐람 및 p-(n-헥실)벤조산을 함유하는 입제를 얻었다.
실시예 54
부타크롤 10부, p-(t-부틸)벤조산 20부, 효소변성 덱스트린 3부, 도데실벤젠설폰산나트륨 1부, 퓸드 실리카(화이트카본) 5부, 규조토 5부, 벤토나이트 20부 및 탄산칼슘 36부에 적당량의 물을 첨가해서 혼련한 후, 압출 조립기를 이용해서 체눈직경 1㎜인 스크린으로부터 압출 조립하고, 품온 60℃에서 유동층 건조기에 의해 건조하고, 체로 쳐서 분류함으로써, 부타크롤 및 p-(t-부틸)벤조산을 함유하는 입제를 얻었다.
실시예 55
티오벤카브 16부, p-(t-부틸)벤조산나트륨 4부, 효소변성 덱스트린 3부, 도데실벤젠설폰산나트륨 1부, 퓸드 실리카(화이트카본) 5부, 규조토 5부, 벤토나이트 20부 및 탄산칼슘 46부에 적당량의 물을 첨가해서 혼련한 후, 압출 조립기를 이용해서 체눈직경 1㎜인 스크린으로부터 압출 조립하고, 품온 60℃에서 유동층 건조기에 의해 건조하고, 체로 쳐서 분류함으로써, 티오벤카브 및 p-(t-부틸)벤조산나트륨을 함유하는 입제를 얻었다.
실시예 56
펜트라자마이드 3부, p-히드록시벤조산n-부틸 10부, 효소변성 덱스트린 3부, 도데실벤젠설폰산나트륨 1부, 벤토나이트 25부 및 탄산칼슘 58부에 적당량의 물을 첨가해서 혼련한 후, 압출 조립기를 이용해서 체눈직경 1㎜인 스크린으로부터 압출 조립하고, 품온 60℃에서 유동층 건조기에 의해 건조하고, 체로 쳐서 분류함으로써, 펜트라자마이드 및 p-히드록시벤조산n-부틸을 함유하는 입제를 얻었다.
실시예 57
옥사지크로메폰 1부, p-(n-부틸)벤조산 20부, 효소변성 덱스트린 3부, 도데실벤젠설폰산나트륨 1부, 벤토나이트 25부 및 탄산칼슘 50부에 적당량의 물을 첨가해서 혼련한 후, 압출 조립기를 이용해서 체눈직경 1㎜인 스크린으로부터 압출 조립하고, 품온 60℃에서 유동층 건조기에 의해 건조하고, 체로 쳐서 분류함으로써, 옥사지크로메폰 및 p-(n-부틸)벤조산을 함유하는 입제를 얻었다.
실시예 58
벤설푸론메틸 1부 및 피리미노박ㆍ메틸 1부, p-(t-부틸)벤조산 10부, 효소변성 덱스트린 3부, 도데실벤젠설폰산나트륨 1부, 벤토나이트 25부 및 탄산칼슘 59부에 적당량의 물을 첨가해서 혼련한 후, 압출 조립기를 이용해서 체눈직경 1㎜인 스크린으로부터 압출 조립하고, 품온 60℃에서 유동층 건조기에 의해 건조하고, 체로 쳐서 분류함으로써, 벤설푸론메틸, 피리미노박ㆍ메틸 및 p-(t-부틸)벤조산을 함유하는 입제를 얻었다.
실시예 59
벤설푸론메틸 1부 및 펜트라자마이드 2부, p-(t-부틸)벤조산 10부, 효소변성 덱스트린 3부, 도데실벤젠설폰산나트륨 1부, 벤토나이트 25부 및 탄산칼슘 58부에 적당량의 물을 첨가해서 혼련한 후, 압출 조립기를 이용해서 체눈직경 1㎜인 스크린으로부터 압출 조립하고, 품온 60℃에서 유동층 건조기에 의해 건조하고, 체로 쳐서 분류함으로써, 벤설푸론메틸, 펜트라자마이드 및 p-(t-부틸)벤조산을 함유하는 입제를 얻었다.
