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3035B1 -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3035B1
KR101233035B1 KR1020110077567A KR20110077567A KR101233035B1 KR 101233035 B1 KR101233035 B1 KR 101233035B1 KR 1020110077567 A KR1020110077567 A KR 1020110077567A KR 20110077567 A KR20110077567 A KR 20110077567A KR 101233035 B1 KR101233035 B1 KR 101233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wiring board
plate
locking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7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6443A (ko
Inventor
요시미츠 하시모토
Original Assignee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26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6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3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3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4Re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과제>
하우징에 배선 판상 부재가 삽입되는 커넥터 장치로서, 부품 점수의 저감과 조립 작업 공정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가 있는 하에서, 배선 판상 부재의 하우징으로부터의 발탈을 저지하기 위한 계지 및 그 계지의 해제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판상 부재 삽입부(12)가 설치됨과 아울러 복수의 콘택트가 배열 배치된 하우징(11)과, 하우징(11)의 배선 기판에의 부착에 이바지하는 부착 부재(15A)를 구비하고, 부착 부재(15A)가, 하우징(11)에 배치되는 기부, 기부에 설치된 기판 연결부(18), 기부로부터 하우징(11) 내로 뻗은 팔모양부(19), 팔모양부(19)에 설치되어 하우징(11)에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해서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30)을 계지하는 상태를 취하는 잠금부(20), 및 팔모양부(19)의 단부에 설치되어 하우징(11)의 외방으로 돌출되는 조작부(21)를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커넥터 장치{CONNECTOR APPARATUS}
본원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은,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FPC : Flexible Printed Circuit)이나 플렉서블 평판상 케이블(FFC : Flexible Flat Cable) 등의 배선 판상 부재가 장착된 하에서, 이 배선 판상 부재에 설치된 접속 단자부를 다른 배선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 그대로 유지하기 위해, 장착된 배선 판상 부재에 설치된 접속 단자부에 접촉접속되는 콘택트(contact) 및 장착된 배선 판상 부재의 발탈을 저지하기 위하여 계지하는 잠금부(lock portion)를 구비한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러 가지의 전자기기에 실장되는 비교적 소형인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이나 플렉서블 평판상 케이블 등의 배선 판상 부재는, 각종의 전기 부품이 장착되는 주배선 기판과의 전기적 연결이 당해 주배선 기판에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져 고정되는 커넥터 장치가 이용되어 행해지는 것이 많다. 이러한 배선 판상 부재의 주배선 기판과의 전기적 연결에 즈음하여 이용되는 커넥터 장치는, 배선 판상 부재에 설치된 접속 단자부에 접촉접속되는 도전성의 콘택트를 가지고 있어, 그 콘택트를 통해, 배선 판상 부재에 설치된 접속 단자부를 주배선 기판에 설치된 배선부에 있어서의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종래에 제안되어 있는, 예를 들면,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으로 되는 배선 판상 부재의 주배선 기판과의 전기적 연결에 이용되는 커넥터 장치는, 배선 판상 부재가 삽입되는 판상 부재 삽입부가 설치된 것으로 되어 주배선 기판에 장착된다, 예를 들면, 절연재료에 의해 형성된 하우징을 가진 것으로 되고, 그 하우징(housing)에, 배열 배치되어 설치되어 주배선 기판에 설치된 배선 단자에 연결되고, 배선 판상 부재가 판상 부재 삽입부를 통해서 하우징에 삽입되었을 때, 하우징 내에 있어서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있어서의 복수의 접속 단자부에 각각 접촉접속되는 복수의 콘택트가 구비된다. 그리고, 복수의 콘택트가 배선 판상 부재에 설치된 복수의 접속 단자부에 각각 접촉접속된 상태에 놓여짐으로써, 배선 판상 부재가 주배선 기판과의 전기적 연결 상태에 놓여진다.
이러한 커넥터 장치에는, 배선 판상 부재의 하우징으로의 판상 부재 삽입부를 통한 삽입 방향이 하우징이 장착된 주배선 기판에 실질적으로 평행으로 되는 수평 삽입형의 것과, 배선 판상 부재의 하우징으로의 판상 부재 삽입부를 통한 삽입 방향이 하우징이 장착된 주배선 기판에 실질적으로 직교하게 되는 수직 삽입형의 것이 있다. 커넥터 장치의 하우징은, 통상, 그것이 주배선 기판에 장착될 때에 주배선 기판에 대접(對接)하는 기판 대접 단면부를 가진 것으로 되지만, 수평 삽입형의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하우징에 설치된 판상 부재 삽입부가, 배선 판상 부재의 하우징으로의 삽입이 기판 대접 단면부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을 가지고 행해지도록 하는 것으로 되고, 또 수직 삽입형의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하우징에 설치된 판상 부재 삽입부가, 배선 판상 부재의 하우징으로의 삽입이 기판 대접 단면부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가지고 행해지도록 하는 것으로 된다.
상술과 같은 수평 삽입형의 커넥터 장치 및 수직 삽입형의 커넥터 장치의 어느 것이라도, 예를 들면,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으로 되는 배선 판상 부재가, 주배선 기판에 장착된 하우징에 판상 부재 삽입부를 통해서 삽입되어, 하우징에 배치된 복수의 콘택트가, 하우징 내에 있어서 배선 판상 부재에 있어서의 복수의 접속 단자부에 각각 접촉접속되고, 이에 의해 배선 판상 부재가 주배선 기판과의 전기적 연결 상태에 놓여지는데 즈음하여, 배선 판상 부재가 하우징으로부터 소망하지 않게 발탈(拔脫)하는 것 같은 사태가 회피되지 않으면 안 된다. 당연한 일이지만 하우징에 배치된 복수의 콘택트가 하우징 내에 있어서 배선 판상 부재에 있어서의 복수의 접속 단자부에 각각 접촉접속된 상태가 적정하게 유지되기 위해서는, 하우징에 판상 부재 삽입부를 통해서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가, 그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가 있고, 하우징으로부터 소망하지 않게 발탈되는 것 같은 사태를 초래하기 어려운 것으로 되는 것이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수직 삽입형의 커넥터 장치에 주목하면, 판상 부재 삽입부가 설치된 하우징에, 판상 부재 삽입부를 통해서, 하우징이 장착된 주배선 기판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가지고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를 계지하고, 이에 의해 배선 판상 부재의 하우징으로부터의 소망하지 않는 발탈을 저지하는 잠금 수단을 구비한 커넥터 장치가 종래에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에 나타난 수직 삽입형의 커넥터 장치(FPC/FFC용 잠금 기구 부착 커넥터)에 있어서는, 주배선 기판(기판 B)에 장착된 하우징(절연체(insulator)(10))에, 주배선 기판에 직교하는 방향(연직 방향)을 향한 판상 부재 삽입부(FPC/FFC 삽입 구멍(11))이 설치되어 있고, 그 판상 부재 삽입부를 통해서, 배선 판상 부재(FPC/FFC20)가 하우징에 주배선 기판에 직교하는 방향을 가지고 삽입된다. 또한, 하우징에는, 그 긴 방향의 양단 부분에, 한 벌의 계지 수단(잠금 레버(locking lever)(15))이, 회동 가능하게 축착(軸着))되어 있다. 한 벌의 계지 수단의 각각은 그 어느 부분에도 압압력 등의 외력이 작용하고 있지 않을 때 주배선 기판에 평행으로 뻗은 자세 및 주배선 기판에 대해서 경사진 방향으로 뻗은 자세를 각각 취하는 수평부(15a) 및 경사부(15b)를 가지고 있다. 수평부(15a) 및 경사부(15b)는, 계지 수단을 하우징에 축착되어 있는 축(14)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고, 축(14)을 중심으로 하여 일체적으로 회동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계지 수단의 경사부(15b)는, 거기에 압압력 등의 외력이 작용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그 선단 부분이 하우징에 설치된 판상 부재 삽입부 내에 놓여지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배선 판상 부재가 판상 부재 삽입부를 통해서 하우징에 삽입될 때에는, 먼저 삽입되는 배선 판상 부재의 단부에 설치된 한 벌의 돌기부(22)의 각각에 의해 계지 수단의 경사부(15b)가 압압되고, 계지 수단의 전체가, 그 경사부(15b)에 있어서의 선단부가 하우징에 설치된 판상 부재 삽입부 밖으로 눌려 물려지도록 회동시켜지게 된다.
이어서, 배선 판상 부재가 더 하우징에 삽입되고, 배선 판상 부재의 단부가 하우징 내에 있어서의 정규의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에는, 배선 판상 부재의 단부에 설치된 돌기부(22)가 계지 수단의 경사부(15b)에 있어서의 선단부에 대응하는 위치를 넘어가 있고, 계지 수단의 경사부(15b)가 배선 판상 부재에 있어서의 돌기부(22)에 의한 압압을 받는 상태로부터 해방된다. 이에 의해 계지 수단이, 하우징에 설치된 판상 부재 삽입부 밖에 배치되어 있던 계지 수단의 경사부(15b)에 있어서의 선단부를 하우징에 설치된 판상 부재 삽입부 내에 두도록 복원 회동하여, 그 수평부(15a) 및 경사부(15b)가 각각 배선 기판에 평행으로 뻗은 자세 및 배선 기판에 대해서 경사진 방향으로 뻗은 자세를 취하는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하여 배선 판상 부재가 판상 부재 삽입부를 통해서 하우징에 삽입된 하에 있어서는, 하우징에 설치된 판상 부재 삽입부 내에 놓여진 계지 수단의 경사부(15b)에 있어서의 선단부가, 하우징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있어서의 돌기부(22)가 형성하는 단부(23)에 계합하는 상태에 놓여진다. 그 때문에, 하우징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그것을 하우징으로부터 발탈시키는 방향의 소망하지 않는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한 벌의 계지 수단의 각각의 경사부(15b)에 있어서의 선단부가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있어서의 한 벌의 단부(23)의 각각을 계지하여, 배선 판상 부재의 하우징으로부터의 소망하지 않는 발탈을 저지한다.
일본국 특허공개 2001-196130호 공보(2~3페이지, 도 1~7)
상술과 같은 하우징에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 등으로 되는 배선 판상 부재의 하우징으로부터의 소망하지 않는 발탈의 저지에 관여하는 계지 수단을 구비한 수직 삽입형의 커넥터 장치로서 종래에 제안되어 있는 것에 있어서는, 한 벌의 계지 수단을 이루는 잠금 레버(locking lever)가, 하우징과는 별체의 것으로 하여,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각 잠금 레버는, 배선 판상 부재의 하우징으로의 삽입에 따라 회동한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배선 판상 부재의 하우징으로의 삽입에 따른 잠금 레버의 회동을 보다 확실한 것으로 하기 위해, 잠금 레버에 강제적인 부세력(付勢力)을 주는 부세(付勢) 리브(rib)가 하우징에 설치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종래에 제안되어 있는 수직 삽입형의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그것을 구성하는 부품 점수가 증가하고, 조립 작업 공정의 복잡화가 초래되고 거기에다 제조비용이 커지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원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은,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이나 플렉서블 평판상 케이블 등으로 되는 배선 판상 부재의 다른 배선 기판과의 전기적 연결에 이용되는 수직 삽입형의 커넥터 장치로서, 배선 기판 상에 배치되고, 그 배선 기판에 대접하는 일단면부에 대향하는 타단면부에 개구하는 판상 부재 삽입부가 설치된 하우징과, 하우징에 배열 배치되어 설치되고, 배선 판상 부재를 배선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콘택트를 구비한 하에 있어서, 하우징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되는 별도의 부재를 구비할 필요가 없고, 부품 점수를 비교적 작게 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조립 작업 공정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가 있고, 이에 의해 제조비용을 저감시킬 수가 있는 구성을 가지고, 하우징에 판상 부재 삽입부를 통해서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대한 하우징으로부터의 소망하지 않는 발탈의 저지 및 그 저지의 해제를 용이하고 확실하게 행할 수가 있는 것을 제공한다.
본원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청구항 1로부터 청구항 4까지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발명(이하, 본 발명이라고 함)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는, 배선 기판에 대접하는 일단면부 및 거기에 대향하는 타단면부를 가지고, 타단면부에 개구하는 판상 부재 삽입부가 설치되어 배선 기판 상에 배치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고정되고, 일단면부를 배선 기판에 대접시킨 하에서의 하우징의 배선 기판에의 부착에 이바지하는 부착 부재와, 하우징에 배열 배치되어 설치되고, 부착 부재를 통해 하우징이 배선 기판에 장착된 하에서, 배선 기판에 설치된 배선 단자에 연결됨과 아울러, 배선 판상 부재가 하우징에 판상 부재 삽입부를 통해서 하우징의 일단면부를 향해 삽입되었을 때, 하우징 내에 있어서 배선 판상 부재에 설치된 복수의 접속 단자부에 접촉접속되는 복수의 콘택트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부착 부재가, 하우징의 일단면부측에 배치되는 기부(基部), 기부에 설치되어 배선 기판에 연결되는 기판 연결부, 기부로부터 하우징 내로 뻗은 팔모양부, 팔모양부에 설치되어 하우징에 판상 부재 삽입부를 통해서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를 계지하는 상태를 취하는 잠금부, 및 팔모양부의 단부에 설치되어 하우징의 타단면부로부터 하우징의 외방으로 돌출되는 조작부를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포함하여 구성되고, 잠금부가 배선 판상 부재를 계지하는 하에서, 조작부에 그것을 변위시키는 조작이 가해질 때, 잠금부에 의한 배선 판상 부재에 대한 계지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게 된다.
특히, 본원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청구항 2에 기재된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부착 부재에 있어서의 잠금부가, 부착 부재에 설치된 팔모양부로부터 돌출되는 계합 돌기를 형성하고, 하우징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설치된 계합부에 계합하는 상태를 취한다.
상술과 같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배선 판상 부재가, 배선 기판에 일단면부를 대접시켜 배치된 하우징에, 그 일단면부에 대향하는 타단면부에 개구하여 설치된 판상 부재 삽입부를 통해서 일단면부를 향해 삽입되면, 하우징 내에 배열 배치된 복수의 콘택트가,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있어서의 복수의 접속 단자부에 접촉접속됨과 아울러, 하우징의 배선 기판에의 부착에 이바지하는 부착 부재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팔모양부에 설치된 잠금부가, 하우징 내에 있어서,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를 계지한다. 이에 의해 하우징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의 하우징으로부터의 소망하지 않는 발탈이 저지된다.
그리고, 잠금부가 배선 판상 부재를 계지한 하에서, 부착 부재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팔모양부의 단부에 설치되어 하우징의 타단면부로부터 하우징의 외방으로 돌출되는 조작부에, 그것을 하우징 밖에 있어서 변위시키는 조작력이 가해지면, 당해 조작부의 변위에 수반하여, 조작부가 설치된 팔모양부 및 그 팔모양부에 설치된 잠금부가 하우징 내에 있어서 변위하고, 이에 의해 잠금부가 배선 판상 부재에 대한 계지를 해제한다. 그 결과, 조작부가 하우징 밖에 있어서 변위시켜지게 되도록 조작됨으로써, 하우징 내에 있어서 잠금부가 배선 판상 부재에 대한 계지를 해제하는 상태가 취해지고, 배선 판상 부재가 하우징으로부터 발탈될 수 있는 상태에 놓여진다.