실시예 60
피라조설푸론에틸 6부, p-(t-부틸)벤조산 30부, 알킬나프탈렌설폰산나트륨 10부, 규조토 15부 및 점토 39부에 적당량의 물을 첨가해서 혼련한 후, 압출 조립기를 이용해서 체눈직경 0.6㎜인 스크린으로부터 압출 조립하고, 품온 60℃에서 유동층 건조기에 의해 건조하고, 체로 쳐서 분류함으로써, 피라조설푸론에틸 및 p-(t-부틸)벤조산을 함유하는 과립 수화제를 얻었다.
실시예 61
할로설푸론메틸 0.5부, p-(t-부틸)벤조산 50부, 알킬나프탈렌설폰산나트륨 5부, 라우릴황산나트륨 5부, 규조토 10부 및 점토 29.5부를 충격식 분쇄기를 이용해서 혼합분쇄함으로써, 할로설푸론메틸 및 p-(t-부틸)벤조산을 함유하는 수화제를 얻었다.
실시예 62
벤설푸론메틸 1부 및 피리미노박ㆍ메틸 1부, p-(t-부틸)벤조산 20부, 폴리옥시에틸렌스티릴페닐에테르황산나트륨 15부, 프로필렌글리콜 10부, 산탄검 0.2부 및 물 52.8부를 습식 분쇄기를 이용해서, 유리제 비즈를 분쇄매체로서 혼합분쇄함으로써, 벤설푸론메틸, 피리미노박ㆍ메틸 및 p-(t-부틸)벤조산을 함유하는 플로아블제를 얻었다.
실시예 63
벤설푸론메틸 3부 및 피리미노박ㆍ메틸 1부, p-(t-부틸)벤조산 50부, 효소변성 덱스트린 2부, 아세틸렌디올 3부, 물 함유 플라스틱 중공 비즈 10부, 무수황산나트륨 15부 및 요소 16부에 적당량의 물을 첨가해서 혼련한 후, 압출 조립기를 이용해서 체눈직경 5㎜인 스크린으로부터 압출 조립하고 길이 3~20㎜로 정립한 후, 품온 60℃에서 유동층 건조기에 의해 건조하고, 체로 쳐서 분류함으로써, 벤설푸론메틸, 피리미노박ㆍ메틸 및 p-(t-부틸)벤조산을 함유하는 부유확산형 입제를 얻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약해저감방법에 대해서 그 예를 나타낸다.
실시예 64
제초활성화합물 A1 0.7부, 알파화 전분 3부, 점토 20부 및 탄산칼슘 76.3부에 적당량의 물을 첨가해서 혼련한 후, 압출 조립기를 이용해서 체눈직경 1㎜인 스크린으로부터 압출 조립하고, 품온 60℃에서 유동층 건조기에 의해 건조하고, 체로 쳐서 분류함으로써, 제초활성화합물 A1을 함유하는 입제를 얻었다. 별도로, p-(t-부틸)벤조산 10부, 알킬나프탈렌설폰산나트륨염 2부, 규조토 30부 및 점토 58부를 충격식 분쇄기를 이용해서 혼합분쇄함으로써, p-(t-부틸)벤조산을 함유하는 수화제를 얻었다. 이 입제와 수화제를 논 잡초에 동시에 시용하였다.
실시예 65
상기 실시예 64에서 제조한 제초활성화합물 A1을 함유하는 입제를 논 잡초에 시용하고, 3일 후, 상기 실시예 64에서 제조한 p-(t-부틸)벤조산을 함유하는 수화제를 논 잡초에 시용하였다.
실시예 66
상기 실시예 64에서 제조한 p-(t-부틸)벤조산을 함유하는 수화제를 논 잡초에 시용하고, 7일 후, 상기 실시예 64에서 제조한 제초활성화합물 A1을 함유하는 입제를 논 잡초에 시용하였다.
본 발명의 농약조성물은, 광범한 제초활성화합물에 대해서, 그것을 단순히 시용했을 경우에 벼 등의 대상작물의 생육장해나 생육억제, 분얼억제, 황화 등의 약해 증상을 일으키게 하는 것일지라도, 충분한 제초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동시에 대상작물의 약해 증상을 경감 또는 방지할 수 있으므로, 대상작물의 약해 증상을 경감 또는 방지하는 제초제, 특히 벼 작용 혹은 논 벼 작용 제초제로서 유용하다.
또, 본 발명 방법은, 대상작물, 특히 벼의 생육장해나 생육억제, 황화 등의 약해 증상이 발현하게 되는 제초활성성분 시용량이어도, 특정한 벤조산계 화합물의 병용에 의해 약해 증상을 경감 또는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초활성화합물의 약해경감방법으로서 유용하다.