이러한 하에서, 하우징 내에 있어서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를 계지하는 상태를 취하는 잠금부는, 예를 들면, 본원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청구항 2에 기재된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경우와 같이, 부착 부재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팔모양부로부터 돌출되는 계합 돌기를 형성하고, 하우징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설치된 계합부에 계합하는 상태를 취하게 된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선 기판에 일단면부를 대접시켜 배치된 하우징에, 그 일단면부에 대향하는 타단면부에 개구하여 설치된 판상 부재 삽입부를 통해서 일단면부를 향해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를 잠금부에 의해 계지하고, 하우징으로부터의 소망하지 않는 발탈이 저지되는 상태에 두는 것, 또한 조작부를 통해 잠금부에 의한 계지를 해제하여, 하우징으로부터 발탈될 수 있는 상태에 둘 수가 있지만, 이를 위한 잠금부와 조작부를 하우징의 배선 기판에의 부착에 이바지하는 부착 부재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으로 할 수가 있다. 이 때, 부착 부재는, 배선 기판에 대접하는 하우징의 일단면부측에 배치되는 기부를 가지고, 그 기부에 배선 기판에 연결되는 기판 연결부와 하우징 내로 뻗은 팔모양부가 설치되고, 그 팔모양부에 잠금부와 조작부가 설치된다.
따라서, 부착 부재는, 기부, 기판 연결부, 팔모양부, 잠금부 및 조작부를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포함하고 있고, 그 결과,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에 의하면, 하우징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되는 별도의 부재 등을 구비할 필요가 없고, 부품 점수를 비교적 작게 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조립 작업 공정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가 있고, 이에 의해 제조비용을 저감시킬 수가 있는 구성을 가지고, 하우징에 판상 부재 삽입부를 통해서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대한 하우징으로부터의 소망하지 않는 발탈의 저지 및 그 저지의 해제를 용이하고 확실하게 행할 수가 있게 된다.
특히, 본원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청구항 2에 기재된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하우징 내에 있어서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를 계지하는 상태를 취하는 잠금부가, 부착 부재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팔모양부로부터 돌출되는 계합 돌기를 형성하고, 하우징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설치된 계합부에 계합하는 상태를 취하는 것으로 되므로, 잠금부에 의한 하우징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대한 계지를 보다 한층 확실하게 행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의 III-III선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있어서의 IV-IV선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에 구비되는 부착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에 구비되는 부착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에 구비되는 부착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에 구비되는 부착 부재에 형성된 잠금부 및 조작부의 위치 설명에 이바지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에 구비되는 부착 부재에 형성된 잠금부 및 조작부의 위치 설명에 이바지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가 구비하는 하우징에 삽입되는 플렉서블(flexible) 인쇄 배선 기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가 구비하는 하우징에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가 구비하는 하우징에 대해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이 삽입 도중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가 구비하는 하우징에 대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의 삽입이 완료되고, 당해 일례에 구비된 잠금부에 의해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이 계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가 구비하는 하우징에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이 삽입된 하에서,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에 구비된 조작부가 조작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는 이하에 진술되는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가지고 설명된다.
<실시예>
도 1(사시도), 도 2(정면도), 도 3(단면도) 및 도 4(단면도)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실시예)를 이루는 커넥터 장치(10)를 나타낸다. 또한, 편의상 커넥터 장치(10)에 대해서, 도 2에 나타난 커넥터 장치(10)의 정면에서 보아 좌방을 왼쪽 혹은 좌측, 우측을 오른쪽 혹은 우측, 상방을 위 혹은 상측, 및 하방을 아래 혹은 하측이라고 한다.
도 1~4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이루는 커넥터 장치(10)는,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료에 의해 형성된 하우징(11)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1)은, 도시되어 있지 않은 배선 기판 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되어 있고, 배선 기판 상에 배치되는데 즈음하여 당해 배선 기판에 대접하게 되는 일단면부인 하측 단면부(11a)와, 하측 단면부(11a)에 대향하는 타단면부인 상측 단면부(11b)를 가지고 있다.
하우징(11)에는, 도 1, 도 2에 있어서의 III-III선 단면을 나타내는 도 3 및 도 2에 있어서의 IV-IV선 단면을 나타내는 도 4에 나타나듯이, 그 상측 단면부(11b)에 개구하고, 상측 단면부(11b)로부터 하측 단면부(11a)를 향해 뻗음과 아울러, 하우징(11)의 긴 방향인 좌우 방향으로 넓어지는 것으로 된 판상 부재 삽입부(12)가 설치되어 있다. 이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해서, 예를 들면,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으로 되는 배선 판상 부재가 하우징(11)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상측 단면부(11b)로부터 하측 단면부(11a)를 향해 뻗는 판상 부재 삽입부(12)는, 하우징(11)이 배치되는 배선 기판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어 있고, 이에 의해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해서 하우징(11)에 삽입되는 배선판 부재의 하우징(11)으로의 삽입 방향이 하우징(11)이 배치되는 배선 기판에 실질적으로 직교하게 된다. 따라서, 커넥터 장치(10)는 수직 삽입형의 커넥터 장치를 이루고 있다.
하우징(11)에는, 각각의 일부분이 하우징(11)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된 복수의 콘택트(13)(도 3)가, 하우징(11)의 긴 방향을 따라 배열 배치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콘택트(13)의 각각의 일단부는, 하우징(11)의 정면측 단면부(11c)의 하부로부터 하우징(11)의 외부로 도출된 접속 단자부(13a)를 형성하고 있다. 각 접속 단자부(13a)는, 하우징(11)이 배치된 배선 기판에 설치된 배선 단자에, 예를 들면, 납땜에 의해 접속되고, 이에 의해 복수의 콘택트(13)의 각각이 배선 기판에 설치된 배선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복수의 콘택트(13)의 각각은 탄성 도전 판재에 의해 형성되고, 도 3에 나타나듯이, 접속 단자부(13a)로부터 하우징(11)의 하측 단면부(11a)를 따라 하우징(11)의 내부로 뻗고, 하우징(11)의 하측 단면부(11a)로부터 굴곡하여 일어서 하우징(11)에 설치된 판상 부재 삽입부(12) 내를, 하우징(11)의 상측 단면부(11b)를 향해 뻗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콘택트(13)의 각각에 있어서의 판상 부재 삽입부(12) 내에 배치된 부분은,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해서 하우징(11)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를 이루는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에 설치된 복수의 접속 단자부 중의 대응하는 것에 압압 접촉하는 접촉부(13b)를 형성하고 있다.
복수의 콘택트(13)에 있어서의 접촉부(13b)가,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해서 하우징(11)에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에 설치된 복수의 접속 단자부에 각각 압압 접촉하는 경우에는, 하우징(11)에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에 있어서의 복수의 접속 단자부가, 복수의 콘택트(13)를 통해, 하우징(11)이 배치된 배선 기판에 설치된 배선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의해 하우징(11)에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이, 하우징(11)이 배치된 배선 기판과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진 상태에 놓여진다.
도 1에 나타나듯이, 하우징(11)에 있어서의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형성하는 내벽 부분에는, 하우징(11)의 긴 방향에 배열 배치된 복수의 협폭(narrow width) 홈부(groove portion)(11d)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의 복수의 협폭 홈부(11d)의 각각에, 콘택트(13)에 있어서의 접촉부(13b)를 형성하는 부분이 배치된다. 이에 의해 콘택트(13)에 있어서의 접촉부(13b)를 형성하는 부분에 대한 위치 규제가 이루어지고 있다. 복수의 콘택트(13)는, 배선 판상 부재를 이루는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에 있어서의 복수의 접속 단자부에 접촉접속되는 신호용 콘택트로서 설치되어 있지만,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에 있어서의 복수의 신호 접속 단자부 및 접지 접속부에 접촉접속되는 신호용 및 접지용 콘택트로서 이용되어도 좋다.
또, 하우징(11)에 있어서의 긴 방향의 양단부, 즉 우측 단부 및 좌측 단부에는, 배선 기판 상에 배치된 하우징(11)의 당해 배선 기판에의 부착에 이바지하는 부착 부재(15A, 15B)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이들의 부착 부재(15A, 15B)의 각각은, 예를 들면, 도전성과 탄성을 가진 금속 판재에 타발(打拔) 굴곡 가공이 실시되어 형성된다.
하우징(11)의 우측 단부에 장착된 부착 부재(15A)는, 도 5(사시도), 도 6(사시도) 및 도 7(평면도)에 나타나듯이, 하우징(11)의 하측 단면부(11a)측에 배치되게 되는 기부(16)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기부(16)에 하우징(11)에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부(17)와, 하우징(11)이 배치되는 배선 기판에 연결되는 복수의 기판 연결부(18)와, 기부(16)로부터 뻗은 팔모양부(19)가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고정부(17)의 각각은 기부(16)로부터 하우징(11)의 상측 단면부(11b)를 향하게 되는 방향(상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하우징(11)에 그 하측 단면부(11a)측으로부터 매립되도록 하여 고정된다. 이에 의해 부착 부재(15A)의 전체가 하우징(11)에 장착된다.
복수의 기판 연결부(18)의 각각은 기부(16)로부터 하우징(11)의 하측 단면부(11a)를 따르게 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부착 부재(15A)가 장착된 하우징(11)이 배선 기판 상에 배치될 때, 배선 기판에 설치된 하우징 부착부에 맞닿고, 예를 들면, 납땜에 의해 하우징 부착부에 고정되고, 이에 의해 배선 기판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하여 하우징(11)에 장착된 부착 부재(15A)의 복수의 기판 연결부(18)가 배선 기판에 연결됨으로써 하우징(11)이 배선 기판에 장착되어 고정된다.
팔모양부(19)는, 먼저 기부(16)로부터 하우징(11)의 내부를 향하게 되는 방향을 가지고 하우징(11)의 하측 단면부(11a)를 따르게 되는 방향으로 뻗고, 그 후, 굴곡하여 하우징(11)의 상측 단면부(11b)를 향하게 되는 방향, 즉 상방으로 뻗어 있다. 그리고, 팔모양부(19)에 있어서의 하우징(11)의 상측 단면부(11b)를 향하게 되는 방향으로 뻗는 부분(19a)은, 기부(16)에 설치된 복수의 기판 연결부(18) 중의 상호 대향하는 2개인 기판 연결부(18a)와 기판 연결부(18b)의 사이로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팔모양부(19)의 부분(19a)에는, 하우징(11)에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해서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을 계지하는 상태를 취하는 잠금부(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잠금부(20)는, 팔모양부(19)의 부분(19a)으로부터 돌출되는 계합 돌기를 형성하고 있고, 하우징(11)에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에 있어서의 계합부에 계합하는 상태를 취하고, 이에 의해 당해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을 계지한다.
또, 팔모양부(19)의 부분(19a)의 단부에, 조작부(2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조작부(21)는, 팔모양부(19)의 부분(19a)을, 거기에 설치된 잠금부(20)와 함께, 기판 연결부(18a)와 기판 연결부(18b)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조작력이 가해지게 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조작력이 조작부(21)에 가해지고, 팔모양부(19)의 부분(19a)이 잠금부(20)를 수반하여 변위시켜지게 된 후, 조작부(21)에 조작력이 가해지지 않게 되면, 팔모양부(19)의 부분(19a)은, 스스로부터의 탄성에 의해, 잠금부(20)를 수반하여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간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부착 부재(15A)는, 기부(16), 고정부(17), 기판 연결부(18), 팔모양부(19), 잠금부(20) 및 조작부(21)를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포함하는 하나의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 하우징(11)의 좌측 단부에 장착된 부착 부재(15B)도, 상술의 하우징(11)의 우측 단부에 장착된 부착 부재(15A)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고, 부착 부재(15A)가 포함하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인 기부(16), 고정부(17), 기판 연결부(18), 팔모양부(19), 잠금부(20) 및 조작부(21)를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포함하는 하나의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다(부착 부재(15B)에 있어서의 고정부(17) 및 잠금부(20)는, 도에는 나타나 있지 않음). 부착 부재(15B)에 있어서의 기부(16), 고정부(17), 기판 연결부(18), 팔모양부(19), 잠금부(20) 및 조작부(21)의 각각의 역할도 상술의 부착 부재(15A)에 있어서의 그것들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팔모양부(19)의 부분(19a)의 단부에 설치된 조작부(21)와 기부(16)에 설치된 복수의 기판 연결부(18)의 위치 관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7로부터도 이해되듯이, 조작부(21)는, 기부(16)에 설치된 복수의 기판 연결부(18) 중의 상호 대향하는 2개인 기판 연결부(18a)와 기판 연결부(18b)의 사이의 가상공간에 적어도 그 일부가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배치됨으로써, 조작부(21)에, 기판 연결부(18a)와 기판 연결부(18b)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조작력이 가해진 경우에 있어서, 조작부(21)를 사이에 둔 위치에 기판 연결부(18a)와 기판 연결부(18b)가 각각 배선 기판에, 예를 들면, 납땜을 가지고 고정되므로, 조작부(21)의 조작에 의한 파손이 생기기 어려운 것으로 되게 된다.
부착 부재(15A)가 하우징(11)의 우측 단부에 장착된 하에 있어서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나듯이, 부착 부재(15A)에 있어서의 팔모양부(19)가 하우징(11)의 내부에 설치된 공간 부분에 배치된다. 그리고, 팔모양부(19)의 부분(19a)의 단부에 설치된 조작부(21)가, 하우징(11)의 상측 단면부(11b)에 설치된 개구(25)를 통해서, 하우징(11)의 상측 단면부(11b)로부터 하우징(11)의 외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하우징(11)의 외방으로 돌출된 조작부(21)에, 외부로부터의 조작력이 가해지고 있지 않은 상태 하에 있어서는, 팔모양부(19)의 부분(19a)이 도 8에 나타난 위치를 취하고, 이 때, 팔모양부(19)의 부분(19a)에 설치된 잠금부(20)는, 그 선단 부분을 하우징(11)에 설치된 판상 부재 삽입부(12) 내에 위치시킨다. 또, 하우징(11)의 외방으로 돌출된 조작부(21)에, 팔모양부(19)의 부분(19a)을, 거기에 설치된 잠금부(20)와 함께, 기판 연결부(18a)와 기판 연결부(18b)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조작력이 가해졌을 때에는, 팔모양부(19)의 부분(19a)이 도 9에 나타난 위치를 취하고, 이에 의해 팔모양부(19)의 부분(19a)에 설치된 잠금부(20)는, 그 전체를 하우징(11)에 설치된 판상 부재 삽입부(12)로부터 벗어난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 놓여진다. 그 후, 조작부(21)에 조작력이 가해지지 않게 되면, 팔모양부(19)의 부분(19a)은, 스스로부터의 탄성에 의해, 잠금부(20)를 수반하여 도 8에 나타난 위치로 되돌아간다.
도시는 생략되어 있지만, 하우징(11)의 좌측 단부에 장착된 부착 부재(15B)에 있어서도, 그 팔모양부(19)가 하우징(11)의 내부에 설치된 공간 부분에 배치되고, 팔모양부(19)의 부분(19a)의 단부에 설치된 조작부(21)가, 하우징(11)의 상측 단면부(11b)에 설치된 개구(25)를 통해서, 하우징(11)의 상측 단면부(11b)로부터 하우징(11)의 외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11)의 외방으로 돌출된 부착 부재(15B)의 조작부(21)에, 외부로부터의 조작력이 가해지고 있지 않은 상태 하에 있어서는, 팔모양부(19)의 부분(19a)에 설치된 잠금부(20)는, 그 선단 부분을 하우징(11)에 설치된 판상 부재 삽입부(12) 내에 위치시킨다. 또, 하우징(11)의 외방으로 돌출된 부착 부재(15B)의 조작부(21)에, 팔모양부(19)의 부분(19a)을, 거기에 설치된 잠금부(20)와 함께, 기판 연결부(18a)와 기판 연결부(18b)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조작력이 가해졌을 때에는, 팔모양부(19)의 부분(19a)에 설치된 잠금부(20)는, 그 전체를 하우징(11)에 설치된 판상 부재 삽입부(12)로부터 벗어난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 놓여진다. 그 후, 조작부(21)에 조작력이 가해지지 않게 되면, 팔모양부(19)의 부분(19a)은, 스스로부터의 탄성에 의해, 잠금부(20)를 수반하여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간다.