Claims (14)

  1. (A) 벤설푸론메틸(bensulfuron-methyl), 피라조설푸론에틸(pyrazosulfuronethyl), 할로설푸론메틸(halosulfuron-methyl), 아짐설푸론(azimsulfuron), 시노설푸론(cinosulfuron), 싸이클로설파무론(cyclosulfamuron), 플루세토설푸론(flucetosulfuron), 이마조설푸론(imazosulfuron), 에톡시설푸론(ethoxysulfuron), 페녹슐람(penoxulam), 부타크롤(butachlor), 프레틸라크롤(pretilachlor), 테닐크롤, 티오벤카브(thiobencarb), 에스프로카브(esprocarb), 몰리네이트(molinate), 피리미노박·메틸(pyriminobac-methyl), 피리프탈리드(pyriftalid), 비스피리박·나트륨(bispyribac-sodium), 피리벤족심(pyribenzoxim), 펜트라자마이드(fentrazamide), 벤조비싸이클론(benzobicyclon), 메소트리온(mesotrione), 식
    Figure 112012050211444-pct00011
    로 표현되는 화합물, 2, 4-D, MCPA, MCPB, 클로메프롭(clomeprop), 옥사지크로메폰(oxaziclomefone) 및 일반식
    Figure 112012050211444-pct00012
    (식 중의 R1은 수소원자, 알킬기 또는 알콕시알킬기임)
    로 표현되는 디플루오르메탄설포닐아닐리드계 화합물 또는 그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초활성화합물과, (B) 일반식
    Figure 112012050211444-pct00009
    (식 중의 R2는, 탄소원자수 1~15의 알킬기, 히드록실기 또는 아미노기를 나타내고, R3은 수소원자 또는 금속원자임)
    로 표현되는 벤조산계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 1항에 있어서,
    또,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조성물.
  14. (A) 벤설푸론메틸(bensulfuron-methyl), 피라조설푸론에틸(pyrazosulfuronethyl), 할로설푸론메틸(halosulfuron-methyl), 아짐설푸론(azimsulfuron), 시노설푸론(cinosulfuron), 싸이클로설파무론(cyclosulfamuron), 플루세토설푸론(flucetosulfuron), 이마조설푸론(imazosulfuron), 에톡시설푸론(ethoxysulfuron), 페녹슐람(penoxulam), 부타크롤(butachlor), 프레틸라크롤(pretilachlor), 테닐크롤, 티오벤카브(thiobencarb), 에스프로카브(esprocarb), 몰리네이트(molinate), 피리미노박·메틸(pyriminobac-methyl), 피리프탈리드(pyriftalid), 비스피리박·나트륨(bispyribac-sodium), 피리벤족심(pyribenzoxim), 펜트라자마이드(fentrazamide), 벤조비싸이클론(benzobicyclon), 메소트리온(mesotrione), 식
    Figure 112012050211444-pct00013
    로 표현되는 화합물, 2,4-D, MCPA, MCPB, 클로메프롭(clomepop), 옥사지크로메폰(oxaziclomefone) 및 일반식
    Figure 112012050211444-pct00008
    (식 중의 R1은 수소원자, 알킬기 또는 알콕시알킬기임)
    로 표현되는 디플루오르메탄설포닐아닐리드계 화합물 또는 그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초활성화합물과, (B) 일반식
    Figure 112012050211444-pct00010
    (식 중의 R2는, 탄소원자수 1~15의 알킬기, 히드록실기 또는 아미노기를 나타내고, R3은 수소원자 또는 금속원자임)
    로 표현되는 벤조산계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화합물을, 동시에 시용(施用)하거나 혹은 근접 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제초활성화합물에 의한 작물의 약해(藥害)를 경감시키는 방법.