도 10은 커넥터 장치(10)에 있어서의 하우징(11)에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해서 삽입되는 배선 판상 부재를 이루는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의 일례인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30)을 나타낸다.
도 10에 나타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30)에 있어서의 한 벌의 상호 대향면의 일방에는, 그 일단부에 각각이 도전성 판재가 이용되어 가는 스트립(strip) 모양으로 형성된 복수의 접속 단자부(31)가 배열 배치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복수의 접속 단자부(31)를 구비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30)에는, 배열 배치된 복수의 접속 단자부(31)를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하는 한 벌의 측연부(側緣部)에 계합부(33, 34)가 각각 형성되어 있어, 한 벌의 측연부의 일방에 있어서의 계합부(33)보다 선단측의 부분이 선단 평판부(35)로 됨과 아울러, 한 벌의 측연부의 타방에 있어서의 계합부(34)보다 선단측의 부분이 선단 평판부(36)로 되어 있다.
한 벌의 계합부(33, 34)는, 각각이 절결(切缺)을 형성하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이들의 절결에 대신하여,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30)의 한 벌의 측연부에 각각 배치되는 한 벌의 계합 구멍을 형성하는 것으로 되어도 좋다. 그리고,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30)에 있어서의 복수의 접속 단자부(31)가 배열 배치된 면은, 복수의 접속 단자부(31)가 배치됨과 아울러 한 벌의 계합부(33) 및 계합부(34) 또는 한 벌의 계합 구멍이 형성된 부분을 남기고, 이들 이외의 부분이 커버 필름(37)에 의해 덮여 있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30)이 커넥터 장치(10)에 있어서의 하우징(11)에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해서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1에 있어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30)은, 복수의 접속 단자부(31)가 배열 배치되어 설치됨과 아울러 커버 필름(37)에 의해 덮인 면과 반대의 면이, 하우징(11)의 정면측 단면부(11c)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30)이,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해서 하우징(11)에 삽입되었을 때에는,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30)에 설치된 복수의 접속 단자부(31)의 각각에, 도 3에 나타난 콘택트(13)의 접촉부(13b)가 압압 접촉한다. 이에 의해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30)에 설치된 복수의 접속 단자부(31)가, 커넥터 장치(10)에 있어서의 복수의 콘택트(13)를 통해, 커넥터 장치(10)가 장착된 배선 기판에 설치된 배선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30)이 커넥터 장치(10)에 있어서의 하우징(11)에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해서 삽입되는데 즈음해서는, 커넥터 장치(10)가, 하우징(11)의 우측 단부에 장착된 부착 부재(15A)에 있어서의 잠금부(20)와 조작부(21)가 설치된 팔모양부(19)가, 도 8에 나타난 상태에 놓여짐과 아울러, 하우징(11)의 좌측 단부에 장착된 부착 부재(15B)에 있어서의 잠금부(20)와 조작부(21)가 설치된 팔모양부(19)도, 부착 부재(15A)에 있어서의 팔모양부(19)와 마찬가지인 상태에 놓여진 것으로서 준비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준비된 커넥터 장치(10)에 대해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30)이, 하우징(11)에, 거기에 설치된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해, 커넥터 장치(10)가 장착된 배선 기판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가지고 삽입된다. 이 때, 먼저 도 12에 나타나듯이, 커넥터 장치(10)에 있어서의 하우징(11)의 우측 단부에 있어서, 부착 부재(15A)에 설치되어 선단 부분을 판상 부재 삽입부(12) 내에 위치시킨 잠금부(20)가, 하우징(11)에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30)에 있어서의 계합부(34)보다 선단측의 선단 평판부(36)에 의해 눌려 움직여지고, 그 전체가 판상 부재 삽입부(12)로부터 벗어나게 되는 위치를 취하는 것으로 된다. 마찬가지로 커넥터 장치(10)에 있어서의 하우징(11)의 좌측 단부에 있어서, 부착 부재(15B)에 설치되어 선단 부분을 판상 부재 삽입부(12) 내에 위치시킨 잠금부(20)가, 하우징(11)에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30)에 있어서의 계합부(33)보다 선단측의 선단 평판부(35)에 의해 눌려 움직여지고, 그 전체가 판상 부재 삽입부(12)로부터 벗어나게 되는 위치를 취하는 것으로 된다.
이 때, 부착 부재(15A)에 설치된 잠금부(20) 및 부착 부재(15B)에 설치된 잠금부(20)는, 각각의 선단 부분만이 하우징(11)에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30)에 있어서의 선단 평판부(35, 36)에 각각 맞닿는 것뿐이므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30)의 하우징(11)으로의 새로운 삽입을 방해하는 것으로는 안 된다.
또, 하우징(11)의 상측 단면부(11b)에 형성된 개구(25)를 통해서 하우징(11)의 외부로 돌출된 부착 부재(15A)에 설치된 조작부(21)는, 하우징(11)에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30)으로부터 멀어진 위치를 취하는 것으로 된다. 또, 도시는 생략되어 있지만, 하우징(11)의 상측 단면부(11b)에 형성된 개구(25)를 통해서 하우징(11)의 외부로 돌출된 부착 부재(15B)에 설치된 조작부(21)도, 마찬가지로 하우징(11)에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30)으로부터 멀어진 위치를 취하는 것으로 된다.
이어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30)이,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해서 더욱 하우징(11)의 내부로 삽입되어, 삽입이 완료되는 소정의 위치에 도달하면, 도 13에 나타나듯이, 커넥터 장치(10)에 있어서의 하우징(11)의 우측 단부에 있어서, 부착 부재(15A)에 설치된 잠금부(20)가, 하우징(11)에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30)에 있어서의 선단 평판부(36)로부터 벗어난다. 이에 의해 잠금부(20)가 설치된 팔모양부(19)의 부분(19a)이 스스로의 탄성에 의해 복원 변위하고, 이에 동반하여 잠금부(20)가 그 선단 부분을 판상 부재 삽입부(12) 내에 위치시키는 상태에 놓여진다.
선단 부분을 판상 부재 삽입부(12) 내에 위치시킨 부착 부재(15A)에 있어서의 잠금부(20)는, 하우징(11)에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30)에 있어서의 선단 평판부(36)보다 내측에 설치된 계합부(34)에 계합하여,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30)을 계지하는 상태에 놓여진다.
또, 이러한 때, 도시는 생략되어 있지만, 커넥터 장치(10)에 있어서의 하우징(11)의 좌측 단부에 있어서, 부착 부재(15B)에 설치된 잠금부(20)가, 하우징(11)에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30)에 있어서의 선단 평판부(35)로부터 벗어난다. 이에 의해 잠금부(20)가 설치된 팔모양부(19)의 부분(19a)이 스스로의 탄성에 의해 복원 변위하고, 이에 동반하여 잠금부(20)가 그 선단 부분을 판상 부재 삽입부(12) 내에 위치시키는 상태에 놓여진다.
선단 부분을 판상 부재 삽입부(12) 내에 위치시킨 부착 부재(15B)에 있어서의 잠금부(20)도, 하우징(11)에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30)에 있어서의 선단 평판부(35)보다 내측에 설치된 계합부(33)에 계합하여,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30)을 계지하는 상태에 놓여진다.
그 결과,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30)은, 하우징(11)으로의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해서의 삽입을 완료하여 정규의 삽입 위치를 취하고 있고, 부착 부재(15A)에 설치된 잠금부(20) 및 부착 부재(15B)에 설치된 잠금부(20)에 의해 계지되어, 하우징(11)으로부터의 소망하지 않는 발탈이 저지되는 상태에 놓여진다. 즉,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30)은, 하우징(11)에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해서 적정하게 삽입되는 것만으로, 부착 부재(15A)에 설치된 잠금부(20) 및 부착 부재(15B)에 설치된 잠금부(20)에 의해 하우징(11)으로부터의 소망하지 않는 발탈이 저지되는 상태에 놓여지게 된다.
이 때, 도 13에 나타나듯이, 하우징(11)의 상측 단면부(11b)에 형성된 개구(25)를 통해서 하우징(11)의 외부로 돌출된 부착 부재(15A)에 설치된 조작부(21)는, 기판 연결부(18a)와 기판 연결부(18b)를 연결하는 방향에 있어서, 하우징(11)에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30)에 가까워진 위치를 취하는 것으로 된다. 또, 도시는 생략되어 있지만, 하우징(11)의 상측 단면부(11b)에 형성된 개구(25)를 통해서 하우징(11)의 외부로 돌출된 부착 부재(15B)에 설치된 조작부(21)도, 마찬가지로 기판 연결부(18a)와 기판 연결부(18b)를 연결하는 방향에 있어서, 하우징(11)에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30)에 가까워진 위치를 취하는 것으로 된다.
또한 더, 도 13에는 나타나고 있지 않지만, 복수의 콘택트(13) 중의,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30)의 계합부(33, 34) 부근에 있는 콘택트(13)는, 각각의 접촉부(13b)의 압압력에 의해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30)을 잠금부(20)측으로 압압하고 있고, 이에 의해 잠금부(20)에 의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30)의 계지 상태가 양호하게 유지된다.
그 후, 도 14에 나타나듯이, 커넥터 장치(10)에 있어서의 하우징(11)의 우측 단부에 있어서, 하우징(11)의 상측 단면부(11b)에 형성된 개구(25)를 통해서 하우징(11)의 외부로 돌출된 부착 부재(15A)에 설치된 조작부(21)에, 팔모양부(19)의 부분(19a)을, 거기에 설치된 잠금부(20)와 함께, 기판 연결부(18a)와 기판 연결부(18b)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조작력이 가해지고, 조작부(21)가 하우징(11)에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30)으로부터 멀어진 위치를 취하는 것으로 되면, 부착 부재(15A)에 설치된 팔모양부(19)가, 거기에 설치된 잠금부(20)를 수반하여 기판 연결부(18a)와 기판 연결부(18b)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변위하고, 잠금부(20)가, 그 전체가 판상 부재 삽입부(12)로부터 벗어나게 되는 위치를 취하는 것으로 된다. 이에 의해 부착 부재(15A)에 설치된 잠금부(20)가, 하우징(11)에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30)에 있어서의 계합부(34)와의 계합을 해제하여,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30)을 그에 대한 잠금부(20)에 의한 계지로부터 해방한다.
마찬가지로 도시는 생략되어 있지만, 커넥터 장치(10)에 있어서의 하우징(11)의 좌측 단부에 있어서, 하우징(11)의 상측 단면부(11b)에 형성된 개구(25)를 통해서 하우징(11)의 외부로 돌출된 부착 부재(15B)에 설치된 조작부(21)에, 팔모양부(19)의 부분(19a)을, 거기에 설치된 잠금부(20)와 함께, 기판 연결부(18a)와 기판 연결부(18b)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조작력이 가해지고, 조작부(21)가 하우징(11)에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30)으로부터 멀어진 위치를 취하는 것으로 되면, 부착 부재(15B)에 설치된 팔모양부(19)가, 거기에 설치된 잠금부(20)를 수반하여 기판 연결부(18a)와 기판 연결부(18b)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변위하고, 잠금부(20)가, 그 전체가 판상 부재 삽입부(12)로부터 벗어나게 되는 위치를 취하는 것으로 된다. 이에 의해 부착 부재(15B)에 설치된 잠금부(20)가, 하우징(11)에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30)에 있어서의 계합부(33)과의 계합을 해제하여,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30)을 그에 대한 잠금부(20)에 의한 계지로부터 해방한다.
그 결과, 하우징(11)에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30)이, 하우징(11)으로부터 적정하게 발탈될 수 있는 상태에 놓여지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부착 부재(15A)에 설치된 조작부(21) 및 부착 부재(15B)에 설치된 조작부(21)의 각각에, 팔모양부(19)의 부분(19a)을, 거기에 설치된 잠금부(20)와 함께, 기판 연결부(18a)와 기판 연결부(18b)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조작력이 가해질 때, 선단에 조작부(21)가 설치된 팔모양부(19)의 부분(19a)은, 부착 부재(15A) 및 부착 부재(15B)의 각각에 있어서의 기부(16)에 설치된 상호 대향하는 기판 연결부(18a)와 기판 연결부(18b)의 사이로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조작부(21)에 가해지는 조작력을 구조적으로 안정된 상태에 놓여진 하에서 받아들일 수가 있어 소망하지 않는 변형이나 파손을 일으키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부착 부재(15A)에 설치된 조작부(21) 및 부착 부재(15B)에 설치된 조작부(21)의 각각에, 팔모양부(19)의 부분(19a)을, 거기에 설치된 잠금부(20)와 함께, 기판 연결부(18a)와 기판 연결부(18b)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조작력이 가해지지 않게 되면, 부착 부재(15A)에 설치된 팔모양부(19)의 부분(19a) 및 부착 부재(15B)에 설치된 팔모양부(19)의 부분(19a)의 각각이, 스스로의 탄성에 의해, 거기에 설치된 잠금부(20)를 수반하여 복원 변위하고, 잠금부(20)의 선단 부분을 판상 부재 삽입부(12) 내에 위치시키는 상태로 되돌아간다.
상술의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이루는 커넥터 장치(10)는, 하우징(11)의 외표면을 덮는 쉘(shell) 부재를 구비하고 있지 않지만,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는, 하우징(11)의 외표면을 전체적 혹은 부분적으로 덮는 쉘 부재를 구비한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때는, 쉘 부재는, 예를 들면, 도전성재료를 가지고 형성되고, 접지 전위가 주어지는 것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여 배선 기판에 장착되는 커넥터 장치(10)에 있어서는, 배선 기판에 하측 단면부(11a)를 대접시켜 배치된 하우징(11)에, 그 하측 단면부(11a)에 대향하는 상측 단면부(11b)에 개구하여 설치된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해서 하측 단면부(11a)를 향해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30)을, 잠금부(20)에 의해 계지하고, 하우징(11)으로부터의 소망하지 않는 발탈이 저지되는 상태에 두는 것, 또한 조작부(21)를 통한 잠금부(20)에 의한 계지를 해제하여, 하우징(11)으로부터 발탈될 수 있는 상태에 둘 수가 있지만, 그 때문에 잠금부(20)와 조작부(21)를, 하우징(11)의 배선 기판에의 부착에 이바지하는 부착 부재(15A, 15B)의 각각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으로 할 수가 있다. 이 때, 부착 부재(15A, 15B)의 각각은 배선 기판에 대접하는 하우징(11)의 하측 단면부(11a)측에 배치되는 기부(16)를 가지고, 그 기부(16)에 하우징(11)에 고정되는 고정부(17)와, 배선 기판에 연결되는 기판 연결부(18)와 하우징(11) 내로 뻗은 팔모양부(19)가 설치되고, 그 팔모양부(19)에 잠금부(20)와 조작부(21)가 설치된다.
따라서, 부착 부재(15A, 15B)의 각각은 기부(16), 고정부(17), 기판 연결부(18), 팔모양부(19), 잠금부(20) 및 조작부(21)를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포함하고 있게 된다. 그 결과, 커넥터 장치(10)에 의하면, 하우징(11)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되는 별도의 부재 등을 구비할 필요가 없고, 부품 점수를 비교적 작게 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조립 작업 공정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가 있고, 이에 의해 제조비용을 저감시킬 수가 있는 구성을 가지고, 하우징(11)에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해서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30)에 대한 하우징(11)으로부터의 소망하지 않는 발탈의 저지 및 그 저지의 해제를 용이하고 확실하게 행할 수가 있다.