KR1020077005544A 2004-08-11 2005-08-05 농약조성물 KR1012335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34798 2004-08-11
JP2004234798 2004-08-11
PCT/JP2005/014380 WO2006016527A1 (ja) 2004-08-11 2005-08-05 農薬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3744A KR20070053744A (ko) 2007-05-25
KR101233543B1 true KR101233543B1 (ko) 2013-02-14

Family

ID=35839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5544A KR101233543B1 (ko) 2004-08-11 2005-08-05 농약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067337B2 (ko)
EP (1) EP1776863A4 (ko)
JP (1) JP4832302B2 (ko)
KR (1) KR101233543B1 (ko)
CN (6) CN102578085B (ko)
BR (1) BRPI0514239A (ko)
TW (1) TW200608889A (ko)
WO (1) WO200601652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7285A (ko) * 2013-03-15 2015-11-16 다우 아그로사이언시즈 엘엘씨 페녹술람 및 벤조비시클론 또는 클로마존 및 벤조비시클론의 적용으로부터의 상승작용적 잡초 방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90165B2 (ja) * 2005-07-08 2012-12-05 クミアイ化学工業株式会社 除草剤組成物
JP5205063B2 (ja) * 2006-02-08 2013-06-05 クミアイ化学工業株式会社 畑地栽培除草用薬害軽減剤及びそれを用いる薬害軽減方法
NZ590171A (en) * 2008-05-06 2012-08-31 Wobelea Pty Ltd Treatment of fruit or vegetables with benzoic acid or derivatives thereof
CN101310599B (zh) * 2008-05-26 2011-11-23 北京燕化永乐农药有限公司 一种水稻直播田复配除草剂
JP5656373B2 (ja) * 2008-08-06 2015-01-21 石原産業株式会社 水田用農薬組成物
DE102008037620A1 (de) * 2008-08-14 2010-02-18 Bayer Crop Science Ag Herbizid-Kombination mit Dimethoxytriazinyl-substituierten Difluormethansulfonylaniliden
JP5405236B2 (ja) * 2008-08-29 2014-02-05 全国農業協同組合連合会 除草剤組成物
JP5405338B2 (ja) * 2010-02-02 2014-02-05 全国農業協同組合連合会 除草剤組成物
WO2011101966A1 (ja) * 2010-02-18 2011-08-25 全国農業協同組合連合会 除草剤組成物
JP5814232B2 (ja) * 2010-05-18 2015-11-17 クミアイ化学工業株式会社 除草剤用薬害軽減剤、薬害が軽減された除草剤組成物及び作物の薬害を軽減する方法
JP5935976B2 (ja) * 2011-01-26 2016-06-15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安定化される農薬固型製剤
US8974077B2 (en) 2012-07-30 2015-03-10 Ultravision Technologies, Llc Heat sink for LED light source
JP6278186B2 (ja) * 2013-03-29 2018-02-14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除草剤用薬害軽減剤及び薬害が軽減された除草剤組成物
EP2796042A1 (en) * 2013-04-23 2014-10-29 Albert-Ludwigs-Universität Freiburg Compounds promoting plant growth
CN104255728A (zh) * 2014-03-29 2015-01-07 潍坊先达化工有限公司 2,4-二氯苯氧丁酸及其衍生物的应用
CN104757012A (zh) * 2015-03-27 2015-07-08 北京燕化永乐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除草组合物
EP3238540A1 (en) * 2016-04-28 2017-11-01 Bayer CropScience Aktiengesellschaft Timed-release-type granular agrochemical composi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4546A (ja) 1998-07-29 2000-02-15 Kumiai Chem Ind Co Ltd ジフルオロメタンスルホニルアニリド誘導体、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有効成分とする除草剤
WO2001087064A1 (en) * 2000-05-15 2001-11-22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Plc Agrochemical spray treatment and spray formulation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43964A (en) * 1976-04-08 1979-04-11 Ici Ltd Method of antagonising herbicides on soyabean and cotton
DE3481031D1 (de) * 1983-04-12 1990-02-22 Ciba Geigy Ag Herbizides mittel.
YU48319B (sh) * 1988-08-01 1998-05-15 Monsanto Company Bezbednosni herbicidni derivati benzoeve kiseline
JPH09143006A (ja) 1995-09-21 1997-06-03 Nissan Chem Ind Ltd 除草剤の薬害軽減方法
CN1163697A (zh) * 1996-03-13 1997-11-05 诺瓦蒂斯有限公司 除草组合物
AR012020A1 (es) * 1996-09-24 2000-09-27 Dow Agrosciences Llc COMPUESTOS DE N - (TRIAZOLOAZINIL)ARILSULFONAMIDAS, COMPOSICIONES HERBICIDAS QUE LOS COMPRENDEN, MÉTODO PARA CONTROLAR VEGETACIoN INDESEABLE MEDIANTE SU APLICACIoN Y COMPUESTOS INTERMEDIARIOS uTILES COMO INTERMEDIARIOS EN SU PREPARACIoN.