또, 커넥터 장치(10)에 있어서는, 하우징(11) 내에 있어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30)을 계지하는 상태를 취하는 잠금부(20)가, 부착 부재(15A, 15B)의 각각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팔모양부(19)로부터 돌출되는 계합 돌기를 형성하고, 하우징(11)에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30)에 설치된 계합부(33, 34)의 각각에 계합하는 상태를 취하는 것으로 되므로, 잠금부(20)에 의한 하우징(11)에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30)에 대한 계지를 보다 한층 더 확실하게 행할 수가 있다.
또한, 커넥터 장치(10)에 있어서는,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30)이, 하우징(11)으로의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해서의 삽입을 완료하여 정규의 삽입 위치를 취하고 있고, 부착 부재(15A, 15B)의 각각에 설치된 잠금부(20)에 의해 적정하게 계지되어, 하우징(11)으로부터의 소망하지 않는 발탈이 저지되는 상태에 놓여져 있을 때는, 부착 부재(15A, 15B)의 각각에 설치된 조작부(21)가, 기판 연결부(18a)와 기판 연결부(18b)를 연결하는 방향에 있어서, 하우징(11)에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30)에 가까워진 위치를 취하고, 한편 하우징(11)에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30)이, 정규의 삽입 위치로부터 벗어나 있어, 부착 부재(15A, 15B)의 각각에 설치된 잠금부(20)에 의해 적정하게 계지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놓여져 있을 때는, 부착 부재(15A, 15B)의 각각에 설치된 조작부(21)가, 기판 연결부(18a)와 기판 연결부(18b)를 연결하는 방향에 있어서, 하우징(11)에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30)으로부터 멀어진 위치를 취한다.
그리고, 조작부(21)가, 하우징(11)에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30)에 가까워진 위치를 취하고 있는 상태와 하우징(11)에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30)으로부터 멀어진 위치를 취하고 있는 상태는, 하우징(11)의 외부로부터의 눈으로 보는 것에 의해 용이하고 정확하게 판별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하우징(11) 내에 있어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30)에 대한 잠금부(20)에 의한 계지가 적정하게 행해지고 있는 상태를 하우징(11)의 외부로 돌출된 조작부(21)를 눈으로 보는 것에 의해 용이하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는, 배선 기판 상에 배치되고, 그 배선 기판에 대접하는 일단면부에 대향하는 타단면부에 개구하는 판상 부재 삽입부가 설치된 하우징과, 하우징에 배열 배치되어 설치되고, 예를 들면,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으로 되는 배선 판상 부재를 배선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콘택트를 구비한 하에 있어서, 하우징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되는 별도의 부재를 구비할 필요가 없고, 부품 점수를 비교적 작게 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조립 작업 공정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가 있고, 이에 의해 제조비용을 저감시킬 수가 있는 구성을 가지고, 하우징에 판상 부재 삽입부를 통해서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대한 하우징으로부터의 소망하지 않는 발탈의 저지 및 그 저지의 해제를 용이하고 확실하게 행할 수가 있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전자기기 등에 널리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10 커넥터 장치 11 하우징(housing)
11a 하측 단면부 11b 상측 단면부
12 판상 부재 삽입부
13 콘택트(contact) 13a 접속 단자부
15A, 15B 부착 부재 16 기부
17 고정부 18, 18a, 18b 기판 연결부
19 팔모양부 20 잠금부
21 조작부 25 개구

Claims (4)

  1. 배선 기판에 대접하는 일단면부 및 이 일단면부에 대향하는 타단면부를 가지고, 상기 타단면부에 개구하는 판상 부재 삽입부가 설치되어 상기 배선 기판 상에 배치되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일단면부를 상기 배선 기판에 대접시킨 하에서의 상기 하우징의 상기 배선 기판에의 부착에 이바지하는 부착 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배열 배치되어 설치되고, 상기 부착 부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이 상기 배선 기판에 장착된 하에서, 상기 배선 기판에 설치된 배선 단자에 연결됨과 아울러, 배선 판상 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상기 판상 부재 삽입부를 통해서 상기 일단면부를 향해 삽입되었을 때, 상기 하우징 내에 있어서 상기 배선 판상 부재에 설치된 복수의 접속 단자부에 접촉접속되는 복수의 콘택트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부착 부재가, 상기 하우징의 일단면부측에 배치되는 기부, 이 기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선 기판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기판 연결부, 상기 기부로부터 상기 하우징 내로 뻗은 팔모양부, 이 팔모양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에 상기 판상 부재 삽입부를 통해서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를 계지하는 상태를 취하는 잠금부, 및 상기 팔모양부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타단면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외방으로 돌출되는 조작부를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조작부가, 상기 복수개의 기판 연결부 중의 상호 대향하는 2개의 사이로 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잠금부가 상기 배선 판상 부재를 계지하는 하에서, 상기 조작부에 이 조작부를 변위시키는 조작이 가해졌을 때, 상기 잠금부에 의한 상기 배선 판상 부재에 대한 계지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가, 상기 팔모양부로부터 돌출되는 계합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있어서의 계합부에 계합하는 상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모양부가, 상기 기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향해 이 하우징의 일단면부를 따라 뻗고, 그 후 굴곡하여 상기 하우징의 타단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4. 삭제
KR1020110077567A 2010-09-09 2011-08-04 커넥터 장치 KR1012330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01524 2010-09-09
JP2010201524A JP5099387B2 (ja) 2010-09-09 2010-09-09 コネク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6443A KR20120026443A (ko) 2012-03-19
KR101233035B1 true KR101233035B1 (ko) 2013-02-13

Family

ID=44763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7567A KR101233035B1 (ko) 2010-09-09 2011-08-04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444427B2 (ko)
EP (1) EP2429040A3 (ko)
JP (1) JP5099387B2 (ko)
KR (1) KR101233035B1 (ko)
CN (1) CN102403589B (ko)
TW (1) TWI44664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99387B2 (ja) * 2010-09-09 2012-12-19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5088426B2 (ja) * 2011-02-22 2012-12-05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920568B2 (ja) * 2011-06-22 2016-05-18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5764426B2 (ja) * 2011-08-10 2015-08-1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基板用コネクタ
JP5779078B2 (ja) * 2011-11-28 2015-09-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1920623B1 (ko) * 2012-01-30 2018-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신호케이블, 케이블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신호케이블 연결장치
JP2013178892A (ja) * 2012-02-28 2013-09-09 Kyocera Connector Products Corp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5870757B2 (ja) * 2012-02-28 2016-03-01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959282B2 (ja) * 2012-04-11 2016-08-0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5298227B1 (ja) * 2012-07-19 2013-09-25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8636533B1 (en) * 2012-08-08 2014-01-28 Hsu Li Yen LED-lamp-board connector
US8851918B2 (en) * 2012-08-27 2014-10-07 Dai-Ichi Seiko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automatic lock member
EP2717387B1 (en) * 2012-10-08 2018-08-01 Dai-Ichi Seiko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6057375B2 (ja) * 2013-07-03 2017-01-11 矢崎総業株式会社 フラット回路体用コネクタ
JP6081308B2 (ja) * 2013-07-24 2017-02-15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2194715B1 (ko) * 2013-11-20 2020-12-23 삼성전기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US9735485B2 (en) 2014-02-28 2017-08-15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Unibody sockets including latch extensions
CN103986020B (zh) * 2014-04-21 2016-08-24 深圳市得润电子股份有限公司 自解锁连接器
JP6282565B2 (ja) * 2014-09-22 2018-02-21 京セラ株式会社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5723478B1 (ja) 2014-11-12 2015-05-27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10530082B2 (en) 2015-08-31 2020-01-07 Amphenol Fci Asia Pte. Ltd. Circuit board connector having a pair of locking arms
JP6689063B2 (ja) 2015-12-09 2020-04-28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10305209B2 (en) * 2016-02-26 2019-05-28 Amphenol Fci Asia Pte Ltd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WO2017161176A1 (en) * 2016-03-16 2017-09-21 Yamaichi Electronics Usa, Inc.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JP6625004B2 (ja) * 2016-04-14 2019-12-25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ド型記録装置およびスロット装置
JP6458786B2 (ja) * 2016-09-15 2019-01-30 Smk株式会社 コネクタ
JP6540674B2 (ja) 2016-12-09 2019-07-10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2019102292A (ja) * 2017-12-04 2019-06-2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
CN110098521A (zh) * 2019-05-07 2019-08-06 苏州祥龙嘉业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自锁型摁压式fpc连接器
CN111834771B (zh) * 2020-06-20 2021-11-30 青岛恩利旺精密工业有限公司 一种fpc连接器及其连接方法
CN114552289B (zh) * 2020-11-18 2024-01-26 英业达科技有限公司 电子组件
TW202315239A (zh) * 2021-09-22 2023-04-01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具有按壓解鎖結構之易鎖連接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2312A (en) * 1992-05-14 1993-09-07 Robinson Nugent, Inc. Board to socket retainer clip
US5286217A (en) * 1991-08-15 1994-02-15 Foxconn International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latch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48545A (en) * 1971-07-23 1974-03-20 Int Computers Ltd Electrical connector asemblies
US4008942A (en) * 1975-07-29 1977-02-22 General Signal Corporation Printed circuit board holding spring
JP2704553B2 (ja) * 1989-09-22 1998-01-26 日本エー・エム・ピー株式会社 エッジ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用基板係止装置
US4995825A (en) * 1990-03-19 1991-02-26 Amp Incorporated Electronic module socket with resilient latch
US5094624A (en) * 1990-12-18 1992-03-10 Molex Incorporated Metal latch for SIMM socket
US5112242A (en) * 1990-11-20 1992-05-12 Foxconn International, Inc. Durable latch for memory module board
US5174780A (en) * 1991-03-29 1992-12-29 Yang Lee Su Lan Slant socket for memory module
US5169333A (en) * 1991-09-27 1992-12-08 Yang Lee Su Lan Durable latch with mounting peg of memory module socket
US5244403A (en) * 1991-04-10 1993-09-14 Augat Inc. Electronic component socket with external latch
US5209675A (en) * 1991-07-02 1993-05-11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onic module socket with resilient latch
US5123857A (en) * 1991-11-15 1992-06-23 Lee Chao Kuei L Electrical connector embedded with metal latches
US5154627A (en) * 1991-11-20 1992-10-13 Lee Chih Ta Electrical connector insertably fixed with simplified metal latches
JPH0587861U (ja) * 1992-01-16 1993-11-26 デュポン・シンガポール・ピーティーイー・リミテッド 電気コネクタ
US5203714A (en) * 1992-06-18 1993-04-20 Kenny Tuan Electrical connector for a printed circuit board
US5273451A (en) * 1992-06-22 1993-12-28 Full Rise Electronics Inc. Clamp fixing structure of circuit board connector
US5730614A (en) * 1993-08-19 1998-03-24 Berg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spring metal latch mechanism
US5413496A (en) * 1993-09-14 1995-05-09 Yu; Wang-I Enhanced electrical connector
US5649831A (en) * 1995-01-03 1997-07-22 Berg Technology, Inc. Printed circuit board edge connector including latching and ejectment mechanism
JPH08236198A (ja) * 1995-03-01 1996-09-13 Dai Ichi Denshi Kogyo Kk 電気コネクタ
US5660557A (en) * 1995-12-29 1997-08-26 Berg Technology, Inc. Shroud latch for electrical connectors
US6045386A (en) * 1998-04-30 2000-04-04 Micron Electronics, Inc. Circuit board retaining device
US6074231A (en) * 1998-11-10 2000-06-13 Ju; Ted Connector structure holding central processing units of both cartridge type and card type
TW430237U (en) * 1999-07-02 2001-04-11 Hon Hai Prec Ind Co Ltd Holding device
US6361343B1 (en) * 1999-09-21 2002-03-26 Intel Corporation Circuit card retention mechanism
JP3517661B2 (ja) 2000-01-11 2004-04-12 京セラエルコ株式会社 Fpc/ffc用ロック機構付きコネクタ
JP4256052B2 (ja) * 2000-04-20 2009-04-22 北川工業株式会社 基板保持具
JP2002175855A (ja) * 2000-12-08 2002-06-21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US6645005B2 (en) * 2001-11-29 2003-11-11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latching metal ears
US6379168B1 (en) * 2001-12-04 2002-04-30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ard edge connector with switch type retainer
JP3884325B2 (ja) * 2002-05-22 2007-02-21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接続用コネクタおよび接続用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
US6672888B1 (en) * 2002-12-20 2004-01-06 Egbon Electronics Ltd. Clamp assembly for an advanced graphic port (AGP) display interface card
US20050009396A1 (en) * 2003-07-11 2005-01-13 Wu Hung Sung Expanding slot adapter of expanding card
US6824413B1 (en) * 2003-08-28 2004-11-30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retention mechanism
CN2687890Y (zh) * 2003-12-09 2005-03-2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卡固持装置
US6960093B1 (en) * 2004-04-30 2005-11-01 Egdon Electronics Ltd. Interface card connector
SG123614A1 (en) * 2004-12-09 2006-07-26 Molex Inc Electrical connector socket with latch mechanism
TWI249976B (en) * 2004-12-31 2006-02-21 Asustek Comp Inc Main board and PCI expressX16 slot thereof
US7004773B1 (en) * 2005-09-01 2006-02-28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socket with latch mechanism
CN201041843Y (zh) * 2007-03-09 2008-03-2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201041840Y (zh) * 2007-03-09 2008-03-2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卡缘连接器
JP2010225466A (ja) * 2009-03-24 2010-10-07 Fujitsu Component Ltd 基板接続用コネクタ
CN201478518U (zh) * 2009-07-23 2010-05-19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卡缘连接器
CN201498673U (zh) * 2009-08-04 2010-06-0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卡缘连接器
TWM383842U (en) * 2009-08-24 2010-07-01 Horng-Yu Tsai Electrical connector
CN201601274U (zh) * 2009-10-27 2010-10-0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卡缘连接器
CN201638971U (zh) * 2009-12-23 2010-11-1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卡缘连接器
US8052448B2 (en) * 2009-12-25 2011-11-08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ard edge connector
JP5099387B2 (ja) * 2010-09-09 2012-12-19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TWM401890U (en) * 2010-11-05 2011-04-11 T-Conn Prec Corporation Card edge connec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6217A (en) * 1991-08-15 1994-02-15 Foxconn International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latch mechanism
US5242312A (en) * 1992-05-14 1993-09-07 Robinson Nugent, Inc. Board to socket retainer cli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29040A3 (en) 2013-01-16
KR20120026443A (ko) 2012-03-19
TWI446648B (zh) 2014-07-21
US20120064749A1 (en) 2012-03-15
EP2429040A2 (en) 2012-03-14
TW201223016A (en) 2012-06-01
US8444427B2 (en) 2013-05-21
CN102403589A (zh) 2012-04-04
JP2012059535A (ja) 2012-03-22
CN102403589B (zh) 2014-07-02
JP5099387B2 (ja) 2012-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3035B1 (ko) 커넥터 장치
KR101297967B1 (ko) 커넥터 장치
JP5729553B2 (ja) コネクタ装置
CN101390257B (zh) 用于扁平电缆的电连接器
TWI363461B (ko)
US8235739B2 (en) Electrical connector
JP5298227B1 (ja) コネクタ
KR20130103349A (ko) 커넥터 장치
JP5141924B2 (ja) コネクタ装置
JP6686140B2 (ja) コネクタ
JP6281698B2 (ja) コネクタ装置
CN112136249B (zh) 连接器以及电子设备
JP6044779B2 (ja) コネクタ装置
CN108418011B (zh) 连接器
JP2008108499A (ja)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4238001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2006134728A (ja)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JP3231917U (ja) 電気コネクタ
KR102560489B1 (ko) Ffc용 커넥터
TW201306392A (zh) 連接器裝置
KR101235416B1 (ko) 커넥터 장치
TWI474565B (zh) Connector device
JP5971476B2 (ja) コネクタ装置
JP5854272B2 (ja) コネクタ装置
JP5839196B2 (ja) コネク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