AR018424A1 (es) * 1998-06-02 2001-11-14 Sumitomo Chem Takeda Agro Co Compuesto oxadiazolina, composicion agroquimica que lo comprende y uso del mismo para la preparacion de dicha composicion
US6458748B1 (en) 1998-07-29 2002-10-01 Ihara Chemical Industry Co., Ltd. Di- or tri-fluoromethanesulfonyl anilide derivatives,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them and herbicides containing them as the active ingredient
JP2000119108A (ja) 1998-08-12 2000-04-25 Sankyo Co Ltd 除草剤を含む水面施用農薬粒剤
JP4231585B2 (ja) 1999-03-26 2009-03-04 クミアイ化学工業株式会社 混合除草組成物
BRPI0308777B1 (pt) * 2002-03-29 2015-10-13 Kumiai Chemical Industry Co composição agroquímica granular e composição agroquímica granular mista
BRPI0408943A (pt) * 2003-03-26 2006-04-04 Bayer Cropscience Gmbh aplicação de compostos hidroxiaromáticos como antìdoto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4546A (ja) 1998-07-29 2000-02-15 Kumiai Chem Ind Co Ltd ジフルオロメタンスルホニルアニリド誘導体、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有効成分とする除草剤
WO2001087064A1 (en) * 2000-05-15 2001-11-22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Plc Agrochemical spray treatment and spray formulation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7285A (ko) * 2013-03-15 2015-11-16 다우 아그로사이언시즈 엘엘씨 페녹술람 및 벤조비시클론 또는 클로마존 및 벤조비시클론의 적용으로부터의 상승작용적 잡초 방제
KR102230973B1 (ko) 2013-03-15 2021-03-23 다우 아그로사이언시즈 엘엘씨 페녹술람 및 벤조비시클론 또는 클로마존 및 벤조비시클론의 적용으로부터의 상승작용적 잡초 방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6016527A1 (ja) 2008-05-01
EP1776863A1 (en) 2007-04-25
CN102578086A (zh) 2012-07-18
CN102578086B (zh) 2014-06-11
TW200608889A (en) 2006-03-16
CN102578084B (zh) 2014-06-11
BRPI0514239A (pt) 2008-06-03
US8067337B2 (en) 2011-11-29
JP4832302B2 (ja) 2011-12-07
CN102578087A (zh) 2012-07-18
CN101001523B (zh) 2012-03-28
EP1776863A4 (en) 2012-06-27
WO2006016527A1 (ja) 2006-02-16
CN101001523A (zh) 2007-07-18
CN102599166A (zh) 2012-07-25
KR20070053744A (ko) 2007-05-25
CN102599166B (zh) 2014-06-11
TWI355895B (ko) 2012-01-11
CN102578087B (zh) 2014-06-11
CN102578084A (zh) 2012-07-18
CN102578085A (zh) 2012-07-18
US20090105078A1 (en) 2009-04-23
CN102578085B (zh) 2014-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3543B1 (ko) 농약조성물
KR101902041B1 (ko) 벼의 병해 방제 방법
BRPI0808985A2 (pt) Composição herbicida
CN101080172B (zh) 除草组合物
WO2017166565A1 (zh) 具有增效作用的植物生长调节剂组合物
KR101327678B1 (ko) 제초제 조성물
JP5317974B2 (ja) 除草用組成物
KR101370734B1 (ko) 제초용 조성물
CN1038466C (zh) 稻田除草组合物
JP4974953B2 (ja) 除草剤組成物
WO2008001783A1 (fr) Agent de régulation de bryophyte et ses applications
JP5656373B2 (ja) 水田用農薬組成物
KR102059979B1 (ko) 제초제 조성물
FI70774C (fi) Synergistiska herbicidblandningar
JP2023151240A (ja) 西洋芝の芝生内に発生するメヒシバの防除に用いる除草剤組成物および該除草剤組成物を用いるメヒシバの防除方法
JP4974954B2 (ja) 薬害軽減剤および除草剤組成物
JP2009137944A (ja) 除草用組成物
JPH09278612A (ja) 水田用除草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